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522A -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522A
KR20220081522A KR1020200171078A KR20200171078A KR20220081522A KR 20220081522 A KR20220081522 A KR 20220081522A KR 1020200171078 A KR1020200171078 A KR 1020200171078A KR 20200171078 A KR20200171078 A KR 20200171078A KR 20220081522 A KR20220081522 A KR 2022008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phase
pixels
lines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석
김학순
김한상
서강봉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522A/ko
Priority to US17/345,597 priority patent/US11258969B1/en
Priority to CN202110834983.9A priority patent/CN114615446B/zh
Publication of KR2022008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376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3SSIS architectures incorporating pixels for producing signals other than image signals
    • H04N25/705Pixels for depth measurement, e.g. RGBZ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1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4912Receivers
    • G01S7/4913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 G01S7/4914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of detector arrays, e.g. charge-transfer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1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4912Receivers
    • G01S7/4915Time delay measurement, e.g. operational details for pixel components; Phase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45Circuitry for generating timing or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95Circuitry for generating timing or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3696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3Aspects relating to the "2D+depth" image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이미지 센서는, 제1페이즈에서 변조광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1클럭을 전달하고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2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3/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4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3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4라인들; 및 다수의 제1픽셀들과 다수의 제2픽셀들이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픽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A탭과 상기 다수의 제2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B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픽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A탭과 상기 다수의 제4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B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IMAGE SENSOR}
본 특허문헌은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리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에 장착되어, 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한다. 3D 이미지 센서는 목표물과의 상대적인 거리/깊이 정보를 수집해,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3D 이미지를 거리 또는 깊이 이미지라고 부른다.
3D 이미지 센서는 대상물에 변조광을 조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온 반사광을 감지해 변조광과 반사광과의 위상 차이를 이용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에 다양한 위상의 클럭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제1페이즈에서 변조광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1클럭을 전달하고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2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3/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4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3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4라인들; 및 다수의 제1픽셀들과 다수의 제2픽셀들이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픽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A탭과 상기 다수의 제2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B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픽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A탭과 상기 다수의 제4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B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제1픽셀들과 다수의 제2픽셀들이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오드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제1페이즈에서 변조광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1클럭을 전달하고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2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오드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이븐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2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3/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4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3라인들; 및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이븐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2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4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제1픽셀들과 다수의 제2픽셀들이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 상기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컬럼마다 하나의 컬럼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제1페이즈에서 변조광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1클럭을 전달하고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2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이 형성된 컬럼들+1 위치의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로우마다 하나의 로우를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로우의 제2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3/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4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3라인들; 및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이 형성된 로우들+1 위치의 로우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로우의 