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307A -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307A
KR20220079307A KR1020200168949A KR20200168949A KR20220079307A KR 20220079307 A KR20220079307 A KR 20220079307A KR 1020200168949 A KR1020200168949 A KR 1020200168949A KR 20200168949 A KR20200168949 A KR 20200168949A KR 20220079307 A KR20220079307 A KR 2022007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control unit
version information
electronic control
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석
Original Assignee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307A/ko
Publication of KR2022007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04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06F11/3608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using formal methods, e.g. model checking, abstract interpre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06F8/64Retarget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및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호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로 인한 오작동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DIAGNOSTIC APPARATUS FOR CHECKING SOFTWARE COMPATIBILITY OF ECU AND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검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행 상태에 따른 엔진 제어나 기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이 있다. 이러한 전자제어유닛은 내부의 롬(ROM, read only memory)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의 롬은 프로그래밍(programming) 또는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될 수 있다. 최근 차량 시스템이 복잡해지면서 전자제어유닛의 수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리프로그래밍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수가 증가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그래밍 또는 리프로그래밍의 수행 여부에 따라 차량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버전이 서로 상이해지므로, 전체 시스템이 100%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트레인(power train) 시스템이 리프로그래밍되고 자율주행 시스템은 리프로그래밍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로 인해 시스템이 정상적인 기능하지 못한다.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는 경고등을 계기판에 표출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차량 내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 일치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간 소프트웨어버전의 호환성은 서비스센터에서 조차도 정비사가 단독적으로 확인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호환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는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버전을 확인하여 소프트웨어를 호환시킴으로써,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로 인한 전체 시스템 오작동을 해결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일 목적은,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설치버전정보 및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등록버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복수의 시스템을 서로 호환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재설치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프로그래밍부; 상기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설치버전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고,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등록버전정보를 상기 진단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의 재설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설치버전정보가 상기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재설치하는 할 수 있다.
상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치버전정보가 상기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할 때까지 버전정보의 비교 및 소프트웨어의 재설치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프로그래밍부는, 제1 시스템에 포함된 제1 전자제어유닛에 제1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제2 시스템에 포함된 제2 전자제어유닛에 제2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등록버전정보를 상기 진단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가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등록버전정보와 호환범위에 있으면,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1 설치버전정보가 제1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2 설치버전정보가 제2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재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제2 전자제어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및 상기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재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진단장치가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설치버전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등록버전정보를 상기 진단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의 재설치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단계는, 제1 시스템에 포함된 제1 전자제어유닛에 제1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제2 시스템에 포함된 제2 전자제어유닛에 제2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의 재설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1 설치버전정보가 제1 등록버전정보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2 설치버전정보가 제2 등록버전정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재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로 인한 오작동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에 대한 호환성의 검사 및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 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차량 내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이 오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를 해결하여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시스템 및 진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가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검사하고 소프트웨어를 호환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가 복수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복수의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검사하고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호환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진단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 내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이 오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불일치하여 전체 시스템이 오동작할 수 있었다. 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마다 프로그래밍 또는 리프로그래밍하는 타이밍 또는 횟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차량이 점점 복잡하게 구성되면서 많은 전자제어유닛을 요구한다는 사실로부터 비롯할 수 있다.
