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002A -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002A
KR20220078002A KR1020200166846A KR20200166846A KR20220078002A KR 20220078002 A KR20220078002 A KR 20220078002A KR 1020200166846 A KR1020200166846 A KR 1020200166846A KR 20200166846 A KR20200166846 A KR 20200166846A KR 20220078002 A KR20220078002 A KR 2022007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less
acrylat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002A/ko
Priority to US17/381,107 priority patent/US20220169893A1/en
Priority to CN202111351984.4A priority patent/CN114574110A/zh
Publication of KR2022007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10N-Vinyl-pyrrolid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8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의 값을 만족한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RESIN COMPOSITION, ADHESIVE ME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그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한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벤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표시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한 표시장치의 경우 사용되는 각 부재들은 폴딩이나 벤딩 동작에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접착층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 수지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의 부재에 대하여 우수한 코팅성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높은 점착 강도 및 우수한 내굴곡성을 가지는 접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폴딩 등의 동작 상태에서 신뢰성이 우수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 필 강도가 1000gf/25m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해 2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이 1 이상 500 이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분자량이 6000 이상인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는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인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합체는 상기 수지 조성물이 광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 필 강도가 1000gf/25m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부재의 두께는 50μm 이상 200μ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입력 감지부 사이 또는 상기 입력 감지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입력 감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윈도우의 일면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직접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 부재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 및 상기 광제어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저점도 특성을 가져 다양한 형상의 기재에 대한 우수한 도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는 높은 접착 강도 및 우수한 내굴곡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다양한 동작 상태에서 우수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 것으로 해석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및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제1 방향(DR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장치(DD)는 평면상에서 원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들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플렉서블한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D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것일 수 있다. 표시면(D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폴딩 영역(F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되며,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은 제1 방향(DR1)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일방향인 제2 방향(DR2)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의 곡률 반경(RD)은 5mm 이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DD)는 2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 및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F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비폴딩 영역들(NFA)은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 영역(FA)이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되되,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표시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표시장치(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이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장치(DD)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장치(DD)의 단변에 평행한 단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폴딩 시, 비폴딩 영역들(NFA)은 서로 마주보고, 표시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표시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폴딩 동작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DD-a)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DD-a)에 대한 설명에서는 폴딩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a)는 폴딩 영역(FA-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a)은 비폴딩 영역들(NFA-a) 사이에 배치되며, 폴딩 영역(FA-a) 및 비폴딩 영역들(NFA-a)은 제2 방향(DR2)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a)이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폴딩축(FX-a)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장치(DD-a)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a)은 표시장치(DD-a)의 장변에 평행한 장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는 단축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DD-a)는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표시장치(DD-a)가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장치(DD-a)는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며 아웃-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b)는 벤딩 영역(BA1, BA2)과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고, 벤딩 영역(BA1, 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b)는 이미지(IM)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비벤딩 영역(NBA), 이미지(IM)가 측면으로 표시되는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벤딩 영역(NBA)에서는 표시장치(DD-b)의 전면인 제3 방향(DR3) 방향으로 이미지(IM)를 제공하고, 제1 벤딩 영역(BA1)은 제5 방향(DR5) 방향으로 제2 벤딩 영역(BA2)은 제4 방향(DR4)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4 방향(DR4)과 제5 방향(DR5)은 제1 내지 제3 방향(DR1, DR2, DR3)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5 방향(DR1 내지 DR5)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b)는 비벤딩 영역(NBA) 및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벤딩 영역(BA1, BA2)을 포함하는 벤딩(bending) 표시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하나의 비벤딩 영역과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때, 벤딩 영역은 비벤딩 영역의 일측에서만 벤딩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 및 벤딩 표시장치 등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롤러블 표시장치, 플랫한 리지드 표시장치, 또는 휘어진 리지드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에서는 단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장치(DD)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장치(DD-a),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DD-b)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표시 모듈(DM)은 표시 소자층(DP-EL)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T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A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접착 부재(AP)는 입력 감지부(TP)와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구조 내에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가 포함된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모두 포함하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의 중량의 합이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 N-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하이드로프탈이미드(ARONIX M-140) 및 N-아크릴로일옥시숙신이미드(N-Succinimidyl 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의 수지 조성물은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로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하여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다.