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636A -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636A
KR20220077636A KR1020200166770A KR20200166770A KR20220077636A KR 20220077636 A KR20220077636 A KR 20220077636A KR 1020200166770 A KR1020200166770 A KR 1020200166770A KR 20200166770 A KR20200166770 A KR 20200166770A KR 20220077636 A KR20220077636 A KR 20220077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quaternium
betaine
composition
less
sulf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대경
배우리
빈성아
최장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16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636A/ko
Publication of KR2022007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포화 양이온 계면활성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에 따르면,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비드를 효과적으로 분산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사용감을 저해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ashing Hair or Cleansing Skin Comprising Bead}
본 명세서에는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두피 포함)는 신체의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기관으로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모 및 이미지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관이다. 특히 피부는 모발과 함께 수분의 증발 방지, 체온 조절, 자외선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의 인체 보호, 유해 미생물의 침입 방지 등 외부 환경에 대한 인체의 1차 방어막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모발 및/또는 피부를 세정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종래 고형인 비누가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던 것과는 달리 현재 세정 용품은 사용하기에 편리한 액상 제품이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시판되고 있다. 특히 액상 바디 클렌저(body cleanse)와 샴푸(shampoo)는 그 편리성으로 인해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상기 세정 제품에 있어서, 기능의 향상에 더하여 심미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비드가 함유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7842호에서는 이러한 비드(또는 캡슐)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폴리머가 함유된 조성물을 도포할 경우 미끈거리는 감촉을 제공하는 등 사용감 면에서 단점을 나타낸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8152호에서는 카보머 등의 폴리머를 물에 분산시켜 제조되는 화장품 등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용액 내의 비드의 분산 정도 및 화장품의 사용감 측면의 논의는 전무하다. 이에 따라, 비드를 효과적으로 분산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사용감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78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152호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비드를 효과적으로 분산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사용감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비드를 효과적으로 분산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사용감을 저해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본 개시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어 “포함하는”, “갖는”, “함유하는”은 포괄적 또는 개방적이고,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상기 용어에 앞서 열거된 품목들의 모든 순열 및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 B, C,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A, B, C, AB, AC, BC 또는 ABC, 및 특별한 문맥에서 순서가 중요한 경우에는 BA, CA, CB, CBA, BCA, ACB, BAC 또는 CAB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예와 함께, 1개 이상의 품목 또는 용어의 반복을 함유하는 조합, 예컨대 BB, AAA, MB, BBC, AAABCCCC, CBBAAA, CABABB 등이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문맥상 달리 자명하지 않는 한, 전형적으로 임의의 조합에서 품목 또는 용어의 개수에 제한이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모발”은 “살아있는”, 즉 살아있는 신체 상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유류, 인간 모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발”은 “살아있지 않은”, 즉 가발, 헤어피스 또는 살아있지 않은 케라틴성 섬유의 다른 집합체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울, 모피 및 다른 케라틴 함유 섬유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발”은 “모발 섬유”의 용어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드(Bead)”는 스크럽 기능 및/또는 심미감을 제공하는 알갱이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형 에멀젼 비드일 수 있다. 상기 “고형(solid)”은 화장수 또는 유제와 같은 액상 에멀젼이나 크림과 같은 고점성 에멀젼을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형태화했을 때 실온 또는 상온에서 일정 기간 동안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하루 이상, 바람직하게는 일주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달 이상이 경과한 후에도 그 형태의 변형율이 20% 이내, 구체적으로는 15% 이내, 바람직하게는 10%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내인 고체상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비드는 탄력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실온 또는 상온에서, 비드에 외력을 가할 때, 변형률이 5% 이내, 10% 이내, 15% 이내, 20% 이내, 30% 이내에 달할 때까지 외력을 가하여도 파손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탄력성을 갖는 본 개시에 따른 비드는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률의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이 원 상태로 회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비드는 변형률이 20~40%이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의 90~100%로 회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가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을 때 우수한 심미감 및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비드로서 캡슐을 사용할 경우 친유성 유효성분을 캡슐 속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드(또는 캡슐)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폴리머가 함유된 조성물을 도포할 경우 미끈거리는 감촉을 제공하는 등 사용감 면에서 단점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머가 없으면서도 스크럽 기능, 심미감 및/또는 사용감, 나아가 유효성분 삽입 효능을 우수하게 나타내는 조성물을 지견하여 본 개시의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상기 표현 “폴리머가 없음”은,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3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zero)인 농도로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폴리머”는 종래 비드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제형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비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비드로 충전한 다음, 비드 사이의 빈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베이스로서 채울 수도 있기 때문에, 비드의 첨가량의 상한은 제한이 없다.
