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604A -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6604A KR20190116604A KR1020180038979A KR20180038979A KR20190116604A KR 20190116604 A KR20190116604 A KR 20190116604A KR 1020180038979 A KR1020180038979 A KR 1020180038979A KR 20180038979 A KR20180038979 A KR 20180038979A KR 20190116604 A KR20190116604 A KR 201901166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drill bit
- cutting element
- horizontal portion
- implant surg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드릴 비트의 선단을 이루고, 소정 두께의 절삭요소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는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플루트(flute)가 형성된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지름이 일정한 원통 형상의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로부터 동일한 지름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사전에 정해진 길이를 갖는 주변부; 및 상기 주변부로부터 지름이 줄어들어 그 경계에 단차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드릴 척에 고정되는 자루 부분을 이루는 섕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정밀 유도 수술법에 특히 적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이하 간략히 "임플란트"라 함)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즉, 임플란트란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티타늄계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인공 치아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 또는 인공 치아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를 심을 자리의 턱뼈가 부족한 경우에는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골 조직의 부피를 늘린 후에 임플란트를 심기도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데, 공지된 여러 문헌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픽스쳐(fixture)와 어버트먼트(abutment), 그리고 인공 크라운(crown)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의 나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매식되어 뼈와 골 융합되고, 어버트먼트는 그 상단에 저작(詛嚼)과 미용을 위한 인공 크라운이 장착되는 상부 구조체로서 하부의 픽스쳐와 나사구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처럼 임플란트는 구조적, 기능적으로 대략 3가지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임플란트 시술의 성패는 픽스쳐가 얼마만큼 계획된 바대로 빈틈없이 견고하게 치조골 안에 심어지고 이후 픽스쳐 표면에 양호한 골 융합이 유도되어 마치 자연치와 유사할 정도의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의 기초를 이루어 저작시 대부분의 하중을 받는 픽스쳐가 치조골에 단단히 식립되어 있어야만 장기간 인공 치아로서의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픽스쳐의 불완전한 고정은 픽스쳐와 치조골 사이의 공간이 넓을 때 주로 발생하는데, 이 공간이 넓을 경우 염증조직이나 연조직이 치조골 세포보다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골 세포의 성장에 의해 골 융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연조직이나 염증조직 또는 미생물이 픽스쳐 표면에 먼저 부착 및 성장하여 결국 임플란트가 빠지거나 부득이하게 제거해야만 하고, 심지어는 재시술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 시술 비용이 고가임을 생각한다면, 픽스쳐를 견고하게 치조골 안에 심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그리고, 픽스쳐는 치조골과 인접한 신경관이나 상악동 등과 같은 해부학적 조직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안전하게 위치해야 하며, 또한 주변의 치조골 두께가 충분하도록 위치해야 한다. 충분하지 못한 치조골 두께에 대해 시행하는 인공뼈 이식수술이 치조골과 픽스쳐에 대해서 생역학적으로 좋은 위치에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밀 유도수술(가이드 수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점차 적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정밀 유도수술에 사용되는 드릴 비트는 픽스쳐의 형상에 대응하는 날부를 가지는데, 픽스쳐가 테이퍼 형상인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드릴 비트의 날부 역시 테이퍼 형상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절삭방향의 유도 기능은 별도의 가이드부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절삭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유도정밀도가 낮게 된다. 이 때문에 테이퍼 드릴 비트의 경우, 픽스쳐가 안전하지 못하거나 생리적으로 우수하지 못한 위치로 식립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이는 임플란트의 수술실패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유도성이 좋은 직선형 드릴 비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통상적인 트위스트 드릴 비트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플루트(flute)는 유도 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드릴 비트 몸체에 플루트가 없는 것이 임플란트 정밀유도 수술에서는 유리하다. 따라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를 플루트가 없는 직선형 드릴 비트로 만들기 위한 설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는 치조골의 해부학적 특성, 여러 번으로 나누어 치조골을 천공하는 임플란트 술식, 사용시 환자에게 미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설계, 유도 부싱을 사용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 수술의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만들어져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를 찾기 어렵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정밀유도 수술시의 유도 기능을 강화하고, 치조골의 해부학적 특성과 여러 번으로 나누어 치조골을 천공하는 임플란트 술식, 사용시 환자에게 미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설계, 유도 부싱을 사용하는 임플란트 정밀유도 수술의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는, 상기 드릴 비트의 선단을 이루고,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수직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소정 두께의 절삭요소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는 각각의 수평부가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삭요소의 수평부 및 경사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요소 사이에는 플루트(flute)가 형성된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지름이 일정한 원통 형상의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로부터 동일한 지름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사전에 정해진 길이를 갖는 주변부; 및 상기 주변부로부터 지름이 줄어들어 그 경계에 단차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드릴 척에 고정되는 자루 부분을 이루는 