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437A - 장 질환에 대한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 질환에 대한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437A
KR20220087437A KR1020227011108A KR20227011108A KR20220087437A KR 20220087437 A KR20220087437 A KR 20220087437A KR 1020227011108 A KR1020227011108 A KR 1020227011108A KR 20227011108 A KR20227011108 A KR 20227011108A KR 20220087437 A KR20220087437 A KR 2022008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
polysorbate
salmonella enterica
saccharide
enterica sero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지브 말라사칸트 데레
삼브하지 샨카르 피살
다타트레야 사르마 안남라주
니킬 다타트레이 아발라스카르
요게시 투카람 훈데카리
아닐 피라지라오 타클리카르
수닐 쿠마르 고엘
찬드라셰카르 드와르카나트 카마트
비샬 바라트 차반
Original Assignee
세럼 인스티튜트 오브 인디아 프라이비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럼 인스티튜트 오브 인디아 프라이비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럼 인스티튜트 오브 인디아 프라이비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5Enterobacteriales, e.g. Enterobacter
    • A61K39/0275Salmon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15Toxins or lectins, e.g. clostridial toxins or Pseudomonas exotox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37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oid [DT], tetanus toxoid [T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i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신규한 면역원성 1가 및 다가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 조성물 및 폴리사카라이드 발효, 폴리사카라이드 정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의 대안적인 개선된 방법 및 안정한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살모넬라 티피 및 비-티피 관련 질환에 대해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 및/또는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을 사용하여 대상체에서 살모넬라 티피 및 비-티피 관련 질환을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신은 살균 항체를 유도하고 위장염, 장열 및 장티푸스 열의 예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장 질환에 대한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개시내용은 백신 제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히, 살모넬라(Salmonella)에 의해 야기된 감염 및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감염에 대한 예방을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하기 배경 정보는 본 개시내용에 관한 것이지만 반드시 선행 기술일 필요는 없다.
살모넬라 감염은 특히 매년 수 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전 세계적으로,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심각한 건강 문제로 남아있다. 살모넬라 감염은 정상인과 면역저하된 개인 둘 모두에서 균혈증(bacteraemia)(장열)과 위장염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는 장염을 야기할 수 있다.
살모넬라 속은 엔테로박테리아(Enterobacteriaceae) 과에 속하며 그람-음성, 비-포자 형성, 조건적(facultative) 혐기성 바실러스를 포함한다.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 S. typhi)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Salmonella enterica serovar paratyphi, S. paratyphi) A 및 B는 전신 열성 질환인 장열을 유발하며, 이는 인간에서만 발생하며 다른 수 많은 살모넬라 혈청형에 의해 야기되는 보다 일반적으로 자가-제한적인 급성 위장염과 구별된다. 티피(typhi)와 파라티피(paratyphi)를 포함하는, 살모넬라 속의 구성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열은 개발 도상국의 인구 사이에서 계속해서 심각한 질병 및 사망률 부담을 구성하고 있으며(문헌[Lancet 2005; 366:749 762]) 여행자에게 주목할만한 위험을 나타낸다(문헌[Lancet Infect Dis. 2005:5(10):623-628]). 장티푸스 열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LMIC: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에서 풍토병으로 남아있다. 특히 남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의 LMIC에서 매년 1,250만 내지 2,060만 건 사이의 장열 사례가 발생한다(문헌[Lancet Glob Heal. 2014; 2: e570-e580] & 문헌[J Glob Health. 2012; 2: 10401]). 살모넬라 파라티피는 네팔, 캄보디아, 및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장내 세균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원인이다. 살모넬라 파라티피는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부담을 가지고 있다. 장티푸스 열이 유행하는 네팔에서의 한 연구에서, 도시의 물이 S. 티피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에 모두 오염된 것으로 밝혀졌다(문헌[PLoS Negl Trop Dis. 2016 Jan; 10(1):e0004346] & 문헌[PLoS Negl Trop Dis. 2013; 7(8):e2391]).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엔테리카(NTS: Non-typhoidal Salmonella enterica) 혈청형은 전 세계적으로 침습성 살모넬라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다. 2,500개 이상의 NTS 혈청형 중, NTS 혈청형 티피뮤리움(typhimurium)엔테리티디스(enteritidis)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NTS의 모든 인간 분리주의 거의 80%를 차지한다. 또한, 혈청형 엔테리티디스(SE) 및 티피뮤리움(STm)으로 인한 침습성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iNTS) 감염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주요 소아 건강 문제이다. NTS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노인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면역저하된 개인, 및 전 세계적으로 노인에서 침습적 박테리아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서 점차 인식되고 있다. 이들 두 혈청형은 또한 산업화된 국가의 건강한 어린이와 성인에서 위장염의 주요 원인이다. NTS는 또한 iNTS라고 하는 심각한 장외 침습성 균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열성(febrile) 질환으로 나타난다. 실제로, iNTS는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서 위장 증상 없이 자주 발생한다.
2,500개 이상의 비-장티푸스성 혈청형 중에서, 살모넬라 엔테리카 아종(subsp.)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S. 티피뮤리움) 및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S. 엔테리티디스)는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NTS의 모든 인간 분리주의 거의 80%를 차지한다. NTS는 전 세계적으로 노인 및 면역저하된 개인뿐만 아니라,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어린이와 HIV에 감염된 개인에서 침습적 박테리아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서 점차 인식되고 있다.
2010년에 NTS 위장염의 전 세계 발병률은 9,300만 건으로 추산되었으며, 그 중 약 8,030만 건은 식품-매개로 전염되었으며, 155,000명이 사망하였다. NTS의 경제적 부담은 선진국에서 상당하다. 미국에서만, NTS 비용이 연간 33억 달러에 달하며, 식품-매개 병원체 중 가장 많은 17,000년의 품질 조정 수명이 손실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NTS는 또한 iNTS라고 하는 심각한 장외 침습성 균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살모넬라의 침습성 감염은 개발도상국 전체에서 더 흔하며 열대 아프리카, 특히 어린 아이들과 HIV에 걸린 개인들 사이에서 균혈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열성(febrile) 질환으로 나타난다. 실제로, iNTS는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서 위장 증상 없이 자주 발생한다. iNTS의 증상은 말라리아와 유사하며 발열과 발한(90% 이상) 및 비장종대(splenomegaly)(40%)를 포함한다. iNTS가 아프리카에서 문제가 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다른 곳이 아닌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iNTS 박테리아의 뚜렷한 분기군(예컨대 S. 티피뮤리움 ST313)의 침습성 증가; HIV 감염, 말라리아 및 영양실조와 관련된 숙주 면역 감소; 예를 들어 오염된 물 공급을 통한 인간-대-인간 전염의 기회 증가,. 그리고 HIV에 감염된 아프리카 성인에서의 NTS 균혈증은 높은 사망률(최대 47%) 및 재발률(43%)과 관련이 있다.
항생제는 장티푸스성 및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관련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항생제의 선택과 치료 기간은 항생제의 비용과 가용성, 국소 내성 패턴, 및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라 결정된다. 여러 항생제 내성 균주가 침습성 균혈증 및 위장염 합병증의 중요한 원인으로 부상하여, 입원 및 사망을 초래한다는 사실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점점 더 인식되고 있다.
사용가능한 치료 도구가 덜 효과적이 되면서, 장티푸스성 및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관련 감염 문제가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백신 개발이 질병 통제 노력의 중요한 우선 순위가 될 것이다. 이는 또한 장티푸스성 및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관련 감염이 풍토병인 지역으로 여행하는 사람들을 위한 중요한 보호 도구이다.
현재 3가지 유형의 장티푸스 백신이 i) 장티푸스 접합체 백신(TCV: typhoid 접합체 백신) ii) 비접합된 Vi 폴리사카라이드(ViPS: Vi polysaccharide) 백신 및 iii) 약독화 Ty21a 생백신에 대한 사용이 허가되었다. 세계 보건 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장티푸스 접합체 백신(TCV)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장티푸스 백신의 더 많은 사용을 권장하였다(문헌[WHO position paper. Wkly Epidemiol Rec 2018; 93:153-72]).
S. 파라티피에 대한 백신은 현재 사용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장티푸스성 및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에 대한 면역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면역원성 조성물/백신이 필요하다.
현재 사용가능한 백신의 단점은 모두 S. 티피에만 대해 지시된다는 것이다. S. 티피 AS. 티피와 동일한 지리적 분포로 장열을 유발하며, 질병은 임상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경우, 두 혈청형 모두에 대해 보호할 수 있는 백신이 하나로 제한되는 백신보다 더 가치가 있다. 또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S. 티피뮤리움S. 엔테리티디스도 마찬가지이므로, 이러한 지역에 대한 NTS 혈청형에 대해 추가로 보호할 수 있는 백신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파이프라인에 있는 백신 후보가 위장염과 iNTS의 침습적 징후 모두에 대해 보호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LMIC에서 장티푸스의 질병 부담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는 동안, 장티푸스성 및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접합체 백신에 대한 전 세계 의료 수요가 중요해졌다. 장티푸스 접합체 백신에 대한 피크 수요는 2023년에서 2026년 사이에 발생하여, 133개국에서 연간 3억 용량에 근접할 것으로 추정된다(문헌[Clin Infect Dis. 2019 Mar 15; 68(Suppl 2): S154-S160]).
또한, 업스트림, 다운스트림, 접합 및 제형 개발은 종종 시장에 바이오의약품을 조기에 도입하고 인구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속도-제한 단계가 될 수 있다. 업스트림은 초기 세포 단리 및 배양으로부터, 세포 은행, 박테리아 발효 과정의 배양 확장 및 최종 수확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포함한다. 세포 배양은 100 내지 500 밀리리터에서 3 내지 20,000 리터의 생물 반응기로 확장된다. 추가 단계는 살모넬라 폴리사카라이드의 1차 회수 및 세포 및 파편 제거를 포함한다. 또한, 비용-효율적인 살모넬라 폴리사카라이드 기반 접합체 백신 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조적으로 온전한 폴리사카라이드를 더 높은 수율과 고순도로 얻을 필요가 있다. 이전에 살모넬라 (spp)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 40% 미만의 수율이 보고되었다. 새로운 공급 전략, 및 개선된 발효 배지를 사용하여 캡슐 폴리사카라이드(CPS: capsular polysaccharide) "발효 수확 단계 수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접근법 중 하나였다. Merritt 등(2000)은 500 리터 제조 규모의 생물반응기에서 유가 배양이 회분 배양과 비교할 때 세포 밀도와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수율을 약 4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유형 B, 및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와 같은 다른 병원성 박테리아에 의한 캡슐 폴리사카라이드 생산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생산은 발효 조건(온도, pH, DO, 삼투압 농도)과 배지 성분에 따라 달라지며 최적의 조건은 박테리아마다 다르다. Zhan 등(2002) 유사하게 pH 조절과 유가 발효로의 변화가 세포의 수율과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생산을 증가시킴을 보여주었다.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발현은 삼투압 농도와 같은 특정 발효 조건과 관련하여 고도로 조절되며 여기서 폴리사카라이드의 합성 감소는 삼투압 농도가 높을 때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다양한 농도의 글루코스, 카사미노산, 및 포스페이트 이온 하에서 생산된다.
Baruque-Ramos 등(2005)은 글루코스 농도가 1.0 g/l 미만으로 유지되고 낮은 산소 장력이 더 높은 폴리사카라이드 생산을 선호할 때 N. 메닌자이티디스(N. Meningitidis)(혈청군 C)가 배지에서 배양될 때 더 높은 수율의 캡슐 폴리사카라이드가 수득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공급 용액에 농축된 카사미노산이 최종 세포 밀도를 제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정의된 배지에서 성장 및 폴리사카라이드 수율은 탄수화물 대 질소원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S. 티피에 대한 유가 배양 발효 공정 중 하나에서, 암모니아는 공급 배지와 함께 질소으로서 공급되었다. 그러나,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폴리사카라이드 형성은 배지의 암모니아 질소원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과량의 암모늄 이온이 존재하면 합성을 지원하는 조건에서도 수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Appl Microbiol Biotechnol (1990)32:637-644]).
정의된 배지에서 성장 및 폴리사카라이드 합성은 아미노산이 질소원으로서 암모니아를 대체할 때 가장 컸다.
정의된 배지에서 질소원으로서 카사미노산의 사용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소 카제인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동물 유래 카사미노산은 알레르겐으로 보고되어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정의된 배지에서 질소원으로서 카제인 다이제스트/트립톤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고되었지만, 까다로운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화학적으로 정의된 배지에 동물 성분이 없는 가수분해물(Bacto TC Yeastolate, Phytone Peptone)을 추가하는 것은 적시에 세포 밀도, 배양 생존력 및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접근법 중 하나이다. 가수분해물은 아미노산, 작은 펩티드, 탄수화물, 비타민 및 미네랄로 구성된 단백질 소화물로서 배지에 영양 보충제를 제공한다. 대두, 밀 및 효모에서 유래한 비동물성 유래 가수분해물은 폴리사카라이드 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세포 배양 배지 및 공급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미국특허 US9284371호 참조). 그러나, 조성 복잡성, 로트 간(lot-to-lot) 변동, 배양 점성을 만드는 바람직하지 않은 속성 때문에, 효모 추출물 및 가수분해물은 배지 변동성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대규모 발효 동안 포말의 형성은 i) 포말 상(phase)으로의 세포 및 배양 배지의 손실로 인해 캡슐 폴리사카라이드 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ii) 포말이 터지면 전단력(sheer force)을 가하기 때문에 세포에 해로울 수 있고 iii) 포말이 빠져나가면 무균 손실을 초래할 수 있고 iv) 포말이 출구 필터를 막으면 과압을 유발할 수 있다.
발효 세포 상등액은 정제된 폴리사카라이드를 단리하고 단백질, 핵산 및 지질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숙주 세포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정제 단계에 적용된다. 여과 기술은 숙주 세포 불순물로부터 박테리아 폴리사카라이드의 다운스트림 처리 또는 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운스트림은 박테리아 배양의 비활성화, 배지로부터 세포 분리, 생성물 단리, 농축, 정제를 포함한다. 다운스트림 처리는 복잡성 때문에 공정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각 박테리아는 상이한 캡슐 폴리사카라이드를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박테리아의 상이한 혈청형은 박테리아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화학 구조에서 더욱 상이하다. S. 티피가 C-2에서 N-아세틸화되고 C-3에서 O-아세틸화된 α(1-4)-D-GalpA의 선형 동종중합체인 Vi 폴리사카라이드 캡슐을 발현하는 사례가 있다. N 및 O 아세틸은 표면을 지배하고 Vi의 항원성과 면역원성 모두에 필수적이지만, 대조적으로 S. 파라티피 A 및 B 및 NTS(드물게 예외가 있음)는 캡슐 폴리사카라이드를 발현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의 표면 폴리사카라이드는 지질폴리사카라이드의 O 폴리사카라이드(OPS)이다. 이들은 공통 트리사카라이드 골격 →2)-α-D-Manp-(1→4)-α-L-Rhap-(1→3)-α-D-Galp-(1→)(혈청학적으로 에피토프 12를 구성함)을 공유한다. 그러나, 반복되는 트리사카라이드의 만노스에서 α-(3→6)가 연결된 디데옥시 6탄당 사카라이드는 살모넬라 군 동일성을 부여하는 면역우성 에피토프를 생성한다. S. 티피뮤리움의 경우, 트리사카라이드 골격 에피토프 12의 갈락토스는 α-(1→6) 글리코실화된다. (참조: 문헌[Lindberg AA, Le Minor L. Serology of Salmonella In: Bergan T, ed. Methods in Microbiology: Academic Press, 1984:1-141]).
박테리아 폴리사카라이드 구조의 이러한 다양성은 이러한 폴리사카라이드의 정제를 더욱 도전적이고 어렵게 만든다.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백신은 특정 품질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대규모 부피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이전의 정제 방법은 용매, pH 조작의 사용 및 소듐 디옥시콜레이트, Triton-X와 같은 세제를 사용하는 핵산 및 지질과 같은 불순물의 용해 및 침전을 포함한다.
소듐 디옥시콜레이트(DOC)는 순한 세제이며 폴리사카라이드 정제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제 중 하나이다. 코어 스테로이드 구조를 가진 소듐 디옥시콜레이트는 덜 변성되고 용해 강도(solubilising strength)가 제한되어 화학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독소를 분해한다; 따라서 소듐 디옥시콜레이트를 제거하면, 내독소가 생물학적 활성을 회복한다. 또한, DOC 기반 절차는 폴리사카라이드, 특히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시알산에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것은 다운스트림 처리 동안 형성된 지질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결합에 대한 DOC의 약한 세제 활성으로 인해 최종 단리된 폴리사카라이드에서 높은 수준의 내독소 및 단백질 함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소듐 디옥시콜레이트는 동물-기원 제품이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 잔류하더라도 규제 기관 및 특정 종교 공동체에서 제품을 승인하지 않을 수 있다.
Triton-X 사용의 단점은 잔류 세제가 추출 단계에서 지속되고 제거 시 모든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광범위한 세척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일부 CPS 유형의 경우, 단백질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아연 아세테이트/암모늄 설페이트/소듐 시트레이트를 사용한 침전도 포함된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순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을 수행해야 하므로 공정이 더 지루하고 노동 집약적이다. 또한, 때때로 캡슐 폴리사카라이드를 침전시켜 총 폴리사카라이드의 손실을 초래한다.
일부 다른 방법은 단백질 및 핵산 오염물질의 분해를 돕는 효소를 사용한다; 그러나, 효소 및 가수분해된 물질의 제거는 어려운 작업이며 관심 제품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규제 기관은 프리온에 의한 오염 위험 때문에 인체용 제품에 동물 효소 사용을 제한해 왔다. 고비용이라는 사실 외에도, 효소의 사용은 cGMP 프레임워크에서 더 많은 규제 문제, 예컨대 효소 기원(동물 유래 또는 재조합), 상이한 공급업체 및 로트 간의 효소 활성 차이 등을 야기할 것이다.
일부 다른 방법은 잔류 단백질 및/또는 핵산 물질의 분해를 위해 벤조나제(Benzonase), 프로테나제(Proteinase) K 또는 나르가제(Nargase)를 사용한 후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수행하였으며 고비용과 쉽게 확장될 수 없는 공정을 초래하였다.
일부 다른 방법은 박테리아 폴리사카라이드의 내독소 분리를 위해 페놀, 부탄올, 톨루엔 및 클로로폼과 같은 독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독성 폐기물을 생성하는 독성 유기 용매로 작업하는 것은 불쾌하다.
백신에 특이적인 폴리사카라이드에 필요한 높은 순도는 분별 침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및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기반한 새로운 정제 방법의 개발로 이어졌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은 단백질 및 핵산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박테리아 폴리사카라이드를 단리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WHO 사양에 따라 박테리아 폴리사카라이드를 성공적으로 단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을 사용하려면 여러 단계의 노동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시료 준비가 필요하고, 확장성 문제를 포함하며,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회수율이 크게 저하되므로 산업 규모의 다운스트림에 처리에 실현가능한 저비용 선택사항이 아니다. 처리. 또한, 이러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운 정제 단계를 추가하면 공정이 복잡해지고, 최종 수율이 감소하고 경제적 비용이 증가한다.
이전에 보고된 정제 공정으로 수득된 살모넬라 티피 정제된 폴리사카라이드는 25 내지 50 EU/μg 사이의 내독소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불순물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제거하면서 살모넬라 폴리사카라이드의 회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체 정제 방법이 필요하다.
산 가수분해, 알칼리 분해, 퍼옥시데이트에 의한 산화, 오존 분해(문헌[Wang et al. Carb. Res. 1999, 319, 1-4,141-147]), 효소 가수분해, 초음파 처리(문헌[Pawlowski et al. Vaccine, 2000, 18.18, 1873-1885]), 전자빔 단편화(문헌[Pawlowski et al. Micro Lett, 1999, 174.2, 255-263])와 같은 다양한 방법이 박테리아 및 비-박테리아 폴리사카라이드의 해중합(사이징)을 위래 기술되어 왔다. 그러나, 산 가수분해 및 알칼리 분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결과적으로 크기가 감소된 샘플은 높은 다분산성을 갖는다. 또한 퍼옥시데이트 산화는 일부 폴리사카라이드의 불안정한 항원 에피토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오존 분해는 β-D-알도시드 결합을 함유하는 폴리사카라이드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소수의 엔도글리카나아제만 단리되었다. 미국 특허 공개 US 20090041802호는 Emulsiflex C-50(기존 균질화기)(Avestin)에 의한 수막구균(Meningococcal) 폴리사카라이드의 단편화를 개시한다. 그러나, 기존 균질화기는 각 주기의 단 한 순간(약 7%) 동안 최고 압력에서 작동하므로, 편차가 더 커지고, 제품이 덜 안정적이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통과(pass)를 실행하거나 더 높은 압력을 사용해야 한다.
초음파 처리는 폴리사카라이드를 해중합하는데 사용되어 왔다(예컨대 국제 특허 공개 WO 2010/055250호 참조). 그러나, 초음파 해중합 방법은 효율이 낮기 때문에 대량의 폴리사카라이드의 산업적 해중합에는 적합하지 않다.
미국 특허 공개 US20090234108호는 소듐 카보네이트 완충액(pH 9.0)을 사용한 화학적 처리에 의한 폐렴구균(Pneumococcal) 혈청형 1 폴리사카라이드의 부분 탈아세틸화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접합체의 면역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면역원성 부분이 파괴되기 쉽다.
상기 언급된 모든 이유 때문에,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의 해중합을 위한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이 여전히 당업계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사카라이드 - 단백질 접합체 백신을 생산하는 것은 접합 공정과 관련된 특정 담체 단백질 및 천연 폴리사카라이에 특이적이다.
다양한 접합 기술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접합체는 직접 환원성 아민화 방법, 카보디이미드 접합 화학, 히드라지드, 활성 에스터, 노보란, p-니트로벤조산,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S-NHS, EDC를 사용하여 TSTU.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 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활성화된 폴리사카라이드는 담체 단백질의 아미노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스페이서(링커) 기를 통해 커플링된다. 선행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접합에 사용되는 링커는 N-숙신이미딜-3-(2-피리딜디티오) 프로피오네이트(SPDP)(문헌[SZU ET AL; 1987])이다. 다른 링커, B-프로피온아미도(국제 특허 공개 WO 00/10599호), 니트로페닐-에틸아민(문헌[Gever et al (1979) Med Microbiol Immunol 165; 171-288]), 할로알킬 할라이드(미국특허 제4,057,685호) 글루코시드 결합(미국특허 제4,673,574호), 헥산 디아민 및 6-아미노카프론산(미국특허 제4,459,286호). 문헌[Marburg et al., J. Am. Chem. Soc., 108, 5282 (1986)]은 바이제네릭(bigeneric) 스페이서를 통해 폴리사카라이드와 면역원성 단백질을 접합하는 한 가지 수단을 개시한다. 단백질(PRO)은 펜던트 친핵성 또는 친전자성 기(PRO*)를 나타내도록 유도체화되었던 반면, 파트너 폴리사카라이드(Ps)는 반대 반응성의 펜던트기(Ps*)를 나타내도록 기능화되었다. Ps*를 PRO*와 결합하면, 바이제네릭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Ps가 PRO(Ps-PRO)에 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산 가수분해시, 바이제네릭 스페이서(링커)가 비정상적인 아미노산으로 방출되어,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정량화되어, 공유성(covalency)을 증명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의 폴리사카라이드 성분은 접합체의 유형, 제형 성분 및 저장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속도로 점진적으로 해중합된다. 이로 인해 유리 폴리사카라이드가 증가하여 제품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는 접합 후 유리 폴리사카라이드를 방출하는 동안 추가 처리, 동결건조 또는 액체 및 고체 제형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체 단백질에 공유 결합된 살모넬라 폴리사카라이드(즉, 접합된 폴리사카라이드는 임상 보호에 면역학적으로 중요하며 결합되지 않은 폴리사카라이드의 과도한 수준은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면역학적 저반응을 잠재적으로 초래할 수 있다(문헌[WHO/TRS/924 Page No. 14, A.3.3.5] 참조). 특히, 문헌에 보고된 살모넬라 티피 접합체는 유리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이 최대 34% 높고 유리 단백질 함량이 5% 초과로 높아 바람직하지 않은 접합체의 낮은 접합 효율 및 낮은 안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리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이 10% 미만임을 입증하는 백신이 필요하다.
