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094A - 평탄화 장치 - Google Patents

평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094A
KR20220081094A KR1020200170579A KR20200170579A KR20220081094A KR 20220081094 A KR20220081094 A KR 20220081094A KR 1020200170579 A KR1020200170579 A KR 1020200170579A KR 20200170579 A KR20200170579 A KR 20200170579A KR 20220081094 A KR20220081094 A KR 2022008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
press unit
gant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025B1 (ko
Inventor
이태중
이태오
이정화
정윤철
윤소진
정익성
한붕섭
Original Assignee
(주) 성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부 filed Critical (주) 성부
Priority to KR102020017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6Removing local distortions
    • B21D1/08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hollow bodies made from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3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6Workpiece support, i.e. back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평탄화 장치는 몸체 부재; 일부분이 상기 몸체 부재에 안착된 대상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방향으로 이동되는 겐트리 유닛; 상기 겐트리 유닛에 결합되고, 대상물의 표면을 스캔하여 대상물의 휘어짐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상기 겐트리 유닛에 결합되고, 대상물을 가압하는 제1 프레스 유닛; 상기 몸체 부재에 설치되고, 대상물에서 제1 프레스 유닛에 의해 가압된 부분의 반대면을 가압하는 제2 프레스 유닛; 및 상기 대상물의 특정 영역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대상물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되도록 상기 제2 프레스 유닛, 제1 프레스 유닛 및 겐트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탄화 장치{Lev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평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대상물의 휘어짐을 보정할 수 있는 평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찰 교반 용접은 용접툴과 용접 대상물의 물리적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피용접부를 가열하고, 용접툴의 단부에 형성된 핀부를 이용하여 가열된 용접 대상물에 소성 유동을 형성하여 접합하는 일종의 고상 접합법이다.
이러한 기술은 용융 온도 이하에서 접합을 하므로, 청결하고 용접부 물성이 우수하여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융점이 낮은 용접 대상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찰 교반 용접은 재료의 용융점 이하에서 접합이 이루어지므로 용융 용접시 발생하는 여러 결함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 교반 용접은 선박 제조시 대형 알루미늄 합금 판재(광폭판 등)를 접합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광폭판은 평탄화 장치 상에서 두 개의 판재를 서로 맞닿게 하고 용접을 실시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광폭판의 용접 과정이후에 용접이 실시된 부분에 대상물의 휘어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대상물의 휘어짐은 광폭판으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대상물의 휘어짐을 제거하는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평탄화 작업을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대상물의 휘어짐을 확인하고, 망치를 사용하여 대상물에서 휘어진 부분을 두들겨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해야 함으로써, 광폭판 하나를 평탄화 작업하기 위하여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74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평탄화 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평탄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용접 대상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평탄화 장치는 몸체 부재; 일부분이 상기 몸체 부재에 안착된 대상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방향으로 이동되는 겐트리 유닛; 상기 겐트리 유닛에 결합되고, 대상물의 표면을 스캔하여 대상물의 휘어짐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상기 겐트리 유닛에 결합되고, 대상물을 가압하는 제1 프레스 유닛; 상기 몸체 부재에 설치되고, 대상물에서 제1 프레스 유닛에 의해 가압된 부분의 반대면을 가압하는 제2 프레스 유닛; 및 상기 대상물의 특정 영역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대상물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되도록 상기 제2 프레스 유닛, 제1 프레스 유닛 및 겐트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프레스 유닛은, 패턴 형상으로 배치되어 대상물의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단위 프레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스 부재 각각이 대상물을 가압하는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상기 제2 프레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레스 유닛과 제2 프레스 유닛으로 대상물을 가압하고, 상기 검출 유닛으로 대상물을 스캔한 이후에도 상기 대상물에서 휘어짐이 재차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스 유닛과 제1 프레스 유닛으로 대상물을 가압하는 과정을 대상물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겐트리 유닛은,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레일 부재; 상기 제1 레일 부재에 대해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 레일 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레일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레일 부재; 및 상기 제2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스 유닛이 결합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는 겐트리 유닛, 검출 유닛, 제1 프레스 유닛, 제2 프레스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평탄화 장치는 검출 유닛으로 대상물의 휘어짐을 검출하고, 제어부가 제1 프레스 유닛, 제2 프레스 유닛을 제어하여 대상물의 평탄화 작업이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는 작업자가 망치를 사용하여 대상물에서 휘어진 부분을 두들겨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종래의 평탄화 작업과 다르게, 대상물이 될 수 있는 광폭판을 목표 평탄도가 될 때까지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용접 대상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탄화 장치에 포함된 검출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검출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평탄화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평탄화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검출 유닛이 대상물을 스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검출 유닛은 상방으로 회전되고, 제1 프레스 유닛이 동작을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대상물이 제1 프레스 유닛과 제2 프레스 유닛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대상물의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는 몸체 부재(110), 겐트리 유닛(120), 검출 유닛(130), 제1 프레스 유닛(140), 제2 프레스 유닛(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110)는 평탄화 장치(100)의 몸체가 될 수 있다. 몸체 부재(110)에는 후술할 제2 프레스 유닛(150)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 부재(110)는 지면 또는 작업 테이블(미도시)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몸체 부재(110)는 평판 형상일 수 있다.
