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751A - Iops ip 연결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Iops ip 연결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751A
KR20220083751A KR1020227015841A KR20227015841A KR20220083751A KR 20220083751 A KR20220083751 A KR 20220083751A KR 1020227015841 A KR1020227015841 A KR 1020227015841A KR 20227015841 A KR20227015841 A KR 20227015841A KR 20220083751 A KR20220083751 A KR 20220083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op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레나스 존 카밀로 솔라노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2008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가 개시되어 있다.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300)으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312-N)에 대한 무선 장치의 가용성을 알리기 위한 IP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400; 500);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4; 50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PS IP 연결 알림 방법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상이한 의미가 명확하게 주어지고/지거나 사용되는 문맥에서 암시되지 않는 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치, 구성 요소,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참조는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 요소,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instance)를 참조하는 것으로서 개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는 하나의 단계가 다른 단계를 따르거나 선행하는 것으로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한 및/또는 하나의 단계가 다른 단계를 따르거나 선행해야 함을 암시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은 적절한 경우에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이점은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된 실시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MC(Mission Critical) 통신 서비스는 경찰 및 소방대와 같은 공공 안전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필수적이다. MC 통신 서비스는 긴급 및 임박한 위협에 대한 우선 MC 호출 처리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통신 서비스에 비해 우선적인 처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MC 통신 서비스는 네트워크 또는 백홀 인프라(backhaul infrastructure)의 일부가 실패할지라도 보장된 서비스 레벨을 제공하는 여러 복원 특징(resilience feature)을 필요로 한다.
공공 안전 사용자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방법은 동일한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달됨을 필요로 하는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GC)이다. 하나의 그룹 통신의 타입은 PTT(Push to Talk) 서비스이다. 그룹 통신 시스템은 중앙 집중식 아키텍처 접근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앙 집중식 GC 제어 노드는 그룹 설정원, 정책, 사용자 권한 및 우선 순위와 같은 모든 그룹 데이터에 대한 전체 제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높은 네트워크 가용성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타입의 동작은 때때로 TMO(Trunked Mode Operation) 또는 온 네트워크(on-network) 동작으로서 알려져 있다.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와 같은 GC 서비스 또는 MC 서비스를 지원하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반 네트워크는 3GPP TS 23.280 v16.3.0 및 3GPP TS 23.379 v16.3.0에 명시되어 있다. MCVideo(Mission Critical Video)와 같은 다른 MC 서비스는 3GPP TS 23.281 v16.3.0에 명시되어 있고, MCData(Mission Critical Data)는 3GPP TS 23.282 v16.3.0에 명시되어 있다.
각각의 MC 서비스는 사용자 간의 여러 타입의 통신(예를 들어, 그룹 호출, 개인 호출)을 지원한다. MC 서비스에 의해 사용되는 여러 공통 기능 및 엔티티(예를 들어, 그룹, 설정, 아이덴티티)가 있다. MC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3GPP TS 23.280 v16.3.0에 설명된 공통 기능 아키텍처는 MC 서비스 데이터의 전체 제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중앙 MC 서비스 서버와 MC 서비스 통신 지원을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MC 서비스 UE는 주로 3GPP TS 23.401 v16.3.0에 정의된 EPS(evolved packet system)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E-UTRAN(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를 통해 MC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한다.
MC 서비스 UE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이는 3GPP TS 23.303 v15.1.0에 명시된 바와 같이 ProSe(proximity services)를 사용하기 위해 오프 네트워크(off-network)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를 시도할 수 있다. ProSe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직접적인 지원 없이 다른 UE와의 직접 통신을 기반으로 오프 네트워크 동작을 지원한다. 이 경우,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MC 서비스 통신을 제어하고 제공한다. 이를 위해, 모든 설정 데이터(일반적으로 온 네트워크 동작을 위한 설정 데이터의 서브세트와 유사함)는 각각의 UE에 미리 제공(pre-provision)되어야 한다.
MC 서비스를 제공하는 3GPP 기반 네트워크에서, 3GPP TS 23.401 v16.3.0 Annex K에 설명된 IOPS(Isolated E-UTRAN Operations for Public Safety)로서 알려진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백홀 장애(backhaul failure)의 경우에도 서비스가 보장될 수 있다. IOPS 기능은 IOPS, 즉 하나 이상의 IOPS 가능(IOPS-capable) eNB를 지원하는 E-UTRAN 무선 기지국(eNB)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공공 안전 사용자의 장치에 로컬 연결(local connectivity)을 제공한다. IOPS 가능 eNB는 IOPS 동작 모드 동안 사용되는 로컬 EPC(Evolved Packet Core)와 함께 배치(co-site)된다. 로컬 EPC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같은 기능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IOPS EPS, 즉 IOPS 가능 eNB 및 로컬 EPC는 상이한 타입의 배치(deployment)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무선 기지국이 원격 위치(예를 들어, 섬)에 있고, 무선 기지국이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링크를 통해 매크로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이다. 마이크로파 링크 장애가 있는 경우, 공공 안전 사용자는 IOPS 가능 eNB의 커버리지 내에서 사용자 간의 통신을 위해 적어도 로컬 연결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백홀 링크 장애로 인해 IOPS 동작 모드가 시작될 때, 공공 안전/MC 사용자는 IOPS EPS에 의해 서빙될 수 있어야 한다. IOPS 동작 모드 동안, MC 서비스는 IOPS MC 시스템이 MC 사용자 간의 통신을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만 제공하는 오프 네트워크 동작을 기반으로 지원될 수 있다. 따라서, MC 서비스는 MC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공되지만, 상응하는 MC 서비스 IP 패킷은 IOPS EPS를 통해 IOPS MC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IOPS EPS와 함께 위치되는 IOPS MC 시스템은 IOPS EPS를 통해 해당 IP 패킷을 타겟 사용자에게 분배한다.
도 1
IOPS MC 시스템은 2개의 IOPS 애플리케이션 기능(IOPS AF), 즉 IOPS 패킷 분배 기능 및 IOPS 연결 기능으로 설정되는 기능 모델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UE는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C 서비스 클라이언트 및 IOPS 연결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IOPS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IOPS MC 시스템, 즉 IOPS 연결 기능은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사용자가 IOPS 동작 모드에서 등록되고 검색(discover)될 수 있게 한다. IOPS MC 시스템, 즉 IOPS 분배 기능은 MC 사용자 간의 MC 서비스 통신을 위한 IP 연결을 제공한다. 이는 IOPS MC 시스템이 MC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IP 패킷을 하나 이상의 MC 사용자를 대상으로 분배함을 의미한다. 그룹 통신과 관련된 IP 패킷의 경우, 예를 들어 그룹 호출에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IP 패킷의 경우, IOPS MC 시스템은 이를 IOPS EPS 네트워크를 통한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송신을 통해 타겟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IOPS 동작 모드가 오프 네트워크와 같은 동작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일대일 통신, 예를 들어 두 사용자 간의 개인 호출의 경우, IOPS 분배 기능에 의해 수신된 IP 패킷은 최종 목적지 IP 어드레스로서 타겟화된(targeted) 사용자의 유니캐스트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그룹 통신, 예를 들어, 그룹 호출의 경우, IOPS 분배 기능에 의해 수신된 IP 패킷은 최종 목적지 IP 어드레스로서 타겟화된 그룹의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IOPS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의 검색 및 IP 연결 기능을 각각 지원하기 위한 일부 방법이 제안되었다. 사용자의 검색의 경우, 이러한 방법은 IOPS MC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정보의 게시(publication) 및 시스템 상의 다른 사용자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가입(subscription) 및 통지(notification)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3GPP TR 23.778 v16.0.0에 포함되어 있다.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서비스의 지원은 3GPP TS 23.180(현재 TS 23.180 v0.1.0)에 명시되어 있다.
현재 특정 과제가 존재한다.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서비스의 지원은 Release 17 3GPP TS 23.180에 명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MC 사용자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한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연결 정보를 제공하고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대한 정보 흐름 및 절차가 명시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 및 이의 실시예는 상술한 또는 다른 과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솔루션의 일부 실시예에서, IOPS 동작 모드에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MC 사용자(즉, UE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는 각각의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가짐)로부터 연결 정보를 제공하고 획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연결 정보는 MC 사용자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다른 MC 사용자와 IP 연결 통신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검색, 가입(subscription) 및 통지 방법에 대한 절차가 정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제 중 하나 이상을 다루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제안되어 있다.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으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 대한 무선 장치의 가용성을 알리기 위한 IP(Internet Protocol) 연결 알림 요청(connectivity announcement request)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제1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으로 IOPS 검색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OPS 검색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OPS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IOPS 검색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으로 IP 연결 가입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가입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가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IP 연결 가입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통지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를 수신하는 단계; 및 IP 연결 통지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IOPS MC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IP 연결 통지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통지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는 다음의 기술적 이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다음의 이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MC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을 통해 IP 연결 통신을 시스템 상의 다른 MC 사용자에게 설정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Figure pct00002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사용자의 검색 뿐만 아니라 연결 정보의 가입 및 통지가 활성화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여러 양태를 도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로부터의 IP 연결 알림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로부터의 IP 연결 알림을 위한 다른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의 검색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의 IP 연결 가입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의 IP 연결 통지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의 IP 연결 그룹 통지를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가상화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실시예 중 일부는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subject matter)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개시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주제의 범위를 전달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된다. 부가적인 정보는 또한 부록에 제공된 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
