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989A -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 Google Patents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989A
KR20220079989A KR1020227016643A KR20227016643A KR20220079989A KR 20220079989 A KR20220079989 A KR 20220079989A KR 1020227016643 A KR1020227016643 A KR 1020227016643A KR 20227016643 A KR20227016643 A KR 20227016643A KR 20220079989 A KR20220079989 A KR 2022007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d cap
cavity
interface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리페 비니셔스 마린호 스콜심
카를로스 코르데로
로니 바리오스
존 토마스 캠벨 3세
크리스티안 카밀로 세라노 카마초
란 주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Abstract

냉장 기기는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격실, 및 기기 몸체와 결합하여 격실을 선택에 따라 폐쇄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에는 전면 패널, 후면 패널과, 도어 단부를 제공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가 있다. 폐쇄부 조립체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부 캡 및 단부 캡과 결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단부 캡은 선택에 따른 격실의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틈새의 적어도 일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공동을 형성한다. 인터페이스 공동은 손잡이 틈새와 분리되어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폐쇄된다.

Description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본 출원은 전반적으로 냉장 장치 도어용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도어를 여는 것을 돕기 위한 손잡이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하거나 냉장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상기 폐쇄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 기기, 예를 들어 가정용 냉장고는 하나 이상의 격실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신선식품실과 냉동실 내지 냉동 섹션을 모두 갖는다. 신선식품실은 과일, 야채, 음료 등의 식품류를 보관하는 곳이며, 냉동실은 냉동 상태로 유지돼야 하는 식품류를 보관하는 곳이다. 냉장고에는 신선식품실을 0℃ 이상, 예를 들어, 0.25℃ 내지 4.5℃의 온도로 유지하고 냉동실을 0℃ 미만, 예를 들어 0℃ 내지 -20℃의 온도로 유지하는 냉장 시스템이 구비된다.
그러한 냉장고에서 신선식품실 및 냉동실의 서로에 대한 배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어떤 경우에는 냉동실이 신선식품실 위에 위치하고 다른 경우에는 냉동실이 신선식품실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많은 현대식 냉장고에는 냉동실과 신선식품실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과 신선식품실을 어떻게 배치하든 간에, 일반적으로 이들 격실에는 개별적 접근 및 이에 따른 별도의 도어가 구비되어 다른 한 격실을 주위 공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어느 한 격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격실에 대한 종래의 폐쇄부는 힌지 도어, 서랍 도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힌지 도어는 도어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힌지가 달려 있다. 서랍 도어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및/또는 틸팅 서랍에 제공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대개 도어 또는 격실 폐쇄부라고 지칭하는 두 가지 도어 유형 모두는 일반적으로 각 격실의 외주 둘레에서 냉장 기기 몸체의 전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예를 들어 주변 공기로부터 해당 격실을 밀봉한다.
도어는 일반적으로 냉장 기기의 가장 가시적인 측면이며 소유자에게 미적 기능과 실용적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기기 소유자가 자신의 기기에서 더 나은 제어, 맞춤화 및 기능을 원하기 때문에, 이러한 욕구는 종종 그러한 냉장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존 제어부의 상태나 제공되는 경우 대개 식품 격실 내부에 있는 기존 제어부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대신 사용자는 이제 이러한 기능이 눈에 띄고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제공되기를 원하며, 그 위치 중 하나가 도어이다. 외부 제어부가 고려되는 경우, 특히 제조와 관련된 통합이 지나치게 복잡하지 않아야 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전술한 문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동시에 냉장 기기의 식품 격실을 단순히 밀봉하는 것 이상으로 사용자를 위한 추가 효용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실 폐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냉장 기기는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격실을 구획하는 몸체, 및 몸체와 결합되어 격실을 선택에 따라 폐쇄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을 포함하며, 도어가 몸체와 결합되면 전면 패널은 격실의 외측에 배치되고 후면 패널은 격실과 마주한다.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는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 각각에 인접한 도어의 단부를 제공한다.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는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부 캡 및 단부 캡과 결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단부 캡은 선택에 따른 격실의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틈새의 적어도 일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공동을 형성한다. 인터페이스 공동은 손잡이 틈새와 분리되어 있고, 손잡이 틈새를 따라 연장되고 단부 캡의 외부 주 표면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폐쇄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기 도어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는 도어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해 기기 도어의 전면 및 후면 패널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단부 캡을 포함하고, 단부 캡은 단부 캡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손잡이를 갖는다.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는 적어도 전면 패널에 단부 캡의 전면을 장착하기 위한 중간 부재, 및 단부 캡의 길이를 따라 대체로 손잡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공동에 보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의 제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단부 캡은 인터페이스 공동의 개구부 주위 둘레로 연장되는 외향 개방 홈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 수용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자 기판을 내부에 보유하는 기판 하우징을 포함한다. 기판 하우징은 기판 하우징의 둘레 주위에 배치되고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의 수분 침투를 제한하기 위해 단부 캡의 외향 개방 홈 내로 수용되어 라비린스(labyrinth) 폐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향 연장 립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냉장 기기 도어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는 단부 캡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공동을 갖는 단부 캡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공동은 냉장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 또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용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공동에 보유되고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의 수분 침투를 제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공동 주위로 외주 둘레 전체에 배치된 S자형 폐쇄부를 단부 캡과 함께 형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판 하우징 내부 및 내부로 연장된 기판 하우징을 수용하는 인터페이스 공동 내의 양쪽 모두에 보유되는 전자 기판을 포함한다. 전자 기판은 사용자와의 접촉에 의해 전자 기판에 신호를 보내기 위해 기판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기타 특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비례척이 아닐 수도 있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를 도시한다.