겐트리 유닛(120)은 일부분이 상기 몸체 부재(110)에 안착된 대상물(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방향으로 이동된다. 겐트리 유닛(120)은 대상물(10)의 가공, 처리, 검사 등에 사용되는 부분이 대상물(10)에 대해 다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겐트리 유닛(120)은 검출 유닛(130)과 제1 프레스 유닛(140)을 대상물(10)에 대해 다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겐트리 유닛(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검출 유닛(130)은 상기 겐트리 유닛(120)에 결합된다. 검출 유닛(130)은 대상물(10)의 표면을 스캔한다. 예를 들어, 검출 유닛(130)은 대상물(10)의 휘어짐을 검출한다. 또는 검출 유닛(130)은 대상물(10) 표면의 돌출될 부분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검출 유닛(130)이 대상물(10)의 휘어짐 또는 돌출된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은 일례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대상물(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검출 유닛(130)이 겐트리 유닛(120)에 의해 대상물(10)의 표면을 따라 지정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고, 검출 유닛(130)이 대상물(10)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면, 대상물(10) 전체의 휘어진 형상 및 돌출된 부분에 대한 데이터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상물(10)에서 휘어진 형상 및 돌출된 부분을 휘어진 형상이라고 기재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는 대상물(10)의 휘어진 것만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평탄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들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 장치(100)는 대상물(10)의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부의 변형도 보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 유닛(230)은 변형예로 상하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롤러(23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롤러(231)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스프링(232)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롤러(231)는 겐트리 유닛(120)에 의해 대상물(10)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대상물(10)의 휘어진 형상에 대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유닛(230)은 대상물(10)의 휘어진 형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후술할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대상물(10)이 제어부(160)에 의해 평탄화 작업이 실시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프레스 유닛(140)은 상기 겐트리 유닛(120)에 결합되고, 대상물(10)을 가압한다. 제1 프레스 유닛(140)은 도면상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상물(1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프레스 유닛(150)은 상기 몸체 부재(110)에 설치되고, 대상물(10)에서 제1 프레스 유닛(14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의 반대면을 가압한다. 제2 프레스 유닛(150)은 도면상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상물(10)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프레스 유닛(150)과 제1 프레스 유닛(140)은 대상물(10)을 가압하여 대상물(10)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10)이 광폭판이고, 광폭판의 일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경우, 제1 프레스 유닛(140)은 돌출된 부분의 상면을 가압하고, 제2 프레스 유닛(150)은 돌출된 부분 주변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휘어진 대상물(10)을 평평하게 하기 위하여 제1 프레스 유닛(140)과 제2 프레스 유닛(150)이 대상물의 특정 위치를 개별적으로 가압하는 것은 대상물의 휘어진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방법만 사용하여 대상물(10)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어부(160)는 상기 대상물(10)의 특정 영역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대상물(10)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되도록 상기 제2 프레스 유닛(150), 제1 프레스 유닛(140) 및 겐트리 유닛(120)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검출 유닛(130)으로부터 대상물(10)의 휘어진 형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제어부(160)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겐트리 유닛(120), 제1 프레스 유닛(140)과 제2 프레스 유닛(150)을 제어하여 대상물(10)의 평탄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는 제1 프레스 유닛(140)과 제2 프레스 유닛(150)으로 대상물(10)의 제조 과정, 예컨대 용접 과정에서 휘어짐이 발생된 부분만 개별적으로 가압하여 대상물(10)의 평탄화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물(10)의 평탄화를 위하여 종래의 평탄화 작업과 같이 작업자가 망치로 대상물(10)에서 휘어진 부분을 두드리지 않아도 됨으로써, 대상물(10)이 될 수 있는 광폭판의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폭판 제조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2 프레스 유닛(150)은 일례로 복수의 단위 프레스 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프레스 부재(151)는 패턴 형상으로 배치되어 대상물(10)의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프레스 부재(151)에서 대상물(10)을 가압하는 가압부(152)는 