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197A -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197A
KR20220079197A KR1020200168726A KR20200168726A KR20220079197A KR 20220079197 A KR20220079197 A KR 20220079197A KR 1020200168726 A KR1020200168726 A KR 1020200168726A KR 20200168726 A KR20200168726 A KR 20200168726A KR 20220079197 A KR20220079197 A KR 20220079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far
magnetic field
material layer
superparamagn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주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197A/ko
Priority to US17/386,144 priority patent/US11614364B2/en
Publication of KR2022007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53Optical arrangements having infrared absorbers other than the usual absorber layers deposited on infrared detectors like bolometer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detecting element occurs with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25Shape of the cavity itself or of elements contained in or suspended over the cavity
    • G01J5/024Special manufacturing steps or sacrificial layers or layer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5Sample holders for pyrometry; Cleaning of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5/103Absorbing heated plate or film and temperatur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01J2005/202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01J2005/208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superconductive

Abstract

일 실시예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Long-wave infrared detecting element, array structure of long-wave infrared detecting elements, long-wave infrared temperature detecting device, and thermal imaging display device}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상자성 물질층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검출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해 비냉각형(uncooled) 적외선 검출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냉각형 적외선 검출 장치는 적외선 입사에 따른 물질의 저항 변화를 이용한 볼로미터형(bolometer) 적외선 검출 장치, 적외선 입사에 따른 물질의 자발 분극 변화를 이용한 초전형(pyroeletric) 적외선 검출 장치, 적외선 입사에 따른 측정 접점부와 레퍼런스 접전부 사이의 기전력 변화를 이용한 열전대형(thermopile) 적외선 검출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의 적외선 검출 장치는 비접촉 온도 센서, 군용 야시경, 자동차 나이트 비젼, 의료용 열화상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전력 소모가 적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상온에서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는 비냉각형 적외선 검출 장치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라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 (magnetization)가 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검출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입사된 적외선 복사 에너지가 열-전자기 변환부에서 효율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와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상기 자화도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에 직접 흡수되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와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가 흡수한 상기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도전성의 홀 플레이트, 상기 홀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 및 상기 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모두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받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수직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면적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미앤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 플레이트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은 모두 상기 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을 각각 받치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지지 기둥, 제2 지지 기둥, 제3 지지 기둥 및 제4 지지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은 미앤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은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은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와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 상에 마련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식각되어 형성된 트렌치가 마련되고, 상기 홀 플레이트는 상기 트렌치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는, 상기 홀 플레이트를 받치도록 상기 트렌치 상에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가장자리 요소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가장자리 요소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은 모두 상기 홀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을 각각 받치는 제1 연결 요소, 제2 연결 요소, 제3 연결 요소 및 제4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는 상기 트렌치 내부에 마련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는, 도전성의 기준 플레이트, 상기 기준 플레이트를 덮는 보호층,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 및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을 구비하는 기준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모두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상기 기준 변환부와 차분 증폭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에 포함된 상기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 각각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에 포함된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기판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상기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전기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온도 검출 장치에 포함된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로 집광하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적외선의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및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집광 렌즈를 통과한 상기 적외선의 일부 파장 영역을 필터링하는 광학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집광하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적외선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상기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열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 각각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라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 (magnetization)가 변하는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소형화된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열-전자기 변환부가 흡수한 적외선 복사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적외선을 검출할 수 있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와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외부 자기장(H)의 세기에 따른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가 변하는 경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은 온도에 따른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가 변하는 경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2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에 포함되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오프셋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준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전기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전기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전기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6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에 포함되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표시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설명된 순서대로 행하여야 한다는 명백한 언급이 없다면,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용어로 인해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0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검출 소자(1000)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100), 자기장 발생부(100) 상에 마련되는 기판(200), 기판(200) 상에 마련되어 외부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열-전자기 검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자기 검출부(300)는, 기판(200)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자기장 발생부(10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H)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10), 기판(200) 상에 마련되어, 초상자성 물질층(10)을 기판(200)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0) 및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와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균일한 세기의 자기장(H)을 생성할 수 있다. 기판(200) 및 열-전자기 검출부(300)는 자기장 발생부(100) 상에 자기장(H)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00)는 예를 들어, 전자석, 영구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장 발생부(100)는 전자석, 영구 자석 이외의 자기장을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발생부(100)는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장 발생부(100)는 기판(20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판(200)은 열-전자기 검출부(300)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층일 수 있다. 기판(200)은 예를 들어 실리콘(Si)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20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자기 검출부(300)는 외부로부터 흡수한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자기 검출부(300)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10)을 포함할 수 있다.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는 자기장(H)의 세기가 커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는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는 초상자성 물질층(10)에 직접 흡수되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온도 변화와 적외선 흡수 지지부(20)가 흡수한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는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열-전자기 검출부(300)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과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자기-전기 변환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가 일정하고,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가 실시간으로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실시간으로 변화는 자화도에 의해 자기-전기 변환부(30)에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값도 실시간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전기 변환부(30) 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센서는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로렌츠 힘이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홀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홀 센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후술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전기 변환부(30)는 예를 들어, 자기저항(Magnetic resistance)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기저항 소자는 인가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열-전자기 검출부(300)는 초상자성 물질층(10)을 기판(200)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는 흡수된 적외선 복사 에너지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초상자성 물질층(10)에 전달할 수 있다. 초상자성 물질층(10)은 적외선 흡수 지지부(20)에 의해 기판(200)과 이격되므로, 적외선 흡수 지지부(20)의 열 에너지가 초상자성 물질층(1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온도 및 자화도가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의 변화에 따라 자기-전기 검출 변환부(30)에 발생하는 전기 신호가 변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1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외부 자기장(H)의 세기에 따른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가 변하는 경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은 온도(T)에 따른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가 변하는 경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2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100)에 포함되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1)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검출 소자(1100)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100), 자기장 발생부(100) 상에 마련되는 기판(200), 기판(200) 상에 마련되어 외부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열-전자기 검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00)와 기판(2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자기장 발생부(1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균일한 세기의 자기장(H)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장(H)은 기판(200)을 통과하여 열-전자기 검출부(310)에 작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열-전자기 검출부(310)에 대해 설명한다.
