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700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700A
KR20220091700A KR1020200182583A KR20200182583A KR20220091700A KR 20220091700 A KR20220091700 A KR 20220091700A KR 1020200182583 A KR1020200182583 A KR 1020200182583A KR 20200182583 A KR20200182583 A KR 20200182583A KR 20220091700 A KR20220091700 A KR 2022009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ensing
period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700A/ko
Priority to US17/357,874 priority patent/US11487383B2/en
Priority to CN202111511812.9A priority patent/CN114661180A/zh
Publication of KR2022009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2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alternate mutual and self-capacitive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Abstract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 센서, 및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1 입력을 입력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제2 모드에서 제1 입력과 다른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제1 모드의 제1 입력 감지 프레임은 복수의 탐색 신호가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제1 탐색 구간을 포함하고, 제2 모드의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센싱 신호가 통합된 통합 신호가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통합 센싱 구간을 포함한다. 복수의 탐색 신호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통신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탐색 신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자 장치들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전자 장치들은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통상적인 입력 방식 외에 사용자가 손쉽게 정보 혹은 명령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터치 기반의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터치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필기구를 이용한 정보 입력이 익숙한 사용자 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스케치 또는 드로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세밀한 터치 입력을 위한 전자 펜의 사용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 채용되는 입력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터치나 압력에 의한 입력뿐만 아니라 전자 펜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들을 감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멀티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 센서, 및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1 입력을 상기 입력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과 다른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드의 제1 입력 감지 프레임은 복수의 탐색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제1 탐색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의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센싱 신호가 통합된 통합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통합 센싱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탐색 신호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통신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탐색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입력 감지 프레임의 탐색 구간 동안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탐색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의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의 통합 센싱 구간 동안 상기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센싱 신호가 통합된 통합 신호를 입력 센서로 제공한다. 따라서, 고속 구동 시에도 제2 입력의 감지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의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합 센싱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 및 센서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 중 어느 하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0)가 휴대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000)에는 액티브 영역(AA1) 및 주변 영역(NAA1)이 정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액티브 영역(AA1)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1)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영역(NAA1)은 액티브 영역(AA1)의 주변을 에워쌀 수 있다.
전자 장치(1000)의 두께 방향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0)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 및 입력 장치(2000)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0)는 사용자의 신체 이외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입력 장치(2000) 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1000)는 복수의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0)에 의한 입력은 제1 입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0)는 액티브 펜, 스타일러스 펜, 터치 펜, 또는 전자 펜일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은 제2 입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 및 입력 장치(2000)는 서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입력 장치(2000)로 탐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탐색 신호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기 위한 신호이다. 탐색 신호는 전자 장치(1000)에서 입력 장치(2000) 측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탐색 신호를 상향 탐색 신호로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탐색 신호는 입력 장치(2000)에서 전자 장치(1000) 측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0)는 입력 장치(2000)로부터 제공되는 탐색 신호의 수신을 통해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할 수 있으며, 이 탐색 신호를 하향 탐색 신호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 신호는 동기화 신호 또는 전자 장치(10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장치(2000)와 전자 장치(1000)의 통신이 개시되면, 입력 장치(2000)는 전자 장치(1000)로 다운링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는 동기화 신호 또는 입력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신호는 입력 장치(2000)의 위치 정보, 입력 장치(2000)의 배터리 정보, 입력 장치(2000)의 기울기 정보, 및/또는 입력 장치(200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을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1)는 액티브 영역(AA2)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자 장치(1001)가 소정의 각도로 폴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001)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액티브 영역(AA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2)은 제1 영역(AA2_1), 제2 영역(AA2_2), 및 제3 영역(AA2_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A2_1), 제2 영역(AA2_2), 및 제3 영역(AA2_3)은 제1 방향(DR1)으로 순차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영역(AA2_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A2_1) 및 제3 영역(AA2_3)은 비폴딩 영역들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영역(AA2_2)은 폴딩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가 폴딩되면, 제1 영역(AA2_1)과 제3 영역(AA2_3)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액티브 영역(AA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인-폴딩(in-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01)의 폴딩 동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1)는 제1 영역(AA2_1) 및 제3 영역(AA2_3)이 서로 대향(opposing)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액티브 영역(AA2)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아웃-폴딩(out-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동작만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1)는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1)의 제2 영역(AA2_2)이 인-폴딩 및 아웃-폴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이 예를 들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1)는 2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 및 서로 인접한 비폴딩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폴딩축(FX)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딩축(FX)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AA2_1), 제2 영역(AA2_2), 및 제3 영역(AA2_3)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2)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모듈들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들은 카메라 모듈 및 근접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들은 액티브 영역(AA2)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거나, 액티브 영역(AA2)을 통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및 근접 조도 센서 등과 중첩하는 액티브 영역(AA2)의 일부분은 액티브 영역(AA2)의 다른 일부분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모듈들이 배치될 영역을 액티브 영역(AA2) 주변의 주변 영역(NAA2)에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전자 장치(1001)의 전면 대비 액티브 영역(AA2)의 면적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와 입력 장치(200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입력 장치(2000)로 탐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0)는 전자 장치(1001)로 다운링크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입력 장치(20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장치(20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표시패널(100), 입력 센서(200), 패널 드라이버(100C), 센서 컨트롤러(200C), 및 메인 컨트롤러(1000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무기발광 표시패널, 퀀텀닷 표시패널,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패널, 또는 나노 엘이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입력 센서(200)는 표시패널(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센서(2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센서(200)는 입력 장치(2000)에 의한 제1 입력과 사용자의 신체(3000)에 의한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000C)는 전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1000C)는 패널 드라이버(100C) 및 센서 컨트롤러(200C)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000C)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1000C)는 호스트로 지칭될 수도 있다.
패널 드라이버(100C)는 표시패널(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000C)는 그래픽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드라이버(100C)는 메인 컨트롤러(1000C)로부터 영상 데이터(RGB) 및 제어 신호(D-CS)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D-CS)는 다양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D-CS)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메인 클럭,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드라이버(100C)는 제어 신호(D-CS)을 근거로 표시패널(100)에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수직개시신호 및 수평개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메인 컨트롤러(1000C)로부터 센싱 제어 신호(I-CS)를 수신할 수 있다. 센싱 제어 신호(I-CS)는 센서 컨트롤러(200C)의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신호 및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센싱 제어 신호(I-CS)를 근거로 입력 장치(2000)에 의한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3000)에 의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한 경우 제1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0)가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한 결과, 입력 장치(2000)가 탐색된 경우, 제1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노멀 상태에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의 좌표정보를 산출하고, 좌표정보를 갖는 좌표 신호(I-SS)를 메인 컨트롤러(1000C)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000C)는 좌표 신호(I-SS)에 근거하여 제1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1000C)는 좌표 신호(I-SS)에 근거하여 표시패널(100)에 새로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패널 드라이버(100C)를 동작시킬 수 있다.
입력 장치(2000)는 하우징(2100), 전원(2200), 펜 컨트롤러(2300), 통신 모듈(2400), 및 펜 전극(2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입력 장치(20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상기 나열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0)는 신호 송신 모드 또는 신호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전극 스위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2100)은 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0) 내부에 정의된 수용 공간에는 전원(2200), 펜 컨트롤러(2300), 통신 모듈(2400), 및 펜 전극(2500)이 수납될 수 있다.
