KR20060087652A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652A
KR20060087652A KR1020050008424A KR20050008424A KR20060087652A KR 20060087652 A KR20060087652 A KR 20060087652A KR 1020050008424 A KR1020050008424 A KR 1020050008424A KR 20050008424 A KR20050008424 A KR 20050008424A KR 20060087652 A KR20060087652 A KR 20060087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ntainer
outer case
air supply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526B1 (ko
Inventor
송성언
임동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to KR102005000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5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외부케이스(1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수거통(200)과; 상기 수거통(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거통(200)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어셈블리(3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200)으로 열기를 공급하는 급기어셈블리(600)와; 상기 급기어셈블리(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200)의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어셈블리(700)와; 상기 수거통(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수거통(200)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캡(500)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거통(200)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음식물투입부(40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통(200)이 인입되도록 선택적 개폐되는 도어(18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다리(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효율이 향상되어 폐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교반, 급기어셈블리, 배기어셈블리, 냄새역류방지캡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Food wastes treater }
도 1 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되는 수거통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외부케이스 내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6a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되는 냄새역류방지캡의 유동편이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되는 냄새역류방지캡의 유동편이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부케이스 120. ..... 안내가이드
140. ..... 장착홈 160. ..... 장착롤
180. ..... 도어 182. ..... 도어손잡이
190. ..... 다리 200. ..... 수거통
220. ..... 장착가이드 240. ..... 장착돌기
260. ..... 수거통손잡이 300. ..... 교반어셈블리
320. ..... 교반모터 340. ..... 회전날개
360. ..... 교반날개 400. ..... 음식물투입부
420. ..... 커버 422. ..... 조작부
422a. ..... 작동버튼 440. ..... 투입구
460. ..... 투입부케이스 500. ..... 냄새역류방지캡
520. ..... 테두리 540. ..... 유동편
542. ..... 무게추 600. ..... 급기어셈블리
620. ..... 히터 640. ..... 급기팬
660. ..... 급기구 700. ..... 배기어셈블리
720. ..... 배기팬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거통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攪拌)시키는 교반어셈블리와 수거통으로 열기를 제공하는 급기어셈블리 및 수거통의 냄새를 배출하는 배기어셈블리 그리고 수거통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캡 등이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혹은 음식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일반 음식물과 같이 쓰레기통에 배출하므로 생활하수와 더불어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 및 기타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 등으로 분리 수거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법이 제정되어, 가정과 음식업소 등에서 일일이 음식물쓰레기를 침출수가 없는 상태로 쓰레기봉투에 담아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관행화되고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많으므로 쓰레기용 비닐봉투에 담아서 완전하게 포장한다고 하더라도 침출수가 쓰레기봉투 사이로 배출되거나 쓰레기봉투가 충격에 약해서 터지게 되면 음식물쓰레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여름철과 같은 더운 계절에는 음식물쓰레기의 봉투 주위로 파리 등이 모이거나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이 번식하는 환경을 제공하므로 환경을 보호한다는 취지에 반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중에는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나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도 1 에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전방이 개구되며 쓰레기투입구(52)를 통하여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통(20)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대략 사각통상의 본체케이싱(10)과, 상기 본체케이싱(10)의 전방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30)와, 내부에 소정의 발열부가 구비되어 열풍을 토출하며 상기 본체케이싱(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팬수단(40)과, 상기 팬수단(40)과 본체케이싱(1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본체케이싱(10) 내의 공기를 순환 및 배기시키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쓰레기투입구(52)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5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기유동부(50)의 쓰레기투입구(52)를 통해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용통(20)에 수용되며, 이에 상기 팬수단(40)이 작동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동부(50) 내의 통로를 따라 순환 및 배기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팬수단(40)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10) 내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됨과 동시에 배기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어, 건조된 음식물쓰레기의 양과 무게는 젖은 상태의 음식물쓰레기의 그것에 비해 약 1/5 로 줄어듦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폐기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는 상기 수거통(20)이 수용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해 둔 상태로 팬수단(40)에 의해 열기를 제공하고 순환시킴으로써 건조시키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케이싱(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음식물쓰레기의 국부적인 위치에만 집중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건조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져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투입구(52)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자 할 때 이미 투 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쓰레기투입구(52)를 통해 역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거통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攪拌)시키는 교반어셈블리와 수거통으로 열기를 제공하는 급기어셈블리 및 수거통의 냄새를 배출하는 배기어셈블리 그리고 수거통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캡 등이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거통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어셈블리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으로 