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680A -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 - Google Patents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680A
KR20220085680A KR1020210024300A KR20210024300A KR20220085680A KR 20220085680 A KR20220085680 A KR 20220085680A KR 1020210024300 A KR1020210024300 A KR 1020210024300A KR 20210024300 A KR20210024300 A KR 20210024300A KR 20220085680 A KR20220085680 A KR 2022008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flue
year
side flange
ben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120B1 (ko
Inventor
배상진
Original Assignee
배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진 filed Critical 배상진
Priority to KR102021002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1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2Joints; Connections between duct or stack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40Heat insulation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1 연도;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2 연도; 상기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의 경계를 감싸는 이너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도는, 일측에 형성된 일측플랜지; 타측에 형성된 타측플랜지;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도는, 일측에 형성된 일측플랜지; 타측에 형성된 타측플랜지;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밴드는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를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에 제 1 실란트가 배치되고, 상기 이너밴드의 내부에 제 2 실란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에 반경방향으로 제 1 웨이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에 반경방향으로 제 2 웨이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웨이브 및 제 2 웨이브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웨이브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웨이브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가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2 절곡부가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연도의 이너파이프와 제 2 연도의 이너파이프를 일렬로 정렬시킨다.

Description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Isulated exhaust pipe for easy alignment}
본 발명은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소각장, 공장 주거 및 비주거건물 등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석유, 석탄,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굴뚝을 통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굴뚝까지 안내하는 연결라인을 연도라 한다.
연도는 통상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도금 강판 재질을 사용하고, 30-600℃ 정도의 배기가스가 통과되기 때문에, 단열구조를 갖는 이중관의 형태로 제작된다.
연도의 구성요소는, 내부관과, 내부관의 외부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보통 2.5~5센티 정도)을 띄어 외부관으로 형성되고,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의 공기층이 단열재 역할을 하는 이중연도 방식으로 제작된다.
발전기처럼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우 높을 경우에 이중연도의 외부에 외부관을 추가로 덧대어 3중연도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7200호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외통과,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다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과, 단열내통의 내부 중심에 다수 개의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발포형 흡음관부재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알루미늄재를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연도내의 소음이 흡음내통의 흡음구멍을 통해 단열부재로 흡음되어감소됨으로써, 연도내의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8140호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는 단열 내통에 형성된 절곡부를 통해서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흡음구멍을 상부가 관통된 돌출부를 통해서 형성시키므로 연도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하가 개구되고, 흡음 구멍이 외주면에 다수 개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흡음 내통과, 흡음 내통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단열 부재가 충진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절곡부가 다수 개로 형성되어 단열 부재를 고정시키는 단열 내통과, 흡음 내통과 단열 내통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1 스페이서와, 단열 내통 외면에 결합되는 외통과, 단열 내통과 외통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도 조립체는, 연도가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형성되어 내부관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 및 외부관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대한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단열 성능이 좋지 않으며, 이에 연도의 표면 온도가 쉽게 높아질 수 있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도를 연결하는 부분을 평면 플랜지 형식으로 형성시키고, 플랜지의 외부에 기밀재를 바른 V밴드를 조여 체결함으로써, 접촉면에 기밀재의 충진량이 많지 않으며, 극심한 온도 변화에 의해 연도가 신축 팽창할 경우 평면 플랜지의 접촉면이 떨어지면서 배기가스 또는 내부의 응축수가 쉽게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720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8140호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단열성능이 우수하며 누설방지에 탁월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한 연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 1 연도의 이너파이프 및 제 2 연도의 이너파이프가 일렬로 정렬될 수 있는 연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연도의 제 1 웨이브 및 제 2 연도의 제 2 웨이브가 용이하게 형합되어 위치정렬이 이루어지는 연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1 연도;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2 연도; 상기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의 경계를 감싸는 이너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도는, 일측에 형성된 일측플랜지; 타측에 형성된 타측플랜지;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도는, 일측에 형성된 일측플랜지; 타측에 형성된 타측플랜지;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밴드는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를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에 제 1 실란트가 배치되고, 상기 이너밴드의 내부에 제 2 실란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에 반경방향으로 제 1 웨이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에 반경방향으로 제 2 웨이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웨이브 및 제 2 웨이브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웨이브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웨이브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가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2 절곡부가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연도의 이너파이프와 제 2 연도의 이너파이프를 일렬로 정렬시킨다.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2 절곡부 및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연결하는 연결웨이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연결하는 연결웨이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웨이브 및 제 2 웨이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의 조립 시 위치정렬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가 웨이브들을 통해 형합되기 때문에,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조립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 사이에 제 1 실란트가 도포되고,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의 외부 및 이너밴드 내부에 제 2 실란트가 충진되기 때문에 기밀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 사이에 도포되는 제 1 실란트를 통해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를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고, 기밀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웨이브들이 연도들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 또는 반경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배치되기 때문에, 위치정렬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제 1 연도의 제 1 웨이브 및 제 2 연도의 제 2 웨이브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측에 배치된 웨이브가 상측에 배치된 웨이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아우터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랜지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랜지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도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연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아우터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복수개의 연도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연도들 및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연도들이 조립된 형태일 수 있다.
