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046A -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046A
KR20220078046A KR1020200167137A KR20200167137A KR20220078046A KR 20220078046 A KR20220078046 A KR 20220078046A KR 1020200167137 A KR1020200167137 A KR 1020200167137A KR 20200167137 A KR20200167137 A KR 20200167137A KR 20220078046 A KR20220078046 A KR 20220078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hellfish
food container
manufacturing
pu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0016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046A/ko
Priority to PCT/KR2021/018064 priority patent/WO2022119331A1/ko
Publication of KR2022007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D21J3/1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of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36Inorganic fibres or flak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은 해조류와 식물성 부산물을 동시에 포함하여 식품용기를 제조함으로써, 생분해성을 확보하고 중량과 두께를 최적화하며 내구성이 강하며 항균 기능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Food container using seaweeds, shellfish and vegetabl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펄프몰드는 목재펄프 또는 신문지, 골판지 등의 재생펄프를 물에 풀어 균일한 지료를 조성하고 이러한 지료를 상형과 하형의 금형에서 흡수되면서 지료내 펄프섬유들이 일정 구조를 형성하도록 성형하고 이를 건조하여 제조된 친환경 포장재료이다. 생분해성 펄프자원으로 만들어지는 완충성 소재이기 때문에 스티로폼 등의 화석원료 기반 포장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포장소재로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온라인 기반 쇼핑확대로 인한 택배물품의 증가와 1~2인의 소가구가 주요 경제주체로 변화면서 소포장이 증대하였고, 친환경적이고 재활용성이 우수한 포장소재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품포장용기의 경우 항균성과 같은 기능성 요소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식품 포장용 소재 중 계란판과 관련하여, 계란은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깨지기가 쉽기 때문에 플라스틱이나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계란판에 담아서 운반 및 보관을 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계란판은 신문지, 골판지, 잡지 등의 각종 폐지를 물에 0.5∼2% 정도로 혼합하여 펄프용액으로 만든 후 진공으로 흡착하여 탈수 성형 및 건조시켜서 제조된다.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Tunnel Dry System 방식과 Hot Press Dry System 방식이 있으며, 전자는 열풍건조방식이고 후자는 핫프레스 건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핫프레스 건조방식은 금형내부에서 완전히 건조가 됨으로 인해 제품의 변형이 없을 뿐만 아니라 표면이 메끄러워서 제품의 고급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성형된 계란판의 타원형 홈에 계란이 놓이게 되며, 계란판의 크기는 소비자들의 편의를 위해 10개용, 15개용, 20개용, 30개용 등으로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20개용 이하의 계란판의 경우는 계란의 파손방지를 위해 뚜껑을 장착한 형태로 유통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삼차원 형상의 몰드는 목재를 원료로 하는 종이 펄프를 성형함에 따라 제작된다. 그러나, 나무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벌목으로 인한 자연 훼손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7039호에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펄프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방법은 우뭇가사리를 사용하여 펄프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만, 몰드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제시하는 바가 없다. 그러나, 일반적인 몰드 제조의 방법으로는 우뭇가사리(해조류) 펄프의 섬유가 수분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몰드를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해조류, 패각류 및 기타 식물성 소재를 결합하여 중량과 두께가 계란판에 적합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하고, 항균성을 확보한 식품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70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조 슬러지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해조류 섬유분 원료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
패각류를 분쇄하여 패각류 분말을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해조류 섬유분 원료액에 상기 패각류 분말 및 식물성 원료를 투입 및 교반하여 펄프 용액을 준비하는 제3단계;
상기 펄프 용액을 금형에 투입하고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성형된 식품용기를 건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를 제공한다.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은 해조류와 식물성 부산물을 동시에 포함하여 식품용기를 제조함으로써, 생분해성을 확보하고 중량과 두께를 최적화하며 내구성이 강한 효과가 있다. 또한 패각류를 구성으로 포함하여 항균성을 확보하는 점에서 우수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패각류 분말에 대한 항균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해조 슬러지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해조류 섬유분 원료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 패각류를 분쇄하여 패각류 분말을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해조류 섬유분 원료액에 상기 패각류 분말 및 식물성 원료를 투입 및 교반하여 펄프 용액을 준비하는 제3단계; 상기 펄프 용액을 금형에 투입하고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성형된 식품용기를 건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조 슬러지는 우뭇가사리(agar-agar, ceylon moss), 꼬시래기(sea string), 미역, 및 다시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해조 슬러지는 연질화를 거친 해조류 원료일 수 있다. 해조 슬러지는 연질화된 해조류 원료로부터 식품으로 쓰이는 추출물이 빠진 나머지일 수 있다. 해조 슬러지는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으로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 필터링 공정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해조 슬러지를 필터 장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펄프 원료액을 추출할 수 있다. 입자가 큰 이물질들이 걸러내진 펄프 원료액은 자잘한 해조류 원료들(우뭇가사리, 꼬시래기, 미역, 다시마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조류 원료들은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슬러지 필터링 공정에서 걸러내어진 펄프 원료액은 펄프화 공정을 위하여 펄프화 장치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각류(shellfish)는 전복껍질, 꼬막껍질, 홍합껍질, 굴껍질, 바지락껍질, 키조개껍질, 소라껍질, 조개껍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패각류는 분쇄공정을 거쳐 분말형태로 투입될 수 있다.