전원(2200)은 입력 장치(2000) 내부의 모듈, 예를 들어 펜 컨트롤러(2300), 통신 모듈(240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2200)은 배터리 또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펜 컨트롤러(2300)는 입력 장치(2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펜 컨트롤러(2300)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다. 펜 컨트롤러(2300)는 설계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400)은 송신 회로(2410) 및 수신 회로(24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회로(2410)는 다운링크 신호(DLS)를 입력 센서(200)로 출력할 수 있다. 수신 회로(2420)는 입력 센서(200)로부터 제공되는 탐색 신호(ULS)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 신호(ULS)는 전자 장치(1000)에서 입력 장치(2000)로 제공되는 상향 탐색 신호일 수 있다. 송신 회로(2410)는 펜 컨트롤러(2300)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센서(200)에 의해 센싱 가능한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 회로(2420)는 입력 센서(200)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펜 컨트롤러(2300)에 의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펜 전극(2500)은 통신 모듈(2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펜 전극(2500)의 일부분은 하우징(21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2000)는 하우징(2100)으로부터 노출된 펜 전극(2500)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펜 전극(2500)은 하우징(2100)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표시패널(100) 및 입력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베이스층(110), 회로층(120), 발광 소자층(130), 및 봉지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회로층(120)이 배치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부재일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층(110)은 무기층, 유기층, 또는 복합 재료층일 수 있다.
베이스층(110)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110)은 제1 합성 수지층, 상기 제1 합성 수지층 위에 배치된 실리콘 옥사이드(SiOx)층,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층 위에 배치된 아몰퍼스 실리콘(a-Si)층, 및 상기 아몰퍼스 실리콘층 위에 배치된 제2 합성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층 및 상기 아몰퍼스 실리콘층은 베이스 배리어층이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수지층들 각각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수지층들 각각은 아크릴(acrylate)계 수지, 메타크릴(methacrylate)계 수지, 폴리아이소프렌(polyisoprene)계 수지, 비닐(vinyl)계 수지, 에폭시(epoxy)계 수지, 우레탄(urethane)계 수지, 셀룰로오스(cellulose)계 수지, 실록산(siloxane)계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수지 및 페릴렌(perylene)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회로층(120)은 베이스층(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120)은 절연층,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베이스층(110) 위에 형성되고, 이후, 복수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후, 회로층(120)에 포함된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0)은 회로층(1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0)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층(130)은 유기 발광 물질, 무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마이크로 엘이디, 또는 나노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40)은 발광 소자층(1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수분, 산소, 및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130)을 보호할 수 있다.
입력 센서(200)는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10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센서(200)는 표시패널(100)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입력 센서(200)와 표시패널(100)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입력 센서(200)와 표시패널(100)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입력 센서(200)는 표시패널(100)과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2)는 표시패널(101) 및 입력 센서(201)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1)은 베이스 기판(111), 회로층(121), 발광 소자층(131), 봉지 기판(141), 및 결합 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1) 및 봉지 기판(141) 각각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 등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부재(151)는 베이스 기판(111)과 봉지 기판(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151)는 봉지 기판(141)을 베이스 기판(111) 또는 회로층(1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151)는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물은 프릿 실(frit seal)을 포함할 수 있고, 유기물을 광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결합 부재(151)를 구성하는 물질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센서(201)는 봉지 기판(141)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입력 센서(201)와 봉지 기판(141)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입력 센서(201)와 표시패널(101)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센서(201)와 봉지 기판(141)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4a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층(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무기층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층의 무기층들은 배리어층 및/또는 버퍼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패널(100)은 버퍼층(BFL)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110)과 반도체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버퍼층(BFL)은 실리콘옥사이드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리콘옥사이드층과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은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버퍼층(BF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도체 패턴은 비정질실리콘, 저온다결정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부의 반도체 패턴을 도시한 것일 뿐이고, 다른 영역에 반도체 패턴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화소들에 걸쳐 특정한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도핑 여부에 따라 전기적 성질이 다를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전도율이 높은 제1 영역과 전도율이 낮은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N형 도판트 또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될 수 있다. P형의 트랜지스터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된 도핑 영역을 포함하고, N형의 트랜지스터는 N형 도판트로 도핑된 도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비도핑 영역이거나, 제1 영역 대비 낮은 농도로 도핑될 수 있다.
제1 영역의 전도성은 제2 영역보다 크고, 실질적으로 전극 또는 신호 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액티브(또는 채널)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도체 패턴의 일부분은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일수 있고, 다른 일부분은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부분은 연결 전극 또는 연결 신호 라인일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7개의 트랜지스터들, 하나의 커패시터, 및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등가회로를 가질 수 있으며, 화소의 등가회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화소에 포함되는 하나의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E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트랜지스터(TR)는 소스 영역(SC1), 채널 영역(AC1), 드레인 영역(DC1), 및 게이트(G1)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영역(SC1), 채널 영역(AC1), 및 드레인 영역(DC1)은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영역(SC1) 및 드레인 영역(DC1)은 단면 상에서 채널 영역(AC1)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된 연결 신호 라인(SCL)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 신호 라인(SCL)은 평면 상에서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영역(DC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버퍼층(BF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중첩하며, 반도체 패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10)은 단층의 실리콘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0)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회로층(120)의 절연층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무기층은 상술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G1)는 제1 절연층(10) 위에 배치된다. 게이트(G1)는 금속 패턴의 일부분일 수 있다. 게이트(G1)는 채널 영역(AC1)에 중첩한다. 반도체 패턴을 도핑하는 공정에서 게이트(G1)는 마스크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제1 절연층(10) 위에 배치되며, 게이트(G1)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화소들에 공통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20)은 실리콘옥사이드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제2 절연층(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절연층(30)은 실리콘옥사이드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은 제3 절연층(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은 제1, 제2, 및 제3 절연층(10, 20, 3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1)을 통해 연결 신호 라인(SCL)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절연층(40)은 제3 절연층(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40)은 단층의 실리콘 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5 절연층(50)은 제4 절연층(4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절연층(50)은 유기층일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5 절연층(5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4 절연층(40) 및 제5 절연층(5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2)을 통해 제1 연결 전극(CN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6 절연층(60)은 제5 절연층(50) 위에 배치되며, 제2 연결 전극(CNE2)을 커버할 수 있다. 