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372A -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372A
KR20220081372A KR1020227015540A KR20227015540A KR20220081372A KR 20220081372 A KR20220081372 A KR 20220081372A KR 1020227015540 A KR1020227015540 A KR 1020227015540A KR 20227015540 A KR20227015540 A KR 20227015540A KR 20220081372 A KR20220081372 A KR 20220081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heating element
induction heating
generating
gener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 라이트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2809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2008137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2008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36Removing papers or other parts from defective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5Electronic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20Filters, e.g. oi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85Paper; Wood; Fabrics, e.g. clo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비-액체 에어로졸 재료(26)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분해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파쇄하는 제1 단계(S1)를 포함한다. 방법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분리하는 제2 단계(S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물의 실시형태는 특히,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inductively heatable susceptor)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연소시키는 대신에 가열하는 장치가 소비자들에게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에 열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접근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접근 방식은 유도 가열 시스템을 사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서, 유도 코일이 장치에 제공되며, 유도 가열식 발열체가 또한 제공된다. 사용자가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경우, 전기 에너지가 유도 코일에 공급되어, 결과적으로 교번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발열체는 전자기장과 결합되고, 예를 들어 전도에 의해,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로 전달되는 열을 발생시키며, 에어로졸 발생 재료가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사용자에 의해 삽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태로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제공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사용된 후에 또는 이들이 규격을 벗어난(off-specification) 경우, 그러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폐기와 관련된 문제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개시물의 제1 양태에 따라,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i) 비-액체 에어로졸 재료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분해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파쇄(shredding)하는 단계; 및
(ii)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제2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에 의해 획득된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추가적인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제3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사용된 또는 규격을 벗어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분리하는 단계;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추가적인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냉각 및 응축되는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일반적인 표현으로, 증기는 이의 임계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기상(gas phase)의 물질이며, 이는 온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이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기가 액체로 응축될 수 있는 반면에, 에어로졸은 공기 또는 다른 가스 중의 액체 액적 또는 미세 고체 입자의 부유물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에어로졸" 및 "증기"라는 용어는 특히 사용자의 흡입을 위해 발생되는 흡입식 매체의 형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단일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복수의 발열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금속 재료, 금속 합금 재료, 세라믹 재료, 탄소 재료, 및 금속 재료로 코팅된 폴리머 섬유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알루미늄, 철, 니켈, 스테인리스 강, 및 이들의 합금(예를 들어, 니켈 크롬 또는 니켈 구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물에 따른 방법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가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로부터 분리된 후에 재사용될 수 있거나 추가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된 또는 규격을 벗어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폐기와 관련된 환경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돕는다. 또한, 본 개시물에 따른 방법은,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의 재사용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와 관련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
단계 (i)은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의 분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연속적인 발열체일 수 있으며, 메시(mesh) 형태 및 섬유 직물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연속적인 발열체는, 금속 메시 적층물(laminate) 및 금속 섬유 직물 적층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i)은 연속적인 발열체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의 분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가 복수의 발열체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미립자 발열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립자 발열체 재료는, 입상 형태, 분말 형태, 및 섬유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립자 발열체 재료는,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 전체에 걸쳐서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i)은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만을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ii)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분리하기 위해,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을 사용함으로써,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편리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ii)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분리하기 위해, 그 안에 개구를 갖는 진동 스크린 장치(vibrating screen unit) 상에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스크린 장치의 개구는,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가 이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크기일 수 있고,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이의 유지 표면(retaining surface)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크기일 수 있다.
단계 (ii)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와 분리하기 위해,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자기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분리하기 위해 자기력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단계 (ii)는, 자석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전자석을 사용하여, 자기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가 대체로 상향하는 방향으로 자석을 향해 끌어당겨지도록, 자석이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계 (ii)는, 예를 들어,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로부터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제거하기 위한 로봇식 피킹 아암(robotic picking arm)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ii)는,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가 이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크기이고,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이의 유지 표면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크기인, 개구를 그 안에 갖는 진동 스크린 장치 상에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배치하는 단계; 및
표면으로부터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제거하기 위해, 진동 스크린 장치의 표면 상에 유지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자기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및 자기력 둘 모두를 사용함으로써,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의 신뢰 가능한 분리를 보장하도록 도울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종이 포장지 및 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계 (i)은 종이 포장지 및/또는 필터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파쇄 단계 동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개방되도록 보장한다. 필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와 인접 동축 정렬될 수 있다.
