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903A -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 Google Patents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903A
KR20220089903A KR1020200180552A KR20200180552A KR20220089903A KR 20220089903 A KR20220089903 A KR 20220089903A KR 1020200180552 A KR1020200180552 A KR 1020200180552A KR 20200180552 A KR20200180552 A KR 20200180552A KR 20220089903 A KR20220089903 A KR 2022008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ace
lighting
fitting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529B1 (ko
Inventor
안민영
Original Assignee
(주)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크 filed Critical (주)데크
Priority to KR102020018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5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대유닛에 조명모듈이 설치되는 경우, 조명모듈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조명모듈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은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세로대유닛과, 단부가 세로대유닛에 지지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세로대유닛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유닛과, 세로대유닛에 가로대유닛을 결합시키는 조인트유닛을 포함하되, 세로대유닛에는 통기공간과 연결공간이 포함되고, 가로대유닛에는 끼움공간이 포함되며, 끼움공간에는 조명모듈이 끼움 결합되고, 끼움공간의 측면과 조명모듈의 측면 사이에는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는 띠 형상을 나타내거나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되는 블럭 형상을 나타내는 가로대지지바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FENCE FOR ILLUMINATION INSERTION WITH SUPPORT BAR}
본 발명은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대유닛에 조명모듈이 설치되는 경우, 조명모듈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조명모듈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는 잔디를 보호하는 등 통행자들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난간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다수의 지지대 중 인접한 지지대 사이에서 상하로 위치하여 통행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안전바로 구성된다.
난간대는 단순히 통행자들의 출입을 통제하는 역할을 할 뿐,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야간에 공원이나 산책로에서 조깅 등 운동을 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통행자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대에 조명을 설치하는 방안 등 통행자의 통행을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876호 (발명의 명칭 : 태양광을 이용하여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대, 2012. 05. 1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로대유닛에 조명모듈이 설치되는 경우, 조명모듈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조명모듈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은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세로대유닛; 단부가 상기 세로대유닛에 지지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세로대유닛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유닛; 및 상기 세로대유닛에 상기 가로대유닛을 결합시키는 조인트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세로대유닛에는, 중심 부분에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통기공간; 및 상기 가로대유닛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통기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측면부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간;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로대유닛에는, 상기 연결공간과 연통되는 한편,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끼움공간;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끼움공간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끼움공간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으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모듈;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끼움공간의 측면과 상기 조명모듈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는 띠 형상을 나타내거나, 상기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되는 블럭 형상을 나타내는 가로대지지바;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대지지바에는, 상기 끼움공간의 측면과 상기 조명모듈의 측면 사이에서 간격유지날개;가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공간은, 상기 가로대유닛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조명노출부; 및 상기 조명모듈의 끼움 결합을 위해 상기 조명노출부와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조명끼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공간은, 상기 조명끼움부와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조명방열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대유닛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끼움부의 폭은 상기 조명노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 따르면, 가로대유닛에 조명모듈이 설치되는 경우, 조명모듈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조명모듈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가로대지지바를 통해 가로대유닛의 변형을 방지하고, 가로대유닛의 변형에 따라 조명모듈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의 삽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가로대지지바에 탄성력이 부여되므로,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에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지지바설치홈을 통해 가로대지지바를 정위치시키고, 조명모듈의 끼움 결합 과정에서 가로대지지바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명바디의 발광바디부와 끼움공간의 측면을 이격시켜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므로 조명모듈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유지날개를 통해 가로대유닛에서 조명모듈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공간의 세부 구성을 통해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방열부를 통해 조명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고, 통기공간의 공기가 조명모듈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조명끼움부와 조명방열부의 크기를 한정함에 따라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을 정위치시키는 한편 조명모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노출부와 조명끼움부의 크기를 한정함에 따라 조명모듈이 끼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모듈의 빛이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되도록 하며, 끼움공간에서 가로대지지바를 안정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가로대유닛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조인트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상부캡유닛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하부캡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과 결합되는 조명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가로대지지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과 가로대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과 상부캡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과 하부캡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가로대유닛과 조명모듈과 가로대지지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가로대유닛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조인트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은 세로대유닛(10)과, 가로대유닛(20)과, 조인트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대유닛(10)은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된다.
세로대유닛(10)에는 중심 부분에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통기공간과, 가로대유닛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통기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측면부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간이 포함된다.
