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896A -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896A
KR20220078896A KR1020200168149A KR20200168149A KR20220078896A KR 20220078896 A KR20220078896 A KR 20220078896A KR 1020200168149 A KR1020200168149 A KR 1020200168149A KR 20200168149 A KR20200168149 A KR 20200168149A KR 20220078896 A KR20220078896 A KR 20220078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mart wall
wall
cas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718B1 (ko
Inventor
정준수
임석호
양현정
김언호
나세원
손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다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다이어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7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는 상기 습식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스마트벽체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구비되고 삽입된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핀이 상기 캡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벽체 고정장치{Smart skin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벽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기능이 접목된 스마트벽체를 습식벽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개발된 스마트 홈 기술은 통신사와 건설사가 협업하여 주로 음성인식 인공지능(AI) 스피커를 활용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IoT 가전 제어, ELEV/택시 예약 등의 스마트 홈 기술은 신축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과 AI 아파트에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AI, IoT, 개인용 스마트 기기를 단순도입하여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내외부 주거공간 자체가 정보수집 수단이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거 인프라로 진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공동주택에 적용하여 스마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나 기존 습식벽체의 리모델링 시 배선공사 문제 및 콘크리트 재질의 습식기반 프리패브 공법 건축 시 배선문제 등의 모색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6873호(2018.10.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oT 기능이 접목된 스마트벽체를 습식벽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벽체를 습식벽체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는 상기 습식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스마트벽체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구비되고 삽입된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핀이 상기 캡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일면이 상기 습식벽체와 맞대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스마트벽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에 삽입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을 상기 습식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제1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제1케이스에 내장된 상기 베어링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수직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는 일면이 상기 프레임과 맞대지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1내부공간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한 쌍의 제2고정홀과. 상기 제1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한 쌍의 제3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본체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비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과 마주보는 제2내부공간과,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한 쌍의 제4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1내부공간 및 상기 제2내부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한 쌍의 탄성체와, 상기 한 쌍의 탄성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고정핀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는 한 쌍의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2내부공간에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고정핀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을 시 상기 한 쌍의 실리더 간의 간격이 좁혀져 상기 캡에 삽입된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부가하는 경사면과, 상기 탄성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자력을 통해 상기 스마트벽체의 타면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체가 상기 고정핀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실린더 간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수직부재에 부가된 고정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마그네틱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플레이트는 일면이 자력을 통해 상기 스마트벽체의 타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틱플레이트의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중에서 상기 스마트벽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에 의하면, 스마트벽체를 습식벽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벽체를 습식벽체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를 통해 습식벽체에 설치된 스마트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과 베어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캡과 베어링을 나타낸 절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벽체에 마그네틱플레이트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벽체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를 통해 습식벽체에 설치된 스마트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과 베어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캡과 베어링을 나타낸 절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는 IoT 기능이 접목되어 습식벽체(30)의 일면에 위치하는 스마트벽체(20)를 습식벽체(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는 고정핀(100), 캡(200) 및 베어링(30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100)은 건축물의 습식벽체(3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핀(100)은 수평부재(110), 수직부재(120) 및 제1고정홀(130)을 구비할 수 있다.
수평부재(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일면이 습식벽체(30)와 맞대어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수직부재(120)는 수평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수평부재(110)와 수직을 이루도록 수평부재(110)의 타면에서 스마트벽체(20)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캡(2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고정홀(130)은 수평부재(110)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고정핀(100)을 습식벽체(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가 각각 관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핀(100)은 제1고정홀(130)을 관통하는 고정부재(40)를 통해 습식벽체(3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100)은 고정부재(40)를 통해 습식벽체(30)에 완전히 고정되기 이전에 수평부재(110)의 일면에 본드나 양면테이프 등을 구비하고 캡(200)에 수직부재(120)를 삽입하여 습식벽체(30)에 위치시켜 봄으로써 고정핀(100)이 고정될 위치를 정확하게 한 후 고정부재(40)를 통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캡(200)은 스마트벽체(20)의 일면 즉, 스마트벽체(20)의 뒷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고정되어 고정핀(100)의 수직부재(12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200)은 프레임(21)에 고정되어 베어링(300)이 내장되는 제1케이스(210), 제1케이스(210)와 결합하여 제1케이스(210)에 내장된 베어링(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케이스(220) 및 수직부재(120)가 삽입되는 삽입홈(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케이스(2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1케이스(210)는 제1본체(211), 제1내부공간(212), 제2고정홀(213), 연장부재(214) 및 제3고정홀(215)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본체(211)는 3차원의 직육면체로 구비되어 일면이 프레임(21)과 맞대어질 수 있다.
