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497A -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 Google Patents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497A
KR20220083497A KR1020200173807A KR20200173807A KR20220083497A KR 20220083497 A KR20220083497 A KR 20220083497A KR 1020200173807 A KR1020200173807 A KR 1020200173807A KR 20200173807 A KR20200173807 A KR 20200173807A KR 20220083497 A KR20220083497 A KR 2022008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ackage
button
view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섭
이상선
김운용
Original Assignee
김상섭
이상선
김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섭, 이상선, 김운용 filed Critical 김상섭
Priority to KR102020017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497A/ko
Publication of KR2022008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플랫폼에 콘텐츠를 탑재를 하고, 탑재된 콘텐츠를 열람과 공유할 수 있는 종래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서 한 학습범위 내 여러 학습콘텐츠를 교과과정별로 구분하여 요약과 함께 하나의 학습꾸러미로 묶어 디지털학습교재 저작과 동시에 플랫폼에 탑재 및 공유하되, 학습꾸러미마다 구성된 수업용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 중 하나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이 스크롤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나열되고, 좌우스왑 또는 이전다음버튼의 선택으로 이전과 다음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을 열람하여 디지털학습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PLATFORM SHARING SYSTEM FOR LEARNING CONTENT OF PACKAGE AND A METHOD OF WRITING DIGITAL LEARNING TEXTBOOKS USING THIS PLATFORM SHARING SYSTEM}
본 발명은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학습범위 내 여러 학습콘텐츠를 교과과정별로 구분하여 요약과 함께 하나의 학습꾸러미로 묶어 플랫폼에 탑재함으로써, 디지털학습교재를 저작하며, 탑재된 학습꾸러미마다 구성된 수업용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 중 하나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이 스크롤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나열되고, 좌우스왑 또는 다음이전버튼의 선택으로 이전과 다음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을 열람하여 디지털학습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학습 방법의 다양화에 따라 피씨나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의 학습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는 지금, 교사들의 온라인 학습콘텐츠 공유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이에 교사들의 학습콘텐츠 공유를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예로 국내특허등록 제1246264호에서는 교육용 SNS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웹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나이대별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개인별 커뮤니케이션, 사진/일기, 그룹, 포트폴리오 등의 SNS 서비스와 알림장, 토론 채팅, 협동학습, 수행평가, 비밀상담, 설문조사 등의 교육보조도구인 LMS 서비스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실제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의 보조역할 수행하면서 학생-교사-학부모를 묶을 수 있는 교육용 SNS를 제공 및 지역 및 시간적 한계를 넘어 글로벌한 교육적인 교류를 시도할 수 있는 도구인 클래스팅을 제공함으로써 특별한 지원 없이도 전 세계의 학생-교사-학부모간에 글로벌한 인맥 형성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협동 학습을 지원하는 등 전 세계 교육을 한데 묶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커뮤니티간의 지식 및 자료 거래 방법"이 게시되어 있었다.
