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021A -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021A
KR20220086021A KR1020200176104A KR20200176104A KR20220086021A KR 20220086021 A KR20220086021 A KR 20220086021A KR 1020200176104 A KR1020200176104 A KR 1020200176104A KR 20200176104 A KR20200176104 A KR 20200176104A KR 20220086021 A KR20220086021 A KR 2022008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drain
drainage
pip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401B1 (ko
Inventor
박영범
박장호
Original Assignee
박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범 filed Critical 박영범
Priority to KR102020017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4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동 주택의 다층 구조에서 층별로 구분된 개별 주택 중 어느 하나에 배수 설비가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며,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저장 또는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통합 벤트 드레인 및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듀얼 벤트 드레인; 및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의 측면 또는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연결되어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하부의 외부 하수구로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하나의 공통 배관;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drain system for integrated bent at an apartment}
본 발명은 배기 및 배수용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형성된 이동 차단부의 자체 무게에 따른 자유 낙하를 이용하여 공기통기, 배수의 용이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배기 및 배기용 통합 벤트 드레인과 이를 공동주택에 적용한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면이나 음식물 배수구에는 하수관과 함께 배수트랩이 매설되는데, 이러한 배수트랩은 그 후방에 하수관이 연결되어 상기 배수트랩을 통하여 각종 생활오수가 하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트랩의 상부에는 걸음망이 장착되어 생활오수 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머리카락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걸러내어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수관이 막히지 않도록 하고, 상기 배수트랩은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한다.
이러한 배수트랩을 설치하더라도 오수를 배출시키게 되면 그 공간부를 통해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심한 불쾌함을 유발하거나, 벌레 등의 해충이 침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먼저, 선행특허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3-0125465호에서 개시된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은 욕조, 바닥배수, 세면기, 대변기의 트랩과 연결된 오배수관이 1차로 모여 수직으로 내려가는 배관고 수평횔지관의 사이의 엘보우 대신 설치되어 물내림 소음을 잡아주는 역할과 악취의 역류 현상을 막는 트랩 역할과 오수와 배수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하여 공기를 넣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을 제공한다.
선행특허와 같이, 기존 국내의 건축현장에서 공동주택 입주 후에 냄새 유입 하자 발생의 문제와 현황은 매우 복잡하다. 또한, 문제에 대한 개선 방향은 LH 주택공사 및 각 건설사에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우수한 성능과 기능을 갖는 배수구 신제품이 없어서 현, 기존 방식 선택과 현장에서 화장실, 베란다, 씽크대, 다용실 세탁기의 배수력, 공기통기장치, 계절에 관계없이 냄새 유입, 및 배수에 관한 민원이 발생하곤 한다.
최근 아파트 공동주택의 각종 건물 내부에 상당한 길이의 공기통기배관을 설치하는 것은 배수관 내의 천이와 정압으로 인한 여러가지 압력변동의 원인이 되어 배관의 마찰손실로 인하여 각종 봉수 트랩의 봉수가 파괴되어 천이 현상과 정압을 효과적으로 공기통기제어배수 및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 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배수관로의 공기가 필요로 하는 곳에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통기수직관 2관식의 배수통기설치로 경제성, 시공성, 편리성 측면에서 단점이지만, 좋은 대안이 없기에 배수관로 형태에 따라 각종 공기통기 배관 방식과 통기 밸브 방식이 있으나, 비용문제와 시공의 제한과 사후에 내구성에 따른 고장 발생이 높아 배수 시스템 관리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10-2028838(2019년 09월 27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설현장, 공동주택, 욕실 또는 각종 배수구에 건식트랩을 상부와 하부에 2중으로 구성하여, 배수구 내의 장력을 이용한 진공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공기통기와 냄새, 해충을 한번에 제어가 되는 공기 통기 배수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동 주택의 다층 구조에서 층별로 구분된 개별 주택 중 어느 하나에 배수 설비가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며,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저장 또는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통합 벤트 드레인 및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듀얼 벤트 드레인; 및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의 측면 또는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연결되어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하부의 외부 하수구로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하나의 공통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배수관내의 천이가 전체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연결된 모든 트랩에 영향을 미치는 배기 시스템을 제공하여 천이 형상과 정압에 의한 편중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봉수 파괴와 관계없이 냄새, 해충 차단 및 소음과 공기통기 및 배수력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을 2관식 또는 1관식 오배수 시스템에 설치하여, 배수구 시공과 동시에 간단하게 구성하여 배수구 관내의 공기통기와 배수구 공사시공을 한번에 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건설 현장의 기존 방식 대비 공기 통기 및 배수구 설비 공사에 소요되는 공정의 시간과 각종 자재비 및 노무비를 줄여 시공성, 공기단축, 관리성, 설계의 유연성 및 전체의 원가절감을 도모하여 경제성을 확보하여 각 건설사와 건축주의 친 환경 제품으로 절대적 필요성과 장점을 갖는다.