도 1은 닫힌 위치에 있는 신선식품실의 도어와 냉동실의 서랍을 보여주는 가정용 프렌치 도어 하냉동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로서, 신선식품실의 도어가 열린 위치에 있고 냉동실의 서랍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가정용 2도어 상냉동 냉장고의 부분 정면 사시도로서, 하부 신선식품실과 상부 냉동실의 도어가 약간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냉장고 몸체에서 해체되어 분리된 도 3의 냉장고 도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냉장고의 하부 격실 도어의 부분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냉장고의 하부 격실 도어의 상부 단부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다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취한 부분 하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판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백본(backbone) 조립체에 의해 냉장 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격실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백본 조립체와 결합된 도 13의 제어 박스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어 박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어 박스의 다른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백본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 내지 도 17의 제어 박스와 상이한 실시예의 제어 박스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어 박스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의 격실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제어 박스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제어 박스의 다른 개략도이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 또는 그 구성요소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가능하면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전체적으로 10으로 지시된 가정용 냉장고 형태의 냉장 기기를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가정용 냉장고(10)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가정용 냉장고(10) 이외의 냉장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가 냉동실(12)의 수직 위에 배치된 신선식품실(14)을 포함하는 냉장고(10)의 하냉동 구성으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다. 그러나, 냉장고(10)는 적어도 신선식품실(14) 및/또는 냉동실(12)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구성, 예를 들어 상냉동 냉장고(냉동고가 신선식품실 위에 배치됨), 양문형 냉장고(신선식품실이 냉동실 옆에 있음), 독립형 냉장고나 냉동고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도어(16)는 냉장고(10)의 캐비넷(19)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선식품실(14)에 대한 접근을 제한 및 허용한다. 도어(16)는 신선식품실(14)의 입구를 가로질러 전체 측방향 거리에 걸쳐 있을 수 있거나, 신선식품실(14)을 둘러싸기 위해 집합적으로 신선식품실(14) 입구의 전체 측방향 거리에 걸쳐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프렌치형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구성을 위해, 도어(16) 중 적어도 하나에 센터 플립 멀리언(center flip mullion)(21)(도 2)이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도어(16)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 시일이 도어(16)의 대향 측면들(17)(도 2) 사이의 위치에서 신선식품실(14)의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닿는 표면을 설정한다. 멀리언(21)은 도어(16)가 닫힐 때 도어(1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방향과 도어(16)가 열릴 때의 다른 방향 사이에서 피벗하도록 도어(16)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센터 멀리언(21)의 외부 노출 표면은 센터 멀리언(21)이 제1 방향에 있을 때 도어(1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센터 멀리언(21)이 제2 방향에 있을 때 도어(16)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각도를 형성한다. 시일과 멀리언(21)의 외부 노출 표면은 신선식품실(14)의 측면들 사이의 대략 중간에서 협력한다.
적어도 얼음 조각을, 그리고 선택사항으로 물을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18)(도 1)가 신선식품실(14)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도어(16) 중 하나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펜서(18)는 얼린 얼음 조각이 신선식품실(14) 내에 배치된 제빙기(25)의 얼음 통(26)(도 2)으로부터 분배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레버, 스위치, 근접 센서 등)를 포함한다. 얼음 통(26)으로부터의 얼음 조각은 구멍(27)을 통해 얼음 통(26)을 빠져나와서, 얼음 슈트(chute)(22)(도 2)를 통해 디스펜서(18)로 전달될 수 있는데, 얼음 슈트(2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펜서(18)와 얼음 통(54) 사이의 도어(16)를 통해 연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실(12)은 신선식품실(14)의 수직 아래에 배치된다. 냉동실(12)에 보관된 식품류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냉동실 바스켓(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서랍 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냉동실(1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서랍 조립체는 손잡이(15)를 포함하는 냉동실 도어(11)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15)를 잡고 냉동실 도어(11)를 당겨 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동실 바스켓이 냉동실(1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출되게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빙기는 냉동실 내에 위치된다. 이 구성에서, 비록 여전히 냉동실 내에 배치되긴 하지만, 적어도 제빙기(및 아마도 얼음 통)는 냉동실 도어의 내부 표면에 장착된다. 얼음 틀과 얼음 통은 별개 요소일 수 있음이 고려되며, 이 경우 하나는 냉동실 내에 그대로 있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 도어에 있다.
냉동실(12)은 냉동실(12)에 보관된 식품류를 냉동 및/또는 냉동 상태로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냉동실(12)은 냉동실(12)에서 열에너지를 제거하는 냉동기 증발기(도시되지 않음)와 열적으로 연통되어, 냉장고(10)의 운전 중에 냉동실(12) 내부 온도를 0℃ 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의 온도로 유지한다.
냉장고(10)는 신선식품실(14)과 냉동실(12) 모두를 형성하는 내부 라이너(liner)(24)(도 2)를 포함한다. 라이너(24)는 캐비넷(19)과 결합되며 그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 예를 들어 분무 단열재를 포함한다.