제2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4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제1픽셀들과 제2픽셀들이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픽셀들과 상기 제2픽셀들 각각은 A탭과 B탭을 포함하고, 제1페이즈 동작시에, 상기 제1픽셀들의 A탭에는 제1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1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1클럭과 위상이 1/2주기 차이나는 제3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A탭에는 상기 제1클럭과 위상이 1/4주기 차이나는 제2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3클럭과 위상이 1/4주기 차이나는 제4클럭이 인가되고, 제2페이즈 동작시에, 상기 제1픽셀들의 A탭에는 상기 제3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1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1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A탭에는 상기 제4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2클럭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에 다양한 위상의 클럭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는 깊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4개의 페이즈들에서 픽셀 어레이의 픽셀들의 A탭과 B탭에 인가되어야 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
도 2A와 도 2B는 2개 페이즈 동작으로 깊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2개 페이즈들에서 픽셀 어레이의 픽셀들의 A탭과 B탭에 인가되어야 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는 인다이렉트 방식의 ToF (Indirect Time of Flight) 이미지 센서에서, 배경광(background light)에 의한 에러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2-탭(tab), 4-위상(phase) 모듈레이션(modulation)을 사용한다. 한장의 깊이 이미지(depth image or depth map)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픽셀의 A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동일한 클럭,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4주기(=90°=π/2) 차이나는 클럭,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2주기(=180°=π) 차이나는 클럭,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3/4주기(=270°=3π/2) 차이나는 클럭을 인가해주어야 하고, 이와 동시에 픽셀의 B탭에는 A탭에 인가한 클럭과 위상이 1/2주기만큼 차이나는 클럭을 인가해주어야 한다. 여기서 변조광은 대상물에 조사한 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적외선을 사용하므로 이 변조광을 pulsed IR(InfraRed) modulation 신호라고도 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는 깊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4개의 페이즈들에서 픽셀 어레이의 픽셀들의 A탭과 B탭에 인가되어야 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제1페이즈 <Phase 1>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에 인가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페이즈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픽셀 좌상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와 위상이 동일한 클럭(0으로 표기함)이 인가되고, B탭(픽셀 우하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2주기 차이나는 클럭(π로 표기함)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제1페이즈에서는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의 광 감지기는 클럭(0)에 동기해 반사광을 감지하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B탭의 광 감지기는 클럭(π)에 동기해 반사광(변조광이 대상물에 반사되어 돌아온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과 B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을 이용해 변조광과 반사광 사이의 위상 차이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B는 제2페이즈 <Phase 2>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에 인가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2페이즈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픽셀 좌상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기 1/4주기 차이나는 클럭(π/2로 표기함)이 인가되고, B탭(픽셀 우하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3/4주기 차이나는 클럭(3π/2로 표기함)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제2페이즈에서는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의 광감지기들은 클럭(π/2)에 동기해 반사광을 감지하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B탭의 광감지기들은 클럭(3π/2)에 공기해 반사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과 B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을 이용해 변조광과 반사광 사이의 위상 차이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C는 제3페이즈 <Phase 3>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에 인가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3페이즈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픽셀 좌상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2주기 차이나는 클럭(π)이 인가되고, B탭(픽셀 우하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동일한 클럭(0)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제3페이즈에서는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의 광감지기들은 클럭(π)에 동기해 반사광을 감지하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B탭의 광감지기들은 클럭(0)에 공기해 반사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과 B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을 이용해 변조광과 반사광 사이의 위상 차이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D는 제4페이즈 <Phase 4>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에 인가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제3페이즈에서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픽셀 좌상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3/4주기 차이나는 클럭(3π/2)이 인가되고, B탭(픽셀 우하단의 사각형)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4주기 차이나는 클럭(π/2)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제4페이즈에서는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의 광감지기들은 클럭(3π/2)에 동기해 반사광을 감지하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B탭의 광감지기들은 클럭(π/2)에 공기해 반사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픽셀들(P11, P12, P21, P22)의 A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과 B탭에서 감지된 반사광의 양을 이용해 변조광과 반사광 사이의 위상 차이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A,도 1B, 도 1C,도 1D에 도시된 4개 페이즈 동작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면 배경광에 의한 에러가 제거된 정확한 깊이 이미지(depth image)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매 페이즈마다 노출(exposure) 동작 및 