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340A -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340A
KR20220087340A KR1020210015482A KR20210015482A KR20220087340A KR 20220087340 A KR20220087340 A KR 20220087340A KR 1020210015482 A KR1020210015482 A KR 1020210015482A KR 20210015482 A KR20210015482 A KR 20210015482A KR 20220087340 A KR20220087340 A KR 2022008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gon
history
bundle
raw m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산육가공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산육가공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산육가공센터
Publication of KR2022008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이력번호가 존재하는 2개 이상의 원료육이 혼입되어 왜건 단위 등으로 가공되어도 왜건에 따라 묶음번호가 부가되어 생성된 묶음왜건번호로 이력관리가 가능한 HACCP 기반 이력번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축산물이 가공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왜건’ 기준으로(가공 시 작업환경에 따라 ‘왜건’대신 사용하는 다른 기준으로 관리될 수도 있고, 닭의 경우 보통 왜건당 100마리 기준이지만 작업환경 또는 수요 등에 따라 기준 마리 수는 달라질 수 있음) 묶음왜건번호를 발행하고 전 가공공정에서 묶음왜건번호를 기준으로 관리하고 해당 묶음왜건번호를 최종적으로 라벨 프린팅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MBINED COD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PIDEMIOLOGIC SURVEY}
본 발명은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이력번호가 존재하는 2개 이상의 원료육이 혼입되어 왜건 단위 등 소단위로 가공되어도 묶음번호에 부가적으로 왜건번호를 추가하여 이력관리가 가능한 HACCP 기반 이력번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물은 일정 기간 살아서 사육되는 가축 및 닭 등을 도축 후 판매하므로 그 출생부터 사육, 도축, 가공, 판매의 전 유통과정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고, 그런 유통과정의 관리는 소비자들에게 해당 축산물의 신뢰감을 주는 기본적 기능과 함께 최근에는 유통관리 자체로 축산물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고부가가치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2015년부터 소와 돼지를 기반으로 하는 축산물에 대한 이력제와 함께 최근에는 닭 및 계란 등의 가금류에 대한 이력제가 시행되고 있는데, 축산물 이력제는 소나 돼지 그리고 닭 등 축산물의 출생에서부터 도축, 포장처리,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여, 위생이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이력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제도로서, 축산 농가의 생산, 이동, 출하에 대한 거래 내역을 기록 및 관리함으로써, 농가에 대한 방역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축산물 유통에 대한 투명성을 높여 원산지 허위표시 등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단순히 소비자들에게 해당 축산물에 대한 품질을 보증하는 수단을 넘어 최근 가축들에게서 발생하는 구제역, 아프리카 돼지열병 그리고 조류독감 등의 역학조사와 함께 이들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에 활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축산물 이력제의 경우 축산물 각각 한마리씩에 대해 이력번호를 부여하고 관리하며 소와 돼지 그리고 닭은 일정한 경우 도축 이후 한마리를 전체로 유통하기보다는 부분육으로 분할 가공하여 판매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각각의 마리에 부여되었던 이력번호가 그대로 유지되며 판매를 할 수 있지만, 반대로 특정한 경우와 급식 등 대량으로 유통되는 경우 여러마리의 소와 돼지 그리고 닭을 원료육으로 함께 가공을 하여 부분육 또는 분쇄육 등으로 판매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마리에 부여되었던 이력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어 관련 법률에 의해 ‘묶음번호’를 부여하게 되는데, 소의 경우 20마리 이하에 대해 하나의 묶음번호를 부여하고, 돼지의 경우 30마리 이하의 경우 하나의 묶음번호를 부여하며, 닭의 경우 도축일이 같은 경우 하나의 이력번호가 부여되고, 도축일이 다른 경우 10개의 이력번호까지 하나로 묶어 하나의 묶음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마리만으로 납품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마리를 함께 가공할 수 밖에 없어 700그램짜리 한우갈비 한 팩의 경우 하나의 묶음번호에 47마리의 소가 원료육으로 사용되어 실질적인 역추적이 불가능하고, 닭의 경우 부분육의 판매가 가장 활발한데 일례로 닭봉의 경우 하나의 패킹에 10개의 닭봉이 있는 경우 최소 5마리 이상의 닭을 원료육으로 가공하여 생산하고 하나의 묶음번호가 부여되어 해당 제품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역추적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수백마리 이상의 닭을 한번에 가공하므로 수백마리의 닭이 하나의 묶음번호로 관리되어도 결국은 하나의 묶음번호가 부여되고 공정 이후에도 동일한 묶음번호가 유지되므로 공정 중 발생하는 문제 등에 대해 실질적인 역추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오히려 분쇄육이나 급식 등의 대량 납품의 경우는 보다 철저한 이력관리가 가능해야 하지만 묶음번호로 역추적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08097호(발명의 명칭: 축산물의 이력 및 판매관리방법, 등록일자: 2012년 01월 13일), 등록특허 제10-1342158호(발명의 명칭: 가축개체정보 인식 및 관리가 용이한 축사 관리 시스템, 등록일자: 2013년 12월 