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309A -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309A
KR20220090309A KR1020200181379A KR20200181379A KR20220090309A KR 20220090309 A KR20220090309 A KR 20220090309A KR 1020200181379 A KR1020200181379 A KR 1020200181379A KR 20200181379 A KR20200181379 A KR 20200181379A KR 20220090309 A KR20220090309 A KR 20220090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eform
knuckle
vehicle
mold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웅
권익진
조주형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DE112020007870.1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20007870T5/de
Priority to KR1020200181379A priority patent/KR20220090309A/ko
Priority to PCT/KR2020/018945 priority patent/WO2022139023A1/ko
Publication of KR2022009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6Non-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reinforcement
    • B29K2307/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조향장치에 이용되는 차량용 너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은 차량용 너클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 준비 단계와; 금형 내에 소재를 충진하는 소재 충진 단계와; 금형내에 충진된 소재를 압축 성형는 성형 단계와; 성형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탈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금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세스를 갖는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가압 돌기부는 성형 단계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될 때 하부 금형의 리세스 내에 충진된 소재와 접촉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VEHICLE KNUCKLE}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이용되는 너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를 압축 성형하는 과정에서 미성형부 및/또는 내부 기공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번호: 10076991, 연구과제명: 단섬유/Hot press 공법을 이용한 Steel 대비 40% 경량화 된 차량용 탄소복합재 Knuckle 개발)]
차량용 너클은 차량의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차륜을 차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과 결합되어 차량의 운행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너클은 통상적으로 차량용 부품에 요구되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 계열의 소재로 형성되어 왔으나, 최근 차량용 부품에 대한 경량화 요구가 높아지면서 너클의 소재 및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일례로,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카본칩(carbon chip) 등의 탄소계 소재를 이용해 차량용 너클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용 너클은 금형 내에 탄소계 소재인 카본칩을 충진한 다음 이를 열간 성형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차량용 너클은 금속 계열의 소재로 형성되던 종래의 차량용 너클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카본칩 등과 같은 벌크형 소재를 금형 내에 충진할 때 금형 내에는 위치에 따라 소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생길 수 있고, 이러한 부분에서는 완전한 압축 성형이 수행되지 못해 미성형부가 발생하거나 내부에 기공이 발생되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차량용 너클과 같이 위치에 따라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구조의 제품을 압축 성형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두껍고 폭이 좁은 부분에서 이러한 불완전 압축이 보다 쉽게 발생해 전술한 미성형 및/또는 내부 기공 문제가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7170호 (등록일: 2018.05.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를 압축 성형하는 과정에서 미성형부 및/또는 내부 기공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조향장치에 이용되는 차량용 너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은 차량용 너클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 준비 단계와; 금형 내에 소재를 충진하는 소재 충진 단계와; 금형내에 충진된 소재를 압축 성형는 성형 단계와; 성형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탈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금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세스를 갖는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가압 돌기부는 성형 단계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될 때 하부 금형의 리세스 내에 충진된 소재와 접촉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부의 단부는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 충진 단계에서 충진되는 소재는 카본칩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 충진 단계 이전에 금형 내에 차량용 너클에 결합되는 부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부싱 삽입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형 단계 이후에 탈형된 성형품을 마무리 가공하는 후가공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조향장치에 이용되는 차량용 너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은 예비 성형체인 프리폼을 성형하기 위한 프리폼 금형을 준비하는 프리폼 금형 준비 단계와; 프리폼 금형 내에 소재를 충진하는 소재 충진 단계와; 프리폼 금형 내에 충진된 소재를 압축 성형하여 프리폼을 형성하는 프리폼 성형 단계와; 성형된 프리폼을 프리폼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프리폼 탈형 단계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본성형체 금형을 준비하는 본성형체 금형 준비 단계와; 본성형체 금형 내로 프리폼을 삽입하는 프리폼 삽입 단계와; 본성형체 금형 내에 삽입된 프리폼을 성형하여 본성형체를 형성하는 본성형체 성형 단계와; 성형된 본성형체를 