제6 절연층(60)은 유기층일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0)은 회로층(1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30)은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층(130)은 유기 발광 물질, 무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마이크로 엘이디, 또는 나노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발광 소자(ED)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ED)는 제1 전극(AE), 발광층(E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60)을 관통하는 컨택홀(CNT3)을 통해 제2 연결 전극(CNE2)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70)은 제6 절연층(60) 위에 배치되며, 제1 전극(AE)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70)에는 개구부(70-OP)가 정의된다. 화소 정의막(70)의 개구부(70-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액티브 영역(AA1, 도 1 참조)은 발광 영역(PXA)과 발광 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XA)은 발광 영역(PXA)을 에워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영역(PXA)은 개구부(70-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발광층(EL)은 제1 전극(AE)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L)은 개구부(70-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L)은 화소들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L)이 화소들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발광층들(EL) 각각은 청색, 적색, 및 녹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층(EL)은 화소들에 연결되어 공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층(EL)은 청색 광을 제공하거나, 백색 광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전극(CE)은 발광층(EL)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일체의 형상을 갖고, 복수의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전극(AE)과 발광층(EL) 사이에는 정공 제어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은 발광 영역(PXA)과 비발광 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L)과 제2 전극(CE) 사이에는 전자 제어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과 전자 제어층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발광 소자층(1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무기층, 유기층, 및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봉지층(140)을 구성하는 층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층들은 수분 및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층(130)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130)을 보호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 센서(200)는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10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 센서(200)는 표시패널(100)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입력 센서(200)는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서(200)는 베이스 절연층(210), 제1 도전층(220), 감지 절연층(230), 제2 도전층(240), 및 커버 절연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절연층(210)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옥사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층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절연층(210)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이미드 계열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층일 수도 있다. 베이스 절연층(210)은 단층 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층(220) 및 제2 도전층(240)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층구조의 도전층은 금속층 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또는 인듐아연주석산화물(indium zinc tin oxide, IZTO)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들은 예컨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절연층(230) 및 커버 절연층(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절연층(230) 및 커버 절연층(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장치(2000)에 의한 제1 입력을 감지하는 제1 모드 또는 사용자의 신체(3000)에 의한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모드(MD1)로의 진입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MD1)로 진입한 경우, 전자 장치(1000)의 액티브 영역(AA1, 도 1 참조)에 펜 아이콘(P_ICON)이 표시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모드(MD1)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모드(MD1)에서 전자 장치(1000)의 액티브 영역(AA1)에는 펜 인식 영역(P_AA)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모드(MD1)가 활성화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모드(MD1)에서 제1 입력을 감지하도록 동작한다. 제1 모드(MD1)에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입력 감지 프레임 단위로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모드(MD1)에서의 제1 입력 감지 프레임을 펜 감지 프레임으로 지칭한다. 도 7에서는 4개의 펜 감지 프레임(IF1_1~IF1_4)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4개의 펜 감지 프레임(IF1_1~IF1_4) 각각은 일정한 구간 폭을 갖는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60Hz 내지 480Hz의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컨트롤러(200C)가 60Hz의 주파수로 동작할 경우, 펜 감지 프레임들(IF1_1~IF1_4) 각각은 대략 16.66ms의 구간 폭을 갖는다. 센서 컨트롤러(200C)가 240Hz의 주파수로 동작할 경우, 펜 감지 프레임들(IF1_1~IF1_4) 각각은 대략 4.16ms의 구간 폭을 갖는다. 그러나, 센서 컨트롤러(200C)의 동작 주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60Hz 및 240Hz 이외에도 다양한 주파수가 적용 가능하다.
펜 감지 프레임들(IF1_1~IF1_4) 각각은 제1 탐색 구간(DTP1) 및 통신 구간(DCP)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구간(DCP)은 제1 탐색 구간(DTP1) 이후에 발생될 수 있다. 제1 탐색 구간(DT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복수의 탐색 신호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탐색 신호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통신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탐색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복수의 탐색 신호는 3 개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통신이 가능한 3 개의 탐색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3 개의 탐색 신호를 제1 탐색 신호(ULS1), 제2 탐색 신호(ULS2) 및 제3 탐색 신호(ULS3)로 각각 지칭한다.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 각각은 전자 장치(1000)에서 입력 센서(200)를 통해 입력 장치(2000) 측으로 전송되는 상향 탐색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탐색 신호(ULS1)는 제1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이고, 제2 탐색 신호(ULS2)는 제2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이며, 제3 탐색 신호(ULS3)는 제3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이다. 제1 내지 제3 프로토콜을 서로 다른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토콜은 마이크로 소프트 펜 프로토콜(Microsoft Pen Protocol: MPP)일 수 있으며, 제2 프로토콜은 와콤 사의 액티브 정전(AES: Active ElctroStatic) 프로토콜일 수 있으며, 제3 프로토콜은 USI(Universal Stylus Initiative) 펜 프로토콜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3개의 탐색 신호만을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탐색 신호는 상기한 프로토콜 이외에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 가능한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들(ULS1~ULS3)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거나, 서로 다른 전압 크기를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파형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제1 탐색 구간(DTP1)은 제1 업링크 구간(ULP1), 제2 업링크 구간(ULP2) 및 제3 업링크 구간(UL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업링크 구간(ULP1~ULP3)은 시간상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시간상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즉, 제2 업링크 구간(ULP2)은 제1 업링크 구간(ULP1)이 종료된 이후에 발생되고, 제3 업링크 구간(ULP3)은 제2 업링크 구간(ULP2)이 종료된 이후에 발생될 수 있다.
제1 탐색 구간(DTP1) 동안, 전자 장치(1000)는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를 출력한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첫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1)의 제1 업링크 구간(ULP1)동안 제1 탐색 신호(ULS1)를 출력하고, 첫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1)의 제2 업링크 구간(ULP2)동안 제2 탐색 신호(ULS2)를 출력하며, 첫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1)의 제3 업링크 구간(ULP3)동안 제3 탐색 신호(ULS3)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의 우선 순위는 적어도 하나의 펜 감지 프레임 단위로 가변될 수 있다.
제1 탐색 구간(DTP1)은 응답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응답 구간은 제1 응답 구간(AP1), 제2 응답 구간(AP2) 및 제3 응답 구간(A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응답 구간(AP1)은 제1 업링크 구간(ULP1)과 제2 업링크 구간(ULP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 응답 구간(AP1)은 제1 업링크 구간(ULP1)이 종료된 시점부터 제2 업링크 구간(ULP2)이 시작되지 이전까지의 구간으로 정의된다. 제2 응답 구간(AP2)은 제2 업링크 구간(ULP2)과 제3 업링크 구간(ULP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응답 구간(AP2)은 제2 업링크 구간(ULP2)이 종료된 시점부터 제3 업링크 구간(ULP3)이 시작되기 이전까지의 구간으로 정의된다. 제3 응답 구간(AP3)은 제3 업링크 구간(ULP3)과 통신 구간(DCP)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응답 구간(AP3)은 제3 업링크 구간(ULP3)이 종료된 시점부터 통신 구간(DCP)이 시작되기 이전까지의 구간으로 정의된다. 제1 내지 제3 응답 구간(AP1~SP3)은 시간 상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시간 상으로 제1 내지 제3 업링크 구간(ULP1~ULP3)과 중첩하지 않는다.
제1 응답 구간(A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업링크 구간(ULP1) 동안 출력된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응답 신호 수신을 위해 대기하고, 제2 응답 구간(AP2)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업링크 구간(ULP2) 동안 출력된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응답 신호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또한, 제3 응답 구간(AP3)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3 업링크 구간(ULP3) 동안 출력된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응답 신호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여기서, 제1 탐색 신호(ULS1)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1 응답 신호로 지칭하고, 제2 탐색 신호(ULS2)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2 응답 신호(AS2)로 지칭하며, 제3 탐색 신호(ULS3)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제3 응답 신호(AS3)로 지칭한다.
