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405A - 블로어 - Google Patents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405A
KR20220085405A KR1020200175432A KR20200175432A KR20220085405A KR 20220085405 A KR20220085405 A KR 20220085405A KR 1020200175432 A KR1020200175432 A KR 1020200175432A KR 20200175432 A KR20200175432 A KR 20200175432A KR 20220085405 A KR20220085405 A KR 2022008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board
guide
vertical direction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133B1 (ko
Inventor
김기동
오시영
김재현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토출구가 형성된 제 1타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상기 제 1타워와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 1타워와의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제 2타워; 및 상기 제 1타워 및 상기 제 2타워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드슬릿을 통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가능하게 배치되는 기류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변환기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보드슬릿을 따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보드를 포함하여, 보드를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제 1타워전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제 1타워와 제 2타워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보드의 상단과 하단이 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로어 {Blower}
본 발명은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류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사용자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한다. 블로어가 필터를 구비할 경우, 블로어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블로어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 블로어에는 기류변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케이스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토출공기의 유로를 향해 돌출되는 기류변환기의 경우, 기류변환기의 형상이 케이스의 형상에 영향을 받게 되고, 케이스의 정해진 형상에 의해 토출공기의 유로를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유동흐름을 완전하게 전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류변환기와 타워 간의 형합성이 개선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완전하게 전환시키는 기류변환기를 구비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기류변환기와 타워 간에 발생되는 마찰이 저감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기류변환기의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된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토출구가 형성된 제 1타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상기 제 1타워와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 1타워와의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제 2타워; 및 상기 제 1타워 및 상기 제 2타워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드슬릿을 통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가능하게 배치되는 기류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변환기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보드슬릿을 따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보드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변환기는, 상기 보드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보드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드 및 상기 보드슬릿은, 상기 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워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 1타워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드의 하단은 상기 보드가이드의 상단보다 상기 제 1타워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드의 상단 및 상기 보드가이드의 하단은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드가이드의 상단과 상기 보드가이드의 하단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드는, 상기 제 1타워 및 상기 제 2타워 각각의 내부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드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0.3도 내지 0.4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상기 제 1타워전단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보드슬릿과 상기 제 1타워전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보드슬릿의 연장방향을 따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타워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 1내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슬릿은, 상기 제 1내측벽의 일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워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 1타워전단과 대향되는 제 1타워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타워전단보다 상기 제 1타워후단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3.0도 내지 3.5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로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보드를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제 1타워전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제 1타워와 제 2타워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보드의 상단과 하단이 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보드를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제 1타워와 제 2타워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보드의 상단 및 하단이 밀착되어 유동방향의 전환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셋째, 회전축의 경사각을 제 1타워전단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보드가 보드슬릿을 보다 부드럽게 통과하여 보드에 작용하는 마찰이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넷째, 제 1타워전단에 대한 보드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제 1타워케이스와 보드 간의 형합성을 개선하여, 보드의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다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상측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횡단면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가 돌출된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제 1타워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의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가이드의 상측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가 돌출되기 전의 블로어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가 돌출된 후의 블로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블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블로어(1)의 전체구조를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블로어(1)의 전체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블로어(1)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순환시킨다는 점에서, 공기조화기, 에어클린팬, 공기청정기 등 다른 명칭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모듈(100)과,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송풍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어(1)은 상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고, 블로어(1)은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일 수 있다.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외부 충력에 의한 전도의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흡입모듈(10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송풍모듈(200) 역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모듈(100)은,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고, 블로어(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와 필터(13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내부에 필터(13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20)의 내측으로 개구된 흡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121)은, 하부케이스(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상하로 연장된 2개의 기둥 형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모듈(200)은,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를 흡입모듈(100)과 연결시키는 타워베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흡입모듈(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흡입모듈(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입모듈(100)과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의 상면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으로 연장된 타워베이스상면(2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타워베이스상면(211)의 일측(211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2타워(230)는 타워베이스상면(211)의 타측(211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흡입모듈(100)의 내부로부터 공급된 여과공기를 분배하고, 상기 분배된 공기를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는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타워베이스(210)와 제 1타워(220)는 블로어(1)의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고, 타워베이스(210)와 제 2타워(230)는 블로어(1)의 연속된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는 타워베이스(210) 없이 흡입모듈(100)에 직접 조립될 수 있고, 흡입모듈(10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S)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는, 전방,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된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 1타워(220), 제 2타워(230) 및 블로잉스페이스(S)로 이루어진 송풍모듈(200)의 외형은 원뿔대형일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에 각각 형성된 토출구(222)(232)은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구(222, 232)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타워(22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1토출구(222)라 하고, 제 2타워(230)에 형성된 토출구를 제 2토출구(232)라 한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대칭되게배치될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가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S) 내에서 유동이 균일하게 분배되어 수평기류 및 상승기류의 제어에 보다 유리하다.
