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86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864A
KR20220085864A KR1020200175128A KR20200175128A KR20220085864A KR 20220085864 A KR20220085864 A KR 20220085864A KR 1020200175128 A KR1020200175128 A KR 1020200175128A KR 20200175128 A KR20200175128 A KR 20200175128A KR 20220085864 A KR20220085864 A KR 2022008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area
coordinate data
lay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기
최은길
구다솜
김윤재
신재구
전용찬
황현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864A/ko
Priority to US17/529,968 priority patent/US20220187979A1/en
Priority to EP21214256.6A priority patent/EP4016261A1/en
Priority to CN202111527490.7A priority patent/CN114637434A/zh
Publication of KR2022008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H01L27/3272
    • H01L27/3276
    • H01L51/529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이격된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터치 센서층의 복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층, 및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구동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층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표시 장치의 휴대성을 높임과 동시에 넓은 표시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 영역이 구부러질 수 있는 벤더블 표시 장치(Bendable Display Device) 또는 표시 영역을 접을 수 있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를 이용한 터치 입력, 및 전자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지원하고 있다. 표시 장치는 디지타이저층을 이용하여 전자 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터치 입력만을 이용할 때보다 더욱 세밀하게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타이저층이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반복적으로 벤딩(Bending) 또는 폴딩(Folding)되는 경우, 크랙(Crack)이 발생하여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 영역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이격된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터치 센서층의 복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층, 및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구동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층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부재의 제1 좌표 데이터와 상기 터치 구동부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부재의 제2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 중첩 센싱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2 중첩 센싱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와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디지타이저층이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복수의 구동 전극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절연된 복수의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터치 구동부와 상기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의 구동 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1 구동 라인, 상기 터치 구동부와 상기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의 구동 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2 구동 라인, 및 상기 터치 구동부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 각각의 구동 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3 구동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라인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사용자 신체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3 구동 라인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일정한 전압을 갖는 기준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영역에서 충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과 상기 제3 표시 영역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차폐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층은 상기 제1 전극 패턴들을 지지하는 일면, 및 상기 제2 전극 패턴들을 지지하는 타면을 갖는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패턴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 패턴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이격된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 상기 터치 센서층의 복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층, 및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구동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층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차폐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터치 센서층의 복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층, 및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구동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층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영역의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에서 상기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와 상기 터치 구동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디지타이저층이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은 폴딩되지 않는 제1 및 제2 표시 영역, 및 제1 및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폴딩되는 제3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층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센서층은 제3 표시 영역, 제1 표시 영역 중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 중첩 센싱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 중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2 중첩 센싱 영역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는 디지타이저층의 터치 좌표 데이터와 터치 센서층의 터치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디지타이저층의 터치 좌표 데이터와 터치 센서층의 터치 좌표 데이터를 동기화함으로써, 디지타이저층이 폴딩 영역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폴딩 영역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층 및 터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층과 터치 구동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디지타이저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메인 프로세서, 전자기 센서 구동부, 터치 구동부, 및 표시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배터리 충전 및 전력 소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은 표시 장치(10)의 일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은 표시 장치(10)의 일변과 접하는 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세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Z축 방향)은 표시 장치(1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상 형태는 표시 장치(10)의 평면 상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평면 상 형태가 직사각형인 경우, 표시 영역(DA)의 평면 상 형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은 행렬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 각각은 직사각형, 마름모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들은 평면 상에서 직사각형, 마름모,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화소를 포함하지 않아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은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접힌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도 2와 같이 표시 영역(DA)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In-Folding)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인 폴딩 방식으로 폴딩되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전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 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아웃 폴딩 방식으로 폴딩되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배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은 표시 영역(D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비폴딩(Non-Folding)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 및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은 제3 표시 영역(DA3)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은 제3 표시 영역(DA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은 제1 표시 영역(DA1) 중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을 제외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의 크기는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폴딩 축(Folding Axis)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비폴딩(Non-Folding)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 및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은 제3 표시 영역(DA3)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은 제3 표시 영역(DA3)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2E)은 제2 표시 영역(DA2) 중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을 제외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2E)의 크기는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표시 영역(DA3)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DA1, 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폴딩 축(Folding Axis)이 지날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DA3)은 폴딩 영역일 수 있고, 폴딩 축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표시 영역(DA3)은 폴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폴딩 축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축은 표시 영역(DA)의 중앙을 지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편광 필름(200), 커버 윈도우(300), 패널 보호 필름(400), 디지타이저층(500), 차폐 부재(600), 및 방열 부재(7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 필름(2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상면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일 수 있다. 