또한, 배수구의 트랩 내의 봉수 파괴가 없어 배수관 내 가스의 악취 실내 유입을 방지하고, 배수시스템 내의 발생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자재 낭비와 원가를 줄이고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트랩에 형성된 이동 차단부의 자체 무게에 따른 자유 낙하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스프링 구조 또는 무게추 부재의 자중에 의한 이동 없이도 가능하므로, 제조 비용의 저감 및 노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이동 차단부의 개방시에는 배수를 용이하게 하여 악취 발생의 미연에 방지하고, 이동 차단부의 폐쇄시에는 하수구 등으로부터의 외부 해충 유입을 차단하거나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적용하여 배수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적용한 배기 및 배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일반적인 통기배관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따른 제1 트랩의 정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측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의 배면도이고, 도 12b는 도 9a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의 분리사시도이며, 각각 13a는 정면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b는 배면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의 사시도이며, 각각 14a는 정면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14b는 배면에서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의 분리사시도이며, 각각 도 15a는 도 14a의 정면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5b는 도 14b의 배면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적용하여 배수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적용한 배기 및 배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은, 배수가 필요한 공간, 즉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에 매립 시공되어, 공기 통기와 배수를 통합하여 벤트 드레인 하나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은, 크게, 세면대 또는 욕조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저장 또는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트랩 이중 구조(100, 100a)와, 상기 트랩 이중 구조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320)과, 상기 상부 하우징(320)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330)를 구비한다.
이때, 트랩 이중 구조는 상부의 1 트랩(100)과 하부의 제2 트랩(100a)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트랩(100) 및 제2 트랩(100a)는 동일한 형태의 배수 및 배기용 트랩 구조로서 이동 차단부(120)를 통한 개폐 여부에 따라 상부 개구부(115)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 또는 오염수를 저장 또는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될 수 있게 하여 우수한 공기통기 및 배수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 트랩(100) 및 제2 트랩(100a)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320)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모두 빈 공간(322)과, 상기 빈 공간(322)의 상부에 제1 트랩(100)이 배치되는 상부 개구부(324)와, 상기 빈 공간(322)의 하부에 제2 트랩(100a)이 배치되는 하부 개구부(325)와, 측면에 형성되는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구(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 개구부(325)에 동일한 형태의 제1 트랩(100) 또는 제2 트랩(100a)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개구부(325)의 직경은 제2 트랩(100a)의 트랩 본체(1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제2 트랩 본체(110)가 상기 하부 개구부(325)를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조금 더 큰 직경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부 개구부(322)는 하부 개구부(325)보다 직경이 더 크므로, 동일한 형태의 제1 트랩 본체(110)가 안착되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부(3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14)는 상기 상부 하우징(320)의 상부 개구부(324)에 거치되며, 화장실 또는 욕조 등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개구부(324)와 연결될 뿐아니라 화장실 또는 욕조 등의 바닥 배수구와의 연결 또는 결합을 유도하는 유도 가이드(313)가 상기 가이드부(314)의 중심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유도 가이드(313)는 제1 트랩 본체(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의 반경이 커지는 계단식의 다단형태로 구성되어 바닥 배수구 또는 상부 개구부(324)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트랩 본체(110)는 외주에 플랜지(111)가 형성되어 상기 유도 가이드(313)가 거치할 수 있게 한다.
