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899A -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899A
KR20220087899A KR1020200178371A KR20200178371A KR20220087899A KR 20220087899 A KR20220087899 A KR 20220087899A KR 1020200178371 A KR1020200178371 A KR 1020200178371A KR 20200178371 A KR20200178371 A KR 20200178371A KR 20220087899 A KR20220087899 A KR 2022008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arbon steel
less
heat treatmen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008B1 (ko
Inventor
장재훈
이창훈
김지훈
이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재료연구원
동국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재료연구원, 동국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재료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0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저경도 특성을 갖는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제조 방법은 고탄소 강재를 1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에 조대한 펄라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열처리된 강재를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간압연된 강재를 2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을 구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HIGH-CARBON STEEL WITH LOW HARD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재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낮은 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탄소 강재는 탄소 함량이 0.1중량% 이상인 강재로 정의될 수 있다. 고탄소 강재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 공구류 등 가공용으로 사용된다.
고탄소 강재는 열간압연 공정 및 구상화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고탄소 강재의 경우, 열간압연된 강판의 조직이 층상의 펄라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코일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에 따라 미세조직 특성인 결정립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은 열간압연 공정 중 코일의 위치별 냉각속도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이렇게 불균질한 펄라이트 조직 상태로는 최종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 공정에서 고탄소 강재의 경도가 높아 가공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고탄소 강재의 경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구상화 열처리 공정은 성형성 향상을 위해 펄라이트(Pearlite) 조직이 포함된 고탄소 강재의 미세조직을 판상의 펄라이트 조직에서 구상화 시멘타이트 조직으로 변형시키는 공정이다. 구상화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고탄소 강재의 경도가 저감될 수 있다. 다만, 고탄소 강재에 있어 구상화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경도가 크게 낮아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연재의 비커스 경도가 250Hv라고 하면, 구상화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면 비커스 경도가 약 15Hv 정도 낮아지는 것에 불과하다.
고탄소 강재의 경도를 추가로 낮추는 방법으로 구상화 열처리 공정을 복수회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구상화 열처리 공정은 1회마다 약 24시간 이상 소요되는 바, 구상화 열처리 공정을 복수회 수행하는 것은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722394 (2007.05.28.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경도 특성을 갖는 고탄소 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은 C를 0.1중량% 이상 포함하는 강재를 1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에 펄라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열처리된 강재를 25% 이상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간압연된 강재를 2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을 구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강재는, 중량%로, C: 0.40~0.8%, Si: 0.02~0.25%, Mn: 0.1~2.0%, P: 0.05% 이하, S: 0.01% 이하, Al: 0.02~0.05%, Cr: 0.01~2.0%, Mo: 0.2% 이하, Ni: 1.0%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차 열처리는 상기 강재의 Ac3 온도 이상으로 상기 강재를 가열하여 유지하는 단계와, 가열된 강재를 냉각하여 펄라이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100℃/h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간압연은 40% 이상의 압하율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열처리는 냉간압연된 강재를 700~750℃로 가열하여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는 30분~6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100℃/h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열처리된 강재를 1% 이하의 압하율로 스킨패스 압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중량%로, C: 0.40~0.8%, Si: 0.02~0.25%, Mn: 0.1~2.0%, P: 0.05% 이하, S: 0.01% 이하, Al: 0.02~0.05%, Cr: 0.01~2.0%, Mo: 0.2% 이하, Ni: 1.0%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비커스 경도 160~170Hv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대한 펄라이트 생성을 위한 1차 열처리, 냉간압연 및 구상화를 위한 2차 열처리를 통해 낮은 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탄소 강재는 낮은 경도를 통해 성형성 및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생활용품이나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고탄소강 제품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발명예 1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5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7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9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고탄소 강재는 탄소(C) 함량이 0.1~0.8중량%, 바람직하게는 0.4~0.8중량%인 고탄소 강재이다.