열기를 공급하는 급기어셈블리와; 상기 급기어셈블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의 냄새를 외부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어셈블리와; 상기 수거통의 상측에 구비되어, 수거통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캡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거통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음식물투입부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통이 외부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선택적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어셈블리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와; 상기 교반모터의 회전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수거통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개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기어셈블리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와,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급기모터와, 상기 급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히터의 열기를 상기 수거통으로 공급하는 급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어셈블리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배기모터와;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수거통의 냄새를 흡입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과 연결되어, 배기팬에 의해 흡입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투입부는 작동버튼이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거통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외형을 이루며 씽크대에 결합되는 투입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수거통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투입부의 커버에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일측이 힌지로 고정되어 상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수거통과 일체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효율이 향상되어 폐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되는 수거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외부케이스 내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a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되는 냄새역류방지캡의 유동편이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 되어 있고, 도 6b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적용되는 냄새역류방지캡의 유동편이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대략 사각통상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케이스(100)가 몸체를 구성하고 이러한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거통(200)과 상기 수거통(200)의 하부에 회전함으로써 수거통(200)에 수용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攪拌)시키는 교반어셈블리(300) 등이 구비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거통(20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형태의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교반어셈블리(300)의 회전날개(340)와 결합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3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수거통(200)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수거통(200)의 양측면 상단에는 수거통(200)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안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착가이드(22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가이드(220)는 상기 수거통(200)의 양측면에서 외부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가이드(220)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장착돌기(240)가 성형된다.
한편, 상기 수거통(200)의 전후면 상단에는 수거통(200)을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수거통손잡이(26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수거통(200)의 장착가이드(220)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 부 양측면에는 안내가이드(12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가이드(12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부 양측면 상단에 상기 장착가이드(22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측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안내가이드(120)의 상단에 상기 장착가이드(220)의 장착돌기(240)가 얹혀져서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수거통(200)이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12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장착돌기(240)에 대응되는 장착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40)은 상기 장착돌기(240)가 수용되고 탈거되도록 장착돌기(240)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가이드(120)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장착홈(140)의 전단부에는 상기 장착돌기(240)가 용이하게 장착되고 탈거되도록 구름 운동하는 장착롤(16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교반어셈블리(3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부 하단에 일체로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320)와 상기 교반모터(320)와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날개(3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모터(3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반모터(320)의 상측에 구비되는 교반모터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 하단부에 고정되고, 이러한 교반모터브라켓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여 교반모터기어, 교반날개기어 및 베어링 등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날개(34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모터(32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날개(34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날개(3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거통(200)의 교반날개(36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측 대략 중앙부에는 음식물쓰레기기 투입되도록 원형으로 성형되는 음식물투입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음식물투입부(400)는 상면에 작동버튼(422a)이 구비되는 조작부(422)가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420)와, 상기 커버(4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거통(200)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투입구(440)와, 상기 투입구(440)의 외형을 이루며 부엌의 씽크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투입부케이스(4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420)는 일측이 상기 투입부케이스(460)와 힌지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방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420)의 저면 일측에는 커버(4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인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tch,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며, 상기 투입부케이스(46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부엌의 씽크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부케이스(460)의 하부, 즉 상기 수거통(200)의 상측에는 수거통(200)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캡(500)이 설치된다. 