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862A -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862A
KR20220084862A KR1020200174774A KR20200174774A KR20220084862A KR 20220084862 A KR20220084862 A KR 20220084862A KR 1020200174774 A KR1020200174774 A KR 1020200174774A KR 20200174774 A KR20200174774 A KR 20200174774A KR 20220084862 A KR20220084862 A KR 2022008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arts
ski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349B1 (ko
Inventor
구인서
박해동
조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케이지랩
주식회사 씨앤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케이지랩, 주식회사 씨앤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케이지랩
Priority to KR102020017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3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에 얇은 두께로 원활히 도포됨으로써 우수한 프라이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ADHESION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에 얇은 두께로 원활히 도포됨으로써 우수한 프라이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 세포는 선천적 면역을 담당하는 1차 방어선으로 우리 몸의 표면을 덮고 있는 피부와 점막의 모든 장벽을 포함한다. 피부는 면역뿐 아니라, 체온조절과 같은 항상성 조절,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것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외선, 전자파, 스트레스, 수분 부족 등으로 피부의 노화가 진행되기 쉽고,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 건강에도 좋지 않지만,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피부 항 노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피부 보습이 피부 노화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보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피부 보습 제품을 바른 후, 이러한 보습 성분들이 충분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피부에 도포 후 보습 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바쁜 생활 속에서 여러가지 화장품을 사용하기 보다는 한번에 여러 기능이 들어가있는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에는 탈크(talc), 마이카(mica), 세리사이트(sericite) 등의 체질안료가 배합되어 있다. 이러한 체질안료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에 배합하면, 피부에 바를 때 피부의 부착성이나 피부 위에서의 전연성이 향상되고 더 나아가서는 피부 위에 발라진 화장막에 적당한 윤기감이 부여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체질안료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에 배제할 수 없는 성분이다. 또한, 액상의 파운데이션은 커버력과 보습감이 높지만 퍼짐성에 한계가 있으며, 압축 파우더는 커버력이 높으며 퍼짐성도 좋지만 파우더 제형으로 제형적 한계점인 촉촉함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촉촉함을 부여하기 위해서 오일과 정제수를 과량 배합하게 되면 caking 현상이 일어나서 제품의 pick-up이 되지 않거나 오일이 뭉치는 greasing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의 제품을 피부에 도포 시 화장 뭉침 현상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의 파운데이션의 경우 촉촉함이나 보습감을 향상시키는 기술과 범위는 다양하게 소개되면서 시도되고 있으나 압축파우더 제형, 예를 들어 프레스드 파우더, 투웨 이케익 등의 분백류 색조 화장료에서는 촉촉함과 밀착성 등의 화장 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그 한계가 있다.
또한,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에서는 일반적으로 화장 순서에 따르면 마지막 화장으로 주로 행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화장 밀림현상이나 밀착성, 지속성이 중요 속성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밀착성과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파우더를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와 크기 분포도를 어떻게 제어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게 되면 밀착성과 부착성은 향상되는 반면 피부에 도포할 때의 퍼짐성과 발림성이 저하되므로 적절한 입자 사이즈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크기 분포도의 경우는 전체 분포도가 narrow하고 sharp한 분포도를 가지는 화장료가 분포도가 broad한 화장료 보다 밀착성과 발림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판상과 구상의 비율을 적절히 조화시켜 최적화시키는 방법과 판상 입자의 aspect ratio (넒이(widthness)/두께(thickness))가 높은 분체를 적용하여 피부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색조 화장료 등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하던 중, 인체의 피부에 얇은 두께로 원활히 도포됨으로써 우수한 프라이머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외부에 도포되는 화장품과의 점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색조화장품 등과 같은 화장료가 얇고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6292호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고분자 폴리비닐알콜(PVA) 및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분자 용액; 및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고, 점도가 10 내지 5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우레탄(PU)의 함량은 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은 용매 및 폴리비닐알콜(PV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100,000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100,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및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30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막은 수용액으로 세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미백 기능제,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향료, 색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착력은 5gf/25mm 내지 100gf/25m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에 얇은 두께로 원활히 도포됨으로써 우수한 프라이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10 내지 500 cps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가지기 때문에 겔이나 크림보다 유동성이 큰 액체의 제형을 가지고 있어, 크림이나 겔 제형에 비해서 더 얇게 도포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된 면, 즉, 도포된 피부(이하, 피부)에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막은 그 외부에 도포되는 다른 화장품과의 점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이 잘 뜨지 않도록 잡아주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액체 제형으로서 피부에 얇게 도포되며, 외부에 도포되는 화장품과의 점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색조화장품 등과 같은 화장료가 