이어, 제1 트랩(100)이 유도 가이드(313) 및 상기 유도 가이드(313)를 지지하는 가이드부(314)를 통해 상부 하우징(320)의 상부 개구부(324)에 지지된다. 이때, 가이드부(314)에 나사산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의 돌기가 상부 하우징(320)의 상부 개구부(324)에서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의 홈을 형성하여 홈/돌기의 결합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가이드부(314)의 회전방향(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에 따라 결합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해제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부(314)가 상부 하우징(320)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탈부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이드(313)에 거치되는 제1 트랩(100)의 상부에는 생활오수 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머리카락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걸러낼 수 있는 걸럼망(3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걸렁망(312), 제1 트랩(100), 유도 가이드(313)가 거치되는 가이드부(314)를 커버하는 가이드부 커버(3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 커버(311)는 욕실 또는 발코니 배수구의 유가로 사용되며, 타일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고 사각형 또는 원형의 심플한 디자인으로 실내 인테리어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동일한 형태의 제1 트랩(100), 제2 트랩(100a)이 상부 하우징(320)에 결합되는 구조를 살펴보았다면, 이어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상부 하우징(320)에서 상부 개구부(324)를 통해 욕실 또는 베란다의 바닥으로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오염수는 상부 개구부(324)를 통해 유입되고, 측면에 형성된 연결구(321)는 세면대 또는 욕조의 배수구(301)와 연결되어 상기 세면대 또는 욕조의 이물질 또는 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320)은 상부 개구부(324)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오염수와 함께 있든 공기도 제1 트랩(100)을 통과하고, 측면의 연결구(321)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오염수와 함께 있든 공기도 제2 트랩(100a)을 통과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 트랩(100)의 상부에 오물질 여과 필터로서 걸럼망(3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트랩(100a)의 상부에도 오물질 여과 필터로서 메쉬망(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은, 배수가 필요한 공간, 즉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에 매립 시공되는 형태이므로, 상부 하우징(320)의 측면에 제1 연결구(321), 제2 연결구(321a), 제3 연결구 등의 다수개의 연결구를 형성하고, 다수개의 연결구를 통해서도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공기 통기와 배수를 통합하여 벤트 드레인(300) 하나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은 바닥 배수구 내에 상/하부 간단한 필터(걸럼망, 메쉬망)를 구성하고, 상부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트랩(100) 및 제2 트랩(100a)의 트랩 2중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320)에서 제1 트랩(100)이 유도 가이드(313)와 가이드부(314)를 통해 상부 개구부(324)에 거치되고, 제2 트랩(100a)이 하부 개구부(325)에 거치되는 구조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320)의 하부에서는 양측에 하부 개구부(325)와 연결되는 경사부(323)를 구비하여,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형을 형성하여 제2 트랩(100a)이 안정적으로 하부 개구부(325)에 거치될 수 있게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330)은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닫힌 구조의 중공부(33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332)는 상부 개방부에서 제2 트랩(100a)이 안착되게 하고, 측면은 하우징 배출구(33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220)의 상부 개구부(324) 또는 측면의 연결구(32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 또는 오염수와 함께 있든 공기도 상부 하우징(320)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330)의 측면에 형성된 하우징 배출구(334)를 통해 공기 배기 및 배수도 함께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하고 있는 통합 벤트 드레인(300)는 층상용 배수구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공동주택용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에서 층상용 배수구는 측면에 형성된 하우징 배출구(334) 구조이며, 하우징 배출구(334)를 하부 하우징(330)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중력방향 배출이 가능하게 층하용 배수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층하용 배수구 또는 층상용 배수구 구조여부는 타 구성요소를 동일 또는 거의 유사하며, 하우징 배출구(334)를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느냐 엘보우(elbow) 형태로 꺽어서 측면에 형성하느냐의 배치의 차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330)은 상기 중공부(332) 및 상기 중공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배출구(334)를 제외하고는 비어 있는 빈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하우징(330)의 하부에는 매설되는 하부면에서 양측으로 지지하는 받침대(331)를 형성한다. 이때, 받침대(331)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이 공기 통기 또는 배수시에 매설되는 하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시키므로, 아파트 등 다층 구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통합 벤트 드레인(300)에서 공기 통기 또는 배수시에 공기 배기 또는 오염수 등의 배수에서 누수가 없도록 밀폐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의 결합구조에서,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서 경사부(323)와 연결되고 'ㅅ' 형태로 갈라지는 길이 연장부(326)를 형성하고, 길이 연장부(32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 돌기가 하부 하우징의 상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 홈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홈/돌기의 결합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20)의 회전방향(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에 따라 결합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해제하는 방식으로 하부 하우징(330)에 상부 하우징(320)을 부착하거나 탈착시키는 탈부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14)와 상부 하우징(320)의 연결구조나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의 연결구조는 