편광 필름(2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200)은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필름) 또는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에 의해 표시 패널(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200)은 선 편광판 및 λ/4 판(Quarter-Wave Plate)과 같은 위상 지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 필름 및 선 편광판은 표시 패널(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편광 필름(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접착 부재(AD)를 통해 편광 필름(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D)는 투명 접착 필름(OCA 필름)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윈도우(300)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300)는 두께가 0.1㎜ 이하의 초박막 유리(Ultra-Thin Glass; UTG) 또는 투명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윈도우(300)는 하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차광층(310)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310)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여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310)은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또는 유기 흑색 안료(Organic Black Pi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400)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 필름(400)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서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패널 보호 필름(400)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DA1, DA2)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원활하게 폴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층(500)은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층(500)은 제1 디지타이저층(510) 및 제2 디지타이저층(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지타이저층(510)은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디지타이저층(520)은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서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폴딩 스트레스(Folding 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 각각은 투명 접착 필름(OCA 필름)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에 의해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 각각은 복수의 전극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복수의 전극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을 지원하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같은 터치 입력 부재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타일러스 펜은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에 반응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표시 장치(10)의 전면(Front Surface)에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터치 입력 부재는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터치 입력 부재의 접근 또는 접촉에 의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좌표, 터치 각도, 및 터치 압력을 판단할 수 있다.
차폐 부재(600)는 디지타이저층(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 부재(600)는 제1 차폐 부재(610) 및 제2 차폐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폐 부재(610)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의 하부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차폐 부재(620)는 제2 디지타이저층(520)의 하부에서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는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폴딩 스트레스(Folding 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 각각은 마그네틱 금속 파우더(Magnetic Metal Powder)를 포함함으로써, 디지타이저층(500)을 통과한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는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가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의 하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차폐 부재(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제1 방열 부재(710) 및 제2 방열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710)는 제1 차폐 부재(610)의 하부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열 부재(720)는 제2 차폐 부재(620)의 하부에서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방열 부재(710, 720)는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폴딩 스트레스(Folding 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부재(710, 720) 각각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에서 발생된 열은 제1 및 제2 방열 부재(710, 720)에 의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기판(SUB), 표시층(DPL), 봉지층(TFE), 및 터치 센서층(TS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유연성이 있어 쉽게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판(SUB)은 유연성이 있는 물질 및 강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DP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및 발광 소자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배리어층(BR), 제1 버퍼층(BF1), 박막 트랜지스터(TFT), 게이트 절연막(GI), 제1 층간 절연막(ILD1), 제2 층간 절연막(ILD2),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 제1 보호층(PAS1),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 및 제2 보호층(PAS2)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BR)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층(BR)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및 발광 소자층(EML)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퍼층(BF1)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층(BF1)은 배리어층(B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퍼층(BF1)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퍼층(BF1)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제1 버퍼층(BF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화소 각각의 화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화소 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영역(ACT),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제1 버퍼층(BF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영역(ACT)은 게이트 전극(GE)과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고, 게이트 절연막(GI)에 의해 게이트 전극(GE)과 절연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반도체 영역(ACT)의 물질을 도체화하여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영역(ACT)과 중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 영역(ACT),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 영역(ACT),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및 제1 버퍼층(BF1)을 덮을 수 있고, 반도체 영역(ACT)과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이 삽입되는 제1 컨택홀(CNT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ILD1)은 게이트 전극(G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ILD1)은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이 삽입되는 제1 컨택홀(CNT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ILD2)은 제1 층간 절연막(ILD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ILD2)은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이 삽입되는 제1 컨택홀(CNT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택홀(CNT1)은 제2 층간 절연막(ILD2), 제1 층간 절연막(ILD1), 및 게이트 절연막(GI)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은 제2 층간 절연막(ILD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은 제1 컨택홀(CNT1)에 삽입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AS1)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상부에 마련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AS1)은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 및 제2 층간 절연막(ILD2)을 덮을 수 있다. 제1 보호층(PAS1)은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이 삽입되는 제2 컨택홀(CNT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AS1)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은 제1 보호층(PA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은 제2 컨택홀(CNT2)에 삽입되어 제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보호층(PAS2)은 제1 보호층(PAS1) 상에 배치되어,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2) 및 제1 보호층(PAS1)을 덮을 수 있다. 제2 보호층(PAS2)은 발광 소자(ED)의 제1 전극(A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호층(PAS2)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 소자층(EML)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발광 소자(ED) 및 화소 정의막(PDL)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1 전극(AE), 발광층(E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2 보호층(PA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중 하나의 발광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1 및 제2 애노드 연결 전극(ANDE1, ANDE2)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될 수 있다.
