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364A -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 Google Patents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364A
KR20220084364A KR1020227016604A KR20227016604A KR20220084364A KR 20220084364 A KR20220084364 A KR 20220084364A KR 1020227016604 A KR1020227016604 A KR 1020227016604A KR 20227016604 A KR20227016604 A KR 20227016604A KR 20220084364 A KR20220084364 A KR 20220084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tate
information
period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첸
슈에밍 판
다지에 지앙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0월 23일에 중국에서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1014317.X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그 전부의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에 관한 것이다.
단말 통신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은 종종 몇 가지 측정을 수행해야 한다. 예컨대, 무선 링크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의 측정을 수행하고, 빔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빔 실패 검출(Beam Failure Detection, BFD)의 측정을 수행한다. 기존 기술에서는 단말이 한 가지 측정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즉, 단말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 수 없어 단말의 측정 능력이 좋지 않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 수 없어 단말의 측정 능력이 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측정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5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7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단말은 측정 상태를 조정하도록 지원될 수 있고, 이로써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일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8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용어 ‘~을 포함하다’ 및 이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한다.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명시된 단계 또는 유닛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되지 않았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을 사용하여 연결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예컨대,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B를 포함하거나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 등 단어는 예, 예증 또는 설명으로서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컨대’로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래는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진화된 롱 텀 에볼루션(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또는 후속 진화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른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 및 네트워크 장비(12)를 포함하되, 여기서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로봇과 같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또는 다른 단말 측 장비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11)의 특정 유형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비(12)는 4G 기지국, 또는 5G 기지국, 또는 이후 버전의 기지국,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 중의 기지국일 수 있고, 또는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특정 기술적 용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비(12)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또는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5G 기지국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네트워크 장비의 구체적인 유형은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방법은 단말에 적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측정은 RLM 측정 또는 BFD 측정, 또는 RLM 측정 및 BFD 측정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RLM 측정은 RLM이라고 할 수 있고, BFD 측정은 BFD 모니터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은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주기 내의 측정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관련 정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셀이 어느 적어도 하나의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로서, 단말은 이에 따라 기존의 측정 상태로부터 이러한 측정 상태들 중의 한 측정 상태로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측정 조정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단말은 이 측정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202: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정보가 단말에 측정 상태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기로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정보가 어느 적어도 하나의 측정 상태가 지원됨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단말의 센서(Sensor) 정보 또는 셀 정보에 결부하여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상태 중의 한 측정 상태로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정보가 조정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기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에 따라서만 측정 상태의 조정 여부를 결정하거나, 상기 정보 및 단말의 다른 정보에 따라 측정 상태의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를 통해 단말이 측정 상태를 조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측정이 완화될 때 단말의 전력 소비를 절약하고, 측정이 강화될 때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에너지 소비가 높은 측정의 측정 상태에서 에너지 소비가 낮은 다른 측정의 측정 상태로 조정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비를 절약하는 효과, 즉 절전의 목적을 달성한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일 수 있고, 상기 사전 지시 메시지는 각성 신호(wake-up-signaling, WUS), 수면 신호(Go-to-sleep, GTS)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DCI는 스케줄링 DCI 또는 다른 새로 설계된 DCI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1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는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는 상기 제3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의 에너지 소비량은 단말이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의 전력 소비량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정 상태에서 제2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하거나, 제2 측정 상태에서 제1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하거나, 제3 측정 상태에서 제2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하거나, 제3 측정 상태에서 제1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하거나, 제1 측정 상태에서 제3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한다.
제1 측정 상태가 측정 완화를 나타낸다는 것은,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상기 제2 측정 상태를 기준으로 측정이 완화된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3 측정 상태가 측정 강화를 나타낸다는 것은,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상기 제2 측정 상태를 기준으로 측정이 강화된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측정 상태가 측정 완화를 나타내므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 상태(측정 완화라고 약칭함)라고 할 수 있고, 제2 측정 상태가 정상 측정을 나타내므로,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 상태(정상 측정이라고 약칭함)라고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정상 측정은 기본 측정 상태 또는 미리 구성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제3 측정 상태가 측정 강화를 나타내므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 상태(측정 강화라고 약칭함)라고 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Upper layer indication)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e, SCS)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주기는 계층 1(L1), 계층 2(L2) 및 계층 3(L3) 중 적어도 하나의 계층에서 상기 측정의 측정 주기일 수 있고, 상기 측정 샘플링 횟수는 측정 샘플링 샘플(sample)의 개수일 수 있다.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길고,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으므로, 시간영역에서 상기 측정(예: RLM/BFD 측정)에 대한 완화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의 L1 측정 주기를 연장하거나 측정 샘플링 샘플(sample)의 개수를 줄여 전력을 절약한다.
