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826A -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826A
KR20220087826A KR1020200178238A KR20200178238A KR20220087826A KR 20220087826 A KR20220087826 A KR 20220087826A KR 1020200178238 A KR1020200178238 A KR 1020200178238A KR 20200178238 A KR20200178238 A KR 20200178238A KR 20220087826 A KR20220087826 A KR 2022008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ens
layer
emitting area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이영복
장주훈
윤아라
김동연
강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826A/ko
Priority to US17/539,638 priority patent/US20220199715A1/en
Priority to CN202111468027.XA priority patent/CN114649376A/zh
Publication of KR2022008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01L51/5275
    • H01L27/322
    • H01L27/323
    • H01L27/3246
    • H01L51/5246
    • H01L51/5253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 기판의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를 덮는 봉지 부재 상에는 터치 구조물 및 렌즈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상기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조물 및 상기 렌즈 상에는 컬러 필터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무아레(Moire)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realizing a narrow viewing angle}
본 발명은 터치 구조물을 이용하여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TV,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전자 기기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소자는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 소자는 제 1 발광 전극과 제2 발광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미지가 주변 사람들에게 인시되지 않도록 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광 제어 필름(Light Control Film; LCF)을 이용하여 각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의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차광 패턴에 의한 무아레(Moire)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아레(Moire) 현상을 방지하며, 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 화소 영역의 정면 휘도를 향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 기판을 포함한다. 소자 기판 상에는 뱅크 절연막이 위치한다. 뱅크 절연막은 제 1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소자 기판의 제 1 발광 영역 상에는 발광 소자가 위치한다. 발광 소자는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발광 전극, 발광층 및 제 2 발광 전극을 포함한다. 뱅크 절연막 및 발광 소자 상에는 봉지 부재가 위치한다. 봉지 부재 상에는 터치 구조물, 광학 부재 및 컬러 필터가 위치한다. 터치 구조물은 뱅크 절연막과 중첩한다. 광학 부재는 터치 구조물 상에 위치한다. 광학 부재는 소자 기판의 제 1 발광 영역 상으로 연장한다. 컬러 필터는 소자 기판의 제 1 발광 영역과 중첩한다. 컬러 필터는 광학 부재 상에 위치한다. 광학 부재는 봉지 부재와 컬러 필터 사이에 위치한느 제 1 렌즈를 포함한다.
제 1 렌즈의 직경은 제 1 발광 영역의 수평 폭보다 클 수 있다.
광학 부재는 제 1 렌즈를 덮는 렌즈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보호막의 굴절률은 제 1 렌즈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뱅크 절연막은 검은색 염료(black dye)를 포함할 수 있다.
뱅크 절연막은 제 1 발광 영역에 인접한 제 2 발광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발광 소자 및 컬러 필터는 제 2 발광 영역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제 2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발광 영역과 제 2 발광 영역 사이에서 뱅크 절연막은 발광 소자의 제 1 발광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부재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위치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제 1 발광 영역 및 제 2 발광 영역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 상에는 상부 평탄화막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발광 영역과 제 2 발광 영역 사이에서 컬러 필터는 광학 부재 및 상부 평탄화막과 접촉할 수 있다.
제 2 렌즈의 직경은 제 2 발광 영역의 수평 폭보다 클 수 있다.
제 2 발광 영역은 제 1 발광 영역과 동일한 수평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2 렌즈의 형상은 제 1 렌즈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의 간격은 제 1 렌즈의 직경의 0.21배 이하일 수 있다.
제 1 렌즈의 종횡비(aspect ratio)는 4.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 기판을 포함한다. 소자 기판 상에는 제 1 발광 소자 및 봉지 부재가 위치한다. 제 1 발광 소자는 소자 기판의 제 1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한다. 봉지 부재는 제 1 발광 소자를 덮는다. 봉지 부재 상에는 터치 전극, 제 1 렌즈 및 제 1 컬러 필터가 위치한다. 터치 전극은 소자 기판의 제 1 발광 영역과 이격된다. 제 1 컬러 필터는 소자 기판의 제 1 발광 영역과 중첩한다. 제 1 렌즈는 봉지 부재와 제 1 컬러 필터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발광 영역에 인접한 소자 기판의 제 2 발광 영역 상에는 제 2 발광 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발광 소자 상에는 제 2 컬러 필터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발광 소자를 덮는 봉지 부재와 제 2 컬러 필터 사이에는 제 2 렌즈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렌즈는 제 1 렌즈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의 간격은 제 1 렌즈의 직경의 0.21배 이하일 수 있다.
