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276A -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276A
KR20220090276A KR1020200181305A KR20200181305A KR20220090276A KR 20220090276 A KR20220090276 A KR 20220090276A KR 1020200181305 A KR1020200181305 A KR 1020200181305A KR 20200181305 A KR20200181305 A KR 20200181305A KR 20220090276 A KR20220090276 A KR 20220090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action
details
module
transaction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474B1 (ko
Inventor
박노선
Original Assignee
박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선 filed Critical 박노선
Priority to KR102020018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4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관에서 거래하는 은행계좌의 은행거래내역을 은행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기관의 재무를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재무회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재무회계모듈은, 상기 은행거래내역의 정보가 거래내역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거래내역 관리모듈;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수입내역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받아 표기하는 수입DB모듈; 및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지출내역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받아 표기하는 지출DB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래내역정보는, 상기 은행거래내역을 대상으로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에 의해 정보의 가공이 가능하며,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로부터 DB업데이트 요청이 입력될 시 상기 수입DB모듈과 상기 지출DB모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Substitute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에 기록되는 은행거래내역을 은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각 거래내역에 맞는 관, 항, 목, 적요 등의 분류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분류정보별로 계좌의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을 구분하여 그룹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거래내역에 대하여 대상자 정보와 제공자 정보가 기록되도록 하여 해당 거래내역의 거래내역을 이용하여 본인부담금의 관리가 가능한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를 이용한 플랫폼 시스템이 발전되기 시작하면서 입출금, 공과금의 납입 등의 은행 업무가 점점 온라인을 통하여 가능해지고 있으며, 가능한 은행 업무의 범위가 시간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정부나 지방 자치단체 등의 공공기관에서 복지의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자들에게 공공행정, 사회복지, 보건의료, 교육, 문화 등을 포괄하는 사회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 필요금액을 지원하기 위한 바우처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산망을 통해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그 활용성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우처 시스템은 제공하고자 하는 사회서비스의 성격이나 종류에 따라서 각각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다수의 대상자로부터 입금되거나 지출되는 내역에 대한 관리가 통합되지 않아 서비스가 올바르게 제공되고 있는지, 또는 입금되는 본인부담금의 이월금액이나 입금해야 하는 금액에 대한 정보에 대한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바우처 관리 시스템을 위한 예로써, 한국등록특허 제10-1480380호 '바우처 수혜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바우처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혜자를 식별하기 위한 바우처 수혜자 식별모듈과 각 바우처 수혜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바우처 수혜자의 안면에 대한 촬상 각도와 상관 없이 길이 사이의 비율을 이용하여 바우처 수혜자를 판별하도록 하는 바우처 수혜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0-1480380호와 같은 종래의 바우처 수혜자 관리 시스템은 바우처 수혜자를 판별하기 위한 수단만 개시되어 있을 뿐, 분류정보에 따라 은행거래내역을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다른 어떠한 수단도 기재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2052454호 '거래내역 DB 기반의 영수증 처리 기능을 구비한 회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도 입출금 및 카드 승인 관련 거래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입출금 및 카드 승인 관련 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거래 내역 리스트를 제공하는 거래 내역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 조작에 의해 상기 거래 내역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거래 내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거래 내역으로부터 회계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회계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회계 정보 추출부; 및 상기 회계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전표를 생성하는 전표 생성부를 포함하는 회계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을 뿐, 은행거래내역을 분류하여 바우처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다른 어떠한 수단도 기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은행계좌에 거래되는 은행거래내역을 각 항목별로 분류하여 거래내역을 간편하게 관리하고 거래내역을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은행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은행거래내역에 대하여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 관, 항, 목, 적요를 포함하는 분류정보에 따라서 은행거래내역의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며, 각 은행거래내역에 대하여 대상자 정보와 제공자 정보가 기록되도록 하여 해당 은행거래내역에 대한 본인부담금 및 급여정보에 대한 정산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하여 바우처 제공 서비스에 대한 관리가 가능한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은, 기관에서 거래하는 은행계좌의 은행거래내역을 은행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기관의 재무를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재무회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재무회계모듈은, 상기 은행거래내역의 정보가 거래내역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거래내역 관리모듈;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수입내역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받아 표기하는 수입DB모듈; 및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지출내역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받아 표기하는 지출DB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래내역정보는, 상기 은행거래내역을 대상으로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에 의해 정보의 가공이 가능하며,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로부터 DB업데이트 요청이 입력될 시 상기 수입DB모듈과 상기 지출DB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래내역정보는, 분류정보별로 입력되어 저장되며, 상기 분류정보는, 입금 순번, 거래일시, 입출금 금액,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 관, 항, 목, 적요 항목을 