열-전자기 검출부(310)는, 기판(200)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자기장 발생부(10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H)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11), 기판(200) 상에 마련되어, 초상자성 물질층(11)을 기판(200)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1) 및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와 초상자성 물질층(10)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초상자성 물질층(11)은 나노 스케일의 강자성 물질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강자성 물질의 입자의 크기가 나노 스케일만큼 작아지면, 강자성 물질은 더 이상 강자성을 띄지 않고, 초상자성을 띠게 된다. 물질의 종류에 따라, 초상자성 물질층(11)에 포함된 나노 스케일의 입자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3~50n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상자성 물질층(11)은 CoFe2O4, Fe2O3, Fe3O4, FeCo, CoPt, Ni, Co 및 F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oFe2O4의 경우, 입자의 직경이 약 10nm일 때 초상자성을 띨 수 있다. 또한, Fe2O3의 경우, 입자의 직경이 약 30nm일 때 초상자성을 띨 수 있다. 이처럼, 물질의 종류에 따라, 초상자성 물질층(11)에 포함된 입자의 직경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상자성 물질층(11)은 상기한 물질들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초상자성을 띠는 나노 스케일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강자성 물질의 자화도(M)는 외부 자기장(H)의 세기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또한, 강자성 물질은 외부 자기장(H)이 사라진 경우에도, 0이 아닌 자화도(Mr)를 갖는다. 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는 외부 자기장(H)의 세기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그러나, 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는 강자성 물질의 자화도(M)보다 작다. 또한, 상자성 물질은 외부 자기장(H)이 사라지면, 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도 사라지게 된다.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는 외부 자기장(H)의 세기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또한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 강자성 물질의 자화도(M)와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할 수 있다. 나아가, 초상자성 물질은 외부 자기장(H)이 사라지면,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도 사라지게 된다. 다시 말해, 초상자성 물질은 강자성 물질과 비슷한 세기의 자화도(M)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자성 물질의 경우와 유사하게 외부 자기장(H)이 사라지면,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도 사라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강자성 물질과 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는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는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실제로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가 온도에 따라 완벽하게 선형적으로 변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다만, 초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의 변화는 강자성 물질이나 상자성 물질의 자화도(M)의 변화에 비해 실질적으로 거의 선형적인 변화에 가까울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초상자성 물질층(11)은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에 의해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자화는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자화는 초상자성 물질층(11)에 직접 흡수되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IR)에 의한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 변화와 적외선 흡수 지지부(21)가 흡수한 적외선에 의한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자화도는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IR)에 의해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자화도가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1)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와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1)는 기판(2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전기 변환부(31)는 기판(200)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1)는 도전성의 홀 플레이트(31a),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및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 모두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방향(z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홀 플레이트(31a)는 반도체 물질,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플레이트(31a)는 불순물이 주입된 외인성 반도체(Extrinsic semiconductor)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홀 플레이트(31a)에 주입되는 불순물의 농도를 조절하여, 홀 플레이트(31a)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홀 전압(VH)이 온도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른 모든 물리적 조건이 동일할 때, 온도가 변하더라도 홀 플레이트(31a)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홀 전압(VH)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홀 플레이트(31a)의 홀 전압(VH)은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자화도가 변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홀 플레이트(31a)의 상부 표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플레이트(31a)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 플레이트(31a)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의 3배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의 비는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홀 플레이트(31a)가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은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한 일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 덮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덮음과 동시에, 기판(200)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도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은 홀 플레이트(31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 각각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은 제2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한 일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은 홀 플레이트(31a)와 접한 상태에서, 홀 플레이트(3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홀 플레이트(31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 각각과 접함과 동시에, 기판(200)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도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사이에는 일정한 세기의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 플레이트(31a)에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홀 플레이트(31a)에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이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인가되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에 의해 홀 플레이트(31a)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전하 분포가 비균일해진다. 이러한 현상을 홀 효과(Hall effect)라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홀 효과에 대해 더 자세히 후술한다.