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294A -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294A
KR20220087294A KR1020200177844A KR20200177844A KR20220087294A KR 20220087294 A KR20220087294 A KR 20220087294A KR 1020200177844 A KR1020200177844 A KR 1020200177844A KR 20200177844 A KR20200177844 A KR 20200177844A KR 20220087294 A KR20220087294 A KR 20220087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uwb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379B1 (ko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웍스
Priority to KR102020017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3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특정 영역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통제 권한을 ID 카드에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이미지, 상태 정보, 부서명, 이모티콘을 입력받아 출입자 정보 갱신하고, 커스터마이징하여 전자종이 형태로 출력하도록 하며, 특정 영역 내에서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하여 ID 카드로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D Card by using Electronic Pap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홈오토메이션과 같이 일상생활에서의 많은 기능들이 자동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출입문의 경우 사람을 식별하여 오픈되었던 초기 자동문에서 지문이나 태그 등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경우에 온오프(on/off) 또는 락(lock) 동작을 수행한다.
근래에는 지그비 방식을 통해 태그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태그를 리딩하고 태그식별정보가 인증되는 경우에 도어를 오픈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제공하고 있다. Io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출입의 편의를 제공하거나 거주지에서 태그를 활용한 다양한 자동화 서비스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본 실시예는 특정 영역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통제 권한을 ID 카드에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이미지, 상태 정보, 부서명, 이모티콘을 입력받아 출입자 정보 갱신하고, 커스터마이징하여 전자종이 형태로 출력하도록 하며, 특정 영역 내에서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하여 ID 카드로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특정 영역 내에 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출입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특정 영역 내에 비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방문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특정 영역으로 출입 가능한 정보를 태그에 저장하며,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전자종이(Electronic Paper)형태로 출력하는 ID 카드;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상기 ID 카드 내에 삽입하도록 하며,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하는 ID 카드 관리서버; 및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 상기 위험지역 정보, 상기 안전정보, 상기 접촉 경보를 입력받아 상기 ID 카드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특정 영역 내에 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출입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영역 내에 비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방문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ID 카드 관리서버에서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 상기 위험지역 정보, 상기 안전정보, 상기 접촉자 경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과정; ID 카드에서 상기 특정 영역으로 출입 가능한 정보를 태그에 저장하며,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전자종이(Electronic Paper)형태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영역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통제 권한을 ID 카드에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이미지, 상태 정보, 부서명, 이모티콘을 입력받아 출입자 정보 갱신하고, 커스터마이징하여 전자종이 형태로 출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영역 내에서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하여 ID 카드로 출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5,6,7은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관리자 단말기(120), ID 카드 관리서버(130), 게이트웨이(140), ID 카드(150)를 포함한다. 카드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ID 카드 관리서버(13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특정 영역 내에 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출입자 식별정보(이모티콘, 상태 정보, 부서명)를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ID 카드 관리서버(130)를 경유하여 ID 카드(150) 상에 EPD(Electrophoreric Display)(230)로 출력되는 이모티콘, 상태 정보, 부서명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ID 카드 관리서버(13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관리자 단말기(120)는 특정 영역 내에 비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방문자 식별정보(방문자, 정기출장, 협력업체, 출입기간, 방문층수, 방문자 이름)를 입력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장치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에 방문자, 정기출장, 협력업체를 표시한 방문증을 발급할 수 있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에 출입시 방문자에게 방문자 식별정보(방문자1), 출입기간, 방문층수, 방문자 이름을 포함하는 방문증을 발급할 수 있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에 다양한 정보(위험지역)를 표시하도록 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에 출입통제 권한을 부여하고, 출입자 정보 갱신하고, 커스터마이징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에 상태정보(부가적인 이모티콘, 부서명, 위험지역 표시, 안전정보 표시)를 변경한다. 예컨대,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원자력 발전소인 경우, 방사선 노출량에 따른 위험지역을 ID 카드(150)에 표시할 수 있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게이트웨이(140)를 경유하여 ID 카드(150) 내에 삽입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를 새로 발급하거나 내부 정보를 수정할 때, 게이트웨이(140)를 경유하여 해당 정보를 ID 카드(150)로 삽입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출입자 식별정보, 방문자 식별정보를 ID 카드 내에 삽입하도록 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특정 영역 내에서 ID 카드(15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맵 상에 위험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140)로 전달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맵 상에 위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로 전달한다.
게이트웨이(140)는 ID 카드 관리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출입자 식별정보, 방문자 식별정보,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 경보를 ID 카드(150)로 전달한다.
