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841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841A
KR20220084841A KR1020200174720A KR20200174720A KR20220084841A KR 20220084841 A KR20220084841 A KR 20220084841A KR 1020200174720 A KR1020200174720 A KR 1020200174720A KR 20200174720 A KR20200174720 A KR 20200174720A KR 20220084841 A KR20220084841 A KR 20220084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et frame
fastening hole
guide memb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식
박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4841A/ko
Publication of KR2022008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부재;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백 플레이트;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곡면 형태의 세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배면에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트 프레임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형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이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 TV, 휴대 전화, 차량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는 곡면(curved)으로 형성되어 표시 장치가 설치되는 부위에 제한이 적어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곡면이 갖는 심미적 효과를 활용하여 디자인적인 요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를 곡면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요 부품들이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표시 장치를 이루는 부품 중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곡면으로 제작할 경우 평면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두께가 두꺼워지며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부재;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백 플레이트;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곡면 형태의 세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배면에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트 프레임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세트 프레임과 같은 곡률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스부 및 상기 체결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의 배면에는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세트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세트 프레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세트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의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의 벽면은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보스부의 모서리는 모깎기되어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의 모서리는 모깎기되어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의 벽면은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형성된 스테이지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측에 상기 세트 프레임을 올려두는 단계; 상기 세트 프레임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 형태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수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세트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형성된 스테이지에 장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배면에 접착수단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세트 프레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세트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세트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표시 장치가 ?塚? 두께와 가벼운 무게를 갖는다.
이에 의하여, 표시 장치의 품질이 향상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세트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스테이지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B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C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곡면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으로서, 예컨대 차량에 사용되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TV, 모니터, PC, 랩탑,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며, OLED가 아닌 다른 형태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세트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스테이지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B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C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곡면 표시 장치로, 표시 장치의 용도 및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 장치의 모든 부품이 곡면으로 제조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평면으로 제조되고 세트 프레임(200)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조립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휘어지면서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쉽게 휘어지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20), 상기 표시패널(120)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부재(110), 상기 표시패널(120)의 배면에 부착되는 백 플레이트(130), 상기 백 플레이트(130)의 배면에 부착되는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pOLED(플라스틱 유기발광다이오드)로,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여러 회로가 구비되는 기판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쉽게 휘어질 수 있다. pOLED의 구체적인 구조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pOLED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는 한 다른 타입의 표시패널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재(110)는 상기 표시패널(12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표시패널(120)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유리, 플라스틱 등)로 이루어져 상기 표시패널(120)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커버부재(110)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될 필요가 없는 부분은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재(110)와 상기 표시패널(120)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성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능성 부재는 예를 들면 터치 감지 기능, 사용자 인증 기능(지문 인식 등), 멀티 레벨 압력 감지 기능,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부재는 표시 특성을 제어하는 편광판 또는 시야각 제어필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중 시야각 제어필름은 자동차에 표시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운전자의 집중력을 분산시켜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특히 표시 장치가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자동차에 탑재된 장치인 경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이 자동차의 유리창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표시 장치는 시야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표시패널(120)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불필요한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시야각 제어필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자동차에 설치되는 경우, 측면 방향으로의 불필요한 빛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운전에 방해가 될 소지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110)와 상기 표시패널(120)은 OCA(Optical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10)는 상기 표시패널(120)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전면으로 투과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표시패널(1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전술한 기능성 부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OCA와 같은 투명 접착제가 상기 기능성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1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백 플레이트(130)는 상기 표시패널(120)이 매우 얇으므로 상기 표시패널(120)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표시패널(120)의 의도치 않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표시패널(120)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백 플레이트(130)는 쉽게 휘어지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탈레이트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또는 기타 적합한 폴리머의 조합으로 구성된 박형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백 플레이트(130)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물질로는 박형 유리, 유전체로 차폐된 금속 호일(metal foil), 다층 폴리머, 나노 파티클 또는 마이크로 파티클과 조합된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고분자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백 플레이트(130)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재(110), 상기 표시패널(120) 및 상기 백 플레이트(130)를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쉽게 휘어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배면에는 후술할 세트 프레임(200)을 향하도록 돌출된 보스부(1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스부(142)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보스부(142)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보스부 체결홈(142a)이 형성된다. 