세로대유닛(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간에 삽입 지지되는 심주(11)와, 심주(11)의 둘레를 감싸는 지주본체(12)와, 지주본체(12)를 심주(11)에 고정시키는 지주고정부(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공간은 가로대유닛(20)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통기공간과 끼움공간이 연통되도록 지주본체(12)에 관통 형성되는 공간통기부(124)와, 가로대유닛(20)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통기공간에서 공간통기부(124)와 마주보도록 심주(11)에 관통 형성되는 공간연통부(115) 중 적어도 공간통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고정부(F)가 안정되게 통과하도록 심주(11)에는 연결공간에서 이격되어 결합관통부(114)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통기공간은 심주(11)를 기준으로 심주(11)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심주공간(101)과, 심주(11)를 기준으로 심주(11)와 지지본체(1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1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심주(11)는 심주공간(101)을 형성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찬넬기둥과, 심주공간(101)을 형성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의 다각기둥과, 심주공간을 형성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형상의 원형기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둥부재와, 이격공간(116)에서 기둥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간격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심주(11)의 외주면에서 간격부재(113)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이격공간(116)은 심주(11)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형태를 나타내어 기류의 형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심주공간(101)과 이격공간(116) 중 적어도 이격공간(116)에서는 기류가 발생되도록 하고, 심주공간(101)과 이격공간(116) 중 적어도 심주공간(101)에서는 조명모듈(60)의 케이블(63)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재는 "ㄷ"자 단면 형상의 찬넬기둥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다각기둥 또는 원형기둥으로 치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심주(11)에서 기둥부재는 "ㄷ" 자 형상을 갖는 찬넬 구조를 나타내므로, 기둥부재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심주바디(111)와, 상호 마주보도록 심주바디(1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심주날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심주바디(111)에는 결합관통부(114)가 관통 형성되고, 심주날개(112)에는 공간연통부(11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격부재(113)는 심주바디(111)와 심주날개(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 충분하다.
지주본체(12)는 심주(11)의 일측을 감싸도록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본체(121)와, 심주(11)의 타측을 감싸도록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121)와 제2본체(122)는 상호 대칭을 이루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지주본체(12)의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제1본체(121)와 제2본체(122)는 각각 평단면을 기준으로 "ㄷ" 자 형상을 갖는 찬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본체(121)와 제2본체(122)에는 각각 심주(11)가 삽입되도록 측면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높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심주안착부(123)와, 상술한 공간통기부(124)와, 지주고정부(F)의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부(12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격공간(116)은 심주안착부(123)와 심주(11)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대유닛(20)은 단부가 세로대유닛(10)에 지지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세로대유닛(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가로대유닛(20)은 세로대유닛(10)의 높이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가로대유닛(20)에는 연결공간과 연통되는 한편,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끼움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끼움공간은 가로대유닛(20)의 하부로 개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로대유닛(20)의 측면부 또는 가로대유닛(20)의 상부로 개구될 수 있다.
가로대유닛(20)에서 끼움공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유닛(2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조명노출부(21)와, 조명노출부(21)와 연통되도록 가로대유닛(20)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조명끼움부(22)와, 조명끼움부(22)와 연통되도록 가로대유닛(20)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조명방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노출부(21)와, 조명끼움부(22)와, 조명방열부(23)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조인트유닛(30)의 조인트공간과 연통된다.
조명노출부(21)는 가로대유닛(20)의 하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빛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므로, 난간 주변을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끼움부(22)에는 조명모듈(60)의 조명바디(61)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조명모듈(60)의 발광부(62)는 조명노출부(21)에 노출되도록 한다.
조명끼움부(22)의 폭은 조명노출부(2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조명모듈(60)의 조명바디(61)가 안정되게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조명바디(61)가 조명노출부(21)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방열부(23)의 폭은 조명끼움부(22)의 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조명바디(61)에서 발광부(62)가 형성되지 않은 면이 가로대유닛(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조명끼움부(22)와 조명방열부(23)에서는 조명바디(61)에서 발생되는 열이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로대유닛(20)의 양단부에는 각각 조인트유닛(30)과의 끼움 결합에 대응하여 조인트유닛(30)의 끼움부재(31)가 안착되는 조인트결합부(미도시)가 함몰 형성되므로, 가로대유닛(20)의 양단부에서 조인트유닛(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조인트유닛(30)은 세로대유닛(10)에 가로대유닛(20)을 결합시킨다. 조인트유닛(30)에는 통기공간과 끼움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공간이 형성된다.