연도조립체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내부의 응축수가 중력방향 하측에 고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연도들의 연결부분을 통해 내부의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는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연도들을 연속되게 배치한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와,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경계를 밀착시키는 이너밴드(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는 STS304 또는 STS316과 같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구동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 1", "제 2" 등의 접두사를 붙여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도(100)는,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에 일측플랜지(111)가 형성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에 타측플랜지(11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파이프(1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너파이프(114)가 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일측플랜지(111)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일측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일측플랜지(111)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타측플랜지(112)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타측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바텀뷰로 볼 때, 상기 타측플랜지(112)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플랜지(111)의 폭과 타측플랜지(112)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의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완전한 링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상기 이너파이프(114)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도(200)는,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에 일측플랜지(211)가 형성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에 타측플랜지(21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214)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는 상기 이너파이프(214)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는 상기 이너파이프(214)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도(100)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도(200)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가 결합될 경우,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 상측에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와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와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웨이브는 상기 연도(100)의 길이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와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의 웨이브(115)(215)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일측플랜지(111)의 웨이브를 제 1 웨이브(115)라 하고, 상기 타측플랜지(212)의 제 2 웨이브(215)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측단면으로 볼 때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는 산(115a)(115b) 및 골(115c)(115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5)는 2개의 산(115a)(115b) 및 2개의 골(115c)(115d)을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제 1 연도(10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상기 산 및 골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산 중에서 상기 중심에 가까운 것을 제 1 산(115a)이라 하고, 중심에서 먼 것을 제 2 산(115b)이라 한다. 상기 골 중에서 중심에 가까운 것을 제 1 골(115c)이라 하고, 먼 것을 제 2 골(115d)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산(115a), 제 2 산(115b), 제 1 골(115c) 및 제 2 골(115d)의 평단면 중심이 일치된다.
상기 평단면 중심에서 상기 제 1 산(115a)의 반경이 상기 제 2 산(115b)의 반경보다 작다. 상기 평단면 중심에서 상기 제 1 골(115c)의 반경이 제 2 골(115d)보다 작다.
즉, 상기 평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 순으로 반경이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은 상기 일측플랜지(111) 전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이 상기 일측플랜지(111)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연도(100)의 타측플랜지(112)에도 일측플랜지(111)와 동일한 제 1 산, 제 1 골, 제 2 산 및 제 2 골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에는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에 대응되는 제 1 산(215a), 제 1 골(215c), 제 2 산(215b) 및 제 2 골(215d)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도(200)의 일측플랜지(211)에도 제 1 산, 제 1 골, 제 2 산 및 제 2 골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도(100)의 제 1 산(115a)이 제 2 연도(200)의 제 1 산(215a)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연도(200)의 제 1 산(215a)에 삽입되어 지지한다. 나머지 산 및 골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제 2 연도(200)의 제 1 골(215c)은 상기 제 1 연도(100)의 제 1 골(115c)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연도(100)의 제 1 골(115c)에 삽입된다.
상기 일측플랜지(111)는 상기 제 1 연도(100)의 길이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제 1 웨이브(115)와, 상기 제 1 웨이브(115)의 반경방향 끝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 1 연장부(116)을 포함한다.
상기 타측플랜지(212)는 상기 제 2 연도(200)의 길이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제 2 웨이브(215)와, 상기 제 2 웨이브(215)의 반경방향 끝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 2 연장부(21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의 상측에 상기 제 2 웨이브(215)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장부(216)의 상측에 상기 제 2 연장부(216)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형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연도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장부(216) 및 제 2 연장부(216)는 상기 연도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연도들의 길이방향에 직교한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조립 시,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다.