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JIS K2283 법으로 측정되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5mPa·s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접착 부재 형성을 위해 제공된 수지 조성액의 흐름이 생기며, 이에 따라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의 코팅막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50mPa·s 이상일 경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포 기기로부터 수지 조성물이 적절한 양으로 토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광 경화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경화된 이후에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50℃ 이상 0℃ 미만을 만족한다. 이에 따라, 수지 조성물은 저온 및 고온의 환경에서 높은 유연성 및 굴곡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6,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을 갖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7,000 이상 50,00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결합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골격을 갖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UF-C051, UN-7700, 및 UA1000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 이상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은 잉크젯 프린팅법 또는 디스펜싱 도포법 등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는 저점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 이상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합도를 갖는 올리고머 상태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광 경화 이후에도 높은 중합도를 유지함으로써 높은 박리력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2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 이상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2 중량% 이상 15중량% 이하로 포함하여, 조성물 상태에서는 5mPa·s 이상 50mPa·s 미만의 점도 특성을 나타내며 경화물 상태에서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이상 0℃ 미만의 값을 만족함으로써, 저온 및 고온의 양측 환경하에 있어서 높은 유연성 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접착 부재를 폴딩가능한 표시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표시 장치의 폴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이 100 이상 500 이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DAA(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Medol-10(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및 4-HBA(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이 6000 이상인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F-C0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이한 광 개시제들은 서로 다른 중심 파장의 자외선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광 개시제는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타-1-온(2,2-dimethoxy-1,2-diphenylethan-1-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2-hydroxy-1-[4-(2-hydroxyethoxy)phenyl]-2-methyl-1-propanone), 및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파-1-원(2-hydroxy-1-{4-[4-(2-hydroxy-2-methyl-propionyl)-benzyl]-phenyl}-2-methylpropan-1-o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광 개시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파-1-논(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e),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타논-1(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ophenyl)-butanone-1), 2-디메틸아미노-2-(4-메틸-벤질)-1-(4-몰포린-4-일-페닐)-부타-1-논(2-dimethylamino-2-(4-methyl-benzyl)-1-(4-morpholin-4-yl-phenyl)-butan-1-on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피네이트(2,4,6-trimethylbenzoyl-diphenyl phosphinate),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bis(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eoxide), [1-(4-페닐설파닐벤조일)헵틸리덴아미노]벤조에이트([1-(4-phenylsulfanylbenzoyl)heptylideneamino]benzoate), [1-[9-에틸-6-(2-메틸벤조일)카바조-3-일]에틸리덴아미노] 아세테이트([1-[9-ethyl-6-(2-methylbenzoyl)carbazol-3-yl]ethylideneamino] acetate), 및 비스(2,4-사이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1-피릴)페닐] 티타늄(IV)(Bis(2,4-cyclopentadienyl)bis[2,6-difluoro-3-(1-pyrryl)phenyl] titanium(IV))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에 빛을 조사할 경우, 라디칼 광 중합 개시제가 분해되면서 라디칼을 생성하고 생성된 라디칼에 의해서 중합 반응이 반복하여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Omnirad TPO-H(자기 개열형 라디칼 중합 개시제), Esacure 3644(수소 인발형 라디칼 중합 개시제), Omnirad819(자기 개열형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별도의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포함하나, 유기 용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의 함량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1 중량% 이하의 유기 용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용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경화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점도 및 상기 유리 전이 온도 범위를 만족하고, 전술한 화합물들을 포함함에 따라, 경화된 후 충분한 접착 강도 및 내굴곡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부재는 폴딩가능한 표시장치에 적용되었을 때, 표시장치의 폴딩 특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BS),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EL), 및 표시 소자층(DP-EL)을 커버하는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표시 소자층(DP-EL)에 복수 개의 유기 발광 소자들 또는 복수 개의 양자점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7 등에서 제시된 표시 패널(DP)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패널(DP)의 구성이 도 7 등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봉지층(TFE)이 생략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T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TP)는 표시 패널(DP)의 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T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하고, 입력 신호를 표시 패널(DP)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입력 감지부(TP)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일 수 있다. 입력 감지부(TP)는 사용자의 직접 터치, 사용자의 간접 터치, 물체의 직접 터치 또는 물체의 간접 터치 등을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입력 감지부(TP)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의 위치 및 터치의 세기(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입력 감지부(TP)는 다양한 구조를 갖거나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감지부(T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미도시)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입력 감지부(TP)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부(TP) 등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이미지(IM)는 윈도우(WP)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WP)는 표시장치(DD)의 터치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표시장치(DD)에서 윈도우(WP)는 플렉서블한 윈도우일 수 있다.
윈도우(WP)는 베이스층(BL) 및 인쇄층(BM)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포함한 윈도우(WP)의 전면은 표시장치(DD)의 전면에 해당한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일 부분이 생략될 수도 있다.
