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164A -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164A
KR20220088164A KR1020200178924A KR20200178924A KR20220088164A KR 20220088164 A KR20220088164 A KR 20220088164A KR 1020200178924 A KR1020200178924 A KR 1020200178924A KR 20200178924 A KR20200178924 A KR 20200178924A KR 20220088164 A KR20220088164 A KR 2022008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unit
air
air purifica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208B1 (ko
Inventor
이종원
이주희
김연규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2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부로 유입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동시키는 공기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AN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CARBON DIOXIDE EMISSION FUNCTION AND A METHOD FOR PURIFYING AN AIR}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된 실내에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미세먼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공기 정화 장치가 주목 받고 있다. 공기 정화 장치는 기계식 또는 정전기를 이용한 집진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필터를 이용해 미세먼지를 비롯한 각종 유해 물질을 포집하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한다.
한편 밀폐된 실내에서 공기 정화 장치를 가동할 경우, 미세먼지의 농도는 낮아질 수 있으나 환기가 되지 않아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환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나 환기 과정에서 외부의 미세먼지 등 기타 유해 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입된 외부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 정화 장치가 다시 작동해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문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공기 정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창문형 공기 정화 장치는 창문에 연결된 상태에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 시 실내의 기압이 감소하게 되고, 실내외 간의 기압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창문 틈과 같은 미세한 구멍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정화된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창문형 공기 정화 장치에 구비된 환기구는 내 전체 부피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에 환기구만으로는 실내 공기를 전반적으로 순환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536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공기 정화 기능과 이산화탄소를 흡착 및 배출하는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오염된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화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부로 유입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동시키는 공기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1면 이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유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면에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와 연통하는 제2 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배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공기 유동부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배출부와 연통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부와 연통하는 제2 배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배치되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 상에 형성되는 열선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의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이산화탄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를 가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를 개폐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2 배출부를 개폐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되기 전에는 상기 제1 배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부가 상기 제2 커버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되면 상기 제2 배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배출부가 상기 제1 커버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부는 상기 공기 정화부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팬으로서,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되기 전에는 제1 속도로 회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 배출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된 후에는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회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배출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은 공기 정화부,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공기 유동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이용하는 공기 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 유동부를 이용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배출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출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배출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배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 전에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현재 무게와 초기 무게의 차이가 제1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2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를 가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이산화탄소 필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 배출하여 이산화탄소 필터를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공기 정화 시 오염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정화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제거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10)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320)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320)의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10; 이하 '공기 정화 장치'라고도 함)는 실내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 각종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제거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는 창문 등을 통해 실외와 연결되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는 본체(100), 공기 정화부(200), 이산화탄소 제거부(300), 공기 유동부(400), 컨트롤러(500), 디스플레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공기 정화 장치(10)의 다른 구성을 지지할 수 있다. 본체(100)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 및 장소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체(10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체(100)는 유입부(110), 제1 배출부(120) 및 제2 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10)는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가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유입부(110)는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1면 이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부(110)는 본체(100)의 하부에 4개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110)는 복수 개의 유입공(111)을 포함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공(1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유입부(110)는 유입공(111) 대신 또는 유입공(111)에 더하여 복수 개의 슬릿(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부(120)는 본체(100)의 타측에 배치되며, 공기 정화부(200) 및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제1 배출부(120)는 본체(100)의 상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배출 슬릿(1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배출부(120)는 배출 슬릿(121) 대신 또는 배출 슬릿(121)에 더하여 복수 개의 배출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부(130)는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되며,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에 포집된 이산화탄소가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제2 배출부(130)는 본체(100)의 상부 측면에 배치되며, 배출 파이프(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에는 제2 배출부(130)가 원형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공기 정화부(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정화부(2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유입부(1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부(200)는 공기 정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입자가 큰 먼지나 머리카락 등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1차적을 제거하는 프리 필터, 미세먼지 제거 필터, VOC 제거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공기 정화부(20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필터를 외주면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 필터가 최외측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미세먼지 제거 필터와 VOC 제거 필터가 순서대로 적층되는 상기 공기 정화 필터가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공기 정화부(20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를 거쳐 정화될 수 있다.