포함하되, 상기의 입금 순번, 거래일시, 입출금 금액,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 항목에 대하여 상기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되며, 상기의 관, 항, 목, 적요 항목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되고, 상기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상기 거래기록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할 시 상기 거래내용 정보가 거래기록사항으로 동일하게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입DB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상기 수입내역 목록 중에서 상기 분류정보가 동일한 수입내역에 대하여 그룹화하며, 상기 그룹화된 수입내역을 목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출DB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상기 지출내역 목록 중에서 상기 분류정보가 동일한 지출내역에 대하여 그룹화하며, 상기 그룹화된 지출내역을 목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의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설정되는 검색조건에 의해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필터링하는 조건조회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건조회모듈에 의해 필터링되는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한하여 DB 업데이트 요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특정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삭제 요청이 입력될 경우, 해당 거래내역정보를 삭제하며, 관리자 단말에 의해 거래내역정보 추가 요청을 입력 받을 경우, 거래내역정보를 추가하는 입력란을 제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거래내역정보를 추가하는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 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의 상기 분류정보는, 대상자 이름, 대상자 생년월일, 제공자 이름, 제공자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항목이 더 포함되며, 상기 대상자 이름, 상기 대상자 생년월일, 상기 제공자 이름, 상기 제공자 생년월일에 대한 입력정보가 비공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관리하고자 하는 상기 기관의 정보와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는 바우처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기관관리 모듈; 상기 기관관리 모듈에 등록되는 바우처의 사업수행내역 및 결재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재무회계 모듈에 바우처 정보를 제공하여 각 바우처 별로 재무가 관리되도록 하는 바우처 관리모듈; 상기 바우처의 수혜대상자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재무회계 모듈과 연동하여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대상자 관리모듈; 및 상기 바우처의 서비스 제공인력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제공인력으로부터 바우처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확인받고, 상기 재무회계 모듈과 연동하여 제공인력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공인력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은, 상기 대상자 관리모듈과 상기 제공인력 관리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바우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에 대한 정부 지원금과 본인 부담금을 정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무회계 모듈은, 상기 바우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가 부담하는 본인부담금이 관리되는 본인부담금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인부담금 관리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상기 분류정보에서 대상자 이름 또는 제공자 이름의 정보가 상기 대상자 관리 모듈에 등록되는 대상자의 정보와 일치할 시 해당 대상자 이름으로 입금되는 수입내역 및 지출내역에 따라서 해당 대상자의 본인부담금을 자동계산하여 필요입금금액 또는 이월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의 상기 재무회계 모듈은,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되는 각 결제 건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카드결제내역을 카드사로부터 제공받아 관리하는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은, 카드사로부터 입금이 확인되는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상기 카드결제내역과 대조하여 해당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상기 카드결제내역의 정보로 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은, 은행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은행거래내역을 이용하여 각 계좌별로 은행거래내역에 대한 분류 및 정리가 가능하며, 분류정보를 기준으로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을 그룹화하여 해당 계좌의 거래내역을 손쉽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분류정보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이 되거나 설정되도록 하여 원하는 기간 내에서의 은행거래내역 분류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우처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본인부담금의 관리가 은행거래내역을 이용하여 통합 관리되도록 하여 본인부담금의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며, 대상자 및 제공자 정보가 기록되도록 하여 다양한 제공자로부터 입금되는 본인부담금에 대한 통합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수입결의서, 지출결의서, 계정과목별원장, 임금대장, 현금출납부 등에서 동일한 거래내역정보에 대해 반복적으로 기재하거나, 대상자에 따른 본인부담금 찾기나 수기 계산 등의 반복적인 업무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재무회계 모듈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거래내역 관리모듈의 거래내역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수입DB모듈의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지출DB모듈의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기관관리모듈, 바우처 관리모듈, 대상자 관리모듈, 제공인력 관리모듈이 포함되는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재무회계 모듈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은 재무회계 모듈(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재무회계 모듈(10)은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에 등록되어 있는 기관이 거래하는 은행계좌에 기록되는 은행거래내역을 이용하여 기관 및 기관에서 수행하는 바우처 사업과 관련된 재무를 관리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은행거래내역을 이용하여 재무를 관리하기 위하여 거래내역 관리모듈(100), 수입DB모듈(200) 및 지출DB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재무회계 모듈(10)은 거래은행의 은행 서버로부터 기관의 은행계좌에 기록되는 은행거래내역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은행거래내역에 기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기관 및 기관에서 주관하는 바우처 사업과 관련된 재무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겠으나, 재무회계 모듈(10)은 기관관리모듈(20), 바우처 관리모듈(30), 대상자 관리모듈(40) 및 제공인력 관리모듈(5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는 정보를 이용하여 기관 및 기관에서 주관하는 각 바우처 사업에 따라서 재무 관리를 개별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은 은행 서버로부터 기관의 거래정보가 기록되는 은행거래내역을 거래내역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거래내역정보를 이용하여 기관 또는 바우처 사업에 대한 재무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은행거래내역은 기관이 거래하는 은행계좌에 기록되는 입출금 시각, 거래금액이나 거래지점 등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으며, 기록되는 은행거래내역의 