제1내부공간(212)은 제1본체(211)의 타면에 형성되어 베어링(300)이 내장될 수 있다.
제2고정홀(213)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내부공간(212)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여 제2케이스(220)를 제1케이스(2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가 관통할 수 있다.
연장부재(214)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본체(21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3고정홀(215)은 한 쌍의 연장부재(214)에 각각 형성되어 제1케이스(210)를 프레임(2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가 관통할 수 있다.
제2케이스(22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2케이스(220)는 제2본체(221), 제2내부공간(222) 및 제4고정홀(2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본체(221)는 제1본체(211)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3차원의 직육면체로 구비되어 일면이 제1내부공간(212)이 형성된 제1본체(211)의 타면과 맞대어질 수 있다.
제2내부공간(222)은 제2본체(221)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1내부공간(212)과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며 제1내부공간(212)과 마찬가지로 베어링(300)이 내장될 수 있다.
제4고정홀(223)은 제2본체(221)에 형성되되 제1케이스(210)의 제2고정홀(213)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제2케이스(220)를 제1케이스(2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가 관통할 수 있다.
한편, 베어링(300)은 캡(200)의 제1내부공간(212)과 제2내부공간(222)에 각각 구비되어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고정핀(100)의 수직부재(120)를 가압하여 고정핀(100)이 캡(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300)은 탄성체(310)와 실린더(320)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체(31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1내부공간(212) 및 제2내부공간(222)에 각각 위치하여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실린더(320)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고 탄성체(310)의 일단에 위치하여 옆면이 탄성체(310)와 맞대어지도록 구비되어 탄성체(310)에 의해 고정핀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내부공간(212)과 제2내부공간(222)에는 한 쌍의 실린더(320)가 탄성체(310)에 의해 고정핀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을 시, 한 쌍의 실리더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24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내부공간(212)과 제2내부공간(222)은 스마트벽체(20)에서 습식벽체(30) 방향으로 갈수록 밑면의 면적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경사면(240)을 따라 습식벽체(30)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는 한 쌍의 실린더(320)가 서로 간격이 좁아지면서 삽입홈(230)을 통해 삽입된 수직부재(120)의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력을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벽체(20)에 고정된 캡(200)에 습식벽체(3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핀(100)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스마트벽체(20)를 습식벽체(30)에 고정할 수 있고, 실린더(320)가 베어링(300)의 탄성체(310)에 의해 미는 힘을 받아 지속적으로 고정핀(100)의 양측을 가압하므로 스마트벽체(20)가 습식벽체(30)에 고정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내부공간(212)과 상기 제2내부공간(222)에는 고정돌기(250)가 각각 구비되어 탄성체(310)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써 탄성체(3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를 통해 습식벽체(30)에 고정된 스마트벽체(20)에 부착되는 마그네틱플레이트(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벽체에 마그네틱플레이트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는 습식벽체(30)에 고정되는 고정핀(100), 스마트벽체(20)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고정되어 고정핀(10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캡(200) 및 캡(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삽입된 고정핀(100)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핀(100)이 캡(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3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는 마그네틱플레이트(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네틱플레이트(400)는 자력을 통해 스마트벽체(20)의 타면 즉, 앞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베어링(300)의 탄성체(310)가 금속재질로 구비되므로 마그네틱플레이트(400)가 자력을 통해 스마트벽체(20)에 부착될 수 있으며, 탄성체(310)는 마그네틱플레이트(400)에 의해 고정핀(100)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실린더(320) 간의 간격이 경사면(240)에 의해 넓어지게 되어 수직부재(120)에 부가된 고정력이 상실됨으로써 스마트벽체(20)를 습식벽체(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마그네틱플레이트(4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마그네틱플레이트(400)는 일면이 자력을 통해 스마트벽체(20)의 타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410)와 플레이트부(410)의 타면에 구비되어 마그네틱플레이트(400)의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를 통해 습식벽체(30)에 고정된 스마트벽체(2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벽체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는 습식벽체(30)에 고정되는 고정핀(100), 스마트벽체(20)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21)에 고정되어 고정핀(10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캡(200) 및 캡(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삽입된 고정핀(100)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핀(100)이 캡(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3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10)는 지지부재(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재(500)는 'ㅗ'자 형태로 구비되어 스마트벽체(20)의 프레임(21) 중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프레임(21)의 하면과 결합함으로써 스마트벽체(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벽체(20)에는 길이방향으로 양쪽에 3개씩 6개의 캡(200)이 고정되고, 습식벽체(30)에는 동일한 위치에 6개의 고정핀(100)이 구비되는데 지지부재(500)를 통해 스마트벽체(20)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습식벽체(30)와 스마트벽체(20)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핀(100)과 캡(200)의 개수를 4개까지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벽체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20: 스마트벽체
21: 프레임 30: 습식벽체
40: 고정부재 100: 고정핀
110: 수평부재 120: 수직부재
130: 제1고정홀 200: 캡
210: 제1케이스 211: 제1본체
212: 제1내부공간 213: 제2고정홀
214: 연장부재 215: 제3고정홀
220: 제2케이스 221: 제2본체
222: 제2내부공간 223: 제4고정홀
230: 삽입홈 240: 경사면
250: 고정돌기 300: 베어링
310: 탄성체 320: 실린더
400: 마그네틱플레이트 410: 플레이트부
420: 손잡이부 500: 지지부재

Claims (10)

  1. IoT 기능이 접목되어 습식벽체의 일면에 위치하는 스마트벽체를 습식벽체에 고정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벽체 고정장치는 상기 습식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스마트벽체의 일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구비되고 삽입된 상기 고정핀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핀이 상기 캡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일면이 상기 습식벽체와 맞대어지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스마트벽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에 삽입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을 상기 습식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제1고정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제1케이스에 내장된 상기 베어링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수직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일면이 상기 프레임과 맞대지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1내부공간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한 쌍의 제2고정홀과.
