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306A -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306A
KR20220082306A KR1020200172079A KR20200172079A KR20220082306A KR 20220082306 A KR20220082306 A KR 20220082306A KR 1020200172079 A KR1020200172079 A KR 1020200172079A KR 20200172079 A KR20200172079 A KR 20200172079A KR 20220082306 A KR20220082306 A KR 20220082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s
worker
schedule
matching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르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르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르고
Priority to KR102020017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306A/ko
Publication of KR2022008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업체로부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 단계,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1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 제1 업체에 매칭된 복수의 제1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를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단계, 제2 업체로부터 제2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 단계, 갱신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작업자의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2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WORKER THROUGH SCHEDULE CONVERSION}
본 발명은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인 업체는 원하는 조건정보 즉, 업무분야, 요구조건, 급여, 근무조건, 시간 등을 등록한 후, 접수된 이력서를 통해 지원한 구직 인력들과 오프라인 상에서의 면접을 수행하여 채용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구인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직 인력은 원하는 조건에 부합되는 구인 업체를 선정하여 이력서를 제출하고, 면접을 요청하는 구인 업체와의 면접에 응하는 것에 의해 구직 활동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구인구직 시스템과는 달리, 건설 업계에서의 구인구직은 공사 기간 단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특정 공사 현장에 투입되게 되면, 해당 공사의 일정 동안은 다른 공사 현장에 투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건설 업체 실무 상 공사 일정이 확정적이지 않고, 인력을 더 투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공사 마감일을 유동적으로 앞당겨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공사 마감일이 앞당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는 해당 공사의 일정에 대해서 고정된 상태이므로 다른 공사 현장에 투입될 수가 없다. 즉, 공사 일정의 변경에 따라 작업자의 스케줄이 조정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작업자들이 스케줄 조정을 통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음에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작업자의 풀이 줄어들어 건설 업체는 공사 현장에 필요한 작업자를 투입시키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8886호, 2016.02.1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에 있어서, 제1 업체로부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 단계,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1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 제1 업체에 매칭된 복수의 제1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를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단계, 제2 업체로부터 제2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 단계, 갱신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작업자의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2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 정보는 매칭 가능일, 매칭 불가능일 및 협의 가능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 중에서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1-1 작업자) 또는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1-2 작업자)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작업자 중에서, 상기 제1-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고, 상기 제1-2 작업자를 하위 순위에 정렬하여 생성된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 중에서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종 일정은 협의 가능일로 변환하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불가능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2-1 작업자) 또는 상기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2-2 작업자)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작업자 중에서, 상기 제2-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고, 상기 제2-2 작업자를 하위 순위에 정렬하여 생성된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조작업자가 한 명 이상인 경우, 보조작업자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보조작업자를 제1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조작업자가 한 명 이상인 경우, 보조작업자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보조작업자를 제2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는, 통신부, 일정 변환을 통해 작업자를 매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비한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업체로부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 요청을 수신하면,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제1 복수의 작업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복수의 작업자를 제1 업체에 매칭하고, 제1 업체에 매칭된 제1 복수의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를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 업체로부터 제2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 요청을 수신하면, 갱신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작업자의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제2 복수의 작업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2 복수의 작업자를 제2 업체에 매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장치,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업체와 매칭되면, 공사 일정의 마지막날(최종 일정)을 협의 가능일로 변환하여 작업자의 스케줄을 갱신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가능한 일정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업체의 경우 보다 폭 넓은 작업자 선택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경우 보다 많은 공사 현장에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업체와 제1 작업자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매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제1 업체와의 매칭에 따라 제1 작업자의 일정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제2 업체와 제2 작업자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매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업체와 제1 작업자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매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제1 업체와의 매칭에 따라 제1 작업자의 일정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제2 업체와 제2 작업자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매칭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이하, 작업자 매칭 장치)(10), 업체 단말기(20), 작업자 단말기(30)와 통신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에서 발명의 주체는 컴퓨터가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작업자 매칭 장치(10)가 수행 주체가 될 수 있다.
작업자 매칭 장치(10)는 건설 업체와 작업자를 매칭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또는 회사의 서버 장치를 의미한다.