렌즈의 직경은 컬러 필터의 수평 폭보다 클 수 있다.
봉지 부재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위치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컬러 필터와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 상에는 상부 평탄화막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평탄화막 상에는 커버 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커버 기판은 커버 접착층에 의해 상부 평탄화막에 부착될 수 있다.
소자 기판은 다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발광 영역은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는 제 1 방향으로 인접한 발광 영역들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소자를 덮는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는 터치 구조물, 렌즈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컬러 필터가 최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아레(Moire) 현상을 방지하며, 협시야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이미지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소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K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컬러 필터의 유무에 따른 화질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화소 영역의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하는 렌즈의 종횡비(aspect ratio)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렌즈의 직경과 인접한 화소 영역 상에 위치하는 렌즈들의 간격 사이의 비율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및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소 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K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 상에는 신호 배선들(GL, DL, VDD, VSS)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배선들(GL, DL, VDD, VSS)은 이미지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배선들(GL, DL, VDD, VSS)은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전압 공급라인(VDD, VS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배선들(GL, DL, VDD, VSS) 사이에는 화소 영역들(PA)이 위치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은 구동 회로 및 발광 소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신호 배선들(GL, DL, VDD, VSS)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에 의해 전달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반도체 패턴(210), 게이트 절연막(220), 게이트 전극(230), 층간 절연막(240), 소스 전극(250) 및 드레인 전극(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비정질 실리콘(a-Si) 또는 다결정 실리콘(poly-S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IGZO와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210)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채널 영역보다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측면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실리콘 산화물(SiO)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높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하프늄 산화물(HfO)과 같은 High-K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구리(Cu), 크롬(Cr),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에 의해 상기 반도체 패턴(210)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채널 영역은 상기 게이트 전극(230)에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기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240)은 상기 게이트 전극(2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240)은 상기 게이트 전극(230)의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230)의 측면은 상기 층간 절연막(24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30)의 외측에서 상기 층간 절연막(24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24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층간 절연막(240)은 실리콘 산화물(Si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은 상기 층간 절연막(2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전극(250)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구리(Cu), 크롬(Cr),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은 상기 층간 절연막(240)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230)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전극(250)은 상기 게이트 전극(23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및 상기 층간 절연막(24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소스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소스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25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소스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전극(250)은 상기 소스 컨택홀 내에서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소스 영역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층간 절연막(2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구리(Cu), 크롬(Cr),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층간 절연막(240)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230)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게이트 전극(23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소스 전극(25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소스 전극(250)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및 상기 층간 절연막(24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드레인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드레인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드레인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 전극(260)은 상기 드레인 컨택홀 내에서 상기 반도체 패턴(210)의 상기 드레인 영역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상기 게이트 전극(230)은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 패턴은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상기 반도체 패턴(2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동작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상기 게이트 전극(230)과 상기 드레인 전극(26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자 기판(100)과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 사이에는 소자 버퍼층(11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자 버퍼층(110)은 상기 구동 회로의 형성 공정에서 상기 소자 기판(100)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를 향한 상기 소자 기판(100)의 표면은 상기 소자 버퍼층(110)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소자 버퍼층(11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버퍼층(110)은 실리콘 산화물(SiO)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 버퍼층(110)은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 상에는 하부 보호막(1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막(120)은 외부의 충격 및 수분에 의한 상기 구동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1),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 및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상기 하부 보호막(120)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막(12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보호막(120)은 실리콘 산화물(SiO)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막(120) 상에는 오버 코트층(13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에 의한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과 대향하는 상기 오버 코트층(130)의 표면은 평평한 평면일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상기 하부 보호막(12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는 상기 오버 코트층(1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300)는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소자(300)는 상기 오버 코트층(130)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발광 전극(310), 발광층(320) 및 제 2 발광 전극(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알루미늄(Al) 및 은(Ag)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ITO 