얇고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피막이 형성됨으로써, 피부에 달라붙는 미세먼지 등과 같은 외부 오염물질을 차단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UV 차단기능 또는 블루라이트 차단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에 따라 미백 기능, 주름 개선 기능 등의 효과를 더 나타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요철을 메꿔줌으로써, 균일하지 않은 빛의 반사 또는 산란을 막아주어 피부의 광택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색조화장품의 발림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피막은 수용액, 예를 들어 물 등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피막 위에 색조화장을 한 경우, 세안 시 피부와 색조화장 사이에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색조화장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블루라이트 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고분자 용액; 및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고, 점도가 10 내지 5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제 2 측면에 따른 화장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형태의 제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무것도 도포되어 있지 않은 피부에 직접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기초 화장품으로 통용되는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을 사용하는 단계에서 함께 사용하거나 기초 화장품의 사용 이전 또는 이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색조화장을 하기 직전 단계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된 면, 즉, 도포된 피부(이하, 피부)에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피막은 그 외부에 도포되는 다른 화장품과의 점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이 잘 뜨지 않도록 잡아주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액체 제형으로서 피부에 얇게 도포되며, 외부에 도포되는 화장품과의 점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색조화장품 등과 같은 화장료가 얇고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제형이나 사용 단계 외에도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액체 제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고분자 용액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용액은 용매 및 폴리비닐알콜(PVA)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고분자 용액이 폴리비닐알콜(PVA)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보습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은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얇은 두께로 원활히 점착되어 우수한 프라이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PU)은 UV 차단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또한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PU)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그 외부에 도포되는 다른 화장품과의 점착이 원활하여 상기 화장품이 잘 뜨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비닐알콜(PVA)만 포함할 경우 이를 피부에 도포시 형성되는 막(피막)이 시간이 지날수록 뻣뻣해져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PU)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막(피막)이 유연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10 내지 1000 cps,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0 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cps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10 cps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이 빠르게 흘러내려서, 최소한의 두께를 갖지 못하는 막을 형성하거나, 도포면 전체에 피막을 형성하지 못하고 일부에만 형성될 우려가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양에 비해 피부에 도포되는 양이 적을 수 있고(예를 들어 50% 이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시 의복이나 주변에 떨어져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1000 cps를 초과할 경우, 상기 범위 내일 때에 비해 유동성이 낮아, 두꺼운 막을 형성할 우려가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이 형성한 막이 색조화장 시 흔히 “화장이 밀린다”고 표현하는 것과 같이, 막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끼리 또는 다른 화장품 등과 함께 뭉쳐서 덩어리를 형성할 우려가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흔히 "스킨"이나 "에센스"로 불리는 화장품들과 같이 묽은 액체의 제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묽은 액체의 제형을 가짐으로써, 흔히 "크림"이나 "젤"로 불리는 점도가 높은 제형에 비해 보다 얇은 막을 형성하는 것에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우레탄(PU)의 함량은 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의 함량이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우레탄(PU)의 함량이 너무 적어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PU)이 포함됨으로써 발현될 수 있는 고유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폴리비닐알콜(PVA)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의 함량이 너무 적어져 보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용매 및 폴리비닐알콜(PV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용매는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용매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온천수, 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헥산다이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가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의 함량이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비닐알콜(PVA)의 함량이 너무 적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과 상기 폴리우레탄(PU)과의 혼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 중량부 초과일 경우 상기 용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용매와의 분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PU)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100,000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100,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미만이나 100,000을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폴리비닐알콜(PVA)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미만이나 100,000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 및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PU) 및 폴리비닐알콜(PVA)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신율, 