즉, 작업자 매칭 장치(10)가 이전 매칭된 건설 업체의 공사 일정에 맞게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를 변환하고, 변환된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 다른 건설 업체와의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회사는 건설 업체에게는 구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작업자에게는 구직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작업자 매칭 장치(10)는 건설 업체와 작업자를 매칭하기 위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 매칭 장치(10)는 통신부(12), 메모리(14) 및 제어부(16)를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를 통해 시스템(1)의 각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만, 작업자 매칭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는 작업자 매칭 장치(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작업자 매칭 장치(10)와 업체 단말기(20) 사이, 또는 작업자 매칭 장치(10)와 작업자 단말기(3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는 작업자 매칭 장치(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작업자 매칭 장치(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작업자 매칭 장치(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작업자 매칭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작업자 매칭 장치(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에 저장되고, 작업자 매칭 장치(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6)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 매칭 장치(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작업자 매칭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메모리(14)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작업자 매칭 장치(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업체 단말기(20)는 구인을 희망하는 건설 업체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건설 업체(구체적으로, 건설 업체의 구인 담당자 또는 공사 담당자)는 업체 단말기(20)에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업체는 구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업체 단말기(20)를 통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거나 회원 가입을 진행한다.
건설 업체는 회원가입 시 업체의 이름, 연락처, 위치 등과 같은 업체 정보 등을 입력하여 가입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건설 업체는 이후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건설 업체는 공사를 수주받게 되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공사 일정, 공사 지역, 필요 인원수 등과 같은 공사 정보를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건설 업체는 수주받는 공사별로 적합한 작업자들을 매칭받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업체 단말기(20)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와 같은 프로세서, 카메라와 같은 촬영 수단,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즉,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서버 등과 같은 디바이스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작업자 단말기(30)는 구직을 희망하는 작업자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30)에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는 구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작업자 단말기(30)를 통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거나 회원 가입을 진행한다.
작업자는 회원가입 시 본인의 이름, 연락처, 거주 지역 등과 같은 작업자 정보 등을 입력하여 가입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이후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여 매칭된 건설 업체의 공사 일정을 확인하고, 공사에 투입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작업자 단말기(30)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와 같은 프로세서, 카메라와 같은 촬영 수단,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즉,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서버 등과 같은 디바이스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통신망(40)은 작업자 매칭 장치(10), 업체 단말기(20) 및 작업자 단말기(30) 간의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통신부(12), 메모리(14) 및 제어부(16)를 포함하는 작업자 매칭 장치(10)가 작업자의 일정 변환을 통해 건설 업체와 작업자를 매칭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에서 작업자 매칭 장치(10)가 업체(제1 업체 및 제2 업체) 및 작업자(제1 작업자 및 제2 작업자)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업체 단말기(제1 업체 단말기 및 제2 업체 단말기)(20) 및 작업자 단말기(제1 작업자 단말기 및 제2 작업자 단말기)(30)가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제1 업체로부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다(S110).
제1 업체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공사 일정을 입력하여 작업자 매칭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제1 업체가 수주한 공사의 일정이 7월 11일부터 7월 13일까지라면, 제1 업체는 7월 11일, 12일, 13일을 지정하여 해당 기간 동안 작업이 가능한 작업자들에 대한 매칭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한다(S120).
제어부(16)는 비교 결과에 따라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1 작업자를 추출한다(S130).
여기서, 전체 작업자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가입하여 구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서, 전체 작업자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작업자 풀(pool)에 포함되게 된다.
여기서, 스케줄 정보는 매칭 가능일, 매칭 불가능일 및 협의 가능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스케줄 정보는 한 달 단위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주 단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매칭 가능일은 작업자가 아직 어떤 업체의 공사 일정에 매칭되지 않아 작업이 가능한 날짜를 의미한다.
매칭 불가능일은 작업자가 이미 어떤 업체의 공사 일정에 매칭되어 작업이 불가능한 날짜를 의미한다.
협의 가능일은 작업자가 이미 어떤 업체의 공사 일정에 매칭되었지만, 해당 공사 일정의 마지막날로서 일정 조정 가능성이 있는 날짜를 의미한다.
작업자 풀에 포함된 전체 작업자들은 각각 스케줄이 다르다. 즉, 작업자별로 매칭 가능일, 매칭 불가능일, 협의 가능일이 각각 다르다.
도 5a를 참조하면, 작업자 A는 7월달에 두 개의 공사 현장에 매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작업자 A는 7월 3일부터 5일까지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고, 7월 23일부터 26일까지 또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다.
