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630A -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630A
KR20220082630A KR1020200172702A KR20200172702A KR20220082630A KR 20220082630 A KR20220082630 A KR 20220082630A KR 1020200172702 A KR1020200172702 A KR 1020200172702A KR 20200172702 A KR20200172702 A KR 20200172702A KR 20220082630 A KR20220082630 A KR 2022008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lt
channel
heavy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377B1 (ko
Inventor
백공진
신용석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손귀선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귀선, (주)코리스이엔티 filed Critical 손귀선
Priority to KR102020017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3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설치와 보수 또는 건축이나 시공 등의 작업을 위한 비계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중참단을 제공하는 중참프레임, 및 중참프레임이 고정되는 지주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중참프레임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슬롯이 하측에 마련되고, 절곡 단면을 가지는 찬넬; 상기 제1의 슬롯과 연통하는 비원형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찬넬을 연결하는 브래킷; 그리고 볼트바디와 볼트헤드와 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바디가 제1의 슬롯 및 비원형홀을 통과하고, 상기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의 슬롯과 비원형홀에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잠금요소가 됨과 동시에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가 제2의 잠금요소가 됨으로써 제1의 잠금요소와 제2의 잠금요소의 사이에서 찬넬과 브래킷을 체결하는 파스너;를 포함하므로, 중참구조물의 고소 중참단에서 작업자의 보행과 작업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볼트의 노출을 없애고 중참구조물의 안정성을 강화하며 중참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흔들림이나 굴곡 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되므로, 작업자의 보행 중에 볼트에 걸려 궐지하는 문제가 없고 그레이팅이 평평한 찬넬에 안착되어 지지되므로 흔들림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하며 중참단에서의 이탈 또한 방지되므로 중참단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AERIAL WORK PLATFORM}
본 발명은 고소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시설물의 설치와 보수 또는 건축이나 시공 등의 작업을 위한 비계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와 같은 임시가설물은 각종 장치나 설비 등의 설치와 유지보수 또는 건축이나 토목 구조물 등의 시공을 위해 작업자의 고소 공간을 확보할 목적으로 복층 구조로 가설된다.
종래 임시가설물은 강관 또는 형강 등의 자재를 작업자가 통상적인 용접 방식으로 연결하여 제작했다. 임시가설물의 이러한 제작 방식은 설치작업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현장의 화재 위험이 크고 해체작업을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자재를 절단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해체작업 이후엔 임시가설물의 구성 자재를 재활용하기 어려웠고, 이로 인해 임시가설물 제작에 사용된 자재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폐기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자재 활용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볼트와 클램프를 이용하여 자재를 연결하는 임시가설물 조립 기술이 제안되었다. 별도의 볼트와 클램프를 이용한 자재 연결 방식은 자재의 조립 및 분리와 해체가 용이하고, 해체 중에 자재의 훼손 또한 없으므로 자재를 임시가설물로 사용한 이후에도 재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있었다.
하지만, 임시가설물의 자재 조립에 사용되는 클램프는 강관 조임을 위한 볼트가 노출되므로 임시가설물에서 작업자의 보행과 작업에 방해를 줄 수 있었다. 특히 작업자의 고소 작업을 위해 임시가설물에 설치되어지는 중참단의 구조는 무엇보다 작업자의 통행과 작업의 안전이 최우선되어야 하므로, 작업자가 궐지하거나 그레이팅의 흔들림 등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된 중참단의 안정된 체결 구조가 요구되었다.
결국, 임시가설물의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작업자가 임시가설물에서 방해 및 간섭 없이 안전하게 보행하며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실용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상기 임시가설물의 선행기술로서 그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2503호의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갱폼 작업대'로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갱폼작업대는 서로 이웃하는 비계파이프를 단순히 고정유닛과 결합볼트로만 결속할 뿐, 고정유닛에 대한 결합볼트의 결속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무하고, 작업자의 통행과 작업에 방해를 줄 수 있는 상기 결합볼트의 노출을 최소로 하기 위한 어떠한 기술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상기 선행기술의 다른 예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3-0001450호의 '수직펌프 정비용 사다리'로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직펌프를 정비할 때 사용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지주프레임과 디딤판을 포함하는 사다리로, 상기 사다리 지주프레임의 상부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정한 위치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U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사다리의 상부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는 마주보는 1조의 ㄱ형강으로 구성되어 고정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사다리의 지주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U형 지지대는 회동부재의 홈을 고정부재의 ㄱ형강에 구비된 연결부재에 삽입하고 축 볼트에 의하여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한다. 그러나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U형 단면의 지지대와 ㄱ 단면의 형강 간의 단순한 결속 구조만이 개시되었을 뿐, 고정볼트의 노출을 최소로 하기 위해 U형 지지대와의 결속 구조는 명확하게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작업 공간을 갖춘 임시가설물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상기 해체 이후 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자재를 볼팅 체결하는 결속 구조가 적용된 임시가설물 관련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임시가설물에 대해서는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자재들을 상호 볼팅 체결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었을 뿐, 볼트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자재들 간의 안정적인 결속을 가능하게 하고, 고정 위치에 맞춰 그레이팅을 일일이 가공하지 않아도 임시가설물의 작업 공간 상에 그레이팅을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은 전혀 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임시가설물의 작업 공간에서 작업자의 작업 또는 보행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볼트의 돌출을 제한하고 임시가설물의 안정성을 높이며 그레이팅을 가공 없이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기술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250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3-00014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임시가설물의 고소 중참단에서 작업자의 보행과 작업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볼트의 노출을 없애고 임시가설물의 안정성을 강화하며 중참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흔들림이나 굴곡 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용이하게 설치되는 구조의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참단을 제공하는 중참프레임, 및 중참프레임이 고정되는 지주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중참프레임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슬롯이 하측에 마련되고, 절곡 단면을 가지는 찬넬; 상기 제1의 슬롯과 연통하는 비원형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찬넬을 연결하는 브래킷; 그리고 볼트바디와 볼트헤드와 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바디가 제1의 슬롯 및 비원형홀을 통과하고, 상기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의 슬롯과 비원형홀에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잠금요소가 됨과 동시에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가 제2의 잠금요소가 됨으로써 제1의 잠금요소와 제2의 잠금요소의 사이에서 찬넬과 브래킷을 체결하는 파스너;를 더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에 있어 중참구조물의 고소 중참단에서 작업자의 보행과 작업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볼트의 노출을 없애고 중참구조물의 안정성을 강화하며 중참단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이 흔들림이나 굴곡 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용이하게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중참단에서 보행하는 중에 볼트에 걸려 궐지하는 문제가 없고 그레이팅이 평평한 찬넬에 안착되어 지지되므로 흔들림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하며 중참단에서의 이탈 또한 방지되므로 중참단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중참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지주프레임과 중참프레임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중참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찬넬과 브래킷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중참프레임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찬넬과 브래킷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난간프레임의 상면도이며,