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와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은 생략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두께(t)를 가지는 홀 플레이트(31a)에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일정한 세기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플레이트(31a)에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전류(I)가 인가되고, 음(-)전하(charge)가 홀 플레이트(31a) 내부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홀 플레이트(31a)에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자기장(Hz)이 인가되면, 전하(charge)는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받아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 방향(z축 방향) 모두와 수직한 방향, 예를 들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방향(z축 방향)의 자기장(Hz)은 자기장 발생부(100)에 의해 홀 플레이트(31a)에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 플레이트(31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전하 분포가 불균일해지고, 홀 플레이트(31a)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홀 플레이트(31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전위차를 홀 전압(VH)이라고 한다. 홀 플레이트(31a)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발생한 홀 전압(VH)은 홀 플레이트(31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과 연결된 전압 측정 장치(미도시)를 통해 홀 플레이트(31a)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발생한 홀 전압(VH)이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홀 전압(VH)은 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제1 길이(L)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제2 길이(W)에 대한 비율(L/W)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L/W)은 3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율(L/W) 3보다 작을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자화도는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초상자성 물질층(11)의 가변 자화는 홀 플레이트(31a)에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초상자성 물질층(11)의 가변 자화는 홀 플레이트(31a)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발생한 홀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 변화에 의한 초상자성 물질층(11)의 가변 자화도가 자기-전기 변환부(31)에 포함된 홀 플레이트(31a)에 발생한 홀 전압(VH)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을 통해 초상자성 물질층(11)에 의한 홀 플레이트(31a)의 가변 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기-전기 변환부(31)를 이용한 홀 전압(VH) 측정을 통해, 초상자성 물질층(11)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는 초상자성 물질층(11)을 받치는 지지 플레이트(21a), 기판(2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기둥(21f, 21g) 및 지지 플레이트(21a)와 지지 기둥(21f, 21g)의 상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1b, 21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둥(21f, 21g)의 높이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이 10μm이 경우, 지지 기둥(21f, 21g)의 높이는 2.5μ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0)와 기판(200) 사이의 이격 거리(h1)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외선 흡수 지지부(20)와 기판(200) 사이에서 적외선(IR) 공진이 일어날 수 있고,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로 적외선 흡수가 더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a)와 지지 기둥(21f, 21g)은 수직 방향(z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기둥(21f, 21g)는 기판(200)의 상부 표면에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두 코너 영역에 각각 마련된 제1 지지 기둥(21f)과 제2 지지 기둥(21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결부(21b, 21c)는 제1 지지 기둥(21f)의 상부와 지지 플레이트(21a)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21b)와 제2 지지 기둥(21g)의 상부와 지지 플레이트(21a)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2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21a)는 기판(200)의 중앙 영역 상에 마련되고, 지지 기둥(21f, 21g)의 높이만큼 기판(200)으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기둥과 연결부의 개수가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 기둥과 연결부의 개수는 세 개 이상이거나, 한 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지지 기둥과 연결부의 개수가 두 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설명은 지지 기둥과 연결부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이거나, 한 개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는 직사각형의 상부 표면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2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21a)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플레이트(21a)는 직육면체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흡수 지지부(20)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21a)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부(21b) 및 제2 연결부(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21a, 21b)는 기역자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연결부(21a, 21b)는 미앤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연결부(21a, 21b)가 기역자 패턴 또는 미앤더 패턴 등과 같이, 구불구불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연결부(21a, 21b)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21b, 21c)의 제1 폭(w1)은 지지 플레이트(21a)의 제2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부(21b, 21c)의 면적은 지지 플레이트(21a)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흡수 지지부(21)의 열적 고립 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열 에너지가 초상자성 물질층(11)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적외선 복사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효율적인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1)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물은 예를 들어,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질화물은 예를 들어, Si3N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흡수 지지부(21)는 초상자성 물질층(11)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1a), 연결부(21b, 21c) 및 지지 기둥(21f, 21g) 모두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21a), 연결부(21b, 21c) 및 지지 기둥(21f, 21g)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플레이트(21a)와 연결부(21b, 21c)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 기둥(21f, 21g)은 별도의 공정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적외선 흡수 지지부(21)가 기판(2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초상자성 물질층(11)을 이격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기판(200)과 초상자성 물질층(11)이 직접 접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열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초상자성 물질층(11)에 전달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100)에 포함될 수 있는 오프셋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준 변환부(3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전기 변환부(31)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홀 센서의 홀 전압은 0이어야 하지만, 공정 이슈 등의 다양한 요인(e.g. 