조인트유닛(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유닛(2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중공의 끼움부재(31)와, 끼움부재(31)를 세로대유닛(10)에 결합하기 위해 끼움부재(31)에서 연장되어 세로대유닛(10)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조인트결합부(32)와, 조인트결합부(32)를 세로대유닛(10)에 고정시키는 구성과 끼움부재(31)를 가로대유닛(20)에 고정시키는 구성 중 적어도 조인트결합부(32)를 세로대유닛(10)에 고정시키는 구성이 포함되는 조인트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재(31)는 중공의 통 형상을 나타냄에 따라 가로대유닛(20)의 단부가 통과 가능한 조인트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인트결합부(32)는 끼움부재(3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조인트결합부(32)는 끼움부재(3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은 상부캡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상부캡유닛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상부캡유닛(40)은 통기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상부연통부가 형성되도록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상부캡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유닛(40)은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를 감싸 지지하는 상부커버부(42)와, 상부커버부(42)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지붕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연통부는 지붕부(41)가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부커버부(42)에서 통기공간과 연통되는 상부공간(401)과, 상부공간(40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부커버부(42)에 관통 형성되는 상부통기공(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캡유닛은 상부공간(401)이 형성되도록 상부커버부(42)를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에 고정시키는 상부캡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공간(401)에서 지붕부(41)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경사가이드(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통기공간과 외부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은 하부캡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하부캡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하부캡유닛(50)은 통기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하부연통부가 형성되도록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하부캡유닛(50)은 지면고정부(미도시)를 매개로 세로대유닛(10)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캡유닛(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간이 노출되도록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51)와,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한 상태에서 베이스부(51)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통부는 하부커버부(53)가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함에 따라 하부커버부(53)에서 베이스부(51)의 상측으로 노출된 통기공간과 연통되는 하부공간(501)과, 하부공간(50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부커버부(53)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하부통기공(53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는 심주(1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지주본체(12)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하부커버부(53)는 내부에 하부공간(501)을 형성하도록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은 조명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과 결합되는 조명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조명모듈(60)은 끼움공간에 끼움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끼움공간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으로 빛을 발산한다.
조명모듈(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바디(61)와, 발광부(62)를 포함하고, 케이블(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바디(61)는 가로대유닛(20)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조명바디(61)는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발광부(6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바디(61)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조명바디(61)는 발광부(62)가 구비되고 조명노출부(21) 쪽에서 조명끼움부(22)에 지지되는 발광바디부와, 발광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조명방열부(23) 쪽에서 조명끼움부(22)에 지지되는 지지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바디부의 폭은 지지바디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조명바디(61)와 조명끼움부(22)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조명모듈(60)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부(62)는 조명바디(61)를 거쳐 인가되는 전원으로 빛을 발산한다. 발광부(62)는 끼움공간에서 가로대유닛(20)의 일측으로 개구된 부분에 노출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62)는 LED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63)은 입력되는 전원과 조명바디(6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케이블(63)은 조명바디(6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블(63)은 조명바디(61)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은 가로대지지바(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가로대지지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로대지지바(70)는 끼움공간의 측면과 조명모듈(60)의 측면 사이에 구비된다. 가로대지지바(70)는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는 띠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로대지지바(70)는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되는 블럭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가로대지지바(70)는 가로대유닛(20)의 휨 또는 뒤틀림과 같은 변형에도 불구하고, 조명모듈(6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가로대지지바(70)는 탄성력이 부여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조명모듈(60)에는 가로대지지바(70)의 일부가 안착되는 지지바설치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바디(61)의 발광바디부는 끼움공간의 조명끼움부(22)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한다.