일례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단위 프레스 부재(151)에서 대상물(10)을 가압하는 가압부(152)는 반구 형상인 것도 가능할 수 있으나, 특정 형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압부(152)가 바둑판과 같이 전후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프레스 부재(151)들 전체를 합한 크기는 대상물(10)과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각각의 단위 프레스 부재(151)가 대상물(10)의 특정 영역을 개별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겐트리 유닛(120)은 일례로 제1 레일 부재(121), 제2 레일 부재(122) 및 이동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 부재(121)는 상기 몸체 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레일 부재(12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 부재(110)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레일 부재(122)는 상기 제1 레일 부재(121)에 대해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 레일 부재(121)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레일 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 레일 부재(122)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 부재(110)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23)는 상기 제2 레일 부재(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레스 유닛(140)이 이동 부재(123)에 결합될 수 있다. 검출 유닛(130)도 이동 부재(1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레일 부재(122)가 제1 레일 부재(121)를 따라 이동되고, 이동 부재(123)가 제2 레일 부재(122)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1 프레스 유닛(140)과 검출 유닛(130)은 대상물(10) 전체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 유닛(130)은 상기 이동 부재(123)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검출 유닛(130)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되거나,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스 유닛(140)이 대상물(10)을 가압하기 전에 검출 유닛(130)의 자유단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검출 유닛(130)의 자유단과 대상물(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스 유닛(140)이 대상물(1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대상물(10)이 검출 유닛(13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어부(160)는 상기 제1 프레스 유닛(140)과 제2 프레스 유닛(150)으로 대상물(10)을 가압하고, 상기 검출 유닛(130)으로 대상물(10)을 스캔한 이후에도 상기 대상물(10)에서 휘어짐이 재차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스 유닛(150)과 제1 프레스 유닛(140)으로 대상물(10)을 가압하는 과정을 대상물(10)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는 작업자가 망치를 사용하는 종래의 평탄화 작업과 다르게 대상물(10)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하므로, 대상물(10)의 제조 품질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 유닛(130)이 대상물(10)의 표면을 스캔하여 대상물(10)의 휘어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 유닛(130)은 대상물(10)의 휘어진 형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검출 유닛(130)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제어부(160)는 겐트리 유닛(120)을 제어하여 제1 프레스 유닛(140)으로 대상물(10)의 상면의 특정 부분을 가압시키고, 제2 프레스 유닛(150)으로 대상물(10)의 하면의 특정 부분을 가압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0)에서 상방으로 휘어진 부분이 눌러질 수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0)의 휘어짐이 보정되면서 평탄도가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최종적으로 검출 유닛(130)이 대상물(10)의 평탄도를 측정하고, 대상물(10)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이면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대상물(10)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를 벗어나는 경우, 평탄화 작업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는 겐트리 유닛(120), 검출 유닛(130), 제1 프레스 유닛(140), 제2 프레스 유닛(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평탄화 장치(100)는 검출 유닛(130)으로 대상물(10)의 휘어짐을 검출하고, 제어부(160)가 제1 프레스 유닛(140), 제2 프레스 유닛(150)을 제어하여 대상물(10)의 평탄화 작업이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 장치(100)는 작업자가 망치를 사용하여 대상물(10)에서 휘어진 부분을 두들겨서 평탄화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종래의 평탄화 작업과 다르게, 대상물(10)이 될 수 있는 광폭판을 목표 평탄도가 될 때까지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평탄화 장치
110: 몸체 부재
120: 겐트리 유닛
121: 제1 레일 부재
122: 제2 레일 부재
123: 이동 부재
130, 230: 휘어짐 검출 유닛
140: 제1 프레스 유닛
150: 제2 프레스 유닛
151: 단위 프레스 부재
152: 가압부
160: 제어부

Claims (6)

  1. 몸체 부재;
    일부분이 상기 몸체 부재에 안착된 대상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방향으로 이동되는 겐트리 유닛;
    상기 겐트리 유닛에 결합되고, 대상물의 표면을 스캔하는 검출 유닛;
    상기 겐트리 유닛에 결합되고, 대상물을 가압하는 제1 프레스 유닛;