베이스층(BL)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L)은 강화 유리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층(BL)은 가요성이 있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L)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윈도우(WP)의 베이스층(BL)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형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베이스층(BL)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층(BM)은 표시 모듈(DM)에 인접한 베이스층(BL)의 하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베이스층(BL)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잉크인쇄층일 수 있다. 또한, 인쇄층(BM)은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윈도우(WP)에서 베젤 영역(BZA)은 인쇄층(BM)이 제공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윈도우(WP)는 베이스층(BL)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층(미도시)은 하드코팅층, 지문 방지 코팅층 등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층(BM)이 제공된 부분과 제공되지 않은 베이스층(BL) 사이에는 단차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우수한 유연성 및 높은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단차 부분에서 들뜸 없이 윈도우(WP)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AP)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인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이 광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광 개시제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광 개시제에 대하여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일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AP)는 180° 필 강도가 1000gf/25m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AP)는 우수한 내굴곡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박리 강도의 측정 등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 포함된 접착 부재(AP)는 액상의 수지 조성물 상태로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윈도우(WP)와 표시 모듈(DM) 사이에 제공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별도의 공정에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접착 부재(AP)를 형성하고, 접착 필름 형태로 경화된 상태의 접착 부재(AP)의 일면을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 상에 적층(lamination)하고, 접착 부재(AP)의 나머지 일면에 부착되지 않은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접착 부재(AP)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의 두께는 50㎛ 이상 20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는 100㎛ 이상 15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AP)를 제작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접착 부재(AP) 형성을 위한 수지 조성물(RC)을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c는 캐리어 필름(CF)을 제거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은 캐리어 필름(CF)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 필름(CF)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 필름(CF)은 액상의 수지 조성물(RC)을 코팅하기 위한 기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외선 경화 이후에 접착 부재(AP)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RC)이 제공되는 캐리어 필름(CF)의 일면에는 이형 처리(release treatment)가 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은 잉크젯 프린팅법, 또는 디스펜싱법 등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은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의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노즐(NZ)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일정한 코팅 두께가 유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여 제공된 예비 접착부재(P-AP)에 자외선광(UV)이 조사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코팅된 예비 접착부재(P-AP)로 자외선광(UV)이 직접 조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보조 캐리어 필름(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보조 캐리어 필름(미도시)은 자외선광을 투과시키는 것으로 자외선 경화 공정 중 예비 접착부재(P-AP)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이후 접착 부재(AP)가 형성될 수 있다. 공정 중에 사용된 캐리어 필름(CF)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접착 부재(AP)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의 단계로 제작된 접착 부재(AP)는 상술한 표시장치(DD)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의 일면이 표시 모듈(DM) 상에 부착되고, 이후 표시 모듈(DM)에 부착된 접착 부재(AP)의 일면과 마주하는 접착 부재(AP)의 타면 상에 윈도우(WP)가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접착 부재(AP)의 일면이 표시 모듈(DM)과 마주하게 될 윈도우(WP) 일면 상에 부착되고, 이후 윈도우(WP)에 부착된 접착 부재(AP)의 일면과 마주하는 접착 부재(AP)의 타면을 표시 모듈(DM)에 부착하여 접착 부재(AP)가 표시장치(DD)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액상으로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P) 사이에 제공된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어 접착 부재(AP)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착 부재(AP) 제조 방법과 상이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표시장치(DD)에 포함되는 접착 부재(AP)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표시 모듈(DM) 상에 수지 조성물(RC)을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b는 수지 조성물(RC)로부터 형성된 예비 접착부재(P-AP)에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수지 조성물(RC)은 잉크젯 프린팅법 또는 디스펜싱법 등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은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의 값을 만족함으로써 노즐(NZ)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얇으면서도 일정한 코팅 두께가 유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의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표시 모듈(DM)의 단차부(SP-a) 굴곡을 커버하며 제공될 수 있다. 