섕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의 경사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삭날은 상기 드릴 비트의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삭요소는 제1 절삭요소와 제2 절삭요소의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와 경사부에 각각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에 형성된 절삭날이 상기 선단에서 가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의 두께에 대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는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 안에 매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삭요소의 경사부에도 절삭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는, 드릴 비트의 선단을 이루고,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수직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소정 두께의 절삭요소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는 각각의 수평부가 동일면 상에서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의 각 경사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요소 사이에는 플루트(flute)가 형성된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지름이 일정한 원통 형상의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로부터 동일한 지름으로서 연장 형성되고, 사전에 정해진 길이를 갖는 주변부; 및 상기 주변부로부터 지름이 줄어들어 그 경계에 단차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드릴 척에 고정되는 자루 부분을 이루는 섕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삭요소는 제1 절삭요소와 제2 절삭요소의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절삭요소의 경사부에 각각 절삭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호 교차된 상기 복수 절삭요소의 각 수평부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섕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교차된 수평부까지 관통하는 주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에 절삭날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 절삭날은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에 의해 두 개의 절삭날로 단절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 절삭날의 날 끝은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는, 상기 유도부의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기능성 홈은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 사이의 플루트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홈은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태를 형성하거나, 또는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나선을 이루는 곡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을 이루는 기능성 홈은 상기 유도부 상에 1회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부의 표면에는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를 개수로서 표시하는 도형 형태의 각인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형 형태의 각인은 절삭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변부와 섕크부 사이의 단차진 경계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주변부의 원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용 홈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용 홈은 상기 드릴 비트의 지름을 개수로서 표시한다.
상기 식별용 홈 역시 절삭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용 홈이 복수 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식별용 홈 사이의 간격은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변부와 섕크부 사이의 단차진 경계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스토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는 치조골의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한 플루트를 절삭부에 마련함으로써 원통형 드릴 비트의 몸체에 플루트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도 부싱을 이용한 임플란트 정밀유도 수술시 유도 부싱의 유도 기능이 최대로 발휘되고, 이에 따라 수립한 시술 계획에 따른 정밀한 임플란트 수술이 보장된다. 그리고, 측방 절삭력을 억제할 수 있어서 유도 부싱 내면과 드릴 비트 사이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유도 부싱 내면과 드릴 유도부 사이의 공차로 인해 발생하는 치조골의 확공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삭부의 구조적 형태의 개선을 통해 드릴 비트가 신경관이나 상악동 측벽을 침범할 염려가 거의 없어짐으로써 환자의 안전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홈을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유도 부싱 내면과 드릴 유도부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하면서도 공차에 의한 움직임과 진동을 최소화하였으며, 기능성 홈을 통해 주수 경로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는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되는 치조골 천공 작업에 적합한 절삭부의 구조를 갖추는 한편, 드릴 비트에 그 길이와 지름을 표시하는 각인과 홈을 일괄 형성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드릴 비트를 단계별로 정확하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어 수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후공정을 통해 각인과 홈을 표시할 때의 제작 효율성 저하와 오표기가 발생할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서 절삭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서 유도부에 기능성 홈이 형성되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를 유도 부싱에 대해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서 절삭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주수홀이 형성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서 절삭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서 유도부에 기능성 홈이 형성되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를 유도 부싱에 대해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서 절삭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에 주수홀이 형성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며, 제1/제2 실시예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는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 공통점이 다 많기 때문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는 절삭부(100)와 유도부(200), 주변부(300) 및 섕크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제2 실시예를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의 절삭부(100)에 있다.