도 6은 도 1과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A' 체결 부분의 더블 찬넬과 브래킷과 파스너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단일 찬넬과 브래킷과 파스너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파스너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8의 파스너의 분리사시도로서 하측에서 바라본 파스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단일 찬넬과 정합된 브래킷에 파스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장착을 위해 파스너가 배치된 상태를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파스너의 볼트가 가압된 상태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켜 브래킷과 찬넬과 파스너가 결합된 상태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를 브래킷의 하측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파스너을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시시 예로서 파스너을 분리하여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파스너을 분리하여 하측에서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파스너을 볼트헤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B' 체결 부분의 외곽 찬넬과 브래킷과 링커와 파스너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정면과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펜스부가 중참프레임과 난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결합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중참프레임과 난간프레임과 펜스부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 1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본 발명의 분야에서 구조용 부재는 단순히 봉 형상일 수 있도 있으나 C 형강이나 고강성을 위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절곡 성형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용 부재는 "C 형강"이나 "찬넬"이나 "레일" 또는 기타의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되고 있다. 이하, 구조용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찬넬"이라 칭한다. 그리고 찬넬과 찬넬을 직접 연결하거나, 커넥터나 브래킷을 매개로 연결하거나, 또는 찬넬에 직접 장치나 장비 또는 전장품 등을 비치하거나 정치할 수도 있고, 커넥터나 브래킷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파스너로 체결되는 2개의 부재 중에서 그 하나를 "찬넬"이라 칭하고, 다른 하나의 부재를 "브래킷"이라 칭한다. 또한, 파스너가 통과하는 브래킷의 관통홀의 형상은 파스너, 보다 자세하게는 볼트바디와 너트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로 단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브래킷의 관통홀은 적어도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서 "비원형홀"을 그 일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은 작업 대상에 인접하게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오르거나 내릴 수 있게 2층 이상의 고소를 이루는 복층으로 구성되고, 고소에 개방된 작업 공간을 구성하는 임시 가설물을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임시 가설물을 "중참구조물"로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참"은 中站으로 표기되는 한자어로서 중참구조물에 설치된 사다리를 타고 고소까지 오른 작업자의 작업 수행 공간을 지칭하고, "중참단"은 상기 중참에서 작업자가 디디며 보행 또는 작업 수행을 위해 자세를 유지하며 디딜 수 있도록 설치된 발판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프레임"은 중참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며 사다리가 설치되어 오르고 내릴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작업 대상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참프레임"은 상기 중참단의 골조를 이루며 지주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상기 중참프레임 상에 얹혀져서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패널을 지칭한다. 상기 그레이팅은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 요철 구조를 이루는 무늬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상향"과 "하향"을 사용한다. 이러한 "상향"과 "하향"은 볼트헤드를 기준으로 하여 볼트바디의 상측 방향으로서 "상향"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볼트헤드를 향하는 하측 방향으로서 "하향"이라 한다. 또한, 중참프레임의 위를 "상향"이라 하고, 중참프레임의 아래를 "하향"이라 한다. 또한, "외향"과 "내향"을 사용한다. "내향"은 축선이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그 반대 방향으로 중심이나 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향"이라 한다. 그리고 단일 부품의 설명을 위해 "상면"과 "저면"이나 "하측"과 "하측면"을 사용한다. "상면"은 볼트바디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표면을, "저면"과 "하측"과 "하측면"은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면을 지칭한다. 또한, 공간 구획의 부재에 있어 "내측면"과 "외측면"을 사용한다. "내측면"은 내측 공간에 접하는 표면을, 그 대향하는 면으로 외측 공간에 접하는 면을 "외측면"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중참단을 제공하는 중참프레임, 및 중참프레임이 고정되는 지주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중참프레임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슬롯이 하측에 마련되고, 절곡 단면을 가지는 찬넬; 상기 제1의 슬롯과 연통하는 비원형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찬넬을 연결하는 브래킷; 그리고 볼트바디와 볼트헤드와 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바디가 제1의 슬롯 및 비원형홀을 통과하고, 상기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의 슬롯과 비원형홀에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잠금요소가 됨과 동시에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가 제2의 잠금요소가 됨으로써 제1의 잠금요소와 제2의 잠금요소의 사이에서 찬넬과 브래킷을 체결하는 파스너;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참프레임의 일측을 고정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중참프레임에 고정되어 입설되는 안전프레임, 상기 안전프레임이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지주프레임의 상측에서 안전프레임과 연결되는 행거, 및 상기 안전프레임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주프레임의 하측에서 안전프레임과 연결되는 버팀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참찬넬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2의 슬롯이 상측면에 형성된 더블 찬넬인 것이다. 상기 지주프레임에는, 작업자용 사다리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중참프레임은, 다단의 중참단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다리는, 각각의 중참단을 경계로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다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중참프레임에는, 상기 사다리를 통해 작업자가 들어올 수 있도록 출입구가 마련된 그레이팅이 얹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파스너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중참구조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지주프레임과 중참프레임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중참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찬넬과 브래킷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중참프레임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찬넬과 브래킷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난간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중참구조물(L)은, 중참단을 제공하는 중참프레임(200)과, 중참프레임(200)이 고정되는 지주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중참프레임(200)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슬롯(S1)이 하측에 마련되고, 절곡 단면(221, 222)을 가지는 찬넬(210, 220, 220a, 220b)을 구성한다. 중참프레임(200)에 구성된 중참 찬넬(210, 220, 220a, 220b)은, 중참 바닥의 테두리를 이루며 일측이 지주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외곽 찬넬(210)과, 말단이 외곽 찬넬(210)에 설치되어서 외곽 찬넬(210)의 안쪽 테두리를 이루는 내곽 찬넬(220, 220a, 220b)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중참프레임(200)은 일측이 지주프레임(100)에 설치되므로, 구조적으로 지주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중참구조물(L)에서 중참프레임(200)은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중참단의 골조를 이루므로, 지주프레임(100)과의 결합과, 찬넬(210, 220, 220a, 220b) 간의 결합이 안정된 체결 구조를 이루어야 하고, 찬넬(210, 220, 220a, 220b) 자체도 작업자 등이 가하는 하중에 의한 휨 없이 안정하게 버틸 수 있는 재질과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찬넬(210, 220, 220a, 220b)은 더블 찬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참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찬넬(210, 220, 220a, 220b)이 더블 찬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일 찬넬일 수도 있다. 이하의 도면에는 찬넬(210, 220, 220a, 220b)이 단일 찬넬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중참프레임(200)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행이 용이하도록 중참프레임(200) 상에 얹혀져서 작업자의 발판으로 활용되는 그레이팅(P1, P2)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참프레임(200)의 내곽 찬넬(220a, 220b)은 외곽 찬넬(210)의 내측에서 다수 개가 교차하게 배치되므로, 그레이팅(P1, P2)을 중참프레임(200) 상에 얹거나 간단한 핀 조립만으로도 안정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참프레임(200)은 도 3과 같이 상측에 찬넬(210, 220, 220a, 220b) 간의 결합을 위한 볼트바디 또는 볼트헤드 또는 너트 등의 체결 부재가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레이팅(P1, P2)은 중참프레임(200)에 안정하게 안착되고, 안착 이후에도 흔들림 없이 현 자세를 유지한다. 더 나아가 중참프레임(200)의 일측에 결합된 지주프레임(100)과, 중참프레임(200)의 타측에 설치된 안전프레임(500)이 각각 그레이팅(P1, P2)의 펜스 역할을 하므로, 중참 플레임(200)에 얹혀진 그레이팅(P1, P2)은 이탈이 방지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중참프레임(200)은 외곽 찬넬(210)의 앵커(211)에 설치된 사다리(130)가 통과하는 일구간이 작업자의 통행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참프레임(200)의 내곽 찬넬(220)은 작업자의 출입구(R)가 형성되도록 배치되어서, 사다리(130)를 타고 오른 작업자는 출입구(R)를 경유하여 중참프레임(200)에 착지한다. 따라서 그레이팅(P1, P2)은 출입구(R) 구간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의 그레이팅(P1, P2)은 출입구(R) 개방과 용이한 설치 등을 위해 2개로 분리되었으나, 일체 또는 3 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지주프레임(100)은, 메인 찬넬(110)과, 메인 찬넬(110)에 교차하게 설치되는 서브 찬넬(120)로 구성된다.