실제로, 모든 백신 후보를 제조하고 제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반 공정을 가질 수 있다면 공정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는 임상 시험에 도입될 수 있는 임상 후보의 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을 사용하여 개발된 것을 포함하여 초기 단계 임상 시험을 위해 개발된 공정은 공정 경제성, 수율, 풀 부피, 및 처리량과 관련하여 최적이 아닐 수 있으며 후기 단계 또는 상업용 캠페인에 필요한 양을 생산하는 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고려 사항은 치료 후보를 임상 시험에 도입하기 전에 공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공정 개발의 속도이다. 문헌[Abhinav A. Shukla et al Journal of Chromatography B, 848 (2007) 28-39]을 참조한다.
또한, 전력 및 냉장의 이용가능성이 종종 불충분한 개발 도상국에서 살모넬라 질병 부담이 높으므로 온도 변동에 따른 백신 안정성이 이러한 지역과 더 관련이 있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우수한 면역원성, 안전성 및 경제성, 특히 i) 발효 및 정제 공정 전반에 걸쳐 개선된 폴리사카라이드; ii) 최적의 회수율% 및 최소 불순물 수준을 나타내는 개선된 정제 공정; 및 iii) 백신에서 개선된 폴리사카라이드 - 단백질 접합체 비율 iv) 응집이 없는, 낮은 점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나타내는 개선된 제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준을 만족하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제조를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 공정이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선행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랫동안 충족되지 않은 글로벌 의학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1가 살모넬라 장티푸스 접합체뿐만 아니라 살모넬라 파라티피(S. 파라티피 A, B, C), 및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S. 티피뮤리움) 및 엔테리티디스(S. 엔테리티디스) 유래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합체를 포함하는 다가 백신을 제조하하기 위한, 개선된, 대안적인 발효, 정제, 접합 공정, 제형을 제안한다.
목적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하나 이상의 문제를 개선하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인간에서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백신 제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 규모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의 생산을 위한 개선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1가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하는 2가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하는 다가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의 폴리사카라이드의 생산을 위한 개선된 유가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의 개선된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크기 감소가 있거나 없음)와 담체 단백질의 개선된 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크기 감소가 있거나 없음)와 링커(스페이서) 분자가 있거나 없는 담체 단백질의 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목적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에 대한 감염의 임상적 징후의 발병 또는 진행을 예방, 개선,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이의 보호 또는 치료를 부여하기에 효과적인 적합한 농도로 영아 또는 성인에 투여되는 적합한 단일 용량 및 다중 용량 바이알 중의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백신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할 것이다.
요약
본 개시내용은 다음을 제공한다:
a) 하나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로서 여기서 폴리사카라이드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됨;
b)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의 배양 및 처리를 위한 유가 배양 방법;
c)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수득하기 위한 다운스트림 공정 단계;
d) 링커 단백질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크기 감소 있거나 없음)와 담체 단백질의 접합 방법; 및
e)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에 대한 감염의 임상적 징후의 발병 또는 진행을 예방, 개선,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이의 보호 또는 치료를 부여하기에 치료 유효량의 면역원성 조성물의 대상체로의 투여를 통해 대상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상세한 설명
본 개시내용은 상이한 실시형태에 영향을 받기 쉬울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의 예시로 간주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개시되는 것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이해 하에 다음의 상세한 논의에서 특정 실시형태가 제시되어 있다.
실시형태는 당업자에게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철저하고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성분, 및 공정과 관련된 다수의 세부사항이 제시된다. 실시형태에 제공된 세부사항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잘 알려진 조성, 잘 알려진 공정, 및 잘 알려진 기술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이러한 용어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하나(a, an)" 및 "그(the)"의 형태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암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이라는 용어는 개방형 전환 구이므로 명시된 특징, 정수, 단계, 작업, 요소, 모듈, 단위 및/또는 성분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작업, 요소, 성분 및/또는 이의 군의 존재 또는 추가를 금지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공정에 개시된 단계의 특정한 순서는 설명되거나 예시된 바와 같은 그들의 수행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적 또는 대안적 단계가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전술한 용어가 단지 하나의 요소,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또 다른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는 본 개시내용에서 명확하게 시사되지 않는 한 특정한 순서(sequence)나 차례(order)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은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백신"이라는 용어는 선택적으로 "면역원성 조성물"이라는 용어로 대체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D-항원 단위"("국제 단위" 또는 IU로도 지칭됨): 폴리오바이러스 바이러스의 D 항원 형태는 보호 중화 항체를 유도한다. 본원에 언급된 D 항원 단위(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백신에서)는 각각의 제형화된 백신의 인간 용량(전형적으로 0.5mL 최종 부피)에 첨가되는, 최종 백신의 제형화 전에 각각의 비흡착 벌크 IPV 항원 유형의 측정된 총 D 항원 단위이다. D-항원 단위를 측정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유럽 약전(European Pharmacopoeia)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D-항원 단위는 하기 실시예 1("ELISA에 의한 D-항원 정량화")에 기술된 바와 같은 ELISA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유럽 약전은 제조업체(문헌[Pharmeuropa Special Issue, Bio 96-2]) 간에 이러한 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시험 샘플(문헌[European Pharmacopoeia Biological Reference Preparation] - Ph. Eur. Secretariat, 예컨대 Code P 216 0000로부터 이용가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D-항원 단위 값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용어 "용량(dose)"은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백신의 1회 투여이며, 이는 전형적으로 1회 주사이다. 전형적인 인간 용량은 0.5mL이다. 물론 백신 투여 일정에 따라 다양한 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IPV" 또는 이들 성분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 유형 1(예컨대 Mahoney, 바람직하게 사용됨), 유형 2(예컨대 MEF-1), 또는 유형 3(예컨대 Saukett), 또는 이러한 유형 중 어느 2 또는 3개 모두의 사빈(Sabin) 혈청형 1, 2, 3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전체(또는 표준) 용량(각각 소크(Salk) 기반 IPV 유형 1, 2 및 3의 40-8-32 D 항원 단위) IPV 면역원성 조성물의 예는 Poliovac®(Serum Institute of India Pvt. Ltd.)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카라이드"라는 용어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둘 다를 포함한다. 캡슐 사카라이드 항원은 전장 폴리사카라이드일 수 있거나 박테리아 "크기의-사카라이드" 및 "올리고사카라이드"로 확장될 수 있다(자연적으로 반복 단위 수가 적은 것, 또는 관리 용이성을 위해 크기가 감소된 폴리사카라이드이지만 여전히 숙주에서 보호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사카라이드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가 배양에 의한,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수득 방법은 다읨의 단계의 임의의 하위세트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1. 접종, 배양 및 발효 배지 조성물 중의 박테리아 수확,
2. 불활성화,
3. 분리(Seperation),
4. 정화(Clarification), 및
5. 멸균 여과.
제 실시형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발효 배지 조성물은 탄소원, 마그네슘 염, 포스페이트 공급원, 효모 추출물 및 대두 가수분해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원은 글루코스, 만니톨, 수크로스, 락토스, 프럭토스, 및 트레할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일 수 있다. 마그네슘 염은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설페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일 수 있다. 포타슘 공급원은 디-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포타슘 포스페이트, 및 디포타슘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타슘 공급원은 디-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의 조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대두 가수분해물은 히소이(hysoy)이다.
따라서 발효 배지는 소포제 204, 소포제 C, SE-15, Y-30, 소포제 EX-Cell, S184(순수 실리콘 오일), SLM54474(폴리프로필렌 글리콜: PPG), VP1133(실리콘 오일/PPG 혼합물), BREOX(폴리알킬렌 글리콜), J673 STRUKTOL(식물성 기반의 알콕실화된 지방산 에스터) 및 Wacker-Chemie Co의 SE9(10% 실리콘 오일 성분을 포함한 수성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두 가수분해물과 효모 추출물과 조합된 소포제는 폴리사카라이드의 수율 개선을 도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포제는 소포제 C 또는 J673 STRUKTOL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효모 추출물은 효모 자가분해물, 한외여과된 효모 추출물, 또는 합성 효모 추출물일 수 있다. 효모 추출물은 BD BBLTM, BD BACTOTM, DifcoTM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효모 추출물은 한외여과된 효모 추출물, 예컨대 DifcoTM 효모 추출물, UF일 수 있다. 대두 가수분해물은 비제한적으로 대두박, 대두 펩톤, 및 대두 가루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두 가수분해물은 DifcoTM Select PhytoneTM UF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두 가수분해물은 히소이(hysoy)일 수 있다.
소포제, 대두 펩톤 및 효모 추출물의 조합물은 다른 배지와 비교하여 수확 수율을 개선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공정은 발효가 이미 진행되고 있는 동안 특정 고정된 시간 간격으로 고정된 비율로 공급 내용물을 혼입하고/하거나 모든 단계에서 배치 크기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다중 단계를 포함하는 유가 배양식 발효 전체에 연속 공급을 허용함으로써 투 샷(two shot) 전략을 따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발효 파라미터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36.0 ± 2℃
진탕: 150 내지 600 rpm
pH: 7.0 ± 0.5
용존 산소: 30% 내지 90%
공기(nl/분) : 2 내지 10
기체 흐름: 60 내지 600 nl/분
삼투압 농도: 400 내지 600 mOsm/kg
제2 실시형태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박테리아 배양의 불활성화는 포르말린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배양의 불활성화는 0.1 내지 2 % v/v, 바람직하게는 0.5 % v/의 범위의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여; 34 내지 38℃, 바람직하게는 36℃에서 인큐베이션을; 5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분리는 원심분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는 2 내지 8℃; RPM - 7000 내지 8000; 원심분리 시간 40 내지 60분으로 설정된 파라미터로 원심분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정화는 심층 여과(depth fitration)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정화된 수확물은 0.2 μM 멸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를 통해 멸균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제8 양태에 따르면, 발효 단계의 조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폴리사카라이드(ViP) 수율은 적어도 40%일 수 있고 평균 Vi-폴리사카라이드 수율은 100 mg/L 내지 5000 mg/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700 mg/L의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효 수확물은 원하는 품질의 Vi-폴리사카라이드(ViP)를 수득하기 위해 하기 다운스트림 정제 단계의 임의의 하위세트 또는 임의의 순서 또는 전부에 적용될 수 있다:
a) 약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을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 direct flow filtration)에 의한 박테리아 폴리사카라이드 수확물의 정화;
b) 10 내지 300 kDa 또는 kD 분자량 컷 오프(MWCO: molecular weight cut off)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접선 유동 한외여과(TFF: tangential flow ultrafiltration) 및 정용여과(DF: diafiltration)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의한 농축;
c) 단백질, 핵산 및 지질폴리사카라이드 변성을 위해 음이온 또는 양이온 세제,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4 내지 10mM) 및 소듐 아세테이트(5% 내지 10%)로 처리
d) 알콜 침전(40% 내지 70%);
e) 원심분리 및 약 0.2 μM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f) 과량의 세제를 제거하기 위해 알칼리 염으로 처리한 후 원심분리 및 약 0.2 μM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g) 접선 유동 여과(TFF)에 의한 농축 및 10 내지 300 kDa 또는 kD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
h) 음이온 또는 양이온 세제로 처리;
i) 원심분리 및 약 0.4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j) 소듐 클로라이드(0.1 M 내지 2 M)의 존재 하에 펠릿을 알콜(50% 내지 70%)로 세척하여 단백질 및 핵산 불순물 제거;
k) 알콜(75% 미만 또는 95% 초과)을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 선택적 침전;
l) 폴리사카라이드를 WFI에 용해하고 10 내지 300 kDa 또는 kD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접선 유동 여과(TFF) 및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의한 농축에 적용; 및
m) 멸균 조건 하에 약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멸균 필터를 통한 멸균 여과.
제3 실시형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정제 공정은 임의의 크로마토그래피 단계가 없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정제 공정은 원하는 O-아세틸 수준(2.0 mmol/g 초과의 폴리사카라이드)을 갖는 약 40% 내지 65%의 상당한 회수를 초래할 수 있고,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 수율은 1000 내지 4000 mg/L 범위일 수 있고, 평균 분자량은 40 내지 400 kDa 범위일 수 있고, 폴리사카라이드(PS) 1 μg 당 1% 미만의 단백질/펩티드, 2% 미만의 핵산, 100 EU 미만의 내독소를 함유하며, 분자 크기 분포(0.25의 분포 계수(KD)에 도달하기 전에 50% 초과의 PS가 용출됨).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의 평균 분자량은 40 내지 400 kDa의 범위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음이온 세제는 알킬 설페이트,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소듐 디옥시콜레이트, 소듐 도데실 설포네이트, 소듐 s-알킬 설페이트, 소듐 지방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에터 설페이트, 소듐 올레일 설페이트, N-올레오일 폴리(아미노산) 소듐, 소듐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설포네이트, 알파-설포 모노카복실산 에스터, 지방산 설포알킬 에스터, 숙시네이트 설포네이트, 알킬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소듐 알칸 설포네이트, 소듐 리그닌설포네이트, 및 소듐 알킬 글리세릴 에터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세제는 알킬 설페이트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범위의 최종 농도의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가 보유물에 첨가되고 25℃ 내지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알콜 침전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톤 또는 t-부틸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콜은 에탄올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알칼리 염은 소듐, 포타슘, 칼슘 및 마그네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염은 포타슘 클로라이드, 포타슘 아세테이트, 포타슘 설페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포타슘 바이카보네이트, 포타슘 포스페이트, 포타슘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포타슘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포타슘 니트레이트, 및 기타 포타슘 염,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타슘 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타슘 염은 상등액과 혼합된 0.1 M 내지 2 M 범위의 최종 농도의 포타슘 클로라이드일 수 있으며, 용해 시 상기 혼합물은 2 내지 8℃에서 3시간 이상 동안 인큐베이션되었다.
제3 실시형태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양이온 세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 테트라부틸암모늄 염,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 염 및 헥사디메트린 브로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 세제는 0.1% 내지 12% 범위의 최종 농도의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AB)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로 보유물에 첨가되고 25℃ 내지 3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최종 정제된 폴리사카라이드 벌크는 -20℃ 이하에서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살모넬라 파라티피 A 지질폴리사카라이드(LPS)로부터 원하는 품질의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를 수득하기 위해 발효 산물은 하기 다운스트림 정제 단계의 임의의 하위세트 또는 임의의 순서 또는 전부에 적용될 수 있다:
a) 원심분리 및 분리
b) 10 내지 30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접선 유동 한외여과(TFF) 및 정용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의한 농축;
c) LSP의 산 가수분해
d) 원심분리 및 분리
e) 중화
f) 약 0.45 및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을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LPS 정화;
g) 음이온 또는 양이온 세제로 처리,
h) 원심분리 및 분리
i) 약 0.45 및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을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
j) 10 내지 30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접선 유동 한외여과(TFF) 및 정용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의한 농축;
k) 알콜 침전(40% 내지 70%);
l) 원심분리 및 약 0.2 μM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m) 과량의 세제를 제거하기 위해 알칼리 염으로 처리한 후 원심분리 및 약 0.2 μM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n) 10 내지 30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접선 유동 여과(TFF) 및 정용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의한 농축;
o) 소듐 클로라이드(0.1 M 내지 2 M)의 존재 하에 펠릿을 알콜(50% 내지 70%)로 세척하여 단백질 및 핵산 불순물 제거;
p) 폴리사카라이드를 WFI에 용해하고 10 내지 30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접선 유동 여과(TFF) 및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의한 농축에 적용; 및
q) 멸균 조건 하에 약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멸균 필터를 통한 멸균 여과.
제4 실시형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LPS의 산 가수분해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최종 농도 0.5 내지 5 %) pH~2.0 내지 3.0을 사용하여; 온도 30 내지 90℃에서 약 100 내지 20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산 가수분해 중화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7.0의 최종 pH를 달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음이온 세제는 알킬 설페이트,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소듐 디옥시콜레이트, 소듐 도데실 설포네이트, 소듐 s-알킬 설페이트, 소듐 지방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에터 설페이트, 소듐 올레일 설페이트, N-올레오일 폴리(아미노산) 소듐, 소듐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설포네이트, 알파-설포 모노카복실산 에스터, 지방산 설포알킬 에스터, 숙시네이트 설포네이트, 알킬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소듐 알칸 설포네이트, 소듐 리그닌설포네이트, 및 소듐 알킬 글리세릴 에터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세제는 0.1% 내지 20%의 범위의 최종 농도의 소듐 디옥시콜레이트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범위로 보유물에 첨가되고 25℃ 내지 30℃에서 10 내지 120분 동안 교반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알콜 침전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톤 또는 t-부틸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콜은 에탄올일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알칼리 염은 소듐, 포타슘, 칼슘 및 마그네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염은 포타슘 클로라이드, 포타슘 아세테이트, 포타슘 설페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포타슘 바이카보네이트, 포타슘 포스페이트, 포타슘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포타슘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포타슘 니트레이트, 및 기타 포타슘 염,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타슘 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타슘 염은 상등액과 혼합된 0.1 M 내지 2 M 범위의 최종 농도의 포타슘 클로라이드일 수 있으며, 용해 시 상기 혼합물은 2 내지 8℃에서 3시간 이상 동안 인큐베이션되었다.
제4 실시형태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양이온 세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 테트라부틸암모늄 염,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 염 및 헥사디메트린 브로마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정제 공정은 임의의 크로마토그래피 단계가 없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정제 공정은 초래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9 양태에 따르면, 공정은 내독소(PS 1 μg 당 내독소 100 EU 미만), 단백질(1% 미만) 및 핵산(2% 미만) 불순물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하고, 적합하게는 40% 내지 65% 범위의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높은 회수율을 가지며, 원하는 O-아세틸 수준(2.0 mmol/g 초과의 폴리사카라이드), 분자 크기 분포(0.25의 분포 계수(KD)에 도달하기 전에 50% 초과의 PS가 용출됨)를 갖고 정제된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의 평균 분자량은 40 내지 200 kDa의 범위일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최종 정제된 폴리사카라이드 벌크는 -20℃ 이하에서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접합 반응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테타누스 독소, 테타누스 톡소이드(TT),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톡소이드, 보르데텔라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톡소이드, E.coli LT, E. coli ST, 대장균 열-불안정한 독소 - B 서브유닛,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외막 복합체, rEPA, H. 인플루엔자의 단백질 D, 플라젤린 FliC, 투구 게 헤모시아닌,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유래 엑소톡신, 외막 복합체 c(OMPC), 포린, 트랜스페린 결합 단백질, 뉴몰리신,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A(PspA), 폐렴구균 표면 접착제 A(PsaA), 폐렴구균 PhtD,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BVH-3 및 BVH-11, 탄저균의 보호 항원(PA) 및 탄저균의 해독 부종 인자(EF) 및 치사 인자(LF), 오브알부민,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LH),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BSA), 투베르쿨린의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PPD), 합성 펩티드, 열 충격 단백질, 페르튜시스 단백질, 사이토카인, 림포카인, 호르몬, 성장 인자, N 19와 같은 다양한 병원균-유도 항원 유래 다중 인간 CD4+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인공 단백질, 철 흡수 단백질, 링커가 있거나 없는 C. 디피실 및 S. 아갈락티애 단백질 유래 독소 A 또는 B 및 이의 단편, 유도체, 변형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티피 Vi 폴리사카라이드와 함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테타누스 톡소이드일 수 있다.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테타누스 톡소이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또는 CRM197로부터 선택되는 담체 단백질에 개별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다음의 폴리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이 본 개시내용에 따라 고려된다: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접합된 S. 티피, TT 또는 DT 또는 CRM197에 접합된 S. 파라티피 A; TT 또는 DT 또는 CRM197에 접합된 S. 티피뮤리움 및 TT 또는 DT 또는 CRM197에 접합된 S. 엔테리티디스;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접합된 S. 티피,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접합된 S. 파라티피 A; CRM197에 접합된 S. 티피뮤리움 및 CRM197에 접합된 S. 엔테리티디스;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접합된 S. 티피, DT에 접합된 S. 파라티피 A; CRM197에 접합된 S. 티피뮤리움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접합된 S. 엔테리티디스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접합된 S. 티피, CRM197에 접합된 S. 파라티피 A; CRM197에 접합된 S. 티피뮤리움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접합된 S. 엔테리티디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CRM197은 Pfenex USA의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스센스(Pseudomonas fluorescens)의 재조합 균주 CS463-003(MB101)으로부터 입수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TT는 인도 히마찰 프라데시(Himachal Pradesh), 카사울리(Kasauli) 소재의 국가 통제 기관(National Control Authority)인 중앙 연구소(CRI: Central research Institute)로부터 수득된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Clostridium Tetani)(Harvard No 49205)로부터 입수된다. 중앙 연구소(CRI)는 네덜란드 소재 NIV에서 이러한 균주를 입수하였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DT는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nynebacterium diphtheriae) Park-Williams Number 8 균주의 배영으로부터 생산되며, 상기 균주는 인도 히마찰 프라데시의 중앙 연구소(CRI)로부터 수득된다.
제5 실시형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접합 전에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FeCl3, H2O2, 소듐 메타페리오데이트 및 소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적 수단 또는 고압 세포 파괴 및 균질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해중합/사이징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고압 세포 파괴에 의해 해중합/사이징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폴리사카라이드(ViP)는 소듐 아세테이트(5% 내지 10%)에 의해 해중합/사이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ViP의 평균 분자량은 40 내지 400 kDa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폴리사카라이드(ViP)는 소듐 아세테이트(5% 내지 10%)에 의해 해중합/사이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ViP의 평균 분자량은 100 내지 250 kDa의 범위일 수 있다.
출원인은 접합 효율/접합체 수율, 부분적으로 크기 감소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접합체의 면역원성이 전장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제조된 접합체에 비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폴리사카라이드의 크기 감소는 용액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반응성 말단기의 수를 증가시키며, 두 요인 모두 공유 결합 형성의 빈도 증가에 기여한다.
대안적으로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해중합/사이징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접합 전에 담체 단백질(CP)은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반응을 사용하여 히드라진, 카보히드라지드, 히드라진 클로라이드, 디히드라지드, ε-아미노헥사논산, 클로로헥사놀 디메틸 아세탈, D-글루쿠로노락톤, 시스타민 및 p-니트로페닐에틸 아민, 헥산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6-디아미노옥시헥산 또는 β-프로핀아미도, 니트로페닐 에틸아민, 할로알킬 할라이드, 6-아미노 카프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를 통해 아미노 및/또는 카복실기를 포함하도록 유도체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는 디히드라지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일 수 있다.
히드라지드기는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시아닐화, 반응을 사용하여, 예컨대 카보디이미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의 존재 하에 히드라진, 카보히드라지드, 숙시닐 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히드라진 클로라이드(예컨대, 히드라진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임의의 다른 디히드라지드와의 반응에 의해 단백질 상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 잔기의 카복실기를 통해 단백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EDC는 히드라진 또는 디히드라지드와 단백질 반응물을 활성화 및 변형시키기 위한 촉매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보디이미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의 존재 하에 담체 단백질(CP)과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의 반응은 pH 5 내지 7; 보다 바람직하게는 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카보디이미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의 존재 하에 담체 단백질(CP)과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의 반응은 pH 약 6에서 약 7 내지 8로 상승시킴으로써 중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담체 단백질을 ADH로 유도체화 후, 상기 방법은 10 kDa 또는 30 kDa 또는 5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 중 어느 하나의 막을 사용하는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 후 0.2 u 필터를 사용하는 멸균 여과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ADH 유도체화된 담체 단백질은 적어도 10 부피의 완충액 교환되거나 적합한 겔 여과 컬럼을 통과하고 실질적으로 모든 미반응된 화합물, 잔여 ADH 및 잔여 EDC가 제거되어, 정제된 ADH 유도체화된 담체 단백질이 수득된다.