도 1에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절삭부(100)는 드릴 비트(10)의 선단(12)을 이루며, 절삭부(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삭요소(110)를 포함한다. 각 절삭요소(110)는 드릴 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수직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114), 수평부(114)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부(115), 경사부(115)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모서리부(116)로 이루어져 있다. 절삭요소(110)는 소정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개의 절삭요소(110)는 전체적으로 보아 일정한 두께의 판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절삭요소(110)"란 드릴 비트(10)에서 절삭 작용을 일으키는 절삭날(118)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절삭부(100)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절삭요소(110) 중 일부 절삭요소(110)에만 절삭날(118)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절삭요소(110)라 하여 항상 절삭날(1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복수의 절삭요소(110)는 각각의 수평부(114)가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복수의 절삭요소(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삭요소(110)의 수평부(114) 및 경사부(115)에는 절삭날(1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는 절삭부(100)에 수평부(114)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통상의 드릴 비트의 절삭부가 원추형태를 이루는 이루는 것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이 절삭부(100)에 수평부(114)를 만드는 것은 치조골을 천공할 때 드릴 비트(10)의 선단(12)이 신경관 내지 상악동 측벽 등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치조골의 해부학적 특징을 고려한 것이다. 치조골의 표면은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한 골피질(cortical bone)이지만 그 두께는 1∼4㎜에 불과하고, 치조골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덜 치밀하고 약한 해면골(cancellous bone)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선단(12)이 수평을 이루더라도 얇은 골피질만 뚫으면 전체적인 천공 작업에 무리가 없기 때문에, 여러모로 보더라도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선단(12)에 수평부(114)를 만드는 것이 오히려 유리한 점이 많다.
그리고, 절삭요소(110) 사이에는 플루트(flute, 119)가 형성되어 있는데, 플루트(119)는 치조골 천공작업시 발생하는 뼈 조각이 절삭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일시 수용되는 공간이다. 치조골의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덜 치밀한 해면골이기 때문에 절삭요소(110) 사이에 마련된 플루트(119)의 공간만으로도 천공작업 중의 뼈 조각을 수용하는데 충분하고,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유도부(200)에 뼈 조각을 배출하기 위한 나선형의 플루트(119)를 만들지 않는다(통상적인 트위스트 드릴 비트에는 나선형 플루트가 몸체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음). 플루트가 없는 유도부(200)는 유도 부싱(GB)을 이용하는 정밀유도 수술법의 정밀도를 확실히 보장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모서리부(116)는 한 쌍의 경사부(115)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절삭요소(110)의 일부분인데, 모서리부(116)는 어떤 실시형태에서도 항상 절삭날(118)이 형성되지 않는다. 모서리부(116)의 외면은 유도부(200)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으며, 초기 절삭 과정에 있을 때(유도부가 유도 부싱의 내주면에 아직 도달하지 못했을 때) 모서리부(116)가 유도 부싱(GB)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드릴 비트(10)가 치조골로 정확하게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절삭요소(110)의 경사부(115)에 형성된 복수의 절삭날(118)은 드릴 비트(10)의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절삭요소(110)가 교차되어 있기 때문에 드릴 비트(10)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경사부(115)가 존재하는데, 이때 경사부(115)의 절삭날(118)이 등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절삭시 발생하는 충격의 주기와 크기를 균등화시킴으로써 작업 정밀도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115)의 절삭날(118)이 등각도로 배치된다는 것이 반드시 복수의 절삭요소(110)가 등각도로서 교차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모든 경사부(115)가 등각도를 이루지 않더라도, 복수의 경사부(115) 중 일부 경사부(115)를 건너뛰면서 절삭날(118)을 만들면 결과적으로 경사부(115)의 절삭날(118) 자체는 등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복수의 절삭요소(110)를 등각도로 교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에 첨부된 도면에는 절삭요소(110)가 제1 절삭요소(111)와 제2 절삭요소(112)의 두 개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3/제4의 절삭요소를 동일한 개념으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실시예는 제1/제2 절삭요소(111, 112) 중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와 경사부(115)에 각각 절삭날(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에 형성된 절삭날(118)이 선단(12)에서 가장 돌출된 구조를 보여준다. 즉, 제1 절삭요소(111)가 절삭 작용의 중심을 담당한다.