신선식품실(14)은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10)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보관된 식품류의 부패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신선식품실(14)은 신선식품실(14)의 온도를 일반적으로 0℃보다 높은 차가운 온도로 유지하여 신선식품실(14) 내의 식품류가 동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차가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4.5℃임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기 증발기에 의해 열에너지가 제거된 차가운 공기를 신선식품실(14)에 불어넣어 그 내부의 온도를 0℃ 초과,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4.5℃로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신선식품실(14) 내의 온도를 냉동실(12)과 무관하게 별도로 유지하기 위해 선택사항으로 별도의 신선식품 증발기를 전용으로 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선식품실(14)의 온도는 0℃ 내지 4.5℃ 범위(그 범위에 속하는 모든 하위 범위 및 모든 개별 온도 포함)의 빡빡한 허용 오차 내에서 차가운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는 선택사항으로 신선식품실(14) 내의 차가운 온도를 0.25℃ 내지 4℃의 온도라는 충분히 빡빡한 허용 오차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냉장고(11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프렌치 도어(16)와 하부장착 냉동실(12)을 갖는 냉장고(10)와 비교하여, 냉장고(110)는 상부장착 냉동실 구성과 하부에 위치한 신선식품실을 위한 단일 도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110)는 그 밖의 점에서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논의된 냉장고(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냉장고(10)의 양태와 유사한 냉장고(110)의 양태는 100번대로 색인된 동일한 도면부호로 식별된다. 냉장고(10)의 양태가 냉장고(110)에 포함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임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을 상세히 참조하면, 냉장고(110)는 몸체(118)와 결합된 수직으로 분리된 한 세트의 도어(116)를 포함한다. 하부 도어(116)는 신선식품실(114)을 선택에 따라 폐쇄하기 위해(따라서 선택에 따른 개방을 또한 허용한다) 제공된다. 상부 도어(16)는 냉동실(112)의 선택에 따른 개폐를 위해 제공된다. 냉장고(100)의 도시된 실시예는 두 도어(116) 모두 냉장고(100)의 몸체(118)에 힌지 장착된 것과 라이너(119)가 몸체(118)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어느 도어(116)든 왼쪽 또는 오른쪽에 힌지 장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도어(116)는 각각의 격실(112 또는 114)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몸체(118)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틸팅 중 적어도 한 가지가 가능한 서랍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후술하는 설명은 신선식품실(114)의 하부도어(116)에 대한 것이지만, 냉동실의 상부도어(116)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서랍장착 도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시된 하부 도어(116)는 전면 패널(130) 및 후면 패널(132)을 포함한다. 도어(116)가 몸체(118)와 결합될 때 전면 패널(130)은 신선식품실(114)의 외측에 배치되고 후면 패널(132)은 신선식품실(114)을 향한다. 패널(130, 132)은 상부 부분(134)부터 하부 부분(136)까지 수직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이들 상부 및 하부 부분(134, 136)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어(116)의 상부 및 하부는 전면 패널(130)과 후면 패널(132)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 패널(130, 132)을 서로 결합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140)에 의해 폐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는 각 도어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이할 것이다. 조립 후 도어 내부에 단열 폼(foam)을 주입하여 도어에 단열 및 구조강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도어 단부 조립체는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140)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어(116)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도어(116)의 상부에 있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140)에 대해 설명하지만, 그 설명은 다른 도어나 도어(116) 또는 다른 도어 상의 단부 폐쇄부 조립체의 다른 위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은 별도의 단부 캡을 포함하지 않는 도어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판금을 구부려서 냉장고 도어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별도의 단부 캡 요소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는 이러한 비-단부 캡 구성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금속은 내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치하기 위한 적절한 절결부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의 상단 모서리가 아니더라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은 도어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별도의 단부 캡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판금을 접어서 형성된 측면 모서리 또는 하단 모서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어(116)의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140)는 전면 패널(130)과 후면 패널(132) 사이에서 연장되어 전면 패널(130)을 후면 패널(132)에 결합하는 단부 캡(142)을 포함한다. 단부 캡(142)의 전방 가장자리(144)는 전면 패널(130)에 장착되고, 단부 캡(142)의 후방 가장자리(146)(도 6)는 후면 패널(132)에 장착된다.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144, 146) 사이에서, 단부 캡(142)은 도어(116)의 수직 축(145)에 대체로 직교하는 도어(116)의 두께 방향(143)을 따라 연장된다.
두께 방향(143) 및 수직 축(145) 각각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단부 캡(142)은 단부 캡(142)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단부(150, 152) 사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캡(142)은 도어(116)의 상부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단부 캡(142)은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우측 단부(152)(도 5의 도시 참조)는 막힌 구멍이거나 대안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샤프트의 수용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154)일 수 있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한다. 베어링(155)은 우측 관통 구멍(154)에 수용된다. 반대쪽 좌측 단부(150)에 있는 관통 구멍(154)은 캡(156)에 의해 폐쇄되고, 힌지 장착 도어를 반대 방향으로 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캡(142)은 신선식품실(114)의 선택에 따른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포켓 손잡이 틈새(16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손잡이 틈새(160)는 단부 캡(142)의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144, 146) 사이에서, 그리고 대향하는 길이방향 단부(150, 152) 사이에서 단부 캡(142)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틈새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는 오목한 포켓 손잡이를 포함하지 않는 단부 캡에, 또는 심지어 상단 모서리를 따라 별도의 단부 캡을 포함하지 않고 오목한 포켓 손잡이 역시 포함하지 않는 도어에 사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단부 캡(또는 도어의 비-단부 캡 상단 모서리)은 내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치하기 위한 적절한 절결부를 가질 수 있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하거나 균일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단 표면은 평평한 단부 캡의 상단 표면과 대체로 같은 높이일 것이다.