홈/돌기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의 연결을 통해 밀폐되어 공기 누설 또는 누수가 없는 진공 배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 하우징(32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트랩(100)과 제2 트랩(100a)가 거치되는 구조로서 이중 트랩 구조를 형성하는데,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의 결합을 통해 외부 하우징 구조에서 밀폐되어 진공 구조를 형성하고, 상부의 제1 트랩(100)과 하부의 제2 트랩(100)의 사이 공간에 빈공간(322)를 형성하여 창문 구조의 이중창에서 틈새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구현하여 별도의 공기압이 필요치 않게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은, 배수가 필요한 공간, 즉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에 매립 시공되어, 공기 통기와 배수를 통합하여 벤트 드레인 하나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트랩(100)과 제2 트랩(100a)가 거치되는 구조로서 이중 트랩 구조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1 트랩(100) 및 제2 트랩(100a)은 배수구내 오/배수량에 따라 물리적 역학으로 열림과 차단을 구현한다, 즉, 이중 트랩구조의 통합 벤트 드레인 하나로, 상기 제1 트랩 및 제2 트랩의 개방시에 공기 배기와 배수를 제공하고 폐쇄시는 공기 배기와 배수를 차단하여 공기통기와 배수를 능동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압력과 마찰 천이를 해소하고, 배수관내 공기통기와 배수력이 우수하여 냄새와 해충 각종 바이러스를 2단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욕조, 세면대, 씽크대, 다용도실 등에서 이중 트랩 구조의 2중 필터를 구현하여 통합 드레인 하나로 사후 청소 관리가 용이하게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측면에 형성된 상부 하우징(320)의 연결구(321)가 오배수 시스템의 유입관(301)(301a)과 연결되고, 이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와 이물질은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제2 트랩을 통과하여 오염수와 이물질이 하부 하우징(330)의 하우징 배출구(334)와 연결된 오배수 시스템의 유출관(302)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때,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중심 바닥에 형성되는 통합 벤트 드레인(300)은 캐스케이드(cascade) 형태로 제1 트랩(100)과 제2 트랩(100a) 직렬 형태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게 하고,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상부 하우징(320)의 연결구(321)와 연결되는 세면대와 세면대 유입관(301)이 연결되는 부분(빨간 점선 원)과, 욕조와 욕조 유입관(301a)가 연결되는 부분(빨간 점선 원)에도 배기 및 배수 트랩으로 제1 트랩(100)과 동일한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중심 바닥과 같이 캐스케이드(cascade) 형태가 아니지만 소정 거리 및 각도 경사로 이격된 상태로서, 세면대와 세면대 유입관(301)이 연결되는 부분(빨간 점선 원)과, 욕조와 욕조 유입관(301a)가 연결되는 부분(빨간 점선 원)에 형성되는 제1 트랩(100)과 통합 벤트 드레인의 제2 트랩(100a)와는 전체적으로 이중 트랩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1관식 오배수 통합 시스템 또는 2관식 오배수 시스템(오수와 배수 분리)을 현장에서 통합 벤트 배수구 시공과 동시에 간단하게 구성하여 배수구 관내의 공기통기와 배수구 공사시공을 한번에 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에서의 통합 배수 및 배기 시스템을 구현한 예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 욕실에는 세면대와, 샤워실, 변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욕실 배수 및 배기 시스템에서는 변기 오수는 별도의 배관을 따로 구성하고, 나머지 배수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하나로 구성하는 2관식 오배수 시스템(배수와 오수를 분리)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오수 시스템은 봉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습식(물) 구조의 배수관(303)을 형성하고, 배수 시스템은 욕실의 바닥면에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매설하는 건식 구조의 배수관(302)을 형성하여 실내 인테리어에서 디자인적 미감을 살릴 수 있게 한다.
가령, 욕실의 중심부 바닥에 통합 벤트 드레인(300)이 캐스케이드(cascade) 형태로 제1 트랩(100)과 제2 트랩(100a) 직렬 형태로 연속적으로 구성되게 설치된다. 또한, 세면대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세면대 유입관(301)과 샤워실 바닥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욕조 유입관(301)이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상부 하우징의 연결구(321)와 연결되어 유입된 배수와 공기가 통합 벤트 드레인(300)의 하부 제2 트랩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320)의 연결구(321)와 연결되는 세면대와 세면대 유입관(301)이 연결되는 부분(빨간 점선 원)과, 욕조와 욕조 유입관(301a)가 연결되는 부분(빨간 점선 원)에도 배기 및 배수 트랩으로 제1 트랩(100)과 동일한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욕실바닥의 중심은 캐스케이드(cascade) 형태로 구현되고, 세면대 유입 부분과 욕조 유입 부분(빨간 점선 원)은 소정 거리 및 각도 경사로 이격된 상태로서 이중 트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욕실 배수 구조에서 변기 오수는 봉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습식(물) 구조의 배수관(303)을 형성하고, 세면대 또는 욕실의 배수 구조에서는 욕실의 바닥면에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매설하는 건식 구조의 배수관(302)을 형성하여 실내 인테리어에서 디자인적 미감을 살릴 수 있게 한다. 이때, 건식 구조의 배수관(302)을 상기 습식 구조의 배수관(303)에 연결하여 오수 배수관(303) 통합하여 1 배관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적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와 함께 배기도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식이므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배수 트랩 또는 통기 배관으로 기능하며, 하수관로 또는 배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수라인 및/또는 통기라인 시공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계 및 공사가 간편하며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 경제성 확보가 가능하다. 배수구 공기통기용 배관, 통기밸브, P트랩, 소제구, 추가 공사가 없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욕실이나 화장실의 배수라인과 통기라인 시공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베란다에 설치되는 다용도실에도 중심 바닥에 캐시캐이드 구조의 통합 벤트 드레인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세탁기 배수구와 연결되거나 건조기 배수구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이중 트랩 구조를 설치하여 유사하게 배수라인에 적용할 수 있고, 배수와 함께 통기 또는 배기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층상용 배관 구조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하부 하우징의 하우징 배출구를 측면이 아닌 하부로 형성하여 층하용 배관 구조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층상용과 층하용 배관 선택, 설계 및 시공이 모두 가능하다.
