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744A -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744A
KR20220081744A KR1020200171577A KR20200171577A KR20220081744A KR 20220081744 A KR20220081744 A KR 20220081744A KR 1020200171577 A KR1020200171577 A KR 1020200171577A KR 20200171577 A KR20200171577 A KR 20200171577A KR 20220081744 A KR20220081744 A KR 20220081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pulley
wire
speed
consta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925B1 (ko
Inventor
정진석
Original Assignee
(주)메카테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테크시스템 filed Critical (주)메카테크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7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9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45Feeding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카톤을 포장장치로 이송하여 공급할 때 초기 공급 속도부터 말단 공급속도까지 항상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카톤 이송의 에러율을 저감시켜 포장장치 전체 라인의 정지를 방지함으로 연계된 작업효율이 증대되도록 함과 또한 카톤을 공급해 주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공급속도를 일일이 확인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면서, 카톤의 이송 및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편리성이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CARTON AUTO-FEEDING SYSTEM}
본 발명은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카톤을 포장장치로 이송하여 공급할 때 초기 공급 속도부터 말단 공급속도까지 항상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카톤 이송의 에러율을 저감시켜 포장장치 전체 라인의 정지를 방지함으로 연계된 작업효율이 증대되도록 함과 또한 카톤을 공급해 주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공급속도를 일일이 확인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면서, 카톤의 이송 및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편리성이 있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박스 등의 종이 상자류 또는 우유팩 등과 같은 음료용 포장 팩을 위한 카톤(carton)은 펼쳐지거나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제조되어 포장 공정에 투입된다. 포장 공정에 있어서, 예컨대 100매 또는 200매 정도의 다수의 카톤이 쌓여져 있는 카톤 파일을 포장 장치의 매거진에 공급하면, 포장 장치에서는 이 매거진에 쌓여있는 카톤들을 하나씩 뽑아내어 내용물이 충진될 수 있는 입체 형상의 팩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우유와 같은 내용물을 충진시키고 밀봉함으로써 포장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통상 포장 장치는 자동으로 일정한 생산 속도에 따라 작동하므로, 이 생산 속도에 따라 매거진에 카톤 파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매거진에 카톤 파일을 공급하는 것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매거진에 공급된 카톤은 매거진에 작업자가 카톤 파일을 공급하면 중량체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정렬실린더를 경유하는 로우프를 잡아당기면 로우프 끝단에 연결된 게이트가 공급된 카톤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카톤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공급된다.
이때 상기 카톤이 공급된 초기에는 카톤의 전체무게와 마찰저항 등에 의해 이동되는 속도가 현저히 느리게 공급 이송되지만 서서히 공급 이송되던 카톤이 공급되면 될수록 중량체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로우프를 잡아당기는 힘이 커지게 되므로 카톤의 이송속도도 점진적으로 빨라져 별도의 라인 즉 카톤을 펼치어 내용물을 충진하는 장치에 공급하는 속도가 빨라져 카톤이 걸리게 되므로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100매 또는 200매 정도의 다수의 카톤이 쌓여져 있는 카톤 파일을 공급 후에도 계속 지켜보아야 하는 불편함과 카톤이 일정량이 공급되면 먼저 공급된 카톤이 남아 있는데도 불구하고 다시 카톤 파일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7427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카톤박스를 공급할 때 초기 공급 속도부터 말단 공급속도까지 항상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카톤의 공급 에러율을 저감시켜 공급장치의 정지를 방지함으로 연계된 작업효율이 증대되도록 함과 또한 카톤을 공급해 주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공급속도를 일일이 확인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카톤박스의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편리성이 있는 카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톤 이송장치에 있어서, 카톤을 조절된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며, 상면에 카톤이 안착되어 슬라이드 되면서 이송되도록 이송판넬이 부착된 트레이 본체; 상기 트레이 본체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기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더와, 양측 슬라이더에 양단이 연결되며 카톤을 밀어 이송시키는 게이트로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게이트를 일방향으로 당겨서 카톤을 일정속도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감속시키는 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게이트에 연결되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경유되게 트레이 본체에 설치된 정렬실린더부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트레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되 중간부위에 형성되며,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조절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후면판과 양측판으로 구성되어 상하가 개방되어 박스 형상으로 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면판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도르래; 상기 케이싱의 후면판의 중간부 양측에 대칭되게 힌지 결합되고, 일단의 내측에 각기 제동패드가 부착되고, 외면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홈이 형성된 제1,2아암; 상기 제1,2아암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동패드가 밀착되어 제동력을 갖도록 마찰면이 형성되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홈이 형성된 제동풀리와, 상기 제동풀리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며 케이싱의 내부에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케이싱의 후면판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2아암의 단부에 각기 대응되게 장착된 