제 1타워(220)는 제 1타워(22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 1타워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타워(230)는 제 2타워(23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 2타워케이스(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타워케이스(221)와 제 2타워케이스(231)는, 하부케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22)(232)가 각각 형성된 상부케이스로 이름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타워(22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토출구(232)는 제 2타워(23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사이의 간격인 블로잉스페이스(S)의 폭은 상하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로잉스페이스(S)의 상단 폭이 하단폭보다 좁게 형성되거나 넓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블로잉스페이스(S)의 폭을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하방향으로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상측의 폭과 하측의 폭이 다를 경우, 넓은 쪽의 유동속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속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해 공기의 유속편차가 발생될 경우, 공기가 토출되는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청정공기의 공급량이 달라질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와 제 2토출구(232) 각각에서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로부터 토출된 공기와 제 2토출구(232)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유동되지 않고,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는 토출공기들이 합류되어 믹스(Mix)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블로어(1) 주위의 공기에 간접기류가 형성되어, 블로어(1) 주위의 공기도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토출공기와 제 2토출구(232)의 토출공기가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됨으로써 토출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토출공기와 제 2토출구(232)의 토출공기를 블로잉스페이스(S)에서 합류시킴으로써,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주변의 공기도 간접기류에 의해 송풍모듈(200)의 외둘레면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제 1타워케이스(221)는, 제 1타워(22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1타워상단(221a); 제 1타워(22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1타워전단(221b); 제 1타워(22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 1타워후단(221c); 제 1타워(220)의 외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1외측벽(221d); 및 제 1타워(22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 1내측벽(22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타워케이스(231)는, 제 2타워(23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2타워상단(231a); 제 2타워(23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2타워전단(231b); 제 2타워(23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 2타워후단(231c); 제 2타워(230)의 외둘레면을 형성하는 제 2외측벽(231d); 및 제 2타워(2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 2내측벽(23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외측벽(221d)과 제 2외측벽(231d)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각각의 외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각각의 내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내측벽(22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232)는, 제 2내측벽(23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타워전단(221b)보다 제 1타워후단(221c)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232)는, 제 2타워전단(231b)보다 제 2타워후단(231c)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제 1기류변환기(401)가 관통되는 제 1보드슬릿(223)은, 제 1내측벽(22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제 2기류변환기(402)가 관통되는 제 2보드슬릿(233)은, 제 2내측벽(231e)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223)과 제 2보드슬릿(233)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223)은, 제 1타워후단(221c)보다 제 1타워전단(221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보드슬릿(233)은, 제 2타워후단(231c)보다 제 2타워전단(231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223)과 제 2보드슬릿(233)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블로어(1)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P'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한 단면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Q-Q'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한 단면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블로어(1)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구동모듈(150)이 배치되는 구동공간(100S)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0)는, 구동공간(100S)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30)의 외형은 원통형일 수 있고, 필터(130)의 내측에는 실린더형의 필터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130)를 통과하여 필터공(131)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130)의 상측에는, 필터(13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그릴(140)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140)은, 팬어셈블리(300)와 필터(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140)은, 하부케이스(210)를 제거하고 필터(130)를 블로어(1)으로부터 분리할 시, 사용자의 손이 팬어셈블리(300)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는, 필터(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블로어(1) 외부의 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어셈블리(300)의 구동에 의해, 블로어(1) 외부의 공기는 흡입홀(121)과 필터공(131)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130)와 송풍모듈(200) 사이에는, 팬어셈블리(300)가 배치되는 가압공간(300s)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의 내부에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 1분배공간(220s)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타워(230)의 내부에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제 2분배공간(230s)이 형성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가압공간(300s)을 통과한 공기를 제 1분배공간(220s)과 제 2분배공간(230s)으로 분배할 수 있다. 타워베이스(210)는, 제 1, 2타워(220, 230)와 팬어셈블리(300)를 연결하는 채널(Channel)일 수 있다.