무선 노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노드"는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무선 액세스 노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임의의 노드이다. 무선 액세스 노드의 일부 예는 기지국(예를 들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Fifth Generation) NR 네트워크에서의 NR(New Radio) 기지국(gNB) 또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에서의 eNB(enhanced 또는 evolved Node B)), 고전력 또는 매크로 기지국, 저전력 기지국(예를 들어,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홈 eNB 등), 릴레이 노드, 기지국 기능의 일부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gNB-CU(gNB Central Unit)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gNB-DU(gNB Distributed Unit)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일부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노드의 기능의 일부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코어 네트워크 노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타입의 노드 또는 코어 네트워크 기능을 구현하는 임의의 노드이다.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예는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서비스 능력 노출 기능(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 등을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다른 예는 액세스 및 이동성 기능(Access and Mobility Function; AMF), UP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NSSF),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NRF(Network Function (NF) Repository Function),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통합된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등을 구현하는 노드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임의의 타입의 장치이다. 통신 장치의 일부 예는 휴대폰, 스마트폰, 센서 장치, 계량기, 차량, 가전 제품, 의료 기기, 미디어 플레이어, 카메라 또는 모든 타입의 소비자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텔레비전, 라디오, 조명 장치,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휴대용, 핸드헬드, 컴퓨터 포함(computer-comprised) 또는 차량 탑재(vehicle-mounted)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 하나의 타입의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이며, 이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즉, 이에 의해 서빙되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일부 예는 3GPP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UE),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장치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무선 통신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센서 장치, 계량기, 차량, 가전 제품, 의료 기기, 미디어 플레이어, 카메라 또는 모든 타입의 소비자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텔레비전, 라디오, 조명 장치,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또는 PC로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연결을 통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휴대용, 핸드헬드, 컴퓨터 포함 또는 차량 탑재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이거나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인 임의의 노드이다.
본 명세서에서 주어진 설명은 3GPP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며, 따라서, 3GPP 용어 또는 3GPP 용어와 유사한 용어가 종종 사용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개념들이 3GPP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셀(cell)"이라는 용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지만; 특히 5G NR 개념과 관련하여, 셀 대신에 빔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은 셀과 빔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솔루션의 실시예는 3GPP 기반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즉 E-UTRAN 및 EPC를 포함하는 EPS의 문맥 내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문제 및 솔루션은 다른 액세스 기술 및 표준(예를 들어, 5G 코어 및 5G 무선 액세스를 포함하는 5세대(5G) 시스템)을 구현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UE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LTE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솔루션의 실시예가 적합한 예시적인 기술로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솔루션의 실시예는 LTE에 적합하므로, 설명에서 LTE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문제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솔루션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솔루션의 실시예는 IOPS 동작 모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문제 및 솔루션은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승인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로컬 EPC 또는 5GC를 사용하여 NPN(non-public network)으로서도 알려진 사설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경우 다른 시나리오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안된 솔루션의 일부 실시예에서, IOPS 동작 모드에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MC 사용자(즉, UE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는 각각의 MC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가짐)로부터 연결 정보를 제공하고 획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연결 정보는 MC 사용자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다른 MC 사용자와의 IP 연결 통신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검색, 가입 및 통지 방법에 대한 절차가 정의된다.
도 2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LTE RAN을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즉, E-UTRAN)이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예를 들어 5G 시스템과 같은 다른 타입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 예에서, RAN은 LTE에서 eNB로서 지칭되는 기지국(202-1 및 202-2)을 포함하며, 이는 상응하는 (매크로) 셀(204-1 및 204-2)을 제어한다. 기지국(202-1, 202-2)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총체적으로 기지국(202)으로서 지칭되고 개별적으로는 기지국(202)으로서 지칭된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셀(204-1 및 204-2)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총체적으로 (매크로) 셀(204)로서 지칭되고 개별적으로 (매크로) 셀(204)로서 지칭된다. RAN은 또한 상응하는 소형 셀(208-1 내지 208-4)을 제어하는 다수의 저전력 노드(206-1 내지 206-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노드(206-1 내지 206-4)는 소형 기지국(예를 들어, 피코 또는 펨토 기지국) 또는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등일 수 있다. 특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형 셀(208-1 내지 208-4) 중 하나 이상은 대안적으로 기지국(2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저전력 노드(206-1 내지 206-4)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총체적으로 저전력 노드(206)로서 지칭되고 개별적으로 저전력 노드(206)로서 지칭된다. 마찬가지로, 소형 셀(208-1 내지 208-4)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총체적으로 소형 셀(208)로서 지칭되고 개별적으로 소형 셀(208)로서 지칭된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또한 5GS에서 5G 코어(5G core; 5GC)로서 지칭되는 코어 네트워크(210)를 포함한다. 기지국(202)(및 선택적으로 저전력 노드(206))은 코어 네트워크(210)에 연결된다.
기지국(202) 및 저전력 노드(206)는 상응하는 셀(204 및 208)에서 서비스를 무선 통신 장치(212-1 내지 212-5)에 제공한다. 무선 통신 장치(212-1 내지 212-5)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총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212)로서 지칭되고 개별적으로는 무선 통신 장치(212)로서 지칭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무선 통신 장치(212)는 종종 UE이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지국(202) 및/또는 저전력 노드(206) 중 적어도 일부는 로컬 코어(예를 들어, LTE용 로컬 EPC) 및 IOPS MC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이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PS MC 시스템은 IOPS 패킷 분배 기능과 IOPS 연결 기능을 포함한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이 LTE 시스템인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202)은 eNB이고, 이러한 eNB 중 하나 이상은 IOPS를 지원한다(즉, eNB 중 하나 이상은 IOPS 가능 eNB임). 또한, IOPS를 이용하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IOPS MC 시스템(200)과 함께 MC 서비스(예를 들어, MCPTT 서비스)를 지원하고, IOPS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백홀 장애의 경우에도 MC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212) 중 적어도 일부는 MC 서비스 장치(예를 들어, MC 서비스 UE)이다.
이와 관련하여, 백홀 네트워크(즉, eNB를 EPC에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MC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 IOPS를 사용하여 MC 서비스(예를 들어, MCPTT와 같은 M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LTE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논의가 이제 이루어진다.
도 3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키텍처는 IOPS 패킷 분배 기능(302) 및 IOPS 연결 기능(304)을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300), 로컬 EPC(308) 및 IOPS 가능 기지국(IOPS-enabled base station)(310)을 포함하는 IOPS EPS, 및 MC 서비스 클라이언트(314) 및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8)를 포함하는 MC 서비스 UE(312)를 포함한다. 논의의 명확성과 용이함을 위해 별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EPC(308)는 IOPS 가능 기지국(310)과 별개로 또는 IOPS 가능 기지국(310)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IOPS MC 시스템은 IOPS 가능 기지국(310)과 별개로 또는 IOPS 가능 기지국(310)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PS 가능 기지국(310)은 예를 들어 도 2의 기지국(202)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마찬가지로, MC 서비스 UE(312)는 예를 들어,도 3의 UE(2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MC 서비스 UE(312)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IOPS MC 시스템(300)을 사용하는 많은 MC 서비스 UE(312)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MC 서비스 UE를 구별하기 위해, MC 서비스 UE(312-X)의 표기법(notation)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며, 여기서 X는 예를 들어, 1, 2, ..., N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IOPS 가능 기지국(310)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IOPS MC 시스템(예를 들어, 아일랜드(island) 상의 모든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는 하나 이상의 IOPS 가능 기지국(310)이 있을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을 통해, 본 명세서에서 MC 서비스 UE 또는 MC 사용자 또는 단지 UE 또는 사용자라고도 하는 공공 안전 사용자에게는 MC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설정(설정이 제공되었다고 가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MC 서비스 사용자 설정 프로파일"로서 지칭되는 이러한 설정은 UE에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된다(예를 들어,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저장됨). 각각의 UE에 대해, MC 서비스 사용자 설정 프로파일은 해당 UE에 의해 지원되는 MC 서비스(예를 들어, MCPTT 서비스)의 설정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정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UE에 대해, MC 서비스 사용자 설정 프로파일은 현재 UE 설정, MC 서비스 사용자 프로파일 설정, 그룹 설정(예를 들어, 그룹 ID), 및 오프 네트워크 동작을 위해 UE에 저장되는 서비스 설정 데이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특정 파라미터는 MC 서비스 및 MCPTT 서비스 UE/오프 네트워크에 대해 각각 3GPP TS 23.280 Annex A 및 3GPP TS 23.379 Annex A에 설명되어 있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C 서비스 사용자 설정 프로파일은 오프라인 절차에 의해 제공되거나 UE가 인증되고 중앙 MC 시스템에 등록된 후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프로파일은 또한 IOPS 동작 모드에서 이용될 특정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정 IOPS 그룹 설정,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속할 수 있는 IOPS MC 서비스 그룹과 연관된 IOPS 그룹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와 매크로 코어 네트워크(EPC) 사이에 링크 장애(link failure)가 있는 경우, IOPS 동작 모드, 즉 오프 네트워크형 동작(off-network like operation)이 개시되는 것으로 가정되며, 여기서 MC 서비스는 MC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공되지만, 상응하는 MC 서비스 IP 패킷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송신된다. 이것은 IOPS MC 시스템이 사용자 간의 통신을 위한 IP 연결만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 통신으로서 정의된다. 이를 위해, 승인된 UE는 IOPS 동작 모드를 지원하도록 설정되었다.
4.1 IP 연결 알림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기능의 지원은 MC 서비스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MC 서비스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MC 사용자는 IOPS MC 연결 기능에 요청하여 다른 검색된 MC 사용자에게 시스템에 대한 연결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는 시스템 상의 다른 MC 사용자로 송신될 수 있지만, 이러한 MC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가입되지 않았다.
다음의 조항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 기능에 대한 IOPS IP 연결 알림 절차 및 정보 흐름을 명시한다.
4.1.1.1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
표 2.2.1.1-1은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하며, 이는 각각의 무선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eNB)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무선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eNB)에 (예를 들어, 로컬로) 연결되는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IP 연결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에서 특정 MC 서비스 ID를 알리는 데 사용된다.
표 2.2.1.1-1: IP 연결 알림 요청
Figure pct00003
특정 MC 사용자(또는 MC UE)는 MC 식별자(ID)를 갖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MC 사용자의 각각의 MC 서비스에 대해, MC 사용자는 별개의 MC 서비스 ID를 갖는다. 예를 들어, 특정 MC 사용자가 두 개의 MC 서비스 X와 Y를 갖고 있다면, MC 사용자는 MC 사용자를 식별하는 MC ID, MC 서비스 X에 상응하고 MC 사용자의 MC ID와 연관되는 제1 MC 서비스 ID(MC 서비스 ID X), 및 MC 서비스 Y에 상응하고 MC 사용자의 MC ID와 연관되는 제2 MC 서비스 ID(MC 서비스 ID Y)를 가질 것이다. MC 서비스 ID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MC 서비스 사용자 ID"로서 지칭된다.
4.1.1.2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
표 2.2.1.2-1은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2.1.2-1: IP 연결 알림 응답
Figure pct00004
4.1.1.3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
표 2.2.1.3-1은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IP 연결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에서 특정 MC 서비스 ID를 알리는 데 사용된다.
표 2.2.1.3-1: IP 연결 알림 요청
Figure pct00005
4.1.1.4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
표 2.2.1.4-1은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2.1.4-1: IP 연결 알림 응답
Figure pct00006
4.1.1.5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표 2.2.1.5-1은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의 특정 IOPS MC 서비스 그룹 ID로부터의 MC 사용자의 가용성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가용성은 IOPS MC 그룹 ID로부터 검색된 사용 가능한 사용자의 수만을 나타낸다.
표 2.2.1.5-1: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Figure pct00007
