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142B1 - 휀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휀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142B1
KR101179142B1 KR1020120048167A KR20120048167A KR101179142B1 KR 101179142 B1 KR101179142 B1 KR 101179142B1 KR 1020120048167 A KR1020120048167 A KR 1020120048167A KR 20120048167 A KR20120048167 A KR 20120048167A KR 101179142 B1 KR101179142 B1 KR 101179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rol unit
power
lighting devic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웅
박성철
Original Assignee
박성철
최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철, 최규웅 filed Critical 박성철
Priority to KR102012004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로 측면에 설치되어 경계용 및 안전용등으로 사용되는 휀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 지지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보행로의 미려함을 더하거나 야간 안전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원활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난간 지지대의 상부캡에 조명장치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조명장치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휀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안전용 난간 지지대와, 상기 난간 지지대를 잇는 다수개의 난간 연결대가 구비된 휀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 지지대는, 보행로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측면이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캡과, 상기 지지판을 거쳐 유입된 전선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휀스 구조물{STRUCTURE OF FENCE}
본 발명은 보행로 측면에 설치되어 경계용 및 안전용등으로 사용되는 휀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 지지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보행로의 미려함을 더하거나 야간 안전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원활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난간 지지대의 상부캡에 조명장치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조명장치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휀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바쁜 생활 속에서 스트레스 해소나 건강상의 이유로 산이나 공원을 찾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등산객이나 행락객의 수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로의 양측 또는 일측에 경계 또는 안전용 난간을 설치하고 있으며, 야간보행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야간 이용자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조명시설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근래에는 휀스 구조물에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야간 안전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종래 휀스구조물에 사용되는 태양광 장치들은 휀스구조물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소형화된 규격으로서 축전능력이 매우 적어 밝은 조도를 필요로 하는 곳에는 사용이 제한되어지고,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숲속이나 음영지역에는 별도의 전력 인입 없이는 설치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다수의 난간 기둥에 설치되는 종래의 조명장치는 서로 연동되게 점등 및 소등, 점멸 또는 색상의 변화를 일괄되게 제어할 수 없고, 전원이 켜지거나 꺼지는 시간대도 모두 차이가 있어 값비싼 제품을 사용하면서도 그 조명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고, 난간 기둥에 설치된 태양광 집진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되는 조명장치는 별도의 제어장치가 없어 보행량이 적거나, 심야 시간대에도 조도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조명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가 크고 주변의 동, 식물의 휴식에 지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도심 외곽지역이나 산중의 보행로에서 원활한 전원 축전 및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충분한 전력 공급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높은 조도를 발휘함으로써 야간에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난간 지지대의 상부캡에 조명장치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조명장치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마철 제어부의 침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캡에 통기구를 마련하여 중공형 지주의 내부나 상부캡의 내측 습기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통기구 중 일부 통기구에 조명구를 설치하여 야간에 더욱 안정된 보행유도와 구조물의 미려함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행로에 다수개의 차양부재를 설치하고, 각각의 차양부재에는 메인제어부를 설치하며, 다수개의 메인제어부는 상호 유선으로 연결되게 함은 물론 그 각각의 메인제어부와 다수개의 제어부가 유선연결되게 함으로써 조명장치의 조명시 일괄적인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휀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안전용 난간 지지대와, 상기 난간 지지대를 잇는 다수개의 난간 연결대가 구비된 휀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 지지대는, 보행로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측면이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캡과, 상기 지지판을 거쳐 유입된 전선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전선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공급하는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캡의 측면부는, 상기 상측경사부의 일단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측면부와 그 수직측면부의 일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측면부가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측면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에는 야간 안전보행을 유도하는 조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측면부의 일단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천시 상기 통기구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은 상판부가 보행로에서 일정높이 이격되게 형성된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보행로에 결속수단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상판부와 보행로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거친 상기 전선케이블이 상기 지주의 내측방향으로 유입되게 상기 지지판의 상판부에는 전선인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인입공에는 전선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형 피복보호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피복보호부재에는, 상기 지주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지지판을 거쳐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개구공이 형성된다.