대안적으로 접합 전에 담체 단백질은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를 통해 아미노 및/또는 카복실기를 포함하도록 유도체화되지 않을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접합 전에 정제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반응을 사용하여 히드라진, 카보히드라지드, 히드라진 클로라이드, 디히드라지드, 이들의 혼합물, ε-아미노헥사논산, 클로로헥사놀 디메틸 아세탈, D-글루쿠로노락톤, 시스타민 및 p-니트로페닐에틸 아민, 헥산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6-디아미노옥시헥산 또는 β-프로핀아미도, 니트로페닐 에틸아민, 할로알킬 할라이드, 6-아미노 카프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를 통해 아미노 및/또는 카복실기를 포함하도록 유도체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는 디히드라지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일 수 있다.
히드라지드기는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시아닐화 반응을 사용하여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 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예컨대 시아노겐 브로마이드(CNBr)의 존재 하에 폴리사카라이드와 히드라진, 카보히드라지드, 숙시닐 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히드라진 클로라이드(예컨대, 히드라진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임의의 다른 디히드라지드와의 반응은 Vi 폴리사카라이드의 히드라지드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 링커로 유도체화되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 1-시아노-이미다졸(1-CI), 1-시아노벤조트리아졸(1-CBT),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 p-니트로페닐시아네이트 및 N-시아노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TEA') 또는 2-시아노피리다진-3(2H) 온(2-CPO)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 링커로 유도체화되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중량 기분 1:1 내지 1:10의 OSP:ADH의 비율로 혼합된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이며 OSP: CPPT의 비율은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고, 반응은 7 내지 10의 pH 범위에서, 1 내지 2시간의 반응 지속기간, 2℃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제5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접합 전에 폴리사카라이드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를 통해 아미노 및/또는 카복실기를 포함하도록 유도체화되지 않을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폴리사카라이드(ViP)는 카보디이미드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의의 수용성 카보디이미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는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Vi 폴리사카라이드는 카보디이미드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ADH 유도체화된 담체 단백질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의의 수용성 카보디이미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는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Vi 폴리사카라이드는 카보디이미드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ADH 유도체화된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의의 수용성 카보디이미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는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ADH 유도체화된 Vi 폴리사카라이드는 카보디이미드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ADH 유도체화된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의의 수용성 카보디이미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는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ADH 유도체화된 Vi 폴리사카라이드는 카보디이미드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테타누스 톡소이드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임의의 수용성 카보디이미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는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ViP는 중량 기준 1:0.5 내지 1:2의 ViP: EDAC 비율로 혼합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AC)의 존재 하에 카보디이미드 접합 반응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되며 폴리사카라이드와 담체 단백질의 비율은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고, 반응은 5 내지 7 범위의 pH, 2℃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제5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Vi 폴리사카라이드(ViP)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의 존재 하에 ADH 유도체화된 테타누스 톡소이드(TT)에 공유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ViPs:TT:EDC의 중량 기준 비율은 1:1:2 일 수 있고 Vi 폴리사카라이드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의 농도는 0.1 mg/mL 내지 10.0 mg/mL 사이일 수 있고 Vi 폴리사카라이드와 테타누스 톡소이드의 비율은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의 존재 하에 Vi 폴리사카라이드(ViP)와 유도체화된 테타누스 톡소이드(TT)와의 반응은 5 내지 7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6의 pH; 2℃ 내지 3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접합 전환 효율은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접합체의 분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600 kDa 사이이다.
또한 카보디이미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C)의 존재 하에 유도체화된 테타누스 톡소이드(TT)와 Vi 폴리사카라이드(ViP)의 반응은 pH를 약 6에서 약 7 내지 8로 상승시킴으로써 중단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면,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OSP)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 1-시아노-이미다졸(1-CI), 1-시아노벤조트리아졸(1-CBT),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 p-니트로페닐시아네이트 및 N-시아노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TEA') 또는 2-시아노피리다진-3(2H) 온 (2-CPO)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 파라티피 A OSP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 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 또는 (CPIP)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S. 파라티피 A OSP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되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중량 기준 1:0.5 내지 1:2의 OSP: CPPT의 비율로 혼합된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이고 OSP와 담체 단백질의 비율은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고 반응은 5 내지 7 사이 범위의 pH, 2℃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 OSP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테타누스 톡소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 OSP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디프테리아 톡소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 OSP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CRM 197일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S. 티피뮤리움 폴리사카라이드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 1-시아노-이미다졸(1-CI), 1-시아노벤조트리아졸(1-CBT),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 p-니트로페닐시아네이트 및 N-시아노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TEA') 또는 2-시아노피리다진-3(2H) 온(2-CPO)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 티피뮤리움 폴리사카라이드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 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이다.
바람직하게는 S. 티피뮤리움 폴리사카라이드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테타누스 톡소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 티피뮤리움 폴리사카라이드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디프테리아 톡소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 티피뮤리움 폴리사카라이드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CRM 197일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 1-시아노-이미다졸(1-CI), 1-시아노벤조트리아졸(1-CBT),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 p-니트로페닐시아네이트 및 N-시아노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TEA') 또는 2-시아노피리다진 -3(2H) 온(2-CPO)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는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이다.
바람직하게는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테타누스 톡소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디프테리아 톡소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의 접합에 사용되는 담체 단백질은 CRM 197일 수 있다.
출원인은 대안적인 접합 방법, 폴리사카라이드 대 단백질의 비율, 폴리사카라이드 대 커플링제의 비율, 적절한 링커, 적절한 크기의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최종 폴리사카라이드 - 단백질 접합체를 안정화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동일한 결과로 백신에서 폴리사카라이드 - 단백질 접합체의 비율이 개선되어 접합체에서 유리 사라카라이드 및 유리 단백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담체 단백질 억제가 감소하고, 접합체의 멸균 여과성이 개선되고, 접합체 제어가 향상될 수 있으며 더 큰 모이어티 내(intra-moiety) 가교결합은 우수한 면역 반응을 간접적으로 제공한다.
출원인은 다양한 요인이 폴리사카라이드와 단백질의 커플링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ViP의 분자량, 선택된 담체 단백질의 유형, 사용된 폴리사카라이드: 담체 단백질의 양의 비율, 작용기의 활성화, 스페이서의 사용 및 접합 화학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제5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접합 반응 후에 상기 방법은 100 kDa 또는 30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는 접선 유동 한외여과(TFF) 및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의한 농축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합체 벌크는 적어도 3배 농축되고 실질적으로 모든 미반응 화합물, 비접합된 폴리사카라이드, 비접합된 단백질 및 잔류 EDC가 제거되어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 백신이 수득된다.
추가로 상기 방법은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합체 벌크는 적어도 3배 농축되고 실질적으로 모든 미반응 화합물, 비접합된 폴리사카라이드, 비접합된 단백질 및 잔류 EDC가 제거되어 정제된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 백신이 수득되며 여기서 접합체 수율은 50% 이상이다.
또한 정제 단계는 한외여과 및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S. 티피 Vi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S. 파라티피 Vi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S. 티피뮤리움 또는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S. 엔테리티디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1가 백신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2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CP)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 담체 단백질(CP)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CP)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CP)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본 개시내용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3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CP)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본 개시내용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르면, 4가 면역원성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i) 담체 단백질(CP)에 접합된 S. 티피 Vi 폴리사카라이드, ii)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 iii)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 및 iv)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S. 티피뮤리움 폴리사카라이드.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본 개시내용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비제한적으로 살모넬라 파라티피 B, 살모넬라 파라티피 C, 살모넬라 항원 예컨대 외막 소포체(Outer membrane vesicles), 외막 단백질(예컨대, OmpC, OmpD, OmpF), 시데로포어(엔테로박틴), 유형 III 분비 시스템 단백질(예컨대, SipB, SipD, SseB, SseC, 및 PrgI), 플라젤린,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속 쉬겔라, 쉬겔라 소네니, 쉬겔라 디센테리아, 쉬겔라 플렉스네리, 쉬겔라 보디이, 대장균, 엔테로박터 종, 예르시니아 종, 슈도모나스 종,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a, c, d, e, f 혈청형 및 비캡슐화된 균주), 간염(A, C, D, E, F 및 G 균주), 인플루엔자, 스타필로코커스 속,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유형 5,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유형 8, 스트렙토코커스 속,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1, 2, 3, 4, 5, 6A, 6B, 6C, 6D, 6E, 6G, 6H, 7A, 7B, 7C, 7F, 8, 9A, 9L, 9F, 9N, 9V, 10F, 10B, 10C, 10A, 11A, 11F, 11B, 11C, 11D, 11E, 12A, 12B, 12F, 13, 14, 15A, 15C, 15B, 15F, 16A, 16F, 17A, 17F, 18C, 18F, 18A, 18B, 19A, 19B, 19C, 19F, 20, 20A, 20B, 21, 22A, 22F, 23A, 23B, 23F, 24A, 24B, 24F, 25F, 25A, 27, 28F, 28A, 29, 31, 32F, 32A, 33A, 33C, 33D, 33E, 33F, 33B, 34, 45, 38, 35A, 35B, 35C, 35F, 36, 37, 38, 39, 40, 41F, 41A, 42, 43, 44, 45, 46, 47F, 47A, 48), A군 스트렙토코커스, B군 스트렙토코커스(군 Ia, Ib, II, III, IV, V, Vl, VII VII, VIII, 및 IX.),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헤모필러스 뉴모니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클라미디아 뉴모니아,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유레아플라즈마 유레알리티쿰, 마이코플라즈마 뉴모니아,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스트렙토코커스 갈락티애, 스트렙토코커스 비리단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나이세리아 고노로애, 탄저균, 비브리오 콜레라, 페스튜렐라 페스티스, 캄필로박터, 캄필로박터 제주니, 클로스트리디움 속,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마이코박테리움 속, 마이코박테리움 튜베르큘로시스, M. 카타르할리스, 클렙시엘라 뉴모니아, 트렙포테마 속, 보렐리아 속, 보렐리아 버그도페리, 렙토스피라 속, 헤모필러스 듀크레이,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보르데텔라 페르튜시스, 보르데텔라 파라페라튜시스, 쉬겔라 속, 엘리키아 속, 리케차 속 및N. 메닌자이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A, B, C, D, W135, X, Y, Z 및 29E) 무세포 백일해 항원,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말라리아 항원(RTS, S), 탄저균, 뎅기, 말라리아, 홍역, 볼거리, 풍진, BCG, 인유두종 바이러스, 일본 뇌염, 뎅기, 지카, 에볼라, 치쿤구니아, 폴리오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천연두, 황열, 플라비바이러스, 대상포진, 및 수두 바이러스 항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다음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다: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h)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h)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i)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을 5 μg 용량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을 5 μg 용량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을 5 μg 용량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을 5 μg 용량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을 5 μg 용량으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다음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다: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c)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f)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g)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
Figure pct00001
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e)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f)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g)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h)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d)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e)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f)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g)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h)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e)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f)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g)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h)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i)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e)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f)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g)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h)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i)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로타바이러스 항원;
e)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f)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g)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h)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i)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j)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f)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g)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h)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i)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j)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로타바이러스 항원;
f)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g)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h)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i)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j)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k)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ml 당;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 ml 당 1 내지 50 μg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사빈(Sabin)또는 소크(Salk)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을 포함하며; 여기서 0.5 ml 당 IPV 유형 1은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용량, 또는 IPV 유형 2는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용량 또는 IPV 유형 3은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용량임;
본 개시내용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다음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한다: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로타바이러스 항원;
c)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d) 쉬겔라 속 항원;
e)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f)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f)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g)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f)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쉬겔라 속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f)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g)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로타바이러스 항원;
e)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f) 쉬겔라 속 항원;
g)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h)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로타바이러스 항원;
f)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g) 쉬겔라 속 항원;
h)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i)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0.5 ml의 조성물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CP 접합체 항원을 1.25 내지 50 μg의 용량 범위로 포함한다;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0.5 ml 당 1 내지 50 μg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HEPES, 숙시네이트, 히스티딘, TRIS, 보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글루코네이트 및 타르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완충제뿐만 아니라, 소듐 포스페이트 및/또는 포타슘 포스페이트를 원하는 pH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비율로 함유하는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비롯한 보다 복합적인 유기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완충제는 원하는 pH를 달성하기 위해 제형화된,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또는 "트리스"를 함유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완충제는 행크스 염(Hanks salt)을 포함하는 최소 필수 배지일 수 있다. 다른 완충제, 예컨대 HEPES, 피페라진-N, N'(PIPES), 및 2-에탄설폰산(MES)이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해 고려된다. 완충제는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의 안정화를 돕는다. 완충제의 양은 0.1 mM 내지 100 mM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mM, 6 mM, 7 mM, 22 mM, 23 mM, 24 mM, 25 mM, 26 mM, 27 mM, 28 mM, 29 mM 및 30 mM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완충제의 양은 0.1 mg 내지 2.0 mg의 범위일 수 있다.
시트레이트 완충제는 1.05 내지 2.63 mg의 범위의 시트르산 모노히드레이트(CAM)를 1.47 내지 3.68 mg 범위의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디히드레이트(TCD)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트리스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을 0.1 mg 내지 2.0 mg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트리스 완충액을 0.61 mg 내지 1.52 mg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시트레이트 완충액을 10 mM 내지 25 mM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히스티딘 완충액을 0.78 내지 1.94 mg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숙시네이트 완충액을 0.59 내지 1.48 mg의 범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당, 계면활성제, 중합체, 염, 아미노산 또는 pH 변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는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탄올, t-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로서 폴리솔베이트 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의 예는 덱스트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히알루론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염의 예는 NaCl, KCl, KH2PO4, Na2HPO4.2H2O, CaC12, MgC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은 NaCl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염의 양은 100 mM 내지 200 mM의 양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소듐 클로라이드를 1 내지 10 mg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 아미노산의 예는 L-히스티딘, 리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글리신, 아스파르트산. 트리신, 아르기닌, 류신, 글루타민, 알라닌, 펩티드, 가수분해된 단백질 또는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히스티딘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 당의 예는 수크로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만노스, 라피노스, 락티톨, 락토비온산, 글루코스, 말툴로스, 이소- 말툴로스, 말토스, 락토스 솔비톨, 덱스트로스, 프럭토스, 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수크로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부혀제로서 중합체의 예는 덱스트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히알루론산,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용량 조성물은 보존제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다중-용량 면역원성 조성물은 2-페녹시에탄올,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Phemerol), 페놀, m-크레졸, 티오메르살, 포름알데히드, 파라벤 에스터(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 파라벤),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질 알콜, 클로로부탄올, p-클로르-m-크레졸, 또는 벤질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백신 조성물은 단일 면역화를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다중 면역화(즉, "다중용량" 키트)를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제의 포함은 다중 용량 배열에서 바람직하다. 다중 용량 조성물에서 보존제를 포함하는 것에 대한 대안(또는 추가)으로서, 조성물은 물질 제거를 위한 무균 어댑터를 갖는 용기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존제는 0.1 mg 내지 5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g의 범위의 2-페녹시에탄올일 수 있다.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투여 경로 및 원하는 제조에 따라, 보조 물질 예컨대 습윤제 또는 유화제, 희석제 pH 완충제, 겔화 또는 점도 증강 첨가제, 보존제, 향미제, 착색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희석제로서 주사용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알루미늄 염,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히드록시포스페이트, 및 포타슘 알루미늄 설페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오일 및 물 에멀젼 지질 A, 3-디아실화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AS01, AS03,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적어도 하나의 비메틸화된 CpG 및/또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인트 보조제, 프로인트 완전조제, 프로인트 불완전 보조제, 중합체, 블록 공-중합체를 비롯한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중합체 p 1005, CRL-8300 보조제, 뮤라밀 디펩티드, TLR-4 작용제, 플라젤린, 그람 음성 박테리아 유래 플라젤린, TLR-5 작용제, TLR-5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플라젤린 단편, 알파-C-갈락토실세라미드, 키토산, 인터류킨-2, QS-21, ISCOMS, 스쿠알렌 혼합물(SAF-1), Quil A, 콜레라 독소 B 서브유닛, 폴리포스파젠 및 유도체,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벽 제제, 마이콜산 유도체, 비-이온성 블록 공중합체 계면활성제, OMV, fHbp, 스테롤과 지질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자극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완전히 액체일 수 있다. 액체 제제의 적합한 형태는 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장성 수용액, 점성 조성물 및 선택된 pH로 완충된 엘릭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완전히 액체일 수 있고, 6개월의 기간 이상 동안 2 내지 8℃, 25℃ 및 40℃에서 안정할 수 있고 180 내지 220 kDa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 6개월 후 유리 폴리사카라이드는 7.5% 이하일 수 있고 388/80/45 kDa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 6개월 후 유리 폴리사카라이드는 10.5% 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로션, 겔, 스프레이, 연고 또는 다른 적합한 기술을 포함하는 경피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비강 또는 호흡기(점막) 투여가 요구되는 경우(예컨대, 에어로졸 흡입 또는 통기), 조성물은 스퀴즈 스프레이 디스펜서, 펌프 디스펜서 또는 에어로졸 디스펜서에 의해 분재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은 일반적으로 탄화수소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다. 펌프 디스펜서는 바람직하게는 계량된 용량 또는 특정 입자 크기를 갖는 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용액, 현탁액 및 겔의 형태인 경우, 일부 실시형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활성 성분 외에 대부분의 양의 물(바람직하게는 정제수)을 함유한다. 실시형태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동결건조(lyophilized) 또는 동결 건조(freeze dried)된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동결-건조(Freeze-drying)" 또는 "동결건조(lyophilize)" 또는 "동결건조화(lyophilization)"는 동결건조화를 포함하고 현탁액/용액이 동결된 후, 저압에서 승화에 의해 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승화"는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지칭하며, 여기서 조성물은 액체가 되지 않고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직접 변화한다.
따라서, 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은 2 내지 8℃에서 12 내지 36개월 동안; 25℃에서 2 내지 6개월 동안; 37℃에서 1주 내지 4주 동안; 42℃에서 2 내지 7일 동안, 및 55℃에서 2 내지 7일 동안 안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 방법은 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수용액 선택적으로 염수 또는 주사용수(WFI)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재구성 후 면역원성 조성물의 최종 pH는 pH 6.0 내지 pH 8.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0 내지 pH 8.0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pH 7.2 내지 pH 7.9의 범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7.5 내지 pH 7.9의 범위이다.
본 개시내용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비경구 또는 피하 또는 피내, 근육 내 또는 복강 내 또는 근육 내 투여 또는 주사 투여 또는 임플란트로부터 지속 방출 또는 점안제에 의한 투여 또는 비강 또는 직장 또는 협측 또는 질, 구강 또는 위 내 또는 점막 또는 설주위, 폐포 또는 치은 또는 후각 또는 호흡기 점막 투여 또는 임의의 다른 면역화 경로를 통해 면역학적으로 유효량의 면역원성 조성물을 인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감염을 포함하는 건강 상태 발병의 감소 또는 예방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근육 내 경로 또는 피하를 통해 인간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백신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으로 유효량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약 1 μg/0.5ml 이하의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또는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 내지 약 100 μg/0.5ml 이상의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또는 S. 엔테리티디스의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양태에서, 이는 0.5 ml 단일 용량 당 약 2, 3, 4, 5, 6, 7, 8, 9, 10, 15, 20, 25, 30, 35, 40, 45 또는 50 μg 내지 약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95 μg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백신을 위한 면역학적으로 유효량은 1 μg/0.5ml 내지 50 μg/0.5m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은 약 5 ug/0.5ml 내지 약 30 ug/0.5ml의 용량 범위로 존재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은 약 25 ug/0.5ml의 용량으로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중화 항체의 생성 및 보호에 효과적인 용량으로 근육 내로 또는 피하 투여될 수 있다. 백신은 투여 제형과 양립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티푸스 및 NTS 감염에 대해 예방적으로 및/또는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된다.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감염 위험이 있는 노인, 청소년, 성인 또는 어린이에게 1차 예방제로서 투여되거나,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2차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면역원성 조성물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감염 위험이 있는 노인, 청소년, 성인 또는 2세 미만 또는 2세 이상의 어린이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2차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NTS용 백신은 12개월령 경에 최대 발병률이 발생하기 전에, 2개월령 내지 4개월령 사이의 영아에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백신 실행은 HIV에 감염된 인구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들은 NTS에 감염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선진국에서, NTS 백신은 매우 높은(최대 50%) 치사율을 경험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어린이의 경우, 프로그램 방식의 현장 실행이 아마도 6, 10, 및 14주의 예방접종 일정에 대한 기존 확장 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통합될 것이라고 제안되어 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약 0.5 ml 또는 1 ml의 용량 부피로 근육 내로 또는 피하로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단일 용량 바이알 또는 다중 용량 바이알(2회 용량 또는 5회 용량 또는 10회 용량 바이알) 또는 다중 용량 키트로서 또는 사전충전된 주사기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면역원성 조성물은 단일 용량 일정으로 주어질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1차 백신접종 과정에 이어 필요한 경우 1 내지 3년 후 후속 시간 간격으로 1 내지 3회 개별 용량이 제공되는 다중 용량으로 주어질 수 있다. 투여 요법은 또한 보호 면역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추가 용량의 필요성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1차 용량 및/또는 1차 용량 후 3개월 내지 2년 사이에 투여되는 2차 용량 및/또는 2차 용량 후 3개월 내지 2년 사이에 투여되는 3차 용량으로 이루어진 1회 용량 또는 2회 용량 요법 또는 3회 용량 요법에 따라 노인, 청소년, 성인 또는 2세 미만 또는 2세 이상의 어린이의 인간 대상체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다른 약물 또는 임의의 다른 백신과 함께 병용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11 실시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일 용량 백신 키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된(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f) 수크로스 0.5 ml 당 1 내지 12 mg;
g) 소듐 시트레이트(이수화물) 0.5 ml 당 0.1 내지 2 mg;
h) 트리스 완충액 0.5 ml 당 0.05 내지 0.5 mg;
다음을 포함하는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된(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을 위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c)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살모넬라 티피 및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ViP-TT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제11 실시형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단일 용량 백신 키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된(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f) 수크로스 0.5 ml 당 1 내지 12 mg;
g) 소듐 시트레이트(이수화물) 0.5 ml 당 0.1 내지 2 mg;
h) 트리스 완충액 0.5 ml 당 0.05 내지 0.5 mg;
다음을 포함하는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된(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을 위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살모넬라 티피 및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ViP-TT; OSP 항원과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제11 실시형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단일 용량 백신 키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완전한 액체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0.5 ml 당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임;
b)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c)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d) 0.5 ml 당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으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e)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c)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5 ml 당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d)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0.5 ml 당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및/또는
e) 2-페녹시에탄올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살모넬라 티피 및 6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ViP-TT와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제11 실시형태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단일 용량 백신 키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완전한 액체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0.5 ml 당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임;
b)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c)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d) 0.5 ml 당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으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e)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및/또는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5 ml 당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g)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0.5 ml 당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및/또는
h) 0.5 ml 당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및/또는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및 6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ViP-TT;OSP와 6가 항원 간섭은 없으며,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제11 실시형태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단일 용량 백신 키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완전한 액체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0.5 ml 당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임;
b) 0.5 ml 당 1 내지 50 μg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 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
c)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0.5 ml 당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으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g)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된(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을 위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c)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살모넬라 티피 및 7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ViP-TT와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제11 실시형태의 제6 양태에 따르면, 단일 용량 백신 키트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완전한 액체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0.5 ml 당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임;
b) 0.5 ml 당 1 내지 50 μg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
c)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0.5 ml 당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으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g)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5 ml 당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g)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0.5 ml 당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및/또는
h) 2-페녹시에탄올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및 7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 및 파라티피에 대한 예방을 위해, ViP-TT; OSP 항원과 7가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 개발에 사용되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Vi 폴리사카라이드에 특이적인 "tviB" 유전자가 있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TY2 균주(Geneombio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Pune에 의해 확인되었고 Villoo Poonawalla Memorial Hospital, Pune에서 장티푸스가 확인된 환자의 분변 샘플로부터 단리되었음); S. 티피: ATCC 19430; C6524(NICED, Kolkata, 인도); S. 파라티피 A: Chromachemie Laboratory Private Limited, Bangalore로부터 입수된 ATCC 9150, CMCC50073, CMCC50973; S. 엔테리티디스: ATCC 4931; ATCC 13076; S. 엔테리티디스 R11; S. 엔테리티디스 D24359; S. 엔테리티디스 618; S. 엔테리티디스 502; S. 엔테리티디스 IV3453219; S. 티피뮤리움: S. 티피뮤리움 2192; ATCC 14208; S. 티피뮤리움 2189; S. 티피뮤리움 D23580; ATCC 19585; ATCC 700408; (LT2/SL134 (ST19)); S.티피뮤리움 177(ST19) CDC 6516-60; ATCC 700720. 또한 임의의 약독화된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S. 티피, S. 파라티피 A, S. 엔테리티디스S. 티피뮤리움)가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NCMR-NCCS로 기탁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Pune, 기탁번호 MCC 0193을 갖는 국제 기탁 기관; 균주 명칭- PDL-1.