리드아웃(readout)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깊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 총 4번의 노출 동작 및 4번의 리드 아웃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깊이 이미지를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 및 전류가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도 2A와 도 2B는 2개 페이즈 동작으로 깊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2개 페이즈들에서 픽셀 어레이의 픽셀들의 A탭과 B탭에 인가되어야 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제1페이즈 <Phase 1>에서 픽셀들(P11~P44)에 인가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체커보드 패턴(checkerboard pattern)의 검은색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한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의 A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와 위상이 동일한 클럭(0)이 인가되고,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의 B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2주기 차이나는 클럭(π)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체커보드 패턴(checkerboard pattern)의 흰색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한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의 A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4주기 차이나는 클럭(π/2)이 인가되고,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의 B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3/4주기 차이나는 클럭(3π/2)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1페이즈에서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에서는 클럭(0)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π)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에서는 클럭(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3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잘 알려진 보간(interpolation)을 이용해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의 위치에서도 클럭(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3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의 위치에서도 클럭(0)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π)에 의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픽셀(P32)에 인접한 제2픽셀들(P22, P31, P33, P42)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보간하는 것에 의해 제1픽셀(P32)의 위치에서 클럭(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3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픽셀(P33)에 인접한 제1픽셀들(P23, P32, P34, P43)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보간하는 것에 의해 제2픽셀(P33)의 위치에서 클럭(0)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π)에 의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B는 제2페이즈 <Phase 2>에서 픽셀들(P11~P44)에 인가되는 클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체커보드 패턴(checkerboard pattern)의 검은색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한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의 A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2주기 차이나는 클럭(π)이 인가되고,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의 B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와 위상이 동일한 클럭(0)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체커보드 패턴(checkerboard pattern)의 흰색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한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의 A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3/4주기 차이나는 클럭(3π/2)이 인가되고,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의 B탭에는 변조광과 주파수가 동일하고 위상이 1/4주기 차이나는 클럭(π/2)이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2페이즈에서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에서는 클럭(π)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0)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에서는 클럭(3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간(interpolation)을 이용해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의 위치에서도 클럭(3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의 위치에서도 클럭(π)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0)에 의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픽셀(P32)에 인접한 제2픽셀들(P22, P31, P33, P42)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보간하는 것에 의해 제1픽셀(P32)의 위치에서 클럭(π)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0)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픽셀(P33)에 인접한 제1픽셀들(P23, P32, P34, P43)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보간하는 것에 의해 제2픽셀(P33)의 위치에서 클럭(3π/2)에 동기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과 클럭(π/2)에 의해 수신된 반사광의 양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페이즈와 제2페이즈에서 픽셀들(P11~P44)에 클럭들(0, π/2, π, 3π/2)을 공급하고 보간을 이용하면, 단 2개 페이즈의 동작으로 도 1A, 도 1B, 도 1C, 도 1D의 4개 페이즈에서 얻어지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2개 페이즈 동작으로 깊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깊이 이미지를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 및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픽셀들(P11~P44)에 클럭들(0, π/2, π, 3π/2)을 공급하고 보간을 이용하면, 2개 페이즈 동작으로 깊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지만, 제1픽셀들(P11, P13, P22, P24, P31, P33, P42, P44)의 A탭과 B탭, 및 제2픽셀들(P22, P24, P21, P23, P32, P34, P41, P43)의 A탭과 B탭에 모두 다른 클럭들을 공급해야 하므로, 픽셀 어레이에 클럭들을 공급하기가 쉽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로우와 다수의 컬럼으로 배열된 픽셀들(P11~P66)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와 다수의 제1라인들(311~313), 다수의 제2라인들(321~323), 다수의 제3라인들(331, 332) 및 다수의 제4라인들(341, 3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X 표시는 라인들(311~313, 321~323, 331, 332, 341, 342)과 탭들 간의 접촉(contact)을 나타낸다.