예시적으로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고탄소 강재는, 중량%로, C: 0.4~0.8%, Si: 0.02~0.25%, Mn: 0.1~2.0%, P: 0.05% 이하, S: 0.01% 이하, Al: 0.02~0.05%, Cr: 0.01~2.0%, Mo: 0.2% 이하, Ni: 1.0%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는 합금계의 하나의 예시일 뿐, 다른 고탄소강 합금계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예시에 따른 고탄소 강재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함량 제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탄소(C)는 고탄소강의 장점 중의 하나인 담금질에 의한 강도 상승에 기여한다. C의 함량은 0.1~0.8중량%가 바람직하다. C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한, C의 첨가량이 0.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구상화 열처리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담금질에 의한 강도 상승 특성 및 구상화 열처리성을 모두 고려할 때 탄소(C)의 함량은 0.4~0.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리콘(Si)은 고용 강화에 의한 페라이트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Si의 함량은 0.02~0.25중량%가 바람직하다. Si의 함량이 0.25중량%를 초과하면 스케일 결함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망간(Mn)은 강의 제조 공정 중에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황(S)과 철(Fe)이 결합한 FeS 형성에 의한 적열취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Mn의 함량은 0.1~2.0중량%가 바람직하다. Mn의 첨가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Mn의 첨가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중심 편석이 심해질 수 있다.
인(P)은 고탄소강에서 인성이나 내피로성 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P의 함량은 0.05중량% 이하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은 MnS의 형태로 석출이 이루어져서 가공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S의 함량은 0.01중량% 이하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은 강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여 응고시 비금속 개재물의 형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l의 함량은 0.02~0.05중량%가 바람직하다. Al의 함량이 0.02중량% 미만인 겨우 그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Al의 첨가량이 0.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AlN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로 인해 원하지 않게 강의 경도가 높아질 수 있다.
크롬(Cr)은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킨다. Cr의 함량은 0.01~2.0 중량%가 바람직하다. Cr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 Cr의 첨가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구상화 속도가 지나치게 지연될 수 있다.
몰리브덴(Mo)은 강의 강도 및 인성의 향상에 기여하며, 또한 상온이나 고온에서 안정된 강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한다. Mo는 0.2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의 첨가량이 0.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니켈(Ni)은 강의 경화능을 증대시키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Ni는 1.0 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Ni의 첨가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없이 강 제조 비용만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은 1차 열처리 단계(S110), 냉간압연 단계(S120) 및 2차 열처리 단계(S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은 2차 열처리 단계 이후 스킨패스 압연 단계(S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차 열처리 단계(S110)에서는 상기 예시와 같은 합금계를 갖는 고탄소 강재, 즉 C를 0.1~0.8중량% 포함하는 강재를 1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에 조대한 펄라이트를 생성한다. 1차 열처리 단계(S110) 대상이 되는 고탄소 강재는 열간압연된 강재가 될 수 있다.
1차 열처리는 강재의 미세조직에 100nm~500nm 평균 입경의 조대한 펄라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차 열처리는 강재의 Ac3 온도 이상으로 강재를 가열하여 유지하는 단계와, 가열된 강재를 냉각하여 펄라이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강재의 Ac3 온도는 측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고, 이하의 식과 같이 강재의 합급 성분의 함량(중량%)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Ac3 온도 = 910-203C1/2-15.2Ni+44.7Si+104V+31.5Mo+13.1W
1차 열처리시 강재의 유지 온도는 Ac3 온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재의 Ac3~Ac3+100℃이다. 강재의 유지 온도가 Ac3 온도 미만인 경우 냉각시 충분한 펄라이트 변태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1차 열처리시 Ac3 이상에서의 유지 시간은 30분~6시간이 될 수 있다. 유지 시간이 30분 미만으로 너무 짧을 경우 불충분한 오스테나이트화로 인해 냉각시 충분한 양의 펄라이트가 생성되기 어렵다. 반면, 유지 시간이 증가할수록 충분한 오스테나이트화가 가능하지만 그 효과는 약 6시간 정도에서 포화된다.
유지 후에는 냉각이 수행된다. 냉각은 조대한 펄라이트 조직이 생성되도록 100℃/h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방법으로는 노냉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평균 냉각 속도가 100℃/h를 초과하는 경우 조대한 펄라이트가 충분히 생성되기 어렵다.
상기의 1차 열처리 단계(S110)에 의해 조대한 펄라이트 조직이 생성될 수 있다.
