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595A -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595A
KR20220082595A KR1020200172638A KR20200172638A KR20220082595A KR 20220082595 A KR20220082595 A KR 20220082595A KR 1020200172638 A KR1020200172638 A KR 1020200172638A KR 20200172638 A KR20200172638 A KR 20200172638A KR 20220082595 A KR20220082595 A KR 20220082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d
antenna
feedback
channe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564B1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17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5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1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를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2 궤환 간섭 제거부; 및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2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relaying}
본 발명은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분할 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채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중계 장치는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서비스 영역 내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무선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재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서비스와 같이 통신이 양방향, 즉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신호가 전달되는 하향(DL; Down Link) 통신과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상향(UL; Up Link)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중화(Duplexing) 방식을 채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데, 대표적인 이중화 방식으로는 주파수분할 이중화(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과 시분할 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단일주파수 전이중화(single frequency full duplex) 방식이 개발되어 종래 시분할 이중화 방식에 비해 주파수효율을 두 배로 향상시킨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채용하는 이동통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주기(T) 내 하향구간(TDL) 동안 기지국이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고 그 신호를 단말기가 수신하며, 한 주기(T) 내 상향구간(TUL) 동안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출하고 그 신호를 기지국이 수신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 진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하향구간(TDL)에서 상향구간(TUL)으로 및/또는 상향구간(TUL)에서 하향구간(TDL)로 넘어가는 경계에 기지국이나 단말기 모두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경계구간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차이가 없으므로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 안테나(11a)와 서비스 안테나(11b), 도너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하향 수신부(12a), 하향 수신부에서 전달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하향 송신부(13a), 서비스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상향 수신부(12b), 상향 수신부에서 전달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상향 송신부(13b), 도너 안테나를 하향 수신부 또는 상향 송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도너 안테나 전환부(14a), 서비스 안테나를 하향 송신부 또는 상향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14b), 그리고 하향구간(TDL)에서는 도너 안테나가 하향 수신부에 연결되도록 도너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고 서비스 안테나가 하향 송신부의 출력을 전달받도록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며, 상향구간(TUL)에서는 서비스 안테나가 상향 수신부에 연결되도록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며 도너 안테나가 상향 송신부의 출력을 전달받도록 도너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동기신호 발생부(15) 등을 구비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 방식 무선 중계 장치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동기신호 발생부의 제어에 따라 도너 안테나 전환부 및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가 제어되어 신호의 전달 방향이 전환되는 원리이므로, 무엇보다도 하향구간(TDL)과 상향구간(TUL)을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에 따라 동기신호를 발생하여야 한다.
과거 하향구간(TDL)과 상향구간(TUL)이 각각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서 신호 전달 방향의 주기성이 명확한 경우에는 양측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 등을 관찰하여 그 주기를 추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적 단순한 장치를 사용해 왔다.
그런데, 데이터 서비스가 중요한 현대의 이동통신 방식은 데이터 전송량 등의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주기(T), 하향구간(TDL) 및 상향구간(TUL)을 변수로 취하여 상황에 따라 기지국에서 그 값을 결정하여 단말기로 전달하므로, 단말기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시점을 결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분할 이중화 방식 무선 중계 장치의 동기신호 발생부도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통신신호에서 정보를 취득하는 전 과정, 즉 역분산(Despreading), 역다중화(Demultiplexing), 채널추정(Channel Estimation), 복호(Decoding)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신표준이 변경되면 이러한 장치를 교환 혹은 수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수신되는 신호가 미약하거나 불안정할 경우 동기신호 발생부가 초기화 과정으로 진입하게 되어 기지국 신호와 정보를 재획득하기까지의 시간 동안 무선 중계 장치는 기능을 멈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너 안테나 전환부와 서비스 안테나 전환부는 신호전달 경로에서 신호의 감쇠나 열화를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72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동기신호 발생부 없이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즉 역분산, 역다중화, 채널추정, 복호 등의 정보 취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주기, 하향구간, 상향구간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된 신호성분 및/또는 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된 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정제된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1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를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2 궤환 간섭 제거부; 