첫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1)에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첫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1)의 통신 구간(DCP)에서는 입력 장치(2000)와 센서 컨트롤러(200C)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실시되지 않는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의 제1 업링크 구간(ULP1)동안 제1 탐색 신호(ULS1)를 출력하고,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의 제2 업링크 구간(ULP2)동안 제3 탐색 신호(ULS3)를 출력하며,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의 제3 업링크 구간(ULP3)동안 제2 탐색 신호(ULS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첫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1)과 달리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에서 제3 탐색 신호(ULS3)는 제2 탐색 신호(ULS2)보다 먼저 출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에서, 전자 장치(1000)에는 제3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입력 장치(2000#1)가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응답 구간(AP2) 동안 제1 입력 장치(2000#1)로부터 제3 탐색 신호(ULS3)에 대한 제3 응답 신호(AS3)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의 통신 구간(DCP) 동안 전자 장치(1000)는 제1 입력 장치(2000#1)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통신 구간(DCP)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를 통해 제1 입력 장치(2000#1)로부터 제공되는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는 제3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일 수 있다. 통신 구간(DCP)은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수신하는 제1 다운링크 구간(DLP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근거로 제1 입력 장치(2000#1)의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다운링크 구간(DLP1)은 통신 구간(DCP)보다 작은 구간 폭을 가질 수 있다.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에서, 센서 컨트롤러(200C)가 제3 탐색 신호(ULS3)에 대한 제3 응답 신호(AS3)를 수신하여, 제1 입력 장치(2000#1)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한 이후,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의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제3 탐색 신호(ULS3)가 제1 및 제2 탐색 신호(ULS1, ULS2)보다 먼저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세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3)의 제1 업링크 구간(ULP1) 동안 제3 탐색 신호(ULS3)를 출력하고, 세번째 펜 입력 감지 프레임(IF1_3)의 제2 업링크 구간(ULP2) 동안 제1 탐색 신호(ULS1)를 출력하며, 세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3)의 제3 업링크 구간(ULP3) 동안 제2 탐색 신호(ULS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두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2)과 달리 세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3)에서 제3 탐색 신호(ULS3)는 제1 및 제2 탐색 신호(ULS1, ULS2)보다 먼저 출력될 수 있다.
세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3)에서, 전자 장치(1000)에는 제3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입력 장치(2000#1) 및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입력 장치(2000#2)가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응답 구간(AP1) 동안 제1 입력 장치(2000#1)로부터 제3 탐색 신호(ULS3)에 대한 제3 응답 신호(AS3)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3 응답 구간(AP3) 동안 제2 입력 장치(2000#2)로부터 제2 탐색 신호(ULS2)에 대한 제2 응답 신호(AS2)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0)는 세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3)의 통신 구간(DCP) 동안 제1 및 제2 입력 장치(2000#1, 2000#2)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통신 구간(DCP)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를 통해 제1 입력 장치(2000#1)로부터 제공되는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입력받고, 제2 입력 장치(2000#2)로부터 제2 다운링크 신호(DLS2)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는 제3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일 수 있고, 제2 다운링크 신호(DLS2)는 제2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일 수 있다. 통신 구간(DCP)은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수신하는 제1 다운링크 구간(DLP1) 및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다운링크 구간(DLP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근거로 제1 입력 장치(2000#1)의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제2 다운링크 신호(DLS2)를 근거로 제2 입력 장치(2000#2)의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다운링크 구간(DLP1, DLP2) 각각은 통신 구간(DCP)보다 작은 구간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다운링크 구간(DLP1, DLP2)은 시간 상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다운링크 구간(DLP1)이 종료된 이후에 제2 다운링크 구간(DLP2)이 시작될 수 있다.
세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3)에서, 센서 컨트롤러(200C)가 제1 및 제2 입력 장치(2000#1, 2000#2)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한 이후,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의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제2 및 제3 탐색 신호(ULS2, ULS3)가 제1 탐색 신호(ULS1)보다 먼저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ULS1~ULS3)의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c를 참조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네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4)의 제1 업링크 구간(ULP1) 동안 제3 탐색 신호(ULS3)를 출력하고, 네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4)의 제2 업링크 구간(ULP2) 동안 제2 탐색 신호(ULS2)를 출력하며, 네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4)의 제3 업링크 구간(ULP3) 동안 제1 탐색 신호(ULS1)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세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3)과 달리 네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4)에서 제2 탐색 신호(ULS2)는 제1 탐색 신호(ULS1)보다 먼저 출력될 수 있다.
네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4)에서, 전자 장치(1000)에는 제3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입력 장치(2000#1),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입력 장치(2000#2) 및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3 입력 장치(2000#3)가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응답 구간(AP1) 동안 제1 입력 장치(2000#1)로부터 제3 탐색 신호(ULS3)에 대한 제3 응답 신호(AS3)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응답 구간(AP2) 동안 제2 및 제3 입력 장치(2000#2, 2000#3)로부터 제2 탐색 신호(ULS2)에 대한 제2 응답 신호(AS2)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가 2개인 경우, 제2 응답 구간(AP2)은 두 개의 서브 응답 구간(이하, 제1 서브 응답 구간(AP2_1) 및 제2 서브 응답 구간(AP2_2)이라 지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응답 구간(AP2_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입력 장치(2000#2)로부터 제1 서브 응답 신호(AS2_1)를 수신하고, 제2 서브 응답 구간(AP2_2)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3 입력 장치(2000#3)로부터 제2 서브 응답 신호(AS2_2)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0)는 네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4)의 통신 구간(DCP) 동안 제1 내지 제3 입력 장치(2000#1, 2000#2, 2000#3)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네번째 펜 감지 프레임(IF1_4)의 통신 구간(DCP)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를 통해 제1 입력 장치(2000#1)로부터 제공되는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입력받고, 제2 입력 장치(2000#2)로부터 제2 다운링크 신호(DLS2)를 입력받고, 제3 입력 장치(2000#3)로부터 제3 다운링크 신호(DLS3)를 입력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는 제3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일 수 있고, 제2 및 제3 다운링크 신호(DLS2, DLS3) 각각은 제2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한 신호일 수 있다.
