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873A -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873A
KR20220085873A KR1020200175256A KR20200175256A KR20220085873A KR 20220085873 A KR20220085873 A KR 20220085873A KR 1020200175256 A KR1020200175256 A KR 1020200175256A KR 20200175256 A KR20200175256 A KR 20200175256A KR 20220085873 A KR20220085873 A KR 2022008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e
molded article
protrus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석종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20017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873A/ko
Publication of KR2022008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an auxiliary mould part carrying the moulded article and removing it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8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the undercut forming mould part being rotatable into the space made available by the translation movement of another mould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는 성형 완료된 성형품을 방출하기 위해 제1금형에 상승 또는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코어; 상기 제1금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작동코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받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작동부; 및 상기 제1작동코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제2금형 상에서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금형이 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여 제1작동코어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금형이 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를 가압 해제하여 제1작동코어를 하강시키는 제2작동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Extraction apparatus of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핀의 설치가 곤란한 위치에서도 성형품의 취출이 가능한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사출성형기에서 일정량의 수지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로 주입하여 이를 경화시킨 후 성형품을 완성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사출성형기에서 성형품을 완성하여 배출할 때에는, 가동측 금형을 이동시켜 상하 또는 좌우의 금형을 벌려서 완성된 성형품을 다수의 밀핀이나 경사핀으로 밀어서 금형에서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성형품을 다수의 밀핀으로 밀어내어 금형에서 분리시키고, 또 언더컷이 형성된 경우 경사밀핀으로 밀어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배출장치로 성형품을 사출성형기로부터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성형품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거나 언더컷이 형성된 금형에 따라 성형품의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배출장치로 성형품을 배출시킬 때 성형품과 핀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배출과정에 성형품이 긁히거나 심한 경우에는 파손되는 사례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 20-0413709호에서는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을 제시하여 성형품을 취출하는 밀핀을 밀어주는 밀판을 2 단계로 작동하게 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2 개의 밀핀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젝터봉에 단턱을 형성하고 이젝터봉의 끝이 먼저 제1 밀판에 형성된 제1 밀핀을 밀어올리고, 시간차를 두고 이젝터봉의 단턱이 제2 밀판에 형성된 제2 밀핀을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1차적으로 제1 밀핀을 밀어올린 다음, 이젝터봉의 단턱이 제2 밀핀을 밀어올리게 되어 이젝터봉의 끝과 단턱 사이의 거리만큼 밀핀이 추가로 성형품을 밀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밀핀 구조는 밀핀을 2개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사출성형기의 금형 고정판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밀판이 설치되는 설치판 내부의 형상도 복잡해지게 된다.
특히, 복잡한 형상의 성형품을 사출 성형하는 경우 금형의 구조도 복잡해지기 때문에, 밀핀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3709호 (2006.04.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핀의 설치가 곤란한 위치에서도 성형품의 취출이 가능한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성형품의 취출을 위한 승강블록의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금형 구조를 복잡하게 설계하지 않으면서도 2단 취출과 같은 작동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성형 완료된 성형품을 방출하기 위해 제1금형에 상승 또는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코어; 상기 제1금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작동코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받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작동부; 및 상기 제1작동코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제2금형 상에서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금형이 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여 제1작동코어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금형이 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를 가압 해제하여 제1작동코어를 하강시키는 제2작동코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작동코어는 상기 제1금형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샤프트 및 상기 승강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작동코어는 상기 승강블록을 하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승강샤프트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블록에 고정되는 안내로드 및 상기 안내로드와 제1금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내로드를 승강블록의 하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작동코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회동축을 통해 상기 작동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1작동코어의 하강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샤프트의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받침부의 양측 측면에 지지되는 축회전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핀의 설치가 곤란한 위치에서도 성형품의 취출이 가능한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성형품의 취출을 위한 승강블록의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금형 구조를 복잡하게 설계하지 않으면서도 2단 취출과 같은 작동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작용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는 제1작동코어(110), 지지브라켓(120), 작동부(130) 및 제2작동코어(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작동코어(110)는 금형고정판 상에 지지되는 제1금형(D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2작동코어(140)는 금형고정판과 제1금형(D1)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금형(D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코어(110)는 상기 제1금형(D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샤프트(111), 상기 승강샤프트(111)의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블록(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블록(112)과 승강샤프트(111)의 고정을 위해, 상기 승강블록(112)에는 승강샤프트(111)의 조립을 위한 관통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샤프트(111)의 상단부가 관통홀(112a)의 하부로 삽입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B)가 관통홀(112a)의 상부로 삽입되어 승강샤프트(111)의 상단부에 체결됨에 따라 승강블록(112)과 승강샤프트(111)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12a)의 