탄력, 부착력 및 통기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및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유기 점증제로서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C10-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와 같이 아크릴레이트가 첨가됨으로써 발현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폴리비닐알콜(PVA)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의 함량이 너무 적어져 보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PU), 폴리비닐알콜(PVA) 및 아크릴레이트의 총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PU), 폴리비닐알콜(PVA) 및 아크릴레이트의 총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프라이머 기능, UV 차단기능, 광택기능 등 고유의 효과를 발현하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습성분들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헥산디올(1,2-Hexanediol), 트레할로스(Trehalose), 베타인(Betaine), 트리메틸글리신,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알로에베라(Aloe vera), 알란토인(Allantoin), 락틱애씨드(Lactic Acid), 세틸 알코올, 알기닌, 알부틴,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미노산, 세테아릴알코올, 세라마이드(Ceramide), 페녹시에탄올, 히알루론산(올리고머), 히알루론산(고분자), 소듐피씨에이(소듐-PCA),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피마자유), 호호바 오일, 바셀린, 미네랄오일, 식물성 오일, 콜라겐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Trehalose), 베타인(Betaine), 알기닌, 알란토인(Allantoin), 알부틴,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미노산, 히알루론산(올리고머), 히알루론산(고분자), 헥산디올(1,2-Hexanediol), 페녹시에탄올, 구연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히알루론산(올리고머)은 히알루론산(고분자)을 초저분자화하여 피부내로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피부 보습효능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표피의 줄기세포능을 활성화시키고, 피부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켜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300 중량부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중량부 내지 16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보습제의 함량이 너무 적어 이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고분자 용액 및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적어져 이를 포함함으로써 발현될 수 있는 고유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습성분들은 용매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상기 고분자 용액에 포함된 용매와 동일하게 정제수, 온천수, 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헥산다이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가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보습제는 상기 용매 6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트레할로스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베타인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알기닌 0.001 내지 0.005 중량부, 상기 알란토인 0.1 내지 0.5 중량부, 상기 알부틴 0.5 내지 3 중량부, 상기 아데노신 0.1 내지 0.5 중량부,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아미노산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올리고머) 0.5 내지 3 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고분자)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헥산디올(1,2-Hexanediol) 0.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페녹시에탄올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 6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트레할로스 15 중량부, 상기 베타인 5 중량부, 상기 알기닌 0.002 내지 0.004 중량부, 상기 알란토인 0.2 중량부, 상기 알부틴 1 중량부, 상기 아데노신 0.2 중량부,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1 내지 5 중량부, 상기 아미노산 1 내지 5 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올리고머) 1 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고분자) 9 중량부, 상기 헥산디올(1,2-Hexanediol) 1 중량부 및 상기 페녹시에탄올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6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트레할로스가 10 중량부 미만이나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베타인이 1 중량부 미만이나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알기닌이 0.001 중량부 미만이나 0.0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알란토인이 0.1 중량부 미만이나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알부틴이 0.5 중량부 미만이나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아데노신이 0.1 미만이나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가 1 중량부 미만이나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아미노산이 1 중량부 미만이나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히알루론산(올리고머)가 0.5 중량부 미만이나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히알루론산(고분자)가 5 중량부 미만이나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헥산디올이 0.1 중량부 미만이나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페놀시에탄올이 0.1 중량부 미만이나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신율, 탄력, 부착력 및 통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할로스는 세포막보호, 수분증발 방지 및 항산화제 효과가 있고, 상기 베타인은 보습효과, 상기 알란토인은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 상기 알부틴은 미백 및 화이트닝 효과, 상기 아데노신은 항염증 및 주름개선 효과,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미백기능, 상기 아미노산은 보습효과, 상기 히알루론산은 보습 및 상처치유 효과, 상기 헥산디올은 보습 및 보존 효과, 상기 페녹시에탄올은 방부 효과가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는 호호바, 마카다미아,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폴리소르베이트80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는 상기 마카다미아 4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호호바 2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 10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카다미아 4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호호바 30 중량부, 상기 비타민 E 아세테이트 5 중량부,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 15 중량부 및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카다미아 4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호호바가 20 중량부 미만이나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비타민 E 아세테이트가 1 중량부 미만이나 10 중 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가 10 중량부 미만이나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가 5 중량부 미만이나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신율, 탄력, 부착력 및 통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마카다미아, 상기 호호바는 보습 역할, 상기 비타민 E 아세테이트는 항산화 효과,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는 가용화제 및 유화제로써의 역할,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는 보습제 및 보존제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pH가 5 내지 8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5.5 내지 6인 것일 수 있다. 