가로대지지바(70)에는 끼움공간의 측면과 조명모듈(60)의 측면 사이에서 간격유지날개(7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날개(71)는 가로대지지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기도 하고, 가로대지지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간격유지날개(71)는 끼움공간의 측면과 조명모듈(60)의 측면에 모두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끼움공간의 측면과 조명모듈(60)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지금부터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닛들의 상호 결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과 가로대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평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과 상부캡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세로대유닛과 하부캡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서 가로대유닛과 조명모듈과 가로대지지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로대유닛(10)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심주바디(111)는 제2본체(122)와 마주보도록 제2본체(122)의 심주안착부(123)에 삽입하고, 별도의 고정나사가 심주바디(111)를 관통하여 제2본체(122)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심주날개(112)의 단부는 제1본체(121)와 마주보도록 제1본체(121)의 심주안착부(123)에 삽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고정부(F)에서 볼트의 머리부는 제2본체(122)의 외부에 지지되고, 볼트의 나사부는 제2본체(122)의 고정홀부(125)와, 결합관통부(114)와, 심주공간(101)과, 제1본체(121)의 고정홀부(125)를 통과하여 제1본체(121)의 외부로 돌출되며, 너트가 외부로 돌출된 볼트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일체형의 세로대유닛(10)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로대유닛(10)과 가로대유닛(20)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끼움부재(31)에서 조인트공간에는 가로대유닛(2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조인트고정부를 이용하여 끼움부재(31)를 가로대유닛(20)의 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조인트결합부(32)가 세로대유닛(10)의 측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조인트고정부를 이용하여 조인트결합부(32)를 세로대유닛(10)의 측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간은 끼움공간과 정위치에서 연통되므로, 기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기류의 순환을 통해 조명모듈(60)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로대유닛(10)과 상부캡유닛(40)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에서 지붕부(41)가 이격되도록 상부커버부(42)가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를 감싸 지지한다. 이때, 상부캡고정부를 이용하여 상부커버부(42)를 세로대유닛(10)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통기공간과 상부공간(401)이 연통되고, 상부통기공(421)을 통해 상부공간(401)과 외부가 연통되어 기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통기공간 중 심주공간(101)에는 조명모듈(60)의 전원 제어를 위한 파워모듈(P)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로대유닛(10)과 하부캡유닛(50)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1)는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에서 심주(11)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지주본체(12)의 하단부는 베이스부(51)에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심주와 결합 고정되므로, 통기공간 중 적어도 이격공간(116)은 하부공간(501)과 연통되고, 하부통기공(531)을 통해 하부공간(501)과 외부가 연통되어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커버부(53)의 하단부는 베이스부(51)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로대유닛(20)과 조명모듈(60)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바디(61)는 조명끼움부(22)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발광바디부는 조명노출부(21) 쪽에서 조명끼움부(22)에 지지되고, 지지바디부는 조명방열부(23) 쪽에서 조명끼움부(22)에 지지된다. 발광바디부의 폭은 지지바디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조명끼움부(22)에서 공간을 확보하여 조명바디(61)와 조명끼움부(22)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조명모듈(60)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면, 발광부(62)에서 발산되는 빛은 조명노출부(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이때, 조명바디(61)의 지지바디부의 측면과 조명끼움부(22)의 측면 사이에는 가로대지지바(70)가 구비되고, 발광바디부의 측면과 조명끼움부(22)의 측면 사이에는 간격유지날개(71)가 구비되므로, 가로대유닛(20)에서 조명모듈(6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에 따르면, 조인트유닛(30)을 통해 세로대유닛(10)과 가로대유닛(20)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가로대유닛(20)에 조명모듈(60)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와 통기공간이 연통되고, 연결공간을 매개로 통기공간과 끼움공간이 연통됨에 따라 끼움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모듈(60)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특히, 세로대유닛(10)의 통기공간에서는 상승 기류 또는 하강 기류가 생성되므로, 상대성에 의해 끼움공간의 공기는 연결공간을 매개로 통기공간으로 이동하고, 통기공간의 공기는 연결공간을 매개로 끼움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안정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통기공간의 공기는 상승 기류 또는 하강 기류에 의해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므로, 끼움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모듈(60)을 방열시킬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심주공간(101)과 이격공간(116) 중 적어도 이격공간(116)에서 생성되는 기류가 연결공간 중 공간통기부(124)를 매개로 끼움공간과 안정되게 연통됨에 따라 끼움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모듈(60)을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대유닛(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세로대유닛(10)에서 