차량(10)은 복수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파워트레인 시스템(11), 자율주행 시스템(12), 제3 시스템(13) 및 그 밖에 다른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시스템은 하위부품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하위부품에는 각각의 고유한 전자제어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트레인 시스템(11)은 엔진제어유닛(11-A) 및 변속기제어유닛(11-B)을 포함할 수 있고, 자율주행 시스템(12)은 레이더(12-A) 및 전방카메라(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스템(13) 역시 다른 하위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은 서로 다른 조건-예를 들어 타이밍, 횟수, 버전의 차이-하에서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은 전자제어유닛을 프로그래밍 또는 리프로그래밍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파워트레인 시스템(11)의 전자제어유닛-엔진제어유닛(11-A) 및 변속기제어유닛(11-B)-은 '문제진단', '리프로그래밍 실시'의 과정을 겪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버전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에 자율주행 시스템(12)의 전자제어유닛-레이더(12-A) 및 전방카메라(12-B)-은 '문제진단', '리프로그래밍 실시'의 과정을 겪지 않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버전이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 중 일 시스템은 리프로그래밍되고 다른 시스템은 리프로그래밍되지 않으면, 일 시스템과 다른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소프트웨어버전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버전의 일치는 반드시 동일한 새버전 아니면 동일한 구버전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소프트웨어가 구버전이더라도 다른 소프트웨어의 신버전과 호환이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처음에는 약간의 소프트웨어버전의 차이가 있어도 양 시스템은 서로 호환이 되지만, 그 차이가 현저해지면 호환되지 않게 되어버릴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를 해결하여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100)는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의 불일치를 검사하고, 그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불일치한 경우에 그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복수의 시스템 사이의 소프트웨어버전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 실시예 따른 진단장치(100)는 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시스템의 일 전자제어유닛에서 설치버전과 등록버전이 일치하지 않으면, 진단장치(100)는 등록된 버전을 가지는 소프트웨어를 다시 일 전자제어유닛에 설치할 수 있다. 등록된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일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되면, 일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는 다른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와 호환할 수 있다. 일 시스템의 일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가 다른 시스템의 복수의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와 호환하므로, 일 시스템 및 다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전체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자율주행 시스템(12)은 '문제진단', '리프로그래밍 실시'의 과정을 겪지 않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버전이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그래서 자율주행 시스템(12)의 레이더(12-A) 및 전방카메라(12-B)의 소프트웨어 각각은 파워트레인 시스템(11)의 엔진제어유닛(11-A) 및 변속기제어유닛(11-B)의 소프트웨어 각각과 호환되지 않았다. 그러나 진단장치(100)가 자율주행 시스템(12)의 레이더(12-A) 및 전방카메라(12-B)를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로 리프로그래밍함으로써, 자율주행 시스템(12)의 레이더(12-A) 및 전방카메라(12-B)의 소프트웨어들과 파워트레인 시스템(11)의 엔진제어유닛(11-A) 및 변속기제어유닛(11-B)의 소프트웨어들은 호환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장치(100)는 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으로 대체(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그래서 차량의 전체 시스템-파워트레인 시스템(11), 자율주행 시스템(12) 및 제3 시스템(13)-은 서로 유기적 및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시스템 및 진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시스템은 진단장치(100), 진단서버(200) 및 차량(1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장치(100)는 프로그래밍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입력부(140), 출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상기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진단서버(200)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비교하고,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및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전자제어유닛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진단장치(100)는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및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일치할 때까지 상기 비교 및 프로그래밍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차량(10) 및 진단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프로그래밍부(110)는 차량(10)의 복수의 시스템에 포함된 전자제어유닛을 프로그래밍 또는 리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부(110)는 차량(10)에 장착된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로그래밍은 일 전자제어유닛에 일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프로그래밍부(110)가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다시 설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100)는 차량(10) 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버전 일치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전자제어유닛이 처음으로 프로그래밍된 상태이든 리프로그래밍된 상태이든 진단장치(100)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통신부(120)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차량(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부(110)가 차량(10)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 전자제어유닛을 프로그래밍하면, 전자제어유닛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는 설치버전정보로 명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20)는 설치버전정보를 차량(1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진단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진단서버(200)에는 전자제어유닛에 과거에 설치되었거나 현재에 설치된 그리고 미래에 설치되어야 할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진단서버(200)에는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 역시 저장될 수 있다. 차량(10)에 포함된 모든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버전에 대한 정보가 진단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진단서버(200)는 특정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이에 대응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작업자가 명령어 입력을 통해 직접 진단서버(200)를 설정하거나 진단서버(200)가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대응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설정되어야만, 그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호환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것은 그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다른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서버(200)에 의하여 대응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되도록 규정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 즉, 진단서버(200)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는 등록버전정보로 명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통신부(120)는 등록버전정보를 진단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에 대한 소프트웨어버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버전정보에는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등록버전정보는 진단서버(200)에 등록된 소프트웨어버전을 나타내는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한 채로, 진단서버(200)로부터 진단장치(100)로 송신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진단장치(100)를 다루는 작업자로부터 명령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명령데이터에는 전자제어유닛을 일 소프트웨어버전으로 프로그래밍 또는 리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명령 및, 몇몇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버전의 일치여부를 점검하여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기 위한 호환성검사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출력부(150)가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명령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출력부(150)는 진단장치(100)의 처리 결과를 작업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작업자가 오감을 통해 처리 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설치(전자제어유닛의 프로그래밍) 및 소프트웨어버전의 검사에 대한 결과를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프로그래밍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입력부(140) 및 출력부(1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20)를 통해 차량(10) 및 진단서버(200)로부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버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프로그래밍부(110)를 통해 차량(10)의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 또는 재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일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일 전자제어유닛이 다른 전자제어유닛과 호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일 전자제어유닛이 다른 전자제어유닛과 호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다른 버전으로 일 전자제어유닛을 반복적으로 리프로그래밍함으로써 다른 전자제어유닛과 호환시킬 수 있다.
