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149A -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149A
KR20220078149A KR1020200167362A KR20200167362A KR20220078149A KR 20220078149 A KR20220078149 A KR 20220078149A KR 1020200167362 A KR1020200167362 A KR 1020200167362A KR 20200167362 A KR20200167362 A KR 20200167362A KR 20220078149 A KR20220078149 A KR 2022007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core
platinum
shell structure
platinu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845B1 (ko
Inventor
유성종
정희윤
박희영
이소영
박현서
김진영
장종현
김형준
김필
김동건
이지호
이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8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01J21/185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01J35/008
    • B01J35/023
    • B01J35/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6Distribution of the active metal ingredient
    • B01J35/397Egg shell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4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dimensions, e.g. grain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1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준비하는 단계; (b)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에 백금 전구체와 함께 수소기체를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전이금속 질화물의 표면에 백금층을 형성하여 전이금속 질화물 코어-백금 쉘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종래 열적 또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비해 간단한 습식 화학 공정에 따라 생산하므로 촉매의 대량 합성이 가능할 뿐 아니라, 화학적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고 수소공급으로 백금 환원을 수행하므로 친환경적이다.

Description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CORE-SHELL CATALYST COMPRISING PLATINUM LAYER USING SURFACE HYDROGEN OXIDATION REACTION}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전극용으로 사용되는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의 높은 효율을 위해 필요한 백금 촉매의 높은 가격은 수소 연료 전지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료 전지에 들어가는 백금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백금의 무게당 고유 촉매 활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백금 원자의 활용 효율을 최대화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인 백금 나노입자 촉매의 경우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백금 원자는 표면에 존재하는 백금 원자로 나노입자 안에 존재하는 백금들은 촉매 반응에 참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어 쉘 구조를 갖는 촉매가 특별한 관심을 끌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전이금속으로 코어를 형성하고 코어 표면에 서브나노미터(sub-nanometer) 수준의 백금층을 형성함으로써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백금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코어 쉘 구조의 촉매를 통해 백금 고유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 번째, 적절한 코어 지지체를 선택함으로써 백금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하고, 두 번째 충분히 얇은 서브나노미터 수준의 백금 원자의 층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용액 기반 나노 구조체의 합성 방법에서 나노 입자는 용액 상의 균일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반해, 코어 쉘 나노 구조체 형성을 위해서는 코어가 되는 입자 표면에서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불균일 반응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더욱 정교한 반응 제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정교한 반응 제어를 위하여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백금층 형성 방법이 많이 응용되고 있으며, 전기화학 반응은 전극 표면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불균일 반응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코어 쉘 구조의 촉매 합성은 전극 및 전기화학적 장비가 요구되는 공정의 복잡성 때문에 인해 실용화 규모로 대량의 촉매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97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종래 열적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합성이 가능하도록 습식 화학 경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이금속 질화물 코어의 표면에 전이금속 질화물에 의해 촉진되는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환원력으로 이용하여 서브 나노미터 수준의 균일한 백금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이금속 질화물 코어-백금 쉘 구조의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에 백금 전구체와 함께 수소기체를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전이금속 질화물의 표면에 백금층을 형성하여 전이금속 질화물 코어-백금 쉘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탄소 지지체는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구리(Cu), 루테늄(Ru), 팔라듐(Pd), 이리듐(Ir) 및 로듐(Rh)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열처리는 250 내지 3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열처리는 7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열처리 후 100 내지 200℃의 온도로 낮추고,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00 내지 200℃의 온도로 낮출 때 비활성 분위기로 바꿀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백금 전구체는 PtCl4, K2PtCl4, PtCl2, PtBr2, H2PtCl6 및 K2PtCl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백금 전구체는 백금 전구체 수용액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금 전구체 수용액은 백금(Pt) 함량이 5 내지 15wt% 일 수 있다.
단계 (c)에서,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 질화물은 산 또는 중성의 수용액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은 단일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백금층은 0.1 내지 2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는 직경이 5 내지 30nm인 구형입자일 수 있다.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는 연료전지 전극용 촉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은 복잡한 열적 또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비해 간단한 습식 화학 공정을 통해 촉매의 대량 합성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백금 전구체의 환원에 의한 백금층 형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로하이드리드(borohydrid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하이드라진(hydrazine)과 같은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고, 수소 기체를 공급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정에 필요한 화학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 따른 비교예 1의 촉매에 대한 TEM 및 EDS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 따른 실시예 1의 촉매에 대한 TEM 및 EDS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른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 따른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의 분석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공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준비한다(단계 a).