통신 구간(DCP)은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수신하는 제1 다운링크 구간(DLP1), 제2 다운링크 신호(DLS2)를 수신하는 제2 다운링크 구간(DLP2) 및 제3 다운링크 신호(DLS3)를 수신하는 제3 다운링크 구간(DLP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다운링크 신호(DLS1)를 근거로 제1 입력 장치(2000#1)의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제2 다운링크 신호(DLS2)를 근거로 제2 입력 장치(2000#2)의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3 다운링크 신호(DLS3)를 근거로 제3 입력 장치(2000#3)의 제1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다운링크 구간(DLP1, DLP2, DLP3) 각각은 통신 구간(DCP)보다 작은 구간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다운링크 구간(DLP1, DLP2, DLP3)은 시간 상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다운링크 구간(DLP1)이 종료된 이후에 제2 다운링크 구간(DLP2)이 시작되고, 제2 다운링크 구간(DLP2)이 종료된 이후에 제3 다운링크 구간(DLP3)이 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전자 장치(1000)는 펜 감지 프레임들(IF1_1~IF1_4)의 제1 탐색 구간(DTP1) 동안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탐색 신호(ULS1~ILS3)를 출력함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2000#1~2000#3)의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0)는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2000#1~2000#3)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멀티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탐색 구간(DT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가 복수의 탐색 신호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탐색 구간(DTP1) 중 일부 구간 동안 입력 센서(200)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 탐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 탐색 신호는 입력 장치들(2000#1~2000#3)이 전자 장치(1000) 측으로 전송하는 탐색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탐색 구간(DTP1)은 하향 탐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기 구간은 제1 내지 제3 업링크 구간(ULP1~ULP3)과 시간 상으로 중첩하지 않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합 센싱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들이다.
도 3, 도 9,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모드(MD1, 도 7에 도시됨)가 종료된 이후, 제2 모드(MD2)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모드(MD2)가 활성화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모드(MD2)에서 제2 입력을 감지하도록 동작한다. 제2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3000)(예를 들어, 손가락)를 활용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2 모드(MD2)에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입력 감지 프레임 단위로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모드(MD2)에서의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을 핑거 감지 프레임으로 지칭한다. 도 10에서는 3개의 핑거 감지 프레임(IF2_1~IF2_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3개의 핑거 감지 프레임(IF2_1~IF2_3) 각각은 일정한 구간 폭을 갖는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60Hz 내지 480Hz의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컨트롤러(200C)가 60Hz의 주파수로 동작할 경우,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은 대략 16.66ms의 구간 폭을 갖는다. 센서 컨트롤러(200C)가 240Hz의 주파수로 동작할 경우,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은 대략 4.16ms의 구간 폭을 갖는다. 그러나, 센서 컨트롤러(200C)의 동작 주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60Hz 및 240Hz 이외에도 다양한 주파수가 적용 가능하다.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은 통합 센싱 구간(TSP)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센싱 구간(TSP)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통합 신호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신호는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센싱 신호가 통합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탐색 신호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통신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탐색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복수의 탐색 신호는 3 개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통신이 가능한 제1 내지 제3 탐색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탐색 신호(ULS1, ULS2) 각각은 전자 장치(1000)에서 입력 센서(200)를 통해 입력 장치(2000) 측으로 전송되는 상향 탐색 신호이고, 제3 탐색 신호는 입력 장치(2000)에서 전자 장치(1000) 측으로 전송되는 하향 탐색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탐색 신호(ULS1)는 제1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신호이고, 제2 탐색 신호(ULS2)는 제2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신호이며, 제3 탐색 신호는 제3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신호이다. 제1 내지 제3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프로토콜 각각은 마이크로 소프트 펜 프로토콜(Microsoft Pen Protocol: MPP), 와콤 사의 액티브 정전(AES: Active ElctroStatic) 프로토콜, 및 USI(Universal Stylus Initiative) 펜 프로토콜 중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탐색 신호에 포함되는 탐색 신호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탐색 신호는 상기한 프로토콜 이외에 다른 프로토콜로 통신이 가능한 탐색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통합 신호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 및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는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제1 탐색 신호(ULS1)와 센싱 신호(SS)가 통합된 신호이고,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는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제2 탐색 신호(ULS2)와 센싱 신호(SS)가 통합된 신호이다. 센싱 신호(SS)는 제2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3000)를 이용한 제2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입력 센서(200)로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입력 센서(200)는 셀프캡(self-cap) 동작 모드 또는 뮤추얼캡(Mutual-cap)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신호(SS)는 입력 센서(200)를 셀프캡(self-cap)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셀프캡 센싱 신호일 수 있다.
통합 센싱 구간(TSP)은 제1 센싱 구간(SP1) 및 제2 센싱 구간(S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구간(S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고, 제2 센싱 구간(SP2)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한다. 제2 센싱 구간(SP2)은 제1 센싱 구간(SP1)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센싱 구간(SP1)과 제2 센싱 구간(SP2)은 시간 상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제1 센싱 구간(S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여,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면서 동시에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 구간(SP2)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여,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면서 동시에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핑거 감지 프레임 구간 내에서 입력 센서(200)는 셀프캡 동작 모드로 2회 동작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에 대한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통합 센싱 구간(TSP)에 포함되는 센싱 구간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주파수가 360Hz, 480Hz 등과 같이 높아지면, 통합 센싱 구간(TSP)은 하나의 센싱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첫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1)의 통합 센싱 구간(TSP)은 제1 센싱 구간(SP1)을 포함하고, 두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2)의 통합 센싱 구간(TSP)은 제2 센싱 구간(SP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첫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1)의 제1 센싱 구간(SP1) 동안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면서 동시에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두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2)의 제2 센싱 구간(SP2) 동안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면서 동시에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센서 컨트롤러(200C)의 동작 주파수가 감소하면, 통합 센싱 구간(TSP)에 포함되는 센싱 구간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컨트롤러(200C)의 동작 주파수가 60Hz인 경우, 통합 센싱 구간(TSP)은 3개 또는 4개의 센싱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핑거 감지 프레임(IF2_1~IF2_3)의 통합 센싱 구간(TSP)은 동기화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통합 센싱 구간(TSP)은 제1 센싱 구간(SP1)에 선행하는 제1 동기화 구간(SCP1) 및 제2 센싱 구간(SP2)에 선행하는 제2 동기화 구간(S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기화 구간(SCP2)은 제1 센싱 구간(SP1)과 제2 센싱 구간(SP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구간(SC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탐색 신호(ULS1)를 전송하고, 제2 동기화 구간(SCP2)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탐색 신호(ULS2)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탐색 신호(ULS1) 또는 제2 탐색 신호(ULS2)를 통해 입력 장치(2000)와 동기화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동기화 구간(SCP1, SCP2)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동기화 구간(SCP1, SCP2) 이후에,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로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 또는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은 대기 구간(SB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기 구간(SBP)은 제3 탐색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구간일 수 있다. 대기 구간(SBP)은 통합 센싱 구간(TSP)보다 후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모드(MD2)에서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이 통합 센싱 구간(TSP)을 포함함으로써,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모드(MD2)에서도 다양한 프로토콜 타입의 입력 장치들(2000#1~2000#3, 도 8a 내지 도 8c 참조)의 존재 여부를 주기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고속 구동 시에도 제2 입력의 감지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의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는 제1 탐색 신호(ULS1)와 센싱 신호(SS)를 조합하여 생성된 신호이고,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는 제2 탐색 신호(ULS2)와 센싱 신호(SS)를 조합하여 생성된 신호이다. 제1 및 제2 탐색 신호(ULS1, ULS2)는 논리 0과 논리 1로 표현되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센싱 신호(SS)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센싱 신호(SS)는 0V 내지 6V 사이에서 스윙하는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통합 센싱 신호(TTS1, TTS2) 각각은 0V 내지 6V 사이에서 스윙하는 전압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탐색 신호(ULS1)가 0인 경우,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는 센싱 신호(SS)와 동일한 출력 파형 또는 센싱 신호(SS)와 동일한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탐색 신호(ULS1)가 1로 전환되는 시점에,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는 라이징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도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통합 센싱 신호(TTS1, TTS2)는 센싱 신호(SS)보다 소정 시간 지연되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가 생성된 구간이 제1 센싱 구간(SP1)으로 정의되고,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와 제1 탐색 신호(ULS1) 사이의 지연 구간은 제1 동기화 구간(SCP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가 생성된 구간이 제2 센싱 구간(SP2)으로 정의되고,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와 제2 탐색 신호(ULS2) 사이의 지연 구간은 제2 동기화 구간(SCP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동기화 구간(SCP1, SCP2) 동안 제1 및 제2 탐색 신호(ULS1, ULS2)가 각각 입력 센서(200)로 전송됨에 따라, 센서 컨트롤러(200C)와 탐색된 입력 장치(2000)가 제1 또는 제2 탐색 신호(ULS1, ULS2)에 의해 동기화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동기화 구간(SCP1, SPC2) 이후에, 입력 센서(200)로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 또는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가 전송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통합 센싱 신호(TTS1, TTS2)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통합 전송 신호(TTS1, TTS2)의 전압 크기 역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은 통합 센싱 구간(TSPa)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센싱 구간(TSPa)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통합 신호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신호는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하나와 센싱 신호가 통합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통합 신호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는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제1 탐색 신호(ULS1)와 센싱 신호(SS)가 통합된 신호이다.
