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431A -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431A
KR20220090431A KR1020210179103A KR20210179103A KR20220090431A KR 20220090431 A KR20220090431 A KR 20220090431A KR 1020210179103 A KR1020210179103 A KR 1020210179103A KR 20210179103 A KR20210179103 A KR 20210179103A KR 20220090431 A KR20220090431 A KR 20220090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ethyl
methanone
phenyl
trifluoro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율
김원정
김지숙
김민정
박원기
안영길
배인환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9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43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86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39/94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07D491/048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the oxygen-containing ring being five-membe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OS1의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에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NOVEL QUINAZOLINE DERIVATIVES AS SOS1 INHIBITOR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SOS1의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활성을 갖는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RAS 패밀리 단백질은 사람 암의 20 ~ 30%에서 발견되며, KRAS(커스틴 래트 육종 바이러스 종양 유전자 동족체), NRAS(신경모세포종 RAS 바이러스 종양 유전자 동족체) 및 HRAS(하비 뮤린 육종 바이러스 종양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S는 유사 분열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활성화로 이어지는 RAF / MEK / ERK 경로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티드 3-키나아제(phosphatidylinositide 3-kinase, PI3K)를 거치는 PI3K/Akt/mTOR 경로 등을 통해 세포 증식을 조절하며, RAS 패밀리 단백질에서 암 관련 돌연변이의 경우 고유한 GAP 유발 GTP 분해 효소(GTPase) 활성을 억제하여 GTP-결합/활성 RAS 패밀리 단백질의 집단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RAS 단백질은 분자적 스위치 역할을 하는데, GTP 및 GDP는 세포에서 활성(GTP 결합) 및 비활성(GDP 결합) 상태로 존재한다. 활성화된 GTP에 결합한 RAS는 동족 RAS-결합 도메인(RBD)의 결합에 의해 다른 단백질을 모집하여 이펙터 단백질을 활성화한 후, 다양한 기능의 다운 스트림 신호를 발생시킨다. RAS의 활성 상태는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교환 인자(GEF)와 GTPase 활성화 단백질(GAP)에 의해 조절된다. NF1과 같은 GTPase 활성화 단백질 (GAP)의 결합은 RAS 패밀리 단백질의 GTPase 활성을 증가시킨다.
SOS1(Son of Sevenless 1)과 같은 구아닌 뉴클레오티드 교환 인자(GEF)의 결합은 RAS 패밀리 단백질로부터 GDP 방출을 촉진하여 RAS 패밀리 단백질이 GTP와 결합하여 활성화될 수 있게 한다. Son of Sevenless(SOS) 단백질은 두 가지 동형인 SOS1, SOS2 상태로 존재하며, SOS1만이 ERK에 의해 인산화된다. SOS1의 성장 인자 유도 인산화는 대부분 ERK에 의해 매개되며, 이는 SOS1의 C-말단 영역에서 적어도 4개의 세린 잔기를 인산화한다. 이것은 SOS1이 KRAS 경로의 negative 피드백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SOS1 단백질은 1333개의 아미노산(150 kDa)으로 구성되어 있다. SOS1은 2개의 탠덤 N-말단 히스톤 도메인(HD)에 이어진 Dbl 상동성 도메인(DH), 플렉스트린 상동성 도메인(PH), 나선형 링커(HL), RAS 교환 모티프(REM), CDC25 상동성 도메인 및 C-말단 프롤린 풍부 도메인 (PR)을 가지는 다중 도메인 단백질이다. SOS1은 RAS 패밀리 단백질에 대한 2개의 결합 부위; GDP-결합 RAS 패밀리 단백질에 결합하여 구아닌 뉴클레오티드 교환을 촉진하는 촉매 부위 및 SOS1의 촉매 GEF 기능의 추가 증가를 야기하는 GTP-결합 RAS-패밀리 단백질에 결합하는 알로스테릭 부위를 가진다. RAS 패밀리 단백질에 대한 SOS1의 촉매 부위 결합의 선택적인 약리학적 억제는 GTP-결합 형태로 RAS-패밀리 단백질의 SOS1-매개 활성화를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SOS1 억제제 화합물은 결과적으로 RAS-패밀리 단백질의 하위 세포에서 신호전달(예를 들어, ERK 인산화)을 억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SOS1 촉매 부위에 결합하고(결정학에 의해 확인) 동시에 RAS 패밀리 단백질과의 결합 및 활성화를 방지하는 신규 SOS1 억제제 화합물들이 개발되고 있고, SOS1과 RAS 패밀리 단백질, 특히 KRAS의 상호 작용에 대한 현저한 억제 효과(낮은 IC50 값)를 가지고, 결과적으로 KRAS 돌연변이 암 세포주에서 ERK인산화의 현저한 감소를 유발하는 물질이 개발 중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이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활성을 갖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Simanshu DK., et al. (2017) RAS proteins and their regulators in human disease. Cell, 170, 17-33. Amy Y., et al. (2012) Oncogenic and wild type Ras play diverge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Cancer Discov, 3(1), 112-23. Pierre S., et al., (2011) Understanding SOS (Son of Sevenless). Biochem. Pharmacol., 82(9), 1049-56.
본 발명의 일 목적은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이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는 수소 또는 C1-4알킬이며;
R2는 수소, C1-4알킬, 할로C1-4알킬, C2-6알켄일 또는 C2-6알킨일이며;
R3은 R3a 또는 -L2-
Figure pat00002
이며;
각각의 R3a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아민, 니트로, 옥소(=O),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할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콕시, 히드록시-C1-4알킬, -CF2H, -(CH2)r-NH(CO)-Ra, -(CH2)r-NRaRb이고, Ra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할로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F2H 및 C3-8카르보사이클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며;
r은 0 내지 1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며;
L2는 직접결합, -O-(CH2)p 또는 -CH=CH-(CH2)q이며;
p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q는 0 내지 2의 정수이며;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는 각각 독립적으로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3-10카르보사이클릴, C2-10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9-12바이사이클릭헤테로사이클릴이며, 이 때 상기
Figure pat00005
의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3-10카르보사이클릴, C2-10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9-12바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하나 이상의 R3a로 치환될 수 있고;
X1은 -O(R4) 또는 -N(R5)(R6)이며;
R4는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들은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cRd, -C(O)ORc, -ORc, -NRcRd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 될 수 있으며, 여기서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 때 상기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eRf, -C(O)ORe, -ORe 및 -NReR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할 수 있으며, 여기서 Re 및 Rf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혹은 상기 -N(R5)(R6)은 R5 R6이 서로 연결되어 -N(R5)(R6) 내의 질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 C2-9헤테로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이며, 이 때 상기 C2-9헤테로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gRh, -C(O)ORg, -ORg 및 -NRgR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할 수 있고, 여기서 Rg Rh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또는 C3-8카르보사이클릴이며;
L1은 직접결합, -C(O)-, -O- 또는 -NH- 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Figure pat00006
는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 때 상기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iRj, -C(O)ORi, -ORi 및 -NRiRj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Ri 및 Rj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한 화합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의 저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약학적 유효량의 상기한 화합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나 세포에서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약학적 유효량의 상기한 화합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나 세포에서 티로신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약학적 유효량의 상기한 화합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에서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한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화학식 1의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은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활성이 우수하여 비정상적 SOS1 활성에 따른 세포 증식과 연관된 암에 대하여 항암 작용을 갖고, 그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는 명시하지 않아도 "약"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으로서 열거된 잔기는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지칭하며, 구체적으로는 불소, 염소이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포화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1가의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켄일"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며, 각각의 이중결합은 E- 또는 Z-입체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킨일"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모이어티로부터 유래하는 1가 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알킬, 알켄일 및 알킨일기들은 직선형, 즉, 직쇄형이거나 측쇄형일 수 있다. 각각의 정의에 따라, 알킬기 내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1개,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또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일 수 있다. 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과 이소프로필을 포함하는 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을 포함하는 부틸, n-펜틸, 1-메틸부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및 tert-펜틸을 포함하는 펜틸, n-헥실, 3,3-디메틸부틸 및 이소헥실을 포함하는 헥실이다. 알켄일기와 알킨일기의 이중결합 및 삼중결합 각각은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알켄일 및 알킨일의 예는 에텐일, 프로프-1-엔일, 프로프-2-엔일(= 알릴), 부트-2-엔일, 2-메틸프로프-2-엔일, 3-메틸부트-2-엔일, 헥스-3-엔일, 헥스-4-엔일, 프로프-2-인일(= 프로파길), 부트-2-인일, 부트-3-인일, 헥스-4-인일 또는 헥스-5-인일이다. 다만, 각각의 화합물이 충분히 안정적이고, 의약 물질로서의 용도와 같이 원하는 목적에 적합하기만 하다면, 치환된 알킬기, 알켄일기 및 알킨일기는 임의의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카르보사이클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환상 알킬을 의미하며, 모노 또는 바이사이클로지방족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르보사이클릴은 아릴, 카르보사이클릴, 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융합카르보사이클릴, 가교카르보사이클릴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 카르보사이클릴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센일,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헵센일, 사이클로옥틸, 사이클로옥텐일, 2,5-사이클로헥사디엔일, 비사이클로[2.2.2]옥틸, 아다만트-1-일, 데카히드로나프틸, 옥소사이클로헥실, 디옥소사이클로헥실, 티오사이클로헥실, 2-옥소비사이클로[2.2.1]헵트-1-엔일, 또는 이들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O, N, 및 S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구체적으로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이상의,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환상 알킬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헤테로사이클릴은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융합헤테로사이클릴, 가교헤테로사이클릴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 헤테로사이클릴은 피페라진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1-옥사이드, 모르폴린일, 티아모르폴린일, 피롤리딘일, 이미다졸린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디아자바이사이클로옥탄일, 디아자스피로옥탄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C2-10헤테로사이클릴과 같은 경우, 탄소 수 표시 C2-10은 헤테로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원 고리 이상의 고리 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그룹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페닐, 비페닐, 나프틸, 톨루일, 나프탈렌일, 안트라센일, 또는 이들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헤테로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O, N 및 S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 예를 들어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이상의 방향족 그룹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티아졸릴, 옥사졸릴, 티오펜일, 퓨란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리딘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피라진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인돌릴, 벤조티오펜일, 벤조퓨란일,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티아디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퀴놀린일, 이소퀴놀린일, 퓨린일, 퓨로피리딘일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내지"를 이용하여 표시된 수치 범위는 용어 "내지" 전과 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하한 및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은 SOS1과 RAS 패밀리 단백질의 SOS1의 촉매 부위에 대한 결합을 의미하며,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활성"은 GTP-결합 형태로 RAS-패밀리 단백질의 SOS1-매개 활성화를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SOS1 억제제 화합물"은 ERK 인산화 같은 RAS-패밀리 단백질에 의한 하위 세포로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SOS1 억제제 화합물"은 SOS1 촉매 부위에 결합하여 RAS 패밀리 단백질과의 결합 및 활성화를 방지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광학이성질체"는 다른 언급이 없으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대하여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입체 이성질체와 기하 이성질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중심(부재탄소)을 가질 수 있으므로 거울상 이성질체(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광학적으로 활성인 (R)- 및 (S)- 이성질체는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분해되거나, 키랄 신톤 (synthon)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이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경우, 치환체는 E 또는 Z 형태일 수 있다. 화합물이 2치환된 카르보사이클릴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시스- 또는 트랜스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브릿지된 고리(bridged ring)을 포함할 경우, 엑소 또는 엔도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호변 이성질체 형태도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대칭 탄소원자"는 다른 언급이 없으면, 분자 내의 탄소 원자가 4개의 서로 다른 원자, 원자단 또는 기능기와 결합하고 있는 경우의 탄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대칭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의 경우 광회전성 또는 광학이성질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대칭 탄소원자를 가지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또는 화학식 1b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일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거울상이성질체의 1:1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로 지칭한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a에서,
Figure pat00008
, R1 내지 R3, X1, L1,
Figure pat00009
, m 및 n의 정의는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b]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b에서,
Figure pat00011
, R1 내지 R3, X1, L1,
Figure pat00012
m 및 n의 정의는 화학식 1과 같다.
상기 일 양상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및 이의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용매화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용매화물"은 상기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분자,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물을 포함하는 분자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 분자가 물인 복합체는 "수화물"이라고도 지칭된다.
상기 일 양상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이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이의 용매화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인체에 독성이 낮고 모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리화학적 성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과 화학식 1의 염기 화합물의 산부가염,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등)과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등), 유기염기와 화학식 1의 카복실산 구조와의 유기염기 부가염, 아미노산 부가염 등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염의 형태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이때, 무기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산은 초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린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숙신산, 젖산, 구연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염기 부가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염기는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등이다. 아미노산 부가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아미노산은 알라닌, 글라이신 등의 천연아미노산이다. 상기 예시된 무기산, 유기산, 유기염기 및 아미노산 외에 다른 산 또는 염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1,4-디옥산과 같은 물과 섞일 수 있는 용매에 녹인 다음에 유리산 또는 유리염기를 가한 후에 결정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의 상세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대한 상기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질병의 치료(treatment), 개선(improvement), 완화(amelioration) 또는 관리(management)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하는" 또는 "예방"은 질환을 예방하는 것, 예를 들어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성향이 있을 수 있지만 질환의 병리 또는 징후를 아직 경험하지 않았거나 나타내지 않는 개체에서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예방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 또는 "환자"는 포유류,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기타 설치류, 토끼, 개, 고양이, 돼지, 소, 양, 말 또는 영장류 및 인간을 포함하는 임의의 동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는 수소 또는 C1-4알킬이며;
R2는 수소, C1-4알킬, 할로C1-4알킬, C2-6알켄일 또는 C2-6알킨일이며;
R3은 R3a 또는 -L2-
Figure pat00014
이며;
각각의 R3a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아민, 니트로, 옥소(=O),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할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콕시, 히드록시-C1-4알킬, -CF2H, -(CH2)r-NH(CO)-Ra 또는 -(CH2)r-NRaRb이고, Ra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할로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F2H 및 C3-8카르보사이클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며;
r은 0 내지 1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며;
L2는 직접결합, -O-(CH2)p 또는 -CH=CH-(CH2)q이며;
p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q는 0 내지 2의 정수이며;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는 각각 독립적으로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3-10카르보사이클릴, C2-10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9-12바이사이클릭헤테로사이클릴이며, 이 때 상기
Figure pat00017
의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3-10카르보사이클릴, C2-10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9-12바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하나 이상의 R3a로 치환될 수 있고;
X1은 -O(R4) 또는 -N(R5)(R6)이며;
R4는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들은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cRd, -C(O)ORc, -ORc 또는 -NRcRd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 될 수 있으며, 여기서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 때 상기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eRf, -C(O)ORe, -ORe 및 -NReR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할 수 있으며, 여기서 Re 및 Rf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혹은 상기 -N(R5)(R6)은 R5 R6이 서로 연결되어 -N(R5)(R6) 내의 질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 C2-9헤테로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이며, 이 때 상기 C2-9헤테로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gRh, -C(O)ORg, -ORg 및 -NRgR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할 수 있고, 여기서 Rg Rh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또는 C3-8카르보사이클릴이며;
L1은 직접결합, -C(O)-, -O- 또는 -NH- 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Figure pat00018
는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 때 상기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iRj, -C(O)ORi, -ORi 및 -NRiRj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Ri 및 Rj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은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가 각각 독립적으로 C6-10아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에서 R3a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아민, 니트로, 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콕시, -CF2H, C6-10아릴, C3-6사이클릴, -(CH2)r-C2-6헤테로사이클릴, -(CH2)r-NH(CO)-Ra 또는 -(CH2)r-NRaRb이고,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F3 또는 -CF2H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에서 R4는 수소,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거나, 상기 -N(R5)(R6)이 C2-9헤테로사이클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2에서,
L1은 직접결합, -C(O)-, -O- 또는 -NH-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R4a는 수소, C1-6알킬,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며;
Figure pat00022
는 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3에서,
L3은 직접결합 또는 -C(O)-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이 때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R5a 및 R5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고,
혹은 상기 -N(R5a)(R5b)은 R5a와 R5b가 서로 연결되어 -N(R5a)(R5b)내의 질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 C2-9헤테로사이클릴이며;
Figure pat00024
은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4에서,
L4은 직접결합, -C(O)- 또는 -O-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이 때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Figure pat00026
는 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테트라히드로피란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테트라히드로피란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27
상기 화학식 5에서,
L5은 직접결합 또는 -C(O)-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이 때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Figure pat00028
은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6-메톡시-2-메틸-4-((1-(4-(2-((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R, 5S)-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3-(디플루오로메틸)-2- 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6-메톡시-2-메틸-4-((1-(4-(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일)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R)-2,2,2-트리플루오로-N-(3-(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타마이드;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플루오로아제티딘-1-일)메탄온;
