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963A -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방법 및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방법 및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963A
KR20220079963A KR1020227015885A KR20227015885A KR20220079963A KR 20220079963 A KR20220079963 A KR 20220079963A KR 1020227015885 A KR1020227015885 A KR 1020227015885A KR 20227015885 A KR20227015885 A KR 20227015885A KR 20220079963 A KR20220079963 A KR 2022007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
sensor
animal
determined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르스 안리케르
스테판 바우에르
마르코 부르겐네르
크리스티안 카우쓰
예안니네 플레쓰-야메스
라인하르트 포르베르거
실케 하그-디르가르텐
다그마르 폴로체크
다니엘라 카타리나 라멜
탄야 마르크릿 짐메링
Original Assignee
베링거잉겔하임베트메디카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잉겔하임베트메디카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잉겔하임베트메디카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7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61B5/0212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of pulse wave propagation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95Measuring blood flow using plethysmography, i.e. measuring the variations in the volume of a body part as modified by the circulation of blood therethrough, e.g. impedance plethys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52Detecting R peaks, e.g. for synchronising diagnostic apparatus; Estimating R-R inter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4Detecting abnormal ECG interval, e.g. extrasystoles, ectopic heartb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6Detecting abnormal QRS complex, e.g. wid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61B5/7207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 A61B5/7214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using signal cancellation, e.g. based on input of two identical physiological sensors spaced apart, or based on two signals derived from the same sensor, for different optical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46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correlation, e.g. template matching or determination of similar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물은 바람직하게는 앞발이 있고 고양이과의 아과의 동물이다.
이 방법에서, 동물의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 특히 광혈류도(photoplethysmogram)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이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은 각각의 곡선 섹션이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여러 곡선 섹션들로 절단된다.
다른 독립적인 양태에 따르면, 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종류의 여러 센서로부터 센서 또는 센서들의 서브세트가 선택된다.

Description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방법 및 검사 장치
본 발명은 제1항 또는 제17항의 전제부에 따른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방법 및 검사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애완동물에서 비침습적(non-invasive) 혈압 측정을 가능하게 하거나 단순화하는 것이다. 인간의 경우, 팔 주위에 배치되는 팽창식 커프(cuff)는 종종 비침습적 혈압 측정에 사용된다. 그러나 커프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개, 특히 고양이에게 문제가 되는데, 이는 이러한 동물은 이러한 검사에 익숙하지 않고 특히 고양이의 경우 커프를 착용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커프를 적용하는 것도 동물의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는 측정 결과를 왜곡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애완동물에 대한 적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칙적으로 모든 종류의 동물, 특히 인간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압 측정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의료 검사, 특히 광학적, 비침습적 및/또는 경피적 검사,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혈류 측정(photoplethysmography) 및/또는 맥박 산소 측정(pulse oximetry)을 위해 설계되거나 적합하다.
커프를 이용한 혈압 측정 외에, 비침습적 혈압 측정 방법은 이미 선행 기술에 알려져 있다.
WO 85/03211 A1은 동맥 혈압(arterial blood pressure)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심장 박동은 심전도 검사(electrocardiography)에 의해 측정되고 동맥 혈류는 광혈류 측정에 의해 측정된다. 그런 다음 혈압은 심장 박동과 이에 의해 유발된 동맥의 맥파(pulse wave)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부터 결정되고 광혈류 측정으로 측정된다. 이는 혈압이 심장 박동과 그에 의해 유발된 동맥의 결과적인 맥파 사이의 시간 범위와 상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심장 박동과 동맥에서 발생하는 맥파 사이의 시간을 맥박 전달 시간(pulse transit time)이라고도 한다.
WO 89/08424 A1은 인간의 혈압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 가지 혈압량(수축기, 확장기 또는 평균 혈압)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맥박 전달 시간을 사용된 혈압량의 함수로 나타내는 프로밴드-전용 보정 곡선(proband-specific calibration curve)을 사용하여 맥박 전달 시간을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맥박 전달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의 심장 위에 배치된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ECG를 기록하고 센서를 이어 클립(ear clip)으로 귓불에 부착한다. 센서의 작은 광원이 귓불을 통해 빛나고 혈압에 비례하여 변하는 귓불의 투과율을 광다이오드로 측정한다. 시간적 투과 곡선은 ECG 신호에 의해 등록된 수축기에 상대적인 귓불에 맥파의 도달을 보여준다. 따라서, 맥박 전달 시간은 심장과 귓불 사이의 거리에 대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동물의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며 빠르고 및/또는 비침습적이며 특히 커프가 없는 의료 검사, 특히 혈압 측정이 가능하고 동물에 대해 가능한 한 즐겁게 검사 또는 측정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17에 따른 방법, 청구항 31 또는 35에 따른 검사 장치, 청구항 36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청구항 37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의해 해결된다. 유리한 추가 개발은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은 특히 동물의 의료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동물의 혈압은 이 방법으로 결정된다. 결정된 혈압은 특히 확장기 혈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발이 있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유사 고양이(Feloidea) 또는 유사 개(Canoidea)의 상위 과의 동물, 특히 고양이(Felidae) 또는 개(Canidae),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은 고양이과의 아과 또는 개과, 이러한 종에서 특히 캐니스(Canis) 속의 동물 (늑대와 자칼- 등), 특히 바람직하게는 집 고양이 또는 집 개의 동물의 검사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적합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상기 방법은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임의의 동물, 특히 인간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동물의 동맥 혈류를 광학적으로 검사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혈류 측정(photoplethysmography)을 수행한다. 이로써 커프의 적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동물이 검사 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검사가 즐겁고 결과적으로 동물에게 스트레스가 없다. 이는 차례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또한, 이 방법은 동물의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 특히 광혈류 측정을 포함하는 곡선을 기록하고, 각 곡선 섹션이 심장 박동, 특히 단일 및/또는 정확히 하나의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곡선을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곡선의 평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곡선 섹션에 기초하여 평균화를 수행한다. 평균화에 의해, 평가가 단순화되고 평가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특히, 신호 및/또는 곡선 섹션의 노이즈가 억제 및/또는 필터링될 수 있고 모션 아티팩트가 보상될 수 있다.
평가를 위해 곡선 섹션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선택하지 않은 곡선 섹션은 폐기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검사 조건이 예컨대 검사할 동물이 움직이는 경우와 같이 일시적인 방해를 초래하는 경우 방법의 정확성 및/또는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재샘플링 방법, 특히 부트스트랩핑이 평가를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서브샘플, 특히 부트스트랩 샘플은 곡선 섹션으로부터 생성된다. 이는 방법의 신뢰성과 정확성에 도움이 된다.
서브샘플은 바람직하게는 2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개 미만, 특히 60개 미만, 및/또는 15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30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5개의 곡선 섹션을 갖는다. 현재의 경우에는 이러한 적은 수의 곡선 섹션으로도 비교적 적은 계산 노력으로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운 방식으로 나타났다.
1000 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개 미만, 특히 250 개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개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개 미만 및/또는 10 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0 개의 서브샘플이 생성된다. 이렇게 적은 수의 서브샘플로도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운 방법으로 나타났다.
곡선 섹션 및/또는 서브샘플로부터 곡선 특징이 바람직하게는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은 각각의 서브샘플에 대해 결정되고 및/또는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곡선 특징으로부터 결정된다. 이렇게 하면 곡선 특징을 결정할 때 정확도와 신뢰성이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의 분산 측정, 특히 사분위수 범위 및/또는 표준 편차가 결정된다. 여기에서 여러 개의 곡선이 동시에 및/또는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곡선 중 하나가 분산 측정에 기초하여 추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곡선 특징 및/또는 혈압 결정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혈압은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에 의해 곡선 특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 특히 심전도는 곡선과 동시에 기록되고, 바람직하게는 곡선은 심전도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곡선 섹션으로 절단된다. 심전도를 사용하면 곡선을 심장 박동에 해당하는 섹션으로 쉽게 나눌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심장도 또는 심전도의 QRS 복합체, 특히 QRS 복합체의 R 피크는 심장 박동의 시간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곡선은 QRS 복합체에 의해 결정된 시간에 곡선 섹션으로 절단된다. 이는 곡선 특징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심장도는 유용성을 위해 자동으로 검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심장도가 무용한 경우, 심전도 및 바람직하게는 심장도 및/또는 각각의 시간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은 폐기된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또는 다른 심장도가 기록되거나 심장도의 다른 시간 세그먼트가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곡선이 기록되고 및/또는 심장도의 다른 시간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곡선의 다른 시간 세그먼트가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심장도의 유용성은 바람직하게는 추가 평가를 위해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을 사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이는 방법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은 유용성에 대해 자동으로 검사되며, 여기서 곡선이 무용한 경우 곡선은 폐기되고 새로운 곡선이 기록된다. 이는 방법의 신뢰성과 정확성에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곡선이 - 동시에 및/또는 연속적으로 - 기록되고, 상이하거나 여러 기록된 곡선의 곡선 섹션이 평가를 위해 사용된다. 이는 방법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동물의 동맥 혈류가 센서 디바이스로 광학적으로 검사된다. 특히, 광혈류 측정이 수행된다. 이렇게 하면 커프가 필요하지 않아 동물이 편안하고 스트레스 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센서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방사체 및 방사체(들)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검출기를 포함하며, 특히 방사체(들) 및 검출기는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센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또는 센서의 서브세트가 선택된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신호 측정 및/또는 평가에 수반되는 노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각각은 센서 또는 검출 영역을 갖고, 여기서 센서의 센서 영역은 각각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고 함께 기록/감지 영역을 형성하여, 각각의 센서와 함께 감지 영역의 상이한 부분 영역이 기록/감지될 수 있다. 의료 검사, 특히 혈압 측정을 위해 감지 영역의 특정 부분이 선택된다. 특히, 이는 발의 매우 정확한 위치결정 및/또는 센서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발의 고정을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검사는 동물에게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신호 측정 및/또는 평가에 수반되는 노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발이 센서 또는 센서의 검출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이 점검을 위해, 센서로 기록된 신호가 분석된다. 특히, 신호의 절대 신호 강도가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떨어지는지 검사한다. 특히, 이는 발의 매우 정확한 위치결정 및/또는 센서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발의 고정을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검사는 동물에게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혈압 측정과 같은 효율적이고 빠르고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에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동맥 혈류, 특히 광혈류 측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여러 개의 곡선 또는 하나의 곡선을 한 번에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평가를 위해 곡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오직) 기록된 모든 곡선 또는 그 일부의 서브세트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고 및/또는 선택되지 않은 곡선 또는 그 일부가 폐기된다. 특히, 이는 측정 및/또는 기록 중에 동물 및/또는 발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션 아티팩트 또는 오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록된 곡선의 품질은 통계 분석에 의해 결정되고 가장 품질이 좋은 곡선이 평가를 위해 선택된다. 원칙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품질의 여러 개의 곡선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측정 및/또는 기록 중에 동물 및/또는 발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션 아티팩트 또는 오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평가를 위해 선택된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으로 분할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곡선의 곡선 섹션의 서브세트만이 평가를 위해 사용된다. 특히, 이는 측정 및/또는 기록 중에 동물 및/또는 발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션 아티팩트 또는 오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여러 개의 곡선(특히 하나씩)을 기록하고 곡선을 곡선 섹션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동일한 센서로 차례로 기록된 곡선의 곡선 섹션이 평가에 사용된다. 이는 특히 혈압 측정과 같은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된다. 특히, 검사 중에 동물이 움직일 때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개별 곡선이나 곡선 섹션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여러 개의 곡선이 동시에 기록될 수 있고 곡선이 곡선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이한 센서로 동시에 기록된 곡선의 곡선 섹션이 평가에 사용된다. 이는 특히 혈압 측정과 같은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된다. 특히, 이는 검사 중에 동물이 움직일 때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개별 곡선이나 곡선 섹션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여러 개의 곡선이 동시에 및/또는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이러한 곡선 중 하나 이상의 곡선 섹션을 평가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안된 방법은 특히 유연성이 있다. 상이한 센서로 동시에 기록된 곡선은 특히 상이한 위치에서 기록되어,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고양이 발의 상이한 영역을 나타낸다. 이는 발이 하나 이상의 센서에 대해 최적으로 위치되지 않거나 및/또는 발이 검사 동안 이동되더라도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 특히 맥박 전달 시간은 곡선(들)에 의해 결정된다. 곡선 특징, 특히 맥박 전달 시간으로부터, 혈압은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정확히 하나의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곡선 섹션으로 각각 절단된다. 이들 여러 개의 곡선 섹션으로부터,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는 측정 및/또는 기록 중에 동물 및/또는 발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션 아티팩트 또는 오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곡선과 동시에 심장도를 기록하고 심장도의 정보를 사용하여 곡선을 곡선 섹션으로 절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혈압 측정과 같은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의료 검사, 특히 동물, 특히 발이 있는 동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 아과의 동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집 고양이의 혈압 측정을 위한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검사 장치는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동물의 동맥 혈류의 광학적 검사를 위한 센서 디바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검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방사선, 특히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 및 방사체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 특히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를 갖는다.
또한, 검사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수단 및/또는 측정 및/또는 평가 디바이스를 갖는다.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검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검사 장치는 특히 혈압 측정을 위해 설계된다. 더욱이, 검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유사 고양이(Feloidea) 또는 유사 개(Canoidea)의 슈퍼패밀리에서 한 발을 가진 동물, 특히 고양이과의 아과(고양이) 또는 개과(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의 아과(작은 고양이) 또는 개과의 동물(진정한 개), 이 종족에서 특히 개과의 동물(늑대형 및 자칼형), 특히 바람직하게는 집 고양이 또는 집 개의 의료 검사에 적합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모든 동물, 특히 인간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적합하다.
검사 장치에는 동물의 동맥 혈류를 광학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센서 디바이스가 있다. 검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혈류 및/또는 동물의 경피적 및/또는 비침습적 검사를 위해 설계된다. 센서 디바이스 및/또는 검사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센서 디바이스는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일한 종류의 방사체 및 방사체(들)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검출기로 구성되고, 방사체(들) 및 검출기들은 동일한 종류의 여러 센서들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장치는 센서 또는 센서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도록 설계된 제어부를 갖는다. 이는 신뢰할 수 있고 빠르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여러 개의 방사체를 갖는다. 이는 특히 혈압 측정과 같은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방사체는 여러 개의 센서의 각 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요한 방사체의 수가 감소 및/또는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검사 장치의 설계를 단순화하고 검사 장치를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는 센서 영역을 갖고, 여기서 센서의 센서 영역은 각각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고 함께 감지 영역을 형성하여, 각각의 센서 영역은 감지 영역의 상이한 부분 영역을 형성하고 감지 영역의 상이한 부분 영역들은 제어부에 의해서 선택가능하다. 특히, 이는 발의 매우 정확한 위치결정 및/또는 센서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발의 고정을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검사는 동물에게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검사 장치 및/또는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검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때 검사 장치가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행될 때 검사 장치가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동물, 특히 경험에 따르면 특히 집 개 및 집 고양이의 경우와 같이, 동물의 신체 조작에 대해 높은 이동 충동 및/또는 낮은 스트레스 내성을 갖는 동물의 혈압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과거에는 혈압 측정이 항상 동물에게 상당한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동물이 고정되고 및/또는 센서 기술이 동물에 고정되는 알려진 접근 방식에서 완전히 벗어나 이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움직임의 제한을 요구하는 대신에 적어도 본질적으로 움직임의 자유를 제한하지 않는 조치를 결합함으로써 예측 불가능하고 놀라운 방식으로 치유책을 제공한다. 동물을 고정하는 대신에, 검사 중 동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측정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했다. 특히, 소위 모션 아티팩트, 즉 움직임으로 인한 측정 부정확 및 측정 오류가 제거되고 및/또는 보상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실현될 수 있지만 서로 맞물리므로 시너지 방식으로 특히 신뢰할 수 있고 동등하게 낮은 스트레스 혈압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측정이 설명되고 및/또는 적용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동물의 위치, 특히 발의 위치가 엄격하게 주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 여러 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에 적합한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곡선(들)으로부터 곡선 특징을 궁극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결정하고 특히 곡선 특징에 기초하여 혈압을 결정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구현되고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추가 측정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하고 일부 추가 측정의 기초는 동시에 결정된 심장도에 기초하여 신호 또는 곡선을 곡선 섹션으로 세분화하거나 절단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제안된 측정의 또 다른 기초는 곡선 섹션들 간의 평균화이다.
또한, 특히 적절한 곡선 섹션의 선택 및/또는 곡선 특징 및/또는 필터 측정 및/또는 통계적 방법에 대해 결정된 여러 대체 결과로부터의 선택이 있다. 특히, 상세하게 설명된 이들 및 추가 측정은 센서 디바이스 상에 또는 센서 디바이스에 발 또는 발들을 단순히 배치하고 및/또는 동물을 검사 장치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곡선 특징의 의미 있는 결정 및 그로부터 혈압의 신뢰할 수 있는 결정을 달성하기에 충분하다는 사실로 이어진다. 이전에는 이 형태로 불가능해 보였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동물"은 바람직하게는 척추동물, 특히 포유동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육상 포유동물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동물"이라는 용어는 인간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할 동물은 발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사할 동물은 유사 고양이 또는 유사 개의 상과(superfamily), 특히 고양이 또는 개과의 동물,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작은 고양이의 아과 또는 진정한 개 종족의 동물이며, 이 종족에서는 특히 개과의 동물(늑대와 자칼과 유사), 특히 바람직하게는 집 고양이 또는 집 개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방사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광학 및/또는 적외선 범위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하거나 방출하도록 설계된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는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일반적으로 발광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적어도 방사체의 위치에 관한 한, 방사체는 광섬유에 의해 안내된 빛이 나가는 광섬유의 단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관점에 따라, 광 가이드와 관련 광원의 조합이 방사체이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방사체"라는 용어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검출기"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광학 및/또는 적외선 범위에서 전자기 방사선을 검출하도록 설계된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검출기는 광다이오드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검출기는 특히 방사체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의 검출을 위해 설계된 다른 구조, 예컨대 광음극, 광전지, CCD 센서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검출기는 또한 광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빛이 들어갈 수 있는 일 단부를 갖는 광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검출기의 위치에 관한 한 광 가이드의 단부는 검출기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방사체의 "방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이 도달하거나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는 특정 방향, 예컨대 특정 각도 범위로 방사선을 방출한다. 따라서 방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방출 각도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된다. 방출 영역은 본질적으로 원추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검출기의 "검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선이 검출기에 도달하거나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다. 검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검출 각도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된다. 검출 영역은 본질적으로 원추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와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의 조합이다. 특히, 하나 이상의 방사체를 갖는 검출기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센서를 형성한다.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검출기 및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를 포함한다. 방사체는 검출기가 민감하고 및/또는 이 전자기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는 파장의 전자기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센서의 "센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센서에 의해 검출/감지될 수 있거나 센서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이다. 특히, 센서 영역은 방사체의 방출 영역과 센서의 검출기의 검출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이다. 센서 영역은 연속 영역 또는 여러 구별 영역 또는 분리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갖는 디바이스이다. 특히, 센서 디바이스는 동물의 신체 부분을 광학적으로 검사하는 디바이스이다. 센서 디바이스는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센서 디바이스의 "감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 및/또는 방사체 및/또는 검출기에 의해 검출/감지 가능한 영역이다. 감지 영역은 특히 방사체의 방출 영역과 검출기의 검출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영역은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방출 영역 및 하나 이상의 검출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감지 영역은 연결되거나 여러 개별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감지 영역은 본질적으로 원추형 방출 및 검출 영역의 하나 이상의 중첩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방사체 및/또는 검출기의 "주기적인" 배열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 및/또는 검출기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구조로 배열되는 배열이다. 그러한 주기성은 특히 서로 직교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광학 검사"는 바람직하게는 광학 범위 및/또는 인간이 볼 수 있는 범위 및/또는 특히 380 nm 내지 1400 nm의 파장을 갖고, 신체 부분에 의해 반사 및/또는 산란된 방사선 및/또는 신체 부분을 통해 투과된 방사선이 검출기에 의해 측정되는 적외선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으로 동물의 신체 부분이 조사되는 검사이다. 광학 검사는 바람직하게는 반사 측정 검사이다. 그런 다음, 예컨대 동맥 혈류와 관련하여 반사, 산란 및/또는 투과된 방사선으로부터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한정된 파장 또는 한정된 파장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은 광학 검사에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학 검사는 신체 내부의 비침습적 및/또는 경피적 검사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광혈류 측정"은 동물의 동맥 혈류의 광학적 검사를 위한 방법이다. 특히, 광혈류 측정은 동물의 신체 부분에 특히 인간이 볼 수 있는 범위 및/또는 적외선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을 조사하고 신체 부분에 의해 산란 및/또는 (특히 확산) 반사 및/또는 투과된 방사선은 검출기에 의해 측정되는 비침습적 광학 검사를 위한 방법이다. 반사 및/또는 산란 및/또는 투과, 특히 검출기 방향으로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전자기 방사선의 비율은 무엇보다도 동맥 혈류, 특히 동맥혈의 용적 및/또는 동맥혈의 산소 포화도에 의존한다. 바람직하게는, 동맥 혈류의 변화 및/또는 동맥혈의 용적 변화 및/또는 동맥혈의 산소 포화도의 변화는 검출기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변화시켜, 측정된 신호 및/또는 측정된 신호의 코스에서의 변화는 동맥 혈류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맥박 산소 측정(pulse oximetry)은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 (연장된) 광혈류 측정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맥박 산소 측정은 적어도 하나의 광혈류 측정을 포함한다. 맥박 산소 측정에서, 혈액 내 산소 함량이 결정되며, 여기서 2개의 광혈류 측정이 특히 동시에 수행되어 산소 함량을 결정하고, 이 2개의 광혈류 측정에 대해 서로 다른 파장이 사용된다. 두 파장에서 서로 다른 흡수율로부터 혈액의 산소 포화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광혈류도(photoplethysmogram)"는 특히 광혈류 측정의 수행 중에 기록되거나 측정된 곡선이다.
그러나, 예컨대, 광혈류 측정을 나타내거나 포함하지 않는 혈액 내 산소 함량을 결정하기 위한 광학 검사가 최신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특히, 대뇌 산소측정과 조직 산소측정에는 광혈류 측정이 포함되지 않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사용되는 전자기 방사선의 파장으로 인해 동맥 혈류 검사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심장도"는 바람직하게는 동물의 심장 활동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심장도는 특히 동물의 피부와 접촉하는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기록되고 및/또는 심전도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심장도를 기록하기 위한 다른 방법, 예컨대 임피던스 심장도 또는 음향 녹음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심장도는 심음도가 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검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동물의 심장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요소이다. 검출 요소는 특히 심장도 기록에 적합하거나 설계되었다. 검출 요소는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검출 요소는 또한 마이크로폰 또는 기타 사운드 센서 등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이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동맥 혈류"는 바람직하게는 동맥을 통한 혈액의 흐름이다. 동맥은 특히 혈액을 심장에서 멀어지게 하는 혈관이다. 특히, 동맥 혈류는 검사할 동물의 혈류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혈압"은 바람직하게는 혈관, 특히 검사할 동물의 혈관 내 혈액의 압력(면적당 힘)이다. 혈관은 바람직하게는 동맥이다. 바람직하게는, 혈압은 대동맥의 혈압이다. 혈압은 수축기, 확장기 및/또는 평균 혈압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안된 방법 및/또는 검사 장치가 확장기 혈압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그러나 이는 필수 사항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검출기 또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시간 경과이다. "곡선"이라는 용어에는 (함께) 경과를 나타내거나 해당하는 개별 데이터 포인트와 같은 데이터 기술적 등가물도 포함된다.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여러 심장 박동에 대한 시간적 경과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곡선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곡선의 섹션 또는 일부, 즉 특히 검출기 또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시간 경과이다. 특히, 곡선 섹션은 특히 심장 박동 시간에 시작하고 바람직하게는 후속 심장 박동 시간에 끝나는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곡선의 섹션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은 특히 동맥 혈류, 특히 맥파의 도달, 혈액량의 변화, 동맥 등에 있는 혈액의 산소 포화도의 변화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곡선이다. 광혈류도는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의 특히 바람직한 예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곡선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의 특징 및/또는 곡선의 섹션이다. 곡선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맥박 전달 시간 및/또는 혈압과 관련되고 및/또는 맥박 전달 시간 및/또는 혈압과 상관되는 특징이다. 특히, 곡선 특징은 혈압을 결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곡선 특징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의 과정(vourse) 및/또는 곡선의 형태 및/또는 곡선 섹션에 대응하고 및/또는 곡선의 형태 및/또는 곡선 섹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곡선 특징은 (절대) 극한의 위치, (절대) 극한 사이의 거리, (최대) 기울기의 위치 또는 절대 값, 극한 및/또는 곡선의 1차 도함수 및/또는 2차 도함수의 0점들 또는 곡선의 푸리에 변환의 특징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은 맥박 전달 시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맥박 전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맥파가 혈관계에서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다. 여기서 심장 박동에 의해 심장에서 시작하여 동맥을 통과하는 압력파를 맥파라 한다. 이 압력파의 속도는 특히 혈액이 동맥을 통해 흐르는 유속보다 높다. 맥박 전달 시간은 종종 "PTT"로 축약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맥박 통과 시간이라는 용어는 동맥의 특정 위치에서 심장 박동과 이 심장 박동에 의해 유발된 맥파의 도달 사이의 시간 즉, 맥파가 심장에서 동맥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포함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맥박 전달 시간이라는 용어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맥파의 도달 사이의 시간 거리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맥파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맥파가 이동한 거리와 이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맥파가 요구하는 맥박 전달 시간 사이의 몫이다. 맥파 속도는 종종 "PWV"로 축약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서브세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서브세트, 특히 서브세트에 할당된 슈퍼세트의 모든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서브세트이다. 특히, 센서 디바이스의 센서의 서브세트는 센서 디바이스의 모든 센서를 포함하거나 갖지 않는 센서 세트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경피적" 검사는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통한 검사이다. 광학 경피적 검사에서, 신체의 내부는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경우) 광학적 가시 범위 및/또는 적외선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으로 피부를 통해 조사되고 그 산란, 투과 및/또는 반사 부분이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비침습적" 검사는 바람직하게는 검사할 동물이 손상되거나 다치지 않은 검사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재샘플링 방법"은 추정기 또는 테스트 통계와 같은 "샘플 통계"의 통계적 특성이 초기 샘플에서 샘플, 소위 서브샘플을 반복적으로 그리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학적 및/또는 통계적 방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샘플 통계"는 바람직하게는 샘플의 임의 변수의 측정 가능한 임의의 함수이며, 통계는 바람직하게는 통계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샘플링 방법에서, 샘플 통계는 추출된 서브샘플에 기초하여 반복적으로 계산되고, 특히 그 결과를 사용하여 분포 특성을 검사한다.
상기 언급된 양태 및 특징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 및 다음의 설명으로 인한 추가 양태 및 특징은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상이한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 특징, 특성 및 양태는 도면에 기초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기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동물이 그 위에 놓인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센서 디바이스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전극이 그 위에 배열된 센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7은 발이 그 위에 배치된 센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과 같은 도면이다.
도 9는 동맥 혈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심전도 및 곡선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센서 및/또는 곡선의 선택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곡선 섹션의 평균화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시퀀스의 추가 개략도이다.
도 14는 동물의 의료 검사의 여러 위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곡선의 곡률 계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부분적으로 실척이 아닌 개략도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 사용되며, 반복되는 설명이 생략되더라도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성 및 이점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검사 장치(1)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동물(T), 특히 발(2)을 가진 동물(T),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의 아과의 동물(T),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의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BP)을 결정하기 위해 설계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검사 장치(1)는 임의의 동물(T), 특히 인간, 특히 혈압(BP)이 결정될 수 있는 동물의 의료 검사에 적합하다. 검사 장치(1)를 사용한 검사의 경우, 동물(T)에 발 등이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검사 장치(1)는 또한 다른 동물(T), 특히 개, 생쥐, 쥐, 토끼, 기니 피그 등과 같은 가축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BP)의 측정을 위해 설계 및/또는 적합할 수 있고 및/또는 이러한 동물(T)의 검사를 위해 특별히 개조될 수 있다.
혈압(BP)은 수축기, 확장기 및/또는 평균 혈압(BP)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안된 방법 및/또는 검사 장치가 확장기 혈압(BP)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그러나 이는 필수 사항이 아니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1)는 동물(T)이 그 위에 배열된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발(2) 또는 신체의 임의의 다른 부분, 특히 동물(T)의 발과 유사한 부분, 예컨대 손 또는 손가락에 대한 지지대로서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및/또는 지지대는 검사할 동물(T)이 검사 장치(1) 및/또는 지지대 상에 완전히 배치 및/또는 위치되는 방식, 특히 동물(T)의 모든 다리들이 검사 장치(1) 상에 위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 사항은 아니다. 원칙적으로, 검사 장치(1)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발(2)만이 검사 장치(1) 상에 놓이거나 위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매트 또는 플레이트 또는 매트형 또는 플레이트형으로 또는 매트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설계된다. 특히, 플레이트 또는 매트는 폭과 길이가 높이를 배수로 초과하는 디바이스로 이해된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장치로 이해된다. 매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장치로 이해된다. 예컨대, 검사 장치(1)가 매트로 설계된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말릴 수 있고 및/또는 접힐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안착 표면(3)을 갖는다. 동물(T), 특히 집 개, 집 고양이 또는 비슷하거나 더 작은 크기의 다른 동물(T)은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안착 표면(3)에 놓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및/또는 안착 표면(3)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평평하고 및/또는 평면형이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일 상부측에 안착 표면(3)을 갖고 및/또는 안착 표면(3)은 검사 장치(1)의 상부측 또는 그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안착 표면(3)은 특히 검사 동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인 표면이거나 또는 그 사용 위치에서 형성된다. 사용 위치는 동물(T)이 검사를 위해 검사 장치(1)에 놓일 수 있는 검사 장치(1)의 바람직한 위치이다. 사용 위치는 특히 도 2에 도시된다.
