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220A -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220A
KR20220083220A KR1020200173243A KR20200173243A KR20220083220A KR 20220083220 A KR20220083220 A KR 20220083220A KR 1020200173243 A KR1020200173243 A KR 1020200173243A KR 20200173243 A KR20200173243 A KR 20200173243A KR 20220083220 A KR20220083220 A KR 20220083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crew
placement hole
screw body
implant 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해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냄 filed Critical (주)해냄
Priority to KR102020017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220A/ko
Priority to PCT/KR2021/018036 priority patent/WO2022124690A1/ko
Publication of KR2022008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5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for multiple drills, for simultaneous dr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는 초기드릴에 의해 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을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확장하며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의 측면과 내측에 골치밀화영역을 형성하는 스크류본체(110)와;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본체(110)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샹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본체(110)는,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표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회전시에 삽입방향을 향해 절삭력을 제공하고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본파우더를 압착하는 압착나사산부(111)와;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나선형태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압착나사산부(111)의 절삭력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으로부터 분리된 본파우더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하부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본파우더안내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공 확장과 골치밀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상악동 거상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타측 방향 회전시 레이크각이 0~90 범위 양수로 형성되어 우수한 절삭력을 제공하여, 별도의 초기드릴 없이 임플란트 식립공 천공 및 임플란트 식립공의 빠른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Condensing screw for implant treat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임플란트 식립공의 확장과 골치밀화를 동시에 수행하고, 타측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우수한 절삭력을 제공하여 임플란트 식립공을 천공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들은 구강 내에 다른 치과용품과 수용된 보철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진다. 임플란트 치료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생물학적으로 적합한 재료로 제조된 나사를 아래턱뼈 또는 상악골에 단단하고, 내구성 있게 고정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상악동은 얼굴의 대구치 뿌리 상측에 2개가 위치하고 있으며, 뼈로 둘러싸인 비어있는 동굴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악동에 위치하는 어금니를 발치하는 경우, 상악동의 뼈 양이 부족하여 정상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경우, 인공뼈를 이용한 수술을 통해서 임플란트 식립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악골에 이식골을 이식할 경우, 분말로 이루어진 이식골이 단단한 뼈로 물성이 변화되어 상악골의 두께가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두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악골의 빈 공간과 두개골 사이에는 멤브레인이 존재한다. 멤브레인은 상악동으로 접근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고자 할 때 시술을 어렵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즉, 상악동 내 멤브레인은 상악동의 천공시 시술용 드릴이 회전하는 도중에 드릴의 날이 멤브레인에 닿거나 시술자가 순간적으로 무리한 힘을 가했을 때 쉽게 찢어 질 수 있다. 멤브레인이 찢어지면 상악동의 감염 등의 문제를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찢지 않기 위해 시술자는 항상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파일럿 드릴로 한번 천공한 후, 조금씩 더 굵은 비트의 드릴로 천공해서 크기를 확장시키고, 이후에 크기에 맞는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임플란트 식립을 하고 있다.
그런데, 안정적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서는 골치밀화가 요구되므로, 버(bur)를 이용해 골치밀화 과정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버(10)를 이용해 골치밀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버(10)는 표면에 버(10)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쓰레드(11)가 형성된다.
버(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쓰레드(11)가 버(10)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임플란트 식립공(20) 내벽면으로부터 떨어진 본파우더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임플란트 식립공(20) 내벽면을 향해 가압되어 압착된다.