및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들 사이에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 전극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층(320)은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과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 사이의 전압 차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320)은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물질층(Emission Material Layer; EM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물질은 유기 물질, 무기 물질 및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물질로 형성된 발광 물질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발광층(320)은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320)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port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의 투과율은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의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ITO 및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층(320)에 의해 생성된 빛이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는 해당 화소 영역(PA)의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소자(300)의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해당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막(120) 및 상기 오버 코트층(130)은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상기 드레인 전극(260)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전극 컨택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해당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은 상기 전극 컨택홀들 중 하나를 통해 해당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상기 드레인 전극(26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30) 상에는 뱅크 절연막(14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상기 오버 코트층(13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광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검은색 염료(black dy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광 반사가 저감될 수 있다.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각 화소 영역(PA) 내에 발광 영역(EA)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의 가장 자리는 상기 뱅크 절연막(14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층(320) 및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에 의해 노출된 해당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의 일부 영역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뱅크 절연막(140)은 각 화소 영역(PA)의 비발광 영역(NEA)과 중첩하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층(320)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소자(300)는 인접한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소자(300)와 동일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층(320)은 인접한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층(3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발광층(320)의 형성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에는 인접한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과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인접한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통해 각 화소 영역(PA)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인접한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인접한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의 형성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 상에는 봉지 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는 외부의 충격 및 수분에 의한 상기 발광 소자들(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는 각 화소 영역(PA)의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구동 회로 및 상기 발광 소자(300)는 상기 봉지 부재(400)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는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봉지 부재(400)는 상기 소자 기판(100)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봉지층(410), 제 2 봉지층(420) 및 제 3 봉지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봉지층(410), 상기 제 2 봉지층(420) 및 상기 제 3 봉지층(43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봉지층(420)은 상기 제 1 봉지층(410) 및 상기 제 3 봉지층(43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봉지층(410) 및 상기 제 3 봉지층(430)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봉지층(42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충격 및 수분에 의한 상기 발광 소자들(300)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에 의한 단차는 상기 제 2 봉지층(42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과 대향하는 상기 봉지 부재(400)의 표면은 평평한 평면일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 상에는 터치 구조물(5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조물(500)은 사용자 및/또는 도구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구조물(500)은 나란히 위치하는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들(512, 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400)와 상기 터치 구조물(500) 사이에는 터치 버퍼막(501)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버퍼막(501)은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의 형성 공정에서 상기 발광 소자들(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구조물(500)을 향한 상기 봉지 부재(400)의 표면은 상기 터치 버퍼막(501)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터치 버퍼막(501)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버퍼막(501)은 실리콘 산화물(SiO)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은 낮은 저항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은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은 높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에서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또는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 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312, 322)은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은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비발광 영역(NE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과 중첩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터치 전극들(311, 3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발광 소자(300)로부터 방출된 빛의 진행 방향이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 구조물(500)을 이용하여 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조물(500)은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이 제 1 방향으로 연결된 제 1 터치 조립체(510) 및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이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결된 제 2 터치 조립체(52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터치 조립체(510)는 나란히 위치하는 제 1 터치 전극들(511) 및 상기 제 1 터치 전극들(511)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브릿지 전극들(5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치 조립체(520)는 상기 제 1 터치 전극들(511)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터치 전극들(521) 및 상기 제 2 터치 전극들(521)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 브릿지 전극들(52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 2 브릿지 전극(522)은 상기 제 1 브릿지 전극들(512) 중 하나와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 전극들(522)은 상기 제 1 브릿지 전극들(512)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릿지 전극들(522)은 상기 제 1 브릿지 전극들(512)과 다른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브릿지 전극들(512)과 상기 제 2 브릿지 전극들(522) 사이에는 터치 절연막(53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절연막(50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절연막(500)은 실리콘 산화물(SiO) 및 실리콘 질화물(SiN)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터치 전극들(521)은 상기 제 1 터치 전극들(511)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절연막(500)은 상기 제 1 브릿지 전극들(512)을 덮으며, 상기 제 1 터치 전극들(511), 상기 제 2 터치 전극들(521) 및 상기 제 2 브릿지 전극들(522)은 상기 터치 절연막(5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절연막(500)은 각 제 1 브릿지 전극(512)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터치 컨택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 1 터치 전극(511)은 상기 터치 컨택홀들 중 하나를 통해 해당 제 1 브릿지 전극(51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조물(500) 상에는 터치 평탄화막(55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은 외부 충격 및 수분에 의한 상기 터치 구조물(5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터치 전극들(511), 상기 제 2 터치 전극들(521) 및 상기 제 2 브릿지 전극들(522)은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은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조물(500)에 의한 단차는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과 대향하는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의 표면은 평평한 평면일 수 있다.