검사 장치(1) 및/또는 안착 표면(3)은 바람직하게는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초과이고 및/또는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의 폭(B)을 갖는다.
검사 장치(1) 및/또는 안착 표면(3)은 바람직하게는 40㎝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이고 및/또는 120㎝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미만의 길이(L)를 갖는다. 원칙적으로, 검사 장치(1) 및/또는 안착 표면(3)의 상이한 폭(B) 및/또는 상이한 길이(L)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동안 검사 장치(1)가 발(2) 및/또는 신체 부분과 일측에만 접촉하고 및/또는 일측에만 놓이거나 배열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동물(T) 및/또는 그의 발(2)과의 일측 접촉(one-sided contact)을 위해 설계된다.
검사 장치(1)에는 고정 수단 및/또는 체결 수단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발(2)을 고정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발(2)에 부착하기 위한 클립이나 발(2)에 적용하기 위한 커프 또는 센서 또는 전극과 같은 검사 수단을 동물(T)에 부착, 고정 또는 체결하기 위한 다른 고정 수단 또는 체결 수단을 갖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검사 장치(1)는 접촉 및 안착 표면(3)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발(2) 또는 신체 부분이 디바이스에 놓여지거나 배치된다.
동물(T)을 위한 지지대 및/또는 안착 표면(3)이 있는 검사 장치(1)의 설계는 검사를 특히 즐겁게 하여 동물(T)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동물(T)이 검사를 위한 검사 장치(1)에 고정되거나 센서 등과 같은 검사 장치(1)의 일부가 동물(T)에 부착 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은 동물(T)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므로, 검사가 동물(T)에게 불쾌할 것이며, 또한 혈압(BP)은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1)를 설계함으로써, 검사는 동물(T)에 대해 매우 유쾌하고 스트레스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또는 안착 표면(3)은 동물(T)이 검사 장치(1) 및/또는 안착 표면(3)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되는 검사 장치(1)의 설계, 특히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의 설계 및/또는 배열에 의해, 동물(T)의 검사, 특히 신뢰할 수 있고 및/또는 정확한 혈압 측정은 동물(T)의 고정을 피하면서 가능하거나 동물(T)의 고정 없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및/또는 동물(T)이 검사 장치(1)에 의한 검사 중에 움직일 때 가능하거나 이루어질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를 갖는다. 센서 디바이스(4)는 동물(T)의 동맥 혈류(BF)의 광학 검사, 특히 동물(T)의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을 기록하기 위해 설계된다. 특히, 센서 디바이스(4)는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고 및/또는 광혈류도를 기록하도록 설계된다.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은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검사 동안 동물(T)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거나 허용하고 및/또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혈압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를 감소, 회피 및/또는 보상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안착 표면(3)의 영역에 센서 디바이스(4)를 갖는다. 따라서, 센서 디바이스(4)를 사용한 검사는 발(2) 또는 신체 부분이 표면에 놓일 때 수행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동물(T)의 발(2)이 센서 디바이스(4)에, 위에 및/또는 바로 부근에 위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동물(T)이 검사 장치(1) 및/또는 안착 표면(3)에 위치하는 경우, 검사 장치(1)에 배열되거나 검사 장치(1)에 통합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센서 디바이스(4)는 동물(T)의 좌측 앞발(2)이 센서 디바이스(4) 위에 문제 없이 그리고 동물(T)에게 즐겁고 자연스러운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센서 디바이스(4)는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7은 예로서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검사 동안 발(2)의 위치를 도시한다.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검사를 위해, 발(2)은 바람직하게는 발(2)의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패드가 센서 디바이스(4), 특히 커버(14) 및/또는 전극(15)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검사 장치(1)는 또한 여러, 특히 2개의 센서 디바이스(4), 예컨대 검사할 동물(T)의 좌측 앞발(2)을 위한 센서 디바이스(4) 및 우측 앞발(2)을 위한 센서 디바이스(4)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디바이스(4)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설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도 2에 도시된다.
센서 디바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동맥 혈류(BF)의 반사 측정을 위해 설계된다.
센서 디바이스(4)는 전자기 방사선(R), 특히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5) 및 바람직하게는 방사체(6)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 방사선(R),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을 포함하는 특정 광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6)를 갖는다.
방사체(5)는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설계된다.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광다이오드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는 특히 방사체(5)에 할당된 MOSFET에 의해 개별적으로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 및/또는 스위치 온 및/또는 오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이한 실시예에서 센서 디바이스(4)의 개략적인 평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4)는 기본적으로 설계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주로 방사체(5) 및 검출기(6)의 수에서만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는 여러 개의 방사체(5)와 여러 개의 검출기(6)를 갖는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센서 디바이스(4)가 정확히 하나의 방사체(5)와 정확히 하나의 검출기(6) 또는 정확히 하나의 방사체(5)와 여러 개의 검출기(6) 또는 여러 개의 방사체(5)와 정확히 하나의 검출기(6)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는 적어도 9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정확히 9개의, 방사체(5) 및/또는 적어도 4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정확히 4개의 검출기(6)를 갖는다.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공통 평면에 배열된다.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재발(recurring) 및/또는 반복 구조로 배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주기적으로 또는 주기적 구조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매트릭스 형태로 또는 (가상) 열(column) 및 행(row)을 갖거나 포함하는 어레이 또는 매트릭스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또는 어레이는 2개 초과의 열 및/또는 2개 초과의 행을 갖는다.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하나 이상의 특히 직선 행을 형성하고,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각 행에서 교대한다. 행은 또한 구부려질 수 있고 및/또는 발(2)의 모양과 같은 유기적 모양을 모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 최외측에 있고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의 에지 및/또는 행 및/또는 매트릭스의 에지에 배열된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를 제외하는 경우와 같이 - 검출기(6)는 각각 (직접) 여러 개의 방사체(5)에 의해 둘러싸이고 및/또는 방사체(5)가 여러 개의 검출기(6)에 의해 (직접) 둘러싸여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방사체(5)가 각각의 검출기(6)에 할당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의 다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방사체(5) 및 검출기(6)가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이 특히 발(2)에서의 산란 또는 반사 후에 검출기(6)에 도달하거나 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면,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특히 서로에 대해 할당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사체(5)는 이 검출기(6)에 대한 최소 거리(D)를 갖고 및/또는 이 검출기(6)에 (직접) 인접한 검출기(6)에 할당된다. 유사하게, 특히 이러한 검출기(6)는 이 방사체(5)에 대한 최소 거리(D)를 갖고 및/또는 이 방사체(5)에 (직접) 인접한 방사체(5)에 할당된다.
방사체(5)와 검출기(6) 사이의 거리(D)는 특히 방사체(5) 또는 그의 방출 표면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과 검출기(6) 또는 그의 검출 표면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 사이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이한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또한 표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크기의 구성요소 및/또는 직사각형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방사체(5) 및 검출기(6)는 도 3의 점으로 표시된 이러한 구성요소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량 중심이 서로 동일한 거리(D)를 갖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기(6)에 할당된 방사체(5)는 검출기(6)에 대해 동일한 거리(D)를 갖는다. 유사하게, 이는 방사체(5)에 할당된 검출기(6)에도 적용된다.
거리(D)는 바람직하게는 2㎜ 초과, 바람직하게는 3㎜ 초과, 특히 4㎜ 초과이고 및/또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8㎜ 미만, 특히 7㎜ 미만이다. 거리(D)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이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방사체(5)는 동일한 설계 또는 종류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방사체(5)는 구성이 동일하고 및/또는 동일한 파장 또는 동일한 파장 범위에서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검출기(6)는 동일한 설계 또는 종류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출기(6)는 구성이 동일하고 및/또는 특히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는 동일한 방사선(R) 또는 파장에서의 검출을 위해 설계된다.
센서 디바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R)으로 검사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는 적외선 방출을 위해 설계되고 및/또는 검출기(6)는 적외선의 검출을 위해 설계된다.
적외선 방사는 특히 780 nm 내지 1400 nm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 방사선(R)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는 900 nm 초과이고 및/또는 1200 nm 또는 1100 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 방사선(R)의 방출을 위해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는 920 nm 초과이고 및/또는 960 nm 미만, 특히 (대략) 940 nm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 방사선(R)의 방출을 위해 설계된다. 그러나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방사체(5) 또는 방사체(5)의 서브세트가 1030 nm 초과이고 및/또는 1070 nm 미만, 특히 (대략) 1050 nm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 방사선(R)을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을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센서(7)를 갖는다. 센서(7)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5) 및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6)를 갖거나 이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센서(7)는 정확히 하나의 검출기(6)와 여러 개의 방사체(5)를 가지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정확히 4개의 방사체(5)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센서(7)의 방사체(5)는 센서(7)의 검출기(6) 주위에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센서(7)의 방사체(5)는 센서(7)의 검출기(6)에 대해 동일한 거리(D)를 갖는다.
특히, 센서 디바이스(4)는 동일한 유형 또는 종류, 특히 구성이 동일한 여러 개의 센서(7)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모든 센서(7)는 동일하다. 그러나 여기서 다른 해결책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센서 디바이스(4)는 정확히 4개의 센서(7)를 가지며, 4개의 센서(7) 중 하나는 도 2에 점선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4에서 일부 센서(7)는 파선(dashed lines)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는 여러 개의 센서(7)에 할당되고 및/또는 방사체(5)는 각각 여러 개의 센서(7)의 일부를 형성한다[센서 디바이스(4)의 최외측 에지에 배열된 방사체(5)와는 별도로]. 특히, 각각의 방사체(5)는 행 또는 열의 인접한 검출기(6) 및/또는 최소 거리(D)를 갖는 검출기(6)에 할당된다. 도시된 예에서, 에지에 배열된 방사체(5)와는 별도로 방사체(5)가 각각 4개의 검출기(6)에 할당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러 개의 방사체(5)가 각각의 검출기(6)에 할당되고, 이들 방사체(5)는 - 최외측 방사체(5) 또는 에지에 배열된 방사체(5)를 제외하고 - 차례로 각각이 여러 개의 검출기(6)에 할당된다. 이로써, 특히 동일한 종류 또는 유형의 여러 개의 센서(7)가 형성되며, 방사체(5)는 - 최외측 방사체(5) 또는 에지에 배열된 방사체(5)를 제외하고 - 각각의 여러 개의 센서(7)의 일부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센서 디바이스(4)의 중심에 배열된 방사체(5)는 4개의 검출기(6) 각각에 할당된다. 맨 위, 맨 아래, 맨 좌측 및 맨 우측의 도 3에 위치한 방사체(5)는 각각 하나의 검출기(6)에만 할당된다. 도 3의 나머지 4개의 방사체(5)는 각각 2개의 검출기(6)에 할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동일한 종류 또는 유형의 4개의 센서(7)가 도 3에 형성된다.
도 3은 센서 디바이스(4)의 기본 설계 또는 방사체(5),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의 기본 배열을 나타내지만, 센서 디바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많은 수의 방사체(5),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큰 센서 영역이 실현될 수 있으므로 검사 및/또는 혈압 측정을 위한 발(2)의 정확한 위치가 결정적이지 않거나 덜 결정적이지만,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더 넓은 영역을 검사할 수 있다. 동물(T)의 발(2)을 고정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검사 중 스트레스가 동물(T)에 대해 감소하고 동물(T)이 더 빠르고 정확하며 더 신뢰할 수 있고 동물(T)이 가능한 한 즐거운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혈압 측정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 디바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30개 초과, 특히 60개 초과이고 및/또는 5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개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개 미만, 특히 100개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80개의 방사체(5)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는 20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40개 초과이고 및/또는 5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개 미만, 특히 100개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0개의 검출기(6)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센서(7)의 수는 검출기(6)의 수에 대응하는데, 그 이유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방사체(5)를 갖는 검출기(6)가 센서(7)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여러 개의 방사체(5)를 갖는 검출기(6)가 센서(7)를 형성하면, 센서(7)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의 수에 해당한다.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방사체(5) 및 검출기(6)의 매트릭스는 바람직하게는 10 ㎠ 초과, 특히 20 ㎠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초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초과이고 및/또는 20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 특히 80㎠ 미만의 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의 면적 밀도, 검출기(6)의 면적 밀도, 센서(7)의 면적 밀도 및/또는 방사체(5) 및 검출기(6)의 공통 면적 밀도는 0.5/㎠ 초과, 바람직하게는 1/㎠ 초과, 특히 2/㎠ 초과이고 및/또는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특히 10/㎠ 미만이다. 여기에서, 면적 당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의 수는 특히 면적 밀도로 표시된다.
센서 디바이스(4), 방사체(5),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의 수, 배열, 면적 및/또는 면적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센서와 같은 검사 수단에 대한 동물(T)의 발(2)의 고정 없이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 및/또는 혈압(BP)의 결정을 수행하도록 허용하여, 동물(T)이 검사 동안 센서 디바이스(4)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동물(T)에 대한 검사를 특히 즐겁고 스트레스 없이 만들어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여러 그룹으로 분할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그룹을 형성하며, 이는 특히 서로 분리되고 및/또는 별도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는 2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및/또는 방사체(5)는 2개의 그룹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기(6)는 5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및/또는 검출기(6)는 5개의 그룹을 형성한다.
그룹 내의 방사체(5) 및/또는 그룹 내의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직렬로 연결되거나 상호 연결된다.
도 5는 센서 디바이스(4)를 통한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개략적인 분해도로 센서 디바이스(4)를 도시한다.
센서 디바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제한 디바이스(8)를 갖는다.
이 시점에서, 제한 디바이스(8) 뿐만 아니라 관련된 특징 및 이점은 원칙적으로 센서 디바이스(4)의 전술한 설계와 독립적으로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제한 디바이스(8)는 또한 정확히 하나의 방사체(5) 및 정확히 하나의 검출기(6)를 갖는 센서 디바이스(4)에 대해 유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사체" 및 "검출기"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에서 단수로 사용된다. 물론, 설명은 여러 개의 방사체(5) 및/또는 여러 개의 검출기(6)를 갖는 센서 디바이스(4)의 설계, 특히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설계된 센서 디바이스(4)에도 적용된다.
제한 디바이스(8)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의 방출 영역(9), 검출기(6)의 검출 영역(10), 센서(7)의 센서 영역(11) 및/또는 센서(7)의 감지 영역(12)을 결정, 한정 및/또는 제한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한 디바이스(8)는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를 위한 개구으로 설계된다.
이를 위해, 예시적인 예의 제한 디바이스(8)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장벽(13)을 갖거나 이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한 디바이스(8)는 또한 특히 집속 방사선(R)에 의해 방출 영역(9) 및/또는 검출 영역(10)의 대응하는 제한을 초래하는, 특히 수렴 렌즈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가질 수 있다.
방사체(5)의 방출 영역(9)은 일반적으로 방사선(R)이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범위이다. 예컨대, 방사체(5)의 방출 영역(9)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추형일 수 있고 및/또는 하나 또는 - 특히 비원추형 방출 영역(9)의 경우 - 여러 방출 각도(들)(9A)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검출기(6)의 검출 영역(10)은 일반적으로 방사선(R)이 검출기(6)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 및/또는 방사선(R)이 검출기(6)로 검출될 수 있는 범위이다. 예컨대, 검출기(6)의 검출 영역(10)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추형이고 및/또는 하나 또는 - 특히 비원추형 검출 영역(10)의 경우 - 여러 검출 각도(들)(10A)에 의해 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는 자연적으로 각각 특정 방출 영역(9) 또는 검출 영역(10)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자연 방출 영역(9) 및/또는 검출 영역(10)은 제한 디바이스(8)에 의해 제한되거나 구속되거나 제한 디바이스(8)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방출 영역" 및 "검출 영역"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또는 검출기(6) 자체의 자연 방출 영역(9) 또는 검출 영역(10)이 아니라 제한 디바이스(8)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방출 영역(9) 또는 검출 영역(10)을 지칭한다.
방출 영역(9)은 방사체(5)로부터 시작하는 V자형 점선으로 도 5에 표시된다. 점선은 특히 제한 디바이스(8)에 의해 한정되는 방출 영역(9)의 경계를 나타낸다. 특히, 방출 영역(9)은 선으로 둘러싸여 있거나 제한된 영역이다.
검출 영역(10)은 검출기(6)로부터 시작하는 V자형 점선으로 도 5에 표시된다. 점선은 특히 제한 디바이스(8)로 한정되는 검출 영역(10)의 경계를 나타낸다. 특히, 검출 영역(10)은 선으로 둘러싸여 있거나 제한된 영역이다.
방사체(5)의 방출 영역(9)은 바람직하게는 (가상의) 선, 특히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선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선은 방사체(5)의 방출 영역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에서 시작하여 센서 디바이스(4)를 떠날 수 있는 광선 빔의 최외측 광선의 광선 경로를 나타낸다. 특히, 선은 방출 영역(9)의 에지 또는 경계를 나타낸다. 특히, 방출 영역(9)은 선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제한된 영역이다.
제한 디바이스(8)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벽(13)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이러한 최외측 빔은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에서 시작하여 제한 디바이스(8)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빔이므로, 도 5에서 이러한 빔을 나타내는 선은 제한 디바이스(8) 또는 장벽(13)의 모서리 또는 에지와 접촉한다.
제한 디바이스(8)가 장벽(13)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렌즈를 갖거나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최외측 광선은 방사체(5)의 방출 표면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에서 렌즈의 최외측 에지를 통과하는 광선이다.
검출기(6)의 검출 영역(10)은 바람직하게는 (가상의) 선, 특히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선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선은 센서 디바이스(4) 외부로부터 검출기(6)의 검출 표면, 특히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에 도달할 수 있는 광선 빔의 최외측 광선의 광 경로를 나타낸다. 특히, 선은 검출 영역(10)의 에지 또는 경계를 나타낸다. 특히, 검출 영역(10)은 선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제한된다.
제한 디바이스(8)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벽(13)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이들 최외측 광선은 제한 디바이스(8)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따라서 검출기(6)의 검출 표면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에 도달할 수 있는 광선이므로, 이러한 광선을 나타내는 도 5의 선이 제한 디바이스(8) 또는 장벽(13)의 테두리 또는 에지 또는 모서리와 접촉한다.
제한 디바이스(8)가 장벽(13)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렌즈를 갖거나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최외측 광선은 센서 디바이스(4) 외부에서 렌즈의 최외측 에지를 통과하여 검출기(6)의 검출 표면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에 도달할 수 있는 광선이다.
방출 각도(9A)는 바람직하게는 방출 영역(9)의 경계를 나타내는 [가상의, 특히 센서 디바이스(4)의 이어지는] 선들 사이의 각도이다. 이는 특히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출 각도(10A)는 검출 영역(10)의 경계를 나타내는 (가상의, 특히 센서 디바이스(4) 외부의 이어지는) 선들 사이의 각도이다. 이는 특히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방출 영역(9) 및 검출 영역(10)에 대한 위의 한정에서, 이상적인 접근 방식이 선택되었으며, 이는 방출 영역 또는 검출 영역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을 참조하여 실제로 점 모양에서 벗어나 - 비록 아주 작지만 - 연장된 영역을 형성한다. 이는 실제로 방사체(5)로부터의 방사선(R)이 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방출 영역(9) 외부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고 및/또는 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검출 영역(10) 외부로부터의 방사선(R)이 검출기(6), 특히 산란광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방출 영역(9) 및 검출 영역(10)의 위의 한정은 이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남아 있다. 또한, 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방출 영역(9) 및 검출 영역(10)은 또한 실제로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의 대부분이 방출되고 및/또는 방사선(R)이 검출기(6)에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센서(7)의 센서 영역(11)은 일반적으로 센서(7)로 검사되거나 감지될 수 있는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영역(11)에 위치한 물체만이 센서(7)에 의해 검사될 수 있다. 특히, 센서(7)의 센서 영역(11)은 센서(7)의 방사체(들)(5)의 방출 영역(들)(9)과 센서(7)의 검출기(들)(6)의 검출 영역(들)(10)이 중첩되는 영역이다.
도 5에서, 예컨대 화살표는 방사선(R)이 방사체(5)에서 검출기(6)로 통과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화살표는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고 검출 영역(10)에 도달하고 따라서 방출 영역(9)과 검출 영역(10)이 중첩되고 도시되지 않은 물체에 의해 검출기(6) 방향으로 산란 또는 반사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기(6)에 도달하는 광 빔의 경로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원칙적으로, 여기에서 선택된 이상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실제로 위에서 한정된 센서 영역(11) 외부의 물체가 센서(7)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출되거나 검출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로 소량의 방사선(R)이 한정된 방출 영역(9) 외부의 영역에 도달할 수도 있고 및/또는 한정된 검출 영역(10) 외부의 방사선(R)도 검출기(6)에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그러나, 예컨대 물체에 다중 산란이 있는 경우, 물체 또는 물체의 일부가 한정된 센서 영역(11) 외부에 위치한 센서(7)로 검출되는 것도 발생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4)의 감지 영역(12)은 센서 디바이스(4)로 검사 및/또는 검출/감지될 수 있는 범위이다. 특히, 감지 영역(12)은 방출 영역(9), 검출 영역(10) 및/또는 센서 영역(11)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영역(12)은 센서 디바이스(4)의 센서(7)의 센서 영역(11)의 총/전체이다.
감지 영역(12)은 연속/연결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센서 디바이스(4)의 센서(7)의 센서 영역(11)이 중첩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감지 영역(12)이 연결되지 않거나 분리되거나 연결되지 않은 영역 또는 센서 영역(11)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센서(7)의 센서 영역(11)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센서 영역(11)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이다.
감지 영역(12)은 바람직하게는 경계(G)를 갖는다. 경계(G)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영역(11)의 에지 또는 전체 에지에 의해 형성된다. 경계(G)는 특히 방출 영역(9)과 검출 영역(10)이 교차하는 지점 또는 선이다. 이는 특히 도 5에 나타나 있다.
감지 영역(12) 및/또는 이의 경계(G)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 거리(X)를 갖는다. 특히, 검사 중 방출기(5)에 의해 발(2) 안으로 방출되고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검출된 방사선(R)의 (최소) 침투 깊이는 달성되거나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최소 침투 깊이 또는 거리(X)는 발(2)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거나 또는 산란된 광이 검출기(6)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거리(X)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 감지 영역(12) 또는 그 경계(G)의 최소 거리이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영역(12)의 경계(G)는 특히 도 5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디바이스(4)에 대해 직선이거나 또는 평행하지 않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도에서, 경계(G)는 특히 지그재그로 이어진다. 이는 특히 센서(7)의 센서 영역(11)이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V-형상으로 (단면에서) 증가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결과적으로, 감지 영역(12)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상이한 위치에서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 상이한 거리를 가지며, 여기서 거리(X)는 이들 상이한 거리들 중 가장 작다.
제한 디바이스(8)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 감지 영역(12)의 경계(G)의 거리(X)가 0.5㎜ 초과, 바람직하게는 1㎜ 초과이고 및/또는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특히 3 ㎜ 미만이 되도록 설계된다.
제한 디바이스(8)는 바람직하게는 - 특히 도 5에 도시된 단면에서 - 방사체(5)의 방출 각도(9A) 및/또는 검출기(6)의 검출 각도(10A)를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75° 미만, 특히 약 60°으로 제한한다. 도 5에 도시된 단면은 방사체(5) 및 검출기(6)의 매트릭스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수직이고 매트릭스의 행 또는 열을 따라 방사체(5) 및 검출기(6)와 교차한다.
제한 디바이스(8)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장벽(13)에 의해 형성된다. 장벽(13)은 방사체(5)와 검출기(6)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벽(13)은 각각의 검출기(6)와 각각의 인접한 방사체(5) 사이에 배열된다.
장벽(13)은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 특히 적외선 방사선에 대해 불투과성이다.
장벽(13)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 검출 범위(8)의 경계(G)의 전술한 거리(X)가 도달되거나 실현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거나 설계된다.
제한 디바이스(8) 또는 장벽(13)의 치수, 특히 높이(HB) 및/또는 폭(BB) 뿐만 아니라 방사체(5) 및 검출기(6)로부터 제한 디바이스(8) 또는 장벽(13)의 거리(DB) 및 검출기(6)로부터의 방사체(5)의 거리(D)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의 방출 영역(9)과 검출기(6)의 검출 영역(10)이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의 감지 영역(12)의 경계(G)의 위에서 언급된 거리(X) 및/또는 전술한 방출 각도(9A) 및/또는 검출 각도(10A)가 도달되거나 실현되되도록 중첩되는 방식으로 서로 매칭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벽(13)은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및/또는 특히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는 여러 섹션(13B, 13C)을 갖는다.
장벽(13)의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이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산란 및/또는 반사 없이 검출기(6)에 도달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검출기(6)로부터 방사체(5)를 차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벽(13)은 바람직하게는 차폐 섹션(13B)을 갖는다. 따라서 차폐 섹션(13B)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로부터 검출기(6)를 차폐하거나 방사체(5)로부터 검출기(6)로의 직접적인 누화를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차폐 섹션(13B)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와 검출기(6) 사이에 위치된다. 차폐 섹션(13B)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의 주 방출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및/또는 방사체(5) 및 검출기(6)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진다.
장벽(13)의 다른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출 영역(9), 검출 영역(10), 센서 영역(11) 및/또는 감지 영역(12)을 제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장벽(13) 및/또는 이의 섹션에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를 위한 개구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장벽(13)은 바람직하게는 개구 섹션(13C)을 갖는다. 개구 섹션(13C)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의 방출 영역(9) 및/또는 검출기(6)의 검출 영역(10)이 특히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제한되거나 구속되는 방식으로 설계 및/또는 배열된다. 개구 섹션(13C)은 바람직하게는 개구를 형성한다. 특히, 개구 섹션(13C)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의 주 방출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및/또는 방사체(5) 및 검출기(6)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차폐 섹션(13B) 및 개구 섹션(13C)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설계되고 및/또는 동일한 구성요소의 다른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개구 섹션(13C)은 차폐 섹션(13B)보다 더 넓을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벽(13)의 T-형 단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는 아니다.
제한 디바이스(8) 및/또는 장벽(13), 특히 개구 섹션(13C)은 바람직하게는 1㎜ 초과, 특히 2㎜ 초과이고 및/또는 5㎜ 미만, 특히 4㎜ 미만의 폭(BB)을 갖는다. 또한, 제한 디바이스(8) 및/또는 장벽(13)은 바람직하게는 1㎜ 초과, 바람직하게는 2㎜ 초과이고 및/또는 5㎜ 미만, 특히 4㎜ 미만의 높이(HB)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장벽(13)은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고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검출되는 방사선(R)에 대해 투명 및/또는 반투명 영역(13A)을 형성하거나 제한한다. 이들 투명 영역(13A)은 각각 방사체(5) 및 검출기(6)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이들은 각각 방사체(5) 및 검출기(6) 위의 센서 디바이스(4)에 위치되고, 투명 영역(13A) 사이에 위치하거나 투명 영역(13A)을 둘러싸는 재료는 제한 디바이스(8) 및/또는 장벽(13)을 형성한다. 이는 도 5 및 도 6에 예시로 도시되어 있다.
검사 장치(1)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는 바람직하게는 장벽 요소(13D)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장벽 요소(13D)는 장벽(13) 또는 장벽들(13)을 갖거나 형성한다.
장벽 요소(13D)는 투명 영역(13A)을 갖는 일체형, 특히 편평한 및/또는 플레이트형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영역(13A)은 바람직하게는 장벽 요소(13D)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투명 영역(13A)은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고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검출되는 방사선(R)에 대해 투명한 재료, 예컨대 유리, 플렉시 유리 등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한 디바이스(8) 및/또는 장벽(13) 및/또는 장벽 요소(13D) 및/또는 투명 영역(13A)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 특히 격자 개구에 대응하는 그리드 또는 격자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는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고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검출되는 방사선(R)에 대해 투명한 커버(14)를 갖는다. 커버(14)는 유리, 플렉시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4)는 센서 디바이스(4)를 완전히, 연속적으로 및/또는 틈 없이 덮는다.
커버(14)는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를 오염 및/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커버(14)는 바람직하게는 발(2)을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및/또는 심지어 특히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거나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 감지 영역(12)의 경계(G)의 거리(X)는 커버(14)로부터 검출 영역(12)의 경계(G)의 거리, 특히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커버(14)의 측면으로부터의 거리이거나 이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동물(T)의 심장 활동을 검출하기 위한, 특히 심장도(KG)를 기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를 갖는다.
심장도(KG)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검사 장치(1)에 의해 검사할 동물(T)의 심장, 활동을 나타내고 및/또는 심장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9는 심장도(KG)의 예를 나타낸다.
특히, 심장 박동 또는 심장 박동이 심장도(KG)로부터 판독되거나 유도되거나 결정될 수 있는 시간.
심장도(KG)는 바람직하게는 심전도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심장도(KG)는 임피던스 심장도(impedance cardiogram), 심음도(phonocardiogram), 심탄도(ballistocardiogram) 등일 수도 있다.
검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극(15)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검출 요소(들)는 또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사운드 센서 등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1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15)을 갖는다. 예시적인 예에서, 검사 장치(1)는 3개의 전극(15)을 갖는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검사 장치(1)는 또한 상당히 더 많은 수의 전극(15)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는 전극(15)에 의해 기록될 수 있고 및/또는 전극(15)은 심장도(KG)를 기록하도록 설계되며, 특히 여기서 심장도(KG)는 심전도이다.