홀 센서 내부의 불균일한 전기적 특성, 홀 센서에 비대칭적으로 마련된 전극 구조)에 따라,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오프셋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2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100)는 자기-전기 변환부(31)와 연결되는 기준 변환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변환부(31')는 자기-전기 변환부(3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변환부(31')는 도전성의 기준 플레이트(31a), 기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및 기준 플레이트(31a)의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기준 변환부(31')는 기준 플레이트(31a)를 덮는 보호층(S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 모두는 자기장 발생부(도 2 의 100)로부터의 자기장(도 2 의 H)의 방향(z축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1)와 기준 변환부(31')는 서로 연결되어 차분 증폭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기준 변환부(31')는 자기-전기 변환부(31)와 동일한 공정 과정에서 함께 제작되어 동일한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기준 변환부(31')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차단할 수 있는 보호층(SD)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SD)은 기준 플레이트(31a')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과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1)의 제1 홀 전압(VH1)과 기준 변환부(31')의 제2 홀 전압(VH2)을 차분 증폭을 통해 검출할 경우, 공정상 문제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한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분 증폭 전압(Vout)은 아래의 식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1
... 식 (1)
위 식에서, R1, Rf는 자기-전기 변환부(31) 측과 연결된 저항들의 값이고, R2, Rg는 기준 변환부(31') 측과 연결된 저항들의 값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전기 변환부(7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전기 변환부(8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전기 변환부(9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자기-전기 변환부(70, 80, 90)는 도 2의 온도 검출 장치(11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자기-전기 변환부(70)는 십자가 모양의 상부 표면을 가지는 홀 플레이트(70a), 홀 플레이트(70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70b, 70c) 및 홀 플레이트(70a)의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70d, 70e)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70b, 70c) 및 한 쌍의 검출 전극(70d, 70e)은 도 2의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및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과 같이, 홀 플레이트(70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자기-전기 변환부(8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사각형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직사각형이 교차하여 형성된 모양의 상부 표면을 가지는 홀 플레이트(80a), 홀 플레이트(80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80b, 80c) 및 홀 플레이트(70a)의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복수 쌍의 검출 전극(80d, 80e, 80f, 80g, 80h, 80i)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쌍의 검출 전극(80d, 80e, 80f, 80g, 80h, 80i)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홀 플레이트(80a)의 복수 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돌출부 각각의 양단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80b, 80c) 및 복수 쌍의 검출 전극(80d, 80e, 80f, 80g, 80h, 80i)은 도 2의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및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과 같이, 홀 플레이트(80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자기-전기 변환부(90)는 클로버 모양의 상부 표면을 가지는 홀 플레이트(90a), 홀 플레이트(90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90b, 90c) 및 홀 플레이트(90a)의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90d, 90e)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90b, 90c) 및 한 쌍의 검출 전극(90d, 90e)은 도 2의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및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과 같이, 홀 플레이트(70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전기 변환부(70, 80, 90)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자기-전기 변환부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2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3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4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초상자성 물질층(12) 및 자기-전기 변환부(32)의 기능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초상자성 물질층(11) 및 자기-전기 변환부(31)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설명함에 있어, 도 2 내지 도 1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검출 소자(1200)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100),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200), 기판(200) 상에 마련되어 외부 열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열 에너지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열-전자기 검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00)와 기판(2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자기장 발생부(1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균일한 세기의 자기장(H)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장(H)은 기판(200)을 통과하여 열-전자기 검출부(320)에 작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열-전자기 검출부(320)에 대해 설명한다.
열-전자기 검출부(320)는, 기판(200)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자기장 발생부(10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H)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12), 기판(200) 상에 마련되어, 초상자성 물질층(12)을 기판(200)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2) 및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와 초상자성 물질층(12)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2)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와 초상자성 물질층(12)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2)는 기판(200)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전기 변환부(32)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상자성 물질층(12)은 자기-전기 변환부(3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2) 상에 자기-전기 변환부(32)와 초상자성 물질층(1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상자성 물질층(14)은 적외선 흡수 지지부(22)와 자기-전기 변환부(34)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홀 플레이트(34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검출 소자(34d, 34e)는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초상자성 물질층(14)의 일부와 지지 플레이트(22a)의 일부까지 덮을 수 있다. 