더욱이, 지지부와 루프부로 구성되어 보행로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의 루프부에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태양전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와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여부를 송신하는 메인제어부를 더 포함되고, 다수개의 차양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제어부는 상호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전기의 인입이 어렵거나 전기 인입을 위해 과도한 비용을 들여야 하는 도심 외곽지역이나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산중의 보행로에 원활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충분한 전력 공급에 의해 높은 조도를 발휘함으로써 야간에 안전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난간 지지대의 상부캡에 조명장치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조명장치의 이상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장마철 제어부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부캡에 통기구를 마련하여 중공형 지주의 내부나 상부캡의 내측 습기를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캡에 형성된 통기구 중 일부 통기구에 조명구를 설치하여 야간에 더욱 안정된 보행유도와 구조물의 미려함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차양부재에 설치된 메인제어부가 상호 유선으로 연결되고, 그 각각의 메인제어부와 다수개의 제어부가 유선연결됨으로써 조명장치의 조명시 일괄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조명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지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지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지대의 상부캡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보호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재의 메인제어부와 난간지지대의 제어부간의 연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제어부, 메인제어부, 축전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와 메인제어부의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휀스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보행로는 자연과 잘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목재를 사용하거나 자연상태의 통행 길을 정비 또는 포장하여 등산로나 산책로에서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길, 해변 또는 공원이나 숲의 보행도로 및 생태 관찰을 위한 길 또는 관광지 및 건물의 옥외 전망대, 어린이 놀이터 등에 동선을 따라 평탄하거나 완만한 경사로 설치되는 길을 의미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지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지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지지대의 상부캡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보호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재의 메인제어부와 난간지지대의 제어부간의 연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제어부, 메인제어부, 축전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와 메인제어부의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로 측면에 설치되는 안전용 난간 지지대(10)와 상기 난간 지지대(10)를 잇는 다수개의 난간 연결대(20)가 구비된 휀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 지지대(10)는 보행로에 설치되는 지지판(100), 지주(200), 상부캡(300), 조명장치(2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행로는 목재의 데크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보행로 즉 데크로드이거나 자연상태의 통행길을 넓게 정비 또는 포장하여 등산로나 산책로에서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보행로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100)은 보행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판부(130)가 보행로에서 일정높이 이격되게 형성된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보행로에 결속수단(150)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100)의 상판부(130)와 보행로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거친 전선케이블(30)이 상기 지주(200)의 내측방향으로 유입되게 상기 지지판(100)의 상판부에는 전선인입공(1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판(100)은 보행로에 결속수단(150)을 매개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편(110)과 상기 고정편(110)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20)과 상기 연장편(120)을 상호연결하는 상판부(13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판부(130)가 보행로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선케이블(30)은 후술되는 조명장치(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주(200)는 목재나 합성목재의 재질 또는 철재나 알루미늄의 재질로 된 중공형으로, 상기 지지판(1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주(200)는 외부 치장재 내측에 중공형의 속주(미도시)가 삽입되게 구성된 것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100)의 상측에 중공형의 지주(2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판(100)을 거쳐 유입된 전선케이블(30)이 외부노출 없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판(100) 없이 보행로에 상기 지주(200)가 바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선케이블(30)이 상기 지주(200)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인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전선케이블(30)의 외부노출로 인한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전선케이블을 