전극(15)은 바람직하게는 평면 및/또는 층상이다. 특히, 전극(15)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거나 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전극(15) 중 적어도 하나는 조직 전극으로 설계된다. 이는 전극(15)의 해칭에 의해 도 1에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전극(15)은 직물 전극으로 설계된다. 이는 고양이나 개와 같은 동물(T)의 검사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로써 검사가 동물(T)을 특히 즐겁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동물(T)은 금속성 및/또는 또는 반짝이는 표면에 의해 쉽게 거슬리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는 조직 전극을 사용하여 피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전극(15)은 보다 나은 구별을 위해 아래에서 제1 전극(15A) 및 제2 전극(15B)으로 표시된다. 전극(15A, 15B)은 동일하거나 다른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15A)에 대한 설명은 바람직하게는 제2 전극(15B)에도 적용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하게는, 전극(15A, 15B)은 각각 동물(T)의 발(2)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15A)은 좌측 앞발과 접촉하도록 설계되고 제2 전극(15B)은 우측 앞발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검사 장치(1)는 제3 전극(15C)을 갖는다. 제3 전극(15C)은 바람직하게는 기준 전극 또는 수집 전극으로 설계된다. 제3 전극(15C)은 바람직하게는 검사할 동물(T)의 신체의 여러 부분, 특히 몇 개의 발(2), 특히 동물(T)의 두 개의 뒷발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전극(15)은 바람직하게는 동물(T)이 검사 장치(1) 위에 놓일 때, 특히 앉거나 눕는 위치와 같이 동물(T)에게 자연스러운 위치에 있을 때, 동물(T)의 한 발(2)이 전극들(15) 중 하나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물(T)에 대한 검사를 특히 즐겁게 할 수 있다.
전극(15)의 배열, 크기 및 설계는 바람직하게는 검사할 동물(T), 특히 집 고양이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게 조정되어, 검사가 동물(T)에 대해 자연스럽고 바람직하게는 쾌적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및/또는 동물(T)은 검사 동안 전극(15)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전극(15), 특히 제1 전극(15A) 및 제2 전극(15B)은 바람직하게는 2 ㎝ 초과, 특히 5 ㎝ 초과이고 및/또는 25 ㎝ 미만, 특히 20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의 거리(DE)에 배열된다.
2개의 전극들(15) 사이의 거리(DE)는 특히 전극(15) 또는 그 표면의 중심점 또는 기하학적 중심 사이의 거리(DE)로 지칭된다. 이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극들(15), 특히 제2 전극(15B)으로부터 제1 전극(15A)의 거리(DE)는 바람직하게는 고정되고 및/또는 가변적이지 않다.
(각각의) 전극(15A, 15B)은 바람직하게는 10 ㎠ 초과, 특히 15 ㎠ 초과이고 및/또는 100 ㎠ 미만, 특히 80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의 면적을 갖는다.
제3 전극(15C)은 바람직하게는 50 ㎠ 초과, 특히 100 ㎠ 초과이고 및/또는 10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 미만, 특히 200 ㎠ 미만의 면적을 갖는다.
제3 전극(15C)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전극(15A, 15B)보다 더 큰 면적, 특히 제1 및/또는 제2 전극(15A, 15B)의 면적의 2배 또는 3배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4배 초과의 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15A)은 발(2), 특히 좌측 또는 우측 앞발에서 제1 전극(15A)에 의해 심장도(KG)가 기록될 수 있고 동시에 광학 검사가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곡선(K), 특히 광혈류도가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7은 예컨대 제1 전극(15A)에 의해 심장도(KG)가 기록될 수 있고 동시에 광학 검사가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곡선(K)이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된 발(2)을 도시한다.
제1 전극(15A)은 바람직하게는 조직 전극으로 설계된다.
조직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조직을 갖거나 조직에 의해 형성되는 전극이다. 특히, 조직 전극의 경우, 신체 부분, 특히 발(2)과의 접촉을 위한 접촉 표면은 조직을 갖거나 이에 의해 형성된다. 조직은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조직, 예컨대 전도성 스레드가 포함된 조직 및/또는 전도성 층으로 코팅된 조직이다.
제1 전극(15A)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커버(14) 상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 검출기(6)로부터 멀리 향하는 커버(14) 측면에 배열된다. 이는 특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전극(15A)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와 검출기(6) 사이 및/또는 커버(14) 및/또는 방사체(5) 및 검출기(6)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인 돌출부에서 장벽(13)의 맞은 편에(만) 배열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전극(15A)은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에 대해 투명하다. 이로써,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동물(T) 및/또는 발(2)의 광학 검사는 제1 전극(15A)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전극(15A)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고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검출되는 방사선(R)에 투명한 영역(16)을 갖는다. 이들 투명 영역(16)은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에 대응하게 배열되므로,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의 평면 및/또는 커버(14)에 수직인 돌출부에서) 방사체(5) 및 검출기(6) 각각 위에 위치한다.
이는 특히 도 5와 도 6에 도시된다.
제1 전극(15A)의 투명 영역(16)은 전극(15A)의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투명 영역(16) 또는 전체 제1 전극(15A)이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고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검출되는 방사선(R)에 대해 투명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거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가능하다.
제1 전극(15A) 및/또는 투명 영역(16)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에 대응하는 그리드 또는 격자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검사 장치(1)는 위치결정 보조기(24)를 갖는다. 위치결정 보조기(24)는 검사를 위해 동물(T) 또는 발(2)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위치결정 보조기(24)는 발(2) 또는 여러 개의 발(2), 특히 좌측 앞발 및/또는 우측 앞발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영역을 표시하거나 마크하도록 설계되었다. 위치결정 보조기(24)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근처에 배열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를 둘러싼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전극(15)의 위치는 위치결정 보조기(24)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위치결정 보조기(24)는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및/또는 안착 표면(3)의 융기부 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위치결정 보조기(24)는 예컨대 깔때기형일 수 있거나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위치결정 보조기(24)는 선택 사항일 뿐 필수 사항은 아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17), 특히 인쇄 회로 기판(PCB)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17)은 센서 디바이스(4)를 운반하고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는 회로 기판(17)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17)은 제1 및/또는 제2 전극(15A, 15B)을 운반하거나, 제1 및/또는 제2 전극(15A, 15B)은 회로 기판(17) 상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회로 기판(17)은 또한 제3 전극(15C)을 운반하고 및/또는 제3 전극(15C)은 또한 회로 기판(17) 상에 배열된다.
회로 기판(17)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특히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 및/또는 센서(7), 및/또는 전극(15A, 15B)의 작동을 위해 및/또는 검출기(6) 및/또는 전극(15)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평가를 위해 필요한 주변기기 및/또는 전기 선을 갖거나 형성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체중계(18)를 갖는다. 체중계(18)는 바람직하게는 전자 체중계(18)이다.
체중계(18)는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상에 위치되거나 배치된 동물(T)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설계된다.
검사 장치(1) 및/또는 체중계(18)는 바람직하게는 체지방 측정, 즉 체중계(18) 상의 동물(T)의 체지방률을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체지방 측정 또는 체지방률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수행된다. 특히, 전극(15, 15A, 15B, 15C) 중 2개 이상이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힘 센서(18A)를 갖는다. 힘 센서(18A)는 바람직하게는 힘, 특히 동물(T)에 의해 검사 장치(1)에 가해지는 중량을 측정하거나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힘 센서(18A)는 체중계(18)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체중계(18)에 통합될 수 있지만, 체중계(18)에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힘 센서(18A)는 예컨대 압전 요소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또한 특히 동일한 종류 또는 유형의 여러 힘 센서(18A)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18A)가 센서 디바이스(4) 또는 센서 디바이스(4) 아래, 안착 표면(3) 아래 및/또는 전극(15) (각각) 아래에 배열되고 및/또는 힘 센서(18A)가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안착 표면(3) 및/또는 전극(15)에 통합된다. 특히, 힘 센서(18A)는 동물(T)의 존재 및/또는 위치를 결정하고 및/또는 그러한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이러한 배열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는 특히 광학 디스플레이용으로 설계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예컨대,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는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 심박수, 혈압(BP), 중량, 체지방률 등과 같은 검사 장치(1)에 의해 측정되거나 결정된 값을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에 의한 혈압(BP) 및 심장도(KG)의 디스플레이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는 사용자 안내를 위해, 예컨대 검사 장치(1)의 작동 또는 사용에 대한 지침, 선택 메뉴, 오류 메시지, 경고 메시지 등을 표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입력 디바이스(20)를 갖는다. 입력 디바이스(20)는 바람직하게는 설정 및/또는 조정하고 및/또는 검사 장치(1)를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입력 디바이스(20)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 부근에 배열되고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에 통합된다.
예컨대, 입력 디바이스(20)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 스위치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로 설계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가 입력 디바이스(20)를 갖거나 형성하고 및/또는 입력 디바이스(2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에 통합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를 갖는다.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는 검사 장치(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예컨대 축전지, 배터리 등을 갖는다. 특히,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는 축전지 또는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도 충전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는 대응하는 충전 디바이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는 또한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를 외부 전원, 예컨대 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거나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연결부는 충전 디바이스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검사 장치(1) 및/또는 검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디바이스(25)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P)에 의해 형성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P)를 갖는다. 프로세서(P)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어 디바이스(25) 및/또는 프로세서(P)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특히 방사체(5),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를 제어하여 전극(15)을 제어하고 및/또는 체중계(18)를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25)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방사체(5), 검출기(6), 센서(7), 전극(15), 체중계(18) 및/또는 힘 센서(18A)와 결합된다.
또한, 전원 공급 디바이스(21)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바이스(2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어 디바이스(25)는 전원 공급 디바이스(21)에 결합된다.
제어 디바이스(25)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를 제어하도록 설계되고 및/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바이스(25)는 입력 디바이스(20)에 결합되고 및/또는 입력 디바이스(2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5)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처리 및/또는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및/또는 저장 매체(26)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매체(26)는 제어 디바이스(25)와 결합된다. 특히, 저장 매체(26)는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적어도 일시적인 저장을 위해 설계된다.
저장 매체(26)는 몇 개의 개별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고 및/또는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매체(26)는 하나 이상의 영구적으로 설치된 메모리 모듈 및/또는 저장 요소, 예컨대 하드 디스크(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RAM 모듈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을 갖는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저장 매체(26)는 USB 스틱 등과 같은 검사 장치(1)로부터 분리되고 및/또는 검사 장치에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저장 요소를 갖거나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저장 매체(26)는 CD-ROM, 하드 디스크, USB 스틱, 플래시 메모리, 클라우드 메모리,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저장 디바이스 또는 검사 장치(1)로부터의 별도의 다른 컴퓨터 장비 또는 PC, 데이터 센터, 슈퍼컴퓨터, 클라우드 컴퓨터, 서버,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랩톱 등과 같은 통합 메모리가 있는 또는 외부 및/또는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전극(15),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체중계(18)로 측정된 신호의 분석 및/또는 평가를 위해 설계된다. 신호의 평가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바이스(25) 및/또는 프로세서(P)에 의해 수행되고 및/또는 이에 의해 특히 저장 매체(26)를 사용하여 제어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를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23)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22)를 갖는다. 인터페이스 디바이스(22)는 여러 개의, 특히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직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USB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HDMI 인터페이스 및/또는 일부 이상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외부 디바이스(23) 및 검사 장치(1) 사이의 (특히 유선) 데이터 교환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22)는 또한 WiFi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특히 블루투스 저에너지 인터페이스(BLE 인터페이스), NFC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디바이스(23), 특히 인터페이스 디바이스(22)에 의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설계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으로 측정된 데이터 또는 신호 및/또는 이러한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결과 또는 평가를 특히 인터페이스 디바이스(22)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23)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외부 디바이스(23)는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로부터 분리된, 특히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바이스이다.
외부 디바이스(23)는 검사 장치(1)를 제어하고 및/또는 검사 장치(1)에 의해 측정된 신호 및/또는 데이터 및/또는 검사 장치(1)에 의해 전송된 결과를 기록 및/또는 평가 및/또는 분석 및/또는 표시하거나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디바이스(23)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장도(KG) 및/또는 혈압(BP)을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외부 디바이스(23)는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랩톱, 및/또는 PC, 서버, 컴퓨터 네트워크, 클라우드, 인터넷 포털, 앱 및/또는 기타 컴퓨터 디바이스로 설계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외부 디바이스(23)는 메모리 스틱과 같은 저장 매체(26)로서 설계된다. 특히, 외부 디바이스(23)는 저장 매체(26) 또는 그 일부를 형성하거나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외부 디바이스(23)를 갖거나 외부 디바이스(23)가 검사 장치(1)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외부 디바이스(23)가 검사 장치(1)에 할당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특히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 15A, 15B, 15C)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평가는 검사 장치(1) 자체 내에서 또는 검사 장치(1)에 의해 수행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평가 또는 그 일부는 또한 검사 장치(1) 외부에서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2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서, 전극(15)의 배선뿐만 아니라 센서 디바이스(4) 및 전극(15)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처리가 개략적인 블록도와 유사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디바이스(27)를 갖는다. 전처리 디바이스(27)는 바람직하게는 증폭기, 특히 차동 증폭기를 갖거나 이에 의해 형성된다. 차동 증폭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산 증폭기에 의해 형성되거나 그러한 증폭기를 갖는다. 그러나 다른 해결책도 가능하다.
전처리 디바이스(27)는 바람직하게는 전극(15)에 결합되거나 연결되며, 특히 전극(15, 15A, 15B, 15C)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전처리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전처리 디바이스(27)는 상이한 전극(15)으로 측정된 신호들, 특히 생체전위와 같은 전압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15A)으로 측정된 신호와 제2 전극(15B)으로 측정된 신호 사이의 차이를 증폭하도록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전극(15)은 커패시턴스 또는 커패시터를 통해 전처리 디바이스(27)에 연결된다. 이는 점선 상자 안의 커패시턴스 기호로 도 8에 표시된다.
또한, 전처리 디바이스(27)는 바람직하게는 전극(15)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선택적으로만, 전처리 디바이스(27)는 공통 모드 억제 디바이스(28)를 갖는다.
공통 모드 억제 디바이스(28)는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전극(15)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DC 전류 성분 또는 DC 전압 성분을 억제하거나 필터링하도록 설계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A/D 컨버터(29)를 갖는다. A/D 컨버터(29)는 바람직하게는 전극(15) 및 가능하게는 전처리 디바이스(27)에 의해 전처리된 특히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A/D 컨버터(29)는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디바이스(27)의 하류에 있다.
전극(15)으로 측정된 신호, 특히 전극(15)으로 기록된 심장도(KG)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에 추가로 평가 및/또는 처리된다. 특히, 유용성 점검(usefulness check)은 예컨대 점검 디바이스(29A)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용성 점검 동안,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가 유용한지 여부, 즉 그것이 의미 있게 평가될 수 있고 및/또는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는 도 8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있는 상자로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전처리 디바이스(27)의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추가 전처리 디바이스(30)를 갖는다. 전처리 디바이스(30)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또는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에 의해 측정된 신호(S)의 전처리를 위해 설계된다.
전처리 디바이스(30)는 바람직하게는 증폭기(31)를 갖는다. 증폭기(31)는 바람직하게는 검출기(6) 또는 센서(7)에 의해 측정된 신호(S)를 증폭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증폭기(31)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이고 및/또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디바이스(30)는 특히 증폭기(31)에 의해 증폭되는 신호(S)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디바이스(32)를 갖는다.
필터 디바이스(32)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상이한 전기 필터를 갖는다. 특히, 필터 디바이스(32)는 하나 이상의 수동 필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능동 필터를 갖거나 형성할 수 있다. 필터 디바이스(32)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대역통과 필터, 대역저지 필터, 고역통과 필터 및/또는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검출기(6) 또는 센서(7)에는 전처리 디바이스(30)가 할당되거나 또는 각각의 검출기(6) 또는 센서(7)는 전처리 디바이스(30)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측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디바이스(30)에 의해 전처리된 신호(S), 특히 곡선(K)의 평가는 심장도(KG)와 함께 및/또는 심장도(KG)를 고려하여 수행된다.
평가 결과는 예컨대 이미 위에서 설명되고 도 8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3)로 전달될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검사 장치(1)는 후술되는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은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양태와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음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검사 장치(1)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전술한 검사 장치(1)는 방법을 수행하고, 특히 하나 이상의 센서(7)를 선택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곡선(K)을 평가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방법은 또한 설명된 검사 장치(1)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위에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설계된 검사 장치(1)로 수행될 수 있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검사 장치(1)는 후술되는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은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양태와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검사 장치(1)는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이들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된다.
수단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검사 장치(1)가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26)에 저장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26)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의료 검사, 특히 혈압 측정을 위해, 검사 장치(1)에 의한 동물(T), 특히 집고양이 또는 개를 검사 장치(1) 위에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동물(T)은 검사 장치(1) 위에 완전히 놓이고, 즉 바람직하게는 모든 사지, 특히 발(2)이 검사 장치(1) 위에 있고 및/또는 동물(T)의 전체 중량이 검사 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놓여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물(T)은 동물(T)의 발(2), 특히 앞발이 센서 디바이스(4) 상에 놓이고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 바로 위에 위치되고 및/또는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이 발(2)에 기록될 수 있는 방식으로 검사 장치(1)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동물(T)은 각각의 전극(15, 15A, 15B, 15C)이 동물(T)의 신체 부분, 특히 발(2)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위치되어, 심장도(KG)가 전극(15)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동물(T)은 앞발 중 하나가 제1 전극(15A)과 접촉하고, 다른 앞발이 제2 전극(15B)에 접촉하고, 검사 장치(1)가 제3 전극(15C)을 갖는 경우, 뒷발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제3 전극(15C)과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동물(T)의 위치를 결정한 후, 의료 검사 및/또는 혈압 측정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우선 동물(T)의 위치를 잡은 후, 동물(T)이 진정될 수 있도록 잠시 대기하고 대기 기간 후에만 의료 검사 및/또는 혈압 측정이 시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동물(T)의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 검사 또는 혈압 측정을 위해 곡선(K)이 기록된다. 이 곡선(K)은 특히 광혈류도이다.
도 9의 하단에는 곡선(K)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K)을 기록하기 위해 반사 측정이 수행되거나, 검사 장치(1)가 이를 위해 설계된다. 이는 특히 센서 디바이스(4)가 발(2)의 일측에만 위치하고 및/또는 발(2)의 반대쪽에 위치한 구성요소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사 또는 측정은 적외선 범위의 방사선(R)으로 수행된다.
동물(T)의 심장도(KG)는 특히 동물(T)의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의 기록과 동시에 검사 장치(1)에 의해 기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9의 상단에는 심장도(KG)가 예시되어 있다.
검사 장치(1)는 검사 장치(1), 특히 센서 디바이스(4), 센서(7), 검출기(6) 및/또는 전극(15)으로부터 정보 및/또는 신호(S) 및/또는 곡선(K)을 수신 및/또는 처리하는 프로세서(P)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프로세서(P) 및/또는 검사 장치(1)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P)와 함께 실행될 수 있는 제안된 방법을 나타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저장 매체(26)를 갖는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26)에 저장된다. 또한, 결과는 프로세서(P)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및/또는 특히 외부 디바이스(23)로 전송될 수 있다.
저장 매체(26)는 검사 장치(1)에 통합되거나 검사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스틱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과 같은 저장 수단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 장치(1)에 연결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로부터 검사 장치(1)에 공급되어 검사 장치(1)에 저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른 해결책도 가능하다.
방법, 특히 광학 검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7),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센서들(7)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는 하나의 측정 채널에 대응하고, 각각의 센서(7)는 하나의 측정 채널에 대응하고 및/또는 하나의 측정 채널은 각 센서(7)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측정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센서(7)에 의해 측정된 신호(S), 특히 센서(7)에 의해 측정된 곡선(K)에 대한 전송 경로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측정 채널" 및 " 센서"는 서로 분리할 수 없이 연결되어 있지만 다음은 센서(7)와 측정 채널을 더 이상 구별하지 않는다. 대신, "측정 채널" 및 "센서"라는 용어는 다음에서 동의어로 사용되며, 여기서 "센서"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특히 "측정 채널"과 "센서"라는 용어는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개의 곡선들(K)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별개로 또는 독립적으로 여러 개의 센서들(7)을 통해 동시에 및/또는 차례로 기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6)를 갖는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는 정확히 하나의 검출기(6)를 갖는다. 따라서, 센서(7)를 선택함으로써, 검출기(6)도 선택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관련하여, "센서의 선택" 및 "검출기의 선택"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동의어이고, 특히 상호교환 가능하다.
또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7)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영역(11)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는 센서 디바이스(4)의 감지 영역(12)의 다른 측정 위치 또는 부분 영역에 할당된다. 특히, 따라서 각각의 센서(7)는 특정 측정 위치 및/또는 센서 영역(11) 및/또는 감지 영역(12)의 일부 영역에 대응한다. 따라서 센서(7)의 선택은 측정 위치 및/또는 센서 영역(11) 및/또는 감지 영역(12)의 일부 영역의 선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선택", "측정 위치 선택", "센서 영역 선택" 및 "감지 영역의 일부 영역 선택"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동의어이고, 특히 상호교환 가능하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곡선(K)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와 함께 기록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곡선(K)은 센서(7)에 할당된다. 특히, 각 곡선(K)은 따라서 특정 센서(7)에 대응한다. 곡선(K)의 선택은 따라서 센서(7)의 선택으로 이해될 수 있고 및/또는 그러한 선택을 나타낸다. 간접적으로, 곡선(K)의 선택은 따라서 측정 위치 및/또는 센서 영역(11) 및/또는 감지 영역(12)의 일부 영역의 선택도 나타낸다. "곡선 선택", "측정 위치 선택", "센서 영역의 선택" 및 "감지 영역의 일부 영역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의어이고, 특히 상호교환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검사 장치(1)에서, 센서(7)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종류 또는 유형인 것이어서, 각 센서(7)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측정을 수행하고 다른 위치에서 측정된다는 점에서만 측정이 상이하여, 상이한 (동시에) 측정된 신호(S) 또는 곡선(K)이 유래된다.
도 10은 방법의 일반적인 시퀀스에 대한 개략적인 개요를 보여준다.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여러 단계(S1 내지 S9)를 갖는다. 이하에서, 먼저 단계(S1 내지 S9)의 대략적인 개요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S1 내지 S9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반드시 모든 단계(S1 내지 S9)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개별 단계(S1 내지 S9) 또는 단계(S1 내지 S9)의 개별 양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상이한 조합으로 실현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동물(T)은 의학적으로 검사된다. 바람직하게는, 동물(T)의 맥박 전달 시간(PTT) 및/또는 혈압(BP)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결정된다.
동물(T)은 바람직하게는 검사를 위해 검사 장치(1)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동물(T)은 검사 장치(1)에 고정되지 않고, 특히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단계(S1)에서, 동물(T)이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상에 놓여 있는지 및/또는 검사 장치(1)에 의해 의료 검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검사 장치(1) 상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그러나, 단계(S1)는 선택 사항일 뿐이며 생략할 수 있다.
단계(S2)에서 광학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이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발(2)이 센서 디바이스(4) 상 또는 위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단계(S2)에서 센서(7) 중 어느 것에 발(2)이 위치하는지 또는 센서(7) 중 어느 것에 의해 검사가 수행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발(2)이 위치되고 및/또는 이에 의해 검사가 수행될 수 있는 센서(7)만이 선택되고 및/또는 사용된다. 단계(S2)는 단계(S1)와 동시에 수행하거나 대체할 수도 있다. 단계(S2)는 선택 사항이며 생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검사가 수행되는 센서(7) 또는 센서들(7)의 서브세트의 선택이 단계(S3)에서 발생한다. 이는 센서 디바이스(4)가 복수 또는 다수의 센서(7)를 갖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 또는 평가로부터 발(2)이 위에 위치하지 않는 특히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를 배제하고 및/또는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측정 및/또는 평가에 필요한 노력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단계(S3)는 또한 단계(S1) 및/또는 단계(S2)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단계(S3)는 원칙적으로 선택사항이며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3) 또는 센서(7)의 선택 또는 센서들(7)의 서브세트의 선택은 후속 단계 없이도 유리할 수 있고, 특히 후속 단계 없이도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S4)에서, 동물(T)의 동맥 혈류(BF), 특히 광혈류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이 기록된다. 특히 곡선(K)이 기록되는 동시에 심장도(KG)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개의 곡선들(K)을 동시에, 특히 심장도(KG)와 동시에 기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여러 개의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는 특히 시간적 거리를 두고 차례로 기록될 수 있다. 단계(S4)에서, 바람직하게는 측정의 품질 및/또는 기록된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의 유용성이 또한 확인된다.
단계(S5)에서,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들)(K)은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되거나 분할된다. 이는 특히 곡선 섹션(KA)이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곡선 섹션(KA)이 정확히 하나의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K)은 심장도(KG)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른 해결책도 가능하다.
단계(S6)에서, 바람직하게는 추가 평가를 위해, 특히 곡선 특징(M) 및/또는 혈압(BP)의 측정을 위해 곡선 섹션(KA)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곡선 섹션(KA)의 일부는 단계(S6)에서 폐기될 수 있다. 곡선 섹션(KA)의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곡선 섹션(KA)만이 단일 센서(7) 또는 센서들(7)의 서브세트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센서(7)의 선택을 구성한다. 그러나, 단계(S6)는 선택 사항이며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S7)에서, 곡선 섹션(KA)에 기초한 평균화 또는 평균 결정이 바람직하게는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곡선 평균 값(KM)은 곡선 섹션(KA)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부트스트랩 방법(bootstrap method)을 사용하거나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8)에서, 곡선 특징(M)이 바람직하게는 결정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곡선 특징(M)이 먼저 결정된다. 특히, 곡선 특징(M)이 각 센서(7), 각 곡선 섹션(KA) 및/또는 각 곡선 평균 값(KM)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곡선 특징(M)에 추가하여, 각 경우에 분산의 할당된 척도가 결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장 낮은 분산 척도를 갖는 곡선 특징(M)이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의 최종 결과로서 선택된다. 그러면 이 선택된 곡선 특징(M)은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을 나타낸다. 결정된 곡선 특징(M)은 출력될 수 있고 및/또는 혈압(BP)의 측정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계(S9)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으로부터 혈압(BP)이 결정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F)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S5, S6, S7 및/또는 S8) 중 하나 이상 동안, 특히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의 유용성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용성에 대한 심장도(KG)의 확인은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검사 또는 기록을 시작한 직후, 특히 몇 초 후,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5초 후,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초 후에 수행된다.
유용성에 대한 곡선(K)의 확인은 바람직하게는 유용성에 대한 심장도(KG)를 점검한 후에 수행된다. 적어도 약 5초 및/또는 최대 약 45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초 및/또는 약 30초 후에, 곡선(K)의 유용성을 점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용성에 대한 곡선(K)의 확인은 여러 번 및/또는 2개의 다른 기간 후에 수행되는 것, 특히 약 10초 후에 제1 확인이 수행되고 약 30초 후에 제2 확인이 수행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용성에 대한 곡선(K)의 (제1 및/또는 제2) 확인은 바람직하게는 곡선(K)의 기록 동안 또는 그에 병행하게 수행된다.
측정이 유용하지 않거나 추가 측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러한 단계(S5, S6, S7 및/또는 S8) 후에 단계(S4)로 복귀하고 및/또는 도 10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및/또는 추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단계(S4, S5, S6, S7 및/또는 S8) 중 하나 후에 단계(S3)으로 복귀하고 및/또는 센서(7)의 새로운 및/또는 상이한 선택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S3) 또는 단계(S4)로 복귀한 후, 다음 단계(S4 내지 S9 또는 S5 내지 S9)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다시 실행된다.
이전 단계로 복귀하고 하나 이상의 단계를 한 번 초과 및/또는 특히 다시 수행하는 것은 동물(T)이 검사 중에 움직이거나 발(2)이 검사 중에 움직일지라도, 동물(T)의 검사, 특히 혈압(BP)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결과를 가진다. 특히, 하나 이상의 단계를 반복하면, 충분한 수의 데이터 또는 곡선(K)이 측정되거나 사용 가능해질 때까지 누적 측정 또는 기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측정 오차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가 보정될 수 있고, 검사 중에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동물(T)은 바람직하게는 검사 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동물(T)에게 검사가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가 없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단계(S1 내지 S9)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계(S1)
바람직하게는, 단계(S1)에서, 검사 장치(1) 상의 동물(T)의 존재가 결정된다.
검사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상에 또는 검사 장치(1)에서, 특히 안착 표면(3) 상, 전극(15)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동물(T), 특히 발(2)의 (잠재적인) 존재를 식별하도록 설계된다.