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기-전기 변환부(34)는 홀 플레이트(34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전기 변환부(34)에 포함된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도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초상자성 물질층(14)의 일부와 지지 플레이트(22a)의 일부까지 덮을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2)는 도전성의 홀 플레이트(32a), 홀 플레이트(32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 및 홀 플레이트(32a)의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 모두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방향(z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홀 플레이트(32a)가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은 홀 플레이트(32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홀 플레이트(32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 덮을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한 일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홀 플레이트(32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덮음과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22a)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도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은 홀 플레이트(32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은 미앤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은 홀 플레이트(32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덮음과 동시에, 홀 플레이트(32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미앤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은 홀 플레이트(32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은 제2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한 일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은 홀 플레이트(32a)와 접한 상태에서, 홀 플레이트(32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d, 32e)은 미앤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홀 플레이트(32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 각각과 접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22a)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도 접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는 초상자성 물질층(12)과 자기-전기 변환부(32)를 받치는 지지 플레이트(22a), 기판(2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기둥(22f, 22g, 22h, 22i) 및 지지 플레이트(22a)와 지지 기둥(22f, 22g, 22h, 22i)의 상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1b, 21c, 21d, 21e)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둥(22f, 22g, 22h, 22i)의 높이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이 10μm이 경우, 지지 기둥(22f, 22g, 22h, 22i)의 높이는 2.5μ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2)와 기판(200) 사이의 이격 거리(h2)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외선 흡수 지지부(22)와 기판(200) 사이에서 적외선(IR) 공진이 일어날 수 있고,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로 적외선(IR) 흡수가 더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a)와 지지 기둥(22f, 22g, 22h, 22i)은 수직 방향(z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기둥(22f, 22g, 22h, 22i)는 기판(200)의 상부 표면의 네 개의 코너 영역에 각각 마련된 제1 내지 제4 지지 기둥(22f, 22g, 22h, 22i)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결부(22b, 22c, 22d, 22e)는 제1 지지 기둥(22f)의 상부와 지지 플레이트(21a)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22b), 제2 지지 기둥(22g)의 상부와 지지 플레이트(21a)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22c), 제3 지지 기둥(22h)의 상부와 지지 플레이트(21a)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22d), 제4 지지 기둥(22i)의 상부와 지지 플레이트(21a)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22e)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는 직사각형의 상부 표면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22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22a)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22a)는 얇은 판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플레이트(22a)는 직육면체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2a)는 홀 플레이트(32a)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과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의 일부도 받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2b, 32c)과 한 쌍의 검출 전극(32d, 32e)을 각각 받치는 제1 연결부(22b), 제2 연결부(22c), 제3 연결부(22d) 및 제4 연결부(2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연결부(22b, 22c, 22d, 22e)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및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 각각의 미앤더 패턴 영역을 받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연결부(22b, 22c, 22d, 22e)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1b, 31c) 및 한 쌍의 검출 전극(31d, 31e) 각각과 대응되는 미앤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4 연결부(22b, 22c, 22d, 22e)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연결부(22b, 22c, 22d, 22e)의 면적은 지지 플레이트(22a)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흡수 지지부(22)의 열적 고립 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열 에너지가 초상자성 물질층(12)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적외선 복사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효율적인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물은 예를 들어,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질화물은 예를 들어, Si3N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는 초상자성 물질층(12)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2a), 연결부(22b, 22c, 22d, 22e) 및 지지 기둥(22f, 22g, 22h, 22i) 모두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22a), 연결부(22b, 22c) 및 지지 기둥(22f, 22g)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플레이트(22a)와 연결부(22b, 22c)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 기둥(22f, 22g)은 별도의 공정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적외선 흡수 지지부(22)에 의해 초상자성 물질층(12)이 기판(2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마련되는 경우, 기판(200)과 초상자성 물질층(12)이 직접 접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열 에너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초상자성 물질층(12)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원적외선 검출 소자(1200)는 기판(200)의 상부 표면 상에 마련되는 반사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40)은 지지 플레이트(22a)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40)의 면적은 지지 플레이트(22a)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반사판(40)은 금(Au),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판(40)은 반사율이 높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2)로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2)에 의한 적외선 흡수가 더욱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검출 소자(1300)는 반사판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5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6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500)에 포함되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초상자성 물질층(15) 및 자기-전기 변환부(35)의 기능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초상자성 물질층(11) 및 자기-전기 변환부(31)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설명함에 있어, 도 2 내지 도 1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검출 소자(1500)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100),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210), 기판(210) 상에 마련되어 외부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열-전자기 검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자기장 발생부(1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균일한 세기의 자기장(H)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장(H)은 열-전자기 검출부(350)에 작용할 수 있다.