이에 의해 드릴과 달리 뼈의 삭제 없이 임플란트 식립공(20)을 가압하여 확장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버(10)는 회전시에 쓰레드(11)가 임플란트 식립공(20)의 내벽면을 가압하므로 측방으로의 가압력은 우수하나, 상대적으로 임플란트 식립공(20)의 내측(도면에서 하부)을 향한 가압력은 약하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공(20)의 내벽면에 형성된 측면골치밀화영역(12)의 두께(d1)에 비해 임플란트 식립공(2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골치밀화영역(13)의 두께(d2)가 얇으므로, 상악동 거상술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뼈의 삭제 없이 가압하여 임플란트 식립공(20)을 확장하게 되므로 임플란트 식립공(20)의 측방으로 연속하여 상당한 정도의 압력이 가해져 피시술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 버(10)는 기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20)에 삽입하여 확장하는 용도이므로, 최초 임플란트 식립공(20)을 천공 시에는 별도의 드릴을 사용해서 천공 후에 상기 버를 사용하게 되므로, 시술 과정에 번거로움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56952호, "나사산 확장기루를 이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용하기 위한 뼈 확장 및 압축의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측방과 상방으로 동시에 임플란트 식립공을 가압하여 뼈확장의 용도뿐만 아니라 상악동 거상술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치밀화를 함께 수행하여 상악동 거상술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악동 거상술 시술시 멤브레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과정을 줄이고 측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환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는,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되는 임플란트 식립공을 천공하거나, 기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에 삽입되어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을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확장하는 임플란트 스크류본체와;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본체(110)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샹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본체(110)는,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표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회전시에 절삭력을 제공하고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본파우더를 압착하는 압착나사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나사산부(111)는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산(112)과 골(113)이 복수회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112)의 상부에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과 면접촉되어 본파우더를 압착하는 치밀화면(112b)이 일정 면적 형성되고,
상기 산(112)의 선단에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과 선접촉하며 절삭력을 형성하는 절삭날(112a)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본체(1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임플란트 식립공 내벽면에 대해 치밀화면 형성과 절삭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날의 맞은편에는 절삭면(111c)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본체가(110)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절삭면이 임플란트 내벽면과 형성하는 레이크각은 0~90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는 압착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압착나사산부의 사이에 본파우더안내홈이 중첩되게 형성된다.
압착나사산부는 스크류본체가 회전될 때 임플란트 식립공의 내벽면을 접촉하며 가압하여 절삭을 통한 확장과 절삭시 발생된 본파우더를 측면방향으로 가압하여 골치밀화를 함께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본파우더는 본파우더안내홈을 통해 스크류본체의 하부압착돔까지 공급되어 임플란트 식립공의 내측에도 골치밀화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상악동의 멤브레인을 손상하지 않고 멤브레인을 거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멤브레인 하부에 골치밀화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골치밀화 과정없이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해지게 한다.
이에 따라 종래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초기 드릴 천공 이후 직경이 점차 커지는 복수개의 드릴을 이용한 천공, 필요시 골치밀화 작업, 파이널 드릴, 임플란트 식립의 과정을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를 이용할 경우 초기 드릴 천공, 콘덴싱 스크류로 확장 및 골치밀화 동시 수행, 임플란트 식립의 과정으로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식립 과정이 단축되므로 피시술자가 체감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절삭날의 반대편은 레이크각이 0~90도 범위로 형성되어 압착나사산부가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높은 절삭력을 제공하므로, 본 스크류를 사용하여 초기 임플란트 식립공 형성 및 임플란트 식립공 골치밀화가 모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과정에서 드릴을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버를 이용한 골치밀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공 확장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콘덴싱스크류가 임플란트 식립공에 골치밀화를 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의 본체부의 하부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를 이용해 상악동 거상술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 는 절삭면이 임플란트 식립공과 이루는 레이크각이 0도 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절삭면이 임플란트 식립공과 이루는 레이크각이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를 이용해 하악구치부(A)의 임플란트 식립공(300)을 확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콘덴싱 스크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는 뼈의 삭제없이 초기 드릴(pilot drill)에 의해 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300)을 측방과 내부방향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식립공 확장(bone expan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는 식립공 확장 과정에서 발생되는 본파우더(bone powder)를 측방 및 내부방향으로 압착하여 측방에 골치밀화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도 골치밀화영역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는 상악동 거상술(Maxillary Sinus Lift) 용도 및 골치밀화(osseodensification)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드릴에 의해 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300) 내부로 삽입되는 스크류본체(110)와, 스크류본체(1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구동부(210)와 결합되는 샹크(120)를 포함한다.