즉, 50mPa·s 미만의 낮은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단차부(SP-a)와 같이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빈 공간이 없이 수지 조성물(RC)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노즐(NZ)을 통해 제공되는 수지 조성물(RC)은 5mPa·s 이상의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표시 모듈(DM)을 벗어나 흐르는 현상이 없이 소정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여 제공된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윈도우(WP)가 제공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RC)을 경화하기 위한 자외선광(UV)은 윈도우(WP)를 투과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윈도우(WP)가 제공될 때, 단차부(SP-b)에서 빈 공간이 없이 수지 조성물(RC)이 채워질 수 있다. 즉, 수지 조성물(RC)이 5mPa·s 이하의 낮은 점도 값을 가짐으로써 베이스층(BL)과 인쇄층(BM) 사이의 단차부(SP-a)와 같이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굴곡의 형상을 커버하면서 예비 접착부재(P-AP)가 제공될 수 있다. 예비 접착부재(P-AP)는 제공된 자외선광(UV)에 의해 중합 후 경화되어 접착 부재(AP)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RC)이 경화된 접착 부재(AP)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이상 0℃ 미만의 값을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접착 부재(AP)는 저온 및 고온의 환경에서 높은 유연성 및 굴곡성을 가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표시장치에 적용되어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b 등에 도시된 것과 달리, 윈도우(WP)가 예비 접착부재(P-AP) 상에 제공되기 전에 자외선광(UV)이 예비 접착부재(P-AP)에 제공되어 수지 조성물(RC)에서 중합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조사되는 자외선광(UV)의 양은 수지 조성물(RC)을 완전히 경화시키는 정도의 광량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예비 접착부재(P-AP) 상태에서 수지 조성물(RC)의 중합 반응을 일부 진행시키고, 이후 윈도우(WP)를 커버한 이후에 미반응 수지 조성물(RC)을 추가 반응시켜 최종적인 접착 부재(AP)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 DD-a, DD-b)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부재(AP)를 포함하여, 폴딩 상태 또는 벤딩 영역에서도 접착 부재(AP)의 들뜸 현상 없이 접착 부재(AP)를 이용하여 윈도우(WP)와 표시 모듈(DM)의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DD)와 비교하여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1)는 광제어층(PP) 및 광학 접착층(AP-a)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1)는 접착 부재(AP)와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PP), 및 광제어층(PP)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AP-a)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제어층(PP)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어 외부광에 의한 표시 패널(DP)에서의 반사광을 제어할 수 있다. 광제어층(PP)은 예를 들어, 편광층을 포함하는 것이거나 또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학 접착층(AP-a)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광학 접착층(AP-a)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 도 7)와 동일하게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광학 접착층(AP-a)의 광 개시제에 의한 반응 이전의 수지 조성물은 전수한 수지 조성물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광학 접착층(AP-a)은 높은 접착성 및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1)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를 포함하며,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는 높은 접착성 및 우수한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표시장치(DD-1)가 폴딩 또는 벤딩되는 동작 상태에서도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의 계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신뢰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DD)와 비교하여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2)는 광제어층(PP), 광학 접착층(AP-a), 및 층간 접착층(PIB)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2)는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1)와 같이 접착 부재(AP)와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PP), 및 광제어층(PP)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AP-a)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2)는 접착 부재(AP)가 표시 패널(DP)과 입력 감지부(TP) 사이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입력 감지부(TP)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지 않고 접착 부재(AP)에 의해 표시 패널(DP)이 입력 감지부(TP)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P)는 표시 패널(DP)의 봉지층(TFE, 도 7)과 입력 감지부(TP)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광제어층(PP)의 하측에는 층간 접착층(PIB)이 제공될 수 있다. 층간 접착층(PIB)은 입력 감지부(TP)와 광제어층(PP) 사이에 배치되며 투습 방지성이 우수한 접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접착층(PIB)은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층간 접착층(PIB)은 입력 감지부(TP) 상에 배치되어 입력 감지부(TP)의 감지 전극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2)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를 포함하며,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는 높은 접착성과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냄으로써 표시장치(DD-2)가 폴딩 또는 벤딩되는 동작 상태에서도 광학 접착층(AP-a) 및 접착 부재(AP)의 계면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신뢰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경화성 액상 수지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표 1, 표 2, 및 표 3에 기재된 배합비에 의해 조제되었다.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은 표 4, 표 5, 및 표 6에 기재된 배합비에 의해 조제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 재료를 표 1 내지 표 6에서 개시한 중량(%)으로 내열 차광성 용기에 제공한 이후, 광 개시제로 Omnirad TPO-H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Esacure 3644(케토쿠마린), Photomer 4250(헥사하이드로-1H-아제핀산2,2-비스[[(1-옥소-2-프로페닐)옥시]메틸)부틸), Omnirad 819(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를 60:10:1:3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수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2 중량%만큼 제공하였다. 이후, 제공된 재료들을 실온 하에서 공자전식 교반 탈포 장치(SHASHIN KAGAKU사)를 사용해, 1000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경화성 액상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재료(분자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모노머 IDAA(212) 65 65 60 65 75 65