도시된 단부 캡(142)은 손잡이 틈새(160)가 전방 패널(130)과 후방 패널(132) 사이에서 도어(116)의 공동 바닥면까지 깊이를 따라 연장되는 파지 공동(162)의 적어도 일부인 것을 도시한다. 파지 공동(162)은 단부 캡(142)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손잡이 틈새(160), 및 그에 따라 파지 공동(162)은 단부 캡(142)의 전방 융기부(164)를 파지하기 위해 손, 특히 손가락을 놓아둘 사용자 공간을 허용한다. 이 전방 융기부(164)는 파지 공동(162) 및 손잡이 틈새(160)의 전방 부분을 한정하고 도 5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개 도어(116)는, 또는 구체적으로 단부 캡(142)은 대개의 도어(116) 및/또는 단부 캡(142) 중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는 단부 캡(142)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와 단부 캡(142) 사이의 손잡이 틈새(16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단부 캡(142)에 적어도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140)는 단부 캡(142)과 결합된 전자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를 또한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대개 냉장고의 주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어가 연결된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냉장 기기(110)와 관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신선식품실 및/또는 냉동실(114, 112)의 온도를 제어하고, 급속 냉동 모드와 같은 특수 모드를 활성화하며, 격실(114, 112) 내의 조명을 변경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 피드백, 예를 들어 도어가 조금 열린 채로 있음, 공기 필터 상태, 및/또는 격실 온도가 사전에 프로그래밍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임계값보다 높거나 낮음의 표시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실 중 하나가 신선식품 환경(즉, 빙점 온도 이상) 또는 냉동고 환경(즉, 빙점 온도 이하)을 유지할 수 있는 전환 가능한 격실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사용자가 전환 가능 격실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손잡이 틈새(160)를 따라 연장되고 단부 캡(142)의 외부 주 표면(172)에 제공된다. 주 표면(172)은 파지 공동(162)과 사용자 인터페이스(170)가 수용되고 보유되는 단부 캡(142)의 인터페이스 공동(174)(도 6)을 따라서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며, 파지 공동(162) 및 인터페이스 공동(174) 각각은 외부 주 표면(172)으로 열려 있다. 도시된 외부 주 표면(172)은 단부 캡(142)의 전방 가장자리(144)에 배치된 하부 부분(176)을 가지며, 하부 부분(176)은 단부 캡(142)의 후방 가장자리(146)에서 외부 주 표면(172)의 높이보다 낮은 수직 축(145) 방향의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장착 냉동실(112)의 도어(116)의 하부 부분(176)과 하부 모서리(178)(도 4) 사이에 수직 축(145) 방향의 수직 틈새가 제공된다. 수직 틈새는 사용자가 손잡이 틈새(160) 및 파지 공동(162) 내로 손을 안내하여, 이에 의해 전방 가장자리(144) 및 하부 부분(176)의 위치에 배치된 단부 캡(142)의 전방 융기부(164)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공동(174)은 파지 공동(162)처럼 전면 및 후면 패널(130, 132) 사이에서 도어(116) 내로 연장된다. 도시된 인터페이스 공동(174) 및 파지 공동(162)은 단부 캡(142)의 길이방향 길이를 따라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공동(174 및 162)은 단부 캡(142)의 외향 연장 리브(rib)(179)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리브(179)는 공동(174, 162) 사이에 배치되고 공동(174, 162)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한정한다. 리브(179)의 존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에 의한 파지 공동(162)의 중첩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지 공동(162)은 인터페이스 공동(174)의 깊이보다 큰 수직 축(145) 방향 깊이를 갖는다. 파지 공동(162)은 또한 전방 가장자리(144)를 따라 위치되는 반면 인터페이스 공동(174)은 후방 가장자리(146)를 따라 대향하여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동(162, 174)의 위치가 반대로 되거나, 공동(162, 174)의 깊이가 같거나 반대로 되는 것과 같이, 이들 특징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냉장 기기(110)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판(180), 전자 기판(180)을 수용하고 요소들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는 기판 하우징(182), 및 기판 하우징(182)의 외부 표면(186) 위에 배치된 오버레이(184)를 포함한다.
전자 기판(180)은 전자 기판(180)에 연결되고 전자 기판(180) 위에 배치된 복수의 개별 회로 요소를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판(180)은 기판 하우징(182)과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있고,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요소(190)를 포함할 수 있는 기판 하우징(182)의 외부 표면(18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유선으로 또는 선택사항으로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냉장고의 주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요소(190)는 입력,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어서 전자 기판(180)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다음으로 전자 기판(180)은 다시 냉장 기기(110)의 하나 이상의 측면, 예를 들어 조명, 온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 요소(190)는 저항성 또는 용량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기판(180) 및 기판 하우징(182)은, 예를 들어 청각 또는 시각 신호를 통해, 메시지 및/또는 경보를 사용자에게 중계하도록 공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하나 이상의 조명 요소 또는 음향 생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레이(184)는 사용자를 위해 제어 요소들(190)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기판 하우징(182)의 외부 표면(186) 위에 배치되고, 따라서 오버레이(184) 상에 쓰여진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오버레이(184)는 전자 기판(180) 상의 LED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요소, 바람직하게는 다중 조명 요소로부터, 또는 별도의 조명 시스템에 의해, 백라이트 조명을 받는다. 도시된 오버레이(184)는 기판 하우징(182) 위의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 수용되고 기판 하우징(182)의 상부 또는 측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둘레 가장자리(192)를 포함한다. 둘레 가장자리(192)는 오버레이(184)의 하부 표면과 기판 하우징의 외부 표면(186) 사이의 틈새를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버레이(184)는 기판 하우징(182)의 제어 요소(190)와 결합되어 제공될 때 전자 기판(180)으로 신호가 전송되게 할 수 있는 소재를, 예를 들어 오버레이(184)의 하부 표면 상에 포함할 수 있다. 기판 하우징(182)과 도시된 오버레이(184)가 단일 통합 요소로 통합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일례에서, 오버레이(184)는 그래픽이 사출성형 부품에 내장되는 인몰드(in-mold) 장식 부품으로서 기판 하우징(182)의 외부 표면(186)과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유사한 제작 기술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전면 패널(130), 후면 패널(132), 또는 단부 캡(14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기판 하우징(182) 및 전자 기판(18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은 힌지 지지대를 통해 전면 패널(130), 후면 패널(132) 및 단부 캡(142)에 의해 한정된 도어(116)의 내부 공간(194) 내로 배설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전원 케이블은, 예를 들어 부싱 또는 그로밋, 예컨대 탄성 부싱 또는 그로밋에 의해 밀봉된 구멍을 통해,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 통과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어(116)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저장 장치,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제 특히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의 구조적 측면, 특히 기판 하우징(182)의 구조적 측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보다 구체적으로 기판 하우징(182)은 인터페이스 공동(174)과 개방(기체) 연통하는 전자 기판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의 수분 침투를 저감, 제한 또는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공동(174) 둘레 주위에서 인터페이스 공동(174)을 덮고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기판 하우징(182)은 인터페이스 공동(174)의 벽(200)을 비롯하여 인터페이스 공동(174)의 어느 표면과의 결합으로부터도 분리된 전자 기판(180)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기판(180)은 또한 인터페이스 공동의 바닥(20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분이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 침투하여 공동 바닥(202)에 모일 수 있는 경우에도, 기판(180)은 그러한 수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것이다.