및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2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1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2 궤환 간섭 제거부; 및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2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무선 중계 방법은,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제1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궤환 간섭 제거부가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1 송신부가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무선 중계 방법은,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제1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궤환 간섭 제거부가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1 송신부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도너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된 신호성분 및/또는 도너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서비스 수신 안테나로 피드백된 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정제된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를 효율적으로 중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역분산, 역다중화, 채널추정, 복호 등의 정보 취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또한 주기, 하향구간, 상향구간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어, 종래기술에 비해 복잡도를 크게 줄여 경제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시분할 이중화 방식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분할 이중화 방식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수학적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또 다른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처리되는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의 타이밍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100)는, 기지국(제1 무선 통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된 하향신호(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수신 안테나(제1 수신 안테나; ANT1), 도너 수신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하향 수신부(제1 수신부; 110), 하향 수신부(110)에서 전달된 신호성분 중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 및 도너 송신 안테나(ANT4)로부터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는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제1 궤환 간섭 제거부; 115),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에서 전달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하향 송신부(제1 송신부; 120), 하향 송신부(120)에서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출하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제1 송신 안테나; ANT2),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제2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 안테나(제2 수신 안테나; ANT3),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중계할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상향 수신부(제2 수신부; 130), 상향 수신부(130)에서 전달된 신호성분 중 도너 송신 안테나(ANT4) 및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로부터 유입된 간섭을 제거하는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제2 궤환 간섭 제거부; 135),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135)에서 전달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상향 송신부(제2 송신부; 140), 상향 송신부(140)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도너 송신 안테나(제2 송신 안테나; ANT4)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방향으로 향하는 두 개의 안테나, 즉 도너 송신 안테나(ANT4)와 도너 수신 안테나(ANT1)를 구비하고, 단말기 방향(서비스 영역)으로 향하는 두 개의 안테나, 즉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구비하여, 시간을 분할하여 동작하지 않고 항상 기지국과 단말기의 신호를 중계한다. 즉, 도너 수신 안테나(ANT1)는 항상 기지국 신호(하향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는 항상 증폭된 기지국 신호를 송신하며,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는 항상 단말기 신호(상향신호)를 수신하고, 도너 송신 안테나(ANT4)는 항상 증폭된 단말기 신호를 송신한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고, 도너 송신 안테나(ANT4)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된다. 또한, 기지국 방향의 도너 안테나(도너 수신 안테나, 도너 송신 안테나)와 단말기 방향의 서비스 안테나(서비스 수신 안테나, 서비스 송신 안테나)가 가까이 설치될 경우,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다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고,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된 신호의 일부는 다시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된다.
그 결과, 도너 수신 안테나(ANT1)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모두 수신하고,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는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모두 수신하게 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100)는, 도너 수신 안테나(ANT1)을 통해 수신된 신호(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하향 수신부(110)에서 증폭한 후,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신호만 추출하고, 하향 송신부(120)는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에서 전송된 신호(기지국의 하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을 통해 수신된 신호(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상향 수신부(130)에서 증폭한 후,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135)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여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만 추출하고, 상향 송신부(140)는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135)에서 전송된 신호(단말기의 상향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도너 송신 안테나(ANT4)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분할 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에서는 하향신호가 송출되는 하향구간(TDL)동안에는 상향신호가 송출되지 않고 상향신호가 송출되는 상향구간(TUL)동안에는 하향신호가 송출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 제1 실시예에서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 및/또는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135)는 하향신호가 상향신호에 주는 간섭 및/또는 상향신호가 하향신호에 주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 보다는, 물리적으로 형성된 "도너 수신 안테나(ANT1) - 하향 수신부(110) - 하향 