10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8097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42158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축산물이 가공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왜건’ 기준으로(가공 시 작업환경에 따라 ‘왜건’대신 사용하는 다른 기준으로 관리될 수도 있고, 닭의 경우 보통 왜건당 100마리 기준이지만 작업환경 또는 수요 등에 따라 기준 마리 수는 달라질 수 있음) 묶음번호와 함께 관리되며 최종적으로는 묶음번호에 추가할 수 있는 묶음왜건번호를 발행하고 전 가공공정에서 묶음왜건번호를 기준으로 관리하고 묶음왜건번호로 관리한 제품을 최종적으로 라벨 프린팅할 때 묶음왜건번호를 프린팅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이후 역학조사가 필요한 경우 묶음왜건번호를 통해 묶음번호와 함께 왜건번호를 조회하여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은 각각 이력번호(210)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원료육(200)이 각각 왜건번호(11)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왜건(10)에 혼입되거나 분입되어 가공되어도 왜건(10)에 따라 묶음번호가 부가되어 생성된 묶음왜건번호(31)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왜건(10)에 혼입 또는 분입되는 상기 원료육(200)들의 상기 이력번호(210)들을 상기 왜건(10)과 매칭시켜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이력번호(210)에 따른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을 자동 입력하는 이력번호입력부(20); 상기 왜건(10)별로 상기 이력번호(210)들과 연계되어 생성된 묶음번호와 함께 상기 왜건번호(11)를 부가코드로 변환하여 묶음왜건번호(31)을 생성하는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30);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30)에서 생성된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기준으로 상기 왜건(10)에 혼입된 상기 원료육(200)들에 대해 공정별로 상기 왜건(10)의 공정 단계와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연계하여 공정별 작업 데이터(41)를 수집하는 공정관리부(40); 각각의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가 HACCP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공정점검 데이터(51)로 생성하는 공정점검부(50); 상기 왜건(10)의 상기 원료육(200)들의 가공을 완료하는 라벨프린팅 단계에서 포장지 라벨의 이력번호에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이력번호로 프린팅하는 이력번호프린팅부(70); 상기 이력번호입력부(20)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30)와 상기 공정관리부(40)와 상기 공정검검부(50)와 상기 이력번호프린팅부(70)를 제어하며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과 상기 묶음왜건번호(31)와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와 상기 공정점검 데이터(51)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제공하는 서버(80);를 포함하는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은 각각 이력번호(210)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원료육(200)이 각각 왜건번호(11)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왜건(10)에 혼입되거나 분입되어 가공되어도 왜건(10)에 따라 묶음번호가 부가되어 생성된 묶음왜건번호(31)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왜건(10)에 혼입 또는 분입되는 상기 원료육(200)들의 상기 이력번호(210)들을 상기 왜건(10)과 매칭시켜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이력번호(210)에 따른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을 자동 입력하는 이력번호입력단계(S1);와 상기 왜건(10)별로 상기 이력번호(210)들과 연계되어 부가되는 상기 묶음번호와 함께 상기 왜건번호(11)를 부가코드로 변환하여 묶음왜건번호(31)을 생성하는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단계(S2);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30)에서 생성된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기준으로 상기 왜건(10)에 혼입된 상기 원료육(200)들에 대해 공정별로 상기 왜건(10)의 공정 단계와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연계하여 공정별 작업 데이터(41)를 수집하는 공정관리단계(S3);와 각각의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가 HACCP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공정점검 데이터(51)로 생성하는 공정점검단계(S4);와 상기 왜건(10)의 상기 원료육(200)들의 가공을 완료하는 라벨프린팅 단계에서 포장지 라벨의 이력번호에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이력번호로 프린팅하는 이력번호프린팅단계(S6);와 상기 이력번호입력단계(S1)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단계(S2)와 상기 공정관리단계(S3)와 상기 공정검검단계(S4)와 상기 이력번호프린팅단계(S6)를 통해 입력되거나 생성된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과 상기 묶음왜건번호(31)와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와 공정검검 데이터(51)를 연계하여 서버(80)에 저장하는 서버관리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여러마리의 소와 돼지 그리고 닭을 원료육으로 함께 부분육 또는 분쇄육 등으로 가공하는 경우 축산물이 가공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왜건’ 단위로 묶음왜건번호를 발행하고 전 가공공정에서 묶음왜건번호를 기준으로 관리하고 해당 묶음왜건번호를 최종적으로 라벨 프린팅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므로 현재 묶음번호로는 역학조사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축산물 가공 