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824A -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824A
KR20220090824A KR1020200181720A KR20200181720A KR20220090824A KR 20220090824 A KR20220090824 A KR 20220090824A KR 1020200181720 A KR1020200181720 A KR 1020200181720A KR 20200181720 A KR20200181720 A KR 20200181720A KR 20220090824 A KR20220090824 A KR 2022009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air
indoor
mode
w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방성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0018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824A/ko
Publication of KR2022009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24F1/003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in combination with simultaneous exhaustion of in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풍을 공급하면서도 환기가 가능한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실시예에서, 실내 공기를 흡입 후 가열부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 수행 단계; 온풍 모드 수행 단계 중 실내 공기질을 평가하는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 및 공기질 평가 결과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일부의 외기를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with warming mode and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서 실내로 가열부를 통과시킨 공기를 제공하는 온풍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도 있다.
하지만, 온풍이 가능한 경우에 실내공기를 연속적으로 재순환하기 때문에 미세먼지를 제외한 실내공기질이 악화될 수 있으며, 환기로 전환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어 사용자에게 불만족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풍을 공급하면서도 환기가 가능한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제품 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온풍을 공급하면서도 환기가 가능한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 및 제3공기유로를 구비하는 본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 상기 수분을 배출하는 제습로터; 상기 제2공기유로 및 제3공기유로와 연계되며, 복수의 건채널과 복수의 습채널이 교대로 반복 배치되며 주수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냉각기;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제습로터 전에 배치되는 가열부; 외부와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가열부 전을 연결하는 공급관; 상기 제 1 내지 제3공기유로 상에 설치된 팬 및 상기 제습로터 및 증발냉각기에 연결되며, 복수의 모드를 가지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질 정보를 획득하는 에어 모니터;를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동작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가열부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 수행 중 상기 에어 모니터에서 얻어진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본체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고, 실내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와 혼합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실내 공기질 수치는 CO2 수치와 TVOC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와 혼합된 공기를 상기 가열부를 통하여 가열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 공기와 외기의 혼합시 결로가 발생되는 지를 점검하고,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만 실내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실내 공기를 흡입 후 가열부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 수행 단계; 온풍 모드 수행 단계 중 실내 공기질을 평가하는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 및 공기질 평가 결과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일부의 외기를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실내 공기질 수치는 CO2 수치와 TVOC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에서 공기질 평가 결과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외기가 혼합될 경우에 결로가 발생되는 지를 점검하는 결로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는 상기 결로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상기 결로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로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환기 단계 후에 수행되며, 실내 공기질 수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추가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에서 실내 공기질 수치가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다시 온풍 모드 수행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온풍을 공급하면서도 환기가 가능한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제품 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온풍을 공급하면서도 환기가 가능한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온풍 모드 동작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온풍 환기 모드 동작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온풍 환기 모드에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른 온풍 환기 모드에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와의 연결은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한 직접적 연결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하여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2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모드 별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1)는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프레임 부재에 해당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111),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112)와 제3유입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유입구(113)는 외기댐퍼(26)와 마주하는 구조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가 설치 공간을 향하여 열려있다. 이때, 외기댐퍼(26)는 전동 루버일 수 있다. 배출구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1),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일단이 제3유입구(113)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배출구(121)와 연결되는 제1공기유로(131), 일단이 제2유입구(112)와 연결되고 타단이 추후 설명하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과 연결되는 제2공기유로(132), 일단이 증발냉각기(200)의 타측 하부영역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배출구(122)와 연결되는 제3공기유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111)에는 실내와 연결되는 제1공급관(11)이 연결되고, 제2유입구(112)에는 실내와 연결되는 제2공급관(1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급관(12)은 실외와 연결되는 제3공급관(1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111)와 제2유입구(112) 및 제3유입구(113)에는 각각 프리필터(141, 142, 143)가 장착될 수 있고,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는 집진필터(144)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유로(131)에는 제3유입구(113)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유입시키고 제1배출구(121)로 배출시키기 위한 재생송풍기(151) 및 제3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수단은 추후 설명하는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 및 내부에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배관을 구비하는 