ID 카드(150)는 UWB 태그를 포함한 신분증을 의미한다. ID 카드(150)는 전자종이를 이용하여 사원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ID 카드(1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으로 인한 전환 명령을 기반으로 EPD(230)로 출력되는 이미지를 전환한다.
ID 카드(150)는 사원증에 필요한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이미지로서 EPD(230)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ID 카드(150) 내의 전자종이 하단에 근거리 통신모듈(220)을 포함한다. ID 카드(150)는 사원증을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근거리 통신모듈(220)에 포함된 NFC 모듈(228)과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출입을 통제한다. ID 카드(150) 내에 EPD(230)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ID 카드(150)는 특정 영역으로 출입 가능한 정보를 태그에 저장한다. ID 카드(150)는 출입자 식별정보, 방문자 식별정보를 전자종이(Electronic Paper)형태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의 내부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ID 카드(150)는 BLE 모듈(222) 및 지그비 모듈(224)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40)와 통신한다. ID 카드(150)는 게이트웨이(14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EPD(230) 상에 표시한다. ID 카드(150)는 태그에 부착된 NFC 모듈(228)을 이용하여 기존 ID 카드 기능을 제공한다. ID 카드(150)는 태그 내 메모리에 EPD(230)로 표출할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다.
ID 카드(150)는 EPD(230)를 이용하여 태그 내 메모리에 저장된 금일 회의 정보, 업무일정 정보를 출력한다. ID 카드(150)는 EPD(230)를 이용하여 접촉자 정보를 출력한다. ID 카드(150)는 전자 종이를 이용한 원 패스 태그로서 UWB 기술이 적용되어 사원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ID 카드(150)를 소지하는 원 패스 태그로서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ID 카드(150)는 근거리 통신모듈(220)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모듈(220)은 UWB(Ultra Wide Band) 모듈(226),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222), 지그비(ZigBee) 모듈(224),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228)을 모두 포함한다. ID 카드(150)는 UWB 모듈(226), BLE 모듈(222), 지그비 모듈(224), NFC 모듈(228)을 모두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ID 카드(15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대신 NFC 모듈(228)을 이용한다. ID 카드(150)는 NFC 모듈(228)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사원증 정보(이미지, 충전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150)는 태그(Tag), MCU(210), 근거리 통신모듈(220), EPD(230)를 포함한다. ID 카드(15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D 카드(15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ID 카드(15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태그(Tag)는 출입통제 권한 정보를 저장하며, 출입통제 권한 정보를 UWB(Ultra Wide Band)로 송출한다.
MCU(Micro Controller Unit)(210)는 ID 카드(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의미한다. MCU(210)는 ID 카드(15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MCU(210)는 ID 카드(15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CU(210)는 출입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사진 이미지, 상태 정보, 부서명, 이모티콘을 추출한 후 갱신된 정보를 반영하여 EPD(230)로 출력되도록 한다. MCU(210)는 ID 카드 관리서버(130)로부터 출입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태그 내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금일 회의 정보, 업무일정 정보를 출력하여 EPD(230)로 출력되도록 한다. MCU(210)는 방문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방문자, 정기출장, 협력업체, 출입기간, 방문층수, 방문자 이름을 EPD(230)로 출력되도록 한다.
MCU(210)는 1차적으로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가장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을 형성하도록 한다. MCU(210)는 2차적으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UWB 웨이크업 존(320)을 형성하도록 한다. MCU(210)는 3차적으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웨이크업 존(320) 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접촉 경보 존(330)을 형성하도록 한다.
MCU(210)는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게시(Bluetooth Advertising) 상태로 동작하면서,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 내로 진입하는 다른 ID 카드가 인지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MCU(210)는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면, UWB 모듈(226)을 웨이크 업 시키고,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웨이크업 존(320) 내에 다른 ID 카드(150)를 인식한 후 다른 ID 카드(150)와의 거리(예컨대, 2.6m)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UWB Ranging Activated) 시킨다.
MCU(210)는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 상태로 동작하다가 기 설정된 접촉 경보 존(33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어 다른 ID 카드(15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접촉 경보를 발생시키며, 접촉 정보를 ID 카드 관리서버(130)로 전송한다.