픽셀들(P11~P66)은 제1픽셀들(P11, P13, P15, P22, P24, P26, P31, P33, P35, P42, P44, P46, P51, P53, P55, P62, P64, P66)과 제2픽셀들(P12, P14, P16, P21, P23, P25, P32, P34, P36, P41, P43, P45, P52, P54, P56, P61, P63, P65)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픽셀들(P11, P13, P15, P22, P24, P26, P31, P33, P35, P42, P44, P46, P51, P53, P55, P62, P64, P66)과 제2픽셀들(P12, P14, P16, P21, P23, P25, P32, P34, P36, P41, P43, P45, P52, P54, P56, P61, P63, P65)은 로우(row) 방향 및 컬럼(column)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픽셀들(P11, P13, P15, P22, P24, P26, P31, P33, P35, P42, P44, P46, P51, P53, P55, P62, P64, P66)은 제1페이즈에서 A탭에 클럭(0)을 인가받고 B탭에 클럭(π)을 인가받아 동작하고, 제2페이즈에서 A탭에 클럭(π)을 인가받고 B탭에 클럭(0)을 인가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2픽셀들(P12, P14, P16, P21, P23, P25, P32, P34, P36, P41, P43, P45, P52, P54, P56, P61, P63, P65)은 제1페이즈에서 A탭에 클럭(π/2)을 인가받고 B탭에 클럭(3π/2)을 인가받아 동작하고, 제2페이즈에서 A탭에 클럭(3π/2)을 인가받고 B탭에 클럭(π/2)을 인가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1라인들(311~313)은 제1픽셀들(P11, P13, P15, P22, P24, P26, P31, P33, P35, P42, P44, P46, P51, P53, P55, P62, P64, P66)의 A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으로,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0)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π)을 공급할 수 있다. 제1라인들(311~313)은 2개의 컬럼을 지그재그로 번갈아 접촉하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라인(311~313)은 1번째 컬럼에 위치한 제1픽셀들(P11, P31, P51)의 A탭과 2번째 컬럼에 위치한 제1픽셀들(P22, P42, P62)의 A탭을 번갈아 접촉해가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라인들(321~323)은 제1픽셀들(P11, P13, P15, P22, P24, P26, P31, P33, P35, P42, P44, P46, P51, P53, P55, P62, P64, P66)의 B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으로,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π)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0)을 공급할 수 있다. 제2라인들(321~323)은 2개의 컬럼을 지그재그로 번갈아 접촉하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라인(322)은 3번째 컬럼에 위치한 제1픽셀들(P13, P33, P53)의 B탭과 4번째 컬럼에 위치한 제1픽셀들(P24, P44, P64)의 B탭을 번갈아 접촉해가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라인들(331, 332)은 제2픽셀들(P12, P14, P16, P21, P23, P25, P32, P34, P36, P41, P43, P45, P52, P54, P56, P61, P63, P65)의 A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으로,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π/2)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3π/2)을 공급할 수 있다. 제3라인들(331, 332)은 2개의 컬럼을 지그재그로 번갈아 접촉하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라인(332)은 4번째 컬럼에 위치한 제2픽셀들(P14, P34, P54)의 A탭과 5번째 컬럼에 위치하는 제2픽셀들(P25, P45, P65)의 A탭을 번갈아 접촉해가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라인들(341, 342)은 제2픽셀들(P12, P14, P16, P21, P23, P25, P32, P34, P36, P41, P43, P45, P52, P54, P56, P61, P63, P65)의 B탭에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으로,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3π/2)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π/2)을 공급할 수 있다. 제4라인들(341, 342)은 2개의 컬럼을 지그재그로 번갈아 접촉하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라인(341)은 2번째 컬럼에 위치한 제2픽셀들(P12, P32, P52)의 B탭과 3번째 컬럼에 위치한 제2픽셀들(P23, P43, P63)의 B탭을 번갈아 접촉해가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라인들(311~313, 321~323, 331, 332, 341, 3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접촉하는 탭들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라인(321)은 픽셀(P11)의 A탭과 픽셀(P22)의 A탭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픽셀(P22)의 A탭과 픽셀(P31)의 A탭을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3의 원들은 라인들(311~313, 321~323, 331, 332, 341, 341)과 픽셀들(P11~P66)의 탭들 간의 컨택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로우와 컬럼으로 배열된 픽셀들(P11~P66)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와 다수의 제1라인들(411~413), 다수의 제2라인들(421~423), 다수의 제3라인들(431~433), 다수의 제4라인들(441~443), 다수의 제1서브 라인들(451~459), 다수의 제2서브 라인들(461~469), 다수의 제3서브 라인들(471~476) 및 다수의 제4서브 라인들(481~48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X 표시는 라인들(411~313, 421~423, 431~433, 441~443)과 탭들 간의 접촉(contact)을 나타내고, 도면의 Δ표시는 서브 라인들(451~459, 461~469, 471~476, 481~486)과 탭들 간의 접촉을 나타낼 수 있다.
제1라인들(411~413)은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오드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P11, P31, P51, P13, P33, P53, P15, P35, P55)의 A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라인들(411~413)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0)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π)을 공급할 수 있다. 제1라인들(411~413)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서브 라인들(451~459)은 제1라인들(411~413)과 연결되어 이븐 컬럼들의 제1픽셀들(P22, P42, P62, P24, P44, P64, P26, P46, P66)의 A탭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서브 라인들(451~459)은 오드 컬럼들의 제1픽셀들(P11, P31, P51, P13, P33, P53, P15, P35, P55)의 A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1픽셀들(P22, P42, P62, P24, P44, P64, P26, P46, P66)의 A탭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서브 라인(455)은 제1픽셀(P33)의 A탭과 제1픽셀(P33)보다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1픽셀(P44)의 A탭을 연결할 수 있다.
제2라인들(421~423)은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오드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P11, P31, P51, P13, P33, P53, P15, P35, P55)의 B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라인들 (421~423)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π)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0)을 공급할 수 있다. 제2라인들(421~423)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서브 라인들(461~469)은 제2라인들(421~423)과 연결되어 이븐 컬럼들의 제1픽셀들(P22, P42, P62, P24, P44, P64, P26, P46, P66)의 B탭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서브 라인들(461~469)은 오드 컬럼들의 제1픽셀들(P11, P31, P51, P13, P33, P53, P15, P35, P55)의 B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1픽셀들(P22, P42, P62, P24, P44, P64, P26, P46, P66)의 B탭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서브 라인(461)은 제1픽셀(P11)의 B탭과 제1픽셀(P11)보다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1픽셀(P22)의 B탭을 연결할 수 있다.
