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294A -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294A
KR20220077294A KR1020200165851A KR20200165851A KR20220077294A KR 20220077294 A KR20220077294 A KR 20220077294A KR 1020200165851 A KR1020200165851 A KR 1020200165851A KR 20200165851 A KR20200165851 A KR 20200165851A KR 20220077294 A KR20220077294 A KR 20220077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driver
refueling
calculate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294A/ko
Publication of KR2022007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1Personalized guidance, e.g. limited guidance on previously travell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행 성향, 경로 선택 성향, 연료 보충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경로 계산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에 연료 보충소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경로 계산부에서 산출된 추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를 보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연료 보충에 관하여 운전자를 보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주유가 필요하고, 전기차의 경우 충전이 필요하며, 현재 차량에 잔존하는 연료(충전량 포함)로 원하는 목적지까지 도달하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반드시 연료를 보충해야 한다.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라서, 동일한 거리를 주행하는 경우라도 연료의 소모량에 크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동일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있어서도, 최단 시간 경로를 선호하거나 최단 거리 경로 또는 무료 도로 경로를 선호하는 등 다양한 경로 선택 성향이 있을 수 있으며, 연료를 보충함에 있어서도, 항상 일정 잔여량 이상을 유지하면서 연료를 보충하거나, 연료가 거의 모두 소진된 후에나 연료를 보충하거나, 최저가 연료 또는 특정 브랜드 연료만을 보충하는 등 다양한 연료 보충 성향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023546 A KR 1020160143211 A KR 1020180039134 A
본 발명은 운전자의 각종 성향을 고려하여, 목적지 까지의 최적 경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경로의 주행 중에 운전자 성향에 부합하는 연료 보충 지점을 적절히 안내하고, 연료 보충을 보다 편리하게 보조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차량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운전자의 주행 성향, 경로 선택 성향, 연료 보충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경로 계산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에 연료 보충소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경로 계산부에서 산출된 추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는 경로 성향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선택되어 있는 경로 옵션을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사용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잔량 성향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연료 보충소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연료단가가 최저가인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정보는, 연료 보충 시마다, 연료 보충이 이루어지는 연료 보충소의 브랜드를 누적하여, 최대로 누적된 브랜드를 상기 경로 계산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랜드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선택되어 있는 경로 옵션을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는 경로 성향 저장부;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잔량 성향 저장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가 제공하는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른 경로를 상기 추천 경로로 하고,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연료 보충소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없는 경우, 상기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있는 다른 경로를 상기 추천 경로로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계산부로부터 산출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연료 보충소에 근접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사용 가능한 장비 확인, 연료보충의 예약, 연료보충에 대한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원격 결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운전자 보조 방법은,
운전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른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가 운전자의 주행 성향과 연료 보충 성향에 비추어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경우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은,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였다가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산출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산출된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경로를 산출하여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
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정보는, 차량의 연료 보충 시마다, 연료 보충이 이루어지는 연료 보충소의 브랜드를 누적하여, 최대로 누적된 브랜드를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로 저장하였다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산출된 경로 상에 연료 보충소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면,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고,
상기 추천 경로를 주행 중, 차량의 연료 잔량이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산출된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산출된 연료 보충소에 근접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 보충소 안내에 대하여, 운전자가 연료 보충을 승인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사용 가능한 장비 확인, 연료보충의 예약, 연료보충에 대한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각종 성향을 고려하여, 목적지 까지의 최적 경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경로의 주행 중에 운전자 성향에 부합하는 연료 보충 지점을 적절히 안내하고, 연료 보충을 보다 편리하게 보조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차량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운전자의 주행 성향, 경로 선택 성향, 연료 보충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경로 계산부(1);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1)에 연료 보충소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경로 계산부(1)에서 산출된 추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 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상기 경로 계산부(1)에서 운전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추천 경로를 산출한 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가 상기 추천 경로를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로 계산부(1)는 기본적으로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로부터 제공되는 연료 보충소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과 연료 보충 성향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추천 경로를 결정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참고로,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경로 계산부(1) 등은 기능적인 구분 단위로서, 상기 하드웨어적으로는 종래의 네비게이션 장치 자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시스템은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로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는 경로 성향 저장부(5)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5)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네비게이션에 운전 목적지를 입력하였을 때, 네비게이션 장치(3)가 제시할 수 있는 상기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가 이전의 주행 시에 가장 많이 선택한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하여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5)에 저장해 두고, 이를 사용하여 상기 경로 계산부(1)가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을 