송신부(120) -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 -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 상향 수신부(130) - 상향 송신부(140) - 도너 송신 안테나(ANT4)"의 폐루프(Closed Loop)의 루프 증폭도(Loop Gain)를 감소시켜 동작을 안정화하고,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된 하향신호가 바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과 상향 경로(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 상향 수신부(130) -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135) - 상향 송신부(140) - 도너 송신 안테나(ANT4))를 거쳐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을 제거하고,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135)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에서 송출된 상향신호가 바로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과 하향 경로(도너 수신 안테나(ANT1) - 하향 수신부(110) -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 - 하향 송신부(120) -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를 거쳐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로 유입되는 궤환 간섭을 제거하여,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의 품질을 각각 보호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장치를 수학적 모델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GIDL은 하향 수신부의 증폭도이고, GODL은 하향 송신부의 증폭도이며, GIUL은 상향 수신부의 증폭도이고, GOUL은 상향 송신부의 증폭도이다. 그리고, h21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와 도너 수신 안테나(ANT1)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Channel Impulse Response)이고, h41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와 도너 수신 안테나(ANT1)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며, h43은 도너 송신 안테나(ANT4)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고, h23은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와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다. 그리고,
Figure pat00001
DL(t)는 하향 송신부의 입력부터 하향 수신부의 출력까지의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한 추정치(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이고,
Figure pat00002
UL(t)는 상향 송신부의 입력부터 상향 수신부의 출력까지의 채널 임펄스 응답에 대한 추정치(상향 궤환 채널 추정치)이다. 그리고, sDL(t)는 기지국의 송출 신호이고, rDL(t)는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의 입력 신호이며, xDL(t)는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 신호이고, yDL(t)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의 송출 신호이이다. 그리고, sUL(t)는 단말기의 송출 신호이고, rUL(t)는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의 입력 신호이며, xUL(t)는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 신호이고, yUL(t)는 도너 송신 안테나(ANT4)의 송출 신호이이다. 그리고, iDL(t)는 하향 궤환 간섭 신호이고,
Figure pat00003
DL(t)는 하향 수신부 출력의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이며, iUL(t)는 상향 궤환 간섭 신호이고,
Figure pat00004
UL(t)는 상향 수신부 출력의 상향 궤환 간섭 추정치이다. 그리고, δ(t)는 단위 임펄스 함수(Unit Impulse Function)이고, τDL는 하향 수신부의 시간 지연치이며, τUL는 상향 수신부의 시간 지연치이다. 참고로, 본 설명은 서비스에 사용되는 선택된 신호대역에 국한한 것이므로, 대역여파(band-pass filtering) 기능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상 주기(T), 하향구간(TDL) 및 상향구간(TUL)은 각각 일정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이하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신호가 송출되는 하향구간(TDL)동안의 본 발명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하향 송신부(120)에서 송출되는 신호 yDL(t)는 하기 수식 1과 같이 표현되고,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의 출력 xDL(t)는 하기 수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1]
yDL(t) = GODL xDL(t)
[수식 2]
xDL(t) = rDL(t) -
Figure pat00005
DL(t)
그리고, 하향 수신부(110)의 출력 rDL(t)는 하기 수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νDL(t)는 하향 수신부 입력에 대한 열잡음이고, 연산자 *는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자이다.
[수식 3]
rDL(t) = GIDL [sDL(t) + νDL(t) + iDL(t)] * δ(t-τDL)
한편, 하향 궤환 채널에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의 궤환경로 외에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 -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 - 상향 수신부(130) - 상향 궤환 간섭 제거부(135) - 상향 송신부(140) - 도너 송신 안테나(ANT4) -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의 궤환경로가 추가되므로,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hDL(t)는 하기 수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4]
hDL(t) = h21(t) + GIUL GOUL h23(t) * δ(t-τUL) * h41(t)
여기서, 상기 하향 궤환 채널 전체에 대한 추정오차를 εDL(t)라 하면,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에서 추정된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igure pat00006
DL(t)은 하기 수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5]
Figure pat00007
DL(t) = GIDL GODL δ(t-τDL) * [hDL(t) + εDL(t)]
그러므로, 수식 4를 수식 5에 대입하면,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igure pat00008
DL(t)은 하기 수식 6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수식 6]
Figure pat00009
DL(t) = GIDL GODL δ(t-τDL) * [h21(t) + GIUL GOUL δ(t-τUL) * h23(t) * h41(t)] + GIDL GODL δ(t-τDL) * εDL(t)
한편, 하향 궤환 간섭 iDL(t)는 하기 수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에서 추정된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10
DL(t)는 하기 수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7]
iDL(t) = GODL xDL(t) * hDL(t)
[수식 8]
Figure pat00011
DL(t) = xDL(t) *
Figure pat00012
DL(t)
그러므로, 수식 2~3 및 6~8로부터 하향 궤환 간섭 제거부(115)의 출력 xDL(t)는 하기 수식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9]
xDL(t) = GIDL [sDL(t-τDL) + νDL(t-τDL)] - GIDL GODL xDL(t-τDL) * εDL(t)
따라서, 하향 송신부(120)의 출력 yDL(t)는 수식 1 및 9로부터 하기 수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식 10]
yDL(t) = GODL GIDL [sDL(t-τDL) + νDL(t-τDL)] - GIDL G2 ODL xDL(t-τDL) * εDL(t)
상기와 같이 대부분의 궤환 간섭이 제거되어 무선 중계 장치의 증폭도 GODLGIDL 만큼 증폭된 신호와 열잡음, 그리고 추정오차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간섭성분이 송출된다.