일 전자제어유닛과 다른 전자제어유닛의 호환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전자제어유닛의 설치버전정보가 일 전자제어유닛에 대응하는 등록버전정보-진단서버(200)에 일 전자제어유닛에 대응하여 등록된 소프트웨어버전에 대한 정보-와 동일하면, 제어부(160)는 일 전자제어유닛이 다른 전자제어유닛과 호환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일 전자제어유닛의 설치버전정보가 일 전자제어유닛에 대응하는 등록버전정보와 상이하면, 제어부(160)는 일 전자제어유닛이 다른 전자제어유닛과 호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 전자제어유닛이 다른 전자제어유닛과 호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160)는 일 전자제어유닛에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재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반드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엄격하게 일치하는지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제어부(160)는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서로에 대하여 일정범위에 속하면, 복수의 소프트웨어가 호환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2이상의 소프트웨어가 호환되기 위해서는 각 소프트웨어가 반드시 신버전이거나 반드시 동일한 버전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일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 보다 구버전이라 하더라도, 일 소프트웨어버전이 다른 소프트웨어와 호환이 되는 범위-호환범위-에 속한다면 양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점은 설치버전정보가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거나, 또는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서로 호환범위에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설치버전정보가 진단서버(200)에는 복수의 등록버전이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데, 설치버전정보가 복수의 등록버전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더라도 제어부(160)는 일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와 호환성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차량(10) 내 복수의 시스템의 복수의 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개별적 및 독립적으로 호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파워트레인 시스템에 속한 모든 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호환성을 판단(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의 일치성을 판단)하면서, 독립적으로 자율주행 시스템에 속한 모든 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호환성을 판단(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의 일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파워트레인 시스템의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일치하고 자율주행 시스템의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일치한다고 판정하면, 파워트레인 시스템 및 자율주행 시스템은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 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밍부(110)가 차량(10)의 제1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전자제어유닛에 제1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제1 시스템과 상이한 제2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전자제어유닛에 제2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제어부(160)는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를, 제2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를 통해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호환성과 2소프트웨어에 대한 호환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60)는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서로 일치하고 제2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들이 일치하고 제2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들도 일치하여야만,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60)는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제2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들 또는 제2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제1 및 2 전자제어유닛 중 대응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재설치할 수 있다. 진단서버(200)에 저장된 등록버전정보가 차량(10)에 장착된 모든 전자제어유닛의 호환성을 충족시키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진단장치(100)가 차량(10)의 모든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호환성 검사 및 리프로그래밍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스템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전체 시스템이 오동작 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전부 또는 일부 소프트웨어를 다른 버전으로 대응하는 전자제어유닛에 재설치할 수 있다. 혹시라도 있을지 모르는 소프트웨어버전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단장치(100)는 호환성 검사를 다시 수행하는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가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검사하고 소프트웨어를 호환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는 프로그래밍 세션과 진단 세션에서 각각 동작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세션에서 진단장치는 전자제어유닛을 프로그래밍 또는 리프로그래밍하고, 진단 세션에서 진단장치는 소프트웨어버전을 검사하고 소프트웨어를 호환시킬 수 있다.