본원에 기술된 다른 실시형태는 또한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된(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및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된(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을 재구성하기 위한 수용액 선택적으로 염수 또는 WFI(주사용수)를 함유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백신 키트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다른 사람들이 현재의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특정한 실시형태를 쉽게 수정 및/또는 적응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형태의 일반적인 성질을 완전히 밝히며, 따라서 이러한 적응 및 수정은 개시된 실시형태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하고 의도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어구 또는 용어는 제한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본원에서의 실시형태가 본원에서 기술된 실시형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포함하다(comprise)"라는 단어, 또는 "포함하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변형은 명시된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 정수 또는 단계의 군을 포함하지만, 임의의 다른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 정수 또는 단계의 군의 배제는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원하는 목적 또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성분 또는 양의 사용을 시사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문서, 행위, 자료, 장치, 물품 등에 대한 임의의 논의는 오로지 본 개시의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임의의 것 또는 전부가 선행 기술 기반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본 출원의 우선일 이전에 존재했던 공개와 관련된 분야의 일반적인 일반 지식이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다양한 물리적 파라미터, 치수 및 수량에 대해 제공된 수치는 대략적인 값일 뿐이며 명세서에서 반대되는 언급이 없는 한 물리적 파라미터, 치수 및 수량에 할당된 수치보다 높은 값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특정 특징에 대해 상당한 강조를 하였지만,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많은 추가 특징이 추가될 수 있고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의 이들 및 다른 변경은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이에 의해 전술한 설명 사항은 단지 개시내용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되어야 한다.
기술적 이점:
1. 본 개시내용은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에 대한 감염의 보호 또는 치료를 부여 또는 이의 임상적 징후의 발병 또는 진행을 예방, 개선, 또는 지연시키기에 효과적인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를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1가 및 다가 다가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백신을 제공한다.
2. 개선된 업스트림, 다운스트림 및 접합 공정
3. 업스트림 발효는 카제인 소화/트립토판, 카사미노산이 없다.
4. i) 소포제, 대두 펩톤 및 효모 추출물의 조합물 ii) 특정 DO 36 내지 39% 및 iii) 삼투압 농도 400 내지 600 mOsmol/kg의 사용에 따라 수확 단계의 폴리사카라이드의 수율이 50% 초과로 개선된다.
5. 10 EU/μg 미만의 낮은 내독소, 1% 미만의 낮은 단백질 및 2% 미만의 낮은 핵산 함량을 갖는 개선된 정제 방법, 여기서 정제 공정은 i) 동물-유래 생성물인 소듐 디옥시콜레이트(DOC)가 없고, 최종 생성물에 이의 잔류물이 존재하여도 규제 기관 및 특정 종교 공동체에서 제품 비-승인을 회피함 ii) 트리톤 X가 없음 iii) 암모늄 설페이트가 없음 iv) 임의의 흡착제(히드록실아페타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아페타이트)가 없음
6. 개선된 접합 효율(60% 초과), 개선된 접합 수율(50% 이상) 및 접합체 안정성 여기서 i) Ps:Pr: EDAC 비율은 1:1:2이고 ii) 유리 폴리사카라이드를 나타내는 안정성은 5% 미만(바람직하게는 3% 미만)이고 유리 단백질은 5% 미만(바람직하게는 4% 미만)임.
7. i) 1200 kDa 내지 1600 kDa 사이의 독특한 크기를 갖는 Vi 폴리사카라이드 - 단백질 접합체에 기인한 접합체의 개선된 면역원성. 및 ii) 접합에 사용되는 폴리사카라이드는 150 내지 300 kDa 사이(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kDa 사이)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8. 면역원성 조성물은 6개월의 기간 동안 2 내지 8℃, 25℃ 및 40℃에서 안정하고 180 내지 220 kDa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 6개월 후 유리 폴리사카라이드는 7.5% 이하이고 388/80/45 kDa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 6개월 후 유리 폴리사카라이드는 10.5% 이하이다.
9.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 예컨대 a) SIIPL Vi PS-TT + SIIPL O-SP A DT, b) SIIPL Vi PS-TT + SIIPL O-SP A TT 및 c) SIIPL Vi PS-TT + SIIPL O-SP A CRM Vi TT가 주입된 마우스 군은 4배 초과의 더 높은 IgG 유도를 나타냈으며(비접합된 Vi PS 또는 비접합된 SIIPL O-SP A가 투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따라서 이는 Vi TT 및 SIIPL O-SP A(DT/TT/CRM)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2가 SIIPL 백신의 면역원성 잠재력을 나타낸다.
10. 백신 조성물과 관련된 최소 성분.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입증하기 위해 포함된다. 당업자는 하기 실시예에 개시된 조성물 및 기술이 본 발명의 실시에서 잘 기능하는 발명자가 발견한 기술을 나타내고 따라서 본 실시를 위한 바람직한 모드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 그러나,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에 비추어, 개시되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유사하거나 비슷한 결과를 여전히 얻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실시예 1:
A) 균주: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 개발에 사용되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Vi 폴리사카라이드에 특이적인 "tviB" 유전자가 있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TY2 균주(Geneombio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Pune에 의해 확인되었고 Villoo Poonawalla Memorial Hospital, Pune에서 장티푸스가 확인된 환자의 분변 샘플로부터 단리되었음); 기탁번호 MCC 0193을 갖는 Pune, 국제 기탁 기관에 기탁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P; 균주 명칭- PDL-1, S. 티피: ATCC 19430; C6524(NICED, Kolkata, 인도); S. 파라티피 A: Chromachemie Laboratory Private Limited, Bangalore로부터 입수된 ATCC 9150, CMCC50073, CMCC50973; S. 엔테리티디스: ATCC 4931; ATCC 13076; S. 엔테리티디스 R11; S. 엔테리티디스 D24359; S. 엔테리티디스 618; S. 엔테리티디스 502; S. 엔테리티디스 IV3453219; S. 티피뮤리: S. 티피뮤리 2192; ATCC 14208; S. 티피뮤리 2189; S. 티피뮤리 D23580; ATCC 19585; ATCC 700408; (LT2/SL134 (ST19)); S.티피뮤리움 177(ST19) CDC 6516-60; ATCC 700720. 또한 임의의 약독화된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S. 티피, S. 파라티피 A, S. 엔테리티디스S. 티피뮤리움)는 본 개시내용의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국제 특허 공개 WO2018037365호, WO2019016654호 및 WO2020075184호는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테타누스 톡소이드(TT), 불활성화된 전세포 백일해, (wP), 무세포 백일해, (aP),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HBsAg),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Hib) 및 불활성화된 폴리오바이러스(표준 용량 및 용량 감소된 폴리오바이러스)의 제조와 관련하여 통합된다.
국제 특허 공개 WO2018037365호는 불활성화된 폴리오바이러스 및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의 제조와 관련하여 통합된다.
국제 특허 공개 WO2013114268호는 혈청형 A, C, W, X 및 Y 유래의 수막구균 폴리사카라이드의 제조와 관련하여 통합된다.
B) 유가 배양 공정에 의한,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수득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업스트림 발효)
1) S1 단계의 접종 및 수확:
세포 은행 바이알로부터 0.5 mL 배양물을 배지로 5 mL로 희석하고 이로부터 배양물을 루프로 떠서 SCDA 플레이트 상에 스트리킹하고 36±0.5℃에서 28 내지 3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다.
2) S2 단계의 접종 및 수확:
S1 단계의 플레이트로부터 10 웰 단리된 콜로니를 40 mL 배지가 함유되어 있는 원뿔형 플라스크에 접종한다. 배양물의 광학 밀도(OD: Optical Density)가 2.5 내지 3.5 사이의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플라스크를 36±0.5℃에서 150±10 RPM으로 인큐베이션 한다.
3) S3 단계의 접종 및 수확:
S2 단계의 배양물의 광학 밀도(OD)가 2.5 내지 3.5 사이의 범위에 도달하였을 때, 40 ml 배양물을 800 ml로 확장하고 1L 플라스크 5개 각각에 160 ml 내용물을 분배한다. 배양물의 OD가 2.5 내지 3.5 사이의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플라스크를 36±0.5℃에서 150±10 rpm으로 인큐베이션 한다.
4) S4 단계의 접종 및 수확(20L 발효기):
S3 단계의 배양물의 OD가 2.5 내지 3.5 사이의 범위에 도달하였을 때, 4개의 플라스크 모두의 배양물을 종자 병 어셈블리에 모으고 20L 발효기에 접종한다. 다음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발효를 계속한다.
발효 공정 파라미터:
발효 공정 파라미터
파라미터 설정점 & 범위
DO (%) 37 (30 내지 90)
진탕 (RPM) 150 내지 500
공기 (nl/분) 2.0 내지 10
산소 (nl/분) 0.0 내지 15
pH 7.0 ±0.4
온도 (℃) 36.0 ± 2.0
와드(ward)에서 3시간 째부터 피드 배지(Feed media)를 시작하고 OD에 비례하여 증가시킨다. 발효를 13 내지 15시간 동안 계속한다.
5) S4 단계 포르말린 불활성화:
S4 단계를 완료한 후, 포름알데히드 용액을 발효기에 첨가하여 최종 농도를 0.5 내지 1.0%로 만들고 발효물을 36℃±2℃에서 8 내지 10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6) 원심분리에 의한 세포 분리:
불활성화 단계를 완료한 후, 원심분리로 브로스(broth)를 정화하고 상등액을 수집한다.
다음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원심분리 파라미터
파라미터 설정 값
온도 설정점 2 내지 8℃
RPM 7000 내지 8000
원심분리 시간 40 내지 60분
7) 심층 여과에 의한 정화:
원심분리가 끝난 후, 심층 필터를 사용하여 상등액을 여과한다.
8) 0.2μ 여과:
심층 여과 후, 여액을 0.2μ 여과에 적용한다.
B1.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의 성장을 위한 배지 최적화
배지 최적화 및 배치 파라미터에 대해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번호: 01 - 그람 음성 유기체의 성장에 널리 사용되는 바와 같은 프란츠 배지(Frantz media)를 실험을 위해 선택하였고 살모넬라 티피의 성장에 대해 평가하였다. 종자 발육 및 발효를 위해 프란츠 배지를 사용하였다. 탄소원인 글루코스가 피드 배지에 포함되어 있었다.
실험번호:01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실험번호:01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125 ml 및 500 ml)에서 발육시키고 2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25% 용존 산소(DO)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번호:01의 OD 590
배양 시간 (시간) OD 590
0 0.0
1 0.12
2 0.295
3 0.49
4 1.43
5 4.33
6 8.73
7 9.24
8 9.7
9 9.68
10 9.7
11 9.57
12 9.3
13 9.2
14 9.5
결론: 프란츠 배지는 제한된 정도로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배지의 추가 최적화가 필요하였다.
실험 번호: 02 - 효모 추출물을 발효물 및 피드 배지에 첨가하여 세포 성장을 지원하였다.
실험 번호: 02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실험 번호: 02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125 ml 및 500 ml)에서 발육시키고 2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25% 용존 산소(DO)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2의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0
1 0.12
2 0.295
3 0.49
4 1.43
5 4.33
6 8.73
7 9.24
8 9.7
9 9.68
10 9.7
11 10.1
12 10.6
13 11.2
14 11.8
결론: 효모 추출물은 제한된 정도로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배지의 추가 최적화가 필요하였다.
실험 번호: 03 - 대두 펩톤을 발효물 및 피드 배지에 첨가하여 세포 성장을 지원하였다.
실험 번호: 03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03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125 ml 및 500 ml)에서 발육시키고 2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25% 용존 산소(DO)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3의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0
1 0.12
2 0.295
3 0.49
4 1.43
5 4.33
6 8.73
7 9.24
8 9.7
9 9.68
10 9.8
11 10.5
12 11.8
13 12.6
14 13.2
결론: 대두 펩톤은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조를 위한 배치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필요하였다.
실험 번호: 04 - 세포 성장을 개선하기 위해 소포제 Ctobe를 소포제 Struktol로 대체하였다.
실험 번호: 04에 대한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04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125 ml 및 500 ml)에서 발육시키고 2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25% 용존 산소(DO)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4에 대한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0
1 0.12
2 0.295
3 0.49
4 1.43
5 4.33
6 8.73
7 9.24
8 10.6
9 11.4
10 12.9
11 13.2
12 13.8
13 14.4
14 15.2
결론: 소포제 C의 소포제 Struktol로의 대체는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개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 번호: 05 - 20 L 규모의 배치에서 다음의 발효 파라미터에서 살모넬라 티피의 성장 패턴을 연구하였다. 살모넬라 티피 배치에 대해, 적합한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용존 산소 및 삼투압 농도를 실험 설정점 주변에서 제어하였다.
실험 번호: 05에 대한 실험 설정점
파라미터 실험 설정점
pH 7.0
온도 (℃) 36
용존 산소 (%) 30
진탕 (rpm) 150 내지 500
삼투압 농도 (mOsmol/kg) 300
실험 번호: 05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05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250 ml 및 1 L)에서 발육시키고 20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5에 대한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20
1 0.45
2 0.96
3 1.87
4 3.2
5 4.33
6 8.73
7 9.24
8 9.7
9 11.2
10 14.1
11 16.2
12 17.3
13 17.9
14 18.5
결론: 관찰 결과, 본 실험의 실험 설정점 표에 언급된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번호: 06 - 20 L 규모의 배치에서 다음의 발효 파라미터에서 살모넬라 티피의 성장 패턴을 연구하였다. 살모넬라 티피 배치에 대해, 적합한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용존 산소 및 삼투압 농도를 실험 설정점 주변에서 제어하였다.
실험 번호: 06에 대한 실험 설정점
파라미터 실험 설정점
pH 7.0
온도 (℃) 36
용존 산소 (%) 40
진탕 (rpm) 150 내지 500
삼투압 농도 (mOsmol/kg) 400
실험 번호: 06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06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250 ml 및 1 L)에서 발육시키고 20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6의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20
1 0.45
2 0.96
3 1.87
4 3.2
5 4.33
6 8.73
7 11.8
8 15.2
9 17.8
10 19.5
11 20.5
12 21.1
13 21.9
14 22.8
결론: 관찰 결과, 본 실험의 실험 설정점 표에 언급된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번호: 07 - 20 L 규모의 배치에서 다음의 발효 파라미터에서 살모넬라 티피의 성장 패턴을 연구하였다. 살모넬라 티피 배치에 대해, 적합한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용존 산소 및 삼투압 농도를 실험 설정점 주변에서 제어하였다.
실험 번호: 07에 대한 실험 설정점
파라미터 실험 설정점
pH 7.0
온도 (℃) 36
용존 산소 (%) 37
진탕 (rpm) 150 내지 500
삼투압 농도 (mOsmol/kg) 700
실험 번호: 07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07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250 ml 및 1 L)에서 발육시키고 20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7의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21
1 0.49
2 0.29
3 1.43
4 2.81
5 4.73
6 7.1
7 9.2
8 12.4
9 16.1
10 19.2
11 23.4
12 26.3
13 28.2
14 28.4
결론: 관찰 결과, 본 실험의 실험 설정점 표에 언급된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번호: 08 - 20 L 규모의 배치에서 다음의 발효 파라미터에서 살모넬라 티피의 성장 패턴을 연구하였다. 살모넬라 티피 배치에 대해, 적합한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용존 산소 및 삼투압 농도를 실험 설정점 주변에서 제어하였다.
실험 번호: 08에 대한 실험 설정점
파라미터 실험 설정점
pH 7.0
온도 (℃) 36
용존 산소 (%) 40
진탕 (rpm) 150 내지 500
삼투압 농도 (mOsmol/kg) 700
실험 번호: 08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08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250 ml 및 1 L)에서 발육시키고 20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8의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20
1 0.66
2 1.62
3 3.2
4 5.3
5 8.1
6 11.2
7 16.3
8 19.2
9 23.8
10 27.4
11 28.8
12 30.1
13 31.2
14 32.4
결론: 관찰 결과, 본 실험의 실험 설정점 표에 언급된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번호: 09 - 20 L 규모의 배치에서 다음의 발효 파라미터에서 살모넬라 티피의 성장 패턴을 연구하였다. 살모넬라 티피 배치에 대해, 적합한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용존 산소 및 삼투압 농도를 실험 설정점 주변에서 제어하였다.
실험 번호: 09에 대한 실험 설정점
파라미터 실험 설정점
pH 7.0
온도 (℃) 36
용존 산소 (%) 40
진탕 (rpm) 150 내지 500
삼투압 농도 (mOsmol/kg) 500
실험 번호: 09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09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250 ml 및 1 L)에서 발육시키고 20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09의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22
1 0.65
2 2.14
3 4.2
4 6.5
5 11.3
6 14.2
7 18.6
8 26.5
9 29.4
10 32.3
11 36.2
12 37.2
13 38.1
14 38.5
결론: 관찰 결과, 본 실험의 실험 설정점 표에 언급된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험 번호: 10 - 20 L 규모의 배치에서 다음의 발효 파라미터에서 살모넬라 티피의 성장 패턴을 연구하였다. 살모넬라 티피 배치에 대해, 적합한 파라미터를 정의하였다. 용존 산소 및 삼투압 농도를 실험 설정점 주변에서 제어하였다.
실험 번호: 10에 대한 실험 설정점
파라미터 실험 설정점
pH 7.0
온도 (℃) 36
용존 산소 (%) 37
진탕 (rpm) 150 내지 500
삼투압 농도 (mOsmol/kg) 500
실험 번호: 10에 대한 발효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4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8.8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2.5
효모 추출물 14
대두 펩톤 9
실험 번호: 10에 대한 피드 배지 성분
재료 양 (g/L)
D- 글루코스 모노히드레이트 100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025
디- 소듐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94
마그네슘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0.625
효모 추출물 50
대두 펩톤 50
절차: 종자를 일회용 플라스크(250 ml 및 1 L)에서 발육시키고 20 L 발효기에서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발효를 유가 배양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피드(Feed)를 발효기에 첨가하여 살모넬라 티피 유기체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배치를 36℃ 온도, 7.00 pH 및 150 내지 500 RPM 진탕에서 작동시켰다(DO를 유지하기 위한 캐스케이드 모드). 발효 동안 포말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다.
관찰:
실험 번호: 10의 OD 590
배양 시간(시간) OD 590
0 0.21
1 0.87
2 2.75
3 5.3
4 8.30
5 14.12
6 18.5
7 24.6
8 30
9 33.3
10 38.6
11 42.4
12 43.1
13 43.7
14 44
결론:
USP - 실험 1 내지 10 각각에 대해 수득된 수확 수율 (% 단위 또는 다른 단위)
S.No. 설명 수확 수율 (mg/L)
1 실험-1 142 mg/L
2 실험-2 180 mg/L
3 실험-3 210 mg/L
4 실험-4 452 mg/L
5 실험-5 463 mg/L
6 실험-6 480 mg/L
7 실험-7 492 mg/L
8 실험-8 510 mg/L
9 실험-9 537 mg/L
10 실험-10 600 mg/L
유가식 공정에 의해, 배양 동안 소포제 J673 STRUKTOL, 40 내지 70 g/L 범위의 대두 펩톤 DifcoTM Select PhytoneTM UF 및 40 내지 70 g/L 범위의 효모 추출물 DifcoTM Yeast Extract, UF의 조합물의 사용을 수반하는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의 고수율 수확을 수득하기 위한 배양물의 유가 배양 방식은 수확 수율을 개선하였으며(100 내지 700 mg/L), 발효 파라미터는 6.7 내지 7.1의 범위로 유지된 pH, 34.0 내지 38.0℃의 범위로 유지된 온도, 36 내지 39% 사이로 유지된 용존 산소 수준, 150 내지 500 사이로 유지된 진탕(rpm) 및 400 내지 600 mOsmol/kg의 삼투압 농도를 포함한다.
실시예 2
C)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 정제 방법(다운스트림 정제)
C1) ViP 발효 수확물은 원하는 품질의 Vi-폴리사카라이드(ViP)를 수득하기 위해 다음의 다운스트림 정제 단계에 적용된다:
n) 약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을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해 박테리아 캡슐 폴리사카라이드 정화;
o) 접선 유동 한외여과(TFF)에 의한 농축 및 10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는 정용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5 mM EDTA를 함유하는 20 mM 트리스 완충액 pH-7.5);
p) 단백질, 핵산 및 지질폴리사카라이드의 변성을 위해 SDS(20% SDS 저장 투입),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4 내지 10 mM) 및 소듐 아세테이트(5% 내지 10%)로 처리;
q) 에탄올 침전(40% 내지 70%);
r) 원심분리 및 약 0.2 μM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s) 과량의 세제를 제거하기 위한 2M 포타슘 클로라이드(KCl)로 처리한 후 원심분리 및 약 0.2 μM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t) 접선 유동 여과(TFF)에 의한 농축 및 3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는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
u) CTAB(12% CTAB 저장 투입)에 의한 PS의 선택적인 침전;
v) 원심분리 및 약 0.4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필터를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여과;
w) 1M NaCl(0.1 M 내지 2 M)의 존재 하에 60% 에탄올(50% 내지 70%)로 펠릿을 세척하여 단백질 및 핵산 불순물 제거;
x) 60% 에탄올(75% 미만 또는 95% 초과)을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의 선택적 침전;
y) WFI 또는 1M NaCl 중에 폴리사카라이드 용해 및 접선 유동 여과(TFF)에 의한 농축 및 3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는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에 적용; 및
z) 멸균 조건 하에서 약 0.2 마이크로미터를 갖는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멸균 필터를 통한 멸균 여과 및 -20℃ 이하에 저장
C2) 지질폴리사카라이드(LPS) 발효 수확물의 살모넬라 파라티피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OSP)는 살모넬라 파라티피 A 지질폴리사카라이드(LPS)로부터 원하는 품질의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를 수득하기 위해 다음의 다운스트림 정제 단계에 적용된다:
r) 7000 rpm에서 4℃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 세포 펠릿(약 1 Kg) 및 상등액 수집 및 세포 펠릿을 15 L의 1M NaCl에 현탁 및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s) 접선 유동 한외여과(TFF)로 농축 및 0.45μm Prostak 카세트 및 3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는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
t) 90℃에서 180분 동안 1% 아세트산 (pH~2.8 내지 3.0)으로 LPS의 산 가수분해
u) 혼합물을 실온(RT)으로 냉각 & 7000 rpm에서 25℃에서 45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불순물 침전물 제거
v) 중화 상등액을 유리병에 수집하고 액체 암모니아로 pH-7.0으로 중화
w) 약 0.45 및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을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에 의한 정화;
x) 소듐 디옥시콜레이트 저장 용액을 첨가하여 1%의 최종 농도가 되게 하고 30℃ 온도에서 교반 하에 30분 동안 인큐베이션, 아세트산으로 2.0으로 pH를 조절하고 30℃에서 교반 하에 15분 동안 인큐베이션
y) 7000 rpm에서 25℃에서 45분 동안 원심분리
z) 약 0.45 및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을 통한 직접 유동 여과(DFF);
aa) 접선 유동 한외여과(TFF)에 의한 농축 및 10 kDa 분자량 컷 오프(MWCO)를 갖는 막을 사용하여 정용 여과(DF)에 의한 완충액 교환;
bb) 정제된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OSP)를 수득하기 위한 멸균 조건 하에서 약 0.2 마이크로미터의 공극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멸균 필터를 통한 멸균 여과.