(4-((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 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1-(4-(2-((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1-(4-(2-((히드록시메틸)페닐)티오펜-2-일) 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6-메톡시-2-메틸-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 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R)-(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3-아미노-5-(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R)-(4-((1-(2,3-디히드로-1H-인덴-4-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사이클로프로필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 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S)-테트라히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티아졸-5-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메틸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플루오로메틸)-6-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R)-N-(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R)-N-(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옥세탄-3-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디메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피롤리딘-1-일)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시클로펜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N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N 6,2-디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6-디아민;
(R)-(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R)-(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4-(((R)-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R)-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및
(R)-N 4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N 7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퀴나졸린-4,7-디아민.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서는 하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29
상기 반응식 1에서
Figure pat00030
, R1, R2, R3, R4, m 및
Figure pat00031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1]
2-브로모테레프탈산(1당량)을 -5~5 ℃에서 황산에 천천히 적가하고 4-6분간 환류 하였다. 황산과 질산을 섞은 후, 이를 반응물에 0~5 ℃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95-110 ℃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실온에서 11-13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물에 얼음물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2]
상기 [단계-1]에서 제조한 B(1당량), 아세트산나트륨(2.2당량), 수산화나트륨(3당량), 구리(0.01당량)을 증류수에 녹이고 이를 110~130 ℃에서 microwave 하에서 1.5~3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수용액층을 6N 염산으로 pH 1-2가 될 때까지 산성화 하였다. 산성화된 수용액은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3]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C(1당량), 황산(1당량)을 메탄올에 녹이고 65~75 ℃에서 60~70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4]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D(1당량), 요오드화메틸(8당량), 탄산칼륨(8당량)을 아세톤에 녹이고 50~70 ℃에서 16~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5]
상기 [단계-4]에서 제조한 E(1당량)을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에 녹이고 Pd/C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액을 45~55 ℃에서 수소기체하 16~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6]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F(1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이고 4% 수산화칼륨을 천천히 적가 하였다. 이를 65~75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층을 제거하고, 얻어진 수용액층은 1N 염산으로 pH 1-2가 될 때까지 산성화 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고체는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50~60 ℃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7]
상기 [단계-6]에서 수득한 G(1당량), 아세트아미딘 염산염(2당량), 아세트산나트륨(2당량)을 2-메톡시에탄올에 녹이고, 이를 140~160 ℃에서 12~20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뒤 증류수를 적가하고, 0~5 ℃에서 0.5~1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고체는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50~60 ℃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8]
상기 [단계-7]에서 수득한 H(1당량), 아민(1.5당량), HATU(3당량), DIPEA (5당량)을 DMF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2~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고체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9]
상기 [단계-8]에서 수득한 I(1당량), 염화포스포릴에 녹이고, 이를 105~114 ℃에서 1~2.5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10]
상기 [단계-9]에서 제조한 J(1당량), 아닐린(1.1당량), DIPEA(4당량)을 DMF에 녹이고, 이를 95~110 ℃에서 12~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반응식 2]
Figure pat00032
상기 반응식 2에서
Figure pat00033
, R1, R2, R3, R4, m 및
Figure pat00034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1]
메틸 3-메톡시-4-메틸벤조에이트(1당량)을 아세트산과 물에 섞은 후, 브롬 (1.1당량)을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50~60 ℃에서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였다. 수용액을 헥산/에테르 용액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2]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B(1당량), N-브로모숙신이미드(0.9당량),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2당량)을 클로로포름에 녹이고 이를 65~70 ℃에서 1.5~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3]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C(1당량), 아민(1.1당량), 탄산 칼륨(2당량)을 아세토니트릴에 녹이고 이를 20~30 ℃에서 17~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4]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D(1당량), tert-부틸 카바메이트(1.1당량), 잔트포스(0.2당량), Pd2(dba)3dba(0.1당량), 탄산세슘(3당량)을 1,4-다이옥산에 녹이고 이를 100~120 ℃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 세척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M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5]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E(1당량)를 아세토니트릴에 녹이고 4N 염화수소 다이옥산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를 70~90 ℃에서 1~3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고체화 시켜 감압하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6]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F(1당량), 아닐린(1.5당량), PyBOP(1.5당량), DBU(2.5당량)를 아세토니트릴에 녹이고 이를 75~85 ℃에서 4~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서는 하기 반응식 3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at00035
상기 반응식 3에서
Figure pat00036
, R1, R2, R3, R5, R6, m 및
Figure pat00037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1]
2-브로모테레프탈산(1당량)을 -5~5 ℃에서 황산에 천천히 적가하고 4-6분간 환류 하였다. 황산과 질산을 섞은 후, 이를 반응물에 0~5 ℃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95-110 ℃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실온에서 11-13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물에 얼음물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2]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B(1당량), 황산(1당량)을 메탄올에 녹이고 65~75 ℃에서 60~70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3]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C(1당량), 아민(5당량), DIPEA(10당량)를 DMF에 녹이고 95~105 ℃에서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이를 증류수에 적가하였다. 이를 감압 하에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4]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D(1당량), 아연 분진(3.5당량)을 다이옥산:증류수 혼합용액에 녹이고 25-30 ℃에서 0.5-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교반 후 반응액을 0-5 ℃로 냉각한 후, 염화 암모늄 (5당량)을 적가하였다. 적가 후 25-30 ℃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이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5]
상기 [단계-4]에서 제조한 E(1당량), 아세토니트릴(8당량)을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N 염산 용액에 녹이고 이 반응 용액을 sealed tube를 사용하여 85~95 ℃에서 2.5~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필터에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6]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F(1당량)을 염화 포스포릴에 녹이고 이를 110-13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층을 제거하고, 얻어진 잔사를 디클로로메탄으로 녹이고, 저온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유기층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7]
상기 [단계-6]에서 수득한 G(1당량), 아닐린(1.3당량), DIPEA(3당량)을 DMF에 녹이고, 이를 85~100 ℃에서 12~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8]
상기 [단계-7]에서 수득한 H (1당량)를 테트라히드로퓨란:메탄올:물 혼합용액에 녹이고, 수산화 나트륨 (5당량)을 가한 뒤 25-30 ℃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2N HCl 수용액을 적가하여 pH 5-6 로 적정 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추가 정제 과정 없이 얻어진 표제 화합물에 아민(1.1당량), HATU(1.3당량), DIPEA(3당량)을 DMF에 녹이고, 이를 25-30 ℃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학식 1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반응조건 예를 들어, 반응 용매, 염기, 반응물질의 사용량 등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에 포함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에도 유용하다.
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이토크롬 P450 효소(CYP) 아형들에 대한 억제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P450 효소(CYP) 아형들의 활성 저하로 생길 수 있는 약물-약물 상호작용 등의 부작용을 줄여줌으로써, 다제 병용 약물 투여 시에도 유용하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구조를 지니며, 사이토크롬 P450 효소 아형들에 대한 억제작용이 거의 없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의 구조를 지니며, 사이토크롬 P450 효소 아형들에 대한 활성 유지가 우수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학식 4 또는 5의 화합물에 의한 사이토크롬 P450 효소(CYP) 아형의 활성 억제는 IC50 값이 적어도 20 μ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또는 에멀젼 등의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 또는 주사제 등의 근육 내, 정맥 내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비경구 투여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제제는 유효성분 외에 통상의 무독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첨가되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감미제, 결합제, 용해제, 용해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착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택제, 충진제, 방향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부형제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글라이신, 실리카,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산염, 녹말, 젤라틴, 트라가칸트 고무, 알지닌산, 소듐알진산염, 메틸셀룰로오스, 소듐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엣센스, 딸기 엣센스, 바닐라 향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가 경구 투여 형태인 경우, 사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규산칼슘,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인산칼슘,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젤라틴, 탈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가 주사제 형태인 경우 상기 담체로는 물,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유사 당수용액, 알콜, 글리콜, 에테르, 오일,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후자를 제약 제제의 형태로 제조하며, 이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 활성 성분 이외에 적합한 제약상 유기 또는 무기 불활성 담체 물질, 예를 들어, 물, 젤라틴, 아라비아 검, 락토스, 전분, 식물성 오일,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을 함유한다. 제약 제제는 고체 형태, 예를 들어, 정제, 당의정, 좌제 또는 캅셀제, 또는 액체 형태, 예를 들어, 액제, 현탁제 또는 유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임의로 보조제, 예를 들어,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삼투압 변경용 염 또는 완충제를 함유한다.
비경구 투여용으로는, 특히 주사 액제 또는 현탁제가 바람직하다.
담체 시스템으로서, 계면활성 보조제, 예를 들어, 담즙산 염 또는 동물 또는 식물 인지질, 또한 이들의 혼합물, 및 리포좀 또는 그의 성분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는, 특히 활석 및/또는 탄화수소 비히클 또는 결합제, 예를 들어, 락토스,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을 함유하는 정제, 당의정 또는 캡슐제가 적합하다. 또한, 액체 형태, 예를 들어, 감미제가 첨가된 쥬스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용량은 일반적으로 몸무게가 70 kg인 성인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0.1 mg/일 내지 2,000 mg/일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1일 1회 내지 수 회로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투여 용량은 환자의 건강상태, 나이, 몸무게 및 성별과, 투여 형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제시한 투여용량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체는 개체 또는 환자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치료 기준 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의 억제제와 치료 기준 제제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있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검체에 있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나 세포에서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나 세포에서 티로신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에서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나 세포에서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단계-1] 2-브로모-5-니트로테레프탈산의 제조
Figure pat00038
2-브로모테레프탈산 (13.8 g, 56.32 mmol)을 0 ℃에서 황산 78 mL에 천천히 적가하고 5분간 교반 하였다. 황산 7.5 mL와 질산 17.5 mL를 섞은 후, 이를 반응 용액에 0 ℃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10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 용액을 얼음물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추가 정제 없이 표제 화합물 16 g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4 (s, 1H), 8.17 (s, 1H).
[단계-2] 2-히드록시-5-니트로테레프탈산의 제조
Figure pat00039
상기 [단계-1]에서 제조한 2-브로모-5-니트로테레프탈산 (10.5 g, 36.21 mmol), 아세트산나트륨 (6.6 g, 79.65 mmol), 수산화나트륨 (4.35 g, 108.63 mmol), 구리 (46.5 mg, 0.72 mmol)을 증류수 60 mL에 녹이고 이를 120 ℃에서 microwave 하에서 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수용액층을 6N 염산으로 pH 1-2가 될 때까지 산성화 하였다. 산성화된 수용액은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7 g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42 (s, 1H), 7.15 (s, 1H).
[단계-3] 디메틸 2-히드록시-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40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2-히드록시-5-니트로테레프탈산 (7 g, 30.82 mmol), 황산 (35 mL, 653.04 mmol)을 메탄올 330 mL에 녹이고 70 ℃에서 6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추가 정제 없이 표제 화합물 7.9 g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43 (s, 1H), 6.85 (s, 1H), 3.83 (s, 6H).
[단계-4] 디메틸 2-메톡시-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41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디메틸 2-히드록시-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 (7.9 g, 30.82 mmol), 메틸 아이오다이드 (15.3 mL, 246.56 mmol), 탄산칼륨 (34 g, 246.56 mmol)을 아세톤 310 mL에 녹이고 60 ℃에서 2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 (1:1 vol/vol)로 녹이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5(v/v)에서 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1 g을 7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57 (s, 1H), 7.15 (s, 1H), 4.05 (s, 3H), 3.98 (s, 3H), 3.96 (s, 3H).
[단계-5] 디메틸 2-아미노-5-메톡시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42
상기 [단계-4]에서 제조한 디메틸 2-메톡시-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 (6.1 g, 22.50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122 mL (1:4, vol/vol)에 녹이고 Pd/C (600 mg, 10 wt%)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액을 50 ℃에서 수소 기체하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5(v/v)에서 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 g을 9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38 (s, 1H), 7.05 (s, 1H), 5.50 (s, 2H), 3.86 (s, 6H), 3.80 (s, 3H).
[단계-6] 2-아미노-5-메톡시테레프탈산의 제조
Figure pat00043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디메틸 2-아미노-5-메톡시테레프탈레이트 (5 g, 20.93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15 mL에 녹이고 4% 수산화칼륨 115 mL를 천천히 적가 하였다. 이를 7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층을 제거하고, 얻어진 수용액층은 1N 염산으로 pH 1-2가 될 때까지 산성화 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고체는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55 ℃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4.3 g을 9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7.30 (s, 1H), 7.01 (s, 1H), 3.70 (s, 3H).
[단계-7] 6-메톡시-2-메틸-4-옥소-1,4-디히드로퀴나졸린-7-카복실산의 제조
Figure pat00044
상기 [단계-6]에서 수득한 2-아미노-5-메톡시테레프탈산 (4.3 g, 20.51 mmol), 아세타아마이드 염산염 (3.86 g, 41.02 mmol), 아세트산나트륨 (3.38 g, 40.77 mmol)을 2-메톡시에탄올 86 mL에 녹이고, 이를 150 ℃에서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뒤 증류수를 적가하고, 0 ℃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고체는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55 ℃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3.3 g을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3.19 (s, 1H), 12.26 (s, 1H), 7.70 (s, 1H), 7.57 (s, 1H), 3.90 (s, 3H), 2.34 (s, 3H).
[단계-8] 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1 H )-온의 제조
Figure pat00045
상기 [단계-7]에서 수득한 6-메톡시-2-메틸-4-옥소-1,4-디히드로퀴나졸린-7-카복실산 (300 mg, 1.28 mmol), 모르폴린 (0.18 mL, 1.92 mmol), HATU (1.44 g, 3.84 mmol), DIPEA (1.2 mL, 6.40 mmol)을 DMF 4.5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2.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고체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255 mg을 6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2.24 (s, 1H), 7.55 (s, 1H), 7.41 (s, 1H), 3.90 (s, 3H), 3.68 (m, 4H), 3.52 (m, 2H), 3.11 (m, 2H), 2.51 (s, 3H).
[단계-9] (4-클로로-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린)메탄온의 제조
Figure pat00046
상기 [단계-8]에서 수득한 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1H)-온 (255 mg, 0.84 mmol)을 염화포스포릴 14 mL에 녹이고, 이를 11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 (디클로로메탄:메탄올=25:1에서 10: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21 mg을 8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7.86 (s, 1H), 7.52 (s, 1H), 4.01 (s, 3H), 3.67 (m, 4H), 3.50 (m, 2H), 3.14 (m, 2H), 2.50 (s, 3H).
[단계-10]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의 제조
Figure pat00047
상기 [단계-9]에서 제조한 (4-클로로-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린)메탄온 (70 mg, 0.22 mmol), WO2018115380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합성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57 mg, 0.24 mmol), DIPEA (0.15 mL, 0.88 mmol)을 DMF 1 mL에 녹이고, 이를 100 ℃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23: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0 mg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29 (d, 1H), 7.85 (s, 1H), 7.40 (s, 1H), 6.90 (d, 2H), 6.71 (s, 1H), 5.62 (m, 1H), 5.57 (s, 2H), 3.94 (s, 3H), 3.50 (m, 4H), 3.37 (m, 2H), 3.11 (m, 2H), 2.50 (s, 3H), 1.58 (m, 3H).
MS (ESI+, m/z): 490.2 [M+H]+
실시예 2: (6-메톡시-2-메틸-4-((1-(4-(2-((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단계 1] (4-((1-(4-브로모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의 제조
Figure pat00048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1-(4-브로모티오펜-2-일)에탄-1-아민 (100 mg, 0.47 mmol)을 사용하는 것과 DMF 대신 DMAc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56 mg을 6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40 (d, 1H), 7.77 (s, 1H), 7.51 (s, 1H), 7.43 (s, 1H), 7.10 (s, 1H), 5.90 (m, 1H), 3.91 (s, 3H), 3.65 (m, 4H), 3.48 (m, 2H), 3.11 (m, 2H), 2.49 (m, 3H), 1.72 (m, 3H).
[단계 2] 2-(5-(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티오펜-3-일)벤즈알데하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49
상기 [단계-1]에서 제조한 (4-((1-(4-브로모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156 mg, 0.32 mmol), (2-포밀페닐)보론산 (57 mg, 0.38 mmol), Pd(PPh3)4 (40 mg, 0.03 mmol), 탄산칼륨 (177 mg, 1.28 mmol)을 다이옥산:물(5:1) 3 mL에 녹이고, 이를 100
Figure pat0005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에 물을 적가한 후,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1에서 10: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43 mg을 8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0.08 (s, 1H), 8.40 (m, 1H), 7.90 (d, 1H), 7.87 (s, 1H), 7.73 (m, 1H), 7.70 (m, 3H), 7.51 (s, 1H), 7.32 (s, 1H), 6.00 (m, 1H), 4.09 (s, 3H), 3.65 (m, 4H), 3.50 (m, 2H), 3.11 (m, 2H), 2.49 (m, 3H), 1.79 (m, 3H).
[단계 3] (6-메톡시-2-메틸-4-((1-(4-(2-((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의 제조
Figure pat00051
상기 [단계-2]에서 제조한 2-(5-(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티오펜-3-일)벤즈알데하이드 (143 mg, 0.28 mmol), 2.0M 메틸아민 (0.3 mL, 0.55 mmol), 아세트산 (0.03 mL, 0.55mmol), 소듐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117 mg, 0.55 mmol)를 디클로로에탄 2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디클로로메탄:메탄올=50:1에서 7: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0 mg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45 (m, 1H), 7.81 (s, 1H), 7.48 (m, 3H), 7.29 (m, 4H), 6.00 (m, 1H), 4.09 (m, 3H), 3.65 (m, 4H), 3.58 (m, 2H), 3.50 (m, 2H), 3.11 (m, 2H), 2.51 (m, 3H), 2.23 (s, 3H), 1.94 (m, 1H), 1.71 (m, 3H).
MS (ESI+, m/z): 532.2 [M+H]+
실시예 3: (4-((( R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 R , 5 S )-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pat0005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시스-2,6-디메틸피페라진 (270 mg, 2.34 mmol)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4 mg을 3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28 (d, 1H), 7.84 (m, 1H), 7.36 (d, 1H), 6.93 (m, 2H), 6.72 (s, 1H), 5.62 (m, 3H), 4.41 (m, 1H), 3.92 (s, 3H), 3.07 (m, 1H), 2.68 (m, 3H), 2.40 (d, 3H), 2.28 (m, 3H), 1.60 (m, 3H), 1.03 (d, 3H), 0.82 (m, 3H).
