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954A -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954A
KR20220077954A KR1020200166223A KR20200166223A KR20220077954A KR 20220077954 A KR20220077954 A KR 20220077954A KR 1020200166223 A KR1020200166223 A KR 1020200166223A KR 20200166223 A KR20200166223 A KR 20200166223A KR 20220077954 A KR20220077954 A KR 20220077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ity
color
shape
expression surface
prop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filed Critical (주)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Priority to KR102020016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954A/ko
Publication of KR2022007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8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e.g. using a graphics tab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은, 제 1 객체군과 제 2 객체군이 전면에 각각 표출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 중에 표출되는 상기 제 1 객체군과 상기 제 2 객체군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지 시트를 통해 선택된 객체군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상기 테스트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1 형상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2 형상 객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 상기 제 1 형상 객체,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 및 상기 제 2 형상 객체 중 적어도 3개 이상은 서로 다른 색채를 각각 표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PROPENSITY TESTING METHOD BASED ON COLOR}
본 발명은 사람들의 성격성향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색채를 표출하는 두 객체군을 포함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또는 성향 테스트 화면)를 통해 선호하는 객체군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성격유형)을 분석할 수 있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림 등을 포함하는 그림 카드를 이용하여 인간의 성격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개인의 성격성향을 진단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 성격유형 분석 방법에서는 그림 카드에 그려져 있는 객체의 위치 및 크기 등을 보고 견본 그림 카드에 그려져 있는 유사한 객체의 위치 및 크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유사한 이미지를 찾도록 하는 종래 방식은 인간의 다양한 성격유형(성격성향)을 분석 및 진단하는데 있어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5981호(공고일: 2019. 05. 08.)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채를 표출하는 두 객체군을 포함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또는 성향 테스트 화면)의 제공을 통해 선호하는 객체군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성격유형)을 분석할 수 있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채를 표출하는 두 객체군을 포함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또는 성향 테스트 화면)의 온라인 제공을 통해 선호하는 객체군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성격유형)을 자동 분석할 수 있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제 1 객체군과 제 2 객체군이 전면에 각각 표출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 중에 표출되는 상기 제 1 객체군과 상기 제 2 객체군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지 시트를 통해 선택된 객체군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상기 테스트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1 형상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2 형상 객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 상기 제 1 형상 객체,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 및 상기 제 2 형상 객체 중 적어도 3개 이상은 서로 다른 색채를 각각 표출하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형상 객체와 상기 제 2 형상 객체는, 동일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형상 객체와 상기 제 2 형상 객체는, 서로 상이한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성격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색채의 톤을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1을 구분하고, 사실적 또는 추상적 색채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2를 구분하며, 색채의 파장 기준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3을 구분하고, 배색 형태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4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성격성향 지표 1은 외향형 및 내향형의 구분 기준이고, 상기 성격성향 지표 2는 감각형 및 직관형의 구분 기준이며, 상기 성격성향 지표 3은 사고형 및 감정형의 구분 기준이고, 상기 성격성향 지표 4는 판단형 및 인식형의 구분 기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가 테스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가 제 1 객체군과 제 2 객체군이 전면에 각각 표출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화면을 순차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사용자에 의한 색채 기반의 객체군 선택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사용자에 의한 색채 기반의 객체군 선택이 완료되면, 객체군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성격성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1 형상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2 형상 객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 상기 제 1 형상 객체,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 및 상기 제 2 형상 객체 중 적어도 3개 이상은 서로 다른 색채를 각각 표출하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형상 객체와 상기 제 2 형상 객체는, 동일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형상 객체와 상기 제 2 형상 객체는, 서로 상이한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성격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색채의 톤을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1을 구분하고, 사실적 또는 추상적 색채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2를 구분하며, 색채의 파장 기준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3을 구분하고, 배색 형태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4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성격성향 지표 1은 외향형 및 내향형의 구분 기준이고, 상기 성격성향 지표 2는 감각형 및 직관형의 구분 기준이며, 상기 성격성향 지표 3은 사고형 및 감정형의 구분 기준이고, 상기 성격성향 지표 4는 판단형 및 인식형의 구분 기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색채를 표출하는 두 객체군을 포함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또는 성향 테스트 화면)의 제공을 통해 선호하는 객체군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성격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다양한 성격성향을 고정확하게 분석 및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색채를 표출하는 두 객체군을 포함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또는 성향 테스트 화면)의 온라인 제공을 통해 선호하는 객체군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성격유형)을 자동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다양한 성격성향을 고정확하게 분석 및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색채 기반으로 성격성향을 테스트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서로 다른 색채의 두 객체군이 전면에 표출되는 성향 테스트 시트의 각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를 온라인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 서버 환경의 네트워크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색채 기반으로 성격성향을 테스트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색채의 적어도 두 개의 객체군(제 1 객체군과 제 2 객체군)이 전면에 각각 표출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예컨대, 서로 다른 두 객체군으로 각각 구성되는 20개 세트, 30개 세트, 40개 세트 등)와 선택지 시트를 준비한다(단계 102).