공기 정화부(200)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본체(100)의 크기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는 본체(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공기 정화부(200)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는 공기 정화부(200)의 윗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는 제1 배출부(120) 및 제2 배출부(130)와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정화부(200)를 통과한 공기는 후술하는 공기 유동부(400)를 통해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로 유입된다.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며, 필터를 거친 공기는 제1 배출부(120)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되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제2 배출부(130)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는 덕트(310), 지지 프레임(320) 및 이산화탄소 필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덕트(310)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다른 구성을 포함 및 지지하는 부재로서, 제1 배출부(120) 및 제2 배출부(130)와 연통하도록 본체(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덕트(31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제1 유입구(311), 제1 배출구(312) 및 제2 배출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구(311)는 공기 정화부(200)를 지향하도록 배치되며, 후술하는 공기 유동부(400)와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정화부(20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공기 유동부(400)에 의해 제1 유입구(311)를 거쳐 덕트(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유입구(311)의 단면적은 공기 유동부(400)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배출구(312)는 제1 유입구(3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배출부(120)와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310)의 내부에 배치된 이산화탄소 필터(330)를 거쳐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공기는 제1 배출구(312)를 통해 제1 배출부(120)를 거쳐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배출구(313)는 제2 배출부(130)와 연통하도록 덕트(3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이산화탄소 필터(330)에 포집된 이산화탄소가 제2 배출구(313)를 통해 제2 배출부(130)를 거쳐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 보다 구체적으로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20)은 덕트(3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산화탄소 필터(3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20)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21)와 지지 플레이트(321) 사이에 복수 개의 열과 행으로 배치되는 지지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322)는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322)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배치되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안착되는 안착면(33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필터(330)는 지지 프레임(320)의 일측에 개방된 영역을 통해 지지바(322) 상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필터(330)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여 포집하는 흡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필터(330)는 제올라이트(zeolite), 산화티탄(TiO2), 니켈(Ni), 수산화리튬(LiOH)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산화탄소 필터(330)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필터(330)는 상면에 슬라이드 방식 또는 힌지 방식으로 체결되는 도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수명이 다 한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흡착제를 버리고 새로운 흡착제를 집어넣어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는 열선(340) 및 이산화탄소 센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선(340)은 지지 프레임(3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산화탄소 필터(330)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선(340)은 각각의 지지바(322)의 내측에 매설되며,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미도시)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즉 이산화탄소 필터(330)의 이산화탄소 포집 수용 능력이 최대치에 도달하여 더 이상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면, 열선(340)은 이산화탄소 필터(330)를 가열하여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필터(330)와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덕트(310)의 제2 배출구(313)를 통해 제2 배출부(13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산화탄소 필터(330)의 포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지지 프레임(32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3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321)는 열선(340)에 의해 이산화탄소 센서(350)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이산화탄소 필터(330)의 포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로드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지지 프레임(320)의 초기 무게와 현재 무게를 비교하여, 이산화탄소 필터(330)의 포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필터(330)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함에 따라 이산화탄소만큼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이산화탄소 필터(330)를 제외한 다른 부재의 무게는 변함이 없으므로,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지지 프레임(320)의 무게가 증가한 만큼 이산화탄소가 포집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지지 프레임(320)의 현재 무게와 초기 무게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20)의 바닥면 또는 지지 플레이트(321)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지지 프레임(32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플레이트(321)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기 정화부(200)를 통과한 공기 중 이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 필터(330)에 의해 포집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센서(350)가 배치된 영역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기 설정된 제2 범위 이하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더 이상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없으므로, 이산화탄소 센서(350)가 배치된 영역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2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2 범위를 초과하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2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컨트롤러(5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500)는 이산화탄소 센서(350)로부터 전달받은 이산화탄소 필터(330)의 포화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전달 받고, 포화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500)는 포화 상태를 판정하여 디스플레이부(600)에 이를 표시할 수 있다.
공기 유동부(400)는 외부 공기를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시켜 공기 정화부(200) 및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통과시킨 다음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동부(400)는 공기 정화부(200)와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팬일 수 있다. 이 외에도 공기 유동부(400)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공기 정화 장치(10) 내부에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 유동부(400)가 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유동부(40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획된 안착 영역(140)에 배치되며, 일면은 공기 정화부(200)를 지향하고 타면은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착 영역(140)은 공기 정화부(200)와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사이에 구획되는 공간이다. 안착 영역(140)은 공기 정화부(200)와 연통하는 제1 연통구(141) 및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와 연통하는 제2 연통구(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부재와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공기 유동부(400)는 안착 영역(140)의 내부에 배치되는 팬으로서 외부 공기를 제1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시킨다. 그리고 공기 유동부(400)는 유입된 공기가 공기 정화부(200)를 통과하면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로 유동시킨 다음 제1 배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도 3의 실선 화살표).
