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83A -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683A
KR20220081683A KR1020200171457A KR20200171457A KR20220081683A KR 20220081683 A KR20220081683 A KR 20220081683A KR 1020200171457 A KR1020200171457 A KR 1020200171457A KR 20200171457 A KR20200171457 A KR 20200171457A KR 20220081683 A KR20220081683 A KR 20220081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atient
shoulder
human body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017B1 (ko
Inventor
김병모
이향섭
한성곤
송재용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17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0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4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14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및 인체부하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RI검사 시 환자에게 부하를 제공할 수 있는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및 인체부하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누운 환자의 인체에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로서, 상기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는 요추가압수단(400)을 포함하는 상체부하부(100)와; 상기 환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발판(200)과; 상기 환자의 어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를 고정하는 어깨부하부(300)를 포함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Load device, load provision system and load provision method}
본 발명은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RI검사 시 환자에게 부하를 제공할 수 있는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추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이며, 평소 무게가 많이 실리는 부위이므로 통증 등을 수반하여 검사나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 부위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컴퓨터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요추 부위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요추 부위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촬영 환경에 따라 실제 요추에 걸리는 하중을 재현하지 못한 상태에서 촬영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 단층촬영은 환자가 장치에 누운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바,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의 요추부위의 상태를 촬영하게 되어 요추의 정확하고 재현성있는 검사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촬영 환경의 제약에 따라 환자는 반듯하게 누운 위치에서 촬영이 진행되는 바, 이 상태에서는 척추간 디스크, 인대 및 조인트가 최소한의 하중만을 받는 상태이므로 실제 직립한 상태에서의 요추상태의 검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직립한 상태와 동일한 요추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정밀한 검사가 가능한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누운 환자의 인체에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로서, 상기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는 요추가압수단(400)을 포함하는 상체부하부(100)와; 상기 환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발판(200)과; 상기 환자의 어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를 고정하는 어깨부하부(300)를 포함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상체부하부(100)는, 상기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상기 요추가압수단(400)이 구비되는 상체착용부(110)와; 상기 상체착용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한 쌍의 어깨끈(120)을 포함한다.
상기 요추가압수단(400)은, 상기 상체부하부(100)에 복수개 구비되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를 압박하는 가압튜브(410)와; 상기 가압튜브(410)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가압튜브(410)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조절장치(420)를 포함한다.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상기 환자가 상기 지지발판(200)을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어깨를 상기 지지발판(200)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누운 상태의 상기 환자의 머리 상측에 배치되는 어깨부하본체(310)와, 상기 어깨부하본체(310)로부터 상기 환자의 어깨를 향하여 구비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 측으로 이동하여 가압접촉하는 어깨가압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어깨가압부(320)는, 상기 환자의 어깨와 상기 어깨부하본체(310) 사이에서 선형이동하는 가압이동부(321)와, 상기 가압이동부(321)를 선형구동하는 가압구동원(322)을 포함한다.