Medol-10(200) 15 15 15 15 5 15
IBXA(208) - - - - - -
4-HBA(144) 9 7 5 9.9 5 9.9
L-A(240) - - - - - -
2-EHA(184) - - - - - -
HEA(116) - - - - - -
DMAA(99) - - - - - -
DEAA(127) - - - - - -
HEAA(115) - - - - - -
올리고머 UF-C051
(35000)
10 10 15 10 10 10
UN7700
(20000)
- - - - - -
UA10000B
(25000)
- - - - - -
고리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ARONIX M-140(239) 1 3 5 - - -
N-Succinimidyl Acrylate
(169)
- - - 0.1 5 -
N-비닐-2-피롤리돈(111) - - - - - 0.1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
(183)
- - - - - -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197) - - - - - -
재료(분자량)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모노머 IDAA(212) 75 75 75 75 75 93
Medol-10(200) 5 5 5 5 5 -
IBXA(208) - - - - - -
4-HBA(144) 5 7 7 8 8 4.9
L-A(240) - - - - - -
2-EHA(184) - - - - - -
HEA(116) - - - - - -
DMAA(99) - - - - - -
DEAA(127) - - - - - -
HEAA(115) - - - - - -
올리고머 UF-C051
(35000)
10 10 15 10 10 2
UN7700
(20000)
- - - - - -
UA10000B(25000) - - - - - -
고리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ARONIX M-140(239) - - - - 1 -
N-Succinimidyl Acrylate
(169)
- - - 1 1 -
N-비닐-2-피롤리돈(111) 5 - - 1 - 0.1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
(183)
- 3 - - - -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197) - - 3 - - -
재료(분자량)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모노머 IDAA(212) 65 65 65
Medol-10(200) 15 15 15
IBXA(208) - - -
4-HBA(144) 9 9 9
L-A(240) - - -
2-EHA(184) - - -
HEA(116) - - -
DMAA(99) - - -
DEAA(127) - - -
HEAA(115) - - -
올리고머 UF-C051 (35000) 10 10 10
UN7700(20000) - - -
UA10000B(25000) - - -
고리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ARONIX M-140(239) 1 1 1
N-Succinimidyl Acrylate (169) - - -
N-비닐-2-피롤리돈(111) - - -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183) - - -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197) - - -
유기 용제 MEK (72) 1 - -
에탄올 (46) - 1 -
아세톤(58) - - 1
재료(분자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모노머 IDAA(212) 65 60 84.9 65 88 -
Medol-10
(200)
15 10 - 5 - -
IBXA(208) - - - - - -
4-HBA(144) 10 10 - 9 10 -
L-A(240) - - - - - -
2-EHA(184) - - - - - 30
HEA(116) - - - - - 30
DMAA(99) - - - - - -
DEAA(127) - - - - - -
HEAA(115) - - - - - -
올리고머 UF-C051
(35000)
10 10 15 20 1 40
UN7700
(20000)
- - - - - -
UA10000B(25000) - - - - - -
고리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ARONIX M-140(239) - - - - - -
N-Succinimidyl Acrylate
(169)
- - 0.1 - - -
N-비닐-2-피롤리돈(111) - 10 - 1 1 -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
(183)
- - - - - -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97)
- - - - - -
재료(분자량)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모노머 IDAA(212) 60 60 60 - - -
Medol-10(200) 15 15 15 - - -
IBXA(208) - - - 40 40 40
4-HBA(144) 5 5 5 20 20 20
L-A(240) - - - 20 20 20
2-EHA(184) - - - - - -
HEA(116) - - - - - -
DMAA(99) 5 - - - - -
DEAA(127) - 5 - - - -
HEAA(115) - - 5 - - -
올리고머 UF-C051
(35000)
15 15 15 - - -
UN7700
(20000)
- - - - 20 10
UA10000B(25000) - - - 20 - -
고리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ARONIX M-140(239) 5 - - - - -
N-Succinimidyl Acrylate
(169)
- - - - - -
N-비닐-2-피롤리돈(111) - - - - - -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
(183)
- - - - - -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97)
- - - - - -
재료(분자량)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모노머 IDAA
(212)
65 65 65 65 - - -
Medol-10
(200)
15 15 15 15 - - -
IBXA(208) - - - - - - -
4-HBA(144) 9 9 9 9 94 90 94
L-A(240) - - - - 1.80 - -
2-EHA(184) - - - - - - -
HEA(116) - - - - - - -
DMAA(99) - - - - - - -
DEAA(127) - - - - - - -
HEAA(115) - - - - - 10 -
AA(72) - - - - 6 - -
올리고머 UF-C051
(35000)
10 10 10 10 -
UN7700
(20000)
- - - - - - -
UA10000B
(25000)
- - - - - - -
고리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ARONIX M-140
(239)
1 1 1 1 - - -
N-Succinimidyl Acrylate
(169)
- - - - - - -
N-비닐-2-피롤리돈
(111)
- - - - - - -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
(183)
- - - - - - -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197) - - - - - - -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1,6HX-A
(226)
- - - - 0.2 0.2 0.2
NK 올리고 UA-1013P
(14000)
- - - - - - 2
유기 용제 MEK(72) 2 10 - - - - -
에탄올(36) - - 10 - - - -
아세톤(58) - - - 10 - - -
<실시예 및 비교예 구성성분으로 사용된 재료에 대한 자료>
상기 표 1 내지 표 6에 개시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구성 성분에 대한 자료는 아래와 같다.