각 성향 테스트 시트 상의 제 1 객체군은, 예컨대 제 1 객체 표출면과 제 1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1 형상 객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객체군은, 예컨대 제 2 객체 표출면과 제 2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2 형상 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객체 표출면, 제 1 형상 객체, 제 2 객체 표출면 및 제 2 형상 객체 중 적어도 3개 이상은 서로 다른 색채를 각각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형상 객체와 제 2 형상 객체는 동일 구조의 형상 객체이거나 혹은 서로 상이한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도 2의 (a) 내지 (d)는 서로 다른 색채의 두 객체군이 전면에 표출되는 성향 테스트 시트의 각 예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성향 테스트 시트의 전면에 표출되는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102a)과 제 1 형상 객체(104a)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102b)과 제 2 형상 객체(10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객체 표출면(102a)과 제 2 객체 표출면(102b)은 동일한 색채로 표출될 수 있고, 제 1 형상 객체(104a)와 제 2 형상 객체(104b)는 서로 다른 색채로 표출될 수 있으며, 제 1 형상 객체(104a)와 제 2 형상 객체(104b)는 서로 상이한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성향 테스트 시트의 전면에 표출되는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112a)과 제 1 형상 객체(114a)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112b)과 제 2 형상 객체(11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객체 표출면(112a)과 제 2 객체 표출면(112b)은 서로 다른 색채로 표출될 수 있고, 제 1 형상 객체(114a)와 제 2 형상 객체(114b)는 서로 다른 색채로 표출될 수 있으며, 제 1 형상 객체(114a)와 제 2 형상 객체(114b)는 동일한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성향 테스트 시트의 전면에 표출되는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122a)과 제 1 형상 객체(124a)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122b)과 제 2 형상 객체(12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객체 표출면(122a)과 제 2 객체 표출면(122b)은 서로 다른 색채로 표출될 수 있고, 제 1 형상 객체(124a)와 제 2 형상 객체(124b)는 동일한 색채로 표출될 수 있으며, 제 1 형상 객체(124a)와 제 2 형상 객체(124b)는 서로 상이한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도 2의 (d)를 참조하면, 성향 테스트 시트의 전면에 표출되는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132a)과 제 1 형상 객체(134a)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132b)과 제 2 형상 객체(13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객체 표출면(132a)과 제 2 객체 표출면(132b)은 서로 다른 색채로 표출될 수 있고, 제 1 형상 객체(134a)와 제 2 형상 객체(134b)는 서로 다른 색채로 표출될 수 있으며, 제 1 형상 객체(134a)와 제 2 형상 객체(134b)는 동일한 구조의 형상 객체일 수 있다.
그리고, 준비된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와 선택지 시트가 테스트 대상자에게 제공되는데(단계 104), 테스트 대상자는 자신에게 제공된 각 성향 테스트 시트에 표출된 색채 기반의 두 객체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지 시트에 표기하는 방식으로 성향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테스트 대상자에 의한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가 완료되면, 선택지 시트에 표기된 객체군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을 분석한다(단계 106).