상기 냄새역류방지캡(500)은 도 6a 와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투입부케이스(460)의 하부에 지지되는 테두리(520)와 상기 테두리(520)의 중앙부가 나누어져 상하로 유동되는 한쌍의 유동편(5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편(540)은 각 단부에 무게추(542)가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520)에 형성되는 힌지와 결합되며, 상기 무게추(542)가 형성되는 단부의 반대편은 상기 투입구(440)의 역할을 2차적으로 수행하며 서로 맞물려 상하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440)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와 상기 유동편(540)에 구비되는 무게추(542)의 무게의 차이로 인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상기 각 유동편(540)이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냄새역류방지캡(500)의 중앙부가 열리게 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거통(200)으로 투입되고, 이렇게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200)으로 투입되고 난 다음에는 상기 유동편(540)의 무게추(542)의 무게로 인해 다시 각 유동편(540)이 상방으로 복원되어 서로 맞물려 닫힘으로써 상기 수거통(200)의 음식물쓰레기 냄새가 상기 투입구(440)로 역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음식물투입부(400)의 우측에는 상기 수거통(200)으로 열기를 공급하는 급기어셈블리(600)가 설치된다. 상기 급기어셈블리(6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620)와, 상기 히터(6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급기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급기모터와 히터(6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회전하여 상기 히터(620)의 열기를 상기 수거통(200)으로 공급하는 급기팬(640)과, 상기 급기팬(640)을 보호하는 급기팬커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급기구(660)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급기팬(640)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급기구(66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며, 이렇게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급기팬(640)을 경유하여 급기팬(640)의 송풍으로 상기 히터(620)를 거치면서 따뜻한 공기가 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부 즉 상기 수거통(200)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투입부(400)의 좌측에는 상기 수거통(200)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냄새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어셈블리(70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어셈블리(7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배기모터와, 상기 배기모터의 하측에 구비되어 배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수거통(200)의 냄새를 흡입하는 배기팬(720)과, 상기 배기팬(720)을 보호하는 배기팬커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배기팬(720)에 의해 상기 수거통(200)으로부터 흡입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구(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어셈블리(700)는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배기팬(720)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수거통(200)에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분과 냄새가 상기 배기팬(720)으로 흡입되며, 이렇게 흡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수분과 냄새는 상기 배기팬(720)을 경유하여 배기팬(720)의 송풍으로 상기 배기구를 거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구의 내부에는 상기 수거통(20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필터는 음식물쓰레기의 심한 악취를 제거하는 데 용이한 활성탄 또는 플라즈마 처리가 된 필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상기 수거통(200)이 외부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18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180)는 상단부에는 선택적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도어손잡이(182)가 성형되고, 하단부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되어 개폐된다.
이때 상기 도어(180)는 그 하단부가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단부가 상하방으로 회동하는 여닫이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거통(2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서랍식으로 구성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80)의 일측에는 도어(18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인 마이크로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80)로 인입되는 수거통(200)의 하부, 즉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하단 대략 중앙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거통(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가 또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420)와 도어(180)의 닫힘여부 및 상기 수거통(200)의 장착여부를 안전수단인 상기 마이크로스위치가 감지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초기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전수단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어하는 메인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422)의 작동버튼(422a)를 조작하기 전에 상기 커버(420)와 도어(180)가 닫혀 있는 상태를 감 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거통(200)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422)에 안전표시램프(도시되지 않음)가 발광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420)와 도어(180)가 열린 상태 또는 상기 수거통(2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다리(190)가 구비되어 설치된다. 상기 다리(190)는 전후 좌우 각 모서리에 하나씩 4개가 구비되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설치되는 각각의 씽크대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리(190)는 그 중앙부가 회전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조절부(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조절부의 내부에 조절부가 회전하도록 외형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조절부의 회전으로 상기 다리(190)의 높이가 결정되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설치되는 각각의 씽크대 높이에 맞게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투입부(400)의 커버(420)를 열고 투입구(440)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냄새역류방지캡(500)의 각 유동편(540)이 하방으로 유동되어 열리면서 상기 수거통(200)으로 투입된다. 이렇게 상기 수거통(200)으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수용되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22)의 작동버튼(422a)를 조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420)와 도어(180)의 닫힘여부 그리고 수거통(200)의 장착여부 모두를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정상인 상태, 즉 상기 커버(420)와 도어(180)가 닫힌 상태 및 상기 수거통(200)이 장착된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작동버튼(422a)의 신호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작동된다.