이때, 주말 및 3일, 4일, 5일, 23일, 24일, 25일, 26일을 제외한 나머지 날짜는 작업자 A의 매칭 가능일이다. 그리고, 3일, 4일, 23일, 24일, 25일은 작업자 A의 매칭 불가능일이다. 그리고, 각 공사 일정의 최종 일정(마지막날)인 5일, 26일은 작업자 A의 협의 가능일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작업자 B는 7월달에 두 개의 공사 현장에 매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작업자 B는 7월 9일부터 11일까지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고,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또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다.
이때, 주말 및 9일, 10일, 11일, 17일, 18일, 19일, 20일을 제외한 나머지 날짜는 작업자 B의 매칭 가능일이다. 그리고, 9일, 10일, 17일, 18일, 19일은 작업자 B의 매칭 불가능일이다. 그리고, 각 공사 일정의 최종 일정(마지막날)인 11일, 20일은 작업자 B의 협의 가능일이다.
이렇게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 비교 및 확인을 수행하여, 제어부(16)는 스케줄 정보 중에서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1-1 작업자) 또는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1-2 작업자)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제1 업체로부터 입력된 제1 공사 일정이 7월 11일, 12일, 13일이면, 제어부(16)는 전체 작업자 중에서, 11일, 12일, 13일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제1-1 작업자 또는 11일은 협의 가능일이고 12일, 13일은 매칭 가능일인 제1-2 작업자만을 추출한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작업자 A는 11일, 12일, 13일 전부가 매칭 가능일이므로 제1 공사 일정에 매칭되고(즉, 작업자 A는 제1-1 작업자로 추출됨), 작업자 B는 11일은 협의 가능일이고 12일, 13일은 매칭 가능일이므로 제1 공사 일정에 매칭된다(즉, 작업자 B는 제1-2 작업자로 추출됨).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복수의 제1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한다(S140).
제어부(16)는 S130에서 추출된 복수의 제1 작업자들을 리스트업하여 제1 매칭 리스트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는 복수의 제1 작업자 중에서, 제1-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고, 제1-2 작업자를 하위 순위에 정렬하여 제1 매칭 리스트를 생성한다.
제1 공사 일정 중 최초 일정이 협의 가능일인 제1-2 작업자보다, 제1 공사 일정 전체가 매칭 가능일인 제1-1 작업자가 해당 공사 현장에 변수 없이 투입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에 제1-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업체에 5명의 제1 작업자가 매칭되었다. 이때, 작업자 A, C 및 D는 제1 공사 일정, 즉 11일, 12일, 13일 전체가 매칭 가능일이므로 상위 순위에 정렬되었고(제1-1 작업자), 작업자 B 및 E는 11일이 협의 가능일이고 12일, 13일이 매칭 가능일이므로 하위 순위에 정렬되었다(제1-2 작업자).
이때, 제1-1 작업자인 작업자 A, C 및 D 간의 순위와, 제1-2 작업자인 작업자 B 및 E 간의 순위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거주 지역과 공사 지역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거리가 가까운 작업자가 더 높은 순위에 정렬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의 경력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경력이 더 높은 작업자가 더 높은 순위에 정렬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5명의 제1 작업자가 매칭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작업자가 매칭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1 매칭 리스트는 제1 업체에게 제공된다. 제1 업체는 제1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작업자를 전부 선택하여 공사 현장에 투입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제1 작업자 중에서 (필요 인원수에 맞춰) 일부만 선택하여 공사 현장에 투입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는 제1 업체에 매칭된 복수의 제1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를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한다(S150).
구체적으로, 제어부(16)는 스케줄 정보 중에서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종 일정은 협의 가능일로 변환하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불가능일로 변환한다.
제1 공사 일정이 예상보다 빨리 끝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최종 일정을 협의 가능일로 변환하고, 최종 일정을 제외한 나머지 일정은 확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매칭 불가능일로 변환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 즉 11일, 12일, 13일이 매칭 가능일이었던 작업자 A의 일정은, 도 7a와 같이, 11일, 12일은 매칭 불가능일로 변환되고, 최종 일정인 13일은 협의 가능일로 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인 11일이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인 12일, 13일이 매칭 가능일이었던 작업자 B의 일정은, 도 7b와 같이, 11일, 12일은 매칭 불가능일로 변환되고, 최종 일정인 13일은 협의 가능일로 변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제2 업체로부터 제2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다(S160).
