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92B1 -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 Google Patents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492B1
KR101990492B1 KR1020180169816A KR20180169816A KR101990492B1 KR 101990492 B1 KR101990492 B1 KR 101990492B1 KR 1020180169816 A KR1020180169816 A KR 1020180169816A KR 20180169816 A KR20180169816 A KR 20180169816A KR 101990492 B1 KR101990492 B1 KR 10199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oot
feet
fixe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Priority to KR102018016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에 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골밀도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 과정에서 양발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에 관한 것이다. 양쪽 발(F1, F2)의 일부가 접촉되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면(111a, 111b)을 가진 고정 프레임(11); 각각의 접촉면(111a, 111b)에 설치되어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17a, 17b); 및 고정 밴드(17a, 17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122) 및 조절 유닛(122)을 작동시키는 구동 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밴드 조절 모듈(12a, 12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A Foot Securing Device for A Bone Densitometry}
본 발명은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에 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골밀도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 과정에서 양발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에 관한 것이다.
대퇴부 또는 고관절의 골밀도 측정을 위하여 엑스선 촬영, 방사선 흡수 계측,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자기 공명 영상법과 같은 검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 과정에서 인체 부위가 고정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양쪽 발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7-0000652호는 검사 대상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에 발목이 접촉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260704호는 골밀도 측정 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측정부의 일측과 타측에 손잡이를 탈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양손목 골밀도 측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대퇴부 또는 고관절의 골밀도 측정 과정에서 양발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발의 고정 압력이 조절될 수 있으면서 검사 과정에서 양발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고정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7-0000652호(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2017년02월21일 공개) 골림도 측정 보조 장치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260704호(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년05월06일 공고) 양손목 골밀도 측정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골밀도 검사 과정에서 양쪽 발이 안정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는 양쪽 발의 일부가 접촉되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면을 가진 고정 프레임; 각각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 및 고정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 및 조절 유닛을 작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진 밴드 조절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유닛은 고정 밴드가 감기고 구동 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 롤러 및 고정 밴드의 장력을 탐지하여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한하는 장력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고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는 대퇴부 또는 고관절의 골밀도 검사 과정에서 양쪽 발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는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탐지되어 고정 밴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피검자의 발의 고정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에 적용되는 밴드 조절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에 적용되는 프레임 고정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가 골밀도 검사 과정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는 양쪽 발(F1, F2)의 일부가 접촉되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면(111a, 111b)을 가진 고정 프레임(11); 각각의 접촉면(111a, 111b)에 설치되어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17a, 17b); 및 고정 밴드(17a, 17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122) 및 조절 유닛(122)을 작동시키는 구동 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밴드 조절 모듈(12a, 12b)을 포함한다.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는 검사 베드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양쪽 발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양쪽 발(F1, F2)은 고정 프레임(11)의 접촉면(111a, 111b)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은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속이 빈 터널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양쪽 발(F1, F2)의 옆쪽 부분이 각각 고정 프레임(11)의 양쪽 측면에 해당하는 접촉면(111a, 111b)에 접촉이 되고, 고정 밴드(17a, 17b)에 의하여 각각의 발(F1, F2)의 고정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밴드(17a, 17b)는 각각 밴드 조절 모듈(12a, 12b)에 고정되고, 접촉면(111a, 111b)을 관통하여 또는 접촉면(111a, 111b)의 둘러싸는 방법으로 접촉면(111a, 111b)의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밴드(17a, 17b)는 신축성을 가진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밴드 조절 모듈(12a, 12b)은 각각의 접촉면(111a, 111b)의 안쪽에 고정될 수 있고, 접촉면(111a, 111b)의 안쪽 면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121); 고정 베이스(121)에 고정되거나, 고정 베이스(12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조절 유닛(122); 및 조절 유닛(122)의 작동을 위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베이스(121)는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접촉면(111a, 111b)의 안쪽 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베이스(121)의 위쪽 면에 조절 유닛(122)이 설치되어 고정 밴드(17a, 17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 유닛(122)은 예를 들어 구동 수단(123)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밴드(17a, 17b)의 한쪽 끝은 회전 롤러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접촉면(111a, 111b)에서 발(F1, F2)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띠를 형성한 후 회전 롤러에 감길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원형 띠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발(F1, F2)이 접촉면(111a, 111b)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 유닛(122)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프레임(11)의 바닥면(112)에 바닥 고정 모듈(13)이 설치될 수 있고, 바닥 고정 모듈(13)은 바닥면(11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블록(131); 고정 블록(131)의 위쪽 면에 결합되는 안정 유닛(132); 및 안정 유닛(132)에 형성되는 기준 설정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고정 모듈(13)은 아래쪽에서 다시 설명된다.