등록번호/일자 1012462640000 (2013.03.15)
그러나 "학습 커뮤니티간의 지식 및 자료 거래 방법" 및 이와 유사한 종래 학습콘텐츠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서는 동일 주제의 여러 종류의 콘텐츠들을 하나로 묶어 탑재할 수 없어, 동일 주제의 콘텐츠들을 여러번 탑재해야 하는 불편함 및 연결된 내용의 콘텐츠들을 한번에 열람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 학습콘텐츠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서는 교육용 파일 콘텐츠와 이 파일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탑재하거나, 교육용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와 이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탑재, 교육용 퀴즈 콘텐츠와 이 퀴즈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탑재하는 식으로 따로 따로 탑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여러 콘텐츠들을 한번에 묶어 탑재 가능하더라도, 묶어진 콘텐츠들 중에서 내용별로 나누어 볼 수 있도록 탑재할 수 없어, 콘텐츠의 내용이 길거나 많을 경우, 열람 시 보기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의 학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학습용 방송이나 교육용 동영상의 경우, 해당 영상이 시작되고 종료되는 지점까지 시청자가 잠시 생각하고 고민 및 정리할 시간 없이 일방적으로 계속 재생되기 때문에, 시청자의 학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인터넷 플랫폼에 콘텐츠 탑재 및 열람과 공유할 수 있는 종래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서 한 학습범위의 한 학습꾸러미로 묶어서 탑재할 수 있도록 하되, 이 한 꾸러미 내에 교과과정별로 학습콘텐츠들을 구분하며, 탑재된 학습꾸러미마다 구성된 수업용보기버튼 선택 시, 전체화면에 해당 학습꾸러미 중, 하나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이 스크롤 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나열되며, 좌우스왑 또는 다음이전버튼 선택으로 해당 학습꾸러미 중, 다음 또는 이전 교과과정의 학습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습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파일, 링크, 퀴즈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플랫폼은 보드를 포함하며, 수업용보기버튼은 학습꾸러미의 대표이미지로 표시하며, 탑재된 학습꾸러미마다 구성된 과정제목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의 교과과정마다 제목이 표시된 과정내용보기버튼들이 배치되며, 이 과정내용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교과과정의 학습콘텐츠들이 선택된 과정내용보기버튼 밑으로 펼쳐지고, 한번 더 과정내용보기버튼을 선택 시, 펼쳐진 학습콘텐츠들이 접혀지도록 한다.
또한, 영상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 입력 시, 영상의 전체 재생시간 중, 재생되는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입력하여, 입력된 시작지점과 종료지점까지의 영상만 재생하여, 해당 영상 학습콘텐츠가 끝나면 생각이나 정리 및 토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학습범위의 학습콘텐츠들을 하나의 꾸러미로 묶어 탑재할 수 있어, 디지털학습교재를 저작 및 탑재가 용이하며, 묶어진 한 꾸러미 안에서도 교과과정별로 학습콘텐츠들을 나눌 수 있어, 교육 시, 한 학습범위 또는 교과과정 내 여러 학습콘텐츠들마다 따로 열람할 필요 없이, 하나의 학습꾸러미 열람으로 전체 학습콘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어 편리하고, 수업용보기버튼 선택으로 해당 학습꾸러미를 열람 시, 교과과정별로 학습콘텐츠들을 나누어 열람할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효율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수업에 이용 시, 교육하고자 하는 학습콘텐츠를 정하여 수업용보기버튼을 선택하면, 수업용 영상장치에서 전체화면으로 해당 학습꾸러미 중, 하나의 교과과정 내 모든 학습콘텐츠들이 상하로 나열되어 있어,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서 해당 교과과정을 교육한 후, 다음 교과과정 내 모든 학습콘텐츠들을 전체화면으로 열람하여 교육할 수 있어 학습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 수업용보기버튼이 학습꾸러미의 대표이미지로 표시하어 선택이 용이하며, 특정 교과과정의 학습콘텐츠들만 열람 시, 과정제목보기버튼과 해당 과정내용보기버튼을 선택하여 볼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또한, 입력된 시작지점과 종료지점까지의 영상만 재생하여, 별도의 영상 편집 없이 학습에 필요한 부분의 영상만 재생할 수 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해당 영상 학습콘텐츠가 끝나면 생각이나 정리 및 질문이나 토론할 시간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플랫폼공유시스템의 홈화면.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학습꾸러미 탑재 화면.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수업용보기 화면.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한줄보기 화면.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나란히보기 화면.
도 11과 12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보드 화면.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커스텀테그검색 화면.
