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290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290A
KR20220091290A KR1020200182651A KR20200182651A KR20220091290A KR 20220091290 A KR20220091290 A KR 20220091290A KR 1020200182651 A KR1020200182651 A KR 1020200182651A KR 20200182651 A KR20200182651 A KR 20200182651A KR 20220091290 A KR20220091290 A KR 20220091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onnector
board
wir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8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290A/ko
Publication of KR2022009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된 퓨즈; 및 상기 퓨즈가 체결되는 퓨즈 커넥터가 실장되고, 상기 퓨즈 및 퓨즈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양극 및 음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져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대용량의 에너지 저장원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배터리 팩은, 고출력을 얻기 위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cell)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한다.
배터리 셀과 인쇄 회로 간의 전기적 연결은, 배터리 셀과 연결된 와이어에 구비된 터미널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에 삽입됨으로써 이뤄짐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 팩은 PCB에 퓨즈가 실장되어 있으므로 퓨즈에 문제가 발생하면 PCB 전체를 교환해야 하며, 다수의 퓨즈가 실장되기 위해 PCB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컴팩트한 기판을 가지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된 퓨즈; 및 상기 퓨즈가 체결되는 퓨즈 커넥터가 실장되고, 상기 퓨즈 및 퓨즈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커넥터는, 상기 퓨즈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인쇄된 배선과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의 함몰 방향은 상기 퓨즈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퓨즈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한 이너부; 및 상기 삽입홈의 외부에 위치한 아우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부의 길이는 상기 아우터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우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기판과 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커넥터는, 상기 퓨즈가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홈이 형성된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인쇄된 배선과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홈의 폭은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와이어;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퓨즈; 및 상기 퓨즈가 체결되는 퓨즈 커넥터가 실장되고, 상기 퓨즈 및 퓨즈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퓨즈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일 가장자리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퓨즈에 의해 와이어와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기판에 별도의 퓨즈를 실장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기판이 컴팩트해지고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 퓨즈가 고장나거나 단선되더라도 상기 일 퓨즈가 결합된 와이어만을 교체하면 되고 기판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배터리 팩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교체 비용을 절감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퓨즈 커넥터는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실장될 수 있다. 이로써 퓨즈와 퓨즈 커넥터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퓨즈 커넥터에 퓨즈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경우, 퓨즈 커넥터의 삽입홈 내에 위치한 퓨즈의 이너부의 길이는, 삽입홈의 외부에 위치한 퓨즈의 아우터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이로써, 퓨즈가 퓨즈 커넥터에 신뢰성있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퓨즈의 아우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기판의 일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기판과 논 오버랩될 수 있다. 이로써 퓨즈가 퓨즈 커넥터의 삽입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퓨즈 커넥터에 퓨즈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경우, 퓨즈 커넥터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홈의 폭은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이로써, 퓨즈가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은,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기판일 수 있다. 이로써, 배터리 팩에 별도의 보호회로 모듈(PCM, Protection Circuit Module)이 구비되지 않아, 배터리 팩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퓨즈 커넥터는, 기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퓨즈가 복수개의 퓨즈 커넥터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기판 간 연결이 모식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퓨즈 커넥터에 퓨즈가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 커넥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셀 어셈블리(100)와, 하우징(200)과, 기판(300)과, 외부 커넥터(400)와, 하우징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어셈블리(100)는, 다수의 단위 배터리 셀(110)(이하, '배터리 셀') 및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200)이 흔들리지 않도록 기설정된 위치에 홀딩시키는 카트리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배터리 셀(110)은 카트리지(120)에 의해 서로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배터리 셀(100)은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될 수 있고, 이로써 고전압 및/또는 고용량의 에너지 저장원을 구현할 수 있다.