메인 찬넬(110)은 단층 또는 복층 구조의 중참구조물(L)을 지지하는 기본 골조이며, 상향으로 입설되어 작업 대상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메인 찬넬(11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본 실시의 메인 찬넬(110)은 3개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었다. 메인 찬넬(110)은 중참구조물(L)의 자체 중량은 물론 작업자의 체중을 지탱해야 하므로,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과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메인 찬넬(110)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찬넬이 서로 대칭하게 배치된 형상의 더블 찬넬 구조로 이루어졌다. 참고로, 본 실시의 중참구조물(L)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참단이 다단으로 형성되므로, 중참단이 다단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메인 찬넬(110)의 길이 또한 연장된다.
서브 찬넬(120)은 다수 개가 메인 찬넬(110)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다. 본 실시의 서브 찬넬(120)은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메인 찬넬(110)에 각각 설치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메인 찬넬(110)은 서브 찬넬(120)을 매개로 연결된다. 결국 본 실시의 메인 찬넬(110)은 서브 찬넬(120)과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서 중참구조물(L)의 견고한 기본 골조를 이룬다. 서브 찬넬(120)은 메인 찬넬(110)과 더불어 중참구조물(L)의 자체 중량과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므로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메인 찬넬(110)과 같은 더블 찬넬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프레임(100)은 작업자용 사다리(130)가 장착되는 앵커(121)를 더 구성한다. 본 실시의 앵커(121)는 서브 찬넬(120)별로 설치되므로, 앵커(121)에 장착되는 사다리(130)는 메인 찬넬(11)과 나란하게 상향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주프레임(100)에서 사다리(130)를 타고 오르거나 내린다. 본 실시의 앵커(121)는 서브 찬넬(120)에 설치되어서 사다리(130)가 지주프레임(100)의 서브 찬넬(120)에 위치된 것으로 했으나, 이외에도 앵커(121)가 메인 찬넬(110)에 설치되어서 사다리(130)가 메인 찬넬(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의 사다리(130, 130')는 각각의 중참프레임(200)을 경계로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참프레임(200)의 하향으로 사다리(130)가 지주프레임(100)의 우측에 위치되고, 중참프레임(200)의 상향으로 사다리(130')가 지주프레임(100)의 좌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에서 작업자는 지주프레임(100)의 우측에서 사다리(130)를 타고 중참프레임(200)까지 오르고, 중참프레임(200)까지 오른 작업자는 지주프레임(100)의 좌측에서 사다리(130')를 타고 상향으로 오른다.
본 실시의 중참프레임(2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주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된 연결 구조를 이루므로 작업자의 중량이 가해지면 중참프레임(200)은 상기 중량을 지탱하지 못하고 하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중참프레임(200)과 지주프레임(100) 간의 체결부가 파손되어서 중참프레임(200)이 고소에서 낙하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참구조물(L)은 일단이 지주프레임(100)에 설치되고 타단이 중참프레임(200)의 타측에 설치되어서 중참프레임(20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버팀대(30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참구조물(L)은, 중참프레임(200)에 상향하며 나란하도록 메인 찬넬(110)과 서브 찬넬(12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난간프레임(400)가 구성된다. 난간프레임(400)는 중참단의 펜스 기능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난간프레임(400)의 일측이 메인 찬넬(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중참프레임(200)에 입설된 안전프레임(5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의 난간프레임(400)는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에 상응하는 외곽 찬넬(410)을 구성하며, 작업자의 수용을 위해서 내곽 찬넬은 구성하지 않는다.
난간프레임(400, 400', 400")는 도 1과 같이 중참프레임(200)의 상향으로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고, 이렇게 구성된 다수의 난간프레임(400, 400', 400")는 일측이 지주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안전프레임(500)에 연결되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룸 형태의 중참단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참구조물(L)은 중참프레임(200)의 기울어짐과 지주프레임(100)과의 연결부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단이 지주프레임(100)에 설치되고 타단이 중참프레임(200)의 타측을 잡아 지지하는 행거(6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행거(600)의 타단은 중참프레임(200)의 타측에 설치된 안전프레임(500)과 연결되었으나, 중참프레임(200)의 타측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결국 중참프레임(200)은 버팀대(300)와 행거(6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수평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안정한 중참단을 유지시킨다.
도 6은 도 1과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A' 체결 부분의 더블 찬넬과 브래킷과 파스너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단일 찬넬과 브래킷과 파스너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4와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찬넬(220a, 220b)은, 전체적으로 중공의 프로파일로 형성되고, 그 일예로서, 다단 절곡 성형되어 그 상측에서 하향 절곡된 2개의 커튼월(2211)을 가진다. 상기 2개의 커튼월(2211)은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하고 있어 그 사이로 개구된 슬롯(S1, S2)이 마련된다. 이러한 슬롯(S1, S2), 특히 찬넬(220a, 220b)의 하측에 형성된 제1의 슬롯(S1)으로 파스너(2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강한 결속을 위해 그 하측면에 요철의 톱니(2211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참프레임(200)의 구성 찬넬(210, 220, 220a, 220b)은 물론 지주프레임(100)의 구성 찬넬(110, 120)과 버팀대(300), 난간프레임(400), 안전프레임(500) 그리고 행거(600) 간에 결합은 각각의 크기와 결합 구조 등에 상응하는 형상의 브래킷(230)으로 체결된다. 이때 찬넬(220a, 220b)의 제1의 슬롯(S1)은 하측에 위치하도록 찬넬(220a, 220b)을 배치한다. 도 6과 같이 찬넬(220a, 220b)이 더블 찬넬 구조인 경우에는 제1의 슬롯(S1)은 하측에 위치하고 제2의 슬롯(S2)은 상측에 위치하도록 찬넬(220a, 220b)의 자세를 잡아 서로 연결시키고, 도 7과 같이 찬넬(220a, 220b)이 단일 찬넬 구조인 경우에는 제1의 슬롯(S1)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찬넬(220a, 220b)의 자세를 잡는다.