냉간압연 단계(S120)에서는 1차 열처리된 강재를 25% 이상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한다. 25% 이상의 충분한 압하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의 압하율로 냉간압연을 수행할 경우, 후속하는 2차 열처리 단계(S120)에서 구상화 속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고, 그에 따라 고탄소 강재의 경도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2차 열처리 단계(S120)에서는 냉간압연된 강재를 2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을 구상화한다.
2차 열처리는 냉간압연된 강재를 700~750℃로 약 12~48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재를 노냉 등의 방식으로 100℃/h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2차 열처리된 강을 1% 이하의 압하율로 스킨패스 압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 이하의 압하율로 스킨패스 압연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되는 고탄소 강재의 항복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대한 펄라이트 생성을 위한 1차 열처리, 냉간압연 및 구상화를 위한 2차 열처리를 통해 낮은 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합금계, 즉 중량%로, C: 0.40~0.8%, Si: 0.02~0.25%, Mn: 0.1~2.0%, P: 0.05% 이하, S: 0.01% 이하, Al: 0.02~0.05%, Cr: 0.01~2.0%, Mo: 0.2% 이하, Ni: 1.0%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고탄소 강재의 경우, 열연재 상태에서는 약 250Hv 정도의 비커스 경도를 갖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조건에 따른 1차 열처리, 냉간압연 및 2차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160~170Hv 정도의 낮은 비커스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고탄소 강재(열연재) 시편을 표 2에 기재된 조건으로 처리하여 고탄소 강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열연재 상태 그대로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1차 열처리 시 강재의 미세조직에 조대한 펄라이트를 생성하는 조건(Ac3 이상으로 가열 유지 및 100℃/h 이하의 냉각속도), 25% 이상의 압하율의 냉간압연 조건 및 구상화 열처리 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및 발명예 2에 따른 시편의 경우, 최종 비커스 경도가 160~170Hv를 나타내었다. 이는 2차 열처리(구상화 열처리) 이후 최종 강재의 경도가 1차 열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초기 미세조직을 갖는 강재의 미세조직에 의존하며, 1차 열처리된 강재가 조대한 펄라이트가 형성된 강재인 경우, 2차 열처리된 최종 상태에서도 낮은 경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예 2의 경우, 조대한 펄라이트 생성을 위한 1차 열처리 및 냉간압연없이 구상화를 위한 2차 열처리만 수행되었다. 비교예 2에 따른 고탄소강 시편은 235Hv의 비커스 경도를 나타내었는 바, 발명예 1, 2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경도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3의 경우, 1차 열처리 조건이 구상화를 위한 2차 열처리 조건과 거의 동일하였다.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고탄소 강재 시편은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고탄소 강재 시편에 비해 상당히 낮은 비커스 경도를 나타내었으나 발명예 1, 2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커스 경도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비교예 5 및 비교예 7의 경우 펄라이트 생성을 위한 1차 열처리만 수행되었고, 냉간압연 및 구상화를 위한 2차 열처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비교예 4, 비교예 5 및 비교예 7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들의 경우, 상당히 높은 비커스 경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4, 비교예 5 및 비교예 7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들을 비교하면, 냉각속도가 느릴수록 더 낮은 비커스 경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1차 열처리시 낮은 냉각속도에 의해 조대한 펄라이트가 생성될 수 있고, 이는 고탄소 강재의 경도를 낮추는데 기여하는 요소라 볼 수 있다.