통합 센싱 구간(TSPa)은 제1 센싱 구간(S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구간(S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한다. 통합 센싱 구간(TSPa)은 제2 탐색 구간(DCP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탐색 구간(DCPa)은 제1 센싱 구간(SP1)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센싱 구간(SP1)과 제2 탐색 구간(DCPa)은 시간 상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제2 탐색 구간(DCPa)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탐색 신호(ULS2)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한다.
제1 센싱 구간(S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여,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면서 동시에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탐색 구간(DCPa)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탐색 신호(ULS2)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여,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할 수 있다. 단, 제2 탐색 구간(DCPa)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없다. 즉, 하나의 핑거 감지 프레임 구간 내에서 입력 센서(200)는 셀프캡 동작 모드로 1회 동작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에 대한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각 핑거 감지 프레임(IF2_1~IF2_3)의 통합 센싱 구간(TSPa)은 동기화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통합 센싱 구간(TSPa)은 제1 센싱 구간(SP1)에 선행하는 제1 동기화 구간(SC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구간(SCP1)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센싱 신호(SS)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센서 컨트롤러(200C)와 입력 센서(200)가 센싱 신호(SS)에 의해 동기화된 이후에, 입력 센서(200)로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은 대기 구간(SB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기 구간(SBP)은 제3 탐색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구간일 수 있다. 대기 구간(SBP)은 통합 센싱 구간(TSPa)보다 후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모드(MD2)가 활성화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모드(MD2)에서 제2 입력을 감지하도록 동작한다. 제2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3000)(예를 들어, 손가락)를 활용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2 입력이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발생한 경우를 멀티 터치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제2 입력이 제1 지점(TP1) 및 제2 지점(TP1)에서 발생한 경우를 멀티 터치의 예시로 도시하였다.
이처럼, 멀티 터치가 발생한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뮤추얼캡(Mutual-cap) 동작 모드로 입력 센서(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세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3)의 통합 센싱 구간(TSP)은 제1 센싱 구간(SP1)을 포함한다. 제1 센싱 구간(SP1)동안 입력 센서(200)는 셀프캡(self-cap)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을 감지한 결과, 멀티 터치로 판별되는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멀티 터치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정확한 좌표값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센서(200)를 뮤추얼캡 동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센서 컨트롤러는 세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3)에서 제2 센싱 구간(SP2) 및 대기 구간(SBP)을 생략하고, 입력 센서(200)를 뮤추얼캡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뮤추얼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세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3)은 통합 센싱 구간(TSP)보다 후행하는 뮤추얼 센싱 구간(MSP)을 포함할 수 있다. 뮤추얼 센싱 구간(MSP)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뮤추얼 센싱 신호를 입력 센서(200)로 제공한다. 따라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셀프캡 센싱 결과와 뮤추얼캡 센싱 결과를 조합하여, 제1 및 제2 지점(TP1, TP2)에 대한 정확한 좌표값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 및 센서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센서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입력 센서(200)에는 감지 영역(200A) 및 비감지 영역(200N)이 정의될 수 있다. 감지 영역(200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영역(200A)은 입력을 감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감지 영역(200A)은 전자 장치(1000, 도 1 참조)의 액티브 영역(AA1, 도 1 참조)과 중첩할 수 있다. 비감지 영역(200N)은 감지 영역(200A)을 에워쌀 수 있다. 비감지 영역(200N)은 전자 장치(1000)의 주변 영역(NAA1, 도 1 참조)과 중첩할 수 있다.
입력 센서(200)는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며, 복수의 전송 전극들(TE)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며, 복수의 수신 전극들(RE)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수신 전극들(RE)은 복수의 전송 전극들(TE)과 절연되게 교차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각각은 바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이 바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경우, 입력 장치(2000, 도 3 참조)를 통해 제공되는 연속된 선형 입력의 감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각각의 형상은 바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메인 컨트롤러(1000C, 도 3 참조)로부터 제어 신호(I-CS)를 수신하고, 메인 컨트롤러(1000C)로 좌표 신호(I-SS)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센서 제어 회로(201C), 신호 생성 회로(202C), 입력 검출 회로(203C), 및 스위칭 회로(204C)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제어 회로(201C), 신호 생성 회로(202C), 및 입력 검출 회로(203C)는 단일의 칩 내에 구현되거나, 센서 제어 회로(201C), 신호 생성 회로(202C), 및 입력 검출 회로(203C) 중 일부와 다른 일부는 서로 다른 칩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 제어 회로(201C)는 신호 생성 회로(202C) 및 스위칭 회로(204C)의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 검출 회로(203C)로부터 수신된 구동 신호로부터 제2 입력의 좌표값을 산출하거나, 입력 검출 회로(203C)로부터 수신된 변조 신호로부터 입력 장치(2000)에서 송신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202C)는 통합 센싱 신호들, 탐색 신호들 또는 뮤추얼 센싱 신호를 입력 센서(200)로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202C)는 제1 모드에서 탐색 신호들을 입력 센서(200)로 출력하고, 제2 모드에서 통합 센싱 신호들, 탐색 신호들 및 뮤추얼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센서(200)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검출 회로(203C)는 입력 센서(200)로부터 수신 신호 또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검출 회로(203C)는 수신 신호 또는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센서 제어 회로(201C)에서 처리 가능한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센서 제어 회로(201C)로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204C)는 센서 제어 회로(201C)의 제어에 따라 입력 센서(200)와 신호 생성 회로(202C) 및/또는 입력 검출 회로(203C)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204C)는 센서 제어 회로(201C)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신호 생성 회로(202C)에 연결시키거나,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각각을 신호 생성 회로(202C)에 연결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위칭 회로(204C)는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중 하나의 그룹 또는 모두를 입력 검출 회로(203C)에 연결시킬 수 있다.