이어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통합 벤트 드레인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400)에 대해 설명하며,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층하용 배관 구조로 선택하고, 층하용 배관구조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a)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a)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400)에서 말단 배기 및 배수구(451, 452)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400)을 설명하기 위해 비교되는 기존 통기배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존 공동 주택(가령, 아파트 등)에서는 층간 배수 설비에서 트랩 내의 봉수를 파괴시키지 않고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배수 설비와 별도로 통기배관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이다. 즉, 배수관내의 압력 변동폭을 작게 함으로써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고 배수관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통시켜 환기를 도모하고, 배수의 흐름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공동 주택에서는 배수관 이외에 별도의 통기 배관을 설치하므로, 적어도 배수관, 통기 배관의 2개의 배관이 필요하고, 배수관의 경우에도 변기 오수를 별도 분리하여 오수 및 배수의 2배관으로 통기 배관과 함께 총 3개의 배관이 설치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400)에서는 기존의 배수와 통기 배관의 2개의 배관 또는 3배관 구조를 통합하여 1개의 배관으로 배수라인 및 배기라인을 해결할 수 있게 함에 특징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400)에서는 전술한 통합 벤트 드레인(300)을 이용하며(도시된 것은 층하용 통합 벤트 드레인 구조임) 도 7에 도시된 욕실에서의 배수 구조에 적용하여, 1개의 배관으로 배수라인 및 배기라인을 구성한다.
가령, 상기 욕실에는 세면대와, 샤워실, 변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변기 오수는 오수관(303)으로 연결되어 이물질 또는 오수가 배출된다. 이때, 오수 시스템은 봉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습식(물) 구조의 배수관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욕실의 바닥면에 층하용 구조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a)을 매설하고 하부 하우징의 배출구와 건식 구조의 배수관(302a)을 연결하여 이물질 또는 오염수가 배출되게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다층 구조의 각 개별층, 가령 1층 욕실의 오수관(303)과 배수관(302a)을 공통 배관(410)에 연결하고, 2층 욕실의 오수관(303)과 배수도 (302a)도 공통 배관(41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다층 구조의 각층에서의 오수 및 배수는 하나의 공통 배관(410)에 연결되어 하부의 외부 하수구(450)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물이 하부의 외부 하수구(450)로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게 되므로, 하나의 공통 배관을 형성하여 배수 뿐만아니라 배기도 함께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2배관 또는 3배관식 시공에 따른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배수 및 배기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시공시에 드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고, 작은 공간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트랩(451)이 공통 배관(410)의 종단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바닥 트랩(451)은 상부에 상기 공통 배관(410)과의 연결을 위해 소정 반경의 곡률을 갖는 배관 연결부(451a)를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배관 연결부와 연결된 제3 트랩(100)을 형성한다. 이때, 배관 연결부(451a)는 공통 배관(410)과의 연결 부재이므로 결합의 용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배수 시스템에서 2배관 또는 3배관의 종단에 봉수 구조로서 U 트랩, P 트랩 구조를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봉수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공통 배관(410)의 종단에 전술한 제1 트랩 또는 제2 트랩(100)과 동일한 형태의 제3 트랩을 형성하여 이를 해결한다.
즉, 기존의 배수 시스템에서는 배관의 종단에 U트랩을 형성하여 세탁수 또는 세제수의 거품이 발생하여 역류하여, 1층 또는 지하의 저층에서 거품 또는 오염수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봉수 구조 트랩 없이 상술한 배수 및 배기 트랩을 이용하여 배출시에는 공기 및 배수가 이루어지고, 폐쇄시에는 외부 하수구(450)로부터의 각종 해충 또는 냄새 등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욕실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욕실이외에 추가적으로 다용도실에 동일한 배수 구조로 설치하고, 각층에서의 통합 배수구로 하나의 통합 배관(410)에 연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용 트랩이 갖는 배수와 함께 공기 배기도 가능하므로 통합 배수 및 배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나의 통합 배관이 비용 절감 및 구조에서 간단한 장점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오수와 배수를 분리하여 2배관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공기 배관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도 필요에 따라 배수 및 배기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1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벤트 드레인(300)에 설치된 제1 트랩(100,100a)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a는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100)의 정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측단면도이고, 도 12a는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에서 제1 트랩(100)의 배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통합 벤트 드레인(300)에서 제1 트랩(100)의 분리사시도이며, 각각 13a는 정면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b는 배면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100)은, 배수구(미도시) 안에 삽입되며, 상부에 상부 개구부(115)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트랩 본체(110); 상기 트랩 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130); 및 축공(121)을 통해 결합된 상기 회동축(130)을 통한 상부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개구부(114)를 개방하고 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는 이동 차단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 차단부(120)는 자체 무게에 따른 중력의 자유 낙하로 개방된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고,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고 