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에 의한 휘도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평탄화막(550) 상에는 광학 부재(6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600)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및 상기 비발광 영역(NE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부재(600)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렌즈들(610) 및 상기 렌즈들(610)을 덮는 렌즈 보호막(62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렌즈(610)는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로부터 방출된 빛의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렌즈(610)의 직경(L)은 해당 화소 영역(PA) 내에 정의된 상기 발광 영역(EA)의 수평 폭보다 클 수 있다. 각 렌즈(610)의 가장 자리는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비발광 영역(NE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구조물(5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제한된 각 화소 영역(PA)의 빛이 모두 해당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보호막(620)은 상기 렌즈들(6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보호막(620)은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렌즈들(6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보호막(62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보호막(62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들(610)에 의한 단차는 상기 렌즈 보호막(62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과 대향하는 상기 렌즈 보호막(620)의 표면은 평평한 평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보호막(620)의 굴절률은 각 렌즈(610)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에서 상기 소자 기판(10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출된 빛(L1)이 상기 광학 부재(600)를 그대로 통과하고,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에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방출된 빛(L2)이 해당 화소 영역(PA)의 내측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광학 부재(600)에 의해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사이를 통과한 빛이 집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협시야각이 효과적으로 구현되며, 각 화소 영역(PA)의 정면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60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710) 및 컬러 필터들(72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비발광 영역(NE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의 수평 폭(W)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의 수평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조물(500)은 상기 뱅크 절연막(140)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및 상기 브릿지 전극들(512, 522)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와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터치 구조물(500)에 의한 시인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들(720)은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은 상기 컬러 필터들(720) 중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들(720)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와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 기판(100)을 향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의 표면 및 각 컬러 필터(720)의 표면은 상기 렌즈 보호막(62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각 컬러 필터(720)의 단부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와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컬러 필터들(720)를 통과하지 않은 빛이 방출되는 빛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상기 컬러 필터(720)는 인접한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상기 컬러 필터(720)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이 인접한 화소 영역(PA)과 다른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다양한 색으로 이루어진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각 렌즈(610)에 의해 집광된 빛은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해당 컬러 필터(720)를 통과하여 방출될 수 있다. 각 컬러 필터(720)는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과 동일한 수평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컬러 필터(720)의 수평 폭은 해당 렌즈(610)의 직경(L)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며, 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 및 상기 컬러 필터들(720) 상에는 상부 평탄화막(73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은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 및 상기 컬러 필터들(7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 및 상기 컬러 필터들(720)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710) 및 상기 컬러 필터(720)에 의한 단차는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 상에는 커버 기판(8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800)은 외부 충격을 완화하고,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80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기판(8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800)은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평탄화막(730)과 상기 커버 기판(800) 사이에는 커버 접착층(85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접착층(850)은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접착층(85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접착층(850)은 OCA(Optical Clean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접착층(850)은 외광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접착층(850)은 90% 정도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화소 영역(PA) 상에 상기 발광 소자(300), 상기 터치 구조물(500), 상기 렌즈(610) 및 상기 컬러 필터(720)가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소자(300)에 의해 생성된 빛이 상기 터치 전극들(511, 521) 사이를 통과한 후, 해당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에 의해 집광되고,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상기 컬러 필터(72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4는 렌즈들(610) 상에 컬러 필터들(720)이 배치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이미지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컬러 필터들(720)이 배치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 상에 위치하는 터치 구조물(500) 및 렌즈들(610)에 의해 세로 방향의 패턴이 반복되는 무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반복 패턴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컬러 필터들(720)에 의해 상기 터치 구조물(500) 및 상기 렌즈들(610)의 반복 배치에 의한 무아레(Moire)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협시야각이 효과적으로 구현되고, 각 화소 영역(PA)의 정면 휘도가 향상되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의 종횡비(aspect ratio)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의 종횡비에 따른 시야각을 나타낸 표이다. 여기서, 각 렌즈(610)의 종횡비는 해당 렌즈(610)의 직경(L)과 두께(T)의 비율(L/T)을 의미한다.