제 1분배공간(220s)은, 제 1외측벽(221d)과 제 1내측벽(221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분배공간(230s)은, 제 2외측벽(231d)과 제 2 내측벽(231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제 1분배공간(220s) 내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1유동가이드(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제 1타워후단(221c)으로부터 제 1타워전단(221b)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제 1타워전단(221b)과 전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1가이드전단(224a)은, 제 1유동가이드(224)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 1가이드후단(224b)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유동가이드(224) 각각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작을 수 있다.
제 2타워(230)는, 제 2분배공간(230s) 내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제 2유동가이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제 2타워후단(231c)으로부터 제 2타워전단(231b)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제 2타워전단(231b)과 전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 2가이드전단(234a)은, 제 2유동가이드(234)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 2가이드후단(234b)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유동가이드(234) 각각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작을 수 있다.
제 1유동가이드(224)는, 팬어셈블리(30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 1토출구(222)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 2유동가이드(234)는, 팬어셈블리(30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 2토출구(232)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팬어셈블리(3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310); 팬모터(310)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330); 팬모터(310)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팬(320); 및 팬(320)에 의해 가압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디퓨져(34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310)는, 팬(3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팬모터(3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모터축(311)을 통해 팬(320)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0)은, 팬모터(3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모터하우징(331)과, 팬모터(3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 2모터하우징(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타워베이스상면(211)의 일측(211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하단(222d)은, 타워베이스상면(211)의 일측(21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제 1타워상단(221a)의 하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상단(222c)은, 제 1타워상단(221a)의 하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축(Z)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전단(222a)과 제 1토출구후단(222b)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토출구전단(222a)과 제 1토출구후단(222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하축(Z)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제 1분배공간(220s) 내의 공기를 제 1토출구(222)로 안내하는 제 1토출가이드(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타워(22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제 2타워(230)와 대칭될 수 있고, 제 2타워(23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 1타워(220)에 대한 설명은 제 2타워(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코안다 효과를 유발하기 위한 블로어(1)의 공기토출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블로어(1)을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R-R'선도를 따라 블로어(1)을 절개하여 상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 사이의 간격(D0, D1, D2)은, 블로잉스페이스(S)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의 꼭지점 사이에 최단거리(D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단거리(D0)는, 블로잉스페이스(S)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는,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토출구(232)는,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2타워전단(231b)은 제 1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 1타워후단(221c)과 제 2타워후단(231c)은 제 2간격(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 1간격(D1)과 제 2간격(D2)은 동일할 수 있다. 제 1간격(D1)은 최단거리(D0)보다 클 수 있고, 제 2간격(D2)은 최단거리(D0)보다 클 수 있다.
제 1내측벽(221e)과 제 2내측벽(231e) 사이의 간격은, 후단(221c, 231c)으로부터 상기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까지는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최단거리(D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전단(221b, 231b)까지는 커질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2타워전단(231b)은, 전후방축(X)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2타워전단(231b) 각각에서 그은 접선은, 전후방축(X)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을 가질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전후방축(X)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A)을 갖고 유동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확산각이 증대될 수 있다.
후술할 제 1기류변환기(401)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제 1보드슬릿(223) 내에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후술할 제 2기류변환기(402)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때, 제 2보드슬릿(233) 내에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 1토출가이드(225)와 제 2토출가이드(235)에 의해 유동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225)는, 제 1내측벽(221e)과 연결되는 제 1이너가이드(225a)와, 제 1외측벽(221d)과 연결되는 제 1아우터가이드(2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이너가이드(225a)는, 제 1내측벽(221e)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아우터가이드(225b)는, 제 1외측벽(221d)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이너가이드(225a)는, 제 1내측벽(221e)으로부터 제 1분배공간(22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아우터가이드(225b)는, 제 1외측벽(221d)으로부터 제 1분배공간(22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아우터가이드(225b)는, 제 1이너가이드(225a)의 외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이너가이드(225a)와의 사이에 제 1토출구(2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이너가이드(225a)의 곡률반경은, 제 1아우터가이드(225b)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분배공간(220s)의 공기는, 제 1이너가이드(225a)와 제 1아우터가이드(225b) 사이로 유동하여 제 1토출구(22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유동할 수 있다.