발광층(EL)은 제1 전극(A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L)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저지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EL)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EL)이 유기 발광층에 해당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발광 소자(ED)의 제1 전극(AE)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발광 소자(ED)의 제2 전극(CE)이 공통 전압 또는 캐소드 전압을 수신하면, 정공과 전자 각각이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EL)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EL)에서 서로 결합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발광층(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CE)은 복수의 화소 별로 구분되지 않고 전체 화소에 공통되는 전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CE)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에서 발광층(E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제외한 영역에서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복수의 발광 소자(ED) 각각의 제1 전극(AE)을 이격 및 절연시킬 수 있다.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층(EML)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발광 소자(ED)를 덮을 수 있다.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하여, 발광 소자층(EML)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제1 내지 제3 봉지층(TFE1, TFE2, TFE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봉지층(TFE1)은 제2 전극(CE)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발광 소자(ED)를 덮을 수 있다. 제1 4봉지층(TFE1)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산소 또는 수분이 발광 소자층(EML)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봉지층(TFE2)은 제1 봉지층(TFE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봉지층(TFE1)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2 봉지층(TFE2)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EML)을 보호할 수 있다.
제3 봉지층(TFE3)은 제2 봉지층(TFE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봉지층(TFE3)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산소 또는 수분이 발광 소자층(EML)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TSL)은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TSL)은 제2 버퍼층(BF2), 제1 절연막(SIL1), 터치 전극(SEN), 및 제2 절연막(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퍼층(BF2)은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버퍼층(BF2)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퍼층(BF2)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버퍼층(BF2)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절연층(SIL1)은 제2 버퍼층(BF2)을 덮을 수 있다. 제1 절연층(SIL1)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SIL1)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SEN)은 제1 절연층(SI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SEN) 각각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터치 센서층(TSL)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전극(SEN)은 구동 전극 및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은 터치 구동부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감지 전극은 터치 센싱 신호를 터치 구동부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터치 전극(SEN) 및 제1 절연층(SIL1)을 덮을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층 및 터치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층(TSL)은 복수의 터치 전극(SEN) 및 복수의 더미 전극(DM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SEN)은 물체 또는 사람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호 정전 용량 또는 자기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SEN)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브릿지 전극(BRG)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터치 구동 라인(TL)을 통해 터치 구동부(TIC)에 접속될 수 있다.
브릿지 전극(BRG)은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 전극(BRG)은 꺾쇠 형태(“<” 또는 “>”)를 가질 수 있으나, 브릿지 전극(BRG)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복수의 브릿지 전극(BRG)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브릿지 전극들(BRG)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구동 전극들(TE)은 나머지 브릿지 전극(BRG)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두 개의 브릿지 전극(BRG)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브릿지 전극들(BRG)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브릿지 전극(BRG)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같은 층에 배치된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브릿지 전극(BRG)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 전극(BRG)이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더라도,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상호 정전 용량은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터치 감지 라인(RL)을 통해 터치 구동부(TIC)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더미 전극(DM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더미 전극(DM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과 이격되어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전극(DME)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TIC)는 구동 신호 출력부(191), 감지 회로부(19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93), 터치 제어부(194), 및 터치 데이터 보상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신호 출력부(191)는 터치 구동 라인(TL)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접속될 수 있다. 구동 신호 출력부(191)는 터치 구동 신호를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공급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는 복수의 구동 펄스를 가질 수 있다. 구동 신호 출력부(191)는 기 설정된 순서를 기초로 터치 구동 라인(TL)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 출력부(191)는 터치 센서층(TSL)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로부터 터치 센서층(TSL)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까지 터치 구동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감지 회로부(192)는 터치 감지 라인(RL)을 통해 복수의 감지 전극(RE)에 접속될 수 있다. 감지 회로부(192)는 터치 감지 라인(RL)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복수의 감지 전극(RE)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의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동 신호 출력부(191)는 복수의 터치 전극(TE)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감지 회로부(192)는 복수의 감지 전극(RE)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신호 출력부(191)는 복수의 터치 전극(TE)의 전하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고, 감지 회로부(192)는 복수의 감지 전극(RE)의 전하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신호 출력부(191) 및 감지 회로부(192) 각각은 복수의 터치 전극(TE)과 복수의 감지 전극(RE)에 형성되는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의 변화량을 센싱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93)는 감지 회로부(192)의 출력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인 터치 감지 데이터(TSD)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93)는 터치 감지 데이터(TSD)를 터치 데이터 보상부(195)에 공급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94)는 구동 신호 출력부(191), 감지 회로부(19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93)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194)는 구동 신호 출력부(191), 감지 회로부(19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93)의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신호를 구동 신호 출력부(191), 감지 회로부(19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93) 각각에 출력할 수 있다.