찬넬(220a, 220b)의 자세가 잡혀 배치되면 상기 배치 형태에 상응하는 브래킷(230)을 찬넬(220a, 220b)의 하측을 덮도록 접합한다.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본 실시의 찬넬(220a, 220b)이 'T' 형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면, 'T' 형상의 브래킷(230)을 해당 찬넬(220a, 220b)의 하측에 접합하여 제1의 슬롯(S1)이 덮이도록 한다. 브래킷(230)은 제1의 슬롯(S1)과 연통하는 비원형홀(231)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찬넬(210, 220a, 220b)을 연결한다.
찬넬(220a, 220b)과 브래킷(230) 간의 체결을 위한 파스너(240a, 240a' 240b, 240c)는 볼트바디(2413; 도 9 참조)가 비원형홀(231)과 제1의 슬롯(S1)에 삽입되어서 후술하는 파스너(240a, 240a', 240b, 240c)의 체결 과정을 통해 찬넬(220a, 220b)과 브래킷(230)을 긴밀히 체결한다. 파스너(240a, 240a' 240b, 240c)는 찬넬(220a, 220b)의 하측에 위치한 제1의 슬롯(S1)에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작업자가 보행하는 찬넬(220a, 220b)의 상측으로는 파스너(240a, 240a' 240b, 240c)가 노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파스너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8의 파스너의 분리사시도로서 하측에서 바라본 파스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240)는, 볼트바디(2413)와 볼트헤드(2411)와 너트(243)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바디(2413)가 제1의 슬롯(S1) 및 비원형홀(231)을 통과하고, 볼트헤드(2411)와 너트(24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제1의 슬롯(S1)과 비원형홀(231)에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잠금요소가 됨과 동시에 볼트헤드(2411)와 너트(243) 중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가 제2의 잠금요소가 됨으로써 제1의 잠금요소와 제2의 잠금요소의 사이에서 찬넬(210, 220, 220a, 220b)과 브래킷(230)을 체결한다.
파스너(240)의 일실시 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파스너(240)는, 볼트(241), 캡플레이트(242), 너트(243), 커넥터홀더(244) 및 스프링(245)을 구비한다.
볼트(241)는, 나사부(2413a)가 마련되고 볼트헤드(2411)가 있는 헤드붙이 볼트라면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242)는, 캡바디(2421), 잠금레그(2423, 2424), 가압레그(2425, 2426)를 구비한다.
캡바디(242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그 중앙부에는 볼트바디(2413)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2421a)이 마련되고, 그 가장자리에서 잠금레그(2423, 2424)와 가압레그(2425, 2426)가 절곡 성형되도록 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오목홈(2421b)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볼트(241)의 조임에 의한 체결력을 캡바디(2421) 외연으로 확대할 수 있고, 커넥터홀더(244)와의 사이에 작동공간이 마련될 수 있어 고강성 구조의 컴팩트한 구조로서 바람직하다. 잠금레그(2423, 2424)는 캡바디(2421)에서 하향 경사져 돌출 연장된 형상이며, 가압레그(2425, 2426)는 캡바디(242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형상이다. 이는 찬넬(220a, 220b)과 브래킷(230)의 연결시에, 가압레그(2425, 2426)가 브래킷(230)의 상면에 안착하고, 잠금레그(2423, 2424)는 브래킷(230)의 비원형홀(231)을 향해 그 측벽에 맞대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가압레그(2425, 2426)는 브래킷(230)과 넓게 접촉하도록 하고, 잠금레그(2423, 2424)는 브래킷(230)의 비원형홀(231)의 형상에 상응하여 끼워맞춰지도록 그 사이즈를 약간 크게 하는 것이 고강성 구조에 유리한다. 또한, 잠금레그(2423, 2424)와 가압레그(2425, 2426)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양쪽에서 균등하게 캡플레이트(242)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각각 동일 선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잠금레그(2423, 2424)와 가압레그(2425, 2426)는, 도시된 예와 같이, 볼트(241)의 조임에 따라 조임과 가압이 평형을 이뤄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캡바디(2421)에서 단차진 형상으로 90°로 배치되어 있다.
캡바디(2421)는, 상기 볼트삽입홀(2421a)의 외측으로 모니터링 홀(2421c)이 마련된다. 모니터링 홀(2421c)은, 볼트(241) 체결시의 볼트헤드(2411)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 외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니터링 홀(2421c)이 방향 지시자로서 역할을 한다면, 체결 작업이 수월해진다. 이를 위해, 2개 이상일 수 있으나, 캡바디(2421)의 강성을 고려하여 가압레그(2425, 2426) 또는 잠금레그(2423, 2424)의 중심선을 따라 전후로 2개의 모니터링 홀(2421c)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모니터링 홀(2421c)은, 가압레그의 중심선을 따라 볼트삽입홀(2421a)의 전후의 2개가 도시되었다.
너트(243)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폭은 찬넬(220a, 220b)의 제1의 슬롯(S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의 슬롯(S1)의 폭보다 작으나, 그 길이는 찬넬(220a, 220b)의 폭보다 작지만 제1의 슬롯(S1)의 폭보다 길다. 이는 너트(243)를 제1의 슬롯(S1)에 통과시켜 커튼월(22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 중앙부에 나사홀(2431a)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커튼월(2211)의 톱니(2211a)와 치합되는 잠금슈(2433, 2434)가 위치한다. 또한 너트바디(2431)에 형성된 나사홀(2431a)의 폭방향으로는 호면으로 돌출 성형된 돌부(2431b)가 위치한다. 돌부(2431b)는 너트가이드(2443)와 짝맞춤되는데 이는 후술한다. 그리고 잠금슈(2433, 2434)에는, 커튼월(2211)과의 결속력을 크게 하기 위해 커튼월(2211)의 톱니(2211a)와 치합되도록 그 작용면에 톱니(2433a, 2434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잠금레그(2423, 2424)는 비원형홀(231)에 끼워지므로 횡력에 강하나, 수직력에 제한적이다. 그러나 가압레그(2425, 2426)는 비원형홀(231)이 없는 브래킷(230)에 배치되므로 볼트(241)의 죔에 따른 가압성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너트(243)는 그 길이방향이 가압레그(2425, 2426)의 배치방향과 같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잠금슈(2433, 2434)와 가압레그(2425, 2426)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볼트(241)의 조임에 따라 찬넬(220a, 220b)과 브래킷(230)이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홀더(244)는, 걸림돌부(2447), 스프링홀더(2441) 및 너트가이드(2443)를 구비하며, 걸림돌부(2447)를 제외하고는 비원형홀(231)과 제1의 슬롯(S1)을 통과해야 하므로 그 보다 작은 폭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홀더(2441)는, 전체적으로 컵 형상이고, 그 내측에 스프링(245)을 수용한다. 그리고, 내부를 관통하여 볼트바디(2413)가 통과해야 하므로 볼트통과공(H3)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홀더(2441)는 일부가 개방되거나 절개되거나 조립된 형상으로 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예는, 스프링(245)의 압축에 따른 굴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 폐쇄형의 스프링홀더(2441)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홀더(2441)의 상측에 걸림돌부(2447)가 위치한다.