렌즈의
종횡비(L/T)
2.0 2.1 2.3 2.6 3.0
시야각 -29 ~ +29 -30 ~ +30 -31 ~ +32 -33 ~ +34 -36 ~ +37
렌즈의
종횡비(L/T)
3.5 4.2 5.3 7.0 10.5
시야각 -39 ~ +39 -42 ~ +42 -52 ~ +52 -53 ~ +53 -58 ~ +59
도 6 및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의 종횡비가 5.3 이상이면, 시야각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가 4.2 이하의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협시야각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이 동일한 수평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의 직경(L)을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렌즈(610)의 직경(L)과 인접한 화소 영역(PA) 상에 위치하는 렌즈들(610)의 간격(d) 사이의 비율(d/L)에 따른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렌즈(610)의 직경(L)과 인접한 화소 영역(PA) 상에 위치하는 렌즈들(610)의 간격(d) 사이의 비율(d/L)에 따른 시야각을 나타낸 표이다.
렌즈들 사이의
간격(d/L)
0.08 0.21 0.39 0.62 1 1.4
시야각 -31 ~ +32 -34 ~ +34 -56 ~ +56 -59 ~ +59 -60 ~ +60 -61 ~ +61
도 7 및 표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렌즈(610)의 직경(L)과 인접한 화소 영역(PA) 상에 위치하는 렌즈들(610)의 간격(d) 사이의 비율(d/L)이 0.39이상이면, 정면 휘도이 급격히 감소하고, 시야각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인접한 화소 영역(PA) 상에 위치하는 렌즈들(610)의 간격(d)이 각 렌즈(610)의 직경(L)의 0.21배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협시야각이 효과적으로 구현되며, 각 화소 영역(PA)의 정면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 내에 하나의 발광 영역(EA)이 정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발광 영역(EA)이 정의된 화소 영역들(P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 내에는 제 1 발광 영역(EA1) 및 제 2 발광 영역(EA2)이 정의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2 발광 영역(EA2)에서는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1 발광 영역(EA1)과 동일한 색을 나타내는 빛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발광 소자(300)는 상기 제 1 발광 영역(EA1)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발광 전극(310), 발광층(320) 및 제 2 발광 전극(33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 상기 발광층(320) 및 상기 제 2 발광 전극(330)은 상기 제 2 발광 영역(EA2) 상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발광 영역(EA1)과 상기 제 2 발광 영역(EA2) 사이에서 뱅크 절연막(140)이 상기 제 1 발광 전극(310)과 상기 발광층(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은 단일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1 발광 영역(EA1) 상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720)는 해당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2 발광 영역(EA2)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1 발광 영역(EA1)과 상기 제 2 발광 영역(EA2)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71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제 1 발광 영역(EA1)과 상기 제 2 발광 영역(EA2) 사이에서 상기 컬러 필터(720)는 광학 부재(600)의 렌즈 보호막(620) 및 상부 평탄화막(73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의 상기 발광 영역(EA1, EA2)이 상기 뱅크 절연막(140)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화소 영역(PA)의 구성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가 인접한 화소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610)와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렌즈들(610)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소 영역들(PA)이 제 1 방향(X) 및 상기 제 1 방향(X)과 수직한 제 2 방향(Y)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X)으로 연장하는 렌즈들(610)이 상기 제 2 방향(Y)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각 렌즈(610)가 상기 제 1 방향(X)으로 인접한 상기 화소 영역들(PA)의 발광 영역들(E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렌즈들(610)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Y)으로 진행하는 빛만 집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상기 렌즈들(610)을 통해 상기 제 2 방향(Y)의 시야각을 한정하되, 상기 제 1 방향(X)의 휘도 편차를 감소할 수 있다.