샹크(120)의 단부에는 구동부(210)와 결합되는 커넥터(121)가 구비된다. 샹크(120)는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부(210)에 결합되어 구동부(210)의 회전력을 스크류본체(110)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스크류본체(110)가 회전하며 임플란트 식립공(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스크류본체(110)는 임플란트(미도시)의 픽스쳐(미도시)에 대응되는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되어 픽스쳐(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종래 임플란트 식립 과정은 초기 드릴에 의해 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300)에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드릴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크기를 점차 확장하고, 마지막에 파이널 드릴로 마무리한 후 임플란트의 픽스쳐(미도시)가 삽입된다.
반면,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는 스크류본체(110)가 픽스쳐(미도시)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초기 드릴에 의해 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300)에 스크류본체(110)가 삽입되며 픽스쳐(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한 번에 확장시킨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드릴과 파이널 드릴로 천공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콘덴싱 스크류(100)에 의한 작업 이후 곧바로 픽스쳐(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작업공정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피시술자의 부담과 고통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스크류본체(1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스크류본체(110)가 임플란트 식립공(300) 내벽면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골치밀화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이다.
스크류본체(110)는 샹크(120)와 결합된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스크류본체(11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임플란트 식립공(300)을 확장시키며 측면방향으로 본파우더를 압착하여 골치밀화를 수행하는 압착나사산부(111)와, 스크류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를 따라 나선형상으로 압착나사산부(111)의 사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본파우더(F)와 물(W)을 하부로 이송하여 하부측에 골치밀화가 수행되게 하는 복수개의 본파우더안내홈(115)이 구비된다.
또한, 스크류본체(110)의 하부에는 본파우더안내홈(115)에 의해 안내된 본파우더(F)를 압착하는 하부압착돔(117)이 구비된다.
압착나사산부(111)는 스크류본체(110)이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나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압착나사산부(111)는 복수개의 산(112)과 골(113)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본체(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압착나사산부(111)는 반시계방향의 나선형태로 형성된다.
산(112)의 선단에는 절삭날(112a)이 형성되고, 산(112)의 상부는 일정 면적을 갖는 치밀화면(112b)이 형성된다.
시술자가 구동부(210)를 구동하여 스크류본체(110)를 임플란트 식립공(300) 내부로 삽입하면, 삽입압력과 스크류본체(110)의 회전력에 의해 압착나사산부(111)의 산(112)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접촉하며 압력을 가압하게 된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112)의 선단에 있는 절삭날(112a)이 먼저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선접촉하며 임플란트 식립공(300)을 일정 부분 절삭하게 된다.
절삭날(112a)은 스크류본체(110)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세한 절삭이 이루어진다.
절삭날(112a)의 절삭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으로부터 떨어진 본파우더(F)는 골(113)을 통해 이동되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물공급부재(200, 도 2 참조)에 의해 물(W)이 공급되므로 물(W)과 함께 교반된 본파우더(F)가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으로 향하게 된다.
절삭날(112a)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접촉한 후에는 치밀화면(112b)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면접촉하며 골(113)을 통해 이동된 본파우더(F)와 물을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향해 압착하게 된다. 물과 본파우더(F)는 교반되고 치밀화면(112b)의 가압압력(P)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에 압착되며 측면골치밀화영역(330)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는 산(112)에 형성된 치밀화면(112b)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을수록 골치밀화 효과가 상승된다. 이를 위해 압착나사산부(111)의 리드각은 작게 형성되고, 산(112)과 산(112) 사이의 피치(p)는 좁게 형성되고, 치밀화면(112b)의 폭(w)은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나사산부(111)의 리드각이 크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절삭하는 효율은 향상될 수 있으나, 전체 스크류본체(110)에 형성되는 산(112)과 골(113)의 개수가 줄어들어 식립공 내부 측벽에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즉, 압착나사산부(111)의 리드각에 따라 압착나사산부(111)가 임플란트 식립공 내부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변화하게 되고, 식립공 내부면에 대한 접촉면적이 넓어질수록, 측면 방향으로 밀어내는 효과가 상승하게 되므로, 임플란트 식립공의 확대 및 골치밀화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나아가,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되는 부분의 개수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공 내부면의 접촉면적이 변화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되는 