제 2토출가이드(235)는, 제 2내측벽(231e)과 연결되는 제 2이너가이드(235a)와, 제 2외측벽(231d)과 연결되는 제 2아우터가이드(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이너가이드(235a)는, 제 2내측벽(231e)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아우터가이드(235b)는, 제 2외측벽(231d)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이너가이드(235a)는, 제 2내측벽(231e)으로부터 제 2분배공간(23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아우터가이드(235b)는, 제 2외측벽(231d)으로부터 제 2분배공간(230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아우터가이드(235b)는, 제 2이너가이드(235a)의 외측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이너가이드(235a)와의 사이에 제 2토출구(2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이너가이드(235a)의 곡률반경은, 제 2아우터가이드(235b)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분배공간(230s)의 공기는, 제 2이너가이드(235a)와 제 2아우터가이드(235b) 사이로 유동하여 제 2토출구(232)를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폭(w1, w2, w3)은, 제 1토출가이드(225)의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해 갈수록 점차 작아지다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토출가이드(225)의 입구폭(w1)의 크기는, 제 1토출가이드(225)의 출구폭(w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입구폭(w1)은, 제 1이너가이드(225a)의 외측끝단과 제 1아우터가이드(225b)의 외측끝단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출구폭(w3)은, 제 1이너가이드(225a)의 내측끝단인 제 1토출구전단(222a)으로부터 제 1아우터가이드(225b)의 내측끝단인 제 1토출구후단(222b)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입구폭(w1)과 상기 출구폭(w3)의 크기는, 제 1토출구(222)의 최단폭(w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최단폭(w2)은, 제 1토출구후단(222b)과 제 1이너가이드(225a)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22)의 폭은, 제 1토출가이드(225)의 입구로부터 최단폭(w2)이 형성된 위치까지는 점차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최단폭(w2)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제 1토출가이드(225)의 출구까지는 점차 커질 수 있다.
제 2토출가이드(235)도 제 1토출가이드(225)와 마찬가지로, 제 2토출구전단(232a)과 제 2토출구후단(232b)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토출가이드(225)와 동일한 폭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류변환기(400)에 의한 풍향전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기류변환기(400)가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되어 블로어(1)가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기류변환기(4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류변환기(40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승풍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류변환기(400)는, 제 1타워케이스(221)에 배치되는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타워케이스(231)에 배치되는 제 2기류변환기(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기류변환기(402)는,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 각각으로부터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되어,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기류변환기(402)가 돌출되어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을 차단하면, 제 1토출구(222)와 제 2토출구(232)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기류변환기(400)에 의해 가로막혀 상방(Z)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기류변환기(402)가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에 각각 인입되어 블로잉스페이스(S)의 전방을 개방하면, 제 1토출구(222)와 제 2토출구(232)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해 전방(X)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류변환기(401, 402)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되는 보드(410)와, 보드(4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20)와, 보드(41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보드가이드(430)와, 모터(410)와 보드가이드(430)를 지지하는 커버(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기류변환기(401)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할 제 1기류변환기(401)에 대한 설명은 제 2기류변환기(40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드(4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보드슬릿(223) 내에 인입되어 있을 수 있다. 보드(410)는, 모터(420)가 구동되면, 제 1보드슬릿(223)을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수 있다. 보드(410)는 횡단면의 형상이 호(arc)형인 아치(arch)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드(410)는, 모터(420)가 구동되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어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수 있다.
모터(420)는, 피니언기어(421)와 연결되어 피니언기어(4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420)는 피니언기어(4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보드가이드(430)는, 상하로 연장된 판형일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는, 상하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슬릿(432)과, 피니언기어(421)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랙(431)을 포함할 수 있다.
랙(431)은, 피니언기어(421)와 맞물릴 수 있다. 모터(420)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421)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421)와 맞물린 랙(431)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보드(410)에 보드가이드(43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에 삽입될 수 있다.