제1,2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와이어는 도르래에 감긴 후 제1아암의 외면 와이어홈에 삽입된 후 중량체의 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제동풀리에 권취된 후 제1지지롤러에 지지된 다음 상기 풀리에 권취된 후 케이싱의 후면판 하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속도를 증감시키는 장력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기는 종동기어와 동축상에 형성되어 테이퍼진 제1밀착부; 상기 제1밀착부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테이퍼진 제2밀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고 걸림핀이 형성된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스프링안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외부에 결합되는 가압커버와, 상기 가압커버가 내측에 삽입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외주면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시켜 스프링이 압축 또는 신장되고,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가압부재의 제2밀착부와 제1밀착부 간의 접지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의 카톤박스를 공급할 때 초기 공급 속도부터 말단 공급속도까지 항상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카톤의 공급 에러율을 저감시켜 공급장치의 정지를 방지함으로 연계된 작업효율이 증대되도록 함과 또한 카톤을 공급해 주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공급속도를 일일이 확인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카톤박스의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속도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속도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속도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써,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성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써,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속도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속도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에서 '속도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톤 자동 이송장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며, 상면에 카톤이 안착되어 슬라이드되면서 이송되도록 이송판넬(120)이 부착된 트레이 본체(100); 상기 트레이 본체(10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0)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0)에 각기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더(220)와, 양측 슬라이더(220)에 양단이 연결되며 카톤을 밀어 이송시키는 게이트(240)로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게이트(240)를 일방향으로 당겨서 카톤을 일정속도록 이동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구동부(30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감속시키는 속도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레이 본체(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와, 다리의 상부에 형성된 상면부로 구성되고, 상면부에 이송판넬(120)이 한 쌍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이송판넬(120)에 대응하여 게이트(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게이트(240)는 이송판넬(120)을 따라서 직선방향으로 전·후진 구동하게 된다.
게이트(24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는 이송판넬(1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10)과, 이 가이드레일(210)에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더(220)가 전·후진 구동하게 되며, 슬라이더(220)에 '┌┐'자 형상의 게이트(240)의 양측이 결합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게이트(240)에 연결되며 가이드레일(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가 경유되게 트레이 본체(100)에 설치된 정렬실린더부(320)와, 상기 트레이 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풀리(310)와, 상기 풀리(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적층 장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된 중량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렬실린더부(320)는 트레이 본체(100)의 단부에 장착되며, 와이어(W)가 경유되는 풀리가 구비되고, 실린더로드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와이어(W)를 당기는 힘이 조절될 수 있고 와이어(W)가 상시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정렬실린더부(320)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한 후 와이어(W)는 다시 트레이 본체(100)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열된 후 중심부에 설치된 풀리를 지나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방향 전환 된 후 속도조절부(500) 및 중량체(340)에 연결된다.
상기 중량체(340)는 금속중량판으로 이루어지고, 트레이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중간부위에 형성되며,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 것이며, 적정한 중량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가이드봉에 다수개의 중량체(340)가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갯수를 가감하여 중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속도조절부(5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후면판과 양측판으로 구성되어 상하가 개방되어 박스 형상으로 된 케이싱(520); 상기 케이싱(520)의 후면판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도르래(530); 상기 케이싱(520)의 후면판의 중간부 양측에 대칭되게 힌지 결합되고, 일단의 내측에 각기 제동패드(544)가 부착되고, 외면에는 와이어(W)가 수용되는 와이어홈(545)이 형성된 제1,2아암(541,542); 상기 제1,2아암(541,542)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동패드(544)가 밀착되어 제동력을 갖도록 마찰면이 형성되고, 와이어(W)가 권취되는 권취홈(582)이 형성된 제동풀리(580)와, 상기 제동풀리(580)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주동기어(550); 상기 주동기어(550)와 치차 결합되며 케이싱(520)의 내부에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종동기어(560); 상기 케이싱(520)의 후면판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2아암(541,542)의 단부에 각기 대응되게 장착된 제1,2지지롤러(571,5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W)는 도르래(530)에 감긴 후 제1아암(541)의 외면 와이어홈(545)에 삽입된 후 중량체(340)의 