[모노머]
IDAA: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Medol-10: 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IBXA: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FA-512AS: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HBA: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L-A: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2-EH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HEA: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DMAA: 디메틸 아크릴아미드
DEAA: 디에틸 아크릴아미드
HEAA: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아미드
AA: 아크릴산
[올리고머]
UF-C05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UN-7700: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UA10000B: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고리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ARONIX M-140: N-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하이드로프탈이미드
N-Succinimidyl Acrylate: N-아크릴로일옥시숙신이미드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N-비닐-2-피롤리돈: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2-피롤리돈-N-에틸 아크릴레이트: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2-피롤리돈-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1,6HX-A: 1,6-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NK 올리고 UA-1013P: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개시제]
Omnirad TPO-H: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Esacure 3644: 케토쿠마린
Photomer 4250: 헥사하이드로-1H-아제핀산2,2-비스[[(1-옥소-2-프로페닐)옥시]메틸]부틸
Omnirad 819: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유기 용제]
MEK: 메틸에틸케톤
2.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접착 부재의 물성 평가
아래 표 7 및 표 8에서는 상기 표 1 내지 표 6의 조성비를 갖는 수지 조성물의 점도, 각 조성물을 경화한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 상기 경화물의 특성, 잉크젯 적성, 상기 경화물의 180° 필 강도, 상기 경화물의 고온 내구성, 및 상기 경화물의 저온 내구성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표 7에는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측정 결과를 기재하였다. 표 8에는 상기 표 4 내지 표 6의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의 측정 결과를 기재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점도, 상기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 상기 경화물의 특성, 잉크젯 적성, 상기 경화물의 180° 필 강도, 상기 경화물의 고온 내구성, 및 상기 경화물의 저온 내구성은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 방법]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JIS K2283 법을 이용하여 25℃에서 측정된 것으로 점도계 TVE-25L(도키산업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하여, 10rpm의 속도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다.
[경화물 Tg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배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메탈할라이드램프(아이그래픽스사 제품 컨베이어형 자외선 조사 장치)로 4000mJ/cm2의 적산 광량이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어진 수지 경화물(사이즈: 직경 8mmΦ, 두께 0.5mmt)을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Anton Paar사 제품 MCR302)로 경화물의 Tg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주파수 1Hz, 온도 범위 -70℃~80℃,승온 속도 10℃/분으로 하였다.
[경화물 신뢰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배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방적사 제품, 제품명 '코스모샤인 4100' 두께 100μm)과 슬라이드 글라스(마쓰나미유리공업 주식회사 제품, 제품명 'S1112')를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첩합하였다. 첩합 후에 슬라이드 글라스 측에서 메탈할라이드램프(아이그래픽스사 제품 컨베이어형 자외선 조사 장치)로 4000mJ/cm2의 적산 광량이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외관을 관찰했다.
O: 백탁 불량 없음
X: 백탁 불량 있음
[잉크젯 적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배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잉크젯 장치(MICROJET사 제품)를 사용해 도포 및 UV 경화를 실시하여, 경화 후 도막의 외관을 관찰했다. 관찰 결과를 하기와 같이 표기하였다.
O: 도포 누출·두께 편차 없음
Δ: 도포 누출·두께 편차 있음
X: 토출 불가
[180° 필 강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배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슬라이드 글라스(마쓰나미유리공업 주식회사 제품, 제품명 'S1112')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도포했다. 그 후, 365±5nm의 범위에 파장 피크를 갖는 UV-LED를 이용해, 강도 100mW/cm2의 자외선을 2초간 조사하는 것에 의해 UV 가경화물층을 작성했다.
작성한 UV 가경화층에 폴리이미드 필름(도레이·듀폰사 제품, 제품명 'Kapton' 두께 75μm)을 첩합해, 자동 가열 가압 처리 장치(Chiyoda Electronics Co,.Ltd. 제품 제품명 'ACS-230')를 이용해, 30℃, 0.5MPa의 조건에서 5분간 처리를 실시했다.