터치 데이터 보상부(195)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93)로부터 터치 감지 데이터(TSD)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데이터 보상부(195)는 터치 감지 데이터(TSD)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여부 및 터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TIC)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같은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 입력 여부 및 터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데이터 보상부(195)는 터치 입력 부재에 의한 터치 감지 데이터(TSD)를 분석하여 제2 좌표 데이터(TC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층과 터치 구동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비폴딩(Non-Folding)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 및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은 제3 표시 영역(DA3)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은 제3 표시 영역(DA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은 제1 표시 영역(DA1) 중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을 제외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비폴딩(Non-Folding)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 및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은 제3 표시 영역(DA3)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은 제3 표시 영역(DA3)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2E)은 제2 표시 영역(DA2) 중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을 제외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DA3)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DA1, 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폴딩 축(Folding Axis)이 지날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DA3)은 폴딩 영역일 수 있고, 폴딩 축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표시 영역(DA3)은 폴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폴딩 축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축은 표시 영역(DA)의 중앙을 지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센서층(TSL)의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구동 라인(TL)을 통해 터치 구동부(TIC)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터치 구동 라인(TL1)을 통해 터치 구동부(TIC)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2E)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2 터치 구동 라인(TL2)을 통해 터치 구동부(TIC)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3 터치 구동 라인(TL3)을 통해 터치 구동부(TIC)에 접속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TIC)는 제1 기간 동안 제1 내지 제3 터치 구동 라인(TL1, TL2, TL3)을 통해 표시 영역(DA)의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기간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 마다 반복될 수 있고,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터치 구동부(TIC)는 제1 기간 동안 표시 영역(DA)의 구동 전극(TE)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 신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TIC)는 제2 기간 동안 제3 터치 구동 라인(TL3)을 통해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기간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 마다 반복될 수 있다. 제2 기간은 제1 기간과 동일 프레임 기간 내에 해당하거나, 제1 기간과 다른 프레임 기간 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일정한 전압을 갖는 기준 신호일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신호가 기준 신호인 경우,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터치 입력 부재로부터 펄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TIC)는 제2 기간 동안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터치 전극(SEN)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 각각에서 동일한 단위 면적 당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SEN)의 단위 면적 당 개수는 제1 및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1E, DA2E)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SEN)의 단위 면적 당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터치 전극(SEN)은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배치됨으로써,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SEN)의 단위 면적 당 개수는 제1 및 제2 전자기 센싱 영역(DA1E, DA2E)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SEN)의 단위 면적 당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디지타이저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지타이저층(510)은 베이스층(501), 제1 전극 패턴들(502), 제2 전극 패턴들(503), 제1 더미 패턴들(504), 제2 더미 패턴들(505), 제1 접착층(506), 제2 접착층(507), 제1 커버층(508), 및 제2 커버층(509)을 포함한다.