상기 탄소 지지체는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본블랙일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구리(Cu), 루테늄(Ru), 팔라듐(Pd), 이리듐(Ir) 및 로듐(Rh)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니켈(Ni), 코발트(Co) 및 철(F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니켈(Ni) 일 수 있다. 니켈(Ni)을 사용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백금층의 형성도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조한다(단계 b).
상기 열처리는 250 내지 40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0 내지 35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320℃에서 수행할 수 있다. 250℃ 미만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질화 반응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못하여 전이금속 질화물의 형성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고, 전이금속 질화물 종류에 따라 분해 온도가 다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400℃ 보다 높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공정 비용이 발생하거나, 질화물의 분해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때 7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7시간 동안,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열처리를 7시간 미만으로 수행할 경우 질화 반응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못하여 전이금속 질화물의 형성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할 수 있고, 2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공정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에 백금 전구체와 함께 수소기체를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전이금속 질화물의 표면에 백금층을 형성하여 전이금속 질화물 코어-백금 쉘 촉매를 제조한다(단계 c).
상기 백금 전구체는 PtCl4, K2PtCl4, PtCl2, PtBr2, H2PtCl6 및 K2PtCl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K2PtCl6 일 수 있다.
상기 백금 전구체는 백금 전구체 수용액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극성 유기용매에 녹인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MM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금 전구체 수용액은 백금(Pt) 함량이 5 내지 15wt%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wt%,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wt% 일 수 있다. 백금 함량이 5wt% 미만인 경우 전이금속 질화물의 표면에 백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렵고, 백금 함량이 15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이금속 질화물 표면에 백금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백금 원자의 활용 효율이 저하되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백금층은 0.1 내지 2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nm로 형성될 수 있다. 0.1nm 미만의 두께는 기술적으로 형성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백금 촉매 활성이 저하될 수 있고, 2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촉매로 사용되지 않는 백금 원자의 양이 많아지므로, 본 발명의 백금 원자의 활용 효율을 최대화하는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는 직경이 5 내지 30nm인 구형 입자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nm의 구형 입자일 수 있다. 직경이 5nm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쉘 입자가 지나치게 작아 백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렵고, 3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커서 촉매로서 전극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는 단일 반응기(one-pot)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단일 반응기에서 수행함으로써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또는 열처리 이후 생성되는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이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는 연료전지 전극용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중공 금속황화물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a)에서, 탄소 지지체 종류, 담지된 전이금속의 종류, 단계 (b)에서, 열처리 온도 및 시간, 단계 (c)에서 백금 전구체 종류, 백금 전구체 수용액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에 대하여 코어-쉘 구조의 형태 및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 범위에서와는 달리, 아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코어-쉘 구조 촉매의 백금층이 균일하면서도 두께가 1nm에 가깝게 형성되고, 촉매 입자의 크기 또한 균일하여 백금 원자의 활용 효율이 최대화되고,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의 활성이 현저히 높게 측정된다. 이와 같은 제조조건은 아래와 같다.
단계 (a)에서, 탄소 지지체는 카본 블랙, 담지된 전이금속은 니켈(Ni)이고, 단계 (b)에서, 열처리 온도는 280 내지 320℃, 열처리 시간은 10 내지 15시간이고, 단계 (c)에서 백금 전구체는 K2PtCl6, 백금 전구체 수용액의 농도는 8 내지 12wt%인 경우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니켈 질화물 코어-백금 쉘의 코어쉘 구조의 촉매 합성
먼저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Ni/C)을 아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500㎖ 둥근 1구 플라스크에 50㎖ 아세톤과 AT-vulcan carbon을 넣고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하였다. 이후 니켈나이트라이드(II) 1g과 10㎖의 아세톤 희석용액을 제조하고, 그 희석용액을 1.24㎖를 플라스크에 주입하여 추가적으로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후 용액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60℃, 진공에서 용매를 증발시킨 후 80℃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플라스크에서 회수된 carbon은 tubular furnace를 이용하여 10vol% H2 분위기에서 300℃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20wt% Ni/C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AT-vulcan carbon은 cabot 사의 2g vulcan XC-72 carbon을 3.4M H2SO4, 1.9M HNO3 희석용액(542㎖)에서 90℃로 3시간 동안 오일 배쓰를 이용하여 산처리한 후, 3L의 3차 증류수로 여과 및 세척하고 80℃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한 것이다.