제2 업체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공사 일정을 입력하여 작업자 매칭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제2 업체가 수주한 공사의 일정이 7월 13일부터 7월 18일까지라면, 제2 업체는 7월 13일, 16일, 17일, 18일, 지정하여 해당 기간 동안 작업이 가능한 작업자들에 대한 매칭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업체는 상기 제1 업체와 다른 건설 업체를 의미하지만, 제2 업체의 제2 공사 일정과 제1 업체의 제1 공사 일정은 일부가 겹칠 수도 있고, 또는 겹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는 갱신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작업자의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한다(S170).
제어부(16)는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2 작업자를 추출한다(S180).
여기서, 제2 작업자는 제2 업체에 매칭되는 작업자로서, 추출된 복수의 제2 작업자 중에는 제1 업체에 매칭됐던 제1 작업자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체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는 매칭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제어부(16)는 각 작업자마다 갱신되는 스케줄 정보를 반영하여 제2 공사 일정과 비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는 스케줄 정보 중에서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2-1 작업자) 또는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2-2 작업자)를 추출한다.
S160에서 갱신된 결과에 따라, 도 8a를 참조하면, 작업자 A는 7월달에 세 개의 공사 현장에 매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작업자 A는 7월 3일부터 5일까지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고,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또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고(제1 업체와 매칭된 공사 일정), 7월 23일부터 26일까지 또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다.
이때, 주말 및 3일, 4일, 5일, 11일, 12일, 13일, 23일, 24일, 25일, 26일을 제외한 나머지 날짜는 작업자 A의 매칭 가능일이다. 그리고, 3일, 4일, 11일, 12일, 23일, 24일, 25일은 작업자 A의 매칭 불가능일이다. 그리고, 각 공사 일정의 최종 일정(마지막날)인 5일, 13일, 26일은 작업자 A의 협의 가능일이다.
S160에서 갱신된 결과에 따라, 도 8b를 참조하면, 작업자 B는 7월달에 세 개의 공사 현장에 매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작업자 B는 7월 9일부터 11일까지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고,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또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고(제1 업체와 매칭된 공사 일정),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또 하나의 공사 일정이 잡혀있다.
이때, 주말 및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7일, 18일, 19일, 20일을 제외한 나머지 날짜는 작업자 B의 매칭 가능일이다. 그리고, 9일, 10일, 11일, 12일, 17일, 18일, 19일은 작업자 B의 매칭 불가능일이다. 그리고, 각 공사 일정의 최종 일정(마지막날)인 13일, 20일은 작업자 B의 협의 가능일이다. 이때, 11일도 첫 번째 공사 일정(9일부터 11일)의 최종 일정(마지막날)이긴 하지만, 이는 두 번째 공사 일정(11일부터 13일)의 최초 일정(첫날)이기도 하기 때문에, 11일은 매칭 불가능일로 변환된 것이다. 이는, 첫 번째 공사 일정(9일부터 11일)보다 두 번째 공사 일정(11일부터 13일)이 뒤에 매칭되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 비교 및 확인을 수행하여, 제어부(16)는 스케줄 정보 중에서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제2-1 작업자) 또는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제2-2 작업자)를 추출한다.
일 예로, 제2 업체로부터 입력된 제2 공사 일정이 7월 13일, 16일, 17일, 18일이면, 제어부(16)는 전체 작업자 중에서, 7월 13일, 16일, 17일, 18일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제2-1 작업자 또는 13일은 협의 가능일이고 16일, 17일, 18일은 매칭 가능일인 제2-2 작업자만을 추출한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작업자 A는 13일은 협의 가능일이고 16일, 17일, 18일은 매칭 가능일이므로 제2 공사 일정에 매칭되고(즉, 작업자 A는 제2-2 작업자로 추출됨), 작업자 B는 13일이 협의 가능일이긴 하지만, 17일, 18일이 다른 업체의 공사 일정에 매칭되어 있어 매칭 불가능일이므로 제2 공사 일정에 매칭되지 않는다(즉, 작업자 B는 추출되지 않음).