기판(210)은 열-전자기 검출부(350)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층일 수 있다. 기판(210)은 예를 들어 실리콘(Si)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21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에는 기판(210)의 일부가 식각되어 형성된 트렌치(T)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T) 내부에는 소정의 빈 공간(ES)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T)를 통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발생부(1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트렌치(T)의 깊이(h3)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입사하는 적외선의 파장이 10μm이 경우, 트렌치(T)의 깊이(h3)는 2.5μ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와 자기장 발생부(100)가 트렌치(T)의 깊이(h3)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와 자기장 발생부(100) 사이에서 적외선(IR) 공진이 일어날 수 있고,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적외선(IR) 흡수가 더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열-전자기 검출부(350)는, 기판(210)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자기장 발생부(10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H)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15), 기판(210) 상에 마련되어, 초상자성 물질층(15)을 기판(210)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5) 및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와 초상자성 물질층(15)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5)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세기와 초상자성 물질층(15)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5)는 기판(200)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전기 변환부(35)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상자성 물질층(15)은 자기-전기 변환부(3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5) 상에 자기-전기 변환부(35)와 초상자성 물질층(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상자성 물질층(15)은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와 자기-전기 변환부(36)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자기-전기 변환부(35)는 도전성의 홀 플레이트(35a), 홀 플레이트(35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 및 홀 플레이트(35a)의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 모두는 자기장 발생부(100)로부터의 자기장(H)의 방향(z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홀 플레이트(35a)가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은 홀 플레이트(35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한 일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홀 플레이트(35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 덮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홀 플레이트(35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덮음과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25a)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도 접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은 홀 플레이트(35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는 제1 방향(x축 방향)과 나란하며, 홀 플레이트(35a)로부터 멀어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은 홀 플레이트(35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를 각각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은 제2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한 일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은 홀 플레이트(35a)와 접한 상태에서, 홀 플레이트(35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는 제2 방향(y축 방향)과 나란하며, 홀 플레이트(35a)로부터 멀어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홀 플레이트(35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주 마주하는 두 모서리 각각과 접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 플레이트(25a)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도 접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는 홀 플레이트(35a)를 받치도록 트렌치(T) 상에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25a), 지지 플레이트(25a)와 이격되어 지지 플레이트(25a)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가장자리 요소(25f) 및 지지 플레이트(25a)와 가장자리 요소(25f)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5b, 25c. 25d, 25e)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a)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25a)는 얇은 판형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a)는 트렌치(T)가 형성된 영역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5a)는 홀 플레이트(35a)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과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의 일부도 받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자리 요소(25f)는 기판(210)의 상부 표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자리 요소(25f)는 트렌치(T)가 형성되고 남은 기판(210)의 가장자리 상부 표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5a)는 트렌치(T)가 형성된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가장자리 요소(25f)는 기판(210)의 가장자리 상부 표면을 덮도록 마련되므로, 가장자리 요소(25f)는 지지 플레이트(25a)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5a)와 가장자리 요소(25f)는 동일 평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5a)와 가장자리 요소(25f)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갭(G)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25a)와 가장자리 요소(25f)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25b, 25c, 25d, 25e)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연결 요소(25b, 25c, 25d, 25e)의 면적은 지지 플레이트(25a)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의 열적 고립 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열 에너지가 초상자성 물질층(15)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적외선 복사 에너지의 전기 에너지로의 효율적인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는 지지 플레이트(25a)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양단과 가장자리 요소(25f)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요소(25b)와 제2 연결 요소(25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는 지지 플레이트(25a)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단과 가장자리 요소(25f)를 연결하는 제3 연결 요소(25d)와 제4 연결 요소(25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연결 요소(25b, 25c, 25d, 25e)는 각각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와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을 받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35b, 35c)과 한 쌍의 검출 전극(35d, 35e) 각각의 홀 플레이트(35a)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은 각각 제1 연결 요소(25b), 제2 연결 요소(25c), 제3 연결 요소(25d) 및 제4 연결 요소(25e)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5a), 제1 내지 제4 연결 요소(25b, 25c, 25d, 25e) 및 가장자리 요소(25f)는 동일 평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5a), 제1 내지 제4 연결 요소(25b, 25c, 25d, 25e) 및 가장자리 요소(25f)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물은 예를 들어,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질화물은 예를 들어, Si3N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는 초상자성 물질층(15) 및 자기-전기 변환부(35)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에 의해, 초상자성 물질층(15)이 기판(210)의 트렌치(T)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ES) 상에 마련되고, 기판(210)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기판(210)과 초상자성 물질층(15)이 직접 접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열 에너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초상자성 물질층(15)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6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600)는 반사판(50)을 더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9를 설명함에 있어, 도 16 내지 도 18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원적외선 검출 소자(1600)는 자기장 발생부(100) 상부 표면 상에 마련되는 반사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판(50)은 트렌치(T)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반사판(50)은 지지 플레이트(25a)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50)의 면적은 지지 플레이트(25a)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반사판(50)은 금(Au),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판(50)은 반사율이 높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50)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에 의한 적외선 흡수가 더욱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7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700)는 자기장 발생부(100)가 트렌치(T)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0을 설명함에 있어, 도 16 내지 도 18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기판(220)에는 기판(220)의 일부가 식각되어 형성된 트렌치(T)가 마련될 수 있다. 트렌치(T) 내부에는 소정의 빈 공간(ES)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T)는 기판(220)을 완전히 관통하지는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발생부(100)는 기판(220)에 의해 덮힐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트렌치(T)의 깊이(h4)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입사하는 적외선(IR)의 파장의 1/4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입사하는 적외선의 파장이 10μm이 경우, 트렌치(T)의 깊이(h4)는 2.5μ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와 기판(220)이 트렌치(T)의 깊이(h4)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와 기판(220) 사이에서 적외선(IR) 공진이 일어날 수 있고,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적외선(IR) 흡수가 더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18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800)는 반사판(60)을 더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0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17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1을 설명함에 있어, 도 16 내지 도 18 및 도 20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검출 소자(1800)는 기판(220) 상에 마련되는 반사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판(60)은 트렌치(T)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반사판(60)은 지지 플레이트(25a)에 대응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60)의 면적은 지지 플레이트(25a)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반사판(60)은 금(Au),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판(60)은 반사율이 높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적외선 흡수 지지부(25)로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흡수 지지부(25)에 의한 적외선 흡수가 더욱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20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2000)는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T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TE)는 2차원 평면 상에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2에는 9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TE)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2000)는 무수히 많은 원적외선 검출 소자(T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2000)는 160Х120개 또는 640Х480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T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TE) 각각은 초상자성 물질층(10a)과 자기-전기 변환부(30a)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TE) 각각은,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원적외선 검출 소자(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2000)는 일체형의 자기장 발생부(130)와 일체형의 기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30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3000)는 대상체(OBJ)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3020) 및 신호처리부(3020)에 의해 처리된 전기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30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는 초상자성 물질층과 자기-전기 변환부를 이용하여, 대상체(OBJ)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따라 변하는 전기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체(OBJ)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량을 검출할 수 있다.