100: 소자 기판 300: 발광 소자
500: 터치 구조물 610: 렌즈
720: 컬러 필터

Claims (15)

  1. 소자 기판 상에 위치하고, 제 1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절연막;
    상기 소자 기판의 상기 제 1 발광 영역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제 1 발광 전극, 발광층 및 제 2 발광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상기 뱅크 절연막 및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봉지 부재;
    상기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뱅크 절연막과 중첩하는 터치 구조물;
    상기 터치 구조물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 부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 1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직경은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수평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 1 렌즈를 덮는 렌즈 보호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렌즈 보호막의 굴절률은 상기 제 1 렌즈의 굴절률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절연막은 검은색 염료(black dy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절연막은 상기 제 1 발광 영역에 인접한 제 2 발광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제 2 발광 영역 상으로 연장하며,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 2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2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발광 영역과 상기 제 2 발광 영역 사이에서 상기 뱅크 절연막은 상기 제 1 발광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 2 발광 영역과 이격되는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컬러 필터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덮는 상부 평탄화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발광 영역과 상기 제 2 발광 영역 사이에서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상부 평탄화막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의 직경은 상기 제 2 발광 영역의 수평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 영역은 상기 제 1 발광 영역과 동일한 수평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렌즈의 형상은 상기 제 1 렌즈의 형상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렌즈의 직경의 0.21배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종횡비(aspect ratio)는 4.2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소자 기판의 제 1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 소자;
    상기 소자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발광 소자를 덮는 봉지 부재;
    상기 봉지 부재 상에서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
    상기 봉지 부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제 1 컬러 필터; 및
    상기 봉지 부재와 상기 제 1 컬러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 영역에 인접한 상기 소자 기판의 제 2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 소자;
    상기 제 2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제 2 컬러 필터; 및
    상기 제 2 발광 소자를 덮는 상기 봉지 부재와 상기 제 2 컬러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렌즈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제 1 렌즈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렌즈와 상기 제 2 렌즈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렌즈의 직경의 0.21배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직경은 상기 컬러 필터의 수평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 상에 상기 컬러 필터와 나란히 위치하는 블랙 매트릭스;
    상기 컬러 필터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덮는 상부 평탄화막;
    상기 상부 평탄화막 상에 위치하는 커버 기판; 및
    상기 커버 기판을 상기 상부 평탄화막에 부착하는 커버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기판은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인접한 발광 영역들 상으로 연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78238A 2020-12-18 2020-12-18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87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238A KR20220087826A (ko) 2020-12-18 2020-12-18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7/539,638 US20220199715A1 (en) 2020-12-18 2021-12-01 Display Apparatus Realizing a Narrow Viewing Angle
CN202111468027.XA CN114649376A (zh) 2020-12-18 2021-12-03 实现窄视角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238A KR20220087826A (ko) 2020-12-18 2020-12-18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826A true KR20220087826A (ko) 2022-06-27

Family

ID=8199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238A KR20220087826A (ko) 2020-12-18 2020-12-18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99715A1 (ko)
KR (1) KR20220087826A (ko)
CN (1) CN11464937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49376A (zh) 2022-06-21
US20220199715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5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41082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6378A (ko) 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22949B (zh) 具有发光结构的显示设备
JP7045441B2 (ja) 発光素子及びタッチ構造を含む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11188162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touch electrode on an encapsulating element
KR20170060216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42752A (ko)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1943B1 (ko) 봉지 부재와 이격된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586064B2 (en) Display apparatus realizing a large-size image
KR20230018836A (ko) 화소 렌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49319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Emitting Device and a Touch Electrode
US11696466B2 (en) 3D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display panel has a curvature
KR20230089119A (ko)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4180B1 (ko) 오버 코트층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244139B (zh) 具有滤色器和遮光元件的显示装置
KR20220087826A (ko)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94849A (ko) 이형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1905A (ko) 발광 소자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425360B2 (en) 3D display apparatus having lenticular lenses
US20230214075A1 (en) Touch Display Apparatus
KR20220075611A (ko) 발광 소자 및 뱅크 절연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3712A (ko) 대형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345A (ko) 산화물 반도체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8170A (ko)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