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내역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거래내역정보는 기관이 거래하는 은행계좌에 기록되는 입출금 내역, 거래된 시점, 거래된 지점이나 기기의 정보 등이 포함된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정보의 내용이 구분되어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거래내역정보는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거래내역정보는 후술하겠지만, 기록정보와 분류정보의 항목에 따라서 정보가 구분되어 기록될 수 있으며, 은행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각각의 은행거래내역이 거래내역정보로 변환되면서 상기의 기록정보(110)와 분류정보(120)의 각 항목별로 나열되어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수입DB모듈(200)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과 연동되어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 중에서 수입내역만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지출DB모듈(300)은 수입DB모듈(200)과 마찬가지로, 거래내역 관리모듈(100)과 연동되어 거래내역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지출내역만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DB업데이트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DB업데이트가 요청되는 시점에서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기록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으로 구분하여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재무회계 모듈(10)이 은행 서버로부터 2020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의 은행거래내역을 제공받게 되면,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해당 은행거래내역을 거래내역정보로 변환하게 되고,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DB업데이트를 요청하게 되면,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은 2020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의 거래내역정보를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2020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의 거래내역정보가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2020년 4월부터 2020년 6월까지의 은행거래내역을 추가로 제공받은 후에 DB업데이트를 요청하게 되면, 새로 추가되는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에 대하여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에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즉,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가 관리자 단말에 의해 수정되거나 새로운 거래내역정보가 추가된 후에 DB업데이트를 요청하게 되면, 새로 추가된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으로 구분하여 분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은 표시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전체 선택하도록 하거나, 각각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 관리자 단말로부터 개별적으로 선택받을 수 있고, 선택된 상태에서 DB 업데이트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로 업데이트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거래내역 관리모듈의 거래내역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의 거래내역정보가 기록정보(110)와 분류정보(120)의 각 항목에 따라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기록정보(110)는 은행에서 제공받는 은행거래내역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항목이 구분될 수 있으며, 입금 순번, 구분, 거래일시, 출금금액, 입금금액,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의 항목을 포함하여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입금 순번은 은행거래내역에 기록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구분은 계좌, 현금, 카드, 신용 등 입금 방식 정보를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거래일시는 은행거래내역에 기록된 거래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출금금액과 입금금액은 계좌에서 출금되거나 입금되는 금액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거래내용은 카드사 또는 거래은행의 종류 등이 표시되고, 거래기록사항은 거래내용에 따른 세부거래내용, 즉, 거래지점의 일련번호 또는 CD기에 부여되는 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록정보(110)에 입력되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행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은행거래내역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일시, 출금금액, 입금금액,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이 동일하게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분류정보(120)는 은행거래내역에 의해 변환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한 세부사항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항목으로 관, 항, 목, 적요의 항목을 포함하여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거래내역정보는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기록정보(110)가 자동으로 변환되어 각 항목에 저장될 수 있으며, 분류정보(12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분류정보(120)는 거래내역정보가 생성된 이후에 관리자 단말로부터 각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거래내역정보는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기록정보(110)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변환되며, 변환된 후에 해당 계좌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분류정보(120)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분류정보(120)의 관, 항, 목, 적요는 각각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한 세부과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세부과목에 대한 정보의 기준은 각 기관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관 항목에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한 자산/부채/수입 정보가 입력되며, 항 항목에서는 사입비/운영비/관리비 등이 입력될 수 있고, 목 항목에서는 공공요금/사무용품비/시설유지비/인건비 등으로 입력되며, 적요 항목에서는 후원금/본인부담금/정부지원금 등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해 입력되는 정보의 기준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관 또는 기업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기록정보(110)는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받는 과정에서 거래기록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거래내용 항목에 입력되는 정보가 거래기록사항 항목에도 동일하게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은행거래내역에 기록된 정보가 '2020년 4월 6일 02시 53분 43초에 100,000원이 OO카드에 의해 출금'되었으나, 거래기록사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 거래내역정보에서는 출금일시: 2020-04-06 02:53:43, 출금금액: 100,000원, 거래내용: OO카드로 기록되며,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거래기록사항에 대하여 거래내용과 동일하게 거래기록사항: OO카드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수입DB모듈의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5는 지출DB모듈의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기관관리모듈, 바우처 관리모듈, 대상자 관리모듈, 제공인력 관리모듈이 포함되는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의 수입DB모듈(200) 및 지출DB모듈(300)은 