풀리(310)에 권취되고, 상기 제동풀리(580)에 권취된 후 제1지지롤러(571)에 지지된 다음 상기 풀리(310)에 권취된 후 케이싱(520)의 후면판 하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520)의 커버에는 제1,2아암(541,542)의 일단 축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호형의 장공(522)이 각기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해보면, 와이어(W)가 좌측으로 이동될 때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면 제1아암(541)을 우측으로 밀게 되고, 제1아암(541)의 제동패드(544)가 제동풀리(580)에 밀착됨으로써 마찰 접촉에 의해 제동풀리(580) 및 주동기어(550)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따라서 와이어(W)가 급속하게 좌측으로 이동하는 속도, 즉 중량체(34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속도가 어느 정도 감속된 후 도르래(530)를 권취한 와이어(W)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아암(541)이 원래 상태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동패드(544)가 제동풀리(580)와 이격되어 감속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동기어(560)의 회전속도를 조절시키는 장력조절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기(700)는, 종동기어(560)와 동축상에 형성되며 테이퍼진 제1밀착부(565); 상기 제1밀착부(565)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테이퍼진 제2밀착부(7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고 걸림핀(724)이 형성된 가압부재(720); 상기 가압부재(720)의 스프링안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730)과, 상기 스프링(730)의 외부에 결합되는 가압커버(740)와, 상기 가압커버(740)가 내측에 삽입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외주면에 플랜지(75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750)과, 상기 하우징(75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핸들(7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76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면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750)을 타고 이동되면서 스프링(730)이 압축되고 스프링(730)의 가압에 의해 가압부재(720)의 제2밀착부(722)와 제1밀착부(565) 간의 접지력이 증가됨으로써 종동기어(560)의 회전속도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720)에는 걸림핀(724)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하우징의 안내공을 따라 이동된다. 즉, 종동기어(560)를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회전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주동기어(550)의 회전속도도 저하되고 아울러 제동풀리(580)에 권취된 와이어(W)가 이동하는 속도까지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핸들(76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주면 스프링(730)이 신장되고 가압부재(720)의 제2밀착부(722)와 제1밀착부(565) 간의 접지력이 느슨해지게 됨으로써 종동기어(560)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그에 연동하여 주동기어(550)의 회전속도도 빨라지게 되고, 제동풀리(580)에 권취된 와이어(W)의 이동속도가 빨라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력조절기(700)를 적정한 장력이 되도록 상시 조절해줌으로써 중량체(340)의 낙하력과 와이어(W)를 당기는 힘, 와이어(W)에 연결된 게이트(240)가 이동하는 힘이 조절될 수 있어 게이트(240)가 카톤들을 밀어 이송시키는 힘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초기 카톤의 갯수가 많을 경우에는 장력조절기(700)의 조임력을 조절해 서 일정한 공급이 되도록 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카톤의 감소와 함께 중량체(340)가 급격히 내려감으로 와이어(W) 및 게이트(240)의 이동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카톤의 갯수가 감소할수록 장력조절기(700)의 조임력을 증가시켜 와이어(W) 및 게이트(240)의 이동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카톤의 이동 속도가 저속으로 변경되므로 과도한 속도로 카톤이 이동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카톤 공급이 완료되어 게이트(240)가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치가 이동되면 게이트(240)를 원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장력조절기(700)의 조임력을 해지시키 후 게이트(2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핸들(760)을 와이어(W)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조임 있던 힘을 해지시키기 위하여 핸들(760)을 반대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해지수단(800)을 잡아당기면 가압부재(720)가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가압부재(720)는 테이퍼진 제1밀착부(565)에서 이탈되므로 분리되어 핸들(760)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원터치로 장력조절기(700)의 조임력을 해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20 : 이송판넬
210 : 가이드레일 220 : 슬라이더
240 : 게이트 300 : 구동부
310 : 풀리 320 : 정렬실린더부
340 : 중량체 500 : 속도조절부
520 : 케이싱 530 : 도르래
541,542 : 제1,2아암 550 : 주동기어
560 : 종동기어 565 : 제1밀착부
571, 572 : 제1,2지지롤러 700 : 장력조절기
720 : 가압부재 730 : 스프링
750 : 하우징 760 : 핸들
800 : 장력해지수단 W : 와이어

Claims (6)

  1. 카톤을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며, 상면에 카톤이 안착되어 슬라이드 되면서 이송되도록 이송판넬이 부착된 트레이 본체;
    상기 트레이 본체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기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와, 양측 슬라이더에 양단이 연결되며 카톤을 밀어 이동시키는 게이트로 구성되는 이동부;
    상기 게이트를 일방향으로 당겨서 카톤을 일정속도록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감속시키는 속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게이트에 연결되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게 트레이 본체에 형성된 정렬실린더부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트레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되 중간 부위에 형성되며,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후면판과 양측판으로 구성되어 상하가 개방되어 박스 형상으로 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면판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도르래;
    상기 케이싱의 후면판의 중간부 양측에 대칭되게 힌지 결합되고, 일단의 내측에 각기 제동패드가 부착되고, 외면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홈이 형성된 제1,2아암;