본 발명은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플랫폼에 콘텐츠를 탑재를 하고, 탑재된 콘텐츠를 열람과 공유할 수 있는 종래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서 한 학습범위 내 여러 학습콘텐츠를 교과과정별로 구분하여 요약과 함께 하나의 학습꾸러미로 묶어 디지털학습교재 저작과 동시에 플랫폼에 탑재 및 공유하되, 학습꾸러미마다 구성된 수업용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 중 하나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이 스크롤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나열되고, 좌우스왑 또는 이전다음버튼의 선택으로 이전과 다음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이 적용된 어플의 홈화면을 간단히 소개 후,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학습꾸러미의 탑재 및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을 설명하고, 다시 홈화면에서부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이 적용된 어플의 홈화면은 한줄보기 모드와 나란히보기 모드로 나눠지며, 그 중, 한줄보기 모드의 홈화면을 기준으로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상단에서부터 홈버튼(111), 팔로우보기버튼(112), 나란히보기버튼(113), 테그검색창, 내꾸러미보기버튼, 꾸러미탑재버튼(114), 알림버튼, 내정보보기버튼, 설정버튼 순으로 나열되며, 그 밑으로 꾸러미요약(120)들을 한줄로 연속하여 보여준다.
여기서, 각각의 꾸러미요약(120)은 좌측상단에 작성자명과 팔로우버튼(121), 우측상단에 꾸러미공유버튼, 그 밑으로 수업용보기버튼(122), 과정제목보기버튼(123), 요약설명창, 그리고 좌측하부에서부터 좋아요버튼, 댓글버튼, 스크랩버튼, 그 밑으로 댓글입력창, 모든과정보기버튼(124)이 배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핵심 사항 중, 하나인 학습꾸러미의 탑재는 홈화면에서 "+"형 아이콘인 꾸러미탑재버튼(114)을 선택하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꾸러미를 탑재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되는데, 위에서부터, 학습꾸러미의 제목을 입력하는 꾸러미제목입력창(131), 학습꾸러미의 요약설명을 입력하는 요약설명입력창, 태그를 입력하는 태그입력창, 대표이미지를 넣는 대표이미지입력창(132), 교과과정을 추가하는 과정추가버튼(133)이 나열되고, 하단 좌측에서부터, 작성하고 있는 내용이 저장 및 수정 중임을 알리는 저장및수정아이콘, 타인의 편집 허용하는 공동편집버튼(134), 최종 계시 여부를 선택하는 게시버튼, 현재 입력된 상황을 저장하는 저장버튼, 홈화면으로 돌아가는 나가기버튼이 나열된다.
이때, 교과과정을 추가하는 과정추가버튼(133)을 선택할 때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표이미지입력창(132)과 과정추가버튼(133) 사이에 교과과정별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과정입력창이 추가되며, 이 추가되는 과정입력창에는 교과과정의 제목을 입력하는 과정제목입력창(135), 교과과정의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설명입력창, 좌측하단에 "A"형 아이콘, 사진형 아이콘, 영상형 아이콘, 파일형 아이콘, 링크형 아이콘, "Q"형 아이콘으로 나열된 콘텐츠추가버튼(136), 우측하단에 해당 교과과정 내용을 복사하고 추가되는 교과과정 입력화면에 복사된 내용을 붙여넣는 복사버튼, 해당 교과과정 내용을 삭제하는 삭제버튼이 나열된다.
여기서, 콘텐츠추가버튼(136) 중, "A"형 아이콘 선택 시 텍스트 학습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사진형 아이콘 선택 시 이미지 학습콘텐츠를 넣을 수 있는 창이, 영상형 아이콘 선택 시 영상 학습콘텐츠에 관한 인터넷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영상링크입력창(137)이, 파일형 아이콘 선택 시 파일 학습콘텐츠를 넣을 수 있는 창이, 링크형 아이콘 선택 시 인터넷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Q"형 아이콘 선택 시 퀴즈 학습콘텐츠를 넣을 수 있는 퀴즈입력창(138)이 과정설명입력창 밑으로 생성되면서, 퀴즈 학습콘텐츠를 제외한 추가되는 학습콘텐츠마다 공개여부를 선택하는 블라인드버튼이 배치된다.