상기 수식 1 내지 10은 연속시간(continuous time) 신호 및 시스템으로 표현하였으나, 무선 중계 장치는 서비스 대역이 정해진 대역제한 시스템이므로 궤환 간섭 제거부를 포함한 신호처리의 일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궤환 채널 hpq(t)(여기서 p=2 또는 4, q=1 또는 3)는 전파의 전파경로상에 존재하는 산란체와 반사체 등으로 형성되므로 인과시스템(causal system)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력이 소멸되는 시스템이다. 즉, t<0에서, 그리고 t→Δ 이면 hpq(t) = 0이다. 따라서, 궤환 간섭 제거부를 구현함에 있어서 유효채널구간을 Tpq라 하면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13
pq(t)는 0 < t < Tpq에 대해서만 추정한다. 유효채널구간은 다양한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 > Tpq 동안 |εDL(t)|2 >> |hpq(t)|2 인 Tpq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신호가 송출되는 하향구간(TDL)동안의 본 발명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단말기로부터 상향신호가 송출되는 상향구간(TUL)동안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200)는, 기지국(제1 무선 통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된 하향신호(제1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수신 안테나(제1 수신 안테나; ANT1), 도너 수신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에 적절하게 증폭시키는 제1 저잡음 증폭기(211), 제1 저잡음 증폭기(211)에서 증폭된 신호를 대역 여파기(Band Pass Filter)와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sion)가 처리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천이)시키는 제1 주파수 변환기(212), 제1 주파수 변환기(212)에서 전달된 신호 중 중계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 대역 여파기(213), 제1 대역 여파기(213)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Sampling) 및 양자화(Quantization)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변환기(214), 제1 AD 변환기(214)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하향 궤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A 변환기(216), 제1 DA 변환기(216)에서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 중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제2 대역 여파기(217), 제2 대역 여파기(217)를 통과한 신호를 다시 원래의 수신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제2 주파수 변환기(218), 제2 주파수 변환기(218)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제1 전력 증폭기(219), 제1 전력 증폭기(219)에서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출하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제1 송신 안테나; ANT2) 등을 포함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하향 경로에 대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200)는,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제2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수신 안테나(제2 수신 안테나; ANT3), 서비스 수신 안테나(ANT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에 적절하게 증폭시키는 제2 저잡음 증폭기(231), 제2 저잡음 증폭기(231)에서 증폭된 신호를 대역 여파기와 AD 변환기가 처리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천이)시키는 제3 주파수 변환기(232), 제3 주파수 변환기(232)에서 전달된 신호 중 중계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3 대역 여파기(233), 제3 대역 여파기(233)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 및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변환기(234), 제2 AD 변환기(234)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상향 궤환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제2 디지털 신호 처리기(235), 제2 디지털 신호 처리기(235)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DA 변환기(236), 제2 DA 변환기(236)에서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 중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제4 대역 여파기(237), 제4 대역 여파기(237)를 통과한 신호를 다시 원래의 수신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제4 주파수 변환기(238), 제4 주파수 변환기(238)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제2 전력 증폭기(239), 제2 전력 증폭기(239)에서 증폭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도너 송신 안테나(제2 송신 안테나; ANT4) 등을 포함하여,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상향 경로에 대한 무선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 과정 중 일부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기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가 나누어 처리하거나 어느 한 쪽으로 옮겨 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대역통과필터 기능의 경우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 필터를 사용하는 대역 여파기로 구현되었으나, 또 다른 구현 형태로서 아날로그 필터는 엘리어싱(aliasing) 성분만 제거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서비스 대역을 선택하는 대역여파 처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각 처리 과정에서 시간지연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대역통과필터에서 가장 많은 시간지연이 발생한다.