MCU(210)는 특정 영역 내에 진입한 출입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임직원의 출근 전으로 판단하여 회사정보만 표시하여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근거리 통신모듈(220)은 게이트웨이(140) 및 복수의 ID 카드(150)와 통신한다. 근거리 통신모듈(220)은 BLE 모듈(222), 지그비 모듈(224), UWB 모듈(226), NFC 모듈(228)을 포함한다.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222)은 게이트웨이(140) 및 복수의 ID 카드(150)와 통신한다. 지그비(Zigbee) 모듈(224)은 게이트웨이(140)와 통신한다. UWB(Ultra Wide Band) 모듈(226)은 UWB 대역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40) 및 복수의 ID 카드(150)와 통신한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228)은 게이트웨이(140)와 통신한다.
EPD(Electrophoreric Display)(230)는 출입자 식별정보, 방문자 식별정보를 출력한다.
도 3,4,5,6,7은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방역관리 접근을 기록 및 관리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각각의 ID 카드(150)에 탑재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근접한 (2m 이내) 접촉자를 정밀하게 판단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접촉자 정보를 ID 카드(150)의 EPD(230)에 표시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위치에 따른 정보를 이용하여 ID 카드(150)를 관리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협력업체, 외부 방문자의 경우 방문금지 구역에 접근한 경우 ID 카드(150)의 EPD(230)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화재 및 재난 긴급상황 발생 시 ID 카드(150) 내의 태그의 전자표시기의 경고 정보 및 대피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특정 영역 내에서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임계치 이내로 가까워진 ID 카드들을 접촉자로 분류하여 접촉자 정보를 생성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접촉자 정보를 ID 카드(150) 상에 출력하도록 한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 별로 접촉 정보를 누적하여 접촉자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카드(150)는 1차적으로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을 형성한다. ID 카드(150)는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가장 커버리지가 넓은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을 형성한다.
ID 카드(150)는 2차적으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웨이크업 존(320)을 형성한다. ID 카드(150)는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UWB 웨이크업 존(320)을 형성한다.
ID 카드(150)는 3차적으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접촉 경보 존(330)을 형성한다. ID 카드(150)는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웨이크업 존(320)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접촉 경보 존(330)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카드(150)는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게시(Bluetooth Advertising) 상태로 동작한다. 다시 말해, ID 카드(150)를 소지한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이동하는 경우, ID 카드(150)는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게시 상태로 동작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카드(150)는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게시 상태로 동작하다가 기 설정된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면, UWB 모듈(226)을 웨이크 업 시킨다.
ID 카드(150)는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웨이크업 존(32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어 다른 ID 카드(150)와의 거리(예컨대, 2.6m)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UWB Ranging Activated) 시킨다.
다시 말해,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1 사용자가 다른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2 사용자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가까워진 경우(예컨대, 2.6m), 제1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와 제2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에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UWB Ranging Activated) 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카드(150)는 BLE 모듈(222)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게시 상태로 동작하다가 기 설정된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31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면, UWB 모듈(226)을 웨이크 업 시킨다.
ID 카드(150)는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웨이크업 존(32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어 다른 ID 카드(150)와의 거리(예컨대, 2.7m)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UWB Ranging Activated) 시킨다.
다시 말해,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1 사용자가 다른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2 사용자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가까워진 경우(예컨대, 2.7m), 제1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와 제2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에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UWB Ranging Activated) 시킨다.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1 사용자가 다른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3 사용자와 기 설정된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가까워진 경우(예컨대, 2.7m), 제1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와 제3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에서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UWB Ranging Activated) 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카드(150)는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 상태로 동작하다가 기 설정된 접촉 경보 존(33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면, 접촉 경보를 발생시킨다.
ID 카드 관리서버(130)는 ID 카드(150)에서 접촉 경보 존(33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면, ID 카드(150)에서 접촉 경보를 발생되도록 한다. ID 카드(150)는 UWB 모듈(226)을 이용하여 UWB 웨이크업 존(320) 내에 다른 ID 카드(150)가 인식되어 다른 ID 카드(150)와의 거리(예컨대, 1.4m)가 기 설정된 제2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접촉 경보를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1 사용자가 다른 ID 카드(150)를 소지한 제3 사용자와 기 설정된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가까워진 경우(예컨대, 1.4m), 제1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와 제3 사용자가 소지한 ID 카드(150)에서 접촉 경보를 발생 시킨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ID 카드(150)는 임직원의 출근 전에 회사정보만 표시하여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ID 카드(150)는 직원의 사무실 출입 인증시부터 직원정보로 무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변경한다. ID 카드(150)는 임직원의 경우, 직원 사진 및 조직 정보도 무선으로 자동 변경한다. ID 카드(150)는 임시 출입 및 파견 직원의 경우 출입기간 등의 임시 정보를 표시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ID 카드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ID 카드(15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관제장치(920)는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9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한다. 관제장치(920)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제1 방향으로 평행하여 일정거리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3 안테나는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 안테나의 일직선 상에 된다.
