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199A - 오토바이 보호구 - Google Patents

오토바이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199A
KR20220086199A KR1020200176422A KR20200176422A KR20220086199A KR 20220086199 A KR20220086199 A KR 20220086199A KR 1020200176422 A KR1020200176422 A KR 1020200176422A KR 20200176422 A KR20200176422 A KR 20200176422A KR 20220086199 A KR20220086199 A KR 2022008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airbag
protector
inflato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주한
박원배
김태승
박건희
홍성민
Original Assignee
가주한
박원배
김태승
박건희
홍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주한, 박원배, 김태승, 박건희, 홍성민 filed Critical 가주한
Priority to KR102020017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199A/ko
Publication of KR2022008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62J27/20Airbag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stressed vibrating elements, e.g. of stressed strings
    • G01P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오토바이 보호구가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의 내부에 내장되며, 표면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되는 에어백; 과,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를 생성하는 인플레이터; 와,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와,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 및 상기 기울기가 제1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충격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인플레이터를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토바이 보호구{AUTOBICYCLE SHIELD}
본 발명은 오토바이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내장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오토바이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배달 앱과 배달 대행서비스의 발전으로 배달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달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오토바이 운전자에게는 시간과 수입이 정비례한다. 따라서, 보다 빠른 배달을 위해 과속 운전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이유에서 오토바이 운전자의 사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운전자는 운행 중 발생하는 사고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헬맷을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넘어질 때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필요 시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구들은 충격을 완화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오토바이 운전자를 사고로부터 근본적으로 보호할 수 없다. 현재, 배달 운전을 하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은 사고로부터 신체를 보호받을 수 있는 안전한 보호장비가 없어, 안전에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55991호(1998.10.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내장 에어백을 작동시킴으로써 오토바이 운전자를 운행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오토바이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토바이 보호구에 내장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넘어지는 방향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에어백 영역을 팽창시킴으로써 오토바이 운전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오토바이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토바이 보호구는,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의 내부에 내장되며, 표면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되는 에어백; 과,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를 생성하는 인플레이터; 와,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와,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 및 상기 기울기가 제1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충격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인플레이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는 운전자의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신체 부위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신체 부위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제2영역과 상기 신체 부위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3영역 및 상기 신체 부위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4영역을 포함하는 에어백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향 및 이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에어백 영역이 팽창하도록 해당 에어백 영역에 위치한 상기 주입구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있어서, 운전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운전 속도와 기울어지는 방향 및 외부 충격 방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전자가 넘어지는 경우 가장 먼저 땅에 닿게 되는 상기 에어백 영역을 판단하고, 해당 에어백 영역에 위치한 상기 주입구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있어서,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동작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위치측정센서가 측정한 운전자의 위치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토바이 보호구를 착용한 오토바이 운전자가 운행 중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넘어지는 방향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에어백 영역을 팽창시킴으로써 오토바이 운전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운행 사고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를 동작시키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오토바이 운전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머리, 무릎, 척추, 팔꿈치, 인대 등의 신체 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착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해당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무릎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오토바이 운전자의 무릎에 착용될 수 있다. 오토바이 사고 발생 시 부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신체 부위의 비율을 분석해보면, 다리, 그 중에서도 무릎의 비율이 가장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오토바이 보호구(100)가 무릎에 착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실시예에 따라, 머리, 팔꿈치, 척추, 인대 등의 신체 부위에 착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제1보호부(110), 제2보호부(120), 연결부(130), 에어백(140), 연결 버클(112, 122) 및 연결 끈(114, 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보호부(110)는 오토바이 보호구(100)의 상부를 구성하며, 착용 시 운전자의 무릎 일부와 무릎 위쪽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보호부(120)는 오토바이 보호구(100)의 하부를 구성하며, 착용 시 운전자의 무릎 일부와 무릎 아래쪽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1보호부(110)와 제2보호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30)는 착용 시 운전자의 무릎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140)은 오토바이 보호구(10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140)은 공기나 가스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연결 버클(112, 122)과 연결 끈(114, 124)은 서로 결합되어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운전자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끈(114)은 제1연결 버클(112)에 삽입되어, 제1보호부(110)를 운전자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끈(124)은 제2연결 버클(122)에 삽입되어, 제2보호부(120)를 운전자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보호부(110)와 제2보호부(120)는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착용한 운전자가 다리를 자유롭게 굽힐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보호하려면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토바이 운전자는 운전과 배달 동작을 모두 수행해야 하므로,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견고한 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이거나 동작하는데 불편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무릎을 중심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두 영역을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오토바이 운전자는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움직이고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에어백(210), 인플레이터(220), 자이로 센서(230), 충격 감지 