즉, 상기 제 1 연도(100) 위에 상기 제 2 연도(200)를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제 2 연도(200)를 정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너파이프(114)(214)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에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웨이브(115)(215)들의 형합에 의한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위치 정렬은 이러한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튀어나올 경우,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 들이 적층될 수 있고, 적층된 이물질이 부식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웨이브(115)(215)들의 형합을 통해 이러한 이물질의 적층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 및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 사이에 제 1 실란트(500, sealant)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상기 웨이브(115)(215) 및 연장부(116)(216)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내부식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상기 이너파이프(114)(214)들의 내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상기 연장부(116)(216)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는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는 상기 제 1 실란트(500)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가 탄성을 갖는 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도(100) 또는 제 2 연도(200)에서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 1 실란트(500)가 이를 어느 정도 완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직접 접촉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로 인해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 내부의 물이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는 상기 플랜지들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밸드(300)는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밴드(300)는,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가 삽입되는 밴드삽입부(310)와, 상기 밴드삽입부(310)에서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연장부(320)(330)와, 상기 밴드삽입부(3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배치된 밴드체결부(351)(352)와, 상기 밴드체결부(351)(352)를 체결 결합시키는 밴드체결부재(353)(3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체결부재(353)(354)는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체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삽입홈(31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V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15)은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이 삽입되는 측이 넓고, 연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정단면으로 볼 때,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 또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상기 일측플랜지(111)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경사부(311)와, 상기 타측플랜지(212)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경사부(312)와, 상기 제 1 경사부(311) 및 제 2 경사부(312)를 연결하고,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212)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부(313)를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삽입부(310)의 일단 및 타단은 분리되고, 상기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밴드체결부(351)(35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체결부(351)(352)는 상기 밴드삽입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밴드삽입부(31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밴드체결부(351)(352)를 형성한다.
상기 일단에 배치된 것을 제 1 밴드체결부(351)라 하고, 타단에 배치된 것을 제 2 밴드체결부(352)라 한다.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는 상기 연도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에 각각 체결홀(355)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체결부재(353)(354)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직경은 상기 이너파이프(114)와 같거나 상기 이너파이프(114)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차를 통해 상기 이너밴드(300)가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밴드연장부(320)(330)는 상기 밴드삽입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띠 형태의 판을 절곡하여 상기 밴드체결부재(353)(354)를 제외한 밴드삽입부(310), 밴드연장부(320)(330) 및 밴드체결부(351)(352)를 제작한다.
상기 밴드연장부(320)(330)는 상기 제 1 경사부(311)와 연결된 제 1 밴드연장부(320)와, 상기 제 2 경사부(312)와 연결된 제 2 밴드연장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2 밴드연장부(330)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2 밴드연장부(330)가 상기 이너파이프(114)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삽입홈(315)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5)에 제 2 실란트(60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란트(600)는 상기 삽입홈(315)을 따라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5)의 부피보다 많은 부피의 제 2 실란트(600)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실란트(600)가 상기 삽입홈(315)의 부피보다 적게 충진될 경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란트(600)는 상기 밴드연장부(320)(330) 밖으로 일부(601)(602)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315)에 충진된 제 2 실란트(600)는 상기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 및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 전체를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 및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가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가 각기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상기 제 1 연도(100)의 외측을 감싸는 제 1 아우터연도(150)와, 상기 제 2 연도(200)의 외측을 감싸는 제 2 아우터연도(250)와,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1 아우터연도(150)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1 아우터연도(150)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1 스페이서(160)와, 상기 제 2 연도(20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도(20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2 스페이서(260)와,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의 바깥쪽을 감싸는 아우터밴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직경으로 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직경은 상기 제 1 연도(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직경은 상기 제 2 연도(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의 길이는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 보다 짤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 1 연도(100)의 길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 2 연도(200)의 길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일단(401, 본 실시예에서 하단)이 제 1 아우터연도(150)에 밀착되고, 타단(402, 본 실시예에서 상단)이 제 2 아우터연도(250)에 밀착된다. 상기 일단(401)은 상기 연도(100)(200)들의 길이 방향이다.