측면에 밀착해서 고정해야되므로 단락의 위험이 있으며, 그 전선케이블이 장기간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보면 피복의 손상으로 인한 단선 및 단락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판(100) 특히 상기 지지판(100)의 상판부(130)가 보행로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고, 그 지지판(100)에 중공형 지주(200)를 설치하여 상기 전선케이블(30)의 설치시, 상기 상판부(130)와 보행로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전선케이블(30)을 인입 후, 상기 상판부(130)에 형성된 전선인입공(131)을 거쳐 상기 지주(200)의 내측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전선케이블을 외부노출 없이 설치할 수 있고, 전선케이블의 급격한 꺾임 부위 없이 설치할 수 있어 그 전선케이블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130)의 전선인입공(131)에는 전선케이블(30)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형 피복보호부재(1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전선인입공(131)이 형성된 상판부(130)의 단부에서 상기 전선케이블(30)의 마찰로 인한 피복 벗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선인입공(131)에 피복보호부재(14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피복보호부재(140)는 상기 전선인입공(13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중공형 삽입구(141)와 상기 삽입구(141)의 일단에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판부(130)의 상측면에 걸림되는 걸림구(143)로 구성된 고무재질의 구성으로, 상기와 같은 피복보호부재(140)가 상기 전선인입공(131)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판부(130)의 전선인입공(131)을 거쳐 상기 지주(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30) 피복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복보호부재(140)의 일측에는 상하길이방향으로 개구공(145)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지주(200)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지지판(100)을 거쳐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개구공(145)의 개구폭은, 상기 전선케이블(30)의 직경보다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캡(300)은 상기 지주(2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측면이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캡(3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상부캡(300)은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수 시 빗물의 흘러내림을 유도하는 상측경사부(330)와, 상기 상측경사부(330)의 일단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측면부(351)와 그 수직측면부(351)의 일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이어 형성된 경사측면부(355)로 이루어진 측면부(350)와, 상기 측면부(350)의 경사측면부(355)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연장되어 상기 지주(200)의 결합되는 결합부(370)로 구성된 중공형으로, 그 상부캡의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측면부(355)에는 다수개의 통기구(356)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측면부(355)에 통기구(356)를 설치하는 이유는 중공형으로 구성되는 상기 상부캡(300)과 지주(200) 내측의 습기를 빠르게 건조하여 지주의 부식을 막고, 상부캡(300)의 결로현상으로 인한 단락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통기구(356) 중 보행로 방향을 향하는 일부 통기구에 조명구를 설치하여 야간 보행로의 미려함을 도모하도록 할 뿐 아니라 야간 안전보행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300)에는 차단부(352)가 형성되는데, 그 차단부(352)는 상기 상부캡(300)의 수직측면부(351)의 일단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천시 상기 통기구(356)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통기구(356)에 설치된 조명구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조명장치(210)는 상기 지지판(100)을 거쳐 유입된 전선케이블(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되는 것으로, 조명장치에는 다수개의 색상이 조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210)는 상기 난간 지지대(10)의 지주(2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난간 지지대(10)의 상부캡(300) 또는 휀스 구조물에 인접한 곳에도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210)를 보행로에 일정한 패턴으로 설치하여 보행로의 미려함을 더하거나 야간 안전 보행을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300)에는 상기 전선케이블(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하는 제어부(3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210)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310)가 설치된 상부캡(300)이 중공형 지주(20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조명장치의 유지보수 및 단선이나 단락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310)가 지면에서 충분한 이격거리에 위치한 상기 상부캡(300)에 설치됨으로써 장마철 침수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상기 조명장치(210)가 조명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210)에 이상이 있는 것인지 전원공급에 문제가 있는 것이지 여부를 상기 지주(200)로부터 상부캡의 분리후, 제어부(310)의 점검을 통해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0)에서는 후술되는 메인제어부에서 송출된 신호에 의해 조명장치의 점등 및 소등, 점멸 또는 색상의 변화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휀스 구조물에는 중공형의 지지부(410)와 루프부(420)로 구성되어 보행로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부재(400)와, 상기 차양부재(400)의 