상기 보스부 체결홈(142a)에는 상기 세트 프레임(200)을 관통한 체결부재(300)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40)가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7 등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백 플레이트(130)의 배면에만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테두리를 연장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단부가 상기 커버부재(110)에 접촉되거나 부착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120) 및 상기 백 플레이트(130)가 상기 가이드부재(140)에 수용되는 형태가 된다. 이 같은 변경은 표시 장치의 용도, 설치 위치, 디자인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세트 프레임(200)은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달리 곡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가 챠량용 정보 안내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세트 프레임(200)은 차량의 대시보드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트 프레임(200)은 상기 커버부재(110)와 달리 반드시 표시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가 사용되는 제품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트 프레임(200)에는 상기 보스부(142)와 대응되는 체결홀(20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02)은 상기 보스부(142)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보스부(142)와 같은 갯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트 프레임(200)은 곡면이고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평면이므로 상기 보스부(142)와 상기 체결홀(202)은 서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채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보스부(142)는 상기 체결홀(202)의 모서리(202a)와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스부(142)가 상기 체결홀(202)에 보다 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스부(142)와 맞닿는 상기 체결홀 모서리(142a)를 모따기 가공하여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보스부(142)는 경사면이 형성된 상기 체결홀 모서리(142a)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체결홀(202)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사이에는 접착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접착수단(400)의 예로는 양면 테이프가 있다. 상기 접착수단(400)을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배면에 부착시킨 뒤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중심부에는 관통홀(20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04)은 상기 체결홀(202)과는 독립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04)은 상기 가이드부재(140)와 상기 세트 프레임(200) 사이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흡입하여 이 공간을 진공으로 만듦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40)와 상기 세트 프레임(200)이 빈틈없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기체 흡입 통로에 해당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상기 관통홀(204)은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배면을 기준으로 가장 볼록한 위치(최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곡률이 좌/우, 상/하로 대칭적이라면 상기 관통홀(204)은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중심부에 형성되지만, 만약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곡률이 비대칭적이라면 상기 관통홀(204)의 위치도 그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세트 프레임(20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 또는 전기적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커넥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과 같은 구성들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스테이지(500)에 장착한다. 상기 스테이지(500)는 표시 장치의 조립에 사용되는 일종의 작업대로, 평면 형태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곡면 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테이지(500)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지(500)의 양측에는 탄성부재(51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상기 스테이지(500) 사이 빈 공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탄성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510)로는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배면에 상기 접착수단(400)을 부착한다. 상기 접착수단(400)은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배면 중 일부 면적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착수단(400)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상기 스테이지(500)에 장착하는 단계 이전에 미리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세트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에 올려둔다. 이때,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일부 면적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다만,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곡률이나 크기에 따라서 접촉 부위나 면적은 도시된 것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트 프레임(200)을 상기 스테이지(500) 방향으로 눌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같은 방향으로 휘어지는 힘을 받는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은 상기 탄성부재(51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점차 상기 스테이지(500)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스부(142)가 상기 체결홀(202)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곡면 형태로 휘어진다.
상기 보스부(142)가 상기 체결홀(202)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재(300)로 상기 가이드부재(140)와 상기 세트 프레임(200)을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원래 형태인 평면으로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상기 체결부재(300)로 인해 이 복원력과 평형을 이루는 힘을 작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곡면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통홀(204)로 상기 가이드부재(140)와 상기 세트 프레임(200) 사이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한다. 상기 체결부재(300)만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모든 영역이 의도된 대로 휘어지지 않았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관통홀(204)로 이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어 내부와 외부간 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40)와 상기 세트 프레임(200)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일단 상기 가이드부재(140)와 상기 세트 프레임(200)이 모든 영역에서 밀착되면, 상기 접착수단(400)에 의해 서로 강하게 결합되므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곡면 형태로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상기 세트 프레임(200)이 완전히 결합된 표시 장치를 상기 스테이지(500)에서 분리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곡면 형태로 변형 및 유지시킴으로써 곡면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체결홀 모서리(202b)는 모깎기되어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결합할 때 상기 보스부(142)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체결홀 모서리(202b)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체결홀(202)로 삽입된다.