출입문(910)의 등급은 제1 등급, 제2 등급, 제3 등급, 제4 등급으로 분류된다.
제1 등급은 건물의 외부와 인접하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등급을 의미한다. 제2 등급은 건물의 내부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출입문에 상응하는 등급을 의미한다. 제3 등급은 건물의 내부에서 사유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등급을 의미한다. 제4 등급은 건물의 주차 공간에서 주차외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등급을 의미한다.
관제장치(920)는 ID 카드(150)로부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한다. 관제장치(920)는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ID 카드(150)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ID 카드(150)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태그식별정보를 출입제어서버(930)로 전송한다.
관제장치(920)는 웨이크업 신호가 송출된 후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ID 카드(150)까지의 제1 거리를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태그식별정보가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고려하여 ID 카드(150)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주변에 인접한 다른 관제장치로부터 ID 카드(150)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2 벡터를 전달받는다. 관제장치(920)는 제1 벡터 및 제2 벡터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ID 카드(150)에 대한 제2 거리를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산출된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ID 카드(150)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산출된 제1 거리 및 제2 거리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관제장치(920)는 계산된 평균값을 ID 카드(150)와의 거리로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 관제장치(920)는 출입문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출입문(910)이 위치한 층수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관제장치(920)는 ID 카드(150)의 탑승 이후 사전에 등록된 층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관제장치(920)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이차원 평면 상에서의 ID 카드(150)로 향하는 방향을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제1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로부터 제2 이차원 평면 상에서의 ID 카드(150)로 향하는 방향을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제1 및 제2 이차원 평면상에서 ID 카드(150)로 향하는 방향을 조합하여 ID 카드(150)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관제장치(920)는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한다. 관제장치(920)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한다. 관제장치(920)는 ID 카드(150)로부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한다.
관제장치(920)는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ID 카드(150)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관제장치(920)는 ID 카드(150)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태그식별정보와 출입문(910)에 대한 출입문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출입제어서버(930)는 관제장치(920)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출입제어서버(930)는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출입문(910)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입제어서버(930)는 판단 결과를 확인하여 온오프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한다. 출입제어서버(930)는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관제장치(920)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한다.
출입제어서버(930)는 관제장치(920)로 출입문 제어 신호와 함께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회신한다. 출입제어서버(930)는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한다. 출입제어서버(930)는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출입문(910)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게이트웨이는 온오프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출입제어서버(930)로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출입자동화 시스템은 홈네트워크서버(940)와 연동하여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주자가 특정 출입문을 출입하는 경우 관제장치(920) 또는 출입제어서버(930)는 관련 정보를 홈네트워크서버(940)에 제공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서버(940)는 월패드 등을 통해 입주자에 대한 동선이나 현재 위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관리자 단말기
130: ID 카드 관리서버
140: 게이트웨이
150: ID 카드
210: MCU
220: 근거리 통신모듈
222: BLE 모듈
224: 지그비 모듈
226: UWB 모듈
228: NFC 모듈
230: EPD

Claims (15)

  1. 특정 영역 내에 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출입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특정 영역 내에 비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방문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특정 영역으로 출입 가능한 정보를 태그에 저장하며,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전자종이(Electronic Paper)형태로 출력하는 ID 카드;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상기 ID 카드 내에 삽입하도록 하며,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하는 ID 카드 관리서버; 및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 상기 위험지역 정보, 상기 안전정보, 상기 접촉 경보를 입력받아 상기 ID 카드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출입통제 권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출입통제 권한 정보를 UWB(Ultra Wide Band)로 송출하는 태그(Tag);
    상기 게이트웨이 및 다른 ID 카드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EPD(Electrophoreric Displa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 및 다른 ID 카드와 통신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지그비(Zigbee) 모듈;
    UWB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다른 ID 카드와 통신하는 UWB(Ultra Wide Band) 모듈;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사진 이미지, 상태 정보, 부서명, 이모티콘을 추출한 후 갱신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EPD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ID 카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태그 내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금일 회의 정보, 업무일정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EPD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방문자, 정기출장, 협력업체, 출입기간, 방문층수, 방문자 이름을 상기 EPD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 관리서버는,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임계치 이내로 가까워진 ID 카드들을 접촉자로 분류하여 상기 접촉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접촉자 정보를 상기 ID 카드 상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BLE 모듈을 이용하여 가장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을 형성하며,
    상기 UWB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UWB 웨이크업 존을 형성하며,
    상기 UWB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UWB 웨이크업 존 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접촉 경보 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BLE 모듈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게시(Bluetooth Advertising) 상태로 동작하면서, 상기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 내로 진입하는 상기 다른 ID 카드가 인지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블루투스 웨이크업 존 내에 다른 ID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UWB 모듈을 웨이크 업 시키고, 상기 UWB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UWB 웨이크업 존 내에 상기 다른 ID 카드를 인식한 후 상기 다른 ID 카드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UWB 모듈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UWB Ranging Activated)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UWB 모듈을 이용하여 UWB 범위를 활성화 상태로 동작하다가 기 설정된 상기 접촉 경보 존 내에 상기 다른 ID 카드가 인식되어 상기 다른 ID 카드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접촉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접촉 정보를 상기 ID 카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 관리서버는
    상기 ID 카드 별로 상기 접촉 정보를 누적하여 상기 접촉자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 관리서버는
    상기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맵 상에 위험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며,
    상기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맵 상에 위험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진입한 출입 정보를 수신하기 전까지 임직원의 출근 전으로 판단하여 회사정보만 표시하여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시스템.