본성형체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본성형체 탈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금형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프리폼 금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프리폼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세스를 갖는 하부 프리폼 금형과; 하부 프리폼 금형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프리폼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프리폼 금형과 상부 프리폼 금형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가압 돌기부는 프리폼 성형 단계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될 때 하부 프리폼 금형의 리세스 내에 충진된 소재와 접촉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부의 단부는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금형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본성형체 금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본성형체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세스를 갖는 하부 본성형체 금형과; 하부 본성형체 금형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본성형체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본성형체 금형과 상부 본성형체 금형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가압 돌기부는 본성형체 성형 단계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될 때 하부 본성형체 금형의 리세스 내에 삽입된 프리폼과 접촉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부의 단부는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 충진 단계에서 충진되는 소재는 카본칩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삽입 단계 이전에 본성형체 금형 내에 차량용 너클에 결합되는 부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부싱 삽입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성형 단계에서 형성되는 프리폼은 금형의 가압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본성형체의 외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치수만큼 내측으로 옵셋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성형 단계는 프리폼 성형 단계에 비해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탈형 단계 이후에 탈형된 본성형체를 마무리 가공하는 후가공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압축 성형을 수행하는 금형 내에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된 가압 돌기부가 형성되어, 가압 돌기부를 통해 불완전한 압축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 보다 큰 압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에 따라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된 차량용 너클을 압축 성형하는 경우에도 미성형부 및/또는 내부 기공이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른 압력 분포를 갖는 차량용 너클을 압축 성형(열간 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너클의 전체적인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금형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금형 가운데 하부 금형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금형 가운데 상부 금형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금형을 이용해 열간 성형된 성형품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용 너클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비 성형체(프리폼)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프리폼을 이용해 본성형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 프리폼을 이용해 형성된 본성형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압방향"은 차량용 너클을 성형하는데 이용되는 상하부 금형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축방향"은 차량용 너클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휠베어링의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즉, 너클 바디에 형성된 휠베어링 장착홀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은 전술한 축방향에 수직한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너클(100)의 전체적인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너클(100)은 통상의 차량용 너클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너클(100)은 너클 바디(110)와 너클 바디(110)로부터 연장되어 너클을 차량의 다른 부품들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복수의 플랜지[예컨대, 제1 플랜지(120), 제2 플랜지(130), 제3 플랜지(140) 및 제4 플랜지(150)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용 너클(100)의 일측 축방향 단면에는 후술하는 가압 돌기부(260)가 접촉하는 부분에 가압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너클 바디(110)는 너클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너클 바디(110)의 중심부에는 휠베어링 장착홀(11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휠베어링 장착홀(112)에는 허브 부싱(114)이 결합되어 허브 부싱(114)을 통해 휠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휠베어링 장착홀(112) 주위에는 복수의 체결홀(116)이 형성되어 체결볼트 등을 통해 휠베어링을 너클 바디(1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체결홀(116)에는 체결 부싱(118)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120)는 브레이크 캘리퍼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너클 바디(110)의 일측 측면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랜지(120)에는 체결구멍(122)이 구비되고, 체결구멍(122)에는 캘리퍼 부싱(124)이 삽입되어 이를 통해 너클을 브레이크 캘리퍼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130)는 타이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너클 바디(110)의 일측에서 너클 바디(110)의 