그 후, 395±5nm의 범위에 파장 피크를 갖는 UV-LED를 사용해, 폴리이미드 필름 측에서 강도 500mW/cm2의 자외선을 4초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적층체를 이용해, 인장 시험기(INSTRON사 제품 INSTRON 5965형)로 180° 필 시험을 실시했다. 측정 조건은, 25℃ 환경하, 인장 속도 300mm/min로 실시했다.
[고온 내구성 측정]
180° 필 강도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필름 / 수지 경화물 / 슬라이드 글라스의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고온 또는 고온 고습(85℃ 85%RH) 환경에 72시간 유지시켜, 피착체에서의 들뜸 및 수지 변형 등의 발생을 관찰했다.
O: 외관 변화 없음
X: 들뜸 있음
[저온 내구성 측정]
180° 필 강도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이미드 필름 / 수지 경화물 / 슬라이드 글라스의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저온(-20℃ 환경에 72시간 유지시켜, 피착체에서의 들뜸 및 수지 변형 등의 발생을 관찰했다.
O: 외관 변화 없음
X: 들뜸 있음
평가 항목 점도
[mPa·s]
경화물 Tg
[℃]
경화물
신뢰성
평가
잉크젯
적성
평가
180°필 강도
[gf/25mm]
고온
내구성
평가
저온
내구성
평가
실시예 1 17 -32 O O 1420 O O
실시예 2 24 -22 O O 1610 O O
실시예 3 48 -2 O O 2110 O O
실시예 4 19 -34 O O 1120 O O
실시예 5 23 -20 O O 1730 O O
실시예 6 18 -35 O O 1530 O O
실시예 7 16 -14 O O 2810 O O
실시예 8 18 -27 O O 2560 O O
실시예 9 18 -33 O O 2390 O O
실시예 10 20 -17 O O 2360 O O
실시예 11 24 -21 O O 1790 O O
실시예 12 5.1 -49 O O 1270 O O
실시예 13 16 -32 O O 1320 O O
실시예 14 16 -32 O O 1280 O O
실시예 15 16 -32 O O 1290 O O
표 7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의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상태에서 5mPa·s 이상 50mPa·s 미만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코팅막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잉크젯 적성 평가에서 모두 정상적으로 도포 가능했다.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의 수지 조성물은 경화물 상태에서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이상 0℃ 미만의 값을 만족함으로써, 경화물의 고온 내구성 평가 및 저온 내구성 평가에서 외관의 변화가 없이 우수한 유연성과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여, 높은 필 강도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하여 필 강도가 1000gf/25mm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의 수지 조성물 및 유기 용제를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5의 수지 조성물은 경화 시 백탁 및 경화 불량 등이 확인되지 않았다.
평가 항목 점도
[mPa·s]
경화물 Tg
[℃]
경화물
신뢰성
평가
잉크젯
적성
평가
180°
필 강도
[gf/25mm]
고온
내구성
평가
저온
내구성
평가
비교예 1 17 -33 O O 420 O O
비교예 2 34 25 O O 1230 O X
비교예 3 28 -57 O O 1080 X O
비교예 4 62 -36 O Δ 1420 O O
비교예 5 3.2 -31 O Δ 1470 O O
비교예 6 3800 -28 O X 590 O O
비교예 7 45 44 O O 790 O X
비교예 8 46 24 O O 670 O X
비교예 9 79 37 O Δ 820 O X
비교예 10 144 39 O Δ 860 O X
비교예 11 88 54 O Δ 320 O X
비교예 12 28 75 O O 540 O X
비교예 13 15 -33 X O 920 O O
비교예 14 11 측정불가 X O 측정불가 X X
비교예 15 12 측정불가 X O 측정불가 X X
비교예 16 11 측정불가 X O 측정불가 X X
표 8의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으며,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 필 강도가 저하되었다.비교예 2의 수지 조성물은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10 중량% 포함하여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크게 상승하였으며, 저온에서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3의 수지 조성물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미만의 값을 가짐에 따라, 고온에서 내구성이 저하되었으며 구체적으로 고온 고습(예를 들어 85℃, 85% RH)환경에서 경화물의 변형 및 피착체에서의 박리가 확인되었다.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수지 조성물은 각각 점도가 50mPa·s 이상, 5mPa·s 미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시 수지 조성물을 도포 시, 정밀한 도포가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점도가 50mPa·s 이상인 경우, 수지 조성물의 토출 후에 두께의 편차가 발생하고, 점도가 5mPa·s 미만인 경우, 수지 조성물의 토출 불량이 발생해 패턴의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비교예 6의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를 40 중량%으로 포함하여, 점도가 크게 상승하였고 잉크젯 프린터로 수지 도포가 곤란하였다. 또한, 비교예 6의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아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9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고, 아크릴아미드(DMAA, DEAA, DEAA)를 5 중량% 포함하여 경화물의 Tg가 크게 상승하였다. 이에 따라 하여,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9의 수지 조성물은, 경화물의 유연성이 저하되었고 -20℃에서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박리가 발생했다. 또한, 비교예 7 내지 비교예 9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밀착력이 낮고, 필 강도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0 및 비교예 11의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50mPa·s 이상의 값을 가짐에 따라 잉크젯 프린터에서 균일한 두께로의 도포가 곤란하였다.