전체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력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원료육에 대한 가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묶음번호를 가지는 원료육에 대한 가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묶음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원료육에 대한 가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묶음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원료육에 대하여 공정경고부를 포함한 가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경고 단계를 포함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축산물 가공 전체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농장 등에서 사육된 가축 및 가금류는 도축장에서 도축된 이후 원료육의 형태로 축산물 가공 공장으로 입고되는데, 모든 축산물은 관련 법률에 따라 이력번호 또는 묶음번호가 함께 입고되어 냉장 및 냉동 보관 후 가공이 진행되는데, 가공은 대단위로 진행되므로 왜건당 일정한 마리(닭의 경우 보통 왜건당 100마리 기준이지만 작업환경 또는 수요 등에 따라 기준 마리 수는 달라질 수 있음)가 한번에 담겨 염지-컷팅-숙성-포장 및 라벨프린팅 등의 공정을 거치는데, 개별 제품의 라벨프린팅 시에는 원료육의 묶음번호를 이력번호로 출력하거나 새롭게 생선된 묶음번호를 이력번호로 출력한 후 검사를 거쳐 냉동 및 냉장 보관된 이후 출하되어 물류를 거쳐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염지-컷팅-숙성-포장 및 라벨프린팅 등의 공정은 부분육 수요나 고객 요구에 따라 공정 순서를 변경하여 관리가 가능하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력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원료육과 묶음번호를 가지는 원료육에 대한 가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인데, 축산물 가공 공장에 입고된 원료육들이 개별 마리의 형태로 각각의 이력번호(210)와 묶음번호(220)를 가지고 있더라도, 부분육으로 가공될 수 밖에 없고 이럴 경우 개별 마리별로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왜건에 왜건당 일정한 마리(닭의 경우 하나의 왜건당 100마리)가 한번에 담겨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왜건(10)에 혼입되는 상기 원료육(200)들의 상기 이력번호(210)들을 상기 왜건(10)과 매칭시켜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이력번호(210)에 따른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을 자동 입력하는 이력번호입력부(20)를 구비하고, 상기 왜건(10)별로 상기 이력번호(210)들과 연계되어 부가되는 묶음번호와 함께 상기 왜건번호(11)를 부가코드로 변환하여 묶음왜건번호(31)을 생성하는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30)를 통해 묶음왜건번호(31)를 생성하고,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30)에서 생성된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기준으로 상기 왜건(10)에 혼입된 상기 원료육(200)들에 대해 공정별로 상기 왜건(10)의 공정 단계와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연계하여 공정별 작업 데이터(41)를 수집하는 공정관리부(40)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가 HACCP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공정점검 데이터(51)로 생성하는 공정점검부(50)를 구비하고, 상기 왜건(10)의 상기 원료육(200)들의 가공을 완료하는 라벨프린팅 단계에서 포장지 라벨의 이력번호에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이력번호로 프린팅하는 이력번호프린팅부(70)를 구비하고, 상기 이력번호입력부(20)와 상기 묶음왜건번호 자동생성부(30)와 상기 공정관리부(40)와 상기 공정검검부(50)와 상기 이력번호프린팅부(70)를 제어하며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과 상기 묶음왜건번호(31)와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와 상기 공정점검 데이터(51)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제공하는 서버(8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묶음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원료육에 대한 가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인데, 일반적인 묶음번호는 하나 이상의 왜건을 통해 진행되는 공정에 대해 하나만을 부과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료육들이 하나의 묶음번호(220) 또는 하나 이상의 묶음번호(220)로 입고되더라고, 실제 가공은 왜건 단위로 진행이 되므로, 최소 단위가 왜건을 넘을 수 없고, 왜건별로 생성된 묶음왜건번호(31)를 통해 가공 공정을 관리하므로 역학조사가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역할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단위를 축산 가공 공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왜건에 혼입 또는 분입하는 수량을 단위로 설정하였지만, 가공 공정에서 진행되는 가축의 종류와 생산 수량 등에 따라 왜건에 혼입 또는 분입하는 수량을 조정하여 하나의 묶음번호 이하의 단위로 구분이 가능한 모든 수량을 왜건 단위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 생산 효율과 역학조사의 용이함 사이에서 최적의 조합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묶음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원료육에 대하여 공정경고부를 포함한 가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인데, 서버(80)가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 연결되어 공정점검부(50)에서 이상이 발생하거나 확인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자동적으로 관련 내용을 전송하여 이상이 발생한 공정에 즉각적인 개입이 가능하다.