랙(431)의 상하이동에 따라 보드가이드(430)가 상하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에 의해 힘을 받아 이동될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에 따라,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 내에서 사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랙(431)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을 따라 이동되어 가이드슬릿(432)의 최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11)가 가이드슬릿(432)의 최하단에 위치되었을 때, 보드(4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타워(220) 내에 완전하게 은닉될 수 있다. 랙(431)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슬릿(432) 또한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을 따라 동일한 수평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랙(431)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을 따라 이동되어 가이드슬릿(432)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11)가 가이드슬릿(432)의 상단에 위치되었을 때, 보드(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타워(220)로부터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랙(431)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슬릿(432) 또한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을 따라 동일한 수평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440)는, 보드가이드(4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커버(441); 보드가이드(4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 1내측면(221e)에 밀착되는 제 2커버(442); 제 1커버(4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모터(420)와 연결되는 모터지지판(443); 및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커버(441)는 보드가이드(43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고, 제 2커버(442)는 보드가이드(430)의 내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 1커버(441)는 보드가이드(43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 1분배공간(220s)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 2커버(442)는, 보드가이드(430)가 제 1내측벽(221e)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터지지판(443)은, 제 1커버(4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모터(4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444)는, 제 1커버(441)로부터 보드가이드(430)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의 일면에는 상하이동에 따라 스토퍼(444)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가 상하이동될 때, 상기 걸림돌기(미도시)가 스토퍼(444)에 걸림됨으로써,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기류변환기(400)의 분해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기류변환기(400)를 보드(410), 보드가이드(430) 및 커버(440)로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돌기(411)와 가이드슬릿(432)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440)는, 보드가이드(430)를 향해 돌출된 커버돌기(446)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돌기(446)는, 보드가이드(430)에 개구되어 형성된 커버돌기홈(433)에 삽입되어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커버돌기홈(433)은, 복수의 가이드슬릿(4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커버돌기(446)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커버돌기(446)와 커버돌기홈(433)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사선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32)은, 일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절곡부(432a)와, 절곡부(432a)의 상측에 가이드슬릿(432)의 경계를 형성하는 슬릿경계(4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기류변환기(400)의 회전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제 1타워(220)의 제 1내측벽(221e)을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타워(220)와 제 2타워(23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의 제 1타워(220)에 대한 설명은 제 2타워(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내측벽(221e)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타워(220)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C)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 1타워후단(221c)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심축(C)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제 1경사각(θ1)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이 제 1경사각(θ1)을 가지고, 제 1외측벽(221d)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제 1내측벽(221e)이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 1타워(220)는 개략적인 형상이 원뿔대일 수 있다. 제 1타워전단(221b)이 연장된 방향인 전단방향(Y)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제 1경사각(θ1)을 가질 수 있다.
보드슬릿(223)은, 제 1타워전단(221b)과 이격될 수 있고, 제 1타워전단(221b)과 중심축(C) 사이에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드슬릿(223)과 제 1타워전단(221b) 사이의 간격(D1, D2, D3)은, 보드슬릿(223)의 연장방향을 따라 동일할 수 있다. 즉, 보드슬릿(223)의 상부에서의 제 1간격(D1)과, 중단에서의 제 2간격(D2)과, 하부에서의 제 3간격(D3)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보드(410)가 보드슬릿(223)을 통해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시, 제 1타워전단(221b)과 보드(4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보드(410)는, 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축(RX)은, 제 1타워전단(221b)보다 제 1타워후단(221c)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RX)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C)으로부터 제 1타워후단(221c)을 향해 제 2경사각(θ2)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회전축(RX)은, 제 1타워전단(221b)과 제 1타워후단(221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RX)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RX)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제 2경사각(θ2)을 가질 수 있다.
제 2경사각(θ2)은, 제 1경사각(θ1)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보드(410)의 두께 및 회전공차에 의해 발생되는 보드(410)와 보드슬릿(223) 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제 1경사각(θ1)은, 3.0도 내지 3.5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3도일 수 있다.
제 2경사각(θ2)은, 3.0도 내지 3.5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2도일 수 있다.
보드슬릿(223)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제 3경사각(θ3)을 가질 수 있다. 제 3경사각(θ3)은, 제 1경사각(θ1)과 동일할 수 있다.
보드슬릿(223)은, 회전축(RX)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보드슬릿(223)은, 회전축(RX)과 평행한 기준축(RX')에 대하여 제 4경사각(θ4)을 가질 수 있다. 보드(410) 및 보드가이드(430)는, 보드슬릿(223)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보드(410)는 회전축(RX) 및 기준축(RX')에 대하여 제 4경사각(θ4)을 가질 수 있다.