그리고, 제2 절삭요소(112)의 수평부(114)의 길이는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의 두께에 대응하고, 이에 따라 제2 절삭요소(112)의 수평부(114)는 상기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 안에 매립되어 있다. 즉,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절삭요소(112)의 수평부(114)는 실제로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는데, 제2 절삭요소(112)는 제1 절삭요소(111)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것에 첫번째 기능이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데, 제2 절삭요소(112)의 경사부(115)에도 절삭날(11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실시형태는 제2 절삭요소(112)의 경사부(115)가 보조적인 절삭작용을 담당하여 제1 절삭요소(111)의 경사부(115)가 뚫어놓은 구멍을 마무리하게 되며, 제2 절삭요소(112)의 수평부(114)가 짧은 만큼 제1 절삭요소(111)의 경사부(115)보다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제1 실시예는 치조골에 최초로 구멍을 뚫는 초기 진입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의 절삭날(118)이 골피질에 작은 구멍을 내면서 진입하면서 경사부(115)의 절삭날(118)이 구멍의 주변을 깎아 드릴 비트(10)의 지름만큼의 구멍을 만들어낸다. 일단 얇은 골피질을 통과하면 그 안쪽은 성긴 해면골이기 때문에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쉽게 구멍을 뚫어나갈 수 있다. 제2 절삭요소(112)의 경사부(115)에도 절삭날(118)이 형성되어 있으면(도 2 참조) 제1 절삭요소(111)의 경사부(115)가 뚫어놓은 구멍을 뒤쫓아가며 마무리 작업을 하게 되며,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는 뾰족하지 않기 때문에 목표 깊이에 도달할 때 드릴 비트(10)의 선단(12)이 신경관이나 상악동 측벽 등을 침범하지 않는다.
한편, 유도부(200)는 절삭부(10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절삭요소(110)의 모서리부(116)와 매끄럽게 이어져 있으며, 지름이 일정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유도부(200)의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를 유도 부싱(GB)에 대해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도 부싱(GB)은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진입 위치, 방향(각도), 깊이가 사전에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구강구조의 CT 영상에 대해 수립한 시술 계획대로 진행되도록 하는 정밀유도 수술법에 사용되는 중공 원통형의 기계적 요소이다. 도 4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환자의 구강구조대로 만들어진 일종의 마우스피스와 같은 형태의 가이드 템플릿 안에 매립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유도 부싱(GB)의 위치와 각도는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수립된 시술 계획에 맞춰 가이드 템플릿 안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템플릿을 환자의 구강 안에 끼우고 유도 부싱(GB)의 몸체 안으로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를 진입시켜 천공 작업을 하면 수립된 계획대로 정밀하게 치조골을 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임플란트 정밀유도 수술법의 요체이다.
그런데, 수립된 계획대로 정밀하게 치조골을 천공하려면 결국 유도 부싱(GB)이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을 얼마나 정확히 유도할 수 있느냐가 좌우하게 된다. 여기에는 드릴 비트(10)의 형태적인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테이퍼 드릴 비트는 유도 부싱(GB)의 내주면에 정확히 접촉하기 어려워 유도정밀도가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는 유도부(200)를 지름이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 만듦으로써 유도정밀도를 꾀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유도부(200)에는 통상적인 트위스트 드릴 비트에 구비되는 나선형 플루트를 형성하지 않아 유도 부싱(GB)와의 접촉이 극히 양호하게 일어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유도부(200)에 나선형 플루트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전술한 절삭부(100)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각 절삭요소(110)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절삭요소(110) 사이에 상당한 크기의 플루트(119)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플루트(119)가 뼈 조각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 굳이 치조골 천공 중에 뼈 조각을 밖으로 배출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도부(200)에 배출용도의 나선형 플루트를 만들지 않아도 되었다.
본 발명의 유도부(200)에 종래의 나선형 플루트를 제거하면 유도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드릴 비트(10)의 측방 절삭력을 억제할 수 있어서 유도 부싱(GB) 내면과 드릴 비트(10) 사이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유도 부싱(GB) 내면과 드릴 유도부 사이의 공차로 인해 발생하는 확공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유도부(200)에는 유도 기능을 크게 저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유용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몇몇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유도부(200)에 기능성 홈(210)이 형성된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기능성 홈(210)은 유도부(200)의 외면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복수의 기능성 홈(210)은 유도부(200) 상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홈(210)은 복수의 절삭요소(110) 사이의 플루트(119)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루트(119)마다 이에 대응하는 기능성 홈(210)을 하나씩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홈(210)과 유도부(200) 표면의 경계는 모따기나 필렛 가공을 하여 날카로운 모서리를 제거할 수도 있다.