각각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기록정보(110)와 분류정보(120)를 비교하여 동일한 거래내역정보들을 그룹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입DB모듈(200)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DB업데이트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 중에서 수입내역만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수입DB모듈(200)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로부터 제공받는 거래내역정보의 기록정보(110)와 분류정보(120)를 비교하여 각 항목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동일한 거래내역정보들에 대하여 하나의 수입정보로 그룹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입DB모듈(200)은 기록정보(110) 중 거래내용 항목과 거래기록사항 항목의 정보를 비교하며, 분류정보(120)의 항목에 대해서는 입력된 모든 정보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기록정보(110)의 입금 순번, 구분, 거래일시, 출금금액 및 입금금액 항목에 대한 정보는 그룹화하기 위한 비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그 외의 기록정보(110) 및 분류정보(120)의 항목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해 그룹화하여 하나의 수입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거래내용: 지로출금, 거래기록사항: 0103952, 관: 사무비, 항: 운영비: 목: 여비: 적요: 교통비로 입력되어 있는 7건의 거래내역정보가 서로 다른 거래일시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수입DB모듈(200)에는 1건의 수입정보로 입력될 수 있으며, 수입DB모듈(200)에는 비교하는 항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입DB모듈(200)은 기관의 은행계좌에 입금되는 출처에 대한 정보가 수입정보로 생성되어 저장되어, 관리자 단말이 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출DB모듈(300)은 수입DB모듈(200)에서 비교하는 항목과 동일한 항목에 대하여 비교하며, 동일한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그룹화하여 지출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은 각각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DB업데이트 요청 시점에서의 거래내역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수입DB모듈(200) 및 지출DB모듈(300)에서 그룹화된 수입정보와 지출정보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분류정보에 대한 수정요청이 발생할 경우에는 세부정보에 대한 수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에서 수입정보 또는 지출정보가 생성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에 의해 분류정보, 즉, 관, 항, 목, 적요를 포함하는 각 항목에 대한 수정요청이 발생하게 되면, 정보가 수정될 수 있다.
이때, 수입DB모듈(200) 또는 지출DB모듈(300)에서 수정된 내용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의 거래내역정보에는 반영되지 않으나, 각 항목의 정보가 수정된 상태에서 수입DB모듈(200) 또는 지출DB모듈(300)에서 수정된 정보에 대하여 저장 요청을 하게 되면, 수입정보 또는 지출정보로 그룹화되었던 거래내역정보에 수정된 정보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거래내용과 거래기록사항이 동일하며, 각각 다른 날짜에 입금된 총 7건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DB업데이트를 요청하여 수입DB모듈(200)에서 1건의 수입정보로 그룹화된 경우, 수입DB모듈(200)에서 해당 수입정보에 대한 분류정보(120)의 각 항목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정요청이 발생하여 정보가 입력된 후 저장 요청을 하게 되면, 수입정보에 수정된 정보가 저장되며,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의 7건의 거래내역정보에도 수정된 정보가 반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거래내역정보 또는 이를 그룹화한 수입정보나 지출정보는 각각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DB업데이트 요청 신호가 입력되거나, 수입DB모듈(200) 또는 지출DB모듈(300)로부터 저장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요청되는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은 수입DB모듈(200) 또는 지출DB모듈(300)에서 관리자의 수정 요청에 의해 수정된 각 항목의 정보가 거래내역정보에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정된 정보를 입력받도록 요청하는 DB검색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B검색모듈(140)은 거래내역정보의 각 항목에 입력된 정보와 수입DB모듈(200) 또는 지출DB모듈(300)의 수입정보 또는 지출정보의 각 항목에 입력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DB검색 신호를 요청하게 되면, 수입DB모듈(200) 또는 지출DB모듈(3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거래내역정보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DB검색모듈(140)은 거래내역정보의 기록정보와 동일한 수입정보 또는 지출정보를 대상으로 DB검색 신호를 요청할 수 있으며, DB검색 신호 요청 시, 수입정보 또는 지출정보에 입력된 분류정보를 제공받아 거래내역정보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DB검색모듈(140)을 통해 DB검색 신호를 요청하게 되면, 수입DB모듈(200) 및 지출DB모듈(300)에 저장되어 있는 수입정보와 지출정보가 거래내역정보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으며, DB검색 신호를 요청하여 수입정보와 지출정보의 내용이 거래내역정보에 반영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저장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반영된 사항이 최종적으로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1)의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은 DB검색모듈(140)을 통해 DB검색 신호를 요청 시, 거래기록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를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거래기록사항에 기록된 정보 중에서 숫자를 제거하도록 정보를 가공하여 DB검색모듈(140)을 통해 검색 시, 숫자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거래기록사항을 비교하여 은행의 코드변경 등으로 인해 동일한 거래내역이나 서로 다른 거래내역정보로 분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거래기록사항에 농협CMT03으로 기록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와 농협CMT04로 기록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숫자를 제거하도록 하여 DB검색모듈(140)에서 검색 시 상기의 거래내역정보에 기록된 거래기록사항에 대하여 농협CMT로 검색되도록 하여 동일한 거래내역정보로 분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의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에는 DB초기입력 관리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DB초기입력 관리모듈(미도시)은 거래내역정보 중에서 현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 이전의 거래내역정보를 검색하도록 하여 중복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그룹화를 실시하여 수입DB모듈(200)과 지출DB모듈(300)에 수입정보와 지출정보로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DB초기입력 관리모듈(미도시)은 시스템 입력 초기 단계에서 일정 기간 이전의 거래내역정보를 활용하여 수입정보와 지출정보를 생성하여 거래 빈도가 높은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자동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조건조회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조건조회모듈(150)은 관리자 단말에 의해 검색조건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필터링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건조회모듈(150)은 구분선택부(151), 검색내용 입력부(152) 및 기간조회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로부터 각각에 대하여 검색조건을 입력받으면,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는 입력된 조건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정보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분선택부(151)는 