도 6은 도 5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쳐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의 채널(제1 하향 궤환 채널) 및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치지 않고 바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의 채널(제2 하향 궤환 채널)을 추정하여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14
DL)를 생성하는 제1 채널 추정기(215a), 제1 채널 추정기(215a)에서 추정된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15
DL)에 따라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의 출력(xDL)을 조합하여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16
DL)를 생성하는 제1 선형 조합기(215b), 제1 AD 변환기(214)로부터의 입력 신호(rDL)에서 제1 선형 조합기(215b)에서 추정된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17
DL)를 감산하는 제1 감산기(215c) 등을 포함한다.
이를 상술하면, 제1 AD 변환기(214)는 매 TS 시간간격으로 표본화된 이산시간신호(discrete time signal) rDL(n)을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채널 추정기(215a)는 제1 AD 변환기(214)로부터의 입력 rDL(n), 및 제1 감산기(215c)의 출력 xDL(n)을 기초로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18
DL(n)를 생성하고, 제1 선형 조합기(215b)는 제1 채널 추정기(215a)에서 생성된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19
DL(n)를 가중상수로 이용하여 제1 감산기(215c)로부터의 입력 xDL(n) 및 그 과거 값(xDL(n-1), xDL(n-2), ... )을 조합하여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20
DL(n)을 생성하며, 제1 감산기(215c)는 제1 AD 변환기(214)로부터의 입력 rDL(n)에서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21
DL(n)을 감산하여 xDL(n)을 출력한다.
전치행렬(transpose)을 위첨자 T로, 그리고 켤레전치행렬(conjugate transpose)을 위첨자 H로 나타내어, 상기 처리 과정을 수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감산기(215c)의 출력 xDL(n)은 하기 수식 11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22
DL(n)은 제1 선형 조합기(215b)에서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벡터
Figure pat00023
DL(n)와 입력 벡터 x DL(n)를 연산하여, 예컨대 내적(inner product)을 산출하여 얻을 수 있다.
[수식 11]
xDL(n) = rDL(n) -
Figure pat00024
DL(n)
= rDL(n) -
Figure pat00025
DL H(n)x DL(n)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벡터
Figure pat00026
DL(n)은 하기 수식 12와 같이 크기가 N×1인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입력 벡터 x DL(n)도 마찬가지로 하기 수식 13과 같이 크기가 N×1인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행렬의 길이 N은
Figure pat00027
DL(t)의 유효채널구간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수식 12]
Figure pat00028
DL(n) = [
Figure pat00029
DL.N-1(n)
Figure pat00030
DL.N-2(n) ...
Figure pat00031
DL.0(n)]T
[수식 13]
x DL(n) = [xDL(n-N+1) xDL(n-N+2) ... xDL(n)]T
채널추정기능에 있어서, 궤환 채널은 시변 채널(Time Varying Channel)이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기는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 RLS(Recursive Least Square) 알고리즘, GN(Gauss-Newton) 알고리즘 등의 적응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로 구현되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식 14와 같다.
[수식 14]
Figure pat00032
(n+1) =
Figure pat00033
(n) + Ψ{h(n),α(n),β(n),γ(n)}
여기서, Ψ{h(n),α(n),β(n),γ(n)}은 추정치
Figure pat00034
(n)을 개선하기 위한 조정치로서, α(n)은 입력신호, 즉 rDL(n)과 그 과거 값(rDL(n-1), rDL(n-2), ... )일 수 있고, β(n)은 선형조합에 기여하는 표본, 즉 xDL(n)과 그 과거 값(xDL(n-1), xDL(n-2), ... )일 수 있으며, γ(n)은 오차성분을 포함한 감산결과, 즉 xDL(n)과 그 과거 값(xDL(n-1), xDL(n-2), ...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추정기는 현재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35
(n)를 적용하여 궤환 간섭 성분을 제거한 후 그 결과로서 발생된 오차를 기반으로 현재의 추정치를 조정하여
Figure pat00036
(n+1)을 산출한다.