상기 세트 프레임(200)에서 상기 체결홀(202)은 복수개 형성된다. 복수의 상기 체결홀(202)에서 상기 체결홀 모서리(202b)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10), 상기 표시패널(120), 상기 백 플레이트(130) 및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부(142)의 모서리(142a)는 모깎기되어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트 프레임(20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결합할 때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보스부 모서리(142b)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상기 체결홀 모서리(202a)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체결홀(202)로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40)에서 상기 보스부(142)는 복수개 형성된다. 복수의 상기 보스부(142)에서 상기 보스부 모서리(142b)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10), 상기 표시패널(120), 상기 백 플레이트(130) 및 상기 세트 프레임(200)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홀(202)의 모서리(202a)는 모따기되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체결홀 벽면(202c)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상기 체결홀(202)의 내측 단부의 폭은 상기 보스부(140)의 폭과 일치하여 상기 보스부(140)가 상기 체결홀(202)에 끝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140)가 상기 체결홀(202)에 삽입될 때, 상기 보스부(140)가 상기 체결홀(202)의 중심에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상기 체결부재(300)가 상기 체결홈(142a)에 쉽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 벽면(202c)이 테이퍼진 형상이므로 상기 보스부(142)는 상기 체결홀 모서리(202a)와 상기 체결홀 벽면(202c)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보스부(14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홈(142a)이 상기 체결홀(20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자연스럽게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보스부(142)를 상기 체결홀(202)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상기 세트 프레임(200)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10), 상기 표시패널(120), 상기 백 플레이트(130) 및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세트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홀(202)의 모서리(202b)는 모깎기되어 곡면으로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체결홀 벽면(202c)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상기 체결홀(202)의 내측 단부의 폭은 상기 보스부(140)의 폭과 일치하여 상기 보스부(140)가 상기 체결홀(202)에 끝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140)가 상기 체결홀(202)에 삽입될 때, 상기 보스부(140)가 상기 체결홀(202)의 중심에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상기 체결부재(300)가 상기 체결홈(142a)에 쉽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 벽면(202c)이 테이퍼진 형상이므로 상기 보스부(142)는 상기 체결홀 모서리(202a)와 상기 체결홀 벽면(202c)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보스부(14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홈(142a)이 상기 체결홀(20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자연스럽게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보스부(142)를 상기 체결홀(202)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상기 세트 프레임(200)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10), 상기 표시패널(120), 상기 백 플레이트(130) 및 상기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평면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곡면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 두께 및 무게에서 유리한 점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고 금형 설계 및 제작에도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무게도 증가된다. 이는 슬림화, 경량화되는 표시 장치의 발전 방향과 배치되는 문제로 이러한 표시 장치는 결과적으로 낮은 상품성을 갖게 되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평면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비용, 두께 및 무게를 모두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상기 세트 프레임(200)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정밀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표시 장치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상기 세트 프레임(20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커버부재
120: 표시패널 130: 백 플레이트
140: 가이드부재 142: 보스부
142a: 보스부 체결홈 142b: 보스부 모서리
200: 세트 프레임 202: 체결홀
202a, 202b: 체결홀 모서리 202c: 체결홀 벽면
204: 관통홀 300: 체결부재
400: 접착수단 500: 스테이지
510: 탄성부재

Claims (13)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부재;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백 플레이트;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곡면 형태의 세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배면에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트 프레임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곡면 형태로 유지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세트 프레임과 같은 곡률로 유지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 및 상기 체결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배면에는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세트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프레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세트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 가능한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경사면이 형성된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벽면은 테이퍼진 형상인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모서리는 모깎기되어 곡면이 형성된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모서리는 모깎기되어 곡면이 형성된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벽면은 테이퍼진 형상인 표시 장치.
  11. 제1항의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형성된 스테이지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측에 상기 세트 프레임을 올려두는 단계;
    상기 세트 프레임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 형태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수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세트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형성된 스테이지에 장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배면에 접착수단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프레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세트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세트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200174720A 2020-12-14 2020-12-1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84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20A KR20220084841A (ko) 2020-12-14 2020-12-1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20A KR20220084841A (ko) 2020-12-14 2020-12-1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841A true KR20220084841A (ko) 2022-06-21

Family

ID=8222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720A KR20220084841A (ko) 2020-12-14 2020-12-1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48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018B1 (ko) * 2022-10-11 2024-04-05 주식회사 토비스 들뜸 방지 백 커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018B1 (ko) * 2022-10-11 2024-04-05 주식회사 토비스 들뜸 방지 백 커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992B1 (ko)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81389B1 (ko) 터치스크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9326057B2 (en) Microphone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US108098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bonding structure
KR102664694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602249B2 (en) Electronic device condui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918583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897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40036458A1 (en) Electronic apparatus
WO2014020937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11371926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1140287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US1137460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227016B1 (ko) 표시장치
US8717769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220084841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591550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299737B2 (ja) 表示装置及び前記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20200028948A1 (en) Mobile terminal
KR101032250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658205B1 (ko) 필름이 접합된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커버의 제조 방법
US2023026291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US201500025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field of the invention
US1191775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substrate
EP4283436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