루프부(420)에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태양전지(500)와, 상기 지지부(4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310)와 전선케이블(3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500)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어부(310)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310)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장치(210)의 조명여부를 송신하는 메인제어부(6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차양부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고라의 형태이거나 도 7에 도시된 구조물의 형태일 수 있는 것으로, 보행로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난간이 형성되는 보행로에는 파고라 형태의 차양부재(400)를 설치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난간이 형성되는 보행로에는 도 7에 도시된 구조물 형태의 차양부재(4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양부재(400)는 일조가 양호한 곳에 설치되어 태양광 집진 거점으로 사용되고, 상기 차양부재(400)의 태양전지를 통해 생산된 전력은 대용량 축전지에 저장되어 야간에 휀스 구조물에 장착된 다수의 조명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양부재(400)의 중공형 지지부(410)는, 보행로의 측면에 상기 난간 지지대(10)의 지지판(100)과 같은 하부지지판(미도시)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태양전지(500)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루프부(4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메인제어부(600)는 상기 태양전지(500)에서 생성된 전력을 상기 제어부(310)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310)에 조명장치(210)의 조명여부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양부재(400)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전지(500)에 의해 생성된 전력은 축전지에 축전 된다.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전선케이블(3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하는 전력전달부(311)와,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량 조절부(313)와, 상기 메인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600)에는, 상기 제어부(310)의 전력전달부(311)에 전선케이블(30)을 매개로 축전지에 축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610)와,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잔류전력량을 감지하는 잔류전력량측정부(620)와, 상기 제어부(310)에 조명장치(210)의 조명여부를 송신하는 송신부(63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600)에는, 정해진 시간에 상기 제어부(310)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조명장치(210)가 조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다수의 제어부에 조명장치의 점등 및 소등, 점멸 또는 색상의 변화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조명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로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회로부는 필요에 따라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수개의 차양부재(400)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제어부(600)는 상호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구성되고, 각각의 메인제어부(600)는 다수개의 난간 지지대 중 일정수의 난간 지지대 상부캡(300)에 설치된 제어부(310)와 유선연결된다.
즉, 다수개의 메인제어부(600)가 상호 유선으로 연결되고, 그 각각의 메인제어부(600)와 다수개의 제어부(310)가 유선연결됨으로써 조명장치의 조명시 일괄적인 조명 및 다양한 디자인 조명 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310)와 메인제어부(600)에 의해 상기 난간 지지대(10)에 설치된 조명장치(210)가 조명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회로부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 되면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메인제어부(600)의 전력공급부(610)를 거쳐 상기 제어부(310)의 전력전달부(311)로 공급되고, 상기 메인제어부(600)의 송신부(630)에서는 상기 제어부(310)의 수신부(315)로 상기 전력전달부(311)로 공급된 전력을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하라는 신호를 송출하여 조명장치가 조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600)의 잔류전력량측정부(620)에서는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량을 측정하고, 일정 수준 이하 바람직하게는 축전 총량의 50%이하일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600)에서는 상기 제어부(310)에 신호를 송출하여 제어부(310)의 전력량 조절부(313)에서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줄여 조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행자의 통행이 드문 시간 때나 저녁이나 새벽시간때에는 조명장치의 조명을 위해 필요한 전력공급을 감소시켜 축전지에 축전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휀스 구조물에서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이외에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같이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자원고갈에 대비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공공기관에서 지원되는 전력을 사용하기 어려운 도심 외곽지역이나 산중의 보행로에서도 자연에너지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조명장치의 조명에 필요한 전력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난간 지지대 20: 난간 연결대 30: 전선케이블
100: 지지판 110: 고정편 120: 연장편
130: 상판부 131: 전선인입공 140: 피복보호부재
141: 삽입구 143: 걸림구 145: 개구공
150: 결속수단 200: 지주 210: 조명장치
300: 상부캡 310: 제어부 311: 전력전달부