상기 상체부하부(100)로부터 상기 지지발판(20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하체고정부(5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하체고정부(500)는, 상기 환자를 기준으로 좌우 측에서 각각 상기 상체부하부(100)와 상기 지지발판(200)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510)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510)를 가로질러 상기 환자의 무릎을 둘러싸며 상기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하체고정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상체부하부(100)에 설치되어, 직립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요추의 부하를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부하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10)와;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제공하는 부하값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상기 환자가 상기 지지발판(200)을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어깨를 상기 지지발판(200)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요추가압수단(400) 및 상기 어깨부하부(30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요추에 제공되는 부하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은, 상기 상체부하부(100)에 설치되어, 직립상태에서의 상기 환자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환자의 요추에 제공되는 부하값이 상기 제1부하값을 갖도록 상기 요추가압수단(400) 및 상기 어깨부하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인체부하제공방법으로서, 직립상태의 상기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와; 상기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를 통해 측정된 제1부하값을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저장하는 부하값저장단계(S200)와; 수평으로 누운 상기 환자에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부하제공단계(S300)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는,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상기 제1부하값의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부하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신체검사방법으로서,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부하제공단계(S300)와;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를 통해 부하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단층촬영 검사를 수행하는 단층촬영검사단계(S400)를 포함하는 신체검사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 전에, 직립상태의 상기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와; 상기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를 통해 측정된 제1부하값을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저장하는 부하값저장단계(S200)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는,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상기 제1부하값의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은, 환자상태에 따라 최적의 부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은, 환자의 직립상태의 실제 부하를 기반으로 검사 시 환자에게 부하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환경에서 검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은, 탈, 부착이 용이하여 환자 및 검사자의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여 검사 부담이 적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은, 적은 부하량으로도 환자의 요추에 효율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직립상태의 요추환경을 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은,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하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자기공명 단층촬영 시 환자의 촬영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2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의 요추가압수단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의 요추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2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의 요추가압수단의 팽창 전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의 요추가압수단의 팽창 후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의 어깨부하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은, 도 8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이용하는 인체부하제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이용하는 신체검사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10)와;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제공하는 부하값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은, 환자가 수평으로 누운상태에서 검사하는 장치에 대하여 환자가 직립상태일때와 동일한 환경 하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인체에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10)와, 이때의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은, 상체부하부(100)에 설치되어 직립상태에서의 환자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포함하여, 직립 상태일 때의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환자의 요추에 제공되는 부하값이 제1부하값을 갖도록 요추가압수단(400) 및 어깨부하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누운 환자의 인체에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로서, 상기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는 요추가압수단(400)을 포함하는 상체부하부(100)와; 상기 환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발판(200)과; 상기 환자의 어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를 고정하는 어깨부하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10)는, 상기 상체부하부(100)로부터 상기 지지발판(20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하체고정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10)는, 상기 상체부하부(100)에 설치되어, 직립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요추의 부하를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체부하부(100)는,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는 요추가압수단(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상체부하부(100)는,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요추가압수단(400)이 구비되는 상체착용부(110)와, 상체착용부(120)에 구비되어 환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한 쌍의 어깨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체부하부(100)는,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내벽, 즉 환자의 허리에 접촉하는 부분에 요추가압수단(400)이 구비되어,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여 부하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체착용부(110)는,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환자의 허리 일부를 둘러싸고 밴딩 또는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자에 맞게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어깨끈(120)은, 환자가 상체착용부(110)를 손쉽게 착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체착용부(110)에 환자의 어깨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어깨끈(120)을 