아울러, 영상링크입력창(137)은 유튜브와 같은 영상공유 플랫폼의 인터넷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 링크된 영상의 전체 재생시간 중에서 재생될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입력할 수 있는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다음, 본 발명의 핵심 사항 중, 하나인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은 앞서 설명한 플랫폼 공유 시스템의 학습꾸러미 탑재를 통해 한 학습범위의 디지털학습교재를 교과과정별로 구분하여 저작할 수 있는데, 이 저작방법의 순서는 홈화면에서 꾸러미탑재버튼(114)을 선택해서 학습꾸러미 탑재 화면으로 전환 후, 꾸러미제목입력창(131)에 디지털학습교재의 제목을 입력, 요약설명입력창에 디지털학습교재 내용의 요약설명을 간략히 입력, 태그입력창에 디지털학습교재 내용의 키워드를 태그로 입력, 그 후, 대표이미지입력창(132)에 디지털학습교재 내용의 대표이미지를 넣고, 한 학습범위 내에서 나눠지는 교과과정 수만큼 과정추가버튼(133)을 선택한다.
그리고 과정추가버튼(133)을 선택하여 추가된 과정제목입력창(135)마다 디지털학습교재 내용 중 해당 교과과정에 맞는 제목을 입력, 과정설명입력창마다 디지털학습교재 내용 중 해당 교과과정 내용의 설명을 입력 후, 텍스트, 이미지, 영상, 파일, 링크, 퀴즈로 분류할 수 있는 학습콘텐츠의 종류에 맞게 콘텐츠추가버튼(136)을 선택하여, 학습콘텐츠들을 추가한다.
여기서, 텍스트 학습콘텐츠 입력 시, 콘텐츠추가버튼(136) 중, "A"형 아이콘 선택으로 나타난 입력창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이미지 학습콘텐츠 입력 시, 사진형 아이콘 선택의 입력창에 사진파일 입력, 영상 학습콘텐츠 입력 시, 영상형 아이콘 선택의 입력창에 재생할 영상의 인터넷주소와 재생할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입력한다.
즉, 영상의 전체 재생시간 중, 디지털학습교재에 필요한 부분만, 그리고 해당 교과과정에 필요한 부분만을 추려 영상 재생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입력하며, 동일 교과과정 내에 사용될 영상이라 하더라도 중간에 끊어줄 필요가 있을 경우, 나눠질 영상 수만큼 영상형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영상의 시작과 종료지점을 나누어 입력한다.
또, 파일 학습콘텐츠 입력 시, 파일형 아이콘 선택의 입력창에 파일 입력, 링크 학습콘텐츠 입력 시, 링크형 아이콘 선택의 입력창에 인터넷주소를 입력, 퀴?p 학습콘텐츠 입력 시, "Q"형 아이콘 선택의 입력창에 퀴즈의 문제와 정답을 입력한다.
이때, 입력되는 학습콘텐츠들 중, 열람 시 바로 공개되지 않도록 가려야할 필요가 있는 학습콘텐츠는 블라인드버튼을 선택하여 바로 공개되지 않고, 열람 시, 해당 학습콘텐츠를 선택하면 공개되도록 한다.
또, 링크 학습콘텐츠에 차후 후술되는 보드의 인터넷주소를 입력할 수 있으며, 링크된 보드를 통해 학습자들이 텍스트, 이미지, 영상, 파일, 링크 등을 탑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유사한 내용의 교과과정의 경우, 저작의 편의성을 위해 복사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교과과정 입력 화면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한 후, 해당 교과과정의 내용에 맞게 수정할 수 있으며, 탑재를 위해 저작하는 도중마다 안전하게 저장버튼을 선택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장 시, 저장및수정아이콘은 "수정 중"이란 표시에서 "저장 완료"란 표시로 변경된다.
또한, 디지털학습교재를 다른 사용자와 함께 공동저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타인의 편집 허용을 선택하는 공동편집버튼(134)을 선택하고, 입력과 저장된 디지털학습교재 저작을 하고 있는 인터넷주소를 공유함으로써, 공동저작자는 공유되고 저장 및 탑재된 학습꾸러미의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저작이 완료된 디지털학습교재는 게시버튼을 선택하여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 게시한다.