부분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압착나사산부(111)의 절삭날(112a) 및 치밀화면(112b)이 임플란트 식립공 내부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식립공 내부면에 대한 접촉면적이 넓어질수록, 측면 방향으로 밀어내는 효과가 상승하게 되므로, 임플란트 식립공의 확대 및 골치밀화 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된 부분이 총 4개 부분으로, 상기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된 부분으로 임플란트 식립공 내부면에 가압압력(P)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본 실시예는 압착나사산부(111) 형성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되는 부분의 개수는 증감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되는 부분이 4~8개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식립공에 대한 골치밀화 및 확장 효과가 증대되면,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 식립공이 형성되는 치조골의 경우, 치조골 부위에 따라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치조골의 내측 즉 구강 내측 방면으로는 강도가 비교적 높은 반면, 치조골의 외측 즉 구강 외측 방면으로는 강도가 비교적 약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공을 형성하는 경우, 식립공의 형성 위치가 치조골의 외측면에 조금이라도 치우치게 될 경우, 천공 시에 강도가 비교적 약한 외측면으로 천공이 밀리게 되면서, 심한 경우에는 천공과정에서 식립공이 치조골 외부로 뚫려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임플란트 식립공 형성 시, 골치밀화와 확장력이 우수하게 되면, 골치밀화를 통해 식립되는 치조골 부위의 강도를 높이면서 빠르게 식립공이 확장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스크류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물(W)과 본파우더(F)를 공급한다.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스크류본체(11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나선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본파우더안내홈(115)도 압착나사산부(111)와 동일하게 스크류본체(110)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의 나선형태로 형성된다.
본파우더안내홈(115)의 깊이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하게 형성되고,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 때, 본파우더안내홈(115)의 피치는 스크류본체(110)의 전체 길이의 2~3배에 해당하게 형성되고, 본파우더안내홈(115)의 리드각은 60~80°범위로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복수개의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스크류본체(110) 전체에 걸쳐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네 개가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본파우더안내홈(115)의 개수는 원주방향을 따라 2~8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파우더안내홈(115)은 리드각이 압착나사산부(111)의 리드각 보다 현저히 크게 형성되어 스크류본체(110)의 외주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스크류본체(110)의 외주면에 촘촘한 피치로 형성된 압착나사산부(111) 사이에 중첩되게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본파우더안내홈(115)과 압착나사산부(111)가 이중 스파이럴 형태로 중첩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압착나사산부(111)의 골(113)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본체(110)가 회전될 때, 압착나사산부(111)의 절삭날(112a)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과 접촉한 후 골(113)을 통해 이동되는 본파우더(F)의 일부가 본파우더안내홈(115)으로 공급된다.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물(W)과 골(113)로부터 공급되는 본파우더(F)를 스크류본체(110)의 하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파우더안내홈(115)은 스크류본체(11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장되므로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각 골(113)로 분배하고 동시에 스크류본체(110)의 하부까지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골(113)로부터 공급되는 본파우더(F)를 스크류본체(110)의 하부로 안내한다.
이렇게 본파우더안내홈(115)에 의해 안내된 본파우더(F)는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측(하악구치부의 경우 임플란트 식립공의 하부, 상악구치부의 경우 임플란트 식립공의 상부)에 압착되게 되고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측벽 뿐만 아니라 내측도 충분한 골치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본파우더안내홈(115)이 압착나사산부(111) 사이를 가로지르며 함몰 형성되므로, 압착나사산부(111)가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향해 측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일부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피시술자가 느끼는 고통을 줄여줄 수 있다.
도 6은 스크류본체(110)의 하부압착돔(117)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압착돔(117)은 스크류본체(110)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돔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압착돔(117)의 표면은 완만한 곡률을 갖는 매끈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악동 거상을 수행할 때, 멤브레인을 손상하지 않게 된다.
하부압착돔(117)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본파우더안내홈(115)과 연결되는 안내홈연결홈(117a)이 함몰 형성된다. 안내홈연결홈(117a)은 본파우더안내홈(115)과 연결되어 본파우더안내홈(115)을 통해 이송된 본파우더(F)와 물(W)을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골치밀화가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파우더안내홈(115)이 네 개가 형성되므로, 하부압착돔(117)에도 네 개의 안내홈연결홈(117a)이 형성된다.