제3라인들(431~433)은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이븐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들의 제2픽셀들(P12, P32, P52, P14, P34, P54, P16, P36, P56)의 A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3라인들(431~433)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π/2)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3π/2)을 공급할 수 있다. 제3라인들(431~433)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서브 라인들(471~476)은 제3라인들(431, 432)과 연결되어 오드 컬럼들의 제2픽셀들(P23, P43, P63, P25, P45, P65)의 A탭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3서브 라인들(471~476)은 이브 컬럼들의 제2픽셀들(P12, P32, P52, P14, P34, P54)의 A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2픽셀들(P23, P43, P63, P25, P45, P65)의 A탭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서브 라인(473)은 제2픽셀(P52)의 A탭과 제2픽셀(P52)보다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2픽셀(P63)의 A탭을 연결할 수 있다.
제4라인들(441~443)은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이븐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들의 제2픽셀들(P12, P32, P52, P14, P34, P54, P16, P36, P56)의 B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4라인들(441~443)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3π/2)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π/2)을 공급할 수 있다. 제4라인들(441~443)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서브 라인들(481~486)은 제4라인들(441, 442)과 연결되어 오드 컬럼들의 제2픽셀들(P23, P43, P63, P25, P45, P65)의 B탭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4서브 라인들(481~486)은 이브 컬럼들의 제2픽셀들(P12, P32, P52, P14, P34, P54)의 B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2픽셀들(P23, P43, P63, P25, P45, P65)의 B탭들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서브 라인(481)은 제2픽셀(P12)의 B탭과 제2픽셀(P12)보다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하는 제2픽셀(P23)의 B탭을 연결할 수 있다.
라인들(411~413, 421~423. 431~433)과 서브 라인들(451~459, 461~469, 471~476)은 서로 오버랩되는 영역이 존재하므로, 라인들(411~413, 421~423. 431~433)과 서브 라인들(451~459, 461~469, 471~476)은 서로 다른 층으로 배선될 수 있다.
여기서 이븐과 오드라는 용어는 서로간의 구별을 위해 사용된 것이지 짝수와 홀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기서는 이븐 컬럼이 2, 4, 6 컬럼이고 오드 컬럼이 1, 3, 5 컬럼인 것을 예시했으나, 이븐 컬럼이 1, 3, 5 컬럼이고 오드 컬럼이 2, 4, 6 컬럼일 수도 있다. 즉, 이븐과 오드라는 용어는 교번하는 2가지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는 다수의 로우와 컬럼으로 배열된 픽셀들(P11~P66)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와 다수의 제1라인들(511, 512), 다수의 제2라인들(521, 522), 다수의 제3라인들(531, 532), 다수의 제4라인들(541, 542), 다수의 제1서브 라인들(551~555), 다수의 제2서브 라인들(561~565), 다수의 제3서브 라인들(571~575) 및 다수의 제4서브 라인들(581~585)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X 표시는 라인들(511, 512, 521, 522, 531, 532, 541, 542)과 탭들 간의 접촉(contact)을 나타내고, 도면의 Δ표시는 서브 라인들(551~555, 561~565, 571~575, 581~585)과 탭들 간의 접촉을 나타낼 수 있다.
제1라인들(511, 512)은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컬럼들마다 하나의 컬럼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P11, P31, P51, P24, P44, P64)의 A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라인들(511, 512)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0)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π)을 공급할 수 있다. 제1라인들(511, 512)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서브 라인들(551~555)은 제1라인들(511, 512)이 위치한 컬럼의 인접 컬럼들의 제1픽셀들(P22, P42, P62, P33, P53, P35, P55)의 A탭들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서브 라인들(551~555)은 인접한 3개의 제1픽셀들의 A탭들을 연결하기 위한 꺾은선(polygonal li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 라인(554)은 제1픽셀(P33)의 A탭, 제1픽셀(P24)의 A탭 및 제1픽실(P35)의 A탭을 연결하는 꺽은선일 수 있다.