상기 측정 지시 간격은 계층 2 또는 계층 3에서 상기 측정에 대한 지시 간격일 수 있고, 상기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기므로, 시간영역에서 상기 측정(예: RLM/BFD 측정)에 대한 완화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에 대한 L2/L3 지시 간격을 연장하여 전력을 절약한다.
상기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시간대일 수 있고,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지속시간을 갖는 기간일 수 있다.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를 줄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측정(예: RLM/BFD 측정)을 수행하지 않거나 상기 측정 횟수를 줄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으므로, 일정 기간 내에 상위 계층 지시(예: RLM/BFD 상위 계층 지시)를 수행하기 않거나 상위 계층 지시(예: RLM/BFD 상위 계층 지시) 횟수를 줄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으므로, 상기 측정(예: RLM/BFD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를 줄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주기가 상이한 것은 제1 측정 상태에서 측정의 기준 신호의 주기가 제2 측정 상태에서 측정의 기준 신호의 주기보다 큰 것일 수 있고, SCS가 상이한 것은 제1 측정 상태에서 측정의 기준 신호의 SCS가 제2 측정 상태에서 측정의 기준 신호의 SCS보다 큰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 방법에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보다 작도록 다양한 방법이 제공된다.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을 수행할 때 소비되는 에너지보다 작도록 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여기서, 제3 측정 상태에 대한 관련 설명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이 상기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이다. 또한, 여기서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는 측정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컨대 측정과 관련된 타이머 및 카운터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빔 실패 또는 무선 링크 실패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타이머 T310, 타이머 T311, 카운터 N310 및 카운터 N311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이다. 추가로, 상기 측정 파라미터는 로컬 셀의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는 로컬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일 수 있으며, 나아가 셀이 측정 상태를 지원한다는 것은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상태를 지원한다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셀은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한다.
셀의 유형은 실내, 실외 매크로 셀, 실외 마이크로 셀 등과 같은 로컬 셀의 유형일 수 있다.
본 실시 방법에서,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전술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가 로컬 셀이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함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제1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정보가 셀 유형을 포함하고, 셀 유형이 제1 측정 상태 또는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 셀 유형인 경우, 단말은 제1 측정 상태 또는 제3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정보가 제1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제1 측정 상태로 조정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지시 메시지일 수 있다. 예컨대 지시 메시지는 SIB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이다. 또한, 여기서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는 측정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예컨대 측정과 관련된 타이머 및 카운터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빔 실패 또는 무선 링크 실패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타이머 T310, 타이머 T311, 카운터 N310 및 카운터 N311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이다. 추가로, 상기 측정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지원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단말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지원하는 측정 상태일 수 있으며, 나아가 측정 상태를 지원한다는 것은 상기 단말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상태를 지원한다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 또는 네트워크 장비는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한다.