4.1.1.6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표 2.2.1.6-1은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2.1.6-1: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Figure pct00008
4.1.1.7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표 2.2.1.7-1은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의 특정 IOPS MC 서비스 그룹 ID로부터의 MC 사용자의 가용성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가용성은 IOPS MC 그룹 ID로부터 검색된 사용 가능한 사용자의 수만을 나타낸다.
표 2.2.1.7-1: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Figure pct00009
4.1.1.8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표 2.2.1.8-1은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2.1.8-1: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Figure pct00010
4.1.2 절차
도 4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로부터의 IP 연결 알림을 위한 절차는 도 4에 설명되어 있다. 도 2의 이러한 예에는 MC 서비스 UE(312-1 및 312-N)로서 표시되는 2개의 MC 서비스 UE가 있다. 이들의 각각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각각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또한 IOPS 연결 클라이언트 1) 및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N)(또한 IOPS 연결 클라이언트 N)로서 표시된다.
전제 조건:
Figure pct00011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다.
도 4의 절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2
단계(400):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예를 들어, MC UE(312-1)에서)는 연관된 MC 서비스 ID 중 하나 이상에 대한 IP 연결 가용성을 IOPS MC 시스템(300) 상의 다른 사용 가능한 MC UE(예를 들어, MC UE(312-N))에 알리기로 결정한다. 따라서, 이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IOPS MC 연결 기능(304)으로 송신한다.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또한 이의 IP 연결 가용성 알림이 시스템(300) 내에 있을 수 있는 MC 서비스 ID의 특정 리스트만을 타겟으로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13
단계(402): IOPS MC 연결 기능(304)은 관련 MC 서비스 ID에 대한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렇다면, IP 연결 알림 요청이 관련 MC UE로 송신된다.
o 주석 1: 예를 들어, 요청하는 MC UE로부터의 나타내어진 MC 서비스 ID가 IOPS 검색 요청에 제공된 경우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다.
o 주석 2: IP 연결 알림 요청은 요청하는 MC UE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300) 상의 다른 MC UE(또는 나타내어진 타겟 MC UE)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단계(404): IOPS MC 연결 기능(304)은 관련 요청에 대한 알림 응답을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에 제공한다.
Figure pct00015
단계(406): IOPS MC 연결 기능(304)은 이 예에서 MC UE(312-N)를 포함하는 관련 MC UE로 IP 연결 알림 요청을 송신한다.
Figure pct00016
단계(408):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N)는 관련 요청에 대한 알림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304)에 제공한다.
도 5
IOPS 동작 모드에서 MC UE로부터의 IP 연결 그룹 알림을 위한 절차는 도 5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Figure pct00017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다.
Figure pct00018
MC 서비스 사용자는 이전에 IOPS 검색 요청에서의 그룹 IP 연결 정보를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했다.
Figure pct00019
나타내어진 IOPS 연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MC 사용자는 동일한 IOPS MC 서비스 그룹 ID에 속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된다. 그런 다음 이는 IOPS 검색 요청에서의 그룹 IP 연결 정보 내에서 IOPS MC 연결 기능에 각각 나타내어졌다.
도 5의 절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0
단계(500):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연관된 IOPS MC 서비스 그룹 ID 중 하나 이상에 대한 IP 연결 가용성을 IOPS MC 시스템(300) 상의 다른 사용 가능한 MC 사용자 그룹 멤버에게 알리기로 결정한다. 따라서, 이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IOPS MC 연결 기능(304)으로 송신한다.
Figure pct00021
단계(502): IOPS MC 연결 기능(304)은 관련된 IOPS MC 서비스 그룹 ID에 대한 그룹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렇다면,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상응하는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관련된 다른 MC UE로 송신된다.
o 주석 1: 요청하는 MC UE(312-1)로부터의 나타내어진 IOPS MC 서비스 그룹 ID가 IOPS 검색 요청에 제공된 경우 그룹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다.
o 주석 2: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요청하는 MC UE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300) 상의 다른 MC UE(또는 나타내어진 타겟 MC UE)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단계(504): IOPS MC 연결 기능(304)은 관련 요청에 대한 그룹 알림 응답을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에 제공한다.
Figure pct00023
단계(506): IOPS MC 연결 기능(304)은 이 예에서 MC UE(312-N)를 포함하는 상응하는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관련된 다른 MC UE에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송신한다.
Figure pct00024
단계(508):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N)는 관련 요청에 대한 그룹 알림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한다.
4.2 IP 연결 검색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기능의 지원은 MC 서비스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MC 서비스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OPS MC 시스템은 IOPS 검색 절차를 기반으로 MC 서비스 사용자 간의 통신을 위한 IP 연결을 제공한다.
IOPS 검색 절차는 IOPS MC 시스템이 MC 서비스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 간의 IP 연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의 조항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 기능에 대한 IOPS 검색 절차 및 정보 흐름을 명시한다.
4.2.1 정보 흐름
4.2.1.1 IP 연결 요청
표 2.3.1.1-1은 MC UE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시스템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3.1.1-1: IP 연결 요청
Figure pct00025
4.2.1.2 IP 연결 응답
표 2.3.1.2-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3.1.2-1: IP 연결 응답
Figure pct00026
4.2.1.3 IOPS 검색 요청
표 2.3.1.3-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OPS 검색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3.1.3-1: IOPS 검색 요청
Figure pct00027
4.2.1.4 IOPS 검색 응답
표 2.3.1.4-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OPS 검색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3.1.4-1: IOPS 검색 응답
Figure pct00028
4.2.2 절차
도 6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사용자의 검색을 위한 절차는 도 6에 설명되어 있다. IOPS 검색은 IP 연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MC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다.
전제 조건:
Figure pct00029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 상에서 인증된다.
도 6의 절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30
단계(600).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IP 연결 요청을 IOPS MC 시스템(300)의 IOPS MC 연결 기능(304)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MC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IP 연결 기능의 지원을 IOPS MC 연결 기능(304)에 요청한다.
Figure pct00031
단계(602). IOPS MC 연결 기능(304)은 MC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IP 연결 기능의 지원을 MC UE(312-1)에 나타내는 IP 연결 응답을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로 송신한다.
Figure pct00032
단계(604).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IOPS 검색 요청을 IOPS MC 연결 기능(304)으로 송신한다. 요청은 IP 연결 기능에 기반하여 MC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33
단계(606). IOPS MC 연결 기능(304)은 MC UE(312-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MC UE의 연결 상태를 검색된 것으로서 등록한다.
Figure pct00034
단계(608). IOPS MC 연결 기능(304)은 요청하는 MC UE(312-1)의 검색의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내는 IOPS 검색 응답을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에 제공한다.
4.3 IP 연결 가입 및 통지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기능의 지원은 MC 서비스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MC 서비스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MC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사용자의 연결 정보에 대한 통지를 받도록 가입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MC 사용자는 연관된 IOPS 그룹으로부터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사용자의 수에 대한 통지를 받도록 가입할 수 있다.
다음의 조항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 기능에 대한 IOPS 가입 및 통지 절차와 정보 흐름을 명시한다.
4.3.1 정보 흐름
4.3.1.1 IP 연결 가입 요청
표 2.4.1.1-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가입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4.1.1-1: IP 연결 가입 요청
Figure pct00035
4.3.1.2 IP 연결 가입 응답
표 2.4.2.2-1은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가입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4.1.2-1: IP 연결 가입 응답
Figure pct00036
4.3.1.3 IP 연결 통지 요청
표 2.4.1.3-1은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통지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4.1.3-1: IP 연결 통지 요청
Figure pct00037
4.3.1.4 IP 연결 통지 응답
표 2.4.1.4-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통지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4.1.4-1: IP 연결 통지 응답
Figure pct00038
4.3.1.5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
표 2.4.1.5-1은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4.1.5-1: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
Figure pct00039
4.3.1.6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
표 2.4.1.6-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2.4.1.6-1: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
Figure pct00040
4.3.2 절차
도 7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의 IP 연결 가입을 위한 절차는 도 7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Figure pct00041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다.
Figure pct00042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사용자 및/또는 IOPS 그룹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가입하기로 결정했다.
Figure pct00043
IOPS 그룹과 연관된 가입의 경우, MC 서비스 사용자는 이전에 IOPS 검색 요청에서 그룹 IP 연결 정보를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했다.
도 7의 절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44
단계(700):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IOPS MC 시스템(300)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UE 및/또는 그룹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한다. 다시 말하면,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IP 연결 가입 요청을 IOPS MC 시스템(300)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304)으로 송신한다.
Figure pct00045
단계(702): IOPS MC 연결 기능(304)은 요청에 포함된 MC 서비스 ID 및/또는 IOPS 그룹에 대한 가입이 요청하는 MC UE(312-1)에 대해 활성화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o 주석: 요청된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MC UE가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없음을 IOPS 검색 요청에서 나타낸 경우 가입은 활성화될 수 없다. 또한, 요청된 IOPS 그룹이 요청하는 MC 사용자가 IOPS 검색 요청에 그룹 IP 연결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시킨 IOPS 그룹의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경우 가입은 활성화될 수 없다.
Figure pct00046
704: IOPS MC 연결 기능(304)은 요청과 연관된 가입 상태를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에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IOPS MC 연결 기능(304)은 IP 연결 가입 응답을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로 송신한다.
도 8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사용자의 IP 연결 통지를 위한 절차는 도 8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Figure pct00047
MC 서비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가입을 가지고 있다.
Figure pct00048
IOPS MC 연결 기능은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IP 연결 가입과 관련된 사용 가능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도 8의 절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49
800: IOPS MC 시스템(300)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304)은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가입과 관련된 연결 정보를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에 통지한다. 다시 말하면, IOPS MC 연결 기능(304)은 IP 연결 통지 요청을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로 송신한다. 연결 정보는 IP 연결 기능에 기초하여 MC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MC UE(312-1)에서의 MC 서비스 클라이언트(314-1)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Figure pct00050
802: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IP 연결 통지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304)에 제공한다.
도 9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사용자의 IP 연결 그룹 통지를 위한 절차는 도 9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Figure pct00051
MC 서비스 사용자에게는 하나 이상의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가입이 있다.
Figure pct00052
IOPS MC 연결 기능에는 하나 이상의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연관된 IP 연결 가입과 관련된 사용 가능한 정보가 있다.
도 9의 절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53