제2라인들(521, 522)은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컬럼들마다 하나의 컬럼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P22, P42, P62, P15, P35, P55)의 B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라인들(521, 522)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π)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0)을 공급할 수 있다. 제2라인들(521, 522)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서브 라인들(561~565)은 제2라인들(521, 522)이 위치한 컬럼의 인접 컬럼들의 제1픽셀들(P31, P51, P33, P53, P24, P44, P64, P26, P46, P66)의 B탭들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서브 라인들(561~565)은 인접한 3개의 제1픽셀들의 A탭들을 연결하기 위한 꺾은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브 라인(565)은 제1픽셀(P64)의 B탭, 제1픽셀(P55)의 B탭 및 제1픽셀(P66)의 B탭을 연결하는 꺽은선일 수 있다.
제3라인들(531, 532)은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로우들마다 하나의 로우를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로우의 제2픽셀들(P12, P14, P16, P41, P43, P45)의 A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3라인들(531, 532)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π/2)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3π/2)을 공급할 수 있다. 제3라인들(531, 532)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서브 라인들(571~575)은 제3라인들(531, 532)이 위치한 로우의 인접 로우들의 제2픽셀들(P23, P25, P32, P34, P36, P52, P54, P56)의 A탭들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3서브 라인들(571~575)은 인접한 3개의 제2픽셀들의 A탭들을 연결하기 위한 꺾은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서브 라인(573)은 제2픽셀(P32)의 A탭, 제2픽셀(P41)의 A탭 및 제2픽셀(P52)의 A탭을 연결하는 꺾은선일 수 있다.
제4라인들(541, 542)은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로우들마다 하나의 로우를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로우의 제2픽셀들(P21, P23, P25, P52, P54, P56)의 B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4라인들(541, 542)은 제1페이즈에서는 클럭(3π/2)을 공급하고 제2페이즈에서는 클럭(π/2)을 공급할 수 있다. 제4라인들(541, 542)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서브 라인들(581~585)은 제4라인들(541, 542)이 위치한 로우의 인접 로우들의 제2픽셀들(P12, P14, P16, P32, P34, P36, P43, P45, P63, P65)의 B탭들에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 제4서브 라인들(581~585)은 인접한 3개의 제2픽셀들의 B탭들을 연결하기 위한 꺾은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서브 라인(581)은 제2픽셀(P12)의 B탭, 제2픽셀(P21)의 B탭 및 제2픽셀(P32)의 B탭을 연결하는 꺾은선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오버랩되는 라인들이 존재하는데, 오버랩되는 라인들은 서로 다른 층으로 배선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픽셀 어레이에서 픽셀들이 6개의 로우와 6개의 컬럼으로 배열된 것을 도시했지만, 실제의 픽셀 어레이는 수천~수만개의 로우와 수천~수만개의 컬럼으로 배열된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제1페이즈에서 변조광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1클럭을 전달하고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2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3/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4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3라인들;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4라인들; 및
    다수의 제1픽셀들과 다수의 제2픽셀들이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픽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A탭과 상기 다수의 제2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B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픽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A탭과 상기 다수의 제4라인들 중 하나가 연결되는 B탭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어레이에서
    (K로우, L컬럼)의 제1픽셀의 A탭과,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A탭과,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A탭은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 중 동일한 제1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K로우, L컬럼)의 제1픽셀의 B탭과, 상기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B탭과, 상기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B탭은 상기 다수의 제2라인들 중 동일한 제2라인에 연결되고 -K는 1보다 크고 (상기 픽셀 어레이의 로우의 개수-2)보다 작은 정수이고, L은 1보다 크고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의 개수-1)보다 작은 정수임-,
    (K+1로우, L컬럼)의 제2픽셀의 A탭과, (K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A탭과, (K+2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A탭은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 중 동일한 제3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K+1로우, L컬럼)의 제2픽셀의 B탭과, 상기 (K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B탭과, 상기 (K+2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B탭은 상기 다수의 제4라인들 중 동일한 제4라인에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제1라인은 상기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A탭으로부터 상기 (K로우, L컬럼)의 제1픽셀의 A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K로우, L컬럼)의 제1픽셀의 A탭으로부터 상기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A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일한 제2라인은 상기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B탭으로부터 상기 (K로우, L컬럼)의 제1픽셀의 B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K로우, L컬럼)의 제1픽셀의 B탭으로부터 상기 (K+1로우, L-1컬럼)의 제1픽셀의 B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일한 제3라인은 상기 (K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A탭으로부터 상기 (K+1로우, L컬럼)의 제2픽셀의 A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K+1로우, L컬럼)의 제2픽셀의 A탭으로부터 상기 (K+2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A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일한 제4라인은 (K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B탭으로부터 상기 (K+1로우, L컬럼)의 제2픽셀의 B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K+1로우, L컬럼)의 제2픽셀의 B탭으로부터 상기 (K+2로우, L+1컬럼)의 제2픽셀의 B탭까지 직선으로 형성되는