센서(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210)은 오토바이 보호구(10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210)은 공기나 가스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소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운전자의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210)은 신체 부위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제1영역과 신체 부위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제2영역과 신체 부위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3영역 및 신체 부위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4영역을 포함하는 에어백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백(210)의 표면에는 제1영역과 제2영역과 제3영역 및 제4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210)은 표면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가스가 주입되면, 소정 형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220)는 에어백(210)의 주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220)는 동작하여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인플레이터(220)는 Co2 인플레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30)는 오토바이 보호구(10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230)는 9축 자이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30)는 해당 센서의 AX축을 이용해 기울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X축과 Y축을 사용하여 오토바이가 넘어질 시의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인플레이터(220)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240)는 오토바이 보호구(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오토바이 보호구(100)의 기울기가 제1기준값 이상이거나, 오토바이 보호구(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인플레이터(2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50)는 오토바이 보호구(10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향 및 이에 인접하여 위치한 에어백 영역이 팽창할 수 있도록 해당 에어백 영역에 위치한 주입구에 인플레이터(22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위치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센서는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착용한 오토바이 운전자의 운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운전 속도의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측정센서는 GPS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센서는 운전자의 이동경로 및 사고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운전 속도와 기울어지는 방향 및 외부 충격 방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전자가 넘어지는 경우 가장 먼저 땅에 닿게 되는 에어백 영역을 판단하고, 해당 에어백 영역에 위치한 주입구에 인플레이터(2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인플레이터(220)를 동작시키는 것과 동시에, 위치측정센서가 측정한 운전자의 현재 위치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교통정보와 사고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중앙관리서버로서, 운전자의 사고 위치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를 동작시키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토바이 운전자의 사고는 대부분 튕겨져 나가기 보다는, 넘어짐으로 인해 지면과 부딪히거나 쓸림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신체 부위 중에서 지면과 가장 빨리 부딪히는 영역을 판단하고, 해당 영역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함으로써 부상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오토바이 보호구(10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향 및 이에 인접하여 위치한 에어백 영역이 팽창하여 부풀어오르도록 해당 에어백 영역에 위치한 주입구에 인플레이터(22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착용한 운전자가 넘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운전자가 넘어지는 경우, 자이로 센서(230)는 기준축을 중심으로 기울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a에서 자이로 센서(230)는 XZ축을 기준으로 각도 θ만큼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도 3b는 오토바이 보호구(100)가 에어백(210)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운전자는 왼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이 경우, 운전자의 왼쪽 다리에 대해서 왼쪽 영역, 즉 바깥쪽 영역이 먼저 지면에 닿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에어백의 좌측 영역과 이에 인접한 영역들에 공기를 주입시켜 팽창시킨다.
도 3b를 참조하면, 에어백(210)은 신체 부위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제1영역(310)과, 신체 부위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제2영역(320)과, 신체 부위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3영역(330) 및 신체 부위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4영역(34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제1영역(310)과 제3영역(330) 및 제4영역(340)에 위치한 주입구(315, 335, 345)에 인플레이터(220)를 연결시켜 팽창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에어백 영역들의 팽창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에 먼저 닿게 되는 에어백 영역들을 먼저 팽창시키고, 그 외 영역들을 순차적으로 팽창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고 발생 시 오토바이에 충격이 가해지고, 오토바이는 바퀴가 작아 미끄러지듯이 한 방향으로 기울어 넘어지게 된다. 넘어지는 과정에서 내장된 자이로 센서(230)가 특정 각도 이상으로 쓰러짐을 감지한다. 이 경우, 자이로 센서(230)는 제어부(250)에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250)는 인플레이터(220)를 즉시 작동시켜 에어백(210)을 터지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을 시작한다(S401).
오토바이 운전자는 오토바이 보호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오토바이에 탑승하고 시동을 건다. 시동을 걸면 GPS 센서에 전원이 켜지며, 좌표 및 속도 정보를 제어부(250)에 전송할 수 있다.
기울기 및 외부 충격을 감지한다(S402).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230)는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고, 기울기의 각도값을 판단한다. 또한, 충격 감지 센서(24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다.
기울기가 제1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403).
만일, 기울기가 제1기준값 이상이면(S403-Yes), 인플레이터(220)를 동작시킨다(S405).
반면, 기울기가 제1기준값 미만이면(S403-No), 외부 충격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404). 이 경우, 외부 충격이 제2기준값 미만이면(S404-No), S402 단계로 되돌아가 기울기 및 외부 충격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 수행한다. 외부 충격이 제2기준값 이상이면(S404-Yes), 인플레이터(220)를 동작시킨다(S405).
인플레이터(220)가 동작되면, 가스가 생성되고(S406), 생성된 가스가 에어백에 주입된다(S407). 이에 의해, 에어백(210)은 팽창되게 된다. 팽창한 에어백(210)이 운전자의 무릎 부위를 외상으로부터 보호한다.
기존의 차량용 에어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차량용 에어백은 충격이 가해지면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화약을 터트리는 방식을 적용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센서가 기울기와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가스를 분출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방식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100)는 보호구 형식으로 휴대와 장착이 편리하며 무릎 보호대뿐만 아니라 다른 관절부위의 보호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오토바이 보호구는 관절만 보호하는 방식인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는 관절을 보호하는 것뿐 아니라 보호구의 에어백을 전개한 후 지면으로부터 공간을 확보하여 허벅지와 종아리의 쓸림과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센서가 기울기 및 충격을 감지하고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운전자를 사고로부터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다. 즉, 센서를 사용하여 에어백의 동작 시점을 결정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보다 신속하게 에어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빠르게 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토바이 보호구(100)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고 발생 시 알람 및 위치를 전송함으로써, 보호자들이 빠르게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서버를 구축하여 관제실의 SOS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구 형태로 제작되기에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관절부위의 부상위험을 줄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보호구는 오토바이 외에도 자전거, 전동 킥보드 등의 보호구로서 착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적용 분야의 확장을 통해, 산업현장에서의 보호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오토바이 보호구 110: 제1보호부
112, 122: 연결 버클 114, 124: 연결 끈
120: 제2보호부 130: 연결부
140, 210: 에어백 220: 인플레이터
230: 자이로 센서 240: 충격 감지 센서
250: 제어부