비교예 6 및 비교예 8은 1차 열처리 및 2차 열처리를 수행하였으나, 2차 열처리 이전에 냉간압연을 수행하지 않았다. 그 결과, 214Hv, 215Hv의 상대적으로 높은 비커스 경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9의 경우, 1차 열처리, 냉간압연 및 2차 열처리를 수행하였으나, 냉간압연의 압하율이 20%에 불과하였다. 이는 냉간압연의 압하율이 25%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냉간압연에 의한 2차 열처리 과정에서의 구상화 효율 향상 효과가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발명예 1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에 1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은 구상화된 미세조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 5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7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비교예 5 및 비교예 7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펄라이트 생성을 위한 1차 열처리만 수행되었고, 냉간압연 및 구상화를 위한 2차 열처리는 수행되지 않았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5 및 비교예 7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들은 구상화된 미세조직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그 결과 매우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도 9는 비교예 9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 9에 따른 시편의 경우, 발명예 1에 따른 고탄소 강재 시편에 비해 구상화 정도가 불충분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충분한 압하율의 냉간압연을 통해 2차 열처리시에 구상화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그렇지 못한 경우 2차 열처리시에 구상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C를 0.1~0.8중량% 포함하는 강재를 1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에 펄라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열처리된 강재를 25% 이상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간압연된 강재를 2차 열처리하여 강재의 미세조직을 구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중량%로, C: 0.40~0.8%, Si: 0.02~0.25%, Mn: 0.1~2.0%, P: 0.05% 이하, S: 0.01% 이하, Al: 0.02~0.05%, Cr: 0.01~2.0%, Mo: 0.2% 이하, Ni: 1.0%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열처리는
    상기 강재의 Ac3 온도 이상으로 상기 강재를 가열하여 유지하는 단계와,
    가열된 강재를 냉각하여 펄라이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30분~6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은 100℃/h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압연은 40% 이상의 압하율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열처리는
    냉간압연된 강재를 700~750℃로 가열하여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은 100℃/h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열처리된 강재를 1% 이하의 압하율로 스킨패스 압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제조 방법.
  10. 중량%로, C: 0.40~0.8%, Si: 0.02~0.25%, Mn: 0.1~2.0%, P: 0.05% 이하, S: 0.01% 이하, Al: 0.02~0.05%, Cr: 0.01~2.0%, Mo: 0.2% 이하, Ni: 1.0%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비커스 경도 160~170Hv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강재.
KR1020200178371A 2020-12-18 2020-12-18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71A KR102476008B1 (ko) 2020-12-18 2020-12-18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71A KR102476008B1 (ko) 2020-12-18 2020-12-18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899A true KR20220087899A (ko) 2022-06-27
KR102476008B1 KR102476008B1 (ko) 2022-12-09

Family

ID=8224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371A KR102476008B1 (ko) 2020-12-18 2020-12-18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0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8743A (ja) * 1994-03-18 1995-10-09 Sumitomo Metal Ind Ltd 加工性に優れた中炭素鋼板の製造方法
KR100722394B1 (ko) 2005-12-26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구상화 소둔 특성을 가지는 고탄소강판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8743A (ja) * 1994-03-18 1995-10-09 Sumitomo Metal Ind Ltd 加工性に優れた中炭素鋼板の製造方法
KR100722394B1 (ko) 2005-12-26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구상화 소둔 특성을 가지는 고탄소강판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008B1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8440B2 (ja) 高強度低比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18905B2 (ja)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12273B2 (ja) 改善された強度および成形性を有する高強度鋼シー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得られたシート
JP4650006B2 (ja) 延性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炭素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12048B2 (ja) 焼入れ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る高炭素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350548B (zh) 具有优异可冷锻性的线材及其制造方法
JP2020509208A (ja) 降伏比が低く均一伸びに優れた焼戻しマルテンサイト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11853A (ja) 冷間圧延熱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43318A1 (ja) 極軟質高炭素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218620B (zh) 一种高屈强比冷轧双相钢及其制造方法
JP7190216B2 (ja) 高強度鋼を熱処理する方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製品
US11905571B2 (en) Wire rod for cold heading, processed product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TWI544086B (zh) 高碳熱軋鋼板及其製造方法
JP2017179596A (ja) 高炭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57930B2 (ja) 冷間加工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207847B (zh) 一种低碳当量高扩孔率1180MPa级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CN113966404A (zh) 具有优异的可拉拔性和冲击韧性的非热处理线材及其制造方法
JP3918589B2 (ja) 熱処理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76008B1 (ko) 저경도를 갖는 고탄소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4787409B (zh) 具有优异的抗氢脆性的用于高强度冷镦品质钢的线材及其制造方法
US20230020467A1 (en) Wire rod and component, for cold forging, each having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US11655517B2 (en) Ultrahigh-strength and high-ductility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ld formability
CN114929923A (zh) 超高强度弹簧用线材、钢丝及其制造方法
KR20160063172A (ko) 고탄소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6600B1 (ko) 저탄소 구상화 합금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저탄소 구상화 합금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