걸림돌부(2447)는, 그 형상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내측에서 자세 고정의 한 방안으로 비원형홀(23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도시된 예는 상측 단부에서 외향하여 연장되고 돌출하여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판상의 환형 고리나 도넛이 연상된다. 그러나, 그 형상이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넥터홀더(244)의 형상에 따라 다르고, 분할하여 조립하거나 위치를 조정하거나 부분 개구되거나 절개하여 그 형상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비원형홀(231)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서 비원형홀(23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비원형홀(231)은 브래킷(230) 뿐만 아니라 찬넬(220a, 220b)의 제1의 슬롯(S1) 역시 폭이 좁고 긴 비원형홀(231)에 해당한다. 따라서, 걸림돌부(2447)를 브래킷(230)에 설치할 수도 있고, 찬넬(220a, 220b)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브래킷(230)에 고정하는 것이 조립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부(2447)는, 캡바디(2421)의 오목홈(2421b)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캡바디(2421)의 오목홈(2421b)보다는 작은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2447)는 상향 돌출의 모니터링 핀(2448)을 구비한다. 모니터링 핀(2448)은, 캡플레이트(242)의 모너터링 홀(2421c)과 결합되어야 하므로 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모니터링 홀(2421c)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캡플레이트(242) 두께보다 길다. 또한, 모니터링 핀(2448)이 방향지시 기능을 갖추는 경우, 조립 및 작업에 편리하다. 방향 지시자로서 모니터링 핀(2448)의 배치는, 자유롭게 할 수 있으나, 너트(243)의 길이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너트(2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레그(2425,2426)의 전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가이드(2443)는, 스프링홀더(2441)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향 돌출하고, 균형을 위해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너트(243)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그 너트(243)와의 접촉면에는 돌부(2431b)에 상응하여 요입된 요홈부(2443a)를 갖는다. 도시된 예는, 돌부(2431b)와 너트가이드(2443)가 서로 짝이 되어 함께 거동하도록 하는 일예이며, 서로 조립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을 다향하게 변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체결시, 잠금슈(2433, 2434)에 강한 전단력이나 굽힘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구멍이나 홈을 형성할 경우 잠금슈(2433, 2434)의 변형이나 파손 문제가 있고 조립이 번거로워질 수 있으므로 오히려 도시된 예와 같이 서로 짝이 되는 돌부(2431b)나 요홈부(2443a)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단일 찬넬과 정합된 브래킷에 파스너가 결합되는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캡플레이트(242)의 볼트삽입홀(2421a)에 볼트바디(2413)를 끼우고, 스프링(245)을 스프링 홀더(2441)에 넣고 너트(243)를 너트가이드(2443)에 끼운 상태에서 너트(243)에 볼트(241)를 조여 결합한다. 이때, 모니터링 홀(2421c)에 모니터링 핀(2448)이 초입상태로 삽입되어 걸려있고, 또한 볼트나사부(2413a) 역시 너트(243)의 나사홀(2431a)에 초입상태로 체결된 상태이다. 이때, 스프링(245)이 캡플레이트(242)와 스프링홀더(2441)를 탄성적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캡플레이트(242)와 스프링홀더(2441)는 멀어져 있고, 스프링홀더(2441)와 너트(243)는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240)을 이용하여 찬넬(220a, 220b)과 브래킷(230)을 조립할 경우, 먼저 찬넬(220a, 220b)의 제1의 슬롯(S1)과 브래킷(230)의 비원형홀(231)이 서로 중첩하여 연통하도록 찬넬(220a, 220b)과 브래킷(230)을 배치한다. 그리고, 파스너(240)을 너트(243)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장착을 위해 파스너가 배치된 상태를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파스너(240)을 하향 이동시켜 비원형홀(231)과 제1의 슬롯(S1)에 끼우면, 커넥터홀더(244)와 너트(243)는 비원형홀(231)과 제1의 슬롯(S1)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걸림돌부(2447)에서 너트(243)까지의 길이는 커튼월(2211)의 깊이보다 작기 때문에, 너트(243)를 회전시키고자 하더라도, 너트(243)가 찬넬(220a, 220b)의 커튼월(2211)에 걸린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파스너의 볼트가 가압된 상태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볼트(241)를 눌러 힘을 가하면, 캡플레이트(242)가 하향 이동하고, 스프링(245)은 압축되고 탄발하고, 너트(243)는 너트가이드(2443)의 요홈부(2443a)를 따라 하향 이동한다. 캡플레이트(242)가 브래킷(20)에 접촉하면 너트(243)가 더 이상 하향하지 않고 멈추는데, 너트(243)는 커튼월(2211)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너트(243) 역시 하향 이동하여 커튼월(2211)에 걸리지 않고, 모니터링 핀(2448)이 모니터링홀(121c)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캡플레이트(242)와 볼트(241)를 눌러 함께 돌린다. 볼트(241)만 돌릴 수도 있으나, 볼트(241)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캡플레이트(242)와 함께 눌러 돌린다. 회전의 경우, 잠금레그(2423, 2424)가 비원형홀(231)에 걸리게 되는데, 잠금레그(2423, 2424)가 비원형홀(231)에 걸리는 위치를 체결위치가 되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켜 브래킷과 찬넬과 파스너가 결합된 상태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를 브래킷의 하측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레그(2423, 2424)가 비원형홀(231)에 걸렸을 때, 회전을 멈추고 가압을 해제한다. 잠금레그(2423, 2424)와 너트(243)는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고, 비원형홀(231)과 제1의 슬롯(S1)이 동일 방향에 있으므로, 너트(243) 역시 커튼월(2211)에 직각 방향에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력에 의해 볼트(241)와 캡플레이트(242)가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하고, 너트(243)와 커튼월(2211)은 서로 밀착된다. 이때, 볼트(241)를 조일 경우, 너트(243)가 커튼월(22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나사부(2413a)가 너트(243)의 나사산을 타고 하향 이동하면서 캡플레이트(242)를 가압한다. 캡플레이트(242)의 잠금레그(2423, 2424)가 브래킷(20)의 비원형홀(231)을 향하고 있는데, 볼트(241)를 죔에 따라 잠금레그(2423, 2424)가 점진적으로 비원형홀(231)에 끼워맞춰진다. 잠금레그(2423,2424)를 비원형홀(231)에 단순히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밀착 고정에 한계가 있고, 큰 외력에 의해 슬립 문제가 발생하나, 이와 같이, 하향 경사진 잠금레그(2423, 2424)는 볼트(241)의 조임에 의해 점진적으로 비원형홀(231)에 파고 들어가 끼워맞춰짐에 따라 슬립 문제가 해소되고 고강성 구조가 가능해진다.
한편, 볼트(241)를 조일 경우, 캡플레이트(242)가 하향 이동하는데, 모니터링 핀(2448)은, 캡플레이트(242)의 두께보다 길이가 길기 때문에, 모니터링 홀(2421c)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일반적으로 파스너(240)는 찬넬(220a, 220b) 내부에 위치하고 브래킷(20)에 감싸여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그 체결상태나 작업불량 여부를 알기 어렵다. 그러나 모니터링 핀(2448)이 연결구조체(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체결이 양호한 것이고, 모니터팅 핀(148)이 노출되지 않은 경우 불량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전후의 모니터링 핀(2448)의 자세 변화를 보면서 작업이나 검증으로 작업신뢰도가 향상된다. 모니터링 핀(2448)에 페인트나 야광 또는 형광 물질을 채색하면 외관 식별만으로도 연결구조체의 검증은 더욱 쉬워진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을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시시예로서 파스너을 분리하여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을 분리하여 하측에서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을 볼트헤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파스너(70)는, 볼트(71), 홀더(72), 캡플레이트(73), 스프링(74) 및 너트(75)를 구비한다.