원칙적으로,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다른 센서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검사 장치(1)는 광 장벽, 모션 검출기 등과 같은 존재 센서(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검사 장치(1)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특히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 힘 센서(18A)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극(15)이 검사 장치(1)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에서 동물(T) 또는 발(2)의 존재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특히 전극들(15) 사이의 임피던스 또는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전극(15)과 발(2)의 접촉을 식별한다. 전극(15)으로 측정된 저항은 특히 전극(15)이 동물(T)의 발(2)에 의해 접촉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물(T)의 존재 및/또는 전극(15) 상의 발(2)의 정확한 위치, 특히 발(2)의 위치는 심장도(KG)가 전극(15)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방식으로 식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힘 센서(18A) 및/또는 체중계(18)는 이 동물(T)의 존재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힘 또는 중량 임계값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정되거나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사하고자 하는 집 고양이, 집 개 또는 기타 동물(T)을 검사 장치(1)에 올려놓았을 때 그 힘 또는 중량 임계값이 초과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량을 초과하는 임계값은 동물(T)의 존재 표시이다. 중량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동물(T)이 검사 장치(1)에 위치하지 않거나 동물(T)이 검사 장치(1)에 의도된 방식으로 부분적으로만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힘 센서(들)(18A)의 적절한 배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힘 센서(들)(18A)에 의해 전극(15)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 중 어느 것이 동물(T)과 접촉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센서 디바이스(4)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는 동물(T)의 존재를 식별하거나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발(2) 또는 동물(T)의 신체의 다른 부분이 센서 디바이스(4) 바로 위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또는 발(2) 및/또는 신체 부분이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광학적으로 검사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지 여부, 특히 광혈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센서(7)에 의해 측정된 신호(S)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편으로, 하나 이상의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이 검출기들(6) 중 하나에 도달하여 특히, 반사 또는 산란에 의해 적어도 본질적으로 물체, 즉 바람직하게는 동물(T)의 존재를 검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센서 디바이스(4) 상에 위치한 발(2)에 의해 주변 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되고 및/또는 일부 센서(7)에만 도달한다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T)의 존재에 대한 정보는 특히 신호(S)의 상세한 평가가 필요 없이 각각의 검출기(6) 또는 센서(7)에 의해 측정된 신호(S)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레벨을 임계값과 비교하거나 이를 다른 센서(7) 등에 의해 측정된 신호(S)와 비교함으로써, 특정 신호 레벨을 식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존재 검출 또는 존재 결정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에너지 효율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존재 검출 또는 존재 결정의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저장된다.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이진 정보인데, 그 이유는 동물(T)이 존재하거나 존재가 결정될 수 있거나(긍정 결과) 또는 동물(T)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음이 결정될 수 있기(부정 결과)이기 때문이다. 특히, 결과 또는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 및/또는 전극(15)의 신호, 특히 비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하위 비트로 인코딩된다. 이러한 방법은 "리드-오프 검출(lead-off detection)"라고도 한다.
바람직하게는, 존재 검출 또는 존재 결정은 검사의 수행 및/또는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의 기록 동안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및/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예컨대 2초 미만 또는 1초 미만의 간격으로 반복되고 및/또는 (다시) 수행된다.
동물(T) 또는 동물의 발(2)의 (잠재적인) 존재가 검사 장치(1)에서 결정되면, 검사 장치(1)는 (자동으로) 스위치 온될 수 있고, 특히 절전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장치(1)는 절전 모드를 지원할 수 있고 동물(T) 또는 그의 발(2)의 존재가 검출되자마자 이 절전 모드를 떠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동물(T) 또는 발(2)의 존재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특히 검사 장치(1)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원칙적으로는 특히 본 발명의 추가 단계에 대해 필수 사항은 아니며, 이는 - 덜 편리하지만 - 검사 장치(1)의 활성화는 특히 검사 장치(1)의 스위치 또는 다른 작동 디바이스에 의해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S2)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는 특히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발(2)이 위치하는지의 여부 및/또는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단계(S2)에서 확인하고 센서 디바이스(4) 또는 검사 장치(1)는 이 목적을 위해 설계된다.
제안된 검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동물(T)의 발(2)은 광학 검사(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가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 디바이스(4) 상에 또는 위에 놓여 있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발(2)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센서 디바이스(4), 특히 커버(14)에 직접 접한다. 이 경우, 신뢰할 수 있는 광학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동물(T)의 발(2)은 심장도(KG)의 기록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적용 가능하다면, 전극(들)(15)과 직접적인 전기 또는 갈바닉 또는 정전 용량 접촉을 가져야 한다.
단계(S2)에서, 바람직하게는 발(2)이 센서 디바이스(4) 위에 놓여 있는지 또는 적절한 방식으로 센서 디바이스(4)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가 자동으로 확인되어, 검사, 특히 광학 검사 및/또는 심장도(KG)의 기록이 가능해 진다.
한편으로. 센서(들)(7)에 의해 측정된 신호(S)가 평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신호(S) 또는 신호들(S)이 광 입사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단순히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물(T) 또는 발(2)에 의한 도자가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발(2)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검출기(들)(6)에 의해 방사체(들)(5)에 의해 방출된 전자기 방사선(R)의 측정이 특히 유리하다. 방사체(들)(5)가 활성화될 때, 하나 이상의 검출기(들)(6)로부터의 신호(S)를 평가함으로써, 물체 및 특히 동물(T)의 발(2)이 방사체(들)(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이 검출기(들)(6)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 또는 강도에 따라 -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발(2)의 존재가 추론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4) 위의 발(2)의 존재 및/또는 위치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센서(7)에 의해 측정된 신호(S)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된다.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측정된 신호들(S)의 비교는 바람직하게는 활성화되거나 스위치-온되거나 방출 방사체(5)로 수행되지만, 스위치-오프된 방사체(5)로도 수행될 수 있다.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부터의 신호들(S)을 비교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특히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어느 위치에 발(2)이 위치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센서 디바이스(4)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 중 어느 것이 발(2)이 그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어느 센서(7) 및/또는 검출기(6)가 검사, 특히 혈압(BP)의 결정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발(2)의 형상 및/또는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모델링될 수 있다.
발(2)이 센서 디바이스(4) 상에 위치한다면,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의 일부 영역 및/또는 일부 센서(7)는 발(2) 및 다른 영역에 의해 덮이고 및/또는 센서(7)는 발(2)에 의해 덮히지 않는다. 특히, 이는 개별 센서(7)에 의해 측정된 밝기 및/또는 방사선(R)의 차이를 초래한다.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검사를 위해, 센서(7)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7)가 발(2)로 완전히 덮히는 방식으로 발(2)이 센서 디바이스(4) 위에 위치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변 광은 센서(7) 또는 그 검출기(6)에 도달할 수 없고, 센서(7)의 방사체(5) 또는 방사체들(5) 중 하나에 의해 방출되고 발(2)에서 검출기(6)를 향해 산란되는 방사선(R)만이 도달할 수 있다.
상이한 센서(7) 및/또는 센서(7)로 측정된 신호(S)의 비교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센서(7)의 신호들(S) 사이의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위치 또는 존재 결정은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측정된 신호(S)를 검사하여 그것이 임계값, 특히 절대 신호 강도를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계값은 절대 밝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동물(T)의 발(2) 및/또는 임의의 다른 신체 부분이 센서 디바이스(4)의 센서(7) 위에 위치하는지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의 센서(7)가 발(2) 또는 다른 신체 부분의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은 동물(T)의 신체의 어떤 부분도 센서 디바이스(4) 또는 센서(7) 위에 있지 않다는 표시이고 및/또는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동물(T)의 발(2) 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이 곡선(K)이 기록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센서(7) 위에 위치된다는 표시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검출기(6) 또는 센서(7)에 의해 측정된 방사선(R)의 파장이 분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체(5)는 특정 파장 또는 좁은 파장 범위의 방사선(R)을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다시 말해서, 방사체(5)는 바람직하게는 좁은 스펙트럼을 갖는다. 대조적으로, 태양광 및/또는 실내 조명을 위해 인공적으로 생성된 빛과 같은 주변 광은 일반적으로 넓은 스펙트럼, 즉 특히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 범위 밖에 있는 복수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다. 따라서 검출기(6) 또는 센서(7)에 의해 검출된 방사선(R)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센서(7)가 발(2)에 의해 덮여 있는지 또는 주변 광이 측정되는지가 바람직하게는 결정될 수 있다.
발(2)이 센서 디바이스(4)의 일부 센서(7) 위에만, 특히 센서 디바이스(4)의 모든 센서(7) 위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7)는 검사를 수행하고 및/또는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의 기록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존재 및/또는 위치의 결정을 위해, 특히 스캔 또는 검색 실행이 센서(7)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이한 센서(7) 및/또는 방사체(5)는 하나씩 작동되거나 스위치 온된다. 특히, 주변 광의 영향은 이에 의해 및/또는 스위치 온된 방사체(5)로 측정된 신호(S)를 스위치 오프된 방사체(5)로 측정된 신호(S)와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4)에 대해서 및/또는 그 위에 발(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특히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측정된 신호(S)의 질량 중심 또는 중력이 계산되거나 결정된다. 신호(S)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측정된 방사선(R)의 강도에 비례한다.
측정된 신호(S)의 질량 중심 또는 중력의 결정은 특히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방사체(5),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에 위치가 할당되며, 바람직하게는 위치는 2개의 좌표 x, y로 표시된다. 따라서 각각의 방사체(5),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의 위치는 한 쌍의 좌표(
Figure pct00001
,
Figure pct00002
)에 의해 지정되거나 한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인덱스 i는 방사체(5),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를 계수한다. 이는 특히 도 4에서도 도시된다.
발(2)의 위치 또는 신호(S)의 질량 중심 또는 중력은 좌표 쌍(
Figure pct00003
,
Figure pct00004
)에 의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여기서,
Figure pct00007
는 각각의 좌표
Figure pct00008
또는
Figure pct00009
에서 측정된 신호(S)의 신호 강도
Figure pct00010
에 해당하는 값이거나, 각각의 좌표
Figure pct00011
또는
Figure pct00012
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Figure pct00013
의 합에 해당하는 값이다. 팩터
Figure pct00014
는 정규화 팩터이며 필요한 경우 생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15
.
신호 강도
Figure pct00016
는 바람직하게는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측정된 신호(S)의 값, 예컨대 전압, 전류 등, 특히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측정된 DC 값이다.
신호 강도
Figure pct00017
에 해당하는 값
Figure pct00018
은 바람직하게는 신호 강도
Figure pct00019
에 직접 연결된 값, 예컨대 신호 강도
Figure pct00020
자체(
Figure pct00021
)의 값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값
Figure pct00022
은 신호 강도
Figure pct00023
와 신호 강도
Figure pct00024
(
Figure pct00025
)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
Figure pct00026
또는 그 절대값(
Figure pct00027
) 사이의 차이이다.
발(2)의 위치 또는 질량 또는 중력 중심(
Figure pct00028
,
Figure pct00029
)의 결정 후에,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센서들(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가 바람직하게는 결정된 위치 또는 결정된 질량 중심에 기초하여 의료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을 위해 선택되거나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결정된 위치에 가장 가깝고 및/또는 결정된 위치 주변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가 선택되거나 사용된다. 예컨대, 질량 또는 질량 중심(
Figure pct00030
,
Figure pct00031
) 주위의 정사각형, 직사각형, (정) 육각형, (정) 팔각형 등에 놓이는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가 선택된다.
광학 검사 동안 및/또는 후속 단계 중 하나 이상 동안, 특히 단계(S3 및/또는 S4) 중 하나 동안, 발(2)의 위치가 특히 측정 동안 및/또는 초기 위치결정 후에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고 및/또는 발(2)의 위치의 결정이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 점검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및/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바람직하게는 2초 미만 또는 1초 미만의 간격으로 수행된다.
초기 위치결정 후 발(2)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측정된, 특히 검사를 위해 선택되거나 사용된 신호(S), 또는 이들 신호(S)로부터 결정된 제어 값
Figure pct00032
은 기준 값
Figure pct00033
와 비교된다.
기준 값
Figure pct00034
은 바람직하게는 확인에 앞서 발(2)의 위치를 초기 결정하는 동안 측정 및/또는 결정된 값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저장된다.
제어 값
Figure pct00035
은 바람직하게는 기준 값
Figure pct00036
과 동일한 방식으로 및/또는 기준 값
Figure pct00037
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신호(S)와 동일한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로 측정된 신호(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제어 값
Figure pct00038
및 기준 값
Figure pct00039
의 유일한 차이점은 서로 다른 시간에 기록되거나 결정된다는 것, 즉 기준 값
Figure pct00040
은 발(2)의 위치를 처음 결정할 때 또는 의료 검사를 받기 전에 기록되거나 결정되고 제어 값
Figure pct00041
은 발(2)의 위치를 처음 결정한 후 또는 의료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 동안에 기록되거나 결정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값
Figure pct00042
은 선택된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측정된 신호(S) 또는 신호 강도
Figure pct00043
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준 값
Figure pct00044
은 (선택된)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의 값
Figure pct00045
의 합(
Figure pct00046
) 또는 (선택된)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의 값
Figure pct00047
의 평균(
Figure pct00048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049
은 값 위에서 설명한 값이고, 인덱스 i는 -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를 통해 이어지고 n은 (선택된) 센서(7), 방사체(5) 및/또는 검출기(6)의 수이다.
제어 값
Figure pct00050
을 기준 값
Figure pct00051
과 비교할 때, 바람직하게는 제어 값
Figure pct00052
과 기준 값
Figure pct00053
의 편차, 제어 값
Figure pct00054
과 기준 값
Figure pct00055
의 비율, 제어 값
Figure pct00056
과 기준 값
Figure pct00057
사이의 차이 등이 결정되거나 계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어 값
Figure pct00058
과 기준 값
Figure pct00059
사이의 몫
Figure pct00060
/
Figure pct00061
을 결정함으로써 제어 값
Figure pct00062
이 기준 값
Figure pct00063
과 비교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교 결과를 얻기 위해, 비교에서 결정된 값, 예컨대 제어 값
Figure pct00064
과 기준 값
Figure pct00065
사이의 차이 값, 특히 바람직하게는 몫
Figure pct00066
/
Figure pct00067
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상인지가 확인된다.
제어 값
Figure pct00068
과 기준 값
Figure pct00069
의 비교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발(2)의 위치가 변경되었거나 발(2)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이다.
비교에서 결정된 값, 특히 몫
Figure pct00070
/
Figure pct00071
이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비교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발(2)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이다. 임계값은 예컨대 0.5일 수 있다.
제어 값
Figure pct00072
과 기준 값
Figure pct00073
의 비교 결과가 발(2)의 위치가 (초기에 결정된 위치로부터) 변경되었다는 것이라면, 발(2)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다시 결정된다.
제어 값
Figure pct00074
과 기준 값
Figure pct00075
의 비교는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 예컨대 1초마다, 2초마다, 3초마다 등으로 발생한다.
발(2)의 위치가 변경되고 및/또는 기준 값
Figure pct00076
과 제어 값
Figure pct00077
의 비교에서 결정된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발(2)의 위치 결정 , 특히 검색 실행 또는 스캔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자동으로 다시 수행된다.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존재 및/또는 위치결정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전극(15)을 사용하여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발(2)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전도성, 특히 직접(갈바닉) 또는 용량성 전기 연결이 센서 디바이스(4)에 할당되거나 센서 디바이스(4)의 일부로서 또는 센서 디바이스(4) 상에 배열된 전극(15)과 발(2)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이 바람직하게는 수행된다. 전기 연결이 있는 경우, 발(2)이 있음을 나타낸다.
측정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전극(들)(15)과의 접촉 및 하나 이상의 검출기(6)의 음영 또는 검출기(6)로 방사체(들)(5)로부터 오는 전자기 방사선의 식별 둘 모두가 등록되는 경우, 발(2)의 충분한 존재는 자동으로 검출된다.
존재 검출은 에너지 절약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발(2)의 존재 검출은 여러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조치는 서로에 기초하여 할 수 있다. 예컨대, 특히 간헐적 및/또는 에너지 절약 측정을 먼저 사용할 수 있으며 동물(T)의 (잠재적인) 존재가 검출되면, 다른 측정 중 하나 이상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방사체(5)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검출기(6)로 음영이 검출되고 및/또는 전극(15)과 전기 접촉이 검출되면, 추가 단계에서 위에서 언급한 다른 측정에 의해 및/또는 방사체(들)를 활성화하여 발(2)도 검사가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 디바이스(4) 위에 놓이거나 이에 대해 놓여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발(2)의 존재의 결정에 추가하여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검사 장치(1)에 의해 제공된 여러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방법의 추가 단계는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또는 센서 디바이스(4)에서의 발(2)의 존재가 그에 따라 식별된 경우에만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의미 있는 결과를 기대하지 않고 에너지와 컴퓨팅 성능이 소모될 것으로 예상해야 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특히 특정 경우에 해당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정보 포함 신호의 평가를 수락하려는 추가 노력이 허용되는 경우에 및/또는 평가에 기초하여 제안된 방법의 나중 시점에서 적절한 신호(S) 또는 그 일부가 선택되고 및/또는 적합하지 않은 신호가 폐기되는 경우에 단계(S2) 없이도 수행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단계(S1)는 단계(S2)로 보완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발(2)의 존재의 식별 또는 검출이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 상의 동물(T)의 검출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이는 하나 이상의 검출기(들)(6)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신호(S)의 평가 및/또는 발(2)과의 전기 접촉의 결정을 위한 검사 장치(1)의 하나 이상의 전극(15)의 사용이 또한 검사 장치(1)에서 동물(T)의 존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단계(S2), 특히 센서 디바이스(4) 위의 발(2) 위치의 결정 및/또는 발(2)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은 또한 여러 번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심장도(KG)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곡선(K)의 측정 또는 기록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측정 또는 기록의 평가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발(2)이 이동되었는지 여부가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정기적으로 및/또는 짧은 간격으로, 예컨대 2초 또는 1초 미만의 간격으로 확인된다. 특히, 단계(S2)는 따라서 단계(S4, S5, S6, S7, S8 및/또는 S9) 중 하나 이상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는 검사될 동물(T)이 검사 동안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및/또는 발(2)이 검사 동안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야기된 측정 오류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는 특히 센서(7)의 선택 및/또는 무용한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폐기와 관련하여 위치결정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특히,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 동안 및/또는 이후에, 검사가 이동 전보다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7) 또는 센서(7)의 다른 서브세트로 유지되거나 지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물(T)이 검사 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동물(T)이 검사를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 없이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단계(S3)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출기(6) 및/또는 센서(7)가 선택된다. 특히, 검출기(6)의 선택 또는 센서(7)로 측정된 신호(S)의 선택은 또한 센서(7)의 선택을 나타내거나 구성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또한 정보 및/또는 곡선 특징(M) 및/또는 혈압(BP)의 결정에 대한 평가가 예상되는 경우에, 특히, 센서(7)의 사전 선택이 이루어지므로, 추가 단계 및 특히 센서(7)에 의해 측정된 신호(S)의 평가가 수행된다.
따라서 센서(7)의 선택은 특히 이 센서(7)로 측정이 이루어지고, 특히 신호(S) 및/또는 곡선(K)이 기록되고, 특히 추가 평가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센서(7)의 선택은 또한 센서(7)의 방사체(들)(5)를 작동 및/또는 스위치-온함으로써 및/또는 측정된 신호(S)를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7)의 비선택은 특히 신호(S)가 측정되지 않고 및/또는 센서(7)로 곡선(K)이 기록되지 않고 및/또는 측정된 신호(S) 또는 센서(7)로 기록된 곡선(K)이 추가 평가에서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특히, 선택되지 않은 센서(7)로부터의 신호(S)는 그에 따라 거부된다.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의 선택은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십자형은 각각의 검출기(6) 또는 센서(7)가 선택되지 않았음을 상징하고 후크는 각각의 검출기(6) 또는 센서(7)가 선택되었음을 상징한다. 단계(S3)의 예에서, 6개의 도시된 검출기(6) 및/또는 센서(7) 중 2개가 선택되고 4개의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는 선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광학적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동맥(A)을 갖는 발(2)의 일부가 센서(7)의 센서 영역(11)에 배열되어야 하므로, 광학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신체 부분, 특히 발(2)은 동맥 혈류(BF)가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검사되고 및/또는 신호(S)가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또는 그 반대로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커버(14)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신체 부분, 특히 발(2)은 특히 신호(S)가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놓여진다.
광학 검사를 위해,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발(2)의 볼/패드를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커버(14) 위에/에 대해 두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발(2)의 밑면의 털이 없는 영역은 패드라고 한다. 패드 영역에서 광학 검사가 특히 잘 실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드 외부에 있는 털 때문에 광학 검사나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 중 어느 것이 발(2) 아래, 특히 패드 아래에 위치하는지, 따라서 광학 검사를 수행하기에 특히 적합한지 검출되거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검출기(6) 및/또는 센서(7) 또는 이들로 측정된 신호(S)는 바람직하게는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 평가는 각각 신호(S) 또는 센서(7)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동맥 혈류(BF)에 대한 유용하거나 평가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고 및/또는 이에 기초하여 광혈류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및/또는 혈압(BP)의 측정이 수행될 수 있는 곡선(K)으로 이어진다. 이를 통해 특히 에너지 절약 방식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S) 및/또는 센서(7)의 선택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 적어도 간접적으로 - 센서 디바이스(4)의 부분,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서브세트 및/또는 감지 영역(12)의 서브세트 또는 센서 영역(11) 및/또는 검출 영역(10)의 서브세트의 선택이 수행되어, 선택된 부분 또는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정보 또는 신호(S) 또는 곡선(K)만이 추가 과정에서 기록 및/또는 평가 및/또는 처리된다.
정보 및/또는 신호(S)의 선택 및/또는 선택적 평가는 계산 능력 및 이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모두 절약될 수 있고 제공될 계산 능력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단계(S3)는 단계(S2) 및/또는 단계(S1)와 함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서로에 기초한 측정은 한편으로는 검사 장치(1) 상의 동물(T)의 존재 및/또는 위치결정 및 센서 디바이스(4) 상의 발(2)의 존재 및/또는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기초하거나 동시에 또는 동일한 신호(S),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의 선택에 기초하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방법의 추가 단계는 또한 그러한 선택 없이 및/또는 별도로 실현될 수 있다.
단계(S3)에서의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의 선택은 특히 자동으로 및/또는 단계(S2)에서 수행된 발(2)의 위치결정에 기초하여, 특히 검색 실행 또는 스캔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검출기(6) 및/또는 센서(7)가 단계(S3)에서 선택되며, 이를 위해, 발(2)이 이러한 검출기(6) 및/또는 센서(7) 위에 위치하고 및/또는 발(2)이 이러한 검출기(6) 및/또는 또는 센서(7)를 커버하는 것이 단계(S2)에서 결정된다.
특히 단계(S2)에서 또는 새 위치결정을 통해 센서 디바이스(4) 위의 발(2)의 위치가 예컨대, 곡선(K)의 측정 및/또는 검사 및/또는 기록 중에 변경되는 서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S3)는 또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7) 또는 센서(7)의 상이한 서브세트가 이전보다 선택된다. 특히, 이는 검사 중에 검사될 동물(T)이 이동하거나 검사 중에 발(2)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측정 오류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는 특히 위치결정(다시) 및/또는 무용한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폐기와 관련하여 센서(7)를 다시 선택하고 및/또는 센서(7)의 다른 선택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특히,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 동안 또는 이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7) 또는 이동 전과 상이한 센서들(7)의 서브세트로 검사가 유지되거나 지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물(T)이 검사 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동물(T)이 검사를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 없이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또한, 단계(S3) 또는 단계(S3)에서 수행된 측정은 추가 단계(S4 내지 S9)와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고 유리할 수 있다.
단계(S4)
단계(S4)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하나 이상의 측정이 수행된다. 특히, 동맥 혈류(BF), 특히 광혈류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곡선(K)이 기록된다.
이는 하나 이상의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곡선(들)(K)은 바람직하게는 검출기(들)(6)에 의해 검출된 전자기 방사선(R), 특히 이 방사선의 강도에 대응한다.
전자기 방사선(R)은 바람직하게는 방사체(들)(5)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곡선(K)은 바람직하게는 검출된 전자기 방사선(R)이 동맥 혈류(BF)에 따라, 특히 그 강도에서 변한다는 사실에 의해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은 발(2)을 검사하는 동안 발(2) 내에서 산란 및/또는 반사되어 검출기(6)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 예시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검출기(6)에 의해서 측정된 신호(S)는 발(2) 내의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의 산란, 반사 및/또는 흡수에 대응한다. 여기서 산란, 반사 및/또는 흡수는 무엇보다도 발(2)에 있는 혈관 내의 혈액량에 따라 및/또는 혈액의 산소 포화도에 의존한다.
산란, 반사 및/또는 흡수 및 그에 따른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에 의해 측정된 곡선(K)은 시간적으로 적어도 대략 일정한 성분 및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시간적으로 일정한 검출기(6) 또는 센서(7)에 의해 기록된 신호(S)의 시간 경과는 특히 산란 및/또는 흡수로서 근육, 신경, 힘줄, 뼈 및/또는 피부와 같은 혈관을 둘러싼 조직에 의해 야기된다. 이 조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변경되지 않거나 약간만 변경된다. 특히, 이러한 시간적으로 적어도 거의 일정한 성분은 동물(T)의 심장 박동과 상관되지 않는다. 정맥을 통해 흐르는 혈액은 또한 이 적어도 대략 일정한 성분에 기여할 수 있다.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동맥 혈류(BF), 즉 동맥(A)을 통해 흐르는 혈액의 시간적 변화에 의해 야기된다. 동맥(A)은 혈액이 심장에서 멀리 운반되는 혈관이다. 동맥(A)을 통한 혈액량 또는 혈류량 및 동맥(A)에 있는 혈액의 산소 포화도는 심장 박동과 상관되는 방식으로 변화한다. 특히, 동맥(A) 혈액의 흡수 및/또는 산란은 동맥(A)의 혈액량 또는 혈류량 뿐만 아니라 동맥(A) 혈액의 산소 함량 또는 산소 포화도에 의존한다.
이 맥락에서, 일관성 및/또는 연속적으로 기록된 신호(S)의 시간 경과는 곡선(K)으로 표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S)의 그래픽 표현에서, 곡선(K)은 다이어그램의 해당 그래프이다.
그러나, 곡선(K)은 또한 그래프의 등가물 또는 신호(S)의 경로, 특히 데이터 등가물에 의해 형성되거나 표시될 수 있다. 곡선(K)이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코스일지라도, 이는 벡터 트레인 등으로 가상으로 연결될 단일 점 또는 데이터 점으로 표현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곡선(K)은 검출기(들)(6) 및/또는 센서(들)(7)에서 발생하는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신호(S)이거나 또는 디지털화된 아날로그 신호(S)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K)은 개별 데이터 점 형태의 디지털 신호(S)이고 및/또는 곡선(K)은 획득 후 추가 평가를 위해 개별 데이터 점으로 변환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K)은 신호(S)의 측정 시작 또는 신호(S)의 기록 시작으로 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K)은 신호(S)의 기록 또는 측정의 종료 또는 중단으로 끝난다.
신호(S) 또는 곡선(K)의 "기록"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신호(S) 또는 곡선(K)의 임시 저장 또는 중간 저장이다. 특히 "기록"이라는 용어는 신호(S) 또는 곡선(K)의 측정 및 동시 저장 또는 중간 저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록"이라는 용어는 측정, 특히 광혈류 측정을 포함한다.
상이한 곡선들(K)은 각각 기록된 상이한 측정들을 수행함으로써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 또는 섹션별로 (연속적으로) 측정된 신호(S)를 기록, 저장 및/또는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센서 디바이스(4)의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여러 개의 곡선들(K)이 동시에 기록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여러 개의 곡선들(K)은 동일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차례로 기록될 수 있고 및/또는 여러 개의 곡선들(K)은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를 사용하여 차례로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따라서 특히 상이한 센서(7)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곡선들(K)이 동시에 기록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센서(7)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 또는 발(2)의 상이한 영역에 대응하므로, 그 결과 센서 디바이스(4) 또는 발(2)의 상이한 영역으로부터의 곡선(K)이 기록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K)은 단계(S3)에서 선택된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로만 기록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 사항이 아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여러 개의 곡선들(K)이 하나의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로 차례로 기록된다. 그러나, 동시에 및/또는 이 센서(7)를 사용한 곡선(K)의 기록에 대한 시간 지연과 함께, 추가 곡선(K)은 다른 센서(7)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센서(7)는 -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사체(5)의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센서들(7)의 일부를 형성하더라도, 각 센서(7)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곡선들(K)이 기록될 수 있거나 하나씩 기록되고 이것과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곡선(K)이 기록될 수 있거나 다른 센서(7)를 사용하여 동시에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7)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기화되어 곡선(K)이 센서(7)로 동시에 기록된다.
필수는 아니지만 심장도(KG), 특히 심전도 및/또는 임피던스 심전도가 곡선(K) 또는 곡선(K)과 동시에 기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심장도(KG)는 특히 전극(15)에 의해 기록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심장도(KG)는 예컨대 마이크로 폰 등과 같은 다른 검출 요소로 기록되거나 심음도일 수도 있다.
심장도(KG)를 기록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극(15)이 사용되며, 이는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한 광학 검사도 수행되는 발(2)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4)에 할당된 하나의 또는 (제1) 전극(15A)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여기서 (제1) 전극(15A)은 바람직하게는 발(2)이 센서 디바이스(4)에 놓일 때, 광혈류 측정이 가능해지고 동시에 발(2)과 전극(15A)의 전기적 결합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설계 및 배열된다. 예시된 예에서, 제1 전극(15A)은 센서 디바이스(4) 상에 또는 그 바로 부근에 배열되거나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는 특히 자동으로 또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유용성에 대해 확인된다. 유용성 점검은 심장도(KG)를 기록하는 동안이나 기록 후에 수행할 수 있다.