스위칭 회로(204C)는 통합 센싱 구간(TSP, 도 10 참조) 동안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중 하나의 그룹과 신호 생성 회로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센싱 구간(TSP) 동안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및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중 하나의 그룹으로 제1 또는 제2 통합 센싱 신호(TTS1, TTS2, 도 10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뮤추얼 센싱 구간(MSP)에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를 부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회로(204C)는 복수의 전송 전극들(TE) 중 일부와 신호 생성 회로(202C)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뮤추얼 센싱 구간(MSP) 동안 복수의 전송 전극들(TE)은 선택적으로 신호 생성 회로(202C)와 연결된다. 신호 생성 회로(202C)와 연결되는 전송 전극들(TE)의 개수 및 위치는 멀티 터치가 발생된 위치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생성 회로(202C)와 연결된 전송 전극들(TE)을 센싱 전송 전극들(S_TE)로 지칭하고, 신호 생성 회로(202C)와 연결되지 않는 전송 전극들(TE)을 비센싱 전송 전극들(N_TE)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9개의 센싱 전송 전극들(S_TE1~S_TE9)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싱 전송 전극들(S_TE)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 생성 회로(202C)는 센싱 전송 전극들(S_TE1~S_TE9)로 뮤추얼 센싱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204C)는 복수의 수신 전극들(RE) 중 일부와 입력 검출 회로(203C)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뮤추얼 센싱 구간(MSP) 동안 복수의 수신 전극들(RE)은 선택적으로 입력 검출 회로(203C)와 연결된다. 입력 검출 회로(203C)와 연결되는 수신 전극들(RE)의 개수 및 위치는 멀티 터치가 발생된 위치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검출 회로(203C)와 연결된 수신 전극들(RE)을 센싱 수신 전극들(S_RE)로 지칭하고, 입력 검출 회로(203C)와 연결되지 않는 수신 전극들(RE)을 비센싱 수신 전극들(N_RE)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8개의 센싱 수신 전극들(S_RE1~S_RE8)이 선택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싱 수신 전극들(S_RE)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검출 회로(203C)는 센싱 수신 전극들(S_RE1~S_RE8)로부터 수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제어 회로(201C)는 입력 검출 회로(203C)로부터 수신된 구동 신호에 근거하여, 멀티 터치가 발생한 제1 및 제2 지점(TP1, TP2)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모드로의 진입이 결정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먼저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에 대한 센싱을 개시한다(S101). 여기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로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 도 14 참조)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입력 센서(200)로부터 측정된 핑거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커패시턴스 변화량(ΔCf)을 산출하고, 커패시턴스 변화량(ΔCf)과 기 설정된 임계값(ΔCth)을 비교한다(S102). 비교 결과, 커패시턴스 변화량(ΔCf)이 임계값(ΔCth)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S101 단계로 이동하여, 센서 컨트롤러(200C)는 입력 센서(200)로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 도 14 참조)를 전송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량센서 컨트롤러(200C)는 커패시턴스 변화량(ΔCf)이 임계값(ΔCth)보다 큰 경우, 멀티 터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03). 멀티 터치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상기한 커패시턴스 변화량(ΔCf)에 기초하여 제2 입력에 대한 좌표값을 생성한다(S105).
그러나, 멀티 터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뮤추얼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에 대한 센싱을 개시한다(S104). 따라서, 뮤추얼캡 동작 모드에서 입력 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 및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 변화량(ΔCf)에 기초하여 멀티 터치에 대한 좌표값을 생성한다(S105).
이처럼, 고속 구동 시에도 필요에 따라 셀프캡 동작 모드와 뮤추얼캡 동작 모드를 병행하여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입력의 감지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의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제2 모드로의 진입이 결정되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먼저 뮤추얼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에 대한 센싱을 개시할 수 있다(S201). 이 경우,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IF2_3) 각각은 뮤추얼 센싱 구간(MSP)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모드에서 각 핑거 감지 프레임(IF2_1~IF2_3)의 뮤추얼 센싱 구간(MSP) 동안 제2 입력에 대해 센싱을 진행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뮤추얼캡 동작 모드에서 입력 센서(200)로부터 측정된 상호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커패시턴스 변화량(ΔCm)을 산출하고, 커패시턴스 변화량(ΔCm)이 기 설정된 기준 범위(ΔCref_min~ΔCref_max)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02). 비교 결과, 커패시턴스 변화량(ΔCm)이 기준 범위(ΔCref_min~ΔCref_max) 내에 있지 않으면, S204 단계로 이동하여, 제2 입력에 대한 좌표값을 생성한다. 즉, 커패시턴스 변화량(ΔCm)이 기준 범위(ΔCref_min~ΔCref_max) 내에 있지 않는 경우, 센서 컨트롤러(200C)는 뮤추얼캡 동작 모드에서만 제2 입력에 대한 센싱을 실시한다. 도 18에서, 첫번째 및 두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 IF2_2)은 센서 컨트롤러(200C)가 뮤추얼캡 동작 모드에서만 제2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첫번째 및 두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들(IF2_1, IF2_2) 각각은 뮤추얼 센싱 구간(MSP)에 보다 후행하는 복수의 탐색 구간(예를 들어, 제1 및 제2 업링크 구간(ULP1, ULP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입력을 감지하는 핑거 감지 프레임(IF2_1~IF2_3)에서도 입력 장치(2000)의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특히, 제1 업링크 구간(ULP1)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탐색 신호(ULS1)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고, 제2 업링크 구간(ULP2)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탐색 신호(ULS2)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한다. 제1 및 제2 탐색 신호(ULS1, ULS2)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커패시턴스 변화량(ΔCm)이 기준 범위(ΔCref_min~ΔCref_max) 내에 있으면, 센서 컨트롤러(200C)는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에 대한 센싱을 개시한다(S203). 도 18에서, 세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3)은 센서 컨트롤러(200C)가 뮤추얼캡 동작 모드 및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에 대응된다. 세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IF2_3)은 뮤추얼 센싱 구간(MSP) 및 통합 센싱 구간(TSPb)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센싱 구간(TSPb)은 뮤추얼 센싱 구간(MSP)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통합 센싱 구간(TSPb)은 뮤추얼 센싱 구간(MSP)과 시간 상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통합 센싱 구간(TSPb)은 제1 센싱 구간(SPa) 및 제2 센싱 구간(SP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구간(SPa)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고, 제2 센싱 구간(SPb)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한다. 제2 센싱 구간(SPb)은 제1 센싱 구간(SPa)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센싱 구간(SPa)과 제2 센싱 구간(SPb)은 시간 상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제1 센싱 구간(SPㅁ)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1 통합 센싱 신호(TTS1)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여,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면서 동시에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 구간(SPb) 동안 센서 컨트롤러(200C)는 제2 통합 센싱 신호(TTS2)를 입력 센서(200)로 전송하여,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를 탐색하면서 동시에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세번째 핑거 감지 프레임 구간 내에서 입력 센서(200)는 셀프캡 동작 모드로 동작하면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2000)에 대한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센서 컨트롤러(200C)는 뮤추얼캡 동작 모드에서 입력 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셀프캡 동작 모드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입력에 대한 좌표값을 생성한다(S204).