MS (ESI+, m/z): 517.3 [M+H]+
실시예 4: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5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오모르폴린 (0.24 mL, 2.5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60 mg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27 (d, 1H), 7.85 (d, 1H), 7.41 (s, 1H), 6.88 (m, 2H), 6.71 (s, 1H), 5.59 (m, 3H), 3.88 (m, 5H), 3.36 (m, 2H), 2.73 (m, 2H), 2.50 (m, 2H), 2.38 (s, 3H), 1.58 (m, 3H).
MS (ESI+, m/z): 506.2 [M+H]+
실시예 5: (4-((( R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 H -퓨로[3,4- c ]피롤-5(3 H )-일)메탄온
Figure pat00054
상기 실시예 1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 (159 mg, 1.4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9.2 mg을 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2 (s, 1H), 7.52 (s, 1H), 7.00 (m, 2H), 6.83 (s, 1H), 5.66 (m, 1H), 4.02 (s, 3H), 3.94 (m, 2H), 3.84 (m, 2H), 3.66 (m, 2H), 3.18 (m, 4H), 2.49 (s, 3H), 1.67 (d, J = 6.9 Hz, 3H).
MS (ESI+, m/z): 516.2 [M+H]+
실시예 6: ( R )-(4-((1-(3-(디플루오로메틸)-2- 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55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1-(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탄-1-아민 염산염 (25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8 mg을 1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40 (m, 1H), 7.89 (s, 1H), 7.68 (m, 1H), 7.66 (m, 1H), 7.50 (s, 1H), 7.40-7.06 (m, 2H), 5.82 (m, 1H), 3.97 (s, 3H), 3.50 (m, 4H), 3.42 (m, 2H), 3.29 (m, 2H), 2.33 (s, 3H), 1.64 (m, 3H).
MS (ESI+, m/z): 475.2 [M+H]+
실시예 7: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Figure pat00056
상기 실시예 1의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아제티딘 (0.1 mL, 1.4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8 mg을 1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28 (d, 1H), 7.83 (s, 1H), 7.43 (s, 1H), 6.90 (d, 2H), 6.71 (s, 1H), 5.64 (m, 3H), 4.06 (m, 2H), 3.95 (s, 3H), 3.88 (m, 2H), 2.42 (s, 3H), 2.28 (m, 2H), 1.59 (d, 3H).
MS (ESI+, m/z): 460.2 [M+H]+
실시예 8: (6-메톡시-2-메틸-4-((1-(4-(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일)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57
상기 실시예 2 [단계-2]에서 (2-포밀페닐)보론산 대신 (2-(tert-부톡시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일)보론산 (74 mg, 0.2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0 mg을 4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77 (s, 1H), 7.54 (s, 1H), 7.13 (m, 5H), 6.00 (m, 1H), 4.13 (s, 3H), 3.82 (m, 4H), 3.61 (m, 2H), 3.32 (m, 2H), 3.13 (m, 2H), 2.87 (m, 4H), 2.57 (s, 3H), 1.83 (m, 3H).
MS (ESI+, m/z): 544.2 [M+H]+
실시예 9: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pat00058
상기 실시예 1의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피페라진 (26 mg, 0.4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5 mg을 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8.09 (s, 1H), 7.61 (s, 1H), 6.98 (m, 2H), 6.84 (s, 2H), 5.79 (m, 1H), 4.06 (m, 5H), 3.54 (m, 2H), 3.34 (m, 2H), 3.20 (m, 2H), 2.65 (s, 3H), 1.74 (d, 3H).
MS (ESI+, m/z): 489.2 [M+H]+
실시예 10: ( R )-2,2,2-트리플루오로- N -(3-(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타마이드
Figure pat00059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수득한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30 mg, 0.061 mmol), 트리플루오로아세틱언하이드라이드 (14 mg, 0.067mmol), DIPEA (10 mg, 0.078 mmol)을 디클로로메탄 1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MPLC(디클로로메탄:메탄올=50:1에서 10: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 mg을 2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8.11-8.08 (d, 1H), 7.91-7.88 (d, 1H), 7.88 (s, 1H), 7.66 (s, 1H), 7.52 (s, 1H), 5.74 (m, 1H), 4.86 (s, 6H), 4.03 (s, 3H), 3.79 (m, 4H), 3.63 (m, 2H), 3.32 (m, 2H), 2.47 (s, 3H), 1.76 (d, 3H).
MS (ESI+, m/z): 586.2 [M+H]+
실시예 11: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플루오로아제티딘-1-일)메탄온
Figure pat00060
상기 실시예 1의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3-플루오로아제티딘 (258 mg, 1.0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0 mg을 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8.03 (s, 1H), 7.64 (s, 1H), 7.00 (m, 2H), 6.85 (s, 1H), 5.78 (m, 1H), 5.34 (m, 1H), 4.51 (m, 1H), 4.28 (m, 3H), 4.08 (s, 3H), 2.63 (s, 3H), 1.74 (d, 3H)
MS (ESI+, m/z): 478.2 [M+H]+
실시예 12: (4-((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 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1
상기 실시예 2의 [단계-3]에서 2.0M 메틸아민 대신 2.0M 디메틸아민 (0.16 ml, 0.3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07 mg을 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77 (s, 1H), 7.49 (m, 2H), 7.39 (m, 3H), 7.26 (s, 1H), 7.17 (s, 1H), 6.09 (m, 1H), 3.97 (m, 5H), 3.77 (m, 4H), 3.62 (m, 2H), 3.26 (m, 2H), 2.55 (s, 3H), 2.38 (s, 6H), 1.84 (d, 3H)
MS (ESI+, m/z): 546.2 [M+H]+
실시예 13: (4-((1-(4-(2-((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2
상기 실시예 2의 [단계-3]에서 2.0M 메틸아민 대신 2.0M 암모니아 (0.22 ml, 0.4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5 mg을 1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78 (s, 1H), 7.52 (m, 2H), 7.30 (m, 5H), 6.10 (m, 1H), 4.57 (s, 2H), 3.98 (s, 3H), 3.76 (m, 4H), 3.62 (m, 2H), 3.26 (m, 2H), 2.56 (s, 3H), 1.82 (d, 3H)
MS (ESI+, m/z): 518.2 [M+H]+
실시예 14: (4-((1-(4-(2-((히드록시메틸)페닐)티오펜-2-일) 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3
상기 실시예 2의 [단계-2]에서 (2-포밀페닐)보론산 대신 2-(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0.14 ml, 0.9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88 mg을 2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76 (s, 1H), 7.51 (m, 2H), 7.31 (m, 5H), 6.10 (m, 1H), 4.57 (s, 2H), 3.98 (s, 3H), 3.76 (m, 4H), 3.60 (m, 2H), 3.27 (m, 2H), 2.55 (s, 3H), 1.24 (d, 3H)
MS (ESI+, m/z): 519.2 [M+H]+
실시예 15: ( R )-(6-메톡시-2-메틸-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아민 염산염 (33 mg, 0.1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0 mg을 2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8 (d, 1H), 7.85 (s, 2H), 7.78 (d, 1H), 7.60 (d, 2H), 7.41 (s, 1H), 5.74 (m, 1H), 3.96 (s, 3H), 3.65 (m, 4H), 3.49 (m, 2H), 3.12 (m, 2H), 2.37 (s, 3H), 1.67 (m, 3H).
MS (ESI+, m/z): 475.2 [M+H]+
실시예 16: ( R )-(4-((1-(5-아미노-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4-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83 mg, 0.3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5 mg을 1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6 (d, 1H), 7.91 (s, 1H), 7.39 (s, 1H), 6.92 (d, 2H), 6.79 (s, 1H), 5.68 (m, 1H), 5.25 (s, 2H), 3.96 (s, 3H), 3.65 (m, 4H), 3.51 (m, 2H), 3.12 (m, 2H), 2.38 (d, 6H), 1.55 (m, 3H).
MS (ESI+, m/z): 504.2 [M+H]+
실시예 17: ( R )-(4-((1-(3-아미노-5-(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6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플루오로 아닐린 염산염 (46 mg, 0.2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4 mg을 2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8.00 (s, 1H), 7.53 (s, 1H), 6.58 (s, 1H), 6.44 (m, 1H), 6.31 (m, 1H), 5.73 (m, 1H), 4.04 (s, 3H), 3.76 (m, 4H), 3.61 (m, 2H), 3.27 (m, 2H), 2.61 (s, 3H), 1.69 (d, 3H)
MS (ESI+, m/z): 440.2 [M+H]+
실시예 18: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7
상기 실시예 1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오모르폴린 1,1-디옥사이드 (30 mg, 0.2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3 mg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5 (s, 1H), 7.58 (s, 1H), 7.01 (m, 2H), 6.83 (s, 1H), 5.67 (m, 1H), 4.26 (m, 2H), 4.03 (s, 3H), 3.68 (m, 2H), 3.24 (m, 2H), 3.13 (m, 2H), 2.50 (s, 3H), 1.67 (d, J = 6.9 Hz, 3H).
MS (ESI+, m/z): 538.1 [M+H]+
실시예 19: ( R )-(4-((1-(3-아미노-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68
상기 실시예 1의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2-메톡시아닐린 염산염 (49 mg, 0.3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0 mg을 3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24 (m, 1H), 7.92 (s, 1H), 7.38 (s, 1H), 6.78 (m, 1H), 6.67 (m, 1H), 6.57 (m, 1H), 5.92 (m, 1H), 4.92 (m, 2H), 3.97 (s, 3H), 3.90 (d, 3H), 3.65 (m, 4H), 3.51 (m, 2H), 3.13 (m, 2H), 2.34 (s, 3H), 1.52 (m, 3H).
MS (ESI+, m/z): 452.2 [M+H]+
실시예 20: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Figure pat00069
상기 실시예 1의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아졸리딘 (0.06 mL, 0.7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8 mg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1 (d, 1H), 7.88 (s, 1H), 7.44 (s, 1H), 6.90 (d, 2H), 6.72 (s, 1H), 5.63 (m, 3H), 4.64 (s, 1H), 4.22 (s, 1H), 3.95 (s, 3H), 3.86 (m, 1H), 3.45 (m, 1H), 3.12 (m, 1H), 2.99 (m, 1H), 2.39 (s, 3H), 1.60 (d, 3H).
MS (ESI+, m/z): 492.2 [M+H]+
실시예 21: ( R )-(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0
상기 실시예 1의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메틸아닐린 염산염 (45 mg, 0.3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5 mg을 1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20 (m, 1H), 7.87 (s, 1H), 7.39 (s, 1H), 6.63 (m, 2H), 6.48 (m, 1H), 5.60 (m, 1H), 4.92 (m, 2H), 3.94 (d, 3H), 3.65 (s, 4H), 3.54 (m, 2H), 3.12 (m, 2H), 2.40 (d, 3H), 2.20 (d, 3H), 1.55 (m, 3H).
MS (ESI+, m/z): 436.2 [M+H]+
실시예 22: ( R )-3-아미노-5-(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Figure pat00071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아미노-5-(1-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염산염 (65 mg, 0.3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6 mg을 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0 (s, 1H), 7.49 (s, 1H), 7.02 (m, 2H), 6.80 (s, 1H), 5.58 (m, 1H), 4.01 (s, 3H), 3.76 (m, 4H), 3.61 (m, 2H), 3.27 (m, 2H), 2.47 (s, 3H), 1.64 (d, 3H)
MS (ESI+, m/z): 447.2 [M+H]+
실시예 23: ( R )-(4-((1-(2,3-디히드로-1 H -인덴-4-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2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1-(2,3-디히드로-1H-인덴-4-일)에탄-1-아민 (45 mg, 0.2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5 mg을 3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29 (m, 1H), 7.86 (s, 1H), 7.37 (s, 1H), 7.27 (m, 1H), 7.09 (s, 1H), 5.63 (m, 1H), 3.95 (s, 3H), 3.64 (m, 4H), 3.48 (m, 2H), 3.32 (m, 2H), 2.95 (m, 2H), 2.36 (s, 3H), 2.09 (m, 2H), 1.58 (m, 3H)
MS (ESI+, m/z): 447.2 [M+H]+
실시예 24: ( R )-(4-((1-(3-아미노-5-사이클로프로필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3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사이클로프로필아닐린 염산염 (57 mg, 0.2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3 mg을 2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18 (d, 1H), 7.86 (s, 1H), 7.38 (s, 1H), 6.41 (s, 2H), 6.10 (s, 1H), 5.55 (m, 1H), 4.89 (s, 2H), 3.95 (s, 3H), 3.65 (m, 4H), 3.50 (m, 2H), 3.38 (m, 2H), 3.11 (s, 2H), 2.39 (s, 3H), 1.83 (m, 1H), 1.53 (m, 3H), 0.83 (m, 2H), 0.55 (m, 2H)
MS (ESI+, m/z): 462.2 [M+H]+
실시예 25: ( R )-(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4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4-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62 mg, 0.2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40 mg을 3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4 (m, 1H), 7.47 (s, 1H), 6.92 (m, 1H), 6.77 (m, 1H), 5.72 (m, 1H), 4.00 (s, 3H), 3.78 (m, 4H), 3.57 (m, 2H), 3.22 (m, 2H), 2.39 (m, 3H), 1.64 (d, J = 7.4 Hz, 3H).
MS (ESI+, m/z): 508.1 [M+H]+
실시예 26: ( R )-(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 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58 mg, 0.3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3 mg을 3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0 (m, 1H), 7.92 (s, 1H), 7.41 (s, 1H), 7.09 (m, 1H), 6.79 (d, 1H), 6.63 (m, 1H), 5.78 (m, 1H), 5.20 (s, 2H), 3.97 (s, 3H), 3.66 (s, 4H), 3.54 (m, 2H), 3.13 (m, 2H), 2.35 (s, 3H), 1.60 (m, 3H).
MS (ESI+, m/z): 490.2 [M+H]+
실시예 27: (4-((( R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 S )-테트라히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6
상기 실시예 1 [단계-4]에서 메틸 아이오다이드 대신 (R)-테트라히드로퓨란-3-일 4-메틸벤젠술폰에이트 (1.11 g, 4.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5 mg을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79 (m, 1H), 7.58 (s, 1H), 7.52 (s, 1H), 7.01 (m, 1H), 6.83 (s, 1H), 5.67 (m, 1H), 5.25 (m, 1H), 3.94 (m, 4H), 3.81 (m, 4H), 3.62 (m, 2H), 3.34 (m, 2H), 2.49 (s, 3H), 2.38 (m, 2H), 1.68 (d, J = 5.4 Hz, 3H).
MS (ESI+, m/z): 546.2 [M+H]+
실시예 28: ( R )-(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7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퓨란-3-일)아닐린 염산염 (62 mg,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0 mg을 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8.04 (s, 1H), 7.80 (s, 1H), 7.51 (m, 2H), 6.97 (s, 1H), 6.83 (s, 1H), 6.74 (m, 2H), 5.80 (m, 1H), 4.04 (s, 3H), 3.78 (m, 4H), 3.61 (m, 2H), 3.27 (m, 2H), 2.64 (s, 3H), 1.75 (d, 3H)
MS (ESI+, m/z): 488.2 [M+H]+
실시예 29: ( R )-(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8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58 mg,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0 mg을 1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2 (s, 1H), 7.49 (s, 1H), 6.91 (s, 2H), 6.58 (s, 1H), 6.39 (m, 1H), 5.68 (m, 1H), 4.00 (s, 3H), 3.76 (m, 4H), 3.60 (m, 2H), 3.27 (m, 2H), 2.49 (s, 3H), 1.67 (d, 3H)
MS (ESI+, m/z): 472.2 [M+H]+
실시예 30: ( R )-(4-((1-(3-아미노-5-(티아졸-5-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79
상기 실시예 1 [단계-10]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티아졸-5-일)아닐린 염산염 (67 mg,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4 mg을 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8.89 (s, 1H), 8.06 (d, 1H), 7.81 (s, 1H), 7.49 (s, 1H), 7.06 (s, 1H), 6.87 (s, 1H), 6.84 (m, 1H), 5.65 (m, 1H), 4.00 (s, 3H), 3.78 (m, 4H), 3.61 (m, 2H), 3.27 (m, 2H), 2.48 (s, 3H), 1.69 (d, 3H)
MS (ESI+, m/z): 505.2 [M+H]+
실시예 31: ( R )-(4-((1-(3-(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80
실시예 1 [단계-10]에서 수득한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 mg, 0.10 mmol)을 디클로로메탄 1 mL 에 녹인 후, 반응 용액에 아세트알데하이드 (5.4 mg, 0.12 mmol) 및 1.0M 사염화티탄 디클로로메탄 용액 (0.01 mL, 0.01 mmol) 을 가하고 나트륨 시아노브로민하이드라이드 (26 mg, 0.41 mmol)을 가한 뒤 상온에서 밤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 mg을 3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2 (d, 1H), 7.51 (s, 1H), 6.98 (d, 2H), 6.71 (s, 1H), 5.68 (m, 1H), 4.02 (s, 3H), 3.77 (m, 4H), 3.63 (m, 2H), 3.35 (m, 2H), 3.28 (m, 2H), 2.49 (s, 3H), 1.68 (d, J = 6.9 Hz, 3H), 1.25 (m, 3H).