환자의 어깨에 걸리도록 구비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도 손쉽게 상체착용부(110)를 고정하여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발판(200)은, 환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발판(200)은, 환자가 수평으로 누운 상태에서 검사를 받을 때, 환자의 발바닥이 지지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환자가 후술하는 어깨부하부(300)와 함께 정위치에 고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발판(200)은, 접촉면에 가압센서, 압력센서 등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어깨부하부(300)로부터 환자의 하체방향으로 제공되는 부하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발판(200)은, 접촉면에 압력측정센서가 제어부(20)와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어부(20)를 통해 부하량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부하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환자의 어깨 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어깨를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환자의 어깨를 환자의 하체 측으로 가압하여 부하를 제공함으로써, 지지발판(200)과 함께 환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환자를 고정하여 안정적인 부하제공 및 단층촬영 검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환자가 지지발판(200)을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환자의 어깨를 지지발판(2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누운 상태의 환자의 머리 상측에 배치되는 어깨부하본체(310)와, 어깨부하본체(310)로부터 환자의 어깨를 향하여 구비되어 환자의 어깨 측으로 이동하여 가압접촉하는 어깨가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누운 상태의 환자의 머리 상측에서 환자의 어깨를 다리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때 환자의 발바닥이 지지발판(2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바, 환자의 신체에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깨부하본체(310)는, 누운 상태의 환자의 머리 상측에 고정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어깨부하본체(310)는 후술하는 어깨가압부(320)가 환자의 어깨를 가압하는 상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환자에게 가압 및 부하제공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깨부하본체(310)는, 환자의 단층촬영 검사를 위한 검사대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검사대를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위치에 고정되도록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어깨가압부(320)는, 환자의 어깨와 어깨부하본체(310) 사이에서 선형이동하는 가압이동부(321)와, 가압이동부(321)를 선형구동하는 가압구동원(32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가압부(320)는, 가압이동부(321)의 끝단에서 환자의 어깨에 접촉하여 환자의 어깨를 가압하는 가압접촉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이동부(321)는, 어깨부하본체(310)로부터 환자 측으로 이동하거나, 어깨부하본체(310) 측으로 이동하여 환자의 어깨에 부하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이동부(321)는, 가압구동원(322)을 통해 선형이동하는 구성으로서, 실린더방식, 모터방식, 전자기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선형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접촉부(323)는, 가압이동부(321)의 끝단에 구비되어, 가압이동부(321)의 이동에 따라 환자의 어깨에 접촉하여 환자의 어깨를 가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접촉부(323)는, 상측에서 환자의 어깨를 가압하여 부하를 제공하는 구성이므로, 접촉면이 부드럽고 변형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접촉부(323)는, 가압이동부(32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환자와의 접촉면적을 증가함으로써, 환자에게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구동부(322)는, 후술하는 제어부(20)를 통해 제어되어 가압이동부(321)를 선형이동시켜 가압접촉부(323)를 통해 환자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요추가압수단(400)은, 상체부하부(100)에 구비되어,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여 부하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요추가압수단(400)은, 상체착용부(110)의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되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를 압박하는 가압튜브(410)와, 가압튜브(410)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가압튜브(410)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조절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튜브(410)는, 상체착용부(110) 중 환자의 요추와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개 구비되어 팽창을 통해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튜브(410)는, 상체착용부(110) 중 내주면에 구비되어 환자의 요추를 가압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상체착용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팽창을 통해 환자의 요추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튜브(41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복수개가 구비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튜브(410)는, 유체를 통해 팽창 및 수축하는 구성으로서, 팽창을 통해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가압튜브(410)는, 유체를 통해 환자의 요추 측으로 선형이동함으로써,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여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체조절장치(420)는, 가압튜브(410)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가압튜브(410)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유체조절장치(420)는, 가압튜브(410)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가압튜브(410)가 팽창하도록 하여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으며, 부하제공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가압튜브(410)로부터 유체를 배출하여 가압튜브(410)를 수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조절장치(420)는, 제어부(20)를 통한 제어신호에 의해 가압튜브(410)에 제공되는 유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부하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체고정부(500)는, 상체부하부(100)로부터 지지발판(20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체고정부(500)는, 환자를 기준으로 좌우 측에서 각각 상체부하부(100)와 지지발판(200)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510)와, 한 쌍의 연결부(510)를 가로질러 환자의 무릎을 둘러싸며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하체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510)는, 환자를 기준으로 좌우 측에서 상체부하부(100)와 지지발판(200) 사이에 형성되어 환자가 수평으로 눕거나 직립한 상태에서 환자를 지지하고 환자의 자세를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하체고정부(520)는, 한 쌍의 연결부(510)를 가로질러 환자의 무릎을 둘러싸며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하체고정부(520)는, 지지발판(200)에 환자의 발바닥이 지지된 상태에서 환자의 어깨를 어깨부하부(300)를 통해 가압하는 경우, 무릎이 구부러져 부하가 온전히 제공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체고정부(520)가 가로질러 설치되어 환자의 무릎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체고정부(520)는, 환자가 수평으로 검사대 위에 누워있는 상태에도 적용 가능하고, 환자가 직립상태의 요추 부하를 측정하기 위하여 직립한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600)는, 상체부하부(100)에 