진단장치는 프로그래밍 세션에 진입하고(S401 단계), 전자제어유닛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S403 단계).
진단장치는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프로그래밍을 완료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5 단계). 프로그래밍이 완료되면, 진단장치는 진단 세션에 진입할 수 있다(S405 단계의 YES 및 S407 단계). 프로그래밍이 완료되지 않으면, 진단장치는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프로그래밍을 지속할 수 있다(S405 단계의 NO 및 S403 단계).
진단장치는 차량 및 진단서버로부터 소프트웨어 버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9 단계). 진단장치는 차량으로부터 설치버전정보를 수신하고, 진단서버로부터 등록버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진단장치는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다른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와 호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진단장치가 소프트웨어가 호환되는 것으로 판정하면, 소프트웨어 호환성 검사를 종료할 수 있다(S411 단계의 YES). 진단장치가 소프트웨어가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면, 진단장치는 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다른 버전을 가지는 소프트웨어를 재설치할 수 있다(S411 단계의 NO 및 S401 단계). 여기서 호환성의 판단은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의 일치 여부에 기반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는 진단 세션에서 설치버전정보 및 등록버전정보가 서로 호환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장치는 진단 세션에서 전자제어유닛의 오동작에 대한 소프트웨어 재설치 여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진단장치는 프로그래밍 세션에서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S501 단계).
진단장치는 진단 세션으로 진입하여, 차량으로부터 전자제어유닛에 실제로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설치버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03 단계).
진단장치는 진단서버로부터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버전에 대한 정보-등록버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05 단계).
진단장치는 설치버전정보가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7 단계). 설치버전정보가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진단장치는 해당 전자제어유닛에 다른 버전을 가지는 소프트웨어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S507 단계의 NO 및 S501 단계). 그리고 진단장치는 재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치버전정보와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설치버전정보가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면, 진단장치는 해당 전자제어유닛이 다른 전자제어유닛와 함께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7 단계의 YES 및 S509 단계). 전자제어유닛의 정상적인 동작은 차량(10)의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진단장치는 프로그래밍 세션으로 진입하여 해당 전자제어유닛에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S509 단계의 NO 및 S501 단계). 전자제어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진단장치는 소프트웨어의 호환성 검사를 종료할 수 있다(S509 단계의 YES).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가 복수의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복수의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검사하고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호환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단장치는 차량 내 복수의 시스템의 복수의 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복수의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개별적 및 독립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진단장치는 제1 시스템의 제1 전자제어유닛에 제1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S601 단계).
진단장치는 제2 시스템의 제2 전자제어유닛에 제2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S603 단계).
진단장치는 제1 및 2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설치버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05 단계). 진단장치는 제1 설치버전정보를 차량의 제1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수신하고, 제2 설치버전정보를 차량의 제2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진단장치는 제1 및 2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등록버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07 단계). 진단장치는 제1 등록버전정보 및 제2 등록버전정보를 진단서버로부터 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진단장치는 제1 및 2 전자제어유닛의 설치버전정보가 대응하는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9 단계). 제1 전자제어유닛의 설치버전정보 및 제2 전자제어유닛의 설치버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하는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진단장치는 이에 해당하는 전자유닛에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 즉 진단장치는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다시 설치할 수 있다(S609 단계의 NO 및 S611 단계). 제1 전자제어유닛의 설치버전정보 및 제2 전자제어유닛의 설치버전정보 모두가 대응하는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면, 진단장치는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는 모두 다른 시스템과 호환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호환성 검사를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2개의 시스템의 2개의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2개의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을 동작시키는 모든 소프트웨어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진단장치는 차량의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등록버전정보를 상기 진단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장치는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가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등록버전정보와 호환범위에 있으면,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진단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진단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작업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을 입력부로 입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프로그래밍 또는 호환성 검사에 관련된 결과를 알 수 있다.