또한 소비자 또는 관리자들이 특정 제품의 이력을 조회하는 경우 조회제품의 원료육 상태의 이력정보와 함께 축산 가공 공장의 공정별 작업데이터 등을 함께 제공이 가능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인데, 각각 이력번호(210)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원료육(200)이 각각 왜건번호(11)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왜건(10)에 혼입되거나 분입되어 가공되어도 왜건(10)에 따라 묶음번호가 부가되어 생성된 묶음왜건번호(31)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왜건(10)에 혼입 또는 분입되는 상기 원료육(200)들의 상기 이력번호(210)들을 상기 왜건(10)과 매칭시켜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이력번호(210)에 따른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을 자동 입력하는 이력번호입력단계(S1)와 상기 왜건(10)별로 상기 이력번호(210)들과 연계되어 부가되는 묶음번호와 함께 상기 왜건번호(11)를 부가코드로 변환하여 묶음왜건번호(31)을 생성하는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단계(S2)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30)에서 생성된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기준으로 상기 왜건(10)에 혼입된 상기 원료육(200)들에 대해 공정별로 상기 왜건(10)의 공정 단계와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연계하여 공정별 작업 데이터(41)를 수집하는 공정관리단계(S3)와 각각의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가 HACCP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공정점검 데이터(51)로 생성하는 공정검검단계(S4)와 상기 왜건(10)의 상기 원료육(200)들의 가공을 완료하는 라벨프린팅 단계에서 포장지 라벨의 이력번호에 상기 묶음왜건번호(31)를 이력번호로 프린팅하는 이력번호프린팅단계(S6)와 상기 이력번호입력단계(S1)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단계(S2)와 상기 공정관리단계(S3)와 상기 공정검검단계(S4)와 상기 이력번호프린팅단계(S6)를 통해 입력되거나 생성된 상기 이력번호(210)와 상기 원료육(200)의 이력과 상기 묶음왜건번호(31)와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41)와 공정검검 데이터(51)를 연계하여 서버(80)에 저장하는 서버관리단계(S7)를 포함한다.
도 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경고 단계를 포함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인데, 공정점검단계(S4)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에게 이상 발생 상황을 통지할 수 있는 공정경고단계(S5)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같이 시스템 및 방법을 구축하면 소비자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묶음왜건번호(31)를 통해 묶음번호(220)보다 더욱 세부 구성으로 역학조사가 가능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역학조사가 가능하게 된다.