평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랜지(130)에는 체결구멍(132)이 구비되고, 체결구멍(132)에는 타이로드 부싱(134)이 삽입되어 이를 통해 너클을 타이로드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랜지(140)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현가암(예컨대, 로워암)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너클 바디(110)의 일측에서 너클 바디(110)의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랜지(140)에는 체결구멍(142)이 구비되고, 체결구멍(142)에는 현가암 부싱(144)이 삽입되어 이를 통해 너클을 현가암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플랜지(150)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럿 어셈블리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너클 바디(110)의 일측에서 너클 바디(110)의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플랜지(150)에는 체결구멍(152)이 구비되고, 체결구멍(152)에는 스트럿 부싱(154)이 장착되어 이를 통해 너클을 스트럿 어셈블리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너클(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차량용 너클(100)은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다양한 구조로 변형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맥퍼슨 스트럿(MacPherson Strut) 타입의 구조로 차량용 너클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너클은 더블 위시본(Double Wishbone) 타입, 멀티 링크(Multi-link) 타입 등과 같이 다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공정 단계들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러한 공정 단계들은 반드시 이하에서 설명되는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 공정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의 단계들이 생략/추가되거나 일부의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은 차량용 너클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200)을 준비하는 금형 준비 단계(S110)와; 금형(200) 내에 소재를 충진하는 소재 충진 단계(S120)와; 금형(200) 내에 충진된 소재를 압축 성형하는 성형 단계(S130)와; 성형된 성형품(300)을 금형(200)으로부터 분리하는 탈형 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준비 단계(S110)에서 금형(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에 대응하는 형상의 리세스(220)를 갖는 하부 금형(210)과 하부 금형(210)의 일측에 위치하여 하부 금형(210)과 상호작용하는 상부 금형(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210)에 구비되는 리세스(220)는 성형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형상의 외주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차량용 너클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관통구멍[휠베어링 장착홀(112)]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230)가 구비되어 휠베어링 장착홀(112)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210)에 형성되는 리세스(220)의 바닥면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일측 축방향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금형(240)은 제조되는 차량용 너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하부 금형(210)의 리세스(220) 내로 삽입되어 리세스(220) 내에 충진된 소재를 가압하는 가압 성형부(2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금형(240)의 가압 성형부(250)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가압 성형부(250)의 바닥면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타측 축방향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210)과 상부 금형(240)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26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부 금형(240)에 구비된 가압 성형부(25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부 금형(210)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가압 돌기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가압 돌기부(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240)의 가압 성형부(250)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상부 금형(240) 대신 하부 금형(210)에 구비된 리세스(22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금형(240)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부 금형(240)과 하부 금형(210) 양측 모두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부(260)는 가압 성형부(250)의 바닥면에[하부 금형(21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리세스(220)의 바닥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다른 부분에 비해 가압 돌기부(260)가 형성된 부분에서 금형 내에 충진된 소재에 더 큰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부(260)는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에서 상대적으로 축방향 두께가 두꺼운 부분 및/또는 폭이 좁은 부분에 형성되어, 압축 성형시 이러한 부분에서 미성형부나 내부 기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축방향 두께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폭방향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미성형부 발생 위험이 높은 제2 플랜지(130; 타이로드 연결 플랜지), 제3 플랜지(140; 현가암 연결 플랜지), 제4 플랜지(150; 스트럿 어셈블리 연결 플랜지), 휠베어링 장착홀(112) 주변 부분 등에 가압 돌기부(260)가 형성되어, 압축 성형시 이러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큰 가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 인해 해당 부위에 미성형부 및/또는 내부 기공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부(260)의 단부(축방향 단부)는 성형품의 표면에 큰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가압 돌기부(260)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 및 금형의 상세 설계조건에 따라 가압 