덧붙여, 꾸러미요약(120)에서 후술되는 스크랩버튼을 선택 시, 탑재를 위한 모든 입력이 완료된 상태로 학습꾸러미가 복사되어 저장과 편집과 탑재를 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도시된 홈화면으로 돌아와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단 좌측에서 우측 순으로, 홈화면으로 돌아오는 홈버튼(111), 팔로우한 사용자가 게시한 학습꾸러미만 보는 팔로우보기버튼(112), 꾸러미요약을 여러 줄로 나열하는 나란히보기버튼(113), 학습꾸러미를 테그 검색하는 테그검색창, 사용자가 작성한 학습꾸러미를 보는 내꾸러미보기버튼, 학습꾸러미를 탑재하는 꾸러미탑재버튼(114), 알림을 알려주는 알림버튼, 사용자의 정보를 보는 내정보보기버튼, 플랫폼에서 설정을 조절하는 설정버튼이 구성된다.
그리고 그 밑으로 꾸러미요약(120)들을 한줄로 연속하여 보여지는데, 이 꾸러미요약(120)은 상단에 작성자명과 팔로우를 선택하는 팔로우버튼(121), 학습꾸러미의 인터넷주소를 복사 및 공유하는 꾸러미공유버튼, 그 밑으로 대표이미지로 표시되는 수업용보기버튼(122), 그 밑으로 과정제목보기버튼(123)과 학습꾸러미의 제목, 그 밑으로, 요약설명창, 검색될 테그가 입력된 테그, 좋아요를 선택하는 좋아요버튼, 댓글을 표시하는 댓글버튼, 학습꾸러미를 복사하는 스크랩버튼, 그 밑으로 댓글입력창, 모든과정보기버튼(124)이 배치된다.
여기서, 수업용보기버튼(122) 선택 시, 도 4 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화면에 해당 학습꾸러미 중, 하나의 교과과정 내 학습콘텐츠들이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하스크롤 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으며, 수업용보기버튼(122)이 선택된 상황에서, 해당 학습꾸러미 중, 다음 교과과정 열람 시, 좌측스왑 또는 다음버튼(143) 선택의 방식으로, 이전 교과과정 열람 시, 우측스왑 또는 이전버튼(144) 선택의 방식으로 교과과정별로 학습콘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다.
이때, 수업용보기버튼(122) 선택 시, 처음에는 꾸러미요약 내용이 나오고, 그 후 교과과정 열람부터 교과과정 순으로 열람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과정제목보기버튼(123)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 내 교과과정마다 과정내용보기버튼(125)들이 꾸러미요약(120)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과정내용보기버튼(125)은 탑재 시 입력한 교과과정의 제목으로 표시된다.
또,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과정내용보기버튼(125) 선택 시, 해당 교과과정의 학습콘텐츠들이 선택된 과정내용보기버튼(125) 밑으로 펼쳐 보여지고, 선택된 과정내용보기버튼(125)을 재선택 시, 펼쳐진 학습콘텐츠들이 접혀 보이지 않게 된다.
덧붙여, 앞서 설명한 한줄보기버튼 선택 시, 탑재된 학습꾸러미마다 열람을 위한 모든과정보기버튼(124)이 꾸러미요약(120) 하단에 구성되는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모든과정보기버튼(124)은 해당 학습꾸러미의 교과과정 수가 표시하며, 모든과정보기버튼(124)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의 학습콘텐츠들이 선택된 모든과정보기버튼(124) 밑으로 펼쳐 보여지고, 선택된 모든과정보기버튼(124)을 재선택 시, 펼쳐진 학습콘텐츠들이 접혀 보이지 않게 된다.
다음, 나란히보기버튼을 선택 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꾸러미요약(120)이 여러 줄로 나란히 표시되며, 팔로우보기버튼(116) 선택 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팔로우한 사용자가 탑재한 꾸러미요약(120)만 보여지게된다.