심장도(KG)의 기록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전극(15)이 사용되며, 그 중 하나의 전극(15A)은 센서 디바이스(4)에 할당된 전극(15A)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검사 장치(1)는 하나 이상의 전극(15)을 가지므로, 동물(T) 또는 동물(T)의 다른 발(2) 또는 다른 신체 부분이 상이한 전극(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극(15) 중 하나, 특히 제3 전극(15C)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전극(15)에 대한 수집 전극 또는 기준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리드 시스템에 이어 단극성 및/또는 양극성 리드가 사용되고, 특히 1934년의 Frank Norman Wilson에 따른 리드 시스템, 1942년의 Emanuel Goldberger에 따른 리드 시스템 및/또는 1913년의 Willem Einthoven에 따른 리드 시스템을 따른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른 접근 방식도 가능하다.
수집 전극 또는 기준 전극(15C)은 DC 전압을 보상하거나 전위를 설정하거나 동물(T)에 전류를 도입하거나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집 전극 또는 기준 전극(15C)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전극(15)으로 측정된 전위에 대한 기준점을 형성하는 평균 전위 또는 기준 전위의 측정에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단일 채널 심장도(KG) 및/또는 2개의 전극(15)이면 충분하다. 적어도 제3 전극(15)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몇 개의 심장도(KG), 특히 ECG 채널이 기록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들은 서로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는 특히 전처리 디바이스(27)로 전처리된다. 특히, 심장도(KG)는 필터링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역통과 필터링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주파수 범위에 인접한 낮은 주파수의 주파수 범위와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 범위는 감쇠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노치 필터 및/또는 대역저지 필터를 사용하여 심장도(KG)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이 감쇠되거나 억제된다. 특히 전력망의 교란, 예컨대 주파수가 50Hz인 교란을 억제할 수 있다.
심장도(KG)가 무용한 경우, 즉 유용성에 대한 점검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심장도(KG)를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심장도(KG)가 무용한 경우, 심장도(KG)와 동시에 기록된 모든 K 곡선도 폐기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평가는 폐기되지 않은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가 무용한 경우, 새로운 심장도(KG),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심장도(KG)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새로운 곡선(K)이,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심장도(KG)가 기록됨과 동시에 기록된다.
유용성에 대한 점검은 바람직하게는 2 초과, 바람직하게는 4 초과이고 및/또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특히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8의 심장박동 및/또는 QRS 복합체를 갖거나 이들에 대응하는 심장도(KG) 또는 심장도(KG)의 섹션에서 수행된다.
유용성에 대한 점검은 이에 의해 또는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0.5초 초과, 바람직하게는 1초 초과이고 및/또는 10초 미만, 특히 5초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3초 미만인 심장도(KG) 또는 심장도(KG)의 섹션에서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 또는 섹션의 길이는 각각 약 2초이다. 심장도(KG) 또는 섹션의 길이는 특히 심장도(KG) 또는 섹션의 측정 지속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유용성을 점검할 때 하나 이상의 기준이 확인된다. 심장도(KG)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에 설명된 모든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아래에 설명된 기준 중 일부만 확인하고 및/또는 기준 중 하나 또는 서브세트만 충족되는 경우 심장도(KG)도 유용한 것으로 간주되는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아래에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기준도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준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피크-대-피크 진폭이 결정된다. 여과 및/또는 전처리된 심장도(KG)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크-대-피크 진폭은 심장도(KG)의 절대 최대값과 절대 최소값 사이의 차이이다. 피크-대-피크 진폭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상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제2 기준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 또는 전력 분포가 결정된다. 특히, 제1 구간의 전력 밀도 스펙트럼에 대한 적분과 제2 구간의 전력 밀도 스펙트럼에 대한 적분의 몫이 하한 임계값 이상이고 및/또는 상한 임계값인지 점검된다. 몫이 하한 임계값 이상이고 및/또는 상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제3 기준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진폭 분포 함수의 왜도(skewness) 및/또는 첨도(kurtosis)가 검사된다. 첨도 및/또는 왜도가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상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제4 및 제5 기준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판-톰프킨스 플롯(Pan-Tompkins plot)이 검사된다.
판-톰프킨스 알고리즘은 심장도(KG), 특히 심전도에서 QRS 복합체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판-톰프킨스 알고리즘에 따르면, 심장도(KG)는 필터링, 파생, 제곱한 다음 나선형 및/또는 통합된다. 이러한 단계 또는 판-톰프킨스 알고리즘을 심장도(KG)에 적용한 결과의 곡선을 판-톰프킨스 플롯이라고 한다. QRS 복합체 및/또는 심장도(KG)의 R 피크는 판-톰프킨스 플롯에서 확실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심장도(KG)의 유용성은 또한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확인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제4 기준에 따르면, 판-톰프킨스 플롯 피크의 최소 및/또는 평균 진폭이 검사된다. 판-톰프킨스 플롯의 최소 및/또는 평균 진폭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상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최소 진폭과 평균 진폭에 대해 상이한 임계값이 제공될 수 있다.
제5 기준에 따르면, 판-톰프킨스 플롯 피크의 최소, 최대 및/또는 평균 거리가 검사된다. 판-톰프킨스 플롯의 피크의 최소, 최대 및/또는 평균 거리가 하한 임계값 이상 및/또는 상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최소 거리, 최대 거리 및 평균 거리에 대해 상이한 임계값이 제공될 수 있다.
제6 기준에 따르면, 심장도(KG)의 포화도 또는 전극(15)에 의해 측정된 신호가 검사된다. 신호 또는 심장도(KG)의 포화는 신호가 전극(15)으로 측정될 때 신호가 가능한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취할 때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6 기준은 포화된 전극(15)으로 측정된 신호 또는 심장도(KG)의 비율, 특히 시간 비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비율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예컨대, 임계값은 0.15 또는 15%일 수 있으므로 심장도(KG)의 15% 초과가 포화되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다.
유용성을 위해 심장도(KG)를 점검하는 것에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K)은 유용성을 위해 점검될 수 있다. K 곡선의 유용성에 대한 이러한 점검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개별 곡선 섹션(KA)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가 그 유용성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곡선(K)의 측정 또는 기록 후에 수행된다.
곡선(K)의 유용성에 대한 점검은 바람직하게는 단계(S6)에서 수행되며, 따라서 단계(S6)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곡선(K)의 (기본) 유용성 점검이 또한 또는 추가로 단계(S4)의 일부를 형성하고 및/또는 유용성 점검이 곡선(K)을 기록하는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곡선(K)의 유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기준, 예컨대 예상 기본 형상, 예상 스펙트럼, 예상 진폭 등과 관련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K)의 유용성에 대한 점검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개별 곡선 섹션(KA)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가 유용성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곡선(K)의 측정 또는 기록 후에 수행된다.
원칙적으로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의 유용성을 반드시 점검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는 간단하고 빠른 방법의 무용한 측정, 즉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있는 평가 결과에 기여하지 않는 측정은 분류되고 및/또는 무시되거나 추가 평가를 위해 고려되지 않은 상태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동물(T), 특히 집 개 또는 집 고양이의 검사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유용성 점검은 바람직하게는 동물(T)이 검사 장치(1), 특히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에 대해 고정되지 않거나 또는 검사 중에 검사 장치(1)에 대해, 특히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전극(15)에 대해 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도 동물(T)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여한다. 특히, 유용성 점검에 의해, 동물(T)이 이동한 동안의 측정이 검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추가 평가에서 분류되거나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물(T)에 대한 검사가 특히 즐겁고 스트레스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특히 혈압(BP)의 측정과 같은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K)의 측정 또는 기록의 지속시간은 30초 초과이고 및/또는 60초 미만, 특히 약 45초이다. 여기서, 여러 개의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를 동시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를 기록하는 동안 동물(T), 특히 발(2)이 움직이는지 여부 및/또는 언제 움직이는지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는 이미 단계(S2)에서 설명된 발(2)의 위치 점검에 의해 발생한다. 동물(T) 및/또는 발(2)이 이동한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의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에서 제거되거나 절단된다.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검출되지 않고 길이가 5초 미만이거나 최대 5초인 세그먼트도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에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의 나머지 세그먼트, 즉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이 검출되지 않고/되거나 제거되지 않은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새로운 곡선(K)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된 곡선(K) 또는 곡선들(K KG) 및/또는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된 심장도(KG)는 추가 평가 또는 의료 검사를 위한 기초, 특히 혈압 결정을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추가 단계(S5 내지 S9)는 바람직하게는 동물(T) 및/또는 발(2)이 이동된 세그먼트가 제거된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로 수행된다.
동물(T) 및/또는 발(2)이 이동된 세그먼트의 제거는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이전에 설명된) 유용성 점검에 추가하여 및/또는 이후에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된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는 적어도 20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초의 길이를 갖고 및/또는 3초 초과, 바람직하게는 5초 초과의 길이를 갖는 세그먼트로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이 발생한 세그먼트를 절단한 후 이러한 요구 사항이 충족되지 않으면.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의 기록을 다시 시작하거나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선(K)은 상이한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로 측정되거나 기록되는 여러 개의 곡선들(K)의 세그먼트들로 조성되고, 특히 여러 개의 곡선들(K)을 기록하는 동안, 발(2)의 위치가 변경되고 및/또는 이러한 발(2) 위치의 변경으로 인해 곡선(K)은 상이한 검출기(6) 및/또는 센서(7)로 기록된 것이 가능하다.
단계(S4) 동안 또는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의 기록 동안, 특히 단계(S1)에서 수행되거나 설명된 존재 결정, 단계(S2)에서 특히 설명된 위치결정 및/또는 특히 단계(S2)에서 설명된 위치 점검이 수행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및/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바람직하게는 2초 미만 또는 1초 미만의 간격으로 수행된다. 특히, 동물(T)이 이동되거나 이동하는지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발(2)의 위치가 변경되는지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물(T) 또는 그 발(2)이 움직이는 것이 발견되면, 존재 및/또는 위치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자동으로 반복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센서(7) 및/또는 검출기(6)가 선택되어야 하며 이들 새로 선택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써, 곡선(들)(K)의 측정 또는 기록은 지속되거나 추가 또는 새로운 곡선(들)(K)이 특히 자동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이는 동물(T)을 검사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 또는 위상(P1 내지 P7)에 대해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도 14에서,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의 측정 또는 기록 동안 다양한 가능한 위상(P1 내지 P7)이 예시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위상(P1 내지 P7)의 순서는 예시 목적을 위한 순전히 예시이며 위상(P1 내지 P7)의 필수 순서를 나타내지 않는다. 오히려, 위상(P1 내지 P7)은 임의의 순서로 발생할 수 있고 위상(P1 내지 P7)은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의 검사 또는 기록 중에 여러 번 및/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위상(P1 내지 P7)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검사 장치(1)가 (적어도) 2개의 전극(15), 특히 동물(T)의 좌측(앞)발용 전극(15A) 및 우측(앞발)용 전극(15B)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검사 장치(1)는 단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센서 디바이스(4)를 갖고 있다고 가정하고, 여기서 센서 디바이스(4)는 검사 동안 동물(T)의 좌측(앞)발에 할당되거나 좌측(앞)발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동물(T)의 존재는 전극(15A, 15B)에 의해 결정되고 발(2), 특히 좌측 앞발의 위치가 센서 디바이스(4)로 결정 및 점검되고 곡선(K)이 기록된다. 물론, 다른 버전의 검사 장치(1)도 가능하며, 이 경우 다음 설명이 그에 따라 적용된다.
도 14는 R1에서 R4까지의 4개의 행으로 위상(P1 내지 P7) 동안 수행되는 다른 작업 또는 작업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4의 도표의 가로축 또는 X축은 특히 시간 축을 나타낸다.
행(R1)에는, 특히 단계(S1)에서 수행되는 존재 결정의 결과가 제시된다. 존재 결정 동안, 바람직하게는 동물(T)의 발(2), 특히 우측 앞발이 심장도(KG)가 기록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할당된 전극(15A, 15B)에 놓여졌는지 여부가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된다. 여기서 값 "1"은 존재 결정이 성공했거나 또는 우측 앞발이 올바르게 놓여졌음을 의미한다(긍정 결과). 값 "0"은 존재를 결정할 수 없거나 우측 앞발이 올올바르게 놓여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부정 결과).
행(R2)에는, 발(2), 특히 좌측 앞발의 위치 결정이 제시된다. 위치 결정은 특히 단계(S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센서(7)로 검색 실행 또는 스캔을 수행하고 및/또는 측정된 신호(S)의 질량 중심 또는 중력을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여기서, 값 " 1"은 위치 결정 및/또는 검색 실행 또는 스캔이 수행됨을 의미한다. 값 "0"은 위치 결정 또는 검색 실행 또는 스캔이 수행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행(R3)에는, 바람직하게는 단계(S2)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되는, 발(2), 특히 좌측 앞발의 위치 점검의 결과가 제시된다. 특히, 설명된 바와 같이, 좌측 앞발의 위치가 초기 또는 이전에 결정된 위치와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및/또는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값 "1"은 위치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었거나 초기 또는 이전에 결정된 위치에서 변경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긍정 결과). 값 "0"은 위치가 검출되지 않았거나 초기에 이전에 검출된 위치와 비교하여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부정 결과).
행(R4)에는, 측정 또는 검사의 수행, 특히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제시된다. 곡선(K)의 기록은 특히 동물(T)의 좌측 앞발에 있는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수행된다. 심장도(KG)의 기록은 전극(15A, 15B)에 의해 수행되며, 여기서 하나의 전극(15A)은 동물(T)의 좌측 앞발과 접촉하고 하나의 전극(15B)은 우측 앞발과 접촉한다. 값 "1"은 곡선(K) 및 심장도(KG)가 기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값 "0"은 곡선(K) 및/또는 심장도(KG)가 기록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위상(P1)은 특히 시작 위상이다. 위상(P1)에서 동물(T)은 검사를 위해 검사 장치(1)에 놓여진다. 위상(P1)에서 동물(T) 또는 발(2)의 존재 결정이 먼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물(T)의 존재가 성공적으로 결정 또는 검출되었을 때(R1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검색 실행 및/또는 위치결정은 바람직하게는 좌측 앞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센서(7)로 수행된다(R2의 값은 0에서 1로 점프). 좌측 앞발의 위치가 성공적으로 결정되어 검색 실행 및/또는 위치결정이 완료되었을 때(R2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하고 R3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측정이 시작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K)과 심장도(KG)가 기록된다(R4의 값은 0에서 1로 점프).
위상(P2)에서, 센서 디바이스(4)로부터 좌측 앞발을 제거하거나 들어 올리지 않고 좌측 앞발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 동안 우측 앞발은 할당된 전극(15B)과 접촉을 유지한다. 전체 위상(P2) 동안 존재 검출의 결과는 동물의 발(2)이 존재한다는 것이다(R1의 값은 1임). 위치 점검 중에, 좌측 앞발의 위치가 원래 결정된 위치(R3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와 비교하여 변경된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중단되거나 종료되고(R4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 새 위치 결정이 수행된다(R2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좌측 앞발의 (새) 위치가 성공적으로 결정되면(R2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하고 R3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곡선(K)과 심장도(KG)의 새 기록이 시작되거나 곡선(K)과 심장도(KG)의 기록이 지속된다(R4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위상(P3)에서, 우측 앞발은 먼저 할당된 전극(15B)에서 들어 올려진 다음 다시 전극(15B)에 놓인다. 이 동안 좌측 앞발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존재 검출의 결과는 우측 앞발을 들어 올렸을 때나 그 이후에 음수이다(R1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 좌측 앞발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위치 점검의 결과는 양수이고 새 위치결정이 수행되지 않는다(R3의 값은 상수 1이고 값 R2는 상수 0). 우측 앞발이 전극(15B)에서 들어 올려졌기 때문에, 심장도(KG)가 기록될 수 없으므로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중단되거나 종료된다(R4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 우측 앞발을 전극(15B)에 다시 놓은 후, 존재 검출 결과는 다시 양수이다(R1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따라서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지속된다(R4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위상(P4)에서, 좌측 앞발은 센서 디바이스(4) 및 할당된 전극(15A)에서 들어 올려진 다음 센서 디바이스(4) 및 할당된 전극(15A)의 동일한 위치에 다시 놓여진다. 좌측 앞발을 들어올릴 때나 이후에, 존재 검출 결과는 음수이다(R1의 값은 1에서 0으로 점프). 또한 위치 점검의 결과는 음수이다(R3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 따라서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중단되거나 중지된다(R4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 좌측 앞발을 할당된 전극(15A)에 놓고 센서 디바이스(4)를 다시(이전과 동일한 위치에) 놓을 때, 존재 검출 결과가 다시 양수(R1의 값이 0에서 1으로 점프)이고 위치 점검의 결과도 양수이다(R3의 값이 0에서 3으로 점프). 이전에 결정된 좌측 앞발의 위치 또는 마지막으로 저장한 위치와 비교하여 변경 사항이 없으므로, 새 위치결정이 수행되지 않는다(R2의 값은 상수 0). 좌측 앞발(2)을 다시 내려 놓은 후, 곡선(K)과 심장도(KG)의 새 기록이 시작되거나 곡선(K)과 심장도(KG)의 기록이 지속된다(R4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위상(P5)에서, 좌측 앞발은 전극(15A)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에서 들어 올려진 다음 센서 디바이스(4) 및 할당된 전극(15A)의 변경된 위치에 다시 놓여진다. 좌측 앞발을 들어 올린 후, 존재 검출 및 위치 점검의 결과가 음수(R1 및 R3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이므로,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중단되거나 종료된다(값 R4는 1에서 0으로 점프). 발을 다시 내려 놓는 즉시, 존재 검출의 결과는 양수이다(R1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위치가 변경되었으므로, 위치 점검의 결과는 처음에 음수(R3의 값은 여전히 0임)로 유지되므로, 좌측 앞발의 위치가 다시 결정된다(R2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좌측 앞발의 새 위치가 성공적으로 결정되고 위치결정이 완료될 때(R2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하고 R3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곡선(K)과 심장도(KG)의 새 기록이 시작되거나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지속된다(R4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위상(P6)에서, 동물(T) 또는 양쪽 앞발이 할당된 전극(15A, 15B)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존재 검출 및 위치 점검의 결과는 음수(R1 및 R3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이고 곡선(K) 및 심장도(KG)의 기록이 중단되거나 종료된다(R4의 값이 1에서 0으로 점프). 동물(T)의 새로운 존재가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R2의 값은 지속적으로 0이다.
위상(P7)에서, 앞발은 할당된 전극(15A, 15B)과 접촉하지만, 좌측 앞발은 위치를 결정할 수 없고 및/또는 의미 있는 측정이 이루어질 수 없는 방식으로 놓여진다. 따라서 존재 검출의 결과는 양수이다(R1의 값이 0에서 1로 점프). 위치결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지만 성공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다(R2의 값은 0과 1 사이에서 교대하고 R3의 값은 0). 따라서 곡선(K) 및 심장도(KG)가 기록되지 않는다(R4의 값은 0).
단계(S4) 또는 하나 이상의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의 기록 및/또는 유용성에 대한 점검은 특히 곡선(K)의 평가 또는 부분 평가가 이미 완료된 후에도 특히 단계(S5, S6, S7, S8 및/또는 S9) 중 하나에 따라 여러 번 또는 여러 번 연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평가는 유용한 곡선 섹션(KA)이 충분하지 않아 추가 곡선(K)이 포함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의 다중 기록 또는 단계(S4)의 반복은 동물(T)이 검사 동안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및/또는 발(2)이 검사 동안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측정 오류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는 특히 다중 존재 검출 및/또는 센서(7)의 선택 및/또는 무용한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폐기와 관련하여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의 다중 기록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특히,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 동안 또는 이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7) 또는 이동 전과 상이한 센서들(7)의 서브세트로 검사가 유지되거나 지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물(T)이 검사 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동물(T)이 검사를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 없이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단계(S5)
단계(S5)에서, 곡선(들)(K)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곡선 섹션(KA)이 각각 하나의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곡선 섹션(KA)은 정확히 하나의 심장 박동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곡선(K)의 절단 또는 슬라이싱은 바람직하게는 시간 축을 따른 곡선(K)의 나눔 또는 분할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곡선(K)은 시간적 섹션으로 분할된다. 이는 곡선 섹션(KA)의 시작 및/또는 단부가 식별 및/또는 표시되는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곡선 섹션(KA)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 처리에서, 곡선 섹션(KA)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처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경에 대해 "슬라이싱" 또는 "절단"은 결과적인 곡선 섹션(KA)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고양이에서 실제로 측정된 광혈류도에 대응하는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곡선(K)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특히 심장도(KG)와 대조적으로, 곡선(K)의 규칙성 또는 주기성, 특히 심장 박동과의 상관관계는 직접 볼 수 없다. 따라서, 심장도(KG)의 정보를 사용하여 곡선(K)을 절단한 다음 개별 곡선 섹션(KA)에 기초하여 추가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에서, 곡선(K)의 절단 또는 슬라이싱은 단일 곡선(K)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기록된 곡선(K)은 동일한 방식으로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된다.
곡선 섹션(KA)으로의 곡선(K)의 절단은 바람직하게는 자동화되거나 자동화된 방식으로 일어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K)은 곡선(K)과 동시에 기록된 심장도(KG)의 정보를 사용하여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방법도 여기에서 생각할 수 있다.
심장도(KG)를 사용하여 곡선(K)을 곡선 섹션(KA)으로 슬라이싱/절단하는 것은 심장 박동의 시간(TH)이 심장도(KG)에서 특히 쉽고 안정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곡선(K)이 이러한 시간(TH)에 또는 이러한 시간(TH)에 기초하여 절단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심장 박동의 시간(TH)은 심장도(KG)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이 시간(TH)의 곡선(K)은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곡선 섹션(KA)은 하나의 심장 박동의 시간(TH)에서 시작하고 바로 다음 심장 박동의 시간(TH)에서 끝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곡선 섹션(KA)의 단부의 정확한 결정은 결정적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곡선 섹션(KA)은 특히 곡선 특징(M)의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결정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 목적을 위해, 심장 박동의 시간(TH)을 곡선 섹션(KA)의 시작 부분으로서 가능한 한 정확하게 선택하고 및/또는 각 곡선 섹션(KA)에 대한 심장 박동의 시간(TH)에 상대적인 동일한 지점을 가능한 한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은 동일한 길이이고 및/또는 곡선(K)은 각각이 동일한 길이를 갖는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의 길이는 평균 심박수에 대응하거나, 이 심박수에서 2개의 (즉시) 연속적인 심장 박동의 시간들(TH) 사이의 지속시간에 대응하거나 이에 대응한다. 이는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유용성 또는 품질의 결정을 단순화하고 혈압(BP)의 측정이 더 높은 정확도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심박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심박수의 산술 평균 및/또는 중심값이며, 특히 심박수는 심장도(KG)에 의해 결정된다. "심박수(heart rate)"라는 용어는 특히 단위 시간당, 특히 분당 심장 박동의 (평균) 수를 의미한다. 예컨대, 평균 심박수가 120bpm인 경우, 이는 0.5초의 심장 박동의 (평균) 지속시간 또는 두 심장 박동 사이의 0.5초의 (평균) 간격에 대응한다.
곡선 섹션(KA)의 길이(L)는 바람직하게는 공식 L = dHB·a에 의해 결정되고, 여기서 dHB는 특히 평균 심박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심장 박동의 평균 지속시간이고, a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값을 갖는 팩터이다. 팩터(a)에 의해, 곡선 섹션(KA)의 길이(L)는 또한 심장 박동의 평균 지속시간보다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이는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유용성 또는 품질을 결정하고 혈압(BP)을 결정하는 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곡선 섹션(KA)의 길이는 2개의 연속적인 심장 박동의 시간들(TH) 사이의 구체적인/각각의 지속시간과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선별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곡선 섹션(KA)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심장 박동의 시간(TH)에서 시작하고 동일한 길이이기 때문에, 곡선 섹션(KA)이 중첩되고 및/또는 곡선(K)의 세그먼트가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곡선 섹션(KA)의 길이가 두 개의 인접한 심장 박동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경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는 심전도이다. 특히 심전도에 기초하여 심장 활동의 여러 위상에 할당되거나 그 결과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 구조를 식별할 수 있다. 현재 방법의 경우, 소위 QRS 복합체가 특히 관련이 있다.
도 9에는 심장도(KG)의 다양한 QRS 복합체(complexe)가 표시되어 있다. 하나의 QRS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심장 박동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QRS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의 위치는 곡선(K)을 곡선 섹션(KA)으로 절단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심장도(KG)의 QRS 복합체는 심장 박동의 시간(TH)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곡선(K)은 QRS 복합체에 의해 결정된 시간(TH)에서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된다. 다시 말해서, QRS 복합체 또는 그 일부는 곡선(K)이 섹션(KA)으로 절단되는 정보이다.
QRS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3개의 피크, 특히 Q 피크, R 피크 및 S 피크를 갖는다.
Q 피크가 제1, 특히 음수 또는 하향 지향, 복합체의 편향 또는 피크가 표시된다.
R 피크가 표시될 때, 특히 Q 피크를 따르는 QRS 복합체의 음수 또는 하향 지향, 편향 또는 피크가 표시된다.
S 피크가 표시될 때, 특히 R 피크를 따르는 QRS 복합체의 양수 또는 상향 지향, 편향 또는 피크가 표시된다.
특히, R 피크의 위치 또는 R 피크의 최대값이 심장 박동의 시간(TH)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도 9에 예시로 나타나 있다.
R 피크를 심장 박동의 시간(TH)으로 사용하는 것의 대안으로, 심장 박동의 시간(TH), 예컨대 Q 피크, S 피크, 2개의 피크, 특히 R 피크와 S 피크 사이의 중간점 또는 변곡점 등으로서 심장도(KG)의 다른 구조 또는 다른 특징점을 사용하는 것을 예상할 수도 있다.
R 피크 또는 그 위치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심장도(KG)의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수행된다.
R 피크의 결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모든 로컬 피크, 특히 판-톰프킨스 플롯의 모든 로컬 최대값이 먼저 결정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심장도(KG) 및 따라서 또한 판-톰프킨스 플롯은 바람직하게는 개별 데이터 점(di)의 세트로 존재하며, 여기서 d는 위치 i에서의 판-톰프킨스 플롯의 값이다. 지수 i는 데이터 점(di)을 통해 계수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데이터 점(di)이 측정된 시간에 대응한다. 특히, 판-톰프킨스 플롯의 로컬 최대값은 따라서 데이터 점(di)으로 표시되고 및/또는 일부 데이터 점(di)은 판-톰프킨스 플롯의 로컬 최대값을 나타낸다.
데이터 점(di)은 특히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가 적용되는 경우, 즉 데이터 점(di)의 값이 인접 데이터 점의 값보다 큰 경우 로컬 최대값을 나타낸다.
로컬 최대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점(di)으로부터, 다음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점(di) 주위의 특정 간격 내에 더 높은 값을 갖는 데이터 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들만이 선택된다.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00ms 초과, 특히 300ms 초과이고 및/또는 600ms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ms 미만, 특히 400ms 미만의 폭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간격은 300 내지 400ms, 예컨대 약 372ms의 폭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되거나 선택된 판-톰프킨스 플롯의 피크 또는 데이터 점(di)에 대해, 엠브라셔(embrasure) 높이 또는 돌출부가 바람직하게는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피크 또는 데이터 점(di)만이 그 자율적 높이 또는 돌출부가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판-톰프킨스 플롯의 R 피크로서 선택되거나 결정된다.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적응형 임계값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적응형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데이터 점(di)에 대해 동일하지 않거나 상이한 데이터 점(di)에 대해 상이한 임계값이다. 예컨대, 개별 임계값(ti)은 각 시점(i) 또는 각 데이터 점(di)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응형 임계값(들)(ti)은 특히 각각의 점 i에 대해 팬-톰킨스 플롯과 윈도우 함수 사이의 컨볼루션(convolution)을 결정 및/또는 계산함으로써 결정된다. 그러면 임계값(ti)은 특히 위치 i에서 윈도우 함수를 갖는 팬-톰킨스 플롯의 컨볼루션 값이다.
원칙적으로 모든 윈도우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함수는 블랙맨-누탈(Blackman-Nuttall) 윈도우이다. 바람직하게는, 0.6초의 윈도우 폭 및/또는 3의 이득 팩터(gain factor)가 사용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른 값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R 피크의 위치는 여전히 수정된다. 즉, 판-톰프킨스 플롯의 R 피크 위치가 원래 심장도(KG)의 R 피크 위치와 비교하여 약간 이동되고 및/또는 피크의 이동이 윈도우 함수에서의 컨볼루션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R 피크의 위치는 "잘못"되거나 심장도(KG) 및/또는 필터링된 심장도(KG)의 원시 신호에서 R 피크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R 피크의 위치를 수정함으로써, 필터를 적용하여 판-톰프킨스 플롯을 생성하거나 실수로 R 피크 대신 Q 피크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전위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R 피크의 위치를 수정하면 심장 박동의 정확한 결정에 도움이 되며, 따라서 동물(T), 특히 혈압을 신뢰할 수 있거나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R 피크의 위치의 수정은 바람직하게는 필터링 및/또는 전처리된 심장도(KG)에 기초하지여 발생하지만, 처리되지 않은 심장도(KG) 또는 다시 말해서 심장도(KG)의 "원시 신호"에 기초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R 피크의 위치를 수정하기 위해,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이 R 피크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 특히 필터링된 및/또는 전처리된 심장도(KG)에서 검색되거나 결정된다. 심장도(KG), 특히 필터링 및/또는 전처리된 심장도(KG)에서의 이러한 위치는 그 다음 바람직하게는 R 피크의 위치로 사용되며 특히 팬-톰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R 피크의 위치를 대체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팬-톰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R 피크의 위치에서 심장도(KG)의 기울기 또는 구배 또는 도함수가 심장도(KG)에서 결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심장도(KG)의 다음 최대값이 검색 및/또는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울기 또는 구배 또는 도함수가 양수이면, 심장도(KG)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심장도(KG)에서 다음 데이터 점을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울기 또는 구배 또는 도함수가 음수이면, 심장도(KG)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이전 데이터 점을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특히 다음 또는 이전 데이터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기울기 또는 구배 또는 도함수가 다시 결정되고, 특히 기울기 또는 구배 또는 도함수의 이전 값과 비교된다. 이러한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기울기 또는 구배 또는 도함수가 최소값 또는 양을 갖는 위치가 발견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 위치는 R 피크의 위치이다.