다음으로,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 질화물 형성을 위하여 30mg의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Ni/C)을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300℃로 12시간 동안 열처리 후, 150℃에서 아르곤 분위기로 바꿔주고, 상온까지 냉각하여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질화물(Ni3N/C)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온에서 50㎖의 DI water에 먼저 Ni3N/C을 분산시킨 후, Pt 전구체 K2PtCl6 수용액을 전체 반응시 10wt%의 Pt 중량(3.33mg Pt)이 되도록 Pt 전구체 수용액 50㎖를 적가하면서, Pt 전구체의 환원 반응을 위하여 Pt 전구체 수용액 용액 주입시 수소기체(H2)를 불어 넣어 주었다. 이때, Ni/C 및 열처리 이후 생성되는 Ni3N/C를 공기 중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상술한 반응은 단일반응기에서 진행하였다.
비교예 1
Pt 전구체 수용액 용액 주입시 수소 가스(H2)를 불어 넣는 것 대신에, 질소 분위기 아래에서 Ni3N/C를 백금 전구체 용액과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촉매를 합성하였다.
비교예 2
종래 사용되는 상용 백금 촉매로서 premetek 사의 Vulcan XC-72에 20wt% Pt 담지된 촉매를 준비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TEM 및 EDS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각각 제조된 촉매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분석, 및 에너지 분산 X 선 분광법(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1의 촉매에 대한 TEM 및 EDS 분석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고, 실시예 1의 촉매에 대한 TEM 및 EDS 분석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하지 않고 질소 분위기에서 니켈질화물을 백금전구체와 반응시킨 비교예 1의 촉매의 경우 도 2의 EDS 분석 상에서 표면에 존재하는 백금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수소산화반응을 하도록 수소를 불어 넣어주며 니켈질화물과 백금전구체를 반응시킨 실시예 1의 촉매의 경우에는 니켈 질화물 표면에 수소산화반응에 의해 백금층을 잘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X선 회절 분석
X선 회절 (X-ray diffraction, XRD)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각각 제조된 촉매의 결정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비교예 1의 촉매의 경우 니켈질화물 및 탄소 지지체에 의한 XRD 피크만 나타나고, 백금과 관련된 결정 구조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실시예 1의 촉매의 경우 백금의 기본 결정 구조인 면심입방격자(FCC) 및 니켈질화물의 결정 구조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니켈질화물의 표면수소산화 반응에 의해 백금 쉘의 형성 반응이 잘 유도되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3: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선형주사전위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촉매의 산소환원반응에 대한 촉매 활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의 촉매의 경우 백금 쉘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낮은 전기화학적 활성을 보여주는 것에 반해, 표면수소산화 반응을 이용하여 백금 쉘이 잘 형성된 실시예 1의 촉매는 상대적으로 높은 산소환원반응 특성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2의 상용백금촉매와 비교하여서도 약간 더 높은 산소환원반응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a)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을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전이금속 질화물에 백금 전구체와 함께 수소기체를 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전이금속 질화물의 표면에 백금층을 형성하여 전이금속 질화물 코어-백금 쉘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지지체는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크로뮴(Cr), 구리(Cu), 루테늄(Ru), 팔라듐(Pd), 주석(Sn), 바나듐(V), 몰리브덴(Mo), 텅스텐(W), 이리듐(Ir), 로듐(Rh), 및 오스뮴(O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상기 열처리는 250 내지 3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상기 열처리는 7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상기 열처리 후 100 내지 200℃의 온도로 낮추고,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00 내지 200℃의 온도로 낮출 때 비활성 분위기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백금 전구체는 PtCl4, K2PtCl4, PtCl2, PtBr2, 및 PtO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백금 전구체는 백금 전구체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 전구체 수용액은 백금(Pt) 함량이 5 내지 15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탄소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 질화물은 산 또는 중성의 수용액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은 단일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층은 0.1 내지 2n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는 직경이 5 내지 30nm인 구형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는 연료전지 전극용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KR1020200167362A 2020-12-03 2020-12-03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KR102459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62A KR102459845B1 (ko) 2020-12-03 2020-12-03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62A KR102459845B1 (ko) 2020-12-03 2020-12-03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149A true KR20220078149A (ko) 2022-06-10
KR102459845B1 KR102459845B1 (ko) 2022-10-28

Family