기능성 홈(210)은 복수 개가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은데, 대칭적인 기능성 홈(210)은 유도 부싱 내면과 드릴 유도부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하면서 공차에 의한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또한, 기능성 홈(210)은 플루트(119) 안쪽을 통해 절삭부(1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수 경로를 확보하는 역할도 하며, 기능성 홈(210)을 통해 공급된 물은 천공 작업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식히고 혈액을 배출하고 조직을 세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도부(200)에 형성되는 기능성 홈(210)은 트위스트 드릴 비트의 나선형 플루트와는 분명히 구별되어야 한다. 기능성 홈(210)은 물을 공급하기 쉽도록 도 3의 (a)와 같이 드릴 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태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3의 (b)및 (c)와 같이 완만한 나선, 예를 들어 1회전 미만의 나선(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약 3/4 회전)을 이루는 곡선 형태를 이룬다. 이처럼 기능성 홈(210)은 직선 형태의 얕은 홈으로 만들어져도 무방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절삭부(100)로부터 뼈 조각을 배출하기 위한 용도는 전혀 없으며, 오히려 절삭부(1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라는 점에서 명백히 트위스트 드릴 비트의 나선형 플루트와는 다른 것이다.
또한, 기능성 홈(210)은 얕고 좁게 만들어져 유도부(200) 전체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매우 작으며, 이는 기능성 홈(210)이 유도부(200)의 유도기능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하여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도부(200)에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길이를 개수로서 표시하는 도형 형태의 각인(220)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조골을 천공할 때에는 처음부터 최종 지름의 구멍을 뚫는 것이 아니라 작은 구멍부터 시작하여 몇 단계로 나눠 점차로 구멍을 크게 만들어 최종 지름에 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는 길이별로 몇 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준비되어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드릴의 길이가 정확히 얼마인지 아는 것보다는 몇 번째 단계의 드릴인지만 알더라도 수술 진행에 전혀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상대적인 크기 순서를 정확히 아는 것이 더 유용하다.
본 발명은 유도부(200)에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길이(더 정확하게는 길이 순서)를 표시하는 도형을 유도부(200) 표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드릴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의 드릴 비트(10)에는 원형으로 인식되는 도형(구면 형태) 두 개가 유도부(200)에 표시되어 있는데, 사용자를 이를 보고 2번째 단계(또는 도형이 없는 드릴 비트도 세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3번째 단계)의 길이를 갖는 드릴 비트(10)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형 형태의 각인(220)은 절삭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이저 각인이나 인쇄, 스티커 부착과 같은 별도로 진행해야 할 추가 가공을 하지 않고, 드릴 비트(10)를 절삭 가공하는 중에 도형 형태의 각인(220)까지 일괄 형성한다면, 별도의 후공정을 통해 각인(220)을 표시할 때의 제작 효율성 저하와 오표기가 발생할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형 형태의 각인(220)은 유도부(200) 표면의 적절한 위치에 만들어지는데, 만일 유도부(200)에 기능성 홈(21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기능성 홈(210) 사이의 공간에 각인(2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홈(210)은 직선 형태이거나 완만한 나선을 이루는 곡선 형태이기 때문에 기능성 홈(210) 사이로 각인(220)을 형성할 공간이 넉넉히 확보된다.