또한 공기 유동부(400)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열선(340)에 의해 이산화탄소 필터(330)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제2 배출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도 3의 점선 화살표).
일 실시예로 공기 유동부(400)는 실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경우와 포화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때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경우, 공기 유동부(400)는 제1 속도로 회전하여 외부 공기를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를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로 유동시킨 다음 제1 배출부(120)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반면 포화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공기 유동부(400)는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회전하여, 외부 공기가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거나 최소한의 외부 공기만이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필터(330)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제2 배출부(13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정화 장치(10)는 제1 배출부(12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커버(700) 및 제2 배출부(13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2 커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기 전에는 제1 커버(700)가 제1 배출부(120)를 커버하지 않아 제1 배출부(120)가 개방된다. 그리고 제2 커버(800)가 제2 배출부(130)를 커버하여 제2 배출부(130)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통과한 공기는 제2 배출부(130)로는 이동하지 않고 제1 배출부(120)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면 제1 커버(700)가 제1 배출부(120)를 커버하여 제1 배출부(120)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2 커버(800)는 제2 배출부(130)를 커버하지 않아 제2 배출부(130)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통과한 공기는 제1 배출부(120)로는 이동하지 않고 제2 배출부(130)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면 제2 배출부(130)는 상기 배출 파이프 등을 통해 창문과 연결되거나 실외와 연결되어,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공기 정화 장치(10)는 제1 유입부(110)를 개폐하는 제3 커버(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커버(900)는 제1 유입부(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기 전에는 제3 커버(900)는 제1 유입부(110)를 커버하지 않으며, 외부 공기는 제1 유입부(110)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반면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3 커버(900)는 제1 유입부(110)를 커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500)는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공기 정화 장치(10)를 동작하거나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공기 정화 장치(10)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00)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 공기 유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0)는 이산화탄소 센서(350)가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된 것으로 판정하면 열선(340)을 작동시켜, 이산화탄소 필터(330)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500)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되기 전에는 공기 유동부(400)를 제1 속도로 작동시키고,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된 상태에서는 공기 유동부(400)를 제2 속도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타측에 배치되어, 공기 정화 장치(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00)는 사용자가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패널, 공기 정화 장치(10)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LED 램프의 점등 상태를 보고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포화 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은 전술한 공기 정화 장치(10)를 이용하는 공기 정화 방법으로서, 공기 유동부(400)를 이용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 및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공기 유동부(400)를 제1 속도로 작동시켜 외부 공기를 유입하고,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의 제1 배출부(120)로 배출한다.
일 실시예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제1 배출부(120)를 개방하고 제2 배출부(1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다음 공기 유동부(400)를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작동시켜 외부 공기가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공기 정화 장치(20)의 제2 배출부(130)로 배출한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제2 배출부(130)를 개방하고 제1 배출부(120)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개방된 제2 배출부(130)를 상기 배출 파이프 등을 통해 실외와 연결하여,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 전에 이산화탄소 센서(350)를 이용해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현재 무게와 초기 무게의 차이가 제1 범위를 초과하면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산화탄소 제거부(300)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2 범위를 초과하면 이산화탄소 제거부(300)가 포화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본체(100)의 제1 배출부(120)를 덮고 있는 제1 커버(700)를 열어 제1 배출부(120)를 개방한다. 그리고 제2 배출부(130)를 덮고 있는 제2 커버(800)를 닫아 제2 배출부(130)를 폐쇄한다.
다음 컨트롤러(500)가 공기 유동부(400)를 제1 속도로 회전하도록 작동시키면 외부 공기가 제1 유입부(110)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공기 정화부(200) 및 이산화탄소 제거부(300)를 통해 정화되어 제1 배출부(120)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 이산화탄소 센서(350)가 이산화탄소 제거부(300), 보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었는지 판정한다. 이산화탄소 센서(350)는 지지 프레임(320)의 현재 무게와 초기 무게를 비교하거나 내부 농도를 측정하여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었는지 판정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350)가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경우, 컨트롤러(500)는 공기 정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공기 유동부(400)를 제1 속도로 유지한다.
이산화탄소 센서(350)가 이산화탄소 필터(330)가 포화된 것으로 판정할 경우, 이산화탄소 필터(330)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제1 커버(700)로 제1 배출부(120)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2 배출부(130)를 덮고 있는 제2 커버(800)를 열어, 제2 배출부(130)를 개방한다.