가열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유로(132)에는 제2유입구(112)를 통해 실내공기과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유입시키고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송풍기(1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습로터(160)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가열부로서 난방 코일(330)이 제2공기유로(13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공기유로(133)에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서 제2배출구(122)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추기송풍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급관(11)에는 제1댐퍼(21)가 구비되고, 제2공급관(12)의 내부에는 제2댐퍼(22)가 구비되며, 제3공급관(13)이 제2공급관(12)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3댐퍼(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공기유로(133)의 제2배출구(122) 측에는 제4댐퍼(24)가 구비되고, 제1공기유로(131)의 제1배출구(121) 측에는 제5댐퍼(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댐퍼(21)는 실내공기의 설치공간으로 공급을 허용 혹은 차단하므로, 설치공간 댐퍼라고 부를 수도 있으며, 제1공급관(1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제1유입구(111)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댐퍼(21)는 본체(100)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댐퍼(21)는 제1공급관(11) 통하여 공급되는 실내 공기의 설치공간으로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제1댐퍼(21)가 열리면, 실내 공기는 설치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본체(100) 내에 배치되는 제습로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로터(160)는 제1공기유로(131) 상에 구비된 재생영역(161)과 제2공기유로(132) 상에 구비된 제습영역(162)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제2공기유로(132)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착하고, 흡착된 수분을 제1공기유로(131)를 유동하는 공기로 방출할 수 있다. 제습로터(160)에는 내부에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증발냉각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증발냉각기(200)는 냉각기본체(210)와, 냉각기본체(210)에 물(W)을 분무하기 위한 주수장치(220)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기본체(210)는 열교환부(211)와 상부유로가이드부(212) 및 하부유로가이드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부(211)의 내부에는, 복수의 건채널과 습채널이 격판에 의해 격리되어 구획되며 전후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습채널을 경유하는 제1공기에 주수된 물(W)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건채널을 경유하는 제2공기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공기는 실내측 환기를 통해 실내로부터 유입되어 실외측 배기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일 수 있다. 그리고, 냉각 대상이 되는 제2공기는 제2공기유로(132)를 따라서 유동하며 제습영역(162)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실내공기 와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실내측 급기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유로가이드부(212)는 습채널로 유입되는 제1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건채널을 통과한 제2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하부유로가이드부(213)는 건채널로 유입되는 제2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습채널을 통과한 제1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1공기는 상부유로가이드부(212) 상부의 제1유입구(111)를 통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부(211)의 습채널을 경유하여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일측부를 통해 제3공기유로(133)를 따라서 유동하여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동시에, 제2공기는 제2유입구(112)를 통해 제2공기유로(132) 안으로 유입되어 제습로터(160)의 제습영역(162)을 통과한 후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서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타측부를 통해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11)의 건채널을 경유하여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일측부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관(14)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실외공기는 제3유입구(113)를 통해 제1공기유로(131) 안으로 유입되어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 또는 가열기(170)에 의해 가열된 후 제습로터(160)의 재생영역(161)을 통과하여 제습로터(160)를 재생시키고 제1배출구(121)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가열기(170)는 난방수를 사용하는 온수코일일 수 있다.
주수장치(220)는 증발냉각기(200)의 상측에서 습채널로 물(W)을 분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라인(222)을 따라서 물(W) 또는 직수가 냉각기본체(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주수장치(220)로 공급되면, 주수장치(2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분사노즐(221)을 통해 물(W)을 분무수로 생성하여 상향으로 분무할 수 있다. 공급라인(222)에는 직수밸브(223)와 배수밸브(2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분사노즐(221)을 통해 미세 크기의 분무수로 생성되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상측 공간으로 분무되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와 열교환부(211)의 습채널 및 하부유로가이드부(213)를 통과하며 흘러내리는 증발수는 냉각기본체(210)의 하부에 모여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히트펌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펌프(300)는 냉매가 냉매라인(미도시)을 따라 순환하며 증발기(310)에서 증발하여 증발냉각기(200)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추가로 냉각시키고 응축기(320)로 들어가 흡수한 열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트펌프(300)의 증발기(310)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는 가열수단으로서 제1공기유로(131)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제습로터(160)를 재생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본체의 송풍기(151, 152, 153), 히트펌프(300), 주수장치(200), 댐퍼(21, 22, 23, 24)등 동작 가능한 구성에 연결되며, 실내에 배치되는 에어 모니터(410)에도 연결된다. 에어 모니터(410)는 온도 센서, TVOC 센서, CO2 센서, 습도 센서 등 공기질 관련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본체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에어 모니터(410)의 공기 정보에 따라서 자동으로 본체의 구성을 제어한다. 제어부(400) 미리 설정된 복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 흐름 방향, 각 구성의 동작에 의해서 다양한 모드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400)는 다양한 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지만, 도 1 에는 온풍 모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 모드에서 제어부(400)는 상기 제1댐퍼(21)를 폐쇄, 상기 제2댐퍼(22)를 개방, 상기 제3댐퍼(23)를 폐쇄, 상기 제4댐퍼(24)를 폐쇄하며, 제습송풍기(152)를 통하여 실내 공기는 제2공기유로(132)로 공급하며, 실외 공기의 유입은 차단하며, 가열부(330)를 동작시켜, 제2공기유로(132)를 지나가는 공기를 가열한 후 실내로 다시 공급한다. 제습로터(160)는 동작하지 않으며, 제1공기유로(131)는 폐쇄된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온풍 모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실내 공기의 유입 없이 공기가 가열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이 나빠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실내 공기질은 에어 모니터(410)에 포함된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며,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예를 들어, CO2 수치 혹은 TVOC 수치가 각자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본 발명은 온풍 모드를 온풍 환기 모드로 변환하여 수행한다.