ID=8198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362A KR102459845B1 (ko) 2020-12-03 2020-12-03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8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50B1 (ko) * 2005-12-08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연료전지용 혼합 전극 촉매 소재의 제조방법
JP2011072981A (ja) * 2008-10-30 2011-04-14 Sony Corp 白金含有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KR101639724B1 (ko) 2015-07-30 2016-07-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촉매 또는 촉매 지지체용 복합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3289A (ko) * 2017-11-29 2019-06-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상 질화 처리된 코어-쉘 촉매의 제조방법
KR101994088B1 (ko) * 2017-03-20 2019-06-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팔라듐계 연료전지용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팔라듐계 연료전지용 촉매
KR20200107175A (ko) * 2019-03-06 2020-09-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촉매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50B1 (ko) * 2005-12-08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연료전지용 혼합 전극 촉매 소재의 제조방법
JP2011072981A (ja) * 2008-10-30 2011-04-14 Sony Corp 白金含有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KR101639724B1 (ko) 2015-07-30 2016-07-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촉매 또는 촉매 지지체용 복합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4088B1 (ko) * 2017-03-20 2019-06-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팔라듐계 연료전지용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팔라듐계 연료전지용 촉매
KR20190063289A (ko) * 2017-11-29 2019-06-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상 질화 처리된 코어-쉘 촉매의 제조방법
KR20200107175A (ko) * 2019-03-06 2020-09-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촉매 및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845B1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nchoring ultrafine Pt electrocatalysts on TiO2-C via photochemical strategy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Shao et al. Platinum group nanowires for efficient electrocatalysis
US9123965B2 (en) Method of preparing nano-sized catalyst on carbon support
CN108432008B (zh) 载体-纳米颗粒复合物、包含其的催化剂及其生产方法
KR100774590B1 (ko) 연료전지용 담지 촉매 및 그의 제조 방법
US9276270B2 (en) Preparing an alloy catalyst using conductive polymer coating
KR101144107B1 (ko) 탄소에 담지된 니켈 또는 팔라듐 나노입자 제조방법
Jiang et al. 1-Naphthol induced Pt 3 Ag nanocorals as bifunctional cathode and anode catalysts of direct formic acid fuel cells
US20100041544A1 (en) Electrode Catalyst of Carbon Nitride Nanotubes Supported by Platinum and Ruthenium Nan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itkohi et al. Improved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PEMFCs by functionalized CNTs supported Pt–M (M= Fe, Ni, Fe–Ni) bi-and tri-metallic nanoparticle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
CN111224117A (zh) 一种纳米线结构Pt合金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Rosado et al. Catalytic activity of Pt-Ni nanoparticles supported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Basri et al. Novel anode catalyst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Lee et al. Atomic layer deposition enabled PtNi alloy catalysts for accelerated fuel-cell oxygen reduction activity and stability
Chisaka et al. Carbon catalyst codoped with boron and nitrogen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acid media
Li et al. Facile preparation of Pt-based cage-bell structured nanoarchitectures for enhanced methanol oxidation electrocatalysis
Roh et al. Preparation of carbon-supported Pt–Ru core-shell nanoparticles using carbonized polydopamine and ozone for a CO tolerant electrocatalyst
Daoush et al. Fabrication of PtNi bimetallic nanoparticles supported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Kong et al. Pd9Au1@ Pt/C core-shell catalyst prepared via Pd9Au1-catalyzed coating for enhanced oxygen reduction
KR101932575B1 (ko) 형상이 제어된 백금 나노큐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9845B1 (ko) 표면 수소산화반응을 이용한 백금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촉매 제조방법
KR102571771B1 (ko) 연료전지용 백금 합금 촉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CN111910290B (zh) 一种具有梯度分布的钴镍合金/碳复合电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214497B2 (en) Perovskite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the perovskite compound, catalyst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erovskite compoun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atalyst
JP2019030846A (ja) 合金触媒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