따라서 더 기술적인 설명에서, 기울기에 기초하여, 기울기 또는 그 절대값이 값 0에 도달하고 및/또는 심장도(KG)의 최소값 및 따라서 최대값이 발견될 때까지 최대 방향으로 샘플링되거나 스캔된다.
심장도(KG)에서 최대 및/또는 R 피크의 위치를 결정하는 이 방법은 위치를 빠르게 계산할 수 있고 해당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쉬우면서 동시에 위치를 안정적으로 결정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심장도(KG)에서 최대값 및/또는 R 피크의 위치를 결정 및/또는 수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 또는 알고리즘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심장도(KG)의 최대값은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R 피크 위치 주변의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3개의 가장 높은 피크는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R 피크의 위치 주변의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및 제3 피크가 제2 또는 중간 피크와 상이한 방향으로 향하는지, 즉 제1 및 제3 피크는 최대값을 나타내고 제2 피크는 최소값을 나타내거나 그 반대의 경우(제1 및 제3 피크는 최소값을 나타내고 제2 피크는 최대값을 나타냄)를 점검할 수 있다. 긍정에서 제2 또는 중간 피크는 R 피크를 나타내므로 그 위치는 R 피크의 검색 또는 수정된 위치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R 피크의 위치를 수정하기 위해 심장도(KG)에서 최대값 또는 R 피크를 결정하는 상이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심장도(KG)의 R 피크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단계(S4) 이후에 수행된다. 그러나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R 피크의 결정은 또한 단계(S4), 특히 심장도(KG)의 유용성 점검 전 및/또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혈압(BP) 및/또는 맥박 전달 시간(PTT)을 결정할 목적으로 심장도(KG)의 포화 섹션이 제거된다. 섹션의 신호가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대 또는 최소 신호 값을 가정하는 경우, 섹션은 특히 포화 상태이다. 포화 신호는 예컨대 측정 중에 발(2)이 이동 및/또는 제거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포화 섹션은 섹션이 특정 최소 길이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제거된다. 최소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ms 초과이고 및/또는 20ms 미만, 예컨대 12ms 또는 15ms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포화 섹션으로부터 시간적 최소 거리 미만, 예컨대 포화 섹션 전후 200ms 또는 100ms 미만으로 떨어지는 (이미 결정된) R 피크가 심장도(KG)에서 제거된다.
심장도(KG)에서 포화 섹션이 제거되면, 심장도(KG)의 포화 섹션에 대응하는 곡선(K)의 섹션도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응하는 섹션은 특히 심장도(KG)의 포화 섹션과 동시에 기록되거나 측정된 곡선(K)의 섹션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미 결정된) R 피크는 인접한 R 피크로부터 시간적 최소 거리 미만인 심장도(KG)에서 제거된다. 여기서, 최소 거리보다 작은 R 피크는 모두 심장도(KG)에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R 피크 분포의 분산 측정에 기초하여, 예컨대 사분위수 범위(interquartile range) 또는 표준 편차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한정된다. 특히, 최소 거리는 R 피크의 중간 또는 평균 거리보다 너무 아래에 있는 R 피크가 제거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최소 거리는 공식 MA = Q1 - f·IQR에 의해 한정되거나 결정되고, 여기서 MA는 최소 거리, Q1은 하위 사분위수(0.25 사분위수)의 값, IQR은 사분위수 간 범위, 즉 상위 사분위수(0.75사분위수)와 하위 사분위수 사이의 차이, f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값, 예컨대 1.5를 갖는 팩터이다.
R 피크 또는 R 피크가 있는 섹션이 심장도(KG)에서 제거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곡선(K)의 섹션도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응하는 섹션은 특히, 심장도(KG)에서 제거된 심장도(KG)의 섹션과 동시에 기록되거나 측정된 곡선(K)의 섹션으로 이해된다.
단계(S5)는 특히 이전 단계(S1, S2, S3 및/또는 S4) 중 하나 이상이 여러 번 수행되고 및/또는 반복되는 경우 여러 번 및/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동물(T) 또는 발(2)이 검사 중에 움직이는 경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단계(S6)
곡선(K)은 바람직하게는 필터링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에 할당된 전처리 디바이스(30)에서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필터링은 곡선 섹션(KA)의 형성 전 또는 후에 또한 수행될 수 있다. 필터링함으로써, 맥파에 의한 영향으로 인한 것이 아닌 주파수 범위에 있는 방해 영향이 유리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 부분 또는 곡선 섹션(KA)의 부분들이 선택된다. 필터링은 현재 단계(S6)과 관련하여 또는 사전에 수행될 수 있지만 필수는 아니다.
추가 평가 전에, 특히 곡선 섹션(KA)에 의한 곡선 특징(M)의 결정, 바람직하게는 일부 곡선 섹션(KA) 또는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가 선택되고, 특히 선택되지 않은 곡선 섹션(KA)은 폐기된다.
일반적으로 곡선 섹션(KA)이 유용한지 여부를 곡선 섹션(KA)의 과정에서 직접 말할 수는 없다. 이는 언뜻 보기에는 혼란스러워 보이고 유용한 정보가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도 9에 표시된 곡선에서 특히 명확하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곡선(K)은 무작위로 선택된 곡선(K)이 아니라 실제로 고양이에 대해 측정된 광혈량계(photoplethysmogram)에 대응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맥락에서, 곡선 특징(M)의 신뢰할 수 있는 결정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안된 수단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조합하여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운 방식으로 밝혀졌다. 특히 곡선 섹션(KA)의 선택 및/또는 거부에 의해 모션 아티팩트를 보상할 수 있어 검사가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혈압(BP)이 동물(T) 또는 발(2)이 특히 센서 디바이스(4)에 대해 센서 디바이스(4)로 검사하는 동안 움직이는 경우에도 신뢰성있게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특정 기준에 기초하여 곡선 섹션(KA)의 선택이 수행된다. 특히,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유용성을 평가할 수 있고, 무용한 곡선 섹션(KA)을 폐기함으로써 평가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무용한 곡선 섹션(KA)이 분류되거나 폐기되거나 더 이상 고려되지 않는 경우 곡선 특징(M)의 보다 정확한 결정이 달성될 수 있다.
곡선 섹션(KA)은 특히 점검 기준에 의해 유용성에 대해 점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용한 곡선 섹션(KA)이 선택되고 및/또는 무용한 곡선 섹션(KA)은 폐기된다. 폐기된 곡선 섹션(KA)은 추가 평가에 사용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유용한)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가 추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고 (무용한)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가 폐기된다.
특히 유용성에 대한 곡선 섹션(KA)의 점검은 곡선 섹션(KA)이 생성된 곡선(K)의 유용성에 대한 점검을 구성한다. 따라서 곡선(K)의 개별 곡선 섹션(KA)의 거부 또는 곡선(K)의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 거부는 특히 곡선(K)의 부분 거부를 구성한다. 유사하게, 곡선(K)의 모든 곡선 섹션(KA)의 거부는 (완전한) 곡선(K)의 거부를 구성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잠재적으로 적합한 곡선 섹션(KA)은 유용성을 위해 곡선 섹션(KA)의 점검에 기초하여 선택되거나 선별된다. 추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거나 선별된 곡선 섹션(KA)이 사용된다. 그러나 선택되지 않았거나 선별되지 않은 곡선 섹션(KA)은 추가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즉, 폐기된다.
유용성이 점검되고 선택되거나 폐기된 곡선 섹션(KA)은 다른 곡선(K)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곡선 섹션(KA)은 동일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상이한 곡선(K)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섹션(KA)은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 기록된 곡선(K)에서 유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의 유용성에 대한 점검 동안 하나 이상의 기준이 점검된다. 곡선 섹션(KA)은 아래에 설명된 기준 중 하나, 여러 개 또는 모두가 충족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1 기준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의 제1 극값의 진폭, 특히 절대 최대값의 진폭이 결정된다. 제1 극값의 진폭 또는 그 절대값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상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극한치의 진폭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제1 기준에 따르면, 곡선 섹션(KA)의 피크-대-피크 진폭이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다. 피크-대-피크 진폭은 곡선 섹션(KA)의 절대 최대값과 절대 최소값 사이의 차이이다. 피크-대-피크 진폭 또는 그 절대값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상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준을 통해, 특히 평평한 코스를 갖는 특히 곡선 섹션(KA)은 폐기될 수 있다. 그러한 곡선 섹션(KA)은 어떠한 유용한 정보도 포함하지 않으며, 특히 최대값 및 이에 따른 맥박 전달 시간(PTT) 및/또는 다른 곡선 특징(M)의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결정이 특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러한 곡선 섹션(KA)이 폐기된다면 평가의 정확성 및/또는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2 기준에 따르면, 곡선 특징(M)에 대한 합리적인 값,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이 곡선 섹션(KA)의 결과이거나 또는 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지 여부가 점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맥박 전달 시간(PTT)에 대응하는 곡선 섹션(KA)의 제1, 바람직하게는 절대 최대값의 위치가 결정되고, 이 위치가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하한 임계값 이상 및/또는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상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여기서, 하한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맥박 전달 시간(PTT)에 대응하고 및/또는 상한 임계값은 최대 맥박 전달 시간(PTT)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물학적으로, 물리적으로 또는 해부학적으로 비현실적인, 특히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맥박 전달 시간(PTT)을 초래하는 곡선 섹션(KA)이 거부될 수 있다. 생물학적, 물리적 또는 해부학적 원리로 인해, 맥박 전달 시간(PTT)은 특정 간격 내에만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심장 박동과 동맥(A)의 특정 위치에서 심장 박동으로 인한 맥파 도달 사이에는 특정 최소 시간이 있다. 따라서 낮은 임계값 미만인 매우 작은 맥박 전달 시간(PTT)은 현실적이지 않다. 다른 한편,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은 맥박 전달 시간(PTT)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앞)발(2)에서 검사를 위한 집 고양이의 경우, 하한 임계값은 20ms로 한정될 수 있고 및/또는 상한 임계값은 175ms로 한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동물 종 또는 신체 부분의 경우 다른 임계값 및/또는 최소 및/또는 최대 맥박 전달 시간(PTT)이 합리적이거나 지정 가능할 수 있다.
제3 기준에 따르면, 커브 섹션(KA)에서 커브(K)의 코스는 바람직하게는 검사 또는 확인된다. 이를 위해, 곡선(K)은 특히 평활화되고 바람직하게는 평활화된 곡선(K)의 1차 도함수 뿐만 아니라 1차 도함수의 0이 계산된다. 바람직하게는 평활화된 곡선(K)의 1차 도함수의 0의 수가 적어도 2 및/또는 최대 4이고 곡선(K)의 1차 도함수 또는 1차 도함수의 제1 0의 제1 위치에서 곡선(K)의 2차 도함수는 음수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제3 기준에 의해, 곡선(K)이 본질적으로 고유한 최대값 및 고유한 최소값을 갖는 파동형 코스를 갖는지 여부가 특히 검사되며, 여기서 먼저 최대값이 가정되고 그 다음 최소값이 가정된다. 이러한 "최적의" 코스는 우측 도 12에 예시로 나와 있다.
제1, 제2 및 제3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절대 기준, 즉 특히 이 점검에서 다른 곡선 섹션(KA)을 고려하지 않고 단독으로 유용성에 대해 곡선 섹션(KA)이 고려되거나 분석되거나 점검되는 기준이다.
아래에 설명된 추가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 기준, 즉 다른 곡선 섹션(KA)을 고려하여 및/또는 다른 곡선 섹션(KA)와 비교하거나 평균 값과 같은 곡선 섹션(KA)에 기초하여 결정된 결과와 비교하여 곡선 섹션(KA)의 유용성을 점검하는 기준이다.
제4, 제5 및/또는 제6 기준에 따르면, 또는 특정 곡선 섹션(KA)이 다른 곡선 섹션(KA)으로부터 너무 많이 벗어나는지 여부가 바람직하게는 점검된다. 특히, 제4에서 제6 기준은 극단적인 이상치를 선별하거나 폐기하는 역할을 한다.
제4, 제5 및/또는 제6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곡선(K)에 대해 및/또는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개별적으로 점검된다. 특히, 동일한 곡선(K) 및/또는 동일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할당된 곡선 섹션(KA)만이 제4, 제5 및/또는 제6 기준의 곡선 섹션(KA)을 점검할 때 고려되거나 사용된다.
제4, 제5 및/또는 제6 기준에서, 곡선 섹션(KA)은 바람직하게는 스케일링되고, 특히 정규화된다. 이는 곡선 섹션(KA), 특히 단계(S5)에서 선택된 섹션이 동일한 진폭, 평균 값, 최대 및 최소 및/또는 피크 대 밸리 값을 갖도록 허용한다. 이렇게 하면 곡선 섹션(KA)을 더 쉽게 비교할 수 있다.
그 후, 곡선 평균 값(KM)은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 즉 곡선 섹션(KA)의 코스의 평균값으로부터 결정된다. 곡선 평균 값(KM)은 특히 곡선 섹션(KA) 또는 곡선 섹션(KA)에서 곡선(K)의 중간 또는 평균 코스이다. 특히, 곡선 평균 값(KM)은 곡선 섹션(KA)의 각 지점 또는 이 지점에서 곡선 섹션(KA)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결정된다. 이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산술 평균 또는 중심값이지만 다른 평균값일 수도 있다.
예시로서, 곡선 섹션(KA)의 평균화 또는 곡선 평균 값(KM)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의 중첩 및 중첩된 곡선 섹션(KA)의 평균 코스의 후속 결정에 대응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에 기초한 평균은 예시로서 도 12에 그래프로 표시되며, 여기서 도 12의 좌측에는 다른 곡선 섹션(KA)이 도시되고, 도 12의 중간에는 곡선 섹션(KA)이 중첩되고, 도 12의 우측에는 곡선 섹션(KA)으로부터 결정된 곡선 평균 값(KM)이 도시된다.
다른 관점에서, 곡선 평균 값(KM)은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합 또는 중첩이다.
곡선 섹션(KA)은 개별 데이터 점(
Figure pct00080
,
Figure pct00081
)의 형태로 각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j번째 곡선 섹션(KA)은 따라서 데이터 점(
Figure pct00082
,
Figure pct00083
)에 의해 표현되거나 그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i
Figure pct00084
는 데이터 점을 계수하는 인덱스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85
는 특히 i번째 데이터 점(
Figure pct00086
,
Figure pct00087
)의 x 좌표이다. x 좌표 또는 양
Figure pct00088
은 다음에서 i번째 데이터 점의 위치로 참조된다. 위치
Figure pct00089
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점(
Figure pct00090
,
Figure pct00091
)의 시간, 특히 곡선 섹션(KA)의 시작으로부터 데이터 점(
Figure pct00092
,
Figure pct00093
)의 (시간적) 거리에 대응한다.
또한,
Figure pct00094
는 특히 i번째 데이터 점의 y-좌표, 즉 특히 위치
Figure pct00095
에서 곡선 섹션(KA)의 값 또는 측정된 값이다. y 좌표 또는 양
Figure pct00096
은 다음에서 i번째 데이터 점의 값으로 참조된다.
곡선 평균 값(KM)의 형성을 위해, 시간
Figure pct00097
에서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시점에 존재하는 값
Figure pct00098
이 함께 더해진다.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정규화된다. 따라서 곡선 평균 값(KM)은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점(
Figure pct00099
,
Figure pct00100
)으로 구성되며, 특히 여기서
Figure pct00101
은 위치 또는 시간
Figure pct00102
에서 곡선 섹션(KA)의 값
Figure pct00103
의 산술 평균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104
는 곡선 섹션(KA)의 수이다.
곡선 섹션(KA)의 데이터 점의 양
Figure pct00105
,
Figure pct00106
의 지정과 유사하게, 바람직하게는 양
Figure pct00107
은 곡선 평균 값(KM)의 i번째 데이터 점의 위치로 지칭되고 양
Figure pct00108
은 곡선 평균 값(KM)의 i번째 데이터 점의 값으로 칭한다.
곡선 평균 값(KM)의 결정 후, 평균 곡선 섹션의 유용성 점검할, 특히 경험적으로 결정된, 곡선 섹션(KA)의 상관 계수(제품-모멘트 상관 계수라고도 함), 특히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또는 피어슨 제품-모멘트 상관 계수는 점검할 곡선 섹션(KA)에 대해 계산된다. 상관 계수가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예컨대, 임계값은 0.5일 수 있다.
상관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Figure pct00109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와 함께,
여기서,
Figure pct00112
는 j번째 곡선 섹션(KA)의 상관 계수이고,
Figure pct00113
는 곡선 평균 값(KM)의 값
Figure pct00114
의 평균값, 특히 산술 평균이고,
Figure pct00115
는 j번째 곡선 섹션(KA)의 값
Figure pct00116
의 평균값, 특히 산술 평균이고,
Figure pct00117
는 곡선 섹션(KA)의 데이터 점의 수이다.
제4 기준에서, 바람직하게는 나머지 곡선 섹션(KA)의 극점 사이의 거리에 비해 곡선 섹션(KA)의 두 극점 사이의 거리의 편차가 검사된다. 2개의 극단 사이의 거리 또는 피크-대-피크 거리는 여기서 특히 시간적 거리 또는 특히 절대 극값, 특히 x축 상의 극점의 위치의 거리로서 이해된다. 예컨대,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곡선 섹션(KA)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2개의 절대 극값, 특히 절대 최대값 및 절대 최소값을 갖는다. 극값 사이의 거리는 특히 최소값의 위치(PM2)와 최대값의 위치(PM1) 사이의 차이, 또는 이 차이의 절대값이다.
특히, 제4 기준에서는 각 곡선 섹션(KA)에 대해 극값(피크-대-피크 거리)과 하위 사분위수(0.25-quartile), 상위 사분위수(0.75-quartile) 및 사분위수 범위의 거리, 즉 상위 사분위수와 하위 사분위수 사이의 차이, 피크 대 피크 거리 또는 피크 대 피크 거리 분포. 검사할 곡선 섹션(KA)의 피크-대-피크 거리가 지정 또는 지정 가능한 상한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고 및/또는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하한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상한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상위 사분위수 또는 그 위치의 합과 팩터 f와 사분위수 범위의 곱, 즉 UTV = Q3 + f·IQR, 여기서 UTV는 상한 임계값, Q3은 상위 사분위수 또는 그 위치, IQR은 사분위수 범위이다. 하한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하위 사분위수 또는 그 위치와 팩터 f와 사분위수 범위의 곱 사이의 차이, 즉 LTV = Q1 - f·IQR, 여기서 LTV는 하한 임계값, Q1은 하위 사분위수 또는 그 위치, IQR은 사분위수 범위이다. 팩터 f는 바람직하게는 1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의 값을 갖는다.
제4 기준에 따르면, 특히 (다른 곡선 섹션(KA)와 비교하여) 특히 큰 및/또는 특히 작은 피크-대-피크 거리를 갖는 곡선 섹션(KA)이 분류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제5 기준에서, 바람직하게는 다른 곡선 섹션들(KA)의 값들의 분산에 비해 곡선 섹션(KA)의 값들
Figure pct00118
의 분산 또는 샘플 분산의 편차가 검사된다.
특히, 제5 기준에서, 값
Figure pct00119
과 하위 사분위수(0.25-quartile), 상위 사분위수(0.75-quartile) 및 사분위수 범위의 분산 또는 샘플 분산, 즉 상위 사분위수와 하위 사분위수 사이의 차이, 분산의 사분위수 또는 분산의 분포는 모든 곡선 섹션(KA)에 대해 계산된다.
j번째 곡선 섹션(KA)의 값의 분산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공식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pct00120
Figure pct00121
와 함께,
여기서 V는 분산을 나타낸다. V에 대한 공식에서 합계 앞의 팩터
Figure pct00122
대신, 팩터
Figure pct00123
도 사용할 수 있다.
제5 기준은 바람직하게는 검사될 곡선 섹션(KA)의 값의 분산이 지정된 또는 지정 가능한 상한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고 및/또는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하한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상한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상위 사분위수 또는 그 위치의 합과 팩터 f와 사분위수 범위의 곱이다. 하한 임계값은 바람직하게는 하위 사분위수 또는 그 위치와 팩터 f와 사분위수 범위의 곱 사이의 차이이다. 팩터 f는 바람직하게는 1보다 크고 1.5의 값을 가지며, 이는 특히 바람직하다.
제5 기준에 따르면, 특히 곡선 섹션(KA)은 분류되거나 거부될 수 있으며, 그 값은 특히 크거나 특히 작은 분산을 나타낸다.
제6 기준에서,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과 곡선 평균 값(KM) 사이의 차이가 계산되며, 따라서 특히 각 위치
Figure pct00124
차이
Figure pct00125
에 대해 계산된다. 그 후, 결과 곡선 또는 차이 곡선에 대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주파수 범위(예: 15Hz 내지 40Hz)에 대한 스펙트럼 전력 밀도가 계산된다. 이 주파수 범위에 대한 스펙트럼 전력 밀도에 대한 적분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기준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기술된 기준에 기초하여 곡선 섹션(KA)을 선택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최대 200, 바람직하게는 최대 100, 특히 최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4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0개의 심장 박동에 기초하여 곡선 특징(M) 또는 곡선 섹션(KA)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차례로 곡선(들)(K) 및/또는 심장도(KG)를 가능한 한 짧게 측정하거나 기록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적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유용성을 위해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을 점검하기 위해 다른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곡선 섹션(KA)은 설명된 기준 중 하나 또는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폐기 및/또는 추가 평가에 사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 섹션(KA)이 적용된 기준의 전부 또는 전부를 충족하는 경우, 곡선 섹션(KA)은 바람직하게는 추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거나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은 설명된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선택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설명된 기준 중 하나 또는 일부만 점검되고 및/또는 기준 중 하나 또는 일부만 충족되더라도 곡선 섹션(KA)이 선택되는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기준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힘 센서(18A) 및/또는 체중계(18)를 사용한 측정 결과는 곡선 섹션(KA)의 유용성의 평가 또는 유용성 점검을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낮은 측정 값은 동물(T) 또는 발(2)이 센서 디바이스(4) 상에 옳바르게 위치하지 않고 그에 따라 곡선 섹션(KA)이 폐기된다는 표시일 수 있다.
곡선 섹션(KA)의 유용성을 점검하고 유용한 곡선 섹션(KA)을 선택하고 및/또는 무용한 곡선 섹션(KA)을 폐기함으로써 평가에 필요한 곡선 섹션(KA)의 수와 측정 시간을 줄이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검사를 가능한 한 빠르고 쾌적하게 하여 동물(T)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하는 데 유리하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특히 유익하다. 또한 동물(T)의 이동 사이에 의미 있는 측정의 확률이 높아진다.
필요한 곡선 섹션(KA)의 수는 특히 곡선 섹션(KA)의 변동 또는 분산이 무용한 곡선 섹션(KA)을 폐기함으로써 감소된다는 사실에 의해 감소된다. 특히 이는 통계를 향상시킨다.
측정값의 편차 또는 분산이 넓은 경우, 즉 측정 결과가 매우 다른 경우, 신뢰할 수 있는 평균값 등을 결정하기 위해 특히 많은 측정값이 필요하다. 측정값이 일치할수록 좋은 통계에 필요한 측정값이 줄어든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용한 곡선 섹션(KA)을 분류하면 시너지 방식으로 처음부터 평가에 필요한 곡선 섹션(KA)이 더 적어진다.
단계(S6)는 특히 선행 단계(S1, S2, S3, S4 및/또는 S5) 중 하나 이상이 여러 번 및/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여러 번 및/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동물(T) 또는 발(2)이 검사 중에 움직이는 경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특히, 단계(S6)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7)의 너무 많은 곡선 섹션(KA) 및/또는 전체적으로 너무 많은 곡선 섹션이 사용할 수 없거나 유용성 기준을 충족/충족하지 않거나 곡선 섹션이 너무 적거나 유용성 기준을 충족/충족한다는 것이 발견되면, 단계(S1, S2, S3 및/또는 S4) 중 하나로 돌아갈 수 있다.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특히 동물(T)이 검사 중에 이동하거나 발(2)이 검사 중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생성된 측정 오류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는 특히 다중 존재 검출 및/또는 센서(7)의 선택 및/또는 심장도(KG) 및/또는 곡선의 다중 기록과 관련하여 무용한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을 폐기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특히,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 동안 또는 이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7) 또는 이동 전과 다른 센서들(7)의 서브세트로 검사가 유지되거나 지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물(T)이 검사 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동물(T)에게 검사를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 없이 만들어준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단계(S7)
단계(S7)에서, 평균화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특히, 이 평균화에는 단계(S6)에서 선택되거나 폐기되지 않은 곡선 섹션(KA)만이 사용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평균화"는 특히 심장 박동 동안 몇 개의 곡선 섹션(KA) 세트의 중간 또는 평균 코스 또는 곡선(K)의 중간 또는 평균 코스를 결정하는 것이다.
평균화하는 동안, 특히 곡선 평균 값(KM)이 결정된다. 곡선 섹션(KA)으로부터 곡선 평균 값(KM)의 평균화 또는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단계(S6)에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곡선 평균 값(KM)의 결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시점
Figure pct00126
에 대해 존재하는 값
Figure pct00127
이 함께 추가된다.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정규화된다. 따라서, 곡선 평균 값(KM)은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점(
Figure pct00128
,
Figure pct00129
)으로 구성되며, 특히 여기서
Figure pct00130
은 위치 또는 시간
Figure pct00131
에서의 곡선 섹션(KA)의 값
Figure pct00132
의 산술 평균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133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34
는 곡선 섹션(KA)의 수이다.
특히, 단계(S7)에서는 곡선 평균 값(KM) 또는 곡선 평균 값(KM)의 결정을 위해 단계(S6)에서 선택되거나 폐기되지 않은 곡선 섹션(KA)만이 사용된다. 곡선 섹션(KA)으로부터 곡선 평균 값(KM)을 결정하는 방법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단계(S6 및 S7)에서 동일하지만, 단계(S6)에서 결정된 곡선 평균 값(들)(KM0과 단계(S7)에서 결정된 곡선 평균 값(들)(KM0은 곡선 섹션(KA)의 다른 양이 곡선 평균 값(KM)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되거나 취해진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곡선 평균 값(KM)을 결정하기 위해, 특히 곡선 평균 값(KM)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곡선 섹션(KA)이 동일한 값 범위, 예컨대 -1 내지 1 또는 유사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스케일링 및/또는 정규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샘플링 방법이 단계(S7)에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 소위 서브샘플이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으로부터 생성된다.
재샘플링 방법에서, 평균값, 분산, 분산 측정 등과 같은 샘플 통계의 통계적 특성은 초기 샘플에서 서브샘플을 반복적으로 추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재샘플링 방법은 예컨대 부트스트랩 방법, 잭나이프 방법, 교차 검증 또는 순열 테스트 또는 무작위화 테스트일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재샘플링 방법은 본 발명에서 부트스트랩 방법이다. 다음에서는 부트스트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할 때 서브샘플은 부트스트랩 샘플이라고도 한다. 특히, 부트스트랩 방법과 관련하여 다음에서 사용되는 "서브샘플"이라는 용어는 "부트스트랩 샘플"이라는 용어와도 혼용될 수 있다.
본 방법에서, 초기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곡선 섹션(KA)에 의해 형성되고 - 가능하게는 단계(S6)에서 -, 특히 하나 이상의 곡선(들)(K) 및/또는 센서(7)에 의해 선택된다. 특히, 초기 샘플은 N 곡선 섹션(KA)이 있다. 따라서 N은 초기 샘플에서 곡선 섹션(KA)의 수이다.
초기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곡선(K) 또는 동일한 센서(7)의 곡선 섹션(KA)만을 갖는다.
제안된 부트스트랩 방법의 기본 원리는 "대체로 그리기"를 통해 초기 샘플, 즉 이 경우 곡선 섹션(KA)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샘플을 생성하는 것이다.
서브샘플은 초기 샘플의 N 곡선 섹션(KA)에서 M 곡선 섹션(KA)을 선택하여 생성된다.
서브샘플의 곡선 섹션(KA)의 수 M은 바람직하게는 초기 샘플의 곡선 섹션(KA)의 수 N에 대응한다(M = N).
특히, M 곡선 섹션(KA)의 선택은 무작위이다. 서브샘플에 대해 선택된 곡선 섹션(KA)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는 서브샘플을 생성하기 위한 M개의 곡선 섹션(KA) 중 제 1 곡선 섹션은 초기 샘플의 N개의 곡선 섹션(KA)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됨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초기 샘플의 N개의 곡선 섹션(KA)에서 추가 곡선 섹션(KA)이 선택된다. 특히, 추가 곡선 섹션(KA)은 제1 곡선 섹션(KA)과 동일한 곡선 섹션(KA)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그 후, M 곡선 섹션(KA)이 선택될 때까지 동일한 세트의 곡선 섹션(KA)으로부터 동일한 방식으로 추가 곡선 섹션(KA)이 선택된다.