있는 이동 차단부(120)는 상부 개구부(115)를 통해 유입 물질이 쌓이면 축적된 유입 물질의 무게에 따른 중력의 자유 낙하로 상기 회동축(130)을 통해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하부 개구부(114)를 개방시키고, 이후 상기 이동 차단부(120)는 자체 무게에 따른 중력의 작용으로 다시 하부의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면서 개방된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트랩 본체(110)는 금속재질 혹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며,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반구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개구부(115)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 물질은 머리카락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의 이물질뿐만 아니라 오염수 등의 물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 본체(110)의 직경은 배수구 안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트랩 본체(110)에는 상부에 상부 개구부(115)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개구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개구부(114)는 이동 차단부(120)를 통한 개폐 여부에 따라 상부 개구부(115)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 또는 오염수를 저장 또는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부 개구부(115)의 외주에 가이드부(214)에 거치하기 위한 플랜지(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111)는 배수구의 직경에 맞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챙이 넓은 모자 형태로 길이를 연장하여 거치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14)의 상부에는 가이드부 커버(211)가 설치되어, 생활오수 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머리카락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 커버(211)의 형태는 배수구 또는 가이드부의 형태에 최적화 형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이동 차단부(120)는 하부 개구부(114)를 개폐하도록 상기 트랩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동축(130)에 축공(121)을 통해 결합된다. 이때, 회동축(130)은 한쌍으로 상기 이동 차단부(120)를 지지하며, 트랩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회동축(130)을 통한 상/하부 이동에 유리하고, 트랩 본체(110)의 외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내부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차단부(120)의 작동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평상시에는 이동 차단부(120)의 그 자체의 무게에 따라 중력이 작용하여 자유 낙하한다. 이에 따라, 개방된 하부 개구부(114)는 자유 낙하로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부 개구부(115)를 통해 물질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질의 무게에 따른 자유 낙하 운동으로 가해진 중력의 영향으로 상기 회동축(130)을 통해 이동 차단부(120)가 트랩 본체의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하부 개구부(114)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하부 개구부(114)는 트랩 본체(110)에 유입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로서 반구 형상의 트랩 본체(110)에서 하부의 일측에서 일부 개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하부 개구부(114)는 트랩 본체(110)의 중심축의 중심부에 형성되거나, 도 11b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에서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가지고 중심축 부근에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개구부(114)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개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차단부(120)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부분적인 구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체 형상에 따라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차단부(120)의 크기는 상기 하부 개구부(114)의 개방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평면상의 면적 또는 입체적 부피의 크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이동 차단부(120)의 재질과 상기 트랩 본체(110)와 동일하게 금속 혹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트랩(100)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식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그네의 원리와 같이, 상기 회동축(130)를 이용한 이동 차단부(120)가 그네의 역할을 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트랩 본체(110) 안으로 이물질(오니 혹은 오수)이 투입되기 전이므로, 이동 차단부(120)가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여 악취 역류를 차단한다. 그러다가, 트랩 본체(110) 안으로 이물질이 투입된 이후에는 상기 이물질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상기 이동 차단부(120)가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 개구부(114)를 개방하며, 이때, 이동 차단부(120)의 이동에 따른 손쉬운 개방으로 배수가 용이하므로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와 함께 하부 개구부(114)의 개방시에는 폐쇄시의 상기 트랩 본체(110)에 함께 있든 공기도 배수와 함께 배기되게 되므로, 배수와 배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이물질이 배출된 이후에 상부로 회동한 이동 차단부(120)가 중력에 따른 자유 낙하로 상기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이동 차단부(120)의 이동에 따른 폐쇄시에는 하수구 등으로부터 외부 해충 유입을 차단하거나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축(130)를 이용한 이동 차단부(120)가 그 무게에 따른 중력으로 자유 낙하로 개방된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고 있다가,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하고 있는 이동 차단부(120)로 이물질이 쌓이면 축적된 이물질의 무게에 따른 중력이 작용하여 이동 차단부(120)는 회동축(130)의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부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하부 개구부(114)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동 차단부(120)는 부분 구형태이며, 트랩 본체(110)의 중심축에서 유입된 이물질의 자유 낙하량 및 충격력이 가장 크므로, 이물질의 자유낙하시 이물질과 접촉력 및 충격력이 큰 이동 차단부(120)의 접촉 부분에는 이물질이 떨어지는 중력의 힘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볼록구조를 