상기 비드의 직경은 선별에 사용되는 스크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드의 직경은 1 mm 내지 3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정”은 모발 및/또는 피부 표면의 땀이나 피지, 먼지, 노화된 각질 등의 각종 노폐물과 메이크업,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며, 탈지(脫脂: Cleansing), 협의의 세정(洗淨: Washing)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설페이트(sulfate)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식의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우수한 거품 형성능, 세정 작용능을 나타낸다.
(R1-O)a-(R2-O)b-SO3 -
여기서, a와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20, 특히 5 내지 70, 또는 5 내지 40의 정수일 수 있고, a와 b는 동시에 0인 것은 아니고, R1과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8 알킬기, C1-C18 알킬렌기, 또는 C6-C14 아릴렌기일 수 있다. 상기 C1-C18 알킬기, C1-C18 알킬렌기, 또는 C6-C14 아릴렌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O)의 반복단위와 (R2-O)의 반복단위는 랜덤하게 반복될 수도 있고, 블록 형태로 반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설페이트 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6 중량% 초과, 3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3.4 중량% 이상, 3.6 중량% 이상, 3.8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4.16 중량% 이상, 4.2 중량% 이상, 4.4 중량% 이상, 4.6 중량% 이상, 4.8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5.2 중량% 이상, 5.4 중량% 이상, 5.6 중량% 이상, 5.8 중량% 이상, 5.98 중량% 이상; 15.6 중량% 미만, 15 중량% 이하, 14.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5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5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98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한에 있어서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형화에 대한 제약이 있으므로, 20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타인(betaine)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쪽 말단에 COO-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우수한 컨디셔너, 점성제, 거품촉진제로 피부클렌져, 샴푸, 목욕제로 사용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의 알킬 베타인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n은 9 내지 20이다.
상기 알킬 베타인의 예로는 데실 베타인, 라우릴 베타인,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미리스틸 베타인,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베타인, 코코아미도에틸 베타인,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세틸 베타인, 팜아미도프로필 베타인, 팔미트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리시놀레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스테아릴 베타인, 올레일 베타인, 올레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또는 베헤닐 베타인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알킬 베타인은 라우릴 베타인, 미리스틸 베타인, 세틸 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 중량% 초과, 4 중량% 이상, 4.8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6.9 중량% 이상; 21 중량% 미만, 20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9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한에 있어서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자극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단가에 대한 제약이 있으므로, 20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0.3 내지 1.5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 0.28 초과, 1 : 0.332 이상, 1 : 0.35 이상, 1 : 0.3987 이상, 1 : 0.4 이상, 1 : 0.45 이상, 1 : 0.5 이상, 1 : 0.55 이상, 1 : 0.6 이상, 1 : 0.65 이상, 1 : 0.664 이상, 1 : 0.7 이상, 1 : 0.75 이상, 1 : 0.8 이상, 1 : 0.85 이상, 1 : 0.8667 이상; 1 : 1.999 미만, 1 : 1.95 이하, 1 : 1.9 이하, 1 : 1.85 이하, 1 : 1.8 이하, 1 : 1.75 이하, 1 : 1.7 이하, 1 : 1.65 이하, 1 : 1.6 이하, 1 : 1.55 이하, 1 : 1.5 이하, 1 : 1.45 이하, 1 : 1.4 이하, 1 : 1.35 이하, 1 : 1.3 이하, 1 : 1.25 이하, 1 : 1.2458 이하, 1 : 1.2 이하, 1 : 1.15 이하, 1 : 1.1 이하, 1 : 1.05 이하, 1 : 1 이하, 1 : 0.8667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하한에 있어서 1 : 0.28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제형화에 대한 제약이 있으므로, 1 : 0.28 이하의 함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양이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17, 폴리쿼터늄-18,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4,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32, 폴리쿼터늄-37,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43,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1,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쿼터늄-10이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초과 내지 5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 중량% 초과,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15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25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5 중량% 미만,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화에 있어서 미국화장품·향료협회(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에서 발간하는 국제 화장품 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헤어 린스, 샴푸, 헤어 컨디셔너, 헤어 팩, 헤어 오일,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젤, 헤어 에센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세럼, 헤어 앰플,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모발에 적용 후 제형이 린싱되어짐을 의미하는 린스-오프(rinse-off) 유형 또는 워시-오프(wash-off) 유형일 수 있거나; 또는 적용 후 제형이 모발 상에 잔류함을 의미하는 리브-온(leave-on) 또는 리브-인(leave-in) 유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pH조정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의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에 사용하기 위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드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분산 효능 평가