돌기부(260)의 형성 위치, 형성 개수, 세부 형상 등을 적절히 변형하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 충진 단계(S120)에서는 하부 금형(210)에 구비된 리세스(220) 내로 차량용 너클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소재가 충진되어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너클 성형에 이용되는 소재로는 카본칩 등의 탄소계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카본칩 소재는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ment Plastic) 소재로써, 예컨대 약 10mm 내지 150mm의 길이 및 약 3mm 내지 20mm의 폭을 갖도록 절단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 충진 단계(S120)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에 필요한 양의 카본칩 소재를 계량한 다음 이를 하부 금형(210)의 리세스(220) 내에 부어 넣음으로써 충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 충진 단계(S120) 이전에 차량용 너클에 결합되는 부싱 부재 가운데 일부 또는 전부를 금형 내에 삽입하여 배치하는 부싱 삽입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싱 삽입 단계에서는 금형의 가압방향으로 장착되는 부싱들 가운데 전부 또는 일부의 부싱 부재[예컨대, 허브 부싱(114)을 위한 부싱 부재(314), 체결 부싱(118)을 위한 부싱 부재(318), 캘리퍼 부싱(124)을 위한 부싱 부재(324) 등; 도 6 참조]가 금형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너클에 장착되는 부싱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금형(200) 내에 배치한 상태로 소재를 충진하고 압축 성형(열간 성형)을 수행하게 되면, 부싱 부재(314, 318, 324)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성형품(300)이 형성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부싱 삽입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서 반드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 단계(S130)는 금형(200) 내에 충진된 소재를 소정의 온도 및 압력에서 압축 성형(열간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품(300)을 금형(200)으로부터 분리하는 탈형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형성된 차량용 너클의 성형품(30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공정을 통해 형성된 차량용 너클의 성형품(300)은 성형품 바디(310)와 성형품 바디(3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성형품 플랜지[제1 성형품 플랜지(320), 제2 성형품 플랜지(330), 제3 성형품 플랜지(340) 및 제4 성형품 플랜지(350) 등]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품(300)의 중심부에는 휠베어링 장착홀(112)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12)이 형성될 수 있고, 성형품(300)의 일측 축방향 단면에는 가압 돌기부(260)가 접촉되는 부분에 가압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과 전체적인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형품(300)이 형성되면, 성형품(300)을 최종 제품의 구조에 따라 마무리 가공하는 후가공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후가공 단계(S150)에서는 탈형된 성형품(300)의 모서리 부분에 붙어있는 잔여 성형물을 제거하는 트리밍 공정, 성형품(300)에 부싱홀 등을 형성하는 기계가공 공정, 성형품에 잔여 부싱을 결합하는 부싱 조립 공정 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성형품(300)은 차량용 너클(100)의 최종 설계 구조에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소계 소재를 열간 성형하여 직접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예비 성형체인 프리폼을 먼저 형성한 다음 이를 이용해 차량용 너클을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탄소계 소재를 이용해 예비 성형체인 프리폼을 형성한 다음, 이러한 프리폼을 이용해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을 형성하는 방법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리폼을 이용해 차량용 너클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비 성형체인 프리폼(preform)을 형성하는 프리폼 형성 단계(S200)와; 프리폼을 이용해 본성형체를 형성하는 본성형체 형성 단계(S300)와; 본성형체를 마무리 가공하는 후가공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형성 단계(S200)는 프리폼(400) 성형을 위한 프리폼 금형을 준비하는 프리폼 금형 준비 단계(S210)와; 프리폼 금형에 소재를 충진하는 소재 충진 단계(S220)와; 프리폼 금형에 충진된 소재를 압축 성형하여 프리폼(400)을 형성하는 프리폼 성형 단계(S230)와; 성형된 프리폼을 프리폼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프리폼 탈형 단계(S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프리폼 형성 단계(S200)는 앞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조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프리폼 형성 단계(S200)의 프리폼 금형 준비 단계(S210), 소재 충진 단계(S220), 프리폼 성형 단계(S230), 프리폼 탈형 단계(S240)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금형 준비 단계(S110), 소재 충진 단계(S120), 성형 단계(S130), 탈형 단계(S2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프리폼 금형 준비 단계(S210)에서 준비되는 프리폼 금형의 구체적인 구조가 최종 성형품이 아닌 예비 성형체(프리폼)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또는 본성형체)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또는 본성형체)의 외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소정의 치수만큼 내측으로 옵셋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리폼(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폼 바디(410)와 프리폼 바디(4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프리폼 플랜지[제1 프리폼 플랜지(420), 제2 프리폼 플랜지(430), 제3 프리폼 플랜지(440) 및 제4 프리폼 플랜지(450) 등]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6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리폼(400)의 일측 축방향 단면에는 가압 돌기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가압홈(4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리폼(400)은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즉, 금형의 가압방향에서 볼 때) 