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356A -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356A
KR20220078356A KR1020200167830A KR20200167830A KR20220078356A KR 20220078356 A KR20220078356 A KR 20220078356A KR 1020200167830 A KR1020200167830 A KR 1020200167830A KR 20200167830 A KR20200167830 A KR 20200167830A KR 20220078356 A KR20220078356 A KR 2022007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density
support
density test
auxiliary devic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972B1 (ko
Inventor
이진영
주영철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0016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9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사자들의 다양한 체형과 여러 신체 부위에 대해 모두 대응할 수 있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안착되며, 일면이 상기 제1 지지대의 일측과 접촉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고정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BONE DENSITY MEASUREMENT}
본 발명은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밀도 검사 시 피검사자의 신체 위치를 유지 및 고정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골밀도 검사는 방사선 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에 골밀도를 측정한 후 결과를 수치화하여 나타내는 검사이다. 골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보조 장치에 위치 및 고정한 상태에서 에너지가 서로 다른 방사선을 신체에 조사한 뒤 이에 기초하여 골밀도를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골밀도 검사에서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 및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보조 장치는 일반 성인 체형을 기준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체구가 크거나 작은 경우, 피검사자가 불편한 검사 자세를 유지해야 하고 이로 인해 검사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는 별도의 추가 장비를 이용해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를 고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요추부 골밀도 측정 시 대퇴골을 직각이 될 수 있게 종아리 부위를 올리고 검사를 진행하는데, 사람에 따라 대퇴골의 길이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길이 차이는 대퇴골과 종아리 수직각에 변화를 야기하여 요추부 만곡에 영향을 미친다. 요추 만곡의 변화는 요추 크기 및 요추 디스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골밀도 측정 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관절 부위의 골밀도 측정 시 체형에 맞지 않는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다리의 외반 및 하지 전체의 내전각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고관절 부위의 관절간격 및 대퇴경의 길이에 영향을 주어 골밀도량 측정 시 오류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요추부와 대퇴부 골밀도 검사 시에 서로 다른 두 개의 보조 장치를 이용해 각각 피검사자의 자세를 고정한 다음 검사를 해야한다. 이로 인해 검사 업무가 지연되고 환자도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1934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피검사자들의 다양한 체형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러 신체 부위를 하나의 보조 장치로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안착되며, 일면이 상기 제1 지지대의 일측과 접촉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고정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안착홈에 피검사자의 종아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에 의해 높이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내측의 곡률 반경이 외측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복수 개의 단으로 구성되며, 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높이 조절 구멍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경사면에 피검사자의 발이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일측에 굴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와의 사이에 피검사자의 발이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1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피검사자의 발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내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는 피검사자의 여러 신체 부위에 대해 골밀도 검사를 진행할 때 복수 개의 장치를 이용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로 모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는 피검사자들의 다양한 체형에 맞춰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가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의 제1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의 제2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참고로 발명의 설명에서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에 안착 및/또는 고정되는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가 발(F)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는 팔, 팔꿈치, 허리, 어깨, 목, 하체 다양한 신체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F)은 반드시 피검사자의 발목 아래 부분에 국한되지 않는다. 발(F)은 발목 또는 종아리나 허벅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는 피검사자에 대해 골밀도 검사를 실시할 때 피검사자의 신체 일부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및 유지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는 피검자의 요추부와 대퇴부에 골밀도 검사를 할 때 피검자의 신체를 고정 및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가 이용되는 경우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 외 다른 신체 부위에 골밀도 검사를 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는 요추부와 대퇴부에 대해 골밀도 검사를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는 하우징(100), 제1 지지대(200), 고정대(300), 높이 조절 프레임(400) 및 제2 지지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의 다른 구성이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우징(100)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면과 정면이 개방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검사자는 자신의 신체, 예를 들어, 다리를 하우징(10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하여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하우징(100)은 피검사자들의 다양한 체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U자 형상을 갖는 경우, 하우징(100)은 피검사자의 신체가 삽입되는 면만 개방되거나, 그 반대편에 위치한 면도 개방될 수 있다. 즉, 대퇴부에 대해 골밀도 검사를 하는 경우, 피검사자의 다리(보다 구체적으로 발목)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하우징(100)의 닫힌 면에 막혀 그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대(200)는 피검사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되는 부재로서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00)는 하우징(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지지대(200)는 하우징(100)과 함께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대(200)는 U자 형상의 하우징(100)에 대응되도록 역U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고정대(300), 높이 조절 프레임(400) 및 제2 지지대(5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지지대(200)는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안착홈(21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착홈(210)은 제1 지지대(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10)은 제1 지지대(200)의 상면에 서로 이격하여 한 쌍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추부에 대한 골밀도 검사 시에 피검사자의 종아리 및 발(F)을 한 쌍의 안착홈(2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추가 곧게 펴지면서 요추부에 대한 골밀도 검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피검사자의 발(F)이 안착홈(210)과 접촉하는 지점은 제1 접촉점(P1)일 수 있다.