    상기 몸체 부재에 설치되고, 대상물에서 제1 프레스 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의 반대면을 가압하는 제2 프레스 유닛; 및
    상기 대상물의 특정 영역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대상물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되도록 상기 제2 프레스 유닛, 제1 프레스 유닛 및 겐트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평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스 유닛은,
    패턴 형상으로 배치되어 대상물의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단위 프레스 부재를 포함하는 평탄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프레스 부재 각각이 대상물을 가압하는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상기 제2 프레스 유닛을 제어하는 평탄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레스 유닛과 제2 프레스 유닛으로 대상물을 가압하고, 상기 검출 유닛으로 대상물을 스캔한 이후에도 상기 대상물에서 휘어짐이 재차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스 유닛과 제1 프레스 유닛으로 대상물을 가압하는 과정을 대상물의 평탄도가 목표 평탄도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평탄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겐트리 유닛은,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레일 부재;
    상기 제1 레일 부재에 대해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 레일 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레일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레일 부재; 및
    상기 제2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스 유닛이 결합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평탄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평탄화 장치.
KR1020200170579A 2020-12-08 2020-12-08 평탄화 장치 KR10243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79A KR102432025B1 (ko) 2020-12-08 2020-12-08 평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79A KR102432025B1 (ko) 2020-12-08 2020-12-08 평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94A true KR20220081094A (ko) 2022-06-15
KR102432025B1 KR102432025B1 (ko) 2022-08-18

Family

ID=8198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579A KR102432025B1 (ko) 2020-12-08 2020-12-08 평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0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406A (ko) 2012-12-28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찰교반용접용 툴
JP2016026885A (ja) * 2014-07-04 2016-02-18 株式会社エスティー 加圧式歪取装置
KR101634005B1 (ko) * 2014-11-26 2016-06-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형상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406A (ko) 2012-12-28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찰교반용접용 툴
JP2016026885A (ja) * 2014-07-04 2016-02-18 株式会社エスティー 加圧式歪取装置
KR101634005B1 (ko) * 2014-11-26 2016-06-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형상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025B1 (ko)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9047B2 (ja) 矯正装置,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WO2007043707A1 (ja) 鋼板の突合せ溶接システム及び鋼板の突合せ溶接方法
CN108068345B (zh) 用于焊接热塑复合零件的高压釜和方法
KR101100845B1 (ko) 석영유리부재의 용접방법 및 장치
JP2016093846A (ja) 少なくとも1つの押圧要素が2つ以上の異なる圧力レベルを加えるのに適している締圧装置を使用して、薄い金属シートを溶加材料なしで突合せ溶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10114261A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방법
WO2009026808A1 (en) Apparatus of laser stitch welding for large scale sheets
KR102432025B1 (ko) 평탄화 장치
KR10227053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및 강화유리 밴딩 방법
JP2010070388A (ja)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KR10200236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및 강화유리 밴딩 방법
TWI521730B (zh)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KR101289903B1 (ko)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JP2005066604A (ja) レーザ溶接装置
US20210252646A1 (en) Laser cutting system and method
JP2019206027A (ja) 仕上げ加工装置
US9849493B2 (en) B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bending a sheet metal workpiece
CN115847833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塑料激光焊接系统
KR102248442B1 (ko) 플래쉬 버트 용접용 테스트 장치
KR102606566B1 (ko) 방전가공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CN219817563U (zh) 一种整形装置的控制系统
KR102022540B1 (ko) 용접강판 노칭장치 및 노칭방법
KR102306830B1 (ko) 차량 프레임 레이저 커팅 장치
KR20240006216A (ko) 프레임 용접변형 교정 장치
KR102621746B1 (ko) 곡면판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