그리고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스텀테그검색창이 구성되며, 이 커스텀테그검색창에 테그검색어를 저장하고, 저장된 테그검색어의 선택과 조합으로 탑재된 학습꾸러미를 테그검색할 수있다.
그리고 퀴즈 학습콘텐츠는 사용자의 퀴즈결과를 해당 퀴즈 학습컨텐츠를 탑재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데, 이 퀴즈결과는 각 사용자의 정답 및 오답의 정보와 오답 시, 재시험에서 입력한 정보이다.
추가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콘텐츠(153) 탑재가 가능한 보드를 생성하는 보드생성버튼을 구성하며, 보드생성버튼 선택 시, 보드의 제목, 주제, 주요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 후, 인터넷주소가 부여된 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인터넷주소를 통해 해당 보드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보드의 내용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여러 콘텐츠들을 한 꾸러미로 묶어 탑재할 수 있다.
이때,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드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그룹보드버튼을 구성하여, 보드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각자 해당하는 그룹에 콘텐츠들을 꾸러미로 묶어 탑재하며, 보드생성자는 탑재된 꾸러미의 배치와 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학습범위의 학습콘텐츠들을 하나의 꾸러미로 묶어 탑재할 수 있어 탑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묶어진 한 꾸러미 안에서도 교과과정별로 학습콘텐츠들을 나눌 수 있어, 교육 시, 한 학습범위 또는 교과과정 내 여러 학습콘텐츠들마다 따로 열람할 필요 없이, 하나의 학습꾸러미 열람으로 전체 학습콘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어 편리하고, 수업용보기버튼 선택으로 해당 학습꾸러미를 열람 시, 교과과정별로 학습콘텐츠들을 나누어 열람할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효율도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한줄보기버튼과 나란히보기버튼을 통해 탑재된 학습꾸러미들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한줄로 나열하거나 여러 줄로 나열할 수 있으며, 수업용보기버튼이 학습꾸러미의 대표이미지로 표시하어 선택이 용이하고, 특정 교과과정의 학습콘텐츠들만 열람 시, 과정제목보기버튼과 해당 과정내용보기버튼을 선택하여 볼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모든과정보기버튼에 해당 학습꾸러미의 교과과정 수가 표시하어 학습꾸러미를 열람하기 전에 예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퀴즈 학습콘텐츠는 사용자의 정답 및 오답과 재시험의 퀴즈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퀴즈 학습콘텐츠를 포함한 학습꾸러미의 학습태도 및 학습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덧붙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콘텐츠 탑재가 가능한 보드가 구성됨으로써, 콘텐츠 교류가 용이하며, 이때, 탑재하는 콘텐츠들을 한 꾸러미로 묶어 탑재할 수 있어 탑재의 편이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입력된 시작지점과 종료지점까지의 영상만 재생하여, 별도의 영상 편집 없이 학습에 필요한 부분의 영상만 재생할 수 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해당 영상 학습콘텐츠가 끝나면 생각이나 정리 및 질문이나 토론할 시간을 줄 수 있다.