유도부(200)에 이어지는 주변부(300)는 지름이 동일하기 때문에 형태적으로는 유도부(200)와 잘 구별이 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드릴 비트(10)가 정밀유도 수술법에 사용된다는 점과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하여 주변부(300)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정밀유도 수술법에는 유도 부싱(GB)이 사용되기 때문에 유도 부싱(GB)의 높이를 고려한 여유 길이가 필요하며, 또한 치조골 위로 덮여 있는 잇몸의 두께를 고려한 여유 길이도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유도 부싱(GB)의 높이는 일정한 값으로 결정되어 있고, 잇몸 두께도 해부학적인 평균치가 있으므로, 주변부(300)의 높이는 전체 드릴 비트(10)의 높이와 무관하게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주변부(300)에 이어지는 섕크부(400)는 드릴 척에 고정되는 자루 부분으로서, 주변부(300)로부터 지름이 줄어들어 그 경계에 단차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섕크부(400)는 드릴 비트(10)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주변부(300)와 섕크부(400) 사이의 단차진 경계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주변부(300)의 원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용 홈(310)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별용 홈(310)은 링 형태의 홈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전술한 유도부(200)의 도형 각인(220)과 유사하게, 식별용 홈(310)은 드릴 비트(10)의 지름을 개수로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식별용 홈(310)의 개수를 보고 몇 번째 단계의 지름을 가진 드릴 비트(10)인지를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식별용 홈(310) 또한 절삭 가공으로 형성됨으로써 드릴 비트(10) 전체가 일괄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별용 홈(310)은 주변부(300)와 섕크부(400) 사이의 단차진 경계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지게 형성되며, 식별용 홈(310)이 복수 개로 형성된 경우에는 식별용 홈(310) 사이의 간격은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식별용 홈(310)을 일종의 눈금자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맨 위의 식별용 홈(310)이 단차 경계로부터 2㎜ 떨어져 있고 식별용 홈(310) 사이의 간격도 2㎜라면, 사용자는 유도 부싱(GB)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식별용 홈(310)의 위치를 가늠함으로써 목표 깊이까지 얼만큼 남았는지 등을 상당히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통상 주변부(300)와 섕크부(400) 사이의 단차진 경계까지 유도 부싱(GB) 안으로 드릴 비트(10)가 진입하면 목표 깊이에 도달한 것인데, 눈으로 보면서 천공 작업의 종료를 결정하는 것도 큰 무리는 없지만, 주변부(300)와 섕크부(400) 사이의 단차진 경계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스토퍼(410)를 만들어놓음으로써 천공 작업이 더는 진행하지 못하도록 강제할 수도 있다. 스토퍼(410)를 만들어놓으면 과도한 천공에 의해 드릴 비트(10)의 선단(12)이 신경관이나 상악동 측벽 등을 침범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실시례와 제2 실시예는 절삭부(100)의 구성에 있어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고, 그 밖의 유도부(200)(기능성 홈, 각인 포함), 주변부(300)(식별용 홈 포함), 섕크부(400)(스토퍼 포함)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서의 절삭부(1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의 절삭부(100)는 각 절삭요소(110)가 수평부(114), 경사부(115), 모서리부(116)를 포함하고, 절삭요소(110) 사이에는 플루트(flute, 119)가 형성되는 구성, 절삭날(118)이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되는 구성 등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중요한 차이로는 복수의 절삭요소(110)는 각각의 수평부(114)가 동일면 상에서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복수의 절삭요소(110)가 높낮이 등에 있어 차이가 없는 대칭적인 형태를 이루고, 각 절삭요소(110)의 경사부(115)에는 절삭날(118)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는 기본적으로 수평부(114)에는 절삭날(118)이 형성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제2 실시예가 이미 뚫려 있는 구멍을 넓히는 확장 용도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제2 실시예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는 선단(12) 중앙의 교차된 수평부(114)가 이미 뚫려 있는 구멍 안으로 진입하면서 수평부(114) 주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경사부(115)의 절삭날(118)이 구멍을 확장하는 절삭 작용을 일으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물론, 치조골의 골피질이 상당히 얇거나 역한 경우에는 제2 실시예의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10)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제2 실시예는 확장 용도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절삭요소(110)가 제1 절삭요소(111)와 제2 절삭요소(112)의 두 개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및 제2 절삭요소(111, 112)의 경사부(115)에 각각 절삭날(118)이 형성된 실시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의 드릴 비트(10)는 복수의 절삭요소(110) 각각의 수평부(114)가 동일면 상에서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부(114) 중앙에서부터 섕크부(400) 끝까지 이어진 절삭요소(110) 두께만큼의 폭과 너비를 갖는 중실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부(200)에 기능성 홈(210)을 형성하는 대신, 섕크부(400)의 단부로부터 교차된 수평부(114)의 평면까지 쭉 이어서 관통하는 주수홀(21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수홀(212)의 형성에 의해 유도부(200)에는 기능성 홈(210)이 제거되기 때문에 유도부(200)의 유도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에 절삭날(118)이 형성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수평부(114)의 절삭날(118)은 구멍 확장을 크게 할 때, 다시 말해 교차된 수평부(114)의 평면보다 구멍이 작을 때 수평부(114)가 맨 처음 구멍을 확장하는 절삭 작용을 일으킬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 절삭날(118)은 제2 절삭요소(112)의 수평부(114)에 의해 두 개의 절삭날(118)로 단절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수평부(114)의 절삭날(118)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구멍의 주변을 절삭하기 위한 것이라서 수평부(114)의 중앙까지 절삭날(118)이 만들어져 있을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1 절삭요소(111)의 수평부(114) 절삭날(118)의 날 끝은 제2 절삭요소(112)의 수평부(114)를 넘지 않는 것이 단절되어 있는 수평부(114) 절삭날(118)의 강도와 보호, 안전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을 위해 환자의 치조골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 비트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12: 선단