상기 제1 지시가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상기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측정 주기(예: RLM/BFD 측정 주기) 또는 DRX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예: RLM/BFD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다음의 몇 개 측정 주기(예: RLM/BFD 측정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 또는 DRX 주기에 상기 측정(예: RLM/BFD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시가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상기 정보가 다음의 몇 개 측정 주기(예: RLM/BFD 측정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 또는 DRX 주기에 상기 측정(예: RLM/BFD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 지시가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상기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일 수 있으며, 즉 이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에 상위 계층 지시를 수행하지 않지만 측정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방법에서,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이 상기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술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단말의 전용 메시지를 통해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시 메시지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보가 상기 내용만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정보는 무선 링크 실패 또는 빔 실패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관련 파라미터와 같이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은 이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는 Per-UE 구성일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는 각 단말에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개별 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는 Per-cell 구성일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셀 범위 내에서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정보는 일치하므로, 단말은 셀 범위 내에서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주파수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 또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반송파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 또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 또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Per-frequency/carrier/band/BWP 구성에 따라, 하나의 frequency/carrier/band/BWP 범위 내에서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정보는 일치하다.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단말의 각 주파수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 또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단말의 각 반송파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 또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단말의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 또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단말의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Per-UE per-frequency/carrier/band/BWP 구성에 따라, 하나의 frequency/carrier/band/BWP 범위 내에서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에 대해 구성된 정보는 일치하다.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는, 측정 조정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도록 각 빔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된 정보일 수 있으며, 즉 Per-Beam 구성이므로, 단말은 상기 beam에 해당하는 측정에 해당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각 경우에 따라 구성된 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은 전술한 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의 실시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은 몇 개의 bit를 통해 상기 정보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한다.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은 다른 메시지 내용을 통해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지시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에 포함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가지므로, 이 대응 관계에 따라 단말의 적절한 측정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셀 유형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가지므로, 셀 유형에 따라 적절한 측정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 관계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단말에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실내 셀에는 RLM/BFD 측정 완화 또는 측정 강화가 적용되고, 실외 셀에는 정상 측정 또는 다른 구현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정보가 특정 측정 상태가 지원됨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이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단말에 적합한 측정 상태를 판단하여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정보가 특정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이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단말에 적합한 측정 상태를 판단하여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단말이 상기 정보 및 셀 유형에 따라 로컬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를 결정한 다음,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단말에 적합한 측정 상태를 판단하여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정보가 특정 측정 상태가 지원됨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이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에 따라 현재 단말에 적합한 측정 상태를 판단하여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정보가 특정 측정 상태가 지원됨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이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에 따라 현재 단말에 적합한 측정 상태를 판단하여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보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단말이 상기 정보 및 셀 유형에 따라 로컬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를 결정하여 로컬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로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실내 셀에서 제1 측정 상태(예: RLM/BFD 측정 완화)로 조정될 수 있고, 이와 반대인 경우 제2 측정 상태(예: 정상 측정) 또는 제3 측정 상태(예: 측정 강화)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 및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셀 중심에 위치하거나 이동 속도가 낮은 경우, 제1 측정 상태(예: RLM/BFD 측정 완화)로 조정될 수 있고, 이와 반대인 경우 제2 측정 상태(예: 정상 측정) 또는 제3 측정 상태(예: 측정 강화)로 조정될 수 있다. 물론,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사전 설정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 방법에서는,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정보와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이 결합되므로, 결정된 결과가 더 정확하고, 단말의 실제 상황과 더 일치하며, 이에 따라 단말의 측정 성능이 향상된다.
추가로, 상기 측정에 대한 조정 여부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으며, 이 임계값은 상기 정보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솔루션에서, 상기 정보가 측정 조정 판단 임계값을 포함하는 경우, 다음의 규칙에 따라 RLM 측정 조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한다.
2.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3.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1, 2 및 3에서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다.
추가로, 제1 임계값 및/또는 제2 임계값은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S-measure 임계값(연결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인접 셀 또는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솔루션에서, 상기 정보가 RLM/BFD 측정 조정 판단 임계값 및 사전 설정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다음의 규칙에 따라 RLM/BFD 측정 조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법 1:
1. 측정 결과가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지속적으로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지속적으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한다.
2. 측정 결과가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지속적으로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지속적으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3. 측정 결과가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지속적으로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지속적으로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방법 2:
1.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제2 임계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1 임계값보다 큰 측정 결과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한다.
2.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제2 임계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1 임계값보다 큰 측정 결과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3. 측정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제2 임계값보다 작은 측정 결과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측정 결과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1 임계값보다 큰 측정 결과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1, 2 및 3에서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다.
추가로, 제1 임계값 및/또는 제2 임계값은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S-measure 임계값(연결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인접 셀 또는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솔루션에서, 상기 정보가 RLM/BFD 측정 사전 설정 타이머 또는 사전 설정 시간 또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경우, 다음의 규칙에 따라 RLM/BFD 측정 조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법 1:
1. 단말이 RLM/BFD 측정 완화 또는 측정 강화를 수행한 후 사전 설정 시간만큼 지난 후, 자동으로 RLM/BFD 정상 측정으로 복귀하거나, 단말이 RLM/BFD 측정 완화/강화를 시작할 때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타이머가 만료되면 RLM/BFD 정상 측정으로 복귀한다.