베이스층(501)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501)의 일면은 제1 전극 패턴들(502)을 지지할 수 있고, 베이스층(501)의 타면은 제2 전극 패턴들(503)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310)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패턴들(502) 및 제1 더미 패턴들(504)은 베이스층(3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 패턴들(502) 각각은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 패턴들(502) 각각은 평면 상 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전극 패턴들(502) 각각의 양단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전극 패턴들(503) 및 제2 더미 패턴들(505)은 베이스층(31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 패턴들(503) 각각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 패턴들(503) 각각은 평면 상 루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 전극 패턴들(503) 각각의 양단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 패턴(502)과 제2 전극 패턴(503) 각각은 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 패턴들(502, 503)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펜과 같은 터치 입력 부재는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방출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전극 패턴들(502, 503)은 터치 입력 부재에서 방출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는 제1 및 제2 전극 패턴들(502, 503)에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위치, 각도, 및 세기를 판단하여 터치 좌표, 터치 각도, 및 터치 압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패턴들(502) 및 제2 전극 패턴들(503) 각각은 평면 상에서 직사각형의 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제1 및 제2 전극 패턴들(502, 503)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더미 패턴들(504) 각각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전극 패턴(50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더미 패턴들(504)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들(505) 각각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2 전극 패턴(503)에 의해 둘러싸인 제2 더미 패턴들(505)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패턴들(502), 제1 더미 패턴들(504), 제2 전극 패턴들(503), 및 제2 더미 패턴들(505) 각각은 구리, 은, 니켈, 텅스텐 등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506)은 베이스층(501)의 일면, 제1 전극 패턴들(502), 및 제1 더미 패턴들(504)를 덮을 수 있다. 제1 커버층(508)은 제1 접착층(50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층(508)은 제1 접착층(506)에 의해 베이스층(50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506)은 감압 점착제일 수 있다. 제1 커버층(508)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층(508)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507)은 베이스층(501)의 타면, 제2 전극 패턴들(503), 및 제2 더미 패턴들(505)을 덮을 수 있다. 제2 커버층(509)은 제2 접착층(507)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층(509)은 제2 접착층(507)에 의해 베이스층(501)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층(507)은 감압 점착제일 수 있다. 제2 커버층(509)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층(509)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메인 프로세서, 전자기 센서 구동부, 터치 구동부, 및 표시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DL)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S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SP)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및 적어도 하나의 전원 공급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SP) 각각은 광을 출력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에 게이트 신호들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130), 데이터 라인들(DL)과 데이터 구동부(120)를 연결하는 팬 아웃 라인들, 및 회로 보드(미도시)와 접속되는 패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는 타이밍 제어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10) 및 데이터 구동부(120)와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어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회로 보드 상에 마련된 유저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800)로부터 공급되는 화소 데이터(CDATA)와 타이밍 동기 신호(TSS)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소 데이터(CDATA)는 메인 프로세서(800)에 의해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화소 데이터(CDATA)를 기초로 생성된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화소 데이터(CDATA)를 기초로 표시 장치(10)의 화면 상에 터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타이밍 동기 신호(TSS)를 기초로 데이터 제어 신호(DCS)와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12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고,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부(13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데이터 신호(DATA) 및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데이터 신호(DATA)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할 수 있고,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따라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복수의 화소(SP)에 공급될 수 있고, 복수의 화소(SP)의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130)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S)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표시 패널(100)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화소 데이터(CDATA) 및 타이밍 동기 신호(TSS)를 타이밍 제어부(110)에 공급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로부터 터치 입력 부재의 제1 좌표 데이터(EMD)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 구동부(TIC)로부터 터치 입력 부재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는 제1 표시 영역(DA1)에 대응되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대응되는 제2 디지타이저층(520)을 통해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하여 제1 좌표 데이터(EMD)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TIC)는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SEN)을 통해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하여 제2 좌표 데이터(TCD)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 좌표 데이터(EMD)와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소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 좌표 데이터(EMD)와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소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에서 감지된 제1 좌표 데이터(EMD)와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를 기초로 제1-1 좌표 데이터(EMD1)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디지타이저층(520)에서 감지된 좌표 정보를 기초로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의 제1 지점(P1)에 처음으로 접촉 또는 근접한 경우, 제1 디지타이저층(510)은 제1 지점(P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3 지점(P3)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는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3 지점(P3)까지의 제1-1 좌표 데이터(EMD1)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과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 사이의 제2 지점(P2)을 지나는 경우, 터치 센싱층(TSL)은 제2 지점(P2)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2 지점(P2)을 지나는 경우, 터치 구동부(TIC)는 제4 지점(P4)을 지나는 제2 좌표 데이터(TCD)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구동부(TIC)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1 좌표 데이터(EMD1) 사이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의 제1-1 좌표 데이터(EMD1)를 기준으로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보정(Correction)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2 좌표 데이터(TCD)의 제4 지점(P4)을 제1-1 좌표 데이터(EMD1)의 제2 지점(P2)으로 보정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1 중첩 센싱 영역(DA1H)과 제3 표시 영역(DA3) 사이의 제3 지점(P3)을 지나는 경우, 터치 센싱층(TSL)은 제5 지점(P5)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3 지점(P3)을 지나는 경우, 터치 구동부(TIC)는 제5 지점(P5)을 지나는 제2 좌표 데이터(TCD)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구동부(TIC)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메인 프로세서(800)에 의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 사이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800)는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보정(Correction)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2 좌표 데이터(TCD)의 제5 지점(P5)을 보정된 좌표 데이터의 제3 지점(P3)으로 보정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3 표시 영역(DA3)과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 사이의 제10 지점(P10)을 지나는 경우, 제2 디지타이저층(520)은 제8 지점(P8)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10 지점(P10)을 지나는 경우,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는 제8 지점(P8)을 지나는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와 메인 프로세서(800)에 의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 사이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800)는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보정(Correction)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2 좌표 데이터(EMD2)의 제8 지점(P8)을 보정된 좌표 데이터의 제10 지점(P10)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의 제1-1 좌표 데이터(EMD1)와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동기화하고,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동기화함으로써, 디지타이저층(500)이 배치되지 않은 제3 표시 영역(DA3) 상에서도 터치 입력 부재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소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디지타이저층(500)이 폴딩 영역(또는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폴딩 영역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 부재가 제1 전자기 센싱 영역(DA1E)의 제1 지점(P1)에 처음으로 접촉 또는 근접한 경우, 제1 디지타이저층(510)은 제1 지점(P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단계 S110).