  15. 사용자 단말기에서 특정 영역 내에 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출입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영역 내에 비정기적으로 출입을 인증하는 방문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ID 카드 관리서버에서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상기 ID 카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지역 정보, 안전정보, 접촉자 경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 상기 위험지역 정보, 상기 안전정보, 상기 접촉자 경보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과정;
    ID 카드에서 상기 특정 영역으로 출입 가능한 정보를 태그에 저장하며, 상기 출입자 식별정보, 상기 방문자 식별정보를 전자종이(Electronic Paper)형태로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 제공 방법.
KR1020200177844A 2020-12-17 2020-12-17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9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44A KR102493379B1 (ko) 2020-12-17 2020-12-17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44A KR102493379B1 (ko) 2020-12-17 2020-12-17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94A true KR20220087294A (ko) 2022-06-24
KR102493379B1 KR102493379B1 (ko) 2023-01-30

Family

ID=8221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44A KR102493379B1 (ko) 2020-12-17 2020-12-17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3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384B1 (ko) * 2015-02-26 2016-04-01 김기동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 카드
KR101873847B1 (ko) * 2016-07-21 2018-07-04 (주)인프라칩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72523B1 (ko) * 2019-09-06 2020-02-04 이학경 무선신호기반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식태그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00140023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384B1 (ko) * 2015-02-26 2016-04-01 김기동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 카드
KR101873847B1 (ko) * 2016-07-21 2018-07-04 (주)인프라칩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40023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2523B1 (ko) * 2019-09-06 2020-02-04 이학경 무선신호기반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식태그의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379B1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94091U (zh) 新型rfid身份识别电力工具柜及安全工器具智能管理系统
CN109074689B (zh) 用于被动建筑信息发现的系统和方法
JP5436748B2 (ja) 人が出入りできる区域、特に扉によって閉ざされた空間への出入りを規制する方法
KR102097755B1 (ko)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연동시스템 및 방법
US10740995B2 (en)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US10134255B2 (en) Digital future now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JP6515837B2 (ja) 識別システム
AU2024201928A1 (en) Object Monitoring
US11172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nel accountability and tracking during public safety incidents
US107334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hysical object to be shared by several potential users
KR102493379B1 (ko) 전자 종이를 이용한 id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ahalakshmi et al. Home security system using GSM
Qasim et al. Real-ti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gration of internet of things and global system of mobile using Raspberry Pi
KR100869293B1 (ko)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210377604U (zh) 一种多功能社区门禁系统
Artem et al. Structure and model of the smart house security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JP200628329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方法、および入退室管理プログラム
KR102128191B1 (ko)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알림 서비스 장치
CN110718009A (zh) 一种云可视智能化生活门禁的实现方法
JP6508860B1 (ja) アドオン型制御器および制御システム
Kaur et al. Impact of Internet of Things on Automation of Home Gadgets-A Systematic Review
AU2020201085B2 (en) Land mobile radio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R102644026B1 (ko) Ai 기반의 고독사 관리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제어박스
Kapić et al. Control of a Smart Security Object using an Arduino Platform and a GSM Controller
CN217238835U (zh) 基于物联网的低功率门禁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