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833A -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 Google Patents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833A
KR20180032833A KR1020160121965A KR20160121965A KR20180032833A KR 20180032833 A KR20180032833 A KR 20180032833A KR 1020160121965 A KR1020160121965 A KR 1020160121965A KR 20160121965 A KR20160121965 A KR 20160121965A KR 20180032833 A KR20180032833 A KR 20180032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guide portion
sub
head positioning
tom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860B1 (ko
Inventor
강찬
정덕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충남대학교병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충남대학교병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 (충남대학교병원장)
Priority to KR102016012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8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정밀한 관절염 등의 검사가 가능한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단층 촬영 장치는 내측에 보어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보어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된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다리 지지부를 가지지며, 상기 단층 촬영 장치는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COMPUTED TOMOGRAPHY DEVICE AND SUPPLEMENT DEVICE FOR COMPUTED TOMOGRAPHY}
본 발명은 정밀한 검사를 위하여 단층 촬영 보완 장치로 보완된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상기 단층 촬영 보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층 촬영 장치(Computed Tomography device)는 인체의 전신 또는 일부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인체의 주고나 조직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단층 촬영 장치는 인체 내부의 병변과 같은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단층 촬영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기 도 1 및 도 2의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층 촬영 장치의 내부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단층 촬영 장치(100)는 보어(112)가 형성된 하우징(110), 거치부(114) 및 지지부(116)를 포함한다.
환자(P)는 거치부(114)에 누운 상태로 하여 거치부(114)의 이동에 따라 보어(112)로 이동한다.
환자(P)가 보어(112)로 이동하면, 하우징(110)의 내부의 방사선 조사 장치(210)가 환자(P)로 방사선을 조사하며, 방사선 검사 장치(212)가 조사된 방사선을 검출한다.
이러한 단층 촬영 장치(100)는 관절염 등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검사할 수는 있다. 그러나, 최근 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됨에 따라 더 성능이 우수한 단층 촬영 장치가 요구된다.
다만, 최신의 단층 촬영 장치는 상당히 고가이어서 매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형 병원에서조차 새로운 단층 촬영 장치를 구매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단층 촬영 장치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 관절염 등을 정확하게 검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고성능의 단층 촬영 장치일 수록 방사선 조사량이 일반적으로 많으며, 따라서 최신 단층 촬영 장치는 기존의 단층 촬영 장치에 비하여 인체에 더 해로울 수밖에 없다.
KR 10-2014-0064597 A
본 발명은 정밀한 관절염 등의 검사가 가능한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는 내측에 보어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보어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된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다리 지지부를 가지지며, 상기 단층 촬영 장치는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환자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들;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가 눕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들; 및 상기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환자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이 수행되고, 상기 다리 지지부에서 상기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부분은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장치의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환자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가 눕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는 제 1 서브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 2 서브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키에 따라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가 일체로 하여 위치가 가변된다.
본 발명에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사용하므로, 상기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는 단층 촬영 장치가 더 정밀하게 관절을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층 촬영 장치의 내부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환자가 누워 있는 상태의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단층 촬영 결과와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는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단층 촬영 결과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층 촬영 장치(Computed tomography device) 및 이에 사용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층 촬영 보완 장치로 기존의 단층 촬영 장치를 보완하여 더 정밀한 단층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활용하는 단층 촬영 장치는 다리의 관절(예를 들어 슬관절, 족부족관절 등)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현재 사용하는 단층 촬영 장치는 2차원적인 변형과 관절염만 관찰할 수 있을 뿐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단층 촬영 장치에 본 발명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보완하면, 상기 단층 촬영 장치로 정밀한 단층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서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단층 촬영 장치보다 더 정밀한 단층 촬영 장치를 새로 구매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단층 촬영 장치가 상당히 고가이어서 대형 병원에서조차 최신 단층 촬영 장치로 단층 촬영 장치를 교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더 정밀한 단층 촬영 장치는 검사시 더 높은 방사산을 조사하는 장비이므로, 인체에 더 유해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새로운 단층 촬영 장치를 구매할 때 비용의 1/800도 안되는 저가의 장치이다. 이러한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기존의 단층 촬영 장치에 활용하면, 최신 단층 촬영 장치와 동일한 정밀도를 가지는 단층 촬영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물론, 병변의 정확한 위치 파악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이용하면 적은 비용으로 정밀한 단층 촬영을 실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최신 단층 촬영 장치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또한, 검사시 방사선 조사량도 늘어나지도 않으므로, 인체에 덜 유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장치(300)는 중앙 부근에 보어(311)가 형성된 하우징(310), 거치부(312), 지지부(314) 및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를 포함한다.