각 배터리 셀(110)은, 양극판, 분리막 및 음극판을 갖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에서 돌출된 다수의 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배터리 셀(110)에는 상기 다수의 탭에 접속된 전극 리드(111)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배터리 셀(110)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110)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배터리 팩(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은 대략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배터리 팩(10)을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시켜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각 배터리 팩(10)을 핸들링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기판(300)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300)은 셀 어셈블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300)은 셀 어셈블리(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판(300)은 배터리 셀(11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기판일 수 있다. 따라서, 기판(300)은 각 배터리 셀(100)의 온도, 전류 및 전압값을 감지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기판(300)은 하우징(200)의 일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후술할 하우징 커버(500)는 하우징(200)의 상기 일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기판(300)을 커버할 수 있다. 즉, 기판(300)은 하우징 커버(5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외부 커넥터(400)는, 셀 어셈블리(100)의 방전시에 셀 어셈블리(100)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고, 셀 어셈블리(100)의 충전시에 셀 어셈블리(100)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외부 커넥터(400)는 배터리 팩(10)을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모터)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외부 커넥터(400)는 하우징 커버(5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 커넥터(400)에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플러그 등의 접속 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커넥터(400)는 기판(300)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300)은 외부 커넥터(400)와 셀 어셈블리(100) 간 전기적 연결을 중간에서 관리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500)는 하우징(200)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500)는 하우징(200)과 함께 배터리 팩(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500)는 배터리 팩(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500)에는 외부 커넥터(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 연결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커넥터(400)의 적어도 일부는 커넥터 연결홀(5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500)에는 센서나 통신 포트 등이 외부 케이블과 접속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기판 간 연결이 모식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퓨즈 커넥터에 퓨즈가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120)와, 상기 와이어(120)의 단부에 결합된 퓨즈(1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20)는 전선, 라인, 케이블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와이어(120)는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에 접속되거나, 전극 리드(111)에 접속된 버스바(미도시) 등과 같은 타 통전 부재를 통해 배터리 셀(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와이어(12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0)에 대응되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각 와이어(120)는 각 배터리 셀(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퓨즈(130)는 와이어(12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복수개의 와이어(120) 각각의 단부에는 퓨즈(1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퓨즈(130)는 통형 퓨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상세히, 퓨즈(130)는 관 형태의 절연 케이스(131)와, 상기 절연 케이스(131)의 내부에 위치하며 와이어(120)와 퓨즈 커넥터(3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엘리먼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어셈블리(100)에서 쇼트 등이 발생하여 와이어(120)에 과전류가 흐르면 상기 엘리먼트(131)는 단선되어 상기 과전류가 기판(300) 및 외부 장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퓨즈(130)의 직경이나 폭은, 와이어(1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기판(200)에는 퓨즈(130)가 체결되는 퓨즈 커넥터(310)가 실장될 수 있다. 퓨즈 커넥터(310)는 표면 실장 소자(SMD, Surface Mount Device)일 수 있다. 퓨즈(130)는 기판(300)에 실장된 퓨즈 커넥터(310)와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와이어(120)가 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퓨즈 커넥터(310)는 기판(300)의 가장자리(302)에 인접하게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20)가 기판(300)과 간섭하지 않고 퓨즈(130)와 퓨즈 커넥터(310) 간 체결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퓨즈 커넥터(310)는, 복수개의 와이어(120)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퓨즈(130)가 체결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퓨즈 커넥터(310)는 기판(300)의 가장자리(302)를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퓨즈 커넥터(310)는 기판(300)의 일면에 인쇄된 배선(301)과 연결되도록 기판(300)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선(301)은 기판(300)상에 소정의 패턴으로서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퓨즈(130)가 퓨즈 커넥터(310)에 체결되면 배터리 셀(110)은 기판(300)의 배선(301)을 통해 외부 커넥터(400)(도 2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퓨즈 커넥터(310)는 퓨즈(130)가 체결되는 커넥터 본체(311)와, 커넥터 본체(311)에서 돌출되어 기판(300)에 결합되는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본체(311)에는 퓨즈(130)가 삽입되는 삽입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313)은 퓨즈(1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130)가 기판(300)의 일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경우, 삽입홈(313)의 함몰 방향은 기판(300)의 일 면과 나란할 수 있다.