제 4경사각(θ4)은, 0.3도 내지 0.4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35도일 수 있다. 이는, 회전축(RX)과 보드슬릿(223) 각각이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가 상이함에 기인할 수 있다. 이에, 보드(410)의 두께 및 회전공차에 의해 발생되는 보드(410)와 보드슬릿(223) 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된 제 1기류변환기(401)와 제 2기류변환기(402) 각각의 보드(410)가 서로 밀착되어, 각 보드(410)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드(410)의 회전구동을 설명한다. 도 11은 제 1타워케이스(221)를 분해하여 제 1기류변환기(401)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제 1타워케이스(221) 내부구조를 투시하여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슬릿(432)은, 보드가이드(430)에 경사지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슬릿(432)의 경사진 방향은 도 7 내지 도 9와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랙(431)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보드(410)는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되고, 랙(431)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보드(410)는 제 1타워(220) 내부로 인입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랙(431)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돌기(411)는 가이드슬릿(432)을 따라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이동되고, 보드(410)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된다.
보드(410)는, 회전축(RX)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고, 회전축(RX)이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 2경사각(θ2)이 전단방향(Y)이 상하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 1경사각(θ1)보다 작을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보드(410)가 이동될 때, 커버돌기홈(433) 내에 삽입된 커버돌기(446)는, 보드가이드(430)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보드(410)의 보드상단(410a)은, 보드가이드(430)의 가이드상단(430a)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보드(410)의 보드하단(410b)은, 보드가이드(430)의 가이드하단(430b)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보드(410)는, 보드가이드(430)의 외둘레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블로잉스페이스(S)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보드(410)는, 보드가이드(430)의 외둘레면에 의해 회전이동이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보드가이드(4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보드가이드(430)를 상측에서 정하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보드(410)는, 회전축(RX)을 중심으로 보드가이드(430)의 외둘레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보드(410)와 보드가이드(430)는, 횡단면의 형상이 호(arc)형일 수 있다.
보드(410)는, 회전축(RX)에 대하여 중심각(θ5)의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보드(410)는, 보드가이드(430)의 외둘레면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경로(A)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경로(A)는 회전축(RX)에 대하여 중심각(θ5)만큼 연장된 호(arc)형일 수 있다. 회전경로(A)의 시점과 회전축(RX)을 연결하는 제 1선도(L1)와, 회전경로(A)의 종점과 회전축(RX)을 연결하는 제 2선도(L2)와, 회전경로(A)를 이어그린 형상은 부채꼴일 수 있다.
가이드하단(430b)은, 가이드상단(430a)보다 제 1타워전단(2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드가이드(4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하측으로 갈수록 제 1타워전단(221b)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하단(430b) 및 가이드상단(430a)은,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고, 가이드하단(430b)과 가이드상단(430a)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상단(430a)은, 제 1곡률반경(R1)을 가질 수 있다. 제 1곡률반경(R1)은, 70mm 내지 75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1.9mm일 수 있다. 가이드하단(430b)은, 제 2곡률반경(R2)을 가질 수 있다. 제 2곡률반경(R2)은, 70mm 내지 75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4.9mm일 수 있다. 가이드상단(430a)의 곡률반경(R1)은, 가이드하단(430b)의 곡률반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상단(430a) 및 가이드하단(430b)의 구조로 인하여, 보드(410)와 보드가이드(430)와 보드슬릿(223)은, 회전축(RX)에 대하여 제 4경사각(θ4)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변환기(4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4는 기류변환기(400)가 돌출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기류변환기(400)가 돌출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된다.
제 1내측벽(221e) 및 제 2내측벽(231e)은, 중심선(Z)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보드슬릿(223) 및 제 2보드슬릿(233)은, 제 1타워전단(221b) 및 제 2타워전단(231b)에 비해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전방에서 투시했을 때 제 1보드슬릿(223)과 제 2보드슬릿(233)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된 공기를 전방으로 유동시키는 전방토출모드에서, 제 1기류변환기(401)는 제 1타워케이스(221) 내에 인입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제 2기류변환기(402)는 제 2타워케이스(231) 내에 인입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토출된 공기는 블로잉스페이스(S)를 통하여 상방으로 토출된다.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된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시키는 상방토출모드에서, 제 1기류변환기(401)는 제 1타워케이스(221)로부터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수 있고, 제 2기류변환기(402)는 제 2타워케이스(231)로부터 블로잉스페이스(S)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의 보드(410)는, 돌출되는 과정에서, 제 1타워전단(221b)과의 간격을 유지한 채 수평하게 돌출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제 2기류변환기(402)의 보드(410)는, 돌출되는 과정에서, 제 2타워전단(231b)과의 간격을 유지한 채 수평하게 돌출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의 보드(410)와 제 2기류변환기(402)의 보드(410)가 완전하게 돌출되었을 때, 제 1보드상단(401a)과 제 2보드상단(402a)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의 보드(410)와 제 2기류변환기(402)의 보드(410)가 완전하게 돌출되었을 때, 제 1보드하단(401b)과 제 2보드하단(402b)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제 1기류변환기(401)의 보드(410)와 제 2기류변환기(402)의 보드(410)가 완전하게 돌출되었을 때, 제 1보드측면(401c)과 제 2보드측면(402c)은 동일한 수직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제 1보드측면(401c)과 제 2보드측면(402c)은 전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선(Line)으로 보일 수 있다.