형성하고, 그 반대면은 오목구조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외부에서 보았을 때 움푹 패인 제1 웅덩이 구조(1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 차단부(120)의 접촉부에 이물질의 자유 낙하에 따른 충격력 및 접촉력이 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이동 차단부(120)과 연결된 이동축(130)에 전달되므로, 그네의 원리와 같이 이동 차단부(120)를 상부쪽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어, 하부 개구부(114)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차단부(120)의 부분 구형상으로 일측면은 트랩 본체(110)의 하부 개구부(114) 일측면과 접촉하는데, 상호 접촉시에는 하부 개구부(114)를 폐쇄시키고, 상호 접촉에서 벗어나 분리되면 하부 개구부(114)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 차단부(120)와 하부 개구부(114)가 상호 접촉하는 부분(123)(113)은 그 재질로 완충재질이 바람직하며, 실링 또는 오링 등을 통해 충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동 차단부(120)와 하부 개구부(114)가 상호 접촉부(123)(113)는 이동 차단부(120)의 회동축(130)을 통한 상/하부 회동에 따라 하부 개구부(114)의 폐쇄시에 접촉 및 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차단부(120)와 하부 개구부(114)가 상호 접촉하는 이동 차단부(120)의 제1 상호 접촉 원호면(123)과 하부 개구부(114)의 제2 상호 접촉 원호면(113)의 외주를 따라 두께를 확장하거나 너비를 넓혀서 두꺼운 입술 형태로 마치 오리주둥이 형태로 구성하여 제1 상호 접촉 원호면(123) 및 제2 상호 접촉 원호면(113)의 접촉면을 감싸게 되고, 접촉 및 부착이 용이하게 한다. 이를 통해, 이동 차단부(120)를 통한 하부 개구부(114)의 폐쇄시에는 상기 접촉면을 통해 완전한 폐쇄가 가능하여 빈 틈새 공간을 없애주므로, 외부 해충의 유입 및 악취 역류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차단부(120)에 형성되는 움푹 패인 제1 웅덩이 구조(122)를, 제1 상호 접촉 원호면(123) 및 제2 상호 접촉 원호면(113)의 접촉면이 형성하는 경사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트랩 본체(110)에 형성할 수 있다. 즉, 트랩 본체(110)에 형성되는 움푹 패인 제2 웅덩이 구조(112)는 형성하여, 트랩 본체(110)에 유입된 이물질의 자유 낙하시 제1 웅덩이 구조(122)와 제2 웅덩이 구조(112)의 대칭적 구조로 충격력 또는 접촉력이 이동 차단부(120)과 연결된 이동축(130)에 잘 전달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제1 웅덩이 구조(122) 및 제2 웅덩이 구조(112)의 대칭형으로 이물질이 이동 차단부(120)로 이동이 용이하게 하여 제1 웅덩이 구조(122)로 이물질이 더 쌓이게 되어 축적에 따른 충격력 및 접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네의 원리와 같이 이동 차단부(120)를 상부쪽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어, 하부 개구부(114)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웅덩이 구조(122)와 제2 웅덩이 구조(112)는 유사 형태의 구조이면 충분히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유사 형태이면 무방하고 크기 또는 면적이 동일한 형태일 필요까지는 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의 사시도이며, 각각 14a는 정면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14b는 배면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의 분리사시도이며, 각각 15a는 도 14a의 정면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5b는 도 14b의 배면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100)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200)은, 상기 하부 개구부(21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이동 차단부(22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단일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2개의 이동 차단판(220)으로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랩(200)은, 2개의 이중 차단판을 형성하고 대칭 구조를 갖도록 이동 차단부(220)를 형성하여 이물질의 배출 용이 및 악취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다.
가령, 하부 개구부(214)는 트랩 본체(21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갖는 동일한 형태의 2개의 이동 차단부(22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트랩 본체(2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개의 이중 차단판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회동축도 단일 형태가 아니라 대칭구조로 2개의 회동축(230a)(23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차단부(220)는 트랩 본체(2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분리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데, 분리형 구조에서는 반구형 차단판이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이동 차단부(220)에서 2개의 이중 차단판에 각각 형성되는 제3 웅덩이 구조(222a) 및 제4 웅덩이 구조(222b)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동일 형태를 가지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이동 차단부(220)의 2개의 이중 차단판에 각각 형성되는 제3 상호 접촉 원호면 및 제4 상호 접촉 원호면(223)은 동일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즉, 일측 차단판과 타측 차단판의 상호 접촉 원호면(223)도 원호면의 외주를 따라 두께를 확장하거나 너비를 넓혀서 두꺼운 입술 형태로 마치 오리주둥이 형태로 구성하여 접촉면을 감싸게 되고, 접촉 및 부착이 용이하게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100a, 200: 트랩
110, 210: 트랩 본체
120, 220: 이동 차단부
130, 230a, 230b: 회동축
300: 통합 벤트 드레인
314: 가이드부
311: 커버

Claims (8)

  1. 다층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 주택의 다층 구조에서 층별로 구분된 개별 주택 중 어느 하나에 배수 설비가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형성되며,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저장 또는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통합 벤트 드레인 및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듀얼 벤트 드레인; 및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의 측면 또는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연결되어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하부의 외부 하수구로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하나의 공통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 및 듀얼 벤트 드레인은,