거래내역정보의 기록정보 중 구분을 선택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거래내역정보에 입력되어 있는 구분의 종류가 나열되도록 하여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검색하고자 하는 구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거래내역정보의 구분 항목이 계좌, 신용, 현금, 카드(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구분선택부(151)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구분의 범위를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분선택부(151)는 나열되어 있는 구분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직접 검색어를 입력받아 검색조건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색내용 입력부(152)는 구분선택부(151)로부터 구분 항목의 종류가 선택된 상태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거래내역정보 중 입력받은 내용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정보가 필터링되어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구분선택부(151)에서 계좌를 선택한 후에, 검색내용 입력부(152)에서 공과금을 검색하게 되면, 구분 항목이 계좌로 분류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 중 공과금이 입력되어 있는 거래내역정보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검색내용 입력부(152)는 거래내역정보의 기록정보와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각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각 정보들 중에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정보를 필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기간조회부(153)는 조건조회모듈(150)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조건이 적용되는 기간을 지정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시작기간과 종료기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간조회부(153)는 년, 월, 일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한 후에 기간조회 요청을 실시하게 되면, 해당 기간 내에서 구분선택부(151)와 검색내용 입력부(152)에 입력된 검색내용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정보가 필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간조회부(153)는 구분선택부(151)와 검색내용 입력부(152)에 검색내용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간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하는 기간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만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건조회모듈(150)은 구분선택부(151), 검색내용 입력부(152) 및 기간조회부(153)에 검색내용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순서에 상관없이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검색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구분선택부(151)만 설정하거나, 검색내용 입력부(152) 또는 기간조회부(153)만 설정하여 거래내역정보를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의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은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130)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되는 거래내역정보를 삭제하거나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제공받지 않은 거래내역에 대하여 변환되지 않은 거래내역정보를 새로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130)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 표시되는 거래내역정보 중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삭제 요청이 입력되면, 표시되는 목록에서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거래내역정보의 목록에는 각 거래내역정보의 행마다 삭제버튼이 형성되어 있어, 삭제하고자 하는 거래내역정보의 삭제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거래내역정보가 삭제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선택되는 거래내역정보를 일괄삭제하기 위한 일괄삭제버튼이 더 포함되어 삭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거래내역정보를 추가하고자 할 때에는 추가하고자 하는 거래내역정보의 각 항목을 입력하는 화면이 도 7과 같이 표시되어 관리자 단말로부터 거래내역정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되는 거래내역정보는 구분, 거래일시, 금액,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 관, 항, 목, 적요의 항목이 필수로 기입되어야 하며, 금액에 대한 입금/출금 사항이 입력된 후에 새로운 거래내역정보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로부터 거래내역정보가 삭제되거나, 새로 추가된 후에 DB업데이트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각각의 정보에 맞게 수입DB모듈(200) 또는 지출DB모듈(300)에 정보가 업데이트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의 분류정보(120)에 대상자 이름, 대상자 생년월일, 제공자 이름, 제공자 생년월일의 항목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대상자 이름, 대상자 생년월일, 제공자 이름, 제공자 생년월일이 포함되는 분류정보(120)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될 수 있으며,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표시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이 각각의 분류정보(120)에 대하여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대상자 이름, 대상자 생년월일, 제공자 이름, 및 제공자 생년월일 항목은 관리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주관하는 바우처 사업의 수혜 대상자에게 입금되는 금액 또는 출금되는 정보에 대하여 본인부담금 관리모듈(400)에 등록된 대상자와 매칭하여 본인부담금을 정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상기의 각 항목에 관한 정보들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에서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나, 비공개로 설정되어 관리자 단말에만 정보가 보이도록 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서 공개여부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은 기관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기관관리모듈(20), 기관에서 주관하는 바우처 사업과 관련된 바우처 정보가 입력되고 바우처의 사업수행내역 및 결제내역이 저장되는 바우처 관리모듈(30), 바우처 사업의 서비스 수혜 대상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대상자 관리모듈(40), 바우처 사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인력의 정보가 입력되는 제공인력 관리모듈(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기관관리모듈(20)은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관의 대한 기록정보 및 주관하는 사업에 대한 바우처 정보가 입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기관에 대한 정보가 기관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에 등록될 수 있으며, 기관이 결제한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의 이용기간이 표시되도록 하여 계약된 이용기간의 잔여기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기관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은행거래내역을 조회하거나 은행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기 위한 인증서가 등록되고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관관리모듈(20)은 주관하는 사업이 관리자 단말로부터 등록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사업에 대한 바우처 정보는 거래은행의 계좌정보, 신용카드 및 카드번호를 포함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바우처 정보는 거래내역 관리모듈(100)과 연동하여 공유될 수 있다.