상측 개구는 별도의 마감재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코어(110)는 상기 승강블록(112)을 하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원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부(113)는 상기 승강샤프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금형(D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로드(113a)와, 상기 안내로드(113a)와 제1금형(D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내로드(113a)를 승강블록(112)의 하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로드(113a)의 상단부는 상기 승강블록(112)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로드(113a)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프링(113c)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부(113b)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로드(113a)는 제1금형(D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승강블록(112)에 고정되며, 상기 안내로드(113a)의 외주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프링(113c)은 상단이 상기 제1금형(D1)에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헤드부(113b)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승강블록(112)을 하강 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내로드(113a)는 상단부가 상기 승강블록(112)에 형성되는 관통홀(112a)의 하부로 삽입되고, 관통홀(112a)의 상부로 삽입되는 체결부재(B)가 안내로드(113a)의 상단에 체결됨에 따라 승강블록(1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12a)의 상측 개구는 별도의 마감재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샤프트(111)의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승강샤프트(111)의 축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할 받침부(131)의 양측 측면을 감싸는 축회전방지부(111a)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샤프트(111)의 하단부 양측에서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축회전방지부(111a)의 사이 간격은 후술할 받침부(131)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작동코어(11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금형(D1)으로부터 성형품(M)이 취출되는 방향에 따라 좌우 또는 경사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브라켓(120)은 회동축(123)을 통해 상기 작동부(1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부(13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121)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121)를 연결하는 연결브릿지(12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릿지(122)는 상기 승강블록(112)의 하강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작동부(13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20)은 상기 작동부(130)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제1금형(D1)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130)는 상기 지지브라켓(120)의 회동축(12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제1작동코어(1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1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받침부(13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32)가 형성되며, 대략 'ㄱ'자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받침부(131)의 선단부는 상기 제1작동코어(110)의 승강샤프트(111) 하단에 접촉한 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원호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132)는 제1금형(D1)의 상기 제2금형(D2)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2작동코어(140)는 상기 제1작동코어(11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제2금형(D2) 상에서 상기 돌기부(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금형(D2)이 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132)를 가압하여 제1작동코어(110)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금형(D2)이 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132)를 가압 해제하여 제1작동코어(110)를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돌기부(132)를 가압하기 위한 단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부(130)를 통해 제1작동코어(110)의 구동을 위한 제2작동코어(140)의 작동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1금형(D1)의 하부 구조가 복잡하거나 협소한 위치에도 성형품(M)의 취출이 가능하다.
즉, 제1금형(D1)의 하부 구조가 복잡하지 않은 영역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핀을 배치하고, 하부 구조가 복잡하거나 협소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밀핀의 설치가 곤란한 영역에는 본 실시예와 같은 취출 장치를 배치하면, 성형품(M)의 취출시 성형품(M)에 균등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어 성형품(M)이 취출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금형(D1)과 제2금형(D2)이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부(130)의 돌기부(132)와 제2작동코어(140)가 접촉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제1작동코어(110)의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 마련되는 취출용 가압장치의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금형 구조를 복잡하게 설계하지 않으면서도 제2작동코어(140)의 설치 위치를 선택하여 2단 취출과 같은 작동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의 작용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1작동코어(110)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제1작동코어(110)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금형(D2)이 후진한 상태에서는 제2작동코어(140)가 작동부(130)의 돌기부(132)로부터 이격되므로, 작동부(130)는 지지브라켓(120)의 회동축(12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돌기부(132)의 일측이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연결브릿지(122)에 접촉됨에 따라 회동이 제한된다.
상기 제1작동코어(110)의 승강샤프트(111)는 제1금형(D1)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복원부(11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하단부가 상기 작동부(130)의 받침부(131) 상에 지지됨에 따라 승강샤프트(111)의 하강 위치가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샤프트(11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승강블록(112)의 상측면이 제1금형(D1)의 성형면 중 일부를 이루도록 설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동코어(110)의 승강블록(112)은 승강샤프트(111) 및 안내로드(113a)에 의해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즉, 승강샤프트(111)의 승강 작용에 의해 승강샤프트(111)와 함께 승강하는 과정에서, 승강샤프트(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안내로드(113a)에 의해 승강이 안내되므로, 승강블록(112)의 수직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샤프트(111)는 승강샤프트(111)의 하단부 양측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축회전방지부(111a)가 작동부(130)의 받침부(131) 양측면에 각각 지지되므로, 승강샤프트(111)의 축회전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승강블록(112)을 이용해 성형품(M)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축회전 방향의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승강샤프트(111)와 받침부(131)의 접촉위치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품(M)의 성형이 완료된 이후, 제2금형(D2)이 전진하여 제2작동코어(140)가 작동부(130)의 돌기부(132)를 가압하면, 작동부(13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작동부(130)의 받침부(131)가 제1작동코어(110)의 승강샤프트(111)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림에 따라, 승강블록(112)이 상승하여 제1금형(D1)의 성형면에 밀착된 성형품(M)을 취출할 수 있다.