고려한 경로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에 선택되어 있는 경로 옵션을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사용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이 경우는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5)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에 운전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옵션에 따라,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잔량 성향 저장부(7)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7)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가 제공하는 연료 보충소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7)는 운전자가 연료를 보충할 때, 차량의 연료 잔량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계속해서 누적 평균치를 구하여 저장함으로써, 운전자가 연료의 잔량이 어느 수준일 때, 주로 연료 보충을 수행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연료 보충 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여기서 연료 보충은 종래의 휘발유나 경유 등의 화석 연료의 보충은 물론,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의 충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료 보충소는 주유소 또는 충전소 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7)에서 제공하는 누적 평균치가 예컨대 연료의 완전 충전량의 30%인 경우(즉, 운전자는 연료의 30%가 남은 상태에서 연료를 보충하는 경향이 높은 경우), 상기 기준 잔량 범위는 예컨대 20%~40%와 같이 상기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추천 경로를 따라 차량이 일반적인 평균 연비를 기준으로 주행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차량의 연료 잔량이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에 속하게 된 동안, 연료 보충이 가능하도록 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의 연료 보충소들을 산출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로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고, 상기 추천 경로를 선택하여,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연료단가가 최저가인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여, 만약 운전자가 최저가 연료 보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면, 상기 최저가 연료 보충소를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여, 가급적이면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를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정보는, 연료 보충 시마다, 연료 보충이 이루어지는 연료 보충소의 브랜드를 누적하여, 최대로 누적된 브랜드를 상기 경로 계산부(1)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랜드 저장부(9)로부터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시스템은 상기 경로 계산부(1)와 네비게이션 장치(3) 이외에,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로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에 선택되어 있는 경로 옵션을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는 경로 성향 저장부(5)와,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잔량 성향 저장부(7)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5)가 제공하는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른 경로를 상기 추천 경로로 하고,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7)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가 제공하는 연료 보충소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운전자의 차량 급가감속 등과 같은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연료 잔량에 비추어 상기 추천 경로 주행 중,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연료 잔량이 남았을 때, 연료 보충이 가능한 연료 보충소들을 산출하여, 그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연료 보충소의 존재를 확인하고 상기 추천 경로를 선택하여 주행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경로 계산부(1)는,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7)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없는 경우, 상기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있는 다른 경로를 상기 추천 경로로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연료 보충소의 브랜드도 운전자의 연료 보충 성향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상기 경로 계산부(1)는 결국, 운전자의 주행 성향, 경로 선택 성향 및 연료 보충 성향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이 상기 추천 경로를 따라 주행함에 따라, 상기 경로 계산부(1)로부터 산출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를 통해 표시되는 연료 보충소에 근접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사용 가능한 장비 확인, 연료보충의 예약, 연료보충에 대한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원격 결제부(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격 결제부(11)는 무선으로 연료 보충소와 통신하여, 연료 보충에 사용 가능한 장비의 존부를 확인하고, 가능하면 연료 보충의 예약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선결제 시스템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미리 보충할 연료의 양에 근거하여 선결제까지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료 보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원격 결제부(11)의 기능은 해당 연료 보충소에 무선으로 사용 가능 장비를 확인해 줄 수 있는 기능, 연료 보충의 예약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선결제를 할 수 있는 기능 중 가능한 기능에 대해 선택적으로 대응하여 수행되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의 실시예는, 운전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른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S10); 상기 산출된 경로가 운전자의 주행 성향과 연료 보충 성향에 비추어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경우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운전자가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들 중에, 기존에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른 경로를 산출하고, 이 경로가 운전자의 주행 성향과 연료 보충 성향에 비추어 타당한지를 판단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선택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은,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였다가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3)에 선택되어 있는 경로 옵션을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산출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S20)에서는, 상기 산출된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S30)와,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경로를 산출하여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산출하게 되는 다른 경로는, 상기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경로 선택 빈도가 최대는 아니지만 가급적 높으면서,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적절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로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정보는, 차량의 연료 보충 시마다, 연료 보충이 이루어지는 연료 보충소의 브랜드를 누적하여, 최대로 누적된 브랜드를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로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산출된 경로 상에 연료 보충소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면,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운전자의 연료 보충소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고, 상기 추천 경로를 주행 중, 차량의 연료 잔량이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산출된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산출된 연료 보충소에 근접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경로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산출된 연료 보충소는 도 3에서 예정된 연료 보충소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연료 보충소의 안내에 대하여, 운전자가 연료 보충을 승인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원격 결제부(11)가 구비된 경우, 상기 연료 보충소의 사용 가능한 장비 확인, 연료보충의 예약, 연료보충에 대한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S110).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경로 계산부