성격성향의 분석은, 예컨대 색채의 톤을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1을 구분하고, 사실적 또는 추상적 색채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2를 구분하며, 색채의 파장 기준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3을 구분하고, 배색 형태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4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성격성향 지표 1은 외향형 및 내향형의 구분 기준이고, 성격성향 지표 2는 감각형 및 직관형의 구분 기준이며, 성격성향 지표 3은 사고형 및 감정형의 구분 기준이고, 성격성향 지표 4는 판단형 및 인식형의 구분 기준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색채를 기반으로 하는 성격성향(성격유형)의 분석이 완료되면, 인적사항(예컨대, 테스트 대상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나이, 테스트 일자 등) 등을 포함하는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테스트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108).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를 온라인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 서버 환경의 네트워크 계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 서버 환경의 네트워크 계통도는 클라이언트(310), 네트워크(320),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 및 정보 DB(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10)는, 예컨대 모바일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 대상자)는 네트워크(320)를 통해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은, 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북,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등과 같은 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 탑재의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클라이언트(310)는 반드시 모바일 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320)에 접속할 수 있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 유선 전화기 등과 같은 유선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 대상자)는 네트워크(320)를 통해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 접속하여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를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는 자신의 인적사항을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 제공할 수 있는데, 인적사항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나이 일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단지 하나의 클라이언트만을 도시하였으나, 이것을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인 제시일 뿐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백, 수천, 수만, 수십만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네트워크(320)는, 예컨대 2세대(2G) 통신망, 3세대(3G) 통신망, 4세대(4G) 통신망, 5세대(5G) 통신망, 차세대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유선 인터넷 등으로 된 유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는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로부터 네트워크(320)를 통해 제공되어 단말의 모니터를 통해 표출(디스플레이)되는 색채 기반의 각 성향 테스트 화면들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두 객체군 중의 하나를 선택(예컨대, 화면상의 선택 화면 클릭 등)하는 방식으로 성격성향 테스트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의 모니터를 통해 표출되는 각 성향 테스트 화면은, 일례로서 도 2의 (a) 내지 (d)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채의 두 객체군이 전면에 표출되는 성향 테스트 시트가 모니터 상에 표출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총 20개의 성향 테스트 화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는 1번부터 20번까지의 성향 테스트 화면을 순차적으로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각 객체군을 선택할 수 있다.
각 성향 테스트 화면에 포함되는 제 1 객체군과 제 2 객체군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상 및 색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성향 테스트 화면상의 제 1 객체군은, 예컨대 제 1 객체 표출면과 제 1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1 형상 객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객체군은, 예컨대 제 2 객체 표출면과 제 2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2 형상 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객체 표출면, 제 1 형상 객체, 제 2 객체 표출면 및 제 2 형상 객체 중 적어도 3개 이상은 서로 다른 색채를 각각 표출할 수 있다.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는 클라이언트(310)로부터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가 요청되면, 정보 DB(340)로부터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 인적사항에 상응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화면들을 순차 인출하여 네트워크(320)를 통해 클라이언트(310)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 DB(340)에는 성별 및 연령대별에 각각 상응할 수 있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화면 세트들이 저장되어 있다.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는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에 의한 색채 기반의 객체군 선택이 완료되면, 객체군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성격성향을 분석하고, 그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네트워크(320)를 통해 클라이언트(310)에게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성격성향의 분석은, 예컨대 색채의 톤을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1을 구분하고, 사실적 또는 추상적 색채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2를 구분하며, 색채의 파장 기준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3을 구분하고, 배색 형태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4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성격성향 지표 1은 외향형 및 내향형의 구분 기준이고, 성격성향 지표 2는 감각형 및 직관형의 구분 기준이며, 성격성향 지표 3은 사고형 및 감정형의 구분 기준이고, 성격성향 지표 4는 판단형 및 인식형의 구분 기준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를 온라인 서비스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 대상자)는 네트워크(320)를 통해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 접속하여 색채 기반의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를 요청한다(단계 402).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의 요청시에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테스트 대상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인적사항이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 제공될 수 있다.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서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에 상응하는 성향 테스트 화면 세트들을 인출하여 하나의 화면씩 순차적으로 네트워크(320)를 통해 클라이언트(310)에게 제공한다(단계 404).
따라서,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는 단말의 모니터를 통해 표출(디스플레이)되는 색채 기반의 각 성향 테스트 화면들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두 객체군 중의 하나를 선택(예컨대, 화면상의 선택 화면 클릭 등)하는 방식으로 성격성향 테스트 서비스를 진행한다(단계 406).
단계(408)에서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체크 결과 성향 테스트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즉 클라이언트(310)의 사용자에 의한 색채 기반의 객체군 선택이 완료되면,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서는 객체군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클라이언트(310) 사용자의 성격성향을 분석한다(단계 410).