거치될 대상, 예를 들어 환자(P)는 거치부(312) 위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에 안착된 후 거치부(312)에 의해 하우징(310) 중앙의 보어(311) 내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상태에서 방사선을 환자(P)에 조사하여 단층 촬영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310) 내부에는 갠트리가 설치되고, 갠트리는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선 조사부는 환자(P)가 보어(311)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환자(P)에게 방사선, 예를 들어 X선(뢴트겐선)을 조사한다.
상기 방사선 검출부는 환자(P)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방사선 조사부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환자(P)를 관통하여 수신되는 방사선을 검출한다.
즉, 상기 단층 촬영 장치는 환자(P)를 보어(311) 내에 위치시킨 후 방사선 조사부를 통하여 환자(P)에게 방사선을 조사하고 방사선 검출부를 통하여 환자(P)를 관통하여 수신되는 방사선을 검출한다. 특히, 갠트리는 외부 제어 장치(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며, 따라서 상기 단층 촬영 장치는 환자(P)의 신체를 전체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지지부(314)는 거치부(31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하우징(310), 거치부(312) 및 지지부(314)는 기존의 단층 촬영 장치에도 있는 구성요소들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에 대하여만 자세히 상술하겠다.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는 거치부(312) 위에 배열되며, 환자(P)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는 환자(P)의 다리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다리의 관절 검사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는 안착부(320), 가이드부(322), 머리 위치 결정부(324) 및 다리 지지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20)는 거치부(312) 위에 놓이되, 거치부(312)와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안착부(320)는 거치부(312)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지만, 기존의 단층 촬영 장치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볼 때 거치부(312)와 결합됨이 없이 거치부(312) 위에 놓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안착부(320)를 거치부(312)에 결합시키지 않으면,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를 하나의 단층 촬영 장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단층 촬영 장치들에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320)는 거치부(3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자(P)를 안착해야 하므로, 거치부(312) 및 안착부(320)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환자(P)가 안착부(320) 위에 온전히 누워야 하므로, 안착부(320)의 길이는 평균 환자(P)의 키보다 큰 것이 유리하다.
가이드부(322)는 환자(P)가 누울 위치를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자(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들(322) 사이에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가이드부(322)는 환자(P)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고정시키고 머리 위치 결정부(324)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환자(P) 마다 키가 다르므로, 환자(P)에 맞춰서 머리 위치 결정부(324)의 위치가 달라져야 한다. 이 경우, 머리 위치 결정부(324)는 가이드부(322)에 의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가이드부들(322)이 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현되고, 가이드부들(322) 상에 각기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환자(P)의 키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을 통하여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해당 가이드부(322) 상에서 상기 키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322)는 상면 또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 1 서브 가이드부 및 상기 홈으로 삽입되는 돌출 형태의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제 2 서브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머리 위치 결정부(324)는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환자(P)의 키에 따라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결합된 제 2 서브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의 특정 위치들 사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에 스토퍼(Stopper)가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슬라이드 방식을 이용하는 한 가이드부(322)의 구현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가이드부들(322)이 각기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각 가이드부들(322) 상에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환자(P)의 키에 따라 해당 탄성체가 늘어났다가 단층 촬영 완료 후 환자(P)가 몸을 일으키면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322)는 제 1 서브 가이드부 및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연결된 제 2 서브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는 동일한 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머리 위치 결정부(324)는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P)가 누우면 이에 맞춰서 상기 제 2 서브 가이부가 늘어난 후 환자(P)의 어깨를 지지할 것이며, 환자(P)가 일어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물론, 탄성력을 이용하는 한 가이드부(322)의 구현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가이드부(322)에 결합되되, 환자(P)의 키에 맞춰서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수동적으로 가이드부(32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호사가 환자(P)의 키에 맞춰서 수동으로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가이드부(322)의 희망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환자(P)가 누움에 따라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이동하는 방식이 아닌, 사용자가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가이드부(322) 상에서 적절히 들어서 희망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가이드부(322) 상에서 수동적으로 이동시키는 한, 가이드부(322)의 구현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머리 위치 결정부(324)는 환자(P)의 머리 위치를 특정하는 것으로서, 기구적으로는 환자(P)의 양 어깨를 지지할 수 있다.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가이드부(322) 상에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한, 머리 위치 결정부(324)와 가이드부(322)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리 지지부(326)는 환자(P)의 다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환자(P)가 검사를 받기 위하여 누우면, 다리 지지부(326)의 의해 환자(P)의 다리가 지지된다. 다만, 환자(P)의 다리가 다리 지지부(326)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야 하므로, 다리 지지부(326)는 강도가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 지지부(326)는 강도 있는 스트리폼 등과 같이 기설정값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리 지지부(326)가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아야만, 환자(P) 다리의 단층 촬영이 더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리 지지부(326)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환자(P)의 다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다리 지지부(326)의 부재는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 지지부(326)는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지만, 상하로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자동화를 위해서는 다리 지지부(326)를 안착부(320) 상에서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엘리먼트, 예를 들어 모터 등이 필요하다. 다만, 다리 지지부(326)가 자동으로 움직이는 한, 자동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종래의 자동화 움직임 방법이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는 거치부(312) 상에 위치한 상태로 환자(P)를 안착시키되, 환자(P)의 머리 위치는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통하여 결정하고 다리 지지부(326)를 통하여 환자(P)의 다리를 지지시킨다. 단층 촬영시 환자(P)의 다리가 견고하게 지지되면, 다리의 관절이 더 정밀하게 촬영될 수 있고, 그 결과 병변의 정확한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9 내지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세 내용은 해당 도면들에서 상술될 것이다.