상기 수식 6을 참고하면, H21, H23 및 H41의 유효채널구간을 각각 T21, T23 및 T41이라고 할 때, 추정하여야 할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37
DL(n)의 길이 NDL은 T21 > T23 + T41 UL일 경우 하기 수식 15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T21 < T23 + T41 UL일 경우 하기 수식 16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수식 15]
(T21 > T23 + T41 UL일 경우)
NDL > (T21 DL)/TS
[수식 16]
(T21 < T23 + T41 UL일 경우)
NDL > (T23 + T41 UL DL)/TS
동일한 방법으로, H43의 유효채널구간을 T43이라 할 때, 상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38
UL(n)의 길이 NUL은 T43 > T41 + T23 DL일 경우 하기 수식 17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T43 < T41 + T23 DL일 경우 하기 수식 18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수식 17]
(T43 > T41 + T23 DL일 경우)
NUL > (T43 UL)/TS
[수식 18]
(T43 < T41 + T23 DL일 경우)
NUL > (T41 + T23 DL UL)/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N은 선형 조합기의 설계요소로서 하나의 값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근접한 공간에 설치되는 안테나 간의 유효채널구간은 동일하게 간주함이 바람직하다. 즉, TH = T21 = T23 = T41 = T43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실제 구현되는 장치는 수식 16 및 18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향 수신부와 하향 수신부의 구성이 동일하게 구현되어 상향 수신부의 시간지연 τDL과 하향 수신부의 시간지연 τUL이 같으면, 즉, τ=τDL UL이면 N은 하기 수식 19와 같이 단순화 될 수 있다.
[수식 19]
N > 2(TH +τ)/TS
도 7은 도 5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또 다른 상세 구성도이다. 참고로, 도 7은 τUL >> TS, τDL >> TS 이고, T21 <<τUL, T43 <<τDL 인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는,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쳐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의 채널(제1 하향 궤환 채널)을 추정하여 제1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39
DL1)를 생성하는 제1 채널 추정기(215a'),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치지 않고 바로 도너 수신 안테나(ANT1)로 유입되는 궤환 경로의 채널(제2 하향 궤환 채널)을 추정하여 제2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40
DL2)를 생성하는 제2 채널 추정기(215a"),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의 출력(xDL)을 제1 지연시간(τDL1)동안 지연시키는 제1 지연기(215d'),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의 출력(xDL)을 제2 지연시간(τDL2)동안 지연시키는 제2 지연기(215d"), 제1 채널 추정기(215a')에서 추정된 제1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41
DL1)에 따라 제1 지연기(215d')에서 출력된 신호를 조합하여 제1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42
DL1)를 생성하는 제1 선형 조합기(215b'), 제2 채널 추정기(215a")에서 추정된 제2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43
DL2)에 따라 제2 지연기(215d")에서 출력된 신호를 조합하여 제2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DL2)를 생성하는 제2 선형 조합기(215b"), 제1 AD 변환기(214)로부터의 입력 신호(rDL)에서 제1 선형 조합기(215b')에서 추정된 제1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46
DL1)를 감산하는 제1 감산기(215c'), 제1 감산기(215c')로부터의 입력 신호(rDL -
Figure pat00047
DL1)에서 제2 선형 조합기(215b")에서 추정된 제2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
Figure pat00048
DL2)를 감산하는 제2 감산기(215c")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채널 추정기(215a', 215a"), 제1 및 제2 선형 조합기(215b', 215b"), 제1 및 제2 감산기(215c', 215c")의 구체적 동작은 전술한 도 6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의 제1 채널 추정기(215a), 제1 선형 조합기(215b), 제1 감산기(215c)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부연 설명한다.