111: 홈버튼 112: 팔로우보기버튼 113: 나란히보기버튼
114: 꾸러미탑재버튼 115: 한줄보기버튼 116: 기본보기버튼
120: 꾸러미요약 121: 팔로우버튼 122: 수업용보기버튼
123: 과정제목보기버튼 124: 과정내용보기버튼 125: 모든과정보기버튼
131: 꾸러미제목입력창 132: 대표이미지입력창 133: 과정추가버튼
134: 공동편집버튼 135: 과정제목입력창 136: 콘덴츠선택버튼
137: 영상링크입력창 138 퀴즈입력창 141: 꾸러미요약
142: 학습콘텐츠 143: 다음버튼 144: 이전버튼
151: 보드 152: 콘텐츠입력창 153: 콘텐츠

Claims (10)

  1. 인터넷 플랫폼에 콘텐츠를 탑재를 하고, 탑재된 콘텐츠의 열람과 인터넷주소공유를 할 수 있는 플랫폼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탑재 시, 입력된 요약과 교과과정별로 구분 입력된 학습콘텐츠들을 하나의 학습꾸러미로 묶어서 탑재하며,
    탑재된 학습꾸러미는 요약을 포함하는 꾸러미요약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학습꾸러미의 탑재를 위한 요약을 입력 시, 과정입력창을 추가하는 과정추가버튼을 구성하며,
    과정추가버튼 선택 시, 추가된 과정입력창 내에 텍스트, 이미지, 영상, 파일, 링크, 퀴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의 입력창을 추가하는 콘텐츠추가버튼을 구성하며,
    학습콘텐츠의 입력창 내에 학습꾸러미 열람 시, 해당 학습콘텐츠를 가려주는 블라인드버튼을 구성하여,
    나누어지는 교과과정마다 과정입력창을 추가하고, 과정입력창마다 교과과정 별 학습콘텐츠들을 입력 후, 하나의 학습꾸러미로 탑재하며,
    영상 학습콘텐츠 입력 시, 영상의 전체 재생시간 중, 재생되는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입력하여, 입력된 시작지점과 종료지점까지의 영상만 재생하며,
    퀴즈 학습콘텐츠는 탑재한 사용자에게 퀴즈 학습콘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정답, 오답, 재시험 정보를 포함한 퀴즈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학습꾸러미의 탑재를 위한 입력 시, 요약에 학습꾸러미의 대표이미지를 입력하고, 과정입력창마다 과정제목을 입력하며,
    꾸러미요약마다 해당 학습꾸러미의 모든 과정제목들을 열람할 수 있는 과정제목보기버튼을 구성하고, 수업용보기버튼은 입력된 대표이미지로 표시하며,
    과정제목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의 교과과정마다 과정제목이 표시된 과정내용보기버튼들이 꾸러미요약 밑에 배치되며,
    과정내용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교과과정의 모든 학습콘텐츠들이 선택된 과정내용보기버튼 밑으로 펼쳐 보여지고, 과정내용보기버튼을 재선택 시, 펼쳐진 학습콘텐츠들이 접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꾸러미요약마다 해당 학습꾸러미를 열람할 수 있는 수업용보기버튼을 구성하며,
    수업용보기버튼 선택 시, 화면에 학습꾸러미 중, 하나의 교과과정 내 모든 학습콘텐츠들이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하스크롤 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으며,
    수업용보기버튼이 선택된 상황에서 좌측스왑 또는 다음버튼 선택의 방식으로 다음 교과과정 열람, 우측스왑 또는 이전버튼 선택의 방식으로 이전 교과과정 열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내에 꾸러미요약들을 상하방향의 한줄로 나열하는 한줄보기버튼, 여러 줄로 나열하는 나란히보기버튼을 구성하며,
    한줄보기버튼 선택 시, 꾸러미요약마다 해당 학습꾸러미의 교과과정 개수가 표시된 모든과정보기버튼을 구성하며,
    모든과정보기버튼 선택 시, 해당 학습꾸러미의 모든 학습콘텐츠들이 꾸러미요약 밑으로 펼쳐 보여지고, 모든과정보기버튼을 재선택 시, 펼쳐진 학습콘텐츠들이 접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꾸러미요약마다 해당 학습꾸러미를 복사하는 스크랩버튼을 구성하며,
    스크랩버튼 선택 시, 탑재를 위한 모든 입력이 완료된 상태로 학습꾸러미가 복사되어 저장과 편집과 탑재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내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탑재할 수 있는 보드를 생성하는 보드생성버튼을 구성하며,
    보드생성버튼 선택 시, 보드의 제목, 주제, 주요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입력으로 인터넷주소가 부여된 보드가 생산되고, 인터넷주소를 통해 해당 보드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하나 또는 여러 콘텐츠들을 한 꾸러미로 묶어서 탑재할 수 있으며,
    보드 생성 시, 또는 생성된 보드에서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그룹보드버튼을 구성하며,
    그룹보드버튼 선택 시, 인터넷주소를 통해 해당 보드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해당하는 그룹에 하나 또는 여러 콘텐츠들을 한 꾸러미로 묶어서 탑재하고, 보드 생성자가 탑재된 꾸러미의 배치와 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테그검색어를 저장하고, 저장된 테그검색어의 선택과 조합으로 탑재된 학습꾸러미를 테그검색하는 커스텀테그검색창을 포함하여,
    커스텀테그검색창의 선택과 조합 간편하게 검색된 학습꾸러미의 꾸러미요약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9. 청구항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항에 해당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작하려고 하는 디지털학습교재의 요약 입력, 디지털학습교재의 학습콘텐츠들을 교과과정별로 구분 입력, 그리고 입력된 요약과 교과과정별 학습콘텐츠들을 하나의 학습꾸러미로 묶어 탑재 함으로써,