진동 스크린 장치의 개구는, 파쇄된 종이 포장지 및/또는 파쇄된 필터를 유지 표면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크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 포장지 및/또는 필터가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방법은,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후속 제조 시에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가 재사용될 수 있다.
방법은, 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는,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후속 제조 시에 재사용하기 위해 적합한지 여부, 또는 그것이 다른 목적을 위해 보다 적절하게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분석하는 단계는,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세척하는 단계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이 보다 신뢰 가능하게 수행될 수 있다.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임의의 유형의 고체 또는 반고체 재료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고체의 예시적인 유형은, 분말, 과립, 펠릿(pellet), 단편(shred), 스트랜드(strand), 입자, 겔, 스트립, 루스 리프(loose leaf), 컷 리프, 컷 충전제(cut filler), 다공성 재료, 폼(foam) 재료 또는 시트를 포함한다.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식물 유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재생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의 실시예는 다가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 예를 들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5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20%, 그리고 가능하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5%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시에,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다. 휘발성 화합물은, 담배 향미제와 같은 향미 화합물 또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신장형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실질적으로 스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원형 단면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통형 형상은, 예를 들어, 유도 가열 조립체가 원형 단면을 갖는 나선형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도 가열 조립체의 가열 격실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방법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제 본 개시물의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근위 단부(12) 및 원위 단부(14)를 가지며, 고주파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원(18) 및 제어기(20)를 포함하는 장치 본체(16)를 포함한다. 전원(18)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유도 재충전식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대체로 원통형이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근위 단부(12)로부터 접근 가능한, 예를 들어 가열 격실의 형태인 대체로 원통형 공동(22)을 포함한다. 원통형 공동(22)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포함하는 상응하게 성형된 대체로 원통형 또는 막대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단일의 연속적인 발열체이지만, 다른 (도시되지 않은) 실시형태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복수의 발열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립자 발열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은 일회용 물품이며,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는 전형적으로 고체 또는 반고체 재료이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 고체의 실시예는, 분말, 과립제, 입자, 겔, 스트립, 루스 리프, 컷 충전제, 펠릿, 분말, 조각, 스트랜드, 발포체 재료 및 시트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는 전형적으로 식물 유래 재료를 포함하며, 특히 담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는 전형적으로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5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시에,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는, 가능하게는 담배 향미제와 같은 향미 화합물 또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은 제1 및 제2 단부(30, 32)를 가지며,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둘러싸는 종이 포장지(34)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은, 근위 단부(12)의 장치 본체(16)로부터 돌출되는 제1 단부(30)의 필터(36)를 더 포함한다. 필터(36)는 마우스피스로서 작용하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통기성 플러그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은, 에어로졸 발생 재료(26)와 필터(36) 사이에 위치된 증기 냉각 영역(38)을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원형 단면을 갖고 원통형 공동(22)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형 유도 코일(40)을 포함한다. 유도 코일(40)은 전원(18) 및 제어기(2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기(20)는 다른 전자 부품 중에서도, 전원(18)으로부터의 직류를 유도 코일(40)을 위한 교류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도록 배치된 인버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주변 공기가 공동(22) 내로 흐를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구(42)를 장치 본체(16)에 더 포함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의 사용 동안 유도 코일(40)이 활성화되는 경우, 교번 및 시변 전자기장이 생성된다. 이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28)와 결합되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에서 와전류 및/또는 자기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를 가열시킨다. 그 다음, 예를 들어 전도, 복사 및 대류에 의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로 열이 전달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26)와 직접 또는 간접 접촉될 수 있으므로, 발열체(28)가 유도 코일(40)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경우, 발열체(28)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로 열이 전달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한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26)의 기화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공기 흡입구(42)를 통하여 공기를 추가함으로써 촉진된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가열함으로써 발생된 증기는 증기 냉각 영역(38)을 통하여 흘러서, 필터(36)를 통해 장치(10)의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냉각 및 응축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통하는 공기 및 증기/에어로졸의 흐름은, 사용자가 필터(36)를 통해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생성된 부압에 의해 보조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가 사용을 통해 고갈된 사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재활용하거나, 규격을 벗어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단계(S1)에서, 방법은,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분해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단계(S2)에서, 방법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재활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된 및/또는 규격을 벗어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이 제1 컨베이어(50) 상에 수집 및 배치될 수 있다. 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S1)를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즉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분해하기 위해, 제1 컨베이어(50) 상에 위치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파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제1 컨베이어(50) 위에 위치된 파쇄 장치(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서, 파쇄 장치(52)는, 제1 컨베이어(50) 상에 위치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절개하여 파쇄하도록 구성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파쇄 구조물(shredding formation)(56)을 포함할 수 있는 파쇄 롤러(54)를 포함한다. 