다양한 단계에서 시험에 사용된 분석 방법
S.No. 시험 시험 방법 단위 참조 허용 기준
1 Vi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HPAEC-PAD mg/mL WHO TRS 987 실제값
2 정체성 NMR 분광학 NA NA 정체성 확인/ NIBSC Vi 폴리사카라이드 표준에 준함
3 단백질 불순물 Lowry 방법 mg/g IP/BP/Ph Eur 0250/WHO/사내 PS 1g 당 10.0mg 미만의 단백질을 함유해야 함
4 핵산 불순물 UV 분광학 (260nm에서 흡수) mg/g IP/BP/Ph Eur 0250/WHO/사내 PS 1g 당 20.0mg 미만의 핵산을 함유해야 함
5 O 아세틸 함량 (동결건조됨) Hestrin 방법 mmol/g IP/BP/Ph Eur 0250/WHO/사내 ≥2.0 mmol/g 폴리사카라이드이어야 함
6 수분 함량 열중량분석 퍼센트
(%)
IP/BP/EP/WHO/사내 실제값
7 분자 크기 분포 SEC-HPLC 퍼센트 (%) IP/BP/EP/WHO/사내 적어도 50%의 폴리사카라이드 가 0.3 KD 전에 용출되어야 함
8 내독소 함량 Limulus amebolysate(LAL)를 사용한 동적 탁도 측정 분석 EU/μg IP/BP/Ph Eur 0250/WHO/사내 PS 1 μg 당 100 EU 미만의 내독소
9 pH 전위차법 -- 실제값
10 생물부담 -- CFU/mL IP/BP/WHO/사내 100 cfu / 10 mL의 PS
11 총 PS 함량 HPAEC-PAD mg/mL WHO TRS 987 실제값
12 평균 분자량 (AMW) SE-HPLC kDa WHO TRS 987 실제값
13 정체성 NMR NA 사내 공개된 데이터/NIBSC STD에 준함
14 박테리아 및 진균 무균성 적합성 NA WHO TRS 987 준수해야 함
15 Vi 강도 HPAEC-PAD μg/mL WHO TRS 987 25 μg /0.5 mL
16 유리 폴리사카라이드 HPAEC-PAD-DOC 퍼센트 (%) WHO TRS 987/사내 < 40%
17 O-아세틸화 Hestrin mmol/g WHO TRS 987/사내 > 2.0 mmol/g의 Vi
18 분자 크기 분포 (MSD) SE-HPLC 퍼센트
(%)
WHO TRS 987/사내 결정되어야할 정보(그러나 Vi보다 큼) KD에 대해
19 내독소 또는 발열원 함량 Limulus amebolysate(LAL)를 사용한 동적 탁도 측정 분석 및 동물 시험 EU/μg WHO TRS 987 <100 E.U./용량
NRA의 동의
20 보조제 함량 및 흡수 정도 적합성 mg/ml WHO TRS 987 실제값
21 보존제 함량 기기 /적합성 방법 mg/ml WHO TRS 987/사내 준수해야 함
22 일반적 안전성(Innocuity) 동물 시험 NA WHO TRS 987/사내 NRA의 동의
23 pH 전위차법 사내 6.0 내지 8.0
24 삼투압 농도 삼투압계 mOsmol/kg WHO TRS 987/사내 NRA의 동의
결과 및 해석:
IPQC에 의해 시험된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
시험 사양 배치 1 배치 2 배치 3
폴리사카라이드 농도 실제 값 (mg/mL) 3.762 3.52 3.306
NMR에 의한 정체성 시험 준수해야 함 준수 준수 준수
O-아세틸 함량 2.0 mmol/g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 2.395 2.943 3.336
단백질 불순물 1 중량% 이하의 PS 0.797 0.568 0.907
핵산 불순물 2 중량% 이하의 PS 0.984 1.136 1.180
내독소 함량 PS 1 μg 당 150EU 이하의 내독소 16.39 52.37 45.33
분자 크기 분포 (MSD) 0.25의 분포 계수(KD)에 도달하기 전에 적어도 50%의 PS가 용출됨. 93.38 94.35 94.47
유리 포름알데히드
(잔여물)
0.02% w/v 이하. 0.00 0.00 0.00
잔여물 에탄올 5,000 ppm 이하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검출되지 않음
생물부담 NMT 100 cfu/10mL의 PS 0 cfu/10mL의 PS 0 cfu/10mL의 PS 0 cfu/10mL의 PS
Vi PS 정제의 개선된 방법은 작동 용이성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다른 이점 모두에서 분명한 이점이 있다,
▷ 소듐 아세테이트(6%) 대 소듐 아세테이트(2%) 사용 시 개선된 폴리사카라이드 정제(회수, O-아세틸, 내독소, 단백질, 핵산 함량, 다분산성, 점도 측면에서)
소듐 아세테이트( 6%) 사용 시 - 다음에 대한 값
DSP % 회수 - 50%
Ps 점도 - 데이터 없음
Ps 다분산성 - 데이터 없음
O-아세틸 - 2.9 mmol/gm의 PS
소듐 아세테이트( 2%) 사용 시 - 다음에 대한 값
DSP % 회수 - 40%
Ps 점도 - 데이터 없음
Ps 다분산성 - 데이터 없음
O-아세틸 - 2.6 mmol/gm의 PS
소듐 아세테이트는 핵산과 반응한다. 이는 Na+와 (CH3COO)-로 분해된다. 양으로 하전된 소듐 이온은 핵산의 음으로 하전된 PO3-를 중화한다; 따라서 핵산의 침전을 돕는다. 따라서 더 높은 농도, 즉 6%의 소듐 아세테이트는 핵산과 같은 숙주 세포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침전시킨다.
▷ 개선된 폴리사카라이드 정제(회수, O-아세틸, 내독소, 단백질, 핵산 함량, 다분산성, 점도 측면에서) CTAB(3%) 대 CTAB(0.5, 1%). CTAB는 아민계 양이온 4차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 폴리사카라이드와 상호작용(이온 상호작용)한 다음 용해도를 감소시켜 용액으로부터 폴리사카라이드를 침전시킨다. 따라서 더 높은 농도의 CTAB(2%)는 항상 더 많은 양의 폴리사카라이드를 침전시켜 더 높은 수율을 제공하고 단백질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추가 이점이다.
▷ DOC가 없는 현재 공정 대 DOC 기반 공정에 대한 개선된 폴리사카라이드 정제(회수, O-아세틸, 내독소, 단백질, 핵산 함량, 다분산성, 점도 측면에서).
DOC 공정이 없는 개선된 방법의 이점
1. 규제 문제: DOC는 동물 기원 성분이며 HALAL을 준수하지 않는다. 이는 전 세계에 걸쳐 단일 공급업체에서 제조 및 공급하는 반면, SDS는 합성 세제이며, HALAL 인증을 받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여러 공급업체에서 이용가능하다.
2. 기능적 문제: DOC는 화학 조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내독소를 분해하고 세제가 제거되면 생물학적 활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반면, SDS는 양친매성 특성과 더 높은 응집 수로 인해 단백질을 잘 변성 및 가용화하며 또한 비가역적으로 내독소를 이의 단량체 단위로 파괴한다.
▷ 동물 기원 성분인 소듐 디옥시콜레이트(DOC) 또는 페놀을 사용하지 않고 개발된 Vi PS 정제의 새로운 개선된 방법. 개선된 방법은 소듐 아세테이트(6%),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2%) 및 에탄올(40%)을 사용하여 초기 단계에서 단백질, 핵산, 지질-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숙주 세포 불순물이 제거되는 폴리사카라이드의 역 정제 및 상이한 단계에서 30 kDa 컷 오프 막을 사용하는 농축 및 정용여과에 이어, 양이온성 세제 CTAB에 의해 침전된 폴리사카라이드 및 WHO 사양을 충족하는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의 더 높은 수율을 달성하기 위해 연마 정제 단계에 기반한다.
▷ 정제 공정은 원하는 O-아세틸 수준(2.0 mmol/g 초과의 폴리사카라이드), 400 내지 4000 mg/L 범위의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 수율을 갖는 약 40% 내지 65%의 상당한 회수율을 초래하였으며, 평균 분자량은 40 400 kDa 범위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1% 미만의 단백질/펩티드, 2% 미만의 핵산, 1 μg의 폴리사카라이드(PS) 당 100 EU 미만의 내독소, 분자 크기 분포(0.25의 분포 계수(KD)에 도달하기 전에 50% 초과의 PS가 용출됨)를 함유한다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OSP) 정제 공정은 내독소(1 μg의 PS 당 100EU 미만의 내독소), 단백질(1% 미만) 및 핵산( 2% 미만) 불순물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하고, 적합하게는 40% 내지 65% 범위의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높은 회수율이며, 원하는 O-아세틸 수준(2.0 mmol/g 초과의 폴리사카라이드), 분자 크기 분포 (0.25의 분포 계수(KD)에 도달하기 전에 50% 초과의 PS가 용출됨를 갖고 정제된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OSP)의 평균 크기 분자량은 40 내지 200 kDa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3:
D)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와 담체 단백질의 접합 방법.
살모넬라 티피 Vi 폴리사카라이드와의 접합에 사용된 담체 단백질은 테타누스 톡소이드이다. S. 파라티피 A;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테타누스 톡소이드(TT),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또는 CRM197로부터 선택된 담체 단백질에 개별적으로 접합하였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CRM197은 Pfenex USA의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스선스(Pseudomonas fluorescens)의 재조합 균주 CS463-003(MB101)로부터 입수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TT는 인도 히마찰 프라데시(Himachal Pradesh), 카사울리(Kasauli) 소재의 국가 통제 기관(National Control Authority)인 중앙 연구소(CRI: Central research Institute)로부터 수득된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Clostridium Tetani)(Harvard No 49205)로부터 입수된다. 중앙 연구소(CRI)는 네덜란드 소재 NIV에서 이러한 균주를 입수하였다. 중앙 연구소(CRI)는 상기 균주를 NVI, 네덜란드로부터 입수하였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DT는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에 파크-윌리엄스(Park-Williams) 번호 8 균주의 배양물로부터 경화되어 입수되며, 균주는 인도 히마찰 프라데시, 카사울리 소재의 국가 통제 기관(National Control Authority)인 중앙 연구소(CRI)로부터 수득된다. 중앙 연구소(CRI)는 Wellcom Research Laboratories에서 이 균주를 입수하였다.
D1)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한 1가 살모넬라 티피 접합체의 제조:
단계 1: TT의 농축 및 유도체화
절차:
a) GFC 정제된 TT(90% 초과의 1가 함량)를 10 kDa 막을 사용하여 농축하여 NLT 12 mg/ml 단백질 농축을 달성하였다(Lowry 분석법.)
b) 유도체화 비율을 아래 주어진 바와 같이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필요한 양을 계산하였다.
Pr:ADH:EDC 1:6.0:1
유도체화 규모: 13gm
c) 농축된 TT(0.9% NaCl 중), 1M MES pH 6.0, ADH 용액(0.1M MES pH 6.0 중에 용해됨) 및 EDC 용액(0.1M MES pH 6.0 중에 용해됨)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0.1M MES 완충액 pH 6.0을 첨가하여 최종 필요한 부피를 만들었다. 반응에서 최종 Pr. 농도는 약 4.5 mg/ml이었다.
d)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pH 5.90에서 약 1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그 다음, EDTA pH 8.0을 함유하는 0.1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사용하여 pH를 7.5 초과로 조정함으로써 유도체화 반응을 켄칭하였다.
e) 켄칭된 반응 혼합물을 1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에 대해 10kDa 컷 오프 막을 사용하여 22부피를 사용한 후 0.1M MES 완충액 pH 6.0을 사용하여 적어도 12 부피를 사용하여 정용여과하여 미반응 모이어티 및 기타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f) 유도체화된 샘플을 Lowry 분석법에 의한 총 Pr 농도 및 유도체화 값의 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Lowry 분석법에 의한 유도체화된 Pr 농도: 15mg/ml
유도체화 값 정도(DOA): 19
회수율%: 약 75%
단계 2: Vi Ps와 TT의 유도체화의 접합
절차:
Vi PS-유도체화된 TT 접합을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접합에 사용된 PS 및 Prwe의 다음 파라미터.
a. 접합 반응 비율은 Ps:Pr:EDC::1:0.9:1.75(Pr 및 EDC의 경우 + 0.5) 접합 규모 10gm을 사용하였다.
b. 필요한 배치 부피의 PS를 사전 멸균 유리병에 첨가하였다.
c. 1M MES 완충액 pH 6.0(저장 완충액)을 측정된 부피의 PS에 첨가하여 0.1M MES 농도를 달성하였다.
d. 균질한 혼합을 위해 혼합물을 약 100rpm에서 교반하였다.
e. 이어서 측정된 부피의 유도체화된 TT를 병에 함유된 PS에 첨가하였다.
f. TT를 첨가한 직후 신선하게 제조된 EDC(0.1M MES 완충액 pH 6.0 중에 용해됨)를 상기 반응에 첨가하였다.
g. pH를 관찰하고 기록하였다(pH 6.0+0.5)
h. 샘플을 SE-HPLC를 사용하여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접합 전환율 % 및 단백질 소비를 모니터링하였다.
i. 1.45시간 후 EDTA를 함유하는 0.1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사용하여 pH를 7.5로 올려서 반응을 켄칭하였으며, 이때 90% 미만의 단백질이 소비되었다.
j. 켄칭된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사용할 때까지 2 내지 8℃에서 저장하였다.
단계 3: 켄칭된 Vi-TT 접합체의 정제
켄칭된 접합체의 정제는 미반응 Ps, 미반응 Pr, 기타 잔류물을 다음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 한외여과 방법:
정용여과에 사용된 다음의 파라미터;
정용여과 규모: 8.5gm
D/F 동안 Ps 농도: 약 2mg/ml
막 컷 오프: 300kDa
막 제조: Pall
막 면적: 2.5m2
사용한 완충액 A: 10mM PBS 적어도 25 부피
사용한 완충액 B: 0.9% NaCl 30 부피.
최종 부피: 6.5Lts
정제된 접합체를 0.2μM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2.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켄칭된 접합체 약 1.5gm을 0.1m2 300kDa 컷 오프 막에서 약 2 내지 4g/ml로 농축하였다.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결합되지 않은 PS, 결합되지 않은 TT 및 잔류 EDC를 제거하기 위해 접합체 정제를 수행하였다.
정제를 위해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2개의 개별 GFC 실행을 수행하였다.
정제에 사용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접합체의 정제에 사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Sr. No 파라미터 세부사항
1 사용된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2 사용된 컬럼 BPG 시리즈
3 사용된 수지 Toyopearl 'HW'65F
4 용출 완충액 0.17M NaCl
5 작동 선형 유속 30cm/시간
6 작동 부피 유속 40ml/분
7 샘플 로딩 3.5%의 총베드 부피
8 분획 수집 1 분
1 수집된 총 27개의 분획(각각 100ml)을 SE-HPLC에서 분석하고 크로마토그래피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함께 모았다.
2 분획을 HPAD 방법에 의한 Ps 함량, Lowry 방법에 의한 Pr 함량, DOC-HPAD 방법에 의한 유리 Ps%에 대해 분석하였다.
3 분석에 기초하여 분획을 풀링(1 내지 23)하고 0.22 μM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4 샘플을 Ps 함량, Pr 함량 및 유리 Ps 분석 및 내독소, O-아세틸 함량, 무균성, pH 값 및 내독소 분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및 해석:
한외-여과 및 GFC로 정제된 Vi-TT 접합체의 IPQC 평가
시험 한외-여과로 정제된 Vi-TT 접합체 GFC로 정제된 Vi-TT 접합체
Ps 함량 1.43mg/ml 1.36 mg/ml
Pr 함량 1.04 mg/ml 1.20mg/ml
PS/Pr 비율 1.37 1.13
회수율 % 60 52
pH 6.67 5.63
내독소 0.35Eu/μg505.89Eu/ml 0.46 Eu/μg
619.61Eu/ml
비교 접합 공정 데이터 - 다른 Ps:Pr:EDAC 비율에 비해 Ps:Pr:EDAC 비율이 1:1:2인 경우 SIIPL 장티푸스 접합체의 접합 효율 개선, 접합 수율 및 안정성(유리 Ps, 유리 Pr) 개선
접합 효율 개선: 90% 초과의 접합 전환%가 관찰되었다.
접합체 수율 개선: 다양한 접합 정제 규모로 상이한 방법, 즉, 한외여과법 및 겔 여과법을 사용하여 정제를 수행하였으며 회수율은 40 내지 87%인 것으로 밝혀졌다.
Vi-TT 접합을 위해 1:1:2 대 1:1.5:1.2, 1:0.9:2, 1:0.9:1.75, 1:0.8:1.8:, 1:0.7:1.8, 1:0.9:0.6, 1:0.9:1, 및 1:0.7:1.5 비율을 사용하였으며 1.5 EDC를 갖는 저급 단백질이 최적 접합 전환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양한 크기의 Vi Ps가 ADH 활성화된 TT와 접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이한 정제 기법에서 보다 낮은 pH에서 Ps:Pr:EDC::1:0.7:1.8, 1:0.8:1.8,1:0.9:2 및 1:1:2와 같은 상이한 비율을 사용하면 0.5 초과의 PS/Pr 비율, 접합체의 우수한 회수율과 함께 더 낮은 유리 ps를 초래한다.
D2) 1가 살모넬라 파라티피 접합체의 제조:
2가지 유형의 접합 화학(시아닐화 및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파라티피 OSP와 담체 단백질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접합에 적용하였다:
1) 파라티피 OSP와 담체 단백질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접합에 기반한 시아닐화 화학
A)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한(링커 ADH의 첨가)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의 유도체화 및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한 농축된 OSP와의 접합
B)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한(링커 ADH의 첨가) CRM197,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유도체화 및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한 농축된 OSP와의 접합
C)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한(링커 ADH의 첨가)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유도체화 및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한 농축된 OSP와의 접합
1A) 디프테리아 톡소이드를 담체 단백질로 사용하는 S. 파라티피 접합체의 제조.
1) 단백질 유도체화:
고단량체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를 10kDa 막에서 농축하고(10 내지 20 mg/ml)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BCA (비신코닌산) 분석으로 측정된 단백질 함량.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농축된 DT 12.27
농축된 DT에 신선하게 제조된 1M MES 완충액을 첨가하고 중량비 기준 1:10의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100mM MES 완충액 pH:5.8 중에 75 내지 100 mg/ml 용해) 및 중량비 기준 1:1의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pH:5.8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을 첨가하였다. 약 1시간 동안 5.8 pH에서 반응을 계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50mM 보레이트 완충액 pH 9.0 중 10kDa TFF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단백질 함량 및 유도체화 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TNBS 분석법에 의한 유도체화 정도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DOD
ADH 유도체화된 DT 40 16.40
2)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OSP) 및 ADH 유도체화된 DT의 접합: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 비율을 변화시켜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번호:1 - OSP를 10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5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Anthrone 분석법으로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을 분석하였음
시험 샘플 총 PS mg/ml
농축된 OSP 13.48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3으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0.8:1.3의 PS: PR: 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8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1 참조: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접합체의 비교(PS: PR: CPIP 1:0.8:1.3)
3)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9를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의 평가 (1:0.8:1.3의 PS:PR:CPIP)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 (Ps/pr)
OSP-DT ADH 접합체 1 0.215 0.210 1.02
도 2 참조: GFC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1:0.8:1.3의 PS:PR:CPIP)의 크로마토그램
실험 번호: 2 -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1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0.8:1.1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8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3 참조: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접합체(PS:PR:CPIP 1:0.8:1.1)의 비교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8을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의 평가(PS:PR:CPIP 1:0.8:1.1)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 (Ps/pr)
OSP-DT ADH 접합체 2 0.113 0.100 1.13
도 4 참조: GFC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PS:PR:CPIP 1:0.8:1.1)의 크로마토그램
결론: ADH 유도체화된 DT를 사용한 파라티피 A PS의 접합은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PS/PR 비율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졌다.
1B. 담체 단백질로서 CRM197을 사용한 S. 파라티피 접합체의 제조
1) 단백질 유도체화: 생산부서(SIIPL)로부터 받은 교차반응 돌연변이체(CRM197)를 유도체화를 위해 취하였다.
BCA (비신코닌산) 분석법으로 측정된 단백질 함량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농축된 CRM197 32
농축된 CRM197에 신선하게 제조된 1M MES 완충액을 첨가하고 중량비 기준 1:3.5의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100mM MES 완충액 pH:6.5 중에 75 내지 100 mg/ml 용해) 및 중량비 기준 1:0.25의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pH:6.5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을 첨가하였다. 5% Tween 80을 첨가하였다. 100mM MES 완충액을 사용하여 최종 농도 3 내지 4mg/ml에 달성되도록 최종 반응 부피를 만들고 반응을 약 3시간 동안 6.5 pH에서 계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50mM 보레이트 완충액 및 0.005% Tween 80 pH 9.0 중 10kDa TFF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단백질 함량 및 유도체화 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법 또는 참조에 대한 간략한 설명: 단백질 함량을 BCA(Bicinchoninic acid, 비신코닌산)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TNBS 분석법에 의한 유도체화 정도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DOD
ADH 유도체화된 CRM197 32 6.74
2)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OSP)와 ADH 유도체화된 CRM197의 접합:
DSP로부터 받은 OSP를 10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5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ntAhrone 분석법으로 분석된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시험 샘플 총 PS mg/ml
농축된 OSP 11.7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3으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1:1.3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1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5 및 6 참조: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접합체(1:1:1.3의 PS:PR:CPIP)의 비교
3)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4을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의 평가(PS:PR:CPIP 1:1:1.3)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 (Ps/pr)
OSP-CRM ADH 접합체 0.150 0.220 0.681
참조: GFC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1:1:1.3의 PS:PR:CPIP )의 크로마토그램
결론: ADH 유도체화된 CRM197을 사용한 파라티피 A PS의 접합은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PS/PR 비율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졌다.
1C) 담체 단백질로서 테타누스 톡소이드를 사용한 S. 파라티피 접합체의 제조
1) 단백질 유도체화: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높은 단량체성 테타누스 톡소이드(TT)를 30 kDa 막 상에서 (15 내지 20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Lowry 분석법으로 측정된 단백질 함량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농축된 TT 16.29
농축된 TT에 신선하게 제조된 1M MES 완충액을 첨가하고 중량비 기준 1:10의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100mM MES 완충액 pH:6.0 중에 75 내지 100 mg/ml 용해) 및 중량비 기준 1:1의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pH:6.0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약 1시간 동안 6.0 pH에서 계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10m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2 중 30 kDa TFF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단백질 함량 및 유도체화 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법 또는 참조에 대한 간략한 설명: 단백질 함량을 Lowry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TNBS 분석법에 의한 유도체화 정도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DOD
ADH 유도체화된 TT 16.29 12.9
2) S. 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OSP)와 ADH 유도체화된 TT의 접합:
DSP 팀으로부터 받은 OSP를 10 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3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Anthrone 분석법으로 분석된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시험 샘플 총 PS mg/ml
농축된 OSP 13.20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 비율을 변화시켜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번호: 1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25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0.8:1.25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8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8 참조: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접합체(PS:PR:CPIP 1:0.8:1.25)의 비교
3) 한외여과에 의한 접합체 정제: 켄칭된 접합체를 10mM PBS pH 7.2 후 이어서 10mM 트리스 완충액 pH7.2에서 정용여과 300 kDa TFF 막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농축된 샘플을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의 평가 (1:0.8:1.25의 PS:PR:CPIP)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Ps/pr)
OSP-TT ADH 접합체 0.098 0.120 0.816
도 9 참조: GFC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1:0.8:1.25의 PS:PR:CPIP)의 크로마토그램
실험번호: 2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3으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PS:PR:CPIP 1:0.9:1.3 중량비 기준으로 1:0.9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10 참조: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접합체(PS:PR:CPIP 1:0.9:1.3)의 비교
3) 한외여과에 의한 접합체 정제: 켄칭된 접합체를 10mM PBS pH 7.2 후 이어서 10mM 트리스 완충액 pH7.2에서 정용여과 300 kDa TFF 막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농축된 샘플을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의 평가(PS:PR:CPIP1:0.9:1.3)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Ps/pr)
OSP-TT ADH 접합체 0.025 0.035 0.715
도 11 참조: GFC 정제된 OSP-DT ADH 접합체(PS:PR:CPIP 1:0.9:1.3)의 크로마토그램
결론: ADH 유도체화된 TT를 사용한 파라티피 A PS의 접합은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2개의 상이한 정용여과 전략 유형을 적용하였으며 두 공정 모두 만족스러운 PS/PR 비율을 나타냈다.