종래의 단층 촬영 장치는 환자(P)의 다리를 지지하지 않은 상태로 단층 촬영을 수행하였으며, 다리의 관절 검사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병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장치(300)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를 이용하여 환자(P)의 다리를 견고하게 지지시킨 상태로 단층 촬영을 수행하므로, 단층 촬영 장치(300)는 환자(P)의 다리 관절을 더 정밀하게 검사하고 병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에 맞는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하, 단층 촬영 보완 장치(316)의 구현 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포함하는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환자가 누워 있는 상태의 단층 촬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촬영 보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슬라이딩 방식, 탄성 방식이 아닌 환자(P)의 키에 맞춰서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수동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안착부(320)는 거치부(312) 위에 놓이며, 환자(P)가 온전히 누울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환자(P)의 키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안착부(320) 위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가이드부들(322a 및 322b)이 배열된다. 이 때, 가이드부들(322a 및 322b)은 안착부(320) 위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들(322a 및 322b)의 구조가 서로 동일하므로, 하나의 가이드부(322)의 구조만을 살펴보겠다.
가이드부(322)는 제 1 서브 가이드부(400) 및 제 2 서브 가이드부(4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서브 가이드부(402)는 제 1 서브 가이드부(400) 상부에서 제 1 서브 가이드부(400)와 치합된다.
제 1 서브 가이드부(400)는 제 1 베이스부(600), 제 1 베이스부(600)로부터 돌출된 제 1 돌출부들(602) 및 제 1 돌출부들(602) 사이의 제 1 홈들(6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돌출부들(602)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제 2 서브 가이드부(402)는 제 2 베이스부(610), 제 2 베이스부(610)로부터 돌출된 제 2 돌출부들(612) 및 제 2 돌출부들(612) 사이의 제 2 홈들(6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돌출부들(612)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부들(612) 사이의 간격은 제 1 돌출부들(61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제 1 서브 가이드부(400)의 제 1 돌출부들(602)은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의 제 2 홈들(614)에 삽입되고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의 제 2 돌출부들(612)은 제 1 서브 가이드부(400)의 제 1 홈들(604)에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서브 가이드부(400)와 제 2 서브 가이드부(402)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될 수 있다.