파쇄 구조물(56)은, 적어도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파쇄하고, 가능하게는, 종이 포장지(34) 및 필터(36)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연속적인 발열체인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파쇄 구조물(56)에 의해 파쇄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연속적인 발열체인 다른 (도시되지 않은) 실시형태에서, 파쇄 구조물(56)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파쇄 구조물(56)에 의한 파쇄를 거치지 않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전체에 걸쳐서 분포된 미립자 발열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단계(S2)를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즉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분리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제2 컨베이어)의 형태의 진동 스크린 장치(60)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는,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의 분리된 구성 요소(즉,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종이 포장지(34), 및 필터(36))를 제1 컨베이어(50)로부터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는 복수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복수의 개구는,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의 일부가 이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크기이고,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종이 포장지(34) 및 필터(36)와 함께, 나머지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상부 유지 표면(64)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크기이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에 가해지는 진동은, 적절한 크기의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가 개구를 통하여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는 수집기(도시되지 않음)로 통과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장치는,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 위에 배치되어 이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3 컨베이어(70)를 포함하며, 제3 컨베이어(70)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S2)를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즉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분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컨베이어(70)는, 개별적으로 및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는 복수의 전자석(72)을 포함한다. 개별 전자석(72)이 활성화된 경우, 이는 자화 상태에 놓이며, 인력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개별 전자석(72)이 비활성화된 경우, 이는 비자화 상태에 놓이며, 인력 자기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활성화된(자화된) 전자석(72)은 도 3에서 음영 표시가 있는 것으로 식별되는 반면에, 비활성화된(비자화된) 전자석(72)은 음영 표시가 없는 것으로 식별된다.
장치는,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 바로 위에 위치된 전자석(72)이 활성화되어 자화 상태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의 상부 유지 표면(64) 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자화된 전자석(72)을 향해 상향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그 다음, 파쇄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제3 컨베이어(70)에 의해 이송되며, 제3 컨베이어(70) 아래에 위치되어 제3 컨베이어(70)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4 컨베이어(80) 상에 배치된다.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제4 컨베이어(40) 상에 배치하기 위해, 전자석(72)이 간단히 비활성화되어 이들을 비자화 상태로 놓이게 함으로써,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제3 컨베이어(70)로부터 제4 컨베이어(80)의 표면 상으로 낙하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제3 컨베이어(70) 상의 전자석(72)에 의해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의 상부 유지 표면(64)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상부 유지 표면(64) 상에 남아 있는, 종이 포장지(34) 및 필터(36)와 함께,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는 진동 스크린 컨베이어(62)의 단부로부터 방출되어 폐기 및/또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수집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4 컨베이어(80)의 표면 상에 배치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제4 컨베이어(80)의 단부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S3)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세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침전물 및/또는 다른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될 수 있다. 그 후에, 단계(S4)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분석되어 이들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인 단계(S5)에서, 추가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재사용될 수 있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거나/처리될 수 있고, 추가적인 재활용 작업을 받을 수 있다.
이전의 단락들에서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폭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는 문맥상 달리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이의 모든 가능한 변형예에서의 전술한 특징의 임의의 조합은 본 개시물에 의해 포함된다.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요구되지 않는 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포함한다", "포함하는" 등의 단어는 배타적이거나 총망라한 의미가 아니라, 포괄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상기 비-액체 에어로졸 재료(26) 및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분해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파쇄하는 단계(S1); 및
    (ii)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상기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분리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연속적인 발열체이며,
    단계 (i)은 상기 연속적인 발열체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는 미립자 발열체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상기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 및 상기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를 분리하기 위해, 그 안에 개구를 갖는 진동 스크린 장치(60) 상에 상기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크린 장치(60)의 상기 개구는, 상기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가 이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크기이며,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이의 유지 표면(64)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크기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상기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와 분리하기 위해, 상기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자기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자석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전자석(72)을 사용하여, 상기 자기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가 대체로 상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석을 향해 끌어당겨지도록, 상기 자석이 상기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 위에 위치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상기 비-액체 에어로졸 발생 재료(26)가 이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크기이고,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이의 유지 표면(64)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크기인, 개구를 그 안에 갖는 진동 스크린 장치(60) 상에 상기 파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64)으로부터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진동 스크린 장치(60)의 상기 표면(64) 상에 유지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자기력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24)은 종이 포장지(34) 및 필터(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단계 (i)은 상기 종이 포장지(34) 및/또는 상기 필터(36)를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5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크린 장치(60)의 상기 개구는, 상기 파쇄된 종이 포장지(34) 및/또는 상기 파쇄된 필터(36)를 상기 유지 표면(64)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크기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세척하는 단계(S3)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분석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28)를 세척하는 단계 후에 수행되는, 방법.