2) 파라티피 OSP와 담체 단백질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접합체 기초한 카보디이미드 화학
A)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한 (링커 ADH의 첨가) 농축된 OSP의 유도체화 및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한 테타누스 톡소이드(TT)와의 접합.
B)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한 (링커 ADH의 첨가) 농축된 OSP의 유도체화 및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와의 접합.
C)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한 (링커 ADH의 첨가) 농축된 OSP의 유도체화 및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한 CRM197과의 접합.
2A) 담체 단백질로서 테타누스 톡소이드를 사용하여 S. 파라티피 접합체의 제조.
1)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화: DSP 팀으로부터 받은 OSP를 10 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3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Anthrone 분석법으로 분석된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시험 샘플 총 PS mg/ml
농축된 OSP 13.20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0.7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1:10:0.7의 PS: ADH: CPIP의 중량비 기준 1:10으로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0.5M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완충액 pH: 8.0 중에 75 내지 100mg/ml 용해). 반응을 약 2시간 동안 9.5 pH에서 계속하고, 2M 글리신 10을 사용하여 켄칭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mM MES 완충액 pH 6.0 중의 10 kDa TFF 상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Anthrone 분석법으로 분석된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시험 샘플 PS 함량 (mg/ml)
PS 함량 20.7
2) 단백질 제조: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높은 단량체성 테타누스 톡소이드(TT)를 30 kDa 막 상에서 (10 내지 15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법 또는 참조에 대한 간략한 설명: 단백질 함량을 Lowry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Lowry 분석법으로 측정된 단백질 함량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농축된 TT 15.3
3) ADH 유도체화된 S.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OSP) 및 농축된 TT의 접합: Pr 전환을 확인하기 위해 상이한 온도에서 2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번호: 1
ADH 유도체화된 PS에, 단백질을 중량 기준 1:0.9로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중량비 기준으로 1:0.86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0.9:0.86의 PS:PR:EDC 비율로 6℃ 온도에서 6.0 pH에서 계속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23시간 후에 EDTA를 함유하는 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12 참조: 접합 반응 진행을 도시하는 크로마토그램(23시간에서 반응 켄칭)
4) 한외여과에 의한 접합체 정제: 켄칭된 접합체를 10mM PBS pH 7.2 후 이어서 10mM 트리스 완충액 pH7.2에서 정용여과 300 kDa TFF 막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농축된 샘플을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OSP ADH-TT 접합체의 평가(PS:PR:EDC 1:0.9:0.86)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 (Ps/pr)
ADH OSP-TT 접합체 0.013 0.200 0.06
실험 번호: 2
ADH 유도체화된 PS에, 단백질을 중량 기준 1:0.9로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중량비 기준으로 1:0.86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0.9:0.86의 PS:PR:EDC 비율로 10℃ 온도에서 6.0 pH에서 계속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4시간 후에 EDTA를 함유하는 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13 참조: 접합 반응 진행을 도시하는 크로마토그램
4)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10을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ADH OSP-TT 접합체의 평가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 (Ps/pr)
ADH OSP-TT 접합체 0.017 0.270 0.06
결론: 역 접합 화학(PS 활성화)을 사용하여, ADH 유도체화된 파라티피 A PS와 농축된 TT의 접합은 6℃에서 10℃로 온도 상승에 의해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응의 접합율이 증가하였고, PS/Pr 비율은 두 반응 모두에서 매우 낮았다.
2B) 담체 단백질로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를 사용하여 S. 파라티피 접합체의 제조.
1)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화: DSP 팀으로부터 받은 OSP를 10 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3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Anthrone 분석법으로 분석된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시험 샘플 총 PS mg/ml
농축된 OSP 10.09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0.7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1:10:0.7의 PS: ADH: CPIP의 중량비 기준 1:10으로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0.5M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완충액 pH: 8.0 중에 75 내지 100mg/ml 용해). 반응을 약 2시간 동안 9.5 pH에서 계속하고, 2M 글리신 10을 사용하여 켄칭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mM MES 완충액 pH 6.0 중의 10 kDa TFF 상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Anthrone 분석법으로 분석된 폴리사카라이드 함량
시험 샘플 PS 함량 (mg/ml)
PS 함량 18.20
2) 단백질 제조: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높은 단량체성 디프테리아 독소(DT)를 10 kDa 막 상에서 (10 내지 20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법 또는 참조에 대한 간략한 설명: 단백질 함량을 Lowry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Lowry 분석법으로 측정된 단백질 함량
시험 샘플 총 단백질 mg/ml
농축된 DT 16.09
3) ADH 유도체화된 S.파라티피 A 폴리사카라이드(OSP)와 농축된 DT의 접합: Pr 전환을 확인하기 위해 TT 접합체의 동일한 조건을 DT에 적용하였다.
실험 번호:1
ADH 유도체화된 PS에, 단백질을 중량 기준 1:0.8로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중량비 기준으로 1:0.86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0.8:0.86의 PS:PR:EDC 비율로 6℃ 온도에서 6.0 pH에서 계속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20시간 후에 EDTA를 함유하는 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14 참조: 접합 반응 진행을 도시하는 크로마토그램(20시간에서 반응 켄칭)
4)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12를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정제된 OSP ADH-DT 접합체의 평가(PS:PR:EDC 1:0.9:0.86)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 (Ps/pr)
ADH OSP-TT 접합체 0.020 0.300 0.060
도 15 참조: 정제된 접합체를 도시하는 크로마토그램(풀링된 분획)
실험 번호:2
ADH 유도체화된 PS에, 단백질을 중량 기준 1:1.0으로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중량비 기준으로 1:0.9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1.0:0.9의 PS:PR:EDC 비율로 10℃ 온도에서 6.0 pH에서 계속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4시간 후에 EDTA를 함유하는 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도 16 참조: 접합 반응 진행을 도시하는 크로마토그램(4시간에서 반응 켄칭)
4) 한외여과에 의한 접합체 정제: 켄칭된 접합체를 10mM PBS pH 7.2 후 이어서 10mM 트리스 완충액 pH7.2에서 정용여과 300 kDa TFF 막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농축된 샘플을 분석을 위해 보냈다.
도 17 참조: 정제된 접합체를 도시하는 크로마토그램
정제된 ADH OSP-DT 접합체의 평가
시험 샘플 TPS (mg/ml) TPr (mg/ml) 비율 (Ps/pr)
ADH OSP-DT 접합체 0.019 0.230 0.08
결론: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는 ADH 유도체화된 파라티피 A PS는 농축된 DT를 사용하여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온도 상승에 의해 접합 반응율이 증가하였으나 PS/Pr 비율은 두 실험 모두에서 낮았다.
D3) 살모넬라  혈청형 균주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로부터 유도된 폴리사카라이드와 테타누스 톡소이드(TT),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또는 CRM197로부터 선택된 담체 단백질과의 접합 방법.
1)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담체 단백질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TT)와의 접합에 기초한 시아닐화 화학
A)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여(링커 ADH 첨가),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유도체화 및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하여 농축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함께 접합
B)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여(링커 ADH 첨가), CRM197 유도체화 및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하여 농축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와 함께 접합
C)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여(링커 ADH 첨가) 테타누스 톡소이드(TT) 유도체화 및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하여 농축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와 함께 접합
D)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담체 단백질의 유도체화 없이 파라티피 OSP와 담체 단백질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접합에 기초한 시아닐화 화학(CPPT).
다음의 절차를 따랐다:
A) 담체 단백질로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를 사용하여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 제조.
1) 단백질 유도체화:
높은 단량체성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를 10 kDa 막 상에서 (10 내지 20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농축된 DT에 신선하게 제조된 1M MES 완충액을 첨가하고 중량비 기준 1:10으로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100mM MES 완충액 pH: 5.8 중에 75 내지 100mg/ml 용해) 및 중량비 기준 1:1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pH: 5.8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약 1시간 동안 5.8 pH에서 계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50mM 보레이트 완충액 pH 9.0 중 10 kDa TFF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단백질 함량 및 유도체화 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2)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PS)와 ADH 유도체화된 DT의 접합: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 비율을 변화시켜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번호:1 -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를 10 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5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3으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0.8:1.3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8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3)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12를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실험 번호: 2 -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1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0.8:1.1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8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12를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결론: ADH 유도체화된 DT를 사용하는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의 접합은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PS/PR 비율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졌다.
B. 담체 단백질로서 CRM197을 사용하여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 제조.
1) 단백질 유도체화: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교차 반응 돌연변이체(CRM197)를 유도체화를 위해 취하였다.
농축된 CRM197에 신선하게 제조된 1M MES 완충액을 첨가하고 중량비 기준 1:3.5의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100mM MES 완충액 pH:6.5 중에 75 내지 100 mg/ml 용해) 및 중량비 기준 1:0.25의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pH:6.5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첨가하였다. 5% Tween 80을 첨가하였다. 100mM MES 완충액을 사용하여 최종 농도 3 내지 4mg/ml에 달성되도록 최종 반응 부피를 만들고 반응을 약 3시간 동안 6.5 pH에서 계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50mM 보레이트 완충액 및 0.005% Tween 80 pH 9.0 중 10 kDa TFF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단백질 함량 및 유도체화 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2)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PS)와 ADH 유도체화된 CRM197의 접합:
DSP로부터 받은 PS를 10 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5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3으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1:1.3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8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3)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12를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결론: ADH 유도체화된 CRM197을 사용하는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PS의 접합은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PS/PR 비율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졌다.
C) 담체 단백질로서 테타누스 톡소이드를 사용하여 S. 파라티피 접합체 제조:
1) 단백질 유도체화: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높은 단량체성 테타누스 톡소이드(TT)를 30 kDa 막 상에서 (15 내지 20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농축된 TT에 신선하게 제조된 1M MES 완충액을 첨가하고 중량비 기준 1:10의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100mM MES 완충액 pH:6.0 중에 75 내지 100 mg/ml 용해) 및 중량비 기준 1:1의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pH:6.0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약 1시간 동안 6.0 pH에서 계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10m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2 중 30 kDa TFF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단백질 함량 및 유도체화 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2)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PS)와 ADH 유도체화된 TT의 접합:
DSP 팀으로부터 받은 OSP를 10 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3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 비율을 변화시켜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번호:1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25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0.8:1.25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8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3) 한외여과에 의한 접합체 정제: 켄칭된 접합체를 10mM PBS pH 7.2 후 이어서 10mM 트리스 완충액 pH7.2에서 정용여과 300 kDa TFF 막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농축된 샘플을 분석을 위해 보냈다.
실험 번호: 2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1.3으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단백질을 1:0.9:1.3의 PS:PR:CPIP 중량비 기준으로 1:0.9로 첨가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3 내지 4시간 후에 2M 글리신을 PS의 중량의 10배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3) 한외여과에 의한 접합체 정제: 켄칭된 접합체를 10mM PBS pH 7.2 후 이어서 10mM 트리스 완충액 pH7.2에서 정용여과 300 kDa TFF 막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농축된 샘플을 분석을 위해 보냈다.
결론: ADH 유도체화된 TT를 사용하는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PS)의 접합은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정용여과 전략을 적용하였으며 두 공정 모두 만족스러운 PS/Pr 비율율을 나타냈다.
2)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담체 단백질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의 접합에 기초한 카보디이미드 화학
A)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하여(링커 ADH 첨가) 농축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의 유도체화 및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여 테타누스 톡소이드(TT)와 함께 접합.
B)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하여(링커 ADH 첨가) 농축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의 유도체화 및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여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와 함께 접합.
C) 시아닐화 화학을 사용하여(링커 ADH 첨가) 농축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의 유도체화 및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여 CRM197과 함께 접합.
D)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담체 단백질의 유도체화 없이 파라티피 OSP와 담체 단백질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및 테타누스 톡소이드(TT)와의 접합에 기초한 카보디이미드 화학(EDAC).
다음의 절차를 따랐다:
A) 담체 단백질로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를 사용하여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 제조.
1) 폴리사카라이드(PS) 유도체화: 받은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를 10 kDa 막 상에서 농축하여 (10 내지 13mg/ml)의 농도를 달성하였다. 농축된 PS에 0.9% NaCl을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CPIP 용액(아세토니트릴 중 114mg/ml)을 중량비 기준 1:0.5 내지 1: 2(1:0.7)로 폴리사카라이드에 첨가하였다. 2.5M NaOH를 사용하여 pH를 즉시 9.5로 변경하고 최대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1:2:0.7 내지 1:10:0.7의 PS:ADH:CPIP 중량비 기준 1:10의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0.5M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완충액 pH:8.0 중에 75 내지 100 mg/ml 용해)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약 2시간 동안 9.5 pH에서 계속하고, 2M 글리신 10을 사용하여 켄칭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100mM MES 완충액 pH 6.0 중 10 kDa TFF에서 정용여과하여 잔류물 및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최종 샘플을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2) 단백질 제조:
2A) 단백질 제조: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높은 단량체성 테타누스 톡소이드(TT)를 30 kDa 막 상에서 (10 내지 15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2B) 단백질 제조: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높은 단량체성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를 10 kDa 막 상에서 (10 내지 20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2C) 단백질 제조: 생산 부서(SIIPL)로부터 받은 높은 단량체성 CRM197을 10 kDa 막 상에서 (10 내지 20mg/ml)로 농축하고 단백질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3) 접합
3A) ADH 유도체화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농축된 TT와의 접합:
ADH 유도체화된 PS에, 단백질을 중량 기준 1:0.9로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중량비 기준 1:0.86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0.9:0.86의 PS:PR:EDC 비율로 6℃ 온도에서 6.0 pH에서 계속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23시간 후에 EDTA를 함유하는 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3B) ADH 유도체화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농축된 DT와의 접합: Pr 전환을 확인하기 위해 TT 접합체의 동일한 조건을 DT에 적용하였다.
ADH 유도체화된 PS에, 단백질을 중량 기준 1:0.8로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중량비 기준 1:0.86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0.8:0.86의 PS:PR:EDC 비율로 6℃ 온도에서 6.0 pH에서 계속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20시간 후에 EDTA를 함유하는 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3C) ADH 유도체화된 S. 티피뮤리움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농축된 CRM197과의 접합: Pr 전환을 확인하기 위해 TT 및 DT 접합체의 동일한 조건을 CRM197에 적용하였다.
ADH 유도체화된 PS에, 단백질을 중량 기준 1:0.8로 첨가하고 신선하게 제조된 EDA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100mM MES 완충액 중에 30 내지 40 mg/ml 용해)를 중량비 기준 1:0.86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0.8:0.86의 PS:PR:EDC 비율로 6℃ 온도에서 6.0 pH에서 계속하였다.
Shodex 컬럼 SB-804 HQ 및 SB-805 HQ를 단백질 전환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1 ml/분 유속에서 이동상으로서 PBS와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20시간 후에 EDTA를 함유하는 10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4) 접합체 정제
4A) 한외여과에 의한 접합체 정제: 켄칭된 접합체를 10mM PBS pH 7.2 후 이어서 10mM 트리스 완충액 pH7.2에서 정용여과 300 kDa TFF 막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농축된 샘플을 분석을 위해 보냈다.
4B) GFC에 의한 접합체 정제: 컬럼 XK16/70을 베드 높이가 40cm인 GFC 수지(Tyopearl HW65F)를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컬럼을 100cm/시간의 유속으로 패킹하고 침전되도록 하고 컬럼 부피의 1%의 1M NaCl을 통과시켜 패킹된 컬럼의 무결성을 평가하였다. 30cm/시간에서 0.9% NaCl을 사용하여 컬럼을 평형화하고 접합체를 컬럼에 로딩하고 1분 간격으로 분획을 수집하였다. 분획 2 내지 12를 HPLC의 프로파일에 따라 풀링하였다. 최종 풀링된 분획을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보냈다.
결론: 역 접합 화학(PS 활성화)을 사용하여, ADH 유도체화된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농축된 TT, DT 및 CRM197의 접합은 온도가 6℃에서 10℃로 증가함에 따라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응의 접합 속도는 증가하였다; PS/Pr 비율은 모든 반응에서 매우 낮았다.
카보디이미드 화학을 사용하는 ADH 유도체화된 S. 티피뮤리움 및 S. 엔테리티디스 폴리사카라이드와 농축된 TT, DT 및 CRM197의 접합은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접합 반응 속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PS/Pr 비율은 두 실험 모두에서 낮았다.
실시예 4: 면역원성 조성물
[표 68a]
Figure pct00002
단일 용량은 보존제 2-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하지 않음
다중-용량 조성물은 2-페녹시에탄올 - 5 mg (1 내지 10 mg)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
[표 68b]
Figure pct00003
[표 68c]
Figure pct00004
[표 68d]
Figure pct00005
[표 68e]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 조성물 중에 포함됨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추가적으로 소듐 히드록시드 / 소듐 카보네이트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pH를 약 6.0 내지 7.0으로 조정하고 정상 식염수(0.9%)를 첨가하여 부피를 채운다.
다음의 보존제 조합 중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또는
i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또는
iv)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용량 감소된 IPV, D, T, HepB, ViP―TT, OSP 접합체, 무세포 백일해, 및 Hib 항원을 포함하는 조합 백신 조성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무세포 백일해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 해독된 형태의 보르데텔라 독소(특히 유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해독됨),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사상형(Filamentous) 헤마글루티닌; 페르탁틴; 또는 핌브리애(Fimbriae).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사상형 헤마글루티닌: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페르탁틴: 1 내지 2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2.5μg); - 선택적으로, 핌브리애: 2 내지 25 마이크로그램; 0.5 ml 당.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추가적으로 소듐 히드록시드 / 소듐 카보네이트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pH를 약 6.0 내지 7.0으로 조정하고 정상 식염수(0.9%)를 첨가하여 부피를 채운다.
다음의 보존제 조합 중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또는
i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또는
iv.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용량 감소된 IPV, D, T, HepB, ViP―TT, OSP 접합체, 무세포 백일해, 및 Hib 항원을 포함하는 조합 백신 조성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무세포 백일해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 해독된 형태의 보르데텔라 독소(특히 유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해독됨),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사상형 헤마글루티닌; 페르탁틴; 또는 핌브리애.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사상형 헤마글루티닌: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페르탁틴: 1 내지 2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2.5μg); - 선택적으로, 핌브리애: 2 내지 25 마이크로그램; 0.5 ml 당.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추가적으로 소듐 히드록시드 / 소듐 카보네이트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pH를 약 6.0 내지 7.0으로 조정하고 정상 식염수(0.9%)를 첨가하여 부피를 채운다.
다음의 보존제 조합 중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또는
i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또는
iv.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용량 감소된 IPV, IRV, D, T, HepB, ViP―TT, 무세포 백일해, 및 Hib 항원을 포함하는 조합 백신 조성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무세포 백일해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 해독된 형태의 보르데텔라 독소(특히 유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해독됨),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사상형 헤마글루티닌; 페르탁틴; 또는 핌브리애.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사상형 헤마글루티닌: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페르탁틴: 1 내지 2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2.5μg); - 선택적으로, 핌브리애: 2 내지 25 마이크로그램; 0.5 ml 당.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추가적으로 소듐 히드록시드 / 소듐 카보네이트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pH를 약 6.0 내지 7.0으로 조정하고 정상 식염수(0.9%)를 첨가하여 부피를 채운다.
다음의 보존제 조합 중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또는
iii.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또는
iv. 0.5 ml(v/v) 당 1 내지 10 mg 양의 2-페녹시에탄올, 0.5 ml(v/v) 당 0.1 내지 1.5 mg 양의 메틸파라벤 및 0.5 ml(v/v) 당 0.05 내지 0.2 mg 양의 프로필파라벤.
용량 감소된 IPV, IRV D, T, HepB, ViP―TT, 무세포 백일해, 및 Hib 항원을 포함하는 조합 백신 조성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무세포 백일해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 해독된 형태의 보르데텔라 독소(특히 유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해독됨),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사상형 헤마글루티닌; 페르탁틴; 또는 핌브리애. 특히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사상형 헤마글루티닌: 1 내지 5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8μg); - 페르탁틴: 1 내지 20 마이크로그램(보다 특히 2.5μg); - 선택적으로, 핌브리애: 2 내지 25 마이크로그램; 0.5 ml 당.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실시예 5: 안정성 데이터
초기(0), 3, 6개월 동안 2 내지 8℃에서; 초기(0), 1, 3개월 동안 8℃에서 및 초기(0), 14, 28일 동안 40℃에서 1가 살모넬라 티피 접합체의 안정성: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관찰:
유리 Ps(40℃/2 내지 8℃/25℃에서 180 내지 220 kDa Ps의 경우 "초기< 4.5%, 6개월 후 NMT 7.5%" "388/80/45 kDa의 경우 초가 5.4% 6개월 후 NLT 10.5%" ).
초기 낮은 유리 Ps인 80 내지 220 kDa의 경우, 접합체의 크기도 또한 안정성 연구 동안 유지되었으며, 다른 크기에 비해 6개월 후 유리 Ps가 더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SE-HPLC 안정성 데이터
(트리스, 트리스-NaCl 및 0.17M NaCl에서의 VI-TT 접합체)
트리스, 트리스-NaCl 및 0.17M NaCl 중의 Vi-TT 접합체의 SE-HPLC 안정성 데이터
N샘플 명칭 HPLC-SEC 크기 (kDa 단위)
0 일 2주
B#9 Vi-TT CJ (10mM 트리스 중) 1X PBS에 1:1 희석
-20°C
1049 1099
B#9 Vi-TT CJ (10mM 트리스 + 0.17 M NaCl 중) 1X PBS에 1:1 희석 -20°C 1108 1035
B#13 Vi-TT CJ (0.17 M NaCl 중) 1X PBS에 1:1 희석
-20°C
996 1009
B#13 Vi-TT CJ (0.17 M NaCl + 10mM 트리스) 1X PBS에 1:1 희석 -20°C 1004 1006
B#9 Vi-TT CJ (10mM 트리스 중) 본래 2-8°C 1X PBS에 1:1 희석 1049 996
B#13 Vi-TT CJ (0.17 M NaCl 중) 본래 2-8°C 1X PBS에 1:1 희석

996
965
결론:
Vi-TT 접합체는 10mM 트리스 완충액, 0.17M NaCl을 함유하는 10mM 트리스 및 0.17M NaCl 단독에서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최상의 경우로서 25mM 트리스를 보여주는 상이한 농도의 트리스(5mM, 10mM, 20mM, 25mM, 30mM, 50mM)에 대한 데이터.
● Vi-TT CJ 농도는 5mM, 10mM, 20mM과 같이 pH 7.2인 트리스의 3가지 강도에서 유지되었다. 이는 -20℃, 2 내지 8℃, 실온 및 37℃와 같은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유지되었다.
● 연구는 2주 동안 수행하였으며 pH에 대해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 입자 크기와 제타 전위에 대해 샘플을 확인하였다.
pH 결과
Figure pct00022
결론:
● Vi-TT CJ 연구에서, 접합체는 5, 10 및 20 mM 트리스 pH 7.2에서 유지되었으며, pH는 5, 10 및 20 mM 농도에서 2 내지 8℃ 범위 내에 있었다.