상기 볼트바디(715)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715a)가 마련되며, 볼트헤드(713)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바디(715)는, 찬넬(220a, 220b; 도 6 참조)의 커튼월(2211)의 높이, 브라켓(230)의 두께, 너트의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크다. 이 경우, 찬넬(220a, 220b)과 브라켓(230)의 결합시에 볼트바디가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한다.
상기 볼트헤드(713)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잠금슈(713a, 713b)가 마련된다. 상기 잠금슈(713a, 713b)는 그 상측면에 톱니(713t)가 마련되며, 상기 톱니(713t)는 커튼월(2211)의 톱니(2211a)와 상응하는 형상이고, 이에 따라 서로 정렬될 경우 치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72)는, 홀더바디(721)와 잠금요소 수용부(722)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바디(721)는, 볼트바디(71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볼트공(721a)이 마련된다. 상기 홀더바디(72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주면이 점진적으로 양측방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형상이고, 전체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비원형 형상이다. 상기 홀더바디(721)의 폭과 길이는 찬넬(220a, 220b)의 슬롯(S1)과 브라켓(230)의 비원형홀(231)의 폭과 길이보다 작다. 그러나 상기 홀더바디(721)의 길이는 슬롯(S1)의 폭보다 다소 길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바디(721)는 슬롯(S1)과 비원형홀(231)에서 길이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고, 슬롯(S1)에 수용된 후 회전시킬 경우 커튼월(2211)에 걸려 회전을 멈출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721)은, 각면이나 곡면의 비원형 형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찬넬(220a, 220b)에 브드럽게 걸려 회전이 멀출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회전제한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바디(721)에 형성된 곡면의 회전제한면의 일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의 원호면이 서로 접하여 외향하여 돌출하거나,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홀더바디(721)가 회전할 때 커튼월(2211)에 걸리거나 해제될 때에 보다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721)에는 걸림핀(721b)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핀(721b)은 홀더바디(7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걸림핀(721b)은 캡플레이트에 마련된 걸림홈부(732b)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된 예의 경우, 홀더바디(721)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캡플레이트(73)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며 이는 후술한다.
상기 홀더바디(721)에는 잠금요소 수용부(722)가 마련된다.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722)는 홀더바디(721)의 폭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바가 하향하여 돌출된 형상이고, 그 돌출 길이가 볼트헤드(713)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그 사이에 잠금요소 수용홈(722a)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바디(721)의 볼트공(721a)에 볼트바디(715)를 끼우면, 볼트헤드(713)가 잠금요소 수용홈(722a)에 수용되어 홀더바디(7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722)의 하단부에는 걸림턱(712b)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712b)은 잠금요소 수용홈(722a)에서 내향하여 돌출된 2개가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722)에 볼트헤드(713)가 수용될 경우, 볼트헤드(713)가 걸려 아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바디(721)와 잠금요소 수용부(722)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예컨데 일체 형상 뿐만 아니라 편의에 따라 조립 구조로 하거나 기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나, 다만 2개의 한쌍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배치할 경우, 볼트헤드(713)를 균형 있게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캡플레이트(73)는, 캡바디(731), 잠금레그(733, 734), 가압레그(735, 736), 볼트가이드(732)를 구비한다.
상기 캡바디(73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부에는 볼트삽입홀(731a)이 마련된다.
상기 잠금레그(733, 734)는 캡바디(731)에서 하향 경사져 돌출 연장된 형상이며, 볼트삽입홀(731a)을 중심으로 양측에 2개가 마련된다. 상기 잠금레그(733, 734)는 브라켓(230)의 비원형홀(231)에 수용되어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후술한다.
상기 가압레그(735, 736)는 캡바디(73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잠금레그(733, 734)와 직교하여 배치되고, 볼트삽입홀(731a)을 중심으로 양측에 2개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레그(735, 736)는 브라켓(230)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후술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레그(735, 736)는 브라켓(230)과 접촉 저항을 크게하고, 잠금레그(733, 734)는 브라켓(230)의 비원형홀(H2)에 맞춰져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압레그(735, 736)은 되도록 사이즈를 크게 하여 접촉저항을 크게 하고, 상기 잠금레그(733, 73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231)의 사이즈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레그(733, 734)와 가압레그(735, 736)는 그 갯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 쌍으로 하여 균형을 맞춰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레그(733, 734)와 가압레그(735, 736)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강한 결속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잠금레그(733, 734)는 너트(75)의 조임에 따라 비원형홀(231)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횡력에 강하나, 수직력에 제한적이다. 그러나 가압레그(735, 736)는 비원형홀(231)이 없는 브라켓(230)과 접촉하므로 너트(75)의 조임에 따른 가압성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가압레그(735, 736)는 볼트헤드(713)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투영면에서 동일 작용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잠금슈(713a, 713b)와 가압레그(735, 736)가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너트(75)의 조임에 따라 찬넬(220a, 220b)과 브라켓(230)이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볼트가이드(732)는, 캡플레이트(73)의 볼트삽입홀(731a)을 관통하여 하향 돌출한다. 상기 볼트가이드(732)는, 도시된 예의 경우, 상기 캡바디(731)와 일체이고 캡바디(731)에서 하향 돌출하고 있어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하기 어려우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살펴본다. 상기 볼트가이드(732)는, 캡바디(731)의 볼트삽입홀(731a)에 끼워진 형상이고 일체로 결합되며, 그 내측으로 볼트바디(715)가 통과할 수 있는 볼트통과공(732a)이 마련된다. 상기 볼트가이드(732)가 캡바디(731)의 볼트삽입홀(731a)에 끼워진 관점에서 살펴볼 때, 상기 볼트통과공(732a)은 볼트삽입홀(731a)과 일부 중첩된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상기 볼트가이드(732)에는 스프링(74)이 수용된다. 상기 볼트가이드(732)는 그 형상과 모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그 일예들로서 부분 절개나 측면 개구나 단차진 형상이나 절두 원추 형상의 중공관일 수 있다. 상기 볼트가이드(732)의 수용 공간은 상측의 폭보다 하측의 폭이 좁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볼트가이드(732)에 스프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절두 원추 형상(절두 원추 형상은 일반적으로 원뿔의 형상에서 밑면에 평행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꼭지점이 있는 부분을 없애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를 말하나, 각뿔의 형상일 경우에도 그 형상에 차이가 있으나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하 원뿔과 각뿔의 형상을 모두 포함하여 꼭지점이 있는 부분을 없애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의 형상을 절두 원추 형상으로 칭한다.)