900: IOPS MC 시스템(300)에서의 IOPS MC 연결 기능(304)은 하나 이상의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그룹 가입과 관련된 그룹 연결 정보를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에 통지한다. 다시 말하면, IOPS MC 연결 기능(304)은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MC UE(312-1)에서의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로 송신한다. 그룹 연결 정보는 IP 연결 기능에 기초하여 MC 서비스 그룹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MC 서비스 클라이언트(314-1)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Figure pct00054
902: IOPS 연결 클라이언트(316-1)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304)에 제공한다.
도 10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선택적 특징은 점선 박스로 나타내어진다. 무선 액세스 노드(1000)는, 예를 들어, 기지국(202 또는 206),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지국(202) 또는 gNB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IOPS MC 시스템(300)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노드(10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노드(10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 메모리(100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8)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1002)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처리 회로로서 지칭된다. 또한, 무선 액세스 노드(10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10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1010)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1016)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수신기(1014) 및 하나 이상의 송신기(1012)를 포함한다. 무선 유닛(1010)은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로 지칭되거나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유닛(1010)은 제어 시스템(1002)의 외부에 있고, 예를 들어 유선 연결(예를 들어, 광 케이블)을 통해 제어 시스템(1002)에 연결된다. 그러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유닛(1010) 및 잠재적으로 안테나(1016)는 제어 시스템(1002)과 함께 통합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은 예를 들어 메모리(1006)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도 11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가상화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러한 논의는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는 유사한 가상화된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선택적 특징은 점선 박스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가상화된" 무선 액세스 노드는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서의 물리적 처리 노드 상에서 실행되는 가상 머신을 통해) 가상 구성 요소로서 구현되는 무선 액세스 노드(1000)를 구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 무선 액세스 노드(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1002) 및/또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02)은 예를 들어 광 케이블 등을 통해 무선 유닛(101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노드(1000)는 네트워크(1102)에 결합되거나 네트워크(1102)의 일부로서 포함된 하나 이상의 처리 노드(1100)를 포함한다. 존재한다면, 제어 시스템(1002) 또는 무선 유닛은 네트워크(1102)를 통해 처리 노드(1100)에 연결된다. 각각의 처리 노드(1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4)(예를 들어, CPU, ASIC, FPGA 등), 메모리(110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기능(1110)(예를 들어, 상술한 IOPS MC 시스템(300)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예를 들어, 도 4 내지 9와 관련하여))은 하나 이상의 처리 노드(1100)에서 구현되거나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처리 노드(1100) 및 제어 시스템(1002) 및/또는 무선 유닛(1010)에 걸쳐 분산된다. 일부 특정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기능(111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처리 노드(1100)에 의해 호스팅(hosting)되는 가상 환경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가상 구성 요소로서 구현된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노드(1100)와 제어 시스템(1002) 사이의 부가적인 시그널링 또는 통신은 원하는 기능(1110)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002)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유닛(1010)은 적절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리 노드(1100)와 직접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무선 액세스 노드(10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 따른 가상 환경에서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기능(1110)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노드(예를 들어, 처리 노드(1100))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캐리어(carrier)가 제공된다.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와 같은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중 하나이다.
도 12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무선 액세스 노드(1000)는 하나 이상의 모듈(1200)을 포함하고, 이러한 모듈(1200)의 각각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모듈(120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액세스 노드(1000)의 기능(예를 들어, 상술한 IOPS MC 시스템(300)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예를 들어, 도 4 내지 9와 관련하여))을 제공한다. 이러한 논의는 모듈(1200)이 처리 노드(1100) 중 하나에서 구현되거나 다수의 처리 노드(1100)에 걸쳐 분산되고/되거나 처리 노드(1100) 및 제어 시스템(1002)에 걸쳐 분산될 수 있는 도 11의 처리 노드(110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3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300)는 무선 통신 장치(212)의 일 예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1300)는 MC 서비스 장치(예를 들어, MC 서비스 UE(312))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2)(예를 들어, CPU, ASIC, FPGA 등), 메모리(1304), 및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308)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308)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1312)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1308)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1310)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수신기(1306)는 안테나(1312)와 프로세서(1302)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1312)에 연결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radio-front end circuitry)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02)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처리 회로로서 지칭된다. 송수신기(1306)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무선 회로로서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300)의 기능(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MC 서비스 UE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은 예를 들어, 메모리(1304)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302)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30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버튼,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1300)로의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고/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130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 전원 장치(예를 들어, 배터리 및 연관된 전원 회로) 등과 같이 도 13에 도시되지 않는 부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임의의 것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300)의 기능(예를 들어, 도 4 내지 9와 관련하여 상술한 MC 서비스 UE(312-1 또는 312-N)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된다.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중 하나이다.
도 14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300)는 하나 이상의 모듈(1400)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모듈(1400)의 각각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모듈(140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통신 장치(1300)의 기능(예를 들어, 도 4 내지 9와 관련하여 상술한 MC 서비스 UE(312-1 또는 112-N)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적절한 단계, 방법, 특징, 기능 또는 이점은 하나 이상의 가상 장치의 하나 이상의 기능 유닛 또는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장치는 이러한 다수의 기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유닛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특수 목적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장치, 광학 저장 장치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처리 회로는 각각의 기능 유닛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의 프로세스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특정 순서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러한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는 상이한 순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특정 동작을 조합할 수 있으며, 특정 동작을 중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일부 실시예는 다음의 방식으로 요약될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
1. [도 4 또는 5 - IOPS 연결 클라이언트 1 관점에서의 IP 연결 알림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300)으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312-N)에 대한 무선 장치의 가용성을 알리기 위한 IP(Internet Protocol)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400; 500);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4; 504)를 포함한다.
2.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알림이 이루어질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2A.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알림이 이루어질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3. 실시예 2의 방법에서,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IP 연결 정보를 알리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3A. 실시예 2A의 방법에서,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IP 연결 정보를 알리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4. 실시예 2 내지 3A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되는 적어도 일부의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이다.
5. 실시예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4)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된다.
6. 실시예 5의 방법에서, IP 연결 알림 응답은 IP 연결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7.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5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가용성을 알리려고 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8. 실시예 7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504)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9. [도 4 또는 5 - IOPS MC 시스템/연결 기능 관점에서의 IP 연결 알림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400; 500); 및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404; 504)를 포함한다.
10. 실시예 9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고, 송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알림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방법은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락할지를 결정하고/하거나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락할 MC 서비스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IP 연결 알림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402)를 더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응답은 처리하는 단계(402)의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11. 실시예 9 또는 10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12. 실시예 11의 방법에서, IP 연결 알림 요청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IP 연결 정보를 알리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13. 실시예 11 또는 12의 방법에서,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되는 적어도 일부의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이다.
14. 실시예 9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알림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404)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응답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P 연결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15. 실시예 14의 방법에서, IP 연결 알림 응답은 IP 연결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16. 실시예 9 또는 10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5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가용성을 알리려고 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17. 실시예 16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504)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18. 실시예 9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IP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406; 506);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8; 508)를 포함한다.
19. 실시예 18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406; 506)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406)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IP 연결 알림 요청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제1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 및
연결 정보가 제공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20. 실시예 19의 방법에서, 연결 정보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21. 실시예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408; 508)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8)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IP 연결 알림 응답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및