상술한 회전축(RX) 및 보드(410)의 각도조절을 통해, 제 1타워(220) 및 제 2타워(230)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보드(410)는, 서로 밀착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새어나가는 틈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블로잉스페이스(S)로 토출된 공기는 전방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원활하게 상승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100: 흡입모듈 120: 하부케이스
200: 송풍모듈 220: 제 1타워
222: 제 1토출구 223: 제 1보드슬릿
230: 제 2타워 232: 제 2토출구
233: 제 2보드슬릿 300: 팬어셈블리
320: 팬 400: 기류변환기
410: 보드 420: 모터
430: 보드가이드 440: 커버

Claims (11)

  1.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토출구가 형성된 제 1타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상기 제 1타워와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 1타워와의 사이에 블로잉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제 2타워; 및
    상기 제 1타워 및 상기 제 2타워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드슬릿을 통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가능하게 배치되는 기류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변환기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보드슬릿을 따라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보드를 포함하는 블로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변환기는,
    상기 보드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보드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가이드 및 상기 보드슬릿은,
    상기 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로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워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 1타워전단이 형성되고,
    상기 보드가이드의 하단은 상기 보드가이드의 상단보다 상기 제 1타워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로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가이드의 상단 및 상기 보드가이드의 하단은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고,
    상기 보드가이드의 상단과 상기 보드가이드의 하단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블로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상기 제 1타워 및 상기 제 2타워 각각의 내부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돌출되는 블로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가 상기 회전축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0.3도 내지 0.4도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블로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워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 1타워전단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상기 제 1타워전단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보다 작은 블로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워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 1타워전단이 형성되고,
    상기 보드슬릿과 상기 제 1타워전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보드슬릿의 연장방향을 따라 동일한 블로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워는 상기 블로잉스페이스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 1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슬릿은,
    상기 제 1내측벽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블로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타워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 1타워전단;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 1타워전단과 대향되는 제 1타워후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타워전단보다 상기 제 1타워후단에 가깝게 형성되는 블로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3.0도 내지 3.5도 범위 내에서 형성된 블로어.
KR1020200175432A 2020-12-15 2020-12-15 블로어 KR10265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32A KR102658133B1 (ko) 2020-12-15 2020-12-15 블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32A KR102658133B1 (ko) 2020-12-15 2020-12-15 블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05A true KR20220085405A (ko) 2022-06-22
KR102658133B1 KR102658133B1 (ko) 2024-04-16

Family

ID=8221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32A KR102658133B1 (ko) 2020-12-15 2020-12-15 블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1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877265U (zh) * 2017-06-26 2018-01-12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用于高性能cpu的新型无叶风扇散热器
KR20180125425A (ko) * 2015-10-23 2018-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425A (ko) * 2015-10-23 2018-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877265U (zh) * 2017-06-26 2018-01-12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用于高性能cpu的新型无叶风扇散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133B1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9986B2 (en) Blower
US20240026890A1 (en) Blower having a movable air flow converter
EP4074981A1 (en) Blower
KR20220085405A (ko) 블로어
US20240017199A1 (en) Air cleaner
CN113757188B (zh) 送风机
KR102553488B1 (ko) 블로어
KR20220115903A (ko) 공기청정기
KR102619417B1 (ko) 에어클린 팬
KR102471335B1 (ko) 공기청정기
JP6456179B2 (ja) 送風機
US20240151244A1 (en) Blower
KR102572843B1 (ko) 블로워
KR102622929B1 (ko) 블로워
KR102658126B1 (ko) 에어클린팬
KR102572844B1 (ko) 블로워
KR102429658B1 (ko) 에어클린팬
KR102572845B1 (ko) 블로워
US20240035702A1 (en) Air cleaner
KR20210149357A (ko) 에어클린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