313: 전력량 조절부 315: 수신부 330: 상측경사부
350: 측면부 351: 수직측면부 352: 차단부
355: 경사측면부 356: 통기구 370: 결합부
400: 차양부재 410: 지지부 420: 루프부
500: 태양전지 600: 메인제어부 610: 전력공급부
620: 잔류전력량측정부 630: 송신부

Claims (10)

  1. 삭제
  2. 보행자의 보행로 측면에 설치되는 안전용 난간 지지대(10)와, 상기 난간지지대(10)를 잇는 다수개의 난간 연결대(20)가 구비된 휀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 지지대(10)는, 보행로에 설치되는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지주(200)와, 상기 지지판(100)을 거쳐 유입된 전선케이블(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장치(210)와, 상기 지주(2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측이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전선케이블(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하는 제어부(310)가 설치된 상부캡(300)으로 구성되고,
    지지부(410)와 루프부(420)로 구성되어 일조가 가능한 보행로의 측면에 태양광 집진 거점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부재(400)와; 상기 차양부재(400)의 루프부(420) 상측에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태양전지(500)와; 상기 차양부재(400)의 지지부(4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310)와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500)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어부(310)에 공급하고, 상기 조명장치(210)의 조명여부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메인제어부(600)가 더 포함되며,
    다수개의 차양부재(400)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제어부(600)는 상호 유선으로 연동하게 구성되고, 각각의 메인제어부(600)는 다수개의 난간 지지대 중 일정수의 난간 지지대 상부캡(300)에 설치된 제어부(310)와 유선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10)에는 상기 전선케이블(3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하는 전력전달부(311)와, 상기 조명장치(21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량 조절부(312)와, 상기 메인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5)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제어부(600)에는, 상기 제어부(310)의 전력전달부(311)에 전선케이블(30)을 매개로 축전지에 축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610)와,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잔류전력량을 감지하는 잔류전력량측정부(620)와, 상기 제어부(310)에 조명장치(210)의 조명여부를 송신하는 송신부(6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캡(300)은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수 시 빗물의 흘러내림을 유도하는 상측경사부(330)와; 상기 상측경사부(330)의 일단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측면부(351)와 그 수직측면부(351)의 일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이어 형성된 경사측면부(355)로 이루어진 측면부(350)와; 상기 측면부(350)의 경사측면부(355)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연장되어 상기 지주(200)의 결합되는 결합부(370)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측면부(355)에는 다수개의 통기구(3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356)에는 야간 안전보행을 유도하는 조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측면부(351)의 일단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천시 상기 통기구(356)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부(3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은 상판부가 보행로에서 일정높이 이격되게 형성된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보행로에 결속수단(150)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100)의 상판부와 보행로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거친 상기 전선케이블(30)이 상기 지주(200)의 내측방향으로 유입되게 상기 지지판(100)의 상판부에는 전선인입공(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인입공(131)에는 전선케이블(30)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형 피복보호부재(1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보호부재(140)에는, 상기 지주(200)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지지판(100)을 거쳐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개구공(1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구조물.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48167A 2012-05-07 2012-05-07 휀스 구조물 KR10117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67A KR101179142B1 (ko) 2012-05-07 2012-05-07 휀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67A KR101179142B1 (ko) 2012-05-07 2012-05-07 휀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142B1 true KR101179142B1 (ko) 2012-09-07

Family

ID=4707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67A KR101179142B1 (ko) 2012-05-07 2012-05-07 휀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4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60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휀스
CN112343416A (zh) * 2020-10-23 2021-0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梁山县供电公司 一种安全作业用护栏