100: 절삭부 110: 절삭요소
111: 제1 절삭요소 112: 제2 절삭요소
114: 수평부 115: 경사부
116: 모서리부 118: 절삭날
119: 플루트 200: 유도부
210: 기능성 홈 212: 주수홀
220: 각인 300: 주변부
310: 식별용 홈 400: 섕크부
410: 스토퍼 GB: 유도 부싱
12: 선단
100: 절삭부 110: 절삭요소
111: 제1 절삭요소 112: 제2 절삭요소
114: 수평부 115: 경사부
116: 모서리부 118: 절삭날
119: 플루트 200: 유도부
210: 기능성 홈 212: 주수홀
220: 각인 300: 주변부
310: 식별용 홈 400: 섕크부
410: 스토퍼 GB: 유도 부싱
Claims (22)
- 드릴 비트의 선단을 이루고, 소정 두께의 절삭요소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는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플루트(flute)가 형성된 절삭부;
상기 절삭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지름이 일정한 원통 형상의 유도부;
상기 유도부로부터 동일한 지름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사전에 정해진 길이를 갖는 주변부; 및
상기 주변부로부터 지름이 줄어들어 그 경계에 단차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드릴 척에 고정되는 자루 부분을 이루는 섕크부;
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요소는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수직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는 각각의 수평부가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삭요소의 수평부 및 경사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의 경사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삭날은 상기 드릴 비트의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요소는 제1 절삭요소와 제2 절삭요소의 두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와 경사부에 각각 절삭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에 형성된 절삭날이 상기 선단에서 가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의 두께에 대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는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 안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삭요소의 경사부에도 절삭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요소는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수직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는 각각의 수평부가 동일면 상에서 교차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의 각 경사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의 경사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삭날은 상기 드릴 비트의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요소는 제1 절삭요소와 제2 절삭요소의 두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절삭요소의 경사부에 각각 절삭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에 절삭날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 절삭날은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에 의해 두 개의 절삭날로 단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요소의 수평부 절삭날의 날 끝은 상기 제2 절삭요소의 수평부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홈은 상기 복수의 절삭요소 사이의 플루트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홈은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태를 형성하거나, 또는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나선을 이루는 곡선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나선을 이루는 기능성 홈은 상기 유도부 상에 1회전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표면에는 상기 드릴 비트의 길이를 개수로서 표시하는 도형 형태의 각인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 형태의 각인은 절삭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와 섕크부 사이의 단차진 경계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주변부의 원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용 홈이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별용 홈은 상기 드릴 비트의 지름을 개수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용 홈은 절삭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용 홈이 복수 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식별용 홈 사이의 간격은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와 섕크부 사이의 단차진 경계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교차된 상기 복수 절삭요소의 각 수평부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섕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교차된 수평부까지 관통하는 주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8979A KR20190116604A (ko) | 2018-04-04 | 2018-04-04 |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PCT/KR2019/003981 WO2019194593A2 (ko) | 2018-04-04 | 2019-04-04 |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US17/062,590 US20210015496A1 (en) | 2018-04-04 | 2020-10-04 | Drill bit for dental implant surg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8979A KR20190116604A (ko) | 2018-04-04 | 2018-04-04 |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6604A true KR20190116604A (ko) | 2019-10-15 |