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는,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원적외선 검출 소자(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3000)는 적외선(IR)을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소정의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3000)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IR)을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로 집광하는 집광 렌즈(3040)를 포함할 수 있다. 집광 렌즈(3040)는 적외선 집광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검출 장치(3000)는 집광 렌즈(3040)와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 사이에 마련되어, 적외선(IR)의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3050) 및 집광 렌즈(3040)와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 사이에 마련되어, 집광 렌즈(3040)를 통과한 적외선(IR)의 일부 파장 영역을 필터링하는 광학 필터(3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터(3050)는 대략 8㎛ ~ 14㎛ 정도의 파장 대역의 적외선(IR)을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학 필터(3050)의 통과 파장 대역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3020)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302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3020)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3010)가 측정한 대상체(OBJ)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량과 흑체(blackbody)의 복사 에너지량을 상대 비교하여 대상체(OBJ)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3020)에 의해 처리된 온도 신호는 디스플레이 소자(3030)로 전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3030)는 신호처리부(3020)로부터의 온도 신호를 이용하여 온도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3030)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소자(3030)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이외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표시 장치(40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열화상 표시 장치(4000)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집광하는 광학계(4010), 광학계(4010)로부터의 적외선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30),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4040) 및 신호처리부(4040)에 의해 처리된 전기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40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계(401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집광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집광 렌즈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집광시킬 수 있다.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는 초상자성 물질층과 자기-전기 변환부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적외선 복사 에너지량을 검출하는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 각각은 하나의 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는 복수 개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의 복수 개의 화소는 디스플레이 소자(405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화소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4030)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각각에 대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신호 인가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구동이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4030)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구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3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및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처리부(4040)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402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4040)의 신호 처리 동작은 제어부(4030)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대한 제어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4040)의 신호 처리 양상에 따라, 제어부(4030)가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를 제어하는 양상이 정해질 수 있다. 나아가, 신호처리부(4040)의 신호 처리는 제어부(40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4040)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소자(4050)로 전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4050)는 신호처리부(4040)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온도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4050)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소자(4050)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이외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표시 장치(4000)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가 일정한 온도 하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온도 안정부(4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안정부(4060)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40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자기장 발생부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11, 12, 14, 15, 10a: 초상자성 물질층
20, 21, 22, 25: 적외선 흡수 지지부
30, 31, 32, 34, 35, 70, 80, 90, 30a: 자기-전기 변환부
31': 기준 변환부
40, 50, 60: 반사판
100, 130: 자기장 발생부
200, 210, 220, 230: 기판
300, 310, 320, 340, 350: 열-전자기 검출부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TE: 원적외선 검출 소자
2000: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3000, 3100: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3010, 3110: 원적외선 검출 소자
3020, 3120: 신호처리부
3030, 3130: 디스플레이 소자
3040: 집광 렌즈
3050: 조리개
3060: 광학 필터
4000: 열화상 표시 장치
4010: 광학계
4020: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4030: 제어부
4040: 신호처리부
4050: 디스플레이 소자
4060: 온도 안정부

Claims (25)

  1.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상기 자화도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에 직접 흡수되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와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가 흡수한 상기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도전성의 홀 플레이트, 상기 홀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 및 상기 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모두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한, 원적외선 검출 소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받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수직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면적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작은, 원적외선 검출 소자.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미앤더 패턴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플레이트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 상에 마련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은 모두 상기 홀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을 각각 받치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지지 기둥, 제2 지지 기둥, 제3 지지 기둥 및 제4 지지 기둥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은 미앤더 패턴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은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 상에 마련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은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와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 사이에 마련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 상에 마련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식각되어 형성된 트렌치가 마련되고, 상기 홀 플레이트는 상기 트렌치 상에 마련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는,
    상기 홀 플레이트를 받치도록 상기 트렌치 상에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가장자리 요소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가장자리 요소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은 모두 상기 홀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상기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과 상기 한 쌍의 검출 전극을 각각 받치는 제1 연결 요소, 제2 연결 요소, 제3 연결 요소 및 제4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부에 마련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20. 제3 항에 있어서,
    도전성의 기준 플레이트, 상기 기준 플레이트를 덮는 보호층,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이어스 전극 및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양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검출 전극을 구비하는 기준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모두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방향과 수직하며,
    상기 자기-전기 변환부는 상기 기준 변환부와 차분 증폭 회로를 구성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21.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 각각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상기 자화도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에 직접 흡수되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와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가 흡수한 상기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기판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23.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상기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전기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상기 자화도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에 직접 흡수되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와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가 흡수한 상기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는,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장치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로 집광하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적외선의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및 상기 집광 렌즈와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집광 렌즈를 통과한 상기 적외선의 일부 파장 영역을 필터링하는 광학 필터를 더 포함하는,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25.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집광하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적외선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상기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원적외선 검출 소자 각각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 상에 마련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초상자성 물질층;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어,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흡수 지지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의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자화도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자기-전기 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상기 자화도는,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에 직접 흡수되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와 상기 적외선 흡수 지지부가 흡수한 상기 적외선 복사 에너지에 의한 상기 초상자성 물질층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는, 열화상 표시 장치.