연결 정보가 수신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22. 실시예 18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406; 506)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506)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그룹 연결 정보;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제공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23. 실시예 22의 방법에서, 그룹 연결 정보는 MC 서비스 그룹에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검색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수를 나타낸다.
24. 실시예 22 또는 23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408; 508)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508)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수신된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25. [도 6 - IOPS 연결 클라이언트 1 관점에서의 IP 연결 검색]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으로 IOPS 검색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604);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OPS 검색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606)를 포함한다.
26. 실시예 25의 방법에서, IOPS 검색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27. 실시예 26의 방법에서, 연결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기능을 위한 IOPS 셀룰러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IOPS EPS)에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28. 실시예 26 또는 27의 방법에서, IOPS 검색 요청은,
그룹 연결 정보;
무선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29. 실시예 25 내지 2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IOPS 검색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OPS MC 시스템 상의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상태(예를 들어, 사용 가능 또는 사용 불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30. [도 6 - IOPS MC 시스템/연결 기능 관점에서의 IP 연결 검색]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IOPS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604); 및
IOPS 검색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606)를 포함한다.
31. 실시예 30의 방법에서, IOPS 검색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32. 실시예 31의 방법에서, 연결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기능을 위한 IOPS 셀룰러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IOPS EPS)에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33. 실시예 31 또는 32의 방법에서, IOPS 검색 요청은,
그룹 연결 정보;
무선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34. 실시예 30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IOPS 검색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OPS MC 시스템 상의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상태(예를 들어, 사용 가능 또는 사용 불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35. 실시예 30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를 검색된 것으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6. [도 7 - IOPS 연결 클라이언트 관점에서의 IP 연결 가입]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으로 IP 연결 가입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700);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가입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704)를 포함한다.
37. 실시예 36의 방법에서, IP 연결 가입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212; 1300);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그룹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38. 실시예 36 또는 37의 방법에서, IP 연결 가입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가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39. [도 7 - IOPS MC 서비스 관점에서의 IP 연결 가입]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IP 연결 가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700); 및
IP 연결 가입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704)를 포함한다.
40. 실시예 39의 방법에서, IP 연결 가입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212; 1300);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그룹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41. 실시예 39 또는 40의 방법에서, IP 연결 가입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가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42. [도 8 또는 9 - IOPS 연결 클라이언트 1 관점에서의 IP 연결 통지 요청/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응답]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으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통지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800; 900); 및
IP 연결 통지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IOPS MC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802; 902)를 포함한다.
43. 실시예 42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통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800)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44. 실시예 43의 방법에서, 연결 정보는 연관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45. 실시예 42 내지 4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통지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802)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46. 실시예 42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9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그룹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및
식별된 MC 서비스 그룹에 대한 그룹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47. 실시예 46의 방법에서, 그룹 연결 정보는 상응하는 그룹 가입을 위한 다른 검색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48. 실시예 42 내지 4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902)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49. [도 8 또는 9 - IOPS MC 시스템 관점에서의 IP 연결 통지 요청/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응답]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통지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800; 900);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IP 연결 통지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802; 902)를 포함한다.
50. 실시예 49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통지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800)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식별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51. 실시예 50의 방법에서, 연결 정보는 연관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52. 실시예 49 내지 5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통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802)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53. 실시예 49의 방법에서, 송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9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그룹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및
식별된 MC 서비스 그룹에 대한 그룹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54. 실시예 53의 방법에서, 그룹 연결 정보는 상응하는 그룹 가입을 위한 다른 검색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55. 실시예 49 내지 5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수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902)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56.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는 실시예 1 내지 8, 25 내지 29, 36 내지 38, 및 42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57.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1308);
하나 이상의 수신기(1310); 및
하나 이상의 송신기(1308)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1310)와 연관된 처리 회로(1302)를 포함하며, 처리 회로(1302)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실시예 1 내지 8, 25 내지 29, 36 내지 38, 및 42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58.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은 실시예 9 내지 24, 30 내지 35, 39 내지 41, 및 49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59.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을 구현하는 노드는,
IOPS MC 시스템이 실시예 9 내지 24, 30 내지 35, 39 내지 41, 및 49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노드가 IOPS MC 시스템을 구현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1004; 1104)를 포함한다.
6 약어
다음의 약어 중 적어도 일부는 본 개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약어 사이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 방법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아래에 여러 번 나열되는 경우, 제1 리스트가 임의의 후속 리스트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55
3G 3세대
Figure pct00056
3GPP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Figure pct00057
4G 4세대
Figure pct00058
5G 5세대
Figure pct00059
AF 애플리케이션 기능
Figure pct00060
AMF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Figure pct00061
AN 액세스 네트워크
Figure pct00062
AP 액세스 포인트
Figure pct00063
AUSF 인증 서버 기능
Figure pct00064
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
Figure pct00065
BCH 브로드캐스트 채널
Figure pct00066
BS 기지국
Figure pct00067
BSC 기지국 제어기
Figure pct00068
BTS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
Figure pct00069
C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Figure pct00070
CGI 셀 글로벌 식별자
Figure pct00071
D2D 장치 대 장치
Figure pct00072
DL 다운링크
Figure pct00073
DN 데이터 네트워크
Figure pct00074
ECGI Evolved Cell Global Identifier
Figure pct00075
eNB Enhanced or Evolved Node B
Figure pct00076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Figure pct00077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Figure pct00078
GERAN Global System for Mobile (GSM) Communications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
Figure pct00079
gNB 새로운 무선 기지국
Figure pct00080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Figure pct00081
HO 핸드오버
Figure pct00082
HSPA 고속 패킷 액세스
Figure pct00083
IOPS 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Figure pct00084
IP 인터넷 프로토콜
Figure pct00085
LAN 근거리 통신망
Figure pct00086
LTE Long Term Evolution
Figure pct00087
MBM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Figure pct00088
MBSFN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Figure pct00089
MC Mission Critical
Figure pct00090
MIB 마스터 정보 블록
Figure pct00091
MME 이동성 관리 엔티티
Figure pct00092
MSC 모바일 교환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Figure pct00093
NF 네트워크 기능
Figure pct00094
NR New Radio
Figure pct00095
NRF Network Function Repository Function
Figure pct00096
NSSF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
Figure pct00097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Figure pct00098
O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igure pct00099
SCEF 서비스 능력 노출 기능
Figure pct00100
S-GW 서빙 게이트웨이
Figure pct00101
SI 시스템 정보
Figure pct00102
SIB 시스템 정보 블록
Figure pct00103
SMF 세션 관리 기능
Figure pct00104
TCP 송신 제어 프로토콜
Figure pct00105
TDD 시분할 이중화
Figure pct00106
UDM 통합 데이터 관리
Figure pct00107
UE 사용자 장치
Figure pct00108
UL 업링크
Figure pct00109
UMT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Figure pct00110
USIM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Figure pct00111
UTRA 범용 지상파 무선 액세스
Figure pct00112
UTRAN 범용 지상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Figure pct00113
W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Figure pct00114
W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
7 부록
3GPP TSG-SA WG6 회의 #34 S6-192xxx
미국 네바다주 리노, 2019년 11월 11일 - 15일 (S6-19xxxx 개정판)
출처: 에릭슨
명칭: Pseudo-CR on IOPS announcement
사양: 3GPP TS 23.180 v0.1.0
의제 항목: 10.2
문서: 승인
연락처: 카밀로 솔라노(camilo.solano@ericsson.com)
1. 소개
IOPS 동작 모드의 IP 연결 기능은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의 가용성을 알리는 절차가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 내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가용성을 알리도록 요청할 수 있다.
2. 변경 이유
MC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IOPS 알림 절차의 정의는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을 기반으로 지원한다.
3. 결론
<결론 부분(선택)>
4. 제안
3GPP TS 23.180 v0.1.0에 대한 다음의 변경 사항을 승인하는 것이 제안된다.
* * * 제1 변경 * * * *
- 10.X IP 연결 기능: IOPS 알림
- 10.x.1 일반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기능의 지원은 MC 서비스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MC 서비스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MC 사용자는 IOPS MC 연결 기능에 요청하여 다른 검색된 MC 사용자에게 시스템에 대한 연결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는 시스템 상의 다른 MC 사용자로 송신될 수 있지만, 이러한 MC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가입되지 않았다.
다음의 조항은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 기능에 대한 IOPS IP 연결 알림 절차 및 정보 흐름을 명시한다.
10.x.2. 정보 흐름 10.x.2.1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
표 10.x.2.1-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IP 연결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에서 특정 MC 서비스 ID를 알리는 데 사용된다.
표 10.x.2.1-1: IP 연결 알림 요청
Figure pct00115