도 7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에서는 도 6의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215)와 달리 하향 궤환 경로를 상향 경로를 거치는 제1 하향 궤환 경로와 상향 경로를 거치지 않는 제2 하향 궤환 경로로 구분하여 처리함에 따라, 상기 수식 4의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hDL(t)는 하기 수식 20 및 21과 같이 제1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hDL1(t)과 제2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hDL2(t)로 구분될 수 있다.
[수식 20]
hDL1(t) = GIUL GOUL h23(t) * δ(t-τUL) * h41(t)
[수식 21]
hDL2(t) = h21(t)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식 5의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igure pat00049
DL(t)은 하기 수식 22 및 23과 같이 제1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igure pat00050
DL1(t)와 제2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igure pat00051
DL2(t)로 구분될 수 있다.
[수식 22]
Figure pat00052
DL1(t) = GIDL GODL δ(t-τDL) * [hDL1(t) + εDL1(t)]
= GIDL GODL GIUL GOUL δ(t-τDLUL) * h23(t) * h41(t) + GIDL GODL δ(t-τDL) * εDL1(t)
[수식 23]
Figure pat00053
DL2(t) = GIDL GODL δ(t-τDL) * [hDL2(t) + εDL2(t)]
= GIDL GODL δ(t-τDL) * h21(t) + GIDL GODL δ(t-τDL) * εDL2(t)
그러므로, 제1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벡터
Figure pat00054
DL1(n)은 상기 수식 22의 제1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igure pat00055
DL1(t)에 대한 이산시간 추정치 벡터가 될 수 있으며, 제2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벡터
Figure pat00056
DL2(n)은 상기 수식 23의 제2 하향 궤환 채널의 임펄스 응답 추정치
Figure pat00057
DL2(t)에 대한 이산시간 추정치 벡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연기(215d')의 제1 지연시간(τDL1) 및 제2 지연기(215d")의 제2 지연시간(τDL2)은 하기 수식 2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식 24]
τDL1 = (MDL + MUL)TS
τDL2 = MDL TS
여기서, MDL은 및 MUL 은 하기 수식 25를 만족하는 정수로 결정될 수 있다.
[수식 25]
τDL > MDL TS
τUL > MUL TS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Figure pat00058
m(n))는 값이 항상 0인 원소가 존재하며, 이는 기억소자를 사용한 제1 지연기(215d') 및/또는 제2 지연기(215d")를 사용하여 제2 감산기(215c")의 출력 xDL(n)을 지연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0인 원소에 대한 채널추정은 필요 없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선형 조합기(215b', 215b")에서도 별도의 연산이 필요 없으므로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제1 지연기(215d') 및 제2 지연기(215d")가 각각 τDL1 및 τDL2 동안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하였으나, 제2 지연기(215d")가 먼저 τDL2 동안 지연시키고 제1 지연기(215d')는 제2 지연기(215d")의 출력을 τDL1 DL2 동안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만약 서비스 송신 안테나(ANT2)와 도너 수신 안테나(ANT1)이 충분히 이격되어 있거나 그 사이에 전파손실이 큰 구조물이 있어서 h21(t)의 값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
Figure pat00059
21(t)의 처리와 관련된 제2 채널 추정기(215a"), 제2 선형 조합기(215b"), 제2 감산기(215c"), 제2 지연기(215d")는 생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하향 경로에 존재하는 제1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상향 경로에 존재하는 제2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중계 장치로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1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를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2 궤환 간섭 제거부; 및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2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2. 무선 중계 장치로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1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1 신호를 상기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거하는 제2 궤환 간섭 제거부; 및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제2 신호를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송신부의 증폭도,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및 상기 제1 수신부의 증폭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송신부의 증폭도,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와 상기 제2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상기 제2 수신 안테나에서 상기 제2 수신부,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 상기 제2 송신부를 거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로 연결되는 채널,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및 상기 제1 수신부의 증폭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쳐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1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1 채널 추정기;
    상기 제1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1 선형 조합기; 및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제1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쳐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1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2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1 채널 추정기;
    상기 제1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1 선형 조합기; 및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제1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추정기는 상기 제1 감산기에서 출력된 신호, 또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 및 상기 제1 감산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적응형 필터(Adaptive Filt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쳐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1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제1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1 채널 추정기;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2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제2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2 채널 추정기;
    상기 제1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제1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1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1 선형 조합기;
    상기 제2 채널 추정기에서 추정된 제2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2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제2 선형 조합기;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제1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제1 감산기; 및
    상기 제1 감산기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제2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제2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을 제1 지연시간동안 지연시켜 상기 제1 선형 조합기로 전달하는 제1 지연기;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의 출력을 제2 지연시간동안 지연시켜 상기 제2 선형 조합기로 전달하는 제2 지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장치.