각각의 안내홈연결홈(117a)은 본파우더안내홈(115)과 연결되는 양쪽면의 각도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스크류본체(1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정회전방향 쪽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안내곡면(117b)이 형성되고, 스크류본체(1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역회전방향 쪽에는 수직하게 각이 서 있는 수직면(117c)이 형성된다.
안내곡면(117b)은 30°~60°범위의 완만한 경사곡면으로 형성되어 안내홈연결홈(117a)과 연결된다. 안내곡면(117b)이 스크류본체(110)의 정회전방향 쪽에 형성되는 것은 상악동 거상술을 수행할 때, 멤브레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각이 서 있는 수직면(117c)이 정회전방향 쪽에 형성되면 회전시에 수직면(117c)이 먼저 멤브레인과 닿으면서 멤브레인을 찢을수 있기 때문이다.
안내곡면(117b)은 완만한 각도에 의해 스크류본체(110)의 회전시에 본파우더안내홈(115)을 따라 이동된 본파우더(F)와 물(W)을 하부압착돔(117)의 하부로 안내한다.
수직면(117c)은 하부압착돔(117)의 표면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어 스크류본체(110)의 회전시에 안내곡면(117b)에 의해 하부압착돔(117)의 하부로 이동된 본파우더(F)가 탈루되거나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직면(117c)은 각도가 서 있게 형성되어 하부압착돔(117) 표면의 곡면형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덴싱 스크류(100)를 이용해 임플란트 식립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100)를 이용해 상악구치부에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잇몸(B)을 절개하고 초기드릴(220)을 이용해 치조골(113)을 관통하여 임플란트 식립공(300)을 형성한다. 이 때, 임플란트식립공(300)의 직경은 초기 직경(r1)이고, 임플란트의 픽스쳐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최종직경(r2)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이 때, 상악동(E)과 치조골(113) 사이에는 멤브레인(D)이 덮혀 있다.
시술자는 콘덴싱 스크류(100)의 하부압착돔(117)부터 임플란트 식립공(300)으로 삽입하고, 구동부(210)를 구동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재(200)를 이용해 물(W)을 공급한다. 물(W)은 스크류본체(110)의 본파우더안내홈(115)을 따라 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본체(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크류본체(110)의 압착나사산부(111)의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된 절삭날(112a)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과 선접촉되며 리드각에 대응되는 절삭력으로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깍는다.
절삭날(112a)에 의해 절삭된 본파우더(F)는 골(113)을 따라 스크류본체(1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일부는 골(113)과 연통되게 형성된 본파우더안내홈(115)으로 이동된다. 이 때, 본파우더(F)는 본파우더안내홈(115)을 통해 공급된 물(W)과 교반되어 이동된다.
절삭날(112a)과 함께 치밀화면(112b)이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면접촉하며 가압하여 골(113)을 통해 이동된 본파우더(F)를 압착한다. 본파우더(F)는 스크류본체(110)의 회전으로 연속하여 치밀화면(112b)과 접촉하며 압력을 인가받아 골치밀화가 진행된다.
스크류본체(110)가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상부로 점차 삽입되면서 임플란트 식립공(300)은 점차 확장되게 되고, 내벽면에는 일정두께의 측면골치밀화영역(330)이 형성된다.
한편, 본파우더안내홈(115)을 따라 이동된 본파우더(F)와 물은 안내홈연결홈(117a)의 안내곡면(117b)을 통해 하부압착돔(117)의 상면으로 이동된다. 스크류본체(110)가 회전하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상부로 이동되면, 하부압착돔(117)의 상부로 이동된 본파우더(F)와 물(W)은 점차 상부로 압착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D)을 들어올리며 치조골(113)과 멤브레인(D) 사이에 본파우더(F)와 물이 압착되며 상부골치밀화영역(340)을 형성하게 된다. 하부압착돔(117)은 매끈하고 부드러운 곡면을 가지므로 상처를 주지 않고 멤브레인(D)을 거상하게 된다.