Vi-TT 접합체의 점도 및 삼투압 농도 측정
파트 A: 접합체가 없는 트리스 완충액 및 소듐 클로라이드의 점도 및 삼투압 농도 결과
파트 A: 접합체가 없는 트리스 완충액 및 소듐 클로라이드의 점도 및 삼투압 농도
완충액 강도
(mM 단위)
삼투압 농도 (mOsm/Kg) 밀도
(g/cm 3 )
점도
운동학
(mm2/s)
동력학
(mPa.s)
1) 트리스 완충액 pH 7.2
5 13 0.9986 1.030 1.028
30 61 0.9999 1.020 1.020
50 81 1.0005 1.031 1.031
75 113 1.0014 1.028 1.030
2) 소듐 클로라이드
150 270 1.0043 1.013 1.017
308 562 1.0117 1.020 1.031
350 607 1.0110 1.023 1.035
파트 B: 접합체가 있는 트리스 완충액 및 소듐 클로라이드의 점도 및 삼투압 농도 결과
파트 B: 접합체가 있는 트리스 완충액 및 소듐 클로라이드의 점도 및 삼투압 농도
완충액 강도
(mM 단위)
삼투압 농도 (mOsm/Kg) 밀도
(g/cm 3 )
점도
운동학
(mm2/s)
동력학
(mPa.s)
I) 트리스 완충액 + 접합체
5 18 0.9985 1.058 1.057
30 53 0.9997 1.061 1.061
50 84 1.0005 1.066 1.067
75 124 1.0017 1.079 1.081
II) 소듐 클로라이드 + 접합체
150 281 1.0046 1.048 1.052
308 550 1.0107 1.053 1.064
350 1253 1.0122 1.053 1.066
결론:
다양한 트리스 농도를 포함하는 접합체는 등장성을 찾았고 150mM NaCl을 포함하는 접합체가 등장성을 찾았다.
상이한 트리스 완충액 및 NaCl 농도를 포함하는 접합체 점도는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고 점도는 비경구 제형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실시예 6: 면역원성 데이터
A. 1가 접합체 백신의 면역원성 연구:
SIIP Vi TT 백신의 면역원성 잠재력을 마우스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마우스 면역원성 연구 #1:
면역원성 연구를 비접합 및 TT-접합된 SIIPL 백신(Vi TT)이 마우스(군 당 8마리 동물)에 근육내로 투여된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동물을 1일 및 14일에 접종하였고 혈청 샘플을 14일(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및 21일에 수집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표 86을 참조한다. 각 군의 모든 동물에서 한 쌍의 혈청 샘플을 사용할 수 있었다. 혈청 샘플은 사내(in-house) IgG ELISA와 같은 적절한 혈청학적 면역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주입된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항체의 결정에 사용하였다. 비접합된 SIIPL 폴리사카라이드(Vi PS)를 받은 마우스의 혈청을 Vi PS(다양한 PS 크기)의 접합 버전을 받은 마우스의 혈청에서 IgG 반응의 유도를 위한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마우스 면역원성 연구 #2:
또 다른 유사한 연구를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두 연구 모두 유사한 동물 치료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동물 프로토콜이 아래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두 연구의 혈청을 동일한 면역학적/혈청학적 분석적 분석법, 즉 IgG ELISA로 시험하였다. 5 내지 6주령의 암컷 마우스(Balb C 계통(strain); 사내 번식(bred))를 IAEC 승인 동물 연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은 특수 병원균이 없었고 접종 및 혈액 샘플 수집 동안 생물 안전 캐비닛 아래 무균 조건에서 처리하였다. 연구 시작 시 마우스의 무게는 약 18 내지 20g이었다. 각 마우스에 근육내 경로를 통해 접합된 Vi TT 백신 2.5 mg을 투여하였다. SIIPL Vi TT 백신을 비히클로서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PBS)에 희석하였다. 어떤 치료군에 대해서도 연구에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치료 도식: 다음 표는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 계획을 요약한 것이다.
Figure pct00023
혈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방법론 및 기술:
멸균 유리 모세관을 사용하여 안와 후 정맥으로부터 실험 동물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이소플루란을 채혈 과정에서 안전한 마취제로서 사용하였다. 혈청은 사내 IgG ELISA를 사용하여 주입된 비접합 또는 접합된 Vi TT 백신에 반응하여 생성된 IgG 항체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ELISA는 NIBSC Vi PS Reference Standard(카탈로그 번호. 16/126; S. 티피의 Vi Ps에 대한 최초의 국제 표준)를 코팅 항원으로서 사용하였다. 비접합된 SIIPL 폴리사카라이드(Vi PS)를 받은 마우스의 혈청 샘플에서 관찰된 OD와 비교하여 접합된 Vi PS(다양한 PS 크기의 Vi TT)를 받은 마우스의 혈청에서 관찰된 광학 밀도(OD)를 분석하여 IgG 수준을 추정하였다.
다음 표는 상이한 Vi TT PS로부터의 면역원성 유도 데이터(21일째)를 나타낸다.
표 87, 88, 89 및 90: 면역원성 결과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관찰:
Vi TT가 있는 마우스군은 (비접합된 Vi PS가 투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IgG의 4배 초과의 더 높은 유도를 나타내어 모든 PS 크기에 걸쳐 SIIPL VI TT의 면역원성 잠재력을 강력하게 나타낸다. Vi TT에 대해 두 가지 개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두 연구 모두 Vi PS보다 Vi TT에 유사한 반응을 나타냈다.
다양한 군에서 다음의 파라미터를 비교하였다:
a. 4배 초과 상승: 평균 상승 배수는 60배 초과였다.
b. 항체 역가의 GM: 모든 군은 비접합된 PS(1.9 초과)에서 관찰된 것보다 더 높은 GM을 나타냈다.
c. 양성 반응을 보이는 마우스%: 모든 Vi TT 군의 모든 마우스는 더 높은 항체 반응을 나타냈다(100% 양성).
혈청학적 데이터 분석의 결론:
마우스의 면역원성 연구를 각 군의 8마리(암컷) 마우스로 수행하였다. 항체 유도를 모든 군에서 주입된 Vi TT(다양한 PS 크기) 대 비접합된 Vi PS에 대한 반응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Vi TT PS 형태는 Vi PS 단독 군과 비교하여 Vi TT 특이적 IgG 항체의 유도(21일째; 첫 번째 부스터 후)를 강력하게 나타냈다. 마우스 혈청에서 IgG의 유도는 Vi TT에 대한 혈청학적 반응의 강력한 결정인자이다. 따라서, 1가 Vi TT는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한 면역원성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등 동물에 대한 향후 연구에 대한 유망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26
관찰:
1. 면역원성 데이터는 마우스 모델에서 SIIPL Vi TT 접합체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 IgG 항체 수준으로 평가된다.
2. IgG 유도는 IgG ELISA에서 관찰된 비색 반응(OD)의 기하 평균(geometric mean)으로 측정된다.
3. VI TT 처리에서 OD의 배수 증가가 비접합된 Vi PS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 OD보다 4배 이상 높은 경우 SIIPL Vi TT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 GM은 면역원성으로 간주된다.
결론:
1. 모든 1가 Vi-TT 접합체는 혈청학적 분석을 통해 관찰된 면역원성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 모든 1가 Vi-TT 접합체는 Typbar TCV 백신군에서 관찰된 것보다 더 높은 IgG 수준을 나타냈다.
3. 면역원성 반응(GM 및 4배 초과 증가)의 유도는 다음 순서로 관찰되었다: G7 SIIPL Vi PS-TT(PS 크기 214) > G7 SIIPL Vi PS-TT(PS 크기 388) > Typbar TCV(상업용 백신)
B. 2가 접합체 백신의 면역원성 연구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의 면역원성 잠재력을 마우스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마우스 면역원성 연구 #1:
면역원성 연구를 본 연구에서 TT, DT 및 CRM과 같은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1가 Vi TT 백신과 1가 O-SP A(S. 파라티피 A의 특정 폴리사카라이드 항원)의 조합을 함유하는 2가 백신이 사용된 마우스에서 수행하였다. 이러한 백신의 1가 및 2가 버전을 마우스(군 당 8마리)에 근육내로 투여하였다. 동물을 1일, 14일 및 28일에 접종하였고 혈청 샘플을 14일, 28일 및 42일에 수집하였다. 쌍을 이루는 혈청 샘플을 각 군의 모든 동물로부터 입수할 수 있었다. 치료 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92를 참조한다. 혈청 샘플은 사내 IgG ELISA와 같은 적절한 혈청학적 면역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주입된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항체의 결정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비접합된 SIIPL 폴리사카라이드(Vi PS) 및 O-SP 단독을 투여받은 마우스의 혈청을 IgG 반응 유도를 위한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동물 프로토콜이 아래 표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혈청 샘플을 면역학적/혈청학적 분석적 분석법, 즉 IgG ELISA로 시험하였다. 5 내지 6주령의 암컷 마우스(Balb C 계통(strain); 사내 번식(bred))를 IAEC 승인 동물 연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은 특수 병원균이 없었고 접종 및 혈액 샘플 수집 동안 생물 안전 캐비닛 아래 무균 조건에서 처리하였다. 연구 시작 시 약 18 내지 20g 범위의 무게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각 마우스에 근육내 경로를 통해 2.5 mg의 접합된 Vi TT 단독 또는 O-SP A DT/TT/CRM 단독 및 각각 2.5 mg의 2가 백신(O-SP A DT/TT/CRM과 혼합된 접합된 1가 Vi TT)을 투여하였다. 백신을 비히클로서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PBS)에 희석하였다. 어떤 치료군에 대해서도 연구에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치료 도식: 다음 표는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 계획을 요약한 것이다.
Figure pct00027
혈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방법론 및 기술:
멸균 유리 모세관을 사용하여 안와 후 정맥으로부터 실험 동물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이소플루란을 채혈 과정에서 안전한 마취제로서 사용하였다. 혈청은 사내 IgG ELISA를 사용하여 주입된 항원에 반응하여 생성된 IgG 항체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비색 분석법으로 모든 연구군의 혈청 샘플에서 IgG 수준을 추정하였다.
관찰:
다음의 표는 상이한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의 면역원성 유도 데이터(21일째)를 나타낸다.
표 93, 94, 95, 96: 면역원성 결과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관찰:
a) SIIPL Vi PS-TT + SIIPL O-SP A DT, b) SIIPL Vi PS-TT + SIIPL O-SP A TT 및 c) SIIPL Vi PS-TT + SIIPL O-SP A CRM Vi TT와 같은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을 주사한 마우스군은 4배 초과의 더 높은 IgG 유도를 나타냈으며(비접합된 Vi PS 또는 비접합된 SIIPL O-SP A를 투여한 마우스와 비교) 따라서 Vi TT와 SIIPL O-SP A(DT/TT/CRM)의 조합을 함유하는 2가 SIIPL 백신의 면역원성 잠재력을 나타낸다.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에 의한 IgG 유도는 SIIPL O-SP A CRM 및 상용 Vi TT 백신 Typbar TCV를 함유하는 2가 백신에서 관찰된 IgG 유도보다 더 높았다.
다양한 군에서 다음의 파라미터를 비교하였다:
a. 4배 초과 상승: 평균 상승 배수는 10배 초과였다.
b. 항체 역가의 GM: 모든 군은 비접합된 PS에서 관찰된 것보다 더 높은 GM을 나타냈다.
c. 양성 반응을 보이는 마우스%: 모든 Vi TT 군의 모든 마우스는 더 높은 항체 반응을 나타냈다(100% 양성).
혈청학적 데이터 분석의 결론:
마우스의 면역원성 연구를 각 군의 8마리(암컷) 마우스로 수행하였다. 항체 유도를 모든 군에서 주입된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 대 비접합된 Vi PS 및 O-SP A PS에 대한 반응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은 PS 단독(Vi 및 O-SP A) 군과 비교하여 PS 특이적 IgG 항체의 유도(21일째; 첫 번째 부스터 후)를 강력하게 나타냈다. 마우스 혈청에서 IgG의 유도는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에 대한 혈청학적 반응의 강력한 결정인자이다. 따라서,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은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한 면역원성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등 동물에 대한 향후 연구에 대한 유망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관찰:
1. 면역원성 데이터는 마우스 모델에서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 IgG 항체 수준으로 평가된다.
2. IgG 유도는 IgG ELISA에서 관찰된 비색 반응(OD)의 기하 평균(geometric mean)으로 측정된다.
3. VI TT 처리에서 OD의 배수 증가가 비접합된 Vi PS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 OD보다 4배 이상 높은 경우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에 대한 반응으로 관찰된 GM은 면역원성으로 간주된다.
결론:
1. 모든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 접합체는 혈청학적 분석을 통해 관찰된 면역원성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 모든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 접합체는 비접한된 대조군에서 관찰된 것보다 더 높은 IgG 수준을 나타냈다.
3.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에 의한 IgG 유도는 SIIPL O-SP A CRM을 함유하는 2가 백신 및 상업용 Vi TT 백신 Typvar TCV에서 관찰된 IgG 유도보다 더 높았다.
4.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을 투여받은 마우스에서 면역원성 반응(GM 및 4배 초과 상승)의 유도가 관찰되었으며 따라서 2가(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SIIPL 백신은 임상 면역원성 잠재력을 시사하는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한 면역원성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실시예 7: 단일 용량 백신 키트
A)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동결건조된(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f) 수크로스 0.5 ml 당 1 내지 12 mg;
g) 소듐 시트레이트(이수화물) 0.5 ml 당 0.1 내지 2 mg;
h) 트리스 완충액 0.5 ml 당 0.05 내지 0.5 mg;
다음을 포함하는 동결건조된(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을 위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c) 주사용수(WFI) 충분량(q.s.);
해석:
ViP-TT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대한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및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의해 야기된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B)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동결건조된(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f) 수크로스 0.5 ml 당 1 내지 12 mg;
g) 소듐 시트레이트(이수화물) 0.5 ml 당 0.1 내지 2 mg;
h) 트리스 완충액 0.5 ml 당 0.05 내지 0.5 mg;
다음을 포함하는 동결건조된(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을 위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해석:
ViP-TT; OSP 항원과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대한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및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의해 야기된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C)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완전한 액체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c)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d)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ml 당;
e)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f) 0.5 ml 당 1 sowl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및/또는
c)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d) 폴리솔베이트 20; 및/또는
e)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및/또는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해석:
ViP-TT와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및 6가 항원에 의해 야기된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D)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완전한 액체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c)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d)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ml 당;
e)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및/또는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g) 폴리솔베이트 20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솔베이트; 및/또는
h)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및/또는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해석:
ViP-TT; OSP 항원과 6가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및 6가 항원에 의해 야기된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E)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완전한 액체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μg의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
c)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ml 당;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g)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c) 주사용수(WFI) 충분량(q.s.);
해석:
ViP-TT와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및 7가 항원에 의해 야기된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F)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완전한 액체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μg의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
c)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μ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ml 당;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g)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및/또는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g) 폴리솔베이트 20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솔베이트;
h)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및/또는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해석:
ViP-TT; OSP 항원과 7가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및 7가 항원에 의해 야기된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하다.

Claims (129)

  1.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i)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원: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Salmonella enterica serovar paratyphi)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B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e)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f)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g)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콜레라에수이스(Salmonella enterica serovar choleraesuis)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h)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더블린(Salmonella enterica serovar dublin)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및
    ii) 선택적으로 살모넬라(비-장티푸스성),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 테타누스 톡소이드(T), 전세포 백일해(wP),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HBsAg),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 PRP-담체 단백질 접합체(Hib),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a, c, d, e, f 혈청형 및 비캡슐화된 균주), 폴리오 바이러스, N. 메닌자이티디스 항원(A, B, C, D, W135, X, Y, Z 및 29E)을 포함하는 접합체,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항원(1, 2, 3, 4, 5, 6A, 6B, 6C, 6D, 6E, 6G, 6H, 7A, 7B, 7C, 7F, 8, 9A, 9L, 9F, 9N, 9V, 10F, 10B, 10C, 10A, 11A, 11F, 11B, 11C, 11D, 11E, 12A, 12B, 12F, 13, 14, 15A, 15C, 15B, 15F, 16A, 16F, 17A, 17F, 18C, 18F, 18A, 18B, 19A, 19B, 19C, 19F, 20, 20A, 20B, 21, 22A, 22F, 23A, 23B, 23F, 24A, 24B, 24F, 25F, 25A, 27, 28F, 28A, 29, 31, 32F, 32A, 33A, 33C, 33D, 33E, 33F, 33B, 34, 45, 38, 35A, 35B, 35C, 35F, 36, 37, 38, 39, 40, 41F, 41A, 42, 43, 44, 45, 46, 47F, 47A, 48),, A군 스트렙토코커스 속(spp), B군 스트렙토코커스(군 Ia, Ib, II, III, IV, V, Vl, VII, VIII, 및 IX.)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B 수포 또는 항원(fHbp, PorA, 키메라 fHbp-por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항원, 탄저균(Anthrax), BCG, 간염(A, C, D, E, F 및 G 균주) 항원, 인유두종 바이러스, HIV, 무세포 백일해,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말라리아 항원(RTS,S),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 뎅기, 지카, 에볼라, 치쿤구니아, 일본 뇌염, 로타바이러스, 설사 항원(E. 콜라이 속, 쉬겔라 속, 캄필로박터 속 비브리오 콜레라), 플라비바이러스, 천연두(smallpox), 황열(yellow fever), 대상포진(Shingles),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virus) 항원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2가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3가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음의 4가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h)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h)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i)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g)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f)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c)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f)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g)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e)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f)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g)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h)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d)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e)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f)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g)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h)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e)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f)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g)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h)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i)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e)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f)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g)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h)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i)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로타바이러스 항원;
    e)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f)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g)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h)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i)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j)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f)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g)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h)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i)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j)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로타바이러스 항원;
    f) 소크(Salk) 또는 사빈(Sabin)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g)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h)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i)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무세포 백일해, (aP);
    j)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및
    k)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7.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로타바이러스 항원;
    c) 설사유발성 대장균(Escherichia coli)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d) 쉬겔라 속 항원;
    e)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f)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f)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g)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f)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쉬겔라 속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로타바이러스 항원;
    d)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e) 쉬겔라 속 항원;
    f)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g)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로타바이러스 항원;
    e)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f) 쉬겔라 속 항원;
    g)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h)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또는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e) 로타바이러스 항원;
    f) 설사유발성 대장균 속(장독성 및 장출혈) 항원;
    g) 쉬겔라 속 항원;
    h) 캄필로박터 제주니 항원;
    i) 비브리오 콜레라 항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CP: 담체 단백질)이 테타누스 독소, 테타누스 톡소이드(TT), 테타누스 톡소이드의 단편,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 CRM197,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톡소이드, 보르데텔라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톡소이드, E.coli LT, E. coli ST, 대장균 열-불안정한 독소 - B 서브유닛,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외막 복합체, rEPA, H. 인플루엔자의 단백질 D, 플라젤린 FliC, 투구 게(Horseshoe crab) 헤모시아닌,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유래 엑소톡신 유래 엑소톡신 A, 외막 복합체 c(OMPC), 포린, 트랜스페린 결합 단백질, 뉴몰리신,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A(PspA), 폐렴구균 표면 접착제 A(PsaA), 폐렴구균 PhtD,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BVH-3 및 BVH-11, 탄저균(Bacillus anthracis) 보호 항원(PA: protective antigen) 및 탄저균의 해독 부종 인자(EF: edema factor) 및 치사 인자(LF: lethal factor), 오브알부민,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LH: keyhole limpet hemocyanin),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BSA: bovine serum albumin), 투베르쿨린의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PPD: purified protein derivative), 합성 펩티드, 열 충격 단백질, 페르튜시스 단백질, 사이토카인, 림포카인, 호르몬, 성장 인자, N 19와 같은 다양한 병원균-유도 항원 유래 다중 인간 CD4+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인공 단백질, 철 흡수 단백질, 링커가 있거나 없는 C. 디피실 및 S. 아갈락티애 단백질 유래 독소 A 또는 B 및 이의 단편, 유도체, 변형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원성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항원이 5 μg/용량 내지 30 μg/용량의 용량 범위로 존재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소듐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글루코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완충액 염수, 보레이트, 히스티딘 완충액, 숙시네이트 완충액, HEPES, TRIS 또는 시트레이트-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당, 계면활성제, 중합체, 염, 아미노산 또는 pH 변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부형제로서 L-히스티딘, 리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글리신, 아스파르트산, 트리신, 아르기닌, 류신, 글루타민, 알라닌, 펩티드, 가수분해된 단백질 또는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부형제로서 수크로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만노스, 라피노스, 락티톨, 락토비온산, 글루코스, 말툴로스, 이소- 말툴로스, 말토스, 락토스 솔비톨, 덱스트로스, 프럭토스, 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당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부형제로서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부형제로서 덱스트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히알루론산,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6.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부형제로서 NaCl, KCl, KH2PO4, Na2HPO4.2H2O, CaC12 및 MgC12로부터 선택되는 염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용량 조성물이 보존제가 없는, 면역원성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 용량 조성물이 2-페녹시에탄올,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Phemerol), 페놀, 티오메르살, 포름알데히드, 파라벤 에스터(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 파라벤), 벤질 알콜, m-크레졸,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질 알콜, 클로로부탄올, p-클로르-m-크레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존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히드록시포스페이트, 및 포타슘 알루미늄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오일 및 물 에멀젼 지질 A, 3-디아실화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AS01, AS03,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적어도 하나의 비메틸화된 CpG 및/또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인트 보조제, 프로인트 완전조제, 프로인트 불완전 보조제, CRL-8300 보조제, 뮤라밀 디펩티드, TLR-4 작용제, 플라젤린, 그람 음성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플라젤린, dmLT, TLR-5 작용제, TLR-5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플라젤린 단편, QS-21, ISCOMS, 키토산, 스테롤과 지질을 포함하는 사포닌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역자극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c) 주사용수(WFI: Water for Injection) 충분량(q.s.).
  2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c)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2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2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25.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26.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27.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28.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29.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0.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5.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6.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7.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8.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39.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0.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5.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6.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7.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8.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49.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0.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5.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6.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7.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8.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59.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0.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5.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6.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f)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7.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8.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69.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0.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h)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i)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5.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6.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7.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8.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h)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i) 주사용수(WFI) 충분량(q.s.).
  79.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0.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5.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6.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e)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f)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g)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h)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i)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7.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8.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89.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90.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g)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91.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g)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h) 주사용수(WFI) 충분량(q.s.).
  92.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g)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h)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i) 주사용수(WFI) 충분량(q.s.).
  93.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g)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h)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i) 주사용수(WFI) 충분량(q.s.).
  94. 제1항에 있어서, 0.5 ml의 조성물이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뮤리움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d)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엔테리티디스 사카라이드 - CP 접합체 항원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e) 소듐 클로라이드 1 내지 10 mg
    f)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1 mg 내지 1.6 mg
    g)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h) 수크로스 2.5 내지 25 mg
    i) 2-페녹시에탄올 1 내지 10 mg
    j) 주사용수(WFI) 충분량(q.s.).
  95.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다음의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f) 수크로스 0.5 ml 당 1 내지 12 mg;
    g) 소듐 시트레이트(이수화물) 0.5 ml 당 0.1 내지 2 mg;
    h) 트리스 완충액 0.5 ml 당 0.05 내지 0.5 mg;

    다음을 포함하는 동결건조된(lyophilized)(동결-건조(freeze-dried))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을 위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c)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ViP-TT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및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함.
  96.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다음의 동결건조된(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A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b)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C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c)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Y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d)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W -135 사카라이드 - CRM197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e)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X 사카라이드 - 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5 μg;
    f) 수크로스 0.5 ml 당 1 내지 12 mg;
    g) 소듐 시트레이트(이수화물) 0.5 ml 당 0.1 내지 2 mg;
    h) 트리스 완충액 0.5 ml 당 0.05 내지 0.5 mg;

    다음을 포함하는 동결건조된(동결-건조된) 면역원성 조성물의 재구성을 위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d)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ViP-TT와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및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함.
  97.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다음의 완전한 액체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c)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d)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 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 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 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 μg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 ml 당
    e)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c)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5 ml 당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d)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0.5 ml 당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및/또는
    e) 2-페녹시에탄올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f)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ViP-TT와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및 6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함.
  98.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다음의 완전한 액체 6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c)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d)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 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 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 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 μg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 ml 당;
    e)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5 ml 당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e)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0.5 ml 당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및/또는
    f) 2-페녹시에탄올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g)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ViP-TT; OSP 항원과 6가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및 6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함.