1. 재료 준비
하기 표 1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사용한 물질들은 모두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라우릴 베타인 6.9 6.9 6.9 6.9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5.98 - - -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 6 - -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 - 6.9 -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 - - 6
비드 0.3 0.3 0.3 0.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 시트레이트 0.1 0.1 0.1 0.1
향료 0.5 0.5 0.5 0.5
2. 평가 방법
직경 45 mm, 높이 60 mm의 투명 플라스틱 용기를 실시예 또는 비교예 용액으로 가득 채운 다음 비드를 도입하여, 60℃로 설정된 항온 조건에서 7일 간 방치하였다. 40 mm 상층에 있는 비드가 7일 후 10 mm 이상 가라앉지 않은 경우 비드 분산 안정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드 분산 안정도 O O X X
3. 평가 결과
상기 표 2로부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비드가 가라앉지 아니하여 비드를 안정하게 분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분산 효능 평가
1. 재료 준비
하기 표 3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사용한 물질들은 모두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3 실시예 1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라우릴 베타인 6.9 6.9 6.9 6.9 6.9 6.9 6.9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1.3 2.6 4.16 5.98 13 15.6 18.2
비드 0.3 0.3 0.3 0.3 0.3 0.3 0.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 시트레이트 0.1 0.1 0.1 0.1 0.1 0.1 0.1
향료 0.5 0.5 0.5 0.5 0.5 0.5 0.5
2. 평가 방법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3 실시예 1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드 분산 안정도 X X O O O X X
3. 평가 결과
상기 표 4로부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하는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 비드가 가라앉지 아니하여 비드를 안정하게 분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분산 효능 평가
1. 재료 준비
하기 표 5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사용한 물질들은 모두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7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카프릴/카프라미도프로필 베타인 6.9 - - -
라우릴 베타인 - 6.9 - -
미리스틸 베타인 - - 6.9 -
세틸 베타인 - - - 6.9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5.98 5.98 5.98 5.98
비드 0.3 0.3 0.3 0.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 시트레이트 0.1 0.1 0.1 0.1
향료 0.5 0.5 0.5 0.5
2. 평가 방법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7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비드 분산 안정도 X O O O
3. 평가 결과
상기 표 6으로부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 베타인, 미리스틸 베타인, 세틸 베타인을 함유하는 실시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경우 비드가 가라앉지 아니하여 비드를 안정하게 분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분산 효능 평가
1. 재료 준비
하기 표 7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사용한 물질들은 모두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8 비교예 9 실시예 7 실시예 1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10
라우릴 베타인 1.5 3 4.8 6.9 9 15 18 21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5.98 5.98 5.98 5.98 5.98 5.98 5.98 5.98
비드 0.3 0.3 0.3 0.3 0.3 0.3 0.3 0.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 시트레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향료 0.5 0.5 0.5 0.5 0.5 0.5 0.5 0.5
2. 평가 방법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8 비교예 9 실시예 7 실시예 1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10
비드 분산 안정도 X X O O O O O O
3. 평가 결과
상기 표 8로부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 베타인을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하는 실시예 1,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의 경우 비드가 가라앉지 아니하여 비드를 안정하게 분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바람직한 함량 범위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비교예 10 또한 비드가 가라앉지 아니하여 비드를 안정하게 분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상기 함량으로 함유될 경우 자극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단가에 대한 제약이 있다.
<시험예 5>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비에 따른 조성물의 비드 분산 효능 평가
1. 재료 준비
하기 표 9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사용한 물질들은 모두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11 비교예 12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교예 13
라우릴 베타인 1.2 1.8 4.8 6 15 18 21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5.2 5.2 5.2 5.2 5.2 5.2 5.2
비드 0.3 0.3 0.3 0.3 0.3 0.3 0.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 시트레이트 0.1 0.1 0.1 0.1 0.1 0.1 0.1
향료 0.5 0.5 0.5 0.5 0.5 0.5 0.5
2. 평가 방법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1 비교예 12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비교예 13
비드 분산 안정도 X X O O O O O
3. 평가 결과
상기 표 10으로부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한 함량비 범위로 함유하는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경우 비드가 가라앉지 아니하여 비드를 안정하게 분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바람직한 함량비 범위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비교예 13 또한 비드가 가라앉지 아니하여 비드를 안정하게 분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상기 함량비로 함유될 경우 제형화에 대한 제약이 있다.