MS (ESI+, m/z): 518.2 [M+H]+
실시예 32: 메틸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8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4]에서 메틸 아이오다이드 대신 2-메톡시에틸 4-메틸벤젠술폰에이트 (3.2 g, 14.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7 mg을 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1 (m, 1H), 7.86 (s, 1H), 7.41 (s, 1H), 6.89 (m, 2H), 6.71 (s, 1H), 5.57 (m, 3H), 4.28 (m, 2H), 3.94-3.50 (m, 8H), 3.37 (m, 3H), 3.16 (m, 2H), 2.39 (s, 3H), 1.59 (m, 3H).
MS (ESI+, m/z): 534.2 [M+H]+
실시예 33: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플루오로메틸)-6-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082
상기 실시예 1 [단계-7]에서 아세토니트릴 대신 플루오로아세토니트릴 (7.1 mL, 12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2 mg을 3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92 (s, 1H), 7.68 (s, 1H), 7.00 (m, 2H), 6.83 (s, 1H), 5.68 (m, 1H), 5.51 (m, 1H), 5.39 (m, 1H), 4.01 (s, 3H), 3.79 (m, 4H), 3.63 (m, 2H), 3.23 (m, 2H), 1.69 (d, J = 7.2 Hz, 3H).
MS (ESI+, m/z): 508.2 [M+H]+
실시예 34: ( R )- N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단계-1] 메틸 2-브로모-5-메톡시-메틸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83
메틸 3-메톡시-4-메틸벤조에이트 (5 g, 27.74 mmol)을 아세트산 40 mL와 물 40 mL에 섞은 후, 브롬 (1.5mL, 30.52 mmol)을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60 ℃에서 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였다. 수용액을 헥산/에테르(8:3)용액으로 3회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6.92 g을 9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39 (s, 1H), 7.26 (s, 1H), 3.92 (s, 3H), 3.84 (s, 3H), 2.21 (s, 3H).
[단계-2] 메틸 2-브로모-4-(브로모메틸)-5-메톡시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84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메틸 2-브로모-5-메톡시-메틸벤조에이트 (6.92 g, 26.70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 (4.28 g, 24.60 mmol), 아조비시소부티로니트릴 (853 mg, 5.19 mmol)을 클로로포름 130 mL에 녹이고 이를 7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5(v/v)에서 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98 g을 6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59 (s, 1H), 7. 30 (s, 1H), 4.45 (s, 2H), 3.93 (s, 3H), 3.91 (s, 3H).
[단계-3] 메틸 2-브로모-5-메톡시-4-(모르폴리노메틸)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85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메틸 2-브로모-4-(브로모메틸)-5-메톡시벤조에이트 (1.2 g, 3.55 mmol), 모르폴린 (0.34 mL, 3.90 mmol), 탄산 칼륨 (981 mg, 7.10 mmol)을 아세토니트릴 20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였다.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는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5(v/v)에서 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 g을 8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68 (s, 1H), 7.28 (s, 1H), 3.93 (s, 3H), 3.84 (s, 3H), 3.73 (m, 4H), 3.51 (m, 2H), 2.49 (m, 4H).
[단계-4] 메틸 2-(( tert -부톡시카보닐)아미노)-5-메톡시-4-(모르폴리노메틸)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86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메틸 2-브로모-5-메톡시-4-(모르폴리노메틸)벤조에이트 (1.0 g, 2.90 mmol), tert-부틸 카바메이트 (566 mg, 3.19 mmol), 잔트포스 (336 mg, 0.58 mmol), Pd2(dba)3dba (266 mg, 0.29 mmol), 탄산세슘 (2.83 g, 8.71 mmol)을 1,4-다이옥산 25 mL에 녹이고 이를 11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 세척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5(v/v)에서 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53 mg을 8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9 (s, 1H), 7.41 (s, 1H), 3.91 (s, 3H), 3.81 (s, 3H), 3.73 (m, 4H), 3.56 (s, 2H), 2.51 (m, 4H), 1.52 (s, 9H).
[단계-5] 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의 제조
Figure pat00087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메틸 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5-메톡시-4-(모르폴리노메틸)벤조에이트 (950 mg, 2.49 mmol)를 아세토니트릴 10 mL에 녹이고 4N 염화수소 다이옥산 용액 10 mL를 적가하였다. 이를 80 ℃에서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고체화 시켜 감압하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680 mg을 9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70 (s, 1H), 7.59 (s, 1H), 3.95 (s, 3H), 3.73 (m, 4H), 3.67 (s, 2H), 2.55 (m, 4H), 2.43 (s, 3H).
[단계-6] ( R )- N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의 제조
Figure pat00088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 (100 mg, 0.34 mmol),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125 mg, 0.51 mmol), PyBOP (269 mg, 0.51 mmol), DBU (0.13 mL 0.86 mmol)를 아세토니트릴 3 mL에 녹이고 이를 8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23: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4 mg을 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11 (d, 1H), 7.71 (s, 1H), 7.57 (s, 1H), 6.85 (m, 2H), 6.69 (s, 1H), 5.57 (m, 3H), 3.92 (s, 3H), 3.61 (m, 4H), 3.57(s, 2H), 2.44 (m, 4H), 2.36 (s, 3H), 1.56 (d, 3H)
MS (ESI+, m/z): 476.2 [M+H]+
실시예 35: ( R )- N -(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Figure pat00089
상기 실시예 39 [단계-6]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125 mg, 0.5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9 mg을 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11 (d, 1H), 7.76 (s, 1H), 7.55 (s, 1H), 7.06 (t, 1H), 6.74 (m, 1H), 6.58 (m, 1H), 5.72 (m, 3H), 5.16 (s, 2H), 3.94 (s, 3H), 3.60 (m, 4H), 3.56(s, 2H), 2.42 (m, 4H), 2.31 (s, 3H), 1.55 (d, 3H)
MS (ESI+, m/z): 476.2 [M+H]+
실시예 36: ( R )- N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단계-1] 메틸 4-히드록시-5-메톡시-2-니트로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90
메틸 4-(벤질옥시)-5-메톡시-2-니트로벤조에이트 (11.7 g, 36.9 mmol)을 메탄올 250 mL에 녹이고 Pd/C (1.2 g, 10 wt%)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액을 50 ℃에서 수소 기체하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 된 필터에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5(v/v)에서 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 g을 9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29 (s, 1H), 6.24 (s, 1H), 6.84 (m, 1H), 4.87 (bs, 2H), 3.91 (s, 3H), 3.81 (s, 3H).
[단계-2] 7-히드록시-6-메톡시-2-메틸퀴나졸린-4(1 H )-온의 제조
Figure pat00091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메틸 4-히드록시-5-메톡시-2-미트로벤조에이트 (7.0 g, 35.5 mmol), 4N 염화수소 다이옥산 용액 (71 mL, 284 mmol), 아세토니트릴 (20 mL, 355 mmol)에 녹이고, 이를 70 ℃에서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뒤 디클로로메탄 30 mL를 가하고, 0.5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체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는 감압 하에 여과 한 뒤 55 ℃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9 g을 8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1.2 (s, 1H), 9.38 (s, 1H), 8.24 (s, 1H), 7.49 (s, 1H), 6.86 (s, 1H), 3.85 (s, 3H), 3.79 (s, 3H).
[단계-3] 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옥시)퀴나졸린-4(1 H )-온의 제조
Figure pat00092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7-히드록시-6-메톡시-2-메틸퀴나졸린-4(1H)-온 (1.8 g, 8.7 mmol)을 DMF 20 mL에 녹이고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메탄술폰에이트 (1.7 g, 9.5 mmol)와 탄산세슘 (3.4 g, 10.4 mmol)을 첨가하였다. 이를 100 ℃에서 15시간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아세톤 10 mL 를 가하여 교반 한 뒤 석출 된 결정을 여과 하여 표제 화합물 250 mg을 1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4 (s, 1H), 7.58 (s, 1H), 4.77 (m, 1H), 4.13 (m, 2H), 3.96 (s, 3H), 3.64 (m, 2H), 2.44 (s, 3H), 2.22 (m, 2H), 2.09 (m, 2H).
[단계-4] 4-클로로-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옥시)퀴나졸린의 제조
Figure pat00093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4(1H)-온 (250 mg, 0.86 mmol)을 염화포스포릴 14 mL에 녹이고, 이를 11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추가 정제 과정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5] ( R )- N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의 제조
Figure pat00094
상기 [단계-4]에서 제조한 4-클로로-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 (100 mg, 0.33 mmol)을 DMF 1 mL에 녹이고,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92 mg, 0.36 mmol), DIPEA (0.17 mL, 0.97 mmol)을 가하고, 이를 100 ℃에서 13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 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23: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 mg을 1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67 (s, 1H), 7.06 (s, 1H), 6.99 (m, 2H), 6.82 (s, 1H), 5.64 (m, 1H), 4.74 (m, 1H), 4.12 (m, 5H), 3.66 (m, 2H), 2.46 (s, 3H), 2.16 (m, 2H), 1.86 (m, 2H), 1.67 (d, 3H).
MS (ESI+, m/z): 477.2 [M+H]+
실시예 37: ( R )- N -(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Figure pat00095
상기 실시예 44 [단계-5]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69 mg, 0.2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4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5.7 mg을 4.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73 (s, 1H), 7.09 (s, 1H), 6.79 (m, 3H), 5.81 (m, 1H), 4.59 (m, 1H), 3.99 (m, 5H), 3.66 (m, 2H), 2.42 (s, 3H), 2.17 (m, 2H), 1.73 (m, 2H), 1.62 (d, 3H).
MS (ESI+, m/z): 477.2 [M+H]+
실시예 38: ( R )- N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4-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Figure pat00096
상기 실시예 44 [단계-3]에서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메탄술폰에이트 대신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틸 4-메틸벤젠술폰에이트 (752 mg, 2.7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4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5mg을 3.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46 (s, 1H), 7.00 (s, 3H), 6.83 (s, 1H), 5.67(q, 1H), 4.08~4.10 (m, 7H), 3.73(m, 2H), 3.50 (t, 2h\H), 2.54 (s, 3H), 1.89(m, 2H), 1.68(d, 3H), 1.57(m, 2H).
MS (ESI+, m/z): 491.2 [M+H]+
실시예 39: ( R )- N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옥세탄-3-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Figure pat00097
상기 실시예 44 [단계-3]에서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메탄술폰에이트 대신 옥세탄-3-일메틸 4-메틸벤젠술폰에이트 (530 mg, 2.1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4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0 mg을 1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00 (d, 1H), 7.71 (s, 1H), 7.10 (s, 1H), 6.89 (d, 2H), 6.70 (s, 1H), 5.59 (m, 3H), 4.76 (m, 2H), 4.47 (m, 2H), 4.34 (m, 2H), 3.90 (s, 3H), 3.50 (m, 1H), 2.36 (s, 3H), 1.57 (d, 3H).
MS (ESI+, m/z): 463.2 [M+H]+
실시예 40: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단계-1] 2-브로모-5-니트로테레프탈산의 제조
Figure pat00098
2-브로모테레프탈산 (75 g, 306.12 mmol)을 황산 490 mL에 녹인 후, 0 ℃에서 질산 98 mL를 천천히 적가 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상온에서 17시간 동안 환류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액을 얼음물에 천천히 적가 하였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교반 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얻어진 고체를 증류수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61 g을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4 (s, 1H), 8.17 (s, 1H).
[단계-2] 디메틸 2-브로모-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99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2-브로모-5-니트로테레프탈산 (61 g, 210.32 mmol)을 메탄올 2.2 L에 녹인 후, 0 ℃에서 황산 240 mL를 천천히 적가 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90 ℃에서 17시간 동안 환류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농축을 한 후, 0 ℃에서 증류수 600 mL를 적가 하였고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교반 후 감압 하에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 61 g을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47 (s, 1H), 8.28 (s, 1H), 3.93-3.89 (m, 6H).
[단계-3] 디메틸 2-(메틸아미노)-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00
상기 [단계-2]에서 제조한 디메틸 2-브로모-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 (60 g, 188.63 mmol), 메틸아민 염산염 (63.6 g, 941.94 mmol), DIPEA (492 mL, 2829.48 mmol)를 DMF 900 mL에 녹이고 이를 100 ℃에서 1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용액을 0 ℃로 냉각하고, 1.8 L 증류수를 적가 한 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교반 후 감압 하에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 48.6 g을 9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59 (s, 2H), 6.95 (s, 1H), 3.88 (s, 3H), 3.86 (s, 3H), 3.01-2.99 (d, 3H).
[단계-4] 디메틸 2-아미노-5-(메틸아미노)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01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디메틸 2-(메틸아미노)-5-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 (45.5 g, 169.63 mmol), 아연 분진 (39.4 g, 593.71 mmol)을 다이옥산:증류수(4:1) 460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0.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교반 후 반응 용액을 0 ℃로 냉각하고 염화 암모늄 (45.4 g, 848.76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증류수를 적가한 후 (1:1 vol/vol),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헥산=1:8(v/v)에서 1:4(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1 g을 7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7.39 (s, 1H), 7.02 (s, 1H), 6.55 (m, 1H), 5.88 (s, 2H), 3.83-3.81 (m, 6H), 2.78-2.76 (d, 3H).
[단계-5] 메틸 4-히드록시-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02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디메틸 2-아미노-5-(메틸아미노)테레프탈레이트 (31 g, 130.12 mmol), 아세토니트릴 (68 mL, 1301.20 mmol)을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N 염산 260 mL에 녹이고 이를 sealed tube를 사용하여 9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필터에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감압하에 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30 g을 93.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2.03 (m, 1H), 8.02 (s, 1H), 7.41 (m, 1H), 7.16 (s, 1H), 3.87 (s, 3H), 2.91 (d, 3H), 2.28 (s, 3H).
[단계-6] 메틸 4-클로로-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03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메틸 4-히드록시-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카복실레이트 (6.1 g, 24.69 mmol), 염화 포스포릴 150 mL에 녹이고 이를 12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뒤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디클로로메탄으로 녹이고, 저온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유기층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45:55(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 g을 2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6 (s, 1H), 7.57 (m, 1H), 6.92 (s, 1H), 3.93 (s, 3H), 2.94 (d, 3H), 2.66 (s, 3H).
[단계 7] 메틸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 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04
상기 [단계-6]에서 제조한 메틸 4-클로로-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카복실레이트 (600 mg, 2.26 mmol), WO2018115380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합성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705 mg, 2.93 mmol), DIPEA (1.21 mL, 6.78 mmol)을 DMF 30 mL에 녹이고, 이를 90 ℃에서 1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23: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80 mg을 2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46 (s, 1H), 7.12 (s, 1H), 6.94 (s, 1H), 6.83 (s, 1H), 6.47 (s, 1H), 5.62 (m, 1H), 3.93 (s, 3H), 2.93 (s, 3H), 2.55 (s, 3H).
[단계 8]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05
상기 [단계-7]에서 수득한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 카복실레이트 (280 mg, 0.64 mmol)를 테트라히드로퓨란:메탄올:물 = 2:1:1 20mL 에 녹이고, 수산화 나트륨 (129 mg. 3.23 mmol)을 가한 뒤 상온에서 2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2N HCl 수용액을 적가하여 pH 5-6 로 적정 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추가 정제 과정 없이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카르본산을 합성 하였다. 얻어진 표제 화합물에 모르폴린 (0.62 mL, 0.72 mmol), HATU (272 mg, 0.18 mmol), DIPEA (0.26 mL, 1.43 mmol)을 DMF 5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2.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 mg을 2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38 (s, 1H), 7.28 (s, 1H), 6.99 (m, 2H), 6.82 (s, 1H), 5.67 (m, 1H), 3.73 (m, 8H), 2.96 (s, 3H), 2.46 (s, 3H), 1.67 (d, J = 7.2 Hz, 3H).
MS (ESI+, m/z): 489.2 [M+H]+
실시예 41: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디메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06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디메틸아민 염산염 (2.3 g, 2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40 mg을 1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7.77 (d, 1H), 7.38 (s, 1H), 6.90 (d, 2H), 6.74 (s, 1H), 5.68 (m, 3H), 3.77 (m, 6H), 3.11 (m, 2H), 2.87 (d, 6H), 2.47 (s, 3H), 1.63 (m, 3H).
MS (ESI+, m/z): 503.2 [M+H]+
실시예 42: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피롤리딘-1-일)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07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피롤리딘 (2.0 g, 2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60 mg을 1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17 (d, 1H), 7.34 (m, 2H), 6.90 (d, 2H), 6.70 (s, 1H), 5.65 (m, 3H), 3.76 (m, 6H), 3.28 (m, 6H), 2.35 (d, 3H), 1.98 (m, 4H), 1.58 (m, 3H).
MS (ESI+, m/z): 529.3 [M+H]+
실시예 43: ( R )-(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08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235 mg, 0.9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4 mg을 3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38 (s, 1H), 7.32 (s, 1H), 7.09 (m, 2H), 5.78 (m, 1H), 3.67 (m, 8H), 2.98 (s, 3H), 2.42 (s, 3H), 1.67 (d, J = 7.2 Hz, 3H).
MS (ESI+, m/z): 489.2 [M+H]+
실시예 44: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09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2-메톡시에탄-1-아민 (3.5 g, 47.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2 mg을 1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39 (m, 2H), 6.99 (m, 1H), 6.83 (s, 1H), 5.65 (m, 1H), 3.76 (m, 8H), 3.68 (m, 4H), 3.66 (s, 3H), 2.52 (s, 3H), 1.66 (d, J = 6.9 Hz, 3H)
MS (ESI+, m/z): 533.2 [M+H]+
실시예 45: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시클로펜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10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시클로펜탄아민 (4.7 g, 47.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2 mg을 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44 (s, 1H), 7.38 (s, 1H), 6.99 (m, 2H), 6.84 (m, 1H), 5.73 (m, 1H), 4.08 (m, 1H), 3.67 (m, 8H), 2.52 (s, 3H), 1.81 (m, 4H), 1.73 (m, 3H), 1.53 (m, 4H).