고정 프레임(11)의 위쪽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제어 모듈(14)이 설치될 수 있고, 제어 모듈(14)에 작동 수단(15) 및 탐지 처리 유닛(16)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처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밴드 조절 모듈(12a, 12b)과 연결되어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작동 수단(15)은 작동 스위치 또는 고정 압력 설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탐지 처리 유닛(16)에 의하여 밴드 조절 모듈(12a, 12b)에서 탐지된 고정 밴드(17a, 17b)의 장력 정보 또는 수평 정보가 처리되어 제어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14)은 탐지 처리 유닛(16)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밴드 조절 모듈(12a, 12b)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은 다양한 방법으로 밴드 조절 모듈(12a, 12b)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에 적용되는 밴드 조절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절 유닛(122)은 고정 밴드(17a, 17b)가 감기고 구동 수단(123)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 롤러(22) 및 고정 밴드(17a, 17b)의 장력을 탐지하여 구동 수단(123)의 작동을 제한하는 장력 조절 유닛(221)을 포함한다. 고정 베이스(121)에 의하여 밴드 조절 모듈(12a)이 고정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베이스(121)의 위쪽에 고정 베이스(121)에 대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조절 기판(21)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오른쪽에 고정 베이스(121)의 위쪽 면과 이에 결합되는 조절 기판(21)의 아래쪽 면이 제시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121)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선형 결합 홈(222, 223)이 형성되고, 조절 기판(21)에 조절 홀(211, 212)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 홀(211, 212)과 선형 결합 홈(222, 223)에 고정 스크루 또는 고정 볼트가 결합되면서 조절 홀(211, 212)의 결합 위치가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조절 기판(21)의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 기판(21)은 다양한 이동 가능한 구조로 고정 베이스(121)에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절 기판(21)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 축(23a, 23b)이 설치되고, 고정 축(23a, 23b)에 베어링 또는 부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회전 롤러(2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롤러(22)의 한쪽 축이 조절 기판(21)에 설치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123)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밴드(17a)의 길이가 회전 롤러(2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발이 접촉면에 고정되거나, 접촉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회전 롤러(22) 또는 구동 수단(123)과 연결되는 작동 축에 장력 조절 유닛(221)이 설치되어 고정 밴드(17a)의 장력이 탐지되면서 정해진 기준 이상의 장력이 탐지되면 구동 수단(123)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구동 수단(123)의 작동은 제어 모듈 또는 작동 수단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장력 조절 유닛(221)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장력 조절 유닛(221)은 탐지된 장력을 제어 모듈로 전송할 수 있고,제어 모듈은 구동 수단(123)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장력 조절 유닛(221)은 제어 모듈과 독립적으로 구동 수단(123)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밴드 조절 모듈(12a, 12b)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에 적용되는 프레임 고정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은 검사를 위하여 피검사자가 위치하는 베드(B)에 위치할 수 있고, 고정 프레임의 바닥면(112)에 바닥 고정 모듈(13)이 설치될 수 있다. 바닥 고정 모듈(13)은 바닥면(11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 블록(131); 고정 블록(131)의 위쪽 면에 결합되는 안정 유닛(132); 및 안정 유닛(132)에 형성되는 기준 설정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블록(131)에 안정 블록(31)이 설치될 수 있고, 안정 블록(31)에 바닥면(1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정 부재(32a, 32b)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안정 부재(32a, 32b)의 각각의 끝 부분에 수직 부재(33a, 33b)가 설치될 수 있고, 수직 부재(33a, 33b)의 끝 부분에 접착 판(34a, 34b)이 설치될 수 있다. 접착 판(34a, 34b)은 베드(B)가 평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아래쪽 부분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부착 수단이 결합되어 바닥 고정 모듈(13)이 안정적으로 베드(B)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고정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베드(B)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안정 블록(31)의 위쪽에 기준 설정 유닛(133)이 설치되어 바닥면(112)의 연장 방향이 탐지되어 제어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연장 방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 모듈에 의하여 경고가 발생될 수 있다.