가로대유닛(20)이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심주공간(101)과 이격공간(116) 중 적어도 이격공간(116)을 외부와 안정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특히, 공간통기부(124)가 적어도 끼움공간과 이격공간(116)을 연통시키므로, 적어도 이격공간(116)에서 생성되는 기류에 의해 끼움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모듈(60)을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심주(11)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심주(11)와 지주본체(12) 사이에 이격공간(116)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간격부재(113)를 통해 기류의 상승 또는 하강을 원활하게 하며, 심주공간(101)과 이격공간(116) 중 적어도 이격공간(116)에서 생성되는 기류에 의해 끼움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모듈(60)을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지주본체(12)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심주(11)와의 탈부착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심주(11) 또는 지주본체(12)의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끼움공간이 조명노출부(21)와 조명끼움부(22)와 조명방열부(23)로 구분됨에 따라 조명모듈(60)의 끼움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끼움공간이 연결공간을 매개로 통기공간과 연통됨에 따라 조명모듈(60)에서 발생하는 열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며, 끼움공간이 지면을 향해 노출됨에 따라 조명모듈(60)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공간의 세부 구성을 통해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60)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방열부(23)를 통해 조명모듈(60)에서 발생되는 열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고, 통기공간의 공기가 조명모듈(60)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조명끼움부(22)와 조명방열부(23)의 크기를 한정함에 따라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60)을 정위치시키는 한편 조명모듈(6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노출부(21)와 조명끼움부(22)의 크기를 한정함에 따라 조명모듈(60)이 끼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모듈(60)의 빛이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되도록 하며, 끼움공간에서 가로대지지바(70)를 안정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조인트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로대유닛(20)을 세로대유닛(10)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끼움공간과 연결공간을 명확하게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끼움공간의 조명방열부(23)가 공간통기부(124)와 안정되게 연통되도록 세로대유닛(10)에서 가로대유닛(20)을 간편하게 정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세로대유닛(10)에서 가로대유닛(20)의 위치 변경을 자유롭게 하며, 세로대유닛(10)에서 가로대유닛(20)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고, 적어도 이격공간(116)에서 생성되는 기류가 끼움공간에 안정되게 전달되어 끼움공간에 배치되는 조명모듈(60)을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캡유닛(40)을 통해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를 마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통기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에서 상부연통부를 매개로 통기공간과 외부가 안정되게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캡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에 상부캡유닛(40)이 결합되더라도 상부연통부의 세부 구성을 매개로 통기공간과 외부를 안정되게 연통시키고, 세로대유닛(10)의 상단부에서 통기공간으로 공기를 빠르게 유입시키거나 통기공간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캡유닛(50)을 통해 세로대유닛(10)을 지면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를 마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통기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에서 하부연통부를 매개로 통기공간과 외부가 안정되게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캡유닛(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에 하부캡유닛(50)이 결합되더라도 하부연통부의 세부 구성을 매개로 통기공간과 외부를 안정되게 연통시키고, 세로대유닛(10)의 하단부에서 통기공간으로 공기를 빠르게 유입시키거나 통기공간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모듈(60)을 통해 가로대유닛(20)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고, 난간 주변을 밝게 할 수 있으며,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60)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대지지바(70)의 부가를 통해 가로대유닛(20)에 조명모듈(60)이 설치되는 경우, 조명모듈(60)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조명모듈(60)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대지지바(70)를 통해 가로대유닛(20)의 변형을 방지하고, 가로대유닛(20)의 변형에 따라 조명모듈(60)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60)의 삽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대지지바(70)에 탄성력이 부여되므로, 끼움공간에서 조명모듈(60)에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설치홈을 통해 가로대지지바(70)를 정위치시키고, 조명모듈(60)의 끼움 결합 과정에서 가로대지지바(7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명바디(61)의 발광바디부와 끼움공간의 측면을 이격시켜 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므로 조명모듈(60)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날개(71)를 통해 가로대유닛(20)에서 조명모듈(6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세로대유닛 101: 심주공간 11: 심주
111: 심주바디 112: 심주날개 113: 간격부재
114: 결합관통부 115: 공간연통부 116: 이격공간
12: 지주본체 121: 제1본체 122: 제2본체
123: 심주안착부 124: 공간통기부 125: 고정홀부
20: 가로대유닛 21: 조명노출부 22: 조명끼움부
23: 조명방열부 30: 조인트유닛 31: 끼움부재
32: 조인트결합부 40: 상부캡유닛 401: 상부공간