    이미지 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 및 상기 다수의 제4라인들 각각은 상기 픽셀 어레이에서 2개의 컬럼을 지그재그로 번갈아 접촉하며 컬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 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1픽셀의 A탭과 B탭에서 얻어진 정보와 상기 제1픽셀에 인접한 4개의 제2픽셀들의 A탭들과 B탭들에서 얻어진 정보, 및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픽셀의 A탭과 B탭에서 얻어진 정보와 상기 제1픽셀에 인접한 4개의 제2픽셀들의 A탭들과 B탭들에서 얻어진 정보가 합쳐져서 상기 제1픽셀의 거리 정보가 생성되는
    이미지 센서.
  6. 다수의 제1픽셀들과 다수의 제2픽셀들이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오드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제1페이즈에서 변조광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1클럭을 전달하고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2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오드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이븐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2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3/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4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3라인들; 및
    상기 픽셀 어레이의 컬럼들 중 이븐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2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4라인들
    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드 컬럼들의 제1픽셀들의 A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한 제1픽셀들의 A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1서브 라인들;
    상기 오드 컬럼들의 제1픽셀들의 B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한 제1픽셀들의 B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2서브 라인들;
    상기 이븐 컬럼들의 제2픽셀들의 A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한 제2픽셀들의 A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3서브 라인들; 및
    상기 이븐 컬럼들의 제2픽셀들의 B탭들과 컬럼 방향으로 +1 및 로우 방향으로 +1에 위치한 제2픽셀들의 B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4서브 라인들
    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서브 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2서브 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3서브 라인들 및 상기 다수의 제4서브 라인들 각각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이미지 센서.
  9. 다수의 제1픽셀들과 다수의 제2픽셀들이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
    상기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컬럼마다 하나의 컬럼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제1페이즈에서 변조광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제1클럭을 전달하고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2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3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1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이 형성된 컬럼들+1 위치의 컬럼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컬럼의 제1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2라인들;
    상기 픽셀 어레이의 매 3개의 로우마다 하나의 로우를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로우의 제2픽셀들의 A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1/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변조광과 3/4주기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4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3라인들; 및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이 형성된 로우들+1 위치의 로우들을 따라 형성되고, 대응하는 로우의 제2픽셀들의 B탭들과 연결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는 다수의 제4라인들
    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라인들과 연결되는 상기 제1픽셀들의 A탭들과 인접한 2개의 제1픽셀들의 A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1서브 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2라인들과 연결되는 상기 제1픽셀들의 B탭들과 인접한 2개의 제1픽셀들의 B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3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1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2서브 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3라인들과 연결되는 상기 제2픽셀들의 A탭들과 인접한 2개의 제2픽셀들의 A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3서브 라인들; 및
    상기 다수의 제4라인들과 연결되는 상기 제2픽셀들의 B탭들과 인접한 2개의 제2픽셀들의 B탭들을 연결해 상기 제2페이즈에서 상기 제4클럭을 전달하고 상기 제1페이즈에서 상기 제2클럭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제4서브 라인들
    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서브 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2서브 라인들, 상기 다수의 제3서브 라인들 및 상기 다수의 제4서브 라인들 각각은 3개의 탭을 연결하는 꺾은선(polygonal line)으로 형성되는
    이미지 센서.