상기 일단(401) 및 타단(402)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삽입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51)은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홈(151)에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일단(401)이 삽입된다.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삽입홈(25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삽입홈(251)은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삽입홈(251)에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타단(402)이 삽입된다.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원주방향 일단 및 타단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밴드체결부(403)(404)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체결부(403)(40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밴드체결부재(405)(406)을 통해 체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1 아우터연도(150)를 이격시킨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는 제 1 연도(100)의 열이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로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2 스페이서(260)도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 및 제 2 스페이서(260)는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1 스페이서(160)들은 상기 제 1 연도(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60)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스페이서(260)들은 상기 제 2 연도(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일측플랜지(111) 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2 타측플랜지(212)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연도(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61)와,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1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161) 및 제 2 연결부(162)는 직교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161)는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1 연도(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체결 시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가 상기 제 1 연결부(161)에 밀착되고, 기밀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특히 제 2 실란트(600)가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1 연결부(161) 사이로 충진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62)는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일측단(1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62)는 상기 제 1 삽입홈(151)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2 연도(2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61)와,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2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261) 및 제 2 연결부(262)는 직교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261)는 상기 제 2 밴드연장부(330) 및 제 2 연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체결 시 상기 제 2 밴드연장부(330)가 상기 제 1 연결부(261)에 밀착되고, 기밀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특히 제 2 실란트(600)가 상기 제 2 밴드연장부(330) 및 제 1 연결부(261) 사이로 충진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262)는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일측단(2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262)는 상기 제 2 삽입홈(251)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및 제 2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 사이에 상기 이너밴드(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및 제 2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의 반경방향 돌출길이는 상기 이너밴드(300)의 돌출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상하 방향(연도들의 길이방향) 길이가 상기 상기 제 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및 제 2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상기 상기 제 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제 2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 및 이너밴드(300)를 동시에 감싸게 배치된다.
이하 상기 제 2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1 스페이서(160)와 대칭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너파이프(114)(214)의 내부에 세라믹 성분, 바나듐 및 티타니아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성분은 알루미나를 포함하여 일련의 공정을 거쳐 세라믹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탄화규소, 코디어라이트(MgO.Al2O3.SiO2), 실리마나이트(sillimanite group, Al2O3·SiO2), 카올린(kaolin group, Al2O3·2SiO2·2H2O), 실리카(SiO2), 규조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나듐은 원자번호 23번의 은회색 전이 금속으로 상기 조성물에 소량 첨가되어 연도관의 내열성 및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과량 첨가되는 경우 코팅 과정 중 코팅층의 미세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티타니아는 티타늄 산화물로 자연에서 무정형, 아나타제(ana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루타일(rutile)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티타니아는 무정형, 아나타제(ana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루타일(rutil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형태로서 아나타제 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세라믹 성분에 더하여 추가되는 금속 성분은 바나듐 및 티타니아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도관 내부 코팅 성분으로 추가될 수 있는, 다른 금속 성분, 예를 들어 텅스텐, 인, 코발트 등은 세라믹 코팅층의 형성 과정에서 미세 균열을 유발하여 코팅층 형성에 방해가 되고, 바나듐 및 티타니아 조합만 함유된 것과 비교해 내열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촉매 조성물은 텅스텐, 인 또는 코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나듐 및 티타니아 혼합물은 세라믹 성분 5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1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나듐 및 티타니아 조합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온 하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어 뒤틀림 및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바나듐 및 티타니아 각각의 성분비는 중량비로 1 내지 5:1 내지 3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3:2.5 중량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보다 바나듐이 과하게 첨과되는 경우에는 코팅층의 미세 균열을 일으켜 코팅층의 수명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으며, 티타니아가 과하게 첨가되는 경우 세라믹 성분과 잘 혼합되지 않아 충분한 내열성을 나타낼 수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랜지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플랜지(111)의 제 1 웨이브(1110) 및 상기 타측플랜지(212)의 제 2 웨이브(1210)는 절곡된 직선 형태의 웨이브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웨이브(1110)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와, 상기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을 연결하는 연결웨이브(1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 제 2 절곡부(1113) 및 연결웨이브(1112)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는 반경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부(1113)는 상기 제 1 절곡부(1111)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절곡부(1111)는 반경방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절곡부(1113)는 반경방향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는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웨이브(1112)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가 상기 이너파이프(114)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절곡부(1113)가 제 1 절곡부(1111)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1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웨이브(1210)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절곡부(1211) 