이후,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330)에서는 성격성향의 분석이 완료되면, 그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네트워크(320)를 통해 클라이언트(310)에게 제공하며(단계 412), 그 결과 클라이언트 사용자는 자신이 온라인 서비스로 진행한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0 : 클라이언트
320 : 네트워크
330 : 성격성향 서비스 서버
340 : 정보 DB

Claims (5)

  1. 제 1 객체군과 제 2 객체군이 전면에 각각 표출되는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성향 테스트 시트 중에 표출되는 상기 제 1 객체군과 상기 제 2 객체군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지 시트를 통해 선택된 객체군 선택 결과에 의거하여 테스트 대상자의 성격성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성격성향의 분석 결과를 상기 테스트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객체군은,
    제 1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1 형상 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객체군은,
    제 2 객체 표출면과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상에 표출되는 제 2 형상 객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객체 표출면, 상기 제 1 형상 객체, 상기 제 2 객체 표출면 및 상기 제 2 형상 객체 중 적어도 3개 이상은 서로 다른 색채를 각각 표출하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상 객체와 상기 제 2 형상 객체는,
    동일 구조의 형상 객체인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상 객체와 상기 제 2 형상 객체는,
    서로 상이한 구조의 형상 객체인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격성향을 분석하는 단계는,
    색채의 톤을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1을 구분하고, 사실적 또는 추상적 색채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2를 구분하며, 색채의 파장 기준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3을 구분하고, 배색 형태 선호도를 기준으로 성격성향 지표 4를 구분하는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격성향 지표 1은 외향형 및 내향형의 구분 기준이고,
    상기 성격성향 지표 2는 감각형 및 직관형의 구분 기준이며,
    상기 성격성향 지표 3은 사고형 및 감정형의 구분 기준이고,
    상기 성격성향 지표 4는 판단형 및 인식형의 구분 기준인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KR1020200166223A 2020-12-02 2020-12-02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KR20220077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23A KR20220077954A (ko) 2020-12-02 2020-12-02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23A KR20220077954A (ko) 2020-12-02 2020-12-02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954A true KR20220077954A (ko) 2022-06-10

Family

ID=8198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23A KR20220077954A (ko) 2020-12-02 2020-12-02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210B1 (ko) * 2022-11-21 2023-02-23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색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81B1 (ko) 2018-07-27 2019-05-08 이도균 유아 성격 유형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81B1 (ko) 2018-07-27 2019-05-08 이도균 유아 성격 유형 검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210B1 (ko) * 2022-11-21 2023-02-23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색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521593B1 (ko) * 2022-11-21 2023-04-1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시각 피드백의 형태로 출력되는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성격을 분석하는 방법
KR102521594B1 (ko) * 2022-11-21 2023-04-1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그림 색채를 분석하고, 사용자를 분석하는 시스템
KR102521591B1 (ko) * 2022-11-21 2023-04-1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사용자 그림 데이터의 객체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하는 방법
KR102521592B1 (ko) * 2022-11-21 2023-04-1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데이터의 색채 분석에 따른 결과 데이터로서 색채 사용 정도, 색채 특성 분포도 및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1669B2 (en) Computer systems and processes configured to identify behavioral, action, activity, and/or emotional states of a person and to respond to the identity of the states
KR102626909B1 (ko)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CN109978812A (zh) 摄像系统、学习装置、摄像装置和学习方法
US11521115B2 (en) Method and system of detecting data imbalance in a dataset used in machine-learning
US201202544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nchmarking web accessibility features in websites
KR102381572B1 (ko) 기계학습을 이용한 온라인 면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0013532B2 (en) Terminal, system,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display program
Musil et al. What is seen is who you are: Are cues in selfie pictures related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N110414607A (zh) 胶囊内窥镜图像的分类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5803779A (zh) 分析增强现实内容使用数据
CN107896510A (zh) 社交网络中与朋友的帖子混合的质量行业内容
US9818307B2 (en)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for a semantic-based creativity assessment
KR20220077954A (ko) 색채 기반의 성향 테스트 방법
Paramei et al. Multidimensional scaling of large chromatic differences by normal and color-deficient subjects
Correll et al. Examining the contribution of physical cues for same-and cross-race face individuation
Vidyapu et al. Attention prediction on webpage images using multilabel classification
Segatti et al. Unpacking the Components of National Identity and Their Effects on Identification
KR101916596B1 (ko) 이미지의 혐오감을 예측하는 방법
KR20210039154A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색상 인지 측정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색상 인지 측정 방법
Mazalu et al. Web accessibility assessment through multi-agent support for visually impaired users
KR20200020338A (ko) 협력성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분석 방법, 그리고 심리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분석 방법
KR102640558B1 (ko) 시각 어프로치 적성 검사 시스템
JP7465012B2 (ja) ビデオミーティング評価端末、ビデオミーティング評価システム及びビデオミーティング評価プログラム
JP7138998B1 (ja) ビデオセッション評価端末、ビデオセッション評価システム及びビデオセッション評価プログラム
WO2022145038A1 (ja) ビデオミーティング評価端末、ビデオミーティング評価システム及びビデオミーティング評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3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916

Effective date: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