도 2 에는 온풍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보이듯이, 제어부(400)는 온풍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외기 댐퍼(26)는 폐쇄하며, 상기 제1댐퍼(21)를 폐쇄, 상기 제2댐퍼(22)를 개방, 상기 제3댐퍼(23)를 개방, 상기 제4댐퍼(24)를 개방하며, 상기 가열부(330)는 동작, 제습로터(160)는 정지시키며, 제습송풍기(152)를 통하여 실내 공기는 제2공기유로(132)와 제3공기유로(133)로, 실내 공기에서 제3공기유로(133)로 가는 만큼의 외부 공기를 제2공기유로(132)로 공급한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추기송풍기(153)에 의해서 제3공기유로(1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실내 공기의 나머지는 제3공급관(13)을 통하여 들어오는 외기와 A 영역에서 합류한 후 가열부(330), 증발냉각기(200)를 거쳐 실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풍 환기 모드의 경우에 추기송풍기(153)와 제습송풍기(152)의 조절에 의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면적으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일부의 외기가 혼합되어 다시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가열부(330)가 합류하는 영역 후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내 온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환기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실내의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에는 온풍 모드에서 온풍 환기 모드로 전환되는 제어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실내 공기를 흡입 후 가열부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 수행 단계(S100); 온풍 모드 수행 단계(S100) 중 실내 공기질을 평가하는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10); 및 공기질 평가 결과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일부의 외기를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를 포함한다.
온풍 모드 수행 단계(S100)는 상기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송풍기(152)를 동작시켜 제2공기유로(132)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며, 순환시키는 도중에 가열부(330) 통과시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10)는 제어부(400)에 연결된 에어 모니터(410)를 통하여 실내 공기질 수치를 받은 후, 실내 공기질 수치를 기준치와 대비하여 실내 공기질을 평가하는 단계이다. 실내 공기질 수치는 CO2 수치 혹은 TVOC수치 일 수 있으며, 기준치는 미리 설정된다.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 이하(S110의 아니오)인 경우에는 온풍 모드 수행 단계(S100)가 다시 수행되며,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 초과인 경우(S110의 예)에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가 수행된다.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는 상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기유로(132)와 제3공기유로(133)로 실내 공기를 제공하고, 제3공급관(13)을 통하여 외기를 유입시킨 후 제2공기유로(132)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와 제3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를 혼합시킨 후 가열부(330)를 통과시켜 온도를 상승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한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일부가 외기로 교체되어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환기 모드 대비 올릴 수 있어서, 실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도 4 에는 온풍 모드에서 온풍 환기 모드로 전환되는 다른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실내 공기를 흡입 후 가열부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 수행 단계(S100); 온풍 모드 수행 단계(S100) 중 실내 공기질을 평가하는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10); 및 공기질 평가 결과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일부의 외기를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를 포함한다.
다만, 도 4 의 실시예의 경우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10)에서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S110의 예)라도 바로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가 수행되지 않고, 실내 공기와 외기가 혼합할 때 결로 발생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결로 판단 단계(S130)가 수행되고, 상기 결로 판단 단계(S130)에서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30의 예)에만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가 수행된다.
또한, 일실시예는 결로 판단 단계(S130)에서 결로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온풍 환기 모드가 아닌 환기를 수행하는 환기 단계(S140); 환기 수행 단계(S140) 수행 후에 실내 공기질이 개선되었는 지를 평가하는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50);를 포함한다.
온풍 모드 수행 단계(S100),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10),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의 경우 도 3 의 제어 순서도에도 개시되어 있으며,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로 판단 단계(S130)는 상기 도 2 에서 도시된 A 영역, 즉 외기와 실내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에서의 온도(T_A)와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RA)의 이슬점(RA_dew)을 대비하며, 온도(T_A)가 이슬점 온도(RA_dew)보다 높은 경우(S130의 예)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S120)가 수행되며, 온도(T_A)가 이슬점 온도(RA_dew)와 같거나 낮은 경우(S130의 아니오)에는 온풍 환기가 아닌 환기가 수행된다.
환기 단계(S140)는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예를 들면 도 1 의 공기조화기(1)에서 외기댐퍼(26)를 폐쇄하고, 상기 제1댐퍼(21)를 개방, 상기 제2댐퍼(22)를 폐쇄, 상기 제3댐퍼(23)를 개방, 상기 제4댐퍼(24)를 폐쇄하며, 재생송풍기(151)과 제습송풍기(152)를 가동한다. 본체(100)의 제1 및 제2공기유로(131, 132)를 사용하며, 제3공기유로(133)는 사용하지 않는다.