외주연이 본성형체(600)의 외주연에 대해 미리 정해진 치수만큼 내측으로 옵셋되어 본성형체(600)의 외주연 보다 작은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12; 휠베어링 장착홀에 대응되는 관통구멍]은 본성형체(600)에 비해 미리 정해진 치수만큼 내측으로 옵셋되어 보다 큰 크기의 구멍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리폼 금형은 성형하고자 하는 프리폼(4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프리폼 금형에 구비되는 리세스나 가압 성형부 등은 이러한 프리폼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야 하고, 따라서 프리폼 금형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해당 부분의 구체적인 형상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 프리폼 금형의 다른 부분은 모두 전술한 실시형태의 금형(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금형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금형(200)과 마찬가지로 하부 프리폼 금형과 상부 프리폼 금형 중 하나 이상에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를 구비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압축 성형시 미성형부 및/또는 내부 기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리폼(400)의 성형이 완료되면, 본성형체 형성 단계(S300)를 통해 프리폼(400)으로부터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600)가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형성 단계(S300)는, 본성형체(600)를 성형하기 위한 본성형체 금형(500)을 준비하는 본성형체 금형 준비 단계(S310)와; 본성형체 금형(500) 내로 프리폼(400)을 삽입하는 프리폼 삽입 단계(S320)와; 본성형체 금형(500) 내에 삽입된 프리폼(400)을 성형하여 본성형체(600)를 형성하는 본성형체 성형 단계(S330)와; 성형된 본성형체(600)를 본성형체 금형(500)으로부터 분리하는 본성형체 탈형 단계(S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금형 준비 단계(S310)에서는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600)에 대응하는 형상의 리세스를 갖는 본성형체 금형(500)이 준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성형체 금형(500)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금형(200)과 유사하게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 및 상부 본성형체 금형(5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본성형체(6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리세스(5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에 구비되는 리세스(5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성형체(600)에 대응되는 형상의 외주연을 갖고, 내부에 본성형체(600)에 구비되는 관통구멍(612)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530)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6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성형체 바디(610)와 본성형체 바디(6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본성형체 플랜지[제1 본성형체 플랜지(620), 제2 본성형체 플랜지(630), 제3 본성형체 플랜지(640) 및 제4 본성형체 플랜지(650) 등]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성형체(600)의 일측 축방향 단면에는 가압 돌기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가압홈(6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본성형체 금형(540)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성형하고자 하는 본성형체(60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의 리세스(520) 내로 삽입되어 리세스(520)에 삽입된 프리폼(400)은 가압하는 가압 성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에 구비된 리세스(520)의 바닥면은 본성형체(600)의 일측 축방향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 본성형체 금형(540)에 구비되는 가압 성형부의 바닥면은 본성형체의 타측 축방향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과 상부 본성형체 금형(540) 중 하나 이상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서 본성형체 형성 단계(S300)는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프리폼(400)을 미리 형성한 다음 이를 본성형체(600)로 마무리 성형하는 과정이므로, 본성형체 성형 과정에서는 미성형부 및/또는 내부 기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고, 따라서 본성형체 금형(500)에는 설계 조건에 따라 가압 돌기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삽입 단계(S320)에서는 프리폼 형성 단계(S200)를 통해 형성된 프리폼(400)이 본성형체 금형(500)에 구비된 리세스(520) 내로 삽입되어 장착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서 프리폼(400)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600)에 비해 미리 정해진 치수만큼 내측으로 옵셋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프리폼(400)은 본성형체(6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본성형체 금형(500)의 리세스(52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삽입 단계(S320)에서는 설계에 따라 프리폼(400)과 함께 추가의 소재가 더 충진된 다음 본성형체 성형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프리폼 삽입 단계(S320) 이전에 차량용 너클에 결합되는 부싱 부재 가운데 전부 또는 일부의 부싱 부재[예컨대, 허브 부싱을 위한 부싱 부재(314), 체결 부싱을 위한 부싱 부재(318), 캘리퍼 부싱을 위한 부싱 부재(324) 등; 도 10 참조] 금형 내에 삽입하여 배치하는 부싱 삽입 단계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성형 단계(S330)에서는 본성형체 금형(500) 내에 삽입된 프리폼(400)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에서 열간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성형체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된 본성형체(600)를 본성형체 금형(500)으로부터 분리하는 본성형체 탈형 단계(S34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성형 단계(S330)는 전술한 프리폼 성형 단계(S230)에 비해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 환경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성형체 형성 단계(S300)가 완료되면, 탈형된 본성형체(600)는 필요에 