    상기 제1,2아암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제동패드가 밀착되어 제동력을 갖도록 마찰면이 형성되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홈이 형성된 제동풀리와, 상기 제동풀리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치차 결합되며 케이싱의 내부에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케이싱의 후면판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2아암의 단부에 각기 대응되게 장착된 제1,2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와이어는 도르래에 감긴 후 제1아암의 외면 와이어홈에 삽입된 후 중량체의 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제동풀리에 권취된 후 제1지지롤러에 지지된 다음 상기 풀리에 권취된 후 케이싱의 후면판 하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속도를 증감시키는 장력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기는
    종동기어와 동축상에 형성되며 테이퍼진 제1밀착부;
    상기 제1밀착부의 외면에 결합되도록 개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테이퍼진 제2밀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고 걸림핀이 형성된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스프링안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외부에 결합되는 가압커버와, 상기 가압커버가 내측에 삽입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외주면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시켜 스프링이 압축 또는 신장되고,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가압부재의 제2밀착부와 제1밀착부 간의 접지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가압부재와 핸들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된 장력해지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KR1020200171577A 2020-12-09 2020-12-09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KR10252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77A KR102523925B1 (ko) 2020-12-09 2020-12-09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577A KR102523925B1 (ko) 2020-12-09 2020-12-09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744A true KR20220081744A (ko) 2022-06-16
KR102523925B1 KR102523925B1 (ko) 2023-04-25

Family

ID=8221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577A KR102523925B1 (ko) 2020-12-09 2020-12-09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1058A (zh) * 2022-08-20 2022-10-25 佛山市驰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床垫自动包装流水线的开箱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226A (ja) * 1988-04-28 1990-05-15 Tokyo Autom Mach Works Ltd マガジン
JPH0412427U (ko) * 1990-05-23 1992-01-31
JPH09110136A (ja) * 1995-10-18 1997-04-28 Shikoku Kakoki Co Ltd ブランク供給装置
JPH10167214A (ja) * 1996-12-12 1998-06-23 Fuji Seal Co Ltd 容器保持具の組立装着装置及び組立装着方法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20180001370U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자동 박스 푸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226A (ja) * 1988-04-28 1990-05-15 Tokyo Autom Mach Works Ltd マガジン
JPH0412427U (ko) * 1990-05-23 1992-01-31
JPH09110136A (ja) * 1995-10-18 1997-04-28 Shikoku Kakoki Co Ltd ブランク供給装置
JPH10167214A (ja) * 1996-12-12 1998-06-23 Fuji Seal Co Ltd 容器保持具の組立装着装置及び組立装着方法
KR101274270B1 (ko) 2010-11-12 2013-06-14 주식회사 지피피 포장박스 칸막이
KR20180001370U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의 자동 박스 푸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1058A (zh) * 2022-08-20 2022-10-25 佛山市驰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床垫自动包装流水线的开箱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925B1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1667B1 (en) Improved strapping machine
JPH02127226A (ja) マガジン
US8567156B2 (en)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KR20220081744A (ko) 카톤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카톤 이송장치
US7735628B2 (en) Article transfer system
CN110709233B (zh) 垫料转换系统和扇状折叠库存材料供应推车
EP2219955B1 (en) Modular strap dispenser with feed motor
US7540125B2 (en) Bursting apparatus and method
US7740553B2 (en) Detachable feed tray with self adjusting side guides
JP2010523433A (ja) ギャップ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制御回路
US3236022A (en) Automatic carton closing machine
CN213677384U (zh) 一种纸盒自动输送排列装置
EP1354797B1 (de) Vorrichtung zum Pack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 Transportbehälter, insbesondere von flach gefalteten Faltschachteln in Umkartons
GB2142282A (en) Automatic packing machine
EP1352834B1 (de) Vorrichtung zum Packen von flachen Gegenständen in Transportbehälter, insbesondere von flach gefalteten Faltschachteln in Umkartons
IT202100006269A1 (it) Apparecchiatura per l'alimentazione automatica di barre a una macchina utensile, con dispositivi di selezione e caricamento delle barre ad azionamento elettromeccanico
EP0492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nd storing tape-like article in container
CN221022562U (zh) 手动糊箱机
CN217671369U (zh) 一种应用于折盒机上的纸板储料平台
US11926486B2 (en) Conveyance assisting apparatus, conveyance apparatus, and packaging sorting apparatus
KR910020232A (ko) 날실 통경기의 인입선을 조종하는 장치
US8376354B2 (en) Apparatus for feeding sheetlike items
US6773524B2 (en) Tape feed for postage meter
JP6535719B2 (ja) 搬送装置
CN102232024A (zh) 用于使单张纸进入封套的输送装置和相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