방법 2:
1. 단말이 RLM/BFD 측정 완화 또는 측정 강화를 수행한 후 사전 설정된 측정 주기, 또는 Sample 측정 이후, 자동으로 RLM/BFD 정상 측정으로 복귀하거나, 단말이 RLM/BFD 측정 완화/강화를 시작할 때 카운터를 작동시키고, 각 측정 주기 또는 sample 측정 시 카운터는 1을 추가하여 사전 설정 수에 도달하면 RLM/BFD 정상 측정으로 복귀한다.
다른 일 솔루션에서, 상기 정보가 RLM/BFD 측정 조정 판단 임계값 및 사전 설정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다음의 규칙에 따라 RLM/BFD 측정 조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방법 1:
1.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과 지속적으로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한다.
2.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3.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방법 2:
1.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과 지속적으로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한다.
2.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3.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방법 3:
1.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측정 결과의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측정 결과의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한다.
2.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측정 결과의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정상 측정을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측정 결과의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3.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측정 결과의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완화를 수행하고, 사전 설정 시간(1) 동안 측정 결과의 변화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사전 설정 시간(2) 동안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측정 결과의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은 RLM/BFD 측정 강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1, 2 및 3에서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다.
추가로, 제1 임계값 및/또는 제2 임계값은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S-measure 임계값(연결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인접 셀 또는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단말이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조정되기를 바라는 측정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가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의 다수 항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의 다수 항 중 하나의 상태로 조정되기를 바라는 것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가 상기 제1 측정 상태 및 상기 제2 측정 상태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상태 및 상기 제2 측정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조정되기를 바람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측은 단말이 특정 측정 상태로 조정되도록 구성한다. 또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가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의 다수 항을 포함하는 경우, 다중 빔, 반송파, BWP 또는 주파수 대역에서 요청하는 측정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빔(1)에서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제1 측정 상태이고, 빔(2)에서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제3 측정 상태이고, 빔(3)에서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제2 측정 상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의 주기는 상기 RLM 측정, BFD 측정의 주기일 수 있다.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은 T310, T311, N310 및 N311와 같이 RLM 및 BFD 측정의 수행과 관련된 카운터 및 타이머의 임계값일 수 있다.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은 상기 실시 방법에서 설명한 제1 시간, 제2 시간, 제3 시간, 제4 시간, 제5 시간 또는 제6 시간과 같은 측정 조정의 지속시간일 수 있다. 또는 조정된 후 측정 상태의 지속시간일 수 있다.
본 실시 방법에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를 통해, 네트워크 측에 단말이 조정되기를 바라는 측정 상태 및 조정되기를 바라는 파라미터를 알릴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측은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말과 측정 상태에 대해 협상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측은 단말이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네트워크 측은 측정 조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진일보 최적화한다.
선택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Inter-frequency measurement), 시스템 간 측정(Inter-RAT measur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컬 셀 측정은 로컬 셀 측정의 측정 상태의 조정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인접 셀 측정은 인접 셀 측정의 측정 상태의 조정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은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의 측정 상태의 조정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간 측정은 시스템 간 측정의 측정 상태의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인접 셀 측정은 주파수 내 인접 셀 측정, 다른 주파수 포인트 측정, 다른 RAT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접 셀의 RLM/BFD 측정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에 따라 로컬 셀 및 인접 셀 중 적어도 하나의 RLM/BFD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인접 셀의 RLM/BFD 측정이 없는 경우, 상기 정보에 따라 로컬 셀의 RLM/BFD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단말은 측정 상태를 조정하도록 지원될 수 있고, 이로써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RLM 및 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또는,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 시스템 간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 측의 실시 방법으로서, 구체적인 실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의 측정 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400)은,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401)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40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또는,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402)은 상기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결정 모듈(402)은 상기 정보,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결정 모듈(402)은 상기 정보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 및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갖고,
상기 셀 유형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400)은,
네트워크 측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403)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 시스템 간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고,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600)는,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601)을 포함하되,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또는,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600)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60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 시스템 간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는 도 3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고,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해당 단말(8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801), 네트워크 모듈(802), 오디오 출력 장치(803), 입력 장치(804), 센서(805), 디스플레이 장치(806), 사용자 입력 장치(807), 인터페이스 장치(808), 메모리(809), 프로세서(810) 및 전원(8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다. 당업자라면 도 8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 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또는,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 및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갖고,
상기 셀 유형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또한,
네트워크 측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 시스템 간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프로세스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8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8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802)을 통해 사용자를 위해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탐색, 스트리밍 미디어 접속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803)는 무선 주파수 장치(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8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8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803)는 단말(8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803)는 스피커, 부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8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장치(804)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8041) 및 마이크로폰(8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8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8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8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809) (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80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8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8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800)은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8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단말(800)이 