MS (ESI+, m/z): 543.2 [M+H]+
실시예 46: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11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여져 있는 2.0M 에틸아민 (23 mL, 4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20 mg을 5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74 (s, 1H), 7.37 (d, 2H), 6.89 (d, 2H), 6.73 (s, 1H), 5.76 (m, 4H), 3.65 (m, 6H), 3.33 (m, 4H), 2.43 (s, 3H), 1.62 (d, 3H), 1.26 (m, 3H).
MS (ESI+, m/z): 503.2 [M+H]+
실시예 47: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12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이소프로필아민 (3.86 mL, 47.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 mg을 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36 (m, 2H), 6.98 (m, 2H), 6.80 (s, 1H), 5.64 (m, 1H), 3.92 (m, 1H), 3.69 (m, 8H), 2.42 (s, 3H), 1.64 (d, 3H), 1.27 (m, 6H).
MS (ESI+, m/z): 517.2 [M+H]+
실시예 48: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13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4-아미노테트라히드로피란 염산염 (3.89 g, 28.2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30 mg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7.42 (s, 1H), 7.34 (s, 1H), 6.88 (s, 1H), 6.85 (s, 1H), 6.42 (s, 1H), 5.68 (p, 1H), 5.57(br, 2H), 5.15(d, 1H), 3.90 (d, 2H), 3.82-3.48 (br, 10H), 2.41 (s, 3H), 1.92(d, 2H), 1.62 (d, 3H), 1.57-1.48(m, 2H).
MS (ESI+, m/z): 559.2 [M+H]+
실시예 49: ( R )- N 4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 N 6 ,2-디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6-디아민
[단계-1] 에틸 2-(터트-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14
메틸 2-아미노-4-메틸벤조에이트 (6.2 g, 34.5 mmol), 디-터트-부틸 디카보네이트 (20 mL, 86.2 mmol), 트리에틸아민 (12 mL, 86.2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2 g, 34.5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00 mL 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5시간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5: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7 g을 4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35 (s, 1H), 8.30 (s, 1H), 7.93 (d, 1H), 6.84 (m, 1H), 4.41 (m, 2H), 2.40 (s, 3H), 1.55 (s, 9H), 1.44 (m, 3H).
[단계-2] 에틸 4-(브로모메틸)-2-((터트-부톡시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15
상기 [단계-1]에서 제조한 에틸 2-(터트-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벤조에이트 (4.7 g, 16.8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 (3.0 g, 16.8 mmol), 아조비시소부티로니트릴 (0.55 g, 3.3 mmol)을 클로로포름 100 mL에 녹이고 이를 70 ℃에서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4.3 g을 수득하였고, 추가 정제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3] 에틸 2-((터트-부톡시카보닐)아미노)-4-(모르폴리노메틸)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16
상기 [단계-2]에서 제조한 에틸 4-(브로모메틸)-2-((터트-부톡시카보닐)아미노)벤조에이트 (4.3 g, 11.9 mmol), 모르폴린 (2.0 mL, 23.8 mmol), 탄산 칼륨 (6.6 g, 47.6 mmol)을 아세토니트릴 40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5: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 g을 3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34 (s, 1H), 8.39 (d, 1H), 8.00 (d, 1H), 7.08 (m, 1H), 4.42 (m, 2H), 3.75 (m, 4H), 3.54 (m, 2H), 2.49 (m, 4H), 1.55 (s, 9H), 1.45 (m, 3H).
[단계-4] 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의 제조
Figure pat00117
상기 [단계-3]에서 제조한 에틸 2-((터트-부톡시카보닐)아미노)-4-(모르폴리노메틸)벤조에이트 (2.1 g, 5.73 mmol), 아세토니트릴 (21 mL, 402.5 mmol)을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N 염산 21 mL에 녹이고 이를 sealed tube를 사용하여 9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필터에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감압하에 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1.2 g을 8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2.17 (m, 1H), 8.04 (d, 1H), 7.49 (s, 1H), 7.42 (m, 1H), 3.61 (m, 6H), 2.52 (m, 4H), 2.39 (m, 3H).
[단계-5] 2-메틸-7-(모르폴리노메틸)-6-니트로퀴나졸린-4-올의 제조
Figure pat00118
상기 [단계-4]에서 수득한 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 (1.2 g, 4.62 mmol)을 황산 12 mL에 녹이고, 질산 2.4 mL를 0 ℃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를 7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뒤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디클로로메탄으로 녹이고, 저온에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유기층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2 g을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2.57 (m, 1H), 8.49 (s, 1H), 7.79 (s, 1H), 3.86 (s, 2H), 3.55 (m, 4H), 2.52 (m, 3H), 2.39 (m, 4H).
[단계-6] 6-아미노-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의 제조
Figure pat00119
상기 [단계-5]에서 수득한 2-메틸-7-(모르폴리노메틸)-6-니트로퀴나졸린-4-올 (450 mg, 1.47 mmol), 아연 분진 (340 mg, 5.14 mmol)을 다이옥산:증류수(4:1) 5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0.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교반 후 반응 용액을 0 ℃로 냉각하고 염화 암모늄 (400 mg, 7.35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결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에 증류수를 넣고 (1:1 (v/v)),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은 감압 하에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30 mg을 8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11.76 (m, 1H), 7.26 (d, 2H), 5.62 (s, 2H), 3.60 (m, 6H), 2.38 (m, 4H), 2.26 (s, 3H).
[단계-7] 2-메틸-6-(메틸아미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의 제조
Figure pat00120
상기 [단계-6]에서 수득한 6-아미노-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 (155 mg, 0.56 mmol), 메틸 아이오다이드 (70 mg, 0.50 mmol), 탄산 칼슘 (84 mg, 0.84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2 mL에 녹이고 이를 50 ℃에서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13: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 mg을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9.75 (s, 1H), 7.38 (s, 1H), 7.27 (s, 1H), 6.41 (d, 1H), 3.73 (m, 6H), 2.98 (d, 3H), 2.50 (s, 3H), 2.47 (m, 4H).
[단계-8] 2-메틸-6-(메틸아미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일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설포네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21
상기 [단계-7]에서 수득한 2-메틸-6-(메틸아미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올 (30 mg, 0.10 mmol),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48 mg, 0.12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3 mg, 0.01 mmol), 트리에틸아민 (0.04 mL, 0.30 mmol)을 디클로로메탄 2 mL에 녹이고 이를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고,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15: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5 mg을 43% 수율로 수득하였다.
[단계-9] ( R )- N 4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 N 6 ,2-디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6-디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22
상기 [단계-8]에서 제조한 2-메틸-6-(메틸아미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일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설포네이트 (25 mg, 0.04 mmol),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15 mg, 0.05 mmol), 트리에틸아민 (0.025 mL, 0.18 mmol)을 DMF 2 mL에 녹이고, 이를 90 ℃에서 2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적가하였다.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15: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 mg을 1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52 (s, 1H), 7.11 (s, 1H), 7.00 (m, 1H), 6.82 (s, 1H), 6.49 (m, 2H), 5.71 (m, 1H), 3.89 (s, 2H), 3.71 (m, 6H), 2.97 (s, 3H), 2.59 (s, 3H), 2.44 (m, 4H), 1.71 (d, 3H).
MS (ESI+, m/z): 475.2 [M+H]+
실시예 50: ( R )-(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23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4-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235 mg, 0.9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3 mg을 1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38 (s, 1H), 7.32 (s, 1H), 7.09 (m, 2H), 6.95 (m, 1H), 6.81 (m, 1H), 5.75 (m, 1H), 3.68 (m, 8H), 2.98 (s, 3H), 2.41 (s, 3H), 1.68 (d, J = 6.9 Hz, 3H).
MS (ESI+, m/z): 507.2 [M+H]+
실시예 51: ( R )-(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24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270 mg, 1.2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70 mg을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9.15 (d, 1H), 7.34 (d, 2H), 7.03-6.66 (m, 3H), 6.62 (s, 1H), 5.81 (d, 1H), 5.73 (m, 1H), 5.45 (d, 2H), 3.68-3.51(m, 6H), 3.32(s, 2H), 2.88 (d, 3H), 2.48 (s, 3H), 1.62 (d, 3H).
MS (ESI+, m/z): 471.2 [M+H]+
실시예 52: ( R )-(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25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여져 있는 2.0M 에틸아민 (23 mL, 47 mmol)을 사용하는 것과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230 mg, 0.9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55 mg을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53 (s, 1H), 7.41 (d, 2H), 7.27-6.90 (m, 1H), 6.76 (d, 1H), 6.63 (m, 1H), 5.81 (m, 1H), 5.36 (s, 1H), 5.27 (d, 2H), 3.64(s, 6H), 3.32(m, 4H), 2.37 (s, 3H), 1.60 (d, 3H), 1.28 (m, 3H).
MS (ESI+, m/z): 503.2 [M+H]+
실시예 53: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Figure pat00126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아졸리딘 (24 mg,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6 mg을 1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10 (d, 1H), 7.36 (s, 1H), 7.22 (s, 1H), 6.90 (d, 2H), 6.70 (s, 1H), 5.61-5.53 (m, 4H), 4.55 (m, 2H), 3.72 (m, 2H), 3.04 (m, 2H), 2.87 (m, 3H), 2.34 (s, 3H), 1.58 (d, 3H).
MS (ESI+, m/z): 491.2 [M+H]+
실시예 54: ( R )-(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27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퓨란-3-일)아닐린 염산염 (233 mg, 0.9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5 mg을 3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80 (s, 1H), 7.52 (s, 1H), 7.38 (s, 1H), 7.29 (s, 1H), 7.01 (s, 1H), 6.77 (s, 1H), 6.75 (s, 1H), 6.72 (s, 1H), 5.67 (m, 1H), 3.66 (m, 8H), 2.96 (s, 3H), 2.46 (s, 3H), 1.67 (d, J = 7.2 Hz, 3H).
MS (ESI+, m/z): 487.2 [M+H]+
실시예 55: ( R )-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28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이소프로필아민 (2.7 mL, 31.4 mmol)을 사용하는 것과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224 mg, 0.9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0 mg을 2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03 (d, 1H), 7.40 (s, 1H), 7.27 (s, 1H), 7.07 (t, 1H), 6.73 (m, 1H), 6.58 (m, 1H), 5.71 (m, 1H), 5.17 (s, 2H), 4.80 (m, 1H), 3.94 (m, 1H), 3.72 (m, 8H), 2.28 (s, 3H), 1.55 (d, 3H), 1.23 (m, 6H).
MS (ESI+, m/z): 517.2 [M+H]+
실시예 56: ( R )-(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29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2-메톡시에탄-1-아민 (3.5 g, 47.2 mmol)을 사용하는 것과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235 mg, 0.9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5 mg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06 (d, 1H), 7.40 (s, 1H), 7.30 (s, 1H), 7.07 (t, 1H), 6.74 (m, 1H), 6.59 (m, 1H), 5.72 (m, 1H), 5.21 (m, 3H), 3.60 (m, 8H), 3.42 (m, 4H), 3.31 (s, 3H), 2.29 (s, 3H), 1.55 (d, 3H).
MS (ESI+, m/z): 533.2 [M+H]+
실시예 57: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pat00130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1-메틸피페라진 (0.03 mL, 0.2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0 mg을 1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32 (s, 1H), 7.26 (d, 2H), 6.90 (d, 2H), 6.71 (s, 1H), 5.64-5.46 (m, 4H), 3.74 (m, 4H), 2.87 (d, 3H), 2.38-2.26 (m, 10H), 1.60 (d, 3H).
MS (ESI+, m/z): 502.2 [M+H]+
실시예 58: (4-((( R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 H -퓨로[3,4-c]피롤-5(3 H )-일)메탄온
Figure pat00131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 (30 mg, 0.2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8 mg을 3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9.12 (m, 1H), 7.36 (d, 2H), 6.90 (d, 2H), 6.74 (s, 1H), 5.88-5.60 (m, 4H), 3.80-3.45 (m, 8H), 2.92 (m, 5H), 2.48 (s, 3H), 1.60 (d, 3H).
MS (ESI+, m/z): 515.2 [M+H]+
실시예 59: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32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오모르폴리노 1,1-디옥사이드 (35 mg,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5 mg을 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42 (s, 1H), 7.27 (s, 1H), 6.99 (m, 2H), 6.80 (m, 1H), 5.64 (m, 1H), 3.22 (m, 8H), 2.94 (s, 3H), 2.44 (s, 3H), 1.65 (d, 3H).
MS (ESI+, m/z): 537.2 [M+H]+
실시예 60: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33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오모르폴린 (0.03 mL,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2 mg을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07 (d, 1H), 7.25 (s, 1H), 7.19 (s, 1H), 6.90 (d, 2H), 6.70 (s, 1H), 5.60-5.53 (m, 3H), 5.36 (m, 1H), 3.89 (m, 2H), 3.50 (m, 2H), 2.85 (m, 3H), 2.73 (m, 2H), 2.53 (m, 2H), 2.34 (s, 3H), 1.55 (d, 3H).
MS (ESI+, m/z): 505.2 [M+H]+
실시예 61: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Figure pat00134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피페라진(100 mg, 0.5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0 mg을 13%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06 (d, 1H), 7.21 (d, 2H), 6.90 (d, 2H), 6.70 (s, 1H), 5.64-5.33 (m, 4H), 3.61 (m, 2H), 3.18 (m, 2H), 2.86 (d, 3H), 2.78-2.55 (m, 4H), 2.34 (s, 3H), 1.58(d, 3H).
MS (ESI+, m/z): 488.2 [M+H]+
실시예 62: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Figure pat00135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아제티딘 염산염 (24 mg,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2 mg을 1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16 (m, 1H), 7.42 (s, 1H), 7.20 (s, 1H), 6.88 (m, 2H), 6.69 (s, 1H), 6.35 (m, 1H), 5.56 (m, 3H), 4.12 (m, 2H), 4.04 (m, 2H) 2.87 (m, 3H), 2.34 (s, 3H), 2.22 (m, 2H), 1.56 (d, 3H).
MS (ESI+, m/z): 459.2 [M+H]+
실시예 63: (4-((( R )-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 H -퓨로[3,4-c]피롤-5(3 H )-일)메탄온
Figure pat00136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230 mg, 0.96 mmol)을 사용하는 것과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 (30 mg, 0.2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40 mg을 3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9.56 (m, 1H), 7.44 (d, 2H), 7.27-6.91 (m, 1H), 6.80 (d, 1H), 6.67 (m, 1H), 6.06-5.32 (m, 4H), 3.80-3.43 (m, 8H), 2.91 (m, 5H), 2.50 (s, 3H), 1.65 (d, 3H).
MS (ESI+, m/z): 515.2 [M+H]+
실시예 64: ( R )-(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37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235 mg, 0.98 mmol)을 사용하는 것과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오모르폴리노 1,1-디옥사이드 (35 mg, 0.2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8 mg을 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09 (m, 1H), 7.41 (s, 1H), 7.26 (t, 1H), 6.75 (m, 2H), 6.59 (m, 1H), 5.72 (m, 1H), 5.19 (m, 2H), 4.07 (m, 2H), 3.58 (m, 2H), 3.31 (m, 2H), 3.19 (m, 2H), 2.87 (m, 3H), 2.29 (s, 3H), 1.55 (d, 3H).
MS (ESI+, m/z): 537.2 [M+H]+
실시예 65: ( R )-(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38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메틸아닐린 염산염 (165 mg, 0.9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3.5 mg을 1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37 (s, 1H), 7.28 (s, 1H), 6.66 (m, 2H), 6.47 (s, 1H), 5.65 (m, 1H), 3.98 (m, 8H), 2.96 (s, 3H), 2.48 (s, 3H), 2.24 (s, 3H), 1.66 (s, 3H).
MS (ESI+, m/z): 435.2 [M+H]+
실시예 66: (4-((( R )-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 H -퓨로[3,4-c]피롤-5(3 H )-일)메탄온
Figure pat00139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2-메톡시에틸아민 (4.1 mL, 47.15 mmol)을 사용하는 것과 상기 실시예 49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190 mg, 0.76 mmol)을 사용하는 것과 상기 실시예 49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 (22 mg, 0.1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40 mg을 36%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63 (m, 1H), 7.46 (d, 2H), 7.09-6.91 (m, 1H), 6.76 (d, 1H), 6.63 (m, 1H), 5.78-5.24 (m, 4H), 4.11-3.32 (m, 15H), 2.91 (m, 2H), 2.37 (s, 3H), 1.60 (d, 3H).
MS (ESI+, m/z): 559.2 [M+H]+
실시예 67: ( R )-(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40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2-메톡시에탄-1-아민 (3.5 g, 47.2 mmol)을 사용하는 것과 [단계-7]에서 (R)-3-(1-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염산염 대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염산염 (235 mg, 0.98 mmol)을 사용하는 것과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오모르폴리노 1,1-디옥사이드 (29 mg, 0.2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2 mg을 2%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40 (s, 1H), 7.38 (s, 1H), 6.88 (t, 1H), 6.85 (m, 1H), 6.77 (m, 1H), 5.77 (m, 1H), 4.59 (m, 4H), 3.69 (m, 6H), 3.48 (m, 2H), 3.42 (s, 3H), 2.39 (s, 3H), 1.65 (d, 3H).