및 제 2 절곡부(1213)와, 상기 제 1 절곡부(1211) 및 제 2 절곡부(1213)을 연결하는 연결웨이브(1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곡부(1211), 제 2 절곡부(1213) 및 연결웨이브(1212)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211) 및 제 2 절곡부(1213)는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웨이브(1212)는 상기 이너파이프(214)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곡부(1211)가 상기 이너파이프(214)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절곡부(1213)가 제 1 절곡부(1211)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웨이브(121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웨이브(1210)는 상기 제 1 웨이브(1110)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웨이브(111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10) 및 제 2 웨이브(1210)는 연도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웨이브(1110) 및 제 2 웨이브(1210) 사이에 제 1 실란트(500)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브(1110) 및 제 2 웨이브(1210)의 바깥쪽에 상기 제 2 실란트(600)가 충진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랜지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플랜지(111)의 제 1 웨이브(2110) 및 상기 타측플랜지(212)의 제 2 웨이브(2210)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웨이브(2110)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는 반경방향 상측 또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곡부(1113)는 상기 제 1 절곡부(1111)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절곡부(1111)는 반경방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절곡부(1113)는 반경방향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는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가 상기 이너파이프(114)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절곡부(1113)가 제 1 절곡부(1111)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1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웨이브(2210)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절곡부(2211) 및 제 2 절곡부(2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곡부(2211) 및 제 2 절곡부(2213)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절곡부(2211) 및 제 2 절곡부(2213)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곡부(2211) 및 제 2 절곡부(2213)는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곡부(2211)가 상기 이너파이프(214)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절곡부(2213)가 제 1 절곡부(1211)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웨이브(221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웨이브(2210)는 상기 제 1 웨이브(2110)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웨이브(211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2110) 및 제 2 웨이브(2210)는 연도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웨이브(2110) 및 제 2 웨이브(2210) 사이에 제 1 실란트(500)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브(2110) 및 제 2 웨이브(2210)의 바깥쪽에 상기 제 2 실란트(600)가 충진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도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도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들의 웨이브는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연도들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 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에 제 1 웨이브(3110)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에 제 2 웨이브(321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웨이브(3110) 및 제 2 웨이브(3210)는 축중심(O)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웨이브(3110)는 상기 일측플랜지(111)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 2 웨이브(3210)는 상기 타측플랜지(212)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다.
상기 제 1 웨이브(3110)는 일측플랜지(111)에 4개소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웨이브(3210)는 이에 대응하여 4개소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웨이브(3110)는 제 3 실시예의 제 1 절곡부(1111') 및 제 2 절곡부(1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웨이브(3210)는 상기 제 3 실시예의 제 1 절곡부(2111') 및 제 2 절곡부(2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2111') 및 제 2 절곡부(1113')(2113')는 상기 축중심(O)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곡부(1111')(2111') 및 제 2 절곡부(1113')(2113')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절곡부(1111')(2111') 및 제 2 절곡부(1113')(2113')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위치정렬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절곡부(1111)(2111') 및 제 2 절곡부(1113')(2113')을 일치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제 1 연도(100) 및 제 2 연도(200)의 축중심이 일치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연도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들의 웨이브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들과 제 4 실시예에 따른 웨이브들이 혼합된 형태이다.
즉 축중심(O)을 기준으로 4개의 웨이브들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4개의 제 1 웨이브는 제 4 실시예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축중심을 기준으로 제 4 실시예의 제 1 웨이브(3110) 및 제 2 웨이브(3210)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 4 실시예의 제 1 웨이브(3110) 및 제 2 웨이브(3210)들 사이에 제 3 실시예의 제 1 웨이브(2110) 및 제 2 웨이브(2210)들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 1 연도 111 : 일측프랜지
112 : 타측플랜지 114 : 이너파이프
115 : 제 1 웨이브 150 : 제 1 아우터연도
200 : 제 2 연도 250 : 제 2 아우터연도
300 : 이너밴드 400 : 아우터밴드
500 : 제 1 실란트 600 : 제 2 실란트

Claims (5)

  1.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1 연도;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2 연도;
    상기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의 경계를 감싸는 이너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도는,
    일측에 형성된 일측플랜지;
    타측에 형성된 타측플랜지;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도는,
    일측에 형성된 일측플랜지;
    타측에 형성된 타측플랜지;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밴드는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를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 및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에 제 1 실란트가 배치되고,
    상기 이너밴드의 내부에 제 2 실란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연도 및 제 2 연도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도의 일측플랜지에 반경방향으로 제 1 웨이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도의 타측플랜지에 반경방향으로 제 2 웨이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웨이브 및 제 2 웨이브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웨이브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웨이브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가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2 절곡부가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연도의 이너파이프와 제 2 연도의 이너파이프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연도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연도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2 절곡부 및 제 2 웨이브의 제 2 절곡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연도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연결하는 연결웨이브를 더 포함하는 연도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웨이브의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를 연결하는 연결웨이브를 더 포함하는 연도조립체.