귀쪽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8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 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식별(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보수계, 태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8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8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806)는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8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8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807)에는 터치 패널(8071)과 기타 입력 장치(8072)가 포함된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8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8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8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8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807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8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8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8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장치(8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8071)은 디스플레이 패널(8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8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810)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8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8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8에서 터치 패널(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이 두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이 통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808)는 외부 장치와 단말(80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 입력/출력(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8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800)의 적어도 하나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단말(8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8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8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단말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단말 전체의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며, 메모리(8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리(8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8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810)에 통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8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80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8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8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8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8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단말에는 프로세서(810), 메모리(809) 및 메모리(8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8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측정 처리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장비(900)에는 프로세서(901), 송수신기(902), 메모리(903) 및 버스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송수신기(902)는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다음 조건: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또는,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송수신기(902)는 또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 시스템 간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의 측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중, 송수신기(902)는 프로세서(901)의 제어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수신기(902)에는 최소한 두 개의 안테나 포트가 포함된다.
도 9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1)로 대표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903)로 대표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9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904)는 필요한 장비를 외부 및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9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903)에는 프로세서(901)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901), 메모리(903) 및 메모리(903)에 저장되고 프로세서(901)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지시 정보 송신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시 정보 송신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하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수단의 본질적 부분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에 의해 본 개시의 복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자는 본 개시의 목적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30)

  1. 단말에 적용되는 측정 처리 방법에 있어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또는,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보 및 셀 유형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임계값 및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파라미터와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갖고,
    상기 셀 유형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는 대응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 측에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 시스템 간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처리 방법.
  15.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에 있어서,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측정 상태, 제2 측정 상태 및 제3 측정 상태 중 임의의 두 측정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완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측정 상태는 정상 측정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강화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상태는,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긴 것;
    제1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적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긴 것;
    제2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2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적은 것;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지 않거나, 상기 제3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적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정 상태는,
    측정 주기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주기보다 짧은 것;
    제4 시간 동안 측정 샘플링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샘플링 횟수보다 많은 것;
    측정 지시 간격이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지시 간격보다 짧은 것;
    제5 시간 동안 상기 측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제5 시간 동안 측정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측정 횟수보다 많은 것;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가 수행되거나, 상기 제6 시간 동안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의 상기 측정에 대한 상위 계층 지시 횟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많은 것;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제2 측정 상태에서 상기 측정의 기준 신호가 상이한 것 - 상기 기준 신호가 상이함은 기준 신호의 주기 및 부반송파 간격 중 적 적어도 하나가 상이함을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지원하는 측정 상태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셀이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셀이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셀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지원하는 측정 상태,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정보는,
    측정 상태의 파라미터, 상기 제1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상기 제3 측정 상태를 지원하는지 여부, 제1 지시, 제2 지시 및 제3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지시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해당하는 상기 측정을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지시 메시지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주기는 측정 주기, 불연속 수신(DRX) 주기 또는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지시 주기를 건너 뛰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통해 상기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또는,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모니터링을 건너 뛰거나 DRX 온 지속기간 타이머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또는 사전 지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 및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측정 상태는,
    상기 제1 측정 상태, 상기 제2 측정 상태 및 상기 제3 측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정을 위해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상기 측정의 주기, 상위 계층 지시의 주기, 상기 측정과 관련된 임계값 및 상기 측정과 관련된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셀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단말의 각 주파수, 각 반송파, 각 주파수 대역 또는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해 구성한 정보;
    네트워크 측에서 각 빔에 대해 구성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로컬 셀 측정, 인접 셀 측정, 주파수 포인트 간 측정, 시스템 간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시 정보 송신 방법.