이러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기판 하우징(182)은 외부 테이블(204)을 포함하며 외부 테이블(204) 상에는 외부 표면(186)이 배치된다. 전자 기판(180)은 외부 테이블(204)의 하부 표면(210)으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벽(206)에 의해 형성된 기판 공동(205)에 보유된다. 즉, 기판 공동(205)은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 열려 있고, 하부 표면(210)은 외부 표면(186) 반대편에 배치된다. 내부 벽(206)은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 연장되고 전자 기판(18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둘레 전체를, 둘러싼다. 내부 벽(206)의 내부 표면(212)과 전자 기판(108)의 결합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어 공차 끼워맞춤, 접착제, 용접, 또는 기판(180)이나 내부 표면(212) 중 하나에 있는 슬롯, 돌출부 등의 기계적 특징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을 통해,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의 내부 벽(206)의 깊이는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의 전자 기판(180)의 깊이보다 크다. 결합은 전자 기판(108)과 기판 하우징(182)의 전기적 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 결합은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 하우징(182), 특히 외부 테이블(204)은 인터페이스 공동(174) 주위에, 예를 들어 둘레 전체에 배치된 S자형 폐쇄부를 단부 캡(142)과 함께 형성한다. 이 S자형 폐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의 외주와 단부 캡(142)의 홈에 의해 형성된 라비린스 폐쇄부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폐쇄부는 인터페이스 공동(174) 내로의 수분 침투를 저감, 제한 또는 완전히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캡(142)은 홈 바닥까지 외부 표면(172) 내로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터페이스 공동(174)의 개구부 주위에 배치되는 외향 개방 홈(220)을 포함한다. 이 외향 연장 홈(220)의 전방 길이는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144, 146) 사이에 그리고 또한 인터페이스 공동(174)과 전방 융기부(164) 사이에 배치된다.
외부 테이블(204)의 둘레 주위에 하향 연장 립(222)이 배치되어 하부 표면(210)으로부터 공동 바닥(202)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하향 연장 둘레 립(222)은 단부 캡(142)의 외향 개방 둘레 홈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수용되어 라비린스 폐쇄부를 제공한다. 립(222)은 내부 벽(206)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내부 벽(206)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싼다. 립(222)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어 공차 끼워맞춤, 접착제, 용접, 또는 슬롯, 돌출부 등의 기계적 특징부에 의해 기판 하우징(182) 또는 단부 캡(142) 중 하나에서 홈(220)에 보유될 수 있다. 단부 캡(142)과 기판 하우징(182)의 이러한 결합부 구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의 제조 및 제조 후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여전히 도 7을 참조하지만, 도 6 또한 참조하면,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140)는 단부 캡(142)을 전면 패널(130)에 장착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단부 캡(142)과 전면 패널(130) 사이에 결합된 중간 부재(230)를 선택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재(230)는 도어(116)의 외관에서 지워지도록 단부 캡(142)과 전면 패널(132) 각각의 후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면 패널(130)의 상단 부분(134)은 중간 부재(230)에 닿도록 배치되어 단부 캡(142)의 최전방 립(232)이 전면 패널(130)의 상단 부분(134)에 인접하거나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부 캡(142)은 전면 패널(13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어(116)의 조립시, 단부 캡(142), 전면 패널(130) 및 후면 패널(132)이 서로 장착되고 이들 사이의 내부 공간(194)은 단열재로 채워진다.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단열 공간 내로 유체 주입, 예를 들어 발포되며, 이는 서로 장착된 단부 캡(142), 전면 패널(130) 및 후면 패널(132)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요약하면, 냉장 기기(10, 100)는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격실(112), 및 기기 몸체(118)와 결합되고 격실(112)을 선택에 따라 폐쇄하기 위한 도어(116)를 포함한다. 도어(116)는 전면 패널(130), 후면 패널(132), 및 도어(116)의 단부를 제공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140)를 갖는다. 폐쇄부 조립체(140)는 전면 패널(130)과 후면 패널(132)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부 캡(142) 및 단부 캡(142)과 결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사용자에게 기기(110)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단부 캡(142)은 선택에 따른 격실(112)의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틈새(160)의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를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공동(174)을 형성한다. 인터페이스 공동(174)은 손잡이 틈새(160)와 분리되어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에 의해 폐쇄된다.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에 대한 상기 설명은 냉장 기기, 특히 가정용 냉장 기기의 도어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는 상업용 냉장 기기, 식기 세척기, 전자레인지, 또는 기타 주방 기기에 사용하기에도 유용하다.
별도의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370)가 도시되고, 사용자에게 냉장 기기(310)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70)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논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의 양태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70)의 양태는 300번대로 색인된 동일한 도면부호로 식별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의 양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70)에 포함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냉장 기기(310)의 온도가 조절되는 격실을 선택에 따라 개폐하기 위한 도어(316)의 측면(312)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70)를 도시한다. 도어(316)는 신선식품실 또는 냉동실의 도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부장착 냉동실의 도어일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70)와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370)를 냉장 기기(310)의 외부에서 볼 수 있고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부분에 장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유용성을 제공하며, 이 경우 제어 장치에 접근하기 위해 도어(316)를 열 필요가 없다. 또한 제어 장치의 위치에 대한 염려 없이 내부 격실 및 내부 선반에 추가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측면(312)은 도어(316)의 전면과 후면(도 11) 사이에 연장되는 2개의 측방향 대향 면 중 하나이다. 도시된 측면(312)은 전면 패널(330)의 측면 연장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16)의 이러한 좌측면 및 우측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전면 및 후면 패널(330, 332) 중 하나의 측면 연장 연장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전면 및 후면 패널(330, 332)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면 단부 캡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70)는 부싱(371)(케이싱이라고도 함), 전자 기판(380), 기판 하우징(382) 및 기판 하우징(382)의 주 외부 표면(386)에 씌워지는 페이셔 오버레이(fascia overlay)(384)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371)은 외부 측면(312)의 반대편에 있는 측면 패널 부분(390)의 내부 표면(388)에 배치된다. 이러한 장착에 의해, 오버레이(384) 주위에 경계가 제공되지 않고 따라서 오버레이(384)와 기판 하우징(382)의 상부 표면(386)은 측면 패널 부분(390)의 측면(312)과 대체로 같은 높이로 위치된다.
부싱(371)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어 공차 끼워맞춤, 접착제, 용접, 또는 부싱(371)이나 측면 패널 부분(390) 중 하나에 있는 슬롯, 돌출부 등의 기계적 특징부에 의해 내부 표면(388)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부싱(371)은 주입 또는 분무 발포단열재와 같은 내부 도어 단열재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싱(371)은 측면 패널 부분(390)의 외부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싱(371)은 도어의 단부 캡, 예를 들어 측면 또는 상단 단부 캡에 장착될 수 있거나 이와 일체일 수 있다.