제1 디지타이저층(510)이 제1 지점(P1) 이후의 터치를 감지하는 중 터치 입력 부재가 제2 지점(P2)을 지나는 경우, 터치 센서층(TSL)은 제4 지점(P4)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단계 S120). 이 경우, 터치 구동부(TIC)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1 좌표 데이터(EMD1) 사이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의 제1-1 좌표 데이터(EMD1)를 기준으로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보정(Correction)할 수 있다(단계 S130).
터치 센서층(TSL)이 제4 지점(P4) 이후의 터치를 감지하는 중 터치 입력 부재가 제10 지점(P10)을 지나는 경우, 제2 디지타이저층(520)은 제8 지점(P8)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단계 S140). 이 경우,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와 메인 프로세서(800)에 의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 사이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보정(Correction)할 수 있다(단계 S150).
메인 프로세서(800)는 디지타이저층(500)의 제1 좌표 데이터(EMD)와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동기화하여 보정된 터치 좌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160).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의 제1-1 좌표 데이터(EMD1)와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동기화하고,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동기화함으로써, 디지타이저층(500)이 배치되지 않은 제3 표시 영역(DA3) 상에서도 터치 입력 부재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소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부재가 제3 표시 영역(DA3)의 제1 지점(P1)에 처음으로 접촉 또는 근접한 경우, 터치 센서층(TSL)은 제1 지점(P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3 지점(P3)으로 이동하는 경우, 터치 구동부(TIC)는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3 지점(P3)까지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3 표시 영역(DA3)과 제2 중첩 센싱 영역(DA2H) 사이의 제2 지점(P2)을 지나는 경우, 제2 디지타이저층(520)은 제4 지점(P4)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가 제2 지점(P2)을 지나는 경우,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는 제4 지점(P4)을 지나는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구동부(TIC)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 사이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800)는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기준으로 제2 디지타이저층(520)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보정(Correction)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제1-2 좌표 데이터(EMD2)의 제4 지점(P4)을 제2 좌표 데이터(TCD)의 제2 지점(P2)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800)는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동기화함으로써, 디지타이저층(500)이 배치되지 않은 제3 표시 영역(DA3) 상에서도 터치 입력 부재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소 데이터(CDATA)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디지타이저층(500)이 폴딩 영역(또는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폴딩 영역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제1 및 제2 좌표 데이터의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 부재가 제3 표시 영역(DA3)의 제1 지점(P1)에 처음으로 접촉 또는 근접한 경우, 터치 센서층(TSL)은 제1 지점(P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단계 S210).
터치 센서층(TSL)이 제1 지점(P1) 이후의 터치를 감지하는 중 터치 입력 부재가 제2 지점(P2)을 지나는 경우, 제2 디지타이저층(520)은 제4 지점(P4)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단계 S220). 이 경우, 터치 구동부(TIC)의 제2 좌표 데이터(TCD)와 전자기 센서 구동부(EIC)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 사이에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800)는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기준으로 제2 디지타이저층(520)의 제1-2 좌표 데이터(EMD2)를 보정(Correction)할 수 있다(단계 S230).