특히 안착홈(210)은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피검사자가 발(F)이 외회전되지 않도록 힘을 줄 필요 없이, 피검사자가 안착홈(210)에 발(F)을 올려두기만 하면 발이 외회전되지 않고 곧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안착홈(21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펀지 등과 같은 푹신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신체가 안착홈(210)에 안착되면, 안착홈(210)이 자연스럽게 늘어나면서 피검사자의 신체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00)는 안착홈(210)에 피검사자의 발(F)이 안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400)에 의해 높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발(F)이 안착홈(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피검사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발(F)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골밀도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고정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4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대(300)는 하우징(100)의 하부 내측면 상에 배치되며, 삽입홈(310)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홈(310)에는 높이 조절 프레임(400)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대(300)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의 다른 구성의 배치 및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높이 조절 프레임(400)은 제1 지지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 프레임(400)은 고정대(300)에 안착되며, 일면이 제1 지지대(200)의 일측과 접촉하고,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높이 조절 프레임(400)은 고정대(300)의 삽입홈(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 단부는 제1 지지대(200)의 상부 내측면과 접촉하여 제1 지지대(200)를 지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프레임(400)의 상기 일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지지대(2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높이 조절 프레임(400)은 복수 개의 단으로 구성되며, 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높이 조절 구멍(430)에 고정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제1 지지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 조절 프레임(400)은 고정부(410)와 이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10)는 고정대(300)의 삽입홈(3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고정부(410)가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동부(420)는 고정부(4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420)의 상면은 제1 지지대(200)의 상부 내측면과 접촉하며, 이에 따라 제1 지지대(200)는 이동부(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높이 조절 구멍(430)은 고정부(410) 및/또는 이동부(420)의 일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고정부(410) 및 이동부(420)에 각각 3개의 높이 조절 구멍(430)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그 개수는 조절하고자 하는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는 피검사자의 다양한 체형을 고려하여 피검사자의 발(F) 또는 종아리 등 신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발(F)이 안착홈(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높이를 위로 조절하는 경우, 이동부(420)를 높이 방향으로 올린 상태에서 고정핀(미도시)을 높이 조절 구멍(430)에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대(20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상승하여, 피검사자의 발(F)의 위치도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고정부(410) 및 이동부(420)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높이 조절 프레임(400)이 2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 프레임(400)은 복수 개의 고정부와 복수 개의 이동부를 구비하여 3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대(500)는 피검사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며, 고정대(3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대(500)는 피검사자의 발(F)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지지대(500)는 상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대(500)는 경사면(510)에 피검사자의 발(F) 또는 발목이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인 제2 방향(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발(F)은 경사면(510)에 의해 제1 각도(θ1)만큼 내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피검사자의 발(F)이 경사면(510)과 접촉하는 지점은 제2 접촉점(P2)일 수 있다. 따라서 피검사자가 발(F)을 경사면(510)에 지지하는 것만으로도 골밀도 측정 자세(특히 대퇴부 골밀도 측정 자세)를 자연스럽게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지지대(500)는 이동 바(5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바(520)는 고정대(300)와 제2 지지대(50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대(300)와 제2 지지대(5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는 이동 바(520)가 양측에 각각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제2 지지대(500)는 고정대(300)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대(500)는 하우징(100)의 하부 내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 가이드(미도시)를 통해 제2 방향(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는 피검사자들의 다양한 체형을 고려하여 피검사자들의 신체 위치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A)의 제1 지지대(200A)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와 비교했을 때, 제1 지지대(200A)의 구성이 상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A)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00A)는 안착홈(210A)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210A)은 아래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되, 내측의 곡률 반경이 외측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안착홈(210A)의 가장 깊은 지점인, 피검사자의 발(F)이 안착홈(210A)과 접촉하는 제1 접촉점(P1)을 기준으로, 안착홈(210A)은 내측의 경사가 외측의 경사보다 완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발(F)이 안착홈(210A)에 안착되면 피검사자가 의도적으로 힘을 주거나 발(F)을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의 발(F)이나 발목 또는 종아리 등이 제2 각도(θ2)만큼 내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피검사자가 발(F)을 안착홈(210A)에 올리는 것만으로도 골밀도 측정 자세(특히 요추부 골밀도 측정 자세)를 자연스럽게 취할 수 있다.