환기 단계(S140)가 수행된 후 제어부(400)는 에어 모니터(410)를 통하여 실내 공기질이 개선되는지를 모니터링 하며,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50)이 다시 수행된다.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S150)에서 측정된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넘으면(S150의 예) 환기 단계(S140)가 계속 수행되며,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면(S150의 아니오) 다시 온풍 모드로 복귀한다.
도 4 의 제어 방법의 경우에 공기조화기(1) 내에서 실내 공기와 외기를 혼합할 때 결로가 발생될 수 있는 지를 점검하고,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만 온풍 환기를 수행하는 것을 통하여 결로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1) 내부가 물로 인하여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공기조화기 11: 제1공급관
12: 제2공급관 13: 제3공급관
14: 급기관 100: 본체
111: 제1유입구 112: 제2유입구
113: 제3유입구 120: 배출구
121: 제1배출구 122: 제2배출구
131: 제1공기유로 132: 제2공기유로
133: 제3공기유로 141, 142, 143: 프리필터
144: 집진필터 151: 재생송풍기
152: 제습송풍기 153: 추기송풍기
160: 제습로터 161: 재생영역
162: 제습영역 200: 증발냉각기
210: 냉각기본체 211: 열교환부
212: 상부유로가이드부 213: 하부유로가이드부
220: 주수장치 221: 분사노즐
222: 공급라인 223: 직수밸브
224: 배수밸브 300: 히트펌프
310: 증발기 320: 응축기
330: 가열부

Claims (9)

  1.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와 제2공기유로 및 제3공기유로를 구비하는 본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 상기 수분을 배출하는 제습로터;
    상기 제2공기유로 및 제3공기유로와 연계되며, 복수의 건채널과 복수의 습채널이 교대로 반복 배치되며 주수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냉각기;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제습로터 전에 배치되는 가열부;
    외부와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가열부 전을 연결하는 공급관;
    상기 제 1 내지 제3공기유로 상에 설치된 팬 및 상기 제습로터 및 증발냉각기에 연결되며, 복수의 모드를 가지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질 정보를 획득하는 에어 모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가 동작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가열부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 수행 중 상기 에어 모니터에서 얻어진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본체로 흡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고, 실내 공기의 나머지는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와 혼합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수치는 CO2 수치와 TVOC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와 혼합된 공기를 상기 가열부를 통하여 가열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 공기와 외기의 혼합시 결로가 발생되는 지를 점검하고,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만 실내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5. 실내 공기를 흡입 후 가열부를 통과시킨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모드 수행 단계;
    온풍 모드 수행 단계 중 실내 공기질을 평가하는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 및
    공기질 평가 결과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일부의 외기를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온풍 환기 모드를 수행하는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수치는 CO2 수치와 TVOC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에서 공기질 평가 결과 실내 공기질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되며, 일부의 실내 공기와 외기가 혼합될 경우에 결로가 발생되는 지를 점검하는 결로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환기 모드 수행 단계는 상기 결로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상기 결로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로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단계 후에 수행되며, 실내 공기질 수치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추가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실내 공기질 평가 단계에서 실내 공기질 수치가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다시 온풍 모드 수행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181720A 2020-12-23 2020-12-23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KR20220090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720A KR20220090824A (ko) 2020-12-23 2020-12-23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720A KR20220090824A (ko) 2020-12-23 2020-12-23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824A true KR20220090824A (ko) 2022-06-30

Family

ID=8221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720A KR20220090824A (ko) 2020-12-23 2020-12-23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08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KR20160006274A (ko) 양흡입 제가습장치
KR2017007996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US20190063777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84729A (ko) 차량용 에어컨 습기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420873B1 (ko) 공기 조화 장치
JP7148808B2 (ja) 空調システム
KR20220090824A (ko) 온풍 모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JP3980215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4251004B2 (ja) 調湿装置
KR102190905B1 (ko) 공기 조화기
CN111043676A (zh) 一种新风除湿空调器和新风除湿方法
JP3432907B2 (ja) 空気調和装置
JP2558552B2 (ja) 換気空調設備
KR20220090825A (ko) 운전 중 퍼지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CN113623758A (zh)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90760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KR10136266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H0718570B2 (ja) 空気浄化換気空調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式
KR101105953B1 (ko) 정온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JP2020159595A (ja) 調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CN113405210B (zh) 用于调湿机的控制方法、装置及调湿机
KR102506254B1 (ko) 공기청정기능 및 환기기능을 구현하는 냉방제습기
KR100889128B1 (ko) 공기 조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