으로 할 경우, 그 단면이 내향하여 경사진 형상이므로 스프링(74)이 수용되더라도 자연스럽게 걸려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 스프링좌가 필요없어 가공이 편의롭다. 상기 볼트가이드(732)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은, 스프링(74)이 수용되어 압축될 경우, 스프링(74)의 탄성 변형 후에 너트(75)가 캡바디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볼트가이드(732)는 그 하측면에는 걸림홈부(732b)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홈부(732b)는 홀더바디(721)의 걸림핀(721b)과 서로 상응하여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형상이나 위치 역시 걸림핀(721b)의 형상과 위치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부(732b)는 걸림핀(721b)과 같이 홀더바디(721)의 길이방향으로 2개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핀(721b)와 걸림홈부(732b)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경우에는, 홀더바디(721)와 캡플레이트(73)가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으나, 상대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걸림핀(721b)이 걸림홈(132b)에 수용될 경우, 홀더바디(721)와 캡플레이트(73)가 상대회전이 방지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홈부(731b)와 걸림핀(721b)는 캡플레이트(73)와 홀더바디(721)의 상대 회전이나 거동을 함께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예의 경우, 강성이나 성형의 편의를 위해 홀더바디(721)에 걸림핀(721b)을 형성하고 있으며, 균형감 있게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2개가 배치되고, 방향표지자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홀더바디(7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홈부(731b)와 걸림핀(721b)는 그 형상이나 구조나 갯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상기 걸림홈부(731b)와 걸림핀(721b)의 배치를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홈부가 홀더바디(721)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걸림핀이 캡플레이트(7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배치를 달리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걸림핀이 걸림홈에 수용되어 홀더바디(721)와 캡플레이트(73)가 상대회전이 방지되는 것은 서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걸림홈부(731b)와 걸림핀(721b)의 형상이나 구조 또는 갯수나 배치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자명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프링(74)은 캡플레이트(73)와 너트(75)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74)은 캡플레이트(73)와 너트(75)와의 사이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볼트가이드(732)의 원추 형상에 상응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는, 상기 스프링(74)의 일예로서 코일 헬리컬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74)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의 높이 즉, 자유장이 볼트가이드(732)의 돌출 길이보다 클 수 있으나, 너트(75)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의 길이 즉, 밀착높이가 볼트가이드(732)의 돌출 길이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탄성력을 크게 하기 위해 스프링(74)의 밀착 높이를 볼트가이드(732)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플레이트(73)에 요홈부를 마련하면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74)이 압축되었을 때, 볼트가이드(732)에 장입되어 탄발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레그(735, 736)가 브레킷(20)에 밀착하여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의 경우, 상기 스프링(74)이 캡플레이트(73)와 너트(75)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으나, 그 변형 실시예로서 스프링(74)의 배치를 변경하여 캡플레이트(73)와 홀더바디(721)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볼트가이드(732)에 스프링(74)을 배치하거나, 홀더바디(721)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부분을 만들고 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홀더바디(721)가 찬넬(10)에 상호 작용하도록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다만 스프링(74)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당연하나, 홀더바디(721)와 캡바디(731)의 사이가 협소한 점을 고려하고, 캡플레이트(73)가 브라켓(20)에 접촉하면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예와 같이, 스프링(74)이 너트(75)와 캡플레이트(7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75)는, 나사홀(150a)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바디(715)와 나사 체결된다. 상기 너트(75)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일 수 있으나, 플랜지 붙이 너트나 칼라붙이 너트와 같이 광폭으로 확장된 플랜지(750b)가 부착된 너트(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750b)는 캡바디(731)를 마주보도록 외향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공지된 바와 같이, 그 밑면은 톱니상으로 성형하여 접촉 마찰이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랜지붙이 너트나 칼라붙이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 마찰특성에 좋은 효과가 있어 애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70)에 적용할 경우, 너트 조임 기구(미도시) 예컨데, 소켓 렌치로 눌러 조일 때 푸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작업이 쉬워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과 연결구조체의 조립과 장착 및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파스너(70)을 조립할 경우, 먼저 홀더(72)의 볼트공(721a)에 볼트바디(715)를 끼우고 잠금요소 수용부(722)에 볼트헤드(713)를 위치시킨다. 이때, 볼트헤드(713)와 홀더바디(721)는 그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볼트헤드(713)는 잠금요소 수용부(722)의 걸림턱(122b)에 걸려 아래로 빠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파스너(70)의 조립 단계에서 유동하더라도 볼트헤드(713)가 이탈되지 않아 조립이 편해진다.
상기 볼트바디(715)를 볼트가이드(732)를 통해 볼트삽입홀(731a)로 끼우면, 2개의 돌부 형상으로 제공된 걸림핀(721b)이 볼트가이드(732)의 하측면에 닿는다. 이때, 걸림핀(721b)와 걸림홈부(732b)는 서로 짝 맞춤된 상태이다.
상기 볼트바디(715)에 스프링(74)을 끼우면, 볼트가이드(732)의 원추면에 얹혀진다.
상기 볼트바디(715)의 나사부(715a)에 너트를 맞춰 돌리면, 너트(75)는 볼트바디(715)의 나사부(715a)의 나사산을 타고 하향 이동한다. 상기 볼트바디(715)는 아직 너트의 외부로 노출되기 전이고, 스프링(74)은 볼트가이드(732)와 너트(75)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밀고 있다. 이에 따라, 볼트가이드(732)와 홀더바디(721)는 서로 접근된 상태이고, 캡플레이트(73)와 너트(75)는 멀어진 상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찬넬(220a, 220b)에 설치되는 파스너(240, 70)는 구조와 형상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구조와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B' 체결 부분의 외곽 찬넬과 브래킷과 링커와 파스너 간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정면과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와 도 5 내지 도 6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참구조물(10)은 중참프레임(200)과 난간프레임(400)을 연결해서 중참 구조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과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을 링커(L1)를 매개로 연결한다. 링커(L1)는 찬넬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은 제2의 슬롯(S2)이 상측에 노출되도록 더블 찬넬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과 링커(L1)를 상호 체결하는 브래킷(232, 232')은 외곽 찬넬(210)의 제2의 슬롯(S2) 일부를 덮고, 파스너(240)는 브래킷(232, 232')을 관통해 제2의 슬롯(S2)으로 삽입되어 브래킷(232, 232')과 외곽 찬넬(210)을 체결한다. 그리고 링커(L1)에 맞물리며 브래킷(232, 232')과 연결된 플랜지(233) 역시 파스너(240)가 플랜지(233)를 관통하여 플랜지(233)와 링커(L1)를 체결한다. 결국, 브래킷(232, 232')과 플랜지(233)를 매개로 외곽 찬넬(210)과 링커(L1)가 상호 결속된다.