설치되어 직립상태에서 환자의 요추의 부하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600)는, 상체부하부(100), 즉 상체착용부(110)의 요추에 맞닿는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되어,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가 얼마인지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600)는, 요추가압수단(400)을 통해 환자의 요추에 가압될 때의 환자에게 제공되는 부하를 측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환자가 직립상태일 때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600)는, 복수의 요추가압수단(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복수의 요추가압수단(400)들 사이에 배치되어 환자의 요추에 대한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통해 환자의 요추에 제공되는 부하를 제공받아 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요추가압수단(400) 및 어깨부하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부하값으로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여 부하를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압력센서(600)값을 토대로, 측정되는 환자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부하값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어부(20)는, 환자가 직립상태일 때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기준으로, 환자가 검사를 위해 수평으로 누운 상태에서도 직립 상태일때의 압력센서(600)의 압력값이 도출되도록 요추가압수단(400)과 어깨부하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검사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부하제공단계(S300)와;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를 통해 부하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단층촬영 검사를 수행하는 단층촬영검사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는,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전술한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제어부(20)의 신호로서 어깨부하부(300) 및 요추가압수단(400)을 제어하여 환자에게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층촬영검사단계(S400)는, 부하제공단계(S300)를 통해 환자에게 부하가 제공된 상태에서 환자에 대한 단층촬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층촬영검사단계(S400)는, 환자의 요추부위가 느끼는 부하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직립상태와 동일한 환경에서 검사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체검사방법은, 단층촬영검사단계(S400) 전에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통해 인체부하제공방법에 따라 부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인체부하제공방법은, 직립상태의 상기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와; 상기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를 통해 측정된 제1부하값을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저장하는 부하값저장단계(S200)와; 수평으로 누운 상기 환자에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부하제공단계(S300)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는,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상기 제1부하값의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를 통해, 직립상태에서 전술한 인체부하제공장치(20)를 착용하고, 직립상태의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부하값저장단계(S200)는,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를 통해 측정된 제1부하값을 제어부(20)를 통해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는,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환자의 요추에 제1부하값의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인체부하제공장치 20: 제어부
100: 상체부하부 200: 지지발판
300: 어깨부하부 400: 요추가압수단
500: 하체고정부 600: 압력센서

Claims (15)

  1. 수평으로 누운 환자의 인체에 부하를 제공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로서,
    상기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요추를 가압하는 요추가압수단(400)을 포함하는 상체부하부(100)와;
    상기 환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발판(200)과;
    상기 환자의 어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를 고정하는 어깨부하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하부(100)는,
    상기 환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착용되며, 상기 요추가압수단(400)이 구비되는 상체착용부(110)와;
    상기 상체착용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한 쌍의 어깨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추가압수단(400)은,
    상기 상체부하부(100)에 복수개 구비되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를 압박하는 가압튜브(410)와;
    상기 가압튜브(410)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가압튜브(410)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조절장치(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상기 환자가 상기 지지발판(200)을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어깨를 상기 지지발판(200)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누운 상태의 상기 환자의 머리 상측에 배치되는 어깨부하본체(310)와, 상기 어깨부하본체(310)로부터 상기 환자의 어깨를 향하여 구비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 측으로 이동하여 가압접촉하는 어깨가압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깨가압부(320)는,
    상기 환자의 어깨와 상기 어깨부하본체(310) 사이에서 선형이동하는 가압이동부(321)와,
    상기 가압이동부(321)를 선형구동하는 가압구동원(3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하부(100)로부터 상기 지지발판(20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하체고정부(5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체고정부(500)는,
    상기 환자를 기준으로 좌우 측에서 각각 상기 상체부하부(100)와 상기 지지발판(200)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510)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510)를 가로질러 상기 환자의 무릎을 둘러싸며 상기 환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하체고정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하부(100)에 설치되어, 직립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요추의 부하를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장치.
  10.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부하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장치(10)와;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제공하는 부하값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하부(300)는,
    상기 환자가 상기 지지발판(200)을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어깨를 상기 지지발판(200)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요추가압수단(400) 및 상기 어깨부하부(30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요추에 제공되는 부하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는,
    상기 상체부하부(100)에 설치되어, 직립상태에서의 상기 환자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복수의 압력센서(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환자의 요추에 제공되는 부하값이 상기 제1부하값을 갖도록 상기 요추가압수단(400) 및 상기 어깨부하부(3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시스템.