MS (ESI+, m/z): 581.2 [M+H]+
실시예 68: ( R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Figure pat00141
상기 실시예 49 [단계-3]에서 메틸아민 염산염 대신 2-메톡시에탄-1-아민 (3.5 g, 47.2 mmol)을 사용하는 것과 [단계-8]에서 모르폴린 대신 티오모르폴리노 1,1-디옥사이드 (55 mg, 0.4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의 과정을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 18 mg을 8%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8.07 (m, 1H), 7.42 (s, 1H), 7.32 (s, 1H), 6.87 (m, 2H), 6.69 (s, 1H), 5.56 (m, 3H), 5.31 (m, 1H), 3.59 (m, 2H), 3.41 (m, 4H), 3.29 (m, 9H), 2.33 (s, 3H), 1.55 (d, 3H).
MS (ESI+, m/z): 581.2 [M+H]+
실시예 69: ( R )- N 4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 N 7 -(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퀴나졸린-4,7-디아민
[단계-1] 메틸 5-메톡시-2-니트로-4((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 아미노) 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42
메틸-브로모-5-메톡시-2-니트로벤조에이트 (800 mg, 2.75 mmol), 4-아미노테트라히드로피란 염산염 (455 mg, 3.30 mmol), Pd2(OAc)2 (43 mg, 0.19 mmol), (±) BINAP (120 mg, 0.19 mmol), 탄산세슘 (3.14 g, 9.64 mmol)을 1,4-다이옥산 16 mL에 녹이고 10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한 후,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70 mg을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07 (s, 1H), 6.89 (s, 1H), 4.69 (m, 1H), 4.01 (m, 2H), 3.95 (s, 3H), 3.85 (s, 3H), 3.54 (m, 2H), 2.03 (m, 2H), 1.54 (m, 2H).
[단계-2] 메틸 2-아미노-5-메톡시-4((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 아미노) 벤조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143
상기 [단계-1]에서 수득한 메틸 5-메톡시-2-니트로-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아미노) 벤조에이트 (970 mg, 3.12 mmol), 철 (715 mg, 10.94 mmol)을 1,4-다이옥산:증류수 (4:1) 10 mL에 녹이고 이를 0 ℃로 낮추었다. 염화 암모늄 (836 mg, 15.62 mmol)을 반응액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로 충진된 필터에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에 물을 적가한 후,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MPLC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50 mg을 97%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6.88 (s, 1H), 5.53 (s, 1H), 5.24 (s, 2H), 3.35 (m, 1H), 3.72 (m, 2H), 3.54 (m, 6H), 3.26 (m, 2H), 1.74 (m, 2H), 1.26 (m, 2H).
[단계-3] 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아미노)퀴나졸린-4-올의 제조
Figure pat00144
상기 [단계-2]에서 수득한 메틸 2-아미노-5-메톡시-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아미노) 벤조에이트 (850 mg, 3.03 mmol)를 아세토니트릴 3 mL에 녹이고, 다이옥산에 녹여져 있는 4N 염산 용액 6 mL를 적가하였다. 이를 80 ℃에서 2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고체화 시켜 감압하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830 mg을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d 6 ): δ 7.23 (s, 1H), 6.62 (s, 1H), 5.52 (m, 1H), 3.85 (m, 5H), 3.63 (m, 1H), 3.49 (m, 1H), 2.25 (s, 3H), 1.89 (m, 2H), 1.54 (m, 2H).
[단계-4] 4-클로로-6-메톡시-2-메틸- N -(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퀴나졸린-7-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45
상기 [단계-3]에서 수득한 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퀴나졸린-4-올 (200 mg, 0.69 mmol)을 염화포스포릴 2 mL에 녹이고, 이를 100 ℃에서 1시간 동안 환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였다,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추가 정제 과정없이 다음 단계를 진행하였다.
[단계-5] ( R )- N 4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 N 7 -(테트라히드로-2 H -피란-4-일)퀴나졸린-4,7-디아민의 제조
Figure pat00146
상기 [단계-4]에서 제조한 4-클로로-6-메톡시-2-메틸-N-(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 퀴나졸린-7-아민 (130 mg, 0.42 mmol)을 DMF 2 mL에 녹이고, (R)-3-(1-아미노에틸)-5-(디플루오로메틸)-4-플루오로아닐린 (163 mg, 0.67 mmol), DIPEA (0.23 mL, 1.26 mmol)을 가하고, 이를 90 ℃에서 13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을 적가 한 후,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23:1(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 mg을 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3OD): δ 7.52 (s, 1H), 6.96 (m, 2H), 6.80 (m, 1H), 6.61 (s, 1H), 5.63 (m, 1H), 3.98 (m, 5H), 3.68 (m, 1H), 3.58 (m, 2H), 2.44 (s, 3H), 2.04 (m, 2H), 1.67 (m, 5H).
MS (ESI+, m/z): 476.2 [M+H]+
화합물 번호 구조 명명 MS[M+H]+
1H-NMR 스펙트럼 (300MHz)
1
Figure pat00147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90.2
1H-NMR (300 MHz, DMSO-d 6 ): δ 8.29 (d, 1H), 7.85 (s, 1H), 7.40 (s, 1H), 6.90 (d, 2H), 6.71 (s, 1H), 5.62 (m, 1H), 5.57 (s, 2H), 3.94 (s, 3H), 3.50 (m, 4H), 3.37 (m, 2H), 3.11 (m, 2H), 2.50 (s, 3H), 1.58 (m, 3H).
2
Figure pat00148
(6-메톡시-2-메틸-4-((1-(4-(2-((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32.2
1H-NMR (300 MHz, DMSO-d 6 ): δ 8.45 (m, 1H), 7.81 (s, 1H), 7.48 (m, 3H), 7.29 (m, 4H), 6.00 (m, 1H), 4.09 (m, 3H), 3.65 (m, 4H), 3.58 (m, 2H), 3.50 (m, 2H), 3.11 (m, 2H), 2.51 (m, 3H), 2.23 (s, 3H), 1.94 (m, 1H), 1.71 (m, 3H).
3
Figure pat00149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R, 5S)-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517.3
1H-NMR (300 MHz, DMSO-d 6 ): δ 8.28 (d, 1H), 7.84 (m, 1H), 7.36 (d, 1H), 6.93 (m, 2H), 6.72 (s, 1H), 5.62 (m, 3H), 4.41 (m, 1H), 3.92 (s, 3H), 3.07 (m, 1H), 2.68 (m, 3H), 2.40 (d, 3H), 2.28 (m, 3H), 1.60 (m, 3H), 1.03 (d, 3H), 0.82 (m, 3H).
4
Figure pat00150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506.2
1H-NMR (300 MHz, DMSO-d 6 ): δ 8.27 (d, 1H), 7.85 (d, 1H), 7.41 (s, 1H), 6.88 (m, 2H), 6.71 (s, 1H), 5.59 (m, 3H), 3.88 (m, 5H), 3.36 (m, 2H), 2.73 (m, 2H), 2.50 (m, 2H), 2.38 (s, 3H), 1.58 (m, 3H).
5
Figure pat00151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516.2
1H-NMR (300 MHz, CD3OD): δ 7.82 (s, 1H), 7.52 (s, 1H), 7.00 (m, 2H), 6.83 (s, 1H), 5.66 (m, 1H), 4.02 (s, 3H), 3.94 (m, 2H), 3.84 (m, 2H), 3.66 (m, 2H), 3.18 (m, 4H), 2.49 (s, 3H), 1.67 (d, J = 6.9 Hz, 3H).
6
Figure pat00152
(R)-(4-((1-(3-(디플루오로메틸)-2- 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75.2
1H-NMR (300 MHz, DMSO-d 6 ): δ 8.40 (m, 1H), 7.89 (s, 1H), 7.68 (m, 1H), 7.66 (m, 1H), 7.50 (s, 1H), 7.40-7.06 (m, 2H), 5.82 (m, 1H), 3.97 (s, 3H), 3.50 (m, 4H), 3.42 (m, 2H), 3.29 (m, 2H), 2.33 (s, 3H), 1.64 (m, 3H).
7
Figure pat00153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460.2
1H-NMR (300 MHz, DMSO-d 6 ): δ 8.28 (d, 1H), 7.83 (s, 1H), 7.43 (s, 1H), 6.90 (d, 2H), 6.71 (s, 1H), 5.64 (m, 3H), 4.06 (m, 2H), 3.95 (s, 3H), 3.88 (m, 2H), 2.42 (s, 3H), 2.28 (m, 2H), 1.59 (d, 3H).
8
Figure pat00154
(6-메톡시-2-메틸-4-((1-(4-(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일)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44.2
1H-NMR (300 MHz, CD3OD): δ 7.77 (s, 1H), 7.54 (s, 1H), 7.13 (m, 5H), 6.00 (m, 1H), 4.13 (s, 3H), 3.82 (m, 4H), 3.61 (m, 2H), 3.32 (m, 2H), 3.13 (m, 2H), 2.87 (m, 4H), 2.57 (s, 3H), 1.83 (m, 3H).
9
Figure pat00155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489.2
1H-NMR (300 MHz, CD3OD): δ 8.09 (s, 1H), 7.61 (s, 1H), 6.98 (m, 2H), 6.84 (s, 2H), 5.79 (m, 1H), 4.06 (m, 5H), 3.54 (m, 2H), 3.34 (m, 2H), 3.20 (m, 2H), 2.65 (s, 3H), 1.74 (d, 3H).
10
Figure pat00156
(R)-2,2,2-트리플루오로-N-(3-(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타마이드 586.2
1H-NMR (300 MHz, CD3OD): δ 8.11-8.08 (d, 1H), 7.91-7.88 (d, 1H), 7.88 (s, 1H), 7.66 (s, 1H), 7.52 (s, 1H), 5.74 (m, 1H), 4.86 (s, 6H), 4.03 (s, 3H), 3.79 (m, 4H), 3.63 (m, 2H), 3.32 (m, 2H), 2.47 (s, 3H), 1.76 (d, 3H).
11
Figure pat00157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플루오로아제티딘-1-일)메탄온 478.2
1H-NMR (300 MHz, CD3OD): δ 8.03 (s, 1H), 7.64 (s, 1H), 7.00 (m, 2H), 6.85 (s, 1H), 5.78 (m, 1H), 5.34 (m, 1H), 4.51 (m, 1H), 4.28 (m, 3H), 4.08 (s, 3H), 2.63 (s, 3H), 1.74 (d, 3H).
12
Figure pat00158
(4-((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 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46.2
1H-NMR (300 MHz, CD3OD): δ 7.77 (s, 1H), 7.49 (m, 2H), 7.39 (m, 3H), 7.26 (s, 1H), 7.17 (s, 1H), 6.09 (m, 1H), 3.97 (m, 5H), 3.77 (m, 4H), 3.62 (m, 2H), 3.26 (m, 2H), 2.55 (s, 3H), 2.38 (s, 6H), 1.84 (d, 3H).
13
Figure pat00159
(4-((1-(4-(2-((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18.2
1H-NMR (300 MHz, CD3OD): δ 7.78 (s, 1H), 7.52 (m, 2H), 7.30 (m, 5H), 6.10 (m, 1H), 4.57 (s, 2H), 3.98 (s, 3H), 3.76 (m, 4H), 3.62 (m, 2H), 3.26 (m, 2H), 2.56 (s, 3H), 1.82 (d, 3H).
14
Figure pat00160
(4-((1-(4-(2-((히드록시메틸)페닐)티오펜-2-일) 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19.2
1H-NMR (300 MHz, CD3OD): δ 7.76 (s, 1H), 7.51 (m, 2H), 7.31 (m, 5H), 6.10 (m, 1H), 4.57 (s, 2H), 3.98 (s, 3H), 3.76 (m, 4H), 3.60 (m, 2H), 3.27 (m, 2H), 2.55 (s, 3H), 1.24 (d, 3H).
15
Figure pat00161
(R)-(6-메톡시-2-메틸-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 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75.2
1H-NMR (300 MHz, DMSO-d 6 ): δ 8.38 (d, 1H), 7.85 (s, 2H), 7.78 (d, 1H), 7.60 (d, 2H), 7.41 (s, 1H), 5.74 (m, 1H), 3.96 (s, 3H), 3.65 (m, 4H), 3.49 (m, 2H), 3.12 (m, 2H), 2.37 (s, 3H), 1.67 (m, 3H).
16
Figure pat00162
(R)-(4-((1-(5-아미노-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4.2
1H-NMR (300 MHz, DMSO-d 6 ): δ 8.36 (d, 1H), 7.91 (s, 1H), 7.39 (s, 1H), 6.92 (d, 2H), 6.79 (s, 1H), 5.68 (m, 1H), 5.25 (s, 2H), 3.96 (s, 3H), 3.65 (m, 4H), 3.51 (m, 2H), 3.12 (m, 2H), 2.38 (d, 6H), 1.55 (m, 3H).
17
Figure pat00163
(R)-(4-((1-(3-아미노-5-(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40.2
1H-NMR (300 MHz, CD3OD): δ 8.00 (s, 1H), 7.53 (s, 1H), 6.58 (s, 1H), 6.44 (m, 1H), 6.31 (m, 1H), 5.73 (m, 1H), 4.04 (s, 3H), 3.76 (m, 4H), 3.61 (m, 2H), 3.27 (m, 2H), 2.61 (s, 3H), 1.69 (d, 3H).
18
Figure pat00164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538.1
1H-NMR (300 MHz, CD3OD): δ 7.85 (s, 1H), 7.58 (s, 1H), 7.01 (m, 2H), 6.83 (s, 1H), 5.67 (m, 1H), 4.26 (m, 2H), 4.03 (s, 3H), 3.68 (m, 2H), 3.24 (m, 2H), 3.13 (m, 2H), 2.50 (s, 3H), 1.67 (d, J = 6.9 Hz, 3H).
19
Figure pat00165
(R)-(4-((1-(3-아미노-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52.2
1H-NMR (300 MHz, DMSO-d 6 ): δ 8.24 (m, 1H), 7.92 (s, 1H), 7.38 (s, 1H), 6.78 (m, 1H), 6.67 (m, 1H), 6.57 (m, 1H), 5.92 (m, 1H), 4.92 (m, 2H), 3.97 (s, 3H), 3.90 (d, 3H), 3.65 (m, 4H), 3.51 (m, 2H), 3.13 (m, 2H), 2.34 (s, 3H), 1.52 (m, 3H).
20
Figure pat00166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492.2
1H-NMR (300 MHz, DMSO-d 6 ): δ 8.31 (d, 1H), 7.88 (s, 1H), 7.44 (s, 1H), 6.90 (d, 2H), 6.72 (s, 1H), 5.63 (m, 3H), 4.64 (s, 1H), 4.22 (s, 1H), 3.95 (s, 3H), 3.86 (m, 1H), 3.45 (m, 1H), 3.12 (m, 1H), 2.99 (m, 1H), 2.39 (s, 3H), 1.60 (d, 3H).
21
Figure pat00167
(R)-(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36.2
1H-NMR (300 MHz, DMSO-d 6 ): δ 8.20 (m, 1H), 7.87 (s, 1H), 7.39 (s, 1H), 6.63 (m, 2H), 6.48 (m, 1H), 5.60 (m, 1H), 4.92 (m, 2H), 3.94 (d, 3H), 3.65 (s, 4H), 3.54 (m, 2H), 3.12 (m, 2H), 2.40 (d, 3H), 2.20 (d, 3H), 1.55 (m, 3H).
22
Figure pat00168
(R)-3-아미노-5-(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447.2
1H-NMR (300 MHz, CD3OD): δ 7.80 (s, 1H), 7.49 (s, 1H), 7.02 (m, 2H), 6.80 (s, 1H), 5.58 (m, 1H), 4.01 (s, 3H), 3.76 (m, 4H), 3.61 (m, 2H), 3.27 (m, 2H), 2.47 (s, 3H), 1.64 (d, 3H)
23
Figure pat00169
(R)-(4-((1-(2,3-디히드로-1H-인덴-4-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47.2
1H-NMR (300 MHz, DMSO-d 6 ): δ 8.29 (m, 1H), 7.86 (s, 1H), 7.37 (s, 1H), 7.27 (m, 1H), 7.09 (s, 1H), 5.63 (m, 1H), 3.95 (s, 3H), 3.64 (m, 4H), 3.48 (m, 2H), 3.32 (m, 2H), 2.95 (m, 2H), 2.36 (s, 3H), 2.09 (m, 2H), 1.58 (m, 3H)
24
Figure pat00170
(R)-(4-((1-(3-아미노-5-사이클로프로필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62.2
1H-NMR (300 MHz, DMSO-d 6 ): δ 8.18 (d, 1H), 7.86 (s, 1H), 7.38 (s, 1H), 6.41 (s, 2H), 6.10 (s, 1H), 5.55 (m, 1H), 4.89 (s, 2H), 3.95 (s, 3H), 3.65 (m, 4H), 3.50 (m, 2H), 3.38 (m, 2H), 3.11 (s, 2H), 2.39 (s, 3H), 1.83 (m, 1H), 1.53 (m, 3H), 0.83 (m, 2H), 0.55 (m, 2H)
25
Figure pat00171
(R)-(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8.1
1H-NMR (300 MHz, CD3OD): δ 7.84 (m, 1H), 7.47 (s, 1H), 6.92 (m, 1H), 6.77 (m, 1H), 5.72 (m, 1H), 4.00 (s, 3H), 3.78 (m, 4H), 3.57 (m, 2H), 3.22 (m, 2H), 2.39 (m, 3H), 1.64 (d, J = 7.4 Hz, 3H).