<시험예 6> 종래 폴리머를 포함한 조성물 대비 비드 분산 효능 평가
1. 재료 준비
하기 표 11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사용한 물질들은 모두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5 비교예 14 비교예 15
라우릴 베타인 6.9 6.9 6.9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5.98 - -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 5.98 5.98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 8 8
수산화나트륨 - 적량 적량
비드 0.3 0.3 0.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소듐 시트레이트 0.1 0.1 0.1
향료 0.5 0.5 0.5
폴리쿼터늄-10 0.3 0.3 -
PPG-3 카프릴릴 에테르 0.3 0.3 0.3
2. 평가 방법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5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드 분산 안정도 O X O
3. 평가 결과
상기 표 12로부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함유하고, 기존 비드 분산제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유하며,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는 비교예 14의 경우 비드 분산 안정도가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하고,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는 실시예 15의 경우 비드 분산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함유하고, 기존 비드 분산제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유하나,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지 아니하는 비교예 15의 경우 비드 분산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아래 시험예 7에서 평가되는 바와 같이 사용감이 좋지 아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종래 폴리머를 포함한 조성물 대비 사용감 평가
1. 재료 준비
상기 시험예 6에서 사용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2. 평가 방법
준비된 세정용 샴푸 조성물을 평균 34세의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젖은 모발에 도포한 후, 헹굼, 건조하는 워시-오프(wash-off) 미용법으로 사용하여, 10점 척도로 사용감(3가지 항목: 헹굼 초기 컨디셔닝감, 헹굼 말미 컨디셔닝감, 및 건조 후 컨디셔닝감)에 대한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우수). 그 평균을 나타낸 결과를 표 1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5 비교예 14 비교예 15
헹굼 초기 컨디셔닝감 7 3 2
헹굼 말미 컨디셔닝감 5 3 2
건조 후 컨디셔닝감 4 3 2
3. 평가 결과
상기 표 13 및 도 1로부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하고,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0을 함유하는 실시예 15의 경우 헹굼 초기 컨디셔닝감, 헹굼 말미 컨디셔닝감, 및 건조 후 컨디셔닝감의 3가지 항목 모두에서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샴푸
하기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라우릴 베타인 6.9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5.98
방부제 0.03
구연산 적량
비드 0.3
정제수 잔량
소듐 시트레이트 0.1
향료 0.5
폴리쿼터늄-10 0.3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

Claims (10)

  1.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설페이트 염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릴 설페이트 염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의 알킬 베타인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상기 n은 9 내지 20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베타인은 라우릴 베타인, 미리스틸 베타인, 세틸 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20 중량%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0.3 내지 1.5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17, 폴리쿼터늄-18,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4,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32, 폴리쿼터늄-37,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43,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1,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KR1020200166770A 2020-12-02 2020-12-02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KR20220077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70A KR20220077636A (ko) 2020-12-02 2020-12-02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70A KR20220077636A (ko) 2020-12-02 2020-12-02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36A true KR20220077636A (ko) 2022-06-09

Family

ID=8198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770A KR20220077636A (ko) 2020-12-02 2020-12-02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63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152B1 (ko) 2000-03-17 2006-08-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크릴계 폴리머 분산 용액의 제조방법
KR20130047842A (ko) 2011-11-01 2013-05-09 최화숙 화장료용 이중 캡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152B1 (ko) 2000-03-17 2006-08-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크릴계 폴리머 분산 용액의 제조방법
KR20130047842A (ko) 2011-11-01 2013-05-09 최화숙 화장료용 이중 캡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2138B2 (ja) 増粘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
JP6943976B2 (ja) アニオン性及びカチオン性ポリマーを有する組成物
RU2465891C2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е композиции, продук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CN100406474C (zh) 阳离子改性半乳甘露聚糖和含有该物质的化妆材料组合物
JP4129645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US20160310370A1 (en) Low viscosity hair care composition
US10945935B2 (en)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a gel network
WO2012124766A1 (ja) 濃縮液状毛髪洗浄剤組成物
JP2009057383A (ja) イセチオネート、タウレート及びベタインの水性濃厚液
WO2008002666A1 (en) Func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saccharides for personal care, household &amp; institutional and pet care products
AU754610B2 (en) Antidandruff shampoos
KR19990036112A (ko) 물리적으로 활성인 화장품용 항균젤
MX2014012511A (es) Formulaciones en espuma que incluyen poliesteres de silicona.
JP2008290987A (ja) Cmc修復剤、毛髪化粧料およびcmc修復方法
JPH0341015A (ja) 毛髪化粧料
US20120058068A1 (en) Compositions for repairing and restoring keratin-containing fibers
KR101842405B1 (ko)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EP1602355A1 (en) Cleansing foaming formulation
AU771558B2 (en) Skin cleaning method for eliminating comedones and scales from parts of the skin subjected to the proliferation of candida albicans
KR20220077636A (ko) 비드를 포함하는 모발 또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KR102500882B1 (ko) 라멜라 구조를 갖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WO2021112099A1 (ja) 毛髪化粧料組成物
KR101792776B1 (ko) 고함량의 설포석시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DE102010022062A1 (de) Kosmetisches Körperreinigungsmittel mit nicht spürbarem Fehlen von alkoxylierten Tensiden
US11497688B2 (en) Toiletry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