이때, 도 6과 같이 승강블록(112)의 상승시 승강블록(112)과 함께 안내로드(113a)가 상승하면서, 안내로드(113a)의 헤드부(113b)와 제1금형(D1)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13c)이 탄성압축된다.
성형품(M)의 취출이 완료된 이후에, 제2금형(D2)이 후진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면 안내로드(113a)의 헤드부(113b)와 제1금형(D1)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13c)이 탄성복원하면서 승강블록(112)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부(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블록(112)을 이용하여 성형품(M)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작동코어(140)를 이용하여 승강블록(112)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1금형(D1)의 하부 구조가 복잡하거나 협소한 영역에서도 성형품(M)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밀핀과 함께 본 실시예의 취출장치를 적용하면, 제1금형(D1)의 전 영역에서 성형품(M)의 취출을 위한 균등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되므로, 성형품(M)이 취출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제1작동코어, 111:승강샤프트, 111a:축회전방지부,
112:승강블록, 112a:관통홀, 113:복원부,
113a:안내로드, 113b:헤드부, 113c:스프링,
B:체결부재, 120:지지브라켓, 121:측벽부,
122:연결브릿지, 123:회동축, 130:작동부,
131:받침부, 132:돌기부, 140:제2작동코어,
D1:제1금형, D2:제2금형, M:성형품

Claims (7)

  1. 성형 완료된 성형품을 방출하기 위해 제1금형에 상승 또는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코어;
    상기 제1금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작동코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받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작동부; 및
    상기 제1작동코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제2금형 상에서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금형이 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여 제1작동코어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금형이 후진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를 가압 해제하여 제1작동코어를 하강시키는 제2작동코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코어는 상기 제1금형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샤프트 및 상기 승강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코어는 상기 승강블록을 하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승강샤프트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블록에 고정되는 안내로드 및 상기 안내로드와 제1금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내로드를 승강블록의 하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코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회동축을 통해 상기 작동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1작동코어의 하강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샤프트의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받침부의 양측 측면에 지지되는 축회전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KR1020200175256A 2020-12-15 2020-12-15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KR20220085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56A KR20220085873A (ko) 2020-12-15 2020-12-15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56A KR20220085873A (ko) 2020-12-15 2020-12-15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73A true KR20220085873A (ko) 2022-06-23

Family

ID=8222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256A KR20220085873A (ko) 2020-12-15 2020-12-15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8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709Y1 (ko) 2006-01-26 2006-04-12 김용현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709Y1 (ko) 2006-01-26 2006-04-12 김용현 사출금형의 2단 작동 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853B2 (en) Decelerated ejector pi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422425Y1 (ko)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지그 유닛
KR102281139B1 (ko) 사이드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구비한 사출금형
KR100921807B1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KR960002709B1 (ko) 사출성형기 및 그의 설치방법
KR20220085873A (ko)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105383014A (zh) 注塑用滚轮限位弹簧抽芯机构设置
JP2006248055A (ja) 射出成形金型の2段突き出し機構
JPH0732428A (ja) 成形金型の二段突出し装置
KR200384159Y1 (ko)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KR200389842Y1 (ko) 사출물의 부착방지장치가 구비된 금형장치
KR19990023720U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성형장치
KR20050064973A (ko) 슬라이드캠을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KR200445760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KR100771073B1 (ko)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KR20190044035A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00203397B1 (ko) 성형제품의 이젝트장치_
KR100545756B1 (ko) 사출 성형기의 성형품 취출장치
KR200295047Y1 (ko) 프레스의 열판 개폐장치
KR900005723Y1 (ko)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KR100201658B1 (ko) 사출금형의 리턴장치
JP3304453B2 (ja) 樹脂封止装置の成形品の離型機構
CN219789142U (zh) 注塑模具的顶出机构
US11590679B2 (en) Injection molding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