다음 컨트롤러(500)는 공기 유동부(400)를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작동시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500)는 열선(340)을 작동시켜, 이산화탄소 필터(330)를 가열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필터(330)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킨다.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공기 유동부(400)에 의해 제2 배출부(130)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컨트롤러(500)가 제어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열선(340)을 먼저 작동시킨 후에 공기 유동부(400)의 속도를 제2 속도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다음 컨트롤러(500)는 공기 정화 장치(10)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정화를 계속 실시할 경우, 다시 제1 배출부(120)를 개방하고 제2 배출부(130)를 폐쇄한 다음, 컨트롤러(500)가 공기 유동부(400)를 제1 속도로 작동시켜 공기 정화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이산화탄소 필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 배출하여 이산화탄소 필터를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공기 정화 시 오염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은 정화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기 정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공기 정화 장치
100: 본체
200: 공기 정화부
300: 이산화탄소 제거부
400: 공기 유동부
500: 컨트롤러
600: 디스플레이부
700: 제1 커버
800: 제2 커버
900: 제3 커버

Claims (17)

  1.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부;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부로 유입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 이동시키는 공기 유동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1면 이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배치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유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면에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와 연통하는 제2 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공기 유동부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배출부와 연통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부와 연통하는 제2 배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배치되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필터;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 상에 형성되는 열선;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의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이산화탄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를 가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를 개폐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2 배출부를 개폐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되기 전에는 상기 제1 배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2 배출부가 상기 제2 커버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되면 상기 제2 배출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배출부가 상기 제1 커버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부는 상기 공기 정화부와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팬으로서,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되기 전에는 제1 속도로 회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 배출부로 배출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가 포화된 후에는 상기 제1 속도보다 느린 제2 속도로 회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필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배출부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무게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11. 공기 정화부, 이산화탄소 제거부 및 공기 유동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이용하는 공기 정화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 유동부를 이용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정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배출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배출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배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공기 정화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 전에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공기 정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현재 무게와 초기 무게의 차이가 제1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는, 공기 정화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의 포화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2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는, 공기 정화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를 가열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거부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공기 정화 방법.
KR1020200178924A 2020-12-18 2020-12-18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KR10250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924A KR102506208B1 (ko) 2020-12-18 2020-12-18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924A KR102506208B1 (ko) 2020-12-18 2020-12-18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164A true KR20220088164A (ko) 2022-06-27
KR102506208B1 KR102506208B1 (ko) 2023-03-06

Family

ID=8224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924A KR102506208B1 (ko) 2020-12-18 2020-12-18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2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09B1 (ko) * 2007-02-12 2008-09-04 주식회사 애니텍 이산화탄소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KR100915364B1 (ko) 2007-06-13 2009-09-03 김세희 창호 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KR101344274B1 (ko) * 2011-12-19 2013-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탈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2242B1 (ko) * 2020-07-23 2020-11-24 주식회사 성광이엔텍 연속운전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09B1 (ko) * 2007-02-12 2008-09-04 주식회사 애니텍 이산화탄소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KR100915364B1 (ko) 2007-06-13 2009-09-03 김세희 창호 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KR101344274B1 (ko) * 2011-12-19 2013-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탈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2242B1 (ko) * 2020-07-23 2020-11-24 주식회사 성광이엔텍 연속운전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208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065B1 (ko) 바이패스와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형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내외 공기의 급배기방법
US8690999B2 (en) Modular, high-throughput air treatment system
KR101237259B1 (ko)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US20150078964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remover assembly
US11698201B2 (en) Purification dehumidifier
KR20170035481A (ko) 차량용 공기청정 시스템
CN109028342B (zh) 一种具有空气质量监测功能的净化设备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102506208B1 (ko) 이산화탄소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JP4860079B2 (ja) フィルタユニット装置
JP3845560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202188564U (zh) 多功能室内环境调节机
CN107355921B (zh) 一种环保空气净化装置
CN107726478B (zh) 净化除湿机
CN102614734A (zh) 一种烟雾净化装置
KR20160003897U (ko) 국소배기가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CN204830234U (zh) 持续式空气净化器
KR20070000410U (ko) 활성탄 카본집진기
KR20180136627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7449108B (zh) 一种空气净化方法以及空气净化系统
JP2006017425A (ja) 空気調和機
JP2007029928A (ja) 空気清浄機
JP6754936B2 (ja) 汚染物質捕集手段を備えた空気清浄装置
KR20200120412A (ko) 오존필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N210035743U (zh) 一种中央空调空气净化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