10.x.2.2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
표 10.x.2.2-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2-1: IP 연결 알림 응답
Figure pct00116

10.x.2.3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
표 10.x.2.3-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IP 연결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에서 특정 MC 서비스 ID를 알리는 데 사용된다.
표 10.x.2.3-1: IP 연결 알림 요청
Figure pct00117

10.x.2.4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
표 10.x.2.4-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4-1: IP 연결 알림 응답
Figure pct00118

10.x.2.5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표 10.x.2.5-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의 특정 IOPS MC 서비스 그룹 ID로부터의 MC 사용자의 가용성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가용성은 IOPS MC 그룹 ID로부터 검색된 사용 가능한 사용자의 수만을 나타낸다.
표 10.x.2.5-1: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Figure pct00119

10.x.2.6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표 10.x.2.6-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6-1: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Figure pct00120

10.x.2.7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표 10.x.2.7-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시스템 내의 특정 IOPS MC 서비스 그룹 ID로부터의 MC 사용자의 가용성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가용성은 IOPS MC 그룹 ID로부터 검색된 사용 가능한 사용자의 수만을 나타낸다.
표 10.x.2.7-1: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
Figure pct00121

10.x.2.8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표 10.x.2.8-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8-1: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
Figure pct00122

10.x.3 절차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로부터의 IP 연결 알림을 위한 절차는 도 10.x.3-1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다.
Figure pct00123

도 10.x.3-1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알림
1. IOPS 연결 클라이언트 1은 연관된 MC 서비스 ID 중 하나 이상에 대한 IP 연결 가용성을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사용 가능한 MC 사용자에게 알리기로 결정한다. 따라서, 이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IOPS MC 연결 기능으로 송신한다.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또한 IP 연결 가용성 알림이 시스템 내에 있을 수 있는 MC 서비스 ID의 특정 리스트만을 타겟으로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2. IOPS MC 연결 기능은 관련 MC 서비스 ID에 대한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렇다면, IP 연결 알림 요청은 관련 MC 사용자로 송신된다.
주석 1: 요청하는 MC 사용자로부터의 나타내어진 MC 서비스 ID가 IOPS 검색 요청에 제공된 경우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다.
주석 2: IP 연결 알림 요청은 요청하는 MC 사용자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MC 사용자(또는 나타내어진 타겟 MC 사용자)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3. IOPS MC 연결 기능은 관련 요청에 대한 알림 응답을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4. IOPS MC 연결 기능은 IP 연결 알림 요청을 관련 MC 사용자로 송신한다.
5.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관련 요청에 대한 알림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한다.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로부터의 IP 연결 그룹 알림을 위한 절차는 도 10.x.3-2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다.
- MC 서비스 사용자는 이전에 IOPS 검색 요청에서의 그룹 IP 연결 정보를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했다.
- 나타내어진 IOPS 연결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MC 사용자는 동일한 IOPS MC 서비스 그룹 ID에 속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된다. 그런 다음 이는 IOPS 검색 요청에서의 그룹 IP 연결 정보 내에서 IOPS MC 연결 기능에 각각 나타내어졌다.
Figure pct00124