안착홈(210A)의 곡률 반경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피검사자의 발(F) 위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발(F)이 내회전 또는 외회전되지 않고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안착홈(210A)이 적절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피검사자의 발(F)이 제2 각도(θ2)로 내회전되도록 안착홈(210A)이 적절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B)의 제2 지지대(500B)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B)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와 비교했을 때, 제2 지지대(500B)의 구성이 상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B)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지지대(500B)의 경사면(510B)은 일측에 굴곡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부(530)는 경사면(510B)의 하부에 형성되어 피검사자의 발(F)과 접촉할 수 있다.
피검사자들은 다양한 체형을 가지며 발(F) 또한 크기와 형상이 모두 상이하다. 이로 인해 피검사자가 발(F)을 지지대에 안착했을 때 특정 부위만 지지대에 안착되고 나머지 부위는 지지대와 이격될 수 있다. 이는 골밀도 검사 시 피검사자가 유지해야하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어, 피검사자에게 피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검사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지지대(500B)의 경사면(510B)은 일측에 굴곡부(530)를 구비함으로써, 피검사자의 발(F)과 추가 접촉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발(F)은 경사면(510B)과 제2 접촉점(P2)에서 접촉하며, 또한 굴곡부(530)와 제3 접촉점(P3)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발(F)이 제1 각도(θ1)만큼 내회전된 상태에서 제2 지지대(500B)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는 굴곡부(530)가 경사면(510B)의 일측에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굴곡부(530)는 경사면(510B) 전체에 걸쳐 복수 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발(F)은 제2 지지대(500B)와 3개 이상의 접촉점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C)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와 비교했을 때, 고정 블록(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C)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블록(600)은 하우징(100) 및/또는 제1 지지대(2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블록(600)은 제1 지지대(2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제1 지지대(200)가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의 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고정 블록(600)은 제1 지지대(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지지대(200)의 이동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고정 블록(600)이 하우징(100) 및/또는 제1 지지대(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블록(600)은 제1 지지대(200)의 내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 가이드(미도시) 등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블록(600)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블록(6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진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면이 피검사자의 발(F)을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고정 블록(600)은 제2 지지대(500)와의 사이에 피검사자의 발(F)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발(F)이 제2 지지대(500)의 경사면(5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지지대(500)가 제2 방향(예를 들어 도 7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 블록(600)이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7의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발(F)이 제2 지지대(500)와 고정 블록(6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피검사자의 발(F)은 제2 지지대(500)와 고정 블록(600)에 의해 가압되어 내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발(F)이 고정 블록(600)과 접촉하는 점은 제4 접촉점(P4)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C)는 피검사자의 발(F)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피검사자의 대퇴부에 대해 골밀도 검사를 진행할 때 발(F)을 제1 각도(θ1)만큼 내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 블록(600)이 피검사자의 발(F)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 10A, 10B, 10C)는 피검사자의 여러 신체 부위에 대해 골밀도 검사를 진행할 때 복수 개의 장치를 이용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로 모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10, 10A, 10B, 10C)는 피검사자들의 다양한 체형에 맞춰 피검사자의 신체 부위가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10A, 10B, 10C: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Claims (10)

  1.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지지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안착되며, 일면이 상기 제1 지지대의 일측과 접촉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고정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안착홈을 구비하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안착홈에 피검사자의 종아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에 의해 높이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내측의 곡률 반경이 외측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복수 개의 단으로 구성되며, 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높이 조절 구멍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경사면에 피검사자의 발이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일측에 굴곡부를 구비하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와의 사이에 피검사자의 발이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1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하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피검사자의 발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내회전시키는, 골밀도 검사 보조 장치.