다시 말해, 서브샘플을 생성하기 위해 초기 샘플에서 이미 한 번 선택된 곡선 섹션(KA)은 추가 곡선 섹션(KA)을 선택할 때 다시 고려되어 서브샘플이 동일한 곡선 섹션(KA)을 여러 번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서브샘플 생성을 위해 이미 한 번 선택된 곡선 섹션(KA)이 초기 샘플에서 곡선 섹션(KA)의 후속 도면을 위해 다시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통계적 또는 확률 이론의 관점에서, 이는 "대체를 통한 샘플링"에 해당하며, 여기서 - 예시로서 - 곡선 섹션(KA)은 곡선 섹션(KA) 세트에서 차례로 "드로잉하고" 다음 곡선 섹션(KA)을 드로잉하기 전에 다시 한 번 "되돌려 놓는다". 따라서 곡선 섹션(KA)의 드로잉은 항상 동일한 곡선 섹션(KA) 세트에서 만들어진다. 이는 여러 드로잉들 중에 동일한 곡선 섹션(KA)을 여러 번 그릴 수 있고 곡선 섹션(KA)을 전혀 그릴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방법을 사용하면, 극단적인 경우에 원칙적으로 서브샘플이 동일한 곡선 섹션(K)을 M회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칙적으로 서브샘플이 동일한 곡선 섹션(KA)을 두 번 갖지 않아 서브샘플이 초기 샘플에 정확히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서브샘플에는 초기 샘플의 일부 곡선 섹션(KA)이 여러 번 포함되며 초기 샘플의 일부 곡선 섹션(KA)은 전혀 포함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0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개 미만, 특히 250개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개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개 미만, 및/또는 10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30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0개의 서브샘플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재샘플링 방법이나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할 때, 매우 많은 수의 서브샘플(예: 1000개 이상의 서브샘플)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샘플링 기능의 정확도 및/또는 신뢰성은 생성된 서브샘플의 수를 증가시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서브샘플의 수에 따라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생성 및 평가에 필요한 계산 노력도 증가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방법, 특히 검사 장치(1)의 실행에 사용되는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방법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용량 및/또는 컴퓨팅 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생성된 서브샘플의 수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전술한 비교적 적은 수의 서브샘플로 충분히 신뢰할 수 있고 및/또는 정확한 결과, 특히 곡선 특징(M)이 이미 달성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운 방식으로 보여졌다.
그러나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성능이 매우 작은 경우, 더 적은 수의 서브샘플(예: 30개 미만, 특히 단지 15개)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테스트를 통해 적은 수의 이러한 서브샘플로 이미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되거나 생성될 서브샘플의 수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 예컨대 연속적으로 기록된 곡선(K) 및/또는 상이한 센서(7)로 측정된 곡선(K)의 각 분석에 대해 동일한 수의 서브샘플이 따라서 생성된다.
단계(S7)에서 곡선 평균 값(KM)은 바람직하게는 초기 샘플의 곡선 섹션(KA)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S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곡선 섹션(KA)의 곡선 평균 값(KM)이 결정되고, 여기서 초기 샘플의 각 곡선 섹션(KA)은 곡선 평균 값(KM)의 계산에 정확히 한 번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평균 값(KM)은 또한 특히 초기 샘플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브샘플(각각)로부터 결정된다. 이를 위해 부트스트랩 샘플의 곡선 평균 값(KM)을 계산할 때 서브샘플의 M 곡선 섹션(KA) 각각을 정확히 한 번 고려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M 곡선 섹션(KA) 중 일부가 서브샘플을 생성할 때 초기 샘플에서 이러한 곡선 섹션(KA)의 다중 선택으로 인해 동일해야 할 경우에도, 서브샘플의 M 곡선 섹션(KA)은 다른 곡선 섹션(KA)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에 기초한 평균화는 특히 서브샘플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곡선 평균 값(KM)은 서브샘플 각각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초기 샘플에 대해서도 결정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초기 샘플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곡선(K)에서 시작되고 및/또는 동일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측정된 곡선 섹션(KA)만을 갖는다. 그러나 초기 샘플이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특히 연속적으로 및/또는 시간 이동하여 측정된 곡선 섹션(KA)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특히 동물(T)이 하나 이상의 곡선(K)의 검사 또는 기록 동안 이동했거나 발(2)이 이동된 경우 및/또는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센서(7), 특히 센서(7)의 다른 서브세트가 다시 선택되는 경우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재샘플링 방법이나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단계(S8)
단계(S8)에서, 곡선 특징(M)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 특징(M)의 결정은 특히 단계(S7)에서 결정된 곡선 평균 값(들)(KM0에 기초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M)은 곡선 섹션(KA) 및/또는 서브샘플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곡선 특징(M)이 먼저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중 곡선 특징(M)이 단계(S8)의 끝에서 형성되거나 선택된다. 단계(S8)의 끝에서 선택 및/또는 형성된 이 곡선 특징(M)은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으로 지칭된다.
곡선 특징(M)의 결정은 각 곡선(K) 또는 각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센서(7) 및/또는 또는 검출기(6)의 동일 곡선(K) 또는 상이한 곡선(K)으로 시작되는 곡선 섹션(KA)만이 곡선 특징(M)의 결정을 위해 고려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M)은 특히 곡선(K) 및/또는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초기 샘플 및 각 서브샘플에 대해 결정된다.
따라서, 특히 단계(S7)에서 이전에 결정된 곡선 평균 값(KM) 각각에 대해 동일한 곡선 특징(M)을 결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각 곡선 평균 값(KM)에 대해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이러한 동일한 곡선 특징(M)로부터, 곡선 특징 평균값, 특히 곡선 특징(M)의 산술 평균이 바람직하게는 계산된다.
곡선 평균 값(KM)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즉 곡선 평균 값을 계산할 때,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측정된 곡선 섹션(KA)만이 사용되며, 곡선 특징 평균값의 계산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별도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곡선 특징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단계(S8)의 끝에서] 이들 곡선 특징 평균값 중 하나가 선택되고, 이에 의해 특히 센서(7) 및/또는 검출기(6)가 선택된다. 이 선택된 곡선 특징 평균값을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로 측정된 곡선(K)의 곡선 섹션(KA)을 사용하여 곡선 평균 값(KM)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이한 센서들(7) 및/또는 검출기들(6)로 측정된 곡선 섹션들(KA)은 동시에 또는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측정된 곡선들(K)로부터, 연속적으로 및/또는 시간 지연으로 측정된 곡선들(K)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곡선 특징(M)은 바람직하게는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특징이다. 곡선 특징(M)은 바람직하게는 맥박 파형 지연(PTT) 및/또는 혈압(BP)과 관련되고 및/또는 맥박 파형 지연(PTT) 및/또는 혈압(BP)과 상관되는 특징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곡선 평균 값의 과정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곡선 특징(M)은 혈압(BP)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곡선 특징(M)을 나타낼 수 있는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일부 특성을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에 설명된 것 이외의 추가 특성 또는 특성도 곡선 특징(M)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곡선 특징(M)의 결정은 곡선 평균 값(KM)의 도움으로 아래에 설명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곡선 평균 값(KM) 또는 곡선 평균 값(KM)을 결정하지 않고 곡선 섹션(KA)을 사용하여 직접 곡선 특징(M)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곡선 특징(M)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곡선 섹션(KA)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 평균값은 이후에 이것으로부터 결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M)은 맥박 전달 시간(PTT)이거나 이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맥박 전달 시간(PTT)은 곡선 평균 값(KM)의 극값, 특히 최대값의 시간 또는 위치(PM1)에 대응한다.
도 12는 곡선 평균 값(KM) 또는 그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곡선 평균 값(KM)은 바람직하게는 파형이다. 특히, 곡선 평균 값(KM)은 2개의 연속적인 극값, 특히 (절대) 최대값 및 (절대) 최소값을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먼저 최대값 그리고 다음 최소값을 가정한다.
곡선 평균 값(KM)의 최대값의 시간 또는 위치(PM1)는 바람직하게는 맥박 전달 시간(PTT)에 대응한다. 따라서 곡선 특징(M)은 곡선 평균 값(KM)의 최대값의 위치(PM1)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곡선 섹션 시작점이 심장 박동의 시간(TH)에 해당한다면, 곡선 평균 값(KM)의 최대값인 시간 또는 위치(PM1)는 맥박 전달 시간(PTT)에 해당한다. 서두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K)이 심장 박동의 시간(TH)에 대응하는 시간에 심장도(KG)에 기초하여 절단된 경우, 맥박 전달 시간(PTT)은 따라서 직접 판독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곡선의 시작과 심장 박동 사이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거나, 상대 맥박 전달 시간(PTT)에 기초하여 나중에 의도된 혈압 결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맥박 전달 시간(PTT)은 반드시 심장 박동과 측정 위치에 맥파가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차의 절대값일 필요는 없으며, (직접) 대응할 수만 있다.
맥박 전달 시간(PTT)의 결정에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맥파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맥파 속도는 맥파가 이동한 거리와 이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맥박 전달 시간(PTT)의 몫이다. 특히, 맥파 속도는 맥박 전달 시간(PTT) 대신에 상관 함수(F)의 변수로 사용되어 맥박 전달 시간(PTT)으로부터 혈압(BP)을 결정하고 및/또는 맥박 전달 시간(PTT)에 대한 추가로 상관 함수(F)에서 고려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곡선 평균 값(KM)의 제1 및/또는 절대 최소값의 시간 또는 위치(PM2)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곡선 평균 값(KM)의 최대 음의 기울기의 시간 또는 위치이다. 이 경우, 곡선 평균 값(KM)을 먼저 평활화하고, 이 평활화된 곡선 평균 값(KM)을 이용하여 곡선 특징(M) 또는 최대 음의 기울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폰-한 윈도우(von-Hann window)와 같은 평활화 필터가 곡선 평균 값(KM)을 평활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대 음의 기울기의 위치는 도 12에 따른 예시 예에서 절대 최대값과 절대 최소값 사이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음의 기울기의 위치 대신에), 최대 음의 기울기의 절대값이 사용된다. 이 경우, 곡선 평균 값(KM)을 먼저 평활화하고, 이 평활화된 곡선 평균 값(KM)을 사용하여 곡선 특징(M) 또는 최대 음의 기울기의 값 또는 절대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폰-한 윈도우와 같은 평활화 필터가 곡선 평균 값(KM)을 평활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절대 최대값의 위치(PM1)와 절대 최소값의 위치(PM2) 사이의 거리 또는 시간 차이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곡선 평균 값(KM)의 2차 도함수가 각각의 경우에 (로컬) 최대값을 취하는 위치들 사이의 거리이다. 이 거리는 곡선 평균 값(KM)이 가장 강한 곡률을 갖는 위치들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순간 고조파 위상 변이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A, 바람직하게는 이산 푸리에 변환이 곡선 평균 값(KM)에 적용된다. 그 후, 특히 곡선 평균 값(KM)의 푸리에 변환의 아크탄젠트의 실수 부분과 가상 부분을 계산함으로써 제1 고조파 진동의 위상과 제2 고조파 진동의 위상이 계산된다. 제1 고조파 진동의 위상과 제2 고조파 진동의 위상 사이의 차이를 순시 고조파 위상 변이라고 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섹션 비이다. 섹션 비는 곡선 평균 값(KM)의 서로 다른 섹션의 길이 사이의 비율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곡선 평균 값(KM)의 제1 및 제2 섹션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은 곡선 평균 값(KM)의 1차 도함수의 제1 0의 위치에서 시작하고 제1 섹션은 곡선 평균 값(KM)의 제1 도함수의 제2 0의 위치에서 끝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섹션은 각각 곡선 평균 값(KM)의 2차 도함수의 제1 0의 위치에서 또는 곡선 평균 값(KM)의 1차 도함수의 제1 최대값의 위치에서 시작하고 제2 섹션은 곡선 평균 값(KM)의 1차 도함수의 제2 0의 위치에서 끝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세그먼트의 길이와 제2 세그먼트의 길이의 몫이 형성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곡률이다. 이는 특히 도 15에 나타나 있다.
곡선(K)의 곡률은 특히 곡선(K)이 곡선 섹션(KA)에서 직선으로부터, 특히 제1 최대값의 위치(PM1)와 제1 최소값의 위치(PM2) 사이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의 척도이다.
곡률을 결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1 최대값에서 제1 최소값까지 이어지는 직선으로 제1 최대값의 위치(PM1)와 제1 최소값의 위치(PM2) 사이에서 곡선(K)이 포함하는 표면의 면적이 결정된다. 표면은 도 15에서와 같이 연결되지 않은 여러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표면은 직선 위의 단일 해치 섹션과 직선 아래의 이중 해치 섹션의 두 섹션으로 구성된다. 이 둘러싸인 표면은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1 최대값에서 제1 최소값까지 연장되고 및/또는 곡선(K)의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이 두 개의 반대 모서리 지점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영역으로 정규화되거나 분할된다. 제1 최대값에서 제1 최소값까지의 선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대각선을 형성한다. 직사각형의 변은 x축 및 y축에 평행하다.
따라서 곡률은 특히 제1 최대값과 제1 최소값 사이에서 제1 최대값에서 제1 최소값까지 이어지는 직선과 곡선이 둘러싸는 표면 또는 면적의 몫이고, 직사각형의 면적의 변은 x축 및 y축에 평행하고 제1 최대값에서 제1 최소값까지의 직선이 대각선을 형성한다.
곡률을 결정하기 위해 직선 위에 있는 면적 또는 표면(도 15에서 단일 해칭)을 양의 부호로 계산하고 직선 아래에 있는 면적 또는 표면(도 15에서 이중 해칭)을 음의 부호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직선 위와 아래의 둘러싸인 표면이 각각 같은 면적을 가졌다면 곡률은 0 값을 가질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그러나 직선으로부터 곡선(K)의 편차에 대한 척도인 절대 곡률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대 곡률의 결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곡선(K)과 제1 최대값에서 제1 최소값까지 이어지는 직선 사이에 둘러싸인 모든 표면 면적의 절대값을 더하여 직선과 곡선(K) 사이에 둘러싸인 표면 또는 면적을 결정한다. 즉, 이들 면적은 같은 부호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절대 곡률을 계산할 때 표면이 직선 위인지 아래인지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대 곡률의 결정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 특징(M)은 기울기가 0인 제1 최대값을 통과하는 수평선 또는 제1 최대값 및 제1 최소값 사이의 가장 큰 구배 점을 통과하는 직선 또는 접선 사이의 교차점의 위치 또는 x 좌표이고, 상기 접선은 해당 지점에서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 교차점을 간략하게 접선 교차점이라고도 한다.
요약하면, 곡선 특징(M)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곡선 평균 값(KM)의 다음 값 중 하나 또는 여러 값의 조합이다:
· 제1 최대값 또는 맥박 전달 시간(PTT)의 위치(PM1),
· 제1 최소값의 위치(PM2),
· 제1 최대값의 위치(PM1)와 제1 최소값의 위치(PM2) 사이의 거리,
· 최대 음의 기울기의 위치,
· 2차 도함수가 극대값을 취하는 위치들의 거리,
· 최대 음의 기울기의 값 또는 절대값
· 순시 고조파 위상 변이,
· 섹션 비,
· 곡선(K)의 곡률,
· 접선 교차점.
곡선 특징(M)은 타당성을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곡선 특징(M)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및/또는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하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지 여부가 점검된다. 이는 해부학적 조건으로 인해 특정 간격 내에만 있을 수 있는 맥박 전달 시간(PTT)의 예를 사용하여 위에서 더 자세히 설명했다. 유사하게, 맥박 전달 시간(PTT) 이외의 곡선 특징(M)의 경우, 해당 임계값이 지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해부학적, 생물학적 및/또는 물리적 법칙으로 인해 그 이하로 떨어지거나 초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
곡선 특징(M)의 이러한 타당성 점검은 특히 타당성에 대한 결정된 맥박 전달 시간(PTT) 및/또는 제1 최대값의 위치(PM1)의 점검을 포함한다. 제1 최대값 및/또는 맥박 전달 시간(PTT)의 위치(PM1)의 분산 측정값, 특히 사분위수 범위가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상한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곡선(K) 또는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의해 곡선(K)이 기록된 것은 바람직하게는 폐기되거나 선택되지 않는다. 예컨대, 임계값은 5ms일 수 있거나 5ms의 맥박 전달 시간(PTT)의 분산 측정, 특히 사분위수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곡선 섹션(KA)에 기초하여 일관되거나 균일한 맥박 전달 시간(PTT)이 결정될 수 없는 곡선(K) 또는 센서(7) 및/또는 특히 검출기(6)는 폐기되거나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각각의 곡선 평균 값(KM)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곡선 특징(M) 중 하나만이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혈압(BP)의 결정에 사용된다. 그러나, 특히 각 곡선 평균 값(KM)에 대해 여러 개의 곡선 특징(M)이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혈압(BP)의 결정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 평균값, 특히 곡선 특징(M)의 산술 평균은 초기 샘플 및 서브샘플의 곡선 특징(M)으로부터 결정된다. 따라서, 곡선 특징 평균값은 특히 초기 샘플의 곡선 특징(M) 및 서브샘플의 곡선 특징(M)의 평균 값, 바람직하게는 산술 평균이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설명된 곡선 특징(M) 중 하나가 초기 샘플 및 각각의 서브샘플에 대해 결정되고 후속적으로 이러한 곡선 특징(M)의 평균값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M)의 분산 측정도, 특히 사분위수 범위, 표준 편차 및/또는 (경험적) 분산이 결정된다. 분산의 측정 및/또는 사분위수 범위, 표준 편차 및/또는 (경험적) 분산이 곡선 특징 평균 값에 할당된다.
분산의 측정은 특히 값의 분산을 나타내는 측정이며, 이 경우 특히 초기 샘플 및 서브샘플의 곡선 특징(M)의 분산을 나타내는 측정이다.
곡선 특징(M)의 사분위수 범위는 특히 하위 사분위수(0.25 사분위수)와 상위 사분위수(0.75 사분위수)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사분위수 범위는 결정된 곡선 특징(M)의 중간 50%가 있는 간격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분위수 범위도 사용할 수 있다.
사분위수 범위에 대한 대안으로, 분산 측정(measure of dispersion)은 분산(variance), 특히 경험적 분산 및/또는 표준 편차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분위수 범위의 사용은 매우 강력하고 따라서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곡선(K) 또는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이 곡선(K) 또는 이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할당된 분산의 측정이 별도로 결정된다. 특히, 따라서, 동일한 곡선(K) 또는 동일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초기 샘플 및 서브샘플에 할당된 분산 측정의 결정에서 이러한 곡선 특징(M)만이 고려된다.
곡선 특징(M)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별도로 결정된다. 따라서, 특히 단일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곡선 평균 값(KM)만이 곡선 특징(M)의 결정에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이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할당된 곡선 특징 평균값은 따라서 별도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곡선 특징(M) 및/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의 결정된 값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 평균값들 중 하나가 후속적으로 선택된다. 특히, 센서(7) 및/또는 검출기(6) 중 하나 및/또는 곡선(K) 중 하나가 이에 의해 선택된다.
곡선 특징 평균값 및/또는 곡선(K) 및/또는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결정된 분산 측정(단계(S8)에서), 특히 사분위수 범위, (경험적) 분산 및/또는 표준 편차에 기초하거나 이들의 고려 하에 이루어진다.
곡선 특징 평균값 및/또는 곡선(K) 및/또는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를 선택하는 하나의 가능성은 가장 낮은 분산 측정, 특히 가장 낮은 사분위수 범위, 가장 낮은 (경험적) 분산 및/또는 가장 낮은 표준 편차를 갖는 곡선 특징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된 추가 가능성은 분산 또는 사분위수 범위의 측정에 추가하여 곡선 특징 평균값을 선택하기 위해 초기 샘플 및/또는 서브샘플의 곡선 평균 값(KM) 및 최대값의 진폭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특히 각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대해 개별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샘플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초기 샘플에 대해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및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추가 곡선 특징(M)이 결정된다. 그 다음, 각 서브샘플 및 바람직하게는 초기 샘플에 대해 별도로 위에서 설명한 대로 곡선 특징(들)(M)이 타당성에 대해 점검된다. 곡선 특징(M)이 타당성이 있거나 테스트된 모든 곡선 특징(M)이 타당성이 있다면, 각 샘플은 전체적으로 타당성이 있다고 간주된다. 또한, 각 샘플의 곡선 평균 값(KM)의 진폭, 특히 제1 최대값의 값이 결정된다.
또한, 개별 샘플 또는 서브샘플에 대해 결정된 곡선 특징(M)의 사분위수 범위,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이 바람직하게는 결정된다("IQR"). 또한, 개별 샘플 또는 서브샘플의 곡선 평균 값(KM)의 제1 최대값 또는 진폭의 평균값 또는 중심값이 결정된다("meanA"). 또한 전체적으로 타당성이 있다고 간주된 샘플 또는 서브샘플의 수가 결정된다("num_S_plausible").
이들 값 IQR, meanA 및 num_S_plausible로부터, 값
Figure pct00135
, 즉 사분위수 범위 IQR의 몫과 진폭 평균값 또는 중간 평균값과 타당성이 있는 샘플의 수 num_S_plausible의 곱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각 검출기(6) 및/또는 곡선이 평가된 센서(7)에 대해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값(L)은 각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에 개별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작은 값(L)이 대응하는 곡선 특징 평균값이 선택된다. 곡선 특징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센서(7)의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에 기초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이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센서(7)의 선택에 대응한다.
진폭 평균 값 또는 진폭 중심(meanA)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곡선(K) 및/또는 곡선(K)이 측정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폐기되고 및/또는 선택되지 않는다. 임계값은 예컨대 0.2 값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규화된 곡선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M) 및/또는 곡선 평균 값(KM)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어, 각 곡선 섹션(KA)에서 제1 최대 값 또는 진폭이 1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진폭 평균 또는 진폭 중심(meanA)은 곡선 섹션(KA)의 제1 최대값의 위치 및/또는 코스 또는 형상이 (타당성이 있는) 샘플에서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 측정하는데, 이는 제1 최대값의 위치 및/또는 코스 또는 형상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 진폭 평균 또는 중심(meanA)은 값 1을 가지며 값이 낮을수록 제1 최대값의 위치 및/또는 코스 또는 형상이 더 많이 변하기 때문이다.
곡선 특징(M)의 결정이 실제 맥박 전달 시간(PTT)으로 이어지는 서브샘플의 비율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곡선(K) 및/또는 곡선(K)이 측정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는 바람직하게는 폐기 및/또는 선택되지 않는다. 실제 맥박 전달 시간(PTT)은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한 임계값 이상, 예컨대 20ms 및/또는 상한 임계값 이하, 예컨대 175ms인 맥박 전달 시간(PTT)이다. 곡선 특징(M)의 결정이 실제 맥박 전달 시간(PTT)으로 이어지는 서브샘플의 비율에 대한 임계값은 예컨대 값 0.8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는 곡선(K) 및/또는 센서(7) 및/또는 검출기(6)가 실제 맥박 전달 시간(PTT)으로 이어지는 서브샘플의 비율이 80% 이하인 경우 폐기되고 및/또는 선택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초기 샘플 및/또는 서브샘플의 최대 또는 극한의 곡선 평균 값(KM)의 분산 및/또는 진폭의 측정을 고려하여 선택된 곡선 특징 평균 값은 바람직하게는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이다.
결과적으로, 혈압(BP)의 측정에 사용되는 곡선 특징(M), 특히 곡선 특징 평균값은 이전에(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센서(7)에 대해) 결정된 여러 곡선 특징(M) 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곡선 특징(M) 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은 특히 동일한 종류이다)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은 각각 하나의 검출기(6) 및/또는 센서(7)에 대응하는 곡선 특징(M) 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서브샘플을 사용하여 이전 단계(S7)와 연계하여 결정된 곡선 특징(M) 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으로부터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상이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곡선 섹션(KA)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 곡선 특징(M) 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으로부터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곡선 특징(M) 또는 곡선 특징 평균값은 다음에서 결정되고 사용된다:
따라서 단계(S8)에서 곡선 특징(M) 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의 선택은 특히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선택을 구성한다. 이는 도 11에 예시로 도시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해,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선택이 이루어지거나 이루어질 수 있는 단지 단계(S3 및 S8)만이 도 11에 도시된다. 그러나 이것이 단계(S4 내지 S7)가 반드시 생략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단계(S3)에서의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사전 선택 및 곡선(K) 또는 곡선 특징(M)의 선택 또는 단계(S8)에서의 곡선 특징 평균 값 모두가 센서(7) 및/또는 검출기(6)의 선택을 구성한다.
따라서 센서(7)의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여러 단계, 특히 단계(S3) 및 단계(S8)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단계(S3)에서) 광학적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를 사용한 곡선(들)(K)의 기록 전에 센서(7)의 (제1) 선택이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특히 단계(S3))에서, 광학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를 사용한 곡선(들)(K)의 기록 후에 센서(7)의 (추가) 선택이 이루어진다. 단계(S6)에서 모든 센서(7)의 곡선(들)(K)의 곡선 섹션(KA)은 폐기되어야 한다면, 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센서(7)의 선택이며, 특히 이 경우 곡선 섹션(KA) 완전히 폐기되지 않는 센서(7)만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곡선(K) 및/또는 곡선(K)이 기록된 센서(7) 및/또는 검출기(6)는, 단계(S6)에서 설명된 곡선 섹션(KA)의 유용성 점검 후, 남은 수의 및/또는 곡선(K)의 폐기되지 않은 곡선 섹션(KA)이 지정되거나 지정 가능한 임계값이하인 경우에, 폐기되고 및/또는 선택되지 않는다. 임계값은 예컨대 30일 수 있으므로 30개 이하의 유용한 곡선 섹션(KA)을 갖는 곡선(K)이 거부되고 및/또는 선택되지 않는다. 너무 적은 유용한 곡선 섹션(KA)을 갖는 곡선(K)을 거부 및/또는 선택하지 않는 이 단계는 반드시 단계(S8)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계(S6) 이후 및/또는 단계(S7) 이전에 또는 단계(S6 및 S7) 중 하나의 부분 단계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S7)의 평균화는 유용한 곡선 섹션(KA)이 충분하거나 유용한 곡선 섹션(KA)의 수가 전술한 임계값 이상인 곡선(K)으로만 수행된다.
특히,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 또는 결정된 곡선 특징(M)의 일부 또는 모두가 예컨대 결정된 값(L)이 너무 작거나 곡선 특징(들)(M)에 할당된 분산 측정값이 너무 크기 때문에 너무 부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 발견되면, 단계(S1, S2, S3 및/또는 S4)중 하나로 되돌아갈 수 있다.
특히,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검사 중에 동물(T)이 이동하거나 검사 중에 발(2)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생성된 측정 오류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는 특히 다중 존재 검출 및/또는 센서(7)의 선택 및/또는 심장도(KG)의 다중 기록 및/또는 곡선(K)과 연계하여 무용한 곡선(K) 또는 곡선 섹션(KA)을 폐기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특히, 동물(T) 또는 발(2)의 이동 동안 또는 이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7) 또는 이동 전보다 상이한 센서(7) 서브세트로 검사가 유지되거나 지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동물(T)이 검사 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동물(T)이 검사를 매우 즐겁고 스트레스 없이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특히 혈압 측정에 도움이 된다.
단계(S9)
단계(S9)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축기, 확장기 및/또는 평균 혈압(BP)이 특히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M)으로부터 결정된다. 혈압(BP)은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F)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관 함수(F)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단계(S8)에서 결정된 곡선 특징(들)(M)과 혈압(BP) 사이의 링크를 나타내거나 혈압(BP)을 곡선 특징(M)에 할당한다.
특히, 상관 함수(F)는 바람직하게는 동물(T)의 발(2)과 심장 사이의 팔 길이 또는 다리 길이를 명시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는 팔 길이 또는 다리 길이를 명시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동일한 종 또는 품종의 상이한 동물(T)에 대해, 특히 상이한 집 고양이에 대해 동일한 상관 함수(F)가 사용될 수 있고 의미 있는 결과를 유도한다는 것이 놀라운 방식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동물 종 또는 품종에 대해 상이한 상관 함수(F)가 사용된다.
상관 함수(F)는 바람직하게는 혈압(BP)이 혈압(BP)을 결정하기 위해 확립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결정된 곡선 특징(M)에 할당되는 연구에 의해 결정된다. 그 다음 상관 함수(F)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결정된 혈압(BP)이 확립된 방법에 의해 결정된 혈압(BP)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관 함수(F)의 파라미터를 적응시킴으로써 결정된다.
상관 함수(F)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변수에 의존하는 스칼라 필드(scalar field)이다.
바람직하게는,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은 상관 함수(F)의 변수를 구성한다.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에 더하여, 심박수는 상관 함수(F)의 변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박수는 특정 시간 간격의 심박수를 설명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QRS 복합체 또는 R 피크의 거리에서 심장도(KG)로부터 결정된다.
따라서 상관 함수(F)는 예컨대 함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Figure pct00136
여기서 x는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및/또는 제1 최대값의 위치(PM1)을 나타내고, y는 심박수를 나타내고 a, b 및 c는 결정될 파라미터이다.
또한 상관 함수(F)는 추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곡선 섹션(KA)의 제1 최대값의 위치(PM1)와 제1 최소값의 위치(PM2) 사이의 거리 또는 곡선 평균 값(KM)은 상관 함수(F)의 추가 변수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관 함수(F)는 함수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137
여기서 x는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및/또는 제1 최대값의 위치(PM1)을 나타내고, y는 심박수를 나타내고, z는 제1 최대값의 위치(PM1)와 제1 최소값의 위치(PM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a, b, c 및 d는 결정될 파라미터이다.