KR20220054128A (ko) * 2020-10-23 2022-05-02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74518A (ko) * 2020-11-27 2022-06-03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9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롤러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5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브라켓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3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6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버튼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47799B1 (ko) * 2022-02-18 2022-09-27 주식회사 파크조경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102578098B1 (ko) * 2022-10-27 2023-09-15 태광데크 주식회사 엘이디조명이 설치된 데크로드용 난간포스트
KR102654069B1 (ko) * 2023-07-21 2024-04-03 (주)에스에스팀버 IcT 기능 부가를 위한 전망 데크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429A (ja) * 1999-03-15 2000-09-26 Sekisui Jushi Co Ltd
KR20080084546A (ko) * 2007-03-13 2008-09-19 박현숙 도로 안전시설물용 조명장치
KR20090002331U (ko) * 2007-09-03 2009-03-06 (주)대현목재방부산업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조명기둥
KR20100062593A (ko) * 2008-12-02 2010-06-10 정종상 조명 펜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429A (ja) * 1999-03-15 2000-09-26 Sekisui Jushi Co Ltd
KR20080084546A (ko) * 2007-03-13 2008-09-19 박현숙 도로 안전시설물용 조명장치
KR20090002331U (ko) * 2007-09-03 2009-03-06 (주)대현목재방부산업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조명기둥
KR20100062593A (ko) * 2008-12-02 2010-06-10 정종상 조명 펜스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60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휀스
KR102238505B1 (ko) * 2019-05-22 2021-04-08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휀스
CN112343416A (zh) * 2020-10-23 2021-0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梁山县供电公司 一种安全作业用护栏
KR20220054128A (ko) * 2020-10-23 2022-05-02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20B1 (ko) * 2020-10-23 2022-12-19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74518A (ko) * 2020-11-27 2022-06-03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39B1 (ko) * 2020-11-27 2022-12-16 (주)데크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6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버튼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3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5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브라켓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43B1 (ko) * 2020-12-22 2022-12-16 (주)데크 브라켓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42B1 (ko) * 2020-12-22 2022-12-16 (주)데크 버튼이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29B1 (ko) * 2020-12-22 2022-12-16 (주)데크 지지바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78526B1 (ko) * 2020-12-22 2022-12-19 (주)데크 롤러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20220089909A (ko) * 2020-12-22 2022-06-29 (주)데크 롤러가 구비된 조명 삽입형 난간
KR102447799B1 (ko) * 2022-02-18 2022-09-27 주식회사 파크조경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102578098B1 (ko) * 2022-10-27 2023-09-15 태광데크 주식회사 엘이디조명이 설치된 데크로드용 난간포스트
KR102654069B1 (ko) * 2023-07-21 2024-04-03 (주)에스에스팀버 IcT 기능 부가를 위한 전망 데크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142B1 (ko) 휀스 구조물
KR101528755B1 (ko) 도로 및 철로 구간에 설치된 스마트 솔라웨이
WO2017039104A1 (ko) 배수 및 용수 기능을 구비한 보도구조
WO2018088681A1 (ko) 복합 발전 가로등
KR101359032B1 (ko) 센서 보행등 및 가로등
KR20060011563A (ko) 태양광을 이용한 버스승강장 조명장치
KR20110037101A (ko) 횡단보도용 복합신호등
KR10231659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행등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JP6691335B2 (ja) 照明装置
KR101043601B1 (ko) 식별램프가 구비된 난간
CN203034362U (zh) 一体化人行道灯光景观护栏
KR20110130567A (ko) 등산로 난간용 조명장치
CN111520665B (zh) 智能应急天气的灯柱多功能扩展装置
KR102115876B1 (ko) 태양광을 활용한 분산 발전소
ES2586478B1 (es) Sistema para el control y regulación de la iluminación de un tramo de un túnel.
KR200493043Y1 (ko) 태양광 발전용 휀스 캡
CN106195912A (zh) 一种光伏储能于一体的光导照明系统
KR20130004318U (ko) 자연광 순응을 위한 터널출입 구조물
KR200351455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보도블록
KR102646858B1 (ko) 바닥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다목적 체결 시스템
CN211006466U (zh) 照明护栏
KR101046864B1 (ko) 자전거 도로 시스템
CN109868741A (zh) 一种带有照明功能的节能型路桥防护栏
Nurmamatovich et al. Technological Sustainability of Introduction of Solar Panel Lights in Parks
CN209547495U (zh) 一种多功能雨水收集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