즉, 기관관리모듈(20)에서 바우처 정보가 거래은행 정보 및 계좌번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되면, 재무회계 모듈(10)에서는 기관관리모듈(20)에 저장되는 바우처 정보에 따라서 은행거래내역을 포함하는 계좌에 대한 재무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기관관리모듈(20)에서 발달재활서비스, 언어발달서비스에 대한 사업에 대하여 바우처 정보로 등록되면, 재무회계 모듈(10)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 즉, 거래내역 관리모듈(100), 수입DB모듈(200), 및 지출DB모듈(300)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이 각각의 발달재활서비스와 언어발달서비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이 재무회계 모듈(10)을 선택하게 되면, 관리하고자 하는 바우처를 선택하게 되고, 재무회계 모듈(10)은 선택되는 바우처에 대하여 거래내역 관리모듈(100), 수입DB모듈(200), 지출DB모듈(300)을 포함하는 구성이 표시될 수 있다.
바우처 관리모듈(30)은 기관관리모듈(20)에 등록된 바우처를 관리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등록된 바우처의 서비스 제공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거래내역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결제내역을 점검하고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우처 관리모듈(30)은 전자바우처와 비전자바우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수행내역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여 서비스 제공여부가 입력될 수 있어, 서비스 제공에 대한 비용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대상자 관리모듈(40)은 기관에서 주관하는 바우처 사업에 의해 바우처 서비스를 제공받는 수혜 대상자의 정보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대상자의 정보가 각 바우처별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대상자 관리모듈(40)은 대상자를 등록하게 되면, 등록된 대상자에 대한 정보가 바우처 관리모듈(30) 및 재무회계 모듈(10)에 제공될 수 있으며, 등록된 이후에는 거래내역정보의 대상자 이름 및 대상자 생년월일과 비교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입금 또는 출금여부가 확인되도록 하여 바우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이 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 관리모듈(40)은 등록된 대상자가 바우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타인이 입금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제공인력 관리모듈(50)은 기관에서 주관하는 바우처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인력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공인력의 서비스 영역, 계약상태, 근무구분, 근무기간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공인력 관리모듈(50)은 제공인력에 대하여 바우처 별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전체 제공인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관리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바우처에 소속된 제공인력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공인력 관리모듈(50)에 등록되는 제공인력에 대한 정보는 바우처 관리모듈(30), 대상자 관리모듈(40) 및 재무회계 모듈(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1)의 재무회계 모듈(10)은 본인부담금 관리모듈(400) 및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인부담금 관리모듈(400)은 거래내역 관리모듈(100)의 거래내역정보의 대상자 이름, 대상자 생년월일, 제공자 이름, 제공자 생년월일의 항목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 관리모듈(40)에 저장되어 있는 대상자가 수혜받는 바우처 서비스에 대한 본인부담금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인부담금은 대상자가 바우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지불해야 하는 금액일 수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매월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정해지게 되면, 해당 금액에 대하여 바우처 관리모듈(30)에 등록된 바우처의 은행계좌로 입금하여 본인부담금을 납입할 수 있다.