    상기 제1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한 쌍의 제3고정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본체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비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과 마주보는 제2내부공간과,
    상기 제2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한 쌍의 제4고정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1내부공간 및 상기 제2내부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한 쌍의 탄성체와,
    상기 한 쌍의 탄성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고정핀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는 한 쌍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2내부공간에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고정핀 방향으로 미는 힘을 받을 시 상기 한 쌍의 실리더 간의 간격이 좁혀져 상기 캡에 삽입된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부가하는 경사면과,
    상기 탄성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자력을 통해 상기 스마트벽체의 타면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체가 상기 고정핀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실린더 간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수직부재에 부가된 고정력이 상실되도록 하는 마그네틱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플레이트는 일면이 자력을 통해 상기 스마트벽체의 타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틱플레이트의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중에서 상기 스마트벽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KR1020200168149A 2020-12-04 2020-12-04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KR10263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49A KR102635718B1 (ko) 2020-12-04 2020-12-04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49A KR102635718B1 (ko) 2020-12-04 2020-12-04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96A true KR20220078896A (ko) 2022-06-13
KR102635718B1 KR102635718B1 (ko) 2024-02-13

Family

ID=8198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149A KR102635718B1 (ko) 2020-12-04 2020-12-04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52A (ko) * 2004-02-19 2005-08-24 강종신 키를 갖는 파스너
KR20180116873A (ko) 2017-04-18 2018-10-26 코나에스 주식회사 스마트 홈 제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
JP2020148085A (ja) * 2019-03-06 2020-09-17 株式会社Lixil 骨組構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52A (ko) * 2004-02-19 2005-08-24 강종신 키를 갖는 파스너
KR20180116873A (ko) 2017-04-18 2018-10-26 코나에스 주식회사 스마트 홈 제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
JP2020148085A (ja) * 2019-03-06 2020-09-17 株式会社Lixil 骨組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718B1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0450776T3 (da) Fastgørelsesindretning til fastgørelse af beklædningsblokke på en bygnings vægge
KR20220078896A (ko) 스마트벽체 고정장치
USD451204S1 (en) Anti-nesting device for a post frame building
KR100459842B1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0986590B1 (ko)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CN216007637U (zh) 一种可调工字条
CN214785044U (zh) 一种快速装配的隔墙安装结构
JP4810188B2 (ja) 土台用スペーサを用いた基礎の施工方法
CN213573579U (zh) 一种ab门套
KR102280049B1 (ko) 건축물 천장 및 외벽용 마감재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KR101636881B1 (ko) 마루바닥재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루시공방법
JP6569086B2 (ja) フレーム部材及び仕切り装置
KR100590704B1 (ko) 도어패널 착탈구조
KR101754647B1 (ko) 간판 프레임
KR101935207B1 (ko) 문틀 프레임 바닥 지지 장치
CN221031120U (zh) 一种建筑用板材
CN217975885U (zh) 新型门套结构
CN218675867U (zh) 一种便于拆装的弹性形变固定按键
CN211774840U (zh) 一种装配式墙板
JP2003343072A (ja) 建物の外壁リフォーム構造
JP2009243179A (ja) 横引きドレン用段付け治具
DE60224634D1 (de) Verbindungsvorrichtung um zwei koplanare Paneele zu verbinden
JPS5830951Y2 (ja) 戸袋
JP4966024B2 (ja) 界壁の耐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