KR1020200168726A 2020-12-04 2020-12-04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 KR20220079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26A KR20220079197A (ko) 2020-12-04 2020-12-04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
US17/386,144 US11614364B2 (en) 2020-12-04 2021-07-27 Long-wave infrared detecting element, long-wave infrared detecting element array structure, long-wave infrared temperature detecting device, and thermal ima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26A KR20220079197A (ko) 2020-12-04 2020-12-04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97A true KR20220079197A (ko) 2022-06-13

Family

ID=8184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726A KR20220079197A (ko) 2020-12-04 2020-12-04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14364B2 (ko)
KR (1) KR202200791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6796B (zh) * 2023-06-06 2024-03-15 广州鑫铂颜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大角度入射范围长波通滤光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2425A (en) 1938-08-20 1940-11-19 Bell Telephone Labor Inc Magnetic structure
US3513313A (en) 1968-12-06 1970-05-19 Sanders Associates Inc Radiation detection apparatus
US3727053A (en) 1971-05-03 1973-04-10 R Wals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adiation by means of the pyromagnetic effect
US4667157A (en) * 1984-04-03 1987-05-1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Linear Hall effect oxygen sensor with auxiliary coil magnetic field balancing
JP2710228B2 (ja) * 1994-08-11 1998-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ボロメータ型赤外線検知素子、その駆動方法、および検出用積分回路
US5722317A (en) 1996-04-15 1998-03-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Local magnetic temperature measurement for aseptic processing
US6576904B1 (en) * 1999-11-10 2003-06-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Transition edge detector technology for high performance IR focal plane arrays
EP1852687A1 (en) * 2006-05-04 2007-1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grated temperature sensor
KR20100104396A (ko) 2009-03-17 2010-09-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검체의 신호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CN102156006B (zh) 2011-03-08 2012-06-13 华中科技大学 基于顺磁特性的磁纳米粒子远程温度测量方法
ES2528865B2 (es) 2014-08-21 2015-05-12 Universidade De Santiago De Compostela Dispositivo de medida de temperatura, método de fabricación del dispositivo y sistema de medida de punto de impacto que incorpora el dispositivo
US10267680B1 (en) * 2016-07-18 2019-04-23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System for outputting a spectrum of light of a scene having optical detectors to receive light of different spectral transmittance from respective fil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8754A1 (en) 2022-06-09
US11614364B2 (en)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3523B2 (en) Single-chip referenced full-bridge magnetic field sensor
US9395423B2 (en) Current sensors,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current in a conductor
US9891292B2 (en) Monolithic three-axis linear magnetic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38959B2 (ja) 単一チップz軸線形磁気抵抗センサ
US20210208216A1 (en) Magnetic sensor and camera module
US9279866B2 (en) Magnetic sensor
EP2818884B1 (en) Magneto-resistive sensor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EP3199963B1 (en) Magnetic field sensor with multiple sense layer magnetization orientations
US20140021571A1 (en) Single-chip bridge-type magnetic field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9897667B2 (en) Magnetic field sensor with permanent magnet biasing
US6191581B1 (en) Planar thin-film magnetic field sensor for determining directional magnetic fields
US11346901B2 (en) Anisotropic magnetoresistive (AMR) sensor without set and reset device
JP7105497B2 (ja) 被変調磁気抵抗センサ
JP2009222650A (ja) 磁気センサー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US9651423B1 (en) MEMS optical device comprising a MEMS magnetic sensing mechansim and MEMS light absorbing structure
US20170160308A1 (en) Mlu based accelerometer using a magnetic tunnel junction
KR20220079197A (ko) 원적외선 검출 소자, 원적외선 검출 소자 어레이 구조, 원적외선 온도 검출 장치 및 열화상 표시 장치
CN111198341B (zh) 磁传感器及位置检测装置
US4712083A (en) Position sensor
US20210096196A1 (en) Magnetic sensor device
US11175357B2 (en) Magnetic sensor device
JP2017103378A (ja) 磁気抵抗効果素子及び磁気センサ、並びに磁気抵抗効果素子の製造方法及び磁気センサの製造方法
CN115856725B (zh) 磁传感器
CN113196077A (zh) 使用自由层交换钉扎的大场范围tmr传感器
JP2020106270A (ja) 磁気センサ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