이때, 본인부담금 관리모듈(400)은 대상자 관리모듈(40)에 등록되어 있는 대상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거래내역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 해당 거래내역정보의 수입내역 또는 지출내역을 이용하여 본인부담금을 정산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A학생이 매월 10,000원의 본인부담금을 납입해야 하는 경우에, 거래내역정보에서 A학생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대상자 이름 및 대상자 생년월일이 확인되며, 해당 거래내역정보에 기록된 입금금액만큼 납입이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대상자 관리모듈(40)에서 등록된 대상자에 대한 정보 중 제공자 정보와 일치하는 거래내역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도 해당 대상자에 대한 본인 부담금이 납입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대상자 관리모듈(40)에서 A학생의 제공자로 A학생의 부, A학생의 모가 등록되는 경우에는, 거래내역정보에서 A학생의 부로부터 입금이 확인되었을 때에 A학생에 대한 본인부담금이 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A학생의 모로부터 입금이 확인되는 경우에도 A학생에 대한 본인부담금이 계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거래내역정보에 따라서 A학생에 대한 본인부담금이 계산되면, 납입해야 하는 본인부담금과 A학생에 대하여 입금된 내역을 비교하여 본인부담금 정상납부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A학생을 대상자로 하여 입금된 금액이 납부해야 하는 본인부담금의 금액보다 많을 경우에는 이월금으로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500)은 기관으로 결제되는 카드결제내역을 카드사로부터 제공받아 기관의 은행계좌에 카드사로부터 입금된 수입내역과 비교하여 거래내역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거래내역정보 중에서 카드사로부터 입금된 수입내역은 각각의 카드결제내역이 건 당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일별로 정산하여 계좌로 입금되어 세부거래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나, 카드사에서 제공받는 카드거래내역에는 각 결제 건에 대한 내역이 저장되어 있어, 세부거래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500)은 카드사로부터 입금되는 거래내역정보와 카드거래내역을 비교하여 상기의 카드사로부터 입금되는 거래내역정보에 해당하는 카드거래내역을 분석하여 선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금액과 결제시기가 일치하는 카드거래내역이 선별되면, 카드사로부터 입금된 거래내역정보를 삭제하고, 일치하는 카드거래내역에 대하여 자동으로 거래내역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카드사에서 일괄적으로 정산하여 입금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카드사로부터 제공받는 카드거래내역을 이용하여 각각의 결제 건에 대한 세부정보를 확인하고, 각 결제 건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새로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1)은 시스템에 등록되는 각 바우처 사업별로 정리되는 은행거래내역과 카드결제내역을 포함하는 거래내역정보를 수입정보와 지출정보로 구분하여 통합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매월 또는 일정분기별로 각 바우처 사업에 대한 수입금액과 지출금액 또는 세부 계정과목에 따른 금액을 합산하여 관리하고, 이에 따른 재무회계에 필요한 수입결의서, 지출결의서, 임금대장, 현금출납부, 계정과목별원장, 총계정원장 등의 통계자료들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10: 재무회계모듈
100: 거래내역 관리모듈
110: 기록정보
120: 분류정보
130: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
140: DB검색모듈
150: 조건조회모듈
151: 구분석택부
152: 검색내용 입력부
153: 기간조회부
200: 수입DB모듈
300: 지출DB모듈
400: 본인부담금 관리모듈
500: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
20: 기관관리모듈
30: 바우처 관리모듈
40: 대상자 관리모듈
50: 제공인력 관리모듈

Claims (10)

  1. 기관에서 거래하는 은행계좌의 은행거래내역을 은행서버로부터 제공받아 기관의 재무를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재무회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재무회계모듈은,
    상기 은행거래내역의 정보가 거래내역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거래내역 관리모듈;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수입내역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 받아 표기하는 수입DB모듈; 및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지출내역에 관한 정보만을 전송 받아 표기하는 지출DB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래내역정보는,
    상기 은행거래내역을 대상으로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에 의해 정보의 가공이 가능하며,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로부터 DB업데이트 요청이 입력될 시 상기 수입DB모듈과 상기 지출DB모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정보는,
    분류정보별로 입력되어 저장되며,
    상기 분류정보는,
    입금 순번, 거래일시, 입출금 금액,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 관, 항, 목, 적요 항목을 포함하되,
    상기의 입금 순번, 거래일시, 입출금 금액, 거래내용, 거래기록사항 항목에 대하여 상기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되며,
    상기의 관, 항, 목, 적요 항목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되고,
    상기 은행거래내역으로부터 상기 거래기록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할 시 상기 거래내용 정보가 거래기록사항으로 동일하게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DB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상기 수입내역 목록 중에서 상기 분류정보가 동일한 수입내역에 대하여 그룹화하며,
    상기 그룹화된 수입내역을 목록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출DB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상기 지출내역 목록 중에서 상기 분류정보가 동일한 지출내역에 대하여 그룹화하며,
    상기 그룹화된 지출내역을 목록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은,
    관리자 단말로부터 설정되는 검색조건에 의해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필터링하는 조건조회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건조회모듈에 의해 필터링되는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한하여 DB 업데이트 요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 중 삭제 요청이 입력되는 특정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특정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부터 삭제 요청이 입력될 경우, 해당 거래내역정보를 삭제하며, 관리자 단말에 의해 거래내역정보 추가 요청을 입력 받을 경우, 거래내역정보를 추가하는 입력란을 제공하여 입력 받는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거래내역정보를 추가하는 거래내역정보 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정보는,
    대상자 이름, 대상자 생년월일, 제공자 이름, 제공자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항목이 더 포함되며, 상기 대상자 이름, 상기 대상자 생년월일, 상기 제공자 이름, 상기 제공자 생년월일에 대한 입력정보가 비공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관리하고자 하는 상기 기관의 정보와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는 바우처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기관관리 모듈;