Claims (6)

  1. 오토바이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의 내부에 내장되며, 표면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되는 에어백;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를 생성하는 인플레이터;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 및
    상기 기울기가 제1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충격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인플레이터를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는, 운전자의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신체 부위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신체 부위의 우측면에 대응하는 제2영역과 상기 신체 부위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3영역 및 상기 신체 부위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4영역을 포함하는 에어백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오토바이 보호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 보호구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향 및 이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에어백 영역이 팽창하도록 해당 에어백 영역에 위치한 상기 주입구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연결하는, 오토바이 보호구.
  4. 제2항에 있어서,
    운전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운전 속도와 기울어지는 방향 및 외부 충격 방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운전자가 넘어지는 경우 가장 먼저 땅에 닿게 되는 상기 에어백 영역을 판단하고, 해당 에어백 영역에 위치한 상기 주입구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연결하는, 오토바이 보호구.
  5. 제1항에 있어서,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동작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위치측정센서가 측정한 운전자의 위치를 서버에 전송하는, 오토바이 보호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이산화탄소인, 오토바이 보호구.
KR1020200176422A 2020-12-16 2020-12-16 오토바이 보호구 KR2022008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22A KR20220086199A (ko) 2020-12-16 2020-12-16 오토바이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22A KR20220086199A (ko) 2020-12-16 2020-12-16 오토바이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99A true KR20220086199A (ko) 2022-06-23

Family

ID=8222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422A KR20220086199A (ko) 2020-12-16 2020-12-16 오토바이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1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4249A1 (en) * 2023-03-03 2024-09-12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991U (ko) 1998-06-17 1998-10-07 음성진 에어백이 내장된 어깨 및 무릎 보호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991U (ko) 1998-06-17 1998-10-07 음성진 에어백이 내장된 어깨 및 무릎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4249A1 (en) * 2023-03-03 2024-09-12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0046B2 (ja) モータバイク乗員用の多部品保護衣
US6032299A (en) Jacket for reducing spinal and compression injuries associated with a fall from a moving vehicle
KR101302175B1 (ko) 신체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31718A1 (en) Airbag device for the body
KR102136171B1 (ko) 낙상으로 인한 부상 방지용 힙 에어백을 구비한 벨트 장치 및 이에 대한 작동방법
AU2016253609B2 (en) A structure to absorb, dissipate and measure a force
WO2019022675A1 (en) PORTABLE APPARATUS,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WO1997016084A9 (en) Jacket for reducing spinal and compression injuries associated with a fall from a moving vehicle
US12108816B2 (en) Wearable protection device
KR101230437B1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에어조끼
EP3326476B1 (en) Airbag that can be adapted to a helmet
KR20220086199A (ko) 오토바이 보호구
CN107107980B (zh) 用于儿童座椅的可充气保护
CN116138532A (zh) 运动头盔
KR101064145B1 (ko)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KR101667476B1 (ko) 이륜차의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KR20180075219A (ko)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KR20170092196A (ko) 휴대용 에어백
JPH10310919A (ja) 防護服
KR101054350B1 (ko) 이륜차 운전자 보호복
EP1208829B1 (en) Tipping impact absorbing device for wheelchair
US20230248101A1 (en) Wearable protection device
JP6063110B2 (ja) 人体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3126283A (ja) 人体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417173B1 (ko) 전동 킥보드용 탑승자 보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