  12.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제1픽셀들과 제2픽셀들이 교번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픽셀들과 상기 제2픽셀들 각각은 A탭과 B탭을 포함하고,
    제1페이즈 동작시에, 상기 제1픽셀들의 A탭에는 제1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1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1클럭과 위상이 1/2주기 차이나는 제3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A탭에는 상기 제1클럭과 위상이 1/4주기 차이나는 제2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3클럭과 위상이 1/4주기 차이나는 제4클럭이 인가되고,
    제2페이즈 동작시에, 상기 제1픽셀들의 A탭에는 상기 제3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1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1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A탭에는 상기 제4클럭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픽셀들의 B탭에는 상기 제2클럭이 인가되는
    이미지 센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럭은 변조광과 주파수와 위상이 동일한
    이미지 센서.
KR1020200171078A 2020-12-09 2020-12-09 이미지 센서 KR20220081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78A KR20220081522A (ko) 2020-12-09 2020-12-09 이미지 센서
US17/345,597 US11258969B1 (en) 2020-12-09 2021-06-11 Image sensor
CN202110834983.9A CN114615446B (zh) 2020-12-09 2021-07-23 图像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78A KR20220081522A (ko) 2020-12-09 2020-12-09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522A true KR20220081522A (ko) 2022-06-16

Family

ID=8032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078A KR20220081522A (ko) 2020-12-09 2020-12-09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58969B1 (ko)
KR (1) KR20220081522A (ko)
CN (1) CN114615446B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3213B2 (en) * 2005-02-08 2007-10-16 Canesta, Inc. Method and system to correct motion blur and reduce signal transients in time-of-flight sensor systems
US7450220B2 (en) * 2006-02-08 2008-11-11 Canesta, Inc Method and system to correct motion blur and reduce signal transients in time-of-flight sensor systems
JP5326911B2 (ja) * 2009-07-30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スペクトラム拡散クロックジェネレータ、回路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スペクトラム拡散クロック生成方法
KR101646908B1 (ko) * 2009-11-27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거리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KR20120015702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위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
KR20120079646A (ko) * 2011-01-05 201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깊이 센서, 상기 깊이 센서의 결점 수정 방법, 및 상기 깊이 센서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JP6019692B2 (ja) * 2012-04-16 2016-11-0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撮像素子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US9961290B2 (en) * 2014-07-17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including row driver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image sensor
US9921298B2 (en) 2015-07-20 2018-03-20 Googl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a time of flight pixel array
US10313622B2 (en) * 2016-04-06 2019-06-04 Kla-Tencor Corporation Dual-column-parallel CCD sensor and inspection systems using a sensor
US10483303B1 (en) * 2018-11-02 2019-11-19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having mirror-symmetrical pixel columns
KR102622304B1 (ko) * 2019-01-03 2024-01-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클록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648089B1 (ko) * 2019-03-26 202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징 장치 및 이미지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15446A (zh) 2022-06-10
CN114615446B (zh) 2024-04-26
US11258969B1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4849B2 (ja) 固体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距離計測方法
EP0148841B1 (en) Detector for electro-optical mouse
JP7347942B2 (ja) 3次元映像装置
US10091492B2 (en) Imaging apparatuses and a time of flight imaging method
CN105518485A (zh) 用于驱动飞行时间系统的方法
KR20100018449A (ko) 입체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
KR20130011692A (ko) 깊이 영상과 컬러 영상을 획득하는 픽셀 구조를 가진 이미지 센서
US9986184B2 (en) Image sensor including phase difference detection pixels having auto focus accuracy based on phase difference,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182396B2 (ja) 撮像装置
CN110024375A (zh) 固态摄像装置和测距摄像装置
CN100445695C (zh) 用于标尺标记的读出器
US11709271B2 (en) Time of flight sensing system and image sensor used therein
JP2013167536A (ja) 光電式エンコーダ
KR20220081522A (ko) 이미지 센서
CN104935793A (zh) 配有滤光器阵列的微透镜和固态成像设备
US8615128B2 (en) Method for 3D, measurement of the surface of an object, in particular for dental purposes
KR100986439B1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영상 제어방법
US20210392283A1 (en) Global-shutter image sensor with time-of-flight sensing capability
JP5441204B2 (ja) 時間相関検出型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画像解析装置
US20240069307A1 (en) Lens position determination in depth imaging
US20070126897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image signal processing
CN104535983B (zh) 一种基于led光源的3d成像光雷达系统
JP2021013179A (ja) 撮像装置および測距装置
US11573324B2 (en) Lidar imaging receiver
JP2017229001A (ja) 撮像装置および測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