    상기 기관관리 모듈에 등록되는 바우처의 사업수행내역 및 결재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재무회계 모듈에 바우처 정보를 제공하여 각 바우처 별로 재무가 관리되도록 하는 바우처 관리모듈;
    상기 바우처의 수혜대상자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재무회계 모듈과 연동하여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대상자 관리모듈; 및
    상기 바우처의 서비스 제공인력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제공인력으로부터 바우처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확인받고, 상기 재무회계 모듈과 연동하여 제공인력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제공인력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래내역 관리모듈은,
    상기 대상자 관리모듈과 상기 제공인력 관리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바우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에 대한 정부 지원금과 본인 부담금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회계 모듈은,
    상기 바우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가 부담하는 본인부담금이 관리되는 본인부담금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인부담금 관리모듈은,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상기 분류정보에서 대상자 이름 또는 제공자 이름의 정보가 상기 대상자 관리 모듈에 등록되는 대상자의 정보와 일치할 시 해당 대상자 이름으로 입금되는 수입내역 및 지출내역에 따라서 해당 대상자의 본인부담금을 자동계산하여 필요입금금액 또는 이월금액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무회계 모듈은,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되는 각 결제 건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카드결제내역을 카드사로부터 제공받아 관리하는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결제내역 관리모듈은,
    카드사로부터 입금이 확인되는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상기 카드결제내역과 대조하여 해당하는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상기 카드결제내역의 정보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거래내역 관리시스템
KR1020200181305A 2020-12-22 2020-12-22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 KR10254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05A KR102549474B1 (ko) 2020-12-22 2020-12-22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05A KR102549474B1 (ko) 2020-12-22 2020-12-22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276A true KR20220090276A (ko) 2022-06-29
KR102549474B1 KR102549474B1 (ko) 2023-06-28

Family

ID=8227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05A KR102549474B1 (ko) 2020-12-22 2020-12-22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4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576A (ko) * 2011-06-09 2011-07-20 주식회사 신한은행 전자 바우처를 이용한 공익 사업 운영 방법과 전자 바우처 관리 시스템
KR20120070205A (ko) * 2010-12-21 2012-06-29 중소기업은행 전자 가계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가계부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60058062A (ko) * 2014-11-14 2016-05-24 푸드앤디자인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erp 시스템
KR20160129277A (ko) * 2015-04-30 2016-11-09 김정훈 온라인을 통한 은행의 입출금계좌조회서비스를 이용한 입출금거래내역 가계부 서비스용 프로그램
KR102113806B1 (ko) * 2019-07-10 2020-05-21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0205A (ko) * 2010-12-21 2012-06-29 중소기업은행 전자 가계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거래 시스템 및 가계부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110083576A (ko) * 2011-06-09 2011-07-20 주식회사 신한은행 전자 바우처를 이용한 공익 사업 운영 방법과 전자 바우처 관리 시스템
KR20160058062A (ko) * 2014-11-14 2016-05-24 푸드앤디자인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erp 시스템
KR20160129277A (ko) * 2015-04-30 2016-11-09 김정훈 온라인을 통한 은행의 입출금계좌조회서비스를 이용한 입출금거래내역 가계부 서비스용 프로그램
KR102113806B1 (ko) * 2019-07-10 2020-05-21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474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886B1 (en) Account open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4428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classify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79748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pense management
US20070282724A1 (en) Asset based lending (abl) systems and methods
US20080255971A1 (en) Method and system of self-auditing for recovering sales tax
US83322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eposit reconciliation
US20040143621A1 (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llection system
KR101399437B1 (ko) 세무 회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세무 회계 서비스 방법
CN106846135A (zh) 一种对合同自动进行财务核算的方法
US200900245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nciling Profit and Loss
US200600365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e and application of legal personal net worth information
CN102208061A (zh) 数据核销处理装置和数据核销处理方法
JP2004302574A (ja) 払込金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083179A1 (en) Web-accessible payment processing system
US20080222014A1 (en) Property Sale Application and Tracking System
KR102549474B1 (ko) 은행거래내역 관리 시스템
US20130166422A1 (en) System and Method of Financial Reconciliation and Attribution for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KR101270492B1 (ko) 매출액 및 미수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06143A1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Handriani Zakat acceptance system on national level of zakat management organization in Indonesia
US9552612B2 (en) Tax data management and reporting system
JP2002074232A (ja) 金融処理システム、金融処理システムの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831478B2 (ja) ペーパレス会計システム
JPH04313151A (ja) ペーパレス会計システム
JP2018160282A (ja) 監査対象特定支援プログラム、監査対象特定支援方法および監査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