KR1020210024300A 2020-12-15 2021-02-23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 KR10254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00A KR102540120B1 (ko) 2020-12-15 2021-02-23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62A KR102221820B1 (ko) 2020-12-15 2020-12-15 연도 조립체
KR1020210024300A KR102540120B1 (ko) 2020-12-15 2021-02-23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62A Division KR102221820B1 (ko) 2020-12-15 2020-12-15 연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80A true KR20220085680A (ko) 2022-06-22
KR102540120B1 KR102540120B1 (ko) 2023-06-05

Family

ID=746878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62A KR102221820B1 (ko) 2020-12-15 2020-12-15 연도 조립체
KR1020210024300A KR102540120B1 (ko) 2020-12-15 2021-02-23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
KR1020210024305A KR102492528B1 (ko) 2020-12-15 2021-02-23 기밀성이 강화된 연도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62A KR102221820B1 (ko) 2020-12-15 2020-12-15 연도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305A KR102492528B1 (ko) 2020-12-15 2021-02-23 기밀성이 강화된 연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21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91B1 (ko) * 2022-04-06 2022-07-27 코리아플랜트(주) 연도내부 풍속을 이용한 세로축 풍력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200B1 (ko) 2003-05-14 2011-11-29 리치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안정성이 개선된 휩가능한 식품
KR20120027187A (ko) * 2009-04-02 2012-03-21 바스프 에스이 보호층으로 코팅된 열전 재료
KR20150098140A (ko) 2014-02-19 2015-08-27 (주) 거성엔지니어링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200491769Y1 (ko) * 2020-04-09 2020-06-02 (주)대양기연 연결부 내화성이 강화된 단위식 연도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54B1 (ko) * 2007-12-31 2009-08-31 한국에어텍(주)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180049688A (ko) * 2016-11-03 2018-05-11 이종만 이중연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200B1 (ko) 2003-05-14 2011-11-29 리치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안정성이 개선된 휩가능한 식품
KR20120027187A (ko) * 2009-04-02 2012-03-21 바스프 에스이 보호층으로 코팅된 열전 재료
KR20150098140A (ko) 2014-02-19 2015-08-27 (주) 거성엔지니어링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200491769Y1 (ko) * 2020-04-09 2020-06-02 (주)대양기연 연결부 내화성이 강화된 단위식 연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120B1 (ko) 2023-06-05
KR20220085681A (ko) 2022-06-22
KR102221820B1 (ko) 2021-02-26
KR102492528B1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5680A (ko) 위치정렬이 용이한 연도 조립체
US20210190442A1 (en) Heat transfer enhancement pipe as well as cracking furnace and atmospheric and vacuum heating furnace including the same
KR100728137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JP4293789B2 (ja) 複合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流体移送方法
US3730073A (en) Chimneys
KR101087220B1 (ko)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RU2495214C2 (ru) Модуль дымовой трубы (варианты)
KR101554899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2356499B1 (ko) 스페이서가 설치된 4중 연도조립체
KR102356493B1 (ko)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CN101672590A (zh) 组合管壳式热管换热器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CN201081587Y (zh) 复合式热管换热设备
KR102364466B1 (ko) 연도내부 풍속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CN108426265A (zh) 一种复合管烟气热水器
KR101478006B1 (ko) 연돌 내부구조물
KR101994965B1 (ko) 걸림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및 그 설치방법
CN215892315U (zh) 一种锅炉蒸汽集箱保温层的支撑结构
JP5878256B1 (ja) 煙突の接続構造
KR102425691B1 (ko) 연도내부 풍속을 이용한 세로축 풍력발전장치
CN108980503A (zh) 一种高温蒸汽输送方法及管道
CN219283370U (zh) 一种锅炉隔热烟道
CN219453294U (zh) 一种高强度不易断开的无缝管
CN210135599U (zh) 一种双管程复合高效换热器
KR200437229Y1 (ko) 연도의 연결부위 누수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