3; 네비게이션 장치
5; 경로 성향 저장부
7; 잔량 성향 저장부
9; 브랜드 저장부
11; 원격 결제부

Claims (19)

  1. 운전자의 주행 성향, 경로 선택 성향, 연료 보충 성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경로 계산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에 연료 보충소의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경로 계산부에서 산출된 추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는 경로 성향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선택되어 있는 경로 옵션을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사용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잔량 성향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연료 보충소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연료단가가 최저가인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정보는, 연료 보충 시마다, 연료 보충이 이루어지는 연료 보충소의 브랜드를 누적하여, 최대로 누적된 브랜드를 상기 경로 계산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랜드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선택되어 있는 경로 옵션을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는 경로 성향 저장부;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잔량 성향 저장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경로 성향 저장부가 제공하는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른 경로를 상기 추천 경로로 하고,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연료 보충소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경로 계산부는,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잔량 성향 저장부의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추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없는 경우, 상기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있는 다른 경로를 상기 추천 경로로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경로 계산부로부터 산출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연료 보충소에 근접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사용 가능한 장비 확인, 연료보충의 예약, 연료보충에 대한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원격 결제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11. 운전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에 따른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가 운전자의 주행 성향과 연료 보충 성향에 비추어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경우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은, 목적지까지의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무료 도로 경로, 고속도로 우선 경로 중, 운전자의 선택 빈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운전자의 경로 선택 성향으로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차량의 연료 보충 시, 연료 잔량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치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산출된 경로 상의 연료 보충소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산출된 연료 보충소들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연료 보충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경로를 산출하여 추천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정보는, 차량의 연료 보충 시마다, 연료 보충이 이루어지는 연료 보충소의 브랜드를 누적하여, 최대로 누적된 브랜드를 운전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로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에 따른 누적평균연비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기준 잔량 범위 내로 차량의 연료 잔량이 속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산출된 경로 상에 연료 보충소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면,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경로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산출된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하고,
    상기 추천 경로를 주행 중, 차량의 연료 잔량이 상기 기준 잔량 범위 내에 속하거나, 상기 산출된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산출된 연료 보충소에 근접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존재를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료 보충소 안내에 대하여, 운전자가 연료 보충을 승인하면, 상기 연료 보충소의 사용 가능한 장비 확인, 연료보충의 예약, 연료보충에 대한 선결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KR1020200165851A 2020-12-01 2020-12-01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7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51A KR20220077294A (ko) 2020-12-01 2020-12-01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51A KR20220077294A (ko) 2020-12-01 2020-12-01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294A true KR20220077294A (ko) 2022-06-09

Family

ID=8198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51A KR20220077294A (ko) 2020-12-01 2020-12-01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29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46A (ko) 2003-08-28 2005-03-10 최양규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술의 제조방법 및 그 술
KR20160143211A (ko) 2015-06-05 2016-12-14 정만성 채터링을 최소화하는 절삭공구 구조
KR20180039134A (ko) 2015-09-16 2018-04-1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수화 기능을 갖는 손목 시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46A (ko) 2003-08-28 2005-03-10 최양규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술의 제조방법 및 그 술
KR20160143211A (ko) 2015-06-05 2016-12-14 정만성 채터링을 최소화하는 절삭공구 구조
KR20180039134A (ko) 2015-09-16 2018-04-1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수화 기능을 갖는 손목 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7154B2 (ja) 補給施設案内装置、補給施設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75431B2 (ja) エネルギー補給量制御システム
RU2698946C2 (ru)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согласования заправки (варианты)
US20200072627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oute planing for an electric vehicle
JP5770789B2 (ja) 車両ルート計画方法及び装置
JP4906164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20204B2 (ja) 走行案内装置、走行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82400B2 (en) Charging strategy
EP1842758B1 (en) Route determination for a hybrid vehicle and system therefor
US93952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 vehicle
EP2230146B1 (en)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plug-in hybrid and electric vehicle
US20210310818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245572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환 예약시스템 및 그 예약방법
US20090109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vehicle fuel related information
US20160349075A1 (en) Method and system of route scheduling and presenting route-based fuel information
KR101588802B1 (ko) 주유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3167593A (zh) 自动确定沿着行进路线的路点
CN114040860A (zh) 用于控制车辆中的低燃料或低电量告警系统的方法
JP2011149813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20077294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JP2002139334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CN115565297A (zh) 车辆加油方法、装置及车辆
JPH11143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3532469A (zh) 导航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1063766A (ja) 電気自動車用カーナビゲーション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