본파우더안내홈(115)을 따라 이송된 본파우더(F)와 물(W)에 의해 상부골치밀화영역(340)도 충분한 두께로 형성되므로, 추가적인 골치밀화 과정없이 임플란트 식립이 진행될 수 있다.
시술자는 스크류본체(110)를 외부로 분리한 후, 임플란트의 픽스쳐(미도시)를 임플란트 식립공(300)에 식립하고, 어버트먼트(미도시)와 크라운(미도시)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마무리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절삭면(112c)이 임플란트 식립공(300) 내벽면과 이루는 레이크각(R)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은 스크류 본체(110)의 회전방향은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이하 ‘일측 방향’)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샹크(120)와 연결된 구동부(미도시)의 동작 방향에 따라 스크류 본체(110)의 회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압착나사산부(111)가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이하 ‘타측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본체(111)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압착나사산부(111)의 절삭날(112a)이 형성된 부분의 앞쪽에 절삭면(112c)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절삭면(112c) 부분이 임플란트 식립공(300) 내벽면 또는 잇몸 표면부(미도시)와 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절삭면(112c)과 임플란트 식립공(300) 내벽면 또는 잇몸 표면부와 레이크각(r)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레이크각(R)은 상기 절삭면(112c)이 작업 대상 물체의 면 즉, 임플란트 식립공 내벽면 또는 잇몸 표면부와 접한 면의 접선(L1)과 수직하게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L2)까지 측정된 경사각(R)이다. 레이크각은 드릴의 작업 수행 시 커팅면의 각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절단과 가공 공정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값이다.
레이크각은 양수, 음수 또는 0 모두 가능하며, 0˚~90˚ 범위일 경우, 면과 만나는 지점의 날이 세워져 날카로운 각도가 형성되므로 절삭력이 우수하고, 반면 -90˚~ 0˚ 범위일 경우, 면과 만나는 지점의 날이 눕게 되므로 절삭력이 약해지게 된다.
도 9에서는 상기 레이크각(R)이 0˚ 초과 90˚ 미만 양수 범위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우수한 절삭력을 갖게 된다. 다만, 이 경우 각의 크기가 클수록 날의 강도는 약해지게 된다.
도 10에서는 상기 레이크각(R)이 0˚로서 상기 절삭면의 접선(T)과 상기 작업 대상 물체의 면의 접선(L1)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선(L2, 미도시)이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레이크각(R)이 O˚인 경우 절삭력 역시 우수하게 유지되면서, 날의 강도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회전 방향이 타측인 경우 우수한 절삭력을 제공하므로, 별도의 초기 드릴을 사용할 필요 없이 회전 방향만 바꾸는 것으로 잇몸에 임플란트 식립공을 천공하거나, 임플란트 식립공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으므로 시술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는 스크류본체의 회전방향(일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촘촘한 피치로 압착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압착나사산부의 사이에 본파우더안내홈이 중첩되게 형성된다.
압착나사산부는 스크류본체가 회전될 때 임플란트 식립공의 내벽면을 접촉하며 가압하여 절삭을 통한 확장과 절삭시 발생된 본파우더를 측면방향으로 가압하여 골치밀화를 함께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본파우더는 본파우더안내홈을 통해 스크류본체의 하부압착돔까지 공급되어 임플란트 식립공의 내측에도 골치밀화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상악동의 멤브레인을 손상하지 않고 멤브레인을 거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멤브레인 하부에 골치밀화영역을 형성하여 별도의 골치밀화 과정없이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해지게 한다.