다른 예로, 제2 업체로부터 입력된 제2 공사 일정이 7월 20일, 23일, 24일이면, 제어부(16)는 전체 작업자 중에서, 7월 20일, 23일, 24일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제2-1 작업자 또는 20일은 협의 가능일이고 23일, 24일은 매칭 가능일인 제2-2 작업자만을 추출한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작업자 A는 20일이 매칭 가능일이긴 하지만, 23일, 24일이 다른 업체의 공사 일정에 매칭되어 있어 매칭 불가능일이므로 제2 공사 일정에 매칭되지 않고(즉, 작업자 A는 추출되지 않음), 작업자 B는 20일은 협의 가능일이고 23일, 24일은 매칭 가능일이므로 제2 공사 일정에 매칭된다(즉, 작업자 B는 제2-2 작업자로 추출됨).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는 복수의 제2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한다(S190).
제어부(16)는 S180에서 추출된 복수의 제2 작업자들을 리스트업하여 제2 매칭 리스트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는 복수의 제2 작업자 중에서, 제2-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고, 제2-2 작업자를 하위 순위에 정렬하여 제2 매칭 리스트를 생성한다.
제2 공사 일정 중 최초 일정이 협의 가능일인 제2-2 작업자보다, 제2 공사 일정 전체가 매칭 가능일인 제2-1 작업자가 해당 공사 현장에 변수 없이 투입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에 제2-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업체로부터 입력된 제2 공사 일정이 7월 13일, 16일, 17일, 18일인 경우, 제2 업체에 4명의 제2 작업자가 매칭되었다. 이때, 작업자 H, F, G는 제2 공사 일정, 즉 13일, 16일, 17일, 18일 전체가 매칭 가능일이므로 상위 순위에 정렬되었고(제2-1 작업자),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A는 13일이 협의 가능일이고 16일, 17일, 18일이 매칭 가능일이므로 하위 순위에 정렬되었다(제2-2 작업자).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B는 제2-1 작업자도 아니고 제2-2 작업자도 아니므로,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때, 제2-1 작업자인 작업자 H, F 및 G 간의 순위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거주 지역과 공사 지역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거리가 가까운 작업자가 더 높은 순위에 정렬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의 경력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경력이 더 높은 작업자가 더 높은 순위에 정렬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업체로부터 입력된 제2 공사 일정이 7월 20일, 23일, 24일인 경우, 제2 업체에 4명의 제2 작업자가 매칭되었다. 이때, 작업자 M, N, I는 제2 공사 일정, 즉 20일, 23일, 24일 전체가 매칭 가능일이므로 상위 순위에 정렬되었고(제2-1 작업자),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B는 20일이 협의 가능일이고 23일, 24일이 매칭 가능일이므로 하위 순위에 정렬되었다(제2-2 작업자).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A는 제2-1 작업자도 아니고 제2-2 작업자도 아니므로,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때, 제2-1 작업자인 작업자 작업자 M, N 및 I 간의 순위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거주 지역과 공사 지역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거리가 가까운 작업자가 더 높은 순위에 정렬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의 경력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경력이 더 높은 작업자가 더 높은 순위에 정렬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명의 제2 작업자가 매칭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작업자가 매칭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전 매칭 결과에 따라 갱신되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이후 매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건설 업체(제1 업체와 제2 업체)의 공사 일정이 앞뒤로 하루씩 겹치는 경우, 작업자는 제1 업체와도 매칭이 되고, 제2 업체와도 매칭이 되게 함으로써, 건설 업체의 입장에서 구인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작업자의 입장에서 구직 횟수가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2 매칭 리스트는 제2 업체에게 제공된다. 제2 업체는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작업자를 전부 선택하여 공사 현장에 투입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제12 작업자 중에서 (필요 인원수에 맞춰) 일부만 선택하여 공사 현장에 투입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공사 일정을 다른 매칭 기준과 결합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 기준은 보조작업자 여부, 작업 가능 지역, 매칭 승낙 여부, 평가 점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매칭 기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로, 제어부(16)는 공사 일정을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 여부와 결합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반장 작업자인 경우를 고려하여 매칭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반장 작업자는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를 데리고 있는 작업자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16)는 업체와 매칭된 작업자가 반장 작업자인지, 즉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반장 작업자의 매칭을 확정할지, 취소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작업자 A, B가 매칭되었고, 이때 작업자 A가 반장작업자이고, 작업자 B는 일반작업자인 경우를 가정했을 때, 매칭을 요청한 업체가 매칭 요청 시 '반장작업자 제외'를 입력했다면, 제어부(16)는 반장작업자인 작업자 A를 제외하고 작업자 B만을 매칭 확정하여 매칭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반면에, 매칭을 요청한 업체가 매칭 요청 시, '반장작업자 상관없음'을 입력했다면, 제어부(16)는 반장작업자인 작업자 A와 일반작업자인 작업자 B를 매칭 확정하여 매칭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매칭 리스트에 반장작업자와 일반작업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반장작업자에 속한 보조작업자의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작업자의 매칭 리스트에서의 제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6)는 제1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작업자가 반장작업자인지 일반작업자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 매칭 리스트에 작업자 A, B, C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 A가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가 2명 있는 것을 확인하면, 3명의 제1 작업자 중 작업자 A가 반장작업자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보조작업자가 한 명 이상인 경우, 보조작업자의 스케줄 정보와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보조작업자를 제1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반장작업자인 작업자 A와, 일반작업자인 작업자 B, C는 제1 매칭 리스트에 그대로 포함되는 것이고, 작업자 A에 속한 2명의 보조작업자에 대해서 스케줄 정보를 제1 공사 일정과 비교하는 것이다.