또한, 상관 함수(F)는 바람직하게는 비선형 함수이다. 따라서 상관 함수(F)는 곡선 특징(M) 및/또는 심박수에 비선형 방식으로 의존할 수 있으며, 특히 x, y 및/또는 z에서 더 높은 차수의 항(예: x2, x3, y2, y3, z2, z3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관 함수(F)는 추가 변수 또는 3개 초과의 변수 x, y, z에 의존할 수 있다.
특히, 혈압(BP)의 측정에서 또는 상관 함수(F)의 변수로서, 이미 언급된 양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곡선(K)의 곡률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고양이와 같은 고양이과 아과의 동물(T)에서 맥박 전달 시간(PTT)에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혈압(BP)의 변화로 인해 곡선(K)의 곡률이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어떤 경우에는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의 변화를 유발하는 혈압(BP)의 변화없이 혈압(BP)이 곡선(K)의 곡률에 반영될 수 있으므로, 상관 함수(F) 또는 혈압(BP)의 측정에서 맥박 전달 시간(PTT)에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곡선(K)의 곡률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맥박 전달 시간 및/또는 심박수로부터 혈압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상관 함수(F)는 엠. 샤르마(M. Sharma) 등의, 커프리스 및 지속적인 혈압 모니터링: 방법론적 검토, 기술(Cuff-Less and Continuous Blood Pressure Monitoring: A Methodological Review, Technologies) 2017, 5(2), 21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관 함수(F)는 특히 방정식 (6) 내지 (10) 중 하나에 따라 또는 표 3에 따라 3장 및 4장에 설명된 수학적 모델 중 하나의 함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상관 함수(F), 특히 그 파라미터에서, 동물(T)의 다양한 기타 특성, 예컨대 발(들)(2) 또는 발(2)의 패드의 크기, 중량, 성별, 연령 및/또는 색상 및/또는 색소 침착이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관 함수(F)는 또한 각각의 동물(T)의 해부학적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예컨대, 동물(T)의 크기 및/또는 동물(T)의 크기에 대응하는 척도, 예컨대 신체 길이, 어깨 높이, 다리 또는 팔 길이 또는 심장과 발(2)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기타 파라미터는 특히 파라미터(a, b, c 또는 d) 중 하나의 형태로 상관 함수(F)에서 고려된다. 이 맥락에서 바람직한 파라미터는 또한 동물(T)의 중량일 수 있는 데, 이는 많은 경우에 이것이 심장과 발(2) 사이의 거리에 대해 충분히 정확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관 함수(F)는 따라서 파라미터로서의 동물(T)의 중량 또는 동물(T)의 중량은 파라미터(a, b, c, d)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보완적으로 생체 임피던스와 같은 체지방률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를 고려할 수 있다. 각각의 측정은 심장도(KG) 및/또는 체중계(18)를 결정하기 위한 전극(15)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심장과 발(2) 사이의 거리에 관한 동물(T)의 해부학적 특성에 대한 암묵적 또는 실제적 결론에 의해, 상관 함수(F)에서 고려되는 동물(T) 캔의 중량과 생체 임피던스의 조합은 곡선 특징(M)에서 혈압(BP)을 보다 신뢰할 수 있게 결정할 수 있게 한다.
키, 중량, 체지방률 등과 같은 동물(T)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변수(x, y, z) 대신에 파라미터(a, b, c, d) 형태로 상관 함수(F)에 행해진다. 즉, 각각의 특성은 상관 함수(F)를 변수로 직접 입력하지 않고 파라미터로만 또는 간접적으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동물(T)의 특성은 개별 파라미터의 형태로 고려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개별 파라미터는 특히 고정된 수의 다른 값, 예컨대 2, 3 또는 4개의 다른 값을 취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이는 상관 함수(F)에서 이 특성이 변수로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고 상관 함수(F)에서 검사할 동물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키, 중량, 체지방률 등과 같은 특성에 따라 동물(T)을 다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특성은 개별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관 함수(F)에서 고려되며, 상기 파라미터의 서로 다른 값 각각은 서로 다른 그룹 중 하나에 해당한다.
동물(T)의 분류 및 그에 따라 오는 가능한 개별 파라미터 값 사이의 선택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동물(T)의 분류는 수동 입력 등에 의해, 특히 검사 장치(1)에서의 입력에 의해 및/또는 검사 또는 측정이 수행되기 전에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관 함수(F)의 파라미터 중 하나, 특히 곡선 특징(M)에 연결된 파라미터(a)에서, 동물(T), 특히 고양이의 크기 및/또는 중량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이진 파라미터(binary parameter)의 형태로 수행된다. 이진 파라미터는 특히 두 개의 다른 값만 취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다시 말해서,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상이한 값 a1 및 a2가 파라미터(a)에 대해 제공되며, 여기서 큰 동물 및/또는 무거운 동물(T)의 경우, 값 a1은 상관 함수(F)의 파라미터(a)로 사용되며 작은 및/또는 가벼운 동물(T)의 경우 값 a2는 상관 함수(F)의 파라미터로 사용된다. 큰 동물 및/또는 무거운 동물(T)과 작은 및/또는 가벼운 동물(T)로의 세분화는 바람직하게는 한계값에 의해 수행되며, 한계값이 초과되면, 동물(T)은 큰 동물 및/또는 무거운 동물로 분류되며, 한계값이 아래로 떨어지면, 동물(T)은 작은 및/또는 가벼운 동물로 분류된다. 여기서, 한계값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팔 및/또는 다리 길이, 어깨 높이, 동물(T)의 전체 길이, 동물(T)의 중량 등과 같이 동물(T)의 크기 및/또는 중량에 대응하는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혈압(BP)이 결정된다. 상이한 상관 함수(F)는 바람직하게는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BP)에 사용되며, 여기서 상이한 상관 함수(F)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함수 형식을 갖거나 동일한 변수에 의존하고 및/또는 파라미터(a, b, c, d)의 값에서만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또는 검사 장치는 특히 확장기 혈압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히 지적된다. 이는 본 발명을 개발하는 동안의 연구에서 밝혀졌다.
상관 함수(F)에 의해 곡선 특징(들)(M)으로부터 결정된 혈압(BP)은 출력 또는 전송, 예컨대 외부 디바이스(23),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폰,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에 출력 또는 전송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결정된 혈압(BP)은 검사 장치(1),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요약
도 13에서 제안에 따른 방법 또는 제안에 따른 방법의 일부 단계가 다시 그래픽으로 요약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가 기록된다. 특히, 심장도(KG)는 심전도이고 및/또는 심장도(KG)는 검사 장치(1)의 전극(15)을 사용하여 기록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의 유용성 점검은 임의의 추가 측정 및/또는 평가 전에 수행된다. 특히, 심장 박동이 심장도(KG)에서 안정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지 여부 및/또는 심장도(KG)에 유용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여기에서 점검된다. 심장도(KG)의 유용성 점검은 바람직하게는 몇 초 길이의 심장도(KG)에 기초하여 및/또는 여러 심장 박동, 예컨대 5 내지 10개의 심장 박동을 갖거나 나타내는 심장도(KG)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심장도(KG)가 유용하지 않거나 유용성 점검 기준을 충족/충족하지 않는 경우, 새 심장도(KG)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3에서 화살표 P1으로 표시된다.
또한, 동물(T)의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센서 디바이스(4)로 수행된다. 곡선(K)은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와 동시에 기록된다.
바람직하게, 곡선(K)은 유용성에 대해 점검된다. 곡선(K)이 무용한 경우, 새 곡선(K)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3에서 화살표 P2로 표시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새 심장도(KG)가 기록될 수 있거나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의 측정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화살표 P3으로 표시된다.
이어서, 특히 심장도(KG)로부터의 정보를 고려하여 곡선(K)이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곡선(K)은 바람직하게는 시간(TH)에서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되며, 여기서 시간(TH)은 심장도(KG)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특히 QRS 복합체, 바람직하게는 R 피크로부터의 위치에 해당한다.
심장도(KG) 및/또는 곡선(K)으로부터 혈압(BP)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곡선(K)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곡선 특징(M)을 결정하고 바람직하게는 경험적 상관 함수(F)에 의해 곡선 특징(M)으로부터 혈압(BP)을 결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관 함수(F)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특히 검사 장치(1)의 저장 매체(26) 또는 외부 디바이스(23)에 저장될 수 있다.
혈압(BP)은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23)로 출력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또는 전술한 양태 및 특징과 조합하여 실현가능한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특히 다음과 같다:
1. 동물(T), 특히 앞발(2)이 있는 동물(T),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Felinae) 아과의 동물(T)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BP)의 측정 방법으로서, 동물(T)의 동맥 혈류(BF), 특히 광혈류도(photoplethysmogram)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이 기록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곡선(K)은 각 곡선 섹션(KA)이 심장 박동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양태 1에 있어서, 평가를 위해 평균화가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및/또는 곡선 평균 값(KM)이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고, 특히 하나 이상의 곡선 섹션(KA)이 폐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재샘플링 방법, 특히 부트스트랩 방법이 평가를 위해 사용되며, 서브샘플들, 특히 부트스트랩 샘플들이 상기 곡선 섹션들(KA)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양태 4에 있어서, 서브샘플은 2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개 미만, 특히 60개 미만, 및/또는 15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30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5개의 곡선 섹션(K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양태 4 또는 5에 있어서, 10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개 미만, 특히 250개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개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개 미만, 및/또는 10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30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0개의 부트스트랩 샘플들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및/또는 이에 대응하거나 이와 상관된 값은 곡선 섹션(KA) 및/또는 서브샘플들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양태 7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샘플에 대해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이 결정되고 및/또는 평균값 및/또는 곡선 특징 평균값이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특히 각 서브샘플 및 바람직하게는 초기 샘플로부터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양태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곡선 특징(M) 및/또는 곡선 특징 평균값의 분산 측정,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특히 사분위수 범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여러 개의 곡선들(K)이 동시에 및/또는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곡선(K) 각각에 대해 분산 측정이 결정되고, 분산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곡선들(K) 중 하나가 추가 평가, 특히 혈압(BP)의 측정을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양태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혈압(BP)이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F)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심장도(KG)가 곡선(K)과 동시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양태 12에 있어서, 곡선(K)이 심장도(KG)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양태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심장도(KG)의 QRS 복합체들, 특히 QRS 복합체들의 R 피크들의 위치들은 상기 심장 박동들의 시간들(TH)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K)은 상기 QRS 복합체들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시간들(TH)에서 곡선 섹션들(KA)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양태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심장도(KG)는 유용성에 대해 자동으로 점검되고, 상기 심장도(KG)가 무용한 경우, 상기 심장도(KG) 및 상기 곡선(K)은 폐기되고 새로운 심장도(KG)와 새로운 곡선(K)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곡선(K) 또는 그의 곡선 섹션(KA)이 유용성에 대해 자동으로 점검되고, 여기서 곡선(K)이 유용하지 않으면, 곡선(K)은 폐기되고 새로운 곡선(K)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양태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여러 개의 곡선들(K)이 기록되고, 기록된 여러 개의 곡선들(K)의 상이한 곡선 섹션(KA)이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동물(T), 특히 앞발(2)이 있는 동물(T),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 아과의 동물(T)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BP)의 측정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이 전술한 양태 중 하나에 따라 설계되고,
여기서 상기 동물(T)의 동맥 혈류(BF)는 광학적으로 검사되고, 특히 광혈류 측정이 센서 디바이스(4)로 수행되며,
여기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4)는 전자기 방사선(R)을 방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방사체(5) 및 상기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을 검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검출기들(6)을 포함하여, 상기 방사체/방사체들(5) 및 검출기들(6)이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센서들(7)을 형성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센서(7) 또는 센서들(7)의 서브세트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양태 18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7) 각각은 센서 영역(11)을 갖고, 상기 센서들(7)의 센서 영역들(11) 각각은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되고 함께 감지 영역(12)을 형성하여, 각각의 센서(7)에 의해 상기 감지 영역(12)의 다른 부분 영역이 감지되고, 여기서 상기 감지 영역(12)의 특정 부분 영역이 의료 검사를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양태 18 또는 19에 있어서, 존재 결정이 수행되고, 특히 동물(T) 또는 발(2)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장치(1) 및/또는 광학 검사가 검사 장치(1)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 디바이스(4)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양태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위치 결정이 수행되고, 특히 여기서 센서 디바이스(4)의 어떤 센서(7)가 발(2), 특히 패드 위에 있는지 및/또는 어떤 센서(7)로 광학 검사가 수행될 수 있는지가 점검 및/또는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양태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2)이 센서(7)의 센서 영역(11)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점검되고, 이 점검을 위해 센서(7)로 측정된 신호(S)가 분석되고, 특히 절대 신호 강도가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떨어지는지가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양태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센서 디바이스(4)로 광학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로 곡선(K)이 기록되기 전에 센서(7) 또는 센서들(7)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양태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센서 디바이스(4)로 광학 검사를 수행한 후 및/또는 센서 디바이스(4)로, 특히 상이한 센서들(7)로 기록된 곡선들(K)의 서브세트를 선택함으로써 곡선(K)이 기록된 후에 센서(7) 또는 센서들(7)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양태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동맥 혈류(BF), 특히 광혈류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이 센서(7)로 기록되고, 여기서 곡선(K) 중 적어도 하나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기록된 곡선(K)의 품질은 통계적 분석에 의해 결정되고 가장 높은 품질을 갖는 곡선(K)이 평가를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평가를 위해 선택된 곡선(K)은 곡선 섹션들(KA)로 분할되고, 선택된 곡선(K)의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가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양태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여러 개의 곡선들(K)이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곡선(K)이 곡선 섹션들(KA)로 분할되고, 여기서 동일한 센서(7)로 연속적으로 기록된 곡선(K)의 곡선 섹션(KA)이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양태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여러 개의 곡선들(K)이 동시에 기록되고 곡선(K)이 곡선 섹션들(KA)로 분할되고, 여기서 상이한 센서(7)로 동시에 기록된 곡선(K)의 곡선 섹션(KA)이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양태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곡선 특징(M) 및/또는 곡선 특징 평균값,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 또는 이에 대응하거나 이와 상관된 값은 곡선(K)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양태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곡선(K)에 의해 여러 상이한 곡선 특징(M) 및/또는 곡선 특징 평균값이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곡선 특징(M) 및/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은 또는 동일한 곡선(K)의 상이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양태 29 또는 30에 있어서, 혈압(BP)이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F)에 의해 곡선 특징(M), 및/또는 곡선 특징 평균 값(들),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양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곡선(K)은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곡선 섹션들(KA)로 각각 절단되고, 평균값은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로부터 계산되고,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가 곡선(K)과 동시에 기록되고, 여기서 곡선(K)은 심장도(KG)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곡선 섹션(KA)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양태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BP)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동물(T), 특히 앞발(2)이 있는 동물(T),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 아과의 동물(T)의 의료 검사 장치, 특히 혈압(BP)의 측정 장치(1)로서,
상기 동물(T)의 동맥 혈류(BF)의 광학적 검사를 위한,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센서 디바이스(4)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센서 수단(4)은 전자기 방사선(R)을 방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방사체(5)와 상기 방사체(들)(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을 검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검출기들(6)을 구비하여, 상기 방사체(들)(5)와 상기 검출기들(6)이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센서들(7)을 형성하는,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1)는 센서(7) 또는 상기 센서들(7)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도록 설계된 제어 디바이스(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35. 양태 34에 있어서, 센서들(7) 각각은 여러 개의 방사체들(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
36. 양태 34 또는 35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들(5)은 여러 개의 센서들(7)의 각각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37. 양태 34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센서(7)는 센서 영역(11)을 갖고, 센서(7)의 센서 영역(11)은 각각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고 함께 감지 영역(12)을 형성하여, 각각의 센서 영역(11)은 감지 영역(12)의 상이한 부분 영역을 형성하고 감지 영역(12)의 상이한 부분 영역은 제어 또는 제어 디바이스(25)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38. 양태 34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검사 장치(1) 및/또는 제어 디바이스(25)가 양태 1 내지 33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검사 장치(1) 및/또는 제어 디바이스(25)는 확장기 혈압을 결정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39. 의료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검사 장치(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검사 장치(1)가 양태 35 내지 38 중 하나에 따라 설계되고,
전자기 방사선(R)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5) 및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6)를 구비하고,
검사 장치(1)는 양태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40. 실행될 때 검사 장치(1)로 하여금 양태 34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1. 양태 40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거나, 실행될 때 양태 34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검사 장치(1)로 하여금 양태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26).
1 검사 장치
2 발
3 안착 표면
4 센서 디바이스
5 방사체
6 검출기
7 센서
8 제한 디바이스
9 방출 영역
9A 방출 각도
10 검출 영역
10A 검출 각도
11 센서 영역
12 감지 영역
13 장벽
13A 투명 영역
(장벽)
13B 차폐 섹션
13C 개구 섹션
13D 장벽 요소
14 커버
15 전극
15 제1 전극
15B 제2 전극
15C 제3 전극
16 투명 영역
(전극)
17 회로 기판
18 체중계
18A 힘 센서
1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입력 디바이스
21 전원 공급 디바이스
2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23 외부 디바이스
24 위치결정 보조부
25 제어 디바이스
26 저장 매체
27 전처리 디바이스
28 공통 모드 억제 디바이스
29 A/D 컨버터
29A 점검 디바이스
30 전처리 디바이스
31 증폭기
32 필터 디바이스
A 동맥
B 폭(검사 장치)
BB 폭(장벽)
BF 혈류
BP 혈압
D 거리(방사체 - 검출기)
DB 거리(장벽 - 방사체/검출기)
DE 거리(전극)
DM 거리(극값)
F 상관 함수
G 경계
HB 높이(장벽)
K 곡선
KA 곡선 섹션
KG 심장도
KM 곡선 평균 값
L 길이
M 곡선 특징
P 프로세서
P1-P7 페이즈
PM1 위치 최대
PM2 위치 최소
PTT 맥박 전달 시간
R 방사선
R1-R4 행
S 신호
S1-S9 단계
T 동물
TH 심장 박동 시간
X 거리

Claims (37)

  1. 동물(T), 특히 앞발(2)이 있는 동물(T),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Felinae) 아과의 동물(T)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BP)의 측정 방법으로서, 동물(T)의 동맥 혈류(BF), 특히 광혈류도(photoplethysmogram)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곡선(K)이 기록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곡선(K)은 각 곡선 섹션(KA)이 심장 박동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평가를 위해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에 기초한 평균화(averaging)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섹션들(KA)의 길이는 평균 심박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샘플링 방법, 특히 부트스트랩 방법이 평가를 위해 사용되며, 서브샘플들, 특히 부트스트랩 샘플들이 상기 곡선 섹션들(KA)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서브샘플이 2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개 미만, 특히 60개 미만, 및/또는 15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30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5개의 곡선 섹션들(K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100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개 미만, 특히 250개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개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개 미만, 및/또는 10개 초과, 바람직하게는 30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0개의 서브샘플들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곡선 특징(M)이 상기 곡선 섹션(KA) 및/또는 서브샘플들로부터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 특징(M)이 각 서브샘플에 대해 결정되고, 및/또는 평균 값은 여러 개의 곡선 특징들(M)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특징(M)의 분산 측정, 특히 사분위수 범위 및/또는 표준 편차가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곡선들(K)이 특히 동시에 기록되고 상기 곡선들(K) 중 하나가 상기 분산 측정에 기초하여 추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BP)은 상기 곡선 특징(M)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F)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장도(KG)가 상기 곡선(K)과 동시에 기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K)은 상기 심장도(KG)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기 곡선 섹션들(KA)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도(KG)의 QRS 복합체들, 특히 QRS 복합체들의 R 피크들은 상기 심장 박동들의 시간들(TH)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K)은 상기 QRS 복합체들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시간들(TH)에서 곡선 섹션들(KA)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도(KG)의 판-톰프킨스 플롯 및/또는 적응형 임계값이 R 피크들 또는 그 위치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톰프킨스 플롯에 의해 결정된 상기 R 피크들의 위치들은 이후에 수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도(KG)는 유용성에 대해 자동으로 점검되고, 상기 심장도(KG)가 무용한 경우, 상기 심장도(KG) 및 상기 곡선(K)은 폐기되고 새로운 심장도(KG)와 새로운 곡선(K)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K)은 유용성에 대해 자동으로 및/또는 반복적으로 점검되고, 상기 곡선(K)이 무용한 경우, 상기 곡선(K) 또는 개별 곡선 섹션들(KA)은 폐기되고 새로운 곡선(K)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곡선들(K)이 기록되고 여러 개의 기록된 곡선들(K) 중 다른 곡선들로부터 곡선 섹션들(KA)이 평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동물(T), 특히 앞발(2)이 있는 동물(T),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 아과의 동물(T)의 의료 검사, 특히 혈압(BP)의 측정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하나에 따라 설계되고,
    여기서 상기 동물(T)의 동맥 혈류(BF)는 광학적으로 검사되고, 특히 광혈류 측정이 센서 디바이스(4)로 수행되며,
    여기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4)는 전자기 방사선(R)을 방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방사체(5) 및 상기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을 검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검출기들(6)을 포함하여, 상기 방사체/방사체들(5) 및 검출기들(6)이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센서들(7)을 형성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센서(7) 또는 센서들(7)의 서브세트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7) 각각은 센서 영역(11)을 갖고, 상기 센서들(7)의 센서 영역들(11) 각각은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되고 함께 감지 영역(12)을 형성하여, 각각의 센서(7)에 의해 상기 감지 영역(12)의 다른 부분 영역이 감지되고, 여기서 상기 감지 영역(12)의 특정 부분 영역이 의료 검사를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발(2)이 센서(7)의 센서 영역(11)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점검되고, 이 점검을 위해 상기 센서(7)로 측정된 신호(S)가 분석되고, 특히 절대 신호 강도가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떨어지는지에 대해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T)의 발(2)이 상기 센서 디바이스(4) 및/또는 상기 센서들(7)에 대해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2)에 의해 덮인 상기 센서들(7)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2)의 위치는 상기 센서들(7)로 수행되는 검색 실행 또는 스캔에 의해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 실행 또는 스캔 동안 상이한 방사체들(5) 및/또는 센서들(7)이 차례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2)의 결정된 위치가 저장되고 상기 선택된 센서/센서들(7)로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K)을 기록하는 동안, 상기 발(2)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가 자동으로 지속적으로 및/또는 정기적으로 점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발(2)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결정되었을 때 새로운 또는 반복된 위치결정 및/또는 상기 센서들(7)의 선택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맥 혈류(BF)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여러 개의 곡선들(K)이 상기 센서들(7)로 기록되고, 상기 곡선들(K) 중 적어도 하나는 평가를 위해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된 곡선들(K)의 품질이 통계 분석에 의해 결정되고 최고 품질을 갖는 곡선(K)이 평가를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가를 위해 선택된 곡선(K)이 곡선 섹션들(KA)로 분할되고, 상기 선택된 곡선(K)의 곡선 섹션들(KA)의 서브세트가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곡선들(K)이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상기 곡선들(K)이 곡선 섹션들(KA)로 분할되고, 여기서 동일한 센서(7)로 연속적으로 기록된 상기 곡선들(K)의 곡선 섹션들(KA)이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개의 곡선들(K)이 동시에 기록되고 상기 곡선들(K)이 곡선 섹션들(KA)로 분할되고, 여기서 상이한 센서들(7)로 동시에 기록된 상기 곡선들(K)의 곡선 섹션들(KA)은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곡선 특징(M), 특히 맥박 전달 시간(PTT)이 상기 곡선(K)에 의해 결정되는 것, 그리고 상기 혈압(BP)은 바람직하게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상관 함수(F)에 의해 상기 곡선 특징(M), 특히 상기 맥박 전달 시간(PTT)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들(K)은 심장 박동에 대응하는 곡선 섹션들(KA)로 각각 절단되고, 여기서 곡선 평균 값(KM)은 여러 개의 곡선 섹션들(KA)로부터 계산되고, 바람직하게는 심장도(KG)가 상기 곡선들(K)과 동시에 기록되고, 상기 곡선들(K)은 상기 심장도(KG)의 정보에 의해 곡선 섹션들(KA)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BP)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동물(T), 특히 앞발(2)이 있는 동물(T),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양이과 아과의 동물(T)의 의료 검사 장치, 특히 혈압(BP)의 측정 장치(1)로서,
    상기 동물(T)의 동맥 혈류(BF)의 광학적 검사를 위한,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센서 디바이스(4)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센서 수단(4)은 전자기 방사선(R)을 방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방사체(5)와 상기 방사체/방사체들(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을 검출하기 위한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검출기들(6)을 구비하여, 상기 방사체/방사체들(5)과 상기 검출기들(6)이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의 센서들(7)을 형성하는,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1)는 센서(7) 또는 상기 센서들(7)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도록 설계된 제어 디바이스(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7) 각각은 여러 개의 방사체들(5)을 갖고 및/또는 상기 방사체들(5)은 여러 개의 센서들(7)의 각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각각의 센서(7)는 센서 영역(11)을 갖고, 상기 센서들(7)의 센서 영역들(11)은 각각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되고 함께 감지 영역(12)을 형성하여, 각각의 센서 영역(11)이 상기 감지 영역(12)의 상이한 부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감지 영역(12)의 상이한 부분 영역들이 상기 제어 디바이스(25)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1) 및/또는 제어 또는 제어 디바이스(25)는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검사 장치(1)는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35. 전자기 방사선(R)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5)와 상기 방사체(5)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R)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6)를 갖는, 의료 검사, 특히 광혈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검사 장치(1)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사 장치(1)는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설계되고, 여기서 상기 검사 장치(1)는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검사 장치.
  36.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시,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사 장치(1)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7. 제36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거나, 실행될 때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사 장치(1)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26).
KR1020227015885A 2019-10-17 2020-10-15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방법 및 검사 장치 KR202200799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3849 2019-10-17
EP19203861.0 2019-10-17
EP19203849.5 2019-10-17
EP19203861 2019-10-17
PCT/EP2020/079045 WO2021074297A1 (en) 2019-10-17 2020-10-15 Method and examination apparatus for medical examination of an anim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963A true KR20220079963A (ko) 2022-06-14

Family

ID=7288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885A KR20220079963A (ko) 2019-10-17 2020-10-15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방법 및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113094A1 (ko)
EP (1) EP4044912A1 (ko)
JP (1) JP2022552987A (ko)
KR (1) KR20220079963A (ko)
CN (1) CN114554945A (ko)
AU (1) AU2020368639A1 (ko)
BR (1) BR112022007382A2 (ko)
CA (1) CA3154680A1 (ko)
MX (1) MX2022004479A (ko)
TW (1) TW202128078A (ko)
WO (1) WO20210742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129A1 (ko) * 2022-07-27 2024-02-0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하이브리드형 신경 전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9345A1 (en) * 2022-04-27 2023-11-02 Prevayl Innovations Limited Electronics module and method
CN115153492A (zh) * 2022-07-20 2022-10-11 梅拉宠物护理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宠物体形检测功能的模块化智能体脂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1162B1 (en) * 1999-02-01 2001-12-18 Gary F. Mitchell Pulse wave velocity measuring device
US20080183232A1 (en) * 2007-01-30 2008-07-31 Voss Gregory I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ardiac function
CA2825405A1 (en) * 2011-01-27 2012-08-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circulatory system
CN106068097B (zh) * 2014-02-20 2020-09-29 佛吉亚汽车座椅有限责任公司 整合有传感器的车辆座椅
US10292658B2 (en) * 2015-06-23 2019-05-21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analyses of seated individu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129A1 (ko) * 2022-07-27 2024-02-0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하이브리드형 신경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4912A1 (en) 2022-08-24
AU2020368639A1 (en) 2022-05-19
CN114554945A (zh) 2022-05-27
JP2022552987A (ja) 2022-12-21
MX2022004479A (es) 2022-05-06
CA3154680A1 (en) 2021-04-22
BR112022007382A2 (pt) 2022-07-05
US20210113094A1 (en) 2021-04-22
TW202128078A (zh) 2021-08-01
WO2021074297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9963A (ko) 동물의 의료 검사를 위한 방법 및 검사 장치
US11763665B2 (en) Non-invasive multifunctional telemetry apparatus and real-time system for monitoring clinical signals and health parameters
CN103153198B (zh) 生物体光测量装置和使用它的生物体光测量方法
US7470235B2 (en) Pulse wav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EP2644090B1 (en) Hand-held device having health monitoring capabilities
EP2644089B1 (en) Blood pressure estimation using a hand-held device
US20150126865A1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measuring device
US20050080323A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biological function
CN109348727B (zh) 用于感测肌肉组织中糖原的近红外光谱学技术
KR20090098800A (ko) 의료 측정 기구
DE102009011381A1 (de) Diagnostische Messvorrichtung
JP2009032213A (ja) 脳機能計測による外部環境制御装置
JP2006158974A (ja) 一体型生理学的信号評価装置
JP2021184812A (ja) 絶対組織酸素飽和度および相対組織酸素飽和度の判定
US10595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glucose level
KR101453719B1 (ko) 동맥 채혈 지원 장치
US10660530B2 (en) Determining changes to autoregulation
CN111698943A (zh) 用于非侵入式地监测血细胞比容浓度的系统和方法
US20210113155A1 (en) Examination apparatus for medical examination of an animal
JP2002177281A (ja) 生体光計測装置
US20140228654A1 (en) Diagnostic measurement device
CN115349832A (zh) 一种生命体征监测预警系统和方法
Žikić An improved reflective photoplethysmograph probe design for detection of an arterial blood flow
KR101033035B1 (ko) 맥파 분석장치의 건강 진단 제어방법
WO2018167854A1 (ja) 解析装置、解析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