    제공되는 이물질 또는 물을 저장 또는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트랩 이중 구조로서 상부의 제1 트랩과 하부의 제2 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외부 하수구와 타측은 상기 공통 배관의 종단에 연결되는 바닥 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트랩은 상부에 상기 공통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배관 연결부를 형성하고, 하부에 상기 배관 연결부와 연결된 제3 트랩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은,
    상부의 제1 트랩과 하부의 제2 트랩으로 구성되는 트랩 이중 구조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측면에 형성된 연결구는 하나 이상의 유입라인과 연결되고,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오염수는 상기 제1 트랩을 통과하고, 측면의 연결구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오염수는 상기 제2 트랩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부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닫힌 구조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는 상부 개방부에서 상기 제2 트랩이 안착되게 하고, 측면 또는 하면은 하우징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 개구부 또는 측면의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 또는 오염수는 상기 하우징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도 함께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랩 또는 제2 트랩 또는 제3 트랩은,
    상기 바닥의 배수구 또는 배관 연결부 안에 삽입되며, 이물질 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상부 개구부와 유출되는 하부 개구부가 형성되는 트랩 본체; 상기 트랩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회동축; 및 축공을 통해 결합된 상기 회동축을 통한 상부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이동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차단부는 자체 무게에 따른 자유 낙하로 개방된 상기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기 이동 차단부는 상기 상부 개구부를 통해 유입 물질이 쌓이면 축적된 유입 물질의 무게에 따른 중력이 작용하여 상기 회동축을 통해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방시키고, 다시 자체 무게에 따른 자유 낙하로 개방된 상기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벤트 드레인의 측면 또는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과 별도로
    변기와 연결되는 오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관은 배수관와 연결되어 통합된 배수관으로 상기 공통 배관에 연결되거나 상기 공통 배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관은 다층 구조에서 중력방향으로 직렬 형태로 하나가 형성되나, 병렬 형태로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배수 및 배기 시스템.
KR1020200176104A 2020-12-16 2020-12-16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KR102475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04A KR102475401B1 (ko) 2020-12-16 2020-12-16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04A KR102475401B1 (ko) 2020-12-16 2020-12-16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21A true KR20220086021A (ko) 2022-06-23
KR102475401B1 KR102475401B1 (ko) 2022-12-08

Family

ID=8222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104A KR102475401B1 (ko) 2020-12-16 2020-12-16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4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529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 청완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20140040440A (ko) * 2012-09-26 2014-04-03 이종태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JP2014105500A (ja) * 2012-11-28 2014-06-09 Evuc Kk 排水弁
KR200479634Y1 (ko) * 2015-02-05 2016-02-18 탁준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라인 시공구조
KR20190102480A (ko) * 2018-02-26 2019-09-04 박장호 배수용 트랩
KR102028838B1 (ko) 2018-07-20 2019-10-04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JP2020501042A (ja) * 2016-11-15 2020-01-16 アクティーボラゲット ドルゴ 廃水配管システムおよび空気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529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 청완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20140040440A (ko) * 2012-09-26 2014-04-03 이종태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JP2014105500A (ja) * 2012-11-28 2014-06-09 Evuc Kk 排水弁
KR200479634Y1 (ko) * 2015-02-05 2016-02-18 탁준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라인 시공구조
JP2020501042A (ja) * 2016-11-15 2020-01-16 アクティーボラゲット ドルゴ 廃水配管システムおよび空気弁
KR20190102480A (ko) * 2018-02-26 2019-09-04 박장호 배수용 트랩
KR102028838B1 (ko) 2018-07-20 2019-10-04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401B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2553B2 (ja) 建造物内の排水設備
WO2007110595A2 (en) Floor drain
KR20220076764A (ko) 통합 벤트 드레인
KR20110132987A (ko) 배수트랩 및 배수트랩 개폐장치
KR20220086021A (ko)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JP3681688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KR102083469B1 (ko) 배수용 트랩
KR101955227B1 (ko) 배수트랩 구조체
JPH0853910A (ja) 床排水用のトラップ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102242669B1 (ko) 층간 병원체 전파 차단 구조형 배수트랩
KR200317535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101333988B1 (ko)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JP2003119859A (ja) 排水システムと排水マス
KR101176896B1 (ko) 타원형상의 힌지구조를 갖는 배수구 악취 차단용 마개
KR100886962B1 (ko) 트랩 및 상기 트랩이 구비되는 트렌치
CN217352741U (zh) 一种高楼同层排水三防管路
KR200286057Y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0120147Y1 (ko) 배수배관용 집수죠인트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200305385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102313000B1 (ko) 배수관용 압력소멸장치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