따라 마무리 가공을 수행하는 후가공 단계(S400)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후가공 단계(S400)에서는 탈형된 본성형체(600)의 모서리 부분에 붙어있는 잔여 성형물을 제거하는 트리밍 공정, 본성형체(600)에 부싱홀 등을 형성하는 기계가공 공정, 본성형체(600)에 잔여 부싱을 결합하는 부싱 조립 공정 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성형체(600)는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100)의 최종 설계 구조에 일치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차량용 너클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축방향 두께 및/또는 상대적으로 좁은 폭방향 두께를 갖는 부분에 가압 돌기부가 형성되어 가압 돌기부에 의해 해당 부분에서 소재에 보다 큰 압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위치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갖는 차량용 너클을 압축 성형을 통해 형성하는 경우에도 미성형부 및/또는 내부 기공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고른 압력 분포를 갖는 차량용 너클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프리폼은 전체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최종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리폼을 열간 성형해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성형체를 열간 성형하는 과정에서 차량용 너클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강성 분포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은 예비 성형체가 되는 프리폼이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축방향에서 볼 때 본성형체의 외형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만큼 내측으로 옵셋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리폼을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더라도 본성형체 형성을 위해 프리폼을 본성형체 금형 내로 삽입할 때 프리폼과 본성형체 금형 사이의 간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용 너클의 제조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너클
200: 금형
210: 하부 금형
220: 리세스
230: 돌출부
240: 상부 금형
250: 가압 성형부
260: 가압 돌기부
300: 성형품
400: 프리폼
500: 본성형체 금형
510: 본성형체 하부 금형
520: 리세스
530: 돌출부
540: 본성형체 상부 금형
600: 본성형체

Claims (14)

  1. 차량용 너클(10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차량용 너클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200)을 준비하는 금형 준비 단계(S110)와;
    금형(200) 내에 소재를 충진하는 소재 충진 단계(S120)와;
    금형(200) 내에 충진된 소재를 압축 성형하는 성형 단계(S130)와;
    성형된 성형품(300)을 금형(200)으로부터 분리하는 탈형 단계(S140)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 준비 단계(S110)에서 준비되는 금형(200)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세스(220)를 갖는 하부 금형(210)과; 상기 하부 금형(2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금형(24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금형(210)과 상기 상부 금형(240)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260)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가압 돌기부(260)는 상기 성형 단계(S130)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될 때 상기 하부 금형(210)의 리세스(220) 내에 충진된 소재와 접촉해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부(260)의 단부는 곡면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충진 단계(S120)에서 충진되는 소재는 카본칩 소재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충진 단계(S120) 이전에 금형 내에 차량용 너클에 결합되는 부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부싱 삽입 단계가 더 포함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 단계(S140) 이후에 탈형된 성형품(300)을 마무리 가공하는 후가공 단계(S150)가 더 포함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6. 차량용 너클(10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예비 성형체인 프리폼(400)을 성형하기 위한 프리폼 금형을 준비하는 프리폼 금형 준비 단계(S210)와;
    프리폼 금형 내에 소재를 충진하는 소재 충진 단계(S220)와;
    프리폼 금형 내에 충진된 소재를 압축 성형하여 프리폼을 형성하는 프리폼 성형 단계(S230)와;
    성형된 프리폼(400)을 프리폼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프리폼 탈형 단계(S240)와;
    제조하고자 하는 차량용 너클의 본성형체(600)를 성형하기 위한 본성형체 금형(500)을 준비하는 본성형체 금형 준비 단계(S310)와;
    본성형체 금형(500) 내로 프리폼(400)을 삽입하는 프리폼 삽입 단계(S320)와;
    본성형체 금형(500) 내에 삽입된 프리폼(400)을 성형하여 본성형체(600)를 형성하는 본성형체 성형 단계(S330)와;
    성형된 본성형체(600)를 본성형체 금형(500)으로부터 분리하는 본성형체 탈형(S340)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폼 금형 준비 단계(S210)에서 준비되는 프리폼 금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프리폼(400)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세스를 갖는 하부 프리폼 금형과; 상기 하부 프리폼 금형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프리폼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리폼 금형과 상기 상부 프리폼 금형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가압 돌기부는 상기 프리폼 성형 단계(S230)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될 때 상기 하부 프리폼 금형의 리세스 내에 충진된 소재와 접촉해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부의 단부는 곡면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성형체 금형 준비 단계(S310)에서 준비되는 본성형체 금형(500)은 제조하고자 하는 본성형체(600)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세스(520)를 갖는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과; 상기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부 본성형체 금형(54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과 상기 