KR1020227015540A 2019-10-13 2020-10-08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KR20220081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2878.5A EP3804538B1 (en) 2019-10-13 2019-10-13 A method for recycling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EP19202878.5 2019-10-13
PCT/EP2020/078347 WO2021074014A1 (en) 2019-10-13 2020-10-08 A method for recycling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372A true KR20220081372A (ko) 2022-06-15

Family

ID=6828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540A KR20220081372A (ko) 2019-10-13 2020-10-08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147341A1 (ko)
EP (1) EP3804538B1 (ko)
JP (1) JP2022551031A (ko)
KR (1) KR20220081372A (ko)
CN (1) CN114585273A (ko)
CA (1) CA3156046A1 (ko)
ES (1) ES2927870T3 (ko)
PL (1) PL3804538T3 (ko)
TW (1) TW202128032A (ko)
WO (1) WO20210740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969B1 (ko) * 2023-05-08 2024-05-03 태영에스티 주식회사 궐련형 전자담배용 스틱
KR102662973B1 (ko) * 2023-05-08 2024-05-03 태영에스티 주식회사 궐련형 전자담배용 스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116950D0 (en) * 2021-11-24 2022-01-05 Nicoventures Trading Ltd A 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12294A (en) 1946-05-23 1948-11-10 Oscar Leg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for extracting tobacco from rejected cigarettes
US5246116A (en) 1992-09-22 1993-09-21 Reynolds Metal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the components from foil-containing laminates
US5335786A (en) 1993-08-27 1994-08-09 Roberto Ronald 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and recycling plastics
PT2371508E (pt) 2010-04-01 2014-04-11 Offset Polyplast Processo de reciclagem de resíduos de folha em material polimérico complexo, dispositivo associado
GB201118728D0 (en) 2011-10-31 2011-12-1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eable material recovery
WO2013075791A1 (en) 2011-11-25 2013-05-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nstructing a smoking article
TWI639393B (zh) 2012-05-31 2018-1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氣溶膠產生物品之熱傳導桿及其形成方法
WO2014015924A1 (en) 2012-07-23 2014-01-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isassembly of rod-shaped articles
GB201217067D0 (en) 2012-09-25 2012-11-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ting smokable material
HK1177381A2 (en) 2012-12-21 2013-08-23 Li Tong H K Telecom Company Ltd A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bjects having contaminating particles
CN104705780A (zh) 2013-12-13 2015-06-17 贵州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剥筒机
MY182297A (en) 2014-05-21 2021-01-1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internal susceptor
MX2017014530A (es) 2015-05-21 2018-03-02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odo para fabricar barras de tabaco que pueden calentarse de manera inductiva.
GB2562764A (en) 2017-05-24 2018-11-28 Robert Hopps Jason Tobacco-containing consumabl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969B1 (ko) * 2023-05-08 2024-05-03 태영에스티 주식회사 궐련형 전자담배용 스틱
KR102662973B1 (ko) * 2023-05-08 2024-05-03 태영에스티 주식회사 궐련형 전자담배용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85273A (zh) 2022-06-03
EP3804538A1 (en) 2021-04-14
PL3804538T3 (pl) 2022-10-24
ES2927870T3 (es) 2022-11-11
TW202128032A (zh) 2021-08-01
WO2021074014A1 (en) 2021-04-22
EP3804538B1 (en) 2022-07-20
JP2022551031A (ja) 2022-12-07
US20230147341A1 (en) 2023-05-11
CA3156046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1372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
JP7103584B2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物品
JP7434442B2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JP6927501B2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21048843A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JP6666854B2 (ja) 内部サセプタ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物品
JP2022075874A (ja) インダクタ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20210018846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11925203B2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200101940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TW202108024A (zh) 氣溶膠產生系統、氣溶膠產生裝置、及氣溶膠產生製品
EA043868B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KR20230003528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A041975B1 (ru)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EA041863B1 (ru)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KR20220076472A (ko)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