  13.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부하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인체부하제공방법으로서,
    직립상태의 상기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와;
    상기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를 통해 측정된 제1부하값을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저장하는 부하값저장단계(S200)와;
    수평으로 누운 상기 환자에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부하제공단계(S300)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는,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상기 제1부하값의 부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부하제공방법.
  14.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부하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인체부하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신체검사방법으로서,
    수평으로 누운 환자에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는 부하제공단계(S300)와;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를 통해 부하가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단층촬영 검사를 수행하는 단층촬영검사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검사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 전에, 직립상태의 상기 환자의 요추에 걸리는 부하인 제1부하값을 측정하는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와;
    상기 직립상태부하측정단계(S100)를 통해 측정된 제1부하값을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저장하는 부하값저장단계(S200)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제공단계(S300)는,
    상기 인체부하제공장치(10)를 통해 상기 환자의 요추에 상기 제1부하값의 부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검사방법.
KR1020200171457A 2020-12-09 2020-12-09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KR10250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57A KR102509017B1 (ko) 2020-12-09 2020-12-09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57A KR102509017B1 (ko) 2020-12-09 2020-12-09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683A true KR20220081683A (ko) 2022-06-16
KR102509017B1 KR102509017B1 (ko) 2023-03-09

Family

ID=8221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457A KR102509017B1 (ko) 2020-12-09 2020-12-09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0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42B1 (ko) * 1994-05-24 2002-08-08 다이네임드 인트레센터 에이비 의료영상목적을위한요추압축장치
KR20130061305A (ko) * 2011-12-01 2013-06-11 김재홍 의료용 압박장치
KR20140102394A (ko) * 2013-02-13 2014-08-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체중을 이용한 요추 감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2833A (ko) * 2016-09-23 2018-04-02 대한민국 (충남대학교병원장)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WO2018105723A1 (ja) * 2016-12-09 2018-06-14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負荷測定装置、介助装置、負荷測定方法、および負荷測定プログラム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42B1 (ko) * 1994-05-24 2002-08-08 다이네임드 인트레센터 에이비 의료영상목적을위한요추압축장치
KR20130061305A (ko) * 2011-12-01 2013-06-11 김재홍 의료용 압박장치
KR20140102394A (ko) * 2013-02-13 2014-08-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체중을 이용한 요추 감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2833A (ko) * 2016-09-23 2018-04-02 대한민국 (충남대학교병원장) 단층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단층 촬영 보완 장치
WO2018105723A1 (ja) * 2016-12-09 2018-06-14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負荷測定装置、介助装置、負荷測定方法、および負荷測定プログラム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017B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9507C (en) Multi-section limb and ligament evalu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ing same
US10813591B2 (en) Robotic knee testing device, subjective patient input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0925519B2 (en) Robotic knee testing (RKT) device having decoupled drive capability an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the same
US5991651A (en) Compression/traction method for use with imaging machines
US7251845B2 (en) Patient bed, and method for reproducibly positioning and supporting a patient therewith
KR101569284B1 (ko)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US6499484B1 (en) Crucial ligaments loading device
US11484254B2 (en) Floating patella sensor, knee stabilizer with same and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with same
US20210077012A1 (en) Robotic joint tes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systems for joint evaluation and testing
EP3251589A1 (en)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and patient and apparatus set-up methods
US20210251566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333318A1 (en) Positioning System for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509017B1 (ko)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US10596057B2 (en) Off-axis motion-based analysis of joints
JP4917397B2 (ja) 身体固定補助装置
WO2012021726A1 (en) Robotic knee testing device, subjective patient input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180333096A1 (en) Thigh Immobilizer for a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US11737711B2 (en) Residual joint displacement monitoring and compensation
US20220409142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10506951B2 (en) Joint play quantification and analysis
RU22215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делирования компрессии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