상부 본성형체 금형(540) 중 하나 이상에는 상대측 금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 돌기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가압 돌기부는 상기 본성형체 성형 단계(S330)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될 때 상기 하부 본성형체 금형(510)의 리세스(520) 내에 삽입된 프리폼(400)과 접촉해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부의 단부는 곡면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충진 단계(S220)에서 충진되는 소재는 카본칩 소재인,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 삽입 단계(S320) 이전에 상기 본성형체 금형 내에 차량용 너클에 결합되는 부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부싱 삽입 단계가 더 포함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 성형 단계(S230)에서 형성되는 프리폼(400)은 금형의 가압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본성형체(600)의 외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치수만큼 내측으로 옵셋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성형체 성형 단계(S330)는 상기 프리폼 성형 단계(S230)에 비해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에서 수행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성형체 탈형 단계(S340) 이후에 탈형된 본성형체(600)를 마무리 가공하는 후가공 단계(S400)가 더 포함되는,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KR1020200181379A 2020-12-22 2020-12-22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KR20220090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20007870.1T DE112020007870T5 (de) 2020-12-22 2020-12-2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chsschenkels für ein fahrzeug
KR1020200181379A KR20220090309A (ko) 2020-12-22 2020-12-22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PCT/KR2020/018945 WO2022139023A1 (ko) 2020-12-22 2020-12-22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79A KR20220090309A (ko) 2020-12-22 2020-12-22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309A true KR20220090309A (ko) 2022-06-29

Family

ID=8215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79A KR20220090309A (ko) 2020-12-22 2020-12-22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90309A (ko)
DE (1) DE112020007870T5 (ko)
WO (1) WO202213902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70B1 (ko) 2016-09-09 2018-05-16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9304C2 (de) * 2000-02-29 2002-03-21 Montaplast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zumindest einseitig mit einem Textil versehenen Kunststoff-Spritzgussteils
CA2570831A1 (en) * 2004-06-15 2006-0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for making a vehicle component
WO2015034119A1 (ko) * 2013-09-09 2015-03-12 Lee Hwan Gil 사출 성형 방법과 사출 금형 및 그에 따른 사출물
KR102064287B1 (ko) * 2017-09-13 2020-01-10 주식회사 일진 프리폼 및 이를 이용한 현가암 제조방법
WO2020122296A1 (ko) * 2018-12-14 2020-06-18 주식회사 일진 압축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70B1 (ko) 2016-09-09 2018-05-16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023A1 (ko) 2022-06-30
DE112020007870T5 (de)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3979A1 (en) Vehicle knuck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4483731A (en) Method for producing a tubular load-bearing hollow
US9415628B2 (en) Light-weight vehicle wheels with carbon fiber inserts
EP1270393B1 (en) Bicycle cr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rank
CN107008855B (zh) 有轨车辆转向架的侧架和摇枕及其制造方法
JP2723424B2 (ja) 鋳造後の継手の内部ソケットの端部の余剰厚み部分の成形方法ならびにその利用
CZ2012967A3 (cs) Zpusob výroby kolébky podvozku zeleznicního vozu
KR20150065222A (ko) 차량의 너클 및 그 제조방법
US11021187B2 (en) Steering knuck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064287B1 (ko) 프리폼 및 이를 이용한 현가암 제조방법
US202301310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spension arm for vehicle
KR20210095485A (ko) 차량용 너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0309A (ko)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KR101983268B1 (ko)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4159A (ko) 프리폼을 이용한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KR20220090336A (ko) 차량용 너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0680A (ko) 프리폼을 이용한 차량용 너클의 제조방법
KR102100198B1 (ko) 압축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부품의 제조 방법
WO2001054958A1 (en) Resilient member for railway vehicle side bearing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DE102021111533A1 (de) Hybridräder aus metall und verbundpolymer für kraftfahrzeuge
EP063621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hydraulic actuators
KR20220155101A (ko) 차량의 너클 제조방법
CN102874064A (zh) 一种扭转梁衬套组件及其制作安装方法
CN212202244U (zh) 平衡轴壳
US20220297360A1 (en) Trailing arm manufactur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