이처럼, 고속 구동 시에도 필요에 따라 셀프캡 동작 모드와 뮤추얼캡 동작 모드를 병행하여 제2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입력의 감지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다양한 타입의 입력 장치들의 접근을 탐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0: 전자 장치 2000: 입력 장치
100: 표시패널 200: 입력 센서
200C: 센서 컨트롤러 1000C: 메인 컨트롤러
ULP1: 제1 업링크 구간 ULP2: 제2 업링크 구간
ULP3: 제3 업링크 구간 ULS1: 제1 탐색 신호
ULS2: 제2 탐색 신호 ULS3: 제3 탐색 신호
MD1: 제1 모드 MD2: 제2 모드
DTP1: 제1 탐색 구간 TSP: 통합 센싱 구간
TTS1: 제1 통합 센싱 신호 TTS2: 제2 통합 센싱 신호
SP1: 제1 센싱 구간 SP2: 제2 센싱 구간
DTPa: 제2 탐색 구간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 센서; 및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1 입력을 상기 입력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과 다른 제2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모드의 제1 입력 감지 프레임은 복수의 탐색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제1 탐색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의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탐색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센싱 신호가 통합된 통합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통합 센싱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탐색 신호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통해 각각 통신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탐색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탐색 신호는,
    제1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제1 탐색 신호; 및
    상기 제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제2 탐색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는,
    상기 제1 탐색 신호와 상기 센싱 신호가 통합된 제1 통합 센싱 신호; 및
    상기 제2 탐색 신호와 상기 센싱 신호가 통합된 제2 통합 센싱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센싱 구간은,
    상기 제1 통합 센싱 신호가 전송되는 제1 센싱 구간; 및
    상기 제2 통합 센싱 신호가 전송되는 제2 센싱 구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센싱 구간은,
    상기 제1 센싱 구간에 선행하고, 제1 동기화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제1 동기화 구간; 및
    상기 제1 및 제2 센싱 구간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동기화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제2 동기화 구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는,
    상기 제1 탐색 신호와 상기 센싱 신호가 통합된 제1 통합 센싱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센싱 구간은,
    상기 제1 통합 센싱 신호가 전송되는 센싱 구간; 및
    상기 제2 탐색 신호가 전송되는 제2 탐색구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센싱 구간은,
    상기 제1 센싱 구간에 선행하고, 제1 동기화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제1 동기화 구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3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제3 탐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구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색 구간은,
    상기 입력 센서로 상기 제1 탐색 신호가 제공되는 제1 업링크 구간; 및
    상기 입력 센서로 상기 제2 탐색 신호가 제공되는 제2 업링크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업링크 구간과 상기 제2 업링크 구간은 시간 상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색 구간은,
    상기 제1 업링크 구간에 후행하고, 상기 제1 탐색 신호에 대한 제1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해 대기하는 제1 응답 구간; 및
    상기 제2 업링크 구간에 후행하고, 상기 제2 탐색 신호에 대한 제2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해 대기하는 제2 응답 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응답 구간은 상기 제2 업링크 구간과 중첩하지 않고, 상기 제2 응답 구간은 상기 제1 업링크 구간과 중첩하지 않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감지 프레임은,
    상기 제1 탐색 구간 이후에 상기 입력 장치들로부터의 상기 제1 입력을 감지하는 통신 구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구간 동안 상기 제1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2 응답 구간 동안 상기 제2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 구간은,
    상기 입력 장치들 중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다운링크 구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구간 동안 상기 제1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2 응답 구간 동안 상기 제2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 구간은,
    상기 입력 장치들 중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다운링크 구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구간 동안 상기 제1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2 응답 구간 동안 상기 제2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 구간은,
    상기 입력 장치들 중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1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제1 다운링크 구간; 및
    상기 입력 장치들 중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2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제2 다운링크 구간 구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구간은 상기 제2 다운링크 구간과 시간 상으로 중첩하지 않는 전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감지 프레임은,
    뮤추얼 센싱 신호가 상기 입력 센서로 제공되는 뮤추얼 센싱 구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센서는,
    제1 센싱 전극들; 및
    상기 제1 센싱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배치된 제2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뮤추얼 센싱 구간동안,
    상기 센싱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센싱 전극들 중 일부로 상기 뮤추얼 센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센싱 전극들 중 일부로부터 상기 뮤추얼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센싱 전극들 및 상기 제2 센싱 전극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통합 센싱 구간동안 상기 선택된 센싱 전극으로 상기 통합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감지 프레임 내에서,
    상기 통합 센싱 구간은 상기 뮤추얼 센싱 구간보다 선행하는 전자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감지 프레임 내에서,
    상기 뮤추얼 센싱 구간은 상기 통합 센싱 구간보다 선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182583A 2020-12-23 2020-12-23 전자 장치 KR20220091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83A KR20220091700A (ko) 2020-12-23 2020-12-23 전자 장치
US17/357,874 US11487383B2 (en) 2020-12-23 2021-06-24 Electronic device
CN202111511812.9A CN114661180A (zh) 2020-12-23 2021-12-07 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83A KR20220091700A (ko) 2020-12-23 2020-12-23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700A true KR20220091700A (ko) 2022-07-01

Family

ID=8202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583A KR20220091700A (ko) 2020-12-23 2020-12-23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87383B2 (ko)
KR (1) KR20220091700A (ko)
CN (1) CN114661180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7448B (zh) 2011-09-13 2018-09-04 祥闳科技股份有限公司 视觉界面系统
WO2018003122A1 (ja) * 2016-07-01 2018-01-04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デュアルスタイラスとデュアルコントローラと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及びデュアルスタイラス
KR102371154B1 (ko) 2017-09-29 2022-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터치 회로, 펜, 터치 시스템 및 멀티 펜 센싱 방법
KR102457993B1 (ko) 2017-12-12 2022-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터치시스템, 터치회로, 펜 및 펜 센싱방법
KR102410015B1 (ko) 2017-12-27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의 동작방법
KR102601347B1 (ko) 2018-12-28 202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터치센싱회로
US11347345B2 (en) * 2019-12-30 2022-05-31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touch circuit, and pen sensing method for sensing various types of p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7465A1 (en) 2022-06-23
US11487383B2 (en) 2022-11-01
CN114661180A (zh)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7619B2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08998A (ko) 표시장치
KR20220080773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543907B2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3642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사 방법
KR20210156916A (ko) 전자 장치
US11573659B2 (e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etect input
US11650693B2 (en) Display device sensing simultaneous inputs from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KR20220091700A (ko) 전자 장치
KR20220062191A (ko) 전자 장치
KR20220043964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US20230214030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846966B2 (en) Electronic device
US20240094849A1 (en) Electronic device
US11747922B2 (en) Input device driving method and interface device using the same
US1177096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uplink signal to first area in a first mode
US11899866B2 (en) Display device
US202304091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terfac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616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terfac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20432B2 (en) Input device and interfac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1181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20062194A (ko) 표시 장치
CN116048297A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