이에 따라 종래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초기 드릴 천공 이후 직경이 점차 커지는 복수개의 드릴을 이용한 천공, 필요시 골치밀화 작업, 파이널 드릴, 임플란트 식립의 과정을 본 발명의 콘덴싱 스크류를 이용할 경우 초기 드릴 천공, 콘덴싱 스크류로 확장 및 골치밀화 동시 수행, 임플란트 식립의 과정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 과정이 단축되므로 피시술자가 체감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는 타측 방향 회전 시, 절삭면의 레이크각이 0˚~90˚ 양수 범위로 형성되므로, 타측 방향 회전시에는 우수한 절삭력을 제공하여, 별도의 초기드릴 없이도 임플란트 식립공의 천공이나 임플란트 식립공의 빠른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콘덴싱 스크류 110 : 스크류본체
111 : 압착나사산부 112 : 산
112a : 절삭날 112b : 치밀화면
112c : 절삭면 113 : 골
115 : 본파우더안내홈 117 : 하부압착돔
117a : 안내홈연결홈 117b : 안내곡면
117c : 수직면 120 : 샹크
121 : 커넥터 200 : 물공급부재
210 : 구동부 220 : 초기드릴
300 : 임플란트식립공 330 : 측면골치밀화영역
340 : 상부골치밀화영역
A : 하악구치부
B : 잇몸
C : 치조골
D : 멤브레인
E : 상악동
F : 본파우더
W : 물
R : 레이크각

Claims (6)

  1.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되는 임플란트 식립공을 천공하거나, 기형성된 임플란트 식립공에 삽입되어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을 임플란트 픽스쳐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확장하는 임플란트 스크류본체;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구동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본체(110)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샹크(1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본체(110)는,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표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회전시에 절삭력을 제공하고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본파우더를 압착하는 압착나사산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나사산부(111)는 상기 스크류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산(112)과 골(113)이 복수회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112)의 상부에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과 면접촉되어 본파우더를 압착하는 치밀화면(112b)이 일정 면적 형성되고,
    상기 산(112)의 선단에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공(300)의 내벽면과 선접촉하며 절삭력을 형성하는 절삭날(112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본체(1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임플란트 식립공 내벽면에 대해 치밀화면 형성과 절삭을 함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의 맞은편에는 절삭면(111c)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본체가(110)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절삭면이 임플란트 내벽면과 형성하는 레이크각은 0~9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본체(110)에 상기 압착 나사산부(111)가 형성되는 부분이 4~8개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KR1020200173243A 2020-12-11 2020-12-11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KR20220083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43A KR20220083220A (ko) 2020-12-11 2020-12-11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PCT/KR2021/018036 WO2022124690A1 (ko) 2020-12-11 2021-12-01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43A KR20220083220A (ko) 2020-12-11 2020-12-11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20A true KR20220083220A (ko) 2022-06-20

Family

ID=8197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243A KR20220083220A (ko) 2020-12-11 2020-12-11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3220A (ko)
WO (1) WO202212469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952A (ko) 2003-07-30 2006-05-25 바이오락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나사산 확장기구를 이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용하기위한 뼈 확장 및 압축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711B2 (en) * 2002-12-23 2006-02-14 Robert Jeffrey Miller Dental implant
KR101276418B1 (ko) * 2012-04-19 2013-06-18 황정빈 치아 임플란트
CN105078597A (zh) * 2014-04-17 2015-11-25 陈俊龙 植牙体结构
BR102014031426B1 (pt) * 2014-12-15 2018-07-24 Jjgc Ind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implante
KR102304707B1 (ko) * 2019-07-30 2021-09-28 (주)해냄 이중 스파이럴 구조의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952A (ko) 2003-07-30 2006-05-25 바이오락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나사산 확장기구를 이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용하기위한 뼈 확장 및 압축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690A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41B1 (ko) 치과용 드릴, 드릴셋트 및 치조골의 천공방법
KR102304707B1 (ko) 이중 스파이럴 구조의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EP2237739B1 (en)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CN105193513A (zh) 牙科植体固定装置以及包含所述牙科植体固定装置的植体系统
JP201551449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20090056395A (ko)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US20140234800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EP3777750B1 (en) Drill bit
CN114072079A (zh) 中空点压实工具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210282904A1 (en) One single drill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190116604A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KR20220083220A (ko)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KR102484720B1 (ko) 임플란트용 밀링 버
US20200246116A1 (en) Compression tool for dental implantation sit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0935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29151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키트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US20220039914A1 (en) Bone Expander
EP1488745A1 (en) Osteotome Structure
US20220054236A1 (en) Compression tool for dental implantation sit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819374B2 (en) Drill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CN216394322U (zh) 一种种植用阶梯钻
EP4147668A1 (en) Implantation kit enabling implant hole preparation on bone in only one drilling with one single osteot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