26
Figure pat00172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 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90.2
1H-NMR (300 MHz, DMSO-d 6 ): δ 8.30 (m, 1H), 7.92 (s, 1H), 7.41 (s, 1H), 7.09 (m, 1H), 6.79 (d, 1H), 6.63 (m, 1H), 5.78 (m, 1H), 5.20 (s, 2H), 3.97 (s, 3H), 3.66 (s, 4H), 3.54 (m, 2H), 3.13 (m, 2H), 2.35 (s, 3H), 1.60 (m, 3H).
27
Figure pat00173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S)-테트라히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46.2
1H-NMR (300 MHz, CD3OD): δ 7.79 (m, 1H), 7.58 (s, 1H), 7.52 (s, 1H), 7.01 (m, 1H), 6.83 (s, 1H), 5.67 (m, 1H), 5.25 (m, 1H), 3.94 (m, 4H), 3.81 (m, 4H), 3.62 (m, 2H), 3.34 (m, 2H), 2.49 (s, 3H), 2.38 (m, 2H), 1.68 (d, J = 5.4 Hz, 3H).
28
Figure pat00174
(R)-(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88.2
1H-NMR (300 MHz, CD3OD): δ 8.04 (s, 1H), 7.80 (s, 1H), 7.51 (m, 2H), 6.97 (s, 1H), 6.83 (s, 1H), 6.74 (m, 2H), 5.80 (m, 1H), 4.04 (s, 3H), 3.78 (m, 4H), 3.61 (m, 2H), 3.27 (m, 2H), 2.64 (s, 3H), 1.75 (d, 3H)
29
Figure pat00175
(R)-(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72.2
1H-NMR (300 MHz, CD3OD): δ 7.82 (s, 1H), 7.49 (s, 1H), 6.91 (s, 2H), 6.58 (s, 1H), 6.39 (m, 1H), 5.68 (m, 1H), 4.00 (s, 3H), 3.76 (m, 4H), 3.60 (m, 2H), 3.27 (m, 2H), 2.49 (s, 3H), 1.67 (d, 3H)
30
Figure pat00176
(R)-(4-((1-(3-아미노-5-(티아졸-5-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5.2
1H-NMR (300 MHz, CD3OD): δ 8.89 (s, 1H), 8.06 (d, 1H), 7.81 (s, 1H), 7.49 (s, 1H), 7.06 (s, 1H), 6.87 (s, 1H), 6.84 (m, 1H), 5.65 (m, 1H), 4.00 (s, 3H), 3.78 (m, 4H), 3.61 (m, 2H), 3.27 (m, 2H), 2.48 (s, 3H), 1.69 (d, 3H)
31
Figure pat00177
(R)-(4-((1-(3-(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18.2
1H-NMR (300 MHz, CD3OD): δ 7.82 (d, 1H), 7.51 (s, 1H), 6.98 (d, 2H), 6.71 (s, 1H), 5.68 (m, 1H), 4.02 (s, 3H), 3.77 (m, 4H), 3.63 (m, 2H), 3.35 (m, 2H), 3.28 (m, 2H), 2.49 (s, 3H), 1.68 (d, J = 6.9 Hz, 3H), 1.25 (m, 3H).
32
Figure pat00178
메틸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34.2
1H-NMR (300 MHz, DMSO-d 6 ): δ 8.31 (m, 1H), 7.86 (s, 1H), 7.41 (s, 1H), 6.89 (m, 2H), 6.71 (s, 1H), 5.57 (m, 3H), 4.28 (m, 2H), 3.94-3.50 (m, 8H), 3.37 (m, 3H), 3.16 (m, 2H), 2.39 (s, 3H), 1.59 (m, 3H).
33
Figure pat00179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플루오로메틸)-6-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8.2
1H-NMR (300 MHz, CD3OD): δ 7.92 (s, 1H), 7.68 (s, 1H), 7.00 (m, 2H), 6.83 (s, 1H), 5.68 (m, 1H), 5.51 (m, 1H), 5.39 (m, 1H), 4.01 (s, 3H), 3.79 (m, 4H), 3.63 (m, 2H), 3.23 (m, 2H), 1.69 (d, J = 7.2 Hz, 3H).
34
Figure pat00180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476.2
1H-NMR (300 MHz, DMSO-d 6 ): δ 8.11 (d, 1H), 7.71 (s, 1H), 7.57 (s, 1H), 6.85 (m, 2H), 6.69 (s, 1H), 5.57 (m, 3H), 3.92 (s, 3H), 3.61 (m, 4H), 3.57(s, 2H), 2.44 (m, 4H), 2.36 (s, 3H), 1.56 (d, 3H)
35
Figure pat00181
(R)-N-(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476.2
1H-NMR (300 MHz, DMSO-d 6 ): δ 8.11 (d, 1H), 7.76 (s, 1H), 7.55 (s, 1H), 7.06 (t, 1H), 6.74 (m, 1H), 6.58 (m, 1H), 5.72 (m, 3H), 5.16 (s, 2H), 3.94 (s, 3H), 3.60 (m, 4H), 3.56(s, 2H), 2.42 (m, 4H), 2.31 (s, 3H), 1.55 (d, 3H)
36
Figure pat00182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477.2
1H-NMR (300 MHz, CD3OD): δ 7.67 (s, 1H), 7.06 (s, 1H), 6.99 (m, 2H), 6.82 (s, 1H), 5.64 (m, 1H), 4.74 (m, 1H), 4.12 (m, 5H), 3.66 (m, 2H), 2.46 (s, 3H), 2.16 (m, 2H), 1.86 (m, 2H), 1.67 (d, 3H)
37
Figure pat00183
(R)-N-(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477.2
1H-NMR (300 MHz, CD3OD): δ 7.73 (s, 1H), 7.09 (s, 1H), 6.79 (m, 3H), 5.81 (m, 1H), 4.59 (m, 1H), 3.99 (m, 5H), 3.66 (m, 2H), 2.42 (s, 3H), 2.17 (m, 2H), 1.73 (m, 2H), 1.62 (d, 3H)
38
Figure pat00184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491.2
1H-NMR (300 MHz, CD3OD): δ 7.46 (s, 1H), 7.00 (s, 3H), 6.83 (s, 1H), 5.67(q, 1H), 4.08~4.10 (m, 7H), 3.73(m, 2H), 3.50 (t, 2h\H), 2.54 (s, 3H), 1.89(m, 2H), 1.68(d, 3H), 1.57(m, 2H)
39
Figure pat00185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옥세탄-3-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463.2
1H-NMR (300 MHz, DMSO-d 6 ): δ 8.00 (d, 1H), 7.71 (s, 1H), 7.10 (s, 1H), 6.89 (d, 2H), 6.70 (s, 1H), 5.59 (m, 3H), 4.76 (m, 2H), 4.47 (m, 2H), 4.34 (m, 2H), 3.90 (s, 3H), 3.50 (m, 1H), 2.36 (s, 3H), 1.57 (d, 3H)
40
Figure pat00186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89.2 [M+H]+
1H-NMR (300 MHz, CD3OD): δ 7.38 (s, 1H), 7.28 (s, 1H), 6.99 (m, 2H), 6.82 (s, 1H), 5.67 (m, 1H), 3.73 (m, 8H), 2.96 (s, 3H), 2.46 (s, 3H), 1.67 (d, J = 7.2 Hz, 3H).
41
Figure pat00187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디메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3.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7.77 (d, 1H), 7.38 (s, 1H), 6.90 (d, 2H), 6.74 (s, 1H), 5.68 (m, 3H), 3.77 (m, 6H), 3.11 (m, 2H), 2.87 (d, 6H), 2.47 (s, 3H), 1.63 (m, 3H).
42
Figure pat00188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피롤리딘-1-일)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29.3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17 (d, 1H), 7.34 (m, 2H), 6.90 (d, 2H), 6.70 (s, 1H), 5.65 (m, 3H), 3.76 (m, 6H), 3.28 (m, 6H), 2.35 (d, 3H), 1.98 (m, 4H), 1.58 (m, 3H).
43
Figure pat00189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89.2 [M+H]+
1H-NMR (300 MHz, CD3OD): δ 7.38 (s, 1H), 7.32 (s, 1H), 7.09 (m, 2H), 5.78 (m, 1H), 3.67 (m, 8H), 2.98 (s, 3H), 2.42 (s, 3H), 1.67 (d, J = 7.2 Hz, 3H).
44
Figure pat00190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33.2 [M+H]+
1H-NMR (300 MHz, CD3OD): δ 7.39 (m, 2H), 6.99 (m, 1H), 6.83 (s, 1H), 5.65 (m, 1H), 3.76 (m, 8H), 3.68 (m, 4H), 3.66 (s, 3H), 2.52 (s, 3H), 1.66 (d, J = 6.9 Hz, 3H).
45
Figure pat00191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시클로펜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43.2 [M+H]+
1H-NMR (300 MHz, CD3OD): δ 7.44 (s, 1H), 7.38 (s, 1H), 6.99 (m, 2H), 6.84 (m, 1H), 5.73 (m, 1H), 4.08 (m, 1H), 3.67 (m, 8H), 2.52 (s, 3H), 1.81 (m, 4H), 1.73 (m, 3H), 1.53 (m, 4H).
46
Figure pat00192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3.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74 (s, 1H), 7.37 (d, 2H), 6.89 (d, 2H), 6.73 (s, 1H), 5.76 (m, 4H), 3.65 (m, 6H), 3.33 (m, 4H), 2.43 (s, 3H), 1.62 (d, 3H), 1.26 (m, 3H).
47
Figure pat00193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17.2 [M+H]+
1H-NMR (300 MHz, CD3OD): δ 7.36 (m, 2H), 6.98 (m, 2H), 6.80 (s, 1H), 5.64 (m, 1H), 3.92 (m, 1H), 3.69 (m, 8H), 2.42 (s, 3H), 1.64 (d, 3H), 1.27 (m, 6H).
48
Figure pat00194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59.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7.42 (s, 1H), 7.34 (s, 1H), 6.88 (s, 1H), 6.85 (s, 1H), 6.42 (s, 1H), 5.68 (p, 1H), 5.57(br, 2H), 5.15(d, 1H), 3.90 (d, 2H), 3.82-3.48 (br, 10H), 2.41 (s, 3H), 1.92(d, 2H), 1.62 (d, 3H), 1.57-1.48(m, 2H).
49
Figure pat00195
(R)-N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N 6,2-디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6-디아민 475.2 [M+H]+
1H-NMR (300 MHz, CDCl3): δ 7.52 (s, 1H), 7.11 (s, 1H), 7.00 (m, 1H), 6.82 (s, 1H), 6.49 (m, 2H), 5.71 (m, 1H), 3.89 (s, 2H), 3.71 (m, 6H), 2.97 (s, 3H), 2.59 (s, 3H), 2.44 (m, 4H), 1.71 (d, 3H).
50
Figure pat00196
(R)-(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7.2 [M+H]+
1H-NMR (300 MHz, CD3OD): δ 7.38 (s, 1H), 7.32 (s, 1H), 7.09 (m, 2H), 6.95 (m, 1H), 6.81 (m, 1H), 5.75 (m, 1H), 3.68 (m, 8H), 2.98 (s, 3H), 2.41 (s, 3H), 1.68 (d, J = 6.9 Hz, 3H).
51
Figure pat00197
(R)-(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71.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9.15 (d, 1H), 7.34 (d, 2H), 7.03-6.66 (m, 3H), 6.62 (s, 1H), 5.81 (d, 1H), 5.73 (m, 1H), 5.45 (d, 2H), 3.68-3.51(m, 6H), 3.32(s, 2H), 2.88 (d, 3H), 2.48 (s, 3H), 1.62 (d, 3H).
52
Figure pat00198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03.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53 (s, 1H), 7.41 (d, 2H), 7.27-6.90 (m, 1H), 6.76 (d, 1H), 6.63 (m, 1H), 5.81 (m, 1H), 5.36 (s, 1H), 5.27 (d, 2H), 3.64(s, 6H), 3.32(m, 4H), 2.37 (s, 3H), 1.60 (d, 3H), 1.28 (m, 3H).
53
Figure pat00199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491.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10 (d, 1H), 7.36 (s, 1H), 7.22 (s, 1H), 6.90 (d, 2H), 6.70 (s, 1H), 5.61-5.53 (m, 4H), 4.55 (m, 2H), 3.72 (m, 2H), 3.04 (m, 2H), 2.87 (m, 3H), 2.34 (s, 3H), 1.58 (d, 3H).
54
Figure pat00200
(R)-(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87.2 [M+H]+
1H-NMR (300 MHz, CD3OD): δ 7.80 (s, 1H), 7.52 (s, 1H), 7.38 (s, 1H), 7.29 (s, 1H), 7.01 (s, 1H), 6.77 (s, 1H), 6.75 (s, 1H), 6.72 (s, 1H), 5.67 (m, 1H), 3.66 (m, 8H), 2.96 (s, 3H), 2.46 (s, 3H), 1.67 (d, J = 7.2 Hz, 3H).
55
Figure pat00201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17.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03 (d, 1H), 7.40 (s, 1H), 7.27 (s, 1H), 7.07 (t, 1H), 6.73 (m, 1H), 6.58 (m, 1H), 5.71 (m, 1H), 5.17 (s, 2H), 4.80 (m, 1H), 3.94 (m, 1H), 3.72 (m, 8H), 2.28 (s, 3H), 1.55 (d, 3H), 1.23 (m, 6H).
56
Figure pat00202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533.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06 (d, 1H), 7.40 (s, 1H), 7.30 (s, 1H), 7.07 (t, 1H), 6.74 (m, 1H), 6.59 (m, 1H), 5.72 (m, 1H), 5.21 (m, 3H), 3.60 (m, 8H), 3.42 (m, 4H), 3.31 (s, 3H), 2.29 (s, 3H), 1.55 (d, 3H).
57
Figure pat00203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502.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32 (s, 1H), 7.26 (d, 2H), 6.90 (d, 2H), 6.71 (s, 1H), 5.64-5.46 (m, 4H), 3.74 (m, 4H), 2.87 (d, 3H), 2.38-2.26 (m, 10H), 1.60 (d, 3H).
58
Figure pat00204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515.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9.12 (m, 1H), 7.36 (d, 2H), 6.90 (d, 2H), 6.74 (s, 1H), 5.88-5.60 (m, 4H), 3.80-3.45 (m, 8H), 2.92 (m, 5H), 2.48 (s, 3H), 1.60 (d, 3H).
59
Figure pat00205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537.2 [M+H]+
1H-NMR (300 MHz, CD3OD): δ 7.42 (s, 1H), 7.27 (s, 1H), 6.99 (m, 2H), 6.80 (m, 1H), 5.64 (m, 1H), 3.22 (m, 8H), 2.94 (s, 3H), 2.44 (s, 3H), 1.65 (d, 3H).
60
Figure pat00206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505.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07 (d, 1H), 7.25 (s, 1H), 7.19 (s, 1H), 6.90 (d, 2H), 6.70 (s, 1H), 5.60-5.53 (m, 3H), 5.36 (m, 1H), 3.89 (m, 2H), 3.50 (m, 2H), 2.85 (m, 3H), 2.73 (m, 2H), 2.53 (m, 2H), 2.34 (s, 3H), 1.55 (d, 3H).
61
Figure pat00207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488.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06 (d, 1H), 7.21 (d, 2H), 6.90 (d, 2H), 6.70 (s, 1H), 5.64-5.33 (m, 4H), 3.61 (m, 2H), 3.18 (m, 2H), 2.86 (d, 3H), 2.78-2.55 (m, 4H), 2.34 (s, 3H), 1.58(d, 3H).
62
Figure pat00208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459.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16 (m, 1H), 7.42 (s, 1H), 7.20 (s, 1H), 6.88 (m, 2H), 6.69 (s, 1H), 6.35 (m, 1H), 5.56 (m, 3H), 4.12 (m, 2H), 4.04 (m, 2H) 2.87 (m, 3H), 2.34 (s, 3H), 2.22 (m, 2H), 1.56 (d, 3H).
63
Figure pat00209
(4-(((R)-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515.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9.56 (m, 1H), 7.44 (d, 2H), 7.27-6.91 (m, 1H), 6.80 (d, 1H), 6.67 (m, 1H), 6.06-5.32 (m, 4H), 3.80-3.43 (m, 8H), 2.91 (m, 5H), 2.50 (s, 3H), 1.65 (d, 3H).
64
Figure pat00210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537.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09 (m, 1H), 7.41 (s, 1H), 7.26 (t, 1H), 6.75 (m, 2H), 6.59 (m, 1H), 5.72 (m, 1H), 5.19 (m, 2H), 4.07 (m, 2H), 3.58 (m, 2H), 3.31 (m, 2H), 3.19 (m, 2H), 2.87 (m, 3H), 2.29 (s, 3H), 1.55 (d, 3H).
65
Figure pat00211
(R)-(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35.2 [M+H]+
1H-NMR (300 MHz, CD3OD): δ 7.37 (s, 1H), 7.28 (s, 1H), 6.66 (m, 2H), 6.47 (s, 1H), 5.65 (m, 1H), 3.98 (m, 8H), 2.96 (s, 3H), 2.48 (s, 3H), 2.24 (s, 3H), 1.66 (s, 3H).
66
Figure pat00212
(4-(((R)-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559.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63 (m, 1H), 7.46 (d, 2H), 7.09-6.91 (m, 1H), 6.76 (d, 1H), 6.63 (m, 1H), 5.78-5.24 (m, 4H), 4.11-3.32 (m, 15H), 2.91 (m, 2H), 2.37 (s, 3H), 1.60 (d, 3H).