제어부(16)는 2명의 보조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스케줄 정보 중에서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지 또는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보조작업자 a가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이고, 보조작업자 b가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하루라도 매칭 불가능일이라면, 제어부(16)는 보조작업자 b를 제1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하고, 보조작업자 a는 제1 매칭 리스트에 그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매칭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1 작업자는 작업자 A, B, C와, 작업자 A에 속한 1명의 보조작업자, 총 4명이 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작업자가 반장작업자인지 일반작업자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2 매칭 리스트에 작업자 A, B, C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 A가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가 3명 있는 것을 확인하면, 3명의 제2 작업자 중 작업자 A가 반장작업자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보조작업자가 한 명 이상인 경우, 보조작업자의 스케줄 정보와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보조작업자를 제2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반장작업자인 작업자 A와, 일반작업자인 작업자 B, C는 제2 매칭 리스트에 그대로 포함되는 것이고, 작업자 A에 속한 3명의 보조작업자에 대해서 스케줄 정보를 제2 공사 일정과 비교하는 것이다.
제어부(16)는 3명의 보조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스케줄 정보 중에서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지 또는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보조작업자 a가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이고, 보조작업자 b가 제2 공사 일정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이고, 보조작업자 c가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하루라도 매칭 불가능일이라면, 제어부(16)는 보조작업자 c를 제2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하고, 보조작업자 a, b는 제2 매칭 리스트에 그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 작업자는 작업자 A, B, C와, 작업자 A에 속한 2명의 보조작업자, 총 5명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제어부(16)는 공사 일정을 작업자의 작업 가능 지역(거주 지역)과 결합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작업자 중에서 업체가 입력한 공사 지역과 동일한 지역에 위치하는 작업자를 우선적으로 추출하여, 지역으로 추출된 작업자 중에서 공사 일정 비교를 통한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가 공사 지역을 강남으로 입력하면, 제어부(16)는 전체 작업자 중에서, 서울 남부권에 거주하는 작업자를 추출하고, 이들 중에서 공사 일정에 맞는 작업자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전체 작업자 중에서 공사 일정에 맞는 작업자를 우선 추출하고, 이들 중에서 강남에서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순서대로 작업자를 정렬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제어부(16)는 공사 일정을 매칭 승낙 여부와 결합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 및 업체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포트폴리오 사진 등과 같은 경력 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제어부(16)가 공사 일정에 따라 업체와 작업자를 매칭하면, 업체와 작업자는 각각 매칭된 작업자와 업체의 경력 정보를 확인하여 맘에 들면 매칭 승낙을 할 수 있다. 업체와 작업자 모두로부터 매칭 승낙을 입력받으면, 제어부(16)는 매칭을 확정할 수 있게 된다.
네 번째로, 제어부(16)는 공사 일정을 평가 점수와 결합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 및 업체는 각각 다양한 평가 항목(예를 들어, 10개 항목)을 기준으로 서로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평가 결과는 별점 또는 추천점수로 수치화된다. 제어부(16)는 전체 작업자 중에서 공사 일정에 맞는 작업자를 우선 추출하고, 이들 중에서 별점이 높거나 추천점수가 많은 순서대로 작업자를 정렬할 수 있다.
이때, 평가 항목 중 기술평가와 같은 주관적 평가는 유료 서비스로 제공되어, 결제 시 객관적인 별점 또는 추천점수뿐만 아니라, 주관적 평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관적 평가를 확인하여 작업자 및 업체는 매칭 승낙을 결정할 수 있어, 서로에게 만족도 높은 매칭이 가능하다.