하단부가 외곽 찬넬(210)에 결속된 링커(L1)는 상단부가 별도의 브래킷(미 도시함)을 매개로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과 결속되고, 이를 위해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은 제1의 슬롯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서 전술한 브래킷(232, 232')과 플랜지(233)를 매개로 한 체결 구조에 따라 링커(L1)와 결속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펜스부가 중참프레임과 난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결합 구조가 보이도록 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로서 펜스부가 중참프레임과 난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결합 구조가 보이도록 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에 의한 중참프레임과 난간프레임과 펜스부의 상호 결속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중참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로서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과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 사이에 펜스부(700, 700')가 설치된다. 펜스부(700, 700')는 중참단 상에 놓인 공구 또는 기기가 중참단으로부터 벗어나 추락하거나, 작업자가 보행 또는 작업 중에 발이 빠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이를 위해 펜스부(700)의 상측단은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과 연결되고, 하측단은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과 연결된다. 외곽 찬넬(210, 410)에 대한 펜스부(700)의 연결은 링커(L1)에 적용된 브래킷(232, 232')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은 제2의 슬롯(S2)이 상측면에 형성된 더블 찬넬이고,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의 하측에 제1의 슬롯(S1)이 형성되어서 파스너(240)가 결합된 브래킷에 의해 설치된다.
도 21과 같이 펜스부(70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패널 형상을 이루어서 하단부가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의 제2의 슬롯(S2)에 삽입되고, 상단부가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의 제1의 슬롯(S1)에 삽입된다. 이 경우 중참프레임(200)의 외곽 찬넬(210)과 난간프레임(400)의 외곽 찬넬(410)의 간극은 펜스부(700)에 의해 덮혀 마감된다. 펜스부(700)의 안정한 결속을 위해서 본 실시의 펜스부(700)는 제1의 슬롯(S1)과 제2의 슬롯(S2)으로 삽입된 단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펜스 본체(730)의 상단부과 하단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제1의 슬롯(S1)과 제2의 슬롯(S2)의 폭보다 큰 폭의 고정플랜지(710, 720)를 구성한다.
펜스부(700')의 다른 실시 예로 펜스 본체(730')는 도 22와 같이 다수 개의 막대 형상 부재가 상호 간극을 이루며 일렬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셋을 이룬다. 또한 제1의 슬롯(S1)과 제2의 슬롯(S2)으로 삽입된 펜스 본체(730')의 단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펜스부(700')는 제1의 슬롯(S1)과 제2의 슬롯(S2)의 폭보다 큰 폭의 고정플랜지(710', 720')를 구성해서, 다수 개의 펜스 본체(730')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한다. 결국 중참프레임(200)과 난간프레임(400) 간극의 일부분을 덮은 펜스 본체(730')는 도 23과 같이 중참단의 둘레에 부분별로 개방된 펜스를 생성시켜서 안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참구조물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중참구조물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중참구조물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지주프레임 110; 메인 찬넬 120; 서브 찬넬
200; 중참프레임 210; 외곽 찬넬 220; 내곽 찬넬
230; 브래킷 70, 240; 파스너
300; 버팀대 400; 난간프레임 410; 외곽 찬넬
500; 안전프레임 600; 행거 700; 펜스부
710, 720; 고정대 730; 펜스부재

Claims (9)

  1. 중참단을 제공하는 중참프레임, 및 중참프레임이 고정되는 지주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중참프레임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슬롯이 하측에 마련되고, 절곡 단면을 가지는 찬넬;
    상기 제1의 슬롯과 연통하는 비원형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찬넬을 연결하는 브래킷; 그리고
    볼트바디와 볼트헤드와 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바디가 제1의 슬롯 및 비원형홀을 통과하고, 상기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의 슬롯과 비원형홀에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1의 잠금요소가 됨과 동시에 볼트헤드와 너트 중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가 제2의 잠금요소가 됨으로써 제1의 잠금요소와 제2의 잠금요소의 사이에서 찬넬과 브래킷을 체결하는 파스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참프레임의 일측을 고정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중참프레임에 고정되어 입설되는 안전프레임, 상기 안전프레임이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지주프레임의 상측에서 안전프레임과 연결되는 행거, 및 상기 안전프레임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주프레임의 하측에서 안전프레임과 연결되는 버팀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참찬넬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제2의 슬롯이 상측면에 형성된 더블 찬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참프레임에 상향하며 나란하게 설치된 찬넬을 구비한 난간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중참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난간프레임에 연결되어서 중참프레임과 난간프레임의 간극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펜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에는,
    작업자용 사다리가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참프레임은,
    다단의 중참단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각각의 중참단을 경계로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다수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참프레임에는,
    상기 사다리를 통해 작업자가 들어올 수 있도록 출입구가 마련된 그레이팅이 얹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KR1020200172702A 2020-12-10 2020-12-10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KR10259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02A KR102593377B1 (ko) 2020-12-10 2020-12-10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02A KR102593377B1 (ko) 2020-12-10 2020-12-10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30A true KR20220082630A (ko) 2022-06-17
KR102593377B1 KR102593377B1 (ko) 2023-10-25

Family

ID=8226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702A KR102593377B1 (ko) 2020-12-10 2020-12-10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3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713A (ja) * 1996-06-12 1997-12-22 Sekisui Jushi Co Ltd パネルの取付構造
JPH10110526A (ja) * 1996-10-07 1998-04-28 Seki Create Internatl Kk 昇降用足場
KR20130001450U (ko) 2011-08-24 2013-03-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펌프 정비용 사다리
KR101392503B1 (ko) 2012-10-17 2014-05-07 (주)한서스틸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갱폼 작업대
KR101499690B1 (ko) * 2014-06-18 2015-03-09 이춘욱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JP2015212477A (ja) * 2014-05-02 2015-11-2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吊り足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713A (ja) * 1996-06-12 1997-12-22 Sekisui Jushi Co Ltd パネルの取付構造
JPH10110526A (ja) * 1996-10-07 1998-04-28 Seki Create Internatl Kk 昇降用足場
KR20130001450U (ko) 2011-08-24 2013-03-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펌프 정비용 사다리
KR101392503B1 (ko) 2012-10-17 2014-05-07 (주)한서스틸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갱폼 작업대
JP2015212477A (ja) * 2014-05-02 2015-11-2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吊り足場
KR101499690B1 (ko) * 2014-06-18 2015-03-09 이춘욱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377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9577B2 (en) Cable railing
US6481697B1 (en) Modular railing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U2018203036B2 (en) Stair modules which co operate to form a temporary stair case
US20150204103A1 (en) Railing system
US11608650B2 (en) Railing system
US20150090531A1 (en) Assembled a-shaped ladder
US20150204104A1 (en) Railing system
KR20220082630A (ko) 고소작업용 중참구조물
KR101845008B1 (ko) 밴드와 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공법
RU144122U1 (ru) Лестница (варианты)
KR200232471Y1 (ko) 벽체 부착용 안전난간 클램프
JP4909511B2 (ja) 先行手摺
EP1853774B2 (en) A construction element
KR102527056B1 (ko) 조립식 안전 펜스
KR20120083115A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101477752B1 (ko) 자유각 시공이 용이한 방호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JP3015768B2 (ja) 脱出可能な格子状枠組構造体
KR20160148163A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101477754B1 (ko) 볼트공이 없는 무천공형 울타리용 지주
KR20210027775A (ko) 비계시스템
KR102249911B1 (ko) 용접연결유닛이 구비된 데크 난간 기둥
JP2006200164A (ja) 軽金属製手摺
KR20200041147A (ko) 안전바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CN220301924U (zh) 房建工程的建筑围护结构
CN220247821U (zh) 一种施工安全防护围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