도 10.x.3-2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그룹 알림
1. IOPS 연결 클라이언트 1은 연관된 IOPS MC 서비스 그룹 ID 중 하나 이상에 대한 IP 연결 가용성을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사용 가능한 MC 사용자 그룹 멤버에게 알리기로 결정한다. 따라서, 이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IOPS MC 연결 기능으로 송신한다.
2. IOPS MC 연결 기능은 관련 IOPS MC 서비스 그룹 ID에 대한 그룹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렇다면,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상응하는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관련된 다른 MC 사용자로 송신된다.
주석 1: 요청하는 MC 사용자로부터의 나타내어진 IOPS MC 서비스 그룹 ID가 IOPS 검색 요청에 제공된 경우 그룹 알림 요청이 수락될 수 있다.
주석 2: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요청하는 MC 사용자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MC 사용자(또는 나타내어진 타겟 MC 사용자)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3. IOPS MC 연결 기능은 관련 요청에 대한 그룹 알림 응답을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4. IOPS MC 연결 기능은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상응하는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관련된 다른 MC 사용자로 송신한다.
5.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관련 요청에 대한 그룹 알림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한다.
3GPP TSG-SA WG6 회의 #34 S6-192xxx
미국 네바다주 리노, 2019년 11월 11일 - 15일 (S6-19xxxx 개정판)
출처: 에릭슨
명칭: Pseudo-CR on IOPS discovery
사양: 3GPP TS 23.180 v0.1.0
의제 항목: 10.2
문서: 승인
연락처: 카밀로 솔라노(camilo.solano@ericsson.com)
1. 소개
IP 연결 기능은 IOPS 검색 절차를 포함한다. IOPS 검색 절차는 인증된 MC 사용자가 IP 연결의 지원을 IOPS MC 시스템에 요청하고 MC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2. 변경 이유
MC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IOPS 검색 절차의 정의는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을 기반으로 지원한다.
3. 결론
<결론 부분(선택)>
4. 제안
3GPP TS 23.180 v0.1.0에 대한 다음의 변경 사항을 승인하는 것이 제안된다.
* * * 제1 변경 * * * *
- 10.X IP 연결 기능: IOPS 검색
- 10.x.1 일반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기능의 지원은 MC 서비스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MC 서비스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OPS MC 시스템은 IOPS 검색 절차를 기반으로 MC 서비스 사용자 간의 통신을 위한 IP 연결을 제공한다.
IOPS 검색 절차는 IOPS MC 시스템이 MC 서비스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 간의 IP 연결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의 조항은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 기능에 대한 IOPS 검색 절차 및 정보 흐름을 명시한다.
10.x.2 정보 흐름 10.x.2.1 IP 연결 요청
표 10.x.2.1-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1-1: IP 연결 요청
Figure pct00125

10.x.2.2 IP 연결 응답
표 10.x.2.2-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2-1: IP 연결 응답
Figure pct00126

10.x.2.3 IOPS 검색 요청
표 10.x.2.3-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부터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OPS 검색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3-1: IOPS 검색 요청
Figure pct00127

10.x.2.4 IOPS 검색 응답
표 10.x.2.4-1은 IOPS MC 연결 기능으로부터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OPS 검색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4-1: IOPS 검색 응답
Figure pct00128

10.x.3 절차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사용자의 검색을 위한 절차는 도 10.x.3-1에 설명되어 있다. IOPS 검색은 IP 연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MC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다.
전제 조건:
-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 상에서 인증된다.
Figure pct00129

도 10.x.3-1 IOPS 동작 모드에서의 사용자 검색
1.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MC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IP 연결 기능의 지원을 IOPS MC 연결 기능에 요청한다.
2. IOPS MC 연결 기능은 MC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IP 연결 기능의 지원을 MC 사용자에 나타낸다.
3. MC 사용자는 IOPS 검색 요청을 IOPS MC 연결 기능으로 송신한다. 요청은 IP 연결 기능에 기반하여 MC 서비스의 지원을 위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4. IOPS MC 연결 기능은 MC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연결 상태를 검색되는대로 등록한다.
5. IOPS MC 연결 기능은 요청하는 MC 사용자의 검색의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내는 응답을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3GPP TSG-SA WG6 회의 #34 S6-192xxx
미국 네바다주 리노, 2019년 11월 11일 - 15일 (S6-19xxxx 개정판)
출처: 에릭슨
명칭: Pseudo-CR on IOPS subscription and notification
사양: 3GPP TS 23.180 v0.1.0
의제 항목: 10.2
문서: 승인
연락처: 카밀로 솔라노(camilo.solano@ericsson.com)
1. 소개
IOPS 동작 모드의 IP 연결 기능은 사용자 가입 및 통지를 위한 절차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IP 연결 기능을 기반으로 통신할 IOPS MC 시스템 내의 다른 사용자의 가용성에 대해 통지를 받도록 가입할 수 있다.
2. 변경 이유
MC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IOPS 가입 및 통지 절차의 정의는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을 기반으로 지원한다.
3. 결론
<결론 부분(선택)>
4. 제안
3GPP TS 23.180 v0.1.0에 대한 다음의 변경 사항을 승인하는 것이 제안된다.
* * * 제1 변경 * * * *
- 10.X IP 연결 기능: IOPS 가입 및 통지
- 10.x.1 일반
IOPS 동작 모드에서의 IP 연결 기능의 지원은 MC 서비스가 IOPS MC 시스템을 통해 MC 서비스 UE 상에서 동작하는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 MC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사용자의 연결 정보에 대한 통지를 받도록 가입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MC 사용자는 연관된 IOPS 그룹으로부터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사용자의 수에 대한 통지를 받도록 가입할 수 있다.
다음의 조항은 IOPS 동작 모드에서 IP 연결 기능에 대한 IOPS 가입 및 통지 절차와 정보 흐름을 명시한다.
10.x.2 정보 흐름 10.x.2.1 IP 연결 가입 요청
표 10.x.2.1-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가입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1-1: IP 연결 가입 요청
Figure pct00130

10.x.2.2 IP 연결 가입 응답
표 10.x.2.2-1은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가입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2-1: IP 연결 가입 응답
Figure pct00131

10.x.2.3 IP 연결 통지 요청
표 10.x.2.3-1은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통지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3-1: IP 연결 통지 요청
Figure pct00132

10.x.2.4 IP 연결 통지 응답
표 10.x.2.4-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통지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4-1: IP 연결 통지 응답
Figure pct00133

10.x.2.5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
표 10.x.2.5-1은 IOPS MC 연결 기능에서 IOPS 연결 클라이언트로의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5-1: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
Figure pct00134

10.x.2.6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
표 10.x.2.6-1은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서 IOPS MC 연결 기능으로의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에 대한 정보 흐름을 설명한다.
표 10.x.2.6-1: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
Figure pct00135

10.x.3 절차
IOPS 동작 모드에서 MC 사용자의 IP 연결 가입을 위한 절차는 도 10.x.3-1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된다.
- MC 서비스 사용자는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사용자 및/또는 IOPS 그룹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가입하기로 결정했다.
- IOPS 그룹과 연관된 가입의 경우, MC 서비스 사용자는 이전에 IOPS 검색 요청에서 그룹 IP 연결 정보를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했다.
Figure pct00136

도 10.x.3-1 IOPS 동작 모드의 IP 연결 가입
1.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검색된 다른 MC 사용자 및/또는 그룹의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한다.
2. IOPS MC 연결 기능은 요청에 포함된 MC 서비스 ID 및/또는 IOPS 그룹에 대한 가입이 요청하는 MC 사용자에 대해 활성화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주석: 요청된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MC 사용자가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없음을 IOPS 검색 요청에서 나타낸 경우 가입은 활성화될 수 없다. 또한, 요청된 IOPS 그룹이 요청하는 MC 사용자가 IOPS 검색 요청에 그룹 IP 연결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시킨 IOPS 그룹의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경우 가입은 활성화될 수 없다.
3. IOPS MC 연결 기능은 요청과 연관된 가입 상태를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 나타낸다.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사용자의 IP 연결 통지를 위한 절차는 도 10.x.3-2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 MC 서비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가입을 가지고 있다.
- IOPS MC 연결 기능은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IP 연결 가입과 관련된 사용 가능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Figure pct00137

도 10.x.3-2 IOPS 동작 모드의 IP 연결 통지
1. IOPS MC 연결 기능은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가입과 관련된 연결 정보를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 통지한다. 연결 정보는 IP 연결 기능에 기초하여 MC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2.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IP 연결 통지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한다.
IOPS 동작 모드에서의 MC 사용자의 IP 연결 그룹 통지를 위한 절차는 도 10.x.3-3에 설명되어 있다.
전제 조건:
- MC 서비스 사용자에게는 하나 이상의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가입이 있다.
- IOPS MC 연결 기능에는 하나 이상의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연관된 IP 연결 가입과 관련된 사용 가능한 정보가 있다.
Figure pct00138

도 10.x.3-3 IOPS 동작 모드의 IP 연결 그룹 통지
1. IOPS MC 연결 기능은 하나 이상의 IOPS MC 서비스 그룹 ID와 연관된 활성 IP 연결 그룹 가입과 관련된 그룹 연결 정보를 IOPS 연결 클라이언트에 통지한다. 그룹 연결 정보는 IP 연결 기능에 기초하여 MC 서비스 그룹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MC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2. IOPS 연결 클라이언트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IOPS MC 연결 기능에 제공한다.