상기 작동버튼(422a)의 신호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교반어셈블리(300)의 교반모터(320)와 상기 급기어셈블리(600)의 급기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히터(620) 그리고 상기 배기어셈블리(700)의 배기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모터(320)와 연결되는 회전날개(340)가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수거통(200)의 교반날개(36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급기모터와 연결되는 급기팬(640)이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히터(62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수거통(200)으로 공급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거통(200)에서 교반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배기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배기팬(720)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수거통(200)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냄새를 흡입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720)으로 흡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냄새는 상기 배기팬(720)의 송풍으로 상기 배기구(도시되지 않음)로 안내되고, 이렇게 배기구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냄새는 상기 배기구에 구비되는 필터를 거치면서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어 상기 씽크대의 하수도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교반모터(3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 일측에 구비되는 메인회로(도시되지 않음)에서 회전주기를 정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교반모터(320)는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므로 저속으로 회전하는 모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주기는 예컨대 30분간 작동되어 저속으로 회전하게 하고 30분간 정지하게 하여 교번(交番)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히터(620)와 급기모터 및 배기모터는 상기 교반모터(320)의 부하 변화량을 상기 메인회로에서 감지하여 어느 정도 부하가 감소하게 되면(예컨대, 초기 부하의 80% 정도)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동작을 정지시키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 배기구에 습도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습기의 양을 체크하거나 상기 수거통(200)의 하부 일측에 웨이트(Weight)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감소되는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히터(620)와 급기모터 및 배기모터의 동작을 차단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습도센서와 웨이터센서는 감지되는 습도와 중량이 초기 습도 또는 초기 중량의 60% ~ 70% 정도 떨어지게 되면 그 습도와 중량값이 상기 메인회로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메인회로에서 상기 히터(620)와 급기모터 및 배기모터의 동작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급기어셈블리(600)의 열기 제공과 교반어셈블리(300)의 교반작용 등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감소되어 그 무게가 감량됨으로써 상기 수거통(200)에 적재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주 1회 내지 2회 정도 상기 도어(180)를 개방하여 비우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투입부케이스(460)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부엌의 씽크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렇게 하지 아니하고 기존에 설치된 씽크대의 일측에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구비함으로써 별개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수거통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攪拌)시키는 교반어셈블리와 수거통으로 열기를 제공하는 급기어셈블리 및 수거통의 냄새를 배출하는 배기어셈블리 그리고 수거통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캡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거통으로 열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게 되므로 종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비해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건조시간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골고루 교반시키면서 건조하게 되므로 건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음식물투입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고자 할 때 이미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냄새역류방지캡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히터 및 각종 모터 그리고 센서들의 정보 즉 모터의 부하나 습도센서의 습도량 및 웨이트센서의 무게에 따라 메인회로에서 그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11)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외형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거통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어셈블리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으로 열기를 공급하는 급기어셈블리와;
    상기 급기어셈블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의 냄새를 외부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어셈블리와;
    상기 수거통의 상측에 구비되어, 수거통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캡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거통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음식물투입부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거통이 외부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선택적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어셈블리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와;
    상기 교반모터의 회전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수거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개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어셈블리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와,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급기모터와,
    상기 급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히터의 열기를 상기 수거통으로 공급하는 급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어셈블리는,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배기모터와;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수거통의 냄새를 흡입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과 연결되어, 배기팬에 의해 흡입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투입부는,
    작동버튼이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거통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외형을 이루며 씽크대에 결합되는 투입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수거통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투입부의 커버에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측이 힌지로 고정되어 상하방으로 회동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수거통과 일체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0050008424A 2005-01-31 2005-01-31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69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24A KR100691526B1 (ko) 2005-01-31 2005-01-31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24A KR100691526B1 (ko) 2005-01-31 2005-01-31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652A true KR20060087652A (ko) 2006-08-03
KR100691526B1 KR100691526B1 (ko) 2007-03-09

Family

ID=3717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424A KR100691526B1 (ko) 2005-01-31 2005-01-31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129A (ko) 2020-12-24 2022-07-01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WO2024010193A1 (ko) * 2022-07-06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00B1 (ko) * 2009-11-20 2016-12-02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교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914A (ko) * 1996-12-11 1998-09-15 구자홍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WO2002026446A1 (ja) * 2000-09-28 2004-02-05 上垣 健男 研磨具
KR20030042217A (ko) * 2001-11-22 2003-05-28 기 동 조 차양막 자동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129A (ko) 2020-12-24 2022-07-01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WO2024010193A1 (ko) * 2022-07-06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526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US8129177B2 (en) Compos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496366B1 (ko) 거름통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13114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9152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10019659A (ko) 음식물처리기
KR1013662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0689A (ko) 싱크볼 매입형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6008765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공기순환구조
JPH11333415A (ja) 生ゴミ処理機
KR10069152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제어방법
WO2007019513A2 (en) Composting systems and methods
JP3232867B2 (ja) 厨芥処理機
JP2002159939A (ja) 生ごみ処理装置
EP261951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1013662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096518B2 (ja) 厨芥処理装置
KR10136633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63702B1 (ko)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 장치
JPH0538488A (ja) マグネトロンの温度センサーを有する生ゴミの処理装置
JP2002119939A (ja) 厨芥処理機
KR10136623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