상기 pH가 5 미만이거나 8을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민감한 자극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가 적절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미백 기능제,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향료, 색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카페인, 알로에베라잎즙, 카보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리스토일펜타펩타이드-11, 카올린, 벤토나이트, 콜레스테롤, 레시틴, 카프리릴글라이콜, 사과세포배양추출물, 미리스토일펜타펩타이드-8, 에틸헥실글리세린, 왕귤씨추출물, 실크아미노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에칠아스코빌에텔(Ethyl Ascorbyl Ether), 감초추출물, 비타민C, 코엔자임, 소르비톨,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메틸프로판다이올, 페닐프로판올, 레티놀, 향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증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서 콜로이드 용액, 고분자 용액 등에 가하여 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잔탄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갈락탄, 펙틴, 퀸스 시드 추출물, 갈조 분말, 덱스트란, 풀루란, 숙시노글라이칸, 카제인, 알부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염, 알긴산, 알긴산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착력은 5gf/25mm 내지 100gf/25mm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gf/25mm 내지 100gf/25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력은 원칙적으로 규격상의 항온, 항습 조건을 충족하여 일정 시간 경화시킨 후 이물질을 제거한 일정크기의 스테인리스 판에 일정 하중(2kg)의 롤러를 이용하여 시험 편 테이프를 점착하여 이를 180° 또는 90°로 박리시켜 그 하중값 또는 강도값을 측정하는 시험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함으로써 점착력이 우수하여 피부에 잘 밀착되며, 외부에 도포되는 화장품을 잘 잡아주는 효과가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예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기도가 500 내지 20,000g/m2 in 24hrs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기도는 제조된 필름의 일정 면적 및 압력 하에서 수직으로 공기를 통과하게 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일정 면적에 대해 투과된 공기량 또는 공기 흐름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의 통기도는 인조피부와 거의 유사한 통기도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피부에 도포시 우수한 통기도로 인해 편안함을 느끼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피막 상에 색조화장품과 같은 다른 화장품을 도포하게 되면 우수한 점착력으로 인해 상기 화장품이 잘 뜨지 않도록 잡아주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액체 제형으로서 피부에 얇게 도포되며, 외부에 도포되는 화장품과의 점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색조화장품 등과 같은 화장료가 얇고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막이 형성됨으로써, 피부에 달라붙는 미세먼지 등과 같은 외부 오염물질을 차단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UV 차단기능 또는 블루라이트 차단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형성된 굴곡, 즉 피부요철을 메꿔 일정한 표면을 갖는 피막을 형성하기 대문에 피부의 광택을 증가시시킬 수 있고, 다른 색조화장품의 발림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른 화장품 상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형성된 피막으로 인해 상기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부에 1차적으로 화장품을 도포한 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추가로 도포시킴으로써 1차적으로 도포된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증발되지 않아 피부에 잘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인해 형성된 막(피막)은 수용액으로 세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물질들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액으로 세척시 이의 제거가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순히 정제수 등으로 세수를 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거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PU 및 PVA 포함)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들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한편, 상기 보습제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들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의 함량비율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PU, PVA 아크릴레이트 포함)
상기 실시예 1에서 아크릴레이트/C10-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더 혼합시켰으며, 각각 조성의 함량을 하기 표 3과 같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비교예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폴리우레탄 포함 X)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지 않고, 폴리비닐알콜의 함량을 0.95 wt%로 하여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개선 관능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기와 같이 피부 도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소 피부질환 및 알러지가 없는 10 내지 50대의 피실험자 10명 (여자 10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다. 약 20 분 경과 후, 시험 부위의 보습력, 피부탄력 등에 대하여 5점 항목척도법(5점: 매우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매우 나쁨)으로 설문을 받았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표 4] ( 실시예 1)
Figure pat00004
[표 5] ( 실시예 2)
Figure pat00005