부싱(371)은 기판(380) 및 기판 하우징(382)을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공동(374)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의 도어(316)의 발포공정 전후에 인터페이스 공동(374)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와이어, 와이어 하네스 및/또는 와이어 하네스 그로밋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공동(374)의 바닥/부싱(371)의 후방에 관통 구멍(378)이 포함된다. 인터페이스 공동(374)은 기판 하우징(382)과 결합하기 위해 그로부터 연장되는 하우징 가이드(375)를 또한 포함한다. 하우징 가이드(375)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380)의 상보적 특징부(377)(도 10)와 정렬하기 위한 포카 요케(poka-yoke) 특징부(376)를 포함한다. 포카 요케(376)는 하우징 가이드 중 하나가 기판(380)의 키(상보적 특징부(377))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슬롯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키의 존재로 인해 기판(380)은 부싱(371)과 한 방향으로만 적절하게 안착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70)의 조립을 더 쉽게 하고 조립 오류를 줄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371) 및 기판 하우징(382) 각각은 기판 하우징(382)을 인터페이스 공동(374)에 장착하기 위한 상보적인 스냅 특징부(391, 392)를 각각 포함한다. 기판 하우징(382)은 또한 기판 하우징(382)의 외주가 결합되는 측면 패널 부분(390)의 내향 연장 립(395)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도어(316)의 내부 공동(394)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내향 연장 립(395)은 인터페이스 공동(374) 주위로 연장되고 기판 하우징(382)의 최외곽 형상보다 작은 형상을 갖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판 하우징(382)의 바닥(396)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자 기판(380)과 결합하기 위한 추가 스냅 특징부(397)를 나타낸다. 스프링(399)(도 11)을 수용하기 위해 스프링 가이드(398)가 기판 하우징(382)을 통해 연장되어 사용자가 오버레이(384)의 일부를 누를 때 탄성을 제공한다. 기판 하우징(382)은 실질적으로 기판(380)으로부터 외부 주 외부 표면(386)으로 연장되는 도광체(4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기판(380)을 기판 하우징(382)에 장착할 때 도광체(400)에서 정렬된 전자 기판(380)의 LED들 사이의 광의 분리 및 광 블리드(light bleed)의 감소를 제공한다.
다른 별개의 실시예에서,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냉장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의 제어를 위해 냉장 기기의 내부 격실에 수용하고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박스(500) 및 백본 조립체(502)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상냉동 냉장고에는 신선식품실 내에 위치한 온도 제어 박스가 있다. 종래의 제어 박스는 냉장고 라이너에 인접하게, 예를 들어 백본 조립체에 위치하는 대응 부재에 수동으로 조립해야 하는 배수관 및/또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백본 조립체는 라이너의 후면(캐비넷의 내부를 구획하는 표면의 반대편에 있음)과 기기 케이스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조 중에 조립자는 냉장고 라이너의 배수관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수놈 단부를 찾고 상기 수놈 단부를 각각의 암놈 단부와 연결한 다음 제어 박스를 냉장고 라이너에, 예를 들어 백본 조립체에 고정해야 한다.
제어 박스를 백본 조립체에 조립하는 데 필요한 수작업 단계의 수를 줄이기 위해, 제어 박스(500)와 백본 조립체(502)는 서로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수놈 단부와 암놈 단부를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자동 정렬 특징부를 포함한다. 즉, 제어 박스(500)는 환기 덕트라고도 지칭할 수 있는 백본 조립체(502)와 함께 위에서 논의한 더 수작업인 조립에 비해 조립 라인에서 더 빠른 조립 시간을 제공하고 냉장고의 균일한 제작을 촉진한다. 자동 정렬 특징부로 인해 온도 제어 박스의 바뀌는 배치와 전기 커넥터의 부정확한 맞물림을 줄일 수 있다. 정렬 특징은 또한 예를 들어 제어 박스(500)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백본 조립체(502)로부터 제어 박스(500)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냉장고 라이너(504)에는 전기 커넥터가 맞물리는 설치 위치로 온도 제어 박스(500)를 안내하는 오목부(506)가 있다. 온도 제어 박스(500)에는 사용자에 의해 맞물릴 때, 예를 들어 측방향으로 병진이동될 때, 제어 박스(500) 내의 댐퍼(512)(도 14)의 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온도 스위치(510)가 있다. 온도 제어 박스(500)는 또한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각 격실 도어에 의해 맞물리는 도어 스위치(514)를 포함함으로써, 격실 내의 조명(515)의 작동을 방지한다. 도어가 개방되고 더 이상 도어 스위치(514)와 맞물리지 않을 때, 도어 스위치(514)는 "켜짐" 위치로 치중하여 피벗되고 조명(515)을 작동시킬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백본 조립체(502)의 전방 단부에서 상보적 암 커넥터(520)와 결합하기 위해 제어 박스(500)의 후방 단부에 수 커넥터(516)가 위치된다. 이들 커넥터(516, 520)는 서로 맞물리고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배향되는 제어 박스(500) 및 백본 조립체(502) 각각에서 상보적인 정렬 특징부 사용시 서로 쉽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도시된 온도 제어 박스(500)는 백본 조립체(502)의 한 쌍의 위치설정 구멍(524)에 결합 및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위치설정 핀(522)을 포함한다. 위치설정 구멍(524)은 구멍(524) 내에서 핀(522)을 정렬하는 것을 돕기 위해 테이퍼진 리드인(lead-in)(52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치설정 핀(522)과 위치설정 구멍(524)이 적절하게 정렬되면, 조립자는 암수 전기 플러그 커넥터(516, 520)를 쉽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설정 핀(522)이 정렬 구멍(524) 내에 있을 때, 조립자가 수 커넥터(516)나 암 커넥터(520) 중 어느 쪽도 찾을 필요 없이 수 커넥터(516)는 암 커넥터(52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의 위치설정 핀(522) 및 위치설정 구멍(524)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박스(500)는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구멍(524)을 포함할 수 있고 백본 조립체(502)는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핀(5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5 및 도 16, 특히 제어 박스(500)를 참조하면, 박스(500)는 제어 박스(500)의 후면에 배치된 수 커넥터(516)를 포함한다. 수 커넥터(516)는 크러시 리브(crush rib)(530)를 통해 후면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 커넥터(516)는 예를 들어 서비스, 수리, 교체 등을 위해 제어 박스(500)에서 해제될 수 있다. 박스(500)는 또한 소정의 양의 공기가 온도 스위치(510)(도 13)에 의해 제어되는 바와 같이 한 격실에서 다른 격실로 들어가는 것, 예를 들어 냉동실에서 신선식품실로 들어가는 것을 선택에 따라 허용/금지하는 댐퍼(51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7, 특히 백본 조립체(502)를 참조하면, 조립체(502)는 내부 냉장고 라이너(도시되지 않음)와 금속 냉장고 백 플레이트 또는 케이싱 사이의 공간에서 신선식품실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환기 덕트(532)를 포함한다. 환기 덕트(532)는 신선식품실로부터 냉동실로 공기를 안내한다.