패각류의 일 예인 조개껍질이나 석회석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탄산칼슘에 700℃ 이상의 고열을 가하면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산화칼슘(CaO)이 된다. 가열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산화칼슘을 소성(firing) 칼슘이라 하는데, 소성 칼슘의 수용액은 강한 알칼리성(pH12)으로 살균제로 사용될 수 있다. 굴, 가리비, 함박조개 등 조개류의 종류별 항균활성의 차이는 없고, 살균이나 장기 보존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성칼슘은 식품 첨가물로서 지정되어 있다.
신선 채소의 미생물 제어를 위하여 편리성과 경제적인 이유로 과산화수소, 표백분, 차아염소산소다, 계면활성제 등 살균 소독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화학적 살균 소독제는 이미, 이취 및 인체 유해성이 있어 기피 현상이 있다. 독성이 적고 안전하면서도 위해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살균 소독, 세척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소성 가리비 조개껍질 분말의 현탁액 0.10~0.20㎎/㎖ 5분 처리로서 대장균, 살모넬라, 고초균, 황포도상구균 등은 1/100~1/10,000의 감소율이고, 20℃에서 1㎎/㎖ 패각분말 처리로 200ppm 차아염소산 처리와 거의 동등한 살균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소성칼슘 처리는 식감의 향상, 보존성 및 탄력성 증대에 효과가 있다.
소성칼슘(CaO)은 용도에 따라 가열 온도, 조성, 및 분말의 입자 조정이 가능하므로 생산 원가를 낮추고 용도별 기능을 부가하여 신선 채소의 살균 제균제, 식품 첨가물은 물론, 포름알데히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경감 효과, 냄새 제거, 도료, 내장재 건축 단열재, 수질 정화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굴 양식장 등 조개류의 산지에서는 가식부를 제외한 나머지(80%)는 폐기물로 버려져 토양과 지하수 오염 등 환경 문제로 되고 있다.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산지에 간이 소성 처리 장치를 보급 또는 지원, 집하-정선-분쇄-포장 시설)을 갖추어 제조된 소성칼슘은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신, 환경 친화적이며 건강에도 유익한 자연 순환 천연 살균 소독제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투입되는 식물성 원료는 조대물질을 분급처리하고 식물성 섬유분을 분리하여 투입될 수 있다. 식물성 부산물을 그대로 펄프몰드로 제조하는 경우 고루 분포되지 못한 덩어리들이 뭉쳐서 나타날 수 있다. 조대한 입자를 크기별로 분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메쉬를 기준으로 분급하여 기계적 해섬 처리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해섬처리는 니더, PFI 밀(mill), 콜로이드밀, 롤밀, 해쇄기, 리파이너, 제트 분쇄기, 균질화기 등을 적용하여 해섬처리 할 수 있다. 나아가 해섬 전처리와 분급을 통해 얻어진 식물성 섬유분을 일정 무게비로 투입하여 펄프 용액을 제조함에 따라 공정 문제의 발생을 예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성 원료는 곡물 부산물, 코코넛 부산물, 커피 부산물, 및 과일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코넛 껍질, 곡물 껍질, 커피 가루, 귤박, 사과박, 녹차박과 같은 식물성 부산물일 수 있고, 곡물은 쌀, 보리, 콩, 팥, 조, 깨, 밀, 중, 옥수수일 수 있다.