KR1020200167830A 2020-12-03 2020-12-03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KR10246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30A KR102460972B1 (ko) 2020-12-03 2020-12-03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30A KR102460972B1 (ko) 2020-12-03 2020-12-03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56A true KR20220078356A (ko) 2022-06-10
KR102460972B1 KR102460972B1 (ko) 2022-10-31

Family

ID=8198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830A KR102460972B1 (ko) 2020-12-03 2020-12-03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9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44B1 (ko) 2001-09-10 2004-02-19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거치대 일체형 골밀도 측정기
JP2007301284A (ja) * 2006-05-15 2007-11-22 Aloka Co Ltd 骨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部位固定装置
WO2016158058A1 (ja) * 2015-03-30 2016-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被検体固定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KR101765247B1 (ko) * 2016-06-09 2017-08-0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넙다리뼈목의 골밀도 측정 보조기구
KR101990492B1 (ko) * 2018-12-26 2019-06-18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44B1 (ko) 2001-09-10 2004-02-19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거치대 일체형 골밀도 측정기
JP2007301284A (ja) * 2006-05-15 2007-11-22 Aloka Co Ltd 骨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部位固定装置
WO2016158058A1 (ja) * 2015-03-30 2016-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被検体固定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KR101765247B1 (ko) * 2016-06-09 2017-08-0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넙다리뼈목의 골밀도 측정 보조기구
KR101990492B1 (ko) * 2018-12-26 2019-06-18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972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570B2 (en) Multi-section limb and ligament evalu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ing same
KR940000855B1 (ko) 골격의 입체적 분석을 위한 입체 디지타이저
US11484254B2 (en) Floating patella sensor, knee stabilizer with same and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with same
KR101569284B1 (ko)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US20230255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laxity of a joint
US12011285B2 (en) Robotic joint tes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systems for joint evaluation and testing
EP3251589A1 (en)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and patient and apparatus set-up methods
KR102460972B1 (ko)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US20180333318A1 (en) Positioning System for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90365329A1 (en)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joint equilibrium position
Rheault et al. Intertester reliability of the flexible ruler for the cervical spine
WO2020096955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Gagnon et al. Adaptation of a seated postural control measure for adult wheelchair users
JP2023548678A (ja) 眼科用デバイスのための患者位置決め装置
JP4495692B2 (ja) 生体固定装置
KR200229320Y1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JPH08243089A (ja) ずれ量の測定機
US10842439B2 (en) Biomechanical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joints
KR20200010944A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Johnston et al. Segmental definition—Part IV. Updating the differential for somatic and visceral inputs
Jones et al. Examination of the innominate movement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a positive march test
US2052452A (en) Measuring device
US11737711B2 (en) Residual joint displacement monitoring and compensation
JP2007175417A (ja) 生体固定装置
RU2254085C2 (ru) Способ компрессион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шейки бед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