도 3은 단계 S110 내지 단계 S19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110 내지 단계 S19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시스템
10: 작업자 매칭 장치
12: 통신부
14: 메모리
16: 제어부
20: 업체 단말기
30: 작업자 단말기
40: 통신망

Claims (10)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업체로부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 단계;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1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
    제1 업체에 매칭된 복수의 제1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를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단계;
    제2 업체로부터 제2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을 요청받는 단계;
    갱신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작업자의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복수의 제2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작업자를 포함하는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 정보는 매칭 가능일, 매칭 불가능일 및 협의 가능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 중에서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1-1 작업자) 또는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1-2 작업자)를 추출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작업자 중에서, 상기 제1-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고, 상기 제1-2 작업자를 하위 순위에 정렬하여 생성된 제1 매칭 리스트를 제1 업체에게 제공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 중에서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종 일정은 협의 가능일로 변환하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불가능일로 변환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전부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2-1 작업자) 또는 상기 제2 공사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중 최초 일정은 협의 가능일이고 나머지 일정은 매칭 가능일인 작업자(이하, 제2-2 작업자)를 추출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작업자 중에서, 상기 제2-1 작업자를 상위 순위에 정렬하고, 상기 제2-2 작업자를 하위 순위에 정렬하여 생성된 제2 매칭 리스트를 제2 업체에게 제공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조작업자가 한 명 이상인 경우, 보조작업자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보조작업자를 제1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2 매칭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작업자 각각에 대해서, 동원 가능한 보조작업자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조작업자가 한 명 이상인 경우, 보조작업자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보조작업자를 제2 매칭 리스트에서 제외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방법.
  9. 통신부;
    일정 변환을 통해 작업자를 매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비한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업체로부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 요청을 수신하면,
    전체 작업자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1 공사 일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제1 복수의 작업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복수의 작업자를 제1 업체에 매칭하고,
    제1 업체에 매칭된 제1 복수의 작업자의 스케줄 정보를 상기 제1 공사 일정에 기초하여 갱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 업체로부터 제2 공사 일정에 기초한 작업자 매칭 요청을 수신하면,
    갱신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작업자의 각각의 스케줄 정보와 상기 제2 공사 일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작업자 중에서 제2 복수의 작업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2 복수의 작업자를 제2 업체에 매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200172079A 2020-12-10 2020-12-10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220082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79A KR20220082306A (ko) 2020-12-10 2020-12-10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79A KR20220082306A (ko) 2020-12-10 2020-12-10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306A true KR20220082306A (ko) 2022-06-17

Family

ID=8226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079A KR20220082306A (ko) 2020-12-10 2020-12-10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3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886A (ko) 2014-08-06 2016-02-18 주식회사 하이드 일자리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886A (ko) 2014-08-06 2016-02-18 주식회사 하이드 일자리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869B1 (ko)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110022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king candidates
US201302186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kill extraction, analysis and recommendation in competency management
KR102013321B1 (ko) 개발 프로젝트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AU2016203999A1 (en) System for sourcing talent utilizing crowdsourcing
WO20061021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king candidates
WO2012118906A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KR102529850B1 (ko) 인터뷰 일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력매칭 인터뷰 일정관리 방법
KR20170117802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구직자 평판·추천 시스템 및 서비스 플랫폼
CN109146393B (zh) 人伤查勘信息处理方法及系统
KR20210097320A (ko) 인공지능 기반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기술자 평가 및 매칭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00056153A (ko) 시간제 일자리 구직 인력과 구인 기업을 연결하는 매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7123308B2 (ja) 人材マッチングシステム
US8255259B2 (en) Extending 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 solving
US20120226618A1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US20210390595A1 (en) Electronic reputation management
KR20180017639A (ko) 헤드헌팅사의 순위정보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시스템
KR20200093151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문 기술 인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2306A (ko) 일정 변환을 통한 작업자 매칭 장치 및 방법
Petrov et al. Expert group formation for task performing: Competence-based method and implementation
US20140143000A1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US20130332369A1 (en) Leveraging analytics to propose context sensitive workflows for case management solutions
US20190318318A1 (en) Virtual Staffing Assistant
Frangi et al. Constructing inequalities: tenure trajectories of immigrant workers and union strategies in the milan construction sector
KR102478559B1 (ko) 구직자와 구인자를 매칭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