메인 프로세서(800)는 디지타이저층(500)의 제1 좌표 데이터(EMD)와 터치 센서층(TSL)의 제2 좌표 데이터(TCD)를 동기화하여 보정된 터치 좌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240).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디지타이저층(500)이 폴딩 영역(또는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폴딩 영역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터치 입력 부재의 배터리 충전 및 전력 소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 부재(Pen)는 복수의 전극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을 지원하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일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Pen)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에 반응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Pen)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부재(Pen)의 배터리는 제1 및 제2 표시 영역(DA1, DA2)에서 충전될 수 있다(Battery Charging). 터치 입력 부재(Pen)의 배터리는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DA1H, DA2H)과 제3 표시 영역(DA3)에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Power Consumpting).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터치 센서층(TSL), 편광 필름(200), 커버 윈도우(300), 패널 보호 필름(400), 디지타이저층(500), 차폐 부재(600), 및 방열 부재(7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터치 센서층(TSL)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TSL)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물체 또는 사람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호 정전 용량 또는 자기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은 터치 구동부(TIC)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감지 전극(RE)은 터치 센싱 신호를 터치 구동부(TIC)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터치 센서층(TSL)은 편광 필름(200)과 커버 윈도우(300) 사이에 배치될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층(TSL)의 위치는 도 16 및 도 17의 도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 필름(200)은 터치 센서층(TS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200)은 선 편광판 및 λ/4 판(Quarter-Wave Plate)과 같은 위상 지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 필름 및 선 편광판은 터치 센서층(TSL)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편광 필름(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접착 부재(AD)를 통해 편광 필름(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하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차광층(310)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310)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여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310)은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또는 유기 흑색 안료(Organic Black Pi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400)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 필름(400)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서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패널 보호 필름(400)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DA1, DA2)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원활하게 폴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층(500)은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층(500)은 제1 디지타이저층(510) 및 제2 디지타이저층(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지타이저층(510)은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디지타이저층(520)은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서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폴딩 스트레스(Folding 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 각각은 투명 접착 필름(OCA 필름)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에 의해 패널 보호 필름(40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 각각은 복수의 전극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복수의 전극 패턴을 이용하여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을 지원하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같은 터치 입력 부재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타일러스 펜은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에 반응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표시 장치(10)의 전면(Front Surface)에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터치 입력 부재는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지타이저층(510, 520)은 터치 입력 부재의 접근 또는 접촉에 의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좌표, 터치 각도, 및 터치 압력을 판단할 수 있다.
차폐 부재(600)는 디지타이저층(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 부재(600)는 제1 차폐 부재(610) 및 제2 차폐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폐 부재(610)는 제1 디지타이저층(510)의 하부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차폐 부재(620)는 제2 디지타이저층(520)의 하부에서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는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폴딩 스트레스(Folding 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 각각은 마그네틱 금속 파우더(Magnetic Metal Powder)를 포함함으로써, 디지타이저층(500)을 통과한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를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는 자기장 또는 전자기 신호가 제1 및 제2 차폐 부재(610, 620)의 하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차폐 부재(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700)는 제1 방열 부재(710) 및 제2 방열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710)는 제1 차폐 부재(610)의 하부에서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열 부재(720)는 제2 차폐 부재(620)의 하부에서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방열 부재(710, 720)는 제3 표시 영역(DA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폴딩 스트레스(Folding 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열 부재(710, 720) 각각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에서 발생된 열은 제1 및 제2 방열 부재(710, 720)에 의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편광 필름 300: 커버 윈도우
400: 패널 보호 필름 500: 디지타이저층
600: 차폐 부재 700: 방열 부재
TSL: 터치 센서층 SEN: 터치 전극
TE: 구동 전극 RE: 감지 전극
TL: 터치 구동 라인 RL: 터치 감지 라인
DA1, DA2, DA3: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
DA1E: 제1 전자기 센싱 영역 DA1H: 제1 중첩 센싱 영역
DA2E: 제2 전자기 센싱 영역 DA2H: 제2 중첩 센싱 영역
800: 메인 프로세서 EIC: 전자기 센서 구동부
TIC: 터치 구동부 Pen: 터치 입력 부재

Claims (23)

  1.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이격된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터치 센서층의 복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층; 및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구동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층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부재의 제1 좌표 데이터와 상기 터치 구동부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부재의 제2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 중첩 센싱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2 중첩 센싱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와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디지타이저층이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복수의 구동 전극 및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절연된 복수의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층은,
    상기 터치 구동부와 상기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의 구동 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1 구동 라인;