    저작되어 탑재된 디지털학습교재인 학습꾸러미는 인터넷주소로 공유할 수 있고, 수업용보기버튼 선택으로 교과과정별 학습콘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학습꾸러미의 탑재를 통한 디지털학습교재 저작 시, 다른 사용자가 해당 학습꾸러미의 편집 허용하는 공동편집버튼을 구성하며,
    학습꾸러미의 입력과 저장과 공동편집버튼 선택 시,
    저장된 저작 중인 인터넷주소를 복사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경우, 해당 인터넷주소를 통해 접속한 다른 사용자는 저장 또는 탑재된 학습꾸러미를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KR1020200173807A 2020-12-11 2020-12-11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KR20220083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807A KR20220083497A (ko) 2020-12-11 2020-12-11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807A KR20220083497A (ko) 2020-12-11 2020-12-11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97A true KR20220083497A (ko) 2022-06-20

Family

ID=8224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807A KR20220083497A (ko) 2020-12-11 2020-12-11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4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4B1 (ko) 2012-04-30 2013-03-22 조현구 학습 커뮤니티간의 지식 및 자료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4B1 (ko) 2012-04-30 2013-03-22 조현구 학습 커뮤니티간의 지식 및 자료 거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chison et al. Exploring the use of the iPad for literacy learning
Pea Learning through multimedia
Cole et al. Using Moodle: Teaching with the popular open source course management system
Carlock et al. Exploring faculty experiences with e‐books: a focus group
Twiner et al. Multimodality, orchestr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classroom use of the interactive whiteboard: A discussion
Brooks-Young Critical technology issues for school leaders
Zammit et al. New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multiliterate individual: A framework for educators
Manning et al. The technology toolbelt for teaching
Crane Using web 2.0 and social networking tools in the K-12 classroom
KR100362839B1 (ko) 사이버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02881191A (zh) 一种支持智能终端设备的自主备课及互动教学系统
Soules The shifting landscape of e‐books
Milbourn A big picture approach: Using embedded librarianship to proactively address the need for visual literacy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Rice Blackboard essentials for teachers
BG2000U1 (bg) Система за обучение в режим на реално време
Hill et al. What patrons really want (in their streaming media): Using focus groups to better understand emerging collections use
Conrad Community of Inquiry and Video in Higher Education Engaging Students Online
KR20220083497A (ko) 학습꾸러미의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 플랫폼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학습교재의 저작방법
Smith et al. Educational use cases from a shared exploration of e-books and iPads
Toukonen The dynamic electronic textbook: Enhancing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Liu et al. Metis: A multi-faceted hybrid book learning platform
Wilson The Palenque Optical Disc Prototype: Design of Multimedia Experiences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in a Nontraditional Learning Context. Technical Report No. 44.
Bruntlett Selecting, using and producing classroom-based multimedia
JP3214625U (ja) 書籍
Dorothy et al. Examining the use of technology in literature teaching and learning at university in Ug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