67
Figure pat00213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581.2 [M+H]+
1H-NMR (300 MHz, CD3OD): δ 7.40 (s, 1H), 7.38 (s, 1H), 6.88 (t, 1H), 6.85 (m, 1H), 6.77 (m, 1H), 5.77 (m, 1H), 4.59 (m, 4H), 3.69 (m, 6H), 3.48 (m, 2H), 3.42 (s, 3H), 2.39 (s, 3H), 1.65 (d, 3H).
68
Figure pat00214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581.2 [M+H]+
1H-NMR (300 MHz, DMSO-d 6 ): δ 8.07 (m, 1H), 7.42 (s, 1H), 7.32 (s, 1H), 6.87 (m, 2H), 6.69 (s, 1H), 5.56 (m, 3H), 5.31 (m, 1H), 3.59 (m, 2H), 3.41 (m, 4H), 3.29 (m, 9H), 2.33 (s, 3H), 1.55 (d, 3H).
69
Figure pat00215
(R)-N 4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N 7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퀴나졸린-4,7-디아민 476.2
1H-NMR (300 MHz, CD3OD): δ 7.52 (s, 1H), 6.96 (m, 2H), 6.80 (m, 1H), 6.61 (s, 1H), 5.63 (m, 1H), 3.98 (m, 5H), 3.68 (m, 1H), 3.58 (m, 2H), 2.44 (s, 3H), 2.04 (m, 2H), 1.67 (m, 5H).
실험 예 1: SOS1의 GTP 치환 억제 능력 시험
전술한 실시예 화합물들에 대하여 KRAS G12C에 결합하는 SOS1의 치환 기능이 저해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Reaction Biology Corp. (USA, MA)사에서 구매한 GST-KRAS G12C(#MSC-11-538), SOS1-Strep(#MSC-11-502)를 이용하여 균질 시간 분해 형광(homogenous time-resolved fluorescence, HTRF)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간 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time-resolved fluorescence energy transfer, TR-FRET)의 원리를 이용하여 KRAS G12C 단백질에 결합하고 있는 GTP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SOS1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GST-KRAS G12C 단백질의 GST에 결합하는 항체에 결합되어 있는 테르븀(Terbium)이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의 주개로서 작용하고, KRAS G12C 단백질에 결합한 GTP는 형광제인 DY-647P1으로 표지되어 있어서 FRET의 받개로 작용하는 원리에 기반하여, 본 시험에 따른 SOS1의 치환 반응에 의하여 KRAS G12C 단백질에 GTP가 많이 결합되어 있을수록 높은 HTRF 혹은 FRET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요약하면, 반응에 필요한 글루타티온 황 전달효소(glutathione S-transferase, GST)가 표지된 KRAS G12C 단백질(아미노산 잔기 2~169로 구성됨), 스트렙트아비딘 표지된(Streptavidin-tagged) SOS1 단백질(촉매 도메인인 아미노산 잔기 564~1049로 구성), CISBIO사에서 구매한 항-GST 항체(#61GSTKLA), Jena Bioscience사에서 구매한 핵산(#NU-820-647P1)과 화합물을 10 mM HEPES pH7.4, 150 mM NaCl, 5 mM MgCl2와 1 mM 디티오트레이톨(DTT)로 조성된 완충용액 속에 혼합하여 38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반응 후 Perkin Elmer Envision microplate reader 기기를 이용하여 FRET 신호를 측정하였다. 이때, 여기 신호(excitation)는 320 nm, 방출 신호(emission)는 615 / 665 nm에서 측정하였다. SOS1 단백질이 포함되지 않았을 때의 형광 측정값을 기저값(Background signal value)으로 산출하여 측정된 HTRF 값들에서 모두 제하였으며, 상기 합성한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았을 때의 형광 측정값을 비저해값(Control value)으로 측정하여 이 값을 100%의 기준점으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화합물들은 1.6, 8, 40, 200, and 1,000 nM (5 points, 5-fold) 농도 값에서 형광 측정을 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이 갖는 50% 활성 저해값 (IC50)은 GraphPad Prism을 이용하여 산출되었다. 이에 대한 결과인 실시예 화합물의 KRAS G12C-SOS1 결합 저해 능력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IC50값이 50 nM 이하인 경우 +++로, 50 nM 초과 100 nM 이하인 경우 ++로, 100 nM 초과인 경우 +로 나타내었다.
합성화합물 IC 50 (nM) 합성화합물 IC 50 (nM) 합성화합물 IC 50 (nM)
실시예 1 +++ 실시예 24 ++ 실시예 47 ++
실시예 2 ++ 실시예 25 +++ 실시예 48 +
실시예 3 + 실시예 26 +++ 실시예 49 ++
실시예 4 ++ 실시예 27 ++ 실시예 50 +++
실시예 5 + 실시예 28 +++ 실시예 51 +++
실시예 6 ++ 실시예 29 +++ 실시예 52 ++
실시예 7 + 실시예 30 ++ 실시예 53 +++
실시예 8 + 실시예 31 ++ 실시예 54 ++
실시예 9 +++ 실시예 32 + 실시예 55 +++
실시예 10 + 실시예 33 + 실시예 56 +++
실시예 11 + 실시예 34 + 실시예 57 ++
실시예 12 ++ 실시예 35 +++ 실시예 58 +++
실시예 13 ++ 실시예 36 ++ 실시예 59 +++
실시예 14 + 실시예 37 + 실시예 60 +++
실시예 15 + 실시예 38 + 실시예 61 +++
실시예 16 ++ 실시예 39 + 실시예 62 ++
실시예 17 +++ 실시예 40 +++ 실시예 63 +++
실시예 18 +++ 실시예 41 ++ 실시예 64 +++
실시예 19 + 실시예 42 + 실시예 65 ++
실시예 20 +++ 실시예 43 +++ 실시예 66
실시예 21 ++ 실시예 44 ++ 실시예 67
실시예 22 + 실시예 45 ++ 실시예 68 +++
실시예 23 ++ 실시예 46 ++ 실시예 69 +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216

    상기 화학식 1에서,
    R1는 수소 또는 C1-4알킬이며;
    R2는 수소, C1-4알킬, 할로C1-4알킬, C2-6알켄일 또는 C2-6알킨일이며;
    R3는 R3a 또는 -L2-
    Figure pat00217
    이며;
    각각의 R3a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아민, 니트로, 옥소(=O),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할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콕시, 히드록시-C1-4알킬, -CF2H, -(CH2)r-NH(CO)-Ra 또는 -(CH2)r-NRaRb이고, Ra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할로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F2H 및 C3-8 카르보사이클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며;
    r은 0 내지 1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며;
    L2는 직접결합, -O-(CH2)p 또는 -CH=CH-(CH2)q이며;
    p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q는 0 내지 2의 정수이며;
    Figure pat00218
    Figure pat002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3-10 카르보사이클릴, C2-10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9-12바이사이클릭헤테로사이클릴이며, 이 때 상기
    Figure pat00220
    의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3-10카르보사이클릴, C2-10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9-12바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하나 이상의 R3a로 치환될 수 있고;
    X1은 -O(R4) 또는 -N(R5)(R6)이며;
    R4는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 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들은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cRd, -C(O)ORc, -ORc 또는 -NRcRd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 될 수 있으며, 여기서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 때 상기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8-16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8-16융합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8-16가교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eRf, -C(O)ORe, -ORe 및 -NReR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할 수 있으며, 여기서 Re 및 Rf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혹은 상기 -N(R5)(R6)은 R5 R6이 서로 연결되어 -N(R5)(R6) 내의 질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 C2-9헤테로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이며, 이 때 상기 C2-9헤테로사이클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시아노,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gRh, -C(O)ORg, -ORg 및 -NRgR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할 수 있고, 여기서 Rg Rh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할로C1-6알콕시 또는 C3-8카르보사이클릴이며;
    L1은 직접결합, -C(O)-, -O- 또는 -NH- 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Figure pat00221
    는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 때 상기 C3-10카르보사이클릴, C2-9헤테로사이클릴, C6-10아릴, C4-10헤테로아릴, C6-14헤테로스피로카르보사이클릴, C6-14융합헤테로사이클릴 또는 C6-14가교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옥소(=O), 할로C1-6알킬,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S(O)-C1-4알킬, -S(O)2-C1-4알킬, -C(O)-NRiRj, -C(O)ORi, -ORi 및 -NRiRj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Ri 및 Rj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Figure pat00222
    Figure pat00223
    는 각각 독립적으로 C6-10아릴 또는 C4-10헤테로아릴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3a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아민, 니트로, C1-6알킬, 할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알콕시, -CF2H, C6-10아릴, C3-6사이클릴, -(CH2)r-C2-6헤테로사이클릴, -(CH2)r-NH(CO)-Ra 또는 -(CH2)r-NRaRb이고,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F3 또는 -CF2H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4는 수소,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2-6알켄일, C2-6알킨일,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거나, 상기 -N(R5)(R6)이 C2-9헤테로사이클릴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224

    상기 화학식 2에서,
    L1은 직접결합, -C(O)-, -O- 또는 -NH-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이 때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R4a는 수소, C1-6알킬,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며;
    Figure pat00225
    는 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at00226

    상기 화학식 3에서,
    L3은 직접결합 또는 -C(O)-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이 때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R5a 및 R5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알킬, C1-6알콕시, C3-10카르보사이클릴 또는 C2-9헤테로사이클릴이고,
    혹은 상기 -N(R5a)(R5b)은 R5a와 R5b가 서로 연결되어 -N(R5a)(R5b)내의 질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한 C2-9헤테로사이클릴이며;
    Figure pat00227
    은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 옥세탄일 또는 아제티딘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pat00228

    상기 화학식 4에서,
    L4은 직접결합, -C(O)- 또는 -O-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이 때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Figure pat00229
    는 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테트라히드로피란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테트라히드로피란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5]
    Figure pat00230

    상기 화학식 5에서,
    L5은 직접결합 또는 -C(O)-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며;
    Z1,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F2H, -CF3, -CH3 또는 -NH2이고, 이 때 Z1, Z2는 모두 수소가 되는 경우는 제외하며;
    Figure pat00231
    은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이고, 이 때 상기 모르폴린일, 디옥소티오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티아졸리딘일 또는 헥사히드로-1H-퓨로[3,4-c]피롤일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할로겐 또는 -CH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될 수 있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6-메톡시-2-메틸-4-((1-(4-(2-((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R, 5S)-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3-(디플루오로메틸)-2- 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6-메톡시-2-메틸-4-((1-(4-(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일)티오펜-2-일)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R)-2,2,2-트리플루오로-N-(3-(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타마이드;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3-플루오로아제티딘-1-일)메탄온;
    (4-((1-(4-(2-((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1-(4-(2-((아미노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1-(4-(2-((히드록시메틸)페닐)티오펜-2-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6-메톡시-2-메틸-4-((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2-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R)-(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3-아미노-5-(1-((6-메톡시-2-메틸-7-(모르폴린-4-카보닐)퀴나졸린-4-일)아미노)에틸)벤조니트릴;
    (R)-(4-((1-(2,3-디히드로-1H-인덴-4-일)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사이클로프로필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 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S)-테트라히드로퓨란-3-일)옥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티아졸-5-일)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메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메틸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톡시)-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플루오로메틸)-6-메톡시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R)-N-(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아민;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R)-N-(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퀴나졸린-4-아민;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R)-N-(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7-(옥세탄-3-일메톡시)퀴나졸린-4-아민;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디메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피롤리딘-1-일)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시클로펜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N 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N 6,2-디메틸-7-(모르폴리노메틸)퀴나졸린-4,6-디아민;
    (R)-(4-((1-(5-아미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디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아졸리딘-3-일)메탄온;
    (R)-(4-((1-(3-아미노-5-(퓨란-3-일)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4-(((R)-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피페라진-1-일)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아제티딘-1-일)메탄온;
    (4-(((R)-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메틸페닐)에틸)아미노)-2-메틸-6-(메틸아미노)퀴나졸린-7-일)(모르폴리노)메탄온;
    (4-(((R)-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테트라히드로-1H-퓨로[3,4-c]피롤-5(3H)-일)메탄온;
    (R)-(4-((1-(5-아미노-3-(디플루오로메틸)-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R)-(4-((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6-((2-메톡시에틸)아미노)-2-메틸퀴나졸린-7-일)(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노)메탄온; 및
    (R)-N 4 -(1-(3-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6-메톡시-2-메틸-N 7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퀴나졸린-4,7-디아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이 결합하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는 암 또는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0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제제가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또는 에멀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15. 약학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나 세포에서 RAS 패밀리 단백질 및/또는 RAC1에 SOS1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방법.
  16. 약학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나 세포에서 티로신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방법.
  17. 약학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체에서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암 또는 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KR1020210179103A 2020-12-22 2021-12-14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90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0879 2020-12-22
KR1020200180879 2020-12-22
KR20210123208 2021-09-15
KR1020210123208 2021-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431A true KR20220090431A (ko) 2022-06-29

Family

ID=8215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103A KR20220090431A (ko) 2020-12-22 2021-12-14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40067613A1 (ko)
EP (1) EP4269395A1 (ko)
JP (1) JP2024500815A (ko)
KR (1) KR20220090431A (ko)
AU (1) AU2021409515A1 (ko)
CA (1) CA3202057A1 (ko)
CL (1) CL2023001867A1 (ko)
IL (1) IL303606A (ko)
MX (1) MX2023007497A (ko)
PE (1) PE20240143A1 (ko)
TW (1) TW202241877A (ko)
WO (1) WO2022139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4827A1 (en) 2022-10-05 2024-04-11 Sevenless Therapeutics Limited New treatments for pai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6206A (en) * 1995-06-07 2000-04-04 Cell Pathways, Inc. Method of treating a patient having a precancerous lesions with amide quinazoline derivatives
US6972288B1 (en) * 1999-02-27 2005-12-0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Kg 4-amino-quinazoline and quinoline derivatives having an inhibitory effect on signal transduction mediated by tyrosine kinases
AU763033B2 (en) * 1999-10-01 2003-07-10 Japan Energy Corporation Novel quinazoline derivatives
JP7219218B2 (ja) 2016-12-22 2023-02-07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新規のベンジルアミノ置換キナゾリンおよびsos1阻害剤としての誘導体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y Y., et al. (2012) Oncogenic and wild type Ras play diverge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Cancer Discov, 3(1), 112-23.
Pierre S., et al., (2011) Understanding SOS (Son of Sevenless). Biochem. Pharmacol., 82(9), 1049-56.
Simanshu DK., et al. (2017) RAS proteins and their regulators in human disease. Cell, 170, 17-3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9395A1 (en) 2023-11-01
WO2022139304A1 (ko) 2022-06-30
CL2023001867A1 (es) 2024-02-09
US20240067613A1 (en) 2024-02-29
AU2021409515A1 (en) 2023-07-06
PE20240143A1 (es) 2024-02-01
MX2023007497A (es) 2023-07-05
IL303606A (en) 2023-08-01
TW202241877A (zh) 2022-11-01
JP2024500815A (ja) 2024-01-10
CA3202057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6886T3 (es) Compuestos heterocíclicos nitrogenados.
AU727013B2 (en) Heterocyclic compound and antitumor agent comprising the same as effective component
CA2779105C (en) Kinase inhibitors
US20030207883A1 (en) Indazole benzimidazole compounds
KR101738866B1 (ko)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 항암제로서 사이클릭 n,n'-다이아릴티오우레아 및 n,n'-다이아릴우레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6749422B2 (ja) 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である新規な2,3,5−置換チオフェン化合物
EA022075B1 (ru) Азотсодержащие гетероарильные соединения
CN103797010A (zh) 作为jak抑制剂的氮杂环丁烷基苯基、吡啶基或吡嗪基甲酰胺衍生物
JP2010522186A (ja) 化合物
KR20190035755A (ko) Jak 저해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치료학적 용도
US10239881B2 (en) RIPK2 inhibitors and method of treating cancer with same
KR20150053919A (ko) 아미노 퀴나졸린 키나제 억제제의 전구약물
JP6916562B2 (ja) 化合物、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溶媒和物、立体異性体及び互変異性体、並びに薬物組成物、過剰増殖性障害治療剤、過剰増殖性障害予防剤、薬物、癌治療剤、癌予防剤、及びキナーゼシグナル伝達調節剤
EP1458711A1 (en) Use of oxindole derivatives in the treatment of dementia related diseases, alzheimer s disease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glycogen synthase kinase-3
TWI748491B (zh) 作為組蛋白去乙醯酶6抑制劑之1,3,4-㗁二唑高鄰苯二甲醯亞胺衍生化合物及包含彼之醫藥組合物
CN114555588A (zh) 作为axl抑制剂的喹唑啉类化合物
WO2022002097A1 (zh) 吡唑[1,5-a]吡啶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090431A (ko) Sos1 억제제로서의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25545A (ko) 특정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
KR102440296B1 (ko) 피라졸기로 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4080979A1 (en) Novel 3-(2-amino-4-pyrimidinyl)-4-hydroxyphenyl ketone derivatives
JP2021521215A (ja) Egfr三重変異阻害剤としてのキナゾリン系化合物およびその応用
EP4069692A1 (en) N-(3-(5-(pyrimidin-4-yl)thiazol-4-yl)phenyl)sulfonamide compounds and their uses as braf inhibitors
CN116648250A (zh) 作为sos1抑制剂的新型喹唑啉衍生物及其用途
KR102409595B1 (ko) 단백질 카이네이즈 csf-1r 억제제로서의 신규 퓨리논 유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