  26. 단말에 있어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함 - ;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네트워크 장비에 있어서,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시 메시지는 측정 조정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은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및 빔 실패 검출(BFD)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단말이 상기 측정의 측정 상태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28.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0.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정 처리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고,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지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16604A 2019-10-23 2020-10-23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KR20220084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14317.X 2019-10-23
CN201911014317.XA CN112702750B (zh) 2019-10-23 2019-10-23 测量处理方法、指示信息发送方法、终端和网络设备
PCT/CN2020/123091 WO2021078235A1 (zh) 2019-10-23 2020-10-23 测量处理方法、指示信息发送方法、终端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364A true KR20220084364A (ko) 2022-06-21

Family

ID=7550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604A KR20220084364A (ko) 2019-10-23 2020-10-23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48244A1 (ko)
EP (1) EP4050927A4 (ko)
KR (1) KR20220084364A (ko)
CN (1) CN112702750B (ko)
BR (1) BR112022007703A2 (ko)
WO (1) WO2021078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9556A (zh) * 2020-10-30 2022-05-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调整方法和终端
CN115623526A (zh) * 2021-07-16 2023-01-17 夏普株式会社 执行无线链路监测的方法及用户设备
CN117581596A (zh) * 2021-11-05 2024-0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双连接网络的通信方法及装置
CN117941403A (zh) * 2021-12-06 2024-04-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放松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23133694A1 (zh) * 2022-01-11 2023-07-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测量放松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WO2023247299A1 (en) * 2022-06-23 2023-12-28 Nokia Technologies Oy Relaxed measurement based on wake-up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9602C (zh) * 2007-02-14 2009-04-15 北京天碁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省电的实现方法及装置
CN102237936B (zh) * 2010-04-30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去激活状态载波的测量方法、装置
CN102595478A (zh) * 2011-01-14 2012-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节能信息处理方法、网络侧设备和用户设备
KR102078370B1 (ko) * 2012-07-11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602265B (zh) * 2015-01-09 2018-04-20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rtt测量定位系统中的测量报文发送方法和装置
WO2018174806A1 (en) * 2017-03-24 2018-09-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lm and beam failure detection based on a mix of different reference signals
CN109587707B (zh) * 2017-09-28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控制方法、用户终端及基站
WO2019097457A1 (en) * 2017-11-16 2019-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performing radio link monitoring
CN113612592A (zh) * 2017-11-17 2021-11-0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控制资源集和pdcch监测时机的配置方法、装置及基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7703A2 (pt) 2022-07-12
EP4050927A4 (en) 2023-01-25
CN112702750A (zh) 2021-04-23
EP4050927A1 (en) 2022-08-31
CN112702750B (zh) 2022-11-22
US20220248244A1 (en) 2022-08-04
WO2021078235A1 (zh)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201B2 (en)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user terminal
KR102595769B1 (ko) 정보 보고 방법 및 단말
US20220053350A1 (en) Measurement method,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KR20210148359A (ko) Prs 자원 구성 방법, 측정 간격 구성 방법 및 관련 장치
KR20220084364A (ko) 측정 처리 방법, 지시 정보 송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US20210377890A1 (en) Measurement processing method,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US11382160B2 (en) Method of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user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20156436A1 (zh) 测量方法、终端、测量指示方法及网络侧设备
CN109951881B (zh) 一种信道切换方法、终端设备及路由设备
CN110505638B (zh) 测量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KR20210147051A (ko) 측정 방법, 측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KR20220088464A (ko) 측정 처리 방법 및 단말
JP7442464B2 (ja) セル管理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装置
WO2019223684A1 (zh) 测量上报方法、测量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2788676A (zh) 小区管理方法、小区管理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KR20220149578A (ko) 전력 헤드룸 보고를 보고하는 방법 및 단말
JP2022531559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及び端末
KR20220028094A (ko) 상향링크 송신 폐기 방법, 상향링크 송신 폐기 구성 방법 및 관련 장비
KR20210142734A (ko) 보고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N113259984B (zh) 一种波束报告方法、网络节点及终端
JP7139441B2 (ja) 測定結果の指示方法、端末及び基地局
WO2021160027A1 (zh) 参考信号的确定方法和通信设备
KR20220097486A (ko) 핸드오버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