Family
ID=6810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8979A KR20190116604A (ko) | 2018-04-04 | 2018-04-04 |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015496A1 (ko) |
KR (1) | KR20190116604A (ko) |
WO (1) | WO2019194593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71172B1 (en) | 2018-12-06 | 2022-10-18 | Gary Bram | Osteotomy drill bit to produce an optimally shaped jawbone opening for a dental implant and abut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65149S1 (en) | 2020-01-30 | 2022-09-27 | CinZara, LLC | Dental implement |
US11576748B2 (en) * | 2020-01-30 | 2023-02-14 | CinZara, LLC | Dental implement |
USD1034137S1 (en) * | 2022-10-07 | 2024-07-09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Drill b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472B1 (ko) | 2011-10-18 | 2013-12-24 | 정제교 | 다축 가공기 |
KR101353335B1 (ko) | 2012-05-11 | 2014-01-17 | 정제교 | 작업 대상물에 대한 좌표부여 및 고정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플레이트 |
KR101745508B1 (ko) | 2009-09-07 | 2017-06-09 |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 뼈의 유도된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
KR101807829B1 (ko) | 2016-03-28 | 2017-12-11 | 이태경 | 정밀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09140A1 (en) * | 2009-09-01 | 2012-05-03 | Implantdent Co., Ltd. | Implant Instrument and Guide System for the Implant Instrument |
KR101067485B1 (ko) * | 2009-09-10 | 2011-09-27 |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
KR101092313B1 (ko) * | 2009-10-12 | 2011-12-09 |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
KR101953889B1 (ko) * | 2012-12-28 | 2019-03-04 | 주식회사 다이다덴트 | 식별 표시가 구비된 치과용 로터리 파일 |
KR101758803B1 (ko) * | 2016-10-10 | 2017-07-17 | 주식회사 디오 |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
KR101838003B1 (ko) * | 2017-09-27 | 2018-03-13 | 윤봉길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
-
2018
- 2018-04-04 KR KR1020180038979A patent/KR20190116604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04 WO PCT/KR2019/003981 patent/WO201919459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
- 2020-10-04 US US17/062,590 patent/US2021001549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5508B1 (ko) | 2009-09-07 | 2017-06-09 |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 뼈의 유도된 나사절삭용 구성요소들 |
KR101344472B1 (ko) | 2011-10-18 | 2013-12-24 | 정제교 | 다축 가공기 |
KR101353335B1 (ko) | 2012-05-11 | 2014-01-17 | 정제교 | 작업 대상물에 대한 좌표부여 및 고정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플레이트 |
KR101807829B1 (ko) | 2016-03-28 | 2017-12-11 | 이태경 | 정밀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71172B1 (en) | 2018-12-06 | 2022-10-18 | Gary Bram | Osteotomy drill bit to produce an optimally shaped jawbone opening for a dental implant and abut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94593A3 (ko) | 2019-12-05 |
WO2019194593A2 (ko) | 2019-10-10 |
US20210015496A1 (en) | 2021-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63529B2 (en) | Dental drill system and method of use | |
US8777949B2 (en) | Trocar-tipped drill bit | |
KR20190116604A (ko) |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비트 | |
KR100838942B1 (ko) | 상악동막 거상용 드릴 | |
ES2698852T3 (es) | Implante autorroscante | |
CN101744661B (zh) | 用于牙钻的钻头套筒 | |
KR101092313B1 (ko)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 |
US8770974B2 (en) | Set of dental drills | |
US20090239200A1 (en) | Drill | |
JP2011125702A (ja) | ガイド手術用の歯科用ツール | |
WO2006091500A2 (en) | Dental drill system and stop collar for preparing implant bed for implants | |
CN108135674A (zh) | 牙齿植入用打钻器 | |
KR100539414B1 (ko) | 치과용 드릴세트 | |
US20070088361A1 (en) | Surgical drill for osteotomy | |
US20200246116A1 (en) | Compression tool for dental implantation sit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
CN213883555U (zh) | 一种牙科车针 | |
KR100929258B1 (ko) | 의료용 탭핑기구 | |
CN212382751U (zh) | 穿颧种植定位钻 | |
KR102093545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 |
US20220054236A1 (en) | Compression tool for dental implantation site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101181923B1 (ko) |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 |
CN220588375U (zh) | 一种微创拔牙车针 | |
JP2015036006A (ja) |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 |
CN216535582U (zh) | 一种跨上颌窦前壁倾斜种植止停钻 | |
CN221060882U (zh) | 钻头和高速手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