바닥 고정 모듈(13)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가 골밀도 검사 과정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사 평면(41)에 피검사자(42)가 위치할 수 있고, 대퇴부 또는 고관절의 골밀도 검사를 위하여 발 고정 기기가 발의 고정을 위하여 검사 평면(41)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의 접촉면에 발을 고정하기 위하여 발이 고정 밴드(17a, 17b)에 삽입될 수 있고, 제어 모듈(14)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 수단(123)이 작동되어 고정 밴드(17a, 17b)에 의하여 양쪽 발이 발 고정 기기의 접촉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장력 조절 수단 또는 다른 탐지 수단에 의하여 고정 밴드(17a, 17b)의 압력 또는 장력이 탐지되어 제어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14)은 구동 수단(123)의 작동을 조절하여 고정 밴드(17a, 17b)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가 완료된 이후 고정 밴드(17a, 17b)로부터 양쪽 발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발 고정 기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는 대퇴부 또는 고관절의 골밀도 검사 과정에서 양쪽 발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 고정 기기는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탐지되어 고정 밴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피검자의 발의 고정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고정 프레임 12a, 12b: 밴드 조절 모듈
13: 바닥 고정 모듈 14: 제어 모듈
15: 작동 수단 16: 탐지 처리 유닛
17a, 17b: 고정 밴드 21: 조절 기판
22: 회전 롤러 23a, 23b: 고정 축
31: 안정 블록 32a, 32b: 안정 부재
33a, 33b: 수직 부재 34a, 34b: 접착 판
41: 검사 평면 42: 피검사자
111a, 111b: 접촉면 112: 바닥면
121: 고정 베이스 122: 조절 유닛
123: 구동 수단 131: 고정 블록
132: 안정 유닛 133: 기준 설정 유닛
211, 212: 조절 홀 221: 장력 조절 유닛
222, 223: 선형 결합 홈 B: 베드
F1, F2: 발

Claims (3)

  1. 양쪽 발(F1, F2)의 일부가 접촉되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면(111a, 111b)을 가진 고정 프레임(11);
    각각의 접촉면(111a, 111b)에 설치되어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17a, 17b); 및
    고정 밴드(17a, 17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122) 및 조절 유닛(122)을 작동시키는 구동 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밴드 조절 모듈(12a, 12b)을 포함하는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절 유닛(122)은 고정 밴드(17a, 17b)가 감기고 구동 수단(123)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 롤러(22) 및 고정 밴드(17a, 17b)의 장력을 탐지하여 구동 수단(123)의 작동을 제한하는 장력 조절 유닛(221)을 더 포함하는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11)의 바닥면(112)에 설치되는 바닥 고정 모듈(13)을 더 포함하는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KR1020180169816A 2018-12-26 2018-12-26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KR10199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816A KR101990492B1 (ko) 2018-12-26 2018-12-26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816A KR101990492B1 (ko) 2018-12-26 2018-12-26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492B1 true KR101990492B1 (ko) 2019-06-18

Family

ID=6710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816A KR101990492B1 (ko) 2018-12-26 2018-12-26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56A (ko) * 2020-12-03 2022-06-1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239A (ko) * 2002-06-26 2002-08-07 (주)휴먼테크 초음파 골밀도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100435879B1 (ko) * 2001-10-26 2004-06-11 주식회사 비.엠.텍 21 초음파 골밀도 측정 장치
JP2006311916A (ja) * 2005-05-09 2006-11-16 Furuno Electric Co Ltd 超音波骨密度測定装置
KR101260704B1 (ko) 2012-11-21 2013-05-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손목 골밀도 측정장치
KR20170000652U (ko) 2015-08-11 2017-02-2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79B1 (ko) * 2001-10-26 2004-06-11 주식회사 비.엠.텍 21 초음파 골밀도 측정 장치
KR20020064239A (ko) * 2002-06-26 2002-08-07 (주)휴먼테크 초음파 골밀도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JP2006311916A (ja) * 2005-05-09 2006-11-16 Furuno Electric Co Ltd 超音波骨密度測定装置
KR101260704B1 (ko) 2012-11-21 2013-05-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손목 골밀도 측정장치
KR20170000652U (ko) 2015-08-11 2017-02-2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골밀도 측정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56A (ko) * 2020-12-03 2022-06-1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KR102460972B1 (ko) * 2020-12-03 2022-10-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골밀도 측정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9806B2 (ja) 医療現像用下肢圧迫装置
KR101990492B1 (ko) 골밀도 검사용 발 고정 기기
US79764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ligament strain measurement
DE60309207D1 (de) Bestrahlungssystem mit innerem und äusserem lager für die präzise positionierung beim drehen des inneren lagers
US20230255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laxity of a joint
US4316091A (en) CT Scanner
KR102179353B1 (ko)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US9848798B2 (en) Positioning apparatus
JP2008536591A (ja) 磁気共鳴装置での使用に適したエルゴメータ
US10517551B2 (e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5137290A1 (ja) 施術台
CN117281713A (zh) 一种穿戴式下肢外骨骼机器人
US202301810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laxity of a joint
King et al. Bioelectrical impedance: a new method for measuring post-traumatic swelling
Floerkemeier et al. Comparison of various types of stiffness as predictors of the load-bearing capacity of callus tissue
KR100966883B1 (ko) 천정형 x선 촬영장치
JP4917397B2 (ja) 身体固定補助装置
CN208756424U (zh) 一种医用彩超检查床
JP2716085B2 (ja) 姿勢安定性評価装置
CN206499473U (zh) X射线成像设备的皮带张紧装置及x射线成像设备
KR101447544B1 (ko) 이동형 x선 투시촬영장치
CN219516317U (zh) C形臂x射线机托座和托座用滚轮结构和托座用传动结构
CN220084356U (zh) 测试装置
CN218960764U (zh) 一种膝关节轴位固定用构件
CN102885634A (zh) 具有振动稳定部件的x射线成像设备及操作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