비교예 12의 수지 조성물은 IBXA를 주성분으로 포함하여 Tg가 높으며, 저온에서의 유연성이 낮아 -20℃의 내구성 시험에서 박리가 발생했다.
또한, 비교예 10 내지 12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밀착력이 낮고, 필 강도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3 내지 비교예 16의 수지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2 중량% 또는 10 중량% 포함하여, 자외선 조사 후 경화물에 백탁이 발생하였으며 경화 불량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13 내지 비교예 16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필름 및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7 내지 비교예 19의 수지 조성물은, 발명의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아, 경화 후 폴리이미드 필름 및 유리에 대한 180° 필 강도가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비교예 17 내지 비교예 19의 수지 조성물은, 높은 흡습성 및 흡수성을 가진 4-HBA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여, 고온 고습 환경에서 경화물의 백탁 및 박리가 발생하였다.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의 값을 만족하여, 경화 전에는 도포성이 우수하고, 경화 후에는 접착력, 유연성, 및 저온 내지 고온의 환경에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통해 형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굴곡진 부분에서 접착 부재의 박리나 경화 불량이 없어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내며, 저온 내지 고온에서 우수한 동작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DD-a, DD-b, DD-1: 표시장치
RC: 수지 조성물 AP: 접착 부재

Claims (20)

  1.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인 수지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 필 강도가 1000gf/25mm 이상인 수지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해 2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수지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이 1 이상 500 이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분자량이 6000 이상인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수지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8.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인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접착 부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상기 수지 조성물이 광 경화된 것인 접착 부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 필 강도가 1000gf/25mm 이상인 접착 부재.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2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접착 부재.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접착 부재.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접착 부재.
  14.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JIS K2283 법으로 측정된 25℃에서의 점도가 5mPa·s 이상 50mPa·s 미만이고, 고리 형상의 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피롤리돈 골격과 라디칼 경화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경화된 후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미만인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두께는 50μm 이상 200μm 이하인 표시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입력 감지부 사이 또는 상기 입력 감지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부는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입력 감지부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상기 윈도우의 일면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직접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것인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인 표시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제어층, 및 상기 광제어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00166846A 2020-12-02 2020-12-02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078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46A KR20220078002A (ko) 2020-12-02 2020-12-02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7/381,107 US20220169893A1 (en) 2020-12-02 2021-07-20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111351984.4A CN114574110A (zh) 2020-12-02 2021-11-16 树脂组合物、粘合剂构件、以及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46A KR20220078002A (ko) 2020-12-02 2020-12-02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02A true KR20220078002A (ko) 2022-06-10

Family

ID=8175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846A KR20220078002A (ko) 2020-12-02 2020-12-02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69893A1 (ko)
KR (1) KR20220078002A (ko)
CN (1) CN114574110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3005B (zh) * 2009-07-28 2015-07-21 Toagosei Co Ltd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agent composition for a plastic film or sheet
JP6623653B2 (ja) * 2015-10-01 2019-12-25 東亞合成株式会社 絶縁性に優れ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
JP2017178992A (ja) * 2016-03-28 2017-10-05 東亞合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74110A (zh) 2022-06-03
US20220169893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338B2 (ja) 表示体および粘着シート
JP6810123B2 (ja)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US20210214482A1 (en)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6063931A (zh) 树脂组合物、制造粘合构件的方法以及显示装置
KR20210142806A (ko)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820886B2 (en)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78002A (ko)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20300103A1 (en)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98066B2 (e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126251A1 (en) Adhesive member forme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dhesive member
KR20220082131A (ko)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144989A1 (en) Resin compositio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63812A (ko)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131494A (ko)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3015980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30077827A (ko)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26753A (ko)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의 제공을 포함하는 접착 부재 제조 방법,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18333A (ko)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 및 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21050353A (ja)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