100 :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200 : 원료육
210 : 이력번호 220 : 묶음번호
10 : 왜건 11 : 왜건번호
20 : 이력번호입력부
30 :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 31 : 묶음왜건번호
40 : 공정관리부 41 : 공정별 작업 데이터
50 : 공정점검부 51 : 공정점검 데이터
60 : 공정경고부 70 : 이력번호프린팅부 80 : 서버

Claims (4)

  1. 각각 이력번호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원료육이 각각 왜건번호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왜건에 혼입되거나 분입되어 가공되어도 왜건에 따라 묶음번호가 부가되어 생성된 묶음왜건번호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왜건에 혼입 또는 분입되는 상기 원료육들의 상기 이력번호들을 상기 왜건과 매칭시켜 상기 이력번호와 상기 이력번호에 따른 상기 원료육의 이력을 자동 입력하는 이력번호입력부;
    상기 왜건별로 상기 이력번호들과 연계되어 부가되는 묶음번호와 함께 상기 왜건번호를 부가코드로 변환하여 묶음왜건번호을 생성하는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묶음왜건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왜건에 혼입된 상기 원료육들에 대해 공정별로 상기 왜건의 공정 단계와 상기 묶음왜건번호를 연계하여 공정별 작업 데이터를 수집하는 공정관리부;
    각각의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가 HACCP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공정점검 데이터로 생성하는 공정점검부;
    상기 왜건의 상기 원료육들의 가공을 완료하는 라벨프린팅 단계에서 포장지 라벨의 이력번호에 상기 묶음왜건번호를 이력번호로 프린팅하는 이력번호프린팅부;
    상기 이력번호입력부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와 상기 공정관리부와 상기 공정검검부와 상기 이력번호프린팅부를 제어하며 상기 이력번호와 상기 원료육의 이력과 상기 묶음왜건번호와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와 상기 공정점검 데이터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공정점검부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에게 이상 발생 상황을 통지할 수 있는 공정경고부;를 포함하는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3. 각각 이력번호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원료육이 각각 왜건번호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왜건에 혼입되거나 분입되어 가공되어도 왜건에 따라 묶음번호가 부가되어 생성된 묶음왜건번호로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왜건에 혼입 또는 분입되는 상기 원료육들의 상기 이력번호들을 상기 왜건과 매칭시켜 상기 이력번호와 상기 이력번호에 따른 상기 원료육의 이력을 자동 입력하는 이력번호입력단계;와
    상기 왜건별로 상기 이력번호들과 연계되어 부가되는 상기 묶음번호와 함께 상기 왜건번호를 부가코드로 변환하여 묶음왜건번호을 생성하는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단계;와
    상기 묶음왜건번호자동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묶음왜건번호를 기준으로 상기 왜건에 혼입된 상기 원료육들에 대해 공정별로 상기 왜건의 공정 단계와 상기 묶음왜건번호를 연계하여 공정별 작업 데이터를 수집하는 공정관리단계;와
    각각의 상기 공정별 작업 데이터가 HACCP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공정점검 데이터로 생성하는 공정검검단계;와
    상기 왜건의 상기 원료육들의 가공을 완료하는 라벨프린팅 단계에서 포장지 라벨의 이력번호에 상기 묶음왜건번호를 이력번호로 프린팅하는 이력번호프린팅단계;를 포함하는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점검단계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에게 이상 발생 상황을 통지할 수 있는 공정경고단계;를 포함하는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방법.
KR1020210015482A 2020-12-17 2021-02-03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73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052 2020-12-17
KR20200177052 2020-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340A true KR20220087340A (ko) 2022-06-24

Family

ID=8221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82A KR20220087340A (ko) 2020-12-17 2021-02-03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3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97B1 (ko) 2009-11-06 2012-01-31 주식회사 카스 축산물의 이력 및 판매관리방법
KR101342158B1 (ko)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티엠 가축개체정보 인식 및 관리가 용이한 축사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97B1 (ko) 2009-11-06 2012-01-31 주식회사 카스 축산물의 이력 및 판매관리방법
KR101342158B1 (ko)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티엠 가축개체정보 인식 및 관리가 용이한 축사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Kean The importance of traceability for public health and consumer protection
US5478990A (en) Method for tracking the production history of food products
Madec et al. Traceability in the pig production chain
Crandall et al. Whole-chain traceability, is it possible to trace your hamburger to a particular steer, a US perspective
WO2003027718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meat products
CN103279815A (zh) 一种屠宰信息溯源系统及方法
Knaflewska Quality assurance systems in food industry and health security of food
KR100749511B1 (ko) 도축가공 시스템
KR101108097B1 (ko) 축산물의 이력 및 판매관리방법
KR20130138593A (ko) 돈육의 이력 확인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87340A (ko) 역학조사가 용이한 묶음번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353788B (zh) 基于物联网的畜禽溯源方法和系统
Niemi et al. Salmonella control programme of pig feeds is financially beneficial in Finland
CN105321138A (zh) 一种基于rfid技术的食品追溯系统
Karlsen et al. Traceability: Simulated recall of fish products
Shariff et al. Simulating the track and trace of halal chicken meat produce
KR102443508B1 (ko)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축산물 부분육 부위 자동 판별 시스템
Campuzano et al. Meat shortage in the United States: A review of the effects of COVID-19 on the meat industry
KR20200001812A (ko) 블록체인 기반의 축산가공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1158748B1 (ko) 통합모듈을 통한 위해 축산물 감지방법
KR20180109168A (ko) 돼지도축 시스템
Riaz et al. HACCP and Halal
Jensen Food-system risk analysis and HACCP
Sun et al. A traceability system for beef products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in China
Louw Traceability in the red meat industry: Where do we st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