Claims (61)

  1.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300)으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312-N)에 대한 무선 장치의 가용성을 알리기 위한 IP(Internet Protocol)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400; 500);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4; 504)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알림이 이루어질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알림이 이루어질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IP 연결 정보를 알리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IP 연결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IP 연결 정보를 알리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되는 적어도 일부의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인,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4)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IP 연결 알림 응답은 IP 연결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5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가용성을 알리려고 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504)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312-1)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400; 500); 및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404; 504)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고, 송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알림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방법은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락할지를 결정하고/하거나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락할 MC 서비스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IP 연결 알림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402)를 더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응답은 처리하는 단계(402)의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400)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요청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IP 연결 알림 요청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IP 연결 정보를 알리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검색되는 적어도 일부의 다른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인,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알림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404)를 포함하며, IP 연결 알림 응답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P 연결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IP 연결 알림 응답은 IP 연결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타겟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8.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400; 500)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5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IOPS MC 시스템 상에서 가용성을 알리려고 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404; 504)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504)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이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락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P 연결 알림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406; 506);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8; 508)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406; 506)는 IP 연결 알림 요청을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406)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IP 연결 알림 요청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제1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 및
    연결 정보가 제공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408; 508)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408)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IP 연결 알림 응답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및
    연결 정보가 수신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406; 506)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을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506)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IP 연결 그룹 알림 요청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그룹 연결 정보;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제공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그룹 연결 정보는 MC 서비스 그룹에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검색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408; 508)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508)를 포함하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IP 연결 그룹 알림 응답은,
    제2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수신된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7.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으로 IOPS 검색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604);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OPS 검색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606)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IOPS 검색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기능을 위한 IOPS 셀룰러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IOPS EPS)에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IOPS 검색 요청은,
    그룹 연결 정보;
    무선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1. 제 2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OPS 검색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OPS MC 시스템 상의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상태(예를 들어, 사용 가능 또는 사용 불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2.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IOPS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604); 및
    IOPS 검색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606)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IOPS 검색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기능을 위한 IOPS 셀룰러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IOPS EPS)에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IOPS 검색 요청은,
    그룹 연결 정보;
    무선 통신 장치의 연결 정보가 IOPS MC 시스템 상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6. 제 32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OPS 검색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IOPS MC 시스템 상의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상태(예를 들어, 사용 가능 또는 사용 불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7. 제 32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를 검색된 것으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8.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으로 IP 연결 가입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700); 및
    IOPS MC 시스템으로부터 IP 연결 가입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704)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IP 연결 가입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212; 1300);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그룹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IP 연결 가입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가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1.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IP 연결 가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700); 및
    IP 연결 가입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704)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IP 연결 가입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212; 1300);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그룹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하기를 원하는 하나 이상의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IP 연결 가입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가입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4.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으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통지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800; 900); 및
    IP 연결 통지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IOPS MC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802; 902)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통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800)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연관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7. 제 44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통지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802)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8. 제 44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9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그룹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및
    식별된 MC 서비스 그룹에 대한 그룹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그룹 연결 정보는 상응하는 그룹 가입을 위한 다른 검색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0. 제 44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902)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1.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프로토콜(IP) 연결 통지 요청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 송신하는 단계(800; 900); 및
    무선 통신 장치(212, 1300)로부터 IP 연결 통지 응답 또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802; 902)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통지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800)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 및
    식별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연관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4. 제 51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통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802)를 포함하며, IP 연결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식별자 또는 MC 서비스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5. 제 51 항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800; 900)는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900)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통지 요청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그룹 연결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통지되는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 및
    식별된 MC 서비스 그룹에 대한 그룹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그룹 연결 정보는 상응하는 그룹 가입을 위한 다른 검색된 MC 서비스 가능 무선 통신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7. 제 5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802; 902)는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902)를 포함하며, IP 연결 그룹 통지 응답은,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의 식별자; 및
    그룹 연결 정보가 요청에서 수신된 MC 서비스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IOPS MC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8.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제 38 항 내지 제 40 항, 및 제 44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
  59. 무선 통신 장치(212; 1300)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송신기(1308);
    하나 이상의 수신기(1310); 및
    하나 이상의 송신기(1308)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1310)와 연관된 처리 회로(1302)를 포함하며, 처리 회로(1302)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제 38 항 내지 제 40 항, 및 제 44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212; 1300).
  60.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에 있어서,
    제 11 항 내지 제 26 항, 제 32 항 내지 제 37 항, 제 41 항 내지 제 43 항, 및 제 5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IOPS MC 시스템.
  61.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202, 206)와 연관된 IOPS(isolated operation for public safety) MC(mission critical) 시스템을 구현하는 노드에 있어서,
    IOPS MC 시스템이 제 11 항 내지 제 26 항, 제 32 항 내지 제 37 항, 제 41 항 내지 제 43 항, 및 제 5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노드가 IOPS MC 시스템을 구현하게 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1004; 1104)를 포함하는, 노드.
KR1020227015841A 2019-10-25 2020-10-22 Iops ip 연결 알림 방법 KR20220083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25837P 2019-10-25 2019-10-25
US62/925,837 2019-10-25
PCT/EP2020/079804 WO2021078890A1 (en) 2019-10-25 2020-10-22 Iops ip connectivity announcemen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751A true KR20220083751A (ko) 2022-06-20

Family

ID=7301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841A KR20220083751A (ko) 2019-10-25 2020-10-22 Iops ip 연결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77840A1 (ko)
EP (1) EP4049506A1 (ko)
KR (1) KR20220083751A (ko)
CO (1) CO2022005116A2 (ko)
WO (1) WO2021078890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8890A1 (en) 2021-04-29
EP4049506A1 (en) 2022-08-31
CO2022005116A2 (es) 2022-05-10
US20220377840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216B2 (en) Handling of collision between SR procedure and PDU session establishment procedure for PDU session handover
CN113767672A (zh) 用于在插入中间会话管理功能之后管理无线通信的移动通信核心网络装置及方法
JP2017526281A (ja) 免許付与共有アクセスのためのスペクトラム解放時のハンドオーバー
US20230086661A1 (en) 5mbs amf service discovery for mb-smf
EP3928590A1 (en) Avoiding transmission of unnecessary 5gsm message
KR20220038103A (ko)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EP4107972A1 (en) Partial support of access network information
WO2020254968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network-initiated connection suspend and early rrc release
CN112703751A (zh) 系统信息传递增强
JP7399263B2 (ja) Iopsでのmbmsサポート
WO2022153256A1 (en) Redirection and retry of registration
US20220303833A1 (en) Relation indication for multi-sim devices
KR20220083751A (ko) Iops ip 연결 알림 방법
EP4154592B1 (en) 5g multicast broadcast service handover
US20220303748A1 (en) Iops functional model for mission critical services
US2024002290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ordinating a reauthentication/reauthorization procedure for access to uncrewed aerial services
US202303089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witching of traffic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wo non-3gpp access paths
WO2023103575A1 (zh) 组播/广播通信的方法与相关装置
WO2023040333A1 (zh) 一种基于对等网络的网络选择方法及通信装置
EP4135429A1 (en) A downlink multicast service transmission
WO2022036668A1 (en) Network slicing mobility enhancement
WO2021139981A1 (en) Iops user availability verification
WO2020201317A1 (en) Presence service support for mission critical services
GB2617541A (e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