  10. 무선 중계 방법으로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제1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궤환 간섭 제거부가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1 송신부가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쳐 다시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1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제2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궤환 간섭 제거부가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2 송신부가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방법.
  13. 무선 중계 방법으로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제1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1 궤환 간섭 제거부가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1 송신부가 상기 제1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쳐 다시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1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 및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상향 경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로 유입되는 제2 하향 궤환 경로의 채널을 추정하여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하향 궤환 채널 추정치 및 상기 제1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상기 하향 궤환 간섭 추정치를 감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제2 수신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안테나에서 송출되어 피드백된 신호를 제2 궤환 간섭 제거부가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궤환 간섭 제거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2 송신부가 상기 제2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 방법.
KR1020200172638A 2020-12-10 2020-12-10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41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38A KR102417564B1 (ko) 2020-12-10 2020-12-10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38A KR102417564B1 (ko) 2020-12-10 2020-12-10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95A true KR20220082595A (ko) 2022-06-17
KR102417564B1 KR102417564B1 (ko) 2022-07-06

Family

ID=8226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38A KR102417564B1 (ko) 2020-12-10 2020-12-10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5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09B1 (ko) 2004-12-21 2007-03-20 (주)에프알텍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KR20090046094A (ko) * 2007-11-05 2009-05-11 주식회사 쏠리테크 와이브로 중계기에서의 피드백 채널 간섭제거장치 및 그방법, 이를 구비한 중계기
KR101902970B1 (ko) * 2014-04-07 2018-10-02 주식회사 쏠리드 다중 안테나 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09B1 (ko) 2004-12-21 2007-03-20 (주)에프알텍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KR20090046094A (ko) * 2007-11-05 2009-05-11 주식회사 쏠리테크 와이브로 중계기에서의 피드백 채널 간섭제거장치 및 그방법, 이를 구비한 중계기
KR101902970B1 (ko) * 2014-04-07 2018-10-02 주식회사 쏠리드 다중 안테나 중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564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577B1 (ko) 간섭 제거형 무선 중계기
US864941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879334B1 (ko) 초소형 일체형 간섭 제거 무선중계 장치 및 그 방법
JP463850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無線中継装置及びその中継方法
EP2194663A2 (en) Radio relay device and method
KR101301298B1 (ko) 전이중 방식의 무선 중계기 및 그의 전자기파 수준의 간섭 제거 방법
JP5935007B2 (ja) 無線中継システム
WO2008004916A1 (en) Multi-antenna relay with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KR20080081029A (ko) 원격 통신 시스템 내의 간섭 제거
CN110868235A (zh) 一种自适应干扰抵消控制装置、系统及方法
KR101040671B1 (ko) 무선 통신 환경에서 ics 중계기를 위한 적응형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957619B1 (ko) Mimo 통신방식용 무선중계기
KR102417564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34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33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63345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417563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080104560A (ko) 채널 추정 방식을 이용한 무선 간섭 제거 중계기 구조 및이를 이용한 간섭 제거 방법
KR102382689B1 (ko) 대역내 전이중 mimo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354541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及び回り込みキャンセル方法
KR20090022995A (ko)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반향신호 제거 및 에코채널 추정시스템
JP5521201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及び回り込みキャンセル方法
WO2002054628A1 (en) Broadband wireless repeater using the beamforming techniqu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service
CN210629484U (zh) 一种自适应干扰抵消控制装置及无线同频中继系统
JP5527604B2 (ja) 回り込みキャンセラ、及び回り込みキャンセル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