작업자가 진단장치에서 리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본 도면과 같은 창이 나타날 수 있다. 작업자는 프로그래밍할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포함된 전자제어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일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도면에 따르면, 작업자는 파워트레인 시스템에 포함된 엔진제어유닛 및 트랜스미션제어유닛을 선택하고 프로그래밍 또는 리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작업자는 파워트레인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전자제어유닛을 한 번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복수의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전자제어유닛에 대하여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파워트레인 시스템만이 도시되었으나, 작업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파워트레인 시스템과 자율주행 시스템을 동시에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자율주행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전자제어유닛을 불러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차량 200: 진단서버
11: 파워트레인 시스템 11-A: 엔진제어유닛
11-B: 변속기제어유닛 12: 자율주행 시스템
12-A: 레이더 12-B: 전방카메라
100: 진단장치 110: 프로그래밍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입력부 150: 출력부
160: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프로그래밍부;
    상기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설치버전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고,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등록버전정보를 상기 진단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의 재설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치버전정보가 상기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재설치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치버전정보가 상기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할 때까지 버전정보의 비교 및 소프트웨어의 재설치를 반복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부는, 제1 시스템에 포함된 제1 전자제어유닛에 제1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제2 시스템에 포함된 제2 전자제어유닛에 제2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판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등록버전정보를 상기 진단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버전정보가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등록버전정보와 호환범위에 있으면, 상기 모든 소프트웨어는 서로 호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1 설치버전정보가 제1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2 설치버전정보가 제2 등록버전정보의 호환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재설치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제2 전자제어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및 상기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재설치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8. 진단장치가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된 전자제어유닛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설치버전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진단서버에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등록버전정보를 상기 진단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의 재설치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단계는, 제1 시스템에 포함된 제1 전자제어유닛에 제1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제2 시스템에 포함된 제2 전자제어유닛에 제2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설치버전정보 및 상기 등록버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2 소프트웨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의 재설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1 설치버전정보가 제1 등록버전정보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소프트웨어에 대한 제2 설치버전정보가 제2 등록버전정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소프트웨어 및 제2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버전으로 재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방법.
KR1020200168949A 2020-12-04 2020-12-04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79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949A KR20220079307A (ko) 2020-12-04 2020-12-04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949A KR20220079307A (ko) 2020-12-04 2020-12-04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307A true KR20220079307A (ko) 2022-06-13

Family

ID=8198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949A KR20220079307A (ko) 2020-12-04 2020-12-04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93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6306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software compatibility checking method
US8555375B2 (en) Configuration method for control units
CN110456764B (zh) 车辆中控制器的配置管理方法、装置及车辆诊断仪
US8539472B2 (en) Method and system of updating shared memory
US20030051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and analyzing computer software installation
US2009012565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Master-Slave Field Bus System
US20150154113A1 (en) Functionally expandable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upplementing the functionality of a vehicle control device
US5884211A (en)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reset of a vehicle controller
US2021036418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program update method of air-conditioning system
US20060218340A1 (en) Data validity determining method for flash EEPROM and electronic control system
US20130117739A1 (en) Electronic Tool for Automatically Programming 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in a Vehicle On-Board Computer System
US10936236B2 (en) Rewriting system, rewriting device and computer
US20070253342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module
KR20220079307A (ko) 전자제어유닛의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검사하는 진단장치 및 그 방법
US11036487B2 (en) Vehicle
US11390290B2 (en) Vehicl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CN110719854B (zh) 用于调试空调系统的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空调系统
CN115225481B (zh) 网关诊断路由配置方法、装置、车载网关、车辆和介质
US20230153097A1 (en) Devices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control units of a motor vehicle
CN114115178A (zh) 基于域控制器的车辆雷达诊断方法及诊断系统
CN110618826A (zh) 一种应用程序更新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7016769B2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regulating the operational sequences in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of starting such a control device
US20230131593A1 (en) Vehicle diagnostics
KR20220023203A (ko) 소프트웨어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
US20240069905A1 (en)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device,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system, and updated configur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