또 다른 별도의 실시예에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박스의 하우징 커버(600)가 하우징 커버(600)로부터 수분의 배출을 돕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600)에는 커버(600)의 내부 영역(606)에 유체 연결되는 배수구(602)가 후방 측면(604)에 있다. 후방 측면(604)은 내부 영역(606) 내의 유체를 배수구(602)로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외측으로 아치형이거나 볼록한 형상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0)의 하부면(607) 역시 외측으로 아치형이거나 볼록한 형상이어서 유체를 배수구(602)로 안내하는 것을 추가로 돕는다. 커버(6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내부 벽에 보강 리브(608)가 제공되며, 따라서 유체를 배수구(602)로 안내하는 데 다시 또 도움이 된다. 위에서 논의된 커버(600)의 어떤 특징도 제어 박스(500)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 다른 별도의 실시예에서,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 기기의 라이너(702)의 외부 표면에 장착하기 위한 다른 제어 박스(700)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표면은 냉장 기기의 내부와 반대쪽에 있으므로 기기의 캐비넷의 발포공정 전에 제어 박스(700)를 장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어 박스(700)는 기기의 신선식품실에 인접하게 장착될 수 있다.
먼저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 박스(700)의 하우징(703)에 의해 보유되고 그곳에 장착된 것으로는 기기의 하나 이상의 격실에서 조명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등 스위치(704), 하나 이상의 격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측면 제어 패널(706), 및 서미스터가 노출되는 격실(도시된 경우에서는 신선식품실)에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써미스터(708)가 있다. 라이너(702)에 장착될 때, 서미스터(708)는 서비스 용이성을 감안하여 수직 위치에 장착된다.
2개 이상의 개별 제어 박스가 아닌 단일 제어 박스에 이들 3개의 구성요소 모두를 포함함으로써, 이들 3개의 구성요소 모두에 대한 배선은 단일 와이어 하네스를 통해 제어 박스(700)와의 사이에 공동으로 배설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하우징(703)은 와이어 하네스를 안내하고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와이어 트랩(710) 및 하나 이상의 와이어 인클로저(712)를 포함하는 와이어 안내 특징부(707)를 포함한다. 제조 중에, 와이어 하네스는 하우징(703)과 함께 배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와이어 하네스는 안내 특징부(707)에서 고정된다.
도 22는 조명 스위치(704), 측면 제어부(70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또한 각 격실의 내부로부터 서미스터(708)로의 기체 전달을 허용하는 라이너(702)의 천공부(720) 또는 구멍을 도시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면 다른 이들에게 수정 및 변경이 떠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냉장 기기에 있어서,
    냉장 환경에서 식품류를 보관하기 위한 격실을 구획하는 몸체;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격실을 선택에 따라 폐쇄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몸체와 결합되면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격실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 패널은 상기 격실과 마주하고; 및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후면 패널 각각에 인접한 상기 도어의 단부를 제공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로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부 캡 및 상기 단부 캡과 결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부 폐쇄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를 허용하고/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부 캡은 선택에 따른 상기 격실의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손잡이 틈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부 캡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은 상기 손잡이 틈새와 분리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손잡이 틈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단부 캡의 외부 주 표면에 제공되는, 냉장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은 상기 손잡이 틈새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파지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 공동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 사이에서 상기 도어 내로 연장되는, 냉장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후면 패널 사이에서 상기 도어 내로 연장되는, 냉장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과 상기 손잡이 틈새는 상기 단부 캡의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단부 캡의 외향 연장 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냉장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주와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의 개구부의 외주는 라비린스(labyrinth) 폐쇄부를 형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으로의 수분 침투를 억제하는, 냉장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라비린스 폐쇄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부 캡의 외향 개방 둘레 홈과 결합되는 하향 연장 둘레 립을 갖는 기판 하우징을 포함하는, 냉장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단부 캡과 결합되는 기판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하우징은,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자 기판을 보유 및 수용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 열려 있는 기판 공동을 둘러싸는 내부 벽을 형성하는, 냉장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판 하우징을 수용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과 상기 기판 하우징은 전자 기판이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의 어떤 표면과도 결합되지 않게 유지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기 전자 기판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냉장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을 상기 전면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단부 캡과 상기 전면 패널 사이에 결합된 중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시야에서 지워지도록 상기 단부 캡과 상기 전면 패널 각각의 후면에 배치되는, 냉장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냉장 기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공동의 깊이는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의 깊이보다 큰, 냉장 기기.