  99.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다음의 완전한 액체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μg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
    c)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 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 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 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 μg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 ml 당;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g)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c)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ViP-TT와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7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함.
  100.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용량 백신 키트:
    다음의 완전한 액체 7가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1 용기:
    a) 사빈(Sabin) 또는 소크(Salk)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폴리오 바이러스(IPV) 항원; 여기서 IPV 유형 1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IPV 유형 2는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또는 IPV 유형 3은 용량 1 내지 50의 D-항원 단위(DU), 0.5 ml 당;
    b) 0.5 ml 당 1 내지 50 μg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CDC-9, CDC-66 또는 임의의 다른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화된 로타바이러스 항원;
    c) 0.5 ml 당 1 내지 50 Lf 양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D) 항원;
    d) 0.5 ml 당 1 내지 30 Lf 양의 테타누스 톡소이드, (T) 항원;
    e) 0.5 ml 당 1 내지 50 IOU 양의 전세포 백일해, (wP) 항원 또는 페르튜시스 톡소이드(PT) 1 내지 50 μg, 필라멘토우스 헤마글루티닌(FHA) 1 내지 50 μg, 페르탁틴(P69 또는 PRN) 1 내지 20 μg 또는 핌브리알 단백질(FIM 1 , 2 및 3) 2 내지 25 μg로부터 선택되는 변형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세포 백일해, (aP) 항원; 0.5 ml 당;
    f)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 (HBsAg);
    g) 0.5 ml 당 1 내지 20 μg 양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항원, (Hib);

    다음을 포함하는 완전 액체 면역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2 용기
    a)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ViP-TT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b)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OSP - CP 접합체 항원 0.5 ml 당 1.25 내지 50 μg; 여기서 CP는 TT 또는 DP 또는 CRM197임;
    c) 소듐 클로라이드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d) 트리스 완충액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또는 히스티딘 완충액 또는 숙시네이트 완충액 0.5 ml 당 0.1 mg 내지 1.6 mg; 및/또는
    g)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노닐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틸페녹시폴리에톡스에탄올, 옥스톡시놀 40, 노녹시놀-9,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폴리펩티드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660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5 리신올리에이트, 대두 레시틴 및 폴록사머로부터 선택되는 0.5 ml 당 25 내지 500 μg 양의 폴리솔베이트; 및/또는
    h) 2-페녹시에탄올 0.5 ml 당 1 내지 10 mg; 및/또는
    e) 주사용수(WFI) 충분량(q.s.)
    여기서 ViP-TT; OSP 항원과 7가 항원의 항원 간섭은 없으며, 살모넬라 티피, S. 파라티피 및 7가 항원에 의해 야기되는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에 대한 예방을 위해 상기 백신 제형은 완전한 백신 접종 일정을 구성하기 위해 단 1회의 주사를 통해 2세 미만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 및 노인을 포함하는 S. 티피 및 파라티피에 대해 필요한 T-의존적 면역 반응 유도에 충분함.
  101. 다음을 포함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a. 살모넬라 티피 캡슐 Vi-폴리사카라이드(ViP)의 고수율 수확물을 수득하기 위한 유가 배양 방식, 여기서 배양 동안 소포제, 40 내지 70 g/L 범위의 대두 펩톤 및 40 내지 70 g/L 범위의 효모 추출물의 조합물의 사용은 수확 수율을 개선하고(100 내지 700 mg/L), 발효 파라미터는 6.7 내지 7.1 범위로 유지된 pH, 34.0 내지 38.0℃ 범위로 유지된 온도, 36 내지 39% 사이로 유지된 용존 산소 수준, 150 내지 500 사이로 유지된 진탕(rpm) 및 400 내지 600 mOsmol/kg의 삼투압 농도를 포함함;
    b. 음이온성 세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의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및 양이온성 세제 바람직하게는 CTAB,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4 내지 10mM), 소듐 아세테이트(5% 내지 10%), 알콜 침전(30% 내지 60%)으로 처리하여 살모넬라 티피 캡슐 ViP 정제 및 농축 및 상이한 단계에서 30kDa 컷 오프 막을 사용하여 정용여과, 여기서 상기 공정은 내독소(PS의 μg 당 100EU 미만의 내독소), 단백질(1% 미만) 및 핵산(2% 미만) 불순물의 상당한 감소, 적합하게는 40% 내지 65%의 범위에서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더 높은 회수율을 초래하며, 원하는 O-아세틸 수준(2.0 mmol/g 폴리사카라이드 초과), 100 내지 4000 mg/L 범위의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 수율, 분자 크기 분포(50% 초과의 PS가 0.25의 분포 계수(KD)에 도달하기 전에 용리됨)를 가지며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의 평균 분자량은 40 내지400 KDa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kDa 사이에 있을 수 있음;
    c.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접합 반응을 사용하여 정제된 ViP를 담체 단백질(CP)에 접합
    d.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한외 여과를 사용하여 ViP-담체 단백질 접합체를 정제하여 접합체 벌크를 적어도 3배 농축하고 실질적으로 모든 미반응 화합물, 비접합된 폴리사카라이드, 비접합된 단백질을 제거하여 크기가 1000 내지 1500 kD인 정제된 Vi 폴리사카라이드 접합체 백신을 생성, 여기서 접합체 수율은 50% 이상임.
  102. 제101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ViP가 FeCl3, H2O2, 소듐 메타페리오데이트 및 소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또는 고압 세포 파괴, 균질화, 초음파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해중합/사이징에 적용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 제조 방법.
  103. 제101항에 있어서, 정제된 ViP가 ViPs: EDAC의 중량을 기준으로 1:0.5 내지 1:2의 비율로 혼합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AC)의 존재 하에 카보디이미드 접합 반응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Vi 폴리사카라이드와 담체 단백질의 비율이 0.5 내지 1.5 사이이고, ViPs: CP: EDAC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1:1:2 또는 1:0.9:2 또는 1:0.8:1.8 또는 1:0.7:1.8이고, 반응이 5 내지 7의 범위의 pH, 2℃ 내지 3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04. 제101항 및 제103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담체 단백질이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반응을 사용하여, 히드라진, 카보히드라지드, 히드라진 클로라이드, 디히드라지드, ε-아미노헥사논산, 클로로헥사놀 디메틸 아세탈, D-글루쿠로노락톤, 시스타민 및 p-니트로페닐에틸 아민, 헥산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6-디아미노옥시헥산 또는 β-프로핀아미도, 니트로페닐 에틸아민, 할로알킬 할라이드, 6-아미노 카프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로 유도체화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05. 제104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담체 단백질(CP)이 카보디이미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AC)의 존재 하에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 링커로 유도체화 되고, 반응이 1시간 동안 지속되고, 5 내지 7의 범위의 pH에서 수행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06. 제101항, 제102항, 제103항, 제104항 및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테타누스 독소, 테타누스 톡소이드, 테타누스 톡소이드의 단편,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CRM197,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톡소이드, 보르데텔라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톡소이드, E.coli LT, E. coli ST, 대장균 열-불안정한 독소 - B 서브유닛,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외막 복합체, rEPA, H. 인플루엔자의 단백질 D, 플라젤린 FliC, 투구 게 헤모시아닌,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유래 엑소톡신 A, 외막 복합체 c(OMPC), 포린, 트랜스페린 결합 단백질, 뉴몰리신,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A(PspA), 폐렴구균 표면 접착제 A(PsaA), 폐렴구균 PhtD,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BVH-3 및 BVH-11, 탄저균의 보호 항원(PA) 및 탄저균의 해독 부종 인자(EF) 및 치사 인자(LF), 오브알부민,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LH),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BSA), 투베르쿨린의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PPD), 합성 펩티드, 열 충격 단백질, 페르튜시스 단백질, 사이토카인, 림포카인, 호르몬, 성장 인자, N 19와 같은 다양한 병원균-유도 항원 유래의 다중 인간 CD4+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인공 단백질, 철 흡수 단백질, 링커가 있거나 없는 C. 디피실 및 S. 아갈락티애 단백질 유래 독소 A 또는 B 및 이의 단편, 유도체, 변형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07. 제106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인,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08. 제106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인,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09. 제106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CRM197인,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티피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0. 다음을 포함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a.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최종 농도 0.5 내지 5%) pH~2.0 내지 3.0의 LPS의 산 가수분해에 의해 지질폴리사카라이드(LPS)의 살모넬라 파라티피 A O-특이적 폴리사카라드(OSP)를 정제, 액체 암모니아인 소듐 디옥시콜레이트(최종 농도 0.5 내지 5%)로 pH 7.0으로 중화, 및 농축 및 상이한 단계에서 10 kDa 내지 30 kDa 컷 오프 막을 사용하여 정용여과, 여기서 상기 공정은 내독소(PS의 μg 당 100EU 미만의 내독소), 단백질(1% 미만) 및 핵산(2% 미만) 불순물의 상당한 감소, 적합하게는 40% 내지 65%의 범위에서 캡슐 폴리사카라이드의 더 높은 회수율을 초래하며, 원하는 O-아세틸 수준(2.0 mmol/g 폴리사카라이드 초과), 분자 크기 분포(50% 초과의 PS가 0.25의 분포 계수(KD)에 도달하기 전에 용리됨)를 가지며 정제된 O-특이적 폴리사카라이드(OSP)의 평균 분자량은 40 내지400 kDa의 범위일 수 있음;
    b.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접합 반응을 사용하여 정제된 OPS를 담체 단백질(CP)에 접합
    c)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한외 여과를 사용하여 OSP-담체 단백질 접합체를 정제하여 접합체 벌크를 적어도 3배 농축하고 실질적으로 모든 미반응 화합물, 비접합된 폴리사카라이드, 비접합된 단백질을 제거하여 크기가 정제된 OSP-담체 단백질 접합체 백신을 생성, 여기서 접합체 수율은 50% 이상임.
  111. 제110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OSP가 FeCl3, H2O2, 소듐 메타페리오데이트 및 소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적 수단 또는 고압 세포 파괴 ,초음파 처리 및 균질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해중합/사이징에 적용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2. 제110항에 있어서, 정제된 OSP가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 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 1-시아노-이미다졸(1-CI), 1-시아노벤조트리아졸(1-CBT),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 p-니트로페닐시아네이트 및 N-시아노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TEA') 또는 2-시아노피리다진-3(2H) 온(2-CP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3. 제112항에 있어서, 정제된 OSP가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OSP: CPPT의 중량을 기준으로 1:0.5 내지 1:2의 비로 혼합된 1-시아노- 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이고 OPS와 담체 단백질의 비는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고, 반응은 5 내지 7의 범위의 pH, 2℃ 내지 30℃의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4. 제112항 및 제113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담체 단백질이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반응을 사용하여, 히드라진, 카보히드라지드, 히드라진 클로라이드, 디히드라지드, ε-아미노헥사논산, 클로로헥사놀 디메틸 아세탈, D-글루쿠로노락톤, 시스타민및 p-니트로페닐에틸 아민, 헥산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6-디아미노옥시헥산 또는 β-프로핀아미도, 니트로페닐 에틸아민, 할로알킬 할라이드, 6-아미노 카프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로 유도체화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5. 제114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담체 단백질(CP)이 OSP: ADH의 중량을 기준으로 1:1 내지 1:10의 비율로 혼합된 카보디이미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AC)의 존재 하에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 링커로 유도체화되고 OSP: EDAC의 비율은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고, 반응이 5 내지 7 범위의 pH에서 수행되고, 반응이 1 내지 2시간 동안 지속되며, 2℃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6. 제110항에 있어서, 정제된 OSP가 OSP: EDAC의 중량을 기준으로 1:0.5 내지 1:2 의 비율로 혼합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EDAC)의 존재 하에 카보디이미드 접합 반응을 사용하여 담체 단백질(CP)에 공유적으로 결합되고 OSP 폴리사카라이드와 담체 단백질의 비율은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고, 반응이 5 내지 7 범위의 pH, 2℃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7. 제116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OSP가 카보디이미드, 환원성 아민화 또는 시아닐화 반응을 사용하여 히드라진, 카보히드라지드, 히드라진 클로라이드, 디히드라지드, ε-아미노헥사논산, 클로로헥사놀 디메틸 아세탈, D-글루쿠로노락톤, 시스타민 및 p-니트로페닐에틸 아민, 헥산디아민, 에틸렌디아민, 1,6-디아미노옥시헥산 또는 β-프로핀아미도, 니트로페닐 에틸아민, 할로알킬 할라이드, 6-아미노 카프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종 또는 동종-이기능성 링커로 유도체화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8. 제117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OSP가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 링커로 유도체화되고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 1-시아노- 이미다졸(1-CI), 1-시아노벤조트리아졸(1-CBT),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 p-니트로페닐시아네이트 및 N-시아노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TEA') 또는 2-시아노피리다진-3(2H) 온(2-CP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19. 제118항에 있어서, 접합 전에 OSP가 시아닐화 접합 화학을 사용하여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ADH) 링커로 유도체화되고 여기서 시아닐화제는 OSP: ADH의 중량을 기준으로 1:1 내지 1:10의 비율로 혼합된 1-시아노-4-피롤리디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PPT)(CPIP)이고 OSP: CPPT의 비율은 0.5 내지 1.5 사이일 수 있고, 반응이 7 내지 10 범위의 pH에서 수행되고, 반응이 1 내지 2시간 동안 지속되며, 2℃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20. 제110항 내지 제1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테타누스 독소, 테타누스 톡소이드, 테타누스 톡소이드의 단편,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CRM197,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톡소이드, 보르데텔라 페르튜시스 톡소이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톡소이드, E.coli LT, E. coli ST, 대장균 열-불안정한 독소 - B 서브유닛, 나이세리아 메닌자이티디스 외막 복합체, rEPA, H. 인플루엔자의 단백질 D, 플라젤린 FliC, 투구 게 헤모시아닌,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유래 엑소톡신, 외막 복합체 c(OMPC), 포린, 트랜스페린 결합 단백질, 뉴몰리신,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A(PspA), 폐렴구균 표면 접착제 A(PsaA), 폐렴구균 PhtD, 폐렴구균 표면 단백질 BVH-3 및 BVH-11, 탄저균의 보호 항원(PA) 및 탄저균의 해독 부종 인자(EF) 및 치사 인자(LF), 오브알부민,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LH),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BSA), 투베르쿨린의 정제된 단백질 유도체(PPD), 합성 펩티드, 열 충격 단백질, 페르튜시스 단백질, 사이토카인, 림포카인, 호르몬, 성장 인자, N 19와 같은 다양한 병원균-유도 항원 유래의 다중 인간 CD4+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인공 단백질, 철 흡수 단백질, 링커가 있거나 없는 C. 디피실 및 S. 아갈락티애 단백질 유래 독소 A 또는 B 및 이의 단편, 유도체, 변형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21. 제120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테타누스 톡소이드(TT)인,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22. 제120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디프테리아 톡소이드(DT)인,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23. 제120항에 있어서, 담체 단백질이 CRM197인, 살모넬라 엔테리카 혈청형 파라티피 A 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의 제조 방법.
  12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원성 조성물이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및 비-장티푸스 감염에 대한 예방 방법, 살모넬라 티피, 살모넬라 파라티피 및 살모넬라 비-티피 관련 속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의 발병 감소 또는 예방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제형화되며, 상기 방법은 2세 이하, 청소년, 성인 또는 노인의 인간 대상체에게 비경구 또는 피하 또는 피내 또는 근육 내 또는 복강 내 또는 근육 내 투여 또는 주사 투여 또는 임플란트로부터 지속 방출 또는 점안제에 의한 투여 또는 비강 또는 직장 또는 협측 또는 질, 구강 또는 위 내 또는 점막 또는 설주위, 폐포 또는 치은 또는 후각 또는 호흡기 점막 투여 또는 임의의 다른 면역화 경로를 통한 유효량의 면역원성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2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원성 조성물이 2 내지 8℃, 25℃ 및 40℃에서 6개월의 기간 동안 안정한, 면역원성 조성물.
  12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원성 조성물이 2 내지 8℃, 25℃ 및 40℃에서 안정하고 6개월 후 180 내지 220 kDa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 유리 폴리사카라이드가 7.5% 이하이고 388 kDa, 80 kDa 및 45 kDa 폴리사카라이드의 경우 유리 폴리사카라이드가 10.5% 이하인, 면역원성 조성물.
  12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원성 조성물이 상기 백신 조성물의 단일 용량으로 이루어진 1개 용량 요법에 따라 2세 이하, 청소년, 성인 또는 노인의 인간 대상체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되는, 면역원성 조성물.
  12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원성 조성물이 제1 용량 및 제1 용량 후 3개월 내지 2년 사이에 투여되어야 하는 제2 용량으로 이루어진 2개 용량 요법에 따라 2세 이하, 청소년, 성인 또는 노인의 인간 대상체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되는, 면역원성 조성물.
  12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원성 조성물이 제1 용량, 제1 용량 후 3개월 내지 2년 사이에 투여되어야 하는 제1 용량 및 제2 용량 후 3개월 내지 2년 사이에 투여되어야 하는 제3 용량으로 이루어진 3개 용량 요법에 따라 2세 이하, 청소년, 성인 또는 노인의 인간 대상체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되는, 면역원성 조성물.
KR1020227011108A 2019-09-03 2020-09-02 장 질환에 대한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87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921035435 2019-09-03
IN201921035435 2019-09-03
PCT/IN2020/050763 WO2021044436A2 (en) 2019-09-03 2020-09-02 Immunogenic compositions against enteric diseases and methods for its prepara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437A true KR20220087437A (ko) 2022-06-24

Family

ID=7265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108A KR20220087437A (ko) 2019-09-03 2020-09-02 장 질환에 대한 면역원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230149524A1 (ko)
EP (2) EP4249061A3 (ko)
JP (1) JP2022546763A (ko)
KR (1) KR20220087437A (ko)
CN (1) CN114728053A (ko)
AR (1) AR119884A1 (ko)
AU (1) AU2020343943A1 (ko)
BR (1) BR112022003892A2 (ko)
CA (1) CA3149972A1 (ko)
CO (1) CO2022003789A2 (ko)
CR (1) CR20220132A (ko)
EC (1) ECSP22031077A (ko)
GB (1) GB2603362A (ko)
IL (1) IL291006A (ko)
JO (1) JOP20200214A1 (ko)
MA (1) MA56283A1 (ko)
MX (1) MX2022002693A (ko)
PE (1) PE20221442A1 (ko)
WO (1) WO2021044436A2 (ko)
ZA (1) ZA202203368B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685A (en) 1972-02-02 1977-11-08 Abbott Laboratories Chemically modified endotoxin immunizing agent
US4673574A (en) 1981-08-31 1987-06-16 Anderson Porter W Immunogenic conjugates
US4459286A (en) 1983-01-31 1984-07-10 Merck & Co., Inc. Coupled H. influenzae type B vaccine
WO1998026799A1 (en) * 1996-12-18 1998-06-25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onjugate vaccine for salmonella paratyphi a
NZ509986A (en) 1998-08-19 2003-10-31 Baxter Healthcare S Immunogenic beta-propionamido-linked polysaccharide and oligosaccharide protein conjugates as vaccines
US20070184072A1 (en) 2005-04-08 2007-08-09 Wyeth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US8329184B2 (en) 2005-06-27 2012-12-1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rocess for manufacturing vaccines
NZ575328A (en) 2006-09-13 2012-06-29 Abbott Lab Cell culture improvements
GB0700135D0 (en) * 2007-01-04 2007-02-14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FR2938265B1 (fr) 2008-11-12 2011-07-15 Univ Claude Bernard Lyon Procede pour le pilotage d'un traitement de depolymerisation par ultrasons d'un biopolymere hydrosoluble
MX2012006961A (es) * 2009-12-17 2012-10-03 Fina Biosolutions Llc Reactivos quimicos para la activacion de polisacaridos en la preparacion de vacunas conjugadas.
US9011871B2 (en) * 2011-11-07 2015-04-21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Broad spectrum vaccine against typhoidal and non-typhoidal Salmonella disease
US9283270B2 (en) * 2012-01-20 2016-03-15 Serum Institute Of India Lt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biological molecules
SI2809349T1 (sl) 2012-01-30 2019-03-29 Serum Institute Of India Private Limited Imunogeni sestavek
CN102935226B (zh) * 2012-11-16 2014-01-22 罗益(无锡)生物制药有限公司 伤寒甲型副伤寒结合疫苗及其制备方法
CN112999342A (zh) * 2013-08-24 2021-06-22 巴拉特生物技术国际有限公司 细菌疫苗及其制备方法
WO2017006349A1 (en) * 2015-07-04 2017-01-12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 Polysaccharide vaccine formulations and processes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bacterial polysaccharides
US11235054B2 (en) 2016-08-26 2022-02-01 Serum Institute Of India Private Limited Multivalent vaccine composition
WO2018203268A1 (en) * 2017-05-05 2018-11-08 Serum Institute Of India Private Limited Method for removal of impurities from bacterial capsular polysaccharide based preparations
EA202090316A1 (ru) 2017-07-18 2020-12-08 Серум Инститьют Оф Индия Пвт Лтд. Иммуноге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повышенной стабильностью, усиленной иммуногенностью и уменьшенной реактоген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OP20190242A1 (ar) 2018-10-12 2020-04-12 Serum Institute Of India Pvt Ltd تركيبة لقاح توليفي تشمل فيروس شلل الأطفال ذو جرعة مخفّضة خاملة التنشيط وطريقة لتحضيره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OP20200214A1 (ar) 2021-03-03
IL291006A (en) 2022-05-01
CO2022003789A2 (es) 2022-04-19
GB2603362A (en) 2022-08-03
CN114728053A (zh) 2022-07-08
WO2021044436A3 (en) 2021-05-27
ECSP22031077A (es) 2022-05-31
US20230149524A1 (en) 2023-05-18
MX2022002693A (es) 2022-07-12
ZA202203368B (en) 2022-05-25
WO2021044436A2 (en) 2021-03-11
AR119884A1 (es) 2022-01-19
PE20221442A1 (es) 2022-09-21
GB202204276D0 (en) 2022-05-11
JP2022546763A (ja) 2022-11-08
EP4025246A2 (en) 2022-07-13
EP4249061A3 (en) 2023-11-15
MA56283A1 (fr) 2023-01-31
AU2020343943A1 (en) 2022-03-24
EP4249061A2 (en) 2023-09-27
CR20220132A (es) 2022-05-06
CA3149972A1 (en) 2021-03-11
BR112022003892A2 (pt)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8682B2 (ja) 肺炎球菌多糖類-タンパク質コンジュゲート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AU2011226160B2 (en) Conjugation process of bacterial polysaccharides to carrier proteins
JP2023036953A (ja) 肺炎連鎖球菌多糖-タンパク質コンジュゲートの免疫原性の増強
AU2019401535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Streptococcus pneumoniae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147863B2 (en) Multi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WO2018144438A1 (en) Methods for production of capsular polysaccharide protein conjugates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19f
JP6266631B2 (ja) 免疫原性組成物
CN114887048A (zh) 包含缀合荚膜糖抗原的免疫原性组合物及其用途
WO2018156467A1 (en) Methods for improving filterability of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reactions
KR20220017996A (ko) 면역원성 혈청형 35b 폐렴구균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접합체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접합 방법
KR20140123553A (ko) 면역원성 조성물
CA2828787A1 (en) Conjugation of anitigen to carrier protein using triacetoxyborohydride
JP2022512345A (ja) 免疫原性多重ヘテロ抗原多糖-タンパク質コンジュゲートおよびその使用
KR20230135178A (ko) 네이세리아 메닌기티디스 백신
US20230149524A1 (en) Immunogenic compositions against enteric diseases and methods for its preparation thereof
WO2018074296A1 (ja) 低分子化PRPを用いたHibコンジュゲートワクチンの製造方法
IL308902A (en) Immune preparations containing conjugated sugar antigens and their uses
OA20613A (en) Immunogenic compositions against enteric diseases and methods for its preparation thereof.
US20220387576A1 (en) Immunogenic compositions comprising conjugated capsular saccharide antigens and uses thereof
JPWO2021044436A5 (ko)
OA20569A (en) Improved methods for enterovirus inactivation, adjuvant adsorption and dose reduced vaccine compositions obtaine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