머리 위치 결정부(324)는 가이드부(322)의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의 제 2 베이스부(61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 위치 결정부(324)는 연결부(404)를 통하여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머리 위치 결정부(324)는 연결부(404)의 종단에 결합되고, 연결부(404)의 배면이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의 제 2 베이스부(610)의 배면에 면대면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에 적어도 하나의 홀(800)이 형성되고 연결부(404)에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630 또는 632)가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의 홀(800)을 통과하여 연결부(404)의 홈 또는 홀에 체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서브 가이드부(402)가 볼트(630 또는 632)를 통하여 연결부(40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손으로 잡고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머리 위치 결정부(324), 연결부(404) 및 제 2 서브 가이드부(402)가 일체로 들어 올려진다. 사용자가 환자(P)의 키에 맞춰서 제 2 서브 가이드부(402)의 제 2 돌출부들(612)을 제 1 서브 가이드부(400)의 제 1 홈들(604)에 삽입하면, 머리 위치 결정부(324), 연결부(404) 및 제 2 서브 가이드부(402)가 일체로 하여 제 1 서브 가이드부(400)에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환자(P)의 키에 맞는 적당한 위치로 배열시킨다. 다만, 슬라이딩 방식이 아니므로, 제 1 서브 가이드부(400)와 제 2 서브 가이드부(402)가 결합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밀더라도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가 수동 방식을 사용하므로, 슬라이딩 방식 또는 탄성 방식에 비하여 머리 위치 결정부(324)를 이동시키는데 편리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 머리 위치 결정부(324)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환자(P)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장치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탄성 방식의 단층 촬영 장치에 비하여 더 정밀한 단층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다리 지지부(326)는 제 1 서브 다리 지지부(410) 및 제 2 서브 다리 지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다리 지지부(410)는 안착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32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서브 다리 지지부(410)는 나무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서브 다리 지지부(410)가 방사선을 적지만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서브 다리 지지부(410) 전단에 제 2 서브 다리 지지부(412)를 배치할 수 있으며, 환자(P)의 발은 제 2 서브 다리 지지부(412)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제 2 서브 다리 지지부(412)는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P)의 발과 접촉하는 서브 다리 지지부가 방사선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때에 비하여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층 촬영이 더 정밀하게 실현될 수 있음이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머리 받침부(406)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머리 받침부(406)는 환자(P)가 단층 촬영 보완 장치 위에 누울 때 환자(P)의 머리를 편하게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부(620), 수평부들(622) 및 수직부들(6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620)의 일측에 수평부(622) 및 수평부(622)와 베이스부(620)를 연결하는 수직부(624)가 형성되고, 타측 또한 수평부(622) 및 수평부(622)와 베이스부(620)를 연결하는 수직부(6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부들(622)은 각기 베이스부(620)에 수직하게 배열된다.
수평부들(622) 중 하나는 제 2 서브 가이드부들(402) 상의 연결부(404) 위에 놓이며, 다른 하나는 다른 제 2 서브 가이드부(402) 상의 연결부(404) 위에 놓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P)의 머리가 머리 받침부(406)의 베이스부(620) 위에 놓이게 된다.
한편, 환자(P)의 머리를 더 편안하게 받치기 위하여, 머리 받침부(406)의 베이스부(620) 위에 적어도 하나의 머리 지지부(414)가 배열될 수도 있다.
이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단층 촬영 장치와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는 단층 촬영 장치의 단층 촬영 결과를 살펴보겠다.
도 9 내지 도 14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단층 촬영 결과와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는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단층 촬영 결과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퇴행성 관절염인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의 단층 촬영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9의 (A)는 일반 단층 촬영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결과이고, 도 9의 (B)는 본 실시예의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사용하는 단층 촬영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결과이다.
골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하여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관절의 정밀한 단층 촬영이 필요하다.
일반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없는 것으로 단층 촬영되었다.
반면에,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발견되었으며, 관절염의 정도와 위치가 정확히 보여진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관절염에 맞는 치료 계획을 정확히 세울 수 있다.
도 10은 다른 골관절염 단층 촬영 사진이다. 일반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없는 것으로 단층 촬영되었다.
반면에,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발견되었으며, 관절염의 정도와 위치까지 정확히 파악되었다.
도 11은 또 다른 관절염 단층 촬영 사진이다. 일반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없는 것으로 단층 촬영되었다.
반면에,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발견되었으며, 관절염의 정도와 위치까지 정확히 파악되었다.
도 12는 Talus Plantarflexion과 관련된 관절의 단층 촬영 사진이다. 일반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없는 것으로 단층 촬영되었다.
반면에,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발견되었다.
도 13은 Heel Valgus와 관련된 관절의 단층 촬영 사진이다. 일반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없는 것으로 단층 촬영되었다.
반면에,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발견되었고, 관절의 변형 정도와 위치가 정확히 파악된다.
도 14는 Subtalar Joint Impinge와 관련된 관절의 단층 촬영 사진이다. 일반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없는 것으로 단층 촬영되었다.