  13. 기기 도어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기기 도어의 전면 및 후면 패널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단부 캡, 상기 단부 캡은 상기 단부 캡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손잡이를 가지고; 및
    상기 단부 캡의 상기 길이를 따라 대체로 상기 손잡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공동에 보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의 제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부 캡은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의 개구부 주위 둘레로 연장되는 외향 개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 수용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자 기판을 내부에 보유하는 기판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하우징은 상기 기판 하우징의 둘레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부 캡의 상기 외향 개방 홈 내로 수용되어 라비린스 폐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향 연장 립을 갖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은 각각이 상기 단부 캡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향 개방 홈의 전방 길이는 상기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 가장자리 사이 및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우징은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의 모든 벽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의 바닥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상기 전자 기판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우징은 하향 연장되는 융기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판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내부 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벽은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에서 상기 내부 벽의 깊이가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에서 상기 전자 기판의 깊이보다 크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 수용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우징의 외부 표면이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하고, 사용자를 위해 상기 요소들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기판 하우징 위에 사용자 오버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요소들은 상기 전자 기판에 전자적으로 결합되어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은 각각이 상기 단부 캡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전방 가장자리와 후방 가장자리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은 상기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19. 냉장 기기 도어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에 있어서,
    단부 캡의 길이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공동을 갖는 상기 단부 캡,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은 상기 냉장 기기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대한 제어 또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고; 및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에 보유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내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주위로 외주 둘레 전체에 배치된 S자형 폐쇄부를 상기 단부 캡과 함께 형성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판 하우징 내부와 내부로 연장된 상기 기판 하우징을 수용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내부의 양쪽 모두에 보유되는 전자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판은 사용자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기판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자 기판에 신호를 보내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은 사용자가 상기 단부 캡을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파지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공동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상기 파지 공동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해 외향 연장 리브에 의해 상기 파지 공동에서 분리된 상기 단부 캡에 배치되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KR1020227016643A 2019-10-21 2020-09-11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KR20220079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58,619 US10907884B1 (en) 2019-10-21 2019-10-21 Door end closure assembly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US16/658,619 2019-10-21
PCT/US2020/050377 WO2021080704A1 (en) 2019-10-21 2020-09-11 Door end closure assembly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989A true KR20220079989A (ko) 2022-06-14

Family

ID=7264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643A KR20220079989A (ko) 2019-10-21 2020-09-11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907884B1 (ko)
KR (1) KR20220079989A (ko)
MX (1) MX2022004700A (ko)
WO (1) WO2021080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3272A1 (de) * 2018-03-06 2019-09-1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chubla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Haushaltskältegerätes
US10907884B1 (en) * 2019-10-21 2021-02-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oor end closure assembly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US11598574B2 (en) * 2021-03-19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oor including a wireless module
KR20230008568A (ko) * 2021-07-07 202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조리기기
KR20230008567A (ko) * 2021-07-07 202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11828531B2 (en) * 2021-09-24 2023-11-2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module with adjustable mount for domestic appliance
US11885555B2 (en) 2021-09-30 2024-01-30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rain harness
WO2023134948A1 (en) * 2022-01-13 2023-07-20 BSH Hausgeräte GmbH Refrigeration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271Y1 (ko) 1994-02-24 1997-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온도조절부 회전식 개폐장치
DE10302797A1 (de) 2003-01-24 2004-07-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Tür für ein Kältegerät
US7566105B2 (en) * 2005-05-06 2009-07-28 Whirlpool Corporation Movable divider for a refrigerated drawer
US20070194675A1 (en) 2006-02-17 2007-08-23 Jacco Van Beek Refrigerator having a door with integrated control panel
DE102008043366A1 (de) 2008-10-31 2010-05-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tür mit Bügelgriff
KR101787095B1 (ko) * 2009-07-07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011203B1 (en) * 2010-02-26 2011-09-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idden user interface
USD668403S1 (en) 2011-10-10 2012-10-02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ishwasher door
DE102012200810A1 (de) 2012-01-20 2013-07-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in der Tür angeordneter Benutzerschnittstelle
US8960934B2 (en) 2013-04-08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975345B1 (en) 2014-07-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830372B1 (ko) * 2015-09-01 201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5222224A1 (de) * 2015-11-11 2017-05-11 BSH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eine Abdeckung einer Anzeigevorrichtung bildenden Türabschlussleiste sowie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derartigen Tür
DE102015222732A1 (de) * 2015-11-18 2017-05-1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Gerätekomponente mit von oben greifbarer Griffmulde
US10036181B2 (en) 2016-11-14 2018-07-31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pocket handle and associated display
KR102273092B1 (ko) 2016-12-12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7205182A1 (de) 2017-03-28 2018-10-0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Gerätekomponente mit einer schrägen Streifenfläche und daran angeordnetem Funktionsbauteil
DE102018203272A1 (de) 2018-03-06 2019-09-1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chubla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Haushaltskältegerätes
DE102018203271A1 (de) 2018-03-06 2019-09-1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chubla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Haushaltskältegerätes
CN208349675U (zh) 2018-03-07 2019-01-0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门以及家用电器
CN110873497A (zh) * 2018-08-30 2020-03-10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1698849B (zh) * 2019-03-14 2023-09-1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US10907884B1 (en) * 2019-10-21 2021-02-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oor end closure assembly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0541B2 (en) 2022-03-22
WO2021080704A1 (en) 2021-04-29
US20210116164A1 (en) 2021-04-22
US10907884B1 (en) 2021-02-02
MX2022004700A (es)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9989A (ko)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는 도어 단부 폐쇄부 조립체
EP2946155B1 (en) Refrigerator
KR102220809B1 (ko) 냉장고
KR101602431B1 (ko) 냉장고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9702614B2 (en) Refrigerator
US8732910B1 (en) Appliance handle assembly
US20100126202A1 (en) Ice bin storage window
EP3150946B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KR101349986B1 (ko) 냉장고의 리드와이어 연결구조
CN113758102B (zh) 冰箱
KR102615047B1 (ko) 냉장고
US20230184482A1 (en) Appliance door including a wireless module
KR101504347B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구조와 그 조립방법 및 냉장고
EP2268988B1 (en) Refrigerator
EP3008409B1 (en) Refrigerator
KR20050096334A (ko) 냉장고
JP2010060187A (ja) 冷蔵庫
KR102470041B1 (ko) 냉장고
CN110542265B (zh) 线束固定装置和包括线束固定装置的冰箱
JP2538468Y2 (ja) 冷蔵庫
KR100693572B1 (ko) 냉장고의 제빙기 커넥터 설치구조
CN113203235B (zh) 冰箱
JP6803530B2 (ja) 冷蔵庫
US20220196317A1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