41: 지붕부 42: 상부커버부 421: 상부통기공
50: 하부캡유닛 501: 하부공간 51: 베이스부
53: 하부커버부 531: 하부통기공 60: 조명모듈
61: 조명바디 62: 발광부 63: 케이블
70: 가로대지지바 71: 간격유지날개
F: 지주고정부 P 파워모듈

Claims (3)

  1.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세로대유닛;
    단부가 상기 세로대유닛에 지지되도록 상호 인접한 두 세로대유닛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유닛; 및
    상기 세로대유닛에 상기 가로대유닛을 결합시키는 조인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대유닛에는,
    중심 부분에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통기공간; 및
    상기 가로대유닛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통기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측면부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간;이 포함되며,
    상기 가로대유닛에는,
    상기 연결공간과 연통되는 한편, 일측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끼움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끼움공간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끼움공간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으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모듈;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끼움공간의 측면과 상기 조명모듈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는 띠 형상을 나타내거나, 상기 끼움공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되는 블럭 형상을 나타내는 가로대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간은,
    상기 가로대유닛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조명노출부; 및
    상기 조명모듈의 끼움 결합을 위해 상기 조명노출부와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조명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유닛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끼움부의 폭은 상기 조명노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0200180552A 2020-12-22 2020-12-22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52A KR102478529B1 (ko) 2020-12-22 2020-12-22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52A KR102478529B1 (ko) 2020-12-22 2020-12-22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903A true KR20220089903A (ko) 2022-06-29
KR102478529B1 KR102478529B1 (ko) 2022-12-16

Family

ID=8227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52A KR102478529B1 (ko) 2020-12-22 2020-12-22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5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16B1 (ko) * 2006-06-08 2007-06-2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JP2008002064A (ja) * 2006-06-20 2008-01-10 Ito Komuten:Kk 手摺り
KR101145876B1 (ko) 2011-06-30 2012-05-16 송원호 태양광을 이용하여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대
KR101179142B1 (ko) * 2012-05-07 2012-09-07 박성철 휀스 구조물
KR20140068387A (ko) * 2012-11-28 2014-06-09 김경태 난간 및 휀스용 지주
KR20190046747A (ko) * 2019-04-29 2019-05-07 (주)할리우드 스피커를 구비한 난간 구조물 시스템
KR102105858B1 (ko) * 2019-11-07 2020-04-29 조광덕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16B1 (ko) * 2006-06-08 2007-06-2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JP2008002064A (ja) * 2006-06-20 2008-01-10 Ito Komuten:Kk 手摺り
KR101145876B1 (ko) 2011-06-30 2012-05-16 송원호 태양광을 이용하여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난간대
KR101179142B1 (ko) * 2012-05-07 2012-09-07 박성철 휀스 구조물
KR20140068387A (ko) * 2012-11-28 2014-06-09 김경태 난간 및 휀스용 지주
KR20190046747A (ko) * 2019-04-29 2019-05-07 (주)할리우드 스피커를 구비한 난간 구조물 시스템
KR102105858B1 (ko) * 2019-11-07 2020-04-29 조광덕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529B1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0622B1 (en) Lamp
EP2500621B1 (en) Lamp
KR101623803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DE202007000456U1 (de) LED-Fahrzeugleuchtenstruktur
KR101367757B1 (ko) 엘이디 램프
US11927332B1 (en) Modular light housing
GB2581946A (en) Light and air filtration unit with ozone catalytic oxidation
KR20220089906A (ko) 버튼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5A (ko) 브라켓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9A (ko) 롤러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74518A (ko) 조명 삽입형 난간
US10865580B1 (en) Artificially-lighted waterfall fixture apparatus and artificial light-focusing module
DE102010062454A1 (de) Anordnung zur Lichtabgabe
KR100909475B1 (ko) 분수용 수중 조명등기구
KR20220089903A (ko)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20B1 (ko) 조명 삽입형 난간
US20070274089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Associated Housing for Accenting a Surface
KR101686136B1 (ko) 조명장치
KR20160147138A (ko) 경관 구조물의 캡
KR20090132785A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 장치
KR101163597B1 (ko) 안전 난간 기둥
US20170030563A1 (en) Retrofitting system for pole mounted light fixtures
KR100975145B1 (ko) 난간용 조명기기
KR102578098B1 (ko) 엘이디조명이 설치된 데크로드용 난간포스트
KR101076399B1 (ko) 양면 발광형 엘이디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