반면에,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이용한 단층 촬영 장치로 검사하였을 경우,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염이 발견되었고, 관절염의 정도와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00 : 단층 촬영 장치 310 : 하우징
311 : 보어 312 : 거치부
314 : 지지부 316 : 단층 촬영 보완 장치
320 : 안착부 322 : 가이드부
324 : 머리 위치 결정부 326 : 다리 지지부

Claims (22)

  1. 단층 촬영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보어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보어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된 단층 촬영 보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다리 지지부를 가지지며, 상기 단층 촬영 장치는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부재는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촬영 보완 장치는,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가 누울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들; 및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가 눕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들 각각은 대응하는 가이드부 상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들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거치부 위에 분리된 상태로 배열되며, 평균 환자의 키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가 상기 환자의 키에 따라 해당 가이드부 상에서 위치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탄성 방식으로 상기 환자가 누움에 따라 해당 가이드부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는 제 1 서브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 2 서브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키에 맞도록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의 위치가 일체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 상에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들 및 상기 제 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는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베이스부 상에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들 및 상기 제 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홈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돌출부들이 상기 제 2 홈들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들이 상기 제 1 홈들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를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와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는 면대면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머리 받침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머리 받침부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들 중 하나의 연결부 위에 배열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의 타단은 다른 가이드부의 연결부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장치.
  11. 단층 촬영 장치의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환자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들;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가 눕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들; 및
    상기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들 각각은 대응하는 가이드부 상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들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부재는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가 상기 환자의 키에 따라 해당 가이드부 상에서 위치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는 제 1 서브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 2 서브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키에 맞도록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의 위치가 일체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 상에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들 및 상기 제 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는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베이스부 상에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들 및 상기 제 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홈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돌출부들이 상기 제 2 홈들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들이 상기 제 1 홈들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를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와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는 면대면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머리 받침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머리 받침부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들 중 하나의 연결부 위에 배열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의 타단은 다른 가이드부의 연결부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19. 단층 촬영 장치의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환자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이 수행되고, 상기 다리 지지부에서 상기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부분은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20. 단층 촬영 장치의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위에 배열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환자의 머리 위치를 결정하는 머리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가 눕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는 제 1 서브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 2 서브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키에 따라 상기 머리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가 일체로 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위에 배열되며, 상기 환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환자의 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단층 촬영이 수행되고, 상기 다리 지지부에서 상기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부분은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 상에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들 및 상기 제 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는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베이스부 상에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들 및 상기 제 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홈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돌출부들이 상기 제 2 홈들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들이 상기 제 1 홈들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서브 가이드부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KR1020160121965A 2016-09-23 2016-09-23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KR10185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65A KR101856860B1 (ko) 2016-09-23 2016-09-23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65A KR101856860B1 (ko) 2016-09-23 2016-09-23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33A true KR20180032833A (ko) 2018-04-02
KR101856860B1 KR101856860B1 (ko) 2018-05-14

Family

ID=6197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965A KR101856860B1 (ko) 2016-09-23 2016-09-23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6520A (zh) * 2019-07-09 2022-03-01 忠南大学医院 用于移除外科手术多边形锁定螺钉的设备
KR20220081683A (ko) * 2020-12-09 2022-06-16 충남대학교병원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284B1 (ko) 2014-07-25 2015-11-16 권대철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6520A (zh) * 2019-07-09 2022-03-01 忠南大学医院 用于移除外科手术多边形锁定螺钉的设备
KR20220081683A (ko) * 2020-12-09 2022-06-16 충남대학교병원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860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284B1 (ko)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US9078628B2 (en) Off-magnet patient scan positioning
US10111625B2 (en) Biops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U2676858C2 (ru) Систем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ступни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й по магнитно-резонансн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US8699670B2 (en) Method for geometrically correct association of 3D image data of a patient
KR100769615B1 (ko) 방사선 촬영장치
US9177681B2 (en) Base for radiographic device
EP2736414B1 (en) 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phanto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856860B1 (ko)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US20160157793A1 (en) Device to assist with an examination of the knee
KR20180056684A (ko) 사지용 정위 고정 프레임
US20150208980A1 (en) Alignment frame for weight-bearing imaging of knee
KR102554381B1 (ko)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US7174587B2 (en) Patient positioning device for radiation therapy
US8395120B2 (en) Bidirectional optical scanner assisting in mammography
CN213696953U (zh) 影像设备的配准测量装置及具有其的医用成像系统
KR102618235B1 (ko)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US20240081755A1 (en) Weightbearing simul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mage a subject
KR102612786B1 (ko) 과간와 후전축방향 방사선 촬영용 지지기구
JP7310923B2 (ja) X線撮影用被検体固定具およびx線撮影システム
JP2005095509A (ja) X線撮影装置
TW201215375A (en) Bidirectional optical scanner assisting in mammography
JPH10328176A (ja) Ct装置の乳房撮影方法及び乳房撮影用アクセサリ
RU4826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нтгенодиагностики продольного плоскостопия
JP2017093521A (ja) 乳房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