    상기 터치 구동부와 상기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의 구동 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2 구동 라인; 및
    상기 터치 구동부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 각각의 구동 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3 구동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라인에 제1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사용자 신체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3 구동 라인에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에 해당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구동 신호는 제1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터치 구동 신호를 일정한 전압을 갖는 기준 신호에 해당하는 표시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영역에서 충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과 상기 제3 표시 영역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차폐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층은 상기 제1 전극 패턴들을 지지하는 일면, 및 상기 제2 전극 패턴들을 지지하는 타면을 갖는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패턴들 각각은 제1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 패턴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6. 제1 표시 영역,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이격된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
    상기 터치 센서층의 복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층; 및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구동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층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차폐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터치 센서층의 복수의 터치 전극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층; 및
    상기 디지타이저층의 제1 전극 패턴들 및 제2 전극 패턴들을 구동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층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자기 센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3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을 제외한 제2 전자기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영역의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구동부는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에서 상기 터치 입력 부재의 터치를 감지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와 상기 터치 구동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1 전자기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중첩 센싱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전자기 센서 구동부가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23.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부가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제2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상기 디지타이저층이 상기 제2 중첩 센싱 영역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좌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좌표 데이터를 보정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75128A 2020-12-15 2020-12-15 표시 장치 KR20220085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28A KR20220085864A (ko) 2020-12-15 2020-12-15 표시 장치
US17/529,968 US20220187979A1 (en) 2020-12-15 2021-11-18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EP21214256.6A EP4016261A1 (en) 2020-12-15 2021-12-14 Display apparatus
CN202111527490.7A CN114637434A (zh) 2020-12-15 2021-12-14 显示设备和显示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28A KR20220085864A (ko) 2020-12-15 2020-12-15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64A true KR20220085864A (ko) 2022-06-23

Family

ID=7885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128A KR20220085864A (ko) 2020-12-15 2020-12-1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87979A1 (ko)
EP (1) EP4016261A1 (ko)
KR (1) KR20220085864A (ko)
CN (1) CN1146374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685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터치표시장치용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7102A2 (en) * 2007-10-30 2009-05-07 N-Trig Ltd. Laminated digitizer sensor
JP2015064693A (ja) * 2013-09-24 2015-04-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US9870072B2 (en) * 2014-03-03 2018-01-16 Lg Innotek Co., Ltd. Touch device structure having through holes
JP2016024754A (ja) * 2014-07-24 2016-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KR102318028B1 (ko) * 2015-03-13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회로 패터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99230A (ko) * 2017-02-28 2018-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그 제조 방법
KR102611187B1 (ko) * 2018-12-28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9547B1 (ko) * 2019-01-02 2024-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15942A (ko) *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2688A (ko) * 2019-04-18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JP2020201698A (ja) * 2019-06-10 2020-12-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及び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
CN114207566A (zh) * 2019-09-27 2022-03-18 株式会社和冠 位置检测传感器和输入装置
US11079867B2 (en) * 2019-12-19 2021-08-0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user interactions with foldable displays
EP4162318A1 (en) * 2020-06-03 2023-04-12 E Ink Corporation Foldable electrophoretic display module including non-conductive support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7979A1 (en) 2022-06-16
EP4016261A1 (en) 2022-06-22
CN114637434A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3083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564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put sensing using a display processor reference signal
CN107667335B (zh) 包括显示模块的能够检测压力的触摸输入装置
KR10241646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표시 장치
US10013121B2 (en) In-cell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self-capacitance electrodes
US9158398B2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creen sensing function
US11561636B2 (en) Touch input device for detecting pressure with display noise compensation
EP2527962B1 (en) Integrated digitizer display
CN106125997A (zh) 力传感器基板
KR20220085864A (ko) 표시 장치
KR102084467B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24060974A1 (zh) 显示面板、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20160209974A1 (en) Touch recogni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865303B1 (ko) 터치 입력 장치
JP2023055127A (ja) 検出装置
US20200201485A1 (en) Touchscreen panel and touch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US11726625B2 (en) Touch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ouch member
KR102234249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이의 엣지 좌표 보상방법
US20240077979A1 (en) Display device
US11941195B2 (en) Display device
JP2022191080A (ja) 入力検出システム及び検出装置
KR20220143217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KR20240069902A (ko) 표시 장치
KR20230030715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