펄프화 공정은 펄프화 장치 내부에 수용된 펄프 원료액을 교반함으로써, 펄프화하여 펄프를 형성할 수 있다. 펄프화는 해조류를 추출한 후 펄프성분인 섬유분 원료에 추가로 투입되는 식물성 원료의 섬유분을 균일한 농도로 퍼트리며 액상(예를 들어, 물)에 고르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펄프화 공정에서 펄프 원료액이 펄프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펄프 원료액의 해조류들을 절단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조 슬러지를 5 ~ 20 mm로 절단하여 이용될 수 있다. 종래에 개발된 홍조류(해조류) 펄프는 섬유의 길이가 짧아서 종이를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하기에 설명된 본원 발명의 종이용 해조류 펄프 제조 방법은 해조류 펄프의 섬유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과정들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길이가 5mm보다 짧으면 몰드 공정에서 몰드 형성에 장애가 되고, 20mm보다 길면 원료액을 펄프화하는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펄프화를 위하여 펄프 원료액을 교반시키는 프로펠러가 펄프화 장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펄프 원료액은 운동 에너지를 받아 난류를 형성할 수 있다. 펄프 원료액을 교반 시키는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가 느릴 수록 펄프 원료액의 펄프화 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는 20 rpm 내지 50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펄프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펄프화 장치의 내부로 열과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가해지는 열 에너지가 작을수록 펄프 원료액의 펄프화 속도가 낮아질 수 있고, 열 에너지가 클수록 펄프 원료액의 해조류가 절단되는 경우가 증가되어 해조류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가해지는 압력이 낮을수록 펄프 원료액이 해조류 펄프로 펄프화 되는 속도가 낮아질 수 있고, 가해지는 압력이 높을수록 펄프 원료액의 해조류가 얇아져서 절단되는 경우가 증가되어 해조류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열과 압력의 범위가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액에 화학적 촉매제 등을 가하여 펄프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화학적 촉매제로 과산화수소 및 가성소다 등을 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해조류 펄프를 하얗게 만들기 위한 표백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펄프화 공정 및 표백 공정이 다수 회 반복될수록 하얗고 순수한 펄프를 얻을 수 있으나, 해조류 펄프의 섬유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수분 함량이 높은 해조류를 가공하기 위하여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펄프액의 농도가 성형되기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균일한 두께의 몰드나 정교한 형상의 몰드를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펄프액의 적정 수분 함유량은 3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함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장치에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탈수시키거나 펄프액 또는 물을 추가로 가할 수 있다.
이후 펄프 용액을 금형에 투입하고 압력을 가하여 식품용기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몰드 금형(성형장치)에 펄프액을 체우고 압력을 가하여 펄프몰드를 생성할 수 있다. 성형 장치는 하부 금형 및 상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성형 공정은 습식 성형 공정 및 건식 성형 공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습식 성형 공정과 건식 성형 공정은 하부 금형에 펄프액이 채워지는 방식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습식 성형 공정은 펄프액이 채워진 액조에 하부 금형이 잠기었다가 수직으로 상승하여 하부 금형에 펄프액을 채울 수 있다. 건식 성형 공정은 하부 금형에 직접 펄프액을 부어 넣을 수 있다. 이후 건조하여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계란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함에 따라 생분해성을 가지고, 펄프화 공정 전 해조 슬러지의 길이, 식물성 원료의 조대물질 분급처리에 따라 일정한 표면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수분함유량이 높은 해조류를 포함하여 펄프의 겔화가 방지되어 온전한 형태의 몰드를 형성하고,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에 따라 항균, 항바이러스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식품용기와 비교하여 압축 강도가 상당히 향상되고, 중량 및 두께도 조절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패각류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의 배합비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 배합비(%)
간지 30~37
아트지 20
BTMP 10
해조류 30
패각류 3~10
<물성 데이터>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패각류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의 물성 데이터를 하기 표 2에, 종래 식품용기의 물성 데이터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해조류를 구성으로 포함하여 압축강도와 두께를 향상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압축강도(kfg) 중량(g) 두께(mm)
1 88.80 54.9 1.404
2 84.25 50.4 1.401
3 86.10 55.7 1.373
4 87.40 55.1 1.414
5 85.42 55.0 1.344
평균 86.39 54.2 1.387
압축강도(kfg) 중량(g) 두께(mm)
1 50.25 44.8 0.752
2 44.65 44.5 0.665
3 47.70 44.4 0.785
4 49.20 45.1 0.834
5 50.90 44.9 0.650
평균 48.54 44.7 0.737
<항균성>
패각류를 포함함에 따른 항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ca ATCC 8326)에 의한 항균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방법은 KFIA-FI-1002에 따라 진행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패각류 분말에 대한 항균 시험성적서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패각류 분말을 첨가한 배지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하여 항균성을 확보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해조 슬러지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해조류 섬유분 원료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
    패각류를 분쇄하여 패각류 분말을 준비하는 제2단계;
    상기 해조류 섬유분 원료액에 상기 패각류 분말 및 식물성 원료를 투입 및 교반하여 펄프 용액을 준비하는 제3단계;
    상기 펄프 용액을 금형에 투입하고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성형된 식품용기를 건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 슬러지는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미역 및 다시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각류는 전복껍질, 꼬막껍질, 홍합껍질, 굴껍질, 바지락껍질, 키조개껍질, 소라껍질, 조개껍질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원료는 곡물 부산물, 코코넛 부산물, 커피 부산물, 및 과일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해조 슬러지를 5 ~ 20 mm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제조방법.