다만, 퓨즈(130)가 기판(300)의 일 면과 직교하거나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삽입홈(313)의 함몰 방향은 기판(300)의 일 면과 나란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커넥터 본체(311)에는 삽입홈(313)에 삽입된 퓨즈(130)를 고정시키는 후크 등의 고정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313)에 삽입된 상태의 퓨즈(130)는, 삽입홈(313)의 내부에 위치한 이너부(130a)와, 삽입홈(313)의 외부에 위치한 아우터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부(130a)의 길이는 아우터부(130b)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즉, 퓨즈(130)의 절반 이상이 삽입홈(31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퓨즈(130)와 퓨즈 커넥터(310)가 신뢰성있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퓨즈(130) 전체가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퓨즈 커넥터(310)는 기판(300)의 가장자리(302)에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퓨즈(130)의 아우터부(130b)는 기판(300)의 일면과 직교하는 방향(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대해 기판(300)과 논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퓨즈(130)가 삽입홈(313)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결합부(312)는 커넥터 본체(311)의 하단부에서 기판(300)의 일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또는 확장될 수 있다. 결합부(312)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기판(3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12)는 기판(300)의 일 면에 인쇄된 배선(30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와이어(120) 및 퓨즈(130)를 통해 배터리 셀(110)이 기판(300)에 연결되므로, 기판(300)에는 별도의 퓨즈(130)를 실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판(300)의 크기가 컴팩트해지고 기판(300)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에 별도의 보호회로 모듈(PCM, Protection Circuit Module)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 팩(10)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 커넥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퓨즈 커넥터(310')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원용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퓨즈 커넥터(310')의 커넥터 본체(311')에는 퓨즈(130)가 수용되는 수용홈(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14)은 기판(300)의 일 면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즉, 수용홈(314)의 함몰 방향은 퓨즈(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거나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311')에는 상기 수용홈(314)과 연통되고 와이어(120)가 통과하는 와이어 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홈(315)은 와이어(120)는 통과하고 퓨즈(130)는 통과하지 않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와이어 홈(315)의 폭은 수용홈(314)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이로써 퓨즈(130)가 수용홈(314)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배터리 셀 120: 와이어
130: 퓨즈 300: 기판
301: 배선 310: 퓨즈 커넥터
311: 커넥터 본체 312: 결합부
313: 삽입홈 314: 수용홈
315: 와이어 홈

Claims (11)

  1.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된 퓨즈; 및
    상기 퓨즈가 체결되는 퓨즈 커넥터가 실장되고, 상기 퓨즈 및 퓨즈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실장된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커넥터는,
    상기 퓨즈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인쇄된 배선과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함몰 방향은 상기 퓨즈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배터리 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한 이너부; 및
    상기 삽입홈의 외부에 위치한 아우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부의 길이는 상기 아우터부의 길이 이상인 배터리 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상기 기판과 논 오버랩되는 배터리 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커넥터는,
    상기 퓨즈가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홈이 형성된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인쇄된 배선과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홈의 폭은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좁은 배터리 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기판인 배터리 팩.
  10.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와이어;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퓨즈; 및
    상기 퓨즈가 체결되는 퓨즈 커넥터가 실장되고, 상기 퓨즈 및 퓨즈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퓨즈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일렬로 정렬된 배터리 팩.
KR1020200182651A 2020-12-23 2020-12-23 배터리 팩 KR20220091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651A KR20220091290A (ko) 2020-12-23 2020-12-23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651A KR20220091290A (ko) 2020-12-23 2020-12-23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90A true KR20220091290A (ko) 2022-06-30

Family

ID=8221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651A KR20220091290A (ko) 2020-12-23 2020-12-23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2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8469B1 (en) Battery pack
KR100863729B1 (ko) 전지모듈 인터페이스
CN107925032B (zh)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及包括电池组的车辆
CN108780860B (zh) 用于车辆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US20220037707A1 (en) Battery Pack and Holder
EP3579297A1 (en) Cell pack
CN112470335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102093943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7453465B2 (ja) コネクタの効率的なレイアウトのためのバスバーフレームを備えた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パック
US20240030568A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Assembly Structure Of Voltage Sensing Component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KR20220091290A (ko) 배터리 팩
EP4030515A1 (en) Battery module
CN116114104A (zh) 电池模块、电池组和电力存储装置
KR102564496B1 (ko)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팩 및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JP2022545413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101817238B1 (ko) 배터리 팩
JP7367021B2 (ja) コネクター、バッテリー管理ユニット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107220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111767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2023511215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230164598A (ko) 전지 모듈
KR20230012355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14049654A1 (ja) コネクタ、電池ブロッ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