상기 표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실제 피부에 도포시 발림성, 보습, 미백, 광택, 피부탄력 측면에서 골고루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발림성, 보습 및 광택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점착력 측정실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점착력을 측정하기 위해, 규격상의 항온, 항습 조건을 충족하여 일정 시간 경화시킨 후 이물질을 제거한 일정크기의 스테인리스 판에 일정 하중(2kg)의 롤러를 이용하여 시험 편 테이프를 점착하여 이를 180° 또는 90°로 박리시켜 그 하중값 또는 강도값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점착력이 약 10 gf/25mm 이상으로 5 gf/25mm를 나타낸 비교예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점착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가 더욱 높은 점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투과도 측정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파장에 따른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투과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1 및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스킨에 비해 자외선 투과도가 현저히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와 유사한 자외선 투과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파장대 280 nm 내지 320 nm의 UVB의 경우 거의 투과가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파장대 320 nm 내지 400 nm의 UVA의 경우 투과도가 15% 미만 또는 10% 미만으로 매우 소량 투과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은 파장대 400 nm 내지 500 nm의 블루라이트에 대하여도 일반스킨에 비해 그 투과도가 현저히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UV 차단 및 블루라이트 차단기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고분자 용액; 및 폴리우레탄(PU);을 포함하고,
    점도가 10 내지 5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우레탄(PU)의 함량은 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용매 및 폴리비닐알콜(PV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PU)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100,000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및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용액 100 중량부 대비 100 내지 3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수용액으로 세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미백 기능제,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향료, 색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착력은 5gf/25mm 내지 100gf/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200174774A 2020-12-14 2020-12-14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567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74A KR102567349B1 (ko) 2020-12-14 2020-12-14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74A KR102567349B1 (ko) 2020-12-14 2020-12-14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862A true KR20220084862A (ko) 2022-06-21
KR102567349B1 KR102567349B1 (ko) 2023-08-16

Family

ID=8222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774A KR102567349B1 (ko) 2020-12-14 2020-12-14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26B1 (ko) * 2017-12-27 2019-01-02 주식회사 씨쓰리 초기 착색력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필오프 타입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1846B1 (ko) * 2019-04-25 2020-02-26 주식회사 씨앤피지 주름개선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조성물
KR102081845B1 (ko) * 2019-04-25 2020-02-26 주식회사 씨앤피지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조성물
KR20200048798A (ko) * 2018-10-30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KR102141963B1 (ko) * 2018-10-04 2020-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용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26B1 (ko) * 2017-12-27 2019-01-02 주식회사 씨쓰리 초기 착색력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필오프 타입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1963B1 (ko) * 2018-10-04 2020-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용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8798A (ko) * 2018-10-30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KR102081846B1 (ko) * 2019-04-25 2020-02-26 주식회사 씨앤피지 주름개선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조성물
KR102081845B1 (ko) * 2019-04-25 2020-02-26 주식회사 씨앤피지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349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9679B2 (en) Gamma-diketone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ging skin and wrinkles
CN103237555B (zh) 外用皮肤护理制剂
CN102058512B (zh) 局部皮肤护理制剂
JP2018523706A (ja) 正に帯電した糖乳化剤に基づく皮膚浸透送達システム
CA2945731A1 (en) Topical gel cream composition
EA023290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и топ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моложения, регенерации и упрочнения кожи во время сна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KR102081845B1 (ko)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101870854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glawe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facial scrub
JP7446743B2 (ja) ピキア・アノマーラとレチノールとを含む局所用組成物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06232097A (zh) 用于保湿皮肤的化妆品组合物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1846B1 (ko) 주름개선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조성물
JP2024028647A (ja) スタフィロコッカス・エピデルミディスの増殖を高める方法
KR101096277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3793A (ko)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2567349B1 (ko)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19202996A (ja) 活性成分としてのγ−ポリグルタミン酸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102567350B1 (ko) 우수한 강도를 갖는 피막 형성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07537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KR20180130178A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