  6. 제 1 항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1020200167137A 2020-12-03 2020-12-03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8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37A KR20220078046A (ko) 2020-12-03 2020-12-03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PCT/KR2021/018064 WO2022119331A1 (ko) 2020-12-03 2021-12-02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37A KR20220078046A (ko) 2020-12-03 2020-12-03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46A true KR20220078046A (ko) 2022-06-10

Family

ID=8185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137A KR20220078046A (ko) 2020-12-03 2020-12-03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8046A (ko)
WO (1) WO202211933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039B1 (ko) 2017-11-08 2018-04-09 (주)마린펄프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펄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821B2 (ja) * 1994-07-29 1999-08-09 株式会社グローバルプロセス 積層生地
US7332214B2 (en) * 2000-09-13 2008-02-19 Nissei Kabushiki Kaisha Biodegradable molde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for expansion molding
KR101775391B1 (ko) * 2017-02-03 2017-09-06 박재정 생분해성 화분 및 생분해성 화분 제조 방법
KR20200057457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마린이노베이션 종이용 해조류 펄프 제조 방법 및 해조류 펄프를 이용한 종이 제조 방법
KR102042407B1 (ko) * 2019-06-27 2019-11-08 김준영 펄프몰드로 제조된 달걀 지지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039B1 (ko) 2017-11-08 2018-04-09 (주)마린펄프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펄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331A1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68079B (zh) 一种易降解抗腐食品包装纸的制备方法
CN1268531A (zh) 自然分解性材料组合物、由其制作的容器和该容器的制法
CN107401089B (zh) 抗菌防霉的瓦楞纸及其制备方法
CN104120636A (zh) 利用竹叶和竹纤维生产环保餐盒的方法
CN107653752A (zh) 一种可降解环保抗菌餐具及其制备方法
EP2547599B1 (en) Moulded articl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20170247837A1 (en) Laminate, process, and use
KR20220078046A (ko) 해조류, 패각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66448A (ko) 해조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계란판 및 그 제조방법
CN107556538A (zh) 一种可降解环保抗菌餐具及其制备方法
KR20220066451A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펄프몰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449B1 (ko) 종이 성형물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종이성형물, 및 상기 종이 성형물의 제조방법
JP2012082550A (ja) 紙配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機能紙及び機能紙の製造方法
WO2022250182A1 (ko) 해조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종이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종이컵
KR102167839B1 (ko) 바이오매스 시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바이오매스 시트
WO2023101053A1 (ko) 해조류 및 식물성 원료를 포함하는 계란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239B1 (ko) 팜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69735B1 (ko) 왕겨, 쌀겨 및 생분해성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친환경 육묘용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6145B1 (ko) 원적외선 방사 펄프몰드 용기 및 제조방법
KR20140119554A (ko) 기능성 종이의 제조방법
US20240011224A1 (en) Pulp mold comprising seaweed,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JP2006021811A (ja) パルプ成形物
KR101491999B1 (ko) 갯벌을 이용한 어패류용 단미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92000B1 (ko) 갯벌을 포함하는 어패류용 단미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698809A (zh) 一种可降解环保抗菌餐具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